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864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864A
KR20170098864A KR1020177019136A KR20177019136A KR20170098864A KR 20170098864 A KR20170098864 A KR 20170098864A KR 1020177019136 A KR1020177019136 A KR 1020177019136A KR 20177019136 A KR20177019136 A KR 20177019136A KR 20170098864 A KR20170098864 A KR 20170098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
washing
washing tub
wat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다나카
타쿠오 다케나카
Original Assignee
하이얼 아시아 가부시키가이샤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얼 아시아 가부시키가이샤,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하이얼 아시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8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145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물을 끌어 올려 세탁조 내로 토출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부품의 개수를 감소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1)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조(3); 외조(3) 내에 수용되고, 세탁조(5)와 외조(3) 사이에서 물을 왕래시키기 위한 관통홀(23)을 구비하며, 세탁물을 수용하며 회전할 수 있는 세탁조(5); 외조(3)에 축적된 물을 끌어 올리는 수로(4); 수로(4)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을 상방(Z1)에서 세탁조(5) 내로 토출시키는 토출구(11); 및 날개(40)를 포함한다. 날개(40)는 세탁조(5)의 바닥벽(21)에 일체로 설치되며, 세탁조(5)와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외조(3)에 축적된 물을 수로(4)로 유입시킨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1의 세탁기에서는, 세탁 겸 탈수조의 바닥에 세탁물을 교반하기 위한 회전 날개가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날개의 하방에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펌핑 날개를 설치하였다.
구동모터의 구동축은 회전 날개에 직접 연결되고, 펌핑 날개는 유성기어기구를 통해 회전 날개에 연결된다. 구동모터의 토크(torque)는 회전 날개에 전달된 후, 유성기어기구를 거쳐 펌핑 날개에 전달된다.
세탁 겸 탈수조의 내측벽에는 양수로가 설치된다. 펌핑 날개가 회전하면, 세탁 겸 탈수조에 축적된 세척액은 펌핑 날개에 의해 양수로에 유입되며 양수로 내에서 상승하여, 양수로의 토출구에서 세탁 겸 탈수조 내로 다시 유입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10-94248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세탁기에서는, 세탁 겸 탈수조에 축적된 세탁액을 양수로를 거쳐 다시 세탁 겸 탈수조 내로 유입하기 위해 별도로 펌핑 날개와, 회전 날개에서 펌핑 날개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유성기어기구를 설치해야 하므로, 부품의 개수가 증가할 유려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 완성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물을 퍼올린 후 물을 세탁조 내로 배출시키는 구조에서 부품의 개수를 감소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수용되고 상기 세탁조와 상기 외조 사이에서 물을 왕래시키기 위한 관통홀을 구비하며, 세탁물을 수용하며 회전할 수 있는 세탁조; 상기 외조에 축적된 물을 끌어 올리는 수로; 상기 수로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을 상방에서 상기 세탁조 내로 토출시키는 토출구; 및 상기 세탁조의 바닥벽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외조에 축적된 물을 상기 수로에 유입시키는 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로는 상기 외조의 외측면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로에서 상기 외조에 축적된 물을 접수하는 접수구는 상기 세탁조의 바닥벽 부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서, 상기 접수구는 상기 날개와 높이가 동일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접수구는 상기 세탁조의 회전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과 상기 회전방향에 대한 접선 방향 사이를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조에 축적된 물이 상기 접수구의 상방에 위치한, 상기 외조와 상기 세탁조 사이의 간극으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래버린스 구조(labyrinth structure)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조에는 상기 외조 내의 물을 토출하기 위한 배수구와 상기 외조 내의 소정 수위 이상의 물을 상기 외조 밖으로 흘러 나가게 하기 위한 오버플로구(overflow opening)가 형성되며, 상기 수로는 상기 배수구 및 상기 오버플로구와 각각 떨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는 회전 가능하게 외조 내에 수용된다. 수로는 외조에 축적된 물을 끌어 올린다. 상기 끌어 올려진 물은 토출구를 통해 상방에서 세탁조 내로 토출된다. 세탁조 내의 물은 세탁조의 관통홀을 통과하므로, 세탁조와 외조 사이에서 왕래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은 순환되면서 세탁에 사용되므로,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이 외에, 세탁물을 세탁할 때, 물이 토출되어 세탁조 내에 떨어지는 힘에 의해, 세탁조 내의 세제는 거품이 일어나게 되므로, 거품이 일어난 세제에 의해 효과적으로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이 외에, 상방에서 세탁조 내로 토출되는 물에 의해, 물이 떨어지면서 생기는 기계적 힘은 세탁물에 작용하게 되므로, 세정력(detergency)을 향상시키고 고효율적으로 세탁물을 헹굴수 있으므로, 헹굼 시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
세탁조의 바닥 벽에는 날개가 일체로 설치되고,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하여 외조에 축적된 물을 수로에 유입시킨다. 따라서, 세탁조의 회전에 따라 외조 내의 물에 발생하는 원심력과 날개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외조 내의 물은 대량으로 수로에 유입된다. 따라서, 수로가 끌어 올리는 물의 량을 증가할 수 있다.
날개는 세탁조에 일체로 설치되므로, 날개를 세탁조에 일체로 형성시키면 기타 부품을 새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날개와 세탁조는 일체로 회전하므로, 날개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물을 끌어 올린 후 물을 세탁조 내로 토출하는 구조에서, 부품 개수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수로를 통해, 외조 내의 물을 대량으로 끌어 올릴 수 있다. 이 외에, 수로를 외조의 외측면에 설치하는 경우는 수로를 외조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수로를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수로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의 압력과 유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로의 접수구는 세탁조의 바닥벽 부근에 설치되므로, 외조에 축적된 물을 직접 접수하는 위치에 놓인다. 따라서, 접수구에서 외조 내의 물을 대량으로 접수함으로써, 수로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의 량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로의 접수구는 날개와 같은 높이에 설치되므로, 물을 수로에 유입하는 날개 부근의 위치에 놓인다. 따라서, 접수구에서 날개에 의해 유입되는 대량의 물을 접수함으로써, 수로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의 량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로의 접수구는 세탁조의 회전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과 상기 회전방향에 대한 접선 방향 사이를 향해 배치되므로, 회전하는 날개에 의해 유입되는 물이 흘러가는 목적지에 위치한다. 따라서, 접수구에서 날개에 의해 유입되는 대량의 물을 접수함으로써, 수로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의 량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래버린스(labyrinth) 구조를 통해 외조에 축적된 물이 수로의 접수구 상방의 외조와 세탁조의 간극으로 흘러 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접수구에서 날개에 의해 유입되는 물을 고효율적으로 접수할 수 있어 물이 외조와 세탁조의 간극으로 흘러 나가지 못하게 하므로, 수로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의 량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로는 배수구 및 오버플로구와 각각 분리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외조에 축적된 물은 배수구와 오버플로구 부근의 단차를 흐르는 물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안정하게 끌어 올려져 세탁조 내로 토출된다.
도 1은 상방에서 관찰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세탁기(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 부분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변형예를 도 4에 응용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제 2 변형예를 도 4에 응용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상방에서 관찰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세탁기(1)의 방향을 언급할 경우, 도 1의 세탁기(1)의 자세를 기준으로 한다. 도 1에서의 상하 방향은 세탁기(1)의 상하 방향(Z)(세로 방향)과 일치하다. 도 1에서의 좌우 방향은 세탁기(1)의 좌우 방향(X)과 일치하다. 상하 방향(Z)에서, 상방은 상방(Z1)이라고 하고, 하방은 하방(Z2)이라고 한다. 좌우 방향(X)에서, 왼쪽 방향은 왼쪽 (X1)이라고 하고, 오른쪽 방향은 오른쪽 (X2)이라고 한다. 상하 방향(Z)과 좌우 방향(X) 두 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은 세탁기(1)의 전후 방향(Y)이다. 전후 방향(Y)에서, 앞쪽 방향은 전방(Y1)이라고 하고, 뒤쪽 방향은 후방(Y2)이라고 한다. 좌우 방향(X) 및 전후 방향(Y)은 수평 방향(H)(가로 방향)을 포함한다.
세탁기(1)는 하우징(2), 외조(3), 수로(4)와 세탁조(5)를 포함한다.
하우징(2)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체이고, 외조(3), 수로(4) 및 세탁조(5)는 하우징(2) 내에 수용된다.
외조(3)는 스프링과 댐핑 기구(damping mechanism)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걸림 로드(미도시)를 통해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된다. 외조(3)는 상하 방향(Z)에 따라 연장하는 축선(axis)을 갖는 원통상으로 형성되며 수지로 제조 된 것이다. 원통상의 외조(3)의 원주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을 원주 방향(S)이라고 하고, 외조(3)의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을 반경 방향(R)이라고 한다. 외조(3)는 상하 방향(Z)에 따라 연장하는 원통상의 측벽(6), 수평 방향(H)에 따라 평탄하게 연장하고 측벽(6)의 하단을 막는 원판상의 바닥벽(7)과 측벽(6)의 상단부로부터 원주 방향(S) 전체 영역을 걸쳐 반경 방향(R)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환형 벽(8)을 구비한다. 측벽(6)의 외주면(6A)은 외조(3)의 외측면이다. 물은 바닥벽(7) 측에서부터 외조(3) 내에 축적될 수 있다.
외조(3)의 상단에는 환형 벽(8)의 내주연에 의해 구획된 개구(9)가 형성된다. 개구(9)는 외조(3)의 내부를 상방(Z1)으로 노출시킨다. 환형 벽(8)은 원주 방향(S)에 따라 연장하는 내부공간(10)과, 환형 벽(8)의 내측 주연부를 원주 방향(S)에 따라 절개하여 내부 공간(10)을 반경 방향(R)의 내측으로 노출시키는 토출구(11)를 구비한다. 환형 벽(8)은 복수 개(여기에서는 4개)의 돌출부(12)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돌출부(12)는 원주 방향(S)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상방(Z1)에서 관찰하면 환형 벽(8)의 외측 주변부에서 반경 방향(R)의 외측으로 대략 삼각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각 돌출부(12)는 내부 공간(10)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중공체이다. 각 돌출부(12)는 내려다 볼 때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하우징(2)의 네 모서리에 일일이 배치된다.
수로(4)는 수지제의 가늘고 긴 파이프(pipe)이며, 상기 돌출부(12)와 같은 수량(여기에서 4개)으로 측벽(6)의 외주면(6A)에 복수 개로 설치된다. 수로(4)는 외조(3)의 측벽(6)의 하단부에서 반경 방향(R)의 외측을 향해 수평 방향(H)에 따라 연장하는 하단부(4A), 하단부(4A)에서 굴곡되며 외주면(6A)에 따라 상방(Z1)으로 연장하는 중간부(4B) 및 중간부(4B)에서 상방(Z1)으로 연장하며 하방(Z2)에서 돌출부(12)에 연결되는 상단부(4C)를 구비한다. 중간부(4B)는 상하 방향(Z)에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지 않아도 되고, 필요에 따라 한 쪽을 굴곡시키거나 한 쪽을 굽히여 상방(Z1)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각 수로(4)는 돌출부(12)와 마친가지로 하우징(2)의 네 모서리에 일일이 배치된다. 각 수로(4)는 하단부(4A)와 외조(3)의 측벽(6)의 연결 부분에 접수구(13)를 구비하고, 수로(4)의 내부 공간은 접수구(13)에 의해 외조(3)의 내부와 연통된다. 각 수로(4)의 내부공간은 상단부(4C)와 돌출부(12)의 연결 부분을 통해 외조(3)의 환형 벽(8)의 내부공간(10)과 연통된다.
세탁조(5)는 상하 방향(Z)에 따라 연장하는 축선을 갖는 원통상으로 형성되며 외조(3)보다 한 둘레 작다. 세탁조(5)는 세탁물을 수용한다. 세탁조(5)는 상하 방향(Z)에 따라 연장하는 원통상으로 형성된 금속제 측벽(20); 수평 방향(H)에 따라 평탄하게 연장하여 측벽(20)의 하단을 막으며 원판상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바닥벽(21); 및 세탁조(5)의 상단에 장착된 수지제의 균형환(22)을 구비한다. 측벽(20) 및 바닥벽(21)에는 각각 다수의 관통홀(23)이 형성된다.
균형환(22)은 액체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환형 중공체이며, 측벽(20)의 상단부와 동축으로 장착된다. 하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세탁조(5)가 회전시, 세탁조(5)의 회전 평형은 균형환(22) 내의 액체의 이동에 의해 유지된다. 세탁조(5)의 상단에는 균형환(22)의 내주연에 의해 구획된 개구(24)가 형성된다. 개구(24)는 세탁조(5)의 내부를 상방(Z1)으로 노출시킨다.
세탁조(5)는 외조(3) 내에 수용되며, 외조(3)와 대략 동축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세탁조(5)의 원주 방향은 상기 원주 방향(S)이고, 세탁조(5)의 반경 방향은 상기 반경 방향(R)이다. 세탁조(5)의 개구(24)는 하방(Z2)에서 외조(3)의 개구까지 연통된다. 연통 상태의 개구(9) 및 개구(24)는 세탁물의 출입구(25)를 구성한다. 세탁기(1)의 사용자는 출입구(25)를 통해 상방(Z1)에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세탁조(5)에서 세탁물을 꺼낸다. 외조(3) 내에 수용된 세탁조(5)에서, 바닥벽(21)은 간극을 두고 상방(Z1)에서 외조(3)의 바닥벽(7)과 대향으로 배치된다.
외조(3)에 축적된 물은 각각 세탁조(5)의 측벽(20)과 바닥벽(21)에 위치한 관통홀(23)을 통과하므로, 외조(3)와 세탁조(5) 사이에서 왕래한다. 따라서, 외조(3) 내의 수위는 세탁조(5) 내의 수위와 대략 일치하다.
도 2는 세탁기(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점선의 원으로 둘어싼 주요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아래의 설명은 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세탁기(1)는 모터(30)를 포함한다. 모터(30)는 전력에 의해 구동하여 토크를 발생한다. 모터(30)는 하우징(2) 내에서 외조(3)의 바닥벽(7)의 하방(Z2)에 배치된다. 모터(30)는 토크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축(31)을 구비한다. 출력축(31)은 모터(30)에서 상방(Z1)으로 연장된다. 출력축(31)의 상방(Z1)에는 상방(Z1)으로 연장되는 전달축 (32)이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출력축(31)과 전달축(32)은 감속기구 등으로 구성된 전달기구(3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전달축(32)은 외조(3)의 바닥벽(7)의 원심부분을 관통하며 상방(Z1)으로 연장한다. 전달축(32)의 상단부는 세탁조(5)의 바닥벽(21)의 원심부분에 연결된다. 모터(30)가 발생한 토크는 출력축(31) 및 전동기구(33)를 거쳐 전달축(32)에 전달된다. 따라서, 세탁조(5)는 전달축(32)을 회전중심으로 하며 전달축(32)과 함께 회전한다. 세탁조(5)의 회전 방향과 원주 방향(S)은 일치하다.
세탁조(5)는 세제가 외조(3)에 축적된 물에 용해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세탁조(5) 내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 작동이 실행된다. 세탁 작동 후, 세탁조(5)는 외조(3)가 급수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세탁조(5) 내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헹굼 작동이 실행된다. 세탁조(5)는 외조(3)가 배수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세탁조(5) 내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탈수 작동이 실행된다.
수로(4)와 관련되어, 세탁조(5)의 바닥벽(21)의 하면(21A)에는 하방(Z2)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날개(4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각 날개(40)는 원주 방향(S)에서 얇으며 반경 방향(R)에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벽(21)의 원심을 기준으로 방사상(radial)으로 배치된다(도 4를 참조). 이러한 날개(40)는 수지제이며, 바닥벽(21)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날개(40)는 외조(3)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 바닥벽(21)과 외조(3)의 바닥벽(7)의 상하 방향(Z)에서의 간극(41)에 배치된다.
각 수로(4)의 하단부(4A)의 접수구(13)는 세탁조(5)의 바닥벽(21) 부근에 설치된다. 상세하게 말하면, 접수구(13)는 날개(40)와 높이가 동일하게 설치된다.
세탁조(5)가 모터(30)의 토크를 접수하여 회전하면, 세탁조(5)의 바닥벽(21)의 날개(40)는 세탁조(5)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날개(40)는 외조(3)에 축적된 물, 상세히 말해서, 세탁조(5)의 바닥벽(21)과 외조(3)의 바닥벽(7) 사이의 간극(41)에 있는 물을 각 수로(4)의 접수구(13)에 유입시킨다. 따라서, 외조(3)에 축적된 물은 회전하는 날개(40)에 의해 연이어 수로(4)의 접수구(13)로 보내지며, 접수구(13)를 통해 수로(4) 내에 접수된다.
수로(4) 내에 접수된 물은 후속되는 물에 의해 밀리게 되므로, 수로(4) 내에서 상승하게 된다. 수로(4)의 상단부(4C)까지 상승된 물은 외조(3)의 환형 벽(8)의 돌출부(12)(도 1을 참조)에서 환형 벽(8)의 내부공간(10) 내로 유입되는데,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 벽(8)의 내측 주연부의 토출구(11)에서 세탁조(5) 내로 토출되며, 세탁조(5) 내에서 사선 아래방향으로 흘러 떨어진다.
이렇게, 수로(4)는 외조(3)에 축적된 물을 끌어 올리고, 토출구(11)는 수로(4)를 통해 끌어 올려진 물을 상방(Z1)에서 세탁조(5) 내로 토출시킨다. 세탁조(5) 내의 물은 세탁조(5)의 관통홀(23)을 통과하므로, 세탁조(5)와 외조(3) 사이에서 왕래한다.
따라서, 물은 순환되면서 세탁에 사용되므로,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세탁조(5) 내의 세탁물은 회전하는 세탁조(5)와 상방(Z1)에서 토출되는 물에 의해 교반된다. 이 외에, 세탁물을 세탁할 때, 물이 토출되어 세탁조(5) 내에 떨어지는 힘에 의해, 세탁조(5) 내의 세제는 거품이 일어나게 되므로, 거품이 일어난 세제에 의해 효과적으로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이 외에, 상방(Z1)에서 세탁조(5) 내로 토출되는 물에 의해, 물이 떨어지면서 생기는 기계적 힘은 세탁물에 작용하게 되므로, 세정력을 향상시키고 고효율적으로 세탁물을 헹굴수 있으므로, 헹굼 시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조(5)의 바닥벽(21)에 일체로 설치된 날개(40)는 세탁조(5)와 일체로 회전하므로, 외조(3)에 축적된 물은 굵은 화살표가 나태낸 바와 같이 수로(4)의 접수구(13)로 보내진다. 따라서, 세탁조(5)의 회전에 따라 외조(3) 내의 물에 발생하는 원심력과 날개(40)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외조(3) 내의 물은 대량으로 수로(4)에 유입된다. 따라서, 수로(4)가 끌어 올리는 물의 량을 증가할 수 있다.
날개(40)는 세탁조(5)에 일체로 설치되므로, 날개(40)를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세탁조(5)에 일체로 형성시키면 기타 부품을 새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날개(40)와 세탁조(5)는 일체로 회전하므로, 날개(40)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물을 끌어 올린 후 물을 세탁조(5) 내로 토출하는 구조에서, 부품 개수를 감소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로(4)를 통해, 외조(3) 내의 물을 대량으로 끌어 올릴 수 있다. 각 수로(4)는 외조(3)의 측벽(6)의 외주면(6A), 즉 외조(3)의 외부에 설치되므로, 수로(4)가 외조(3) 내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수로(4)를 자유로이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수로(4)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의 압력과 유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로(4)를 굵게 하여 수로(4)의 내부 공간을 확대시키면, 수량을 증가할 수 있고, 수로(4)를 가늘게 하여 수로(4)의 내부 공간을 축소시키면, 수압을 높일 수 있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로(4)의 접수구(13)는 세탁조(5)의 바닥벽(21) 부근에 설치되므로, 외조(3)에 축적된 물을 직접 접수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접수구(13)에 의해 외조(3) 내의 물을 대량으로 접수함으로써, 수로(4)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의 량을 증가할 수 있다. 특히, 수로(4)의 접수구(13)는 날개(40)와 높이가 동일하게 설치되므로, 물을 수로(4)에 보내는 날개(40)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접수구(13)로 날개(40)에 의해 유입되는 대량의 물을 접수함으로써, 수로(4)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의 량을 증가할 수 있다.
세탁조(5)를 외조(3)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외조(3)의 측벽(6) 내주면(6B)과 세탁조(5)의 측벽(20) 외주면(20A) 사이에, 간극(42)이 있도록 확보하여야 한다. 간극(42)은 원주 방향(S)에 따라 연장되며 세탁조(5)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회전하는 날개(40)가 외조(3)에 축적된 물을 접수구(13)로 보낼 때, 상기 물은 접수구(13)의 상방(Z1)의 간극(42)으로 흘러 나가게 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1)에는 물이 간극(42)으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래버린스 구조(43)가 설치된다.
래버린스 구조(43)는 외조(3)의 측벽(6) 내주면(6B)의 하단부의 일부분, 즉 반경 방향(R)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평탄면(44)을 포함한다. 평탄면(44)은 접수구(13)의 상방(Z1)에 위치한다. 래버린스 구조(43)는 세탁조(5)의 측벽(20)의 외주면(20A)의 하단부에서 반경 방향(R)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로 플랜지(transverse flange)(45)와 측벽(20)의 하단의 원주 방향(S)의 전체구역에서 하방(Z2)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세로 플랜지(longitudinal flange)(46)를 더 포함한다.
가로 플랜지(45)는 상하 방향(Z)에서 얇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가로 플랜지(45)는 원주 방향(S)에 따라 연장되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로 플랜지(45)의 하면(45A)은 간극(47)을 두고 상방(Z1)에서 평탄면(44)과 대향으로 배치되며, 하면(45A)과 평탄면(44)은 수평 방향(H)에 따라 평행되게 연장된다. 간극(47)은 상하 방향(Z)에서 얇은 공간이다.
세로 플랜지(46)의 하단은 각 수로(4)의 접수구(13)의 상방(Z1)에 위치한다. 각 날개(40)는 세로 플랜지(46)의 하단의 하방(Z2)에 돌출되게 배치된다. 각 날개(40)의 반경 방향(R)의 외측 단부는 세로 플랜지(46)와 동일한 위치에 놓이며, 반경 방향(R)의 내측에서 수로(4)의 접수구(13)에 접근하도록 배치된다. 세로 플랜지(46)는 측벽(6)의 내주면(6B)에서 평탄면(44)의 하방(Z2)의 부분에 대해, 원주 방향(S)의 전체구역에 걸쳐 반경 방향(R)의 내측에서 간극(48)을 두고 대향으로 배치된다. 간극(48)은 반경 방향(R)에서 얇은 환형 공간이고, 하방(Z2)은 간극(47)의 반경 방향(R)의 내측 부분과 연통된다.
간극(47) 및 간극(48)은 외조(3)와 세탁조(5)의 간극에서 제일 좁은 부분이다. 또한, 외조(3)에 축적된 물은 각 수로(4)의 접수구(13)의 상방(Z1)의 간극(42)에 도달하기 전, 먼저 간극(48)에서 상승하고, 다음 간극(48)의 상단부에서 대략 직각의 각도로 흐르는 방향을 개변하여, 반경 방향(R)에 따라 간극(47)을 흘러 지나야 한다. 여기에서, 외조(3)에 축적된 물은 간극(47) 및 간극(48)을 넘어 간극(42)에 도달하기 어렵다.
따라서, 물이 외조(3)와 세탁조(5)의 간극(42)으로 흘어들지 않고 접수구(13)를 통해 고효울적으로 날개(40)에 의해 유입되는 물을 접수할 수 있으므로, 수로(4)를 통해 끌어 올려지는 물의 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세탁조(5)가 회전할 때, 세탁조(5)에서 간극(47) 및 간극(48)이 위치하는 하단부의 진동이 작으므로, 간극(47) 및 간극(48)이 좁아도, 회전 중의 세탁조(5)는 외조(3)에 접촉되지 않는다. 한편, 회전 중의 세탁조(5)에서 진동이 큰 상부가 외조(3)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간극(42)은 상방(Z1)을 향해 반경 방향(R)의 외측으로 갈수록 단계 적으로 커지게 형성된다(도 2를 참조).
도 4에서 왼쪽에 위치한 수로(4)를 참조하면, 각 수로(4)의 접수구(13)는 원주 방향(S)에 대한 법선 방향(P)과 원주 방향(S)에 대한 접선 방향(Q) 사이를 향하게 배치된다. 즉, 접수구(13)는 법선 방향(P)과 접선 방향(Q), 이 두 개 방향에 경사지는 경사 방향(K)을 향하게 배치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형태의 세탁조(5)는 접수구(13)가 향하는 방향과 반대인 방향(도 4에서 역시침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런 경우, 수로(4)의 접수구(13)는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하는 날개(40)에 의해 유입되는 물의 유동 목표에 위치한다. 따라서, 접수구(13)로 날개(40)에 의해 유입되는 대량의 물을 접수함으로써, 수로(4)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의 량을 증가할 수 있다.
도 5는 제 1 변형예를 도 4에 응용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조(3)의 바닥벽(7)에서, 원주 방향(S)의 하나의 위치에는 외조(3) 내의 물을 토출하기 위한 배수구(50)가 형성된다. 배수구(50)는 세탁기(1) 밖으로 물을 토출하는 배수로(51)(도 2를 참조)와 연결된다. 외조(3)의 측벽(6)에서, 바닥벽(7)에서 상방(Z1)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외조(3) 내의 소정 수위 이상의 물을 외조(3) 밖으로 흘러가게 하기 위한 오버플로구(52)가 형성된다. 오버플로구(52)는 오버플로구(52)에서 흘러나온 물을 배수로(51)로 가이드하는 오버플로 통로(53)와 연결된다.
각 수로(4)는 바람직하게 배수구(50) 및 오버플로구(52)와 각각 떨어지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배수구(50) 및 오버플로구(52)는 각각 원주 방향(S)에서 인접한 2개의 수로(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더 바람직하게는, 배수구(50) 및 오버플로구(52)는 각각 인접한 각 수로(4)와 원주 방향(S)에서 대략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런 구조를 통해, 외조(3)에 축적된 물은 배수구(50) 및 오버플로구(52) 부근의 단차(60)를 흘러가는 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하게 끌어 올려지게 되며 세탁조(5) 내로 토출될 수 있다.
도 6은 제 2변형예를 도 4에 응용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상기 실시형태 및 제 1변형예에서, 세탁조(5)의 바닥벽(21) 하면(21A)의 각 날개(40)는 원주 방향(S)에서 얇고 반경 방향(R)에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벽(21)의 원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도 4 및 도 5를 참조). 그러나,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런 날개(40)는 원주 방향(S)에서 얇고 하방(Z2)에서 관찰하면 반경 방향(R)과 교차되도록 절곡되게 연장하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 말하면, 각 날개(40)를 하방(Z2)에서 관찰하면 바닥벽(21)의 원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반경 방향(R)의 외측으로 향하면서 원주 방향(S)의 동일한 방향(도 6에서 시계 반대 방향)을 향해 굽힘되도록 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내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수로(4)의 수량은 4개이지만,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각 수로(4)의 형태도 상이할 수 있다.
날개(40)는 세탁조(5)의 바닥벽(21)과 일체로 형성되지만, 바닥벽(21)과 각각 단독으로 형성된 후, 나사 등 연결 부재를 통해 바닥벽(21)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세탁조(5)가 접수구(13)가 향하는 방향과 반대인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각 수로(4)의 접수구(13)는 원주 방향(S)에 대한 법선 방향(P)과 원주 방향(S)에 대한 접선 방향(Q) 사이를 향하게 배치된다 (도 4를 참조). 세탁조(5)가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정방향 및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접수구(13)는 법선 방향(P)으로 배치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세탁조(5)가 정방향 및 반대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접수구(13)는 날개(40)에 의해 유입되는 물을 동등한 량으로 접수할 수 있다.
세탁조(5) 내의 세탁물은 회전하는 세탁조(5)와, 수로(4)에 의해 상방(Z1)에서 토출되는 물에 의해 교반되는데, 세탁물을 교반하기 위해 세탁조(5) 내에 회전하는 교반기를 별도로 설치해도 된다.
상기 각 부품의 재질은 하나의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세탁조(5)의 바닥벽(21)은 전부가 수지제가 아닐 수 있으며, 전달축(32)이 연결되는 부분은 금속제일 수도 있다.
명세서에서는 세탁조(5)의 회전 중심이 상하 방향(Z)에 따라 연장되는 수직 세탁기(1)를 예를 들었지만, 세탁조(5)는 이의 회전중심이 상하 방향(Z)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1 세탁기
3 외조
4 수로
5 세탁조
6A 외주면
11 토출구
13 접수구
21 바닥벽
23 관통홀
40 날개
42 간극(gap)
43 래버린스 구조
50 배수구
52 오버플로구
P 법선 방향
Q 접선 방향
S 원주 방향
Z1 상방

Claims (7)

  1.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수용되고, 상기 세탁조와 상기 외조 사이에서 물이 오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홀을 구비하며, 세탁물을 수용하며 회전할 수 있는 세탁조;
    상기 외조에 축적된 물을 끌어 올리는 수로;
    상기 수로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을 상방에서 상기 세탁조 내로 토출시키는 토출구; 및
    상기 세탁조의 바닥벽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외조에 축적된 물을 상기 수로에 유입시키는 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는 상기 외조의 외측면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에서 상기 외조에 축적된 물을 접수하는 접수구는 상기 세탁조의 바닥벽 부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구는 상기 날개와 높이가 동일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구는 상기 세탁조의 회전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과 상기 회전방향에 대한 접선 방향 사이를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에 축적된 물이 상기 접수구의 상방에 위치한, 상기 외조와 상기 세탁조 사이의 간극으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래버린스 구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에는 상기 외조 내의 물을 토출하기 위한 배수구와 상기 외조 내의 소정 수위 이상의 물을 상기 외조 밖으로 흘러 나가게 하기 위한 오버플로구가 형성되며,
    상기 수로는 상기 배수구 및 상기 오버플로구와 각각 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77019136A 2014-12-09 2015-11-26 세탁기 KR201700988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9098A JP6591156B2 (ja) 2014-12-09 2014-12-09 洗濯機
JPJP-P-2014-249098 2014-12-09
PCT/CN2015/095668 WO2016091080A1 (zh) 2014-12-09 2015-11-26 洗衣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864A true KR20170098864A (ko) 2017-08-30

Family

ID=5610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136A KR20170098864A (ko) 2014-12-09 2015-11-26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16732A1 (ko)
EP (1) EP3231932A4 (ko)
JP (1) JP6591156B2 (ko)
KR (1) KR20170098864A (ko)
CN (1) CN107002340B (ko)
WO (1) WO2016091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755B1 (ko) * 2015-08-25 202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10382765B (zh) * 2017-02-24 2021-06-1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脱水机
CN107287823B (zh) * 2017-07-21 2021-10-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桶结构及洗衣机
CN110195318A (zh) 2018-02-27 2019-09-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桶及具有该洗涤桶的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2438B2 (ja) * 1989-10-19 1999-02-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KR100393275B1 (ko) * 2000-10-16 2003-07-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방향이 다른 두 가지 수류 형성을 위한 인슐레이터 구조
KR100509193B1 (ko) * 2003-06-30 2005-08-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나노 실버를 이용한 세탁기용 세탁조
JP4325346B2 (ja) * 2003-10-03 2009-09-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JP4579064B2 (ja) * 2005-06-17 2010-11-1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洗濯機
JP2009178484A (ja) * 2008-02-01 2009-08-13 Panasonic Corp 洗濯機
JP5177152B2 (ja) * 2010-01-06 2013-04-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JP5247778B2 (ja) * 2010-08-30 2013-07-24 ハイアール グループ コーポレーション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5387664B2 (ja) * 2011-12-01 2014-01-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JP6008649B2 (ja) * 2012-08-07 2016-10-19 日本クッカリー株式会社 食品製造システム
JP5948218B2 (ja) * 2012-10-29 2016-07-0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JP2016518890A (ja) * 2013-03-30 2016-06-30 海爾集団公司 スプレー装置付外槽カバーを備える洗濯機およびその内部循環式スプレー方法
CN203498659U (zh) * 2013-08-29 2014-03-26 上海小珍珠电器有限公司 波轮洗衣机导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1932A4 (en) 2018-07-18
CN107002340B (zh) 2019-08-09
CN107002340A (zh) 2017-08-01
EP3231932A1 (en) 2017-10-18
WO2016091080A1 (zh) 2016-06-16
US20180016732A1 (en) 2018-01-18
JP6591156B2 (ja) 2019-10-16
JP2016106942A (ja)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4703B1 (ja) 洗濯機
KR20170098864A (ko) 세탁기
EP2527509B1 (en)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2314747B1 (en) Pulsator device usable with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6521603B2 (ja) 洗濯機
JP2015029546A (ja) 洗濯機
KR20110020364A (ko) 세탁기, 세탁기의 이너터브 및 그 조립방법
CN110366619B (zh) 衣物处理装置
JP2013141555A (ja) 洗濯機
JP2014230554A (ja) 電気洗濯機
CN103781957A (zh) 洗衣机
JP2015066115A (ja) 洗濯機
JP2016067694A (ja) 洗濯機
JP2015062583A (ja) 洗濯機
JP5542013B2 (ja) 洗濯方法、その方法を実施する洗濯機及びこの洗濯機に用いる回転翼
JP6767765B2 (ja) 洗濯機
JP2010094248A (ja) 洗濯機
JP6799220B2 (ja) 洗浄機
KR20170089709A (ko)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한 세탁장치
JP2015062581A (ja) 洗濯機
KR102591537B1 (ko) 세탁물 처리장치
CN108474163B (zh) 清洗机
KR20180077638A (ko) 세탁물 처리장치
CN108431327B (zh) 清洗机
JPH09285679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