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437A -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437A
KR20170053437A KR1020150155953A KR20150155953A KR20170053437A KR 20170053437 A KR20170053437 A KR 20170053437A KR 1020150155953 A KR1020150155953 A KR 1020150155953A KR 20150155953 A KR20150155953 A KR 20150155953A KR 20170053437 A KR20170053437 A KR 20170053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te
side plate
vertical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진
Priority to KR102015015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3437A/ko
Publication of KR20170053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54Gates or closures
    • B65D2590/542Gates or closures special sealing means or means for improving 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로서 위험물 안전관리법시행령에서 정하는 위험물질 특히 제4류 위험물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이를 수요처로 운반하기에 적합하며, 내부를 완전히 밀폐함과 동시에 견고한 구조로 형성되는 위험물질의 누설을 방지하는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판과 측면판이 연결되고 상기 측면판과 하부판이 연결되어 내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판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판은 중앙에 맨홀 형상의 개폐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측과 연결되는 상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측과 연결되는 하부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Transportation and Storage Containers for Hazardous Materials}
본 발명은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로서 위험물 안전관리법시행령에서 정하는 위험물질 특히 제4류 위험물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이를 수요처로 운반하기에 적합하며, 내부는 완전히 밀폐함과 동시에 견고한 구조로 형성되는 위험물질의 누설을 방지하는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것이다.
국내 굴지의 석유 화학물질 제조 또는 운반 및 보관업체에서 발생한 폭발사고와 안전사고를 비롯하여 최근 중국 톈진에서 발생한 석유류 저장창고 대폭발 등, 국내/외에서 각종 위험물질 누출사고로 인해 인명피해, 재산피해, 환경오염 등이 발생하였다. 이는 생태계파괴와 같은 2차 피해까지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위험물질 관련 사고가 산업계 전반에 심각한 문제로서 대두되고 있다.
국내, 외 관계부처에서 이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여러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으나 여전히 미흡하다. 산업은 갈수록 거대화되고 산업에 필요한 재화 역시 빠르게 유통되는 현대 자본 사회에서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안정장치뿐만 아니라 안전확보를 위한 연구와 노력이 함께해야 한다. 상기 언급한 사고처럼, 취급에 있어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고위험물질에 의한 안전사고는 단 한 번의 실수로도 막대한 재산손실과 수많은 인명피해 및 환경오염으로 인한 생태계파괴 등을 낳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엔 각종 안전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위험물질을 다루는 일선 업체들도 위험물질을 더욱 안전하게 보관하고 운반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개발에 힘쓰고 있다.
한편, 국가 안전처에서 발행하는 위험물 안전관리법시행령에서는 위험성이 높은 제4류 위험물질로서 "특수인화물", "제1석유류", "제2석유류", "제3석유류", "제4석유류" 등으로 구분하며, 위험물질의 운반 및 보관에 관하여 위험물 안전관리시행령 법적 규제가 더욱 더 강화되고 사용자와 제작사에 안전사고 관련 제반 성능검사 시험을 충족시킬 수 있는 운반 및 보관용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법령에 따라 운반 및 보관용기는 용기에 수용 및 수납되는 위험물질의 "중형산적용기" 종류별 최대 용적은 1,000L급으로 제한되며, 안전성 및 사용 용도에 대하여 검사 기준법을 두어 기 사용된 관련 제품은 소방재청형식승인 재검사를 받고 60개월 후 사용금지(완전폐기)되도록 하고 있다.
현재 국내 석유화학물질 운반용기 수요 시장관련 "운반 및 보관용기" 분야의 전국적인 수요량은 분기별 수십만대 이상의 규모로서, 이는 석유화학산업 발전과 함께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요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시장에는 위험물 안전관리법시행령과 각종 관계법령에 의거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운반 및 보관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험물질의 취급이 필수적인 국가안전처와 수요처에서는 내화학성, 내식성, 내후성, 내구성 등을 포함한 안전성 및 경제성을 우선으로 위험물질 안전관리법시행령에 의거한 제반 성능검사 시험을 충족시킬 수 있는 운반 및 보관용기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한 용기로서, 이송 중 불의의 낙하, 화재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도록 내구성, 밀폐성이 우수한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판과 측면판이 연결되고 상기 측면판과 하부판이 연결되어 내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판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판은 중앙에 맨홀 형상의 개폐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측과 연결되는 상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측과 연결되는 하부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판 또는 하부판은 측면에서 보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높이보다 긴 수직프레임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판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은 판형상의 부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최단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고정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부수평프레임에 의해 'ㄴ'자로 형성된 안착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제1체결홈이 천공된 개폐뚜껑과 상기 개폐뚜껑과 체결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개구를 중심으로 내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떨어진 곳에 가스켓링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켓링의 외측으로 상기 제1체결홈에 대응하는 제2체결홈이 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레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입부의 내면에는 마개 또는 위험물질 공급장치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의 단부에는 탄성재질의 오링(O-ring)과 상기 오링보다 단단한 재질의 바텀링(bottom ring)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외부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다면체형 또는 원통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판은 수직상향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되어 교번적으로 두께를 달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판의 일면에 상호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보강부재와 수평보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판의 일면에 엠보싱 형상의 보강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판에 돌설되어 보관용기 내의 내용물의 잔량을 파악하도록 하는 게이지셋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이지셋(Gauge Set)은 외부에서 상기 위험물질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관과 상기 투명관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관을 보호하는 게이지캡(Gauge Cap)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이지셋(Gauge Set)의 내부에 수위표시용 부표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두운 곳에서 상기 위험물질의 잔량을 확인가능하도록 상기 수위표시용 부표의 측면에 야광식별표지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이 원통형인 경우, 상기 측면판과 수직부재를 잇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따르면,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의 이송 중 불의의 낙하사고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며, 보관중에도 화재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도록 내구성, 밀폐성이 우수한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뚜껑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턱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투입부, 오링, 바텀링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판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셋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표시용 부표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보관용기에 대한 상부판과 하부판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 또는 '구비'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는 상부판(110)과 측면판(100)이 연결되고 측면판(100)과 하부판(120)이 연결되어 내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측면판(10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0)을 포함하되, 상부판(110)은 중앙에 맨홀 형상의 개폐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부(40)가 돌출형성되고, 지지수단(20)은 하우징(10)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20V), 수직프레임의 상부측과 연결되는 상부수평프레임(20H) 및 수직프레임(20V)의 하부측과 연결되는 하부수평프레임(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는 배경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석유화학물질, 특히 고위험군인 제4석유류의 운반과 보관을 위해 강성(Robust Design)이 높고 내구성이 뛰어난 형상과 재질을 갖도록 함이 중요하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재질은 견고한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좋도록 STS(Stainless Steel)재질이거나 Steel 합금, 티타늄 합금, 텅스텐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반구조용 압연강재로서 SS400(Steel Strcuture 400), SM490(Steel for Marine 490), SHN490(Stell H-Beam New, 490) 중 어느 하나를 택할 수도 있는데, 특히 우수한 용접성과 함께 경제성을 고려하여 SS40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되는 내부 또는 하우징(10)의 외부에는 세라믹 코팅(특히, Duplex Coating)을 더해 제4류 위험물질 중 인화성물질, 염산, 알카리 또는 석유화학약품에 의한 강한 부식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의 상부판(110) 또는 하부판(120)은 하우징(1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판(110) 또는 하부판(120)이 하우징(10)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 상부판(110)의 자중을 측면판(100)에 적절히 분산하고 외부 충격에 대해 운반 및 보관용기의 내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20V)은 측면판(100)의 외측을 지지하고 하우징(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지지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20V)은 하우징(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측면판(100)의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또는 높게 형성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20V)을 측면판(100)의 높이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나아가 상부판(110) 가장자리(edge)의 높이보다도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상부수평프레임(20H)을 연결시킬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부수평프레임(20H)을 형성하면 본 발명의 보관용기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이 보관용기가 복수 개 마련되었을 때 적층하여 보관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수직프레임(20V)과 상부수평프레임(20H) 역시 하우징(10)의 재질과 같이 SS400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20V)은 판형상의 부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길이가 긴 판형상의 부재가 대략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측면판(100)을 감싼다. 이처럼 본 발명의 운반 및 보관용기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일 때는 네 개의 수직프레임(20H)이 운반 및 보관용기의 수직모서리를 모두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운반 및 보관용기는 수직프레임(20V)의 상단부측과 연결되는 수평프레임(20H)와 수직프레임(20V)의 하단부측과 연결되는 하부수평프레임(21)을 포함하여, 복수의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가 상호 적층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수평프레임부(2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레트 같은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부수평프레임(20H)은 수직프레임(20V)의 최단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어 고정설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수평프레임(21)이 수직프레임(20V)의 내측면과 상부수평프레임(20H)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최단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고정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부수평프레임에 의해 'ㄴ'자로 형성된 안착구조가 마련되고, 이곳에 다른 운반 및 보관용기를 보관, 적재할 수 있게 된다. 'ㄴ' 형상의 안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보관용기가 서로 맞물려 이탈이 방지되므로 더욱 안전하게 이송하거나, 보관, 적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폐부와 투입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뚜껑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턱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투입부, 오링, 바텀링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운반 및 보관용기에서 개폐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제1체결홈(30h)이 형성된 개폐뚜껑(30)과 상기 개폐뚜껑(30)과 체결되는 플랜지(111)를 포함하고, 플랜지(111)는 개구(h)를 중심으로 내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떨어진 곳에 가스켓링(r)이 형성되며, 가스켓링(r)의 외측으로 상기 제1체결홈(30h)에 대응하는 제2체결홈(111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개폐부는 맨홀형상으로서 개폐뚜껑(30)과 플랜지(111)를 포함하며 하우징(10) 상판부(110)의 실질적인 중심에 위치하는 구성을 말한다. 개폐부를 통해 본 발명 하우징(10) 내부를 세척하거나 석유화학물질의 투입 및 방출이 가능하다.
다만, 운반 및 보관용기가 위험물질이 저장된 상태에서 수요처까지 운반될 때는 어떠한 진동이나 충격에도 위험물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개폐부(30)의 완전한 고정과 밀폐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도 5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폐뚜껑에는 가장자리측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고정수단(31)이 체결되도록 제1체결홈(30h)이 천공될 수 있으며, 환형턱(111)에는 상기 제1체결홈(30h)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체결홈(111h)이 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고정수단(31)은 볼트 또는 고정핀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폐뚜껑(30)과 플렌지(111)에 형성된 체결홈(30h, 111h)을 관통하여 상호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라면 어떠한 체결수단이라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상부판(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부(40)가 돌출형성되고 하부판(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레인(130)이 형성될 수 있다.
투입부(40)는 개폐부와 별개로 용기 내의 위험물질을 외부로부터 본 발명의 운반 및 보관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며 드레인(130)은 이와 반대로 위험물질을 운반 및 보관용기로부터 외부로 빼내기 위한 수단이다. 도 3에 참조되듯이, 중력을 이용한 자연스러운 투입과 배출을 위해 투입부(40)는 하우징(10)의 상단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며, 드레인(130)은 하우징(10)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입부(40)의 내면에는 마개 또는 위험물질 공급장치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41)이 형성되고, 나사산(41)의 단부에는 탄성재질의 오링(O-ring, 42)과 상기 오링보다 단단한 재질의 바텀링(bottom ring, 43)이 구비될 수 있다.
투입부(40)는 예컨대 유류 공급용 호스와의 연결에 있어서 캠록(Camlock) 커플링 될 수 있도록 입구쪽 내주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나사산(41)이 구비되어 호스와 투입부(40)가 결합되더라도 나사산(41)과 호스의 결합부분에서 위험물질 누설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나사산(41)이 형성된 지점의 끝에 오링(O-ring, 42)과 바텀링(bottom ring, 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링(42)은 탄성체 중에서 내마모성, 내식성이 좋은 우레탄계열 CR-고무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기계적성질, 내열성, 내화학성이 좋은 테프론이 해당될 수도 있다. 바텀링(43)은 오링을 뒷받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투입부(40)의 내주연을 따라 STS재질로 형성된 고정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바텀링(43)이 투입부(40)의 내주연과 연결되는 지점 즉, 바텀링(43)을 기준으로 오링의 반대편에 웰딩(Welding)과 같은 용접공정을 시행하여 투입부(40)와 오링, 또는 투입부(40)와 바텀링(43)이 단단하게 고정되고, 보관용기가 더욱 강한 밀폐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측면판(1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판에 대한 도면이다. 도 8(a)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의 수평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8(b)는 도 8(a)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측면판을 도시한다. 도 8(c)는 도 8(a)의 측면판을 하우징 내부에서 바라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d)는 수평보강부재에 대한 도면이며, 도 8(e)는 수직보강부재에 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우징은 외부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다면체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원통형 하우징(10')은 후술하도록 하고, 본 발명의 일 예시로서 다면체형의 하우징(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우징(10)은 다면체형 즉, 사면체, 육면체, 팔면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육면체형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다면체형인지 원통형인지는 측면판(100)의 형상에 의해 구분된다. 상부판(110)과 하부판(120) 모두 측면판(100)이 형성하는 모서리와 연결되어 각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의 단부가 대략 방추형상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측면판(100)은 일면에 수직상향의 볼록부(101)와 오목부(102)가 형성되어 교번적으로 두께를 달리할 수 있고, 측면판(100)의 일면에 상호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보강부재(103V)와 수평보강부재(103H)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 측면판(100)의 일면에는 엠보싱 형상의 보강구조가 더 형성 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판(100)은 볼록부(101)와 오목부(102)가 형성되어 교번적으로 두께를 달리함으로써 대략 요철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측면판(100)의 볼록부(101)와 오목부(102)는 모두 평판형상이되, 오목부(102)의 두께가 볼록부(101)의 두께보다 대략 10~20% 작게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요철형상 측면판(100)의 제조방법으로서는 금형가공을 통해 볼록부(101)와 오목부(102)에 단차가 생기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측면판(100)은 인접하는 측면판(100)과 용접 또는 납땜 또는 경납땜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취해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접공정에 따르면 CO2용접 또는 TIG용접을 이용해 측면판(100)을 연결시킬 수 있다.한편, 본 발명의 측면판(100), 상부판(110), 하부판(120)의 두께와 치수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각 판은 용접(CO2용접 또는 TIG용접 등) 또는 납땜 또는 경납땜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취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측면판(100)의 일면에 상호 교차하는 수직보강부재(103V)와 수평보강부재(103H)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직보강부재(103V)와 수평보강부재(103H)를 구비함으로써, 하우징의 상/하, 좌/우 방향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 하우징(10)의 강성을 증대시킨다.
특히,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수평보강부재(103H)와 수직보강부재(103V)는 각각의 중심에 홈(103h)이 형성되고, 각각의 홈(103h)이 상호 맞물리면서 측면판(100)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수평보강부재(103H)는 측면판(100)의 가로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되어 서로 맞닿아 인접한 다른 측면판(100)의 수평보강부재(103)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구성일 수 있으나, 수직보강부재(103V)는 수평보강부재(103H)와 달리 측면판(100)의 세로 방향(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측면판(100)의 높이방향 최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수직보강부재(103V)를 수평보강부재(103H)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길게할 경우에는 하우징(10)이 낙하될 경우 강성의 증대보다는 구조적 변형으로인한 파손이 생길 우려가 크기 때문에 수평보강부재(103H)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강성은 증대시키되 하우징(10)이 낙하되었을 때도 구조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 물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수평보강부재(103H)와 수직보강부재(103V)는 측면판(100)보다 강도가 더 뛰어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측면판(100)이 SS400으로 형성될 때, 수평보강부재(103H)와 수직보강부재(103V)도 이와 동일하게 SS400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보다 더 인장강도가 높은 SM490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측면판(100)의 재료보다 더 세밀한 가공이나 담금질(예를들어,annealing) 또는 에이징(aging) 등을 수행한 재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수평보강부재(103H)는 중심에 홈(103h)이 형성될 뿐 측면판(100)과 실질적으로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수직보강부재(103V)가 끼워맞춰짐으로써 구조적인 강성을 보강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측면판(100)의 일면에 엠보싱 형상의 보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도면에 참조된 것처럼 볼록부(101)와 오목부(102)를 교번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편평한 평판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오목부(102)를 형성하여 보강하는 방식이다.
더 큰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로서는, 측면판(100)의 일 면에 볼록부(101)와 오목부(102)를 교번적으로 형성하고 반대 면에 수직보강부재(103V)와 수평보강부재(103H)를 구비하거나, 측면판(100)의 일 면에 볼록부(101)와 오목부(102)를 교번적으로 형성하고 반대 면에 엠보싱 형상의 보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측면판(100)의 일 면에 엠보싱 형상의 보강구조를 형성하고, 반대 면에 수직보강부재(103V)와 수평보강부재(103H)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위험물질을 운반 또는 보관시에 용기가 차량이나 크레인에서 떨어지더라도 이때 발생하는 충격을 버틸 수 있도록 견고한 용기구조를 갖게 되므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위험물질의 누출로 인한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면 9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셋(Gauge Set, 105)과 수위표시용 부표(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셋(Gauge Set, 105)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표시용 부표에 대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측면판(100)에 돌설되어 보관용기 내의 내용물의 적재량을 파악하도록 하는 게이지셋(Gauge Set, 10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지셋(Gauge Set, 105)은 외부에서 위험물질의 잔량(또는 적재량)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관(106)과 투명관(106) 외측에 설치되어 투명관(106)을 보호하는 게이지캡(Gauge Cap, 107)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게이지셋(Gauge Set, 105)의 내부에 수위표시용 부표(또는 액면부표, 2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수위표시용 부표(200)는 투명관(106)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수위표시용 부표(200)는 본 발명의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내 위험물질의 잔량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수위표시용 부표(200)는 대략 구(Spherical) 형상을 가지며, 측면판(100) 외부에 돌설된 게이지관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측부는 매끈하게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유선형의 돌출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돌출구조(201)는 짧고 하부돌출구조(203)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무게중심을 유지하기가 용이하고, 높이가 변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체의 부력에도 불구하고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도 가능하다.
게이지 캡(107)은 하우징(10)의 측면판(100)과 볼트(bolt)체결로서 간단히 연결될 수 있다.
내용물의 잔량에 따라 예컨대, 유류가 하우징(10) 내부로 투입 또는 하우징(10) 내부에서 방출됨에 따라 액면 높이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에 수위표시용 부표(200)는 부력을 받아 유류 표면에 뜨게 되므로 액면 높이를 지시하게 되며 이로써 용기 내부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용기 내 내용물의 잔량을 어두운 곳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수위표시용 부표(200) 측면에는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띠 형상의 야광식별표지(201)가 형성될 수 있다.
수위표시용 부표(200)는 유체에 의한 부력에 의해 떠있으면 되므로 합성수지 또는 목재(wood) 또는 고무재질 또는 다양한 금속합금 중 어느 것이어도 좋으나, 제4류 위험물질 예컨대, 인화성물질, 염산, 알카리, 의약품류 등에 의한 변형 부식에 견딜수 있도록 내식성 및 내구성이 강한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야광식별표지(201)는 형광물질이 포함된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상의 하우징을 가진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에 대한 상부판과 하부판의 개념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는 다면체형의 하우징이 아닌 원통형상의 하우징(10')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판은 편평한 평면 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형상이 아니고, 수평단면이 원형으로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연결되는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 또한 도 14에 참조되는 것처럼 수평단면의 형상이 원을 그릴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이 원통형인 경우, 측면판과 수직부재(20V)를 잇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빔(2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했던 다면체형상의 하우징(10)의 경우 수직프레임(20V)이 대략 하우징(10)의 측면판(100)과 면접하면서 지지했던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과 수직프레임(20V) 사이에 지지빔(22)이 게재될 수 있다. 지지빔(22)은 경우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 개의 지지빔(22)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지지빔(22)은 하우징(10')의 곡면을 따라 면접할 수 있도록 웨브의 끝부분에 일정 곡률이 형성된 플랜지판이 형성될 수 있고 웨브의 반대측 단부는 수직프레임(20V)에 단단히 접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12와 도 14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하단에 드레인이 형성되지 않은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0)에서 처럼 본 실시예의 하우징(10') 하단에도 드레인이 형성되어 위험물질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면체형상의 하우징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의 이송 중 불의의 낙하사고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며, 보관중에도 화재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도록 내구성, 밀폐성이 우수한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보관용기 100: 측면판
10, 10': 하우징 101: 볼록부
20: 프레임 102: 오목부
20V: 수직프레임 103: 보강재
20H: 상부수평프레임 105: 게이지셋
21: 하부수평프레임 110: 상부판
22: 지지빔 111: 플랜지
30: 개폐뚜껑 111h: 제2체결홈
30h: 제1체결홈 120: 하부판
31: 고정수단 130: 방출부
32: 손잡이 200: 수위표시용 부표
40: 투입부 201: 야광식별표지
41: 나사산
42: O-ring
43: 바텀링

Claims (17)

  1. 상부판과 측면판이 연결되고 상기 측면판과 하부판이 연결되어 내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판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판은 중앙에 맨홀 형상의 개폐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측과 연결되는 상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측과 연결되는 하부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 또는 하부판은 측면에서 보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높이보다 긴 수직프레임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판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판형상의 부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최단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고정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부수평프레임에 의해 'ㄴ'자로 형성된 안착구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제1체결홈이 천공된 개폐뚜껑과 상기 개폐뚜껑과 체결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개구를 중심으로 내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떨어진 곳에 가스켓링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켓링의 외측으로 상기 제1체결홈에 대응하는 제2체결홈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레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의 내면에는 마개 또는 위험물질 공급장치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의 단부에는 탄성재질의 오링(O-ring)과 상기 오링보다 단단한 재질의 바텀링(bottom ring)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다면체형 또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은 수직상향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되어 교번적으로 두께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의 일면에 상호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보강부재와 수평보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의 일면에 엠보싱 형상의 보강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에 돌설되어 상기 용기 내의 위험물질의 잔량을 파악하도록 하는 게이지셋(Gauge S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셋(Gauge Set)은 외부에서 상기 위험물질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관과 상기 투명관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관을 보호하는 게이지캡(Gauge Ca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셋(Gauge Set)의 내부에 수위표시용 부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어두운 곳에서 상기 위험물질의 잔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수위표시용 부표의 측면에 야광식별표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원통형인 경우, 상기 측면판과 수직프레임을 잇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용기.
KR1020150155953A 2015-11-06 2015-11-06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한 용기 KR20170053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953A KR20170053437A (ko) 2015-11-06 2015-11-06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953A KR20170053437A (ko) 2015-11-06 2015-11-06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437A true KR20170053437A (ko) 2017-05-16

Family

ID=5903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953A KR20170053437A (ko) 2015-11-06 2015-11-06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343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836A (ko) 2018-08-09 2020-02-19 중경산업 주식회사 위험물 운반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KR102141034B1 (ko) 2019-04-18 2020-08-04 주식회사 아신테크윈 위치추적이 가능한 위험물 운반용기
US20210012941A1 (en) * 2018-12-28 2021-01-14 Hyundai Electric & Energy Systems Co., Ltd. Transformer
KR102347798B1 (ko) 2021-07-26 2022-01-06 주식회사 아성켐 유기 용매 소분 이송 장치
CN115369805A (zh) * 2022-10-24 2022-11-22 广东水科院勘测设计院 一种水利工程用具有自锁定功能的压力水箱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836A (ko) 2018-08-09 2020-02-19 중경산업 주식회사 위험물 운반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US20210012941A1 (en) * 2018-12-28 2021-01-14 Hyundai Electric & Energy Systems Co., Ltd. Transformer
US12020842B2 (en) * 2018-12-28 2024-06-25 Hyundai Electric & Energy Systems Co., Ltd. Transformer
KR102141034B1 (ko) 2019-04-18 2020-08-04 주식회사 아신테크윈 위치추적이 가능한 위험물 운반용기
KR102347798B1 (ko) 2021-07-26 2022-01-06 주식회사 아성켐 유기 용매 소분 이송 장치
CN115369805A (zh) * 2022-10-24 2022-11-22 广东水科院勘测设计院 一种水利工程用具有自锁定功能的压力水箱
CN115369805B (zh) * 2022-10-24 2023-01-06 广东水科院勘测设计院 一种水利工程用具有自锁定功能的压力水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3437A (ko) 위험물질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한 용기
EP2321202B1 (en) Tank for storing fluid
CA3074444C (en) Containment cask for drum containing radioactive hazardous waste
US7275651B2 (en) Double-skin, low-profile, environmental, safety tank system
EP0635848B1 (en) Shipping container for radioactive material
US20110315689A1 (en) Bulk Packaging Container
US8616404B1 (en) Shipping container
RU2301464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ексафторида урана (варианты)
US5056680A (en) Attachment assembly for secondary containment tanks
CN102171769B (zh) 用于运输和存储***的容器
US20010047998A1 (en) Pressure vessel head ring assembly
KR20120024728A (ko) 금속판 용기
AU2018241046B1 (en) Catchment container for and method of containing escaped contents
US20230043590A1 (en) Bulk container having steel overpack
KR20140004099A (ko)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기 케이스를 수용하는 통기된 저장 케이스를 포함하는 장기간 저장 장치
US10961047B2 (en) Internal floating roof transfer tank system
US20090308876A1 (en) Aboveground Rectangular Secondary Containment Generator Base Tank with Internal Flexible Bladder
JP3926346B2 (ja) 放射性廃棄物の輸送保管容器
CN202115803U (zh) 安全性高的中型散装容器
CN211253799U (zh) 一种抗撞击耐腐蚀产品储罐
US10633163B1 (en) Transport container for radioactive material
US20220002029A1 (en) Metal containers for liquids or free-flowing materials
CN101922583B (zh) 压力容器阀门堵漏装置
US8844748B2 (en) Clamshell closure for metal drum
US9738417B2 (en) Tan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