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274A -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 Google Patents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274A
KR20170021274A KR1020170021094A KR20170021094A KR20170021274A KR 20170021274 A KR20170021274 A KR 20170021274A KR 1020170021094 A KR1020170021094 A KR 1020170021094A KR 20170021094 A KR20170021094 A KR 20170021094A KR 20170021274 A KR20170021274 A KR 20170021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outer cylinder
tank
air
slow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264B1 (ko
Inventor
장정국
김정숙
김미란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주)케이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주)케이이피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264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02F1/3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by centrifuging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는 하폐수가 유입될 시 공기가 함께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하폐수의 유입유량에 상관없이 하폐수의 유속이 설정 크기 이상으로 유지되는 한편 하폐수가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이 방지되면서 하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의 침전된 슬러지의 침전율이 증가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Slow mixing precipitation tank fo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하폐수가 유입될 시 공기가 함께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하폐수의 유입유량에 상관없이 하폐수의 유속이 설정 크기 이상으로 유지되는 한편 하폐수가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이 방지되면서 하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의 침전된 슬러지의 침전율이 증가하도록 하는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농도의 인을 함유한 하폐수의 처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농도의 인을 함유한 하폐수의 처리시스템은 저류조(1), 급속교반조(2), 완속교반조(3) 및 침전지(4)를 포함한다.
저류조(1)는 유입수에 해당하는 슬러지 농축여액, 슬러지 탈수여액 등에서 나오는 고농도 혼합 폐액인 반류수 및 고농도의 인과 부유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하폐수를 집수 및 공급 받아 저장한다. 한편, 저류조(1)는 유입수에 해당하는 고농도 인을 함유한 하폐수에 대해 침사지나 스크린을 통과 전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다.
급속교반조(2) 및 완속교반조(3)는 각각 응집제를 활용해 저류조(1)에 저장된 고동도 인을 함유한 하폐수를 급속 및 완속으로 각각 교반하여 고농도 인에 대한 응집을 수행함으로써, 침전지(4) 상에서 응집된 것 및 기타 물질들이 바닥으로 쌓이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하폐수 처리 과정이 완료된 반류수 처리수가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농도의 인을 함유한 하폐수의 처리시스템은 급속교반조(2)가 부피를 크게 차지함으로써, 약품 혼합에 소요되는 공간이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완속교반조(3)와 침전지(4)로 운전되는 경우 각각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4의 출원번호 제10-2013-0128612호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 함유 하폐수처리용 교반, 침전 및 여과 일체형 하이브리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폐수처리 방법"을 선출원하였는 바, 하수, 오수 및 하폐수처리장 또는 공사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고농도의 인 및 부유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하폐수 처리용 교반, 침전 및 여과가 일체로 종래에 비해 작은 공간에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 하였다.
완속교반 침전조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유량을 높일 경우 하폐수가 체류되는 시간이 짧아 하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의 높은 침전율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99369호 '하폐수 및 오·탁수 처리용 일체형 수처리장치' 국내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61801호 '오염물질 부하변동이 큰 오/폐수의 고도처리 시스템 및 고도처리방법'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10909호 '섬유여과기 내에 침지식 분리막 모듈을 일체화한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국내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3-0128612호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 함유 하폐수처리용 교반, 침전 및 여과 일체형 하이브리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폐수처리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완속교반 침전조에 하폐수가 유입될 시 공기가 함께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하폐수의 유입유량에 상관없이 하폐수의 유속이 설정 크기 이상으로 유지되는 한편 하폐수가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이 방지되면서 하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의 침전된 슬러지의 침전율이 증가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하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2a), 침전되지 않은 미세입자와 미성숙 응집 플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배출하는 유출구(32b), 하부에 형성되고 탈수조(40)와 연결되면서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구(32c), 상측에 형성되고 완속교반 침전조(30)로 유입되어 선회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32d)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외통(32)과; 외통(32)의 유입구(32a)측에 설치되어 외통(32)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 공기 주입용 블로워(34)와; 외통(32)의 내부에 위치되고,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통(36)과; 이웃하는 다수개의 가드(33)가 외통(32)과 내통(36) 사이에서 설정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외통(32)의 유입구(3a)를 통해 하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수직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방지판(38)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하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하폐수의 유입유량에 상관없이 하폐수의 유속이 설정 크기 이상으로 유지되는 한편 하폐수가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이 방지되면서 하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의 침전된 슬러지의 침전율이 증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에서 방지판(38)은 외통(32)과 내통(36) 사이의 유입구(32a)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에서 방지판(38)의 가드(33)는 일면이 내통(36)의 외주면과 대응되고, 타면이 외통(32)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에서 방지판(38)은, 이웃하는 다수개의 가드(33)가 외통(32)과 내통(36) 사이에서 10°~20°범위의 기울기를 갖도록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편, 이웃하는 다수개의 가드(33)가 설정영역만큼 겹쳐지면서 10mm ~ 20mm의 높이차를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어 하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수직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한편 하폐수의 일부와 설정 크기 이상의 플록으로 성장한 부유물질이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에서 다수의 열로 설치되는 방지판(38)에서 최하부에 설치된 방지판(38)은 바로 위에 설치된 방지판(38) 보다 정해진 각도만큼 뒤에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에 의하면, 하폐수가 유입될 시 공기가 함께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하폐수의 유입유량에 상관없이 하폐수의 유속을 일정이상으로 유지하여 원심력에 의해 하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이 하폐수로부터 분리되어 침전되기 때문에 침전된 슬러지의 침전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농도의 인을 함유한 하폐수의 처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내부로 하폐수 유입수와 공기가 함께 유입되어 함께 유동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에서 방지판의 평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의 내부에서 공기에 의해 부유물질이 부상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 함유 하·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30)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작은 규모로 완속 혼합과 침전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완속교반 침전조(30)는 응집 반응 공정 중 완속 혼합 반응과 슬러지 침전을 1 개의 조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완속교반 침전조(30)는 종래의 완속교반조(3, 도 1 참조)와 침전지(4, 도 1 참조)로 각각 운전되는 방식 대신 소용량으로 형성되며, 후단에는 섬유 여과기(50)와 연결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즉, 완속교반 침전조(30)는 기존의 완속교반조(3)와 침전지(4)가 각각 별도로 운전될 경우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인-라인 믹서(In-line mixer)(20)를 통과한 하폐수의 체류시간을 줄임으로써 보다 적은 공간 내에서 응집 플록(floc)이 형성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완속교반 침전조(30)는 하폐수가 유입되면 선회흐름을 유지하게 되고, 하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은 원심력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폐수로부터 분리되어 침전된 후 배출되도록 한다.
즉, 완속교반 침전조(30)는 하폐수가 유입될 시 공기와 함께 유입되도록 하여 하폐수의 유입유량에 상관없이 하폐수의 유속을 일정이상 유지시키는 한편 하폐수가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이 방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하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이 하폐수로부터 분리되어 침전된 후 배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완속교반 침전조(30)를 하폐수가 유입될 시 공기와 함께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하폐수의 체류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교반 침전 효과를 높여 보다 효과적으로 하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기 위한 완속교반 침전조(3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에서와 같이 외통(32), 공기 주입용 블로워(34), 내통(36) 및 방지판(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통(32)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인-라인 믹서(20)와 연결되어 하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2a)를 갖고, 섬유 여과기(50)와 연결되어 침전되지 않은 미세입자 또는 미성숙 응집 플록을 배출하는 유출구(32b)를 가지며, 하부에 탈수조(40)와 연결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2c)를 갖는다. 그리고, 상측에는 후술하는 공기 주입용 블로워(3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방지판(38)을 따라 선회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구(32d)가 형성된다.
공기 주입용 블로워(34)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외통(32)의 유입구(32a)측에 설치되어 인-라인 믹서(20)로부터 유입되는 하폐수와 함께 외통(32)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것이고, 내통(36)은 외통(32)의 내부에 위치되고,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완속교반 침전조(30)에서 공기 주입용 블로워(34)를 설치함으로써 하폐수와 함께 공기가 주입되는데, 공기는 도 4에서와 같이 일정크기의 공간을 점유(占有)하는 독립된 유체로서, 완속교반 침전조(30) 내부에서 일정크기의 체적을 확보한 상태로 유동하게 되고, 이와 같은 공기 자체가 하폐수 유입수와 병렬적으로 유입되어 하폐수 유입수와 함께 완속교반 침전조(30) 내부를 유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하폐수가 완속교반 침전조(30)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로써 최종적으로 하·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의 높은 침전율이 확보되도록 한다.
방지판(38)은 외통(32)과 내통(36) 사이에 설치되되, 외통(32)의 유입구(32a)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통(32)의 유입구(32a)를 통해 유입되는 하폐수의 선회흐름을 유지하여 하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의 침전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수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방지판(38)은 일면이 내통(36)의 외주면과 대응되고, 타면이 외통(32)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가드(33)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다수개의 가드(33)는 외통(32)과 내통(36) 사이에서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나선형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이웃하는 가드(33)는 8개로 구성되어 내통(36)을 한바퀴 선회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울기는 바람직하게는 10°~20°사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방지판(38)을 설치함으로써 외통(32)의 유입구(3a)를 통해 유입되는 하폐수는 방지판(38)에 의해 나선형으로 선회흐름을 유지하게 되고, 하폐수가 유입될 시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수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하폐수의 유입유량에 상관없이 하폐수의 유속이 일정이상 유지되는 한편 하폐수가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가드(33)는 하폐수의 흐름을 유도하고, 외통(32)의 유입구(32a)를 통해 유입되는 하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수직으로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정영역만큼 겹쳐지도록 설치되는데, 정해진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가드(33)는 하폐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90°씩 회전시켜 설치하되, 가드(33)와 가드(33) 사이는 ½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드(33)를 45°회전시켜 겹치도록 설치되고, 겹치도록 설치된 가드(33)는 10mm ~ 20mm의 높이차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평판으로 형성되는 가드(33)가 다수개 인접되고, 이웃하는 가드(33)는 정해진 높이로 이격되어 서로 겹치도록 설치되는 방지판(38)은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설치되어 진다.
이와 같은 방지판(38)은 본 발명에서는 2열로 설치하고, 1열과 2열의 높이는 30mm ~ 40mm의 차이를 두고 설치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수의 열로 설치되는 방지판(38)에서 최하부에 설치된 방지판(38)은 바로 위에 설치된 방지판(38) 보다 정해진 각도만큼 뒤에서 설치되어 진다. 여기서, 정해진 각도는 45°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상술한 가드(33)가 겹치는 정도 즉, 45°회전시켜 겹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그와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열의 시작점'은 '2열의 시작점' 보다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 후측(45° 차이)에 설치되어 외통(32)의 유입구(32a)를 통해 유입되는 하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수직으로 바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통(32)과 내통(36) 사이에 방지판(38)을 설치함으로써 외통(32)의 유입구(32a)를 통해 유입되는 하폐수는 방지판(38)을 따라 선회흐름을 유지하는 한편 공기가 수직으로 바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완속교반 침전조(30) 내부에서의 하폐수 체류시간 감소가 방지되면서 침전된 슬러지의 침전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완속교반 침전조(30)는 응집 플록(floc)의 크기를 50 ㎛ 정도까지 형성하며 미성숙된 응집 플록(floc)을 섬유 여과기(50)로 배출할 뿐만 아니라, 슬러지를 침전시킨 뒤, 침전된 슬러지를 탈수조(40)로 배출하여 배제시킨다.
한편, 하폐수 유입수와 함께 완속교반 침전조(30)로 유입되는 공기는, 도 6에서와 같이 하폐수 유입수 상측{공기는 하폐수 유입수보다 밀도가 낮아 하폐수 유입수 상측에서 유동하게 됨}에서 유동하는 과정에서 하폐수 유입수 표면에 위치되는 부유물질을 부상분리시키는 작용도 부가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즉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이 응집제에 의해 완속교반되어 하·폐수로부터 분리 침전되는 프로세스와 더불어 부유물질이 공기에 의해 하·폐수 표면으로부터 부상분리되는 프로세스가 함께 진행된다.
이와 같이 공기에 의해 부상분리되는 하폐수 유입수 표면의 부유물질은 공기와 함께 이동하면서 도 7에서와 같이 완속교반 침전조(30) 상측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32d)를 통해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에 따라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의 분리 효율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완속교반 침전조(30)가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 함유 하·폐수처리 시스템은 도 8에서와 같이 저류조(10), 인-라인 믹서(In-line mixer)(20), 완속교반 침전조(30), 탈수조(40), 섬유 여과기(50) 및 포기조(60)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작은 공간에서 우수한 인 제거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저류조(10)는 유입되는 하·폐수의 간헐적 발생으로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 함유 하·폐수처리 시스템으로의 유입시 유량 및 인 농도의 변화폭을 완화시키기 위해 인-라인 믹서(20)의 전단에 형성된다.
즉, 저류조(10)는 유입되는 하·폐수에 의한 부하량 변동에 따른 교반, 침전 및 여과 프로세스의 효율 저하로의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 유입된 하·폐수를 저류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라인 믹서(In-line mixer)(20)는 소요 부지 필요없이 응집제의 고속혼합을 이룰 수 있도록 저류조(10)와 완속교반 침전조(30) 사이의 통로 내에 인-라인 타입으로 형성된다. 즉, 인-라인 믹서(In-line mixer)(20)는 고농도의 인과 부유물질을 포함한 순간 부하 변동이 심한 유입수에도 적용하게 하기 위해 저류조(10) 후단에 종래의 급속교반조(2, 도 1 참조) 대신 적용됨으로써, 응집제를 활용한 약품혼합에 소요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탈수조(40)는 완속교반 침전조(30)로부터 침전에 의해 발생된 슬러지를 반송받아 저장한다.
섬유 여과기(50)는 완속교반 침전조(30)에서 미숙성된 응집 플록(floc)을 여과하기 위해 완속교반 침전조(30)의 후단에 형성되며, 미성숙된 응집 플록(floc)이 여과된 하·폐수를 포기조(60)로 전달한다. 즉, 섬유 여과기(50)는 완속교반 침전조(30)의 후단에 형성됨으로써, 완속교반 침전조(30) 내에서 형성된 응집 플록(floc)이 제거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섬유 여과기(50)는 완속교반 침전조(30) 내에서 미성숙된 미세 응집입자가 침전되지 않고 유출되더라도 완벽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완속교반 침전조(30)의 용량을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섬유 여과기(50)는 미성숙된 응집 플록(floc)도 여과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고농도의 인 및 부유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하·폐수가 인-라인 믹서(20)로 유입되기 전에 사용되는 응집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품비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섬유 여과기(50)는 처리된 하·폐수를 포기조(60)로 유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하·폐수처리장의 경우와는 달리 전체 하·폐수처리공정에서의 포기조(60) 유입 부하율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반류수의 경우 상기 기루로 전처리한 반류수 처리수를 포기조(60)로 유입함에 따라 전체 하·폐수처리공정에서의 인 및 부유물질의 유입 부하율을 매우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서 섬유 여과기(50)는 입자크기를 기준으로 50 ㎛ 정도만 되어도 90 % 이상의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완속교반 침전조(30)는 응집 플록(floc)의 크기가 대략 미리 설정된 직경(50 ㎛) 이하 정도로 되도록 체류 시간이 설정되며, 용량이 대폭적으로 감소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완속교반 침전조(30) 상에서 완속 교반의 효과뿐만 아니라, 침전조의 효과를 함께 둔 것은 섬유 여과기(50) 내로 유입되는 고형 물질의 부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본 시스템에 적용되는 섬유 여과기(50)의 용량을 보다 소형화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 함유 하·폐수처리 시스템을 이용해 하·폐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고농도의 인과 부유물질을 함유한 하·폐수를 처리할 경우 하·폐수처리장의 방류수 내 인 농도 저감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인-라인 믹서(In-line mixer)(20), 완속교반 침전조(30)와 섬유 여과기(50)의 구조에 따른 소형화에 따라 설치를 위한 부지 면적의 최소화로 보다 경제적으로 반류수 또는 하·폐수 처리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저류조
2 : 급속교반조
3 : 완속교반조
4 : 침전지
10 : 저류조
20 : 인-라인 믹서(In-line mixer)
30 : 완속교반 침전조
32 : 외통
32a : 유입구
32b : 유출구
32c : 배출구
32d : 공기 배출구
33 : 가드
34 : 공기 주입용 블로워
36 : 내통
38 : 방지판
40: 탈수조
50: 섬유 여과기
60: 포기조

Claims (5)

  1. 하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2a), 침전되지 않은 미세입자와 미성숙 응집 플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배출하는 유출구(32b), 하부에 형성되고 탈수조(40)와 연결되면서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구(32c), 상측에 형성되고 완속교반 침전조(30)로 유입되어 선회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32d)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외통(32)과;
    외통(32)의 유입구(32a)측에 설치되어 외통(32)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 공기 주입용 블로워(34)와;
    외통(32)의 내부에 위치되고,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통(36)과;
    이웃하는 다수개의 가드(33)가 외통(32)과 내통(36) 사이에서 설정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외통(32)의 유입구(3a)를 통해 하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수직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방지판(38)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하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하폐수의 유입유량에 상관없이 하폐수의 유속이 설정 크기 이상으로 유지되는 한편 하폐수가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이 방지되면서 하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의 침전된 슬러지의 침전율이 증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2. 제 1항에 있어서,
    방지판(38)은 외통(32)과 내통(36) 사이의 유입구(32a)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3. 제 1항에 있어서,
    방지판(38)의 가드(33)는 일면이 내통(36)의 외주면과 대응되고, 타면이 외통(32)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4. 제 1항에 있어서,
    방지판(38)은,
    이웃하는 다수개의 가드(33)가 외통(32)과 내통(36) 사이에서 10°~20°범위의 기울기를 갖도록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편, 이웃하는 다수개의 가드(33)가 설정영역만큼 겹쳐지면서 10mm ~ 20mm의 높이차를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어 하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수직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한편 하폐수의 일부와 설정 크기 이상의 플록으로 성장한 부유물질이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5. 제 2항에 있어서,
    다수의 열로 설치되는 방지판(38)에서 최하부에 설치된 방지판(38)은 바로 위에 설치된 방지판(38) 보다 정해진 각도만큼 뒤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KR1020170021094A 2017-02-16 2017-02-16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KR101740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094A KR101740264B1 (ko) 2017-02-16 2017-02-16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094A KR101740264B1 (ko) 2017-02-16 2017-02-16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227A Division KR101734513B1 (ko) 2015-05-15 2015-05-15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 함유 하·폐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274A true KR20170021274A (ko) 2017-02-27
KR101740264B1 KR101740264B1 (ko) 2017-05-26

Family

ID=5831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094A KR101740264B1 (ko) 2017-02-16 2017-02-16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2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7153A (zh) * 2020-08-10 2020-11-20 山西安创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集成旋流除尘器
KR102330314B1 (ko) * 2021-04-22 2021-11-24 (주)신대양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KR102355048B1 (ko) * 2021-04-22 2022-01-24 (주)신대양 부유물 처리가 향상된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KR102389010B1 (ko) * 2021-08-13 2022-04-22 (주)신대양 고자력을 이용한 중금속오염토양 복합적 처리 시스템
KR102423221B1 (ko) * 2021-08-13 2022-07-20 (주)신대양 고자력분리기와 스컴제거장치가 부착된 복합오염토양처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909A (ko) 2006-07-28 2008-01-31 (주)성신엔지니어링 섬유여과기 내에 침지식 분리막 모듈을 일체화한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0999369B1 (ko) 2010-09-10 2010-12-17 주식회사 수엔텍 하·폐수 및 오·탁수 처리용 일체형 수처리장치
KR101161801B1 (ko) 2005-09-15 2012-07-04 에치투엘 주식회사 오염물질 부하변동이 큰 오/폐수의 고도처리 시스템 및고도처리방법
KR20130128612A (ko) 2012-05-17 2013-11-27 (주)엠에스아이코리아 절연튜브를 이용한 세라믹 히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2921B2 (ja) 2001-12-18 2007-05-30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凝集沈殿装置
JP5127559B2 (ja) 2008-05-13 2013-01-23 株式会社東芝 固液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801B1 (ko) 2005-09-15 2012-07-04 에치투엘 주식회사 오염물질 부하변동이 큰 오/폐수의 고도처리 시스템 및고도처리방법
KR20080010909A (ko) 2006-07-28 2008-01-31 (주)성신엔지니어링 섬유여과기 내에 침지식 분리막 모듈을 일체화한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0999369B1 (ko) 2010-09-10 2010-12-17 주식회사 수엔텍 하·폐수 및 오·탁수 처리용 일체형 수처리장치
KR20130128612A (ko) 2012-05-17 2013-11-27 (주)엠에스아이코리아 절연튜브를 이용한 세라믹 히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7153A (zh) * 2020-08-10 2020-11-20 山西安创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集成旋流除尘器
CN111957153B (zh) * 2020-08-10 2024-05-28 山西安创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集成旋流除尘器
KR102330314B1 (ko) * 2021-04-22 2021-11-24 (주)신대양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KR102355048B1 (ko) * 2021-04-22 2022-01-24 (주)신대양 부유물 처리가 향상된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KR102389010B1 (ko) * 2021-08-13 2022-04-22 (주)신대양 고자력을 이용한 중금속오염토양 복합적 처리 시스템
KR102423221B1 (ko) * 2021-08-13 2022-07-20 (주)신대양 고자력분리기와 스컴제거장치가 부착된 복합오염토양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264B1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264B1 (ko)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EP2508483B1 (en)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KR101141871B1 (ko) 응집 처리 방법 및 반응기, 및 유체 처리 설비
CA276709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ell flow-back and produced water or other wastewater
KR100999369B1 (ko) 하·폐수 및 오·탁수 처리용 일체형 수처리장치
WO2015002397A1 (ko) 가압부상장치
KR101278958B1 (ko) 폐수처리시스템
KR101635527B1 (ko) 가중여재 회수식 자동화 수처리 장치
KR101336169B1 (ko)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고도정수처리장치
US20110084012A1 (en) Hydrocyclone flotation system and 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US20170297924A1 (en) Water treatment process employing dissolved air flotation to remove suspended solids
KR101261839B1 (ko) 반류수 처리장치
KR102093758B1 (ko) 와류식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활용한 장방형 고효율 가압고액분리 수처리장치
KR101751250B1 (ko) 배오존을 이용한 부상분리와 무포기 오존 반응기를 이용한 수 처리장치
CN107151085A (zh) 一种污水一体化处理装置
KR101999229B1 (ko) 총인제거를 위한 응집혼화반응 일체형 직접여과장치
KR101539727B1 (ko) 전기응집과 전자석을 이용한 총인 제거방법 및 장치
KR20150048482A (ko)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 함유 하·폐수처리용 교반, 침전 및 여과 일체형 하이브리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폐수처리 방법
EP3090793B1 (en) Media filter comprising a coagulation/flocculation multi-step
KR101734513B1 (ko)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 함유 하·폐수처리 시스템
KR101632985B1 (ko) 슬러지와 침전물 및 처리수를 동시 분리 처리하는 하폐수 처리장치
KR101814983B1 (ko) 미생물 슬러지 회수 장치
KR102567953B1 (ko)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한 고형물질 제거를 위한 밀폐식 용존공기부상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2376A (ko) 고효율 혼화·응집침전설비를 갖춘 굴착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CN110678244A (zh) 沉淀和漂浮分离工序一体化高效率沉淀漂浮***以及其驱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