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582A -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582A
KR20170079582A KR1020150190320A KR20150190320A KR20170079582A KR 20170079582 A KR20170079582 A KR 20170079582A KR 1020150190320 A KR1020150190320 A KR 1020150190320A KR 20150190320 A KR20150190320 A KR 20150190320A KR 20170079582 A KR20170079582 A KR 20170079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terminal
bus ba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훈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0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9582A/ko
Publication of KR20170079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원분배장치의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하는데, 상기 하우징(10)에는 제1슬롯(11)과 제2슬롯(12)이 서로 격리되어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슬롯(11)에는 제1플렉시블 버스바(60)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슬롯(12)에는 제2플렉시블 버스바(62)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에 삽입되도록 쉴드케이스(47)가 구비되고, 상기 쉴드케이스(47)에는 입력커넥터차폐부(50)와 제1출력커넥터차폐부(52)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입력커넥터차폐부(50)는 입력커넥터(35)가 설치되어 전원측에서 오는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1출력커넥터차폐부(52)에는 제1출력커넥터(40)가 설치되어 부하측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인터락유닛(39,45)과 연결 분리되어 유지보수시에 안전을 위한 인터락연결단자(30)의 양단에 있는 접촉부(33) 선단에는 지지단(34)이 설치되어 접촉부(33)가 인터락유닛(39,45) 측과 보다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플렉시블 버스바(60,62)에 의해 조립작업이 간편해지고 인터락연결단자(30)의 동작특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Power distribut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본 발명은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의 버스바를 사용하여 전원을 분배하여 다수개의 부하측으로 전달하는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는 전원분배장치가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사용된다. 최근에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자동차가 상용화되면서, 고전압을 분배하는 전원분배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전압을 분배하는 전원분배장치에서는 회로의 구성을 위한 버스바가 하우징에 정확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버스바를 하우징을 사출성형하면서 인서트하여 하우징과 버스바를 일체로 만든다. 이와 같이 버스바를 하우징에 인서트하여 사출하기 위해서는 버스바의 갯수 많아지면 금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버스바의 갯수를 최소화하게 되면 버스바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사출압력에 의해 버스바가 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댜. 이와 같은 문제는 회로 구성이 제대로 되지 않게 만들고, 전원분배장치와 연결되는 커넥터와의 결합에도 문제가 생기게 한다.
또한,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전원분배장치에서는 유지보수 작업시의 안전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고전압에 의한 작업자의 감전사고 때문이다. 이를 위해 유지보수작업을 위해 전원분배장치의 커버를 개방하는 순간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인터락연결단자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인터락연결단자라는 별도의 단자가 전원공급 제어를 위한 회로상에 있음으로 해서 전원연결 특성이 나빠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789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전압을 위한 전원분배장치에서 버스바를 하우징 내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전원분배장치에서 전원공급 제어를 위한 회로의 연결특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으로 개구되게 제1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과 격리된 제2슬롯이 타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슬롯에 설치되어 회로를 구성하고 다수개의 금속판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1플렉시블 버스바와, 상기 제2슬롯에 설치되어 회로를 구성하고 다수개의 금속판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2플렉시블 버스바와,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입력커넥터차폐부와 제1출력커넥터차폐부가 형성되며 금속물로 만들어지는 쉴드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커넥터차폐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커넥터와 상기 제1출력커넥터차폐부에 설치되어 부하측과 연결되는 제1출력커넥터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입력커넥터는 입력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형성된 단자안착공간에는 제1입력단자와 제2입력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출력커넥터는 출력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형성된 단자안착공간에는 제1출력단자와 제2출력단자가 구비된다.
상기 제1버스바는 상기 제1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개방된 제2출력체결홈부에 일단부가 위치되어 부하측의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제2버스바는 상기 제2입력단자 및 제2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개방된 또 다른 제2출력체결홈부에 일단부가 위치되어 부하측의 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이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쉴드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케이스커버가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커버에는 인터락연결단자가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커버가 상기 쉴드케이스에서 분리되면 상기 입력커넥터와 제1출력커넥터의 인터락유닛과의 접촉이 끊어지도록 된다.
상기 인터락연결단자는 상기 케이스커버에 고정된 하우징커버에 형성된 연결단자안착부에 설치되는데, 연결단자몸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접촉부의 선단에는 하우징커버의 일면에 지지되는 지지단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중앙부가 인터락유닛측에 밀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에 형성된 제1슬롯의 형상에 맞춰 제1플렉시블 버스바를 조정하여 삽입하고 제2슬롯의 형상에 맞춰 제2플렉시블 버스바를 조정하여 삽입하는 버스바삽입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플렉시블 버스바가 설치된 하우징을 쉴드케이스 내에 안착하는 하우징안착단계와, 상기 쉴드케이스에 입력커넥터와 제1출력커넥터를 삽입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렉시블 버스바와 연결하는 커넥터연결단계와, 상기 쉴드케이스의 입구에 인터락연결단자가 설치된 하우징커버가 구비된 케이스커버를 장착하는 케이스커버장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연결단계 후에는 퓨즈를 상기 입력커넥터와 제1플렉시블 버스바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제1출력커넥터 측과 연결되도록 하는 퓨즈연결단계를 진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의 제1슬롯과 제2슬롯에 설치되는 버스바를 어느 정도의 유연성이 있는 일명 플렉시블 버스바를 사용하였다. 플렉시블 버스바의 경우 제작시에 어느 정도의 공차가 있더라도 제1슬롯과 제2슬롯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여 조립작업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렉시블버스바를 사용하게 되면 타발작업을 한 후에 프레스를 사용하여 절곡작업을 하지 않고, 실제 조립 과정에서 적절한 형상으로 만들어 사용하면 되므로 제조시에 프레스를 사용한 절곡이 필요없게 되어 상대적으로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인터락연결단자의 양단부에 형성된 접촉부 선단이 돌출대에 지지되도록 되어 접촉부의 중앙부분이 각각의 인터락유닛 측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므로 사용중에 전원공급회로에서의 통전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원분배장치의 동작특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인터락연결단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하우징커버에 인터락연결단자가 삽입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인터락연결단자가 하우징커버에 설치된 것과 그 주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하는 플렉시블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전원분배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과정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장치의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으로 개방되게 제1슬롯(11)이 형성되고 타측면으로 개방되게 제2슬롯(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슬롯(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플렉시블 버스바(60)가 삽입되어 안착되고, 상기 제2슬롯(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플렉시블 버스바(62)가 안착된다. 상기 제1슬롯(12)과 제2슬롯(14)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서로 연통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제1플렉시블 버스바(60)와 제2플렉시블 버스바(62) 사이의 절연이 보장된다.
상기 제1슬롯(11)이 형성된 하우징(10)의 외측면에는 입력체결홈부(13,13')가 형성된다. 상기 입력체결홈부(13,13')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너트(64)가 안착되어 단자체결구(66)에 의해 단자와 버스바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입력체결홈부(13)는 상기 하우징(10)의 도면상 상부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입력체결홈부(13')를 상기 하우징(10)의 도면상 상부에서 볼 수 있도록 공구통공(14)이 형성된다. 상기 공구통공(14)을 통해 상기 입력체결홈부(13')에 단자체결구(66)를 넣고 공구로 죄거나 풀 수 있다.
상기 제2슬롯(12)이 개구된 쪽의 하우징(10) 측면에는 제1출력체결홈부(15)가 개구된다. 상기 제1출력체결홈부(15)는 상기 하우징(10)의 도면상 상부로도 개방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중 상기 제2슬롯(12)에 인접한 외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출력체결홈부(15')가 개구된다. 상기 제1출력체결홈부(15')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도면상 상부로 개방된 공구통공(16)을 통해 단자체결구(66)가 삽입되어 공구에 의해 죄고 풀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중 상기 공구통공(14,16)이 형성된 쪽과 반대쪽으로 개방되게 제2출력체결홈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제2출력체결홈부(18)의 내부에도 체결너트(64)가 삽입되어 플렉시블 버스바(60)(62)와 외부 단자가 단자체결구(66)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도면상 상부, 즉 상기 공구통공(14,16)이 개구된 쪽을 덮도록 하우징커버(2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커버(20)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68)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커버(2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일측면에는 돌출대(23)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출대(23)의 측면으로 개방되게 연결단자안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단자안착부(24)는 아래에서 설명될 인터락연결단자(30)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비하는데, 상기 연결단자안착부(24) 내부에는 돌출바(25)가 2개가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돌출바(25)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연결단자안착부(24)의 내면에는 고정돌기(2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6)에는 상기 연결단자안착부(24)의 입구를 향해 경사지게 안내면(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바(25)에 인접하여 상기 연결단자안착부(24)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외면과 마주보게 개방되는 연통슬롯(28)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슬롯(28)을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인터락연결단자(30)의 접촉부(33)가 돌출된다.
상기 연결단자안착부(24)에는 인터락연결단자(30)가 안착된다. 상기 인터락연결단자(30)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연결단자몸체(31)는 판스프링으로 된 것이다. 상기 연결단자몸체(31)의 중앙에는 고정홈(3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32)에는 상기 고정돌기(26)가 위치되어 인터락연결단자(30)가 상기 연결단자안착부(24)에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단자몸체(31)의 양단에는 접촉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33)는 탄성을 가지고 아래에서 설명될 입력인터락유닛(39)과 출력인터락유닛(45)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33)는 각각의 선단에 지지단(34)이 있다. 상기 지지단(34)은 상기 돌출대(23)의 연통슬롯(28)과 인접한 면에 안착된다. 상기 지지단(34)이 상기 돌출대(23)의 표면에 밀착됨에 의해 상기 접촉부(33)는 돌출대(23)의 표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상대물에의 접촉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인터락연결단자(30)가 설치되는 하우징커버(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케이스커버(56)에 압입설치되어 일체로 동작된다. 즉, 상기 케이스커버(56)가 아래에서 설명될 쉘드케이스(47)에 체결되고 분리될 때, 상기 하우징커버(20)는 상기 케이스커버(56)와 함께 이동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입력체결홈부(13,13')쪽에는 입력커넥터(35)가 설치된다. 상기 입력커넥터(35)는 입력하우징(37)이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입력하우징(37)은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입력하우징(37)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단자안착공간(37')이 다수개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단자안착공간(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안착공간(37')에는 제1입력단자(38), 제2입력단자(38') 그리고 입력인터락유닛(39)이 설치된다. 상기 제1입력단자(38)와 제2입력단자(38')는 전원측에 연결된 커넥터의 단자와 결합된다.
상기 입력인터락유닛(39)은 상기 입력커넥터(35)에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고 분리될 때,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입력인터락유닛(39)은 상기 입력단자(38,38')들이 상대 커넥터의 단자들과 분리되는 것보다 빨리 분리되고, 상기 입력단자(38,38')들이 상대 커넥터의 단자들과 결합된 후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터락유닛(39)이 상대 커넥터의 인터락유닛과 결합 분리됨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고 제거되어 고전압에 의한 스파크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입력커넥터(35)가 장착된 하우징(10)의 반대쪽에는 제1출력커넥터(4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출력커넥터(40)의 골격을 출력하우징(42)이 형성한다. 상기 출력하우징(42)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다수개의 단자안착공간(42')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안착공간(42')에는 제1출력단자(43), 제2출력단자(43') 그리고 출력인터락유닛(45)이 설치된다.
쉴드케이스(47)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캐스팅작업을 통해 쉘드케이스(47)가 만들어진다. 상기 쉴드케이스(47)는 전자파 차폐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쉴드케이스(47)의 골격과 외관을 케이스몸체(48)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몸체(48)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하게 내부공간(48')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48')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도면상 상반부가 위치된다. 상기 케이스몸체(48)의 내부공간(48') 입구로 개방되게 다수개의 몸체체결공(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체결공(4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체결구(59)가 체결된다. 상기 내부공간(48')의 입구에 해당되는 상기 케이스몸체(48)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시일(54)이 안착되는 시일홈(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쉴드케이스(47)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장착브라켓(49)이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49)에는 체결공(49')이 형성되어 있어, 전체 전원분배장치를 차량의 고정부에 장착시키게 된다.
상기 케이스몸체(48)에는 입력커넥터차폐부(50)와 출력커넥터차폐부(5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커넥터차폐부(50)는 상기 입력커넥터(45)의 외측면을 둘러싸게 되고, 상기 출력커넥터차폐부(52)는 상기 출력커넥터(40)의 외측면을 둘러싸게 된다.
상기 쉴드케이스(47)의 내부공간(48')의 상부측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제1시일(54)이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케이스커버(56)와의 사이에서 수밀작용을 한다. 상기 쉴드케이스(47)의 내부공간(48')의 하부측 입구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 사이에도 도시되지 않은 시일이 설치되어 수밀작용을 한다.
상기 쉴드케이스(47)의 내부공간(48')을 외부와 차폐하기 위해 케이스커버(56)가 사용된다. 상기 케이스커버(56)는 상기 내부공간(48')의 입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케이스커버(56)에는 상기 몸체체결공(48")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58)을 커버체결구(59)가 관통하여 상기 몸체체결공(48")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케이스커버(56)가 쉴드케이스(47)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제1슬롯(11)에는 제1플렉시블 버스바(60)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플렉시블 버스바(60)는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얇은 도전성 금속재질의 판을 적층하여 만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플렉시블 버스바(60)는 어느 정도 유연한 특성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1플렉시블 버스바(60)를 구성하는 다수의 금속판은 모든 영역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고 일부에서만 서로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양단부에서만 금속판들이 초음파용접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1플렉시블 버스바(60)는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에서는 어느 정도 유연하게 굽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플렉시블 버스바(60)의 일단부는 상기 입력커넥터(35)의 제1입력단자(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플렉시블 버스바(60)는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제2출력체결홈부(18)중 하나에 위치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플렉시블 버스바(60)의 구성은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제2슬롯(12)에는 제2플렉시블 버스바(62)가 설치된다. 상기 제2플렉시블 버스바(62)는 일측이 상기 입력커넥터(35)의 제2입력단자(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출력커넥터(40)의 제2출력단자(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플렉시블 버스바(62)의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제2출력체결홈부(18)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버스바(60,62)와 입력단자(38,38'), 출력단자(43,43') 그리고 상기 제2출력체결홈부(18)에서 외부 단자와의 연결을 위해서는 체결너트(64)가 사용된다. 상기 체결너트(64)는 상기 제1입력체결홈부(14,14'), 제1출력체결홈부(15,15') 그리고 제2출력체결홈부(18)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버스바(60,62)나 단자(38,38')(43,43')를 관통한 단자체결구(66)가 체결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도면 상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커버(20)의 공간부(22)에 위치되게 퓨즈(68)가 설치된다. 상기 퓨즈(68)의 레그(69)들은 상기 단자체결구(66)가 상기 체결너트(64)에 체결됨에 의해 일측은 상기 제1입력단자(38) 및 제1버스바(60)와 동시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출력단자(43)에 체결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장치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전원분배장치가 조립되는 과정을 도 8에 도시하고 있는데,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분배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모두 만들어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체결홈부(13,13')(15,15')(18)들에 체결너트(64)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체결너트(64)를 상기 하우징(10)의 제조시에 미리 인서트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플렉시블 버스바(60)를 제1슬롯(11)에 상기 제2플렉시블 버스바(62)를 제2슬롯(12)에 삽입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플렉시블 버스바(60)가 제1슬롯(11)의 형상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제1플렉시블 버스바(60)를 상기 제1슬롯(11)의 형상에 맞게 절곡위치를 이동시키게 절곡하면서 조립작업을 할 수 있다. 이는 제2플렉시블 버스바(62)를 제2슬롯(12)에 삽입하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1플렉시블 버스바(60)와 제2플렉시블 버스바(62)를 하우징(10)에 장착한 후에는 상기 쉴드케이스(47)를 상기 하우징(10)에 장착한다. 상기 쉴드케이스(47)의 상기 내부공간(48')에 상기 하우징(10)의 상반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쉴드케이스(47)의 입력커넥터차폐부(50)에는 상기 입력커넥터(35)를 삽입하고, 상기 출력커넥터차폐부(52)에는 제1출력커넥터(40)를 삽입한다. 상기 제1커넥터(35)와 제2커넥터(40)를 상기 하우징(10)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제1입력단자(38)와 제1버스바(60)가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입력단자(38)에 형성된 관통공(도면부호 부여않음)과 제1버스바(60)에 형성된 관통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서로 일치하여 상기 입력체결홈부(13)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입력단자(38')의 관통공과 상기 제2플렉시블 버스바(62)의 대응되는 관통공이 상기 입력체결홈부(13')에 있어 상기 단자체결구(66)를 상기 공구통공(14)을 통해 삽입하여 체결너트(64)에 체결하게 된다. 상기 제1출력커넥터(40)의 제1출력단자(43)의 관통공은 제1출력체결홈부(15)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출력단자(43')의 관통공은 상기 제1출력체결홈부(15')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2출력단자(43')와 제2플렉시블 버스바(62)의 체결을 위해 상기 공구통공(16)을 통해 단자체결구(66)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너트(64)중에서 상기 제1출력체결홈부(15')에 위치한 것과 체결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퓨즈(68)를 상기 쉴드케이스(47)의 내부공간(48')에 해당되는 하우징(10)의 외면에 위치시킨다. 상기 퓨즈(68)의 레그(69)중 하나는 상기 제1입력단자(38)와 제1플렉시블 버스바(60)가 함께 있는 입력체결홈부(13)에 위치하여 단자체결구(66)를 사용하여 이들에 체결된다. 상기 퓨즈(68)의 레그(69)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출력단자(43)가 있는 제1출력체결홈부(15)에 위치하여 단자체결구(66)에 서로 체결된다.
상기 퓨즈(68)를 설치한 후에는 상기 케이스커버(56)를 상기 쉴드케이스(47)에 장착한다. 상기 케이스커버(56)에는 상기 하우징커버(2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커버(20)에는 상기 연결단자(3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단자(30) 양측의 접촉부(33)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연통슬롯(28)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돌출대(23)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외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접촉부(34)의 지지단(34)은 상기 돌출대(23)의 표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접촉부(33)의 탄성변형을 만들어내어 접촉부(33)의 중앙부가 상대물 측에 더 밀착되도록 한다. 이는 하나의 접촉부(33)의 선단부와 기저부가 동시에 힘을 가하므로 접촉부(33)의 중앙부가 보다 더 상대물에 밀착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접촉부(33)가 밀착되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상기 입력인터락유닛(39)의 단자와 상기 출력인터락유닛(45)의 단자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30)가 이들 인터락유닛(39,45)의 단자에 접촉하지 않게 되면 상기 입력커넥터(35)를 통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전원분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입력커넥터(35)와 제1출력커넥터(40)에는 각각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고, 상기 제2출력체결홈부(18)에는 상대 단자가 단자체결구(66)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커넥터(35)측을 통해 들어온 전원은 상기 제1출력커넥터(40)측을 통과해 소정의 부하로 전달되고, 상기 제2출력체결홈부(18)에 위치된 제1버스바(60)와 제2버스바(62)를 통해 또 다른 부하로 전달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퓨즈(68)는 제1출력커넥터(40)가 연결되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서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쉴드케이스(47)의 내부공간(48')을 상기 케이스커버(56)가 차폐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케이스커버(56)는 상기 쉴드케이스(47)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10: 하우징 11: 제1슬롯
12: 제2슬롯 13,13': 입력체결홈부
14: 공구통공 15,15': 제1출력체결홈부
16: 공구통공 18: 제2출력체결홈부
20: 하우징커버 22: 공간부
23: 돌출대 24: 연결단자안착부
25: 돌출바 26: 고정돌기
28: 연통슬롯 30: 인터락연결단자
31: 연결단자몸체 32: 고정홈
33: 접촉부 34: 지지단
35: 입력커넥터 37: 입력하우징
37': 단자안착공간 38: 제1입력단자
38': 제2입력단자 39: 입력인터락유닛
40: 제1출력커넥터 42: 출력하우징
43: 제1출력단자 43': 제2출력단자
45: 출력인터락유닛 47: 쉴드케이스
48: 케이스몸체 48': 내부공간
48": 몸체체결공 49: 장착브라켓
49': 체결공 50: 입력커넥터차폐부
52: 제1출력커넥터차폐부 54: 제1시일
56: 케이스커버 58: 체결공
60: 제1플렉시블 버스바 62: 제2플렉시블 버스바
64: 체결너트 66: 단자체결구
68: 퓨즈 69: 레그

Claims (8)

  1. 일측으로 개구되게 제1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과 격리된 제2슬롯이 타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슬롯에 설치되어 회로를 구성하고 다수개의 금속판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1플렉시블 버스바와,
    상기 제2슬롯에 설치되어 회로를 구성하고 다수개의 금속판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2플렉시블 버스바와,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입력커넥터차폐부와 제1출력커넥터차폐부가 형성되며 금속물로 만들어지는 쉴드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커넥터차폐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커넥터와 상기 제1출력커넥터차폐부에 설치되어 부하측과 연결되는 제1출력커넥터가 더 구비되는 전원분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커넥터는 입력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형성된 단자안착공간에는 제1입력단자와 제2입력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출력커넥터는 출력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형성된 단자안착공간에는 제1출력단자와 제2출력단자가 구비되는 전원분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바는 상기 제1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개방된 제2출력체결홈부에 일단부가 위치되어 부하측의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제2버스바는 상기 제2입력단자 및 제2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개방된 또 다른 제2출력체결홈부에 일단부가 위치되어 부하측의 단자와 연결되는 전원분배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쉴드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케이스커버가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커버에는 인터락연결단자가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커버가 상기 쉴드케이스에서 분리되면 상기 입력커넥터와 제1출력커넥터의 인터락유닛과의 접촉이 끊어지도록 되는 전원분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연결단자는 상기 케이스커버에 고정된 하우징커버에 형성된 연결단자안착부에 설치되는데, 연결단자몸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접촉부의 선단에는 하우징커버의 일면에 지지되는 지지단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중앙부가 인터락유닛측에 밀착되도록 하는 전원분배장치.
  7. 하우징에 형성된 제1슬롯의 형상에 맞춰 제1플렉시블 버스바를 조정하여 삽입하고 제2슬롯의 형상에 맞춰 제2플렉시블 버스바를 조정하여 삽입하는 버스바삽입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플렉시블 버스바가 설치된 하우징을 쉴드케이스 내에 안착하는 하우징안착단계와,
    상기 쉴드케이스에 입력커넥터와 제1출력커넥터를 삽입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렉시블 버스바와 연결하는 커넥터연결단계와,
    상기 쉴드케이스의 입구에 인터락연결단자가 설치된 하우징커버가 구비된 케이스커버를 장착하는 케이스커버장착단계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 조립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연결단계 후에는 퓨즈를 상기 입력커넥터와 제1플렉시블 버스바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제1출력커넥터 측과 연결되도록 하는 퓨즈연결단계를 진행하는 전원분배장치 조립방법.
KR1020150190320A 2015-12-30 2015-12-30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170079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20A KR20170079582A (ko) 2015-12-30 2015-12-30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20A KR20170079582A (ko) 2015-12-30 2015-12-30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582A true KR20170079582A (ko) 2017-07-10

Family

ID=5935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320A KR20170079582A (ko) 2015-12-30 2015-12-30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958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815A (ko) * 2018-12-10 2020-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퓨즈 통합형 정션 커넥터 조립체
KR102324875B1 (ko) * 2020-06-25 2021-11-1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KR20220009172A (ko) 2020-07-15 2022-01-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KR20220169349A (ko) 2021-06-18 2022-1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록
KR102528616B1 (ko) * 2022-05-27 2023-05-11 주식회사 진양코퍼레이션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US11791597B2 (en) * 2021-02-05 2023-10-17 Aptiv Technologies (2) S.À R.L. Flexible electrical bus 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852552B2 (en) 2019-03-26 2023-12-26 Korea Electric Terminal Co., Ltd. Pressure sensor with a communicating passage in a straight lin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815A (ko) * 2018-12-10 2020-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퓨즈 통합형 정션 커넥터 조립체
US11852552B2 (en) 2019-03-26 2023-12-26 Korea Electric Terminal Co., Ltd. Pressure sensor with a communicating passage in a straight line
KR102324875B1 (ko) * 2020-06-25 2021-11-1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KR20220009172A (ko) 2020-07-15 2022-01-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US11791597B2 (en) * 2021-02-05 2023-10-17 Aptiv Technologies (2) S.À R.L. Flexible electrical bus 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169349A (ko) 2021-06-18 2022-1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록
KR102528616B1 (ko) * 2022-05-27 2023-05-11 주식회사 진양코퍼레이션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973278B1 (ko) 커넥터
KR20150105211A (ko) 커넥터
KR101759529B1 (ko) 고접압 커넥터
US8535095B2 (en) Clip-type elastic contact piece and shielded connector housing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779004B1 (ko) 버스바조립체가 구비된 차량용 블록
JP2014232688A (ja) 端子台
CN104953522A (zh) 电气安装设备的暗装嵌件
JP4813391B2 (ja) 分岐コネクタ
KR20160066182A (ko) 조인트 커넥터
US11088485B2 (en)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5979445B2 (ja) 端子台
WO2015098482A1 (ja) 電気回路装置
US10218104B2 (en) Connector with a spring terminal ensuring reliable connection to a mating terminal
US8507809B2 (en) Component-equipped-holder mounting structure
US20220013945A1 (en) Connector
KR101969993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JP2018133333A (ja) コネクタ、ソケット、及び接続システム
KR100971668B1 (ko) 반도체 검사장비 및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접속구조
KR100998813B1 (ko) 차폐형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도전성탄성부재
KR101991105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JP5888801B1 (ja) 電気接続箱
KR101666869B1 (ko) 전원분배장치
WO2008012608A1 (en) Connecting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ground connection
KR101872838B1 (ko) 고전압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