KR20170120227A - 캡핑기의 캡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캡핑기의 캡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227A
KR20170120227A KR1020160047992A KR20160047992A KR20170120227A KR 20170120227 A KR20170120227 A KR 20170120227A KR 1020160047992 A KR1020160047992 A KR 1020160047992A KR 20160047992 A KR20160047992 A KR 20160047992A KR 20170120227 A KR20170120227 A KR 20170120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p
spout
unit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3276B1 (ko
Inventor
천효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원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원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원정밀
Priority to KR1020160047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2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3/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 B67B3/26Applications of control, warning, or safety devices in capping machinery
    • B67B3/262Devices for controlling the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3/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 B67B3/2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by applying and rotating preformed 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3/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 B67B3/26Applications of control, warning, or safety devices in capping machinery
    • B67B3/262Devices for controlling the caps
    • B67B3/264Devices for controlling the caps positioning of the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Of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을 비롯한 각종 튜브형 제품의 튜브 제조시 로딩 후 스파우트가 형성된 튜브에 스파우트 밀폐용 캡을 조립할 때 캡을 조립하기 쉽도록 일방향으로 자동 정렬하여 조립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조립완성도는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킨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CAP ALIGNMENT DEVICE OF CAPPING MACHINE}
본 발명은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을 비롯한 각종 튜브형 제품의 튜브 제조시 로딩 후 스파우트가 형성된 튜브에 스파우트 밀폐용 캡을 조립할 때 캡을 조립하기 쉽도록 일방향으로 자동 정렬하여 조립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조립완성도는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킨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형 용기는 화장품, 의약품의 연고류, 향 보존을 위한 내용물 등의 포장을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를 살펴보면 재질에 따라 크게 알루미늄으로 성형된 알루미늄 튜브와, 라미네이트 튜브로 대별된다.
이때, 알루미늄 튜브는 의약품이나 내약품성이 요구되는 내용물 등의 포장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통상 소정 크기의 알루미늄 덩어리를 충격 압축법에 의해 원통형으로 성형하고 실(Seal) 공정과 인쇄 공정(볼록판 오프셋 방식의 튜브 인쇄기로 인쇄) 등을 거쳐 완성된 튜브로 성형된다.
그리고, 라미네이트 튜브는 널리 보편화된 합성수지 튜브로서, 여러 가지 페이스트상 물질인 치약이나 식품 및 연고 등의 포장을 위한 튜브로 사용되며, 통상 압출 합지 방식(Extrusion Lamination)으로 기재를 접착 수지와 접착시켜 시트 상태로 제조한 뒤 이를 시트(sheet) 또는 롤(roll) 상태로 절단하여 튜브용기를 성형하고, 인쇄공정과 원통성형을 위한 실(Seal) 공정 등을 거쳐 완성된 튜브를 만드는 것이며, 최종 내용물 충진후 봉합 실(Seal)을 하는 것으로서 그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튜브, 특히 라미네이트 튜브(이하 '튜브'라 함)는 내용물이 충진되는 튜브바디와, 이 튜브바디의 일측을 마감하여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 가능하도록 한 튜브헤드로 이루어지고, 튜브헤드의 반대단은 밀봉처리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튜브헤드는 튜브스파우트(Tube Spout)와 튜브스파우트에 조립되어 밀봉하는 튜브캡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튜브를 제조하는 장치가 일관작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고 부분적으로 가공한 후 여러 공정을 별도로 거쳐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길어지고, 공수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튜브캡은 별도의 장비인 캐핑기(Capping machine)를 이용하여 기 성형된 캡을 일정방향으로 정렬 공급한 후 튜브스파우트에 나사조립되게 되는데, 종래에는 캐핑기가 원형피더에 의해 회전방식으로 캡을 정렬하였기 때문에 정렬 불량도 많이 발생되고, 정렬시 소음이 크게 생기며, 캡 정렬 과정에서 표면 스크래치가 심하게 생겨 고객 클레임 사항이 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126910호(1997.10.17.) '튜브 제조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243759호(1999.11.17.) '튜브용기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49704(2007.05.14.) '치약 튜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약 튜브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23901호(2014.07.21.) '튜브 헤드 성형사출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화장품을 비롯한 각종 튜브형 제품의 튜브 제조시 로딩 후 스파우트가 형성된 튜브에 스파우트 밀폐용 캡을 조립할 때 캡을 조립하기 쉽도록 일방향으로 자동 정렬하여 조립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조립완성도는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킨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단에 튜브스파우트가 형성되고, 튜브스파우트의 개봉단이 은박지로 밀폐 마감되어 캡 결합위치로 이송된 튜브바디의 튜브스파우트를 향해 체결가능한 상태로 세워진 채 이송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튜브캡 정렬부를 포함하는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로서, 상기 튜브캡 정렬부는 다수의 튜브캡을 수납하는 캡저장고; 상기 캡저장고에 저장된 튜브캡을 퍼 올리는 피더; 상기 피더의 배출단과 접속되고, 퍼올려진 튜브캡을 직각방향으로 이송하는 슈트; 상기 슈트의 배출단과 연결되고, 경사배열되며,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진동되는 활주대; 상기 활주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튜브캡중 'ㅗ' 형상으로 정립된 것만 통과시키도록 선별하는 캡선별유닛; 상기 캡선별유닛의 출구에 연결설치되어 선별 정립된 튜브캡을 'ㅓ' 형상으로 90°방향전환시키는 캡방향전환기; 상기 캡방향전환기의 출구에 연결되고, 경사배열된 최종공급대; 상기 최종공급대의 단부에 설치되고, 세워진 상태로 이송된 튜브캡을 튜브스파우트에 체결될 위치로 안내이송하는 캡위치고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캡선별유닛은 상판과 하판이 서로 조립되어 'ㄷ' 형상의 터널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판에는 장변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태로 굴곡진 굴곡가공부가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의 장변 일단에는 상기 활주대의 폭보다 작은 위치에 곡률을 갖는 선별가이드 더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캡방향전환기는 사각형상의 방향전환블럭과, 상기 방향전환블럭의 일측면이 호 형상으로 홈가공된 방향전환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향전환홈의 입구 후측에는 장입에어노즐이 더 설치되어 튜브캡이 위치될 때 마다 일정압의 공기를 불어주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최종공급대의 길이 일부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튜브캡의 정체 유무를 검출하여 장치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을 비롯한 각종 튜브형 제품의 튜브 제조시 로딩 후 스파우트가 형성된 튜브에 스파우트 밀폐용 캡을 조립할 때 캡을 조립하기 쉽도록 일방향으로 자동 정렬하여 조립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조립완성도는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원형피더에 의한 회전정렬이 아니라 직선 정렬방식을 취함으로써 정렬 효율을 높이고, 정렬 불량을 극소화시키며, 정렬시 표면 스크래치를 발생시키지 않아 제품 품질을 높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제조를 위한 튜브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로딩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로딩부를 구성하는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회전장치가 포함된 튜브 제조장치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슬라이딩블럭의 좌우 이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발췌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다른 쪽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회전제한스토퍼의 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해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캡 정렬장치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13에서 활주대 및 캡선별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예시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서 캡방향전환기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3에서 캡위치고정기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튜브 제조를 위한 튜브 제조장치에 대하여 개관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포함되는 튜브 제조장치는 양단이 개방된 튜브 형태의 튜브바디(TB, 도 3 참조)를 균일하게 공급하는 튜브 로딩부(100)와, 상기 튜브 로딩부(100)를 통해 공급된 튜브바디(TB)의 일단에 튜브스파우트(TS, 도 3 참조)를 형성하는 튜브스파우트 성형부(200)와, 튜브스파우트(TS)가 형성된 튜브바디(TB)를 회전시켜 튜브스파우트(TS)에 튜브캡(TC, 도 3 참조)을 조립할 수 있도록 정렬시키는 회전정렬부(300), 상기 튜브캡(TC)을 일정방향으로 정렬 공급하는 튜브캡 정렬부(400) 및 상기 튜브캡 정렬부(400)를 통해 일정방향으로 정렬된 튜브캡(TC)을 상기 회전정렬부(300)를 통해 튜브스파우트(TS)가 튜브캡(TC)과 조립 가능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캡(TC)을 상기 튜브스파우트(TS)에 조립하여 튜브헤드(TH, 도 3 참조)를 형성하는 튜브캡 결합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상기 튜브 로딩부(100)를 통해 공급된 튜브바디(TB)는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4개씩 로딩부에서 정렬된 후 정해진 길이로 커팅된 다음 튜브스파우트 성형부(200)로 이송되고, 튜브스파우트 성형부(200)에서는 튜브바디(TB)의 개방된 일단에 튜브스파우트(TS)를 성형하여 일체화시킨 후 뾰족하게 돌출된 단부를 평평하게 절단하며, 회전정렬부(300)를 통해 회전된 상태에서 튜브스파우트(TS)의 절단면에 은박지를 붙여 밀봉하고, 은박지로 밀봉된 상태에서 튜브캡 정렬부(400)를 통해 정렬된 상태로 공급된 튜브캡(TC)을 튜브캡 결합부(500)에서 상호 나사결합시켜 조립 고정하게 된다.
이때, 튜브바디(TB)는 별도의 설비인 합성수지 압출기를 통해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튜브 형태로 제조된 후 튜브 로딩부(100)로 공급되고, 튜브캡(TC)도 별도의 캡 제조설비를 통해 성형완료된 상태에서 튜브캡 정렬부(400)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튜브캡 정렬부(400)와 튜브캡 결합부(500)는 일종의 캐핑기(Capping machine)에 포함되는 유닛이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튜브바디(TB) 자체를 만드는 장치나 공정, 그리고 튜브캡(TC) 자체를 만드는 장치나 공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 정렬부(100)로부터 튜브스파우트 성형부(200)로의 이동은 90°씩 회전되는 턴테이블(T)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튜브 제조장치에서 특히, 튜브캡 정렬부(400)와 관련한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만, 캡 정렬 후 공급 및 튜브바디(TB)와의 조립이 최종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튜브를 로딩하여 튜브캡(TC)을 조립할 부위인 튜브스파우트(TS)를 성형하여 조립전 상태로 정렬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이 부분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튜브 제조장치중 튜브 로딩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압출성형된 튜브바디(TB)를 수납하는 튜브수납통(110)과, 상기 튜브수납통(110)에 수납된 튜브바디(TB)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인출하여 공급하는 튜브공급대(120)와, 상기 튜브공급대(120)를 통해 공급된 튜브바디(TB)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4개씩 한 조를 이루어 정렬하는 튜브정렬유닛(130)과, 상기 튜브정렬유닛(130)을 통해 정렬된 다수의 튜브바디(TB)를 받아 특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튜브반송유닛(140)과, 상기 튜브반송유닛(140)을 통해 이송된 튜브바디(TB)를 튜브스파우트 성형부(200)로 옮겨 정렬하기 위해 턴테이블(T, 도 1 참조)로 반송하는 턴테이블 장착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튜브공급대(120)는 도 4에서와 같이, 튜브수납통(110)에 수납된 튜브바디(TB)를 튜브정렬유닛(130)으로 안내하여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판상의 부재이다.
이때, 상기 튜브공급대(120)의 표면 양측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튜브안내판(122)이 설치되며, 상기 튜브안내판(122)의 각 외측면에는 간격조절구(124)에 의해 움직이면서 각 튜브안내판(122) 사이의 거리, 즉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로드(126)가 연결 고정된다.
따라서, 튜브바디(TB)의 길이에 따라 상기 간격조절구(124)를 조절함으로써 튜브바디(TB)가 굴러서 내려갈 때 비틀리거나 하여 걸리는 현상없이 원활하게 굴러내려갈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때문에, 상기 튜브공급대(120)는 일정 각도를 두고 경사 배치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튜브공급대(120)의 일측에는 튜브바디(TB)가 굴러 떨어지다가 걸렸을 경우 이를 즉시에 감지하여 공급을 중단시킨 후 신속히 조치할 수 있도록 튜브바디(TB)의 걸림, 멈춤을 검출하는 검출센서(12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검출센서(128)는 근접센서 혹은 포토센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정렬유닛(13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바디(TB)를 하나씩 파지하여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4개를 한 조로 세팅할 수 있도록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튜브안착대(132a)를 포함하는데, 다만 도시상 도 4는 도 3,5와 달리 구동관계를 명확히 표현할 수 있도록 180°반전시켜 도시하였다.
상기 튜브안착대(132a)는 대략 'V'형 홈을 갖는 블럭형태로 구비되어 굴러 떨어진 튜브바디(TB)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튜브안착대(132a)의 일측에는 이탈방지편(132b)이 상향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편(132b)은 상기 튜브안착대(132a)에 안착되어 있던 튜브바디(TB)가 튜브안착대(132a)의 회전이동시 발생되는 관성에 의해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스토퍼이다.
아울러, 상기 튜브안착대(132b)는 예컨대, 도 7과 같이 회전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하부에 지지편(SP) 및 체결결속편(CP)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안착대(132a)는 체인(132c) 상에 고정되고, 상기 체인(132c)은 구동스프라켓(132d)과 종동스프라켓(132e)에 감겨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회전방향은 튜브공급대(120)의 하단쪽에서 솟아 올라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방향으로 설계된다.
때문에, 상기 튜브안착대(132a)가 솟아 오르면서 튜브바디(TB)를 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탈방지편(132b)이 튜브바디(TB)의 굴러 떨어짐을 방지하면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튜브바디(TB)가 튜브안착대(132a)로 진입하여 안착되게 안내한다.
또한, 상기 구동스프라켓(132d)과 종동스프라켓(132e)은 각각 한 쌍씩 거리를 두고 떨어져 구비되며, 이들 스프라켓은 구동축(132f)과 종동축(132g)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132f)과 종동축(132g)은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34a)에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플레이트(134a)의 일측면에는 구동박스(134b)가 설치되는데, 상기 구동박스(134b)의 내부에는 구동모터(M, 도 5 참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타이밍풀리(134c)와 종동타이밍풀리(134d)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타이밍풀리(134c)와 종동타이밍풀리(134d)는 무한궤도 형태로 감기는 타이밍벨트(134e)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종동타이밍풀리(134d)의 중심에는 상기 구동축(132f)의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34a)를 관통한 다음 고정되어 회전축을 이룸으로써 상기 종동타이밍풀리(134d)가 회전하면 자동적으로 구동축(132f)이 회전하며, 상기 구동축(132f)의 회전에 의해 구동스프라켓(132d)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M)는 한 쌍의 상기 지지플레이트(134a) 사이에 고정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한 쌍의 상기 지지플레이트(134a)중 어느 하나의 안쪽면에는 센서설치바(136a)가 고정되고, 상기 센서설치바(136a)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근접센서(136b), 바람직하게는 4개의 근접센서(136b)가 설치된다.
상기 근접센서(136b)는 각 튜브안착대(132a)의 좌우폭 중앙을 정확하게 검지하여 일치되게 구동모터(M)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튜브안착대(132a)에 안착된 튜브바디(TB)가 튜브반송유닛(140)으로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아울러, 도 6에서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34a)의 하단에는 연결편(138a)이 연결 고정되고, 상기 연결편(138a)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편(138b)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편(138b)의 중심에는 스크류원통(138c)이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원통(138c)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볼스크류(138d)가 조립되는데 상기 볼스크류(138d)의 선단은 상기 연결편(138a)의 하단면 중심에 자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볼스크류(138d)의 양측에는 일단이 상기 연결편(138a)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편(138b)을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138e)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류(138d)의 하단에는 핸들(138f)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138f)을 돌리면 상기 볼스크류(138d)가 회전되면서 상기 연결편(138a)을 상기 고정편(138b)에 대해 멀어지게 하거나 혹은 가까워지게 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34a)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34a)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는 이유는 튜브바디(TB)의 경우, 직경이 큰 것도 있고 작은 것도 있는데 상기 튜브반송유닛(140)의 높이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튜브바디(TB)의 직경에 따라 튜브정렬유닛(130)의 높이와 튜브반송유닛(140)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둘 중 어느 하나가 움직이는 구조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즉, 튜브바디(TB)의 원중심과 상기 튜브정렬유닛(130)을 구성하는 후술될 삽입봉(144, 도 2 참조)의 원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상기 튜브정렬유닛(130)은 튜브바디(TB)의 반송을 위해 좌우로 움직이는 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높낮이 조절이 상대적으로 매우 어려운 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134a)는 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구조물이므로 이것을 상하로 움직이게 구성하는 것이 훨씬 수월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34a)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튜브반송유닛(140)의 반대쪽인 지지플레이트(134a) 외측에는 편(片)상의 밀대(PU)가 구비되고, 상기 밀대(PU)의 일단은 밀대블럭(PB)에 고정되며, 상기 밀대블럭(PB)은 밀대봉(PS)에 끼워되고, 상기 밀대봉(PS)의 양단은 밀대브라켓(PM)에 고정되며, 상기 밀대블럭(PB)의 하단은 도시되지 않은 밀대실린더(미도시)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튜브정렬유닛(130) 상에서 튜브바디(TB)의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밀대실린더(미도시)가 구동되어 밀대(PU)를 튜브반송유닛(140) 쪽으로 밀게 되고, 이때 밀대(PU)에 걸린 튜브바디(TB)가 함께 밀리면서 튜브바디(TB)가 튜브정렬유닛(130)으로부터 튜브반송유닛(140)으로 옮겨 가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튜브정렬유닛(130)과 튜브반송유닛(140) 사이에는 커터(CUT)가 구비되어 튜브반송유닛(140)으로 이동된 튜브바디(TB)를 커터(CUT)가 하강하여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이때, 길이 절단은 상기 밀대(PU)의 이동거리에 따라 절단위치가 결정되도록 제어하면 정확한 사이징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튜브반송유닛(140)은 한 쌍의 가이드바(GR)에 끼워져 슬라이딩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바(GR)의 일단은 편상의 연결브라켓(BR)에 의해 연결 고정되며, 상기 연결브라켓(BR)은 수직판 형태로 세워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라켓(BR)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튜브반송유닛(140)에 고정되고 타단은 반송실린더(CY)에 연결된 반송로드(CR)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반송유닛(140)의 커터(CUT)가 설치된 측면에는 수직판(142)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판(142)에는 그와 직교되게 상기 튜브정렬유닛(130)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삽입봉(144)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삽입봉(144)은 상기 튜브바디(TB)의 원중심과 일치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튜브정렬유닛(130)과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바(GR)의 단부쪽에는 상기 가이드바(GR)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턴테이블 장착기(140)가 구비된다.
상기 턴테이블 장착기(150)는 상기 튜브반송유닛(140)을 바라보는 방향에 튜브수납대(152)가 구비되고, 도시되지 않은 장착실린더(미도시)가 턴테이블 장착기(150)의 하부에 구비되어 턴테이블 장착기(150)를 전후진시키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턴테이블(T)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90°간격을 두고 다수, 바람직하게는 4쌍의 튜브고정부재(TP)가 구비되며,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하에 90°씩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튜브수납통(110)에 수납되어 있던 튜브바디(TB)들은 튜브공급기(120)를 타고 굴러 내려 튜브안착대(132a) 상에 순차로 안착된다.
예컨대, 4개의 튜브바디(TB)가 튜브안착대(132a)에 각각 하나씩 안착되면 도 3과 같은 형태로 정렬된다.
이때, 근접센서(136b)는 이들 튜브바디(TB)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며, 감지불량일 경우에는 경고를 울려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4개의 튜브바디(TB)가 튜브반송유닛(140)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어 시퀀스에 따라 구동모터(M)가 구동되면서 튜브안착대(132a)를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시켜 다음 대기중인 4개의 튜브바디를 동일하게 정렬시켜 반송 대기상태로 만든다.
이렇게 하여, 튜브바디(TB)의 정렬이 완료되면, 제어시퀀스에 따라 반송실린더(CY)가 동작되어 튜브반송유닛(140)이 튜브정렬유닛(130)과 마주보는 위치로 배치된다.
그러면, 삽입봉(144)의 중심과 튜브바디(TB)의 중심은 서로 자동으로 일치되게 된다.
여기에서, 중심 일치는 튜브바디(TB)의 직경에 따라 핸들(138f)을 조작하여 사전에 미리 세팅시켜야 한다.
이 상태에서, 밀대실린더(미도시)가 동작하여 밀대(PU)를 튜브반송유닛(140) 쪽으로 민다.
이러한 동작이 진행되면, 밀대(PU)는 튜브바디(TB)를 튜브반송유닛(140)의 삽입봉(144) 쪽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튜브바디(TB)는 삽입봉(144) 속으로 삽입되며, 이어 커터(CUT)가 하강하면서 튜브바디(TB)를 잘라 정해진 길이로 맞추게 되고, 커팅한 커터(CUT)는 홈포지션으로 복귀된다.
이 과정은 튜브바디(TB)의 가공길이를 컨트롤러가 인지한 상태에서 상기 밀대실린더(미도시)의 이동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튜브바디(TB)가 삽입봉(144)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어하는 형태가 될 수 있고, 혹은 튜브바디(TB)를 완전히 삽입시킨 상태에서 남은 여유분의 길이를 잘라내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튜브바디(TB)가 튜브반송유닛(140)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밀대실린더(미도시)도 홈포지션으로 복귀한다.
이어, 반송실린더(CY)가 동작하면서 튜브반송유닛(140)을 밀게 된다.
이에 따라, 튜브반송유닛(140)은 삽입봉(144)에 튜브바디(TB)를 고정한 채 가이드바(GR)를 따라 반송하게 되며, 턴테이블 장착기(150)와 직교되는 지점에서 멈춘다.
이것은 상기 반송실린더(CY)의 스트로크를 조절함으로써 자동 세팅되게 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튜브바디(TB)가 턴테이블 장착기(150)의 전방에 위치되면 턴테이블 장착기(150)가 전진하여 튜브바디(TB)를 튜브수납대(152)로 수납하게 되며, 수납이 완료되면 후진하면서 튜브바디(TB)를 삽입봉(144)으로부터 분리 이탈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삽입봉(144)으로부터 튜브바디(TB)가 분리되면, 튜브반송유닛(140)은 다시 제어시퀀스를 따라 튜브정렬유닛(130) 측으로 이동되고, 튜브정렬유닛(130)이 이동됨에 따라 빈공간을 통해 턴테이블 장착기(150)가 전진한다.
그러면, 튜브수납대(152)에 수납되어 있던 튜브바디(TB)는 턴테이블(T)의 튜브고정부재(TP)에 끼워지면서 튜브수납대(152)로부터 턴테이블(T)로 반송되고, 반송이 완료되면 턴테이블 장착기(150)는 후퇴하여 홈포지션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턴테이블(T)은 90°회전하여 튜브바디(TB)의 개방단을 튜브스파우트 성형부(200)를 향하도록 배치시킨다.
이후, 상기 튜브스파우트 성형부(20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튜브바디(TB)의 개방단에 도 3에서 예시하고 있는 형태의 튜브스파우트(TS)를 성형하여 만들고, 이어 턴테이블(T)이 다시 90°회전하여 튜브스파우트(TS)의 뾰족한 선단을 커팅하며, 턴테이블(T)이 다시 90°회전하여 커팅된 튜브스파우트(TS)의 개방된 구멍을 은박지로 밀폐하고, 그런 다음 옆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열처리하여 은박지를 견실하게 눌러 붙여 완전히 고정하게 된다.
여기까지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튜브바디(TB)는 일단이 개방된 상태로 타단은 튜브스파우트(TS)가 형성된 채 은박지로 밀폐된 구조를 갖추게 되며 한 장치에서 연속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형성된 튜브스파우트(TS)에 튜브캡(TC)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별도 장치로 구비된 튜브캡 결합부(500)로 반송되어야 연속처리가 가능한데, 튜브캡 결합부(500)는 튜브캡(TC)이 별물로 성형되어 별도 공급되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기 어려워 튜브로딩, 튜브스파우트 성형기와 별개로 구비되어 있다.
때문에, 턴테이블(T)로부터 벗어난 지점에서 튜브캡 결합부(500)로 튜브바디(TB)를 반송시킬 수단이 요구되는데, 튜브 회전장치가 그것이다.
튜브 회전장치는 도 8 및 도 9의 도시와 같이, 회전정렬부(300)를 의미하며, 반송대(310)를 사이에 두고 튜브캡 결합부(500)와 이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반송대(310)는 경사 배치되어 상기 회전정렬부(300)에서 회전 정렬시킨 다수의 튜브바디(TB)들이 튜브캡 결합부(500)를 향해 반송된다.
이때, 상기 튜브바디(TB)는 도 1에서와 같이 튜브스파우트(TS)에 은박지를 붙이기 위해 반송대(310)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이고, 또 반송대(310)로 옮겨져야 하는데 장치 구조상 반송대(310)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튜브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듀브바디(TB)를 파지, 회전, 이송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정렬부(300)는 튜브 형태의 튜브바디(TB)를 균일하게 하나씩 순차 공급하는 튜브 로딩부(100), 상기 튜브 로딩부(100)를 통해 공급된 튜브바디(TB)의 일단에 튜브스파우트(TS)를 형성하는 튜브스파우트 성형부(200)로 이루어진 튜브 로딩 및 성형장치부와; 튜브캡(TC)을 일정방향으로 정렬 공급하는 튜브캡 정렬부(400), 정렬된 튜브캡(TC)을 튜브스파우트(TS)에 체결 조립하는 튜브캡 결합부(500)로 이루어진 튜브캡 정렬 및 조립장치부; 사이에 경사 설치된 반송대(310)로 튜브스파우트(TS)가 형성된 튜브바디(TB)를 흡착, 상승, 회전, 전진하는 것에 의해 튜브캡(TC)과 조립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정렬, 반송하여 연속처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정렬부(300)는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턴테이블(T)이 설치된 프레임(F)의 말단에 연결 고정되는 회전지지프레임(320)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지지프레임(320)의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의 수직고정판(330)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고정판(330)을 가로질러 상하로 간격을 둔 한 쌍의 안내봉(340)이 고정되며, 상기 안내봉(340)에는 이를 따라 활주되는 슬라이딩블럭(342)이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럭(342)의 일측에는 작동로드(344)가 링크되며, 상기 작동로드(344)는 블럭유동실린더(346)에 연결되고, 상기 블럭유동실린더(344)는 상기 수직고정판(330) 중 일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블럭유동실린더(346)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블럭(342)은 상기 한 쌍의 안내봉(340)을 타고 좌우로 슬라이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블럭(342)의 일측면 양측에는 한 쌍의 수직안내바(352)가 수직안내바가이드링(354)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안내바(352) 사이의 중앙부에는 승강안내실린더(350, 도 10 참조)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안내실린더(350)의 로드 단부에는 모터베이스(356)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직안내바(352)는 각각 상기 모터베이스(356)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10을 참조할 때, 상기 모터베이스(356)에는 회전정렬모터(360)가 고정되는데, 상기 회전정렬모터(360)는 상부로 돌출된 상부축(362)과, 상기 모터베이스(356)를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상부축(362)과 동축인 하부축(364)을 갖춘 두 개의 축을 갖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축(362)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회동자(ROT)가 고정되고, 상기 회동자(ROT)는 대략 'ㄱ' 형상의 회전제한스토퍼(366)에 의해 회전각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각은 90°범위에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전제한스토퍼(366)는 상기 회전정렬모터(360)의 상단면, 즉 모터커버 상에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축(354)에는 하부축고정브라켓(368, 도 11 참고)이 고정되고, 상기 하부축고정브라켓(368)의 하단에는 흡착베이스(370)의 중앙부가 견고히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흡착베이스(370)의 하단면에는 다수의 흡착로드(370)가 설치되는데, 상기 흡착로드(370)는 탄성완충 가능하도록 충격흡수스프링(374)이 끼워진다.
또한, 상기 흡착로드(370)의 단부에는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튜브바디(TB)를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지의 흡착기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승강안내실린더(350)의 하강 동작에 따라 밀봉완료된 튜브바디(TB)를 향해 흡착로드(372)가 하강한다.
그런 다음, 공기 흡입식으로 튜브바디(TB)를 흡입하여 흡착하고, 상승한다.
이때의 튜브바디(TB)는 튜브바디(TB)의 길이방향이 반송대(3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형태, 즉 반송대(310)와 동일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회전정렬모터(360)가 회동하여 상부축(362)에 고정된 회동자(ROT)를 90°회전시키면 회동자(ROT)는 회전제한스토퍼(366) 때문에 정해진 각도만큼만 회전되도록 제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하부축(364)에 고정된 흡착베이스(370)도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결국 튜브바디(TB)는 상기 흡착베이스(370)와 함께 90°회전하여 반송대(31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 즉 도 1과 같이 반송대(310)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상태로 정렬된다.
이어, 상기 반송대(310)로 반송하기 위해 블럭유동실린더(346)가 전진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블럭(342)이 반송대(31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후, 반송대(310)의 투입단 상부에 위치되게 되면 공기 흡착을 중지함으로써 흡착하고 있던 튜브바디(TB)를 떨어뜨려 반송대(31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반송대(310)의 일단은 도 8의 예시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블럭(342)이 움직여 튜브바디(TB) 투하 위치에 왔을 때 튜브바디(TB)와 높이차가 크지 않도록 경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굳이 슬라이딩블럭(342)을 다시 하강시킬 필요는 없다.
다만, 보다 정교한 정렬 투하를 위해서는 필요한 경우 슬라이딩블럭(342)을 하강시켜 투하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장치 운용사항으로서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시퀀스제어를 바꾸기만 하면 되는 단순 설계사항이라고 보면 된다.
이렇게 하여, 튜브바디(TB)의 회전, 정렬, 반송이 완료되면 슬라이딩블럭(342)은 다시 홈포지션으로 이동하여 다음 동작을 위해 대기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정을 거쳐 반송대(310)를 통해 튜브캡 결합부(500)로 이송된 튜브바디(TB)에 튜브캡(TC)을 조립할 수 있도록 튜브캡 정렬부(400)를 통해 튜브캡(TC)을 조립 방향으로 정렬 공급하는 장치를 주요 특징적인 구성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튜브캡 정렬부(4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저장고(410)를 포함한다.
상기 캡저장고(410)는 대략 'Y'형 호퍼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다수의 튜브캡(TC)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캡저장고(410)에는 바닥에 근접하게 피더(412)가 설치된다.
상기 피더(412)는 캡저장고(410)의 바닥으로부터 상단까지 경사배열된 일종의 버켓컨베어 형태로서 튜브캡(TC)을 퍼 올리는 기능을 담당한다.
아울러, 상기 피더(412)의 상단부에는 슈트(Chute)(414)가 설치된다.
상기 슈트(414)는 피더(41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퍼올린 튜브캡(TC)을 방향전환시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 연결챔버로서, 이송방향쪽으로 경사지면서 그 쪽 방향의 하단만 개방된 사각통 형태라고 보면 된다.
또한, 상기 슈트(414)의 개방단에는 활주대(420)가 연결된다.
상기 활주대(420)는 경사배열된 판형 부재로서, 일측에는 진동바이브레이터(미도시)가 설치되어 항상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상기 슈트(414)로부터 인출된 튜브캡(TC)은 경사진 활주대(420)를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되 진동을 받기 때문에 달달달 떨리면서 흘러내려가게 되고, 그 과정에서 정렬이 불량한 것들은 낙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슈트(414) 및 활주대(420)의 하방에는 회수챔버(416)가 구비되어 낙하되는 튜브캡(TC)을 다시 수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활주대(420)를 거치는 과정에서 'ㅗ' 혹은 'ㅜ' 형태로 배열되지 못한 튜브캡(TC)들은 무게중심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대부분 자동 낙하되어 선별되고, 사실상 활주대(420)의 끝에서는 'ㅗ' 혹은 'ㅜ' 형태로 배열된 튜브캡(TC)만 남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ㅗ'와 같이 정립된 상태일 때만 튜브스파우트(TS)에 조립될 수 있도록 튜브캡 결합부(500)가 설계되어 있으므로 'ㅜ' 형태로 역립된 튜브캡(TC)은 다시 선별하여 걸러 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활주대(420)의 단부에는 동일 높이와 동일 경사각으로 배열된 캡선별유닛(430)이 설치된다.
상기 캡선별유닛(430)은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상판(432)과 하판(434)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일단이 서로 연결되어 튜브캡(TC)이 지나갈 수 있는 'ㄷ'형 터널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상판(432)과 하판(434)은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된 부위의 고정위치를 조절하여 상판(432)과 하판(434)의 간격, 즉 터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튜브캡(TC)의 높이가 특정 크기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다양한 높이를 갖기 때문에 그에 맞춰 대응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하판(434)에는 길이방향으로 폭을 넓혔다 좁혔다하는 형태로 굴곡가공부(436)가 형성된다.
이것은 튜브캡(TC)이 지나가면서 무게중심에 따른 자체 흔들림으로 인해 역립된 형태의 것은 낙하시키고 정립된 것들만 통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정립된 상태, 즉 도 15에 도시하고 있는 튜브캡(TC)의 형태로 배열된 것들만 통과시켜야 하는데, 이렇게 정립된 형태는 튜브스파우트(TS)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에 비해 손가락으로 돌리기 위해 파지하는 부분이 더 넓게 구성된 안정감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이렇게 정립된 상태의 튜브캡(TC)은 상기 굴곡가공부(436)를 통과할 때 하부가 넓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있어 큰 흔들림없이 안정감있게 통과하게 된다. 더구나, 넓은 면적 때문에 굴곡부분의 일부가 비어 있더라도 이를 통과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즉, 선단이 굴곡부의 빈공간에 있더라도 더 많은 면적이 바닥면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흔림이 생기지 않으며 선단이 굴곡부를 벗어나게 되면 양쪽이 바닥면에 지지되고 있는 형태가 되므로 흔들림없이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반해 역립된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작은 면적의 체결부가 굴곡부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굴곡부의 빈공간에 이르렀을 때 대두분이 빈공간 상에 떠 있는 형태가 되고 일부 조금만 바닥면에 지지되고 있는 형국이 되어 무게중심이 흔들리기 때문에 곧바로 낙하되어 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역립과 정립을 아주 쉽게 선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이러한 선별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굴곡부의 빈공간 형상이 상기 튜브캡(TC)의 체결부의 직경보다 약간 큰 곡률을 갖도록 가공함이 좋다.
뿐만 아니라, 상판(432)의 장변 일단에는 상기 활주대(420)의 폭보다 작은 위치에 곡률을 갖는 선별가이드(TRS) 더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선별가이드(TRS)의 폭 범위 내로 들어온 튜브캡(TC)들만 통과시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선별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벗어난 범위로 이동되어온 튜브캡(TC)들은 낙하되어 재사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캡선별유닛(430)의 배출단에는 캡방향전환기(440)가 설치된다.
상기 캡방향전환기(44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방향전환블럭(442)과, 상기 방향전환블럭(442)의 일측면이 호 형상으로 홈가공된 방향전환홈(444)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립된 것들만 선별된 튜브캡(TC)이 'ㅗ'형상으로 이동하여 상기 캡방향전환기(440)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튜브캡(TC)은 자동적으로 'ㅓ' 형상으로 90°세워지면서 방향전환된다.
아울러, 상기 방향전환홈(444)을 타고 튜브캡(TC)이 이동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입구 후측에는 장입에어노즐(446)이 더 설치되어 튜브캡(TC)이 위치될 때 마다 일정압의 공기를 쏴주어 튜브캡(TC)이 쉽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캡방향전환기(440)의 배출구에는 최종공급대(450)가 경사 배치되고, 상기 최종공급대(450)의 단부에는 캡위치고정기(46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최종공급대(450)의 길이 일부에는 근접센서와 같은 감지센서(452)가 설치되어 튜브캡(TC)이 이동하지 않고 정체된 상태로 남아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후속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필요한 경우 최종공급대(450)의 경사가 높은 쪽 상단에 이송에어노즐(미도시)을 더 설치하여 공기를 불어 줌으로써 보다 원활한 최종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캡위치고정기(460)는 도 17에서와 같이, 위치고정블럭(462)과, 상기 위치고정블럭(462)의 일측면에 호형상으로 홈 가공된 위치고정유로(464)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상기 위치고정유로(464)로 진입된 튜브캡(TC)은 최종적으로 체결부가 튜브스파우트(TS)를 바라보고 세워져 있는 형태가 된다.
이후에는 캡 조립과정이 수행되는데, 튜브캡(TC)의 체결부에 실리콘이 살짝 발라진 다음 튜브스파우트(TS) 쪽, 즉 튜브바디(TB)가 튜브캡(TC) 쪽으로 전진하여 튜브캡(TC)에 끼워진 후 튜브바디(TB)를 잡고 있는 봉이 회전하여 가체결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위치고정유로(464)의 하단에 형성된 봉삽입홈(466)에는 지지봉이 삽입되어 튜브캡(TC)의 배면을 지지한다.
그런 후에, 가체결된 튜브캡을 구비한 튜브바디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집게 형상의 체결구가 회전하면서 튜브캡을 돌려 최종 고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이러한 체결 및 체결장치 자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00: 튜브 로딩부 200: 튜브스파우트 성형부
300: 회전정렬부 400: 튜브캡 정렬부
500: 튜브캡 결합부

Claims (5)

  1. 일단에 튜브스파우트가 형성되고, 튜브스파우트의 개봉단이 은박지로 밀폐 마감되어 캡 결합위치로 이송된 튜브바디의 튜브스파우트를 향해 체결가능한 상태로 세워진 채 이송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튜브캡 정렬부를 포함하는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로서,
    상기 튜브캡 정렬부는 다수의 튜브캡을 수납하는 캡저장고;
    상기 캡저장고에 저장된 튜브캡을 퍼 올리는 피더;
    상기 피더의 배출단과 접속되고, 퍼올려진 튜브캡을 직각방향으로 이송하는 슈트;
    상기 슈트의 배출단과 연결되고, 경사배열되며,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진동되는 활주대;
    상기 활주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튜브캡중 'ㅗ' 형상으로 정립된 것만 통과시키도록 선별하는 캡선별유닛;
    상기 캡선별유닛의 출구에 연결설치되어 선별 정립된 튜브캡을 'ㅓ' 형상으로 90°방향전환시키는 캡방향전환기;
    상기 캡방향전환기의 출구에 연결되고, 경사배열된 최종공급대;
    상기 최종공급대의 단부에 설치되고, 세워진 상태로 이송된 튜브캡을 튜브스파우트에 체결될 위치로 안내이송하는 캡위치고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선별유닛은 상판과 하판이 서로 조립되어 'ㄷ' 형상의 터널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판에는 장변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태로 굴곡진 굴곡가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장변 일단에는 상기 활주대의 폭보다 작은 위치에 곡률을 갖는 선별가이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방향전환기는 사각형상의 방향전환블럭과, 상기 방향전환블럭의 일측면이 호 형상으로 홈가공된 방향전환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향전환홈의 입구 후측에는 장입에어노즐이 더 설치되어 튜브캡이 위치될 때 마다 일정압의 공기를 불어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종공급대의 길이 일부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튜브캡의 정체 유무를 검출하여 장치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핑기의 캡 정렬장치.
KR1020160047992A 2016-04-20 2016-04-20 캡핑기의 캡 정렬장치 KR101833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992A KR101833276B1 (ko) 2016-04-20 2016-04-20 캡핑기의 캡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992A KR101833276B1 (ko) 2016-04-20 2016-04-20 캡핑기의 캡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227A true KR20170120227A (ko) 2017-10-31
KR101833276B1 KR101833276B1 (ko) 2018-03-05

Family

ID=6030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992A KR101833276B1 (ko) 2016-04-20 2016-04-20 캡핑기의 캡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7989A (zh) * 2020-08-31 2020-12-04 浙江御品源饮品有限公司 一种用于旋盖作业的自动送盖装置
WO2024099080A1 (zh) * 2022-11-09 2024-05-16 苏州华源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封罐机的上料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057B1 (ko) 2019-03-14 2021-02-22 주식회사 아이팩 캡 포장장치
KR102526283B1 (ko) 2023-03-02 2023-04-28 주식회사 에스케이팩 캡 방향 전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525A (ja) * 1998-12-28 2000-07-18 Kamutekku:Kk パ―ツフィ―ダ
JP2000226115A (ja) * 1999-02-05 2000-08-15 Shinko Electric Co Ltd 部品選別装置
JP4303941B2 (ja) * 2002-11-21 2009-07-29 靜甲株式会社 キャップシュート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7989A (zh) * 2020-08-31 2020-12-04 浙江御品源饮品有限公司 一种用于旋盖作业的自动送盖装置
CN112027989B (zh) * 2020-08-31 2022-04-08 东莞市新锋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旋盖作业的自动送盖装置
WO2024099080A1 (zh) * 2022-11-09 2024-05-16 苏州华源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封罐机的上料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276B1 (ko) 201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276B1 (ko) 캡핑기의 캡 정렬장치
KR101987819B1 (ko) 용기공급장치
DE102005057872B4 (de) Inspektionsmaschine
US8464765B2 (en) Machine for filling bottles with solid forms of pharmaceutical products, in particular capsules, pills, pastilles, and/or tablets
KR101822481B1 (ko) 사출기의 튜브 로딩장치
CN109445038B (zh) 一种光纤头组装生产线
JP2010131492A (ja) 不良品選別システム及び不良品選別システムに於ける不良品排除装置
CN109649715B (zh) 侧开式香烟烟盒包装生产***及方法
KR101822483B1 (ko) 사출기의 튜브 회전장치
CN114368593B (zh) 一种自动上料检测装置
JP5706558B1 (ja) 直線型重量式充填機
US7828507B2 (en) Stack turning apparatus with multiple drive means to straighten and eject stack from turntable
CN208373609U (zh) 一种喷码视觉检测一体化设备
KR100838678B1 (ko) 용기뚜껑 자동조립장치
KR101855276B1 (ko) 캡핑기
US9156574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illing container with similar articles
CN215091931U (zh) 一种滴管自动组装机
JP2003081228A (ja) 箱切断方法及び装置
KR101216534B1 (ko) 정제검사기용 정제 공급장치
CN116101569A (zh) 袋装食品包装机
CN113275879A (zh) 一种滴管自动组装机
KR100661969B1 (ko) 스파우트 파우치의 내용물 충전장치
EP0657354A1 (en) The packaging of cylindrical articles
JP5430135B2 (ja) 物品投入装置
TWM513205U (zh) 理瓶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