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835A -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835A
KR20170080835A KR1020150190031A KR20150190031A KR20170080835A KR 20170080835 A KR20170080835 A KR 20170080835A KR 1020150190031 A KR1020150190031 A KR 1020150190031A KR 20150190031 A KR20150190031 A KR 20150190031A KR 20170080835 A KR20170080835 A KR 20170080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pinning
spinning solution
radia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6733B1 (ko
Inventor
김학용
김태우
채수형
박미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나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나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나노
Priority to KR102015019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733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69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pinning section, e.g. capillary tube, protrusion or p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는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일정한 거리(h)만큼 떨어진 지점부터 방사튜브 본체(Ta)의 하부면까지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부분 각각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Tc)들로 구성되며,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들이 방사튜브 본체(Ta)의 외주면과 맞닿아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방사튜브(T); 및 (ⅱ) 상기 방사튜브(T)와 연결되어 있으며, 2중관 구조의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액 분배튜브(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동시에 이용하기 때문에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높은 생산성(토출량)으로 제조할 수 있고, 용매 휘발 및 회수가 용이하고, 방사액이 섬유상이 아닌 용액상태로 컬렉터 상에 떨어지는 현상(드롭 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웹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Spinning device for two-component composited nano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wo-component composited nanofiber thereby}
본 발명은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높은 단위시간당 생산성과 공정성으로 고품질의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웹을 제조할 수 있는 방사튜브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 방사튜브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2성분 복합 나노섬유"라는 용어는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와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나노섬유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라는 용어는 편심형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종래기술로서는 시스/코어 형태(2중관 형태)의 노즐을 통해 시스 형성용 방사용액과 코어 형성용 방사용액을 정전기력만으로 전기방사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종래방법은 정전기력에만 의존하여 전기방사를 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노즐 단위홀당 토출량이 0.01g 수준으로 매우 낮아 생산성이 떨어져 결국 양산화가 곤란하였고, 노즐 교체 및 청소도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의 생산량은 시간당 0.1~1 g 수준이고 용액 토출량은 시간당 1.0~5.0 mL 수준으로 매우 낮다[D. H. H. Renecker 등, Nanotechnology 2006, VOl 17, 1123]
구체적으로, 나노레터(Nano Letters), 2007, Vol7(4) 1081에는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2개의 노즐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배열된 복합노즐 중 내부직경이 0.4㎜인 하나의 노즐에 SnO2인 프리커서 용액을 공급하고, 내부 직경이 0.7㎜인 나머지 노즐에 TiO2 프리커서 용액을 공급한 후 전기방사하여 사이드-바이-사이드 형태인 TiO2/SnO2 복합 무기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방법은 정전기력만 의존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노즐 1개당 토출량이 매우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고, 노즐교체 및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폴리머(Polymer), 2003, Vol.44, 6353에서는 내부 직경이 0.7mm 이고 두께가 0.2mm인 테프론 니들을 사용하고 여기에 두 종류의 용액이 니들 부분에서 합쳐지도록 실린더 펌프로 동시에 두 종류의 용액을 공급하고 백금 전극을 용액 내에 설치하여 전기방사를 행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의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방법 역시 정전기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노즐 1개당 토출량이 매우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고, 노즐 교체 및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방법들은 방사용액이 섬유상이 아닌 용액상태로 컬렉터 상에 떨어지는 현상(이하 "드롭렛 현상"이라고 한다)이 심하게 발생되어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웹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과제는 고전압 인가로 인한 작업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나노섬유 제조시 드롭렛 현상을 방지하여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웹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를 사용해서 높은 생산성으로 고품질의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를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일정한 거리(h)만큼 떨어진 지점부터 방사튜브 본체(Ta)의 하부면까지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부분 각각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Tc)들로 구성되며,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들이 방사튜브 본체(Ta)의 외주면과 맞닿아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방사튜브(T)와 (ⅱ) 상기 방사튜브(T)와 연결되어 있으며, 2중관 구조의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액 분배튜브(1)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상기 방사튜브(T)와 방사액 분배튜브(1)를 회전시켜 주면서 전압발생장치(6)로 상기 방사튜브(T)와 방사액 분배튜브(1)에 고전압을 걸어준 다음, (ⅱ) 상기 2중관 구조의 방사액 분배튜브(1)를 이루는 외측관(1c) 내로 제1방사용액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2중관 구조의 방사액 분배튜브(1)를 이루는 내측관(1b) 내로 상기 제1방사용액과 상이한 제2방사용액을 공급한 다음, (ⅲ) 방사액 분배튜브의 외측관(1c) 내로 공급된 제1방사용액을 방사튜브(T)를 이루는 노즐(Tc)로 공급하고, 방사액 분배튜브의 내측관(1b) 내로 공급된 제2방사용액을 방사튜브(T)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로 공급한 다음, (ⅳ) 노즐(Tc)로 공급된 제1방사용액과 방사튜브(T)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로 공급된 제2방사용액을 원심력과 전기력을 이용하여 방사튜브(T)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전압발생장치(6)에 의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2) 방향으로 방사하여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동시에 이용하기 때문에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높은 생산성(토출량)으로 제조할 수 있고, 용매 휘발 및 회수가 용이하고, 방사액이 섬유상이 아닌 용액상태로 컬렉터 상에 떨어지는 현상(드롭 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웹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도 2는 도 1 중 방사튜브(T)의 확대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T)에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방사액 분배튜브(1)에 형성된 다각형 튜브상 중공(Tb)의 모서리 부분에 노즐(Tc)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실시예 1로 제조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7은 실시예 2로 제조한 중공형 탄소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8은 실시예 3으로 제조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9는 실시예 4로 제조한 중공형 탄소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10은 실시예 5로 제조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11은 실시예 6으로 제조한 중공형 탄소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12는 비교실시예 1로 제조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일정한 거리(h)만큼 떨어진 지점부터 방사튜브 본체(Ta)의 하부면까지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부분 각각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Tc)들로 구성되며,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들이 방사튜브 본체(Ta)의 외주면과 맞닿아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방사튜브(T); 및 (ⅱ) 상기 방사튜브(T)와 연결되어 있으며, 2중관 구조의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액 분배튜브(1);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일정한 거리(h)만큼 떨어진 지점부터 방사튜브 본체(Ta)의 하부면까지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 각각과 마주보는 위치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노즐(T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사튜브(T)와 방사액 분배튜브(1)는 처음부터 일체로 제작,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로 제조된 후 조립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상기 방사튜브(T)와 방사액 분배튜브(1)를 회전시켜 주면서 전압발생장치(6)로 상기 방사튜브(T)와 방사액 분배튜브(1)에 고전압을 걸어준 다음, (ⅱ) 상기 2중관 구조의 방사액 분배튜브(1)를 이루는 외측관(1c) 내로 제1방사용액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2중관 구조의 방사액 분배튜브(1)를 이루는 내측관(1b) 내로 상기 제1방사용액과 상이한 제2방사용액을 공급한 다음, (ⅲ) 방사액 분배튜브의 외측관(1c) 내로 공급된 제1방사용액을 방사튜브(T)를 이루는 노즐(Tc)로 공급하고, 방사액 분배튜브의 내측관(1b) 내로 공급된 제2방사용액을 방사튜브(T)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로 공급한 다음, (ⅳ) 노즐(Tc)로 공급된 제1방사용액과 방사튜브(T)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로 공급된 제2방사용액을 원심력과 전기력을 이용하여 방사튜브(T)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전압발생장치(6)에 의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2) 방향으로 방사하여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이때, 제1방사용액 공급관(3a)을 사용하여 방사액 분배튜브를 이루는 내측관(1b) 내로 제2방사용액을 공급하고, 제2방사용액 공급관(3b)를 사용하여 방사액 분배튜브를 이루는 외측관(1c) 내로 제1방사용액을 공급한 다음, 방사액 분배튜브의 외측관(1c) 내로 공급된 제1방사용액을 방사튜브(T)를 이루는 노즐(Tc)로 공급하고, 방사액 분배튜브의 내측관(1b) 내로 공급된 제2방사용액을 방사튜브(T)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로 공급한다.
도 3은 방사튜브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Tb')에 공급된 제1방사용액(A : 코어 형성용 방사용액)과 제2방사용액(B : 시스 형성용 방사용액)의 흐름상태와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방사용액(A : 코어 형성용 방사용액)은 방사튜브를 이루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노즐(Tc)을 통해 방사튜브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의 모서리 부분(Tb')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방사용액(B:시스 형성용 방사용액)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방사튜브의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를 통해 방사튜브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의 모서리 부분(Tb')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단면형태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 메카니즘은 종래 2개의 노즐을 코아-시스 형태로 배열하여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메카니즘과는 전혀 상이하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상기 모서리 부분(Tb')에서 동시에 2성분 복합 나노섬유가 제조되기 때문에 종래 노즐타입 방식과 비교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며, 방사튜브(T)의 형태를 변경하면 다양한 형태의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2성분 복합 나노섬유는 코어-시스형(Core-sheath type) 복합 나노섬유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 복합 나노섬유이며,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섬유는 편심형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일 수도 있다.
구현일례로서,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노즐(Tc) 내로는 코어형성용 방사용액(제1방사용액)을 공급하고,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로는 시스형성용 방사용액(제2방사용액)을 공급하여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이때,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일정한 거리(h)만큼 떨어진 지점부터 방사튜브 본체(Ta)의 하부면까지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 각각과 마주보는 위치에 3개의 노즐(Tc)들을 설치된 방사튜브(T)를 사용하면 코어성분이 3개인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꼭지점과 노즐(Tc)간의 거리(d)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구현일례로서, 서로 다른 고분자 용액 2종 중 1종을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노즐(Tc)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1종을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으로 사용하여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의 코어부를 유기용매 등으로 용해하며 중공섬유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일례로서, 서로 다른 무기물이 포함된 프리커서 용액 2종 중 1종을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노즐(Tc)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1종을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으로 사용하여 2성분 복합 무기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2성분 복합 무기 나노섬유를 안정화 및 탄화처리하면 단일성분 또는 2성분 무기 나노섬유가 제조된다.
또 다른 구현일례로서, 고분자 용액을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노즐(Tc)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으로 사용하고, 무기물이 포함된 프리커서 용액을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으로 사용하여 코어성분이 고분자이고 시스 성분이 무기물로 구성된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의 코어 성분을 유기용매 등으로 용해 시키거나 탄화처리로 제거하게 되면 무기 중공섬유가 제조된다.
또 다른 구현일례로서, 무기물이 포함된 프리커서 용액을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노즐(Tc)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으로 사용하고, 고분자 용액을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으로 사용하여 코어성분이 무기물이고 시스성분이 고분자로 구성된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방사장치를 이용하여 중공 탄소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구현일례를 살펴보면, 수용성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을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노즐(Tc)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으로 사용하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용액을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으로 사용하여 코어-시스형 복합나노섬유를 제조한 다음, 코어부를 형성하는 수용성 폴리비닐알코올을 물로 제거하여 중공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제조한 다음, 제조된 중공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안정화 및 탄화처리하여 중공 탄소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이때,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 각각에 2개 이상의 노즐(Tc)들이 설치된 방사튜브를 사용하게 되면 다공성 탄소 나노섬유가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중공 탄소 나노섬유 또는 다공성 탄소 나노섬유는 필터소재, 2차전지 멤브레인 소재, 전극재료, 고기능성 의류 소재, 약물전달 소재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용매인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하여 고형분이 10중량%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용액(제1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용매인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하여 고형분이 12중량%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용액(제2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외경이 45㎜이고, 길이가 8㎜인 원통형의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9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으로부터 아래로 3㎜(h) 만큼 떨어진 지점부터 방사튜브 본체(Ta)의 하부면까지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 각각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직경 0.9㎜의 노즐(Tc)로 구성되며, 상기 9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들이 방사튜브 본체(Ta)의 외주면과 맞닿아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방사튜브(T)와 (ⅱ) 상기 방사튜브(T)와 연결되어 있으며, 2중관 구조의 원통형 및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액 분배튜브(1)를 350rpm으로 회전시켜주면서 전압발생장치(6)로 상기 방사튜브(T) 및 방사액 분배튜브(1)에 35kV의 전압을 걸어준 다음, 상기 방사튜브(T)를 직경이 0.9㎜인 노즐(Tc)내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용액(제1방사용액)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방사튜브(T)를 이루는 9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용액(제2방사용액)을 공급한 다음, 원심력과 전기력을 이용하여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9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상기 공급된 상기 방사용액들을 35kV의 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2) 방향으로 전기방사하여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고분자 용액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용액(제2방사용액)은 분당 0.25cc로 공급하였고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용액(제1방사용액)은 분당 0.20cc로 공급하였다. 이때 컬렉터(2)와 방사튜브(1) 간의 거리는 35㎝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6과 같았다.
도 6에서는 코아성분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성분과 시스성분인 폴리아크릴니트릴로 구성된 2성분 복합 나노섬유가 균일하게 잘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220℃로 1시간 30분 동안 안정화 시킨 다음, 질소분위기하에서 1,500℃로 탄화처리하여 코어성분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제거된 중공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중공 탄소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7과 같았다. 도 7에서 중공부가 잘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3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6㎜(h) 떨어진 위치에 노즐(Tc)의 상부면이 위치하도록 노즐(Tc)을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8과 같았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220℃에서 1시간 30분 동안 안정화시킨 다음, 질소분위기하에서 1,500℃로 탄화처리하여 코어 성분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제거된 중공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중공 탄소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9와 같았다. 도 9에서 중공부가 잘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5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9㎜(h) 떨어진 위치에 노즐(Tc)의 상부면이 위치하도록 노즐(Tc)을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10과 같았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220℃에서 1시간 30분 동안 안정화시킨 다음, 질소분위기하에서 1,500℃로 탄화처리하여 코어 성분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제거된 중공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중공 탄소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11과 같았다. 도 11에서 중공부가 잘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비교실시예 1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과 동일한 위치에 노즐(Tc)의 상부면이 위치하도록, 다시말해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즐(Tc)의 상부면이 떨어진 거리(h)가 0㎜가 되도록, 노즐(Tc)을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코어-시스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220℃에서 1시간 30분 동안 안정화시킨 다음, 질소분위기하에서 1,500℃로 탄화처리하여 중공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중공 탄소나노섬유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12와 같았다.
도 12에서는 코아부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시스부인 폴리아크릴로니트이 결합된 복합섬유 형태가 아니고 각개로 분리되어 섬유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 이유는 2종류의 고분자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없기 때문에 각개의 고분자가 나노섬유 형태로 제조된 것을 보여준다. 도 12 중 일부는 한쪽이 터진 중공 탄소나노섬유 등도 보이기는 하나 전체적으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단독으로 형성된 중공이 아닌 탄소나노섬유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T : 방사튜브 Ta : 방사튜브의 본체
Tb : 방사튜브의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
Tc : 노즐
1 : 방사액 분배튜브
1a : 방사액 분배튜브의 본체
1b : 방사액 분배튜브의 내측관
1c : 방사액 분배튜브의 외측관
2: 컬렉터 3: 방사용액 공급관
3a : 제1방사용액(코어 형성용 방사용액) 공급관
3b : 제2방사용액(시스 형성용 방사용액) 공급관
4 : 제1방사용액(코어 형성용 방사용액) 공급용 펌프
5 : 제2방사용액(시스 형성용 방사용액) 공급용 펌프
6 : 전압발생장치
F : 2성분 복합 나노섬유 Fc :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코어부
Fs :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시스부
d : 노즐(Tc)과 상기 노즐과 가장 인접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꼭지점 간의 거리.
A : 제1방사용액(코어 형성용 방사용액)
B : 제2방사용액(시스 형성용 방사용액)
Tb' : 방사튜브의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 모서리 부분
h :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에서 노즐(Tc)의 상부면까지의 거리

Claims (13)

  1.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일정한 거리(h)만큼 떨어진 지점부터 방사튜브 본체(Ta)의 하부면까지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부분 각각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Tc)들로 구성되며,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들이 방사튜브 본체(Ta)의 외주면과 맞닿아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방사튜브(T); 및
    (ⅱ) 상기 방사튜브(T)와 연결되어 있으며, 2중관 구조의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액 분배튜브(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일정한 거리(h)만큼 떨어진 지점부터 방사튜브 본체(Ta)의 하부면까지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 각각과 마주보는 위치에 2개 이상의 노즐(Tc)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방사튜브(T)와 방사액 분배튜브(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방사튜브(T)와 방사액 분배튜브(1)는 각각 제조된 후 조립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5.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일정한 거리(h)만큼 떨어진 지점부터 방사튜브 본체(Ta)의 하부면까지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부분 각각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Tc)들로 구성되며,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들이 방사튜브 본체(Ta)의 외주면과 맞닿아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방사튜브(T);와 상기 방사튜브(1)와 연결되어 있으며, 2중관 구조의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액 분배튜브;(1)들을 회전시켜 주면서 전압발생장치(6)로 상기 방사액 분배튜브(1)와 방사튜브(T)에 고전압을 걸어준 다음, (ⅱ) 상기 2중관 구조의 방사액 분배튜브(1)를 이루는 외측관(1c) 내로 제1방사용액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2중관 구조의 방사액 분배튜브(1)를 이루는 내측관(1b) 내로 상기 제1방사용액과 상이한 제2방사용액을 공급한 다음, (ⅲ) 방사액 분배튜브의 외측관(1c) 내로 공급된 제1방사용액을 방사튜브(T)를 이루는 노즐(Tc)로 공급하고, 방사액 분배튜브의 내측관(1b) 내로 공급된 제2방사용액을 방사튜브(T)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로 공급한 다음, (ⅳ) 노즐(Tc)로 공급된 제1방사용액과 방사튜브(T)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로 공급된 제2방사용액을 원심력과 전기력을 이용하여 방사튜브(T)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전압발생장치(6)에 의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2) 방향으로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일정한 거리(h)만큼 떨어진 지점부터 방사튜브 본체(Ta)의 하부면까지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 각각과 마주보는 위치에 2개 이상의 노즐(Tc)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할 경우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노즐(Tc)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을 코어 형성용 방사용액이고,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은 시스 형성용 방사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2성분 복합 나노섬유는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및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 복합 나노섬유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는 코어부가 2개 이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노즐(Tc)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과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들은 서로 다른 고분자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노즐(Tc)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과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 들은 서로 다른 무기물이 포함된 프리커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노즐(Tc)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은 고분자 용액이고,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은 무기물이 포함된 프리커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노즐(Tc)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은 무기물이 포함된 프리커서 용액이고, 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은 고분자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0150190031A 2015-12-30 2015-12-30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16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031A KR101816733B1 (ko) 2015-12-30 2015-12-30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031A KR101816733B1 (ko) 2015-12-30 2015-12-30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835A true KR20170080835A (ko) 2017-07-11
KR101816733B1 KR101816733B1 (ko) 2018-01-12

Family

ID=5935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031A KR101816733B1 (ko) 2015-12-30 2015-12-30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7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8170A (zh) * 2019-06-26 2019-08-23 广东工业大学 一种离心静电纺丝装置及控制方法
KR20200108128A (ko) * 2019-03-06 2020-09-17 주식회사 우리나노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20230096549A (ko) *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열접착성 섬유웹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열접착성 섬유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839B1 (ko) * 2018-02-28 2019-07-05 주식회사 우리나노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983678B1 (ko) 2018-06-28 2019-09-03 (주)엔오엔그리드 나노섬유 방사장치
KR102108037B1 (ko) 2018-06-28 2020-05-07 (주)엔오엔그리드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및 그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
KR102077722B1 (ko) * 2018-10-08 2020-02-17 주식회사 우리나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106268B1 (ko) * 2018-10-08 2020-05-06 주식회사 우리나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296B1 (ko) 2012-02-22 2013-05-15 주식회사 우리나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323581B1 (ko) 2012-04-26 2013-10-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558213B1 (ko) 2014-07-25 2015-10-12 주식회사 우리나노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128A (ko) * 2019-03-06 2020-09-17 주식회사 우리나노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N110158170A (zh) * 2019-06-26 2019-08-23 广东工业大学 一种离心静电纺丝装置及控制方法
KR20230096549A (ko) *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열접착성 섬유웹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열접착성 섬유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733B1 (ko)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733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06317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719377B1 (ko) 정전기 방사 조립체
KR101260529B1 (ko) 개선된 전기블로잉 웹 형성 방법
US20110180951A1 (en) Fiber structur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101263296B1 (ko)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CN109208090B (zh) 一种新型无针静电纺丝装置及其纺丝方法
CN101298724A (zh) 连续高效纳米纤维非织造布的制备方法和生产装置
KR101291592B1 (ko)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추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CN1435515A (zh) 高分子纤维网制造装置和高分子纤维网的制造方法
KR101354509B1 (ko) 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1806316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US11162193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uniform deposition of polymeric nanofibers on substrate
CN108330550B (zh) 无喷头式静电纺丝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959839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55660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TW201341606A (zh) 製造奈米纖維與微米纖維材料之組合紡絲噴嘴
KR101354511B1 (ko)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162614B1 (ko)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056255B1 (ko) 전기방사용 절연 노즐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816735B1 (ko)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KR102106268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N115110159A (zh) 一种滑轮电极静电纺丝方法与装置
KR101426738B1 (ko) 원심력이 결합된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077722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