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220U -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 - Google Patents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220U
KR20170004220U KR2020160003133U KR20160003133U KR20170004220U KR 20170004220 U KR20170004220 U KR 20170004220U KR 2020160003133 U KR2020160003133 U KR 2020160003133U KR 20160003133 U KR20160003133 U KR 20160003133U KR 20170004220 U KR20170004220 U KR 201700042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ides
tiltable member
sp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동
Original Assignee
정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동 filed Critical 정우동
Priority to KR2020160003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220U/ko
Publication of KR201700042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2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의 양측에 구비된 지지부와 제 2 걸림부를 선택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음으로 높이와 경사각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스마트폰의 가로보기 및 세로보기 시에도 안전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회동 부재의 경계홈과 제 2 회동부재의 제 2 경계홈이 구비되어 회동부와 비회동부를 손쉽게 구별하여 명함 등 홍보 문구 등을 대량으로 제작하여 손쉽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The structure of the smart phone cradle that can be used on both sides.}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브이오디(VOD), 또는 동영상을 시청시 별도의 부품의 추가 없이 손쉽게 스마트폰을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일반적으로, 영화나 동영상, TV시청 및 음악감상 등을 할 때 상기 스마트폰을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감상할 때 스마트폰의 화면이 잘 보이도록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거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휴대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선행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20-2015-0003045 " 지갑 속에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 "에서는 카드의 내측면에 일정한 형사의 절개면을 가공하여 가공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기다란 지지대가 형성되게 함으로서 이 지지대를 양쪽으로 벌려 가운데에 스마트폰을 끼워넣을 수 있고 이 지지대의 탄성으로 스마트폰은 일정한 힘을 좌우에서 받아 일정한 위치로 고정되며 또한 지지대의 반발력으로 카드는 휘어진 형태를 유지함으로서 바닥에 양 쪽면이 닿을 수 있게 하여 삼각대와 동일한 기능한 것이며,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70742 "카드식 스마트폰 거치대에서는 카드의 내측면에 일정한 형사의 절개면을 가공하여 가공부의 중심을기준으로 좌우측에 기다란 지지대가 형성되게 함으로서 이 지지대를 양쪽으로 벌려 가운데에 스마트폰을 끼워넣을 수 있고 이 지지대의 탄성으로 스마트폰은 일정한 힘을 좌우에서 받아 일정한 위치로 고정되며 또한 지지대의 반발력으로 카드는 휘어진 형태를 유지함으로서 바닥에 양 쪽면이 닿을 수 있게 하여 삼각대와 동일한 기능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휴대성을 증대시킨 효과는 있으나, 내구성이 약해 손쉽게 파손이 가능하며, 최근에 들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대형화 및 태플릿 피시의 디스플레이 다양화 등에는 대하여 접합한 구조를 갖추는 문제점이 있으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대형화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시청방법에 따른 안전적인 거치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시청방법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원하는 가로보기 기능 및 세로 보기 기능을 사용할 경우 근본적으로 거치대의 구조가 변화되어야 안전적으로 거치가 가능함에 따라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이 필요한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체 중앙에는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한 공간부 전면에는 절개구가 구비된 지지부;상기한 지지부 후방에는 연결홈이 관통되어 형성된 연결부;상기한 연결부 양 측면에는 반원형의 안내홈이 구비되며, 상기한 공간부 양 측면에는 등 간격으로 거치홈이 구비된 거치부;가 형성되고, 거치부 외측에는 제 2 공간부가 구비되며,공간부 후방에는 내입홈이 형성되고, 내입홈 후면에는 제 2 걸림부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한 연결홈에 회동 부재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가 연결되며 고정부 일측에는 팽창 공간부가 구비되고,상기한 회동 부재 상부에는 " ㄷ "자형 내입부가 구비되고, " ㄷ "자형 내입부 양 측면에 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면에는 경계홈이 구비되어지며,
또한, 상기한 통공에 제 2 회동 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제 2 고정부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상기한 제 2 회동 부재의 저면에는 " ㄷ "자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제 2 경계홈이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본체의 양측에 구비된 지지부와 제 2 걸림부를 선택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음으로 높이와 경사각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스마트폰의 가로보기 및 세로보기 시에도 안전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회동 부재의 경계홈과 제 2 회동부재의 제 2 경계홈이 구비되어 회동부와 비회동부를 손쉽게 구별하여 명함 등 홍보 문구 등을 대량으로 제작하여 손쉽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본체의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인 회동 부재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인 제 2 회동 부재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을 절첩 시의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을 이용한 세로보기 일실시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을 이용한 가로보기 일실시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 져야할 것이다.
본체 중앙에는 공간부(11)가 구비되며,
상기한 공간부(11) 전면에는 절개구(12-1)가 구비된 지지부(12);
상기한 지지부(12) 후방에는 연결홈(13-1)이 관통되어 형성된 연결부(13);
상기한 연결부(13) 양 측면에는 반원형의 안내홈(13-2)이 구비되며, 상기한 공간부(11) 양 측면에는 등 간격으로 거치홈(14-1)이 구비된 거치부(14);가 형성되고, 거치부(14) 외측에는 제 2 공간부(15)가 구비되며,
상기한 공간부(11) 후방에는 내입홈(16)이 형성되고, 내입홈(16) 후면에는 제 2 걸림부(1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연결홈(13-1)에 회동 부재(20)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21)가 연결되며 고정부(21) 일측에는 팽창 공간부(21-1)가 구비되고,
상기한 회동 부재(20) 상부에는 " ㄷ "자형 내입부(22)가 구비되고, " ㄷ "자형 내입부 양 측면에 통공(22-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한 " ㄷ "자형 내입부 (22) 상면에는 경계홈(23)이 구비되며,
또한, 상기한 통공(22-1)에 제 2 회동 부재(30)의 상부에 형성된 제 2 고정부(31)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한 제 2 회동 부재(30)의 저면에는 " ㄷ "자형 돌출부(3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걸림턱(33)이 구비되고, 상기한 " ㄷ "자형 돌출부(32)의 상면에는 제 2 경계홈(3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100 스마트폰.
101 홈 버튼.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크게 3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본체(10). 둘째 회동 부재(20). 셋째 제 2 회동 부재(30)으로 나누어진다.
본체(10)는 스마트폰을 거치할 경우 하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지지부(12)가 경사되어 구비되며, 지지부(12)의 중앙에는 절개구(12-1)가 형성되어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동영상을 시청시 홈 버튼(101)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절개구 (12-1)가 형성된다.
상기한 지지부(12)의 후방에는 연결부(13)가 구비되며, 연결부(13)는 연결홈(13-1)이 관통되어 구비되며, 상기한 연결부(13) 양 측면에는 반원형의 안내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연결홈(13-1) 에는 회동부재(20)의 고정부(21)가 형성되어, 손쉽게 절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본체(10)의 중앙에는 " ㅁ "자형 공간부(11)가 구비되어, 본 고안을 손쉽게 절첩할 수 있으며, " ㅁ "자형 공간부(11) 양 측면에 거치부(14)각각 구비되며, 거치부(14)는 절첩시 제 2 회동 부재(30)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33)이 걸려 지지할 수 있도록 등 간격으로 거치홈(14-1)이 구비되며, 거치홈(14-1) 일측에는 제 2 공간부(15)가 형성되어, 테플릿 피시 등에 필수로 필요한 터치 팬(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등 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본체(10)의 후면부에는 내입홈(10)이 각각 구비되고, 내입홈(10) 일측에는 제 2 걸림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인 본체(10)에는 전방부와 하부부에 지지부(12)와 제 2 걸림부(17)이 구비되며, 높이는 지지부(12)보다 제 2 걸림부(17)가 낮아야 올바른 일 실시 예이다.
본체(10)와 회동 부재(20) 및 제 2 회동 부재(30)의 연결방법 및 연결 구조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해 본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이다.도 2에서와 같이 본체(10)의 연결홈 (13-1)에 회동 부재(2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21)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21)가 연결홈(13-1)에 연결되기 위하여 고정부(21)는 좌,우로 쉽게 이동이 가능해야 됨으로 고정부(21)의 일측에는 팽창 공간부(21-1)가 구비되어 고정부 (21)가 일정한 힘에 의하여 좌,우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인 본체(10)와 회동 부재(20) 및 제 2 회동 부재(30)의 재질은 합성수지인 PP(폴리프로필렌)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회동 부재(20)는 상부에 " ㄷ "자형 내입부(22)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경계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경계홈(23)이 형성되어 있어 홍보물에 관한 명함 등을 인쇄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를 정함에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미끄럼 방지 요철 스티커(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붙일 수 있도록 경계를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 ㄷ "자형 내입부(22)의 상부 양측에는 통공(22-1)이 형성되어 있어 제 2 회동 부재(30)의 상부에 구비된 제 2 고정부(31)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제 2 회동 부재(30)는 상부에 돌출부(32)가 구비된다. 돌출부(32)는 절첩시 회동 부재(20)의 " ㄷ "자형 내입부(22)에 면접됨으로 부피가 축소는 물론이고, 견고히 절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제 2 회동 부재(30)는 하부에 걸림턱(33)이 구비되어 본체(10)에 구비된 거치홈(14-1)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제 2 회동 부재(30)의 상면에는 사각형상의 제 2 경계홈(33)이 구비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홍보물에 관한 명함 등을 인쇄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를 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을 사용시에는 본체(10)의 연결홈(13-1)에 연결된 회동 부재(20)의 고정부(21)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스마트폰의 거치 높이의 설정이 가능하며,
상기한 회동 부재(20)의 통공(22-1)에 제 2 회동 부재(30)의 제 2 고정부 (31)가 연결되며, 한편 상기한 제 2 회동 부재(3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33)이 본체(10)에 구비된 거치홈(14-1)에 걸려 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거치홈 (14-1)을 선택하여 거치함으로써, 경사각을 선택하여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본체.
11:공간부.
12:지지부.
13:연결부. 13-1:연결홈. 13-2:안내홈.
14:거치부. 14-1:거치홈. 15:제 2 공간부.
16:내입홈. 17:제 2 걸림부.
20:회동 부재. 21:고정부. 21-1:팽창공간부.
22: " ㄷ "자형 내입부. 22-1:통공.
23:경계홈.
30: 제 2 회동 부재. 31:제 2 고정부재.
32: " ㄷ "자형 돌출부. 33:걸림턱. 34:제 2 경계홈.

Claims (3)

  1. 본체 중앙에는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한 공간부 전면에는 절개구가 구비된 지지부;상기한 지지부 후방에는 연결홈이 관통되어 형성된 연결부;상기한 연결부 양 측면에는 반원형의 안내홈이 구비되며, 상기한 공간부 양 측면에는 등 간격으로 거치홈이 구비된 거치부;가 형성되고, 거치부 외측에는 제 2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한 공간부 후방에는 내입홈이 형성되고, 내입홈 후면에는 제 2 걸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홈에 회동 부재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가 연결되며 고정부 일측에는 팽창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한 회동 부재 상부에는 " ㄷ "자형 내입부가 구비되고, " ㄷ "자형 내입부 양 측면에 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면에는 경계홈이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공에 제 2 회동 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제 2 고정부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상기한 제 2 회동 부재의 저면에는 " ㄷ "자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제 2 경계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
KR2020160003133U 2016-06-09 2016-06-09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 KR201700042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33U KR20170004220U (ko) 2016-06-09 2016-06-09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33U KR20170004220U (ko) 2016-06-09 2016-06-09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220U true KR20170004220U (ko) 2017-12-19

Family

ID=6125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133U KR20170004220U (ko) 2016-06-09 2016-06-09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22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24U (ko) * 2020-01-03 2021-07-14 모프트 인크 접이식 휴대용장치 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24U (ko) * 2020-01-03 2021-07-14 모프트 인크 접이식 휴대용장치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8668B2 (en) Multiple suction cup attachment platform: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on a vertical surface
US10092105B2 (en) Collapsible multi-position modular easel stand
KR101502738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US8360382B2 (en) Stan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20120236527A1 (en) Suppor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upport apparatus
US9635766B2 (en) Slidable display housing
US9836081B2 (en) Display device housing and form-fitted configuration
KR20090041540A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와 이를 장착한 전자기기
US20210106106A1 (en) Cellular Device Case Having a Built-In Mount
KR200454217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US20170360225A1 (en) Goods supporting device
US10050465B2 (en) Screen rack for two screens with a case for electric components
KR20170069567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004220U (ko)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
KR101371249B1 (ko) 디지털단말기 통합 거치대
US20150208810A1 (en) Foldable chair having portable telephone holder
KR200478172Y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KR200485618Y1 (ko) 포터블 홀로그램 영상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KR10159186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드형 스마트폰 거치대 장치
EP2533516A1 (en) Television
KR20140058852A (ko) 다기능 받침대로 활용 가능한 독서대
KR101424938B1 (ko) 다용도 거치대
JP2014107654A (ja) 携帯情報端末機用ケース
KR20130001807U (ko) 휴대기기 거치대
KR200485571Y1 (ko) 사물 거치홈이 형성된 협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