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172Y1 -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172Y1
KR200478172Y1 KR2020140004424U KR20140004424U KR200478172Y1 KR 200478172 Y1 KR200478172 Y1 KR 200478172Y1 KR 2020140004424 U KR2020140004424 U KR 2020140004424U KR 20140004424 U KR20140004424 U KR 20140004424U KR 200478172 Y1 KR200478172 Y1 KR 200478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able display
base plate
guide groov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심에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전면패널이 아래를 향하도록 수용되는 수용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Support for portable display}
본 고안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이 많이 보급되어져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영화를 감상하거나 TV 혹은 DMB를 시청하는 등 해당 기기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 PC의 경우 보는 것이 주가 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디스플레이로서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 PC의 화면 크기가 대형화되어 가고 있으며, 그에 따라 무게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 경우 침대 혹은 방바닥에 누워 휴대용 디스플레이로 영화 감상, TV/DMB 시청 등을 하고자 할 때에는 손으로 몸체를 잡고 있어야 하는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팔이 아프고 천장에 설치된 조명으로 인하여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여 화면에 집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관련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13-0007455호(스마트폰용 거치대)에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볼 때 스마트폰을 얼굴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에 따르더라도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해당 장치를 사용할 수는 없으며, 스마트폰 주위가 외부 환경 혹은 조명에 의해 밝아 화면 집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고안자가 본 고안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고안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고안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13-0007455호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누운 상태에서 편안하게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을 이용한 영상 시청이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면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변부에 대해서는 상부 조명이 차단되어 어둡게 만들어 줌으로써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고 화면 집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심에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전면패널이 아래를 향하도록 수용되는 수용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가 제공된다.
상기 크기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코너에 설치되며, 내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기둥; 및 양 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 상응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복수의 기둥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은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과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시 간섭하지 않도록 높이 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교차에 의해 생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공간이되,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그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 측부에는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위치조정용 홀 및 복수의 제2 위치조정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위치조정용 홀 중 하나와 상기 복수의 제2 위치조정용 홀 중 하나가 동일한 수평 위치에 있어 연통되는 경우 관통 삽입시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상기 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보관홈 내에 삽입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다리의 일 끝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힌지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리는 텔레스코픽 타입 혹은 폴딩 스틱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누운 상태에서 편안하게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을 이용한 영상 시청이 가능하며, 화면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변부에 대해서는 상부 조명이 차단되어 어둡게 만들어 줌으로써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고 화면 집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정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1), 베이스 플레이트(10), 다리(30), 힌지부(32), 크기 조절부(20), 수용부(25), 휴대용 디스플레이(100), 기둥(50), 제1 플레이트(60), 제2 플레이트(70), 가이드 홈(52, 54), 가이드 돌기(64, 74), 고정핀(80), 보관홈(82), 위치조정용 홀(62, 72)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1)는 휴대용 디스플레이(100)의 크기에 따라 수용부의 크기를 조정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1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도 화면 주위의 빛샘을 막아주어 화면 집중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가 있어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도 손과 같은 신체 부위를 사용하지 않아도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디스플레이(100)는 TV/DMB 시청, 영화 감상, 웹 서핑 등이 가능한 화면을 구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1)는 베이스 플레이트(10), 크기 조절부(20), 다리(3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판재 형상으로, 그 상면에 휴대용 디스플레이(100)가 거치된다. 이 때 휴대용 디스플레이(100)는 화면이 있는 전면패널이 하방을 향하도록 거치되어, 사용자는 하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를 통해 휴대용 디스플레이(100)의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정사각형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크기 조절부(20)가 설치된다. 크기 조절부(20)는 간단한 조작 방식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100)가 수용되는 수용부(25)의 크기를 조절한다.
크기 조절부(20)는 기둥(50), 제1 플레이트(60), 제2 플레이트(70)를 포함한다.
기둥(5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각 코너에 설치되며, 제1 플레이트(60) 및 제2 플레이트(70)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기둥(50)의 측면 중에서 타 기둥과 마주보는 측면(내측면)에는 제1 플레이트(6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52, 5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레이트(60) 및 제2 플레이트(70)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 홈(52, 54) 내에 삽입 가능한 가이드 돌기(64, 74)가 길게 돌설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플레이트(6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높이(H1)는 기둥(50)의 제1 너비(W1)와 동일하고, 제1 플레이트(60)의 길이(L1)는 기둥(50) 사이의 제1 간격(G1)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7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높이(h2)는 기둥(50)의 제2 너비(w2)와 동일하고, 제2 플레이트(70)의 길이(L2)는 기둥(50) 사이의 제2 간격(G2)과 동일할 수 있다.
제품 호환성을 위해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는 동일한 크기로 제작(H1=H2, L1=L2)될 수도 있으며, 기둥(50)의 단면은 정사각형(W1=W2)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6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64, 74)는 가이드 홈(52, 54) 내에 삽입된 이후 가이드 홈(52, 54)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므로, 제1 플레이트(6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용부(25)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용부(25)는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의 교차에 의해 생기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의 공간으로, 그 내부에 휴대용 디스플레이(1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2)과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4)은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있다.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2)과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4) 사이는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플레이트(7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간격을 가질 수 있다.
기둥(50)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동일한 높이에 가이드 홈(52 혹은 54)이 형성되어 있어, 플레이트(60 혹은 70)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플레이트(60) 및 제2 플레이트(70)의 양 측부에는 복수의 위치조정용 홀(62, 72)이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위치조정용 홀(62)과 제2 위치조정용 홀(72)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있어 동일한 수평 위치에 있을 경우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 길이를 가지는 고정핀(80)이 서로 중첩된 제1 위치조정용 홀(62)과 제2 위치조정용 홀(72)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고정핀(80)은 제1 플레이트(60) 및 제2 플레이트(70)의 두께 합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기둥(50)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보관홈(82) 내에 보관되어 있을 수 있다.
평상시에는 보관홈(82) 내에 고정핀(80)이 끼워진 상태로 보관되며, 수용부(25)의 크기를 조절한 이후에는 보관홈(82) 내에 보관되어 있는 고정핀(80)을 빼내어 서로 교차하는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에 대해 중첩되는 위치조정용 홀(62, 72) 내에 끼움으로써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가 수용부(25) 내에 수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100)를 고정시킬 정도로 수평 이동한 이후에는 고정핀(80)을 이용하여 해당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 과정에서 수평 상태가 유지되지 않더라도 제1 플레이트(6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의 원치 않는 이동을 방지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100)가 고정된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는 고정핀(80)을 빼내어 보관홈(82) 내에 삽입시킴으로써 그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추후 사용 시에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 즉 제1 플레이트(60), 제2 플레이트(70), 기둥(50)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빛이 통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부 조명이 하부로 비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면에는 복수의 다리(30)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30)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타입으로,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타입 혹은 폴딩 스틱 타입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면에는 360도 회전이 가능한 힌지부(32)가 설치되어 있고, 힌지부(32)에는 다리(30)의 일 끝단이 18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다리(30)는 힌지부(32)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수평면(XY 평면)에 대해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수직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힌지축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자유로이 그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안정적인 수평 유지를 위해 다리(30)의 수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1)는 수용부(25)에 수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의 수평 이동에 의해 크기 조절된 수용부(25) 내에 휴대용 디스플레이(100)를 고정시킨 이후 그 상부를 덮어 줌으로써 수용부(25)와 휴대용 디스플레이(100)의 형상 차이에 따른 잔여 공간을 통해 발생하는 미세한 빛샘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플레이트(60) 혹은 제2 플레이트(70)의 상면에는 커버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커버 고정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어, 커버부의 양측 하부가 커버 고정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의 양측 하부와 커버 고정부의 결합 방식은 벨크로 방식으로, 둘 중 하나에는 갈고리 모양의 작은 돌기물이 달려 있고, 다른 하나에는 올가미 형태가 달려 있어 접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는 기둥(50)의 일 내측면에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2)이 형성되고 타 내측면에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4)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둥(50)의 일 측면 및 타 측면 모두에 2단으로 가이드 홈(52, 5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디스플레이(100)를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중심에 거치시키기 위해 한 쌍의 제1 플레이트(60) 및 한 쌍의 제2 플레이트(70)를 구비하여 서로 대칭되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평 이동 가능한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를 하나씩만 구비하고 있고, 나머지 부분에는 고정형 플레이트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1개의 제1 플레이트(60)와 1개의 제2 플레이트(70)만을 조정하여 수용부(25)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10: 베이스 플레이트
30: 다리 32: 힌지부
20: 크기 조절부 25: 수용부
100: 휴대용 디스플레이 50: 기둥
60: 제1 플레이트 62: 제1 위치조정용 홀
64: 제1 가이드 돌기 70: 제2 플레이트
72: 제2 위치조정용 홀 74: 제2 가이드 돌기
52, 54: 가이드 홈 80: 고정핀
82: 보관홈

Claims (8)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심에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전면패널이 아래를 향하도록 수용되는 수용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일정 높이이격시키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크기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코너에 설치되며, 내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기둥; 및
    양 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 상응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복수의 기둥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과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시 간섭하지 않도록 높이 차를 가지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교차에 의해 생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공간이되,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그 크기가 조절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 측부에는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위치조정용 홀 및 복수의 제2 위치조정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위치조정용 홀 중 하나와 상기 복수의 제2 위치조정용 홀 중 하나가 동일한 수평 위치에 있어 연통되는 경우 관통 삽입시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상기 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보관홈 내에 삽입 보관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일 끝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텔레스코픽 타입 혹은 폴딩 스틱 타입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KR2020140004424U 2014-06-12 2014-06-12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KR200478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24U KR200478172Y1 (ko) 2014-06-12 2014-06-12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24U KR200478172Y1 (ko) 2014-06-12 2014-06-12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172Y1 true KR200478172Y1 (ko) 2015-09-04

Family

ID=5434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424U KR200478172Y1 (ko) 2014-06-12 2014-06-12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17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071A (ko) 2015-01-09 2016-07-19 주식회사 이몰드 식품건조기
KR101834897B1 (ko) 2017-09-29 2018-03-06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도화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처리가 가능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20190001368A (ko) * 2017-06-27 2019-01-04 임광철 모듈 타입 모니터 스탠드
KR102202887B1 (ko) * 2020-08-19 2021-01-18 나이스레이저(주) 노트북 및 모니터가 안착되는 스탠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071A (ko) 2015-01-09 2016-07-19 주식회사 이몰드 식품건조기
KR20190001368A (ko) * 2017-06-27 2019-01-04 임광철 모듈 타입 모니터 스탠드
KR101964057B1 (ko) 2017-06-27 2019-04-01 임광철 모듈 타입 모니터 스탠드
KR101834897B1 (ko) 2017-09-29 2018-03-06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도화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처리가 가능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102202887B1 (ko) * 2020-08-19 2021-01-18 나이스레이저(주) 노트북 및 모니터가 안착되는 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2575B2 (en) Suppor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upport apparatus
KR200478172Y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US9089216B2 (en) Holder assembly
KR10209154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US928267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tand thereof
TWM526800U (zh) 可升降式支撐裝置
TW201503811A (zh) 電子裝置
US10098252B2 (en) Hing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ith a hinge device using a sliding position
CA2837945C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97420A (ko) 노트북용 접이식 거치대
KR101475490B1 (ko) 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듀얼 디스플레이장치
US8695939B2 (en) Stan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JP2004260819A (ja) 額縁を兼ねる薄型映像設備用フレーム装置
US9389497B2 (en) Micro-projection-display devices and adjustable display screens
KR20130027147A (ko)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
KR200485749Y1 (ko) 설치각도 가변형 이젤
BR102013033029A2 (pt) Dispositivo mostrador
KR10159186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드형 스마트폰 거치대 장치
KR20140058852A (ko) 다기능 받침대로 활용 가능한 독서대
KR200493615Y1 (ko) 영사기 및 스크린 거치대
KR101757212B1 (ko)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되는 테이블
KR101106723B1 (ko) 스크린과 프로젝터 일체형 프레임 이동장치
KR20160025784A (ko) 입체 영상 촬영 장치
US20070229781A1 (en) Projector and supporting structure thereof
JP2014093747A (ja) ミーティ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