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010A - 횡단 버클을 갖춘 클램핑 칼라 - Google Patents

횡단 버클을 갖춘 클램핑 칼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010A
KR20170024010A KR1020177002029A KR20177002029A KR20170024010A KR 20170024010 A KR20170024010 A KR 20170024010A KR 1020177002029 A KR1020177002029 A KR 1020177002029A KR 20177002029 A KR20177002029 A KR 20177002029A KR 20170024010 A KR20170024010 A KR 20170024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buckle
collar
transvers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545B1 (ko
Inventor
파브리스 쁘레보
니꼴라 리골레
줄리앙 보베
캉텡 에스페레
Original Assignee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filed Critical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ublication of KR20170024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02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06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separate securing members, e.g. by deformation thereof
    • B65D63/08Joints using buckles, wedges, or like locking members attached to the ends of th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0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deforming the overlapping ends of the strip or band
    • B65B13/305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applying separate securing members, e.g. deformable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having a cross-section of varying shape, e.g. circular merging into square or rectang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59Separate connections
    • Y10T24/1461One piece
    • Y10T24/1463Sheet metal
    • Y10T24/1465Buckle band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ck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클램핑 칼라는, 둥글게 말린 금속 스트랩(10)과, 상기 스트랩의 제1 단부에 유지되고, 상기 제1 단부의 외측에서, 스트랩의 제2 단부(10B)가 제1 단부 위에서 삽입될 수 있는 통로(13)를 형성하는 횡단 버클(12)을 포함하며, 칼라의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단부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방식으로 삽입되는 스트랩의 제2 단부는, 스트랩의 제1 단부(10A) 및 횡단 버클(12)을 포함하는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작용하도록 각인될 수 있다. 상기 버클(12)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외측 탭부(20, 22)를 가지며, 상기 외측 탭부는 아래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머리부를 갖는 스템부를 갖춘 후크의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횡단 버클을 갖춘 클램핑 칼라 {BAND CLAMP COMPRISING A THROUGH-HOOP}
본 발명은, 둥글게 말린 금속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의 제1 단부에 유지되고, 상기 제1 단부의 외측에서, 스트랩의 제2 단부가 제1 단부 위에서 삽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횡단 버클을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로서, 칼라의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단부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방식으로 삽입되는 스트랩의 제2 단부가, 스트랩의 제1 단부 및 횡단 버클을 포함하는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작용하도록 각인될 수 있는 클램핑 칼라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타입의 칼라는, 예를 들어, 유럽특허 EP 1 775 220 호, 미국특허 US 5 566 726 호, 및 미국특허 US 7 373 695 호에 공지되어 있다. 물품 주위에서 칼라를 조이기 위해서, 스트랩은 물품 주위에 감기고, 스트랩의 제2 단부는 버클 내의 통로를 통하여 삽입되고, 칼라의 직경이 감소하게 되는 방식으로 제2 단부에 견인력이 가해지고, 버클에 대항하여 및/또는 제1 단부에 대항하여 제2 단부가 유지되도록 제2 단부를 각인한다. 일반적으로, 각인 도중에, 또는 그 직후에, 제2 단부는 버클의 부근에서 절취된다.
이러한 작업들은, 칼라에 의해 클램핑될 물품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간단하고 작업이 용이한 도구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양호한 품질의 조임을 위해서는, 도구에 대해 칼라가 적절하게 위치결정되는 것, 그리고 특히, 스트랩의 제2 단부가 각인을 위하여 적절하게 위치결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전술한 특허문헌 EP 1 775 20 호 및 US 5 56 726 호에는, 칼라의 스트립에 대해 부정확하게 위치결정되는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US 7 373 695 호에는, 매우 개략적으로 제공되는, 그리고 버클의 가장자리들이 휴지(rest)되는 기초판(soleplates)을 형성하는 하부 돌기들이 측면에 배치되는 도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것은 기초판 상에 휴지될 수 있는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장자리부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버클이 매우 특수한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도구의 측면은 측방향으로 큰 공간을 필요로 해서, 클램핑될 물품의 주변환경이 도구를 사용하기에 너무 복잡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은, 조임도구에 대해 간단하고 정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는 칼라를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클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외측 탭부(outer tab)를 가지며, 이 외측 탭부는 아래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머리부(head)를 갖는 스템부(stem)를 갖춘 후크의 형상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성취된다.
외측 탭부는 간단하게 그리고 측방향으로 컴팩트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외측 탭부의 머리부 아래에 형성되는 오목부로 인하여, 특히, 조임도구가 조이고자 하는 대상을 보면서 칼라를 위치결정하도록 외측 탭부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칼라의 조임을 위한 조임도구의 일부일 수 있는 위치결정 부재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호작용에 있어서, 후크의 스템부는 칼라의 적절한 측방향 위치결정 (즉, 스트랩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머리부는 양호한 접선방향 위치결정 (즉, 버클을 통과하는 스트랩에 대한 접선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선택함에 따라서는, 후크의 머리부는 스트랩의 길이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자유 가장자리부(free edge)를 갖는다.
따라서 후크는 성취할 수 있는 특히 간단한 형상을 갖는다.
선택함에 따라서는, 통로는 스트랩의 제1 단부의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버클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 벽부에 의해 한정되며, 외측 탭부는 상기 외측 벽부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어긋난다.
따라서 외측 벽부는 규제 벽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 만약, 칼라가 조여지고 있는 동안에, 외측 탭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면, 외측 벽부에 의해 성취되는 규제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외측 탭부는 절취부(cutout)에 의해 외측 벽부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외측 탭부는 제작하기 매우 간단하다. 특히, 외측 탭부 및 전술한 외측 벽부는, 적절하게 절첩된 후, 외측 벽부를 형성하는 제1 부분, 그리고 상이하게 절첩된 후, 외측 탭부를 형성하는 제2 부분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횡으로 절취되어, 동일한 베이스 벽부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선택함에 따라서는, 외측 탭부는 스트랩의 제2 단부의 자유단부로부터 더욱 멀리 있는 버클의 횡단 가장자리부 부근에 위치된다.
따라서, 스트랩의 제2 단부가 절취되는 동안에 외측 탭부는 장애물이나 방해물을 형성하지 않으며, 외측 탭부로부터 더욱 멀리 있는 버클의 횡단 가장자리부 부근에서, 이러한 절취작업은 매우 깔끔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외측 탭부가 장애물이나 방해물을 형성함 없이, 외측 탭부로부터 더욱 멀리 있는 횡단 가장자리부 부근에서 또는 버클의 중심 부근에서, 칼라의 조임을 유지하도록 스트랩의 제2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각인작업은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선택함에 따라서는, 버클은 버클의 2개의 길이방향 측부들 중 각각의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유사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외측 탭부를 가지며, 스트랩의 제2 단부는 상기 외측 탭부의 스템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것은 조임도구에 대한 칼라의 측방향 고정(blocking)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선택함에 있어서는, 칼라는, 버클의 길이방향 측부와 상기 스템부 사이의 연결부 부근에서만 외측 탭부의 스템부 사이에 스트랩의 제2 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이러한 수단은, 칼라가 클램핑될 물품 주위를 폐쇄하는 동안에, 조임을 성취하기 위하여 실제로 기능하는 버클의 일부(예컨대, 규제부분을 한정하는 전술한 외측 벽부)를 통하여 결합됨 없이, 실제로는 스트랩의 제2 단부가 단지 외측 탭부들 사이에서만 결합될 때, 칼라가 정확하게 폐쇄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 수단으로서 공헌한다.
선택함에 따라서는, 외측 탭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외측 탭부 각각은, 스템부와 머리부 사이의 연결부에 내측 리브(inner rib)를 갖는다.
이러한 리브는 2개의 장점을 제공한다. 우선, 이것은 스템부와 머리부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외측 탭부의 강성을 보강하며, 그에 따라 스트랩의 제2 단부를 각인하는 것이 꽤 큰 힘으로 수행되더라도, 칼라가 조임 동안에 적절한 위치결정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크기가 적절하다면, 외측 리브는 전술한 확인 기능을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선택함에 따라서는, 버클은 스트랩의 제1 단부의 내부면에 대항하여 배치되고 스트랩의 제1 단부의 자유단부가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blocking transverse edge)를 가지는 내측부분을 가지며, 상기 내측부분은 상기 제1 단부 내에 형성된 차단 고정부(blocking setback)를 한정하는 스트랩의 제1 단부의 차단 횡단 멈춤부(blocking transverse stop)와 상호작용하며, 칼라의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칼라가 유지되는 각인 상태에 있어서, 스트랩의 제2 단부는 차단 고정부(blocking setback) 내에 수용되며 상기 차단 고정부의 유지 가장자리부(retaining edge)와 접촉하여 상호작용하는 유지 횡단 멈춤부(retaining transverse stop)를 갖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트랩의 제1 단부는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와 차단 횡단 멈춤부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버클에 대해 고정된다. 스트랩의 제2 단부의 각인은 유지 횡단 멈춤부를 형성하며, 상기 유지 횡단 멈춤부는 버클과 상호작용한다고 하기 보다는 오히려, 스트랩의 제1 단부 내에 형성되는 차단 고정부의 유지 횡단 가장자리부와 상호작용한다. 다시 말해서, 칼라는 제2 단부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제1 단부에 의해 조여져 있게 된다. 따라서, 조임 상태에 있어서, 버클은 더 이상 큰 힘을 받지 않으며, 이 힘은 스트랩의 2개의 단부들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칼라의 전체 수명에 걸쳐 조임이 열화될 우려를 제한한다.
비제한적인 예에 의해 나타낸 실시형태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은 잘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장점들은 더욱 명백하게 드러난다.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은, 조이기 전의,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칼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조인 후의, 상기 칼라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횡단 버클 부근의, 도 1 및 2에 도시된 칼라의 스트랩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절단면 IV-IV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칼라가 어떻게 조임도구와 상호작용하는지 나타내는 도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VII 방향을 따라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횡단 버클을 갖는 칼라의 스트랩의 제1 단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부(내측)"라는 용어는 칼라에 의해 한정되는 원의 기하학적인 중심(C)에 더욱 가까워지는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반면, "외부(외측)"라는 용어는 상기 중심(C)으로부터 더욱 멀어지는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게다가, "길이방향"이라는 용어는 스트랩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요소, 즉 스트랩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개져서 둥글게 말려 있을 때, 둥글게 말려 있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횡단"이라는 용어는 상기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요소, 즉 스트랩의 폭을 가로지르는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우선, 둥글게 말린 금속 스트랩(strap)(10)과 이 스트랩의 제1 단부(10A)에 유지되는 횡단 버클(transverse buckle)(12)을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가 도시되어 있는 도 1 및 3을 참조하여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1 및 2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10A)의 외측면 상에서, 버클(12)은 제2 단부(10B)가 삽입되는 통로(13)를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스트랩의 "제1 단부"는 버클과 상호작용하는 제1 단부의 전체 부분을 의미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단부"는 버클과 상호작용하는 제2 단부의 전체 부분이다.
도 3에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12)은 스트랩(10)의 제1 단부(10A)의 내측면에 대항하여 배치되는 내측부분(14)을 갖는다. 외측면 상에서, 버클은 2개의 외측 벽부, 즉 외측 벽부(15A) 및 외측 벽부(15B)를 가지며, 각각의 외측 벽부는 내측부분(14)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edges)들 중 하나로부터 각각 절첩된다. 이들 외측 벽부는 스트랩(10)의 제1 단부(10A)의 외측면 위에 위치되는 혀부(tongues)를 형성한다. 스트랩의 제1 단부(10A)의 외측면과 절첩된 혀부의 내측면들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한정되는 공간은, 통로(13)의 규제부분(restraint segment)을 형성하며, 이 규제부분을 통하여 스트랩의 제2 단부(10B)가 통과할 수 있다. "규제부분"이란, 상기 공간의 반경방향 높이는 스트랩의 제2 단부(10B)가 그것을 통해 삽입될 수 있기에 딱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2 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된다.
특히 도 3 및 4에 있어서, 제1 단부(10A)는 제1 단부에 대해 버클을 차단하도록 공헌하는 차단 고정부(blocking setback)(16)를 가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더욱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차단 고정부(16)는 버클(12)의 내측부분의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blocking transverse edge)(14A)와 상호작용하는 차단 횡단 멈춤부(blocking transverse stop)(16A)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 및 차단 횡단 멈춤부는 직선이며 스트랩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차단 횡단 멈춤부(16A)와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14A) 사이의 상호작용은 스트랩의 제1 단부(10A)가 버클(12)에 대해 F 방향(도 4 참조)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방향으로 그것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수단과 유사한 수단이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버클(12)의 내측부분(14)은, 스트랩의 제1 단부(10A)의 자유단부(10'A) 쪽으로 향하는, 그리고 스트랩의 제1 단부 내의 추가적인 차단 횡단 멈춤부(16'A)와 상호작용하는, 추가적인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14B)를 갖는다. 이러한 추가적인 차단 횡단 멈춤부는 상기 제1 단부 내에 형성되는 추가적인 차단 고정부(16')를 한정한다.
추가적인 차단 횡단 멈춤부(16B) 및 추가적인 차단 고정부(16')는, 버클의 내측부분의 횡단 중심선(L)을 중심으로, 차단 횡단 멈춤부(16A)에 대해 그리고 차단 고정부(16)에 대해 전체적으로 대칭이다. 추가적인 차단 고정부(16')와 추가적인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14B) 사이의 상호작용은 스트랩의 제1 단부(10A)가 버클(12)에 대해 도 4에 표시된 F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칼라가 조임 상태에 있을 때, 통로(13)를 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스트랩의 제2 단부는, 칼라의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지되기 위해서, 스트랩(10)의 제1 단부(10A) 및 횡단 버클(12)을 포함하는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작용하도록 각인된다.
도 1은 제2 단부(10B)가 통로(13)를 통하여 삽입되고 각인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한편, 도 2 및 4는 각인작업이 수행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더욱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의 제2 단부(10B)는 차단 고정부(16) 내에 수용되는 유지 횡단 멈춤부(retaining transverse stop)(11)를 갖는다. 이러한 유지 횡단 멈춤부는 차단 고정부(16)의 유지 가장자리부(17A)와 접촉하여 상호작용한다. 유지 횡단 멈춤부(11)와 유지 가장자리부(17A) 사이의 상호작용은 스트랩의 제2 단부(10B)가 제1 단부(10A)에 대해 도 4의 화살표(F)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칼라가 일단 조여지고 나면, 이러한 상호작용은 칼라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스트랩의 제2 단부(10B)에 대한 각인은, 스트랩의 제2 단부(10B)의 내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유지 고정부(retaining setback)(11')를 형성한다. 유지 횡단 멈춤부(11)는 이 유지 고정부(11')를 한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고정부는 차단 고정부(16) 내에 수용된다.
유지 고정부(11')는 횡단 절취부(cutout)에 의해 형성되며, 유지 횡단 멈춤부(11)는, 유지 고정부(11')의 배후에 위치되는, 그리고 스트랩의 제2 단부의 자유단부(10'B)가 향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절취부의 립부(lip) 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 고정부(16)는, 고정부(16)의 외측면 상에 차단 횡단 멈춤부(16A)를 형성하는, 그리고 고정부의 내측면 상에 유지 가장자리부(17A)를 형성하는 측면들 중 하나를 가지는 디쉬부(dish)를 형성한다. 위에서 정의한 "내부(내측)" 및 "외부(외측)"의 개념과는 달리, 차단 고정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차단 고정부 자체에 대해 한정된다.
도 3에 더욱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14A)는, 버클(12)의 내측부분(14)의 제1 자유단부(12A) 상에 위치하는 자유 가장자리부(free edge)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14A)는 전술한 제1 자유단부(12A) 내의 노치부(notch)(19)의 배후에 형성된다. 차단 고정부(16)는 노치부 내에 수용되는 한편, 슬롯의 양측에 가지부(19A 및 19B)들을 돌출시킴으로써 양측에 배치되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고정부(16)의 내측면은, 노치부의 배후 부근에서, 버클의 내측부분(14)의 내측면의 반경방향 높이와 비슷한 높이로 형성되며, 스트랩의 내측면 내에 돌연한 어깨부(abrupt shoulder)를 형성하지 않도록 노치부(19)의 배후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스트랩의 평면을 점진적으로 따르도록 형성된다.
반대로, 버클(12)의 내측부분의 자유단부(12A)에 위치되는 스트랩의 제1 단부는, 스트랩의 자유단부(10'A)로부터 더욱 멀어지는 상기 어깨부의 측면 상에 위치되는 스트랩의 내측면이 버클(12)의 내측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위치되도록, 내측으로 연장하는 어깨부(23)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어깨부의 높이는, 반경방향으로 측정할 때, 버클의 내측부분(14)의 두께(Eb)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14A)와 같이, 추가적인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14B)는 버클의 자유 가장자리부이지만, 제1 자유단부(12A)로부터 반대되는 버클의 내측부분(14)의 제2 자유단부(12B)에 위치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차단 가장자리부(14B)는 또한 버클의 내측부분(14)의 제2 자유단부(12B) 내의 노치부(19')의 배후에 형성되며, 이 노치부의 양 옆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지부(19'A 및 19'B)들이 배치된다.
버클의 내측부분(14)의 제2 자유단부(12B)에서, 스트랩의 제1 단부(10A)는 측면 돌기(21A, 21B)들을 가짐을 또한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측면 돌기는 스트랩의 제1 단부의 부분적인 펀칭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이러한 펀칭가공은 횡단방향 외측으로 재료를 안내하도록 야기시킨다. 이것들은 버클의 자유단부(12'B)가 상호작용하는 측면 "러그(lugs)"를 형성하며, 그에 따라 이것들은 스트랩의 제1 단부가 버클(12)에 대해 화살표(F)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트랩의 제1 단부를 유지시키기 위해 공헌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화살표(F)의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버클에 대해 스트랩의 제1 단부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전술한 측면 돌기(21A 및 21B)들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14B)와 상호작용하는 추가적인 차단 횡단 멈춤부(16'A)도 사용된다.
이것은 칼라가 조여져 있는 동안에 가해지는 힘에 대한 매우 높은 저항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임 동안에, 최소한의 클램핑 직경을 성취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스트랩의 제2 단부 상에 견인력을 작용시키기 위해서, 조임도구는 버클(12)에 대항하여 가압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버클이 스트랩에 대해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중요하다.
물론, 측면 돌기(21A 및 21B)만으로, 또는 추가적인 차단 횡단 멈춤부(16'A)와 추가적인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14B) 사이의 상호작용만으로, 화살표(F) 방향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유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가능한 다른 방식의 유지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게다가, 조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작용하는 스트랩의 제2 단부에 대한 각인을 위하여, 장점적인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밀도 유지가 성취되고, 버클(12)을 포함하지 않고, 칼라가 조임 상태에 있을 때 스트랩에 가해지는 견인력은 "스트랩-상-스트랩(strap-on-strap)"으로 가해지는 것을 보장하도록 준비가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스트랩의 제2 단부를 유지하는 또 다른 가능한 구성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의 제2 단부(10B)에 대한 각인은 (버클의 내측부분 내의 개구를 사용함으로써) 유럽특허 EP 1 775 220 호에서와 같이, 또는 미국특허 US 7 373 695 호에서와 같이, 또는 프랑스특허 2 542 388 호에서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클(12)은, 아래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머리부를 갖춘, 후크-형상인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외측 탭부(outer tabs)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버클(12)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이러한 타입의 2개의 외측 탭부(20 및 22)를 갖는다. 각각의 외측 탭부는, 스템부(stem)(각각 20A 및 22A)와 머리부(head)(각각 20B 및 22B)로 형성되어서, 오목부(D)가 머리부(20B 및 22B) 아래에 형성되도록 한다(도 4 참조). 이러한 오목부는 통로(13) 부분을 형성하며, 스트랩의 제2 단부(10B)가 후크의 머리부(20B 및 22B) 아래로 통과한다. 그렇지만,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스트랩의 제2 단부(10B)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트랩의 제2 단부를 유지하기 위해 작용하는 것은, 절첩식 혀부(tongues)(15A 및 15B)의 형상을 가지는 통로의 규제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머리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유 가장자리부(20'B, 22'B)를 갖는다. 스템부는, 버클의 양측에서, 내측부분(14)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로부터 시작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연장되며, 스트랩의 제2 단부(10B)는 통로(13)의 규제부분에 접근하기 위하여 스템부 사이를 통과한다.
외측 탭부(20 및 22)는 전술한 외측 벽부(15A 및 15B)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외측 벽부(15A 또는 15B) 및 대응하는 외측 탭부(20A 또는 20B)는, 버클(12)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하고, 횡단 방향에 있어서, 이 가장자리부로부터 측정될 때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외측 탭부는 후크의 스템부(20A)(또는 22A)와 머리부(20B)(또는 22B)를 나누는 길이방향 절첩선(ℓp)을 갖는다. 물론, 외측 탭부(20A 또는 20B)의 길이는, 외측 탭부가 스트랩에 대해 부착되는 곳으로부터 시작하여 외측 탭부의 자유 가장자리부(20'A)(또는 20'B)까지 연장하는 파선을 따라서 스트랩의 횡단 방향으로 상기 외측 탭부를 따라서 측정된다.
외측 벽부(15A)(또는 15B)는 스트랩의 제1 단부(10A)의 외측에 위치되는 길이방향 자유 가장자리부(15'A)(또는 15'B)를 갖는다.
예를 들어, 외측 벽부(15A 또는 15B)가 형성되는 버클(12)의 각각의 혀부는 외측 탭부(20 또는 22)와 초기에는 일체일 수 있으며; 단일의 횡단 절취부는 외측 벽부로부터 외측 탭부를 분리시키고, 상기 외측 벽부는 버클(12)의 내측부분(14)과 평행하게 될 때까지 절첩되는 한편, 외측 탭부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외측부분에 있어서, 버클(12)은 칼라의 축선(Ax)에 수직인 스트랩(10)의 중심평면(IV-IV)에 대하여 대칭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버클의 내측부분(14)도 중심평면(IV-IV)에 대하여 대칭이다.
외측 탭부(20 및 22)는, 칼라를 조이도록 작용하는 조임도구와 어떻게 칼라가 상호작용하는지 도시하는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라 및 칼라를 조이기 위해 사용되는 조임도구가 서로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결정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기능한다.
편의상, 조임도구의 머리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더욱 상세한 것은, 예를 들어, 프랑스 특허 FR 2 542 388 호를 참조할 수 있다.
조임도구는, 칼라의 횡단 버클(12)에 위치되기에 적합한 머리부(32)와, 스트랩(10)의 제2 단부(10B)를 각인하도록 이동하기에 적합한 펀치(33)를 포함한다. 머리부(32)는, 칼라에 대해 조임도구를 위치결정하기 위해서, 칼라의 버클(12)에 형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측 탭부(20, 2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34)을 적어도 구비한다. 하우징은 후크-형상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6에 도시된 조임도구(30)의 일부는 머리부(32)와 펀치(33)를 포함하며, 펀치는, 구동 시스템(M)에 의해, 칼라의 스트랩의 제2 단부(10B)에 각인을 형성하도록, 그리고 유지 멈춤부를 형성하도록, 채널(31) 내측에서 이동한다. 도 5에 있어서, 펀치(33)가 화살표(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각인 운동하는 동안에 칼라의 스트랩과 접촉하는 순간이 도시되어 있다.
칼라는 상기 제2 단부 상에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견인력에 의해 조여지는 한편, 조임도구의 머리부는 버클(12)에 대항하여 지지된다. 일단 요구되는 조임 정도가 성취되면, 펀치(33)는 각인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한다. 펀치(33)의 머리부(33A)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횡단 커팅 스파이크(transverse cutting spike)(33'A)를 가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유지 횡단 멈춤부(11) 및 유지 고정부(11')를 동시에 형성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측면 탭부(20 및 22)는 조임도구 및 칼라를 서로에 대해 위치결정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이것은 펀치가 각인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V)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버클을 위치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 탭부(20 및 22)는 측면 고정부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3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측면 고정부(하우징을 측면 고정부라고도 함)(34) 내로 침투하는 것은 상기 외측 탭부에 의해 형성되는 후크의 머리부(20B 및 22B)이다. 따라서 후크의 머리부의 내부면은 마주하도록 위치되는 측면 고정부(34)의 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어서, 조임도구가 도 6에서 화살표(H)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칼라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2개의 외측 탭부(20 및 22)가 버클(12)의 각각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에, 즉 칼라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의 양쪽에 위치되는 상태로 제공되는 한, 측면 고정부(34)에 대해 (칼라의 중심을 향하여) 내측에 위치되는 조임도구의 머리부의 중심부분(36)은 외측 탭부(20 및 22)에 의해 형성되는 후크의 스템부(20A)와 스템부(22A) 사이에서 고정(blocked)된다. 따라서 조임도구가 폭방향(ℓ)으로 칼라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조임도구의 머리부는 상기 머리부의 측부에 측면 고정부(34)를 폐쇄하는 치크 플레이트(cheek plates)(38)를 가질 수 있어, 외측 탭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이 후크-형상 슬롯의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치크 플레이트(38)는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그것들 중 하나가 일점쇄선으로 묘사되어 있다.
전술한 칼라에 있어서, 버클(12)은, 절취되어 적절한 방식으로 절첩되는 금속 블랭크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버클로 형성되는 바와 같은 이러한 블랭크의 "연결 평면(join plane)"은, 절첩된 혀부(15A)와 혀부(15B) 사이에서, 칼라의 외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혀부의 길이방향 단부(길이방향 자유 가장자리부)(15'A, 15'B)는 폭(E)만큼 떨어져 있다. 우선, 이것은 버클이 형성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칼라에 대해 조임도구를 고정(blocking)시키기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조임도구의 머리부(32)의 중심부분(36)은 혀부(15A)의 자유단부와 혀부(15B)의 자유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수용되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중심 리브(rib)(36A)를 가질 수 있어서, 칼라의 스트랩의 제2 단부(10B)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된다. 역으로, 측면 고정부(34)의 내측에서, 중심 리브(36A)의 양측으로 연장하는 측면돌기들은, 절첩된 혀부(15A 및 15B)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한다.
다시 외측 탭부(20 및 22)를 고려하면, 스템부와 머리부 사이의 연결부분에서, 외측 탭부는 각각 내부 리브(20C 및 22C)를 가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내부 리브의 두께는 머리부를 향해 갈수록 증가한다. 예를 들어, 내부 리브는, 반경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45도만큼 기울어진, 그리고 외측 탭부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거싯(gussets)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리브는, 후크의 머리부 부근에서, 스트랩의 제2 단부(10B)의 폭보다 작은 폭을 내부 리브들 사이에서 형성하도록 한다. 이것은 조작자가 외측 탭부(20)와 외측 탭부(22) 사이에 제2 단부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칼라가 폐쇄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작자가 그와 같이 시도한다면, 전술한 바와 같은 형상의 내부 리브는 제2 단부를 (칼라의 중심(C)을 향하여) 내측으로, 즉 절첩된 혀부(15A 및 15B) 아래의 통로(13)의 규제부분 내로 안내하도록 자연스럽게 작용한다. 다시 말해서, 내부 리브(20C, 22C)는, 스트랩의 제2 단부(10B)가 버클(12)의 길이방향 측부와 상기 스템부 사이의 연결부 부근에서만 외측 탭부의 스템부(20A, 22A)들 사이에 삽입되도록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도 7에 있어서, 이전의 도면에서와 동일한 부재번호들이, 100을 더하여, 대응하는 요소들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측 벽부의 길이방향 자유 가장자리부는 후크를 갖는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 도면에 있어서 스트랩(110)의 제1 단부는, 외측 벽부(115A 및 115B)의 길이방향 자유 가장자리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세워져 있는 후크(151A 및 151B)를 가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도면들에 있어서의 버클(12)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횡단 버클(112)을 가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서클립(circlip)" 타입의 플라이어와 같은 분해도구는 머리부 아래에 제공되는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후크의 아래에 지지됨으로써, 스트랩에 대해 버클을 느슨하게 하도록 분해도구가 외측 벽부(115A 및 115B)를 이격시킬 수 있도록 기능한다.
보다 명확한 도시를 위해서, 도 7은, 제1 단부의 외측에서, 버클(112)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스트랩의 제2 단부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개방 상태에 있는 칼라를 도시한다. 제2 단부는, 상기 통로를 통하여 결합될 때, 외측 탭부(120 및 122) 아래에 그리고 외측 벽부(115A, 115B) 아래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후크(151A 및 151B) 아래에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칼라가 폐쇄되어 조여질 때, 버클을 분해함으로써 그것을 분해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후크(151A, 151B) 아래에 삽입되는, 예컨대 플라이어 타입의 도구는, 스트랩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후크를 이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외측 벽부(115A 및 115B)를 개방시킬 수 있다. 표시된 바와 같이, 외측 탭부(120 및 122)는 절취부에 의해 상기 외측 벽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멀리 이격되는 외측 벽부(115A 및 115B)는 스트랩의 제2 단부의 외측면 상에서 제위치에 유지되는 외측 탭부의 위치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외측 탭부의 머리부 아래에 형성되는 고정부(setback)는 이전의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외측 벽부(115A 및 115B)가 멀리 이격되면, 스트랩의 제2 단부는 외측 탭부의 머리부 아래에 유지되어 그것에 대항하여 위치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버클이 느슨해지게 되더라도, 제2 단부는 스트랩 상에 일시적으로 유지된다. 이것은 버클이 스트랩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해되자마자 칼라가 바닥이나 땅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스트랩을 양호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스트랩의 제2 단부를 슬라이딩 시키는 것으로 충분하고, 그에 따라 버클을 유지하면서 칼라를 개방시키게 한다.
후크(151A 및 151B)는 외측 탭부(120 및 122)보다 큰 범위까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며, 외측 탭부 사이의 공간에 비해 후크 사이의 공간이 작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차이점은, 조임 도구에 대해 칼라를 위치결정하기 위해 후크를 사용하려 하는 것을 방지하고, 버클을 분해하기 위해 외측 탭부에 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확인 효과(indexing effect)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8)

  1. 둥글게 말린 금속 스트랩(10)과, 상기 스트랩의 제1 단부(10A)에 유지되고, 상기 제1 단부의 외측에서, 상기 스트랩의 제2 단부(10B)가 제1 단부 위에서 삽입될 수 있는 통로(13)를 형성하는 횡단 버클(12)을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로서,
    칼라의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단부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방식으로 삽입되는 스트랩의 제2 단부가, 스트랩의 제1 단부(10A) 및 횡단 버클(12)을 포함하는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작용하도록 각인될 수 있는 클램핑 칼라에 있어서,
    상기 버클(12)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외측 탭부(20, 22)를 가지며, 상기 외측 탭부는 아래에 오목부(D)가 형성되는 머리부(20B, 22B)를 갖는 스템부(20A, 22A)를 갖춘 후크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후크의 머리부(20B, 22B)는 스트랩의 길이를 통하여 연장되는 자유 가장자리부(20'B, 22'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통로(13)는 스트랩의 제1 단부(10A)의 외측면 위에 위치되는 버클(12)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 벽부(15A, 15B)에 의해 한정되는 규제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탭부(20, 22)는 상기 외측 벽부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측 탭부는 절취부에 의해 외측 벽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측 벽부(15A, 15B) 및 상기 외측 탭부(20, 22)는, 버클(12)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고, 횡단 방향에 있어서, 이 가장자리부로부터 측정될 때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외측 탭부는 후크의 스템부(20A, 22A)와 머리부(20B, 22B)를 나누는 길이방향 절첩선(ℓp)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6.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벽부(15A, 15B)는, 스트랩(10)의 제1 단부(10A)의 외측에 위치되는 길이방향 자유 가장자리부(15'A, 15'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측 벽부(115A, 115B)의 길이방향 자유 가장자리부는 후크(151A, 151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탭부는, 스트랩의 제2 단부의 자유단부로부터 더욱 멀리 있는 버클의 횡단 가장자리부 부근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버클(12)의 2개의 길이방향 측부의 각각으로부터 연장하고 서로 유사한 2개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외측 탭부(20, 22)를 가지며, 스트랩(10)의 제2 단부(10B)는 상기 외측 탭부의 스템부(20A, 22A)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칼라는, 버클(12)의 길이방향 측부와 상기 스템부 사이의 연결부 부근에서 스트랩(10)의 제2 단부(10B)가 외측 탭부(20)의 스템부(20A)와 외측 탭부(22)의 스템부(22A)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20C, 22C)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측 탭부(20, 22) 및 바람직하게는 2개의 외측 탭부 각각은, 스템부(20A, 22A)와 머리부(20B, 22B) 사이의 연결부에서 내부 리브(20C, 22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클(12)은, 적어도 외측부분에서, 칼라의 축선(Ax)에 수직인 스트랩(10)의 중심평면(IV-IV)에 대하여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12)은 스트랩(10)의 제1 단부(10A)의 내부면에 대항하여 배치되고 스트랩의 제1 단부의 자유단부(10'A)가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14A)를 가지는 내측부분(14)을 가지며, 상기 내측부분은 상기 제1 단부 내에 형성된 차단 고정부(16)를 한정하는 스트랩(10)의 제1 단부(10A)의 차단 횡단 멈춤부(16A)와 상호작용하며,
    칼라의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칼라가 유지되는 각인 상태에 있어서, 스트랩(10)의 제2 단부(10B)는 차단 고정부(16) 내에 수용되며 상기 차단 고정부(16)의 유지 가장자리부(17A)와 접촉하여 상호작용하는 유지 횡단 멈춤부(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14A)는, 버클(12)의 내측부분(14)의 제1 자유단부(12A)에 위치되는 자유 가장자리부이며, 버클의 내측부분의 제1 자유단부 내의 노치부(19)의 배후에 장점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5. 청구항 13 또는 14에 있어서,
    스트랩의 제2 단부(10B)에 대한 각인은 횡단 절취부에 의해 한정되는 유지 고정부(11')를 형성하며, 상기 유지 횡단 멈춤부(11)는 유지 고정부(11')의 배후에 위치되는 상기 횡단 절취부의 립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6. 청구항 13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12)의 내측부분(14)은, 스트랩의 제1 단부(10A)의 자유단부(10'A) 쪽으로 향하는, 그리고 상기 제1 단부 내에 형성된 추가적인 차단 고정부(16')를 한정하는 스트랩의 제1 단부(10A)의 추가적인 차단 횡단 멈춤부(16'A)와 상호작용하는, 추가적인 차단 횡단 가장자리부(14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7.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램핑 칼라를 조이기 위한 조임도구로서,
    상기 조임도구는, 칼라의 횡단 버클(12) 상에 위치결정될 수 있는 머리부(32)와, 스트랩(10)의 제2 단부(10B)를 각인하도록 이동할 수 있는 펀치(33)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도구는, 칼라에 대해 조임도구를 위치결정하기 위해서, 칼라의 버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외측 탭부(20, 2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3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도구.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4)은 후크-형상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도구.
KR1020177002029A 2014-06-23 2015-06-22 횡단 버클을 갖춘 클램핑 칼라 KR102412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5795 2014-06-23
FR1455795A FR3022531B1 (fr) 2014-06-23 2014-06-23 Collier de serrage a boucle transversale
PCT/FR2015/051646 WO2015197961A1 (fr) 2014-06-23 2015-06-22 Collier de serrage a boucle transversa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010A true KR20170024010A (ko) 2017-03-06
KR102412545B1 KR102412545B1 (ko) 2022-06-23

Family

ID=5148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029A KR102412545B1 (ko) 2014-06-23 2015-06-22 횡단 버클을 갖춘 클램핑 칼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399754B2 (ko)
EP (1) EP3157837B1 (ko)
JP (1) JP6709739B2 (ko)
KR (1) KR102412545B1 (ko)
CN (1) CN106458400B (ko)
BR (1) BR112016030158B1 (ko)
ES (1) ES2683874T3 (ko)
FR (1) FR3022531B1 (ko)
RU (1) RU2678387C2 (ko)
WO (1) WO20151979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901A (ko) 2019-08-26 2021-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결속 밴드 체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54644A1 (en) 2017-08-03 2021-08-19 Tidi Products, Llc Integrated Belt and Sensor for Alarm for Patient Furniture
CN111278391B (zh) * 2017-08-03 2022-10-28 Tidi制品公司 预测型双释放警报条带
TWI633040B (zh) * 2017-09-26 2018-08-21 煌群工程有限公司 安全鋼扣結構
KR101899457B1 (ko) 2018-02-05 2018-09-17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접철식 헤드가 구비된 케이블 타이
FR3101127B1 (fr) * 2019-09-23 2021-10-01 Caillau Collier de serrage
CN110912038A (zh) * 2019-12-05 2020-03-24 湖州立新电缆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缆绑扎装置
RU207937U1 (ru) * 2021-02-25 2021-11-25 Алексей Евгеньевич Кузнецов Крепежный хомут
USD1027631S1 (en) * 2021-10-12 2024-05-21 Hellermann Tyton Limited Cable tie
USD1030462S1 (en) * 2021-10-12 2024-06-11 Hellermanntyton Ltd Cable ti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3758A (en) * 1984-02-17 1989-02-14 Establissements Caillau Clamp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007138A (en) * 1982-04-06 1991-04-16 Pritchard David A Device for strapping cables, pipes or other similar items, together or to support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946A (en) * 1877-08-07 Improvement in cotton-bale ties
US1226876A (en) * 1914-03-31 1917-05-22 George W Furth Baling-tie buckle.
US1218337A (en) * 1916-07-27 1917-03-06 George H Taylor Band-fastener.
US1241301A (en) * 1917-03-02 1917-09-25 George H Taylor Attached band-fastener.
FR2542388B1 (fr) 1983-03-10 1985-08-16 Caillau Ets Appareil pour la commande automatique successive d'au moins deux processus ou operations
DE3412772C1 (de) 1984-04-05 1985-10-24 Horst 8502 Zirndorf Kleylein Knie-Orthese
GB2168103B (en) * 1984-12-11 1986-12-31 Bowthorpe Hellermann Ltd Tying device
GB8500307D0 (en) * 1985-01-07 1985-02-13 Silver Fox Ltd Buckle
US4868953A (en) * 1987-03-11 1989-09-26 Thomas & Betts Corporation Environmental bundling tie
US4765032A (en) * 1987-03-11 1988-08-23 Thomas & Betts Corporation Environmental bundling tie
US5566726A (en) 1990-10-05 1996-10-22 Band-It-Idex, Inc. Adaptable banding tool
GB2254105B (en) * 1991-03-14 1994-09-28 Dowson & Dobson Ltd Buckle
SE510655C2 (sv) * 1997-10-06 1999-06-14 Biwex Ab Låsanordning vid buntningsband
DE20104180U1 (de) * 2001-03-10 2001-06-13 Neko Gmbh Stahlbinder
GB2409642B (en) * 2002-02-28 2005-09-14 Spirent Plc Metal banding tie
GB2385787B (en) * 2002-02-28 2005-07-06 Spirent Plc Metal banding tie
RU2243442C2 (ru) * 2002-12-04 2004-12-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Хомут крепления
DE10301783B4 (de) * 2003-01-18 2005-04-28 Eads Space Transp Gmbh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rotationssymmetrischer Bauteile
US7373695B2 (en) * 2005-05-26 2008-05-20 Panduit Corp. Displacement lock MLT
US20070033772A1 (en) 2005-08-12 2007-02-15 Panduit Corp. Releasable in-line cable tie
CN1919697A (zh) 2005-08-12 2007-02-28 泛达公司 可松开的嵌入式电缆捆扎带
US7650680B2 (en) * 2005-10-17 2010-01-26 Band-It-Ide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ndling objects
CA2704426C (en) * 2007-11-02 2017-06-20 Band-It-Idex, Inc. Dual locking band clamp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RU82799U1 (ru) * 2008-11-24 2009-05-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МЕГАПЛАСТ" Хомут (варианты)
US8635745B2 (en) * 2010-11-23 2014-01-28 Panduit Corp. Metal locking ti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138A (en) * 1982-04-06 1991-04-16 Pritchard David A Device for strapping cables, pipes or other similar items, together or to supports
US4803758A (en) * 1984-02-17 1989-02-14 Establissements Caillau Clamp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901A (ko) 2019-08-26 2021-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결속 밴드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18831A (ja) 2017-07-13
US20170362004A1 (en) 2017-12-21
FR3022531B1 (fr) 2016-07-15
FR3022531A1 (fr) 2015-12-25
RU2017101665A (ru) 2018-07-23
JP6709739B2 (ja) 2020-06-17
EP3157837B1 (fr) 2018-05-16
CN106458400B (zh) 2019-09-27
BR112016030158B1 (pt) 2022-01-04
KR102412545B1 (ko) 2022-06-23
RU2678387C2 (ru) 2019-01-28
EP3157837A1 (fr) 2017-04-26
ES2683874T3 (es) 2018-09-28
WO2015197961A1 (fr) 2015-12-30
CN106458400A (zh) 2017-02-22
RU2017101665A3 (ko) 2018-11-29
BR112016030158A2 (ko) 2017-08-22
US10399754B2 (en)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4010A (ko) 횡단 버클을 갖춘 클램핑 칼라
KR102412564B1 (ko) 횡단 버클을 갖춘 클램핑 칼라
TWI598274B (zh) 低輪廓夾具
KR101768170B1 (ko) 클램핑 칼라
US4425681A (en) Clamp consisting of a steel band loop
TWI592599B (zh) 軟管夾具
JP2017518831A5 (ko)
EP0777075B1 (en) Improvements to means for clasping the extremities of the metal sheet forming tie-bands
JP2005124395A (ja) 細長い物体、特にケーブルのための取付装置
KR102190946B1 (ko) 호스 클램프
JP6155396B2 (ja) ホースクランプ
JP6989601B2 (ja) クランプクリップ
JP4625214B2 (ja) 締付けリング
US9239124B2 (en) Hose clamp
JP3851420B2 (ja) ブーツバンド
JP2000104875A (ja) 引き絞り操作式の再使用可能なクランプ金具
US20140068897A1 (en) Hose clamp
KR101427228B1 (ko) 타이 클램프
JP2003172317A (ja) 締付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