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573A - 현상유닛 이송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유닛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유닛 이송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유닛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573A
KR20170074573A KR1020150184008A KR20150184008A KR20170074573A KR 20170074573 A KR20170074573 A KR 20170074573A KR 1020150184008 A KR1020150184008 A KR 1020150184008A KR 20150184008 A KR20150184008 A KR 20150184008A KR 20170074573 A KR20170074573 A KR 20170074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eveloping units
posture
posture adjusting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윤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4573A/ko
Priority to US15/364,383 priority patent/US10168659B2/en
Priority to PCT/KR2016/014016 priority patent/WO2017111338A1/en
Publication of KR2017007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6Details of unit using a sol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탑재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자세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세 조절부가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위치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자세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회전되어 자세가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현상유닛 이송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유닛 분리 방법{Developing unit transferr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and developing unit separation method in image forming apparatus}
현상유닛 이송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유닛 분리 방법이 개시된다.
화상형성장치, 특히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체에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키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현상유닛은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써,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현상유닛은 수명이 경과하거나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때 교체되도록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에서 이러한 현상유닛을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방식으로, 본체에 현상유닛을 직접 장착하는 방식과, 현상유닛을 탑재한 트레이를 통해 본체에 현상유닛을 장착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를 이용하여 현상유닛을 장착하는 방식은, 한 번에 복수 개의 현상유닛을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현상유닛을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주로 이용된다. 다만, 트레이를 이용하여 현상유닛을 장착하는 방식은, 트레이의 장착을 위한 이동 공간이 본체 내부에 마련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트레이를 이용하여 현상유닛을 이송하되, 화상형성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현상유닛의 토너 용량을 증가시키면서도, 현상유닛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현상유닛 이송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상유닛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관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탑재하며,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위치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자세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세 조절부가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위치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자세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회전되어 자세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은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는 제1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각각은,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제1 자세를 가질 때, 상기 토너 수용부의 일부 영역은, 인접한 현상유닛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자세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회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제2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각각은, 상기 자세 조절부에 대향하는 측면에, 상기 현상유닛의 무게 중심에서 이탈된 위치에 제1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제1 돌기를 접촉 및 지지하는 지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각각은, 상기 자세 조절부에 대향하는 측면에, 상기 제1 돌기와 이격된 위치에 제2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제2 돌기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각도 제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와 상기 자세 조절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트레이의 이동 방향과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와 상기 자세 조절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구멍에 삽입 가능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트레이를 향해 돌출된 간섭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간섭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회전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회전 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트레이에 대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한 상기 간섭 부재의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자세 조절부를 본래 위치로 회복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트레이의 이송 방향과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간섭 부재가 삽입 가능한, 경사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핸들부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트레이에 대해 위치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이송 장치에 따르면,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탑재하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위치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자세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세 조절부가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위치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자세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회전되어 자세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은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는 제1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자세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회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제2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각각은, 상기 자세 조절부에 대향하는 측면에, 상기 현상유닛의 무게 중심에서 이탈된 위치에 제1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제1 돌기를 접촉 및 지지하는 지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각각은, 상기 자세 조절부에 대향하는 측면에, 상기 제1 돌기와 이격된 위치에 제2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제2 돌기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각도 제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분리 방법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밖으로,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탑재된 트레이를 인출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자세 조절부를 상기 트레이에 대해 위치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자세 조절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회전시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의 자세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세가 조절된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을 트레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의 자세를 조절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은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의 자세를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회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 분리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상유닛 분리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현상유닛의 토너 용량을 증가시키면서도, 현상유닛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서 트레이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복수 개의 현상유닛이 트레이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이송 장치에서 현상유닛을 분리 또는 교체할 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이송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 이송 장치의 트레이 및 각도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현상유닛 이송 장치에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도 조절부에 의해 현상유닛의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 이송 장치에서 각도 조절부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 상태와 각도 조절부에 외력이 가해진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 이송 장치에서 각도 조절부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 상태와 외력이 가해진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 이송 장치에서 각도 조절부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 상태와 외력이 가해진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서 트레이(80)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장치(10), 배지장치(20), 및 인쇄장치(30)을 포함할 수 있다.
급지장치(10)에는 화상이 형성될 기록매체(P)가 적재되며, 픽업롤러(11)에 의해 기록매체(P)가 한 장씩 픽업된다. 픽업된 기록매체(P)는 이송롤러(13)에 의해 인쇄장치(30) 방향으로 이송된다.
배지장치(20)에는 인쇄장치(30)을 거쳐 인쇄가 완료된 기록매체(P)가 배출롤러(21)에 의해 배출되어 적재된다.
인쇄장치(30)은 기록매체(P)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현상유닛(40Y, 40M, 40C, 40K), 중간 전사벨트(50), 중간 전사롤러(51), 최종 전사롤러(52), 노광기(70) 및 정착기(60)를 포함할 수 있다.
노광기(7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41)에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70)로서는 주주사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화상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는 LED 방식 노광기(70)가 채용될 수 있다. 또, 노광기(70)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광편향기를 이용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4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현상유닛(40Y, 40M, 40C, 40K)는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4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부착시켜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현상유닛(40Y, 40M, 40C, 40K) 내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4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는 현상롤러(43) 및 감광드럼(4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45)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유닛(40Y, 40M, 40C, 40K)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는 컬러 인쇄를 위하여, 4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롤러(43)에는 토너를 정전잠상으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며, 대전롤러(45)에는 대전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여기서 대전롤러(45)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감광드럼(41)은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이다. 감광드럼(41)은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중간 전사벨트(50)는 토너 화상이 기록매체(P)로 최종적으로 전사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전사되는 중간 전사 매체로서, 지지롤러(53)들에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중간 전사롤러(51)는 감광드럼(41)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중간 전사벨트(50)로 전사하기 위한 중간 전사 부재의 일 예이다. 4개의 중간 전사롤러(51)는 중간 전사벨트(50)를 사이에 두고 각각 4개의 감광드럼(41)과 대면되게 위치된다. 중간 전사롤러(51)에는 감광드럼(41)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중간 전사벨트(50)로 전사하기 위한 중간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최종 전사롤러(52)는 중간 전사벨트(50) 상의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최종전사기의 일 예이다. 최종 전사롤러(52)에는 중간 전사벨트(50) 상의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최종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최종 전사롤러(52)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정착기(60)는 기록매체(P)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정착시킨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본체(1)에 장착하거나 본체(1)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탑재 가능한 트레이(8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80)는 본체(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트레이(80)는 트레이(80) 전체가 본체(1)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위치(800a)와, 트레이(80)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1)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위치(800b)로 이동 가능하다. 트레이(80)가 제2 위치(800b)일 때, 트레이(80)에 탑재된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본체(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8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트레이(80)에 탑재된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본체(1)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트레이(8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트레이(80)에 탑재된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본체(1)로부터 꺼낼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은 +X 방향으로 정의하며, 후방은 전방의 역방향인 –X 방향으로 정의한다.
트레이(80)가 제1 위치(800a)와 제2 위치(800b)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본체(1)는 내부에 트레이(80) 및 트레이(80)에 탑재된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이 본체(1)에 부딪치지 않고 이동하기 위한 이동 공간(2)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이러한 이동 공간(2)의 상하 방향으로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토너 수용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현상유닛 이송 장치(10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트레이(80)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제1 자세로 배치된 상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 각각은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수용부(47Y, 47M, 47C, 47K)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토너 수용부(47Y, 47M, 47C, 47K)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가 감광드럼(41)을 구비하는 감광 카트리지와 현상 롤러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와 일체로 된 구조일 수 있다.
다만,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토너 수용부(47Y, 47M, 47C, 47K)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와 감광드럼(41) 및 현상롤러(43)를 구비하는 이미징 유닛으로 구분된 제1 구조이거나, 감광체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와 토너 카트리지로 구분된 제2구조이거나, 감광체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로 구분된 제3구조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 각각은, 감광드럼(41)에 잔류하는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48)와, 제거된 잔류 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부(49Y, 49M, 49C, 49K)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도면상 도시되지 않았지만, 폐토너 수용부(49Y, 49M, 49C, 49K) 대신에 폐토너를 이송하는 폐토너 이송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블랙 토너를 수용하는 현상유닛(40K)은 다른 현상유닛들(40Y, 40M, 40C)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 토너를 수용하는 현상유닛(40K)의 폐토너 수용부(49K)는 다른 현상유닛(40Y, 40M, 40C)의 폐토너 수용부(49Y, 49M, 49C)보다 클 수 있으며, 블랙 토너를 수용하는 현상유닛(40K)은 추가 토너 수용부(4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현상유닛(40Y, 40M, 40C)에 비해 자주 사용되는 현상유닛(40K)의 토너 용량 및 폐토너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블랙 토너를 수용하는 현상유닛(40K)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다른 현상유닛들(40Y, 40M, 40C)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현상유닛(40Y, 40M, 40C, 40K) 각각은 토너 수용부(47Y, 47M, 47C, 47K)와 폐토너 수용부(49Y, 49M, 49C, 49K) 사이에는, 노광기(70; 도 1 참조)에서 조사된 빛이 통과할 수 있는 노광 구멍(46Y, 46M, 46C, 46K)이 배치된다. 현상 유닛(47Y, 47M, 47C, 47K) 각각에서, 토너 수용부(47Y, 47M, 47C, 47K)는 노광 구멍(46Y, 46M, 46C, 46K)의 전방(+X 방향)에 배치되며, 폐토너 수용부(49Y, 49M, 49C, 49K)는 노광 구멍(46Y, 46M, 46C, 46K)의 후방(-X 방향)에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토너 수용부(47Y, 47M, 47C, 47K)는 전방(+X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 영역(470)을 포함한다.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확장 영역(470)에 해당하는 만큼의 토너를 추가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트레이(80)가 제1 위치(800a)에 위치할 때,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은 제1 자세(400a)를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이 제1 자세(400a)를 가질 때,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 각각의 확장 영역(470)은 인접한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상부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유닛(40C)의 확장 영역(470)은 인접한 현상유닛(40M)의 폐토너 수용부(49M)의 상부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만일, 토너 수용부(47Y, 47M, 47C, 47K)의 확장 영역(470)이 전방(+X 방향)이 아닌 상부 방향(+Z 방향)으로 확장될 경우,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토너 용량의 증가라는 측면에서 유사할 수도 있겠으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상부 방향(+Z 방향)으로 확장된 만큼,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탑재한 트레이(80)의 이동을 위한 이동 공간(2)이 상부 방향(+Z 방향)으로 커지게 된다. 그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상하 방향(+Z 방향)으로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확장 영역(470)이 전방(+X 방향)으로 확장되며, 이러한 확장 영역(470)이 인접한 현상유닛(40Y, 40M, 40C, 40K)에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트레이(80)의 이동 공간(2)의 상하 방향(+Z 방향)으로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토너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확장 영역(470)이, 후방(-X 방향)이 아닌, 전방(+X 방향)으로 확장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노광 구멍(46)을 가리지 않으면서 토너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이송 장치(100)에서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분리 또는 교체할 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 중 일부 현상유닛(40Y)을 분리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트레이(80)를 후방(-X 방향)으로 인출하여 본체(1)의 외부로 이동시킨다. 트레이(80)를 제1 위치(800a; 도 1 참조)에서 제2 위치(800b)로 이동시킨다. 이를 통해, 트레이(80)에 탑재된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은 본체(1)의 외부로 노출된다.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은 제1 자세(400a)를 가지며, 인접한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은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된 상태이다. 인접한 현상유닛들(40Y, 40M)에서 후방에 위치한 현상유닛(40M)의 확장 영역(470)이 전방에 위치한 현상유닛(40Y)에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중첩된다. 제1 자세(400a)를 가지는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 각각의 높이(h11)는, 본체(1) 내부의 이동 공간(2)의 높이(h0)보다 작다.
도 4b를 참조하면, 트레이(80)에 탑재된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의 자세를 제1 자세(400a)에서 제2 자세(400b)로 조절한다. 예를 들어, 인접한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이 중첩되지 않도록,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의 자세를 조절 또는 변경한다. 제2 자세(400b)를 가지는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 각각의 높이(h12)는, 제1 자세(400a)를 가지는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 각각의 높이(h11; 도 4a 참조)보다 높다.
본체(1) 내부의 이동 공간(2)의 높이(h0)는, 제2 자세(400b)를 가지는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 각각의 높이(h12)보다 낮을 수 있다. 그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상하 방향(Z 방향)으로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내부에 배치된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의 토너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2 자세(400b)의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은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트레이(80)로부터 수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반대로,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트레이(80)에 수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만일, 도 4b와 같이,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의 자세를 제2 자세(400b)로 조절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을 경우, 인접한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은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서로 중첩된 상태이다. 다시 말해, 도 4a와 같이, 후방에 위치한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확장 영역(470)이 전방에 위치한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상부에 중첩되도록 위치한 상태이기 때문에, 전방에 위치한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분리해야 할 경우, 후방에 위치한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을 모두 분리해야 한다. 특히, 최전방에 위치한 현상유닛(40Y)을 분리해야 할 경우에는, 나머지 현상유닛들(40M, 40C, 40K)을 모두 분리해야 한다. 더불어,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의 자세를 조절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최전방에 위치한 현상유닛(40Y)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최전방에 위치한 현상유닛(40Y)의 확장 영역(470)이 본체(1)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트레이(80)의 길이 또는 트레이(8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가 확장 영역(470)의 길이만큼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본체(1)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 이송 장치(100)에서는, 트레이(80)가 제2 위치(800b)에 위치하는 과정 또는 제2 위치(800b)에 위치하는 시점에, 트레이(80)에 탑재된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자세를 조정함으로써, 분리하기를 원하는 현상유닛(40Y, 40M, 40C, 40K)만을 트레이(8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더불어, 최전방에 위치한 현상유닛(40Y)의 확장 영역(47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확장 영역(470)의 길이만큼 화상형성장치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분리하기를 원하는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트레이(80)에 탑재된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의 자세(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의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이송 장치(10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 이송 장치(100)의 트레이(80) 및 자세 조절부(1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a-6b를 참조하면, 트레이(80)의 적어도 일측에 자세 조절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80)의 Y방향으로 일측에 자세 조절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 조절부(110)는 트레이(80)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트레이(80)는 트레이(80)의 이동 방향, 예를 들어 X 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구멍(81)을 포함한다. 자세 조절부(110)는 이러한 가이드 구멍(81)에 삽입 가능한 가이드 돌기(111)를 포함한다.
가이드 돌기(111)가 가이드 구멍(81)에 삽입된 상태에서, 트레이(80) 또는 자세 조절부(110)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가이드 돌기(111)는 가이드 구멍(81)을 따라 이동한다. 그에 따라, 가이드 돌기(111)가 형성된 자세 조절부(110)가 가이드 구멍(81)이 형성된 트레이(80)에 대해 이동한다.
가이드 구멍(81)은 전후 방향(X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구멍(81)의 연장 방향은 후방(-X 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룰 수 있다.
가이드 구멍(8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111)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세 조절부(110)는 트레이(80)에 대해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세 조절부(110)는 가이드 구멍(81)의 형상을 따라 트레이(80)에 대해 후방(-X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승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돌기(111)가 자세 조절부(110)에 형성되고 가이드 구멍(81)이 트레이(80)에 형성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이드 돌기(111)와 가이드 구멍(8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80)에 가이드 돌기(111)가 형성되고, 자세 조절부(110)에 가이드 구멍(8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111)와 가이드 구멍(81) 각각 3개인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2개 이하이거나,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트레이(80)에 설치된 자세 조절부(110)는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을 접촉 및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세 조절부(110)는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 각각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40M)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현상유닛(40M)은 제1 돌기(411)와 제2 돌기(4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돌기(411) 및 제2 돌기(412)는 현상유닛(40M)에서 자세 조절부(110)에 대향하는 측면(401)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돌기(411)는 현상유닛(40M)의 무게 중심(G)으로부터 이탈된 위치에 위치한다. 제2 돌기(412)는 현상유닛(40M)의 무게 중심(G)으로부터 이탈된 위치에 위치한다.
도 7에서는, 현상유닛(40M)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현상유닛들(40Y, 40C, 40K) 역시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이 트레이(80)에 탑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자세 조절부(110)가 트레이(80)에 대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b 및 도 8을 참조하면, 자세 조절부(110)는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제1 돌기(411)를 지지하는 지지 영역(112)을 포함한다. 지지 영역(112)은 제1 돌기(411)가 삽입될 수 있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영역(112)에 의해,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자세 조절부(1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따. 지지 영역(112)에 삽입된 제1 돌기(411)는, 지지 영역(112)에 의해 전후 방향(X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지지될 수 있다.
자세 조절부(110)는 회전 각도 제한 영역(11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각도 제한 영역(113)은,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회전될 때, 회전 각도 제한 영역(113)은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제2 돌기(412)에 접촉하여 제2 돌기(41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자세 조절부(110)에 의해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자세가 조절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9a는 자세 조절부(110)가 트레이(80)에 대해 상승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며, 도 9b는 자세 조절부(110)가 상승한 후 상태를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현상유닛(40M)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자세 조절부(110)의 지지 영역(112)이 현상유닛(40M)의 제1 돌기(411)를 접촉 지지한다. 이 때, 도면상 도시되지 않았으나, 현상유닛(40M)의 제2 돌기(412)는 트레이(80)에 의해 접촉 지지된 상태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자세 조절부(110)가 A 방향으로 상승함에 따라, 지지 영역(112)에 의해 지지된 제1 돌기(411)가 함께 상승한다. 이 때, 제1 돌기(411)는 무게 중심(G)으로부터 이탈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유닛(40M)은 중력에 의해 제1 돌기(411)를 회전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현상유닛(40M)은 현상유닛(40M)의 하중에 의해 제1 돌기(411)를 회전축으로 하여 B 방향으로 회전된다. 현상유닛(40M)의 회전에 따라, 제2 돌기(412)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돌기(412)의 이동은, 회전 각도 제한 영역(113)과의 접촉에 의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자세 조절부(110)가 트레이(80)에 대해 상승 이동할 경우, 현상유닛(40M)은 자세 조절부(110)에 의해 제1 자세(400a)에서 제2 자세(400b)로 변경 또는 조절된다. 그리하여,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은 서로 중첩되지 않게 트레이(80)에 탑재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 또는 교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세 조절부(110)에 외력을 가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 이송 장치(100)에서 자세 조절부(110)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 상태와 자세 조절부(110)에 외력이 가해진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10을 참조하면, 트레이(80)에는, 트레이(80)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120)가 배치된다. 회전 부재(120)는 트레이(80)에서 자세 조절부(110)가 설치된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부재(120)는 자세 조절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120)는 자세 조절부(110)를 향해 돌출된 돌기(121)를 포함하며, 자세 조절부(110)는 이러한 돌기(121)가 삽입되며 돌기(12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멍(114)을 포함한다.
자세 조절부(110)는 회전 부재(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1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회전 부재(120)의 돌기(121)가 자세 조절부(110)의 가이드 구멍(114)을 따라 이동하며 자세 조절부(110)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회전 부재(120)의 돌기(121)에 의해 가해진 외력에 의해, 자세 조절부(110)가 트레이(80)에 대해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자세 조절부(110)는 트레이(80)에 대해 상승하게 된다.
본체(1)에는 트레이(80)를 향해 돌출된 간섭 부재(1a)가 배치된다. 간섭 부재(1a)는 본체(1)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트레이(80)를 후방(-X 방향)으로 인출하는 과정에서, 트레이(80)에 배치된 회전 부재(120)가 간섭 부재(1a)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회전 부재(120)가 간섭 부재(1a)에 접촉된 상태에서, 트레이(80)를 후방(-X 방향)으로 더 인출할 경우, 회전 부재(120)는 간섭 부재(1a)에 의해 가압되어, 시계 방향(C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 부재(120)가 시계 방향(C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 부재(120)의 돌기(121)가 자세 조절부(110)의 가이드 구멍(114)을 따라 이동하며 자세 조절부(110)를 가압한다. 그에 따라 자세 조절부(110)는 전후 방향(X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승한다.
자세 조절부(110)의 상승에 따라, 자세 조절부(110)의 지지 영역(112)에 의해 지지된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제1 돌기(411)가 상승한다. 제1 돌기(411)는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무게 중심에서 이탈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돌기(411)의 상승에 따라,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반시계 방향, 예를 들어 B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에 따라, 제2 돌기(412)가 제1 돌기(411)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된다. 제2 돌기(412)는 회전 각도 제한 영역(113)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후 정지한다. 그에 따라,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제2 자세(400b)를 가지도록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교체가 완료된 후,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본체(1) 내부로 장착할 경우에는, 상술한 작동 순서와 역순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트레이(80)에 새로운 현상유닛을 장착한 후, 트레이(80)를 전방(+X 방향)으로 삽입할 경우, 트레이(80)는 전방(+X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에 따라 회전 부재(120)에 대한 간섭 부재(1a)의 가압은 해제된다.
자세 조절부(110)와 트레이(80) 사이에는 탄성 부재(130)가 배치된다. 탄성 부재(130)는 자세 조절부(110)가 하강하도록 자세 조절부(110)에 탄성 바이어스를 제공한다. 회전 부재(120)에 대한 간섭 부재(1a)의 가압이 해제될 때, 자세 조절부(110)는 본래 위치로 회복될 수 있다. 자세 조절부(110)에 연결된 회전 부재(120)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본래 위치로 회복된다.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제1 돌기(41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서로 중첩된다.
다른 실시예로써, 도면상 도시되지 않았지만, 탄성 부재(130)는 회전 부재(120)와 트레이(8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회전 부재(120)에 대한 간섭 부재(1a)의 가압이 해제될 때, 회전 부재(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세 조절부(110)가 본래 위치로 회복될 수도 있다.
다시 도 6a 및 도 10을 참조하면, 트레이(80) 및 자세 조절부(1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84, 115)을 포함한다. 트레이(80)의 가이드 레일(84)과 자세 조절부(110)의 가이드 레일(115)은,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다.
가이드 레일(84, 115)에는 간섭 부재(1a)가 삽입될 수 있다. 간섭 부재(1a)가 가이드 레일(84, 115)에 삽입된 상태에서 트레이(80)를 후방(-X 방향)으로 인출함에 따라, 트레이(80)와, 트레이(80)에 설치된 자세 조절부(110) 및 회전 부재(120)는 간섭 부재(1a)에 대해 후방(-X 방향)으로 이동한다.
회전 부재(120)는 트레이(80)의 측면에서 전방(+X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트레이(80)를 후방(-X 방향)으로 인출하는 과정에서, 초반에는 회전 부재(120)가 간섭 부재(1a)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간섭 부재(1a)를 향해 접근하다가, 트레이(80)에 탑재된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40Y, 40M, 40C, 40K)이 본체(1)의 외부로 노출될 때 또는 노출된 이후에 회전 부재(120)가 간섭 부재(1a)에 접촉 및 가압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 이송 장치(100a)에서 자세 조절부(110a)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 상태와 외력이 가해진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에 개시된 현상유닛 이송 장치(100a)는, 자세 조절부(110a)에 외력이 가해지는 구조가 상이하나, 나머지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현상유닛 이송 장치(100a)는 자세 조절부(110a)의 외면에는 제2 가이드 레일(116)(경사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116)은 전후 방향(X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116)은, 자세 조절부(110a)의 가이드 레일(115) 또는 트레이(80)의 가이드 레일(8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 레일(116)은 자세 조절부(110a)의 가이드 레일(115)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트레이(80)를 후방(-X 방향)으로 인출하는 과정에서, 간섭 부재(1a)는 초반에는 트레이(80) 및 자세 조절부(110a)의 가이드 레일(84, 115)에 삽입되다가, 후반에는 자세 조절부(110a)의 제2 가이드 레일(116)에 삽입된다.
간섭 부재(1a)가 트레이(80)의 가이드 레일(84) 또는 자세 조절부(110a)의 가이드 레일(115)에 삽입된 상태에서, 트레이(80)를 후방(-X 방향)으로 인출할 경우, 트레이(80) 및 트레이(80)에 배치된 자세 조절부(110a)는 함께 후방(-X 방향) 으로 이동한다.
그에 반해, 간섭 부재(1a)가 자세 조절부(110a)의 제2 가이드 레일(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트레이(80)를 후방(-X 방향)으로 인출할 경우, 자세 조절부(110a)의 제2 가이드 레일(116)이 전후 방향(X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자세 조절부(110a)는 간섭 부재(1a)에 의해 전후 방향(X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가압 된다. 이 때, 트레이(80)는 간섭 부재(1a)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간섭 부재(1a)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트레이(80)는 인출 방향인 후방(-X 방향)으로 이동하며, 자세 조절부(110a)는 전후 방향(X 방향)과 경사진 방향인 A1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자세 조절부(110a)는 트레이(80)에 대해 상승하게 된다.
자세 조절부(110a)가 A1 방향으로 상승함에 따라,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제1 돌기(41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인 B1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에 따라, 제2 돌기(412)가 제1 돌기(411)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된다. 제2 돌기(412)는 회전 각도 제한 영역(113)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후 정지한다. 그에 따라, 현상유닛(40Y, 40M, 40C, 40K)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제2 자세(400b)를 가지도록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13과 같이 자세 조절부(110a)가 상승한 상태에서, 트레이(80)를 전방(+X 방향)으로 삽입할 경우에는, 자세 조절부(110a)는 제2 가이드 레일(116)이 간섭 부재(1a)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하게 된다. 그에 따라,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제1 돌기(41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서로 중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8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2 가이드 레일(116)에 의해 자세 조절부(110a)가 상승 또는 하강하기 때문에, 도 10의 탄성 부재(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 이송 장치(100b)에서 자세 조절부(110b)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 상태와 외력이 가해진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에 개시된 현상유닛 이송 장치(100b)는, 자세 조절부(110b)에 외력이 가해지는 구조가 상이하며, 나머지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현상유닛 이송 장치(100b)는, 트레이(80)에 설치된 핸들부(140)를 포함한다. 핸들부(140)는 트레이(8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부(140b)와 자세 조절부(110b)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링크(141)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트레이(80)를 제2 위치(800b)로 이동시키는 과정 또는 제2 위치(800b)로 이동시킨 이후에, 트레이(80)에 설치된 핸들부(140)를 통해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핸들부(140)를 잡아당김에 따라, 연결 링크(141)가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예를 들어 C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연결 링크(141)의 회전에 의해, 자세 조절부(110b)는 가압되어 A2 방향으로 상승한다. 자세 조절부(110b)의 상승에 의해,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제1 돌기(41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예를 들어, B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돌기(412)가 제1 돌기(411)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된다. 제2 돌기(412)부는 회전 각도 제한 영역(113)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후 정지한다. 그에 따라,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제2 자세(400b)를 가지도록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15와 같이 자세 조절부(110b)가 상승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부(140)를 밀게 되면, 연결 링크(1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자세 조절부(110b)가 하강한다. 자세 조절부(110b)가 하강함에 따라, 복수 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제1 돌기(41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서로 중첩된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체 1a ; 간섭 부재
2 ; 이동 공간 10 ; 급지장치
20 ; 배지장치 30 ; 인쇄장치
40Y, 40M, 40C, 40K : 현상유닛 400a ; 제1 자세
400b ; 제2 자세 411 : 제1 돌기
412 ; 제2 돌기 41 ; 감광드럼
43 ; 현상롤러 45 ; 대전롤러
46 ; 노광 구멍 47 ; 토너 수용부
470 ; 확장 영역 48 ; 클리닝 부재
49 ; 폐토너 수용부 50 ; 중간 전사벨트
51 ; 중간 전사롤러 52 ; 최종 전사롤러
60 ; 정착기 70; 노광기
80 ; 트레이 800a ; 제1 위치
800b ; 제2 위치 81 ; 가이드 구멍
84 ; 가이드 레일 100 ; 현상유닛 이송 장치
110 ; 자세 조절부 111 ; 가이드 돌기
112 : 지지 영역 113 ; 회전 각도 제한 영역
114 ; 가이드 구멍 115 ; 가이드 레일
116 : 제2 가이드 레일 120 ; 회전 부재
121 ; 돌기 130 ; 탄성 부재
140 ; 핸들부 141 ; 연결 링크

Claims (20)

  1. 본체;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탑재하며,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위치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자세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세 조절부가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위치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자세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회전되어 자세가 조절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은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는 제1 자세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각각은,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상기 제1 자세를 가질 때, 상기 토너 수용부의 일부 영역이 인접한 현상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자세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회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제2 자세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각각은, 상기 자세 조절부에 대향하는 측면에, 상기 현상유닛의 무게 중심에서 이탈된 위치에 제1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제1 돌기를 접촉 및 지지하는 지지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각각은, 상기 자세 조절부에 대향하는 측면에, 상기 제1 돌기와 이격된 위치에 제2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제2 돌기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각도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와 상기 자세 조절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트레이의 이동 방향과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와 상기 자세 조절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구멍에 삽입 가능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트레이를 향해 돌출된 간섭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간섭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회전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회전 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트레이에 대해 위치 이동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한 상기 간섭 부재의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자세 조절부를 본래 위치로 회복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트레이의 이송 방향과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간섭 부재가 삽입 가능한, 경사 레일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핸들부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트레이에 대해 위치 이동되는, 화상형성장치.
  13.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탑재하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위치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자세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세 조절부가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위치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자세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회전되어 자세가 조절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이송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은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는 제1 자세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이송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자세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회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제2 자세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이송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각각은, 상기 자세 조절부에 대향하는 측면에, 상기 현상유닛의 무게 중심에서 이탈된 위치에 제1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제1 돌기를 접촉 및 지지하는 지지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이송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각각은, 상기 자세 조절부에 대향하는 측면에, 상기 제1 돌기와 이격된 위치에 제2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자세 조절부는, 상기 제2 돌기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각도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이송 장치.
  18.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밖으로,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탑재된 트레이를 인출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자세 조절부를 상기 트레이에 대해 위치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자세 조절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을 회전시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의 자세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세가 조절된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을 트레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분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의 자세를 조절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은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분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의 자세를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 개의 현상유닛들이 회전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분리 방법.
KR1020150184008A 2015-12-22 2015-12-22 현상유닛 이송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유닛 분리 방법 KR20170074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008A KR20170074573A (ko) 2015-12-22 2015-12-22 현상유닛 이송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유닛 분리 방법
US15/364,383 US10168659B2 (en) 2015-12-22 2016-11-30 Developing unit transferr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developing unit transferring device, and developing unit separating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PCT/KR2016/014016 WO2017111338A1 (en) 2015-12-22 2016-12-01 Developing unit transferr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developing unit transferring device, and developing unit separating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008A KR20170074573A (ko) 2015-12-22 2015-12-22 현상유닛 이송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유닛 분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573A true KR20170074573A (ko) 2017-06-30

Family

ID=5906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008A KR20170074573A (ko) 2015-12-22 2015-12-22 현상유닛 이송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유닛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68659B2 (ko)
KR (1) KR20170074573A (ko)
WO (1) WO2017111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1407B2 (ja) * 2017-03-13 2021-07-2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7535B2 (ja) 2006-03-30 2011-05-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48490B2 (ja) 2008-01-31 2010-09-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08273B2 (ja) 2008-06-30 2010-07-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2455819B8 (en) 2010-11-23 2018-07-18 HP Printing Korea Co., Ltd.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206816B2 (ja) 2011-02-10 2013-06-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30051812A (ko) 2011-11-10 2013-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5896963B2 (ja) * 2013-08-20 2016-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805155B2 (ja) * 2013-08-20 2015-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1338A1 (en) 2017-06-29
US20170176923A1 (en) 2017-06-22
US10168659B2 (en) 201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8924A (en) Customer replaceable photoreceptor belt module
US603515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belt unit thereof
RU2302027C2 (ru) 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картридж и устройство созд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CN108345203B (zh) 显影装置、处理盒和成像设备
US20070122175A1 (en) Developer cartridge, process unit, and image formation device
US20080181678A1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70054062A (ko)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JP686777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526166B1 (ko)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US8023856B2 (en) Image-forming device with a cleaning mechanism
JP2008209862A (ja) 画像形成装置
JP4374970B2 (ja) 画像形成装置
JP465054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71848A (ja) 画像形成装置
KR20170074573A (ko) 현상유닛 이송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유닛 분리 방법
US104594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0185710A (ja) 光プリントヘッド、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7068039A (ja) 中間転写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705235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988621B2 (ja) 画像形成装置
JP687030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40083A (ja) 移動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95927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用現像装置
KR100619073B1 (ko)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312589B1 (ko)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