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908A - 과실포집장치 - Google Patents

과실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908A
KR20170002908A KR1020150092835A KR20150092835A KR20170002908A KR 20170002908 A KR20170002908 A KR 20170002908A KR 1020150092835 A KR1020150092835 A KR 1020150092835A KR 20150092835 A KR20150092835 A KR 20150092835A KR 20170002908 A KR20170002908 A KR 20170002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collection
fruit
folding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218B1 (ko
Inventor
이강암
Original Assignee
이강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암 filed Critical 이강암
Priority to KR1020150092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2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과실나무의 기둥부에 근접 위치되는 바디부; 포집망이 지지된 상태로 바디부에 구성되고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회동시 포집망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면서 과실나무의 기둥부를 감싸도록 하여 과실나무의 과실이 포집망으로 낙하 및 포집되도록 하는 절첩포집부; 바디부에 구성되어 포집망의 중심부위로 포집되는 과실이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부; 및 바디부에 구성되어 바디부가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과실포집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과실포집장치{Fruit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과실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실나무의 하측 기둥을 감싸면서 접시형상으로 포집망이 펼쳐지도록 하고 포집망으로 낙하된 과실이 한 곳으로 집중 및 포집되도록 하여 과실의 포집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할 수 있는 과실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실이라 함은, 나무에서 열리는 열매 중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사과나 배 등의 과일류와 매실이나 대추 등의 견과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과일류의 경우에는 재배자가 이를 수확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즉, 과실나무의 크기가 그다지 크지 않아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직접 손으로 따내어 수확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수확이 가능하다.
그러나 매실이나 대추 등의 견과류는, 나무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일일이 나무에 올라 손으로 따낼 수 없어 대부분의 경우 나무에 진동을 가하여 흔들거나 별도의 타격용 장대 등을 통해 열매가 지면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방식을 이용하는데, 대개의 경우 낙하 지점이 일정하지 않아 낙하된 열매를 일일이 줍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 20-0327913호 등과 같이, 과실 수집망이 안출된 바 있다.
여기서, 종래의 과실포집장치는, 과실나무의 기둥부에 포설되고 일측단에 결합부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끼움부를 가지는 밴드와, 상기 밴드가 인입되어 관통되는 인입공이 일측단에 통공되고 타측단면에는 일정각도로 경사진 결합봉이 융착되며 상기 과실나무의 기둥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구비된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들의 결합부에 일측이 끼워져 과실나무의 기둥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된 제1지지봉들, 상기 제1지지봉들의 저면부에 일측이 용착된 제1연장봉들 및 상기 제1연장봉들의 타측단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조임구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제1지주봉들을 가지는 제1지지부와, 상기 그물망지지관들의 상단에 결합되고 중앙에 수집공이 형성되며 상기 과실나무의 기둥부를 따라 넓게 펼쳐진 그물망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과실나무의 둘레를 따라 그물망이 펼쳐지도록 한 후 그물망에 낙하된 과실이 중앙부측으로 포집되도록 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과실포집장치의 경우, 방사상으로 지지구가 끼워진 밴드가 과실나무의 기둥부에 위치시킨 후 지지구에 제1지지부가 소정 각도로 지면에 지탱된 상태에서 끼워지고 이어서 제2지지부가 제1지지부에 소정 각도로 지면에 지탱된 상태에서 끼워지며 이때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상측면에 그물망지지관에 의해 지지된 그물망이 방사상으로 펼쳐진 상태로 구성되도록 하는 복잡한 공정의 조립과정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고 이에, 수동적인 조립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과실포집장치의 경우, 과실나무 마다 옮겨 다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과실나무 마다 상기와 같이 과실포집장치가 조립 설치되어야 하고 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클레인 또는 트랙터 등과 같은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과실나무의 하측 기둥을 감싸면서 접시형상으로 포집망이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포집망으로 낙하된 과실의 포집시간이 단축되도록 함과 동시에, 과실나무 마다 이동하면서 과실의 포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과실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과실나무의 기둥부에 근접 위치되는 바디부; 포집망이 지지된 상태로 바디부에 구성되고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회동시 포집망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면서 과실나무의 기둥부를 감싸도록 하여 과실나무의 과실이 포집망으로 낙하 및 포집되도록 하는 절첩포집부; 및 바디부에 구성되어 바디부가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과실포집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과실포집장치는, 바디부에 구성되어 포집망의 중심부위로 포집되는 과실이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과실포집장치는, 바디부에 구성되어 과실나무에 진동을 가하여 과실이 포집망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첩포집부는, 포집망이 지지된 상태를 가지면서 바디의 상측부에 소정 간격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어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회동시 포집망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면서 과실나무의 기둥부를 감싸도록 하는 복수개의 절첩용폴대; 복수개의 절첩용폴대 중 바디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한 쌍의 절첩용구동폴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접시; 및 바디의 오목한 부위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접시에 타단이 편심 고정되며 피스톤 운동시 회동접시가 소정각도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되도록 하여 한 쌍의 절첩용구동폴대의 회동에 의해 복수개의 절첩용피동폴대들이 소정 각도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하여 포집망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거나 부채꼴형상의 원상태로 접혀지도록 하는 구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포클레인 또는 트랙터 등과 같은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과실나무의 하측 기둥을 감싸면서 접시형상으로 포집망이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포집망으로 낙하된 과실의 포집시간이 단축되도록 함과 동시에, 과실나무 마다 이동하면서 과실의 포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실포집장치를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과실포집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과실포집장치의 포집망이 펼쳐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도 1의 과실포집장치를 이용하여 과실을 포집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실포집장치를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과실포집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과실포집장치의 포집망이 펼쳐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과실포집장치를 이용하여 과실을 포집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실포집장치(100)는, U자 형상 또는 반원 길이의 호 형상을 가지며 과실나무(10)의 기둥부에 근접 위치되는 바디부(110), 포집망(120)이 지지된 상태로 바디부(110)에 구성되고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회동시 포집망(120)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면서 과실나무(10)의 기둥부를 감싸도록 하여 과실나무(10)의 과실이 포집망(120)으로 낙하 및 포집되도록 하는 절첩포집부(130), 바디부(110)에 구성되어 포집망(120)의 중심부위로 포집되는 과실이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부(140), 바디부(110)에 구성되어 과실나무(10)에 진동을 가하여 과실이 포집망(120)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진동부(150) 및 바디부(110)에 구성되어 바디부(110)가 포클레인 또는 트랙터 등과 같은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바디부(110)가 과실나무(10)의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결합부(160) 등을 포함한다.
바디부(110)는, 과실나무(10)의 기둥부에 근접 위치되며 상기 구성부들이 설치 구성되는 본체수단으로, U자 형상 또는 반원 길이의 호 형상을 가지는 바디(111)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디(111)가 U자 형상 또는 반원 길이의 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과실나무(10)의 기둥부가 오목한 부위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절첩포집부(130)의 펼침 동작에 의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는 포집망(120)의 중심부위에 과실나무(10)의 기둥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구조가 용이하게 설계되도록 할 수 있다.
절첩포집부(130)는, 포집망(120)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면서 과실나무(10)의 기둥부를 감싸도록 하여 과실나무(10)의 과실이 포집망(120)으로 낙하 및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수단으로, 포집망(120)이 지지된 상태를 가지면서 바디(111)의 상측부에 소정 간격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어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회동시 포집망(120)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면서 과실나무(10)의 기둥부를 감싸도록 하는 복수개의 절첩용폴대(131), 복수개의 절첩용폴대(131) 중 바디(111)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한 쌍의 절첩용구동폴대(131a)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접시(132) 및 바디(111)의 오목한 부위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접시(132)에 타단이 편심 고정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피스톤 운동시 회동접시(132)가 소정각도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되도록 하여 한 쌍의 절첩용구동폴대(131a)의 회동에 의해 복수개의 절첩용피동폴대(131b)들이 소정 각도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하여 포집망(120)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거나 부채꼴형상의 원상태로 접혀지도록 하는 실린더 타입의 구동링크(133) 등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절첩용폴대(131)는, 바디(111)의 가장자리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회동접시(132)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구동링크(133)의 구동시 회전되는 회동접시(132)에 의해 구동력을 가지게 되는 절첩용구동폴대(131a)와, 바디(111)의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오목한 부위까지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절첩용구동폴대(131a)의 구동력에 따라 회동되는 절첩용피동폴대(131b)로 구분되며, 이때, 각 폴대(131)에는 포집망(120)의 가장자리와 중간부위가 지지된 상태를 가지므로, 절첩용구동폴대(131a)의 구동 회동에 따라 나머지 절첩용피동폴대(131b)가 피동 회동하게 되고 이에 포집망(120)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거나 부채꼴형상의 원상태로 접혀지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절첩용구동폴대(131a)는, 포집망(120)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는 경우 상호간 대면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때, 상호간 대면되는 부위는 자성부재에 의해 상호간 자력결합되거나 또는 후크결합을 통해 대면상태가 지속되도록 하여 포집망(120)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절첩용구동폴대(131a)는 회동접시(132)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에 고정된 상태로 끼워져 회동접시(132)의 회동시 회동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경사부로 구성된다. 또한, 절첩용피동폴대(131b)는 바디(111)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로부터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경사부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절첩용폴대(131)는, 펼침 동작시 접시형상을 가지면서 과실나무(10)의 기둥부를 감쌀 수 있으며, 이때, 소정의 절곡각도를 통한 경사를 통하여 포집망(120)에 낙하된 과실들이 중심부로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링크(133)는, 후술된 결합부(160)의 어태치먼트가 차량 예를 들면, 포클레인 또는 트랙터 등의 연결링크 등에 결합시 포클레인 또는 트랙터로부터 유압호스를 통해 유압이 제공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절첩용폴대(131)의 펼침과 접힘 동작에 따른 포집망(120)의 펼침 또는 접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포집망(120)은, 상기와 같은 절첩용구동폴대(131)에 지지된 상태에서 접시형상으로 펼쳐지거나 부채꼴형상의 원상태로 접힘 동작되면서 낙하되는 과실이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부재로, 절첩용구동폴대(131)에 가장자리나 중간부위가 지지되고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는 그물망 등과 같은 네트(121), 네트(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까지 절개된 절개부위에 해당되고 절첩용폴대(131) 중 한 쌍의 절첩용구동폴대(131a)에 절개부위가 지지되어 네트(121)가 접시형상에서 부채꼴형상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절개부(122) 및 절개부(122)가 형성된 네트(121)의 중심부위에 해당되어 절개부(122)가 절첩용구동폴대(131a)의 접힘 동작에 의해 상호간 멀어져 네트(121)가 부채꼴형상으로 접혀지도록 신장되고 반대로 절첩용구동폴대(131a)의 펼침 동작에 의해 상호간 근접되면서 네트(121)가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도록 신축되며 이때 과실나무(10)의 기둥부가 네트(121)의 중심부위에 긴밀하게 위치되도록 과실나무(10)의 기둥부를 밴딩하는 밴드부(123)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절첩포집부(130)에 의하면, 바디부(110)의 오목한 부위에 과실나무(10)가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링크(133)의 구동에 따라 회동접시(132)의 회동시 부채꼴형상으로 접혀져 있던 절첩용폴대(131) 중 한 쌍의 절첩용구동폴대(131a)가 상호간 대면되도록 소정각도로 회동함에 따라 네트(121)의 절개부(122)가 상호간 근접하게 되고, 이에, 네트(121)를 지지하는 절첩용피동폴대(131b)가 소정 각도로 회동하게 되어 네트(121)가 접시형상으로 펼쳐지게 되며, 이때, 네트(121)의 중심부에 위치된 과실나무(10)의 기둥부에 밴드부(123)가 밴딩되어, 과실나무(10)로부터 낙하되는 과실이 네트(121)에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수거부(140)는, 바디부(110)에 구성되어 포집망(120)의 중심부위로 포집되는 과실이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수단으로, 바디(111)의 볼록한 부위 상측부로 연장 형성되고 네트(121)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수거공(124)에 연통되는 수거용피드(141)와, 수거용피드(141)로부터 일측 또는 양측 하부에 위치된 수거용박스(142)까지 연장되어 수거용피드(141)에 의해 수거된 네트(121)에 낙하된 과실이 수거용박스(143)로 수거되도록 하는 슬라이드(142)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거부(140)에 의하면, 포집망(120)의 네트(121)로 낙하되어 중심부의 수거공(124)으로 포집된 과실이 수거용박스(143)로 수거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과실을 줍지 않아도 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진동부(150)는, 바디부(110)에 구성되어 과실나무(10)에 진동을 가하여 과실이 포집망(120)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진동수단으로, 바디(111)의 하측부에 구성된 상태에서 오목한 부위로 일부분이 노출되어 바디(111)의 오목한 부위에 과실나무(10)의 기둥부가 근접시 과실나무(10)에 일정한 타격을 통해 진동을 가하는 바이브레이터(151)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이브레이터(151)는, 후술된 결합부(160)의 어태치먼트가 차량 예를 들면, 포클레인 또는 트랙터 등의 연결링크 등에 결합시 포클레인 또는 트랙터로부터 유압호스를 통해 유압이 제공되어 구동되거나 별도의 공압을 통해 구동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진동부(150)에 의하면, 절첩포집부(130)에 의해 포집망(120)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면서 과실나무(10)의 기둥부를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과실나무(10)에 진동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과실이 포집망(120)으로 낙하 및 포집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별도로 과실을 낙하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160)는, 바디부(110)에 구성되어 바디부(110)가 포클레인 또는 트랙터 등과 같은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바디부(110)가 과실나무(10)의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결합수단으로, 포클레인 또는 트랙터 등의 연결링크에 탈부착되기 위한 공지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결합부(160)에 의하면, 바디부(110)가 포클레인 또는 트랙터 등과 같은 차량에 탈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에 의해 해당 과실나무(10)의 위치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과실이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과실나무(10) 마다 과실포집장치가 설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그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실포집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결합부(160)를 통해 차량 등에 바디부(110)가 결합된 후 해당 과실나무(10)가 위치된 곳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과실나무(10)의 기둥부가 U자 형상 또는 반원 길이의 호 형상을 가지는 바디(111)의 오목한 부위에 위치된다.
이후, 차량 등으로부터 절첩포집부(130)와 진동부(150)에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도록 연결이 된다.
이후, 절첩포집부(130)의 구동링크(133)가 유압 등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회동접시(132)가 소정 각도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부채꼴형상으로 접혀져 있던 절첩용폴대(131) 중 한 쌍의 절첩용구동폴대(131a)가 상호간 대면되도록 소정각도로 회동함에 따라 포집망(120) 네트(121)의 절개부(122)가 상호간 근접하게 되며, 이에, 네트(121)를 지지하는 절첩용피동폴대(131b)가 소정 각도로 회동하게 되어 네트(121)가 접시형상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때, 네트(121)의 중심부에 위치된 과실나무(10)의 기둥부에 밴드부(123)가 밴딩된다.
이후, 진동부(150)의 바이브레이터(151)가 공압 또는 유압 등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과실나무(10)에 진동이 제공되고, 이에, 과실이 네트(121)로 낙하 및 포집된다.
이후, 포집망(120)의 네트(121)로 낙하되어 네트(121) 중심부의 수거공(124)으로 포집된 과실이 수거부(140)의 수거용피드(141)와 슬라이드(142)를 통하여 수거용박스(143)로 수거된다.
이후, 과실의 포집 및 수거가 완료된 후에는, 절첩포집부(130)의 구동링크(133)가 유압 등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회동접시(132)가 원래의 위치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접시형상으로 펼쳐져 있던 절첩용폴대(131) 중 한 쌍의 절첩용구동폴대(131a)가 상호간 대향되도록 멀어지면서 회동함에 따라 포집망(120) 네트(121)의 절개부(122)가 상호간 대향되면서 멀어지게 되며, 이에, 네트(121)를 지지하는 절첩용피동폴대(131b)가 원래의 각도로 회동하게 되어 네트(121)가 부채꼴형상으로 접혀지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바디부(110)의 오목한 부위에 과실나무(10)가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링크(133)의 구동에 따라 회동접시(132)의 회동시 부채꼴형상으로 접혀져 있던 포집망(120)이 과실나무(10)의 기둥부를 감싸면서 접시형상으로 펼쳐짐으로써, 과실나무(10)로부터 낙하되는 과실이 포집망(120)에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포집망(120)이 절첩포집부(130)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짐으로써, 포집망(120)의 포집 동작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에 구성되는 결합부(160)를 통해 포클레인 또는 트랙터 등과 같은 차량에 탈부착됨으로써, 과실나무(10)를 옮겨 다니면서 과실의 수확 및 포집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비용과 시간이 절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에 구성되는 진동부(150)에 의해 과실나무(10)에 진동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과실의 낙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과실나무(10)의 기둥부에 근접 위치되는 바디부(110);
    포집망(120)이 지지된 상태로 바디부(110)에 구성되고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회동시 포집망(120)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면서 과실나무(10)의 기둥부를 감싸도록 하여 과실나무(10)의 과실이 포집망(120)으로 낙하 및 포집되도록 하는 절첩포집부(130); 및
    바디부(110)에 구성되어 바디부(110)가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바디부(110)에 구성되어 포집망(120)의 중심부위로 포집되는 과실이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포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바디부(110)에 구성되어 과실나무(10)에 진동을 가하여 과실이 포집망(120)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진동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포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절첩포집부(130)는,
    포집망(120)이 지지된 상태를 가지면서 바디(111)의 상측부에 소정 간격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어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회동시 포집망(120)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면서 과실나무(10)의 기둥부를 감싸도록 하는 복수개의 절첩용폴대(131);
    복수개의 절첩용폴대(131) 중 바디(111)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한 쌍의 절첩용구동폴대(131a)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접시(132); 및
    바디(111)의 오목한 부위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접시(132)에 타단이 편심 고정되며 피스톤 운동시 회동접시(132)가 소정각도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되도록 하여 한 쌍의 절첩용구동폴대(131a)의 회동에 의해 복수개의 절첩용피동폴대(131b)들이 소정 각도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하여 포집망(120)이 접시형상으로 펼쳐지거나 부채꼴형상의 원상태로 접혀지도록 하는 구동링크(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포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절첩용구동폴대(131a)는,
    상호간 대면시 자력결합을 통해 대면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포집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포집망(120)은,
    절첩용구동폴대(131)에 가장자리나 중간부위가 지지되고 접시형상으로 펼쳐지는 네트(121)와;
    네트(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까지 절개된 절개부위에 해당되고 절첩용폴대(131) 중 한 쌍의 절첩용구동폴대(131a)에 절개부위가 지지되어 네트(121)가 접시형상에서 부채꼴형상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절개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포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포집망(120)은,
    절개부(122)가 형성된 네트(121)의 중심부위에 해당되어 과실나무(10)의 기둥부가 네트(121)의 중심부위에 긴밀하게 위치되도록 과실나무(10)의 기둥부를 밴딩하는 밴드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포집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수거부(140)는,
    바디(111)의 볼록한 부위 상측부로 연장 형성되고 네트(121)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수거공(124)에 연통되는 수거용피드(141)와;
    수거용피드(141)로부터 일측 또는 양측 하부에 위치된 수거용박스(142)까지 연장되어 수거용피드(141)에 의해 수거된 네트(121)에 낙하된 과실이 수거용박스(143)로 수거되도록 하는 슬라이드(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포집장치.
KR1020150092835A 2015-06-30 2015-06-30 과실포집장치 KR10171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835A KR101718218B1 (ko) 2015-06-30 2015-06-30 과실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835A KR101718218B1 (ko) 2015-06-30 2015-06-30 과실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08A true KR20170002908A (ko) 2017-01-09
KR101718218B1 KR101718218B1 (ko) 2017-03-21

Family

ID=5781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835A KR101718218B1 (ko) 2015-06-30 2015-06-30 과실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2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0187A (zh) * 2017-12-28 2018-04-24 王天忆 一种气动式豆类采摘装置
CN108811730A (zh) * 2018-04-27 2018-11-16 青岛农业大学 果树摘果装置
KR102577679B1 (ko) * 2023-01-30 2023-09-12 파스코이엔지(주) 과실수 낙과 유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70Y1 (ko) * 2017-04-10 2018-10-30 백순관 과실수 수확장치
KR101901431B1 (ko) 2018-07-24 2018-09-21 주식회사 아이엘오퍼레이션 낙과 방지 장치
KR20230143275A (ko) 2022-04-05 2023-10-12 윤윤구 과실수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146A (ko) * 2009-12-07 2011-06-15 김형섭 낙과수거장치
KR20120024307A (ko) * 2010-09-06 2012-03-14 강병재 과실 수집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146A (ko) * 2009-12-07 2011-06-15 김형섭 낙과수거장치
KR20120024307A (ko) * 2010-09-06 2012-03-14 강병재 과실 수집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0187A (zh) * 2017-12-28 2018-04-24 王天忆 一种气动式豆类采摘装置
CN108811730A (zh) * 2018-04-27 2018-11-16 青岛农业大学 果树摘果装置
CN108811730B (zh) * 2018-04-27 2024-02-20 青岛农业大学 果树摘果装置
KR102577679B1 (ko) * 2023-01-30 2023-09-12 파스코이엔지(주) 과실수 낙과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218B1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218B1 (ko) 과실포집장치
US20160120124A1 (en) Harvesting machine for formally trained orchards
KR101748148B1 (ko)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KR20110113072A (ko) 견과류 수확물 포집장치
CN106718172A (zh) 园艺修剪装置
KR101315830B1 (ko) 과일 수확장치
CN108781755A (zh) 一种便捷型水果采摘装置
CN211531880U (zh) 采收机和加工装置
CN220476338U (zh) 一种便于调节切割方向的除草机
KR101553959B1 (ko) 꽃가루 채취기
EP1488678B1 (en) Remote controlled helicopter
US7069713B2 (en) Harvester of olives
KR101193641B1 (ko) 농작물 채취기
KR200487770Y1 (ko) 과실수 수확장치
CN210746129U (zh) 倒伞式红枣收集机构
US3555799A (en) Tree shaking mechanism
CN112715156A (zh) 一种摇曳收集设备
CN207911308U (zh) 一种农用大豆播种机
FR2488777A1 (fr) Chassis - serre
US3248865A (en) Fruit and nut harvester
JPH11168948A (ja) 樹木用落下物受け集めネット及びその使用方法
CN215454087U (zh) 一种自动化花生种子脱粒除尘装置
EP10704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cking olives from the tree
CN210868828U (zh) 一种大枣采收装置
CN112970492B (zh) 一种农业生产用大蒜出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