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223A -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223A
KR20170076223A KR1020150186240A KR20150186240A KR20170076223A KR 20170076223 A KR20170076223 A KR 20170076223A KR 1020150186240 A KR1020150186240 A KR 1020150186240A KR 20150186240 A KR20150186240 A KR 20150186240A KR 20170076223 A KR20170076223 A KR 2017007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active ingredient
polymer
capsul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803B1 (ko
Inventor
심성보
홍우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6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8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성 성분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형성되고, 서로 이온 결합된 양이온성 고분자와 음이온성 고분자를 아미노산으로 가교결합시킨 고분자를 포함하여 수계에서 하이드로젤을 형성할 수 있는 쉘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드로젤 캡슐 내부에 포집된 활성 성분은 계면활성제 혹은 염이 존재하는 용액 조건의 제형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이드로젤을 형성하는 키토산, 히알루론산 등은 생체 친화적이고 고유의 피부 개선 효과가 있어 활성 성분의 효능 외에 하이드로젤 자체적인 피부 보습, 개선 등의 부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Hydrogel Capsul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불안정한 활성 성분을 포접하여 효과적으로 안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이드로젤 자체의 보습, 피부 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젤의 대표적인 특성은 물에 팽윤할 수 있는 친수기 고분자의 망상구조로서 많은 양의 물을 함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 공유 결합에 의하여 생기는 화학적 가교에 의한 것과 물리적인 상호작용에 따른 물리적 가교에 의한 것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물리적으로 구성된 망상구조는 공유 결합처럼 가교점들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고 물리적 결합구역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비공유 결합성 상호 작용은 쌍극자 상호작용, 전기적 상호작용, 수소결합, 소수성 결합 등과 같은 상호 작용을 포함한다.
또한 하이드로젤은 친수성의 그물 구조를 갖는 중합체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는 유리와 같은 상태지만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면 부드럽고 탄력성이 있는 젤 형태로 변한다. 이러한 점은 하이드로젤이 생체 내 주위의 조직과 기계적 마찰을 덜 일으켜 생체 적합성이 매우 크게 된다. 이에 하이드로젤을 약물전달, 조직공학 등에 응용하는 연구뿐만 아니라 화장료에도 응용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1268호는 자외선 차단제용 나노무기입자를 수계에서 하이드로젤을 형성할 수 있는 친수성 고분자 캡슐 내부에 봉입시킴으로써 피부에 도포 시 고분자가 얇은 하이드로젤 필름을 형성하여 캡슐 내 함유되어있는 나노무기입자를 잡아주어 나노무기입자의 피부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캡슐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1268호: 하이드로젤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를 이용한 자외선차단제용 나노무기입자를 함유하는 캡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과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내부에 포접된 활성 성분이 어떠한 환경 요인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그 구조와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이드로젤 자체의 피부 보습,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활성 성분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형성되고, 서로 이온 결합된 양이온성 고분자와 음이온성 고분자를 아미노산으로 가교결합시킨 고분자를 포함하여 수계에서 하이드로젤을 형성할 수 있는 쉘
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캡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오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상 및 ii) 정제수, 활성성분, 양이온성 고분자, 음이온성 고분자와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수상을 혼합하여 얻은 w/o 에멀젼에서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하이드로젤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드로젤 캡슐 내부에 포집된 활성 성분은 계면활성제 혹은 염이 존재하는 용액 조건의 제형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이드로젤을 형성하는 키토산, 히알루론산 등은 생체 친화적이고 고유의 피부 개선 효과가 있어 활성 성분의 효능 외에 하이드로젤 자체적인 피부 보습, 개선 등의 부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젤 캡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은 실험예 1에서 하이드로젤 캡슐 조성물의 피부세포 에너지 생성 증가 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3은 실험예 2에서 하이드로젤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험 제형 사용에 따른 피부 수분량 변화를 관찰한 그래프이다.
도 4은 실험예 3에서 하이드로젤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험 제형 사용에 따른 경표피 수분 손실량 변화를 관찰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 캡슐은 코어-쉘 구조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서로 이온 결합된 양이온성 고분자와 음이온성 고분자를 아미노산으로 가교결합시킨 고분자를 포함하여 수계에서 하이드로젤을 형성할 수 있는 쉘을 포함한다.
상기 쉘에 포함된 고분자는 수계에서 하이드로젤이 되어 캡슐의 벽제를 형성하므로 활성 성분 코어를 계면활성제, 물리적인 힘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정화 시킬 수 있다.
하이드로젤 캡슐 내부에 포접되는 활성 성분은 다양한 화장료의 제형에서 입자 내에 들어갈 수 있는 생리 활성 성분으로서, 화장료에 일정한 효능 또는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알려진 대부분의 검증된 생리 활성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불안정한 생리 활성 소재로서 미백제, 콜라겐 합성 촉진제, 주름 제거제, 피부 장벽 강화제, 노화 억제제, 보습제 등의 화장료 조성에 사용되는 생리 활성 성분이 가능하다.
상기 활성 성분은 수용성 뿐만 아니라 유용성 활성성분도 가능하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데베논(Idebenone), 코엔자임 큐10,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들, 비타민 C 유용성 유도체들,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인산,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 레티닐 리놀리에이트, 레티닐 팔미테이트, 비스레틴아미도메틸펜탄,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우르솔릭산(ursolic acid), 디아세틸볼딘(diacetyl boldine), 유용성 캐비어 추출물, 유용성 감초추 출물 등의 유용성 활성성분이 가능하다. 또한, 수용성 활성성분으로는 아데노신, 알부틴, 비타민 C 및 그 친수성 유도체들, 비타민 B3, 비타민 B5 및 비타민 H를 포함하는 친수성 비타민류 및 그 유도체; 코직산 및 그 유도체들; 아세틸글루코사민 효모 추출물, 수용성 캐비어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를 포함한 센텔라아시아티카 추출물 및 셀레늄 아스파테이트를 포함하는 식물추출물; 및 세포배양을 통해 얻어진 각종 펩타이드가 가능하다.
이때 활성 성분은 리포좀, 나노 입자, 나노 베지클, 사이클로덱스트린 캡슐 등으로 1차 안정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2차 캡슐화하여 이중의 멀티캡슐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수용성 또는 유용성 활성 성분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리포좀의 경우,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존재하는 화장료 제형이나 각종 염이 함유된 수용액 제형에서 리포좀의 막이 깨어지고 미셀로 돌아가기 때문에 활성성분의 안정화를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하이드로젤 캡슐로 멀티캡슐을 형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쉘을 형성하는 고분자는 서로 이온 결합된 양이온성 고분자와 음이온성 고분자를 아미노산으로 가교결합시킨 것이다. 구체적으로 양이온성 고분자와 음이온성 고분자가 이온 결합을 통해 망상 구조를 형성하고, 이들을 아미노산을 사용하여 공유가교결합시킴으로써 고분자는 수계에서 많은 양의 물을 함유하여 팽윤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양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고분자로 키토산,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52, 폴리쿼터늄-61,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공중합체 등이 가능하다.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고분자로 히알루론산, 폴리아크릴레이트, 단당류, 다당류, 셀룰로오즈, 젤라틴,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전분, 산화전분,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등이 가능하다.
양이온성 고분자와 음이온성 고분자는 그 분자량이 10,000~1,000,000 Da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아미노산은 양이온성 고분자와 음이온성 고분자의 링커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아미노산의 R 그룹의 특성, pI 값, 분자량이 적절해야 가교결합 형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R 그룹은 비극성 지방족, 극성 비전하, 양전하기이어야 하고, 분자량은 100 이상, pI 값은 5 내지 10인 아미노산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프롤린, 발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리신, 및 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 캡슐은 그 입자 크기가 1~10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 캡슐은
a) 오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b) 정제수, 활성성분, 양이온성 고분자, 음이온성 고분자와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유상에 상기 수상을 투입하여 w/o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w/o 에멀젼을 40~150℃로 가열하면서 수상에서 양이온성 고분자, 음이온성 고분자와 아미노산의 중합 및 가교반응을 진행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d)의 w/o 에멀젼으로부터 하이드로젤 캡슐을 회수하는 단계
를 거쳐 제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젤 캡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오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상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일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폴리데센 및 파라핀 오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옥틸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합성오일;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에칠트리실록산, 트리실록산 및 사이클로헵타실록산을 포함하는 실리콘오일; 동물성 오일; 망고 버터,쉐어버터, 코포아수 씨드버터, 마카다미아씨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계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세라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W/O 에멀젼 형성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계면활성제의 종류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그 함량은 유상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사용한다.
다음으로, 정제수, 활성성분, 양이온성 고분자, 음이온성 고분자와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수상을 제조한다.
활성성분, 양이온성 고분자, 음이온성 고분자, 아미노산은 상기 언급한 바를 따른다.
구체적으로 수상은 전체 100 중량%가 되도록 활성성분 1 내지 10 중량%, 양이온성 고분자 0.01 내지 3 중량%, 음이온성 고분자 0.01 내지 3 중량%, 아미노산 0.01 내지 5 중량%와 정제수 잔부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수상은 폴리올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수상 내에 포함된 폴리올은 삼투압을 유지하여 후속단계에서 제조되는 W/O 에멀젼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폴리올은 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프로판디올, 말리톨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1,2-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 자일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자일리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수상에 포함되는 활성성분은 리포좀, 나노 입자, 나노 베지클,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캡슐 내부에 포집되어 1차 안정화될 수 있다. 리포좀, 나노입자, 나노 베지클,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캡슐을 이용한 안정화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상기 유상에 상기 수상을 투입하여 W/O 에멀젼을 형성한다.
혼합 및 유화 공정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온도 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진공 유화조 내에서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교반 및 열을 가하는 방식이 이루어진다.
유화는 통상의 혼합기(일예로, 호모 믹서) 내에서 수행하며, 바람직하기로 2000∼4000rpm, 바람직하게는 3000rpm의 속도로 3∼10분 동안 교반을 수행하여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w/o 에멀젼을 40~150℃로 가열하면서 수상에서 양이온성 고분자, 음이온성 고분자와 아미노산의 중합 및 가교반응을 진행시킨다.
40~150℃, 바람직하게는 65~75 ℃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5 내지 15 rpm으로 교반하여 특별한 개시제 사용 없이 자발적인 고분자간의 중합과 경화를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w/o 에멀젼으로부터 하이드로젤 캡슐을 회수한다.
하이드로젤 캡슐 회수를 위해 반응이 완료된 에멀젼 중에 존재하는 오일을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녹이고 원심분리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세척하여 제거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물에 혼합 가능한 것이면 제한되지 않지만, 에탄올, 메탄올, 아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회수된 하이드로켈 캡슐은 수용액 중에 분산시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이드로젤 캡슐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하여 내부 활성 물질이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하이드로젤 캡슐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9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 캡슐은 공지된 바의 어떠한 제형의 화장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오일, 파운데이션, 왁스 또는 스프레이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세포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1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이 함유된 내부입자( 리포좀 )의 제조
본 발명의 실제 실험에 사용된 내부입자는 하기의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생체 유효성분 (레티놀) 1.0
글리세린 3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5.0
1,2-헥산디올 2.0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1.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9.0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상기의 처방을 통해 호모게나이져(ROBO MIXER, PRIMIX Corporation, Japan)로 1차 유화를 하고 초고압호모게나이져(MICROFLUIDIZER, Microfluidics, USA)로 1,000 bar, 3 pass를 거쳐 리포좀을 형성하였다.
1) 수상부 (정제수, 글리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1,2-헥산디올,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와 유상부(카프릴릭/카프릭트리그리세라이드, 생체유효성분 (레티놀))를 70℃까지 가온하였다.
2) 유상부를 수상부에 천천히 부으며 ROBO MIXER를 통해 균질 교반하였다.
3) 균질 교반된 용액을 50℃까지 냉각하고 MICROFLUIDIZER를 통해 1,000 bar, 3 pass하에서 리포좀을 형성하였다.
1.2 내부입자를 포함하는 W/O 유화 입자의 제조
원료명 중량%
생체유용성분 함유 리포좀 10.0
하이알루로닉애씨드 10.0
폴리쿼터늄-51 20.0
프롤린 0.7
시스테인 1.3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원료명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90.0
소르비탄올리베이트 1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0
합계 100.0
상기 1.1에서 제조된 리포좀이 포접된 하이드로젤 입자의 제조 방법은, 표 2에 따라 내상(Inner Phase)을 제조하고, 표 3에 따라 계면활성제와 오일을 포함하는 외상(Outer Phase)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내상 : 외상을 1 : 1의 비율로 하여 외상에 천천히 내상을 투입하면서 ROBOMIXER를 통해 균질 교반하였다.
1.3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이 함유된 내부입자( 리포좀 )를 포함하는 하이드로 젤 입자의 제조
상기 1.2에서 형성된 W/O 에멀젼의 내상(Inner phase)에는 리포좀, 하이드로젤을 형성하는 고분자 음이온성 가교제, 고분자 양이온성 가교제 및 링크용 아미노산의 혼합물이 포함되어 있어, 특별한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고 65~75℃에서 1~3시간 5~15 rpm으로 교반하여 자발적인 고분자간 연결과 경화를 유도하였다. 상기 반응을 거친 후, 외상의 오일을 알코올을 이용하여 녹이고 원심분리를 통상 5회 이상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오일을 제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최종 하이드로젤 입자는 수용액에 분산시키고 저장할 수 있다.
실험예 1: 하이드로젤 캡슐 조성물의 피부세포 에너지 생성 증가 확인
본 실험에 사용된 측정기기와 측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측정기기 :
- 이광자 현미경(Two-photon microscope, DermaInspect; Jenlab)
- Chroma 640DCSPXR 색선별 거울(dichroic mirror) (AHF analysentechnik AG, Tubingen, Germany)
- Blue emission filter (BG39, Schott AG, Mainz, Germany)
- 40x/1.3 Plan-Apochromat oilimmersion objective (Zeiss, Gottingen, Germany)
측정조건 :
- Tunable infrared titanium-sapphire femtosecond-laser (710-920 nm tuning range; MaiTai; Spectra Physics, Darmstadt, Germany)
- 여기원: 730 nm (NAD(P)H), 890nm (FAD).
상기의 측정기기와 측정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측정하였다.
1) 사람섬유아세포(primary cell line) 또는 이와 유사한 섬유아세포(CCD-986sk, HS68, Detroit 5116 등)를 배양접시의 바닥에 접종한 후 페니실린(100 IU/mL), 스트렙토마이신(100 μg/mL),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 혹은 동등 이상의 성장력을 갖는 배지를 넣고 37℃를 유지하여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2) 섬유아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웰당 5×104 개로 분주한 다음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버리고 10 %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검액 및 새로운 배지를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3) 각 샘플을 이광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730nm, 890nm에서 자연발광되는 NAD(P)H 및 FAD를 측정하여 이미지를 얻었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조건에서의 검액은 다음과 같이 대조군, 비교군, 실험군으로 하였다.
1) 대조군 : 정제수 (음성 대조군)
2) 비교군 : 하이드로젤 캡슐에 포접하지 않은 생체유용 활성성분(본 실험 레티놀 사용)
3) 실험군 : 하이드로젤 캡슐에 포접한 생체유용 활성성분
도 2를 참조하면, 실험군의 경우 발광도가 가장 높아 하이드로젤 캡슐화 하는 경우 세포 전달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수분 변화율 측정
본 실험에 사용된 측정기기는 다음과 같다:
측정기기 :
- Corneometer (CM825,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
피험자 선정 :
- 만 20세~49세의 성인 여성 중에서 선정기준에 만족하며 제외기준에 해당되는 사항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 기준 :
- 피험자가 알아야 할 사항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을 듣고 숙지하여 자발적으로 임상 시험 참가 동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한 자
-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 시험기간 동안 추적 관찰이 가능한 자
제외 기준 :
- 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과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형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한 자
- 동일한 시험에 참가한 뒤 6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자
- 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진 자
- 시험부위에 점, 여드름, 모세혈관확장 등의 피부 이상 소견이 있는 자
- 연구 시작 전 3개월 내에 시험부위에 동일 또는 유사한 화장품 또는 의약품을 사용한 자
- 연구 시작 전 6개월 내에 피부박피시술, 주름제거시술 등을 받은 자
- 그 외 주 시험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자
피험자 수 :
- 피험자 선정 기준에 적합하며, 제외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자로 20명 이상을 선정하였으며, 최종 참여인원은 22명이었다.
시험 방법 :
- 하기 표 4의 시험 제품을 전완부 선정된 시험부위(1.5cm X 1.5cm)에 Micro pipette을 사용하여 각각 2㎕/cm2의 양으로 4 군데 도포
- 제품 도포 전, 제품 도포 2주 후, 제품 도포 4주 후로 총 3회 측정하였으며,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개의 값을 이용해 평균값을 구하였다.
- 측정 시 마다 측정부위를 kimwipes로 가볍게 닦아내고 측정
- 피부 수분 측정은 Corneometer(CM825,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전완부를 측정
- Corneometer는 피부에 접촉하는 프로브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의 정전부하용량 (capacitance)계측으로 이루어진다. 수분의 함량과 정전부하용량은 서로 비례하는 성질이 있어 수분이 높을수록 측정수치가 높아지며, 측정계수는 arbitrary unit(A.U.)이다. 측정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시험 제형:
상기의 임상테스트를 위해 하기 표 4의 조성대로 크림을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표 5의 하이드로젤 분산 용액 5.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콜 2.0
스테아린산 1.5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사이클로메치콘 5.0
디메치콘 1.0
초산토코페롤 0.5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산탄검 0.05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00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젤 캡슐 5.0
부틸렌글라이콜 5.0
글리세린 10.0
1,2-헥산디올 2.0
증류수 잔량
합계 100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제형 사용에 따라 피부 수분량이 증가하여 하이드로젤 캡슐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경표피 수분손실량( TEWL ) 변화율 측정
측정 기기 :
- Tewameter (TM3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
피험자 선정 :
- 만 20세~49세의 성인 여성 중에서 선정기준에 만족하며 제외기준에 해당되는 사항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선정
선정 기준 :
- 피험자가 알아야 할 사항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을 듣고 숙지하여 자발적으로 임상 시험 참가 동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한 자
-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 시험기간 동안 추적 관찰이 가능한 자
제외 기준 :
- 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과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형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한 자
- 동일한 시험에 참가한 뒤 6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자
- 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진 자
- 시험부위에 점, 여드름, 모세혈관확장 등의 피부 이상 소견이 있는 자
- 연구 시작 전 3개월 내에 시험부위에 동일 또는 유사한 화장품 또는 의약품을 사용한 자
- 연구 시작 전 6개월 내에 피부박피시술, 주름제거시술 등을 받은 자
- 그 외 주 시험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자
피험자 수 :
- 피험자 선정 기준에 적합하며, 제외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자로 20명 이상을 선정하였으며, 최종 참여인원은 22명.
시험 방법 :
- 상기 표 4의 시험 제품을 전완부 선정된 시험부위(1.5cm X 1.5cm)에 Micro pipette을 사용하여 각각 2㎕/cm2의 양으로 4 군데 도포
- 제품 도포 전, 제품 도포 2주 후, 제품 도포 4주 후로 총 3회 측정하였으며,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개의 값을 이용해 평균값을 구하였다
- 측정 시 마다 측정부위를 kimwipes로 가볍게 닦아내고 측정
- 피부 수분 측정은 Tewameter (TM3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전완부를 측정
- Tewameter는 피부에 접촉하는 프로브를 통해 피부 장벽을 통해 증발되는 수분의 계측으로 이루어진다. 장벽의 손상과 수분의 증발량은 서로 비례하는 성질이 있어 피부 장벽의 손상이 높을수록 측정수치가 높아지며, 측정계수는 g/m2h이다. 측정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제형 사용에 따라 경표피 수분손신량이 감소하여 하이드로젤 캡슐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활성 성분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형성되고, 서로 이온 결합된 양이온성 고분자와 음이온성 고분자를 아미노산으로 가교결합시킨 고분자를 포함하여 수계에서 하이드로젤을 형성할 수 있는 쉘
    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수용성 활성 성분 또는 유용성 활성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 캡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키토산,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52, 폴리쿼터늄-61,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 캡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 폴리아크릴레이트, 단당류, 다당류, 셀룰로오즈, 젤라틴,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전분, 산화전분,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 캡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프롤린, 발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리신, 히스티딘 및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 캡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리포좀, 나노 입자, 나노 베지클,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캡슐 내부에 포집되어 1차 안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 캡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 캡슐은
    직경이 1 내지 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 캡슐.
  8. i) 오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상 및 ii) 정제수, 활성성분, 양이온성 고분자, 음이온성 고분자와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수상을 혼합하여 얻은 w/o 에멀젼에서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캡슐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a) 오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b) 정제수, 활성성분, 양이온성 고분자, 음이온성 고분자와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유상에 상기 수상을 투입하여 w/o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w/o 에멀젼을 40~150℃로 가열하면서 수상에서 양이온성 고분자, 음이온성 고분자와 아미노산의 중합 및 가교반응을 진행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d)의 w/o 에멀젼으로부터 하이드로젤 캡슐을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캡슐의 제조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성분은
    리포좀, 나노 입자, 나노 베지클,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캡슐 내부에 포집되어 1차 안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 캡슐의 제조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은
    추가로 폴리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 캡슐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드로젤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86240A 2015-12-24 2015-12-24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5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240A KR102555803B1 (ko) 2015-12-24 2015-12-24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240A KR102555803B1 (ko) 2015-12-24 2015-12-24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223A true KR20170076223A (ko) 2017-07-04
KR102555803B1 KR102555803B1 (ko) 2023-07-14

Family

ID=5935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240A KR102555803B1 (ko) 2015-12-24 2015-12-24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803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272A (ko) * 2017-09-12 2019-03-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가 간편한 친환경 캡슐형 화장품 용기
KR20190071209A (ko) * 2017-12-14 2019-06-24 (주)바이오제닉스 피부 보습용 마유 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1100A (ko) * 2017-12-14 2019-06-24 이호 피부 보습용 하이드로젤 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5857B1 (ko) 2019-04-08 2019-08-30 (주)우성씨앤티 가교 히알루론산과 프리바이오틱스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WO2020032710A1 (ko) * 2018-08-09 2020-02-13 ㈜아모레퍼시픽 개선된 흡수력을 갖는 오일 모사 화장료 조성물
KR102104813B1 (ko) 2020-02-18 2020-04-27 구창섭 가교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KR102132551B1 (ko) * 2019-01-10 2020-07-09 류지만 바이오 셀룰로오스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20210089391A (ko) * 2020-01-08 2021-07-16 (주)에이티 랩 피부 투과 성능이 향상된 리포좀.
KR20210095352A (ko) * 2020-01-23 2021-08-02 (주)에이티 랩 피부 투과 성능이 향상된 리포좀의 제조방법.
KR102337309B1 (ko) * 2021-05-18 2021-12-08 엘앤피코스메틱(주) 비드형 화장료 상을 포함하는 아미노산계 세안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304143A (zh) * 2021-12-06 2022-04-12 盐城工学院 一种农药传递体系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185B1 (ko) * 2006-01-19 2008-07-30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 또는 히알루론산-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키토산-히알루론산-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기저로 하는하이드로젤과  이의 제조방법
JP2012504568A (ja) * 2008-10-02 2012-02-23 カプサルーション ファルマ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難溶性化合物の改良されたナノ粒子組成物
KR101191268B1 (ko) 2012-05-11 2012-10-16 (주)바이오제닉스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를 이용한 자외선차단제용 나노무기입자를 함유하는 캡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6135B1 (ko) * 2013-10-29 2014-03-19 (주) 화천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에 물리적으로 포접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185B1 (ko) * 2006-01-19 2008-07-30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 또는 히알루론산-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키토산-히알루론산-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기저로 하는하이드로젤과  이의 제조방법
JP2012504568A (ja) * 2008-10-02 2012-02-23 カプサルーション ファルマ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難溶性化合物の改良されたナノ粒子組成物
KR101191268B1 (ko) 2012-05-11 2012-10-16 (주)바이오제닉스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를 이용한 자외선차단제용 나노무기입자를 함유하는 캡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6135B1 (ko) * 2013-10-29 2014-03-19 (주) 화천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에 물리적으로 포접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송수창 외.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약물전달 기술", News and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2010, Vol. 28, pp. 171-177 *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272A (ko) * 2017-09-12 2019-03-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가 간편한 친환경 캡슐형 화장품 용기
KR20190071209A (ko) * 2017-12-14 2019-06-24 (주)바이오제닉스 피부 보습용 마유 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1100A (ko) * 2017-12-14 2019-06-24 이호 피부 보습용 하이드로젤 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32710A1 (ko) * 2018-08-09 2020-02-13 ㈜아모레퍼시픽 개선된 흡수력을 갖는 오일 모사 화장료 조성물
KR20200017672A (ko) * 2018-08-09 2020-02-19 (주)아모레퍼시픽 개선된 흡수력을 갖는 오일 모사 화장료 조성물
KR102132551B1 (ko) * 2019-01-10 2020-07-09 류지만 바이오 셀룰로오스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015857B1 (ko) 2019-04-08 2019-08-30 (주)우성씨앤티 가교 히알루론산과 프리바이오틱스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210089391A (ko) * 2020-01-08 2021-07-16 (주)에이티 랩 피부 투과 성능이 향상된 리포좀.
KR20210095352A (ko) * 2020-01-23 2021-08-02 (주)에이티 랩 피부 투과 성능이 향상된 리포좀의 제조방법.
KR102104813B1 (ko) 2020-02-18 2020-04-27 구창섭 가교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KR102337309B1 (ko) * 2021-05-18 2021-12-08 엘앤피코스메틱(주) 비드형 화장료 상을 포함하는 아미노산계 세안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304143A (zh) * 2021-12-06 2022-04-12 盐城工学院 一种农药传递体系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803B1 (ko)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5803B1 (ko)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089887B2 (ja) 生理活性物質含有複合体
EP1339413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mplexes of phosphate derivatives of tocopherol
KR100394770B1 (ko) 토코페롤 유도체를 이용하여 나노유화입자를 안정화시키는방법 및 나노유화입자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9849089B2 (en) Hydrogel particle coated with lipi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541010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ouble-shell nano-structure
KR20140109804A (ko) 액정 유화 오르가노겔 조성물 및 마스크 팩
KR20160093065A (ko) 바람직하게는 친유성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지질 마이크로캡슐 및 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피부과 및 화장품에서의 동일한 것의 용도
EP3319583A1 (en) Compositions for topical use
KR20140069469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의 나노캡슐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2022389A (ja) 皮膚老化の徴候を処置する方法及び皮膚に潤いを与える方法
JP2003128512A (ja) 化粧料用抗菌性組成物
JP2006028148A (ja) 外用組成物
JP2010275250A (ja) 化粧料
JP4939936B2 (ja) 生理活性成分を含有する自己集合性高分子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得られた自己集合性高分子ナノ粒子を含有する外用剤組成物
KR101261388B1 (ko) 소듐폴리감마글루타메이트의 효능향상을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캡슐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594661B2 (ja) 油溶性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を含有した乳化組成物
JP2007314427A (ja) リポ酸含有複合体
US20240009644A1 (en) Method for preparing multilayer spherical particles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ultilayer spherical particles prepared thereby
KR102536077B1 (ko) 지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사르사사포게닌을 안정화한 삼중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볼륨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592347B2 (ja) 外用剤組成物
KR102667301B1 (ko) 병풀 정량 추출물의 나노 현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71744A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275249A (ja) 化粧料
US20090274639A1 (en) Composition for 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