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993A -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993A
KR20180043993A KR1020160137514A KR20160137514A KR20180043993A KR 20180043993 A KR20180043993 A KR 20180043993A KR 1020160137514 A KR1020160137514 A KR 1020160137514A KR 20160137514 A KR20160137514 A KR 20160137514A KR 20180043993 A KR20180043993 A KR 20180043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lane
wireless power
plane coi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993A/ko
Priority to PCT/KR2017/011097 priority patent/WO2018074769A1/ko
Publication of KR2018004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01F2005/027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wound on formers for receiving several coils with perpendicular winding axes, e.g. for antennae or inductive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차폐재; 및 상기 차폐재 상에 코일선이 연장되어 복수 회 턴하여 배치된 평면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 코일은 상기 코일선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Coil Device Of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Thereof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단말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의 배터리가 충전되려면, 외부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와 배터리 간의 전기적 연결방식의 일 예로,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대응하는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해당 배터리의 단자를 통해 배터리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공급방식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자공급방식은 물리적인 케이블(cable) 또는 전선의 사용이 동반된다. 따라서 단자공급방식의 장비들을 많이 취급하는 경우, 많은 케이블들이 상당한 작업 공간을 차지하고 정리가 곤란하며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또한 단자공급방식은 단자들간의 서로 다른 전위차로 인한 순간방전현상, 이물질에 의한 소손 및 화재 발생, 자연방전, 배터리의 수명 및 성능 저하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한 충전시스템(이하 "무선 충전 시스템"이라 칭함.)과 제어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시스템이 과거에는 일부 휴대용 단말에 기본 장착되지 않고 소비자가 별도 무선 충전 수신기 액세서리를 별도로 구매해야 했기에 무선 충전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낮았으나 무선 충전 사용자가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단말 제조사에서도 무선충전 기능을 기본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 충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예를 들어, 전자기 유도 방식, 전자기 공진 방식, RF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등)에 의해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전력 송신기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그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기 코일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기반한 다양한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또는/및 PMA(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특정 공진 주파수에 동조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기 공진 방식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표준 기구에서 정의된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RF 신호에 저전력의 에너지를 실어 원거리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RF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충전 시스템에 이용되는 코일은 가격이 다른 부품에 비하여 고가이다. 또한, 코일은 두께를 얇게 할 경우 저항이 증가하여 충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 코일을 이용한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가의 평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량 생산이 용이한 평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가 얇고 저항 값이 낮은 평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항 값이 균일한 평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파방해 차단에 우수한 평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폐재와 일체화된 평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평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차폐재; 및 상기 차폐재 상에 코일선이 연장되어 복수 회 턴하여 배치된 평면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 코일은 상기 코일선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평면 코일은 나동선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평면 코일이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평면 코일이 원 나선 형상 또는 사각 나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코일선의 단면이 직각 형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코일선이 양측 상면에 모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모가 상기 상기 평면 코일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깊이가 증가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평면 코일이 일면에 도금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평면 코일이 일면에 EMI 쉴드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평면 코일이 상기 차폐재와 일체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평면 코일이 복수의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평면 코일이 제1층에 제1 코일이 배치되고, 제2층에 제2 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 사이에 절연층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이 상기 절연층의 홀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상기 평면 코일은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평면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차폐재 및 상기 차폐재 상에 배치된 평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장치; 및 상기 평면 코일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 코일은 코일선이 연장되어 복수 회 턴하여 배치되고, 상기 코일선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차폐재 및 상기 차폐재 상에 배치된 평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장치; 및 상기 평면 코일에 연결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 코일은 코일선이 연장되어 복수 회 턴하여 배치되고, 상기 코일선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기판 상에 차폐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차폐재 상에 평면 코일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 코일은 상기 코일선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는 금속 재질의 평판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평판을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는 금속 재질의 제1 평판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평판을 도금하거나 EMI 쉴드를 배치하여 제2 평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평판을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평면 코일이 나동선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코일선이 양측 상면에 모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모가 상기 상기 평면 코일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깊이가 증가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저가의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대량 생산이 가능한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두께가 얇으면서 저항 값의 균일성이 높고 저항 값이 낮은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전자파방해 차단에 우수한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평면 코일이 차폐재와 일체화되어 별도의 구성없이 평면 코일을 고정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일체화된 차폐재에 의하여 평면 코일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일체화된 차폐재에 의하여 평면 코일이 내열특성을 갖을 수 있다.
일곱째, 본발명은 복수개의 송신 코일을 이용하여 보다 넓은 충전 영역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높다.
여덟째, 본 발명은 복수개의 동일한 회로를 하나만 이용할 수 있어 무선 전력 송신기 자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사용되는 부품이 줄어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감지 신호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WPC 표준에 정의된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5는 PMA 표준에 정의된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동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절차에 따른 패킷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절차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핑 단계에서 전송 가능한 패킷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절차에 따른 식별 패킷의 메시지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절차에 따른 구성 패킷 및 전력 제어 보류 패킷의 메시지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절차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전력 전송 단계에서 전송 가능한 패킷의 종류 및 그것의 메시지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코일장치에서 평면 코일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코일장치에서 평면 코일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풀브리지 인버터(Full-bridge Invertor)를 포함하는 3개의 드라이브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면서 하나의 드라이브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는 일 실시예에 따른 풀브리지 인버터(Full-bridge Invertor)를 포함하는 드라이브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어느 하나를 드라이브 회로와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상에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기, 송신단, 송신기, 송신 장치, 송신측,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충전장치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대한 표현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기, 수신 단말기, 수신측, 수신 장치, 수신기 단말 등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패드 형태, 거치대 형태, AP(Access Point) 형태, 소형 기지국 형태, 스텐드 형태, 천장 매립 형태, 벽걸이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송신기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통상적으로 책상이나 탁자 위 등에서 놓여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으로도 개발되어 적용되어 차량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및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player, 전동 칫솔, 전자 태그, 조명 장치, 리모콘, 낚시찌 등의 소형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장착되어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 기기(이하, "디바이스"라 칭함.)라면 족하고, 단말 또는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차량, 무인 항공기, 에어 드론 등에도 탑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구비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동시에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상기 전자기 유도 방식, 전자기 공진 방식, RF 무선 전력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전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 PMA(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표준 기구에서 정의된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밴드 통신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인밴드 통신, BLE 통신은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주파수 변조 방식, 위상 변조 방식, 진폭 변조 방식, 진폭 및 위상 변조 방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수신 코일을 통해 유도된 전류를 소정 패턴으로 ON/OFF 스위칭하여 궤환 신호(feedback signal)를 생성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기에 각종 제어 신호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수신 전력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는 수신 전력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효율 또는 전력 전송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은 크게 무선으로 전력을 송출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10), 상기 송출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20) 및 수신된 전력을 공급 받는 전자기기(30)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10)과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10)과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와 상이한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대역외(Out-of-band)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10)과 무선 전력 수신기(20)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는 서로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제어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 사이에 교환되는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는 후술할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인밴드 통신 및 대역외 통신은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방향 통신 또는 반이중 방식의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방향 통신은 무선 전력 수신기(20)이 무선 전력 송신기(10)으로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10)이 무선 전력 수신기(20)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반이중 통신 방식은 무선 전력 수신기(20)과 무선 전력 송신기(1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은 가능하나, 어느 한 시점에 어느 하나의 장치에 의해서만 정보 전송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전자 기기(30)의 각종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자 기기(30)의 상태 정보는 현재 전력 사용량 정보, 실행중인 응용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CPU 사용량 정보,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배터리 출력 전압/전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자 기기(30)로부터 획득 가능하고, 무선 전력 제어에 활용 가능한 정보이면 족하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10)은 고속 충전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소정 패킷을 무선 전력 수신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접속된 무선 전력 송신기(10)이 고속 충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이를 전자 기기(30)에 알릴 수 있다. 전자 기기(30)는 구비된 소정 표시 수단-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음-을 통해 고속 충전이 가능함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30) 사용자는 액정 표시 수단에 표시된 소정 고속 충전 요청 버튼을 선택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10)이 고속 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30)는 사용자에 의해 고속 충전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소정 고속 충전 요청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수신된 고속 충전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충전 모드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10)에 전송함으로써, 일반 저전력 충전 모드를 고속 충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 예로, 도면 부호 20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기(10)에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연결되어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0)은 시분할 방식으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분배하여 송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10)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별 할당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분배하여 송출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에 연결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별 요구 전력량, 배터리 충전 상태,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가용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20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10)은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20)은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들로부터 동시에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수신기(20)과 연결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개수는 무선 전력 수신기(20)의 요구 전력량, 배터리 충전 상태,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가용 전력량 등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감지 신호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3개의 송신 코일(111, 112, 113)이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송신 코일은 일부 영역이 다른 송신 코일과 서로 중첩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각각의 송신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소정 감지 신호(117, 127)-예를 들면, 디지털 핑 신호-를 미리 정의된 순서로 순차적으로 송출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면 번호 110에 도시된 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를 통해 감지 신호(117)를 순차적으로 송출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115)로부터 신호 세기 지시자(Signal Strength Indicator, 116)(또는 신호 세기 패킷)가 수신된 송신 코일(111, 112)을 식별할 수 있다. 연이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면 번호 120에 도시된 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를 통해 감지 신호(127)를 순차적으로 송출하고, 신호 세기 지시자(126)가 수신된 송신 코일(111, 112) 중 전력 전송 효율(또는 충전 효율)-즉,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정렬 상태-이 좋은 송신 코일을 식별하고, 식별된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이 송출되도록-즉,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2회의 감지 신호 송출 절차를 수행하는 이유는 어느 송신 코일에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 코일이 잘 정렬되어 있는지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한 도 3의 도면 번호 110 및 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신 코일(111), 제2 송신 코일(112)에 신호 세기 지시자(116, 126)가 수신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1 송신 코일(111)과 제2 송신 코일(112) 각각에 수신된 신호 세기 지시자(126)에 기반하여 가장 정렬이 잘된 송신 코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한다.
도 4는 WPC 표준에 정의된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WPC 표준에 따른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의 파워 전송은 크게 선택 단계(Selection Phase, 410), 핑 단계(Ping Phase, 420), 식별 및 구성 단계(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 430), 전력 전송 단계(Power Transfer Phase, 440)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선택 단계(410)는 파워 전송을 시작하거나 파워 전송을 유지하는 동안 특정 오류 또는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천이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오류 및 특정 이벤트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선택 단계(410)에서 송신기는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송신기가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놓여진 것이 감지되면, 핑 단계(420)로 천이할 수 있다(S401). 선택 단계(410)에서 송신기는 매우 짧은 펄스의 아날로그 핑(Analog Ping) 신호를 전송하며, 송신 코일의 전류 변화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표면의 활성 영역(Active Area)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핑 단계(420)에서 송신기는 물체가 감지되면, 수신기를 활성화시키고, 수신기가 WPC 표준이 호환되는 수신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디지털 핑(Digital Ping)을 전송한다. 핑 단계(420)에서 송신기는 디지털 핑에 대한 응답 시그널-예를 들면, 신호 세기 지시자-을 수신기로부터 수신하지 못하면, 다시 선택 단계(410)로 천이할 수 있다(S402). 또한, 핑 단계(42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파워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즉,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선택 단계(410)로 천이할 수도 있다(S403).
핑 단계(420)가 완료되면, 송신기는 수신기 식별 및 수신기 구성 및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식별 및 구성 단계(430)로 천이할 수 있다(S404).
식별 및 구성 단계(430)에서 송신기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패킷 전송 오류가 있거나(transmission error), 파워 전송 계약이 설정되지 않으면(no power transfer contract) 선택 단계(410)로 천이할 수 있다(S405).
수신기에 대한 식별 및 구성이 완료되면, 송신기는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 단계(440)로 천이할 수 있다(S406).
전력 전송 단계(440)에서, 송신기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기 설정된 파워 전송 계약에 대한 위반이 발생되거나(power transfer contract violation), 충전이 완료된 경우, 선택 단계(410)로 천이할 수 있다(S407).
또한, 전력 전송 단계(440)에서, 송신기는 송신기 상태 변화 등에 따라 파워 전송 계약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식별 및 구성 단계(430)로 천이할 수 있다(S408).
상기한 파워 전송 계약은 송신기와 수신기의 상태 및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기 상태 정보는 최대 전송 가능한 파워량에 대한 정보, 최대 수용 가능한 수신기 개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기 상태 정보는 요구 전력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은 PMA 표준에 정의된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MA 표준에 따른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의 파워 전송은 크게 대기 단계(Standby Phase, 510), 디지털 핑 단계(Digital Ping Phase, 520), 식별 단계(Identification Phase, 530), 전력 전송 단계(Power Transfer Phase, 540) 단계 및 충전 완료 단계(End of Charge Phase, 550)로 구분될 수 있다.
대기 단계(510)는 파워 전송을 위한 수신기 식별 절차를 수행하거나 파워 전송을 유지하는 동안 특정 오류 또는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천이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오류 및 특정 이벤트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대기 단계(510)에서 송신기는 충전 표면(Charging Surface)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송신기가 충전 표면에 물체가 놓여진 것이 감지되거나 RXID 재시도가 진행중인 경우, 디지털 핑 단계(520)로 천이할 수 있다(S501). 여기서, RXID는 PMA 호환 수신기에 할당되는 고유 식별자이다. 대기 단계(510)에서 송신기는 매우 짧은 펄스의 아날로그 핑(Analog Ping)을 전송하며, 송신 코일의 전류 변화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표면-예를 들면, 충전 베드-의 활성 영역(Active Area)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디지털 핑 단계(520)로 천이된 송신기는 감지된 물체가 PMA 호환 수신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디지털 핑 신호를 송출한다. 송신기가 전송한 디지털 핑 신호에 의해 수신기에 충분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수신기는 수신된 디지털 핑 신호를 PMA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하여 소정 응답 시그널을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시그널은 수신기에 수신된 전력의 세기를 지시하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핑 단계(520)에서 송신기는 유효한 응답 시그널이 수신되면, 식별 단계(530)로 천이할 수 있다(S502).
만약, 디지털 핑 단계(520)에서, 응답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거나, PMA 호환 수신기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즉, FOD(Foreign Object Detection)인 경우-, 송신기는 대기 단계(510)로 천이할 수 있다(S503). 일 예로, FO(Foreign Object)는 동전, 키 등을 포함하는 금속성 물체일 수 있다.
식별 단계(53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 식별 절차가 실패하거나 수신기 식별 절차를 재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및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수신기 식별 절차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에 대기 단계(510)로 천이할 수 있다(S504).
송신기는 수신기 식별에 성공하면, 식별 단계(530)에서 전력 전송 단계(540)로 천이하여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S505).
전력 전송 단계(540)에서, 송신기는 원하는 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FO가 감지되거나, 송신 코일의 전압이 미리 정의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기 단계(510)으로 천이할 수 있다(S506).
또한, 전력 전송 단계(540)에서, 송신기는 내부 구비된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충전 완료 단계(550)로 천이할 수 있다(S507).
충전 완료 단계(55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가 충전 표면에서 제거된 것이 확인되면, 대기 상태(510)으로 천이할 수 있다(S509).
또한, 송신기는 Over Temperature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측정된 온도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진 경우, 충전 완료 단계(550)에서 디지털 핑 단계(520)로 천이할 수 있다(S510).
디지털 핑 단계(520) 또는 전력 전송 단계(54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EOC(End Of Charge) 요청이 수신되면, 충전 완료 단계(550)로 천이할 수도 있다(S508 및 S511).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크게, 전력 변환부(610), 전력 전송부(620), 통신부(630), 제어부(640), 센싱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무선 전력 송신기(600)의 구성은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변환부(610)는 전원부(66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이를 소정 세기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610)는 DC/DC 변환부(611), 증폭기(6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C/DC 변환부(611)는 전원부(660)로부터 공급된 DC 전력을 제어부(6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세기의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650)는 DC 변환된 전력의 전압/전류 등을 측정하여 제어부(6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650)는 과열 발생 여부 판단을 위해 무선 전력 송신기(6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6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640)는 센싱부(650)에 의해 측정된 전압/전류 값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전원부(65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증폭기(612)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610)의 일측에는 전원부(6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증폭기(612)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소정 전력 차단 회로가 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증폭기(612)는 DC/DC 변환된 전력의 세기를 제어부(6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640)는 통신부(630)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 정보 또는(및) 전력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전력 수신 상태 정보 또는(및) 전력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증폭기(612)의 증폭률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수신 상태 정보는 정류기 출력 전압의 세기 정보, 수신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력 제어 신호는 전력 증가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 전력 감소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송부(620)는 다중화기(621)(또는 멀티플렉서), 송신 코일(6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부(620)는 전력 전송을 위한 특정 동작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반송파 생성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반송파 생성기는 다중화기(621)를 통해 전달 받은 증폭기(612)의 출력 DC 전력을 특정 주파수를 갖는 AC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특정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반송파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교류 신호가 다중화기(621)의 출력단에 믹싱되어 교류 전력이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일 예는 증폭기(612) 이전단 또는 이후단에 믹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송신 코일에 전달되는 AC 전력의 주파수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다른 일 실시예는 LC 공진 특성을 송신 코일마다 상이하게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된 소정 주파수 제어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송신 코일 별 공진주파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복수의 송신 코일 각각에서 발생되는 공진 주파수가 상이한 경우, 이를 제어하는 별도의 주파수 제어기가 필요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의 크기가 커질 수 있고,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복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더라도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를 도 21 내지 도 23에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전송부(620)는 증폭기(612)의 출력 전력이 송신 코일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다중화기(621)와 복수의 송신 코일(622)-즉,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40)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연결된 경우, 송신 코일 별 시분할 다중화를 통해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600)에 3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즉, 제1 내지 3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각각 3개의 서로 다른 송신 코일-즉, 제1 내지 3 송신 코일-을 통해 식별된 경우, 제어부(640)는 다중화기(621)를 제어하여, 특정 타임 슬롯에 특정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이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송신 코일 별 할당된 타임 슬롯의 길이에 따라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되는 전력의 양이 제어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일 예는 송신 코일 별 할당된 타임 슬롯 동안의 증폭기(612) 증폭률을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 별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6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622)을 통해 감지 신호가 순차적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다중화기(62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40)는 감지 신호가 전송될 시점을 타이머(655)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으며, 감지 신호 전송 시점이 도래하면, 다중화기(621)를 제어하여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감지 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타이머(650)는 핑 전송 단계 동안 소정 주기로 특정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640)에 송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640)는 해당 이벤트 신호가 감지되면, 다중화기(621)를 제어하여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디지털 핑이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복조부(632)로부터 어느 송신 코일을 통해 신호 세기 지시자(Signal Strength Indicator)가 수신되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송신 코일 식별자 및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지시자를 수신할 수 있다. 연이어, 제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에서 제어부(6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들)을 통해서만 감지 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다중화기(6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제어부(6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이 복수개인 경우, 가장 큰 값을 갖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을 제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에서 감지 신호를 가장 먼저 송출할 송신 코일로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다중화기(6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변조부(631)는 제어부(64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변조하여 다중화기(621)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방식은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방식, 맨체스터 코딩(Manchester Coding) 변조 방식, PSK(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차등 2단계(Differential bi-phase) 변조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조부(632)는 송신 코일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6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조된 신호에는 신호 세기 지시자, 무선 전력 전송 중 전력 제어를 위한 오류 정정(EC: Error Correction) 지시자, 충전 완료(EOC: End Of Charge) 지시자, 과전압/과전류/과열 지시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각종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조부(632)는 복조된 신호가 어느 송신 코일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송신 코일에 상응하는 소정 송신 코일 식별자를 제어부(6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통해 상기 신호 세기 지시자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송신 코일(622)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송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신 코일(622)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와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송신 코일(622)-즉,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에 각각 대응되는 별도의 코일을 추가로 구비하고,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와 인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상이 도 6의 설명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600)와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인밴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무선 전력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근거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양방향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RFID 통신, UWB 통신, 지그비 통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요청에 따라 고속 충전 모드 및 일반 저전력 충전 모드를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고속 충전 모드가 지원 가능한 경우, 소정 패턴의 신호-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패킷이라 명함-를 송출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600)는 제1 패킷이 수신되면, 접속중인 무선 전력 송신기(600)가 고속 충전이 가능함을 식별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전력 수신기는 고속 충전이 필요한 경우, 고속 충전을 요청하는 소정 제1 응답 패킷을 무선 전력 송신기(600) 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상기 제1 응답 패킷이 수신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고속 충전 모드로 전환하여 고속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600)의 제어부(640)는 상기한 도 4 내지 도 5의 전력 전송 단계(440 또는 540)로 천이한 경우, 제1 패킷이 송신 코일(622)을 통해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상기 도 4의 식별 및 구성 단계(430) 또는 도 5의 식별 단계(530)에서 제1 패킷이 송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무선 전력 송신기(600)가 송출하는 디지털 핑 신호에 고속 충전 지원 가능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인코딩되어 전송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전력 전송 단계의 어느 시점에서든 고속 충전이 필요하면, 충전 모드가 고속 충전으로 설정된 소정 충전 모드 패킷을 무선 전력 송신기(6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충전 모드 패킷의 세부 구성은 후술할 도 7 내지 11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하도록 한다. 물론, 무선 전력 송신기(600)와 무선 전력 수신기는 충전 모드가 고속 충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고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전력이 송출 및 수신 가능할 수 있도록 내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모드가 일반 저전력 충전 모드에서 고속 충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과전압(Over Voltage) 판단 기준, 과열(Over Temperature) 판단 기준, 저전압(Low Voltage)/고전압(High Voltage) 판단 기준, 최적 전압 레벨(Optimum Voltage Level), 전력 제어 옵셋 등의 값이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모드가 일반 저전력 충전 모드에서 고속 충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과전압(Over Voltage) 판단을 위한 임계 전압이 고속 충전이 가능하도록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과열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임계 온도가 고속 충전에 따른 온도 상승을 고려하여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송신기에서의 전력이 제어되는 최소 레벨을 의미하는 전력 제어 옵셋 값은 고속 충전 모드에서 빠르게 원하는 목표 전력 레벨로 수렴 가능하도록 일반 저전력 충전 모드에 비해 큰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동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700)는 수신 코일(710), 정류기(720),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 730), 부하(740), 센싱부(750), 통신부(760), 주제어부(7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760)는 복조부(761) 및 변조부(76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도 7의 예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700)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60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760)는 무선 전력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근거리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수신 코일(710)을 통해 수신되는 AC 전력은 정류부(720)에 전달할 수 있다. 정류기(720)는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직류/직류 변환기(730)에 전송할 수 있다. 직류/직류 변환기(730)는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를 부하(740)에 의해 요구되는 특정 세기로 변환한 후 부하(7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710)은 복수의 수신 코일(미도시)-즉, 제1 내지 제n 수신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수신 코일(미도시)에 전달되는 AC 전력의 주파수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다른 일 실시예는 LC 공진 특성을 수신 코일마다 상이하게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된 소정 주파수 제어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수신 코일 별 공진주파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센싱부(750)는 정류기(720) 출력 DC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주제어부(77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750)는 무선 전력 수신에 따라 수신 코일(7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주제어부(77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센싱부(750)는 무선 전력 수신기(7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값을 주제어부(77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주제어부(770)는 측정된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가 소정 기준치 와 비교하여 과전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과전압이 발생된 경우, 과전압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소정 패킷을 생성하여 변조부(762)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762)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수신 코일(710) 또는 별도의 코일(미도시)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60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주제어부(770)는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가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감지 신호 수신 시, 해당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변조부(762)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600)에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복조부(761)는 수신 코일(710)과 정류기(720) 사이의 AC 전력 신호 또는 정류기(720) 출력 DC 전력 신호를 복조하여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를 식별한 후 식별 결과를 주제어부(77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주제어부(770)는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변조부(762)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에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절차에 따른 패킷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과 무선 전력 수신기 사이의 정보 교환에 사용되는 패킷 포맷(800)은 해당 패킷의 복조를 위한 동기 획득 및 해당 패킷의 정확한 시작 비트를 식별하기 위한 프리엠블(Preamble, 810) 필드, 해당 패킷에 포함된 메시지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헤더(Header, 820) 필드, 해당 패킷의 내용(또는 페이로드(Payload))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Message, 830) 필드 및 해당 패킷에 오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체크썸(Checksum, 840)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수신기는 헤더(820) 값에 기반하여 해당 패킷에 포함된 메시지(830)의 크기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헤더(820)는 무선 전력 전송 절차의 각 단계별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일부, 헤더(820) 값은 서로 다른 단계에서 동일한 값이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핑 단계의 전력 전송 종료(End Power Transfer) 및 전력 전송 단계의 전력 전송 종료에 대응되는 헤더 값은 0x02로 동일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메시지(830)는 해당 패킷의 송신기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 예로, 메시지(830)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상대방에 대한 보고 사항(report), 요청 사항(request) 또는 응답 사항(respons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700)은 해당 패킷을 전송한 송신기를 식별하기 위한 송신기 식별 정보, 해당 패킷을 수신할 수신기를 식별하기 위한 수신기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송신기 식별 정보 및 수신기 식별 정보는 IP 주소 정보, MAC 주소 정보, 제품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충전 시스템상에서 수신기 및 송신기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이면 족하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800)은 해당 패킷이 복수의 장치에 의해 수신되어야 하는 경우, 해당 수신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소정 그룹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에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절차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핑 단계에서 전송 가능한 패킷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간이, 핑 단계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신호 세기 패킷 또는 전력 전송 중단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도 9의 도면 번호 90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세기 패킷의 메시지 포맷은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신호 세기 값(Signal Strength Value)로 구성될 수 있다. 신호 세기 값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정합도(Degree of Coupling)를 가리킬 수 있으며, 디지털 핑 구간에서의 정류기 출력 전압, 출력 차단 스위치 등에서 측정된 개방 회로 전압, 수신 전력의 세기 등에 기반하여 산출된 값일 수 있다. 신호 세기 값은 최저 0에서 최고 255까지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변수에 대한 실제 측정 값(U)이 해당 변수의 최대 값(Umax)과 동일한 경우, 25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신호 세기 값(Signal Strength Value)은 U/Umax*256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도 9의 도면 번호 90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송 중단 패킷의 메시지 포맷은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전력 전송 중단 코드(End Power Transfer Code)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전력 전송 중단을 무선 전력 송신기에 요청하는 이유는 충전 완료(Charge Complete), 내부 오류(Internal Fault), 과열(Over Temperature),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배터리 손상(Battery Failure), 재구성(Reconfigure) 및 응답 없음(No Respons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력 전송 중단 코드는 새로운 전력 전송 중단 이유 각각에 대응하여 추가 정의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충전 완료는 수신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사용될 수 있다. 내부 오류는 수신기 내부 동작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적 또는 논리적인 오류가 감지되었을 때 사용될 수 있다.
과열/과전압/과전류는 수신기에서 측정된 온도/전압/전류 값이 각각에 대해 정의된 임계값을 초과하였을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 손상은 수신기 배터리에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재구성은 전력 전송 조건에 대한 재협상이 필요한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응답 없음은 제어 오류 패킷에 대한 송신기의 응답-즉, 전력의 세기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함-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에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절차에 따른 식별 패킷의 메시지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식별 패킷의 메시지 포맷은 버전 정보(Version Information) 필드, 제조사 정보(Manufacturer Information) 필드, 확장 지시자(Extension Indicator) 필드 및 기본 디바이스 식별 정보(Bas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버전 정보 필드에는 해당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적용된 표준의 개정 버전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제조사 정보 필드에는 해당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제조한 제조사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식별 코드가 기록될 수 있다.
확장 지시자 필드는 확장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확장 식별 패킷이 존재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지시자일 수 있다. 일 예로, 확장 지시자 값이 0이면, 확장 식별 패킷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확장 지시자 값이 1이면, 확장 식별 패킷이 식별 패킷 이후에 존재함을 의미할 수 있다.
도면 번호 1001 내지 1002를 참조하면, 확장 지시자 값이 0이면,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를 위한 디바이스 식별자는 제조사 정보와 기본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확장 지시자 값이 1이면,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를 위한 디바이스 식별자는 제조사 정보, 기본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확장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절차에 따른 구성 패킷 및 전력 제어 보류 패킷의 메시지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도면 번호 1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 패킷의 메시지 포맷은 5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전력 등급(Power Class) 필드, 최대 전력(Maximum Power) 필드, 전력 제어(Power Control) 필드, 카운트(Count) 필드, 윈도우 사이즈(Window Size) 필드, 윈도우 옵셋(Window Offset) 필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력 등급 필드에는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할당된 전력 등급이 기록될 수 있다.
최대 전력 필드에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기 출력단에서 제공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의 세기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등급이 a이고 최대 전력이 b인 경우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정류기 출력단에서 제공되길 바라는 최대 전력량(Pmax)는 (b/2)*10a로 산출될 수 있다.
전력 제어 필드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의 전력 제어가 어떤 알고리즘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제어 필드 값이 0이면, 표준에 정의된 전력 제어 알고리즘 적용을 의미하고, 전력 제어 필드 값이 1이면, 제조사에 의해 정의된 알고리즘에 따라 전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카운트 필드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식별 및 구성 단계에서 전송할 옵션 구성 패킷의 개수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윈도우 사이즈 필드는 평균 수신 파워 산출을 위한 윈도우 크기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윈도우 사이즈는 0보다 크고, 4ms 단위를 가지는 양의 정수 값일 수 있다.
윈도우 옵셋 필드는 평균 수신 파워 산출 윈도우 종료 시점부터 다음 수신 전력 패킷의 전송 시작 시점까지의 시간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일 예로, 윈도우 옵셋은 0보다 크고, 4ms 단위를 가지는 양의 정수 값일 수 있다.
도면 번호 1102를 참조하면, 전력 제어 보류 패킷의 메시지 포맷은 전력 제어 보류 시간(T_delay)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제어 보류 패킷은 식별 및 구성 단계 동안 복수개가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제어 보류 패킷은 7개까지 전송될 수 있다. 전력 제어 보류 시간(T_delay)는 미리 정의된 전력 제어 보류 최소 시간(T_min: 5ms)과 전력 제어 보류 최대 시간(T_max: 205ms)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식별 및 구성 단계에서 마지막으로 수신된 전력 제어 보류 패킷의 전력 제어 보류 시간을 이용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식별 및 구성 단계에서 전력 제어 보류 패킷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T_min 값을 T_delay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력 제어 보류 시간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가장 최근의 제어 오류 패킷 수신 후 실제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이전에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에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절차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전력 전송 단계에서 전송 가능한 패킷의 종류 및 그것의 메시지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력 전송 단계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전송 가능한 패킷은 제어 오류 패킷(Control Error Packet), 전력 전송 중단 패킷(End Power Transfer Packet), 수신 전력 패킷(Received Power Packet), 충전 상태 패킷(Charge Status Packet), 제조사 별 정의된 패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번호 1201은 1바이트의 제어 오류 값(Control Error Value)로 구성된 제어 오류 패킷(Control Error Packet)의 메시지 포맷을 보여준다. 여기서, 제어 오류 값은 -128부터 +127까지의 범위의 정수 값일 수 있다. 제어 오류 값이 음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송출 전력이 내려가고, 양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송출 전력이 올라갈 수 있다.
도면 번호 1202는 1바이트의 전력 전송 중단 코드(End Power Transfer Code)로 구성된 전력 전송 중단 패킷(End Power Transfer Packet)의 메시지 포맷을 보여준다.
도면 번호 1203은 1바이트의 수신 파워 값(Received Power Value)으로 구성된 수신 전력 패킷의 메시지 포맷(Received Power Packet)을 보여준다. 여기서, 수신 파워 값은 소정 구간 동안 산출된 평균 정류기 수신 전력 값에 대응될 수 있다. 실제 수신된 전력량(Preceived)은 구성 패킷(1001)에 포함된 최대 전력(Maximum Power) 및 전력 등급(Power Class)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실제 수신된 전력량은 (수신 파워 값/128)*(최대 전력/2)*(10전력등급)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204는 1바이트의 충전 상태 값(Charge Status Value)로 구성된 충전 상태 패킷(Charge Status Packet)의 메시지 포맷을 보여준다. 충전 상태 값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충전량을 가리킬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상태 값 0은 완전 방전 상태를 의미하고, 충전 상태 값 50은 50% 충전 상태, 충전 상태 값 100은 만충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거나 충전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충전 상태 값은 OxFF로 설정될 수 있다.
<코일 장치>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송신 코일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코일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유도되는 기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코일을 이용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300)는 기판(13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340)은 플렉서블(flexible)한 기판일 수 있고 리지드(rigid)한 기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300)는 차폐재(1330)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재(1330)는 기판(134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1330)는 상부에 배치된 평면 코일(1310)에서 발생된 무선 전력을 충전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고, 하부에 배치된 각종 회로들을 전자기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300)는 접착재(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재(1320)는 평면 코일(1310)과 차폐재(1330) 사이에 배치되고 접착력에 의하여 평면 코일(131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접착재(1320)는 접착부재로 배치되어 평면 코일(1310)과 결합하여 평면 코일(1310)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300)는 평면 코일(1310)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코일(1310)은 유도 코일 또는 공진 코일일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310)은 제1 및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코일은 유도 코일이고, 상기 제2 코일은 공진 코일일 수 있다. 평면 코일(1310)은 기판(1340) 상에 또는 차폐재(13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300)의 평면 코일(1310)은 나선(spiral)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레이스트랙(racetrack) 형상, 사각형 형상, 삼각(triangular) 형상 등으로 적어도 한번 턴(turn)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코일 장치(1300)를 상면에서 보았을 때, 평면 코일(1310)은 원 형상 또는 나선(spiral)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 코일(1310)은 외측 영역에 배치되고 교류신호가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일단(1311)에서 내측 영역에 배치되고 교류신호가 출력되거나 인가되는 타단(1312)으로 원 형상 또는 나선 형상으로 복수 회 턴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 평면 코일(1310)은 13회 턴하여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300)의 평면 코일(1310)은 나동선일 수 있다. 즉, 평면 코일(1310)의 코일선은 절연체인 피복이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인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평면으로 형성된 코일은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대량생산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일은 에칭 공정 특성상 코일선 간에 이격 거리를 증가 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일은 에칭 공정 특성상 코일선의 상부가 에칭되는 부분이 상당히 많으므로 원재료 낭비가 심하였다. 또한,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일은 코일선의 상부가 에칭되는 부분이 많으므로 면적이 좁아지게 되어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일은 에칭되는 부분이 불규칙하여 저항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300)의 평면 코일(1310)은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코일(1310)은 후술하는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의 설명과 같이 금속 재질의 평판을 프레스 공정 등을 이용하여 설계된 형상(예를 들어 상술한 나선(spiral)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레이스트랙(racetrack) 형상, 사각형 형상, 삼각(triangular) 형상 등)으로 형성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평면 코일(1310)은 피복이 코팅되지 않고 나동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310)은 코일선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 코일(1310)은 코일선이 나동선이므로 서로 접촉할 경우 코일의 기능을 할 수 없거나 인덕턴스 값이 바뀔 수 있으므로 이격거리(a1)만큼 이격되어 배치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격거리(a1)는 0.1mm 이상 2.5mm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격거리(a1)는 0.7mm일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310)은 코일선의 단면이 직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310)은 프레스 공정으로 인하여 절단부인 코일선의 양측 상면에 모가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코일(1310)의 코일선의 두께(a2)는 0.01mm 이상 2.5mm 이하일 수 있다. 평면 코일(1310)의 코일선의 폭(a3)은 0.5mm 이상 2m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코일(1310)의 코일선의 폭(a3)은 1.1mm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는 코일선이 피복으로 코팅된 고가의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저가의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는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는 에칭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코일보다 두께가 얇으면서 저항 값의 균일성이 높고 저항 값이 낮은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코일장치에서 평면 코일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은 평면 코일(1411)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차폐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은 차폐재 상에 접착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은 접착재 상에 평면 코일(1411)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평면 코일(1411)을 형성하는 단계는 금속 재질의 평판(1410)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1410)은 도전성이 있는 재질이면 되므로 금속 재질이거나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411)을 형성하는 단계는 평판(1410)을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평면 코일(1411)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판(1410)을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평면 코일(1411)을 형성하는 단계는 평판(1410)에서 필요 없는 부분을 제거하여 코일의 형상(예를 들어, 나선(spiral)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레이스트랙(racetrack) 형상, 사각형 형상, 삼각(triangular) 형상 등)만을 남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b)와 같이, 평면 코일(1411)이 나선(spiral) 형상 또는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411)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나의 평판(1410)으로 한 개뿐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의 평면 코일(141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는 코일선이 피복으로 코팅된 고가의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저가의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는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는 프레스 공정에서 제거된 평판을 재사용하여 평면 코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는 에칭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코일보다 두께가 얇으면서 저항 값의 균일성이 높고 저항 값이 낮은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 (b)의 평면 코일(1411)의 코일선 Ⅰ-Ⅱ의 단면이다.
평면 코일(1411)은 프레스 공정에 의해 형성될 경우 코일선의 상부에 절단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모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 코일(1411)의 모는 평판(1410)의 두께에 따라 다른 깊이의 모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 코일(1411)의 모는 평판(1410)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모의 깊이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5의 (a) 내지 (c)는 평면 코일(1411)에서 Ⅰ에서 Ⅱ의 단면을 평면 코일(1411)의 두께에 따라 나타난 모습이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평면 코일(1411a)은 코일선의 두께가 1.0mm 이하의 제1 두께(b1)일 경우 코일선의 상부에 절단된 부분과 대응하여 코일선의 두께의 1/100에 해당하는 제1 깊이(b2)의 모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평면 코일(1411b)은 코일선의 두께가 4.0mm 이하의 제2 두께(b3)일 경우 코일선의 상부에 절단된 부분과 대응하여 코일선의 두께의 1/10에 해당하는 제2 깊이(b4)의 모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5의 (c)를 참조하면. 평면 코일(1411c)은 코일선의 두께가 4.0mm 초과의 제3 두께(b5)일 경우 코일선의 상부에 절단된 부분과 대응하여 코일선의 두께의 1/5에 해당하는 깊이(b6)의 모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송신 코일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코일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유도되는 기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코일을 이용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500)는 기판(15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540)은 플렉서블(flexible)한 기판일 수 있고 리지드(rigid)한 기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500)는 차폐재(1530)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재(1530)는 기판(154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1530)는 상부에 배치된 평면 코일(1510)에서 발생된 무선 전력을 충전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고, 하부에 배치된 각종 회로들을 전자기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500)는 접착재(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재(1520)는 평면 코일(1510)과 차폐재(1530) 사이에 배치되고 접착력에 의하여 평면 코일(151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접착재(1520)는 접착부재로 배치되어 평면 코일(1510)과 결합하여 평면 코일(1510)을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500)는 평면 코일(1510)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코일(1510)은 유도 코일 또는 공진 코일일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510)은 제1 및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코일은 유도 코일이고, 상기 제2 코일은 공진 코일일 수 있다. 평면 코일(1510)은 기판(1540) 상에 또는 차폐재(152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500)의 평면 코일(1510)은 나선(spiral)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레이스트랙(racetrack) 형상, 사각형 형상, 삼각(triangular) 형상 등으로 적어도 한번 턴(turn)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과 같이 코일 장치(1500)를 상면에서 보았을 때, 평면 코일(1510)은 원 형상 또는 나선(spiral)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 코일(1510)은 외측 영역에 배치되고 교류신호가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일단(1514)에서 내측 영역에 배치되고 교류신호가 출력되거나 인가되는 타단(1515)으로 원 형상 또는 나선 형상으로 복수 회 턴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6에서 평면 코일(1510)은 13회 턴하여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500)의 평면 코일(1510)은 도금되거나 EMI된 나쉴드가 적용된 동선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 코일(1510)은 상부와 하부에 도금되거나 EMI 쉴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510)은 상부만 도금되거나 EMI 쉴드가 적용될 수 있고, 하부만 도금되거나 EMI 쉴드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코일(1510)의 코일선은 제1 부분(1511) 내지 제3 부분(1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511)과 제3 부분(1512)은 도금 또는 EMI 쉴드 적용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제2 부분(1512)는 나동선이다. 제1 부분(1511)는 나동선(1512)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부분(1513)은 나동선(15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 코일에 도금을 하여 코일의 전기적 특성(저항 감소 등), 물리적 특성(내구성 증가 등)을 사용 환경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에 EMI 쉴드(EMI Shield)를 적용하여 전자파 규격을 충족 시킬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510)은 절연체인 피복이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인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평면으로 형성된 코일은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대량생산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일은 에칭 공정 특성상 코일선 간에 이격 거리를 증가 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일은 에칭 공정 특성상 코일선의 상부가 에칭되는 부분이 상당히 많으므로 원재료 낭비가 심하였다. 또한,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일은 코일선의 상부가 에칭되는 부분이 많으므로 면적이 좁아지게 되어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일은 에칭되는 부분이 불규칙하여 저항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1500)의 평면 코일(1510)은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코일(1510)은 후술하는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의 설명과 같이 일면 또는 양면에 도금된 금속 재질의 평판을 프레스 공정 등을 이용하여 설계된 형상(예를 들어 상술한 나선(spiral)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레이스트랙(racetrack) 형상, 사각형 형상, 삼각(triangular) 형상 등)으로 형성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평면 코일(1510)은 피복이 코팅되지 않고 일면 또는 양면에 도금된 나동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510)은 코일선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 코일(1510)은 코일선이 도금된 나동선이므로 서로 접촉할 경우 코일의 기능을 할 수 없거나 인덕턴스 값이 바뀔 수 있으므로 이격거리(c1)만큼 이격되어 배치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격거리(c1)는 0.1mm 이상 2.5mm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격거리(c1)는 0.7mm일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510)은 코일선의 단면이 직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510)은 프레스 공정으로 인하여 절단부인 코일선의 양측 상면에 모가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코일(1510)의 코일선의 두께(c2)는 0.01mm 이상 2.5mm 이하일 수 있다. 평면 코일(1510)의 코일선의 폭(c3)은 0.5mm 이상 2m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코일(1510)의 코일선의 폭(c3)은 1.1mm일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는 코일선이 피복으로 코팅된 고가의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저가의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에칭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코일보다 두께가 얇으면서 저항 값의 균일성이 높고 저항 값이 낮은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코일선을 도금하여 전기적 또는 물리적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코일선에 EMI 쉴드를 적용하여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의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코일장치에서 평면 코일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은 평면 코일(16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차폐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은 차폐재 상에 접착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장치의 제조방법은 접착재 상에 평면 코일(1630)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평면 코일(1630)을 형성하는 단계는 금속 재질의 제1 평판(1610)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판(1610)은 도전성이 있는 재질이면 되므로 금속 재질이거나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b)를 참조하면, 평면 코일(1630)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평판(1610)을 도금하거나 EMI 쉴드를 적용하여 제2 평판(1620)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7의 (c)는 도 17의 (b)에서 제2 평판(1620)의 Ⅲ-Ⅳ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평판(1620)은 제1 평판(1610)에 일면 또는 양면에 도금(1621)될 수 있다. 또한, 2 평판(1620)은 제1 평판(1610)에 일면 또는 양면에 EMI 쉴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630)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2 평판(1620)을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평면 코일(16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평판(1620)을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평면 코일(1630)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2 평판(1620)에서 필요 없는 부분을 제거하여 코일의 형상(예를 들어, 나선(spiral)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레이스트랙(racetrack) 형상, 사각형 형상, 삼각(triangular) 형상 등)만을 남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d)와 같이, 평면 코일(1630)이 나선(spiral) 형상 또는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1630)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나의 제2 평판(1620)으로 한 개뿐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의 평면 코일(163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는 코일선이 피복으로 코팅된 고가의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저가의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프레스 공정에서 제거된 평판을 재사용하여 평면 코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에칭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코일보다 두께가 얇으면서 저항 값의 균일성이 높고 저항 값이 낮은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평면 코일에 도금 또는 EMI 쉴드를 적용하는 공정이 단순하다.
도 18은 도 17 (d)의 평면 코일(1630)의 코일선 Ⅴ-Ⅵ의 단면이다.
평면 코일(1630)은 프레스 공정에 의해 형성될 경우 코일선의 상부에 절단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모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 코일(1630)의 모는 평판(1630)의 두께에 따라 다른 깊이의 모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 코일(1630)의 모는 평판(1630)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모의 깊이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8의 (a) 내지 (c)는 평면 코일(1630)에서 Ⅴ에서 Ⅵ의 단면을 평면 코일(1630)의 두께에 따라 나타난 모습이다.
도 18의 (a)를 참조하면, 평면 코일(1630a)은 도금 또는 EMI 쉴드가 적용된 제1부분(1631a) 또는 제3 부분(1633a)를 포함하고, 나동선인 제2 부분(1632a)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코일(1630a)은 코일선의 두께가 1.0mm 이하의 제1 두께(d1)일 경우 코일선의 상부에 절단된 부분과 대응하여 코일선의 두께의 1/100에 해당하는 제1 깊이(d2)의 모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의 (b)를 참조하면, 평면 코일(1630b)은 도금 또는 EMI 쉴드가 적용된 제1부분(1631b) 또는 제3 부분(1633b)를 포함하고, 나동선인 제2 부분(1632b)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코일(1630b)은 코일선의 두께가 4.0mm 이하의 제2 두께(d3)일 경우 코일선의 상부에 절단된 부분과 대응하여 코일선의 두께의 1/10에 해당하는 제2 깊이(d4)의 모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의 (c)를 참조하면. 평면 코일(1630c)은 도금 또는 EMI 쉴드가 적용된 제1부분(1631c) 또는 제3 부분(1633c)를 포함하고, 나동선인 제2 부분(1632c)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코일(1630c)은 코일선의 두께가 4.0mm 초과의 제3 두께(d5)일 경우 코일선의 상부에 절단된 부분과 대응하여 코일선의 두께의 1/5에 해당하는 깊이(d6)의 모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송신 코일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코일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유도되는 기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코일을 이용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9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2100)는 기판(21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30)은 플렉서블(flexible)한 기판일 수 있고 리지드(rigid)한 기판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2100)는 차폐재(2120)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재(2120)는 기판(21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2120)는 상부에 배치된 평면 코일(1310)에서 발생된 무선 전력을 충전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고, 하부에 배치된 각종 회로들을 전자기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차폐재(2120)는 평면 코일(2110)과 일체화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폐재(2120)는 평면 코일(2110)의 내측, 외측 및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폐재(2120)는 기판(2130) 및 편면 코일(211)의 바닥면에 대응하고 제1 층인 바닥부(2123)와, 평면 코일(2110)의 외곽부와 대응한 측부(2122) 및 평면 코일(2110)의 내곽부와 대응한 중심부(2112)가 배치된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코일(2110)은 차폐재(2120)의 제2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2120)의 측부(2122)의 높이는 평면 코일(2110)의 높이(f2)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측부(2122)의 폭(f4)은 0.1mm이상 일 수 있다. 차폐재(2120)의 중심부(2112)의 높이는 평면 코일(2110)의 높이(f2)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중심부(2112)의 폭(f5)은 평면 코일(2110)의 내측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차폐재(2120)는 평면 코일(211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차폐재(2120)는 평면 코일(211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2100)는 평면 코일(2110)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코일(2110)은 유도 코일 또는 공진 코일일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2110)은 제1 및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코일은 유도 코일이고, 상기 제2 코일은 공진 코일일 수 있다. 평면 코일(2110)은 차폐재(2120) 내에 일체화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2100)의 평면 코일(2110)은 나선(spiral)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레이스트랙(racetrack) 형상, 사각형 형상, 삼각(triangular) 형상 등으로 적어도 한번 턴(turn)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와 같이 코일 장치(2100)를 상면에서 보았을 때, 평면 코일(2110)은 원 형상 또는 나선(spiral)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 코일(2110)은 외측 영역에 배치되고 교류신호가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일단(2111)에서 내측 영역에 배치되고 교류신호가 출력되거나 인가되는 타단(2112)으로 원 형상 또는 나선 형상으로 복수 회 턴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2110)의 일단(2111)은 차폐재(2120)의 측부(2122)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2110)의 타단(2112)은 차폐재(2120)의 중심부(2121)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서 평면 코일(2110)은 13회 턴하여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2100)의 평면 코일(2110)은 나동선일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2110)은 일면 또는 양면에 도금되거나 EMI 쉴드가 적용될 수 있더, 또한, 평면 코일(2110)의 코일선은 절연체인 피복이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인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평면으로 형성된 코일은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대량생산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일은 에칭 공정 특성상 코일선 간에 이격 거리를 증가 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일은 에칭 공정 특성상 코일선의 상부가 에칭되는 부분이 상당히 많으므로 원재료 낭비가 심하였다. 또한,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일은 코일선의 상부가 에칭되는 부분이 많으므로 면적이 좁아지게 되어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일은 에칭되는 부분이 불규칙하여 저항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2100)의 평면 코일(2110)은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코일(2110)은 금속 재질의 평판 또는 도금되거나 EMI 쉴드가 적용된 평판을 프레스 공정 등을 이용하여 설계된 형상(예를 들어 상술한 나선(spiral)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레이스트랙(racetrack) 형상, 사각형 형상, 삼각(triangular) 형상 등)으로 형성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평면 코일(2110)은 피복이 코팅되지 않고 나동선 또는 도금되거나 EMI 쉴드가 적용된 나동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2110)은 코일선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 코일(2110)은 코일선이 나동선이므로 서로 접촉할 경우 코일의 기능을 할 수 없거나 인덕턴스 값이 바뀔 수 있으므로 이격거리(f1)만큼 이격되어 배치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격거리(f1)는 0.1mm 이상 2.5mm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격거리(f1)는 0.7mm일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2110)은 코일선의 단면이 직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2110)은 프레스 공정으로 인하여 절단부인 코일선의 양측 상면에 모가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코일(2110)의 코일선의 두께(f2)는 0.01mm 이상 2.5mm 이하일 수 있다. 평면 코일(2110)의 코일선의 폭(f3)은 0.5mm 이상 2m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코일(2110)의 코일선의 폭(f3)은 1.1mm일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예는 코일선이 피복으로 코팅된 고가의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저가의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에칭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코일보다 두께가 얇으면서 저항 값의 균일성이 높고 저항 값이 낮은 평면 코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평면 코일이 차폐재와 일체화되어 별도의 구성없이 평면 코일을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일체화된 차폐재에 의하여 평면 코일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일체화된 차폐재에 의하여 평면 코일이 내열특성을 갖을 수 있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 코일(1710)은 사각형 형상으로 적어도 한번 턴(turn)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과 같이 코일 장치(1700)를 상면에서 보았을 때, 평면 코일(1710)은 사각 형상 또는 사각 나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 코일(1710)은 외측 영역에 배치되고 교류신호가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일단(1711)에서 내측 영역에 배치되고 교류신호가 출력되거나 인가되는 타단(1712)으로 사각 형상 또는 사각 나선 형상으로 복수 회 턴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평면 코일을 일단(1711)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다가 직각방향으로 경로가 변경되어 사각 형상이 되도록 1회 턴하고 내측에서 2회째 턴하는 식으로 복수 회 턴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서 평면 코일(2110)은 13회 턴하여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도 13 내지 도 20에 따른 평면 코일(1810)에 제1 전선(1821) 및 제2 전선(1822)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선(1821)은 제1 연결부(1831)에 의하여 평면 코일(1810)의 일단(18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선(1822)는 제2 연결부(1832)에 의하여 평면 코일(1810)의 타단(18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831) 및 제2 연결부(1832)는 납 땜에 의해 형성되거나 커넥터일 수 있다. 제1 전선(1821)과 제2 전선(1822)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력변환부(610)에 의한 교류 전력 또는 교류 전류를 제공할 수 있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정류기(720)로 교류 전력 또는 교류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선(1821)과 제2 전선(1822)은 에나멜 동선일 수 있다. 제1 전선(1821)과 제2 전선(1822)이 에나멜 동선일 경우, 제1 전선(1821)과 제2 전선(1822)의 두께는 평면 코일(181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는 복수의 층으로 배치된 평면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 코일은 제1층에 배치된 제1 코일(1920) 및 제2층에 배치된 제2 코일(1910)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코일은 절연층(1930)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1930)은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고 리지드(rigid)할 수 있다. 절연층(1930)은 제1 코일(1920)과 제2 코일(19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1930)은 제1 코일(1920)과 제2 코일(192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홀(193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은 교류신호를 제공받거나 교류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 연장선(1921) 또는 제2 연장선(19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선(1921)은 연장되어 제1 코일(19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선(1911)은 연장되어 제2 코일(191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코일은 제1 연장선(1921)으로부터 연장되어 절연층(1931)의 외측 영역에서부터 절연층(1931)의 내측 영역 방향으로 복수 회 턴하여 제1 코일(1920)이 배치되고, 제1 코일(1920)에서 홀(1931)을 관통하여 절연층(1930)의 내측 영역에서 절연층(1930)의 외측 영역 방향으로 복수 회 턴하여 제2 연장선(1911)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코일은 두 층이 아닌 세 층 이상으로 배치될 수 도 있다.
도 21의 코일 장치와 도 22의 코일 장치를 비교하면, 도22의 복수의 층으로 배치된 평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장치가 도 21의 한 개의 층으로 된 평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장치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다. 이는, 도 21의 코일 장치는 하나의 코일보다 두께가 두꺼운 에나멜 동선이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코일 장치는 복수의 층으로 배치된 평면 코일에 의하여 전체 두께가 얇아 질 수 있다.
도 23은 도 22의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도 22에 따른 코일 장치는 기판(206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060)은 플렉서블(flexible)한 기판일 수 있고 리지드(rigid)한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코일 장치는 차폐재(2050)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재(2050)는 기판(206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2050)는 상부에 배치된 평면 코일(2010, 2020, 2030)에서 발생된 무선 전력을 충전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고, 하부에 배치된 각종 회로들을 전자기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장치는 접착제(2040)에 의하여 평면 코일(2010, 2020, 2030)을 차폐재(205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장치는 평면 코일(2010, 2020, 2030)이 차폐재(2050)와 일체화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코일 장치는 도 22의 복수의 층으로 배치된 평면 코일을 포함할 수 있따. 즉, 평면 코일은 제1 연장선(2022)에서 연장된 제1 코일(2020), 홀(2031)이 배치된 절연층(2030), 제2 연장선(2011)에서 연장된 제2 코일(20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인 코일 장치는 기판(2250), 기판(2250) 상에 배치된차폐재(2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인 코일 장치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코일은 제1 평면 코일(2211) 내지 제3 평면 코일(22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크기의 충전 영역 내에서 균일한 전력 전송 또는 전력 수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복수의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평면코일(2211)과 제2 평면코일(2212)는 차폐재(2240)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제1층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평면코일(2213)은 제1 평면코일(2211)과 제2 평면 코일(2212) 위에 제2층에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평면코일(2213)와 제1 평면코일(2211) 또는 제3 평면코일(2213)과 제2 평면 코일(2212) 사이에는 절연층(22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인 코일 장치는 복수의 코일을 차폐재(2240)에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재(2240)을 포함할 수 있따. 또한, 코일 장치는 복수의 코일과 차페재(22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 장치는 접착재(2240)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복수개의 송신 또는 수신 코일을 이용하여 보다 넓은 충전 영역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높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풀브리지 인버터(Full-bridge Invertor)를 포함하는 3개의 드라이브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가 포함하는 3개의 코일 각각이 상이한 인덕턴스를 가지는 경우, 각각의 코일과 연결되는 3개의 드라이브 회로(2510)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3개의 LC 공진 회로(2520)가 필요하다.
무선 전력 송신기가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더라도,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전력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발생시키는 공진 주파수는 송신 코일 각각에 따라 다를 수 없고, 무선 전력 송신기가 지원하는 표준 공진 주파수에 따라야 한다.
LC 공진 회로(2520)에서 발생되는 공진 주파수는 코일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주파수(fr, resonant frequency)는 100Khz 일 수 있고, 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200nF 인 경우, 하나의 커패시터만을 이용하려면 3개의 코일 모두 12.5uH를 만족해야 한다. 3개의 코일의 인덕턴스가 각각 상이하면 100khz의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각각 대응되는 서로 다른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3개의 커패시터가 필요하다. 이에 추가적으로 각각의 LC 공진 회로(2520)에서 교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인버터를 포함하는 드라이브회로(2510) 역시 3개가 필요하다.
도 26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면서 하나의 드라이브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의 3개의 코일의 인덕터스가 동일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하나의 드라이브회로(2610)만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드라이브회로(2610)와 3개의 코일 중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코일과 전력 전송 효율이 가장 높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코일을 연결하도록 스위치(26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5과 비교할 때, 무선 전력 송신기는 드라이브회로(2610)를 하나만 사용함으로써 부품이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어 무선 전력 송신기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제조 시 소요되는 원 재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3개의 코일과 무선 전력 수신기의 코일 사이의 전력 전송 효율을 산출하기 위해 핑 단계에서 신호 세기 지시자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송수신 코일 사이의 결합 계수를 산출하여 결합 계수가 높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코일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큐펙터(Q factor)를 산출하여 큐펙터가 높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코일을 식별하여 드라이브회로(2610)과 연결하도록 스위치(26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풀브리지 인버터(Full-bridge Invertor)를 포함하는 드라이브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가 포함하는 전력 전송부는 전력 전송을 위한 특정 동작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전송부는 인버터(2710), 입력 전원(2720) 및 LC 공진 회로(2730)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2710)은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변환하여 LC 공진 회로(273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인버터(2710)은 풀 브릿지 인버터(Full-Bridge inverter)일 수 있고, 또는 하프 브릿지 인버터(half- Bridge inverter) 일 수 있다.
전력 전송부는 하프 브릿지 인버터에 의한 출력보다 더 높은 출력을 위해 풀 브릿지 인버터를 이용할 수 있다. 풀 브릿지 인버터는 하프 브릿지 인버터에 스위치 2개를 더 추가한 형태로 4개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하프 브릿지 인버터보다 2배 높은 전압을 출력하여 LC 공진 회로(1280)에 인가할 수 있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복수의 코일 중 어느 하나를 드라이브 회로와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전력 전송부는 입력 전압을 변환하는 드라이브회로(2810), 드라이브회로(2810)와 LC 공진회로를 연결하는 스위치(2820), 복수의 송신 코일(2830), 무선 전력 송신기의 복수의 코일과 직렬로 연결되는 하나의 커패시터(2840) 및 스위치(282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28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50)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복수의 코일(2830) 중 무선 전력 수신기의 코일과 전력 전송 효율이 가장 높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코일을 식별하고, 식별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코일을 드라이브회로(2810)과 연결하도록 스위치를 닫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5)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차폐재; 및
    상기 차폐재 상에 코일선이 연장되어 복수 회 턴하여 배치된 평면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 코일은 상기 코일선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코일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은 나동선인 코일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은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코일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은 원 나선 형상 또는 사각 나선 형상으로 배치된 코일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선의 단면은 직각 형상인 코일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선은 양측 상면에 모가 배치된 코일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는 상기 상기 평면 코일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깊이가 증가하여 배치되는 코일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은 일면에 도금된 코일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은 일면에 EMI 쉴드가 배치된 코일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은 상기 차폐재와 일체화된 코일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은 복수의 층으로 배치된 코일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은 제1층에 제1 코일이 배치되고, 제2층에 제2 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 사이에 절연층이 배치된 코일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절연층의 홀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코일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은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평면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중첩되어 배치되는 코일 장치.
  15.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차폐재 및 상기 차폐재 상에 배치된 평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장치; 및
    상기 평면 코일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 코일은 코일선이 연장되어 복수 회 턴하여 배치되고, 상기 코일선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6.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차폐재 및 상기 차폐재 상에 배치된 평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장치; 및
    상기 평면 코일에 연결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 코일은 코일선이 연장되어 복수 회 턴하여 배치되고, 상기 코일선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17.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기판 상에 차폐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차폐재 상에 평면 코일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 코일은 코일선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는 금속 재질의 평판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평판을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는 금속 재질의 제1 평판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평판을 도금하거나 EMI 쉴드를 배치하여 제2 평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평판을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상기 평면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23.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은 나동선인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24.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선은 양측 상면에 모가 배치된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는 상기 상기 평면 코일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깊이가 증가하여 배치되는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60137514A 2016-10-21 2016-10-21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KR20180043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514A KR20180043993A (ko) 2016-10-21 2016-10-21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PCT/KR2017/011097 WO2018074769A1 (ko) 2016-10-21 2017-10-02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514A KR20180043993A (ko) 2016-10-21 2016-10-21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93A true KR20180043993A (ko) 2018-05-02

Family

ID=6201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514A KR20180043993A (ko) 2016-10-21 2016-10-21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43993A (ko)
WO (1) WO20180747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710A1 (en) 2018-09-12 2020-03-19 Multi-Fineline Electronix, Inc. Balanced, symmetrical coil
WO2020190121A1 (ko) * 2019-03-21 2020-09-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이동수단의 무선충전 수신코일 및 이동수단의 무선충전용 전력수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953B1 (ko) * 2011-09-27 2013-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공진 코일의 제조 방법
KR20140039528A (ko) * 2012-09-24 2014-04-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충전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9080B1 (ko) * 2012-12-13 2019-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5117174A (ja) * 2013-12-20 2015-06-25 Tdk株式会社 フェライトプレート、アンテナ素子用部材、およびアンテナ素子
US20160217906A1 (en) * 2015-01-27 2016-07-28 Seung Wook Park Coil compon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710A1 (en) 2018-09-12 2020-03-19 Multi-Fineline Electronix, Inc. Balanced, symmetrical coil
GB2590331A (en) * 2018-09-12 2021-06-23 Multi Fineline Electronix Inc Balanced, symemetrical coil
EP3850645A4 (en) * 2018-09-12 2022-06-15 Multi-Fineline Electronix, Inc. BALANCED SYMMETRIC COIL
GB2590331B (en) * 2018-09-12 2022-11-02 Multi Fineline Electronix Inc Balanced, symmetrical coil
US11798728B2 (en) 2018-09-12 2023-10-24 DSBJ Pte. Ltd. Balanced, symmetrical coil
WO2020190121A1 (ko) * 2019-03-21 2020-09-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이동수단의 무선충전 수신코일 및 이동수단의 무선충전용 전력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4769A1 (ko)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724B1 (ko) 코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
EP3506460B1 (en)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material,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101897646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US20210296938A1 (en) Foreign substance detection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and apparatus therefor
KR20180046018A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무선 충전 코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12961A (ko)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위치 확인 방법 및 장치
US11086042B2 (en)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material,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102421069B1 (ko)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80057069A (ko)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62775A (ko)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610789B1 (ko)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70094879A (ko)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42578A (ko) 무선전력 송신 장치
KR20200058808A (ko) 무선 전력 송신기
KR20180043993A (ko)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KR20180037540A (ko) 무선 전력 송신기
KR20180079707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73246A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그 동작 방법
KR20190115573A (ko) 무선충전장치
KR20190017145A (ko) 무선충전장치 케이스
KR20190026424A (ko)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102036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82078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15777A (ko) 무선충전장치 케이스
KR20190076462A (ko) 무선충전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