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955A -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955A
KR20170047955A KR1020150148713A KR20150148713A KR20170047955A KR 20170047955 A KR20170047955 A KR 20170047955A KR 1020150148713 A KR1020150148713 A KR 1020150148713A KR 20150148713 A KR20150148713 A KR 20150148713A KR 20170047955 A KR20170047955 A KR 20170047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re material
vacuum
sealing portion
outer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갈승훈
김형성
박진현
육세원
정해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7955A/ko
Priority to CN201680062421.4A priority patent/CN108474610A/zh
Priority to US15/771,378 priority patent/US20180339490A1/en
Priority to EP16860112.8A priority patent/EP3327387A4/en
Priority to PCT/KR2016/011413 priority patent/WO2017073928A1/ko
Publication of KR2017004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4Contain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Y02B40/30
    • Y02B40/3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10T428/231Filled with gas other than air; or unde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폴딩 공정을 삭제할 수 있는 구조의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 포함하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진공단열재는 심재(Core Material)와, 심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외피재와, 제1외피재와 결합하여 내부에 압축된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외피재와,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결합부의 길이는, 10 ~ 30mm 이다.

Description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폴딩 공정을 삭제할 수 있는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소비하는 에너지는 한정적이고, 이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온난화는 에너지 위기와 함께 인류가 가진 가장 큰 문제이다. 이에 따라 각국의 에너지 규제는 나날이 강화되고, 가전제품에 대한 에너지 등급제는 제조사가 안고 있는 영원한 숙제이다. 적은 에너지로 최대의 효율을 요구하는 정부의 에너지 등급제는 높은 내용적량과 낮은 소비전력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와 잘 부합한다. 특히, 냉장고에 대하여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냉각사이클 및 압축기, 열교환기 등의 효율 향상 연구는 이미 한계에 이르렀다. 따라서, 최근에는 열손실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냉장고의 단열성능을 강화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재는 열전도도가 약 20mK/m·K이고, 이를 사용할 경우 냉장고 외벽의 두께가 두꺼워져 냉장고의 저장 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단열성능을 가지는 진공 단열재의 사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다만, 진공단열재의 열교현상(Heat Bridge, 진공단열재의 가장자리를 통해 열이 흐르는 현상) 및 내구성은 서로 상충관계에 있는 바, 효율적인 진공단열재 제작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폴딩 공정을 삭제할 수 있는 구조의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외피재 및 테이프 소비량 감소 및 공정 삭제로 인한 제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공단열재는 심재(Core Material); 상기 심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외피재; 상기 제1외피재와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외피재; 상기 제1외피재와 상기 제2외피재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길이는, 10 ~ 30mm 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융착 및 점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실링되는 실링부; 상기 실링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잉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잉여부는, 상기 심재를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후, 진공 압착 및 열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심재의 두께는 12mm 이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는, 1 ~ 5mm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피재는, 상기 심재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심재와 비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2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영역의 일측은 상기 제1영역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영역은 10 ~ 30 mm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일 방향은 상기 제1영역에 접하도록 접힘되어 마련되는 접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힘부는,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제1영역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심재는 프레스 압착 또는 열압착 또는 저진공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압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은 심재를 12mm 이하의 두께로 압착하고, 가장자리가 실링부에 의해 결합된 외피재의 수용공간에 상기 압착된 심재를 삽입하고, 상기 외피재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외피재를 추가 압착 및 열처리 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의 길이는, 1~5 mm 이다.
또한, 상기 외피재는, 상기 압축된 심재의 진공 압축 후, 추가 압착 및 열처리에 의해 상기 실링부 내측에 형성되는 잉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잉여부와 실링부를 합한 길이는 10 ~ 30 mm 이다.
또한, 상기 심재는, 프레스 압착 또는 열압착 또는 저진공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압착된다.
또한, 상기 외피재의 가장 자리 중 적어도 일 측은 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접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힘부는, 서로 마주 보도록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접힘부는,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단열재는 심재(Core Material); 상기 심재가 삽입되도록 일 측이 개방된 봉투 형상의 외피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는, 상기 심재가 삽입되는 제1방향과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의 제1길이는,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심재의 길이와 상기 심재의 두께의 합 보다 10 ~ 40mm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심재의 두께는 12mm 이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심재는 프레스 압착 또는 열압착 또는 저진공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압착된다.
또한, 상기 외피재는, 상기 심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외피재와, 상기 제1외피재와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외피재와,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를 결합하도록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실링부와,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를 결합하도록 상기 실링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잉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와 잉여부의 합한 길이는 10 ~ 30 mm이다.
또한, 상기 실링부는, 융착 및 점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링부의 길이는, 1 ~ 5 mm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단열재는 심재(Core Material); 상기 심재가 삽입되도록 일 측이 개방된 봉투 형상의 외피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는, 상기 심재의 외면과 접촉하여 감싸도록 마련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심재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의 길이는, 10 ~ 30 mm 이다.
또한, 상기 외피재는, 상기 심재가 삽입되는 제1방향과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길이는 상기 심재의 제2방향 길이와 두께를 합 보다 10 ~ 40mm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심재의 두께는 12mm 이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피재는, 상기 심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외피재와, 상기 제1외피재와 결합하여 내부에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외피재와,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를 결합하도록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실링부와,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를 결합하도록 상기 실링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잉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의 길이는, 1 ~ 5 mm 이다.
또한, 상기 실링부는, 융착 및 점착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잉여부는, 상기 심재가 삽입된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진공 압축한 후에, 추가 압착 및 융착 및 열처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한다.
또한, 상기 심재는, 프레스 압착 또는 열압착 또는 저진공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압착된다.
또한, 상기 외피재의 가장 자리 중 적어도 일 측은 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접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힘부는, 서로 마주 보도록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상기 외상의 내부에 마련되고,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및 상기 외상 및 상기 내상 사이에 위치하는 진공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단열재는, 심재(Core Material)와, 상기 심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외피재와, 상기 제1외피재와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외피재와,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실링 및 융착 및 점착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에 의해 실링되는 실링부와,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를 결합하도록 상기 실링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잉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와 잉여부를 합한 길이는 10 ~ 30 mm이다.
또한, 상기 잉여부는, 상기 심재를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후, 진공 압착 및 열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심재는, 프레스 압착 또는 열압착 또는 저진공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압착된다.
또한, 상기 심재의 두께는 12mm 이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는, 1 ~ 5mm 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폴딩 공정을 최소화하여 진공단열재 가장자리 및 모서리 부분의 미세한 핀홀(fin hole)이나 크랙(crack)의 발생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불량률을 감소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피재 및 테이프 소비량 감소 및 공정 삭제로 인한 제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장고의 외상 및 내상 사이에 얇고, 단열성능이 우수한 진공단열재를 사용함으로써 냉장고의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함과 동시에 냉장고의 저장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심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재의 압착 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외피재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외피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외피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 은 도 3 의 A-A'부분의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피재와 외피재에 삽입되기 전 상태의 심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외피재에 심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진공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성된 진공단열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피재에 심재를 삽입하고 진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일 측을 폴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 는 도 18 의 B-B' 부분의 단면도 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및 본체(10)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3)을 포함하며,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공급장치는 압축기(C)와, 응축기(미도시)와, 팽창밸브(미도시)와, 증발기(26)와, 송풍팬(2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본체(10)의 내상(11)과 외상(13)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발포단열재(15)가 발포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압축기(C)와 응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23)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격벽(17)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며, 본체(10)의 우측에는 냉장실(21)이 마련되고, 본체(10)의 좌측에는 냉동실(22)이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21) 및 냉동실(22)은 각각 본체(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실 도어(31) 및 냉동실 도어(33)에 의해 개폐되며, 냉장실 도어(31) 및 냉동실 도어(33)의 배면에는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도어가드(35)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에는 복수의 선반(24)이 마련되어 저장실(20)을 복수 개로 구획할 수 있으며, 선반(24)의 상부에는 음식물 등의 물품이 적재된다.
또한, 저장실(20)에는 복수의 저장박스(25)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도어(30)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 및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3)의 사이에는 발포공간(S)이 마련되며, 발포공간(S)에 발포단열재(15)가 충진된다.
발포단열재(15)의 단열성을 보강하기 위해 발포단열재(15)와 함께 진공단열재(Vacuum Insulation Panel, VIP)(100)를 충진 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심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도 3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단열재(100)는 심재(Core Material)(110)와 외피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피재(200)는 진공상태의 내부로 침투하는 미세한 기체 및 수분을 차단하여 진공단열재(100)의 수명을 유지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외피재(200)는 진공상태의 내부로 침투하는 미세한 기체 및 수분을 차단하여 진공단열재(100)의 수명을 유지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심재(110)는 단열 성능이 우수한 유리 섬유(Glass Fib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심재(110)는 가급적 가는 유리 섬유로 직조된 패널이 적층된 구조를 형성하여야 높은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섬유간의 공극(pore size)이 작을수록 단열 성능인 복사(Radiation)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높은 단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심재(110)는 유기 섬유 및 무기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심재(110)는 가급적 가는 유리섬유로 직조된 패널이 적층된 구조를 형성하여야 높은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섬유간의 공극(Pore Size)이 작을수록 단열 성능인 복사(Radiation)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높은 단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심재(110)는 유리솜(glass wool)을 포함할 수 있다.
심재(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심재(110)는 가로길이(l1)와 세로길이(l2)를 갖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심재(110)의 가로길이(l1)와 세로길이(l2)는 진공단열재(100)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재의 압착 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재(110)는 압착 공정으로 제1두께(t1)로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심재는 유리섬유로 직조된 패널이 적층된 구조로 두꺼운 두께로 마련되게 된다. 예를 들면, 종래 심재의 두께는 44mm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두꺼운 심재는 롤 압착(roll Press) 또는 열 압착(Thermal Press) 또는 진공 압착(Vacuum Press)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압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심재(110)는 열 압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꺼운 심재를 강제로 프레스(P)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압착시킨 다음, 히터(H)등에 의해 고온으로 열처리를 통해 형상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심재(110)의 두께는 종래 대비 50% 이상 압착시킬 수 있다.
또한, 심재(110)는 롤 압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재(110)는 상하측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롤®을 통과한 후, 바로 외피재(200)에 삽입되어 형상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재(110)는 봉투(PE)에 삽입된 후, 저진공 포장하여 압착시켜 형상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봉투(PE)는 매우 얇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봉투(PE)는 PE(Thin Polymer film)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봉투(PE)에 심재(110)를 삽입한 후, 저진공 포장하여 미리 압착시킨 심재(110)를 그 상태로 외피재(200)에 삽입하여 심재(110)의 형상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진공도는 5 ~ 700torr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열 압착(Thermal Press) 또는 롤 압착(roll Press) 또는 진공 압착(Vacuum Press) 또는 PE재질 봉투에 의한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압착된 심재(110)의 제1두께(t1)는 12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두께(t1)는 12mm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온 열건조 된 심재(110)를 순간적으로 프레스 한 후, 바로 외피재 봉투에 삽입하여 형상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외피재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외피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외피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1 은 도 3 의 A-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단열재(100)의 외피재(200)는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외피재(210)는 심재(110)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제2외피재(220)는 심재(110)의 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는 심재(11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는 서로 다른 열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은 열전도도를 가지는 제1외피재(210)는 외상(13)의 내면(13a)과 마주하도록 심재(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큰 열전도도를 가지는 제2외피재(220)는 내상(11)의 외면(11a)과 마주하도록 심재(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외피재(210)와 결합하여 내부에 심재(1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외피재(210)는 알루미늄 증착 외피재를 포함하고, 제2외피재(220)는 알루미늄 호일 외피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 호일 외피재는 수분 및 가스 투과도는 낮으나, 열교현상(Heat Bridge, 진공 단열재의 가장자리를 통해 열이 흐르는 현상)이 발생하여 단열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 알루미늄 증착 외피재는 알루미늄 호일 외피재에 비해 알루미늄 층이 얇아 열교현상은 방지할 수 있으나, 수분 및 가스 투과도가 높아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열전도도를 갖도록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에 의해 열교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외피재(210) 및 제2외피재(220)는 서로 다른 열전도도를 갖도록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제1외피재(210) 및 제2외피재(220)는 서로 다른 적층 구조를 가질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외피재(210) 및 제2외피재(220)는 각각을 구성하는 층(Layer)이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는 상호 결합되어 그 내부에 심재(11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는 가장자리에 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가 결합하도록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가 결합하여 일 측이 개방된 봉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결합부(300)는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의 사방 중 적어도 삼 방향 가장자리를 결합하도록 마련된다.
결합부(300)는 융착 및 점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를 실링시키는 실링부(310)와,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의 가장자리로부터 실링부(310)의 내측에 마련되는 잉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310)는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의 가장자리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310)는 융착 및 점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 사이를 접착되게 한다.
실링부(310)는 소정 폭(L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310)의 폭(L3)은 1 ~ 5 mm 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310)는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를 결합하여 심재(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봉투형상을 형성한다. 실링부(310)는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 사이에 수용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잉여부(320)는 외피재(200)의 수용공간(S1)내부로 압축된 심재(110)가 삽입 후, 진공 압착 및 열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압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잉여부(320)의 형성 방법은 후술하는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잉여부(320)는 실링부(3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310)와 잉여부(320)를 합한 길이는 결합부(30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00)의 길이는 10 ~ 30 mm 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잉여부(320)와 실링부(310)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단열재(100)의 결합부(300) 길이는 진공단열재(100)의 제조 시, 자르거나 폴딩(folding) 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실링부(310)를 형성하기 위한 융착은 열을 가하는 열융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의 종류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의 결합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봉투 형상의 외피재(200)는 그 내부에 심재(1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1)을 형성한다.
수용공간(S1)은 제1두께(t1)를 갖는 압착된 심재(110)가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심재(110)는 제1방향(X)으로 삽입되어 수용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외피재(200)의 수용공간(S1) 내에 압착된 심재(110)가 수용되면,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는 융착 및 점착 및 열처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진공단열재(100)의 외피재(200)는 심재(110)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영역(200a)과, 제1영역(200a)으로부터 연장되어 심재(1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영역(200b)을 포함할 수 있다.
외피재(200)의 제1영역(200a)과 제2영역(200b)은 대칭되는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에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영역(200a)은 심재(110)의 외면과 접촉하여 심재(110)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제2영역(200b)은 제1영역(200a)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2영역(200b)의 일 측은 제1영역(200a)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 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제2영역(200b)은 심재(110)와 비접촉되도록 마련된다. 제2영역(200b)은 심재(110)의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외피재(200)의 제2영역(200b)은 결합부(30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피재(200)는 심재(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피재(20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피재(200)는 심재(110)가 삽입되는 제1방향(X)과 수직하는 제2방향(Y)으로 형성되는 제1길이(L1)와, 제1길이(L1)에 수직하는 방향, 즉 심재(110)가 삽입되는 제1방향(X)으로 형성되는 제2방향(Y)을 포함할 수 있다.
외피재(200)는 제1방향(X)과 제2방향(Y)을 가지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피재(200)의 제1영역(200a)은 심재(110)의 상면 또는 하면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피재(200)의 제1영역(200a)은 사각형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피재(200)의 제1영역(200a)은 심재(11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외피재(200)의 제2영역(200b)은 제1외피재(2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피재(200)의 제2영역(200b)은 제1외피재(210)의 둘레로부터 연장되는 사각 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피재(200)의 제1길이(L1)는 심재(110)의 제2방향(Y) 길이 즉, 가로길이(l1)와 두께(t1)를 합한 값 보다 10 ~ 40 mm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피재(200)의 제2영역(200b)은 10 ~ 30 mm 사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피재(200)의 제2영역(200b)은 심재(110)에 비접촉되도록 심재(110)의 외측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마련된다. 심재(110)에 비접촉되는 외피재(200)의 제2영역(200b)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외피재(200)의 제2영역(200b)은 10 ~ 30 mm 의 짧은 길이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폴딩 공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접힘(folding) 및 구김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외피재(200)의 제2길이(L2)는 진공단열재(100)와 심재(110)의 세로길이(l2)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피재와 외피재에 삽입되기 전 상태의 심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외피재에 심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진공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성된 진공단열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단열재(100)는 심재(110)와 외피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심재(110)는 압축되어 슬림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피재(200)는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가 결합부(300)에 의해 결합되어 일 측이 개방된 봉투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외피재(200)의 내부에는 심재(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S1)이 형성된다.
이때, 외피재(200)의 실링부(310)는 1~5mm로 형성하여, 외피재(200)의 크기가 심재(110)의 크기에 대해 큰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심재(110)는 외피재(200)의 수용공간(S1)으로 제1방향(X)으로 삽입된다.
이때, 외피재(200)의 제1길이(L1)는 심재(110)의 제2방향(Y)길이 즉, 제1방향(X)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길이(l1)와 두께(t1)를 합한 값 보다 10 ~ 40 mm 길게 형성하여, 외피재(200)의 크기가 심재(110)의 크기에 대해 큰 차이를 갖지 않게 할 수 있다.
외피재(200)의 제2길이(L2)는 심재(110)의 세로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심재(110)가 외피재(200)의 수용공간(S1) 내에 위치되면 수용공간(S1)을 감압하여, 진공으로 형성한다.
이때, 심재(110)와 외피재(220)의 수용공간(S1) 내부 사이, 즉 외피재(220)의 실링부(310)와 심재(110) 사이에는 잉여부(320)가 마련될 수 있다.
잉여부(320)는 외피재(200)의 수용공간(S1)내에 형성되는 진공 압착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에 형성된다. 잉여부(220)는 실링부(3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310)는 심재(1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피재(200)의 잉여부(320)와 실링부(310)를 합한 길이는 10 ~ 30 mm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링부(310)는 1 ~ 5 mm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융착 또는 열처리 공정(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정을 하여 진공단열재(100)를 완성한다.
이때, 외피재(200)의 개방된 일측은 융착 또는 열처리 공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접착되게 된다.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는 융착 또는 점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서로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융착 또는 열처리 공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접착되는 외피재(200)의 개방된 일측은 열처리 공정 후, 외피재(200)의 결합부(300)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잘라낼 수 있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100)는 외피재(200) 결합부(300)의 길이가 심재(110)로부터 가깝고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피재(200)의 결합부(300)에 의해 외피재(200)의 열융착부 길이가 짧아져 가스 투과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열처리 공정에 의해 융착 및 점착된 제1외피재(210)와 제2외피재(220)는 심재(110)에 접촉되는 제1영역(200a)과 심재(110)에 접촉되지 않는 제2영역(200b)에 의해 구성되며, 제2영역(200b)은 심재(110)에 접촉되지 않도록 폴딩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추가 공정을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외피재(200)의 제2영역(200b)은 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진공단열재(100)는 차단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층은 수분 및 가스가 수용공간(S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1외피재(210) 및 제 2외피재(220) 중 적어도 하나 및 심재(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피재에 심재를 삽입하고 진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일 측을 폴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 는 도 18 의 B-B' 부분의 단면도 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한다.
도 16 내지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단열재(100A)는 심재(110A)와 외피재(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림한 판 형상으로 압축된 심재(110A)는 외피재(200A) 내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S1)에 삽입된다.
외피재(200A)의 수용공간(S1)은 제1외피재(210A)와 제2외피재(220A)를 결합시키는 실링부(310A)에 의해 형성된다.
외피재(200A)의 결합부(300A)는 제1외피재(210A)와 제2외피재(220)의 가장자리로부터 실링부(310A)의 내측에 마련되는 잉여부(320A)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310A)는 제1외피재(210A)와 제2외피재(220A)의 가장자리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310A)는 제1외피재(210A)와 제2외피재(220A) 사이를 융착 및 점착 및 실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서로 접착되게 한다.
실링부(310A)의 길이는 1 ~ 5 mm 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310A)는 제1외피재(210A)와 제2외피재(220A)를 결합하여 심재(110A)가 삽입될 수 있도록 봉투형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링부(310A)에 의해 제1외피재(210A)와 제2외피재(220A)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S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피재(200A)의 실링부(는 1~5mm로 최소 크기로 형성하고, 제1길이(L1)는 심재(110A)의 제2방향(Y)길이 즉, 제1방향(X)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길이(l1)와 두께(t1)를 합한 값 보다 10 ~ 40 mm 길게 형성하여, 외피재(200A)의 크기가 심재(110A)의 크기에 대해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심재(110A)가 외피재(200A)의 수용공간(S1)에 삽입되면 감압하여 진공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융착 또는 열처리 공정(미도시)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하여 진공단열재(100A)를 완성한다.
이때, 외피재(200A)의 개방된 일 측은 진공 감압 후의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접착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외피재(200A)의는 심재(110A)에 접촉되는 제1영역(200Aa)과 심재(110A)에 접촉되지 않는 제2영역(200Ab)에 의해 구성된다.
제2영역(200Ab)은 외피재(200A)의 결합부(300A)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피재(200A)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결합부(300A)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은 심재(110A)와 중첩되는 방향으로 한번 접힘되는 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재(200A)의 제2영역(200Ab) 중 실링부(310A)에 의해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다른 제2영역(200Ab)은 심재(100A)에 접촉된 제1영역(200Aa)에 접촉되도록 폴딩될 수 있다.
접힘부는 심재(110A)를 외피재(200A)의 수용공간(S1)에 삽입하여, 진공 감압 후의 융착 및 열처리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에 의해 접착되는 외피재(200A)의 개방부측이 폴딩될 수 있다.
외피재(200A)의 제1영역(200Aa)에 접촉되는 제2영역(200Ab)은 OPP테이프(T) 등의 접착부재를 통해 제1영역(200Aa)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피재의 가장자리 사면 중 적어도 일측이 폴딩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피재의 결합부 중 서로 대칭되는 두 방향의 결합부는 폴딩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대칭되는 두 방향의 결합부가 폴딩되게 하는 것은 접힘부의 중첩 및 교차에 의해 발생되는 파손 등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및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은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건축, 건물 외부 벽/층간, 오븐, 보일러, 아이스박스, 의학 수송 상자, 자동차, 기차, 선박 등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1 : 내상                     11a : 내상의 외면
13a : 외상의 내면                 13 : 외상
15 : 단열재                       17 : 격벽
20 : 저장실                       21 : 냉장실
100 : 진공단열재 110 : 심재
200 : 외피재 200a : 제1영역
200b : 제2영역 210 : 제1외피재
220 : 제2외피재 300 : 결합부
310 : 실링부 320 : 잉여부
l1 : 심재의 가로길이 L1 : 외피재의 제1길이
X : 제1방향(심재의 삽입방향)
Y : 제2방향

Claims (39)

  1. 심재(Core Material);
    상기 심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외피재;
    상기 제1외피재와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외피재;
    상기 제1외피재와 상기 제2외피재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길이는, 10 ~ 30mm 인 진공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융착 및 점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실링되는 실링부;
    상기 실링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잉여부;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부는,
    상기 심재를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후, 진공 압착 및 열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두께는 12mm 이하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1 ~ 5mm 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상기 심재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심재와 비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일측은 상기 제1영역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진공단열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10 ~ 30 mm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일 방향은 상기 제1영역에 접하도록 접힘되어 마련되는 접힘부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제1영역에 고정되는 진공단열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프레스 압착 또는 열압착 또는 저진공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압착되는 진공단열재.
  12. 심재를 12mm 이하의 두께로 압착하고,
    가장자리가 실링부에 의해 결합된 외피재의 수용공간에 상기 압착된 심재를 삽입하고,
    상기 외피재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외피재를 추가 압착 및 열처리 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길이는, 1~5 mm 인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상기 압축된 심재의 진공 압축 후, 추가 압착 및 열처리에 의해 상기 실링부 내측에 형성되는 잉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잉여부와 실링부를 합한 길이는 10 ~ 30 mm 인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프레스 압착 또는 열압착 또는 저진공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압착되는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의 가장 자리 중 적어도 일 측은 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접힘부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서로 마주 보도록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19. 심재(Core Material);
    상기 심재가 삽입되도록 일 측이 개방된 봉투 형상의 외피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는,
    상기 심재가 삽입되는 제1방향과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의 제1길이는,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심재의 길이와 상기 심재의 두께의 합 보다 10 ~ 40mm 길게 형성되는 진공단열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두께는 12mm 이하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프레스 압착 또는 열압착 또는 저진공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압착되는 진공단열재.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상기 심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외피재와,
    상기 제1외피재와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외피재와,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를 결합하도록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실링부와,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를 결합하도록 상기 실링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잉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와 잉여부의 합한 길이는 10 ~ 30 mm인 진공단열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융착 및 점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단열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길이는, 1 ~ 5 mm인 진공단열재.
  25. 심재(Core Material);
    상기 심재가 삽입되도록 일 측이 개방된 봉투 형상의 외피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는,
    상기 심재의 외면과 접촉하여 감싸도록 마련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심재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의 길이는, 10 ~ 30 mm 인 진공단열재.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상기 심재가 삽입되는 제1방향과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길이는 상기 심재의 제2방향 길이와 두께를 합 보다 10 ~ 40mm 길게 형성되는 진공단열재.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두께는 12mm 이하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상기 심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외피재와,
    상기 제1외피재와 결합하여 내부에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외피재와,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를 결합하도록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실링부와,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를 결합하도록 상기 실링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잉여부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길이는, 1 ~ 5 mm 인 진공단열재.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융착 및 점착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단열재.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부는,
    상기 심재가 삽입된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진공 압축한 후에, 추가 압착 및 융착 및 열처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하는 진공단열재.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프레스 압착 또는 열압착 또는 저진공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압착되는 진공단열재.
  33.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의 가장 자리 중 적어도 일 측은 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접힘부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서로 마주 보도록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진공단열재.
  35.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상기 외상의 내부에 마련되고,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및
    상기 외상 및 상기 내상 사이에 위치하는 진공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단열재는,
    심재(Core Material)와,
    상기 심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외피재와,
    상기 제1외피재와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외피재와,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실링 및 융착 및 점착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에 의해 실링되는 실링부와,
    상기 제1외피재와 제2외피재를 결합하도록 상기 실링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잉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와 잉여부를 합한 길이는 10 ~ 30 mm인 냉장고.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부는,
    상기 심재를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후, 진공 압착 및 열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프레스 압착 또는 열압착 또는 저진공 압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압착되는 냉장고.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두께는 12mm 이하를 포함하는 냉장고.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1 ~ 5mm 인 냉장고.
KR1020150148713A 2015-10-26 2015-10-26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70047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713A KR20170047955A (ko) 2015-10-26 2015-10-26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CN201680062421.4A CN108474610A (zh) 2015-10-26 2016-10-12 真空隔热材料,真空隔热材料制造方法,以及包括真空隔热材料的冰箱
US15/771,378 US20180339490A1 (en) 2015-10-26 2016-10-12 Vacuum insulation material, vacuum insulation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refrigerator including vacuum insulation material
EP16860112.8A EP3327387A4 (en) 2015-10-26 2016-10-12 Vacuum insulation material, vacuum insulation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refrigerator including vacuum insulation material
PCT/KR2016/011413 WO2017073928A1 (ko) 2015-10-26 2016-10-12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713A KR20170047955A (ko) 2015-10-26 2015-10-26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955A true KR20170047955A (ko) 2017-05-08

Family

ID=5863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713A KR20170047955A (ko) 2015-10-26 2015-10-26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339490A1 (ko)
EP (1) EP3327387A4 (ko)
KR (1) KR20170047955A (ko)
CN (1) CN108474610A (ko)
WO (1) WO20170739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9995A1 (ko) * 2018-03-26 2019-10-03 오씨아이 주식회사 진공 단열재의 포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40991A (ja) * 2020-08-31 2022-03-11 三恵技研工業株式会社 断熱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11692763B2 (en) 2020-10-30 2023-07-04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ion materials for a vacuum insulated structure and methods of forming
US11871499B2 (en) 2020-11-05 2024-01-09 Whirlpool Corporation Induction cooking apparatus with heatsink and method of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5346A (ja) * 2004-04-28 2005-11-10 Nippon Steel Corp 真空断熱体
JP4603817B2 (ja) * 2004-05-19 2010-12-2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蔵庫、並びに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JP2006084077A (ja) * 2004-09-15 2006-03-30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蔵庫
CN100543353C (zh) * 2004-12-07 2009-09-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真空隔热件及其制造方法、及使用其的隔热箱体
KR20100119939A (ko) * 2009-05-04 2010-11-12 한국과학기술원 진공 단열체 및 진공 단열체용 외피재
KR101597554B1 (ko) * 2009-08-07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재 및 진공단열재를 구비한 냉장고
JP5337681B2 (ja) * 2009-12-08 2013-11-06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101281287B1 (ko) * 2009-12-23 2013-07-03 (주)엘지하우시스 진공단열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10077860A (ko) * 2009-12-30 2011-07-07 (주)엘지하우시스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60355B1 (ko) * 2012-07-27 2015-10-15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단열재, 냉장고, 진공 단열재를 사용한 기기
JPWO2014122939A1 (ja) * 2013-02-07 2017-01-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断熱パネル
JP6132715B2 (ja) * 2013-09-06 2017-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及び断熱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9995A1 (ko) * 2018-03-26 2019-10-03 오씨아이 주식회사 진공 단열재의 포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74610A (zh) 2018-08-31
EP3327387A4 (en) 2018-10-10
US20180339490A1 (en) 2018-11-29
WO2017073928A1 (ko) 2017-05-04
EP3327387A1 (en)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374B1 (ko)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TWI231356B (en) Refrigerator
JP2013088036A (ja) 断熱箱体、冷蔵庫及び貯湯式給湯器
KR102337981B1 (ko) 진공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70047955A (ko)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05345025A (ja) 冷蔵庫並びに真空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511445A5 (ko)
KR20170045649A (ko)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JP3513123B2 (ja) 冷蔵庫の製造方法
KR20150067473A (ko) 진공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08185220A (ja) 真空断熱材
WO2013084656A1 (ja) 冷蔵庫
TWI622747B (zh) refrigerator
JP3958189B2 (ja) 冷蔵庫
US20220252331A1 (en) Vacuum adiabatic module, refrigera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refrigerator
JPH10141583A (ja) 断熱壁体
JP6000922B2 (ja) 真空断熱材及びそれを用いた冷温熱機器
JP3666508B1 (ja) 断熱パネル
JPH10148455A (ja) 冷蔵庫
JP2013194761A (ja) 真空断熱材および断熱箱体
JP2014214959A (ja) 断熱箱体
JP2022164316A (ja) 断熱箱体および断熱扉
JP2014214762A (ja) 真空断熱材、断熱箱体
JP2013242122A (ja) 冷蔵庫
JP2013242123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