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167A -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167A
KR20170068167A KR1020150175053A KR20150175053A KR20170068167A KR 20170068167 A KR20170068167 A KR 20170068167A KR 1020150175053 A KR1020150175053 A KR 1020150175053A KR 20150175053 A KR20150175053 A KR 20150175053A KR 20170068167 A KR20170068167 A KR 20170068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oil
transmission
coil
wireless power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동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5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8167A/ko
Priority to PCT/KR2016/014196 priority patent/WO2017099442A1/ko
Priority to US16/060,815 priority patent/US20180366260A1/en
Publication of KR2017006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02J1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는, 송신 코일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는 무선 전력의 송신을 위한 송신 코일을 수용하는 송신 코일 수용부; 및 상기 송신 코일의 서로 인접하는 도선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송신 코일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Apparatus For Forming Transmitting Coil of Wireless Power Transmitter, Transmitting Coil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사회가 이루어지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정보통신 기기들이 접속되기 위해서는 사회 모든 시설에 통신 기능을 가진 컴퓨터 칩을 내장시킨 센서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들 기기나 센서의 전원 공급 문제는 새로운 과제가 되고 있다. 또한 휴대폰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핸드셋과 아이팟 같은 뮤직 플레이어 등의 휴대기기 종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작업이 사용자에게 시간과 수고를 요구하고 됐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최근 들어 관심을 받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는 wireless energy transfer)은 자기장의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나 레이저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동칫솔이나 일부 무선면도기도 실상은 전자기유도 원리로 충전된다.
현재까지 무선을 이용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크게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RF 전송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두 개의 코일을 서로 인접시킨 후 한 개의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이 때 발생한 자속(MagneticFlux)이 다른 코일에 기전력을 일으키는 현상을 사용한 기술로서,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를 중심으로 빠르게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최대 수백 키로와트(kW)의 전력을 전송할 수 있고 효율도 높지만 최대 전송 거리가 1센티미터(cm) 이하이므로 일반적으로 충전기나 바닥에 인접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자기 공진 방식은 전자기파나 전류 등을 활용하는 대신 전기장이나 자기장을 이용하는 특징이 있다. 자기 공진 방식은 전자파 문제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다른 전자 기기나 인체에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한정된 거리와 공간에서만 활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전달 효율이 다소 낮다는 단점이 있다.
단파장 무선 전력 전송 방식-간단히, RF 전송 방식-은 에너지가 라디오 파(RadioWave)형태로 직접 송수신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한 것이다. 이 기술은 렉테나(rectenna)를 이용하는 RF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서, 렉테나는 안테나(antenna)와 정류기(rectifier)의 합성어로서 RF 전력을 직접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즉, RF 방식은 AC 라디오파를 DC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기술로서, 최근 효율이 향상되면서 상용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모바일 뿐만 아니라 IT, 철도, 가전 산업 등 산업 전반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충전 베드에 놓여진 무선 전력 수신기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코일들이 장착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출시되고 있다. 복수의 코일들 각각은 무선 전력 송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선이 많은 턴(turn) 수로 감긴 코일로 구현되는데, 이러한 코일은 근접 효과(proximity effect)로 인해 높은 저항을 띄게 된다. 따라서, 높은 저항으로 인해 오히려 전력 송신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코일의 인접하는 도선끼리 접촉하게 되는 쇼트(short)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면 이물질이 코일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코일의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쇼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전력 송신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는, 송신 코일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는 무선 전력의 송신을 위한 송신 코일을 수용하는 송신 코일 수용부; 및 상기 송신 코일의 서로 인접하는 도선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송신 코일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송신 코일 가이드는, 상기 송신 코일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가 최적화되도록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송신 코일 수용부는, 상기 송신 코일의 지름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송신 코일 수용부는, 상기 송신 코일의 지름의 1/2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모듈은, 무선 전력의 송신을 위한 송신 코일; 송신 코일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송신 코일을 수용하는 제1 송신 코일 수용부와, 상기 송신 코일의 서로 인접하는 도선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제1 송신 코일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 및 상기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에 부착되는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모듈의 제작 방법은, 무선 전력의 송신을 위한 송신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송신 코일 수용부와, 상기 송신 코일의 서로 인접하는 도선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제1 송신 코일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와 상기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의 대응되는 면이 맞닿도록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와 상기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가 부착되어 형성되는 하나의 송신 코일 수용부에 상기 송신 코일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에 의하면, 송신 코일의 서로 인접하는 도선 간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여, 송신 코일이 최적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코일을 서로 인접하는 도선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쇼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송신 코일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의 감지 신호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WPC 표준에 정의된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3은 PMA 표준에 정의된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 모듈의 제작을 위한 송신 코일 형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 모듈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무선 전력 시스템상에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파워 송신기, 무선 파워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기, 송신단, 송신기, 송신 장치, 송신측, 무선 파워 전송 장치, 무선 파워 전송기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대한 표현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파워 수신 장치, 무선 파워 수신기, 수신 단말기, 수신측, 수신 장치, 수신기 등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패드 형태, 거치대 형태, AP(Access Point) 형태, 소형 기지국 형태, 스텐드 형태, 천장 매립 형태, 벽걸이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송신기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파워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파워 전송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파워 전송 수단은 전력 송신단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그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단 코일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기반한 다양한 무전 전력 전송 표준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파워 전송 수단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 PMA(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송신기로부터 동시에 무선 파워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 PMA(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player, 전동 칫솔, 전자 태그, 조명 장치, 리모콘, 낚시찌,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소형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장착되어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기기라면 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의 감지 신호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3개의 송신 코일(111, 112, 113)이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송신 코일은 일부 영역이 다른 송신 코일과 서로 중첩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각각의 송신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소정 감지 신호(117, 127)-예를 들면, 디지털 핑 신호-를 미리 정의된 순서로 순차적으로 송출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면 번호 110에 도시된 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를 통해 감지 신호(117)를 순차적으로 송출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115)로부터 시그널 세기 지시자(Signal Strength Indicator, 116)가 수신된 송신 코일(111, 112)을 식별할 수 있다. 연이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면 번호 120에 도시된 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를 통해 감지 신호(127)를 순차적으로 송출하고, 시그널 세기 지시자(126)가 수신된 송신 코일(111, 112) 중 전력 전송 효율(또는 충전 효율)-즉,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정렬 상태-이 좋은 송신 코일을 식별하고, 식별된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이 송출되도록-즉,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2회의 감지 신호 송출 절차를 수행하는 이유는 어느 송신 코일에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 코일이 잘 정렬되어 있는지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한 도 1의 도면 번호 110 및 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신 코일(111), 제2 송신 코일(112)에 시그널 세기 지시자(116, 126)가 수신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1 송신 코일(111)과 제2 송신 코일(112) 각각에 수신된 시그널 세기 지시자(126)에 기반하여 가장 정렬이 잘된 송신 코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한다.
도 2는 WPC 표준에 정의된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WPC 표준에 따른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의 파워 전송은 크게 선택 단계(Selection Phase, 210), 핑 단계(Ping Phase, 220), 식별 및 구성 단계(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 230), 파워 전송 단계(Power Transfer Phase, 240)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선택 단계(210)는 파워 전송을 시작하거나 파워 전송을 유지하는 동안 특정 오류 또는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천이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오류 및 특정 이벤트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선택 단계(210)에서 송신기는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송신기가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놓여진 것이 감지되면, 핑 단계(220)로 천이할 수 있다(S201). 선택 단계(210)에서 송신기는 매우 짧은 펄스의 아날로그 핑(Analog Ping) 신호를 전송하며, 송신 코일의 전류 변화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표면의 활성 영역(Active Area)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핑 단계(220)에서 송신기는 물체가 감지되면, 수신기를 활성화시키고, 수신기가 WPC 표준이 호환되는 수신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디지털 핑(Digital Ping)을 전송한다. 핑 단계(220)에서 송신기는 디지털 핑에 대한 응답 시그널-예를 들면, 시그널 세기 지시자-을 수신기로부터 수신하지 못하면, 다시 선택 단계(210)로 천이할 수 있다(S202). 또한, 핑 단계(22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파워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즉,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선택 단계(210)로 천이할 수도 있다(S203).
핑 단계(220)가 완료되면, 송신기는 수신기 식별 및 수신기 구성 및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식별 및 구성 단계(230)로 천이할 수 있다(S204).
식별 및 구성 단계(230)에서 송신기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패킷 전송 오류가 있거나(transmission error), 파워 전송 계약이 설정되지 않으면(no power transfer contract) 선택 단계(210)로 천이할 수 있다(S205).
수신기에 대한 식별 및 구성이 완료되면, 송신기는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파워 전송 단계(240)로 천이할 수 있다(S206).
파워 전송 단계(240)에서, 송신기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기 설정된 파워 전송 계약에 대한 위반이 발생되거나(power transfer contract violation), 충전이 완료된 경우, 선택 단계(210)로 천이할 수 있다(S207).
또한, 파워 전송 단계(240)에서, 송신기는 송신기 상태 변화 등에 따라 파워 전송 계약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식별 및 구성 단계(230)로 천이할 수 있다(S208).
상기한 파워 전송 계약은 송신기와 수신기의 상태 및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기 상태 정보는 최대 전송 가능한 파워량에 대한 정보, 최대 수용 가능한 수신기 개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기 상태 정보는 요구 전력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PMA 표준에 정의된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MA 표준에 따른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의 파워 전송은 크게 대기 단계(Standby Phase, 310), 디지털 핑 단계(Digital Ping Phase, 320), 식별 단계(Identification Phase, 330), 파워 전송 단계(Power Transfer Phase, 340) 단계 및 충전 완료 단계(End of Charge Phase, 350)로 구분될 수 있다.
대기 단계(310)는 파워 전송을 위한 수신기 식별 절차를 수행하거나 파워 전송을 유지하는 동안 특정 오류 또는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천이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오류 및 특정 이벤트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대기 단계(310)에서 송신기는 충전 표면(Charging Surface)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송신기가 충전 표면에 물체가 놓여진 것이 감지되거나 RXID 재시도가 진행중인 경우, 디지털 핑 단계(320)로 천이할 수 있다(S301). 여기서, RXID는 PMA 호환 수신기에 할당되는 고유 식별자이다. 대기 단계(310)에서 송신기는 매우 짧은 펄스의 아날로그 핑(Analog Ping)을 전송하며, 송신 코일의 전류 변화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표면-예를 들면, 충전 베드-의 활성 영역(Active Area)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디지털 핑 단계(320)로 천이된 송신기는 감지된 물체가 PMA 호환 수신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디지털 핑 신호를 송출한다. 송신기가 전송한 디지털 핑 신호에 의해 수신단에 충분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수신기는 수신된 디지털 핑 신호를 PMA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하여 소정 응답 시그널을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시그널은 수신기에 수신된 전력의 세기를 지시하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핑 단계(320)에서 수신기는 유효한 응답 시그널이 수신되면, 식별 단계(330)로 천이할 수 있다(S302).
만약, 디지털 핑 단계(320)에서, 응답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거나, PMA 호환 수신기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즉, FOD(Foreign Object Detection)인 경우-, 송신기는 대기 단계(310)로 천이할 수 있다(S303). 일 예로, FO(Foreign Object)는 동전, 키 등을 포함하는 금속성 물체일 수 있다.
식별 단계(33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 식별 절차가 실패하거나 수신기 식별 절차를 재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및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수신기 식별 절차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에 대기 단계(310)로 천이할 수 있다(S304).
송신기는 수신기 식별에 성공하면, 식별 단계(330)에서 파워 전송 단계(340)로 천이하여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S305).
파워 전송 단계(340)에서, 송신기는 원하는 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FO(Foreign Object)가 감지되거나, 송신 코일의 전압이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기 단계(310)으로 천이할 수 있다(S306).
또한, 파워 전송 단계(340)에서, 송신기는 내부 구비된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충전 완료 단계(350)로 천이할 수 있다(S307).
충전 완료 단계(35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가 충전 표면에서 제거된 것이 확인되면, 대기 상태(310)으로 천이할 수 있다(S309).
또한, 송신기는 Over Temperature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측정된 온도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진 경우, 충전 완료 단계(350)에서 디지털 핑 단계(320)로 천이할 수 있다(S310).
디지털 핑 단계(320) 또는 파워 전송 단계(34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EOC(End Of Charge) 요청이 수신되면, 충전 완료 단계(350)로 천이할 수도 있다(S308 및 S31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400)와 무선 전력 수신기(450)을 포함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와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각각 도 1에서 설명된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수신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무선 전력 송신기(400) 상에 위치시키면 무선 전력 송신기(400)와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코일은 전자기장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력 전송을 위한 전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전력 신호를 변조하고,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통신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른 전자기 신호를 복조하여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400)의 송출 전력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 피드백 신호를 인-밴드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력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주파수를 제어하여 송출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전송되는 전력의 양(혹은 증가/감소)은 무선 전력 수신기(45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전달되는 피드백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450)와 무선 전력 송신기(400) 사이의 통신은 상술한 피드백신호를 이용하는 인 밴드(in-band) 통신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 통신 모듈을 구비한 아웃 오브 밴드 (out-of-band) 통신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NFC, 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와 무선 전력 수신기(450) 사이의 상태 정보 및 제어 신호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은 주파수 변조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을 통해 장치 식별 정보, 충전 상태 정보, 전력 제어 신호 등이 교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발생기(420), 무선 전력 수신기(450)로부터 전달되는 피드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전원 공급단(V_Bus, GND) 사이에 위치한 코일(L1) 및 캐패시터(C1, C2), 및 신호 발생기(42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스위치(SW1, SW2)를 포함한다. 신호 발생기(420)는 코일(L1)을 통해 전달된 피드백 신호의 복조를 위한 복조부(424), 주파수 변경을 위한 주파수 구동부(426), 변조부(424)와 주파수 구동부(426)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 제어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일(L1)을 통해 전달된 피드백 신호는 복조부(424)에 의해 복조된 후 송신 제어부(422)로 입력되고, 송신 제어부(422)는 복조된 신호에 기반하여 주파수 구동부(426)를 제어하여 코일(L1)로 전달되는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코일(L2)을 통해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변조부(452), 코일(L2)을 통해 수신된 교류(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부(454), 변조부(452)와 정류부(454)를 제어하기 위한 수신 제어기(46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제어기(460)는 정류기(454) 및 기타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462), 정류기(454)가 출력 DC 전압을 충전 대상(부하, 468)의 충전 요건에 맞는 DC 전압으로 변경하기 위한 DC-DC 변환부(464), 변환된 전력이 출력되는 부하(468), 및 수신 전력 상태 및 충전 대상의 상태 등을 무선 전력 송신기(400)에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발생시키는 피드백 통신부(46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에 포함된 코일(L1)은 도 1에 도시된 3개의 송신 코일(111, 112, 113)을 의미하며, 송신 코일(111, 112, 113)에 연결된 스위치(SW1, SW2), 커패시터(C1, C2)는 송신 코일(111, 112, 113) 별로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 모듈의 제작을 위한 송신 코일 형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 코일 형성 장치(500)는 송신 코일 삽입부(510), 송신 코일 수용부(520), 송신 코일 가이드(530), 상부 기판(540), 및 고정 기구 삽입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코일 형성 장치(550)는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또 다른 송신 코일 형성 장치와 결합되어, 송신 코일 삽입부(510)를 통해 송신 코일을 삽입 후 밀어 넣음으로써, 미리 정해진 형상을 갖는 송신 코일과 함께 송신 코일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되는 송신 코일 모듈을 제작하기 위한 장치이다.
송신 코일 삽입부(510)는 송신 코일의 일측단을 밀어서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코일은 도전성과 함께 휘어지는 성질을 가진 물질(구리(Cu))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물질은 물질의 지름과 거의 유사하게 길게 이어지는 공간으로 밀어 넣어질 경우 상기 공간의 형상에 맞추어져 계속 삽입될 수 있다.
송신 코일 수용부(520)는 송신 코일 삽입부(510)로 삽입되어 진행하는 송신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미리 정해진 코일의 두께 이상의 폭을 가진 나선형으로 패턴화된 코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송신 코일 수용부(520)는 송신 코일 삽입부(520)와 일체로 연결되어, 송신 코일 삽입부(510)를 지난 송신 코일이 계속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송신 코일 삽입부(510)와 송신 코일 수용부(520)의 깊이는 송신 코일의 도선의 지름의 1/2과 동일하거나 다소 클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신 코일 가이드(530)는 송신 코일 삽입부(510)의 내측 도선이 수용되는 공간과 외측 도선이 수용되는 공간을 분리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송신 코일 가이드(530)에 의해 상기 내측 도선과 상기 외측 도선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송신 코일 가이드(530)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무선 전력 전송 효율과 후술할 근접 효과를 최적화 할 수 있다.
상부 기판(540)은 송신 코일 삽입부(510), 송신 코일 수용부(520), 송신 코일 가이드(530), 및 고정 기구 삽입부(550)를 제외한 영역으로, 그 높이는 송신 코일 가이드(530)와 동일할 수 있다.
고정 기구 삽입부(550)는 송신 코일 형성 장치(500)과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다른 송신 코일 형성 장치가 서로 대응되는 부분이 맞닿은 채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기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 기구는 예컨대, 볼트와 너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일 고정 기구 삽입부(550)를 통해 대칭적으로 고정이 되지 않을 경우, 송신 코일은 정상적으로 송신 코일 형성 장치(500)로 삽입될 수 없을 것이다.
송신 코일 형성 장치(550)는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의 재질의 기판을 프레스(press) 공정하여 제작 가능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도 6 내지 도 9에서는 송신 코일 형성 장치(550)를 이용한 송신 코일 모듈(900)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며, 도 5의 일부 단면(CT)에 해당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 모듈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송신 코일 형성 장치(55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600)의 도 5의 일부 단면(CT)에 해당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600)는 도 5에 도시된 송신 코일 형성 장치(5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나, 설명의 편의상 도 5의 일부 단면(CT)에 해당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600)는 송신 코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송신 코일 수용부(620), 서로 인접하는 도선 간의 간격 유지를 위한 제1 송신 코일 가이드(630), 제1 상부 기판(640), 및 제1 하부 기판(6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기판(650)은 제1 송신 코일 가이드(630) 및 제1 상부 기판(640)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송신 코일 가이드(630) 및 제1 상부 기판(64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송신 코일 수용부(620)의 폭(W1)은 수용될 송신 코일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다소의 마진을 가지도록 상기 지름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송신 코일의 지름이 0.83 mm인 경우, 제1 송신 코일 수용부(620)의 폭(W1)은 0.83~0.87 mm 일 수 있다.
제1 송신 코일 수용부(620)의 높이(D)는 송신 코일의 지름의 1/2과 동일하거나, 다소의 마진을 가지도록 상기 지름의 1/2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송신 코일의 지름이 0.83 mm인 경우, 제1 송신 코일 수용부(620)의 높이(D1)는 0.415~0.435 mm 일 수 있다.
제1 송신 코일 수용부(620)의 높이(D)의 기준이 상기 지름의 1/2인 이유는, 도 9에서와 같이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600)가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600)와 대칭되는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700)와 맞닿아 형성된 공간에 송신 코일(910)이 삽입되기 때문이다.
제1 송신 코일 수용부(620)의 폭(W1)과 높이(D)가 송신 코일의 지름과 지름의 1/2과 동일할 경우, 송신 코일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고 도선 간의 간격이 잘 유지될 수 있으나, 송신 코일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공정상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 다소의 마진이 필요할 수도 있다.
제1 송신 코일 가이드(630)의 폭(W2)은 송신 코일의 서로 인접하는 도선 간의 미리 설정된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근접 효과(proximity effect)는 가까이 인접하는 도선 사이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근접 효과는, 양 도선 사이의 공간의 자속 밀도가 증가하여 고주파 전류가 다른 도선에 가까운 부분에 보다 집중되어 흐르려는 성질을 띄게 되어, 도선의 교류 저항이 증가되는 현상이다. 상기 근접 효과는 도선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도선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근접 효과는 줄어들 수 있으나, 인접하는 도선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면 송신 코일의 유효 면적은 줄어들게 된다. 상기 유효 면적은 단위 면적당 전류가 흐르는 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유효 면적이 줄어들게 되면 교류 저항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송신 코일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에 영향을 미치는 교류 저항은 근접 효과가 줄어들수록, 유효 면적이 증가할수록,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도선 간의 간격이 증가하면, 근접 효과는 줄어들지만 유효 면적이 감소된다. 따라서, 송신 코일이 원하는 퀄리티 팩터를 가지기 위해서는, 서로 인접하는 도선 간의 간격이 적정한 값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도선 간의 간격을 결정하는 제1 송신 코일 가이드(630)의 폭(W2)은 송신 코일이 원하는 퀄리티 팩터를 가지도록 미리 실험적으로 결정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7에서, 송신 코일 형성 장치(550)와 대칭된 구조를 가진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700)의 도 5의 일부 단면(CT)에 해당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700)는 도 5에 도시된 송신 코일 형성 장치(500)와 대칭된 구조를 가지나, 설명의 편의상 도 5의 일부 단면(CT)에 해당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700)는 송신 코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2 송신 코일 수용부(720), 서로 인접하는 도선 간의 간격 유지를 위한 제2 송신 코일 가이드(730), 제2 상부 기판(740), 및 제2 하부 기판(7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700)는 제2 상부 기판(740)의 상부면을 중심으로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600)와 대칭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600)와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700)는 서로 대응되는 면이 서로 맞닿도록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600)와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700)가 부착되는 방식은 별도의 접착시트(예컨대, 양면 테이프)에 의한 방식, 또는 접착력 및 절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의 도포 방식(본딩 방식)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600)와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700) 각각의 제1 송신 코일 수용부(620)와 제2 송신 코일 수용부(720)는 하나의 송신 코일 수용부(800)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송신 코일 수용부(620)와 제2 송신 코일 수용부(720) 각각의 높이는 송신 코일의 지름의 1/2과 동일하거나 다소 크므로, 송신 코일 수용부(800)의 높이는 송신 코일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다소 클 수 있다.
도 9에서,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600)와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700) 각각의 송신 코일 삽입부가 형성하는 삽입구를 통해 송신 코일(910)이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된 송신 코일(910)의 서로 인접하는 도선은 제1 송신 코일 가이드(630)의 폭(W2)과 동일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송신 코일 가이드(630)의 폭(W2)은 송신 코일(9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1 송신 코일 수용부(620)의 깊이와 제1 송신 코일 가이드(630)의 폭(W2)이 각각 0.415mm와 0.2mm가 되도록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600)와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700)를 구현하고, 지름이 0.83mm인 송신 코일(910)을 삽입한 경우, 교류 저항(ACR)이 0.134 옴이고 퀄리티 팩터가 38.88로 측정되었다.
이에 반하여, 지름이 0.83mm인 송신 코일(910)이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600)와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700) 없이 나선형으로 감겨 형성된 경우, 교류 저항(ACR)이 0.176 옴이고 퀄리티 팩터가 30.54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송신 코일 모듈(900)은 송신 코일(910)의 서로 인접하는 도선 간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함으로써, 송신 코일(910)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간격은 송신 코일 모듈(900)의 용도, 목적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퀄리티 팩터를 갖도록 결정될 수 있다.
송신 코일 모듈(900)의 일측면에는 송신 코일(910)이 형성하는 자기장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부착되는 방식은 별도의 접착시트(예컨대, 양면 테이프)에 의한 방식, 또는 접착력 및 절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의 도포 방식(본딩 방식)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차폐제는 페라이트 시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신 코일 모듈(900)의 일측면과 차폐제는 송신 코일(910)에 연결되는 도선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제가 부착된 송신 코일 모듈(900)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부착될 수 있으며, 송신 코일(900)은 상기 PCB에 장착된 커넥터를 통해 제어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은 스위치(SW1, SW2)와 신호 발생기(420) 등의 무선 전력 송신기(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들을 포함하는 기판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 모듈(900)에 의하면, 송신 코일(900)의 서로 인접하는 도선 간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여, 송신 코일(900)이 최적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코일(900)을 서로 인접하는 도선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쇼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송신 코일(9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500: 송신 코일 형성 장치
510: 송신 코일 삽입부
520: 송신 코일 수용부
530: 송신 코일 가이드
540: 상부 기판
550: 고정 기구 삽입부

Claims (13)

  1. 송신 코일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는 무선 전력의 송신을 위한 송신 코일을 수용하는 송신 코일 수용부; 및
    상기 송신 코일의 서로 인접하는 도선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송신 코일 가이드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 가이드는,
    상기 송신 코일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가 최적화되도록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 수용부는, 상기 송신 코일의 지름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 수용부는, 상기 송신 코일의 지름의 1/2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5. 무선 전력의 송신을 위한 송신 코일;
    송신 코일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송신 코일을 수용하는 제1 송신 코일 수용부와, 상기 송신 코일의 서로 인접하는 도선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제1 송신 코일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 및
    상기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에 부착되는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코일 수용부와 상기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의 제2 송신 코일 수용부는, 하나의 송신 코일 수용부를 형성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 수용부는, 상기 송신 코일의 지름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 수용부는, 상기 송신 코일의 지름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모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코일 가이드는,
    상기 송신 코일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가 최적화되도록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모듈.
  10. 무선 전력의 송신을 위한 송신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송신 코일 수용부와, 상기 송신 코일의 서로 인접하는 도선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제1 송신 코일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와 상기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의 대응되는 면이 맞닿도록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송신 코일 형성 장치와 상기 제2 송신 코일 형성 장치가 부착되어 형성되는 하나의 송신 코일 수용부에 상기 송신 코일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모듈의 제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코일 가이드는,
    상기 송신 코일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가 최적화되도록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모듈의 제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 수용부는, 상기 송신 코일의 지름과 동일한 폭 및 높이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모듈의 제작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 모듈의 일측면에 차폐제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모듈의 제작 방법.
KR1020150175053A 2015-12-09 2015-12-09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70068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053A KR20170068167A (ko) 2015-12-09 2015-12-09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PCT/KR2016/014196 WO2017099442A1 (ko) 2015-12-09 2016-12-06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US16/060,815 US20180366260A1 (en) 2015-12-09 2016-12-06 Device for forming transmission coil of wireless power transmitter, transmission coi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053A KR20170068167A (ko) 2015-12-09 2015-12-09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167A true KR20170068167A (ko) 2017-06-19

Family

ID=5927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053A KR20170068167A (ko) 2015-12-09 2015-12-09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81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9639A1 (ko) * 2017-07-06 2019-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11509170B2 (en) 2017-07-06 2022-11-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reception coil having constant pi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9639A1 (ko) * 2017-07-06 2019-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11509170B2 (en) 2017-07-06 2022-11-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reception coil having constant p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6916B2 (en) Transmission coil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70043764A (ko) 멀티 코일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769050B1 (ko) 무선 전력 송신기를 위한 송신 코일 모듈
KR20170050991A (ko) 무선 전력 송신기
KR20170094891A (ko) 복수의 송신 코일이 구비된 무선 전력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79117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를 위한 송신 코일 모듈
KR20180042578A (ko) 무선전력 송신 장치
KR20170068167A (ko)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형성 장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804409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KR102099444B1 (ko) 무선 전력 송신기를 위한 송신 코일 모듈
KR20190115573A (ko) 무선충전장치
KR20190050059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전력 전송 방법
US20180366260A1 (en) Device for forming transmission coil of wireless power transmitter, transmission coi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80043993A (ko)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KR101902400B1 (ko) 무선 전력 송신기를 위한 송신 코일 모듈
KR20180013088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20170068164A (ko)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 모듈,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180011606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20180074142A (ko) 멀티 모드 안테나 모듈 및 그것을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1773092B1 (ko)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85479A (ko) 무선충전코일 및 무선충전장치
KR20180003762A (ko) 무선 전력 코일,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스마트 워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