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101A -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101A
KR20170095101A KR1020160049973A KR20160049973A KR20170095101A KR 20170095101 A KR20170095101 A KR 20170095101A KR 1020160049973 A KR1020160049973 A KR 1020160049973A KR 20160049973 A KR20160049973 A KR 20160049973A KR 20170095101 A KR20170095101 A KR 20170095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gion
flow path
air pass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838B1 (ko
Inventor
이동근
이기성
양승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PCT/KR2017/00118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38718A1/ko
Priority to CN201780011211.7A priority patent/CN108700313A/zh
Priority to JP2018536242A priority patent/JP2019508656A/ja
Publication of KR20170095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도조절과 난방과 공기 청정 및 환기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양단이 실내와 연결된 제1공기유로(110); 양단이 실외와 연결된 제2공기유로(210);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제1영역(310)과,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320)과,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310)과 제2영역(320)을 교대로 통과하는 흡착재로 이루어진 로터부재(300); 상기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의 유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부(400,600); 상기 로터부재(300)의 회전과 상기 유로전환부(400,600)의 유로 방향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습도 조절 모드와 공기 청정 모드 및 환기 모드 운전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에 제습, 가습, 공기 정화, 환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의 습도를 증가시키는 가습기와 실내공기의 습도를 감소시키는 제습기가 있다. 또한,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기능은 환기장치로서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었다.
따라서 가습과 제습과 공기 정화 및 환기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실용화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1-0111601 "실내 제습 시스템과 실내 가습 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실외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4)가 2개,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3a,13b)가 2개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토출구의 개수가 많아 이에 연결되는 배관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개의 토출구(13a,13b)는 각각 별도의 개폐판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어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습도조절과 난방과 공기 청정 및 환기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양단이 실내와 연결된 제1공기유로(110); 양단이 실외와 연결된 제2공기유로(210);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제1영역(310)과,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320)과,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310)과 제2영역(320)을 교대로 통과하는 흡착재로 이루어진 로터부재(300); 상기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의 유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부(400,600); 상기 로터부재(300)의 회전과 상기 유로전환부(400,600)의 유로 방향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전환부(400)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410),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420), 상기 제1영역(310)과 연결되는 제1배출구(430), 상기 제2영역(320)과 연결되는 제2배출구(440), 상기 제1유입구(410)를 제1배출구(430) 또는 제2배출구(440)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2유입구(420)를 제1배출구(430) 또는 제2배출구(440)로 연결되도록 연결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방향전환게이트(4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는 상기 유로전환부(400)와 제1영역(310) 사이에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130,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는 실내를 난방하거나 실내를 가습하는 경우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1열공급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와 상기 유로전환부(400) 사이에는 상기 유로전환부(400)를 향해 유동하는 실외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220,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는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경우 상기 제2영역(32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2열공급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착재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500)가 구비되고, 상기 흡착재가 회전하여 상기 제1영역(310)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공기유로(110)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수분이 증발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로터부재(300)에는, 상기 제1영역(310) 및 제2영역(320)과 분리된 제3영역(330)이 형성되고; 상기 수분공급부(500)는 상기 제3영역(330)의 흡착재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500)는, 가습공기유로(540) 상에 구비되어 수분을 함유하는 가습필터(520); 상기 가습공기유로(540) 상에 구비되어 가습필터(520)를 통과한 가습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3송풍기(5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520)의 일부를 침지시키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530)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5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550)와 상기 수조(530)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밸브(5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습공기유로(540)는 폐(閉)유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1열공급부(150)와 상기 제2영역(32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2열공급부(25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열공급부(150)와 제2열공급부(250)에는 온수가 공급되어 상기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온수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온수공급밸브(151,2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600)는 환기 모드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에 전열교환기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열교환기(66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600)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측(110a)에 연결되는 제1공간부(601), 상기 제1공기유로(110)를 통해 상기 제1영역(310)에 연결되는 제3공간부(603),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측(210a)에 연결되는 제2공간부(602),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통해 상기 제2영역(320)에 연결되는 제4공간부(604)를 포함하고; 상기 전열교환기(660)는 상기 제1공간부(601)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제4공간부(604)로 유동하고, 상기 제2공간부(602)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제3공간부(603)로 유동하는 경우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부(601,602,603,604)의 일측을 폐쇄하는 커버플레이트(650)에는, 상기 제1공간부(601)와 제1공기유로(110)를 연통시키는 제1연결구멍(611), 상기 제3공간부(603)와 제1공기유로(110)를 연통시키는 제3연결구멍(613), 상기 제2공간부(602)와 제2공기유로(210)를 연통시키는 제2연통구멍(612), 상기 제4공간부(604)와 제2공기유로(210)를 연통시키는 제4연통구멍(6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601)가 상기 제1연결구멍(611)을 통해 상기 제1공기유로(110)에 연통하도록 하거나 상기 전열교환기(660)를 통해 상기 제4공간부(604)에 연통하도록 개폐 방향이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671)와, 상기 제2공간부(602)가 상기 제2연결구멍(612)을 통해 상기 제2공기유로(110)에 연통하도록 하거나 상기 전열교환기(660)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403)에 연통하도록 개폐 방향이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672)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110)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500-1)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500-1)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를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필터(520-1)와, 상기 가습필터(520-1)에 수분이 흡착되도록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양단이 실내와 연결된 제1공기유로(110), 양단이 실외와 연결된 제2공기유로(210),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제1영역(310)과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320)과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310)과 제2영역(320)을 교대로 통과하는 흡착재로 이루어진 로터부재(300)를 포함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으로서, a) 상기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된 유로전환부(400)에 의해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과 제1영역(310)이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와 제2영역(320)이 연결되는 단계; b)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제1영역(310)을 거쳐 실내로 유동하도록 하는 제1모드가 가동되는 단계; c)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와 제2영역(320)이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와 제1영역(310)이 연결되도록 상기 유로전환부(400,600)에 의해 유로 방향이 전환되는 단계; d)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제2영역(320)을 거쳐 실외로 유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상기 제1영역(310)을 거쳐 실내로 유동하도록 하는 제2모드가 가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단계의 제1모드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제1열공급부(150)를 가동하여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제1영역(310)을 제외한 흡착재의 다른 영역에서 수분공급부(500)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으며, 상기 로터부재(300)를 회전시켜 상기 제1영역(310)에서 상기 흡착재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켜 실내를 가습하는 가습 모드일 수 있다.
상기 b)단계의 제1모드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제1열공급부(150)를 가동하여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난방 모드일 수 있다.
상기 b)단계의 제1모드는,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120,130,140)를 통과함으로써 여과되는 공기 청정 모드일 수 있다.
상기 b)단계의 제1모드는, 상기 제1영역(310)을 통과하는 실내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수한 흡착재는 회전하여 상기 제2영역(320)에 위치하고,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제2열공급부(250)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제2영역(320)의 흡착재를 건조시킨 후 실외로 배출되는 제습 모드일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로터부재(300)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영역(310)을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상기 제2영역(320)을 통과하는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500)는, 폐(閉)유로인 가습공기유로(540) 상에 구비되어 수분을 함유하는 가습필터(520)와, 상기 가습공기유로(540) 상에 구비되어 가습필터(520)를 통과한 가습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3송풍기(51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 모드 종료 후 상기 제3송풍기(510)를 가동시켜 상기 가습공기유로(540)를 건조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유로전환부를 구비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습도 조절과 난방과 공기 청정 및 환기 모드를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에 각각 열공급부를 구비하고, 2개의 열공급부를 교대로 동작시킴으로써 실내 온도 및 습도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수분공급부로부터 수분을 로터부재에 공급함으로써 실내 습도 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공기유로의 출구부 상에 수분공급부를 설치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실내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로터부재를 3개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수분공급부로부터 수분이 공급되는 제3영역을 제1영역 및 제2영역과 분리함으로써 습기가 공급되는 흡착재 부분에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기모드시 실외 공기는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에 구비된 필터에서 여과된 후 실내로 유입되므로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가습모드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난방모드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공기 청정 모드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제습 모드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환기 모드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로전환부에서 환기 모드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b)는 A-A 단면도, (c)는 B-B 단면도
도 8(a)는 도 7의 유로전환부에서 유로전환이 이루어져 환기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모드에서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b)는 C-C 단면도, (c)는 D-D 단면도
도 9는 수분공급부가 제1공기유로에 배치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양단이 실내와 연결된 제1공기유로(110;110a,110b,110c), 양단이 실외와 연결된 제2공기유로(210;210a,201b,201c),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제1영역(310)과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320)과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310)과 제2영역(320)을 교대로 통과하는 흡착재로 이루어진 로터부재(300), 상기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의 유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부(400), 상기 유로전환부(400)의 유로 방향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기유로(110)는, 일측의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110a)와, 상기 로터부재(300)의 제1영역(310)을 통과하는 중간부(110b)와, 상기 유입된 실내 공기를 다시 실내의 타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출구부(110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기유로(110)는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공기가 유동하는 배관뿐만 아니라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공기유로(210)도 동일하다.
상기 제1공기유로(110)에는, 복수의 필터(120,130,140), 제1열공급부(150), 제1송풍기(160)가 순차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필터(120,130,140)는 프리 필터(120)와, 기능성 필터(130), 헤파 필터(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120)는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에 구비되어 실내공기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 기능성 필터(130)는 항균, 항바이러스, 알레르기 등의 유해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이다. 상기 헤파 필터(140)는 공기 중의 미립자를 여과하기 위한 고성능 필터이다.
상기 제1열공급부(150)는 실내를 난방하거나 가습하는 경우 온(On)되어 제1공기유로(110)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가열된 공기가 로터부재(300)의 제1영역(31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1열공급부(150)는 그 내부에 온수가 유동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의 온수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실내 공기가 가열된다. 온수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온수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온수공급밸브(151)가 구비된다. 온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온수는 온수공급관(152)과 온수공급밸브(151)를 통해 제1열공급부(150)에 공급되고, 제1열공급부(15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온수는 온도가 하락한 후 온수환수관(153)으로 유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열공급부(150)를 온수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온수 이외에도 전기히터, 히트펌프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 실시 가능하며, 후술하는 제2열공급부(250)도 동일하다.
상기 제1송풍기(160)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제1공기유로(110)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 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공기유로(210)는, 일측의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210a)와, 상기 로터부재(300)의 제2영역(320)을 통과하는 중간부(210b)와, 상기 유입된 실외 공기를 다시 실외의 타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출구부(210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공기유로(210)에는, 복수의 필터(220,230), 제2열공급부(250), 제2송풍기(260)가 순차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필터(220,230)는 프리 필터(220)와, 미디엄 필터(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디엄 필터(230)는 프리 필터(220) 보다는 작은 입자를 여과하고, 헤파 필터(140) 보다는 큰 입자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이다.
상기 제2열공급부(250)는 제1열공급부(150)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 온수가 유동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의 온수와 실외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실외 공기가 가열된다. 이 경우 온수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상기 온수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온수공급밸브(251)가 구비된다. 온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온수는 온수공급관(152)과 온수공급밸브(251)를 통해 제2열공급부(250)에 공급되고, 제2열공급부(25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온수는 온도가 하락한 후 온수환수관(153)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2송풍기(260)는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제2공기유로(210)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 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로터부재(300)에는 그 내부에 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재가 구비된다. 상기 제1영역(310)은 제1공기유로(110)에 연결되는 영역이고, 제2영역(320)은 제2공기유로(210)에 연결된 영역이다.
한편, 상기 제1영역(310)과 제2영역(320) 사이에는 수분공급부(500)에 의해 수분이 공급되는 제3영역(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320)에는 실외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흡착될 수 있다. 이렇게 이물질이 흡착된 제2영역(320)에 수분을 공급하게 되면 곰팡이가 생길 수 있어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분공급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수분이 제1영역(310) 및 제2영역(320)과 독립된 제3영역(330)에 공급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다만, 제3영역(330)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제3영역(330)을 제2영역(320)과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수분공급부(500)에서 공급되는 수분은 제2영역(320)에 공급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습모드시 제1영역(310)에 위치한 흡착재는 제1공기유로(110)를 유동하는 실내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흡착하고, 수분을 흡착한 흡착재가 회전하여 제2영역(320)에 위치하게 되면, 제2공기유로(210)를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킴으로써 실내공기를 제습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가습모드시 제3영역(330)에 위치한 흡착재는 가습공기유로(540)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하고, 수분을 흡착한 흡착재가 회전하여 제1영역(310)에 위치하게 되면 제1공기유로(110)를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킴으로써 실내공기를 가습하게 된다.
상기 제1영역(310)과 제2영역(320) 및 제3영역(330)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로터부재(300)의 흡착재는 중앙에 구비된 축을 중심으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400)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410),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420), 상기 제1영역(310)과 연결되는 제1배출구(430), 상기 제2영역(320)과 연결되는 제2배출구(440), 상기 제1유입구(410)를 제1배출구(430) 또는 제2배출구(440)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2유입구(420)를 제1배출구(430) 또는 제2배출구(440)로 연결되도록 연결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방향전환게이트(4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향전환게이트(450)는 제1유입구(410)와 제2유입구(420)와 제1배출구(430)와 제2배출구(440)가 교차하는 중앙부에 위치한다. 상기 방향전환게이트(450)가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제1유입구(410)와 제1배출구(430)가 연결되고, 제2유입구(420)와 제2배출구(440)가 연결된다. 상기 제1위치에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방향전환게이트(450)가 90도 회전하여 제2위치가 되면, 제1유입구(410)는 제2배출구(440)에 연결되고, 제2유입구(420)는 제1배출구(430)에 연결된다.
상기 수분공급부(500)는, 가습공기유로(540) 상에 구비되어 가습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3송풍기(510), 상기 제3송풍기(51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할 때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가습필터(520), 상기 가습필터(520)의 하단 일부를 침지시키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530), 상기 수조(5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550), 상기 수조(530)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밸브(5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530) 내부에는 물이 소정의 수위로 채워져 있고, 상기 가습필터(520)는 상기 물에 하단 일부가 침지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습필터(520)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520)를 공기가 통과하게 되면 가습필터(520)에 흡착된 수분이 증발하면서 습한공기가 되어 가습공기유로(540)를 따라 제3영역(330)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3영역(330)의 흡착재에 수분이 흡착된 후 건조하게 된 공기는 다시 제3송풍기(510)에 의해 가습필터(520)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습공기유로(540)는 폐(閉)유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550)가 구비된 급수관(570)은 수도물이 공급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밸브(560)가 구비된 배수관(580)은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연결되어 수조(530)의 물을 외부로 배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분공급부(500)를 구비하게 되면 가습량의 조절이 가능하고, 가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필터(520)가 물에 일부가 침지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가습필터(520)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수단에서 분사된 물이 가습필터(520)를 적시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급수관(570)의 단부에는 분사수단으로서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습공기유로(540)의 내부에 세균이 증식하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살균램프를 구비함으로써 가습공기유로(540)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향전환게이트(450)의 위치가 제1위치인 가습 모드와 난방 모드와 공기 청정 모드와 제습 모드를 제1모드라 하고, 방향전환게이트(450)의 위치가 제2위치인 환기 모드를 제2모드라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가습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가습모드가 가동되면, 수분의 공급을 위해 급수밸브(550)가 개방되어 수조(530)에는 물이 채워져 있으며, 제3송풍기(510)가 온(On)되어 가습공기유로(540)를 순환하는 공기는 가습필터(520)를 거치면서 습한공기가 되어 로터부재(300)의 제3영역(330)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3영역(330)에서 흡착된 수분은 로터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제1영역(310)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유로전환부(400)는, 제1유입구(410)와 제1배출구(430)가 연결되고, 제2유입구(420)와 제2배출구(440)가 연결되도록 방향전환게이트(450)는 제1위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동시에 제1열공급부(150)와 제1송풍기(160)가 온(On)된다.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는 프리 필터(120), 유로전환부(400)의 제1유입구(410)와 제1배출구(430), 기능성 필터(130), 헤파 필터(140)를 순차 거친 후 제1열공급부(150)를 통과한다.
상기 제1열공급부(15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실내공기는 로터부재(300)의 제1영역(310)을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 제1영역(310)에는 제3영역(330)에서 수분을 흡착한 흡착재가 회전되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열된 실내공기가 제1영역(310)을 통과하면서 흡착재의 수분을 증발시켜 습한 실내공기를 형성시킨다. 상기 제1영역(310)을 통과한 실내공기는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거쳐 실내로 배출된다.
이 경우 제1열공급부(150)에서 가열을 위해 온수공급밸브(151)가 개방되고, 온수공급관(152)과 온수공급밸브(151)를 통해 공급된 온수는 제1열공급부(150)에서 제1공기유로(110)를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열공급부(150)에서의 가열로 인해 실내공기는 온도가 높아진 후 실내로 배출되므로, 실내 난방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가습운전이 이루어지고, 가습운전 종료 후 운전 정지시 또는 일정시간 가습종료 후에는 배수밸브(560)를 개방시켜 수조(530)의 잔여 물을 배수관(580)을 통해 배수함으로써 농도가 높아진 물로 인해 가습필터(520)에 스케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습운전 종료 후 수조(530)의 잔여 물을 배수한 후, 제3송풍기(510)를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킴으로써 수조(530) 및 가습공기유로(540) 내부를 건조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폐(閉)유로인 가습공기유로(540)와 수조(530) 내부의 잔류 수분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난방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난방모드가 가동되면, 제1열공급부(150)와 제1송풍기(160)가 온(On)된다. 이 경우 로터부재(300)는 회전하지 않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400)는 가습모드와 동일하게 제1유입구(410)와 제1배출구(430)가 연결되고, 제2유입구(420)와 제2배출구(440)가 연결되도록 방향전환게이트(450)는 제1위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1열공급부(150)에서 실내 공기의 가열을 위해 온수공급밸브(151)가 개방되고, 온수공급관(152)과 온수공급밸브(151)를 통해 공급된 온수는 제1열공급부(150)에서 제1공기유로(110)를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열공급부(150)에서의 가열로 인해 온도가 높아진 실내공기는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거쳐 실내로 배출됨으로써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공기 청정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 청정 모드시에는 제1송풍기(160)가 온(On)되고, 유로전환부(400)의 방향전환게이트(450)가 난방모드와 동일하게 제1위치로 설정된다. 이 경우 로터부재(300)는 회전하지 않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기(160)의 가동으로 인해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는 프리 필터(120)에서 입자가 큰 이물질의 1차 여과가 이루어지고, 기능성 필터(130)에서 알레르기 등의 유해요소가 제거된 후, 헤파 필터(140)에서 미립자가 제거된다.
상기 헤파 필터(140)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제1영역(310)을 통과한 후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통해 실내로 배출됨으로써 실내 공기의 청정 작용이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여 제습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제습 모드가 가동되면, 제1송풍기(160)와 제2송풍기(260)와 제2열공급부(250)가 온(On)되고, 로터부재(300)는 회전한다. 이 경우 유로전환부(400)의 방향전환게이트(450)는 가습모드와 동일하게 제1위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제1송풍기(160)가 가동되면 제1공기유로(110)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복수의 필터(120,130,140)를 거쳐 로터부재(300)의 제1영역(310)을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제1영역(310)의 흡착재에 흡착된다. 상기 제1영역(310)에서 수분이 제거된 실내공기는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제2송풍기(260)가 가동되면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는 프리 필터(220), 미디엄 필터(230), 제2유입구(420), 제2배출구(440)를 순차 거친 후 제2열공급부(250)로 유동한다.
상기 제2열공급부(250)에서 실외 공기의 가열을 위해 온수공급밸브(251)가 개방되고, 온수공급관(152)와 온수공급밸브(251)를 통해 공급된 온수는 제2열공급부(250)에서 제2공기유로(210)를 유동하는 실외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열공급부(25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실외공기는 로터부재(300)의 제2영역(32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1영역(310)에서 실내공기의 수분을 흡착한 로터부재(300)의 흡착재가 회전하여 제2영역(320)에 위치하게 되면, 제2영역(320)을 통과하는 가열된 실외공기에 의해 흡착재의 수분이 증발되어 실외공기는 습한공기 상태가 되어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실내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져,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환기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모드가 가동되면, 제1송풍기(160)와 제2송풍기(260)가 가동된다. 이 경우 유로전환부(400)의 방향전환게이트(450)는 제1유입구(410)와 제2배출구(440)가 연결되고, 제2유입구(420)와 제2배출구(440)가 연결되도록 제2위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2송풍기(260)의 가동에 의해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프리 필터(120), 유로전환부(400)의 제1유입구(410)와 제2배출구(440)를 거쳐 로터부재(300)의 제2영역(320)을 통과한 후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송풍기(160)의 가동에 의해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로 흡입된 실외공기는 프리 필터(220), 미디엄 필터(230), 유로전환부(400)의 제2유입구(420)와 제1배출구(430), 기능성 필터(130), 헤파 필터(140)를 순차 거쳐 로터부재(300)의 제1영역(310)을 통과한 후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실내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고, 실외 공기는 복수의 필터(220,230,130,140)를 거쳐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실내 공기의 환기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유로전환부(400)에서 유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면, 환기모드시 실외공기는 제2공기유로(210)에 구비된 프리 필터(220)와 미디엄 필터(230)에서 여과된 후 제1공기유로(110)에 구비된 기능성 필터(130)와 헤파 필터(140)에서도 여과되므로,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에 구비된 많은 필터(220,230,130,140)를 거치면서 여과된 후 실내로 유입되므로,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필터(130)와 헤파 필터(140)는 가습모드, 난방모드, 공기 청정모드, 제습모드시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를 여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기모드시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도 여과하게 되므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유로(110,210)가 교차하는 지점에 유로전환부(400)를 구비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습도 조절과 난방과 공기 청정 및 환기 모드를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유로전환부(400)를 댐퍼로 구성하여 유로전환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실시예에 대한 것이나,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유로전환부(600)에서 유로전환 뿐만 아니라 전열교환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유로전환부(400)를 전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유로전환부(600)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했던 구성들이 동일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600)는 제1공기유로(110)이 입구부(110a)에 연결되어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610), 상기 제1유입구(610)에 연통하는 제1공간부(601),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에 연결되어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620), 상기 제2유입구(620)에 연통하는 제2공간부(602),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중간부(110b)에 연통하되 상기 제2공간부(602)와 대각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위치하는 제3공간부(603),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중간부(210b)에 연통하되 상기 제1공간부(601)와 대각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위치하는 제4공간부(604),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부(601,602,603,604)로 둘러싸이고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열교환기(6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부(601,602,603,604)는 격벽(691,692,693,694)에 의해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부(601,602,603,604)의 일측 면을 형성하는 커버플레이트(650)에는 제1 내지 제4공간부(601,602,603,60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내지 제4연통구멍(611,612,613,6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통구멍(611)을 통해 제1공간부(601)와 제1공기유로(110)의 중간부(110b)가 서로 연통하고, 제3연통구멍(613)을 통해 제3공간부(603)와 제1공기유로(110)의 중간부(110b)가 서로 연통한다.
상기 제2연통구멍(612)을 통해 제2공간부(602)와 제2공기유로(210)의 중간부(210b)가 서로 연통하고, 제4연통구멍(614)을 통해 제4공간부(604)와 제2공기유로(210)의 중간부(210b)가 서로 연통한다.
상기 제1공간부(601)에는 제1댐퍼(67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댐퍼(671)는 제1공간부(601)의 공기가 전열교환기(660)와 제1공기유로(110)의 중간부(110b)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공간부(602)에는 제2댐퍼(67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댐퍼(672)는 제2공간부(602)의 공기가 전열교환기(660)와 제2공기유로(210)의 중간부(210b)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환기 모드가 가동되면,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댐퍼(671)가 힌지(681)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하여 실선으로 표시된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여 제1연통구멍(611)을 차단하고, 도 7(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댐퍼(672)가 힌지(682)를 회전중심으로 회전하여 실선으로 표시된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여 제2연통구멍(612)을 차단한다.
이 상태에서 제1송풍기(160)와 제2송풍기(260)를 가동시키면,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내 공기는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와 제1유입구(610)를 통해 제1공간부(601)로 유입되고, 제1공간부(601)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전열교환기(660)를 통과한 후 제4공간부(604), 제2공기유로(210)의 중간부(210b), 제2영역(310)을 순차 거쳐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또한, 도 7(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외 공기는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와 제2유입구(620)를 통해 제2공간부(602)로 유입되고, 제2공간부(602)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전열교환기(660)를 통과하면서 상기 전열교환기(660)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제3공간부(603), 제1공기유로(110)의 중간부(110b), 제1영역(310)을 순차 거쳐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실내 공기의 환기가 이루어지고, 환기와 동시에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에 전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한 환기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가습 모드, 난방 모드, 공기 청정 모드, 제습 모드시 유로전환부(600)의 동작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제1댐퍼(671)는 도 7(b)에서와 같이 힌지(681)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여, 제1공간부(601)의 공기가 전열교환기(660)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제2댐퍼(672)는 도 7(b)에서와 같이 힌지(682)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여 제2공간부(602)의 공기가 전열교환기(660)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 상태에서 제1송풍기(160)와 제2송풍기(260)을 가동시키면, 도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공간부(601)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제1연통구멍(611), 제1공기유로(110)의 중간부(110b), 제1영역(310),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순차 거친 후 실내로 배출된다.
또한, 도 8(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공간부(602)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제2연통구멍(612), 제2공기유로(210)의 중간부(210b), 제2영역(310)을 순차 거쳐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전열교환기(660)를 통과하지 않는다.
도 7과 도 8에 나타난 유로전환부(600)를 구비하면,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전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할 경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에 전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를 다양한 모드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로전환부(600)에서는 제1댐퍼(671)는 제1연통구멍(611) 방향과 전열교환기(660)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택일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으로 예시하였으나, 제1연통구멍(611)을 개폐하는 댐퍼와 제1공간부(601)에서 전열교환기(660)로의 유동을 개폐하는 댐퍼를 별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제2댐퍼(671) 대신 2개의 댐퍼로 제2연통구멍(612)과 전열교환기(660)로의 유동을 각각 개폐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수분공급부(500)가 로터부재(300)의 흡착재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도 9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실내공기유로에 수분공급부(500-1)가 구비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실내공기유로인 제1공기유로(110) 상에 수분공급부(500-1)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수분공급부(500-1)는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500-1)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필터(520-1)와, 상기 가습필터(520-1)에 수분이 흡착되도록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수단으로서 상기 가습필터(520-1)의 하단 일부를 침지시키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530-1)와, 상기 수조(530-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급수관(570-1)에 구비된 급수밸브(550-1)와, 상기 수조(530-1)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 배수관(580-1)에 구비된 배수밸브(560-1)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가습필터(520-1)를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 상에 위치시키고 제1송풍기(160)의 가동에 의해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앞선 실시예들과 같이 별도의 가습공기유로(540)와 제3송풍기(510)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로터부재(300)에도 제3영역(330)을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필터(520-1)가 물에 일부가 침지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가습필터(520-1)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수단에서 분사된 물이 가습필터(520-1)를 적시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급수관(570-1)의 단부에는 분사수단으로서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난 공기조화기에서도, 가습모드, 난방모드, 공기 청정 모드, 제습 모드, 환기 모드의 작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각 모드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내용을 토대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 : 제1공기유로 120 : 프리 필터
130 : 기능성 필터 140 : 헤파 필터
150 : 제1열공급부 160 : 제1송풍기
210 : 제2공기유로 220 : 프리 필터
230 : 미디엄 필터 250 : 제2열공급부
260 : 제2송풍기 300 : 로터부재
310 : 제1영역 320 : 제2영역
330 : 제3영역 400,600 : 유로전환부
410 : 제1유입구 420 : 제2유입구
430 : 제1배출구 440 : 제2배출구
450 : 방향전환게이트 500,500-1 : 수분공급부
510 : 제3송풍기 520,520-1 : 가습필터
530,530-1 : 수조 540 : 가습공기유로
550,550-1 : 급수밸브 560,560-1 : 배수밸브
570,570-1 : 급수관 580,580-1 : 배수관
601 : 제1공간부 602 : 제2공간부
603 : 제3공간부 604 : 제4공간부
610 : 제1유입구 611 : 제1연통구멍
612 : 제2연통구멍 613 : 제3연통구멍
614 : 제4연통구멍 620 : 제2유입구
650 : 커버플레이트 660 : 전열교환기
691,692,693,694 : 격벽

Claims (24)

  1. 양단이 실내와 연결된 제1공기유로(110);
    양단이 실외와 연결된 제2공기유로(210);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제1영역(310)과,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320)과,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310)과 제2영역(320)을 교대로 통과하는 흡착재로 이루어진 로터부재(300);
    상기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의 유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부(400,600);
    상기 로터부재(300)의 회전과 상기 유로전환부(400,600)의 유로 방향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400)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410),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420), 상기 제1영역(310)과 연결되는 제1배출구(430), 상기 제2영역(320)과 연결되는 제2배출구(440), 상기 제1유입구(410)를 제1배출구(430) 또는 제2배출구(440)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2유입구(420)를 제1배출구(430) 또는 제2배출구(440)로 연결되도록 연결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방향전환게이트(4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는 상기 유로전환부(400)와 제1영역(310) 사이에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130,1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는 실내를 난방하거나 실내를 가습하는 경우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1열공급부(1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와 상기 유로전환부(400) 사이에는 상기 유로전환부(400)를 향해 유동하는 실외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220,2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는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경우 상기 제2영역(32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2열공급부(2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재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500)가 구비되고, 상기 흡착재가 회전하여 상기 제1영역(310)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공기유로(110)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수분이 증발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재(300)에는, 상기 제1영역(310) 및 제2영역(320)과 분리된 제3영역(330)이 형성되고;
    상기 수분공급부(500)는 상기 제3영역(330)의 흡착재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500)는,
    가습공기유로(540) 상에 구비되어 수분을 함유하는 가습필터(520);
    상기 가습공기유로(540) 상에 구비되어 가습필터(520)를 통과한 가습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3송풍기(51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520)의 일부를 침지시키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530)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5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550)와 상기 수조(530)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밸브(5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공기유로(540)는 폐(閉)유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1열공급부(150)와 상기 제2영역(32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2열공급부(25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열공급부(150)와 제2열공급부(250)에는 온수가 공급되어 상기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온수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온수공급밸브(151,25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600)는 환기 모드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에 전열교환기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열교환기(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600)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측(110a)에 연결되는 제1공간부(601), 상기 제1공기유로(110)를 통해 상기 제1영역(310)에 연결되는 제3공간부(603),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측(210a)에 연결되는 제2공간부(602),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통해 상기 제2영역(320)에 연결되는 제4공간부(604)를 포함하고;
    상기 전열교환기(660)는 상기 제1공간부(601)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제4공간부(604)로 유동하고, 상기 제2공간부(602)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제3공간부(603)로 유동하는 경우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부(601,602,603,604)의 일측을 폐쇄하는 커버플레이트(650)에는, 상기 제1공간부(601)와 제1공기유로(110)를 연통시키는 제1연결구멍(611), 상기 제3공간부(603)와 제1공기유로(110)를 연통시키는 제3연결구멍(613), 상기 제2공간부(602)와 제2공기유로(210)를 연통시키는 제2연통구멍(612), 상기 제4공간부(604)와 제2공기유로(210)를 연통시키는 제4연통구멍(6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601)가 상기 제1연결구멍(611)을 통해 상기 제1공기유로(110)에 연통하도록 하거나 상기 전열교환기(660)를 통해 상기 제4공간부(604)에 연통하도록 개폐 방향이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671)와, 상기 제2공간부(602)가 상기 제2연결구멍(612)을 통해 상기 제2공기유로(110)에 연통하도록 하거나 상기 전열교환기(660)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403)에 연통하도록 개폐 방향이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67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유로(110)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500-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500-1)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를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필터(520-1)와, 상기 가습필터(520-1)에 수분이 흡착되도록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8. 양단이 실내와 연결된 제1공기유로(110), 양단이 실외와 연결된 제2공기유로(210),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제1영역(310)과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320)과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310)과 제2영역(320)을 교대로 통과하는 흡착재로 이루어진 로터부재(300)를 포함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으로서,
    a) 상기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된 유로전환부(400)에 의해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과 제1영역(310)이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와 제2영역(320)이 연결되는 단계;
    b)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제1영역(310)을 거쳐 실내로 유동하도록 하는 제1모드가 가동되는 단계;
    c)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와 제2영역(320)이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와 제1영역(310)이 연결되도록 상기 유로전환부(400,600)에 의해 유로 방향이 전환되는 단계;
    d)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제2영역(320)을 거쳐 실외로 유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상기 제1영역(310)을 거쳐 실내로 유동하도록 하는 제2모드가 가동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제1모드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제1열공급부(150)를 가동하여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제1영역(310)을 제외한 흡착재의 다른 영역에서 수분공급부(500)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으며, 상기 로터부재(300)를 회전시켜 상기 제1영역(310)에서 상기 흡착재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켜 실내를 가습하는 가습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제1모드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제1열공급부(150)를 가동하여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난방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제1모드는,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120,130,140)를 통과함으로써 여과되는 공기 청정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제1모드는,
    상기 제1영역(310)을 통과하는 실내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수한 흡착재는 회전하여 상기 제2영역(320)에 위치하고,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제2열공급부(250)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제2영역(320)의 흡착재를 건조시킨 후 실외로 배출되는 제습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로터부재(300)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영역(310)을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상기 제2영역(320)을 통과하는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500)는, 폐(閉)유로인 가습공기유로(540) 상에 구비되어 수분을 함유하는 가습필터(520)와, 상기 가습공기유로(540) 상에 구비되어 가습필터(520)를 통과한 가습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3송풍기(51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 모드 종료 후 상기 제3송풍기(510)를 가동시켜 상기 가습공기유로(540)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60049973A 2016-02-12 2016-04-25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782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1187 WO2017138718A1 (ko) 2016-02-12 2017-02-03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CN201780011211.7A CN108700313A (zh) 2016-02-12 2017-02-03 空调及其控制方法
JP2018536242A JP2019508656A (ja) 2016-02-12 2017-02-03 空気調和機と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6466 2016-02-12
KR1020160016466 2016-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101A true KR20170095101A (ko) 2017-08-22
KR101782838B1 KR101782838B1 (ko) 2017-10-23

Family

ID=5975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973A KR101782838B1 (ko) 2016-02-12 2016-04-25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508656A (ko)
KR (1) KR101782838B1 (ko)
CN (1) CN108700313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395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20190024394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CN109780634A (zh) * 2017-11-14 2019-05-21 庆东纳碧安株式会社 空调
KR20190054802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
KR20190056604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
CN110160234A (zh) * 2018-02-14 2019-08-23 庆东元株式会社 空调及空调的控制方法
KR102058893B1 (ko) * 2019-04-29 2019-12-24 박준흥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KR20200125143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271595B1 (ko) * 2020-12-08 2021-07-01 (주)다모아테크 살균 에어노즐
KR20210158851A (ko) * 2019-03-08 2021-12-31 주식회사 에이올코리아 가변히트펌프 및 공기온도 변환공급장치
KR20220070810A (ko)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제습로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4117B (zh) * 2019-04-08 2023-06-27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气处理装置和空气处理装置的控制方法
CN112303743B (zh) * 2019-07-29 2022-05-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加湿吸醛的装置及空调
JP7089193B2 (ja) * 2020-03-16 2022-06-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7732A (ja) * 1982-04-28 1983-11-02 Baanaa Internatl:Kk 減湿器を使用した空調機による暖房方法
JPH05346253A (ja) * 1992-06-12 1993-12-27 Aten:Kk 湿度調節型換気装置
JP3089178B2 (ja) * 1995-02-07 2000-09-18 シャープ株式会社 乾式除加湿装置
JPH09296948A (ja) * 1996-05-07 1997-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装置
JP2000186836A (ja) * 1998-12-21 2000-07-04 Sanyo Electric Co Ltd 除塵給気兼加湿装置
JP2001193965A (ja) * 1999-10-18 2001-07-17 Earth Clean Tohoku:Kk 省エネ空調方法とその装置
JP4749559B2 (ja) * 2001-01-31 2011-08-17 株式会社西部技研 除湿空調装置
JP3687583B2 (ja) * 2001-09-13 2005-08-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4467357B2 (ja) * 2004-04-30 2010-05-26 株式会社西部技研 空調装置
KR100700191B1 (ko) * 2004-10-28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JP4539343B2 (ja) * 2005-01-21 2010-09-08 スズ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4455363B2 (ja) * 2005-02-17 2010-04-21 三星電子株式会社 除加湿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CN1987281B (zh) * 2005-12-20 2011-06-0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换气兼用热交换装置
WO2009090492A2 (en) * 2007-12-03 2009-07-23 Gerald Landry Thermodynamic closed loop desiccant rotor system and process
CN105091142B (zh) * 2014-05-06 2018-03-09 创升科技股份有限公司 湿度调整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395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20190024394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20230031870A (ko) * 2017-08-31 2023-03-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CN109780634A (zh) * 2017-11-14 2019-05-21 庆东纳碧安株式会社 空调
KR20190054802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
KR20190056604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
CN110160234B (zh) * 2018-02-14 2021-11-23 庆东纳碧安株式会社 空调及空调的控制方法
CN110160234A (zh) * 2018-02-14 2019-08-23 庆东元株式会社 空调及空调的控制方法
KR20210158851A (ko) * 2019-03-08 2021-12-31 주식회사 에이올코리아 가변히트펌프 및 공기온도 변환공급장치
KR20200125143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58893B1 (ko) * 2019-04-29 2019-12-24 박준흥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KR20220070810A (ko)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제습로터
KR102271595B1 (ko) * 2020-12-08 2021-07-01 (주)다모아테크 살균 에어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00313A (zh) 2018-10-23
JP2019508656A (ja) 2019-03-28
KR101782838B1 (ko) 201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838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749194B1 (ko) 난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689869B1 (ko) 열교환 환풍기 및 이를 포함한 공기질 관리시스템
KR101664791B1 (ko)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2018534519A (ja) 湿度調節器
JP2018534517A (ja) 加湿器
KR102538252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2180663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2011089665A (ja) 調湿装置
CN108885023B (zh) 空调及其控制方法
KR100607108B1 (ko) 사계절용 외기도입 공조시스템 및 공조방법
KR20110015229A (ko) 복합형 환기,공기 정화장치
WO2009130885A1 (ja) 調湿システム
KR101957240B1 (ko) 공기조화기
JP2010002155A (ja) 空気調和装置
KR102335411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2421244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237182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KR100352430B1 (ko) 실내 제습 시스템과 실내 가습 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
KR100688209B1 (ko) 공기조화기
JP2016023884A (ja) 調湿ユニット
KR102580539B1 (ko) 공기조화장치
JPH10292932A (ja) 吸湿式除湿装置
KR101931975B1 (ko) 공기조화기와 보일러의 통합제어시스템
KR10199183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