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735B1 -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735B1
KR101816735B1 KR1020160043928A KR20160043928A KR101816735B1 KR 101816735 B1 KR101816735 B1 KR 101816735B1 KR 1020160043928 A KR1020160043928 A KR 1020160043928A KR 20160043928 A KR20160043928 A KR 20160043928A KR 101816735 B1 KR101816735 B1 KR 101816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olyester
type composite
nanofiber sheet
sheath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611A (ko
Inventor
김학용
김태우
채수형
박미라
류야난
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나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나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나노
Priority to KR1020160043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73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69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pinning section, e.g. capillary tube, protrusion or p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means of rotating spinnere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M2/16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로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과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복합 전기방사하여 코어성분이 일반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며 시스성분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들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한 다음, 제조된 나노섬유 시트를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중에서 시스 성분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성분만 용융되는 온도로 열처리하여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동시에 이용하기 때문에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를 높은 생산성(토출량)으로 제조할 수 있고, 용매 휘발 및 회수가 용이하고, 방사액이 섬유상이 아닌 용액상태로 컬렉터 상에 떨어지는 현상(드롭 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시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는 투명성, 전도성, 내열성 및 장력이 우수하여 LED, 밧데리, 수퍼캐퍼시트 등의 에너지 저장 분야의 분리막, 태양광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분야의 분리막, 전극 소재 등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high transparent polyester nanofibers sheet}
본 발명은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높은 단위시간당 생산성과 공정성으로 투명성, 전도성, 내열성 및 장력이 우수한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라는 용어는 편심형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 방사용액을 복합섬유가 아닌 형태로 전기방사하여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는 투명성, 내열성, 강도 등이 부족하여 LED, 밧데리 및 슈퍼캐퍼시트 등의 에너지 저장분야의 분리막, 태양광 등의 에너지 발생분야의 분리막 또는 전극용 분리막 등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종래기술로서는 코어/시스 형태(2중관 형태)의 노즐을 통해 시스 형성용 방사용액과 코어 형성용 방사용액을 정전기력만으로 전기방사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종래방법은 정전기력에만 의존하여 전기방사를 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노즐 단위홀당 토출량이 0.01g 수준으로 매우 낮아 생산성이 떨어져 결국 양산화가 곤란하였고, 노즐 교체 및 청소도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의 생산량은 시간당 0.1~1 g 수준이고 용액 토출량은 시간당 1.0~5.0 mL 수준으로 매우 낮다[D. H. H. Renecker 등, Nanptechnology 2006, VOl 17, 1123]
구체적으로, 나노레터(Nano Letter), 2007, Vol7(4) 1081에는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2개의 노즐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배열된 복합노즐 중 내부직경이 0.4㎜인 하나의 노즐에 SnO2인 프리커서 용액을 공급하고, 내부 직경이 0.7㎜인 나머지 노즐에 TiO2 프리커서 용액을 공급한 후 전기방사하여 사이드-바이-사이드 형태인 TiO2/SnO2 복합 무기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방법은 정전기력만 의존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노즐 1개당 토출량이 매우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고, 노즐교체 및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폴리머(Polymer), 2003, Vol.44, 6353에서는 내부 직경이 0.7mm 이고 두께가 0.2mmm인 테프론 니들을 사용하고 여기에 두 종류의 용액이 니들 부분에서 합쳐지도록 실린더 펌프로 동시에 두 종류의 용액을 공급하고 백금 전극을 용액 내에 설치하여 전기방사를 행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의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방법 역시 정전기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노즐 1개당 토출량이 매우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고, 노즐 교체 및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방법들은 방사용액이 섬유상이 아닌 용액상태로 컬렉터 상에 떨어지는 현상(이하 "드롭렛 현상"이라고 한다)이 심하게 발생되어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시트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투명성, 전도성, 내열성 및 장력이 우수하여 에너지 저장분야의 분리막, 에너지 발생분야의 분리막 또는 전극 분리막 등으로 활용이 가능한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고전압 인가로 인한 작업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나노섬유 제조시 드롭렛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코어-시스형 나노섬유의 제조방법과 이를 활용한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로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과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복합 전기방사하여 코어성분이 일반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며 시스성분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들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한 다음, 제조된 나노섬유 시트를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중에서 시스 성분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성분만 용융되는 온도로 열처리하여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를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1a), (ⅱ) 상기 방사튜브 본체(1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1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 및 (ⅲ)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의 모서리 부분 각각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노즐(1c)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의 모서리 부분들이 방사튜브 본체(1a)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형성시켜 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ⅰ)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를 모터(7)로 회전시켜 주면서 전압발생장치(6)로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에 고전압을 걸어준 다음, (ⅱ)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를 이루는 노즐(1c) 내로 일반 폴리에스테르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 내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공급한 다음, (ⅲ) 노즐(1c) 내로 공급된 일반 폴리에스테르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 내로 공급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원심력과 전기력을 이용하여 전압발생장치(6)에 의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2) 방향으로 방사하여 코어성분이 일반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며 시스성분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들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한 다음, 제조된 나노섬유 시트를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중에서 시스 성분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성분만 용융되는 온도로 열처리하여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한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는 투명성, 전도성, 내열성 및 장력이 우수하여 LED, 밧데리, 수퍼캐퍼시트 등의 에너지 저장 분야의 분리막, 태양광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분야의 분리막, 전극 소재 등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은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동시에 이용하기 때문에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를 높은 생산성(토출량)으로 제조할 수 있고, 용매 휘발 및 회수가 용이하고, 방사액이 섬유상이 아닌 용액상태로 컬렉터 상에 떨어지는 현상(드롭 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시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중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의 사시개략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방사튜브(1)에 형성된 다각형 튜브상 중공(1b)의 모서리 부분에 노즐(1c)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으로 제조한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의 단면 모식도.
도 7은 실시예 1로 제조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도 8은 실시예 1로 제조한 코어-시스형 나노섬유 시트의 강도-신도 곡선(B) 및 상기 코어-시스형 나노섬유 시트 중 시스성분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용융, 압착시켜 제조한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강도-신도 곡선(A).
도 9는 실시예 1로 제조한 코어-시스형 나노섬유 시트와 상기 코어-시스형 나노섬유 시트 중 시스성분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용융, 압착시켜 제조한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투명도를 대비한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은,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를 모터(7)로 회전시켜 주면서 전압발생장치(6)로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에 고전압을 걸어준 다음,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를 이루는 노즐(1c) 내로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 내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공급한 다음, 노즐(1c) 내로 공급된 상기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과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 내로 공급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원심력과 전기력을 이용하여 전압발생장치(6)에 의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2) 방향으로 방사하여 코어성분이 일반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고 시스성분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들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 및
(ⅱ) 제조된 나노섬유 시트를 시스성분인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융점과 코어성분인 상기 일반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사이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나노섬유 시트를 구성하는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중에서 시스성분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성분만을 용융시켜 주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1a), (ⅱ) 상기 방사튜브 본체(1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1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 및 (ⅲ)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의 모서리 부분 각각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노즐(1c)로 구성되며,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의 모서리 부분들이 방사튜브 본체(1a)의 외주면과 맞닿아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로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과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복합 전기방사하여 코어성분이 일반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며 시스성분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들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한 다음, 제조된 나노섬유 시트를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중에서 시스 성분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성분만 용융되는 온도로 열처리하여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한다.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의 모서리 부분 각각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노즐(1c)이 방사튜브의 본체(1a)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는 편심형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일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의 모서리 부분 각각에 2개의 노즐(1c)들을 설치된 방사튜브(1)를 사용하면 코어성분이 2개인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일례로서,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의 모서리 꼭지점과 노즐(1c)간의 거리(d)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 및/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 내에 전도성 무기물을 첨가하여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일반 폴리에스테르는 단량체인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중합반응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95% 이상으로서 200℃ 이상의 융점을 구비하는 통상의 폴리에스테르이다.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단량체인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중합반응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10~94%로서 융점이 100~200℃ 수준이며, 폴리에스테르 중합시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과 함께 아이소프탈산 등을 일정 비율로 사용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연화점이 115℃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디클로로메탄과 트리플로로아세틱산이 1:1 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에 15중량%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시스형성용 용액)을 제조하였다.
일반 폴리에스테르를 디클로로메탄과 트리플로로아세틱산이 1:1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에 용해하여 고형분이 15중량%인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코어형성용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1a), (ⅱ) 상기 방사튜브 본체(1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1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4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 및 (ⅲ) 상기 4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의 모서리 부분 각각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직경이 0.7㎜인 노즐(1c)가 8개로 구성되며,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의 모서리 부분들이 방사튜브 본체(1a)의 외주면과 맞닿아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방사튜브(1)를 모터(7)로 450rpm으로 회전시켜주면서 전압발생장치(6)로 상기 방사튜브(1)에 40kV의 전압을 걸어준 다음, 상기 방사튜브(1)를 이루는 노즐(1c)내로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코어형성용 용액)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방사튜브(1)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 내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시스형성용 용액)을 공급한 다음, 상기 공급된 상기 방사용액들을 40kV의 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2) 방향으로 전기방사하여 시스-코어형 복합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코어형성용 용액)은 분당 0.22cc로 공급하고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시스형성용 용액)은 분당 0.20cc로 공급하였다. 이때 컬렉터(2)와 방사튜브(1) 간의 거리는 30㎝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스-코어형 복합 나노섬유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7과 같았고, 평균 섬유직경은 750㎚이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스-코어형 복합 나노섬유 시트를 13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시스 코어형 복합 나노섬유의 시스부를 구성하는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만을 용융시키면서 5kg/㎠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스-코어형 복합 나노섬유 시트(용융/압착 전 시트)와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용융/압착된 시트) 각각의 인장강력-인장강도 곡선을 측정한 결과는 도 8과 같았다. 도 8에서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용융/압착된 시트)는 인장강력이 7배 이상 증가하고 신도가 30% 정도 감소됨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스-코어형 복합 나노섬유 시트(용융/압착 전 시트)와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용융/압착된 시트) 각각의 투명도를 나타내는 사진은 도 9와 같았다.
시스-코어형 복합 나노섬유 시트(용융/압착전 시트)는 불투명한 상태이나, 시스성분이 용융/압착된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는 매우 투명한 상태로서 가시광선 하에서의 투명도가 82% 이었다.
1 :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1a : 방사튜브의 본체
1b :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 1c : 노즐
2: 컬렉터 3: 방사용액 분배판
3a :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코어 형성용 방사용액) 분배판
3b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쉬스 형성용 방사용액) 분배판
4 :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코어 형성용 방사용액) 공급탱크
5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쉬스 형성용 방사용액) 공급탱크
6 : 전압발생장치 7 : 모터
F :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Fc :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의 코어부
Fs :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의 쉬스부
X : 일반 폴리에스테르 Y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d : 노즐(1c)과 상기 노즐과 가장 인접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의 모서리 꼭지점 간의 거리.
A : 실시예 1로 제조한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강도-신도 곡선
B : 실시예 1로 제조한 코어-시스형 나노섬유 시트의 강도-신도 곡선
C : 실시예 1로 제조한 코어-시스형 나노섬유.
D : 실시예 1로 제조한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Claims (7)

  1.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1a), 상기 방사튜브 본체(1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1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 및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의 모서리 부분 각각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노즐(1c)로 구성되며,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의 모서리 부분들이 방사튜브 본체(1a)의 외주면과 맞닿아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를 모터(7)로 회전시켜 주면서 전압발생장치(6)로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에 고전압을 걸어준 다음,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를 이루는 노즐(1c) 내로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1)를 이루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 내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공급한 다음, 노즐(1c) 내로 공급된 상기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과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1b) 내로 공급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원심력과 전기력을 이용하여 전압발생장치(6)에 의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2) 방향으로 방사하여 코어성분이 일반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고 시스성분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들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 및
    (ⅱ) 제조된 나노섬유 시트를 시스성분인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융점과 코어성분인 상기 일반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사이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나노섬유 시트를 구성하는 코어-시스형 복합 나노섬유 중에서 시스성분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성분만을 용융시켜 주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폴리에스테르 용액 내에 무기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 내에 무기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폴리에스테르는 단량체인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중합반응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단량체인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중합반응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10~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60043928A 2016-04-11 2016-04-11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KR101816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928A KR101816735B1 (ko) 2016-04-11 2016-04-11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928A KR101816735B1 (ko) 2016-04-11 2016-04-11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611A KR20170116611A (ko) 2017-10-20
KR101816735B1 true KR101816735B1 (ko) 2018-01-10

Family

ID=6029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928A KR101816735B1 (ko) 2016-04-11 2016-04-11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36290A1 (en) * 2018-04-09 2021-02-04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orous Body, Separator for Lead Acid Storage Batteries, and Lead Acid Storage Battery
CN110670160B (zh) * 2019-11-19 2021-03-02 杭州东南纺织有限公司 涤纶定型保温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296B1 (ko) 2012-02-22 2013-05-15 주식회사 우리나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323581B1 (ko) 2012-04-26 2013-10-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296B1 (ko) 2012-02-22 2013-05-15 주식회사 우리나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323581B1 (ko) 2012-04-26 2013-10-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611A (ko)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039B1 (ko) 3차원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액체 컬렉터를 이용한 이의 제조 방법
KR101816733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ark et al. Apparatus for preparing electrospun nanofibers: designing an electrospinning process for nanofiber fabrication
KR101719377B1 (ko) 정전기 방사 조립체
KR101559494B1 (ko) 가요성 투명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06317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Yousefzadeh et al. A note on the 3D structural design of electrospun nanofibers
CN106757418B (zh) 一种静电纺纳米纤维发生装置
KR101668391B1 (ko) 단일 배향성 고밀도 탄소나노섬유펠트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펠트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펠트 응용제품
WO2005123995A1 (en) Filament bundle type nano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i et al. Electrospinning of continuous nanofiber bundles and twisted nanofiber yarns
KR100630578B1 (ko) 나노섬유로 강화된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16735B1 (ko)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Figen History, basics, and parameters of electrospinning technique
KR100734181B1 (ko) 듀얼 섬유용 방사 실린지
CN108796632B (zh) 用于制备有序纤维的静电纺丝方法
KR101806316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0514572B1 (ko) 초극세 단섬유의 제조방법
KR101056255B1 (ko) 전기방사용 절연 노즐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959839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Ermagambet et al. Methods for producing carbon nanofibers from coal pitch
KR102010255B1 (ko) 이온교환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153213B1 (ko) 다중 섬유의 동시 제조를 위한 멀티 원심방사디스크와 이를 이용한 단일층 복합 나노 필터의 제조 방법
Yan et al. Guiding parameters for electrospinning process
KR102021286B1 (ko) 이온교환막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