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627A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inhibiting metastasis of glioblastoma comprising protopanaxadiols compound - Google Patents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inhibiting metastasis of glioblastoma comprising protopanaxadiols comp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627A
KR20170106627A KR1020170114728A KR20170114728A KR20170106627A KR 20170106627 A KR20170106627 A KR 20170106627A KR 1020170114728 A KR1020170114728 A KR 1020170114728A KR 20170114728 A KR20170114728 A KR 20170114728A KR 20170106627 A KR20170106627 A KR 20170106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ioblastoma
ppd
ginsenoside
cells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87954B1 (en
Inventor
최경선
최철희
완데리 셔릴
김은수
김선창
하지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1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954B1/en
Publication of KR20170106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6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9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 food composition for inhibiting metastasis of glioblastoma comprising protopanaxadiol (PPD) which is one of panaxadiol ginsenoside compounds or a compound-K as an active ingredient. Ginsenoside C-K or PPD inhibits adhesion of glioblastoma cells to induce anoikis, and shows cytotoxicity to glioblastoma cells, thereby performing treatment and inhibition of metastasis of glioblastoma and being widely used for effectively treating a patient who suffers from glioblastoma.

Description

프로토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교모세포종 치료 및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inhibiting metastasis of glioblastoma comprising protopanaxadiols compound}[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and inhibition of metastasis of a glioblastoma-containing protopanaxadiols compound,

본 발명은 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교모세포종 치료 및 세포부착 억제를 통한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의 일종인 PPD(protopanaxadiol) 또는 컴파운드-K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교모세포종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교모세포종 전이 억제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metastasis through treatment of a glioblastoma and a cell adhesion inhibitor comprising a panaxadius diol ginsenoside compoun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metastasis by inhibiting PPD (protopanaxadiol) or Compound-K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food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transplantation of a glioblastoma.

암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사망원인 중의 하나이다. 약 천만 건의 새로운 케이스가 매년 발생하며, 전체 사망원인의 약 12%를 차지하여 세 번째로 많은 사망의 원인이 되고 있다. 여러 가지 종류의 암 중에서 특히 뇌암은 연령에 관계없이 발생 되며, 소아에 발생 빈도가 다른 암에 비하여 높은 특징이 있다. 뇌암은 뇌조직과 뇌를 싸고 있는 뇌막에서 발생되는 일차성 뇌종양과 두개골이나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발생된 암으로부터 전이된 이차성 뇌종양으로 구별되는데, 증세로는 운동 마비, 지각마비, 언어 장애, 시력 장애, 평형 장애 등과 같은 국소 증상과 두개내압항진 증상을 들 수 있다. 상기 뇌암은 조직특이적으로 1 내지 2종의 암이 발병되는 다른 조직에서 발병되는 암과는 달리 다형성아교모세포종, 악성신경교종, 임파선종, 배아세포종, 전이성 종양 등의 다양한 종류의 암을 포함하는데, 이 중에서도 신경교종 (glioma), 특히 교모세포종(glioblastoma)은 가장 악성이고 공격적이어서 예후가 매우 좋지 않으며, 진단 후 평균 생존 기간이 약 1년을 넘지 못하는 매우 치명적인 질환이다. 상기 교모세포종이 발병된 환자에서는 뇌세포와 종양세포 간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암조직을 외과적으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상기 교모세포종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고, 그 결과로서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 TMZ)가 개발되었다.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death worldwide. Approximately 10 million new cases occur each year,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12% of all deaths and the third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various types of cancer, brain cancer, especially in children, occurs more frequently than other cancers. Brain cancer is distinguished from primary brain tumors that develop in the brain tissue and brain membranes surrounding the brain and secondary brain tumors that migrate from the skull or other parts of the body to the brain. Symptoms include motor paralysis, perception, paralysis, , Equilibrium disorder, and cranial hypertensive symptoms. The brain cancer includes various types of cancer such as polymorphic glioblastoma, malignant glioma, lymphadenoma, blastomastoid, metastatic tumor and the like, unlike cancer that is developed in other tissues in which one or two kinds of cancer are tissue-specific Among them, glioma, especially glioblastoma, is the most malignant and aggressive disease with a very poor prognosis and a very fatal disease with an average survival of less than 1 year after diagnosis. It is known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the cancer tissue surgically since the boundary between the brain cell and the tumor cell is not clear in the patient with the above-mentioned glioblastoma. Thus, in order to develop a method for treating the glioblastoma,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nd as a result, temozolomide (TMZ) has been developed.

상기 테모졸로마이드는 교모세포종 세포의 DNA를 손상시켜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알킬화제의 일종으로서, 최근에는 교모세포종을 치료하기 위하여, 외과적인 수술과 테모졸로마이드 처리를 병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모세포종은 다양한 유전적 돌연변이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병용치료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현재에도 교모세포종 환자의 평균 생존율이 현저히 낮아,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새로운 교모세포종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제특허공개 제2012-061120호에는 정제된 교모세포종 GBM6-AD 줄기 세포를 이용하여 교모세포종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국제특허공개 제2012-104822호에는 마시텐탄을 투여하여 교모세포종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The above-mentioned temozolomide is a type of alkylating agent that damages DNA of a glioblastoma cell and exhibits an anticancer effect. Recently, a method of using a surgical operation and a treatment with temozolomide has been used to treat glioblastoma. However, since the glioblastoma includes various genetic mutations, the median survival rate of the glioblastoma patients is remarkably low even now, and the development of a new therapeutic agent is require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new glioblastoma therapeutic agent is actively pursuing this need. For example,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2012-061120 discloses a method of treating glioblastoma using purified glioblastoma GBM6-AD stem cells, and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2012-104822 discloses a method of treating glioblastoma A method of treating a glioblastoma is disclosed.

한편, 상기 교모세포종은 전이의 유발빈도가 높은 암으로 알려져 있다. 암의 전이는 다발성, 전신성이며, 그 존재 여부의 판정도 어렵기 때문에 현재의 암 치료방법으로는 치료효능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하지만 암 전이는 1차 종양을 구성하는 암세포의 극히 일부분만이 전이과정의 여러 단계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전이암으로 되는 비효율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전이 과정을 잘 이해하고, 임상적, 생물학적으로 유용한 치료표적을 발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면 암 전이에 의한 사망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유용한 치료법의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213033호에는 EI24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여 암의 전이를 진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9-0084149호에는 카페인 및/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사용하여 뇌암의 침윤, 전이 및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교모세포종의 전이를 억제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lioblastoma is known to have a high incidence of metastasis. Because cancer metastasis is multiple, systemic and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it is present, treatment efficacy is not satisfactory with current cancer treatment methods. However, cancer metastasis is an inefficient process in which only a small fraction of the cancer cells that make up the primary tumor successfully complete several stages of the metastatic process and become metastatic canc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velop a useful treatment method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death by cancer metastasis by understanding the transition process, developing a clinically and biologically useful therapeutic target, and effectively inhibiting it.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213033 discloses a method for diagnosing cancer metastasis by measuring EI24 protein level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84149 disclos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affeine and / A method for inhibiting the invasion, metastasis and proliferation of brain cancer using the same. However, a method for inhibiting the progression of glioblastoma has not yet been reported.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교모세포종의 전이를 억제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PPD(protopanaxadiol)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의 일종인 PPD 또는 컴파운드-K(C-K)가 교모세포종의 아노이키스를 유발하여 전이를 억제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xtensive efforts to develop a method for inhibiting the progression of glioblastoma. As a result, PPD or a compound-K (CK), a kind of PPD (protopanaxadiol) To inhibit metastasis, thus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교모세포종 치료 및 세포부착 억제를 통한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metastasis through treatment of glioblastoma and inhibition of cell adhesion comprising a PPD-type ginsenosid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교모세포종 전이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transplantation of glioblastoma which comprises a PPD-type ginsenoside compound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자들은 교모세포종의 전이를 억제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아노이키스(anoikis)에 주목하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고형암의 암세포가 주위 조직과 세포에 접촉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세포 사멸이 유발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아노이키스(Anoikis)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암세포가 전이되면 아노이키스에 대한 저항성을 획득하게 되므로, 상기 암세포에 대하여 아노이키스를 유발하는 제제는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교모세포종에서 아노이키스를 유발시킬 수 있는 제제를 검색하던 중, PPD(protopanaxadiol)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에 주목하게 되었다. 상기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은 인삼 또는 홍삼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의 일종으로서, 상기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이 교모세포종에서 아노이키스를 유도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는 고형암에 해당하는 교모세포종 세포의 배양시에 세포부착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을 나타내므로, 상기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는 교모세포종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아노이키스를 유발시켜서 교모세포종의 전이를 억제하는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The present inventors paid attention to anoikis while carrying out various studies to develop a method for inhibiting the progression of glioblastoma. Normally, when cancer cells of solid cancer do not contact the surrounding tissues and cells, apoptosis is induced. This phenomenon is known as Anoikis. However, when the cancer cells are transferred, resistance to anoikis is acquired. Therefore, an agent that induces anoikis against the cancer cells can exhibit an effect of inhibiting cancer cell metastasis. While searching for an agent capable of inducing anoikis in glioblastomas, attention was paid to PPD (protopanaxadiol) -ginsenoside compounds. The PPD-type ginsenoside compound is a kind of ginsenoside compound contained in ginseng or red ginseng, and it was examined whether the PPD-type ginsenoside compound can induce anoikis in glioblastoma. As a result, since ginsenoside CK or PPD not only inhibits cell adhesion but also exhibits cytotoxicity upon culturing glioma cells corresponding to solid tumors, the ginsenoside CK or PPD not only treats glioblastoma, It can be used as an agent for inhibiting the metastasis of glioblastoma by inducing kissing.

따라서, 진세노사이드 PPD 또는 C-K는 교모세포종의 치료효과와 전이억제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처럼 교모세포종의 치료와 전이억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PPD 또는 C-K의 효과는 지금까지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고, 본 발명자에 의하여 최초로 규명되었다.Therefore, the ginsenoside PPD or CK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pable of simultaneously exhibiting a therapeutic effect and a transplantation-inhibiting effect of a glioblastoma, and PPD or CK capable of simultaneously treating the glioblastoma and inhibiting the metastasis Has not been known at all and has been first identified by the present inventor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서 PPD(protopanaxadiol), 컴파운드-K 또는 그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교모세포종 치료 및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s one embodiment,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 glioblastoma and inhibiting metastasis, which comprises PPD (protopanaxadiol), Compound-K or a combina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용어 "PPD(protopanaxadiol)"이란, C30H52O3의 화학식으로 표시되고, 약 460Da의 분자량을 갖으며,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The term "PPD (protopanaxadiol) "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C 30 H 52 O 3 ,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460 Da and having a structure of the following formula (1) separated from ginseng.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PD는 교모세포종의 아노이키스를 유발하는 교모세포종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PPD가 교모세포종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농도는 교모세포종의 세포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10 내지 50㎍/㎖의 처리농도가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20 내지 40㎍/㎖의 처리농도가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40㎍/㎖의 처리농도가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PD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glioma-type metastasis which induces aniosis of a glioblastoma. The concentration at which the PPD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metastatic tumor metastasis is As long as it is capable of inhibiting cell adhesion of the glioblastoma, for example, it may be a treatment concentration of 10 to 50 μg / ml, and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a treatment concentration of 20 to 40 μg / ml And, as another example, a treatment concentration of 40 μg / ml.

본 발명의 용어 "컴파운드-K(compound-K, C-K)"란, 인삼자체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인삼 또는 홍삼에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등의 사포닌이 비피더스 균과 같은 장내 미생물 또는 토양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체내에서 흡수가능한 형태로 전환된 형태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로서, C36H62O8의 화학식으로 표시되고, 약 622Da의 분자량을 갖으며,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The term "compound-K (CK)"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saponins such as ginsenosides Rb1, Rb2, Rc and Rd present in ginseng or red ginseng are not present in ginseng itself A ginsenosid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C 36 H 62 O 8 a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622 Da and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 / RTI >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K는 교모세포종의 아노이키스를 유발하는 교모세포종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C-K가 교모세포종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농도는 교모세포종의 세포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10 내지 50㎍/㎖의 처리농도가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20 내지 40㎍/㎖의 처리농도가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30㎍/㎖의 처리농도가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K can be used as an effective compon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glioma-type metastasis which induces aniosis of a glioblastoma. The concentration at which CK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metastatic tumor metastasis is As long as it is capable of inhibiting cell adhesion of the glioblastoma, for example, it may be a treatment concentration of 10 to 50 μg / ml, and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a treatment concentration of 20 to 40 μg / ml And, as another example, a treatment concentration of 30 μg / ml.

본 발명의 용어 "PPD(protopanaxadiol)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이란, 상기 PPD와 유사한 화학적 구조를 갖는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의미한다.The term "PPD (protopanaxadiol) ginsenosid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ginsenoside compound having a chemical structure similar to PPD.

본 발명에 있어서,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은 교모세포종의 아노이키스를 유발하여 교모세포종의 세포부착을 억제함으로써, 교모세포종의 전이를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화합물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일 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PPD, 상기 화학식 2의 C-K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은 인삼, 홍삼 등으로부터 추출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PD-type ginsenoside compound can be interpreted as a compound that inhibits the cell adhesion of glioblastoma by inducing anoikis of the glioblastoma, thereby inhibiting the metastasis of the glioblastoma. The PPD of Formula 1, the CK of Formula 2, and the like. The PPD-derived ginsenoside compounds may be those extracted from ginseng, red ginseng or the like, or chemically synthesized on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양시 세포군집체를 형성하는 교모세포종 세포에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를 처리하고, 이에 의하여 유발되는 현상을 분석한 결과, 세포군집체가 해체되어 개별적인 세포로 분해되고(도 1), 세포부착에 관여하는 N-카드헤린, 인테그린 β1, 인산화된 FAK 및 FAK의 발현수준이 감소하며(도 2), G0/G1 상태에서 세포주기가 정지된 세포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도 3a), 세포주기에서 G1 상태를 S 상태로 전환시키는 사이클린 D1의 발현수준이 감소됨(도 3b)을 확인하였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liosinocyte CK or PPD is treated on a glioblastoma cell that forms a cell aggregate upon culturing, and the phenomenon caused thereby is analyzed. As a result, the cell aggregate is disassembled and decomposed into individual cells (Fig. 1), the expression levels of N-carderine, integrin [beta] l, phosphorylated FAK and FAK involved in cell adhesion decreased (Fig. 2) and the number of cell cycles stopped in the G0 / G1 st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IG. 3a), and the expression level of cyclin D1, which converts the G1 state to the S state in the cell cycle, is decreased (FIG. 3b).

이처럼,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는 고형암에 해당하는 교모세포종 세포의 배양시에 세포부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는 아노이키스를 유발시켜서 교모세포종의 전이를 억제하는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 such, since ginsenoside CK or PPD exhibits an effect of inhibiting cell adhesion upon culturing glioma cells corresponding to solid tumors, the ginsenoside CK or PPD induces anoikis to inhibit the progression of glioblastoma It could be used as a prepar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배양된 인간의 교모세포종 세포주 U251에 다양한 농도의 진세노사이드 C-K, PPD 또는 F2를 처리하고, 이에 따른 세포생존율을 평가한 결과,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는 농도의존적(도 4a) 및 시간의존적(도 4b)인 세포독성을 나타냄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ured human glioblastoma cell line U251 was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 CK, PPD or F2 and the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 of ginsenoside CK or PPD Dependent (Fig. 4a) and time-dependent (Fig. 4b) cytotoxicity.

이처럼,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는 고형암에 해당하는 교모세포종 세포에 대하여 농도의존적 및 시간의존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내므로, 상기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는 교모세포종을 치료하는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 such, since ginsenoside CK or PPD exhibits concentration-dependent and time-dependent cytotoxicity against glioblastoma cells corresponding to solid tumors, it can be seen that the ginsenoside CK or PPD can be used as a preparation for treating glioblastoma I could.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상기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는 교모세포종의 전이를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모세포종을 치료하는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므로, 교모세포종 환자를 종합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Taken together, the above-mentioned ginsenoside CK or PPD can not only inhibit the metastasis of the glioblastoma but also exhibit the effect of treating the glioblastoma, so that the ginsenoside CK or PPD can be used as a preparation for treating a glioblastoma patient comprehensively And it was found.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교모세포종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inhibition of glioblastoma metastasis further comprising an appropriat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conventionally used in the produc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 Specifically,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or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ized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er, excipient and diluent which may be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In the case of formulation,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or a surfactant is usually used. Sol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which may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use may includ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ing agents, fragrances, preservatives, etc.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simple diluents commonly used in suspension, liquid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have.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Examples of the suspending agent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Examples of suppository bases includ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PPD 또는 C-K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례로서 최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50 중량%, 다른 예로서 0.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PPD or CK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01 to 50% by weight, and as another example, 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nal composition have.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공지된 암 전이 억제용 제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therapeutic or prophylactic treatment of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or prevention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refers to the level of the disease to be treated,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age, body weight, health, sex, sensitivity of the patient to the drug, Duration, duration of administration, factors involved in combination with or contemporaneously wit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art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known agent for inhibiting cancer metastasis.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all of the above factors and administer an amount that will achieve the maximum effect in the least amount without side effects.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질환의 중독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기왕력,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성인 1인당 약 0.1 ng 내지 약 100 mg/kg, 바람직하게는 1 ng 내지 약 10 mg/kg로 투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use, the degree of addiction to the disease, the age, body weight, sex, history, or kind of the substance used as the active ingredient. For exampl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t about 0.1 ng to about 100 mg / kg, preferably 1 ng to about 10 mg / kg, per adult, and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It is not limited, but it can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doses. The dos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약학 조성물을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교모세포종이 발병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모세포종의 치료 및 전이억제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and inhibiting the progression of glioblastoma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a subject suffering from a glioblastoma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교모세포종이 발병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발병된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양식어류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individu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without limitation, mammals, including fish, rats, livestock, humans, and the like, which are capable of developing a glioblastoma or have an onset.

본 발명의 교모세포종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등의 경로를 통해 투여 될 수 있다. 다만, 경구 투여 시에는 위산에 의하여 상기 PPD 또는 C-K가 변성될 수 있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The administration rout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transbronchial metastasi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hrough any common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dministered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dermal administration, or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intrapulmonary administration and rectal administration, ≪ / RTI > However, since the PPD or C-K may be denatured by gastric acid upon oral administration, the oral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so as to coat the active agent or protect it from decomposition at the top. In addition,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by any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the active agent to the target cell.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PPD 또는 C-K를 포함하는 교모세포종 개선 및 전이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 yet another aspect,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glioblastoma and inhibiting metastasis comprising PPD or C-K.

상기 교모세포종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PPD 또는 C-K는 약용 천연물인 인삼 등의 종래로부터 한약재로 사용되어 그의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물에서 유래되었으므로, 상기 PPD 또는 C-K는 상식할 수 있으면서도 교모세포종의 개선 및 전이 억제를 도모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되어 섭취할 수 있다.Since PPD or CK,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glioblastoma metastasis, is derived from a natural herb that has been heretofore used as a medicinal herb such as medicinal natural product ginseng and has proven its safety, the PPD or CK is a common, Can be prepared and ingested in the form of a food which can be improved and metastasis inhibited.

이때,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상기 PPD 또는 C-K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를 기준으로 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PPD or C-K contained in the f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 the range of 0.001 to 50%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When the food is a beverage, it may be contained in a proportion of 1 to 10 g, preferably 2 to 7 g based on 100 ml. In addition, the composition may contain additional ingredients which are commonly used in food compositions and which can improve odor, taste, vision and the like. For example, vitamins A, C, D, E, B1, B2, B6, B12, niacin, biotin, folate, panthotenic acid and the like. In addition, it may include minerals such as zinc (Zn), iron (Fe), calcium (Ca), chromium (Cr), magnesium (Mg), manganese (Mn) and copper (Cu) It may also include amino acids such as lysine, tryptophan, cysteine, valine,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tiseptics (such as potassium sorbate, sodium benzoate, salicylic acid, and sodium dehydroacetate), disinfectants (such as bleaching powder and highly bleached white powder, sodium hypochlorite), antioxidants (butylhydroxyanilide (BHA), butylhydroxytoluene BHT), etc.), coloring agents (such as tar pigments), coloring agents (such as sodium nitrite and sodium acetic acid), bleaching agents (sodium sulfite), seasoning (such as MSG sodium glutamate), sweeteners (such as hypoglycemia, , Food additives such as flavorings (vanillin, lactones, etc.), swelling agents (alum, potassium hydrogen D-tartrate), emulsifiers, emulsifiers, thickeners, encapsulating agents, gum bases, foam inhibitors, ) Can be added. The additiv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and used in an appropriate amount.

한편, 상기 PPD 또는 C-K을 포함하는 교모세포종 개선 및 전이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교모세포종 개선 및 전이 억제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improving glioblastoma and inhibiting metastasis can be prepared using the PPD or C-K-containing glycombastoma improving and transfer inhibiting food composition.

구체적인 예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교모세포종 개선 및 전이억제를 도모할 수 있는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데, 예들 들어, 과자, 음료, 주류,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육류가공식품 또는 국수가공식품의 형태인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과자는 비스킷, 파이, 케익, 빵, 캔디, 젤리, 껌, 시리얼(곡물푸레이크 등의 식사대용품류 포함) 등을 포함한다. 음료는 음용수, 탄산음료, 기능성이온음료, 쥬스(예들 들어, 사과, 배, 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 쥬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주류는 청주, 위스키, 소주, 맥주, 양주, 과실주 등을 포함한다. 발효식품은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을 포함한다. 통조림은 수산물 통조림(예들 들어, 참치, 고등어, 꽁치, 소라 통조림 등), 축산물 통조림(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 통조림 등), 농산물 통조림(옥수수, 복숭아, 파일애플 통조림 등)을 포함한다. 우유가공식품은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을 포함한다. 육류가공식품은 돈까스, 비프까스, 치킨까스, 소세지. 탕수육, 너겟류, 너비아니 등을 포함한다. 밀봉포장생면 등의 국수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조성물은 레토르트식품, 스프류 등에 사용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food composition can be used to produce a processed food which can improve the glioblastoma and inhibit metastasis. Examples of the processed food include confectionery, beverage, liquor, fermented food, canned food, Can be manufactur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processed noodles. The sweets include biscuits, pies, cakes, breads, candies, jellies, gums, cereals (including dinner utensils such as cereal flakes). Drinks include drinking water, carbonated beverages, functional ionic beverages, juices (such as apples, pears, grapes, aloes, citrus fruits, peaches, carrots, tomato juices, etc.) and sikhye. The mainstream includes sake, whiskey, shochu, beer, liquor, and fruit wine. Fermented foods include soy sauce, miso, and kochujang. Canned products include canned goods (eg, tuna, mackerel, saury, canned fish, etc.), canned products (beef, pork, chicken, turkey canned food, etc.) and canned products (corn, peach and canned pineapple). Milk processed foods include cheese, butter, yogurt and the like. Meat-processed foods include pork cutlet, beef cutlet, chicken cutlet, sausage. Sweet and sour pork, nuggets, and nubani. And noodles such as sealed packaging raw noodles. In addition, the composition may be used in retort food, soup and the like.

본 발명의 용어 "건강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는데, 상기 식품은 교모세포종의 개선 및 전이 억제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The term "functional food "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The food may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such as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and circles to obtain a beneficial effect on improvement of glioblastoma and inhibition of metastasis.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는 교모세포종 세포의 부착을 억제하여 아노이키스를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모세포종 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므로, 교모세포종의 치료와 전이억제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교모세포종 환자를 효과적으로 치료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ginsenoside CK or PP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the adherence of glioblastoma cells to induce anoikis, as well as exhibits cytotoxicity against glioblastoma cells, so that treatment of glioblastoma and inhibition of metastasis are simultaneously carried out And thus may be widely used to effectively treat patients with glioblastoma.

도 1은 교모세포종 세포의 배양에 영향을 미치는 진세노사이드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30㎍/㎖의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40㎍/㎖의 진세노사이드 PPD가 처리된 교모세포종 세포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의 처리시간에 따른 세포부착에 관여하는 4종의 단백질의 발현수준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웨스턴블럿 분석사진이다.
도 3a는 30㎍/㎖의 진세노사이드 C-K, PPD 또는 F2가 처리된 교모세포종 세포에 있어서, 세포주기에 따라 분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30㎍/㎖의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40㎍/㎖의 진세노사이드 PPD가 처리된 교모세포종 세포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의 처리시간에 따른 세포주기 조절에 관여하는 사이클린 D1의 발현수준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웨스턴블럿 분석사진이다.
도 4a는 진세노사이드 C-K, PPD 또는 F2의 처리농도에 따른 교모세포종 세포의 세포생존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는 진세노사이드 C-K, PPD 또는 F2의 처리시간에 따른 교모세포종 세포의 세포생존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photomicrograph showing the effect of ginsenoside affecting the culture of glioma cells.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sis of four proteins involved in cell adhesion according to the treatment time of ginsenoside in ginsenoside CK treated with 30 μg / ml of ginsenoside CK or 40 μg / ml of ginsenoside PPD Western blot analysis image showing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expression level change.
FIG. 3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ell cycle in gingenocide CK, PPD or F2-treated glioblastoma cells at 30 占 퐂 / ml.
FIG. 3B shows the expression of cyclin D1 involved in the cell cycle regulation of the ginsenoside-treated glioblastoma cells treated with 30 μg / ml of ginsenoside CK or 40 μg / ml of ginsenoside PPD This is a western blot analysis showing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change.
4A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cell survival rate of glioblastoma cells according to treatment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 CK, PPD or F2.
4B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cell viability of glioblastoma cells with the treatment time of ginsenoside CK, PPD or F2.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Example 1: 교모세포종 세포의 부착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1: ginsenoside C-K for adhesion of glioblastoma cells or PPD의PPD 효과 effect

인간의 교모세포종 세포주 U251를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 배지가 담겨진 12웰 플레이트에 웰당 150,000 세포수로 접종하고, 5% CO2 및 37℃ 조건에서 배양하여 배양된 U251 교모세포종 세포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U251 교모세포종 세포를 배양하면서, 30 또는 40㎍/㎖의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를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현미경하에서 상기 배양된 각 교모세포종 세포의 배양상태를, 상기 진세노사이드가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의 U251 교모세포종 세포의 배양상태와 비교하였다(도 1). 이때, 대조군은 DMSO를 처리하여 배양된 교모세포종 세포를 사용하였다(도 1).Human glioblastoma cell line U251 was inoculated into a 12-well plate containing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1% penicillin / streptomycin at a concentration of 150,000 cells / well, cultured at 5% CO 2 and 37 ° C, Glioblastoma cells were obtained. The U251 glioblastoma cells obtained above were cultured for 24 hours using a medium containing 30 or 40 ㎍ / ml of ginsenoside CK or PPD. Next, the cultured conditions of each of the cultured glioma cells under a microscope were compared with the culture conditions of the U251 glioblastoma cells of the control group in which the ginsenosides were not treated (Fig. 1). At this time, the control group used cultured glioblastoma cells treated with DMSO (Fig. 1).

도 1은 교모세포종 세포의 배양에 영향을 미치는 진세노사이드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대조군의 교모세포종 세포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세포간에 생성된 강한 결합으로 인하여 세포군집체를 형성하였으나,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를 처리한 경우에는 세포군집체가 해체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30㎍/㎖의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40㎍/㎖의 진세노사이드 PPD를 처리한 경우에, 세포군집체가 완전히 해체되어 각각 개별적인 세포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1 is a photomicrograph showing the effect of ginsenoside affecting the culture of glioma cells. As shown in FIG. 1, the glioblastoma cells of the control group formed cell aggregates due to strong binding between cells as is commonly known, but whe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ginsenoside C-K or PPD, cell aggregates were disassembled. Particularly, when the ginsenoside C-K of 30 占 퐂 / ml or the ginsenoside PPD of 40 占 퐂 / ml was treated, the cell aggregates were completely disassembled and individual cells were maintained.

따라서,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는 교모세포종 세포의 부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ginsenoside C-K or PPD had an effect of inhibiting the adhesion of the glioma cell line.

실시예Example 2: 세포부착 단백질의 발현수준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2: the level of expression of cell adhesion protein is determined using the ginsenoside C-K or PPD의PPD 효과 effect

상기 실시예 1의 결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가 교모세포종 세포의 부착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가 세포부착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일종인 N-카드헤린, 인테그린 β1 및 FAK(Focal Adhesion Kinase)의 발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From the results of Example 1, it was confirmed that ginsenoside CK or PPD inhibits the adhesion of glioblastoma cell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ginsenoside CK or PPD is a kind of protein involved in cell adhesion, β1 and FAK (Focal Adhesion Kinase) expression level of the cells.

즉,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배양된 인간의 교모세포종 세포주 U251에 30㎍/㎖의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40㎍/㎖의 진세노사이드 PPD를 처리하고, 6, 12 및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각각의 세포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세포에 10% 프로테아제 억제제 및 2% 탈인산화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M-PER 포유동물 단백질 추출시약을 처리하여 각각의 세포파쇄물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각 세포파쇄물을 대상으로 웨스턴블럿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1차 항체로서 항-N-카드헤린 항체, 항-인테그린 β1 항체, 항-인산화된 FAK 항체 또는 항-FAK 항체를 사용하여, 세포부착에 관여하는 4종의 단백질의 발현수준에 미치는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의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2). 이때, 내부대조군으로는 GAPDH를 사용하였다.That is,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ample 1, cultured human glioblastoma cell line U251 was treated with 30 μg / ml of ginsenoside CK or 40 μg / ml of ginsenoside PPD, and cultured for 6, 12 and 24 hours And each cell was obtained. The obtained cells were treated with an M-PER mammalian protein extraction reagent containing a 10% protease inhibitor and a 2% dephosphorylase inhibitor to obtain respective cell lysates, and each cell lysate thus obtained was subjected to western blot analysis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four proteins involved in cell adhesion were evaluated by using anti-N-carderine antibody, anti-integrin? 1 antibody, anti-phosphorylated FAK antibody or anti-FAK antibody as primary antibodies The effect of senoside CK or PPD was confirmed (Fig. 2). At this time, GAPDH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group.

도 2는 30㎍/㎖의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40㎍/㎖의 진세노사이드 PPD가 처리된 교모세포종 세포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의 처리시간에 따른 세포부착에 관여하는 4종의 단백질의 발현수준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웨스턴블럿 분석사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발현되는 세포부착에 관여하는 4종의 단백질은 모두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의 처리에 의하여 발현수준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sis of four proteins involved in cell adhesion according to the treatment time of ginsenoside in ginsenoside CK treated with 30 μg / ml of ginsenoside CK or 40 μg / ml of ginsenoside PPD Western blot analysis image showing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expression level change. As shown in FIG. 2,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all four proteins involved in cell adhesion expressed in glioblastoma cells were reduced by treatment with ginsenoside C-K or PPD.

실시예 3: 세포주기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의 효과Example 3: Effect of ginsenoside C-K or PPD on cell cycle

통상적으로, 세포의 배양시 세포군집체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군집체의 형성이 억제되면 세포주기가 정지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결과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가 교모세포종 세포의 세포주기를 정지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Generally, when cell aggregates are formed upon cell culture, it is known that when cell aggregation is inhibited, the cell cycle is termina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in Example 1, ginsenoside CK or PPD is formed into glioblastoma cells To stop the cell cycle of the cells.

즉,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배양된 인간의 교모세포종 세포주 U251에 30㎍/㎖의 진세노사이드 C-K, PPD 또는 F2를 처리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여 각각의 배양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배양물에 트립신을 처리하여 각 세포를 분리하고, 분리된 세포를 PBS로 세척한 다음, 각 세포를 회수하였다. 이어, 상기 회수된 세포에 70% 에탄올을 4℃에서 30분 동안 처리하여 상기 회수된 세포를 고정시켰다. 상기 고정된 세포를 12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세로를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세포를 PBS 로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된 각 세포에 100㎍/㎖ RNAse A 용액 50 ㎕를 가한 다음, 50 ㎍/㎖ PI 용액 200 ㎕를 추가하여 상기 각 세포를 염색하였다. 상기 염색된 각 세포를 400 events/초의 속도로 흘려주면서 유세포 분석을 수행하여, 세포주기별로 분류하고 이를 분석하였다(도 3a). 이때, 대조군으로는 진세노사이드를 처리하지 않고 배양한 교모세포종 세포를 사용하였다.That is,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ample 1, cultured human glioblastoma cell line U251 was treated with 30 μg / ml of ginsenoside C-K, PPD or F2, and cultured for 18 hours to obtain respective cultures. The obtained culture was treated with trypsin to separate each cell, and the separated cells were washed with PBS, and each cell was recovered. Then, the recovered cells were treated with 70% ethanol at 4 DEG C for 30 minutes to fix the recovered cells. The fixed cells were centrifuged at 1200 RPM for 5 minutes to obtain the precipitated length, and the obtained cells were washed with PBS. 50 μl of 100 μg / ml RNAse A solution was added to each of the washed cells, and 200 μl of a 50 μg / ml PI solution was added to each of the cells to stain the cells. The stained cells were flowed at a flow rate of 400 events / sec and analyzed by flow cytometry. At this time, as a control group, glioblastoma cells cultured without treatment with ginsenoside were used.

도 3a는 30㎍/㎖의 진세노사이드 C-K, PPD 또는 F2가 처리된 교모세포종 세포에 있어서, 세포주기에 따라 분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에서 보듯이, 진세노사이드 F2를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를 처리한 경우에는, G0/G1 상태에 정지된 세포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FIG. 3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ell cycle in gingenoside C-K, PPD or F2-treated glioblastoma cells at 30 占 퐂 / ml. As shown in FIG. 3A, when ginsenoside F2 was tre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However, when ginsenoside CK or PPD was treated, the number of cells suspended in G0 / G1 state was significantly Respectively.

따라서,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는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G0/G1 상태에서 세포주기의 정지를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Thus, it was found that ginsenoside CK or PPD induced cell cycle arrest in G0 / G1 state in glioblastoma cells.

한편, 사이클린 D1은 세포주기에서 G1 상태를 S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가 사이클린 D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On the other hand, it is known that cyclin D1 promotes the conversion of the G1 state to the S state in the cell cycle, so that the effect of the ginsenoside C-K or PPD on the expression of cyclin D1 was examined.

즉,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배양된 인간의 교모세포종 세포주 U251에 30㎍/㎖의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40㎍/㎖의 진세노사이드 PPD를 처리하고, 6, 12 및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각각의 세포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세포에 10% 프로테아제 억제제 및 2% 탈인산화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M-PER 포유동물 단백질 추출시약을 처리하여 각각의 세포파쇄물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각 세포파쇄물을 대상으로 웨스턴블럿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1차 항체로서 항-사이클린 D1 항체를 사용하여, 세포주기의 조절에 관여하는 사이클린 D1 단백질의 발현수준에 미치는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의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3b). 이때, 내부대조군으로는 GAPDH를 사용하였다.That is,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ample 1, cultured human glioblastoma cell line U251 was treated with 30 μg / ml of ginsenoside CK or 40 μg / ml of ginsenoside PPD, and cultured for 6, 12 and 24 hours And each cell was obtained. The obtained cells were treated with an M-PER mammalian protein extraction reagent containing a 10% protease inhibitor and a 2% dephosphorylase inhibitor to obtain respective cell lysates, and each cell lysate thus obtained was subjected to western blot analysis Respectively. At this time, anti-cyclin D1 antibody was used as a primary antibody, and the effect of ginsenoside C-K or PPD on the expression level of cyclin D1 protein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he cell cycle was confirmed (FIG. 3B). At this time, GAPDH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group.

도 3b는 30㎍/㎖의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40㎍/㎖의 진세노사이드 PPD가 처리된 교모세포종 세포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의 처리시간에 따른 세포주기 조절에 관여하는 사이클린 D1의 발현수준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웨스턴블럿 분석사진이다. 도 3b에서 보듯이,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발현되는 세포주기 조절에 관여하는 사이클린 D1은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의 처리에 의하여 발현수준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FIG. 3B shows the expression of cyclin D1 involved in the cell cycle regulation of the ginsenoside-treated glioblastoma cells treated with 30 μg / ml of ginsenoside CK or 40 μg / ml of ginsenoside PPD This is a western blot analysis showing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change. As shown in FIG. 3B,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cyclin D1 involved in cell cycle regulation expressed in glioblastoma cells was decreased by treatment with ginsenoside C-K or PPD.

실시예 4: 교모세포종 세포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의 세포독성Example 4 Cytotoxicity of Ginsenoside C-K or PPD on Glioblastoma Cells

본 발명에서 사용된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가 교모세포종 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It was confirmed whether the ginsenoside C-K or PP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cytotoxicity to glioblastoma cells.

우선, 배양된 인간의 교모세포종 세포주 U251에 다양한 농도(0, 10, 20, 30, 40 또는 50 ㎍/㎖)의 진세노사이드 C-K, PPD 또는 F2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각각의 배양된 세포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각 세포에 Ez-cytox 용액을 가하고 2시간 동안 반응시킨다음,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흡광도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산출하였다(도 4a). 이때, 대조군은 DMSO를 처리하여 배양된 교모세포종 세포를 사용하였다.First, cultured human glioblastoma cell line U251 was treated with ginsenoside CK, PPD or F2 at various concentrations (0, 10, 20, 30, 40 or 50 占 퐂 / ml), cultured for 24 hours, Lt; / RTI > cells. Ez-cytox solution was added to each of the cells obtained above, reacted for 2 hours,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nm, and cell viability was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absorbance (FIG. 4A). At this time, cultured glioblastoma cells treated with DMSO were used as a control group.

도 4a는 진세노사이드 C-K, PPD 또는 F2의 처리농도에 따른 교모세포종 세포의 세포생존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에서 보듯이, 진세노사이드 F2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세포생존율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는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이 증가하여, 세포생존율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진세노사이트 C-K의 IC50 값은 30㎍/㎖이고, 진세노사이트 PPD의 IC50 값은 35㎍/㎖임을 확인하였다.4A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cell survival rate of glioblastoma cells according to treatment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 C-K, PPD or F2. As shown in FIG. 4A, ginsenoside F2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ell viability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ginsenoside C-K or PPD increased cytotoxic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the cell survival rate was decreas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IC50 value of ginsenoside C-K was 30 占 퐂 / ml, and the IC50 value of ginsenoside PPD was 35 占 퐂 / ml.

다음으로, 배양된 인간의 교모세포종 세포주 U251에 40 ㎍/㎖의 진세노사이드 C-K, PPD 또는 F2를 처리하고, 3, 6, 9, 12, 15, 18, 21 또는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각각의 배양된 세포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각 세포에 Ez-cytox 용액을 가하고 2시간 동안 반응시킨다음,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흡광도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산출하였다(도 4b). 이때, 대조군은 DMSO를 처리하여 배양된 교모세포종 세포를 사용하였다.Next, the cultured human glioblastoma cell line U251 was treated with 40 占 퐂 / ml of ginsenoside CK, PPD or F2, and cultured for 3, 6, 9, 12, 15, 18, 21 or 24 hours, Cultured cells were obtained. Ez-cytox solution was added to each of the cells obtained above, reacted for 2 hours,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nm, and cell viability was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absorbance (FIG. 4B). At this time, cultured glioblastoma cells treated with DMSO were used as a control group.

도 4b는 진세노사이드 C-K, PPD 또는 F2의 처리시간에 따른 교모세포종 세포의 세포생존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에서 보듯이, 진세노사이드 F2가 처리된 세포는 24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50% 이하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 진세노사이드 C-K가 처리된 세포는 3시간이 경과된 후에 세포생존율이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진세노사이드 PPD가 처리된 세포는 비교적 점진적으로 세포생존율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4B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cell viability of glioblastoma cells according to the treatment time of ginsenoside C-K, PPD or F2. As shown in FIG. 4B, cells treated with ginsenoside F2 did not show cell survival rate of 50% or less even after 24 hours, whereas cells treated with ginsenoside CK showed cell survival after 3 hours And that the cells treated with ginsenoside PPD showed a relatively gradual decrease in cell viability.

따라서, 진세노사이드 C-K 또는 PPD는 교모세포종 세포에 대하여 농도의존적 또는 시간의존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Thus, it was found that ginsenoside C-K or PPD exhibited concentration-dependent or time-dependent cytotoxicity on glioblastoma cells.

Claims (3)

PPD(protopanaxadiol), 컴파운드-K(compound-K, C-K)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in vitro에서 교모세포종의 세포부착 억제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cell adhesion of glioblastoma in vitro, comprising PPD (protopanaxadiol), compound-K (compound-K, CK)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PD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인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PD is a compound having the structure of Formula 1:
[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3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파운드-K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인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4
.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und-K is a compound having the structure of Formula 2:
(2)
Figure pat00004
.
KR1020170114728A 2017-09-07 2017-09-07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inhibiting metastasis of glioblastoma comprising protopanaxadiols compound KR1017879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728A KR101787954B1 (en) 2017-09-07 2017-09-07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inhibiting metastasis of glioblastoma comprising protopanaxadiols comp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728A KR101787954B1 (en) 2017-09-07 2017-09-07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inhibiting metastasis of glioblastoma comprising protopanaxadiols compoun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103A Division KR20170057474A (en) 2015-11-16 2015-11-16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inhibiting metastasis of glioblastoma comprising protopanaxadiols compou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627A true KR20170106627A (en) 2017-09-21
KR101787954B1 KR101787954B1 (en) 2017-10-20

Family

ID=6003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728A KR101787954B1 (en) 2017-09-07 2017-09-07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inhibiting metastasis of glioblastoma comprising protopanaxadiols comp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9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374B1 (en) 2018-09-17 2020-07-1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glioblastoma with Saccharina japonica extr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954B1 (en)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9353A1 (en) Cyclic dipeptide-containing composition
KR101683635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lactate metallic salts
KR20170064486A (en) Lipid nanoparticle complex containing curcumin comprising ginsenosides
KR102054597B1 (en)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Exercise Performance Using an Extract of Ishige okamurae
KR101722547B1 (en) Anti-cancer adjuvant comprising panaxadiols compound
JP2019031527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gleevec-resistant leukemia containing ginsenoside f1 or ginsenoside rg3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787954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inhibiting metastasis of glioblastoma comprising protopanaxadiols compound
US20220118039A1 (en) Composit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KR20160144608A (en) Anti obesity composition consisting of lactobionic acid as an efficient component
KR102102267B1 (en) Pharmaceutical and fool composition comprising lactic acid bacteria complex and N-acetylglucosamin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moisturizing, osteoporosis
JP5144000B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JP2009114111A (en) Calcium absorption promoter
WO2020262703A1 (en) Hepatic fibrosis-inhibiting agent and brown fat cell-activating agent containing taxifolin
KR101909885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Meningioma Using a Salidroside and Betulin
KR20170057474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inhibiting metastasis of glioblastoma comprising protopanaxadiols compound
KR101392345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ticancer comprising extract of Lysimachia foenum-graecum as effective component
KR10151333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ung cancer comprising Bifidobacterim spp. probiotics or extract thereof
KR101839186B1 (en) Use of Aplysia kurodai extract having retinal cell regeneration effect
WO2023249075A1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derived hepatocarcinoma
KR20160084003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related disease comprising red-ginseng extract
KR10219729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ung cancer comprising extract of Schoenoplectus triqueter
KR101556444B1 (en) Composition for immunosuppressing comprising alcohol extract of chinese pepper or fraction thereof
JP2021500382A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KR102052189B1 (en) Composition for Lowering Blood Pressure Using Protamex Hydrolysates of Hippocampus abdominalis
KR20200123688A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uscular disorder or improvement of muscular functions comprising Artemisia argyi ex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