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761A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Unmaned Aerial Vehicl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Unmaned Aerial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761A
KR20170045761A KR1020150145136A KR20150145136A KR20170045761A KR 20170045761 A KR20170045761 A KR 20170045761A KR 1020150145136 A KR1020150145136 A KR 1020150145136A KR 20150145136 A KR20150145136 A KR 20150145136A KR 20170045761 A KR20170045761 A KR 20170045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aerial vehicle
unmanned aerial
charging device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7200B1 (en
Inventor
조동호
정구호
송보윤
이충희
이자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4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200B1/en
Publication of KR20170045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7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2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B64C2201/06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realizes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irelessly charg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utilizing a support unit mount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suppor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have a concise and simple structure that is suitable for an ope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ly,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located in an area, a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automatically charged by us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m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 tubular pipe and a current condensing coil.

Description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Unmaned Aerial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본 실시예는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무인 비행체는 조종사를 탑승하지 않고 지정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 비행체로서 최근, 기상, 과학 관측, 자원탐사, 재난 감시, 레저, 물류 운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are aircrafts designed to carry out designated missions without boarding pilots. Utilization is increasing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weather, scientific observation, resource exploration, disaster monitoring, leisure, and logistics transportation.

무인 비행체는 출발지에서 연료 및 배터리 등의 에너지원을 급유 및 충전하고, 여러 응용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고 다시 출발지로 돌아오는 형태로 운용된다. 한편, 기존의 무인 비행체의 운용 방법의 경우 무인 비행체가 스스로 연료 및 배터리를 급유 및 충전할 수 없어 이를 위한 별도의 운용인력을 필요로 하며, 결과적으로 무인 비행체의 운용을 위한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무인 비행체에 무선 충전장치를 장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종래의 무선 충전장치의 형태를 그대로 무인 비행체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lubes and fills fuel sources such as fuel and batteries at the departure point, performs tasks according to various applications, and returns to the starting point.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ethod of operat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not supply and charge the fuel and the battery by itself, so that a separate operating personnel is required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sulting in additional costs for operat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t; / RTI > For this purpose, a method of mount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on a unmanned aerial vehicle has been proposed,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device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as it is.

본 실시예는, 무인 비행체에 장착되어 무인 비행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활용하여 무인 비행체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운용에 적합한 간결하고 단순한 구조의 무선 충전장치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일정 영역 내 무인 비행체가 위치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의 배터리가 자동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simple and simple wireless charging device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an unmanned air vehicle by implement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of an unmanned air vehicle utilizing a supporting means mounted on the unmanned air vehicle and supporting the unmanned air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allows a battery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to be automatically charged us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wh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본 실시예는,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집전 코일용 홀을 포함하는 통형 관; 및 제1 연결부, 권취부 및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권취부의 일단에 상기 제1 연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권취부의 타단에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되되,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통형 관의 내부로부터 상기 집전 코일용 홀을 경유하여 상기 통형 관의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통형 관의 외측면에 권취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집전 코일용 홀을 경유하여 상기 통형 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집전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mprising: a tubular tube including at least one hole for a current collector coil; And a first connection part, a winding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nding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tube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wound around the cylindrical tube through the hole for the current collector coil, And a current collecting coil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본 실시예에 의하면, 무인 비행체에 장착되어 무인 비행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활용하여 무인 비행체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운용에 적합한 간결하고 단순한 구조의 무선 충전장치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일정 영역 내 무인 비행체가 위치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의 배터리가 자동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of an unmanned air vehicle is implemented by using a supporting means mounted on an unmanned air vehicle to support the unmanned air vehicle, thereby providing a simple and simple wireless charging device suitable for operation of an unmanned air vehicle Thus,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the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automatically charged us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me.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의 제2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에 구비되는 코어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의 코어 및 제1 보빈이 하나의 장치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에 구비되는 제1 보빈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 is a schematic view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3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 bobbi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4 is a schematic view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re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8 is a schematic view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9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core and the first bobbi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re implemented as one device.
10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other form of the first bobbin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무인 비행체(Unmanned Aerial Vehicle: UAV)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은 비행체를 의미한다. 무인 비행체는 위성 및 관성 항법 장치를 이용하여 지상의 조종자가 설정한 경로, 고도 및 속도로 이동하거나, 무인 비행체 내에 탑재된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위치나 자세, 방향 등을 제어하여 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Unmanned Aerial Vehicle (UAV) means an aircraft that the pilot has not boarded. An unmanned aerial vehicle can travel by using a satellite and an inertial navigation device at a route, an altitude and a speed set by a ground operator, or by controlling a position, an attitude, and a direction by a control system mount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는 무인 비행체에 장착되어 무인 비행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다리)을 활용하여 무인 비행체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장치를 탑재하며, 이를 통해, 무선 충전 영역 내 무인 비행체가 위치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의 배터리가 자동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무인 비행체는 무선 충전장치의 형태가 간결하고 단순한 구조를 지님으로써 공기저항을 적게 받고, 비행 도중 무선 충전장치가 무인 비행체 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of an unmanned air vehicle utilizing a supporting means (= leg) mounted on a unmanned air vehicle to support the unmanned air vehicle, The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automatically charged us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Such a unmanned aerial vehicle has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so that the air resistance is reduced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an be firmly fix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uring flight.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100)는 통형 관(110) 및 집전 코일(1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tubular tube 110 and a current collecting coil 120.

통형 관(110)은 무인 비행체에 장착되며, 무인 비행체가 지면을 이착륙 시 무인 비행체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형 관(110)은 무인 비행체의 다리 부분을 의미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ubular pipe 110 is mounted on a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ans a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bod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taking off and landing the ground. The tubular pipe 110 means the leg por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통형 관(11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폭보다 길이를 길게 한 둥글고 긴 통 형상으로 구현된다. 통형 관(11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양 끝단에 개구부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형 관(110)의 형상에 대해서 특정 구조로 한정하지 않는다.The tubular tube 110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width. The tubular tube 110 has a hollow inside and has openings at both ends thereof.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tubular tube 11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tructure.

한편, 도 1에서는 통형 관(110)이 지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인 비행체의 형상에 따라 지면에 수평 또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1, the tubular pipe 110 i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ubular pipe 110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통형 관(110)은 적어도 하나의 집전 코일용 홀(112)을 구비한다. 집전 코일용 홀(112)은 통형 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이하, 도 1에서는 통형 관(110)이 2개의 집전 코일용 홀(112)을 구비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ubular tube (110) has at least one hole (112) for a current collector coil. At least one hole 112 for the current collecting coil may be provided at an inner poi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ular pipe 110, and when the plurality of holes are provided,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ereinafter, in FIG. 1, the case where the cylindrical tube 110 is provided with two collecting coil holes 112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집전 코일용 홀(112)은 통형 관(110)의 내측을 관통하며, 통형 관(110)의 외부에 권취되는 집전 코일(120)을 통형 관(110)의 내부로부터 통형 관(110)의 외부로 인출하거나, 통형 관(110)의 외부로 인출된 집전 코일(120)을 다시 통형 관(110)의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The current collecting coil hole 112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tubular tube 110 and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tubular tube 110 from the inside of the tubular tube 110 by a current collecting coil 120 wound on the outside of the tubular tube 110. [ And pulls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drawn out of the cylindrical tube 110 back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tube 110.

통형 관(110)은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나사 삽입 홀(114)을 추가로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나사 삽입 홀(114)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가 복수 개의 보빈(210)을 추가로 구비하는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복수 개의 보빈(210) 중 양끝단에 위치하는 보빈(212)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한다. 이러한, 나사 삽입 홀(114)은 복수 개의 보빈(210) 중 양끝단에 위치하는 보빈(212)과 통형 관(110) 사이의 체결을 보조하기 위한 지지볼트(220)가 삽입되며, 바람직하게는 집전 코일용 홀(112)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tubular tube 11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having a plurality of screw insertion holes 1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in a shape having a plurality of bobbins 210, the screw insertion holes 114 may be formed at positions of the bobbins 212 locat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bobbins 210 As shown in FIG. The screw insertion hole 114 is inserted with a support bolt 220 for assisting fastening between the bobbin 212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bobbins 210 and the tubular pipe 110, And is provided adjacent to the hole 112 for the current collecting coil.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집전 코일(120)은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로서, 기 설정된 무선 충전 영역 내 존재하는 급전장치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방사한 자기장을 수신하여 이로부터 전류를 유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is a device for receiving power transmitted in a wireless manner and means a device for receiving a magnetic field radiated by a power feeding device existing in a predetermined wireless charging area to transmit power and inducing a current therefrom do.

본 실시예에 따른 집전 코일(120)은 집전 코일용 홀(112)을 경유하여 통형 관(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통형 관(110)의 외측면 상에 권취되며, 다시 집전 코일용 홀(112)을 경유하여 통형 관(110)의 내부로 인입되는 형상으로 구현된다.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tubular tube 110 through the hole 112 for the current collector coil and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tube 110, And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tube 110 via the hole 112.

집전 코일(120)은 제1 연결부(122), 권취부(124) 및 제2 연결부(126)를 구비한다. 이때, 권취부(124)의 일단에 제1 연결부(122)가 연결되고, 권취부(124)의 타단에 제2 연결부(126)가 연결된다.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has a first connecting portion 122, a winding portion 124,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126.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124,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6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ortion 124.

제1 연결부(122)는 그 일단이 무인 비행체 내부에 구비된 정류기 및 부하 등의 무선 충전을 위한 회로에 연결되고, 타단이 통형 관(110)의 내부로부터 집전 코일용 홀(112)을 경유하여 통형 관(110)의 외부로 인출된다.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2 is connected to a circuit for wireless charging such as a rectifier and a load provided in the unmanned air vehicl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tubular pipe 110 via the current collecting coil hole 112 And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tubular tube (110).

권취부(124)는 일단이 제1 연결부(122)의 타단에 연결되며, 통형 관(110)의 외측면에 권취된다.One end of the winding section 124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section 122 and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tube 110.

제2 연결부(126)는 그 일단이 권취부(124)의 타단에 연결되며, 집전 코일용 홀(112)을 경유하여 통형 관(110)의 내부로 인입되고, 타단이 무인 비행체 내부에 구비된 정류기 및 부하 등의 무선 충전을 위한 회로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6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ortion 124 and is led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tube 110 through the hole 112 for the current collector coil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inside the unmanned air vehicle A rectifier and a load.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schematic view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200)는 통형 관(110), 집전 코일(120) 및 복수 개의 보빈(210)을 포함한다. 한편, 무인 비행체는 그 운용 특성상 공중을 부양하기 때문에 바람에 민감할 수밖에 없으며, 무인 비행체 권취된 집전 코일 또한 바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이때, 무인 비행체에 권취된 집전 코일은 바람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흔들림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경우 무선 충전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for a UAV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cylindrical tube 110, a current collector coil 120, and a plurality of bobbins 210. On the other hand,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sensitive to wind because they support the air due to their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the collecting coils wound on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directly affected by the wind. At this time, the current collecting coil woun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shaken by the wind, and if the shaking is continuously repeated, the efficiency of wireless charging may be lowe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100)에서 복수 개의 보빈(210)을 추가로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200 for the unmannurized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bobbins 210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200)의 통형 관(110) 및 집전 코일(12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100)의 통형 관(110) 및 집전 코일(120)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2에서는 복수 개의 보빈(210)의 구조 및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200) 내 복수 개의 보빈(210)가 구비되는 형태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tubular pipe 110 and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similar to those of the tubular pipe 11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for the unmanned air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are implement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2, the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bobbins 210 and the manner in which the plurality of bobbins 210 are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ill be mainly described.

복수 개의 보빈(210)은 통형 관(110)에 체결되어 통형 관(110)에 권취된 집전 코일(=권취부(124)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을 흔들림 없이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복수 개의 보빈(210)은 그 역할 및 배치 위치에 따라 각각 제1 보빈(212) 및 제2 보빈(214)으로 구분된다.The plurality of bobbins 210 serve to fix the current collecting coil (which will be described as winding section 124) wound around the tubular tube 110 without shaking since it is fastened to the tubular tube 110. The plurality of bobbins 210 are divided into a first bobbin 212 and a second bobbin 214 according to their roles and arrangement positions.

제1 보빈(212)은 통형 관(110)에 적어도 한 쌍 이상 체결되어 통형 관(110)에 권취된 권취부(124)를 흔들림 없이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1 보빈(212)은 통형 관(110)에 권취된 권취부(124)의 양끝단에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구비되어 권취부(124)가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한다.The first bobbin 212 is engaged with at least one pair of the tubular pipe 110 to fix the winding unit 124 wound around the tubular pipe 110 without shaking. That is, the first bobbin 212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winding unit 124 wound on the tubular pipe 110 so that the winding unit 124 is fixed without shaking.

제1 보빈(212)은 제1 보빈(212)의 중앙부에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부를 구비하며, 구비된 삽입부에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통형 관(110)에 체결된다.The first bobbin 212 has an insertion portion which is a space into which the tubular tube 110 is inser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bobbin 212 and the tubular tube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

제1 보빈(212)은 실시예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분이 굵은 형상을 가지고 양 끝단으로 갈수록 가는 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구현되어 중앙부에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에는 제1 보빈(212) 및 통형 관(110) 사이의 체결을 보조하기 위한 지지볼트(220)가 삽입되는 나사 삽입 홀이 형성된다. 이 경우, 통형 관(110) 또한 통형 관(110) 내 제1 보빈(212)의 나사 삽입 홀에 대응되는 지점에 나사 삽입 홀(114)이 구비된다. 즉, 제1 보빈(212) 및 통형 관(110)은 각각에 구비된 나사 삽입 홀을 통해 삽입되는 지지볼트(220)에 의해 서로 간 이탈 없이 단단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통형 관(110)에 형성된 나사 삽입 홀(114)의 개수는 제1 보빈(212)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The first bobbin 212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thick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hin shape toward both en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may have a protruding portion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crew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upport bolt 220 for assisting fastening between the first bobbin 212 and the tubular pipe 110 is inserted. In this case, the cylindrical tube 110 is also provided with a screw insertion hole 114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insertion hole of the first bobbin 212 in the cylindrical tube 110. That is, the first bobbin 212 and the tubular pipe 110 can be tightly fastened to each other by the support bolts 220 inserted through the screw insertion holes provided in the first bobbin 212 and the tubular pipe 110. Meanwhile, the number of the screw insertion holes 114 formed in the tubular tube 11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bobbins 212.

제2 보빈(214)은 통형 관(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체결되며, 한 쌍의 제1 보빈(212) 사이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제2 보빈(214)은 통형 관(110)에 권취된 권취부(124)를 흔들림 없이 고정하는 동시에, 통형 관(110) 상에 권취부(124)가 소정 간격을 두고 분리 배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일부 실시예에서 급전 장치에 구비된 급전 코일은 단위 모듈에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보빈(214)을 이용하여 통형 관(110)에 권취된 권취부(124)를 단위 모듈로 분리 구현함으로써 무선 충전과정에서 그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The second bobbin 214 is at least one fastened to the tubular tube 11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irst bobbins 212. Similarly, the second bobbin 214 fixes the winding section 124 wound on the cylindrical tube 110 without shaking and allows the winding section 124 to be separated and disposed on the cylindrical tube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Role. Meanwhile, in some embodiments, a plurality of power feeding coils provided in the power feeding devic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unit module.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ding unit 124 wound around the tubular tube 110 is separated into unit modules using the second bobbin 214, thereby maximizing efficiency in the wireless charging process.

제2 보빈(214)은 제2 보빈(214)의 중앙부에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부를 구비하며, 구비된 삽입부에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통형 관(110)에 체결된다. 이러한, 제2 보빈(214)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second bobbin 214 has an insertion portion which is a space into which the tubular tube 110 is insert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bobbin 214 and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tube 110 . The shape of the second bobbin 21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200)는 제1 보빈(212) 만을 추가 구비하는 제1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보빈(214)과 더불어 제2 보빈(214)을 추가 구비하는 제2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for a manless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a first shape including only a first bobbin 212 and may include a first bobbin 214 and a second bobbin 214 The second shape can be realized.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200)의 제1 형상 및 제2 형상의 구현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first shape and the second shap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for a UAV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200)의 제1 형상의 구현 방법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implementing the first shap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for a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한 쌍의 제1 보빈(212) 중 어느 하나의 보빈(이하, 상부 보빈으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을 통형 관(110)에 끼워 통형 관(110)의 상부에 나사 삽입 홀(114)이 위치하는 지점에 고정하고, 지지볼트(220)를 이용하여 서로 간 이탈 없이 단단하게 체결한다.A bo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upper bobbin) of a pair of first bobbins 212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tube 110 and a screw insertion hole 114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ubular tube 110 And fastened tightly to each other using the support bolts 220 without detaching them.

상부 보빈이 체결된 지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집전 코일용 홀 예컨대, 상부 보빈의 하부에 위치하는 집전 코일용 홀을 통해 집전 코일(120)을 외부로 인출하고, 인출된 집전 코일(120)을 통형 관(110)의 외측면에 권취한다.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for the current collecting coil located adjacent to the point where the upper bobbin is fastened, for example, the hole for the current collecting coil located below the upper bobbin, And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110.

집전 코일(120)의 권취가 완료되면, 권취가 완료된 집전 코일(120)을 집전 코일용 홀을 경유하여 통형 관(11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이때, 집전 코일(120)이 인입되는 집전 코일용 홀은 최초에 집전 코일(120)이 인출된 집전 코일용 홀일 수도 있으며, 집전 코일(120)의 권취가 완료된 지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집전 코일용 홀일 수도 있다.When the winding of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is completed,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having been wound is drawn into the tubular tube 110 via the current collecting coil hole. At this time, the hole for the current-collecting coil into which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is inserted may be a hole for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from which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is initially drawn. Alternatively, Hole.

한 쌍의 제1 보빈(212) 중 나머지 제1 보빈(이하, 하부 보빈으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을 통형 관(110)에 끼워 통형 관(110)의 하부에 나사 삽입 홀(=집전 코일(120)의 권취가 완료된 지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나사 삽입 홀)의 위치 지점에 고정하고, 지지볼트(220)를 이용하여 서로 간 이탈 없이 체결함으로써 집전 코일(120)이 흔들림 없이 통형 관(11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other first bobb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wer bobbin) of the pair of first bobbins 212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tube 110, and a screw insertion hole (= (A screw insertion hole located adjacent to a point at which the winding of the coil 120 is completed) and fastened without using a support bolt 220 so that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is wound around the cylindrical tube 110 ).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200)의 제2 형상의 구현 방법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implementing the second shap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now be described.

한 쌍의 제1 보빈(212) 중 상부 보빈을 통형 관(110)에 끼워 통형 관(110)의 상부에 나사 삽입 홀(114)이 위치하는 지점에 고정하고, 지지볼트(220)를 이용하여 서로 간 이탈 없이 단단하게 체결한다.The upper bobbin of the pair of first bobbins 212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pipe 110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ubular pipe 110 at a position where the screw insertion hole 114 is located, Tightly fasten without leaving each other.

상부 보빈이 체결된 지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집전 코일용 홀 예컨대, 상부 보빈의 하부에 위치하는 집전 코일용 홀을 통해 집전 코일(120)을 외부로 인출하고, 인출된 집전 코일(120)을 통형 관(110)의 외측면에 권취한다.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for the current collecting coil located adjacent to the point where the upper bobbin is fastened, for example, the hole for the current collecting coil located below the upper bobbin, And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110.

코일 한층 즉, 집전 코일(120)의 권취부(124)의 제1 단위 모듈이 완성되면 그 하부에 제2 보빈(214)을 끼워 고정하고, 다음 층에 집전 코일(120)을 이어 감어 집전 코일(120)의 권취부(124)의 제2 단위 모듈을 완성한다. 이때, 단위 모듈을 구성하는 각 집전 코일(120)의 권취부(124)의 개수는 급전 장치에 구비된 급전 코일의 단위 모듈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When the first unit module of the winding unit 124 of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is completed, the second bobbin 214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unit module, and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is wound around the next layer, The second unit module of the winding unit 124 of the first unit 120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number of winding portions 124 of each current-collecting coil 120 constituting the unit modul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unit modules of the power-feeding coil provided in the power-feeding device.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다가, 집전 코일(120)의 권취가 완료되면, 권취가 완료된 집전 코일(120)을 집전 코일용 홀을 경유하여 통형 관(11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마찬가지로, 집전 코일(120)이 인입되는 집전 코일용 홀은 최초에 집전 코일(120)이 인출된 집전 코일용 홀일 수도 있으며, 집전 코일(120)의 권취가 완료된 지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집전 코일용 홀일 수도 있다.When the winding of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is completed,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having been wound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tube 110 via the current collecting coil hole. Similarly, the hole for the current-collecting coil into which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is inserted may be a hole for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from which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is initially drawn. Alternatively, Hole.

한 쌍의 제1 보빈(212) 중 하부 보빈을 통형 관(110)에 끼워 통형 관(110)의 하부에 나사 삽입 홀(=집전 코일(120)의 권취가 완료된 지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나사 삽입 홀)의 위치 지점에 고정하고, 지지볼트(220)를 이용하여 서로 간 이탈 없이 체결함으로써 집전 코일(120)이 흔들림 없이 통형 관(11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bobbin of the pair of first bobbins 212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tube 110 and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ular tube 110 through a screw insertion hole (= a screw insertion position adjacent to the point where the winding of the current- Holes and fastened with support bolts 220 without mutual separation so that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can be fixed on the tubular tube 110 without shaking.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의 제2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 bobbi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3에 도시하듯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의 제2 보빈(214)은 통형 관(110)을 둘러싸는 고리형상 예컨대, 디스크형으로 이루어진다. 제2 보빈(214)은 제2 보빈(214)의 중앙부에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부(300)를 구비하며, 구비된 삽입부(300)에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통형 관(110)에 체결된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bobbin 214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urant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n annular shape, for example, a disk shape surrounding the tubular tube 110. The second bobbin 214 has an insertion portion 300 which is a space in which the tubular tube 110 is insert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bobbin 214. The tubular tube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ed portion 300, And is fastened to the tubular tube 110 in such a manner that

제2 보빈(214)은 제2 보빈(214)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부(300)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 보빈(214)의 외주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공(310)을 구비한다. 이러한, 중공(310)은 제2 보빈(214)의 경량화를 위해 구비되며, 결과적으로,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200)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운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bobbin 214 has at least one hollow space 310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30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bobbin 214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bbin 214. The hollow 310 is provid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econd bobbin 214. As a result, the entire weigh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reduced, thereby enabling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be more effectively performed.

제2 보빈(214)은 제2 보빈(214)의 외주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집전 코일용 리드홀(32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보빈(214)는 제2 보빈(214)의 외주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집전 코일용 리드홀(320)을 구비하고, 제2 보빈(214)의 상부에 권취된 집전 코일(120)이 집전 코일용 리드홀(320)을 경유하여 제2 보빈(214)의 하부로 리드되도록 함으로써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200)의 부피 상승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econd bobbin 214 may include at least one lead hole 320 for the current collecto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bbin 214. The second bobbin 21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t least one lead hole 320 for the current collector coi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bbin 214 and the current collector coil wound around the second bobbin 214 The lead wire 120 is 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bbin 214 via the lead hole 320 for the current collecting coil, there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schematic view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400)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100, 200)에서 코어(430) 및 이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410, 420)을 추가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400)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장치(100)에서 코어(430) 및 결합 수단(410, 420)을 추가 구비한 형상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였다.Referring to FIG. 4,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400 for a unmanned air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the core 43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400 for the wireless charging device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additionally providing coupling means (410, 420). 4,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400 for a unmanned air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the core 430 and the coupling devices 410 and 420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for the unmanned air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case where it is embodied in an additional shape is exemplified.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400) 내 코어(4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은 제1 결합부(410) 및 제2 결합부(420)를 포함한다.The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core 430 in the RF charging device 400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41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420.

제1 결합부(410)는 통형 관(1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1 결합부(410)는 플라스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경량화를 위해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 결합부(410)는 제1 결합부(410)를 통형 관(110)에 결합 시 제1 결합부(410)의 몸체 중 통형 관(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하여 통형 관(110)에 돌려 끼우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마찬가지로, 통형 관(110) 또한, 통형 관(110)의 내부에 제1 결합부(410)가 위치되는 부분에 나사산이 구비된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41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ular tube 110.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has a hollow shape to reduce weight. When the first coupling part 410 is coupled to the tubular pipe 110, the first coupling part 410 may be threaded into a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coupling part 410 located inside the tubular pipe 110 And is tightened in such a manner as to be turned on the tubular pipe 110 by using the formed threads. Likewise, the tubular pipe 110 is also provided with a threa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0 is located inside the tubular pipe 110.

제2 결합부(420)는 일단이 개구부를 갖고 타단이 제1 결합부(410)에 연결되어 일단 방향으로 코어(430)가 삽입되는 공간인 중공부를 형성한다. 제2 결합부(420)는 중공부를 이용하여 코어(430)를 수용하며, 결합 수단이 통형 관(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경우 통형 관(110)의 내부에 위치된다.The second engaging portion 420 has an opening at one end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410 to form a hollow portion in which the core 430 is inserted in one end direc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0 receives the core 430 using a hollow portion and is positioned inside the tubular tube 110 when the coupling means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ular tube 110.

제2 결합부(420)의 폭 길이는 통형 관(110)의 폭 보다 작고 코어(430)의 폭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idth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ubular tube 110 an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ore 4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코어(430)는 자속 전달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자기물질로서, 제2 결합부(42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통형 관(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형태로 무인 비행체 상에 구비된다.The core 430 is a magnetic material used to increase magnetic flux transmission and is provided on the UAV in a form of being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0 and positioned inside the tubular tube 110.

코어(430)는 그 결합 방식에 따라 폭이나 두께보다 길이를 길게 한 막대 모양의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re 430 is preferably formed in a rod-like sha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or the thickness according to the coupling metho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코어(430)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의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case where the core 430 is not provided.

도 5의 왼쪽 그림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집전 코일(120)을 나타낸 도면이고, 오른쪽 그림은 통형 관(110) 및 통형 관(110)의 외측면에 집전 코일(120)이 권취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5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가 통형 관(110)의 외측면에 권취된 집전 코일(12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보빈(210)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제1 보빈(212) 및 제2 보빈(214)을 추가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right side of FIG. 5 shows the current collector coil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ight side of FIG. 5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urrent collector coil 120 is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tube 110 and the cylindrical tube 110 FIG. 5,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include a plurality of bobbins 210 for fixing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tube 110 However, the first bobbin 212 and the second bobbin 214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6은 코어(430)가 구비된 경우의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case where the core 430 is provided.

도 6의 왼쪽 그림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집전 코일(120) 및 코어(430)를 나타낸 도면이고, 오른쪽 그림은 통형 관(110) 및 통형 관(110)의 외측면에 집전 코일(120)이 권취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코어(430)는 통형 관(110)의 내부에 위치된다. 한편, 도 6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가 통형 관(110)의 외측면에 권취된 집전 코일(12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보빈(210)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제1 보빈(212) 및 제2 보빈(214)을 추가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코어(430)를 통형 관(110)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 수단(212, 214)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질적으로는 통형 관(110)의 하부에 체결 수단이 장착되고, 이를 통해, 코어(430)가 통형 관(110)의 내부에 위치된다.6 shows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and the core 4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drawing on the right side shows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tube 110 and the tubular tube 110 And Fig. At this time, the core 430 is positioned inside the tubular tube 110.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bobbins 210 for fixing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tube 110 are not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UAV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the first bobbin 212 and the second bobbin 214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lthough the fastening means 212 and 214 for fastening the core 430 to the tubular pipe 110 are not shown in FIG. 6, the fastening means is mounted substantially under the tubular pipe 110, , The core 430 is positioned inside the tubular tube 110.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에 구비되는 코어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re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에 구비되는 코어는 그 결합 방식에 따라 폭이나 두께보다 길이를 길게 한 막대 모양의 형상으로 구현되어 통형 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무인 비행체 상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다른 형태로 구현되어 통형 관(110)의 외부에 체결되는 형태로 무인 비행체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cor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width and the thickness according to the coupling type and inserted into the tubular pipe 110, But may be provid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form of being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tubular pipe 110 by being embodied in another form.

도 7 (a)를 참조하면,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에 구비되는 코어(700)의 다른 형태는 판형의 직사각 코어부재를 복수 개 겹쳐서 만들되, 코어(700)의 중앙 부분에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부를 구비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코어(700)는 구비된 삽입부에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통형 관(110)의 외부에 체결된다.7 (a), another type of core 700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unmanned aerial vehicle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rectangular core members, and a cylindrical tube 110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re 700, And an insertion portion which is a space to be inserted. That is, the core 700 is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tubular pipe 110 in such a manner that the tubular pipe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ed portion.

한편, 코어(700)가 구비된 무선충전 장치의 경우 코어가 구비되지 않은 무선충전장치 대비 집전 코일(120) 내부 공간의 자기저항은 감소하며, 동일한 외부 자속 환경 대비 더 많은 양의 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코어가 통형 관(110)의 외부에 구비되는 무선충전 장치의 경우 코어가 통형 관(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무선충전 장치 대비 턴 당 높은 유도 기전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곧,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가 더욱 소형화 및 경량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rovided with the core 700, the magnetoresistanc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is reduced compar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not provided with the core, and a larger amount of magnetic field . Also, in the cas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 which the core is provided outside the tubular pipe 110, a high induced electromotive force per turn can be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which the core is provided inside the tubular pipe 110,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ize and weigh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an be further reduced.

도 7의 (a)에서는 코어(700)가 판형의 직사각 코어부재를 복수 개 겹쳐서 만들어짐에 따라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코어(700)는 통형 관(110)의 외부에 체결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구현 가능하다. 한편, 코어(700)의 상면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상면 투시도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집전 코일(120)이 권취될 수 있다.In FIG. 7 (a), the core 700 has a quadrangular shape as a plurality of plate-shaped rectangular core members are stack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re 700 can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is fastenable to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tube 110.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collector coil 120 can be wou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700 as shown in the top view of FIG. 7 (b).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8에서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8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였으며, 통형 관(110)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코어(700)가 구비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다.8 is a schematic view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800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core 700 is provided outside the tubular tube 110 .

도 8에 도시하듯이,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800)는 통형 관(110), 집전 코일(120), 코어(700) 및 한 쌍의 제 1 보빈(212)을 포함한다.8, a wireless charging device 800 for a UAV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cylindrical tube 110, a collector coil 120, a core 700, and a pair of first bobbins 212 .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800)의 통형 관(110) 및 집전 코일(12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100)의 통형 관(110) 및 집전 코일(120)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800)의 경우 집전 코일(120)의 권취부(124)가 코어(700)의 상면에 권취된다.The tubular pipe 110 and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800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re similar to those of the tubular pipe 11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are implement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800 for a UAV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winding portion 124 of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is wou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700.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800)에 구비되는 코어(700)는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코어(700)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코어(700)는 판형의 직사각 코어부재를 복수 개 겹쳐서 만들되, 코어(700)의 중앙 부분에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부를 구비하는 형상을 갖는다. 코어(700)는 코어(700)에 구비된 삽입부에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통형 관(110)에 체결된다.The core 700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800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be preferably the core 700 shown in FIG. That is, the core 700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haped rectangular core members are stacked, and has an insertion portion which is a space into which the tubular tube 110 is inser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re 700. The core 700 is fastened to the tubular tube 110 in such a manner that the tubular tube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provided in the core 700.

제1 보빈(212)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200)의 제1 보빈(212)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되되, 통형 관(110)에 적어도 한 쌍 이상 체결되어 통형 관(110)에 체결된 코어(700) 및 코어(700)에 권취된 권취부(124)가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한 쌍의 제1 보빈(212) 중 어느 하나의 보빈(이하, 상부 보빈으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은 통형 관(110) 내 코어(700)가 위치하는 지점의 상부에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보빈(이하, 하부 보빈으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은 통형 관(110) 내 코어(700)가 위치하는 지점의 하부에 체결되어 통형 관(110)에 체결된 코어(700) 및 코어(700)에 권취된 권취부(124)가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bobbin 212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bobbin 212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t least one pair of the bobbins 212 are connected to the tubular tube 110, The core 700 fastened to the core 110 and the winding unit 124 wound around the core 700 are fixed without shaking. For example, a bobb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upper bobbin) of a pair of first bobbins 212 is fastened to an upper portion of a position in the tubular tube 110 where the core 700 is located, The other bobb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wer bobbin) will be described as a core 700 that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ular tube 110 at a position where the core 700 is located and fastened to the tubular tube 110, The winding unit 124 wound around the core 700 can be fixed without shaking.

제1 보빈(212)은 제1 보빈(212)의 중앙부에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부를 구비하며, 구비된 삽입부에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통형 관(110)에 체결된다.The first bobbin 212 has an insertion portion which is a space into which the tubular tube 110 is inser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bobbin 212 and the tubular tube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

이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800)의 구현 방법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800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한 쌍의 제1 보빈(212) 중 상부 보빈을 통형 관(110)에 끼워 통형 관(110)의 상부에 나사 삽입 홀(114)이 위치하는 지점에 고정하고, 지지볼트(220)를 이용하여 서로 간 이탈 없이 단단하게 체결한다.The upper bobbin of the pair of first bobbins 212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pipe 110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ubular pipe 110 at a position where the screw insertion hole 114 is located, Tightly fasten without leaving each other.

상부 보빈이 체결된 지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집전 코일용 홀 예컨대, 상부 보빈의 하부에 위치하는 집전 코일용 홀을 통해 집전 코일(120)을 외부로 인출한다.The current collector coil 120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for the current collector coil located adjacent to the point where the upper bobbin is fastened, for example, the hole for the current collector coil located below the upper bobbin.

상부 보빈이 체결된 지점의 하부에 코어(700)를 끼워 고정하고, 코어(700)의 상면에 외부로 인출된 집전 코일(120)을 권취한다.The core 70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bbin at which the upper bobbin is fastened, and the current collector coil 120 drawn out to the outside is wou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700.

집전 코일(120)의 권취가 완료되면, 권취가 완료된 집전 코일(120)을 집전 코일용 홀을 경유하여 통형 관(11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이때, 집전 코일(120)이 인입되는 집전 코일용 홀은 최초에 집전 코일(120)이 인출된 집전 코일용 홀일 수도 있으며, 통형 관(110)에 체결된 코어(700)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집전 코일용 홀일 수도 있다.When the winding of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is completed, the current collecting coil 120 having been wound is drawn into the tubular tube 110 via the current collecting coil hole. At this time, the hole for the current-collecting coil into which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is inserted may be a hole for the current-collecting coil from which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is initially drawn, It may be a coil hole.

한 쌍의 제1 보빈(212) 중 하부 보빈을 통형 관(110)에 끼워 통형 관(110)의 하부에 나사 삽입 홀(=통형 관(110)에 체결된 코어(700)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나사 삽입 홀)의 위치 지점에 고정하고, 지지볼트(220)를 이용하여 서로 간 이탈 없이 체결함으로써 집전 코일(120)이 흔들림 없이 통형 관(11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bobbin of the pair of first bobbins 212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tube 110 and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ular tube 110 through a screw insertion hole (= a core 700 fastened to the tubular tube 110 Screw inserting holes) and fastened to each other without using a support bolt 220 so that the current-collecting coil 120 can be fixed on the tubular tube 110 without shaking.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의 코어 및 제1 보빈이 하나의 장치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FIG. 9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core and the first bobbi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re implemented as one device.

도 9의 (a)에 도시하듯이,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의 코어(700) 및 제1 보빈(212)은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어 통형 관(110)에 각각 체결될 수도 있지만 서로 조립된 형상의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어 통형 관(110)에 동시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800)의 구현을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일일이 조립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FIG. 9A, the core 700 and the first bobbin 212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re implemented as separate devices, and are connected to the tubular pipe 110 But they may be implemented as one device having an assembled shape and may be simultaneously fastened to the tubular tube 110.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assembling each component individually for realiz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800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도 9의 (b)에 도시하듯이, 하나의 장치로 구현된 코어(700) 및 제1 보빈(212)은 외부에 코어(700) 및 제1 보빈(212)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코어(700) 및 제1 보빈(212) 간의 조립의 해체를 방지하는 패킹 수단(900)을 추가로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9 (b), the core 700 and the first bobbin 212, which are embodied as a single device, are provided to surround the core 700 and the first bobbin 212 on the outside, 700) and the first bobbin (212) to prevent disassembly of the assembly between the first bobbin (700) and the first bobbin (212).

한편, 도 9에서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의 코어(700)와 제1 보빈(212)의 상부 보빈만이 하나의 장치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보빈(212)의 하부 보빈 또한 코어(700) 및 제1 보빈(212)의 상부 보빈과 함께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9, only the upper bobbin of the core 70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the upper bobbin of the first bobbin 212 are embodied as one device. However, And the lower bobbin of the first bobbin 212 may also be implemented as one device together with the upper bobbin of the core 700 and the first bobbin 212.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에 구비되는 제1 보빈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other form of the first bobbin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0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에 구비되는 제1 보빈(1000)은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삽입 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1000a, 1000b)로 이루어진다.10, the first bobbin 1000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UAV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fastener 1000a, 1000b form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tubular tube 110 is inserted ).

체결구(1000a, 1000b)는 서로 간 결합하여 삽입 홀을 규정하며, 해당 삽입 홀에 통형 관(110)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통형 관(110)에 체결된다.The fasteners 1000a and 1000b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define an insertion hole and fastened to the tubular pipe 110 in such a manner that the tubular pipe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체결구(1000a, 1000b)는 대칭형으로 중앙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양단에는 결합 홀을 구비한다. 즉, 각각의 체결구(1000a, 1000b)는 결합 홀을 통해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서로 간 견고히 결합되며, 이때, 오목부가 서로 대항하여 삽입 홀을 규정하게 된다. 한편, 오목부의 반경은 통형 관(110)의 반경보다 약간 작게 만듦으로써 나사가 조여졌을 때 통형 관(1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fasteners 1000a and 1000b are symmetrically provided with a central concave portion and have engagement holes at both ends thereof. That is, the fasteners 1000a and 1000b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s 1000a and 1000b define the insertion holes against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radius of the concave portion is made slightly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tubular tube 110, so that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tubular tube 110 when the screw is tightened.

이러한, 제1 보빈(1000)을 이용하는 경우 통형 관(110)에 나사를 박아 넣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first bobbin 1000 is used, it is not necessary to insert a screw into the tubular tube 110.

도 10에서는 체결구(1000a, 1000b)가 대략 반원형의 디스크, 체결구(1000a, 1000b)에 구비된 오목부가 반원형,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 홀이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간 결합되어 통형 관(110)의 삽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구현 가능하다.In FIG. 10, it is exemplified that the fastening tools 1000a and 1000b have a semicircular shape in the concave portion provided in the disk, the fastening holes 1000a and 1000b in the approximately semicircular shape, and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in the circular shape. But any form can be implemented as long as it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pace for insertion of the tubular tube 110.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400, 800: 무인 비행체용 무선 충전장치
110: 통형 관 112: 집전 코일용 홀
114: 나사 삽입 홀 120: 집전 코일
122: 제1 연결부 124: 권취부
126: 제2 연결부 210: 보빈
212, 1000: 제1 보빈 214: 제2 보빈
220: 지지볼트 410: 제1 결합부
420: 제2 결합부 430, 700: 코어
900: 패킹수단
100, 200, 400, 800: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110: Tubular tube 112: Collecting coil hole
114: screw insertion hole 120: current collecting coil
122: first connection part 124:
126: second connection part 210: bobbin
212, 1000: first bobbin 214: second bobbin
220: support bolt 410: first coupling part
420: second coupling portion 430, 700: core
900: Packing means

Claims (3)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집전 코일용 홀을 포함하는 통형 관; 및
제1 연결부, 권취부 및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권취부의 일단에 상기 제1 연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권취부의 타단에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되되,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통형 관의 내부로부터 상기 집전 코일용 홀을 경유하여 상기 통형 관의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통형 관의 외측면에 권취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집전 코일용 홀을 경유하여 상기 통형 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집전 코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unmanned aerial vehicle,
A tubular tube including at least one hole for the current-collecting coil; And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nding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art,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winding part, The winding portion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tube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tube through the hole for the current collector coil, A current-collecting coi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harg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는,
상기 통형 관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통형 관에 권취된 상기 권취부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보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보빈 중 양끝단에 위치하는 보빈 및 상기 양끝단에 위치하는 보빈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통형 관에 각각 서로 간의 체결을 보조하기 위한 지지볼트가 삽입되는 나사 삽입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ir vehicle,
And a plurality of bobbins formed to receive the tubular tube and fixed to the winding unit wound on the tubular tube, wherein a plurality of bobbin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bobbins and a bobbin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bobbins Wherein the tubular pipe is provided with a screw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upport bolt for assisting fastening of the tubular pipe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는,
상기 통형 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일단이 개구부를 갖고 타단이 상기 제1 결합부에 연결되어 상기 일단 방향으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코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용 무선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unmanned air vehicle,
A firs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tubular tube;
A second engaging portion having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to form a hollow portion in the one end direction; And
The cor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er.
KR1020150145136A 2015-10-19 2015-10-19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Unmaned Aerial Vehicle KR1024572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136A KR102457200B1 (en) 2015-10-19 2015-10-19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Unmaned Aeria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136A KR102457200B1 (en) 2015-10-19 2015-10-19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Unmaned Aerial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761A true KR20170045761A (en) 2017-04-28
KR102457200B1 KR102457200B1 (en) 2022-10-21

Family

ID=5870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136A KR102457200B1 (en) 2015-10-19 2015-10-19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Unmaned Aerial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20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8987A (en) * 2012-10-01 2014-04-21 Olympus Corp Medical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CN204279932U (en) * 2014-10-28 2015-04-22 深圳九星智能航空科技有限公司 Bottom is provided with the unmanned vehicle of wireless charging current-collecting device
JP2015517297A (en) * 2013-04-26 2015-06-1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8987A (en) * 2012-10-01 2014-04-21 Olympus Corp Medical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JP2015517297A (en) * 2013-04-26 2015-06-1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CN204279932U (en) * 2014-10-28 2015-04-22 深圳九星智能航空科技有限公司 Bottom is provided with the unmanned vehicle of wireless charging current-collec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200B1 (en)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6203B1 (en) Unmanned aerial vehicles, charging systems for the same and methods of charging the same
JP6518392B1 (en) Flight control system and flight planning method
CN107108031A (en) Hovering flight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JP2017206238A (en) Aircraft wing shift device
KR20180022260A (en) Three-phase AC power wirelessly-chargabl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ree-phase AC power wirelessly-charging apparatus for the same
CN112510847B (en) Lightweight common-type solenoid type coupling mechanism for wireless charging of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689768B1 (en) Delivery device,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charging system
US10778024B2 (en)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with multiple energy and power densities
US10703475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CN112510848B (en) A lightweight quadrature solenoid magnetic coupling mechanis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wireless charging
WO2021073232A1 (en) Wirelessly charged line inspection unmanned aerial vehicle,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EP3369658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N108327926B (en) Modular spacecraft capable of on-orbit allosteric
CN109890698B (en) Airship structure and method with strap structure fixed around hull
KR101867424B1 (en) 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for drones airborne
KR101689264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harging system of the same and method of charging the same
US20170179768A1 (en) Portable charging system and hybrid battery
CN109435712A (en) The magnetic coupling arrangement and system of unmanned plane wireless charging
WO2019135272A1 (en) Flight control system and flight plan creation method
CN106081062B (en) solar energy unmanned plane
NO346469B1 (en) A docking port, a landing gear and a system for docking and charg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70045761A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Unmaned Aerial Vehicle
KR102077470B1 (en) Hybrid Dron and It's control methods
CN110729820A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achine carries wireless receiving element, for its wireless anti skew coupling coil who charges thereof
RU165925U1 (en) DEVICE FOR CONTACTLESS POWER TAKE-OFF FROM HIGH VOLTAGE ELECTRIC TRANSMISSION LINES ON AIR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