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261A -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261A
KR20170049261A KR1020150150436A KR20150150436A KR20170049261A KR 20170049261 A KR20170049261 A KR 20170049261A KR 1020150150436 A KR1020150150436 A KR 1020150150436A KR 20150150436 A KR20150150436 A KR 20150150436A KR 20170049261 A KR20170049261 A KR 20170049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onductive
conductive layer
layer
substrate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2318B1 (en
Inventor
유영조
손윤상
최윤수
박태헌
김다은
Original Assignee
덕산하이메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산하이메탈(주) filed Critical 덕산하이메탈(주)
Priority to KR1020150150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318B1/en
Priority to PCT/KR2016/012136 priority patent/WO2017074047A1/en
Publication of KR20170049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2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3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01L51/521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carbon based polymeric organic or inorganic material, e.g. polyimides, poly cyclobutene or PV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01L51/5218
    • H01L51/5234
    • H01L51/5275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01L2251/5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includes: a base polymer layer made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nd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provided on the base polymer layer. A plurality of regions divided by cracks is formed i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he refraction of incident light in the cracks is generat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without affecting transmittanc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Description

투광성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투광성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투광성 기판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display device to which a light-transmitting substrate is applied, a lighting device, and the like.

투광성 기판은 전기 전도성과 광투과성을 동시에 갖춘 투명 전도층을 포함하는 기판으로서, 발광소자에 구비되는 투광성 기판은 발생된 광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는 발광성 유기물로 구성된 소자로서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은 전극 및 투광성 기판을 거쳐 외부로 나오게 된다. 이러한 투광성 기판은 액정 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일렉트로크로믹 디스플레이(ECD), 유기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태양 전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전자페이퍼, 터치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장치, 또는 태양전지 등에 응용될 수 있다. The translucent substrate is a substrate including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having bot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light transmittance. The translucent substrate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configured to minimize loss of generated light. For exampl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is a device composed of a luminescent organic material.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uminescent layer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lectrode and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Such a transparent substrate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n electrochromic display (EC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a solar cell, a plasma display panel, a flexible display, an electronic paper, A display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a lighting device, a solar cell, or the like.

투광성 기판은 기저 기판과 기판에 부착되는 발광소자의 전극기능을 수행하는 투광성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투광성 전극은 플라스틱 소재의 기저 기판 상에 ITO(tin-doped indium oxide) 등 전도성 물질을 이용하여 박막 형태로 형성 되는 것이 주 이지만, 최근 수급이 불안정한 재료인 인듐을 포함하는 ITO를 대체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CNT), 금속 나노 구조체 등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The translucent substrate comprises a base substrate and a translucent electrode that performs an electrode function of a light emitting element attached to the substrate. Transparent electrodes are mainly formed on a plastic base substrate using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tin-doped indium oxide) to form a thin film. In recent years, however, carbon that can replace ITO, which is indium- Research and development on nanotubes (CNTs), metal nanostructures, etc.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8967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다른 굴절률을 갖는 투광성 기판을 적층하는 방법으로 투광성 기판에서의 광 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개발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Development and the like for minimizing light loss in a transparent substrate by a method of laminating a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4-0089670 have been developed.

본 발명은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되는 구조의 투명 전도층을 포함하는 광추출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로서 투과율 및 전기전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된 광추출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xtraction substrate including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having a structure for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a light extraction substrate having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without affecting transmittanc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투명전도층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으로서, 상기 투광성 기판은,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진 기저 폴리머층; 상기 기저 폴리머층 상에 구비되는 제1 투명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전도층에는 균열에 의해 분획되는 복수의 구역이 형성되어, 상기 균열에서 입사되는 광의 굴절이 발생되는 투광성 기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arent substrate comprising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wherein the transparent substrate comprises: a base polymer layer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And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provided on the base polymer layer, wherei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has a plurality of regions divided by cracks to form a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light is refracted, to provide.

또한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의 수평방향으로 측정되는 상기 균열의 두께(t)는 100 nm 내지 20 μm 인 투광성 기판을 제공한다.And the thickness (t) of the crack measu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100 nm to 20 m.

또한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의 수평방향으로 측정되는 상기 균열에 의해 분획되는 구역의 최단 길이 (l)는 100μm 내지 2mm인 투광성 기판을 제공한다.And the shortest length (l) of the region divided by the crack measu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100 占 퐉 to 2 mm.

또한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의 두께는 5nm 내지 100nm인 투광성 기판을 제공한다.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5 nm to 100 nm.

또한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은 측면에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제1 투명전도층 측면과 상기 기저 폴리머층의 수평면이 이루는 경사 각도는 45°±20°인 투광성 기판을 제공한다.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has a slope at a side surface thereof,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base polymer layer is 45 ° ± 20 °.

또한 상기 제1 투명 전도층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층, 투명 전도성 질화물층, 투명 전도성 황화물층 및 이들의 혼합층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투광성 기판을 제공한다.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lay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a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layer, a transparent conductive sulfide layer, and a mixed layer thereof.

또한 상기 투광성 기판은, 상기 기저 폴리머층 상에 구비되며,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를 피복하는 피복폴리머를 포함하는 제2 투명전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은 상기 제2 투명전도층 상에 구비되는 투광성 기판을 제공한다.The transparent substrat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provided on the base polymer layer and including a conductor and a covering polymer covering the conductor, And a transparent substrate provided on the conductive layer.

또한 상기 제2 투명전도층의 상기 도전체는 금속 나노와이어, 메탈 메쉬 패턴 또는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을 제공한다.Further, the conductor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a metal nanowire, a metal mesh pattern, or a conductive polymer.

또한 상기 제2 투명전도층이 상기 제1 투명전도층에 인접하는 절반을 A 영역이라 하고, 상기 기저 폴리머층에 인접하는 절반을 B 영역이라고 할 때, 상기 도전체는 상기 A 영역에 60% 이상 분포하는 투광성 기판을 제공한다. And a half adjacent to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referred to as an A region and a half adjacent to the base polymer layer is referred to as a B region, A transparent substrate is provided.

또한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는 은(Ag), 금(Au), 구리(Cu), 백금(Pt), 철(Fe), 니켈(Ni), 코발트(Co), 아연(Zn), 티탄(Ti), 크롬(Cr), 알루미늄(Al), 팔라듐(P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된 투광성 기판을 제공한다.The metal nanowires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Ag, Au, Cu, Pt, Fe, Ni, Co, Zn, Ti, (Cr), aluminum (Al), palladium (Pd), and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상기 메탈 메쉬 패턴은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의 합금을 이용하여 교차형태로 형성된 패턴인 투광성 기판을 제공한다.Also, the metal mesh pattern may be a pattern formed in a cross shape using silver (Ag), copper (Cu), aluminum (Al), or an alloy thereof.

또한 상기 제2 투명전도층의 상기 도전체는 금속 입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입자는 상기 A 영역에 50% 이상 분포하는 투광성 기판을 제공한다. Further, the conductor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further includes metal particles, and the metal particles provide a translucent substrate distributed in the A region by 50% or more.

또한 본 발명은 기저 폴리머층, 제2 투명전도층 및 제1 투명전도층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을 제조하는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 상기 투광성 기판에 물리적 외력을 가하여 균열(crack)을 형성하는 균열형성단계;를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substrate,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transparent substrate for producing a transparent substrate comprising a base polymer layer,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a crack forming step of applying a physical external force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to form a crack.

또한 상기 균열형성단계는 상기 제조된 투광성 기판을 굽힘(bending)으로써 물리적 외력을 가하여 균열(crack)을 형성하는 단계인 투광성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rack forming step may include bending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to form a crack by applying a physical external force.

또한 상기 균열형성단계는 상기 굽힘의 세기 및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균열(crack)이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의 가장자리(edge) 영역으로 갈수록 분포가 증가하도록 형성하는 단계인 투광성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nd forming the crack so as to increase the distribution of the crack toward the edge reg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by adjusting the intensity and position of the bend. do.

또한 상기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는, 이형층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이형층 상에 제1 투명전도층을 형성하는 제2-1 단계; 상기 제1 투명전도층 상에 제2 투명전도층을 형성하는 제2-2 단계; 상기 제2 투명전도층 상에 기저 폴리머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이형층과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을 분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기저 폴리머층, 제2 투명전도층 및 제1 투명전도층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인, 투광성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urther, the step of preparing a transparent substrate may include a first step of preparing a release layer; A second step of forming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n the release layer; (2-2) forming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 third step of forming a base polymer layer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a fourth step of separating the release layer from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wherein the step of fabricat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base polymer layer,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광성 기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광성 기판; 상기 투광성 기판에 대향하는 반사 전극; 및 상기 투광성 기판과 상기 반사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ght-transmissible substrate, A reflective electrode fac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provided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reflective electrode.

본 발명의 투광성 기판은, 균열에 의해 분획되는 복수의 구역을 포함하며, 균열에서 입사되는 광의 굴절이 발생되는 제1 투명전도층을 포함하여 투과율 및 전기전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된 투광성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gions divided by a crack and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n which refraction of light incident from the crack is generated so tha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improved without affecting the transmittance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The improved translucent substrat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an be provided.

또한 제1 투명전도층의 가장자리(edge) 영역으로 갈수록 균열의 분포가 증가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투과율 및 전기전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제1 투명 전도층의 가장자리 영역을 통해 빠져나가는 빛(광)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어 광 추출 효율이 더욱 개선된 투광성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distribution of the cracks is increased toward the edge reg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he light (light) escaping through the edge reg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can be efficiently A light-transmitting substrate having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ubstrate can be provided.

또한 제1 투명전도층의 측면에 경사를 줌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의 측면으로 방출되거나 내부 물질로 흡수되어 사라질 빛들이 가장자리의 경사면과 부딪힌 후 전반사를 일으켜 기판의 측면이나 상부 방향으로 진행하여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inclini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light emitted from the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contain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r absorbed by the internal material collides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dge, And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제2 투명전도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균열로 인하여 저하될 수 있는 제1 투명전도층의 전기전도성을 보완할 수 있으며,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의 가장 큰 광손실의 원인인 웨이브가이드 손실(waveguide loss)을 효과적으로 줄여 주어서 광추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투명전도층의 도전체로 금속 나노와이어 및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빛을 산란시켜 광 추출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특히 금속 입자는 외면에 돌기를 구비하여 더 넓은 영역대를 가지는 파장의 빛을 산란시킬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can further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which can be deteriorated due to the crack, and can prevent waveguide loss loss can be effectively reduced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metal nanowire and the metal particles are included in the conductor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by scattering light. Particularly, the metal particles have a protrusion on the outer surface, It can scatter light.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투명전도층의 구조도를 나타내었다.
도 2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균열에 의한 광추출 향상 구조를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도 3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투명전도층의 구조도를 나타내었다.
도 4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을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도 5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를 나타내었다.
도 6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균열 구조의 광 추출 시뮬레이션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7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광 추출 효율 측정 영역을 나타내었다.
도 8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균열 구조의 광 추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었따.
도 9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투명전도층의 경사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10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구조에 의한 광 추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11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투광성 기판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12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의 면저항 측정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도 13에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투광성 기판의 광추출층의 생성시간에 따른 투과도 측정데이터 및 헤이즈 측정데이터를 나타내었다.
1 is a structural view of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light extraction enhan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ructural view of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of a transparent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step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light extraction simulation structure of a cra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easurement region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a result of a light extraction simulation of a cra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an inclined structure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 result of a light extraction simulation using an inclin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optical microscope image of a transparent substrate produc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shows a sheet resistance measurement graph of a transparent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transmittance measurement data and haze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ed in Example 1.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solely by the appended claims. shall.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word "comprise", "comprises", "comprising" means including a stated article, step or group of articles, and steps, , Step, or group of objects, or a group of steps.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Also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 on "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a member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contrary,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any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there is no clear counterpoint. Any feature that is specifically or advantageously indicated as being advantageous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feature or feature that is indicated as being preferred or advantageou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ffect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100)은, 기저 폴리머층(50), 기저 폴리머층(50) 상에 구비되는 제1 투명전도층(20)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제1 투명전도층(20) 은 균열(21)을 경계면으로 하여 복수의 구역(22)으로 분획되어, 발생되는 광이 투광성 기판으로 입사하였을 때, 제1 투명전도층(20)의 균열(21)에 의해 굴절이 일어나는 기판으로서, 투과율 및 전기전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광 추출 효율을 개선시키는 투광성 기판(100)이다.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lymer layer 50 and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provided on the base polymer layer 50, The conductive layer 2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22 with the crack 21 as an interface so that when the generated light is incident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cracks 21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 substrate on which refraction occurs, which is a translucent substrate 100 that improves light extraction efficiency without affecting transmittanc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투명전도층(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존재하는 균열(21)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투명전도층(20) 내의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비어 있는 틈을 의미하고, 균열(21)을 경계면으로 하여 제1 투명전도층(20)은 복수의 구역(22)으로 분획되며, 균열에 의해 생긴 틈은 제1 투명전도층(2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거나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균열(21)에 의하여 제1 투명전도층(20)은 여러 구역으로 분획되며, 각 구역(22)의 크기는 제1 투명전도층(20)의 수평방향으로 측정되는 최단 길이(l)를 통해 그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The cracks 21 present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tinuous or non-continuous i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s shown in Fig. 1 And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22 with the crack 21 as an interface and a gap generated by the cracks is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It may not penetrate or penetrate. That is,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is divided into several regions by the cracks 21, and the size of each region 22 is the shortest length l measu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 The size can be expressed through.

도 2에 균열에 의한 광추출 향상 구조를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도 2의 (a)에 나타낸 종래의 투명 전도층의 경우 내부 광손실이 60%에 달하는 반면, 도 2의 (b)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해 균열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층의 경우 균열에 의한 광산란으로 인하여 내부 광추출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갖는다.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improving light extraction by crack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shown in FIG. 2 (a), the internal light loss reaches 60%, whereas in the cas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containing cra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b) The in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increased.

일반적인 제1 투명전도층(20)이 유기발광소자(1000)에 사용되는 경우, 유기발광층(200)에서 발생된 빛은 스넬의 법칙(Snell's law)에 따라 내부 전반사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100)은 발생된 빛이 상대적으로 고굴절률(1.5 내지 2.5)을 가진 제1 투명전도층(20)을 통과하는 중에 저굴절률(1 내지 1.4)을 가진 균열(21)에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접하는 경우 전반사 되도록 하며, 균열(21)을 통하여 빛이 빠져 나갈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When the general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is used fo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0, light gener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00 is affected by total internal reflection according to Snell's law. The translucent substr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generated light passes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1.5 to 2.5) 21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nd forms a path through which the light can escape through the cracks 21, thereby enhanc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투명전도층(20)의 균열(21)의 두께(t)는 100 nm 이상 20 μm 이하 이다. 균열(21)의 두께(t)라 함은 제1 투명전도층(20)의 수평방향으로 측정되는 균열 공간의 폭을 의미한다. 균열(21)의 두께(t)가 100 nm 미만인 경우 광추출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20 μm 초과인 경우 나노와이어 간의 접점(contact point)이 줄어들어 전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상 5 μm 이하 인 것이 좋다. The thickness t of the crack 21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00 nm or more and 20 m or less. The thickness t of the crack 21 means the width of the crack space measu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 When the thickness t of the crack 21 is less than 100 nm, the effect of light extraction is deteriorated. When the thickness t is more than 20 μm, the contact points between the nanowires are reduced, resulting in poor conductivity. More preferably 100 nm or more and 5 占 퐉 or les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투명전도층(20)의 균열(21)에 의해 분획된 복수의 구역(22)의 크기는 최단 길이(l)로 측정될 수 있으며, 제1 투명전도층(20)의 수평방향으로 측정되는 각 구역(22)의 최단 길이(l)는 제1 투명전도층 (20)의 한변의 길이며, 바람직하게는 100 μm 이상, 2 mm 이하이다. 최단 길이(l)가 100 μm 미만인 경우 과도한 크랙(Crack)에 의한 전도성 저하 및 소자 구동 시 문제점이 있으며, 2mm 초과하는 경우 광추출 및 균열에 의한 광추출 기능의 효율저하 문제점이 있다.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zones 22 divided by the crack 21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at the shortest length l, The shortest length 1 of each zone 22 measu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is a length of one side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nd is preferably not less than 100 μm and not more than 2 mm. When the shortest length (I) is less than 100 μm, there is a problem in deterioration of conductivity due to excessive cracking and driving of the device. When the length is more than 2 mm, there is a problem in efficiency of light extraction function due to light extraction and crack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투명전도층(20)의 균열(21)은 제1 투명전도층(20)의 가장자리(edge) 영역으로 갈수록 분포가 증가하는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투명전도층(20)은 분획된 구역(22)의 최단 길이(l)가 100 μm 이상, 2 mm 이하인 가장자리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가장자리 영역은 제1 투명전도층(20)의 둘레나 모서리를 포함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가장자리 영역에 균열(21)이 다수 존재하도록 하는 경우, 투과성 및 전기전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제1 투명전도층(20)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빠져 나가는 빛을 막을 수 있어 광 추출 효율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 crack 21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a form of increasing the distribution toward the edge reg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 Accordingly,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may have an edge region whose shortest length 1 of the divided region 22 is 100 탆 or more and 2 mm or less. The edge region means a region including a side surface including the periphery or edge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The presence of a large number of cracks 21 in the edge region can prevent ligh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edge reg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while preventing degradation of permeabil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투명전도층(20)은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저 폴리머층(50)의 수평면과 제1 투명전도층(20)의 측면이 이루는 각이 90° 이외의 경사 각도(θ)를 갖는다.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ide surface thereof is inclined. That is, the angle formed by the horizontal plane of the base polymer layer 50 and the side 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has an inclination angle? Other than 90 degrees.

제1 투명전도층(20)의 측면이 경사를 가짐으로 인하여 측면으로 방출되거나 내부 물질로 흡수되어 사라질 빛들이 경사면에 입사할 때 전반사 되도록 하여 기판의 상부 방향으로 빛을 진행시켜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side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is inclined so that the light is totally reflected when the light is emitted to the side due to the inclination or absorbed by the internal material and is incident on the inclined surface, .

제1 투명전도층(20) 측면과 기저 폴리머층(50)의 수평면이 이루는 경사 각도는 4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투명 전도층의 수평면과 평행한 각도로 측면에 입사하는 광에 대하여 전반사가 일어나고, 이로 인한 광추출 효율이 가장 우수한 효과가 있다. The angle of inclination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nd the horizontal plane of the base polymer layer 50 is preferably 45 ° ± 20 °. The total reflection occurs with respect to the light incident on the side surface at an angle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within the above range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the most excell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투명전도층(20)은 투명하고 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이 없으나, 투명성, 전도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한 투명 전도성 산화물층, 투명 전도성 질화물층, 투명 전도성 황화물층 및 이들의 혼합층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ITO(Indium Tin Oxide), ZnO(Zinc Oxide) 및 SnO2(Tin Oxide)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F, Al, Ga, In, Si 등이 도핑된 것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transparent and can impart conductivity. However, th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the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layer, the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layer, It is preferable to use a conductive sulfide layer and a mixed layer thereof. It is preferable to use ITO (indium tin oxide), ZnO (zinc oxide), SnO 2 (tin oxide) or the like, more preferably F, Al, Ga, In,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투명전도층(20)의 두께는 5nm 내지 100nm이다. 5nm 미만인 경우 전기전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100nm를 초과하는 경우 유연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 nm to 100 nm.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5 n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poor. When the thickness is more than 100 nm, the flexibility is deteriora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100)은 기저 폴리머층(50)과 제1 투명전도층(20) 사이에 구비되는 제2 투명전도층(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저 폴리머층(50), 기저 폴리머층(50) 상에 구비되는 제2 투명전도층(30) 및 제2 투명전도층(30) 상에 구비되는 제1 투명전도층(20)을 포함한다. 제2 투명전도층(30)은 제1 투명전도층(20)에 연접하는 도전체(31) 및 이를 피복하는 피복폴리머(32)를 포함한다.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provided between the base polymer layer 50 and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provided on the base polymer layer 50 and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provided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do.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includes a conductor 31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nd a covering polymer 32 that covers the conductive body 31.

제2 투명전도층(30)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투명전도층(20)에 인접하는 절반을 A 영역이라 하고, 기저 폴리머층(50)에 인접하는 절반을 B 영역이라고 할 때, 도전체(31)의 60% 이상이 A영역에 분포하도록 형성된다. 후술될 설명에 의해 광추출층(40)이 더 포함되는 경우, B 영역은 광추출층(40)에 인접하는 절반을 의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투명전도층(30)의 제조 특성에 따라 70% 또는 80% 이상으로 분포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has a region A which is adjacent to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nd a region B which is adjacent to the base polymer layer 50 , And 60% or more of the conductors 31 are formed so as to be distributed in the A region. When the light extracting layer 40 is further included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region B means half adjacent to the light extracting layer 40. [ More preferably 70% or 80% or more, depending on the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제2 투명전도층(30)은 제1 투명전도층(20)의 균열(21)에 의해 저하될 수 있는 수 있는 투과성 및 전기전도성을 보완할 수 있는 층으로서, 상기 도전체(31)는 금속 나노와이어(311) 이거나 메탈 메쉬 패턴(312) 또는 도전성 폴리머(313)일 수 있다.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is a layer that can compensate for permeabil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that may be degraded by the crack 21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It may be a nanowire 311, a metal mesh pattern 312, or a conductive polymer 313.

도 4에 균열(21)에 의한 광추출 향상 구조 및 제2 투명전도층(30)(금속 나노와이어 및 금속입자 포함)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100)을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균열(21)이 형성되어 제1 투명전도층(20)의 전기전도성이 떨어질 수 있으나, 제1 투명전도층(20) 상에 형성된 제2 투명전도층(30)의 금속 나노와이어(311)를 통해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도록 하여 투광성 기판(100)의 전기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FIG. 4 shows a light-transmitting substrate 100 including a light extraction enhancement structure by a crack 21 and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including metal nanowires and metal particles). The cracks 21 may be formed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to reduc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s shown in FIG.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maintained through the nanowires 311 so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can be maintained.

제2 투명전도층(30)의 도전체(31)로서, 금속 나노와이어(311)는 전기적으로 도전성을 갖는 나노 사이즈의 구조체를 의미한다. 금속 나노와이어의 표면플라즈몬 효과에 의한 표면자기장에 의해 광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금속 나노와이어 평균직경은 20nm 내지 80nm 이며, 길이는 10㎛ 내지 80 ㎛ 이다. 상기 크기 범위에 미만 하는 경우 전기전도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초과하는 경우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As the conductor 31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the metal nanowire 311 means a nano-sized structure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the surface magnetic field due to the surface plasmon effect of the metal nanowires. The average diameter of the metal nanowires is 20 nm to 80 nm, and the length is 10 to 80 탆. If it is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 conductivity is lowered.

또한 제2 투명전도층(30)은 도전체(31)로서, 금속 나노와이어(311) 이외에 금속 입자(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입자(314)는 외면에 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금속 입자(314)의 크기는 100 내지 1000nm이다. 100nm 미만인 경우 산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00nm 초과하는 경우 투과율 손실의 문제점이 있다. 금속 입자(314)는 구형, 타원형, 무정형 등 그 형태에 제한이 없으며, 외면에 돌기를 구비한다. 복수의 입자가 서로 중첩되어 다층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금속 입자(314)의 외면에 구비된 돌기의 크기는 10 내지 300nm이다. 10nm 미만인 경우 광 산란 저하 문제점이 있고, 300nm 초과하는 경우 투과율 손실 문제점이 있다.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may further include metal particles 314 in addition to the metal nanowires 311 as the conductor 31. The metal particles 314 may further include protrusions on the outer surface. The size of the metal particles 314 is 100 to 1000 nm.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100 n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attering property is lowered, and when it is more than 1000 nm, there is a problem of loss of transmittance. The metal particles 314 are not limited to spherical, elliptical, amorphous, and the like, and have protrusions on the outer surface. A plurality of particles may be stacked on each other to form a multi-layered structure. The size of the protrusi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particle 314 is 10 to 300 nm. If it is less than 10 nm, there is a problem of light scattering degradation, and if it exceeds 300 nm, there is a problem of loss of transmittance.

제2 투명전도층(30)이 금속 입자(314)를 포함하는 경우 금속 입자(314)는 제2 투명전도층(30)의 A 영역에 50% 이상 분포되도록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투명전도층(30)의 제조 특성에 따라 60% 또는 70% 이상으로 분포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Whe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includes the metal particles 314, the metal particles 314 are formed so as to be distributed in the A region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by 50% or more. More preferably 60% or 70% or more, depending on the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금속 나노와이어(311)와 금속 입자(314)의 금속은 임의의 도전성 물질일 수 있다. 보다 통상적으로, 은(Ag), 금(Au), 구리(Cu), 백금(Pt), 철(Fe), 니켈(Ni), 코발트(Co), 아연(Zn), 티탄(Ti), 크롬(Cr), 알루미늄(Al), 팔라듐(P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은(Ag)을 사용한다. 은(Ag)의 경우 금속으로서 빛을 반사시키고, 투과율이 낮지만 유기발광소자(1000)에서 반사 전극(300)(예를 들면, 알루미늄(Al) 금속 전극)과 상응하여 서로 빛을 반사하므로 실제로 소자 내부에서의 광손실을 적게 하기 때문이다.The metal of the metal nanowires 311 and the metal particles 314 may be any conductive material. More typically, a metal such as Ag, Au, Cu, Pt, Fe, Ni, Cb, Zn, Ti, But are not limited to, tho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romium (Cr), aluminum (Al), palladium (Pd), and combinations thereof. Silver (Ag) is preferably used. Silver (Ag) reflects light as a metal and reflects light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ve electrode 300 (for example, an aluminum (Al) metal electrod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0 although the transmittance is low, This is because light loss inside the device is reduced.

금속 나노와이어, 돌기가 외면에 구비된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제2 투명전도층(30)의 두께는 100nm 내지 10㎛ 이다. 100nm 미만인 경우 전기전도도 저하 문제점이 있고, 10㎛ 초과하는 경우 투과율 손실 문제점이 있다. 금속 나노와이어 및 금속 입자의 표면에 빛이 도달하면 금속 나노와이어 및 금속입자를 통해 빛을 산란시켜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금속 입자는 외면에 돌기를 구비하여 더 넓은 영역대를 가지는 파장의 빛을 산란시킬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including metal nanowires and metal particle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s is 100 nm to 10 탆.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100 nm,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when the thickness is more than 10 μm, there is a problem of loss of transmittance. When light reaches the surface of metal nanowires and metal particles, light can be scattered through metal nanowires and metal particles to enhanc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Particularly, the metal particles are provided with protrusions on the outer surface to scatter light of a wavelength having a larger area band.

제2 투명전도층(30)의 도전체(31)로서, 메탈 메쉬 패턴(312)은 금속을 이용하여 다양한 선폭 및 다양한 교차형태로 패턴을 형성한 것이며, 메탈 메쉬 패턴(312)은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합금 등을 이용하여 직교형식으로 패턴 형성한 층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용되는 소자의 적절한 헤이즈값 및 투과성 등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선폭 및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성 기판이 조명용 유기발광소자에 사용되는 경우 30 내지 80% 정도의 헤이즈값 및 70 내지 90% 정도의 투과율을 나타내기 위하여 100nm 내지 10μm의 선폭으로 메탈 메쉬 패턴(3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tal mesh pattern 312 is formed by forming a pattern in various line widths and various crossing shapes using a metal as the conductor 31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The metal mesh pattern 312 is formed of Ag ), Copper (Cu), aluminum (Al), an alloy, or the like. However, the layer may be formed by patterning in various patterns depending on requirements such as appropriate haze value and permeability As shown in FIG. For example, when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is used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or illumination, a metal mesh pattern 312 is formed with a line width of 100 nm to 10 μm to exhibit a haze value of about 30 to 80% and a transmittance of about 70 to 90% .

제2 투명전도층(30)의 도전체(31)로서, 도전성 폴리머(313)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oly Ethylene Di Oxy Thiophene/Poly Styrene Sulfonate, PEDOT/PSS),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 PTFE) 또는 고분자를 이용한 유브이 레진(UV resin)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 층일 수 있다. 도전성 폴리머(313) 층의 두께는 300nm 내지 5μm인 것이 좋다. 300nm미만인 경우 투습성이 열악하여 소자 수명을 낮추는 문제점이 있고, 5μm초과인 경우 광투과도를 낮추는 문제점이 있다. As the conductive material 31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the conductive polymer 313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dioxythiophene / polystyrenesulfonic acid (PEDOT / PSS), polyimide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UV resin using a polymer, or the like.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polymer 313 layer is preferably 300 nm to 5 占 퐉.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300 n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isture permeability is poor and the lifetime of the device is lowered, and when the thickness is more than 5 μm, the light transmittance is lowe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100)은 제2 투명전도층(30)과 기저 폴리머층(50) 사이에 구비되는 광추출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추출층(40)은 광추출 기능이 가능하여 주로 전도체의 기능을 갖는 제2 투명전도층(30)을 기능적 측면에서 보완 가능하며, 제2 투명전도층(30)에 포함되는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입자가 광추출층(40)에 의해 함침 또는 코팅되는 효과가 있어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입자 간의 황화 및 산화로 일어나는 신뢰성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xtracting layer 40 provided betwee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and the base polymer layer 50. The light extracting layer 40 can complement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having a function as a conductor mainly in the light of the function of the light extracting function, and the metal nanowire included i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The effect of impregnating or coating the metal particles with the light extracting layer 40 can solve the problem of lowering the reliability caused by sulfidation and oxidation between metal nanowires or metal particles.

광추출층(40)은 금속의 산화물, 질화물 또는 황화물 등으로 코팅된 층일 수 있고, 평균직경 50 내지 300nm의 산란 입자(41)가 삽입된 층일 수 있다. 또한 이들이 복합된 금속의 산화물, 질화물 또는 황화물 등으로 코팅되고 산란 입자 역시 삽입된 층일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layer 40 may be a layer coated with an oxide, a nitride, a sulfide, or the like of a metal, and may be a layer in which scattering particles 41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50 to 300 nm are inserted. They may also be coated with oxides, nitrides or sulfides of complex metals, and scattering particles may also be intercalated layers.

또한 광추출층(40)은 돌기 형태를 갖거나 패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두께는 100nm 내지 600nm이다. 100nm 미만인 경우 광산란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고, 600nm 초과인 경우 광투과도 감소의 문제점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nm인 것이 좋다.Further, the light extracting layer 40 may have a protrusion shape or a pattern shape, and its thickness is 100 nm to 600 nm.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100 nm, the light scattering effect is low. When the thickness exceeds 600 n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is decreased. More preferably 100 to 300 n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1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100); 투광성 기판(100)에 대향하는 반사 전극(300); 및 투광성 기판(100)과 반사 전극(300) 사이에 구비되는 유기발광층(200);을 포함한다.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substr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lective electrode 300 fac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00 provided between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100 and the reflective electrode 300.

유기발광층(200)은 투명 전극 역할의 투광성 기판(100), 반사 전극(300) 사이에 구비되며, 투광성 기판(100)과 반사 전극(300)의 전기적 구동에 의해 발광한다. 유기발광층(200)은 발광층을 포함하고,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적층 구조일 수 있다. 발광층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는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으로부터 정공과 전자를 각각 수송 받아 결합시킴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낼 수 있는 물질로서, 형광이나 인광에 대한 양자 효율이 좋은 물질이 바람직하다. The organic luminescent layer 200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missive substrate 100 and the reflective electrode 300 serving as a transparent electrode and emits light by electrically driving the transmissive substrate 100 and the reflective electrode 30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0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layer, and may have a stacked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hole injecting layer, a hole transpor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ng layer. The material capable of forming the light emitting layer is preferably a material capable of emitting ligh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by transporting and receiving holes and electrons from the hole transporting layer and the electron transporting layer, respectively, and having good quantum efficiency for fluorescence or phosphorescence.

반사 전극(300)은 일함수가 작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주기율표 제3속의 금속 즉,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또는 Ca 또는 그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eflective electrode 300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a small work function, such as an alkali metal, an alkaline earth metal and a metal of a third group in the periodic table, that is,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유기발광소자는 광추출 효율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본 발명에 따른 투광성 기판을 투명 전극으로 사용하여 투과성 및 전기전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균열을 가짐으로써 초래할 수 있는 전기전도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하게 한다.The importance of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more remarkable i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used for illumination,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without affecting the permeabil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by us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transparent electrode, Which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electric conductivity that may be caused by having the organic semiconductor lay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투명 전도층뿐만 아니라, 유기발광층 및 반사전극층에도 균열을 포함하여 적층 형태의 복수의 메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메사 구조는 투명 전도층, 유기발광층, 반사전극층이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acked mesa structures including crack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reflective electrode layer as well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Each mesa structure may be a stacked structur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reflective electrode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100)의 제조방법은 기저 폴리머층(50), 제2 투명전도층(30) 및 제1 투명전도층(20)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100)을 제조하는 투광성 기판제조단계(S10) 및 제조된 투광성 기판(100)에 물리적 외력을 가하여 균열(crack) (41)을 형성하는 균열형성단계(S20)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substrat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substrat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substrate) 100 including a base polymer layer 50,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and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nd a crack forming step S20 for forming a crack 41 by applying a physical external force to the manufactured transparent substrate 100. [

투광성 기판제조단계(S10)는 이형층(1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준비된 이형층(10) 상에 제1 투명전도층(20)을 형성하는 제2-1 단계, 형성된 제1 투명전도층 상(40)에 제2 투명전도층(30)을 형성하는 제2-2 단계, 형성된 제2 투명전도층(30) 상에 기저 폴리머층(50)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이형층(10)과 제1 투명전도층(20)을 분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The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ing step S10 includes a first step of preparing a release layer 10, a second step of forming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on the prepared release layer 10, A second step of forming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on the layered phase 40, a third step of forming a base polymer layer 50 on the formed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10) and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투광성 기판제조단계(S10)를 통해 이형층(기판 또는 버퍼층)(10) 상에 제1 투명전도층(20)을 형성하고 제2 투명전도층(30)을 형성함으로써 평탄도가 우수한 제1 투명전도층(20)을 형성하면서도 기판과의 분리가 용이하며, 보다 단순화되고 비용 절감이 가능한 플렉서블 투광성 기판(100)을 제조할 수 있다.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is formed on the release layer (substrate or buffer layer) 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is formed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production step S10 to form the first transparent The flexible translucent substrate 100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while forming the conductive layer 20 and can be simplified and reduced in cost can be manufactured.

제1 단계는 제1 투명전도층(20)과의 분리가 용이한 이형층(10)을 준비하는 것으로서, 이형층(10)은 기판 자체로 구성(11)되거나, 기판상에 버퍼층(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step is to prepare the release layer 1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nd the release layer 10 is composed of the substrate itself or the buffer layer 12 is formed on the substrate. .

기판은 테플론(polytetrafluoroetylene) 기판, Bulk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유연기판에 사용 가능한 플렉서블 투광성 기판을 제조할 수 있으며, 각 단계 공정은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생산성, 신뢰성,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테플론(polytetrafluoroetylene) 기판, 이형기판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버퍼층(12)을 구비하지 않고 기판 자체로써 이형층(10)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substrate can be a polytetrafluoroetylene substrate, a bulk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or the like. When a flexible plastic substrate is used, a flexible transparent substrate usable for a flexible substrate can be manufactured. Each step process is a roll- to Roll) method to increase productivity, reliability and economy. In addition, when a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rate or a release substrate is used, the substrate may be used as a release layer 10 without a separate buffer layer 12.

버퍼층(12)은 다양한 종류의 탄소화합물 및 금속산화물 이용하여 형성된 층으로서, 제1 탄소화합물, 제2 탄소화합물 및 금속산화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소화합물은 유리전이온도(Tg)가 200℃ 이하인 탄소화합물을 포함하며, 제2 탄소화합물은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는 탄소화합물을 포함하고, 금속산화물은 표면 점착성이 낮은 금속산화물을 포함한다.The buffer layer 12 is formed using various kinds of carbon compounds and metal oxides, and may be formed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irst carbon compound, a second carbon compound, and a metal oxide. The first carbon compound includes a carbon compound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200 DEG C or lower, the second carbon compound includes a carbon compound decomposable by ultraviolet rays, and the metal oxide includes a metal oxide having a low surface adhesiveness.

제1 탄소화합물은 유리전이온도(Tg)가 200℃ 이하인 탄소화합물 중에서도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olyvinylchloride(PVC), Polystyrene(PS) 및 Polyethyl methacrylate(PEMA) 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리전이온도(Tg)가 100 내지 150 ℃인 탄소화합물, PMMA(Polymethylmethacrylate), PTFE(Polytetrafluoroethylene)를 사용하는 것이 버퍼층(12)을 형성하는 계면에서의 표면 점착성이 낮아 좋다. Among the carbon compounds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200 ° C or less, the first carbon compound is composed of polycarbonate,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polyvinylchloride (PVC), polystyrene (PS) and polyethyl methacrylate , And the like. More preferably, the use of a carbon compound, a polymethylmethacrylate (PMMA), or a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100 to 150 ° C may lower the surface tackiness at the interface forming the buffer layer 12.

버퍼층(12)이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가 200℃ 이하인 제1 탄소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후술할 제4 단계에서 버퍼층(12)과 제1 투명전도층(20)의 분리 공정에 있어서 버퍼층(12)의 성질 및 형상을 변화시키기에 좋다. 유리전이온도가 200℃를 초과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경화 시 높은 온도와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롤투롤 및 연속공정 진행 시, 공정가격 및 수율을 위해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재료가 적합하다. The buffer layer 12 includes a first carbon compound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200 DEG C or lower so that in the step of separating the buffer layer 12 and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in a fourth step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properties and shape of the buffer layer 12.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higher than 200 DEG C,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time are required for curing. Materials with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are also suitable for process cost and yield in roll-to-roll and continuous processes.

제2 탄소화합물은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는 탄소화합물 중에서도 금속이온계 폴리머, Vinyl-ketone계 공중합물 및 Ethylene-CO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mong the carbon compounds decomposable by ultraviolet rays, the second carbon compound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etal ion polymer, a vinyl-ketone copolymer and an ethylene-CO copolymer.

버퍼층(12)이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는 제2 탄소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후술할 제4 단계에서 버퍼층(12)과 제1 투명전도층(20)의 분리 공정에 있어서, 간단한 처리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제1 투명전도층(20)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buffer layer 12 includes the second carbon compound that is decomposed by ultraviolet rays so that the first buffer layer 12 and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step of separating the buffer layer 12 and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can be separated.

금속산화물은 계면에 치환된 원자에 의해 표면장력 및 표면에너지의 컨트롤이 용이하며, UV/ozone, Plasma treatment 방법에 의해 쉽게 컨트롤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에 따라, 계면의 점착성 및 점착성을 조절할 수 있고 이종재료를 쉽게 전사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낸다.Metal oxides have the advantage of easy control of surface tension and surface energy by substituted atoms at the interface, and can be easily controlled by UV / ozone and plasma treatment method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ackiness and tackiness of the interface and exhibit the property of easily transferring the heterogeneous material.

금속산화물은 점착성이 낮은 거의 모든 분위기에서 2000℃에 이르기까지 열역학적으로 매우 높은 안정성을 가지는 물질로 산화 이트륨(Y2O3), 지르코니아(ZrO2), 알루미나(Al2O3), 질화붕소(BN), 질화티타늄(TiN) 및 실리콘산화물(SiO2)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al oxide is yttrium oxide from a material in virtually any environment with low tack having a thermodynamically highly stable down to 2000 ℃ (Y 2 O 3) , zirconia (ZrO 2), alumina (Al 2 O 3), boron nitride ( BN), it is preferred to includ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a group consisting of titanium nitride (TiN) and silicon oxide (SiO 2).

또한 버퍼층(12)은 제1 투명전도층(20)과 접하는 표면에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의 표면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버퍼층(12) 형성 시 표면 형상을 조절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방법(S10)의 제4 단계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사된 투광성 기판(100)의 제1 투명전도층(20)의 표면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에 물결무늬를 형성하여 제1 투명전도층(20) 등을 적층하고 분리시키면, 제1 투명전도층(20)에 물결무늬가 전사된다. In addition, the buffer layer 12 can form a concave or convex surface pattern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The surface shape of the buffer layer 12 is adjusted so that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100 finally transferred through the fourth step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S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when a wave pattern is formed on the buffer layer to laminate and separate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nd the like, the wave pattern is transferred to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표면에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의 표면패턴을 구비하는 투명 전도층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100)상에 발광층 및 반사 전극을 적층하여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하는 경우, 표면 조도가 높아져 발광면적을 높여 주고, 또한 광추출 역할을 하여 발광효율을 높여 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투광성 기판(100) 상에 광활성층 및 금속 전극을 적층하여 유기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태양광의 수광면적을 높여주고, 또한 광포집 역할을 하여 발전효율을 높여 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a light emitting layer and a reflective electrode on a transparent substrate 100 including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having a concave or convex surface pattern on its surface, the surface roughness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light emitting area, Further, it can provid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luminous efficiency by acting as a light extracting unit. In addition, when an organic solar cell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the photoactive layer and the metal electrode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ight receiving area of the solar light, .

버퍼층(12)의 두께는 100nm 내지 10μm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100nm 미만으로 버퍼층(12)을 형성하는 경우 화학적 내식성 및 표면 균일도가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으며, 10μm 초과하여 버퍼층(12)을 형성하는 경우 표면 패턴 및 경화시간이 연장되어 공정상 문제점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nm 내지 600nm인 것이 좋다. The thickness of the buffer layer 12 is preferably 100 nm to 10 mu m. When the buffer layer 12 is formed at less than 100 nm, the chemical corrosion resistance and the surface uniformity are unstable. When the buffer layer 12 is formed in excess of 10 탆, the surface pattern and the curing time are prolonged. And more preferably 400 nm to 600 n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S10)의 제1 단계는 버퍼 용액을 이용하여 스핀 코팅(spin coating)하거나 버퍼층(12) 시트를 별도로 형성하여 접착시켜 기판 상에 친수성의 버퍼층을 형성거나, 기판으로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롤투롤 공정 상에서 버퍼 용액을 이용한 코팅 및 열처리 방식으로 버퍼층(12)을 형성할 수 있고, 표면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fabrication step S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ydrophilic buffer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by spin coating using a buffer solution or by separately forming a sheet of the buffer layer 12 Or when a flexible substrate is used as a substrate, the buffer layer 12 can be formed by coating and heat treatment using a buffer solution in a roll-to-roll process, and the surface shape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S10)의 제2-1 단계는 이형층(10) 상에 제1 투명전도층(2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ITO(Indium Tin Oxide), ZnO(Zinc Oxide) 및 SnO2(Tin Oxide) 및 이들의 고용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F, Al, Ga, In, Si 등이 도핑된 것을 사용하여 제1 투명전도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Step 2-1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ing step S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forming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on the release layer 10 and may be formed of ITO (Indium Tin Oxide) ZnO, SnO 2 , and solid solution thereof, and doped with F, Al, Ga, In, Si or the like may be used to form the first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can be formed.

제1 투명전도층(20)의 두께는 5nm 내지 100nm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5nm 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 박막의 결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100nm를 초과하여 형성하는 경우 유연성(Flexibility)의 저하로 접거나 휠 때 표면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nm 내지 20nm인 것이 좋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is preferably 5 nm to 100 nm.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5 nm, the crystallinity of the thin film is deteriorated. When the thickness is more than 100 n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exibility is reduced and surface cracking occurs during the folding or rolling. More preferably 5 nm to 20 n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S10)의 제2-1 단계는 스핀 코팅(spin coating)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층(12) 상에 제1 투명전도층(20)을 형성하거나,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롤투롤 공정 상에서 증착(Deposition)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may be formed on the buffer layer 12 by spin coating in the second step of form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lexible substrate is used, it can be formed through deposition in a roll-to-roll proc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S1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투명전도층(20) 상에 제2 투명전도층(30)을 형성하는 제2-2 단계를 포함하여 제1 투명전도층(20), 제2 투명전도층(30) 및 기저 폴리머층(50)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투광성 기판(100)을 제조할 수 있다. The step S10 of fabricating a transparent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step 2-2 of forming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s shown in FIG. The flexible transparent substrate 100 including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and the underlying polymer layer 50 can be manufactu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제조단계(S10)는 버퍼층(12) 상에 제1 투명전도층(20)을 형성한 후 제2 투명전도층(30)을 형성함으로써 제1 투명전도층(20)에 도전체(31)가 연접하기 때문에 우수한 전기전도성 및 광 산란 효과까지 갖는 투광성 기판(100)을 제조하는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The step of fabricating a transparent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ming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on the buffer layer 12 and then forming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Since the conductor 31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2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ep of manufactur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light scattering effe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제조단계(S10)의 제2-2 단계는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롤투롤 공정 상에서 금속 나노와이어(311) 또는 금속 입자(314)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금속나노와이어층을 형성하거나 스핀 코팅(spin coating)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투명전도층 상(40)에 제2 투명전도층(30)을 형성하거나,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등을 이용하여 제2 투명전도층(30)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tep 2-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ing step (S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forming an ink composition containing metal nanowires 311 or metal particles 314 on a roll-to-roll process in the case of using a flexible substrate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is formed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40 by spin coating or a photolithography process is performed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40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may be formed by using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S10)에 의해 이형층(10) 상에 제1 투명전도층(20)이 형성되고, 제1 투명전도층(20) 상에 순차적으로 제2 투명전도층(30)을 형성시킴으로써, 제2 투명전도층(30)의 금속 나노와이어(311) 및 금속 입자(314)가 중력에 의해 제1 투명전도층(20)에 더욱 인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 향상 및 광 추출 효율이 우수한 투광성 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is formed on the release layer 10 by the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ing step S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is sequentially formed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Since the metal nanowires 311 and the metal particles 314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are positioned closer to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by gravity by form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anslucent substrate having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xcellent light extraction efficiency.

제2 투명전도층(30)의 두께는 40nm 내지 150nm 이다. 40nm 미만인 경우 전기전도도 저하 문제점이 있고, 150nm 초과하는 경우 투과율 손실 문제점이 있다. 금속 나노와이어(311) 및 금속 입자(314)의 표면에 빛이 도달하면 금속 나노와이어(311) 및 금속입자(314)를 통해 빛을 산란시킬 수 있으므로 유기발광소자(1000)의 투광성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금속 입자(314)는 외면에 돌기를 구비하여 더 넓은 영역대를 가지는 파장의 빛을 산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투명전도층(30)이 형성되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층과의 접합성을 높일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is 40 nm to 150 nm.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40 nm,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electrical conductivity, and when it is more than 150 nm, there is a problem of loss of transmittance. When light reaches the surface of the metal nanowires 311 and metal particles 314, light can be scattered through the metal nanowires 311 and the metal particles 314,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In particular, the metal particles 314 may have protrusions on the outer surface to scatter light of a wavelength having a larger area band. And the bonding property with th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in which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is formed can be enhanc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S10)는 제2 투명전도층 상에 광추출층을 더 형성하는 제2-3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1 투명전도층(20), 제2 투명전도층(30), 광추출층(40) 및 기저 폴리머층(50)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100)을 제조할 수 있다. The step (S10) of fabricating a transparent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p (2-3) of forming a light extracting layer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o form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includ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the light extracting layer 40, and the base polymer layer 50 can be manufactu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S10)의 제2-3 단계는 스핀 코팅(spin coating)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투명전도층(30) 상에 광추출층(40)을 형성하거나,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롤투롤 공정 상에서 금속의 산화물, 질화물, 황화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light extraction layer 40 is formed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by spin coating in steps 2-3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ing step S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using a flexible substrate, the ink composition may be formed by applying an ink composition containing an oxide, a nitride, a sulfide, or a mixture thereof, and performing heat treatment in a roll-to-roll proc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S10)의 제3 단계는 상기 제1 투명전도층(20), 제2 투명전도층(30) 상에 기저 폴리머층(5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보다 단순화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을 통해 플렉서블한 투광성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The third step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ing step S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the base polymer layer 50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A flexible translucent substrate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roll-to-roll process, which is simplified and cost-effective.

기저 폴리머층(50)은 PI(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 carbonate), PES(polyether sulfon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A(poly acrylate), PUA(polyurethane acrylate), PDMS(polydimethyl siloxane) 및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내화학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PI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polymer layer 50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imide (PI),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olyether sulfone (PE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acrylate (PA), polyurethane acrylate polydimethyl siloxane), and a metal thin film. It is preferable to use PI having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기저 폴리머층(50)의 두께는 50㎛ 내지 3mm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0.7mm 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 모기판으로써 지지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3mm 초과하여 형성하는 경우 유연성(Flexibility)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5mm인 것이 좋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base polymer layer 50 is 50 탆 to 3 mm. If it is formed to be less than 0.7 m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orting force is low as a mother board, and when it is formed over 3 mm, flexibility is reduced. More preferably 200 占 퐉 to 1.5 mm.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S10)의 제3 단계는 폴리머 용액을 이용하여 라미네이팅(laminating)하거나 폴리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 및 경화시키거나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하여 기저 폴리머층(50)을 형성하거나,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롤투롤 공정 상에서 폴리머 조성물을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third step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ing step (S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laminating using a polymer solution, applying a polymer composition, drying and curing or screen printing, The base polymer layer 50 may be formed. In the case of using a flexible substrate, the polymer composition may be applied by a roll-to-roll process and heat-treated, but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S10)의 제4 단계는 이형층(10)을 디태칭(detaching)하는 단계로서, 이형층(10)과 제1 투명전도층(20) 사이를 분리(전사)하여 제1 투명전도층(20), 제2 투명전도층(30) 및 기저 폴리머층(50)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투광성 기판(100)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The fourth step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ing step S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detaching the release layer 10 and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release layer 10 and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100) comprising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 and a base polymer layer (50).

또한 버퍼층(12) 형성 시 표면에 형상을 갖도록 제조하고 제1 투명전도층(20)을 전사한 경우, 버퍼층(12) 표면 형상과 같이 제1 투명전도층(20) 표면에 버퍼층(12)의 형상이 전사되므로 제조된 플렉서블 투광성 기판(100)의 표면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buffer layer 12 is formed so as to have a surface shape and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buffer layer 12, The shape of the surface of the flexible translucent substrate 100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S10)의 제4 단계는 이형층(10) (버퍼층)에 광원을 통한 광조사 처리하여 성상을 선택적으로 변화시켜 제1 투명전도층(20)과의 접착력을 낮추어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퍼층(12)은 상기 언급한 제1 탄소화합물, 제2 탄소화합물, 금속산화물 등의 물질 즉, 유리전이온도가 200℃ 이하인 탄소화합물,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는 탄소화합물, 금속산화물 사용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복잡한 공정을 거치거나 많은 에너지를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분리(전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The fourth step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ing step (S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selectively etching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by selectively irradiating the release layer 10 (buffer lay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buffer layer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the first carbon compound, the second carbon compound, and the metal oxide, that is, a carbon compound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00 캜 or less, a carbon compound , And metal oxide,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transferred) without a complicated process or a lot of energy.

광조사 처리에 이용될 수 있는 광원으로는 제논 램프, 할로겐 램프, HID 램프, 형광 램프, 수은 램프를 포함하는 가스 방전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버퍼층(12)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열을 가하여 성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열원이라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논 렘프를 사용하는 것이 투명 전도성 산화층과 타 재료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광추출층 형성을 위한 국부적인 에너지 전달에 좋다. A gas discharge lamp including a xenon lamp, a halogen lamp, a HID lamp, a fluorescent lamp, and a mercury lamp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that can be used for the light irradiation treatmen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s. Preferably, the use of Xenon lamps is good for local energy transfer for formation of a light extraction layer without damag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and other material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기판 제조방법(S10)의 제4 단계 이후에, 상기 분리된 제1 투명전도층(20)에 잔존하는 이형층(10) 성분을 제거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된 제1 투명전도층(20)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 표면에 잔존하는 버퍼층(12) 성분은 아세톤, 에탄올과 같은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세척하여 제거하거나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In the fourth step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S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fth step of removing the component of the release layer 10 remaining in the separated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 The buffer layer 12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ncluding the separated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may be removed by washing with a chemical such as acetone or ethanol or by plasma treat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균열형성단계(S20)는 투광성 기판(100)에 물리적 외력을 가하여 제1 투명전도층(20)에 균열(21) (crack)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균열형성단계(S20)는 투광성 기판(100)을 굽힘(bending)으로써 물리적 외력을 가하여 굽힘 세기 및 굽힘 위치에 따른 균열(21) (crack)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균열형성단계(S20)는 상기 굽힘 위치 및 굽힘 세기를 조절하여 제1 투명 전도층(40)의 영역별 균열(21) (crack)의 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The crack forming step S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forming a crack 21 i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0 by applying a physical external force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 The crack forming step S20 may bend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to apply a physical external force to form a crack 21 according to the bending strength and the bending position. In addition, in the crack forming step S20, cracks 21 may be formed differently i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40 by adjusting the bending position and the bending strength.

또한 균열형성단계(S20)는 상기 굽힘 위치 및 굽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균열(21) (crack)이 상기 투명 전도층의 가장자리(edge) 영역으로 갈수록 분포가 증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투명 전도층의 중앙 영역에서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굽힘 세기를 크게 하여 형성되는 중앙 영역의 균열(21)에 의해 분획되는 구획의 최단 길이(l)가 40 내지 300nm 인 것에 비하여, 가장자리 영역의 균열(21)에 의해 분획되는 구획의 최단 길이(l)가 40 내지 100nm 가 되도록 균열(21)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ack forming step S20 may be performed to adjust the bending position and the bending strength so as to increase the distribution of the cracks toward the edge region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ore specifically, the shortest length l of the partition divided by the crack 21 in the central region formed by increasing the bending strength from the central region to the edge region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40 to 300 nm, The crack 21 can be formed such that the shortest length 1 of the partition divided by the crack 21 is 40 to 100 nm.

또한 균열형성단계(S20)는 상기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S10)를 통해 제조된 투광성 기판(100)에 유기발광층(200) 및 반사 전극층(300)을 형성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투광성 기판(100)의 투명 전도층 상에 유기발광층(200) 및 반사 전극층(300)을 형성하여 유기발광소자(1000)를 제조한 후 물리적 외력을 가하여 균열(21)을 형성하는 경우, 외력의 세기에 따라 투명 전도층뿐만 아니라 유기발광층(200)까지, 또는 반사 전극층(300)까지도 균열(21)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rack forming step S20 may be performed aft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00 and the reflective electrode layer 300 are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manufactured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ing step S10. That is,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00 and the reflective electrode layer 300 are form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to for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0 and then a physical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form the crack 21, The crack 21 can be formed not only i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but also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00 or in the reflective electrode layer 300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external force.

균열 구조 및 경사 구조의 광추출 시뮬레이션Simulation of light extraction with crack structure and inclined structure

(1) 균열 구조의 광추출 시뮬레이션(1) Light extraction simulation of crack structure

제1 투명전도층 균열 구조의 광 추출 효율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균열에 의해 분획되는 구역에 대응하는 일정한 간격의 마이크로 픽셀(Micro Pixel)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소자에 대한 광추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마이크로 픽셀 효과로 인한 광량 증가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총 면적과 발생광량이 같은 마이크로 픽셀 구조로 설정하여 광선광학 시뮬레이션(Light tools)으로 해석하였으며, 길이(l=800, 400, 267, 200, 160, 67, 40nm)에 따른 광 추출 효율 변화를 확인하였다. 마이크로 픽셀의 효과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판 상층부(Top), 기판 측면(Side), 유기발광소자 측면(Guided)으로 나누어 광 추출 효율을 계산하였다.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crack structure, light extraction simulation was per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micro pixe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gion divided by the cracks . As shown in FIG. 6, the increase in light amount due to the micropixel effect was analyzed by light-optical simulation by setting the total area and the generated light amount to the same micro-pixel structure. The lengths (l = 800, 400, 267, 200, 160, 67, and 40 nm).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micropixels,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Guided) as shown in FIG.

시뮬레이션 결과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균열에 의해 분획되는 구역(마이크로 픽셀)의 최단 길이(l)가 작아짐에 따라 기판의 상부(Top)와 측면(Side)의 추출 광량은 균열에 의해 분획되는 구역의 크기와 무관하게 일정한 추이를 보이나, 측면(Guided)의 추출 광량은 균열에 의해 분획되는 구역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전체(Total) 추출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as shown in FIG. 8, as the shortest length 1 of the region (micropixel) divided by the crack becomes smaller, the extracted light amount of the top and side of the substrate becomes smaller The extracted light intensity of the guided light tends to increase as the size of the area divided by the cracks increases, indicating that the total extraction efficiency increases.

(2) 경사 구조의 광추출 시뮬레이션(2) Simulation of light extraction with inclined structure

제1 투명전도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의 가장자리에 경사를 갖는 구조의 광 추출 효율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경사 각도가 45°인 유기발광소자에 대한 광 추출 효율을 계산하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structure having the inclination at the edg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fo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inclination angle of 45 degrees as shown in FIG. Calculated.

시뮬레이션 결과 유기발광소자의 측면으로 방출되거나 내부 물질로 흡수되어 사라질 빛들이 가장자리의 경사면과 부딪힌 후 전반사를 일으켜 기판의 측면이나 상부 방향으로 진행하여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causing the light to be emitted to the 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r absorbed by the internal material to collide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dge,

또한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균열에 의해 분획되는 구역와 복합된 효과로서, 기판의 상부(Top)와 측면(Side)의 추출 광량이 증가하여 전체(Total) 추출 광량이 대폭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light extracted from the top and side of the substrate is increased and the amount of total extracted light is greatly increased, as a result of being combined with a region divided by the cracks.

실시예Example

하기 표 1과 같이 제1 투명전도층, 제2 투명전도층 및 기저 폴리머층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 상에, 유기발광층 및 반사 전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2X2mm2의 발광 영역을 갖는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반사 전극으로는 알루미늄(Al)을 사용하여 형성하였으며, 유기발광층은 백색 유기전자소자의 제조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를 사용하였고, 그 형성방법 역시 일반적인 방식을 사용하였다. As shown in Table 1 below,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reflective electrode were sequentially laminat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including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a base polymer layer to produ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region of 2 x 2 mm 2 Respectively. As the reflective electrode, aluminum (Al) was used. As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material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white organic electronic devices was used, and a general method of form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was used.

도 11에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투광성 기판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Fig. 11 shows an optical microscope ima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produced according to Example 1. Fig.

최단 길이(nm)The shortest length (nm) 측면 경사
(°)
Side slope
(°)
제2 투명전도층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광추출층The light extraction layer
실시예 1Example 1 100-300100-300 9090 AgNWAgNW XX 실시예 2Example 2 40-20040-200 9090 AgNWAgNW XX 실시예 3Example 3 100-300100-300 9090 Cu metal mashCu metal mash XX 실시예 4Example 4 100-300100-300 9090 PEDOT/PSSPEDOT / PSS XX 실시예 5Example 5 100-300100-300 4545 AgNWAgNW XX 실시예 6Example 6 40-20040-200 2525 AgNWAgNW XX 실시예 7Example 7 40-30040-300 6565 Cu metal mashCu metal mash XX 실시예 8Example 8 균열 XCrack X 9090 AgNWAgNW 실시예 9Example 9 40-30040-300 9090 AgNWAgNW ZnOZnO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균열 XCrack X 9090 XX XX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600-800600-800 9090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300-600300-600 125125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전기전도성 측정(1)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ment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유기발광소자의 표면 저항을 측정하여 전기전도성을 측정하였으며, 표면 저항 측정 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4 포인트 프로브(기기명: MCP-T610, 제조사: MITSUBISHI CHEMICAL)를 사용하고, 핀간 간격이 5 mm인 ESP 타입의 프로브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The surface resist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to measur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 4-point probe (MCP-T610, manufacturer: MITSUBISHI CHEMICAL) commonly used in surface resistance measurement was used , And an ESP type probe having a pin interval of 5 mm.

도 12에 균열없는 제1 투명 전도층 만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비교예 1), 균열없는 제1 투명전도층 및 제2 투명전도층으로 AgNW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실시예 8), 균열있는 제1 투명전도층 및 제2 투명전도층으로 AgNW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실시예 1), 균열있는 제1 투명전도층, 제2 투명전도층으로 AgNW층, ZnO 광추출층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실시예 9)의 면저항 측정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12 shows a transparent substrate (Comparative Example 1) that includes only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without cracks, a transparent substrate (Example 8) that includes AgNW as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without cracks and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Example 1) comprising AgNW as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he AgNW layer as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including the ZnO light extracting layer Example 9) is shown in FIG.

도 12 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면저항이 약 240(Ω/□)으로 측정되었으며, AgNW를 도포한 실시예 8의 경우 면저항이 17(Ω/□)로 감소하였으며, 균열을 포함하는 제1 투명 전도층을 사용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9의 경우에도 면저항을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the sheet resistance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measured to be about 240 (Ω / □), the sheet resistance of Example 8 coated with AgNW was reduced to 17 (Ω / □) It can be seen that the sheet resistance is maintained at a similar level even in the case of Examples 1 and 9 using on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 투과율 측정(2) Measurement of transmittanc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유기발광소자를 UV/Vis 분광기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The transmitt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using a UV / Vis spectroscope.

도 13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투광성 기판의 광추출층의 생성시간에 따른 투과도 측정데이터 및 헤이즈 측정데이터를 나타내었다. 헤이즈값은 광추출층의 생성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광추출 효율은 광추출층과 균열에 의해 복합된 효과를 나타낸다. FIG. 13 shows transmittance measurement data and haze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prepared in Example 1. FIG. The haze value tends to increase with the generation time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and the light extracting efficiency shows a combined effect by the light extracting layer and the crack.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combined and modified in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Claims (18)

투명전도층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으로서,
상기 투광성 기판은,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진 기저 폴리머층;
상기 기저 폴리머층 상에 구비되는 제1 투명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전도층에는 균열에 의해 분획되는 복수의 구역이 형성되어, 상기 균열에서 입사되는 광의 굴절이 발생되는 투광성 기판.
A transparent substrate comprising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he light-
A base polymer layer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And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provided on the base polymer layer,
Wherein a plurality of regions divided by cracks are formed i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o cause refraction of light incident on the cra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의 수평방향으로 측정되는 상기 균열의 두께(t)는 100 nm 내지 20 μm 인 투광성 기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hickness (t) of the crack measu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100 nm to 20 占 퐉.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의 수평방향으로 측정되는 상기 균열에 의해 분획되는 구역의 최단 길이 (l)는 100μm 내지 2mm인 투광성 기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ortest length (l) of the region divided by the crack measu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100 탆 to 2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의 두께는 5nm 내지 100nm인 투광성 기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5 nm to 100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은 측면에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제1 투명전도층 측면과 상기 기저 폴리머층의 수평면이 이루는 경사 각도는 45°±20°인 투광성 기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has a slope at a side surface thereof,
Wherein a tilt angle formed by a sid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a horizontal surface of the base polymer layer is 45 占 20 占.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전도층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층, 투명 전도성 질화물층, 투명 전도성 황화물층 및 이들의 혼합층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투광성 기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at least one lay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a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layer, a transparent conductive sulfide layer, and a mixed layer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기판은,
상기 기저 폴리머층 상에 구비되며,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를 피복하는 피복폴리머를 포함하는 제2 투명전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은 상기 제2 투명전도층 상에 구비되는 투광성 기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Further comprising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provided on the base polymer layer and including a conductor and a covering polymer covering the conductor,
Wherei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provided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전도층의 상기 도전체는 금속 나노와이어, 메탈 메쉬 패턴 또는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ductor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comprises a metal nanowire, a metal mesh pattern, or a conductive polym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전도층이 상기 제1 투명전도층에 인접하는 절반을 A 영역이라 하고, 상기 기저 폴리머층에 인접하는 절반을 B 영역이라고 할 때,
상기 도전체는 상기 A 영역에 60% 이상 분포하는 투광성 기판.
9. The method of claim 8,
A half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djacent to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referred to as an A region and a half adjacent to the base polymer layer is referred to as a B region,
Wherein the conductor is distributed in the area A by 60% or mo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는 은(Ag), 금(Au), 구리(Cu), 백금(Pt), 철(Fe), 니켈(Ni), 코발트(Co), 아연(Zn), 티탄(Ti), 크롬(Cr), 알루미늄(Al), 팔라듐(P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된 투광성 기판.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tal nanowir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g, Au, Cu, Pt, Fe, Ni, Co, Zn, A transparent substrate formed of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romium (Cr), aluminum (Al), palladium (Pd), and combinations thereof.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메쉬 패턴은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의 합금을 이용하여 교차형태로 형성된 패턴인 투광성 기판.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tal mesh pattern is a pattern formed in an intersecting pattern by using silver (Ag), copper (Cu), aluminum (Al), or an alloy thereof.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전도층의 상기 도전체는 금속 입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입자는 상기 A 영역에 50% 이상 분포하는 투광성 기판.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ductor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further comprises metal particles,
Wherein the metal particles are distributed in the region A by 50% or more.
기저 폴리머층, 제2 투명전도층 및 제1 투명전도층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을 제조하는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
상기 투광성 기판에 물리적 외력을 가하여 균열(crack)을 형성하는 균열형성단계;를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의 제조방법.
A transparent substrate manufacturing step of fabricating a transparent substrate including a base polymer layer,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a crack forming step of applying a physical external force to the translucent substrate to form a crack.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형성단계는 상기 제조된 투광성 기판을 굽힘(bending)으로써 물리적 외력을 가하여 균열(crack)을 형성하는 단계인 투광성 기판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of forming a crack is a step of forming a crack by applying a physical external force by bending the manufactured transparent substra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형성단계는 상기 굽힘의 세기 및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균열(crack)이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의 가장자리(edge) 영역으로 갈수록 분포가 증가하도록 형성하는 단계인 투광성 기판의 제조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crack is a step of adjusting the intensity and position of the bending to form the crack so that the crack increases toward the edge region of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기판 제조단계는,
이형층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이형층 상에 제1 투명전도층을 형성하는 제2-1 단계;
상기 제1 투명전도층 상에 제2 투명전도층을 형성하는 제2-2 단계;
상기 제2 투명전도층 상에 기저 폴리머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이형층과 상기 제1 투명전도층을 분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기저 폴리머층, 제2 투명전도층 및 제1 투명전도층을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인, 투광성 기판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manufacturing step may include:
A first step of preparing a release layer;
A second step of forming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n the release layer;
(2-2) forming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 third step of forming a base polymer layer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And a fourth step of separating the release layer from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wherein the step of prepar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transparent substrate including a base polymer layer,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Way.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투광성 기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A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투광성 기판;
상기 투광성 기판에 대향하는 반사 전극; 및
상기 투광성 기판과 상기 반사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A light-transmitting substr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A reflective electrode fac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nd an organic emiss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transmissive substrate and the reflective electrode.

KR1020150150436A 2015-10-28 2015-10-28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623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36A KR101862318B1 (en) 2015-10-28 2015-10-28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CT/KR2016/012136 WO2017074047A1 (en) 2015-10-28 2016-10-27 Light-transmissive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36A KR101862318B1 (en) 2015-10-28 2015-10-28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261A true KR20170049261A (en) 2017-05-10
KR101862318B1 KR101862318B1 (en) 2018-05-29

Family

ID=5863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436A KR101862318B1 (en) 2015-10-28 2015-10-28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2318B1 (en)
WO (1) WO201707404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439A (en)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도프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parent conductive film using the hybrid of nano silver and silver nanowire and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ade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39904A4 (en) * 2010-02-27 2018-01-10 Innova Dynamics, Inc. Structures with surface-embedded additive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WO2012134200A2 (en) * 2011-03-29 2012-10-04 주식회사 엘지화학 Substrate for organic electrode device
KR101878251B1 (en) * 2011-04-08 2018-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Bending sens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737156B1 (en) * 2012-12-27 2017-05-17 제일모직주식회사 Transparent conductor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521694B1 (en) * 2013-03-29 2015-05-19 삼성전기주식회사 flexible/stretchable transparent film having conductiv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24184A (en) * 2013-08-26 2015-03-06 제일모직주식회사 Transparent conductor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439A (en)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도프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parent conductive film using the hybrid of nano silver and silver nanowire and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ade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318B1 (en) 2018-05-29
WO2017074047A1 (en)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1841B2 (en) Porous glass substrate for display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5453292B (en) Optoelectronic device substrate and opto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2066075B1 (en) Substrate having transparent electrode for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921839B2 (en) Light emitting device with spherical back mirror
JP6573160B2 (en) Light emitting element
CN1430455A (en) Plane display having anti-reflection coating with concentration gradi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522012B1 (en) Conductive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the same
US10741784B2 (en) Pattern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with enhanced light extraction
KR101493601B1 (en) A laminate for a light emitting devic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WO2011161998A1 (en) Organic el element
EP2720285B1 (en) Method of fabricating patterned substrate
JP2016532994A (en) LAMINATE F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99279B1 (en) Substrate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
JP2005063704A (en) Organic el device
WO2012127916A1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substrate having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using same
KR101466831B1 (en) Light extraction substrate for ole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and oled including the same
CN106876608B (en) OLED manufacturing method of ultrathin metal transparent electrode based on OLED light extraction
KR10182335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substrate and composite substrate manufactured using thereof
KR101862318B1 (en)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70358763A1 (en) Flexible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1500905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ultrathi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10186276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substrate and composite substrate manufactured using thereof
EP3087622B1 (en) Light extracting electrod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th light extracting electrode
EP3104668B1 (en) Front plate for el element and illumination device
KR2015008560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