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573U -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573U
KR20170000573U KR2020150005213U KR20150005213U KR20170000573U KR 20170000573 U KR20170000573 U KR 20170000573U KR 2020150005213 U KR2020150005213 U KR 2020150005213U KR 20150005213 U KR20150005213 U KR 20150005213U KR 20170000573 U KR20170000573 U KR 201700005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w water
hole
unit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춘
Original Assignee
김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춘 filed Critical 김광춘
Priority to KR2020150005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573U/ko
Publication of KR201700005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01D35/046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the filtering element being mounted in the faucet plu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01D35/303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the housings being modular, e.g. standardi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꼭지에 연결하여 원수를 정수로 정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도꼭지로부터 원수를 유입 받도록 하기 위해서 수도꼭지에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장치부; 연결장치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정수시켜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장치부; 및 연결장치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정수장치부에 연결 설치되어, 연결장치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차단 또는 유출시켜 주거나, 정수장치부로 배출시키고, 정수장치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유출시켜 주기 위한 밸브장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CONNECTABLE FAUCET}
본 고안은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꼭지에 연결하여 원수를 정수로 정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 장치는, 물속에 함유된 중금속이나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정수필터 시스템이 설치된다. 정수필터 시스템에서 여과된 물은 정수탱크를 통해 냉수탱크와 온수탱크에 공급되거나 또는 곧 바로 냉수탱크와 온수탱크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필터 시스템은 다수의 정수필터가 튜브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정수필터란 음용수에 포함된 부유물과 유해 세균을 제거하여 식수에 적합하도록 정수하는 것으로, 전처리필터, 카본필터, 한외여과막필터, 역삼투막필터를 차례로 거치며 정수되도록 한 것이 일반적이다.
정수 장치는 정수방식에 따라, 역삼투막을 이용하는 역삼투방식, 펌프를 이용하여 물에 강제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순수한 물분자를 반투막에 통과시키고 이물질을 거르는 반투막 정수방식, 가운데가 비어 있는 섬유관이 수천 다발로 묶인 중공사막 정수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한국등록실용실안 제20-1073127호(1999.12.16. 실용실안)는 가정용 정수기 연결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필터를 내장하며 일측을 정수기에 연결하기 위한 호스연결부를 가지는 몸체와, 몸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나사 맞춤되는 플랜지부와, 타단에 정수기로 통하는 수로를 통제하기 위한 조절수단을 갖는 수로조절부와, 수로조절부에 대하여 직각되게 형성되며 수도의 냉수배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냉, 온수의 혼합방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체크밸브에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배수공사를 요구하지 않으며, 손쉽게 설치할 수가 있으며, 또한 연결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금속 어댑터와 금속 연결관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요경비 절감 및 미관상 미려함을 도모할 수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실안 제20-0417359호(2006.05.22. 실용실안)는 정수도 가능하며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알칼리 환원수를 만들 뿐 아니라 일반 싱크대의 꼭지에서 정수 된 물과 일반 물을 교대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함을 가져오고, 성인병질환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주방용 알카 환원 정수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물의 클러스터를 작게 하기 위한 자화장치의 구조의 것과, 물을 알칼리화하기 위한 알카 환원필터와, 음이온활성화를 위한 필터로서, 저수조와 물을 공급키 위한 펌프와, 물의 유입을 차단 혹은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로 형성 된 것과 물의 공급호스를 연결하는 부위의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정수 장치는, 수도꼭지에 바로 연결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원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녹물을 제거하기 어려우며,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를 유출할 수 있는 유출구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성이 없으며, 이에 높은 비용부담을 꺼리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정수 장치는, 대부분 싱크대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여 수압이 센 경우에 별도의 감압밸브를 필요로 하며, 내부에 장착된 정수필터를 손쉽게 교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실안 제20-1073127호 한국등록실용실안 제20-0417359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꼭지에 연결한 다음 정수필터를 통해 원수를 정수로 정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수도꼭지로부터 원수를 유입 받도록 하기 위해서 수도꼭지에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장치부; 상기 연결장치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정수시켜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장치부; 및 상기 연결장치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정수장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결장치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차단 또는 유출시켜 주거나, 상기 정수장치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정수장치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유출시켜 주기 위한 밸브장치부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밸브장치부는, 상기 연결장치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정수장치부가 측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시킨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장치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차단 또는 유출시켜 주거나, 상기 정수장치부로 전달시켜 주기 위한 볼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볼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볼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밸브장치부는, 상기 몸체부재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볼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원수를 상기 정수장치부로 배출하기 위한 원수배출구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정수장치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유입하기 위한 정수유입구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볼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원수 또는 상기 정수유입구부재로부터 유입되는 정수를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유출구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 상기 몸체부재와의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몸체부재와 결합 시에 충격을 막아주기 위한 오링; 상기 오링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몸체부재로부터 유출되는 원수 또는 정수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와류형성수단; 및 상기 와류형성수단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와류형성수단으로부터 와류 형성된 원수 또는 정수를 걸러주기 위한 다수 개의 거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볼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결장치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유출시켜 주기 위한 원수관통홀; 및 일 측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결장치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상기 정수장치부로 전달시켜 주기 위한 정수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몸체부재의 관통홀은, 상부의 크기가 상기 원수관통홀와 상기 정수관통홀의 사이 간격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관통홀은, 상부가 상기 몸체부재의 관통홀에 위치하고, 하부가 상기 원수배출구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장치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상기 원수배출구로 전달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볼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결장치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유출시켜 주기 위한 원수관통홀; 및 일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장치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상기 정수장치부로 전달시켜 주기 위한 정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장치부는, 상기 원수배출구부재로부터 배출된 원수를 전달받기 위한 다수 개의 필터 지지용 모듈; 상기 필터 지지용 모듈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필터 지지용 모듈에 전달받은 원수를 정수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 지지용 모듈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재를 보호하는 다수 개의 모듈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장치부는, 상기 필터 지지용 모듈 사이에 장착 설치하여, 싱크대 벽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도꼭지에 연결한 다음 정수필터를 통해 원수를 정수로 정수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원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녹물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으며, 원수와 정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동일하여, 종래의 정수장치보다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성이 있으며, 이에 높은 비용부담을 꺼리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정수 장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싱크대 벽에 거치대를 설치하여 별도의 감압밸브가 없어도 감압의 효과가 있으며, 싱크대 벽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정수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밸브장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유출구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볼부재의 제1예와 관통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볼부재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정수장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100)는, 연결장치부(110), 정수장치부(120), 밸브장치부(130)를 포함한다.
연결장치부(110)는, 하부에 밸브장치부(130)를 연결 형성하며, 수도꼭지로부터 원수(온수 또는 냉수)를 유입 받도록 하기 위해서 수도꼭지에 연결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장치부(110)는, 예를 들어 코브라용 혹은 자바라용 등 다양한 형태의 수도꼭지에 사용할 수 있다.
정수장치부(120)는, 밸브장치부(130)를 연결 설치하며,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정수시켜 정수를 공급해 준다.
밸브장치부(130)는, 연결장치부(11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정수장치부(120)에 연결 설치되어,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차단 또는 유출시켜 주거나, 정수장치부(120)로 배출시키고, 정수장치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유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100)는, 수도꼭지에 연결한 다음 정수필터를 통해 원수를 정수로 정수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원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녹물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으며, 원수와 정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동일하여, 종래의 정수장치보다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성이 있으며, 이에 높은 비용부담을 꺼리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밸브장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밸브장치부(130)는, 몸체부재(131), 볼부재(132), 레버부재(133)를 포함한다.
몸체부재(131)는, 연결장치부(11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정수장치부(120)(도 1 참조)가 측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1311)을 형성하며, 측면에 레버부재(133)가 관통 형성된다.
볼부재(132)는, 레버부재(133)가 연결 설치되고, 몸체부재(131)의 관통홀(1311)에 설치되어,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차단 또는 유출시켜 주거나, 정수장치부(120)로 전달시켜 준다.
레버부재(133)는, 몸체부재(131)의 측면을 관통하여 볼부재(132)에 연결 설치되어, 볼부재(132)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레버부재(133)는, 돌출 형성된 제1걸림돌기(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제2걸림돌기(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몸체부재(131)에 관통 형성된 걸림턱(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레버부재(133)는, 예를 들어 레버각도가 0ㅀ~ 20ㅀ(바람직하게는, 제1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렸을 때)일 때,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유출구부재(136)로 유출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레버부재(133)는, 예를 들어 레버각도가 20ㅀ~ 40ㅀ(바람직하게는, 30ㅀ)일 때,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차단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레버부재(133)는, 예를 들어 레버각도가 40ㅀ~ 90ㅀ(바람직하게는, 제2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렸을 때)일 때, 완전히 개방되어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정수장치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밸브장치부(130)는, 원수배출구부재(134), 정수유입구부재(135), 유출구부재(136)를 더 포함한다.
원수배출구부재(134)는, 몸체부재(131)의 측면(즉, 정수관통홀(13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볼부재(132)로부터 전달되는 원수를 정수장치부(120)로 배출해 준다.
정수유입구부재(135)는, 몸체부재(131)의 측면(즉, 볼부재(132)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정수장치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유입한다.
유출구부재(136)는, 몸체부재(131)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볼부재(132)로부터 전달되는 원수 또는 정수유입구부재(135)로부터 유입되는 정수를 유출해 준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유출구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출구부재(136)는, 체결수단(1361), 오링(1362), 와류형성수단(1363), 다수 개의 거름망(1364)을 포함한다.
체결수단(1361)은, 몸체부재(131)와 유출구부재(136)의 사이를 체결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수단(1361)은, 몸체부재(131)하부와 유출구부재(136)의 상부에 형성되어, 몸체부재(131)와 유출구부재(136)의 사이를 체결할 수 있다.
오링(1362)은, 몸체부재(131)와의 사이에 설치하여, 몸체부재(131)와 결합 시에 충격을 막아준다.
와류형성수단(1363)은, 오링(1362)의 하부에 설치하여, 몸체부재(131)로부터 유출되는 원수 또는 정수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와류형성수단(1363)은, 상부 중앙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돌기(13631)와 측면에 관통 형성된 다수 개의 홀(13632)과 측면에 형성된 커버(13633)와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된 제2돌기(136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와류형성수단(1363)은, 유출구부재(136)로 유입된 원수 또는 정수를 상부 중앙에 형성된 제1돌기(13631)에 부딪히게 함으로써 원수 또는 정수를 분사시켜 와류 현상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와류형성수단(1363)은, 와류 현상이 일어난 원수 또는 정수를 측면에 관통 형성된 홀(13632)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유출시킬 수 있으며, 이때에 원수 또는 정수를 측면에 형성된 커버(13633)와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된 제2돌기(13634)에 의해 중앙 부분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거름망(1364)은, 와류형성수단(1363)의 하부에 설치하여, 와류형성수단(1363)으로부터 와류 형성된 원수 또는 정수를 걸러준다.
도 4는 도 2에 있는 볼부재의 제1예와 관통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볼부재(132)는, 원수관통홀(1321), 정수관통홀(1322)을 포함한다.
원수관통홀(1321)은, 볼부재(132)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유출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원수관통홀(1321)은, 볼부재(132)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몸체부재(131)의 관통홀(1311)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혹은 작거나 크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관통홀(1311)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유출구부재(136)로 원활하게 유출시켜 줄 수 있다.
정수관통홀(1322)은, 볼부재(132)의 일 측부에 관통 형성되어,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정수장치부(120)로 전달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정수관통홀(1322)은, 상부가 몸체부재(131)의 관통홀(1311)에 위치하고, 하부가 원수배출구부재(134)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여,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원수배출구부재(134)로 전달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원수관통홀(1321)과 정수관통홀(1322)은, 볼부재(132)에서 서로 겹치는 부분이 없도록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1311)은, 상부의 크기가 원수관통홀(1321)과 정수관통홀(1322)의 사이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홀(1311)은, 상부의 크기가 원수관통홀(1321)과 정수관통홀(1322)의 사이 간격보다 좁도록 형성되어, 레버부재(133)를 예를 들어 20ㅀ~ 40ㅀ(바람직하게는, 30ㅀ)돌렸을 경우에 차단되어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유출구부재(136)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홀(1311)은, 상부의 크기가 원수관통홀(1321)과 정수관통홀(1322)의 사이 간격과 동일하거나 넓게 형성될 경우에, 레버부재(133)를 예를 들어 20ㅀ~ 40ㅀ(바람직하게는, 30ㅀ)돌리게 되면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원수관통홀(1321) 또는 정수관통홀(1322)로 샐 수 있기 때문에 원수를 차단할 수 없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홀(1311)은, 상부의 크기가 원수관통홀(132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혹은 작거나 크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수관통홀(132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홀(1311)은, 상부의 크기가 정수관통홀(132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혹은 작거나 크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수관통홀(1322)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100)는, 레버부재(133)를 돌리지 않았을 경우(즉, 볼부재(132)가 회전하지 않았을 경우)에 원수관통홀(1321)과 관통홀(1311)이 일치하게 되고 정수관통홀(1322)만 차단되며,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원수관통홀(1321)을 통해 흘러 유출구부재(136)로 유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100)는, 레버부재(133)를 예를 들어 20ㅀ~ 40ㅀ(바람직하게는, 30ㅀ)돌렸을 경우에 볼부재(132)가 회전하게 되고, 원수관통홀(1321)과 정수관통홀(1322)의 사이 부분이 관통홀(1311)에 위치하여 원수관통홀(1321)과 정수관통홀(1322)이 차단되며,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유출구부재(136)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100)는, 레버부재(133)를 예를 들어 40ㅀ~ 90ㅀ(바람직하게는, 제2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렸을 때)돌렸을 경우에 볼부재(132)가 회전하게 되고, 원수관통홀(1321)만 차단되며, 정수관통홀(1322)과 관통홀(1311)이 일치하게 되어,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정수관통홀(1322)을 통해 원수배출구부재(134)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있는 볼부재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볼부재(132)는, 원수관통홀(1321), 정수홈(1323)을 포함하며, 여기서 원수관통홀(1321)은 도 4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원수관통홀(1321)은, 볼부재(132)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유출시켜 준다.
정수홈(1323)은, 볼부재(132)의 일 측부에 형성되어,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정수장치부(120)(도 1 참조)로 전달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정수홈(1323)은, 몸체부재(131)의 관통홀(1311)과 원수배출구부재(134)에 유출구부재(136)로 유입된 원수를 정수장치부(120)로 전달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여,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원수배출구부재(134)로 전달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원수관통홀(1321)과 정수홈(1323)은, 볼부재(132)에서 서로 겹치는 부분이 없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정수장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수장치부(120)는, 다수 개의 필터 지지용 모듈(121), 다수 개의 필터부재(122), 다수 개의 모듈 하우징(123)을 포함한다.
필터 지지용 모듈(121)은, 필터부재(122)와 모듈 하우징(123)을 연결 설치하며, 원수배출구부재(134)(도 2 참조)로부터 배출된 원수를 전달받는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 지지용 모듈(121)은, 필터부재(122)가 결합되어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 지지용 모듈(121)은, 다수 개의 유입부재(1211), 다수 개의 배출부재(1212), 다수 개의 필터지지부재(1213), 다수 개의 조립홀(1214), 다수 개의 조립돌기(1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입부재(1211)는, 필터 지지용 모듈(121)의 측면에 형성되어, 원수배출구부재(134)로부터 배출된 원수를 유입하거나 배출부재(1212)부터 배출된 원수를 유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출부재(1212)는, 필터 지지용 모듈(121)의 측면(즉, 유입부재(1211)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반대편에 위치한 유입부재(1211)부터 유입된 원수를 체결된 유입부재(1211)로 배출시키거나 정수유입구부재(135)(도 2 참조)로 공급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출부재(1212)는, 유입부재(1211)와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필터 지지용 모듈(121)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지지부재(1213)는, 필터 지지용 모듈(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필터부재(122)가 탈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립홀(1214)은, 필터 지지용 모듈(121)의 측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립돌기(1215)는, 모듈 하우징(123)의 일측 단부에(즉, 조립홀(1214)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조립홀(1214)과 조립할 수 있다.
필터부재(122)는, 필터 지지용 모듈(121)과 연결 설치되어, 필터 지지용 모듈(121)에 전달받은 원수를 정수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부재(122)는, 필터지지부재(1213)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혹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123)은, 필터 지지용 모듈(121)과 연결 설치되며, 필터부재(122)를 보호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모듈 하우징(123)은, 내부 투시가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외부에서 필터부재(122)의 오염정도를 확인하기가 용이하여 쉽게 필터부재(122)의 교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정수장치부(120)는, 원수배출구부재(134)로부터 배출된 원수를 유입부재(1211)로부터 유입하여 유입된 원수가 필터부재(122)의 외부에서 필터부재(122)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여 원수를 정수시켜 배출부재(1212)로 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정수장치부(120)는, 필터 지지용 모듈(121)에 형성된 조립홀(1214)에 모듈 하우징(123)에 형성된 조립돌기(1215)를 돌려서 한 번에 체결할 수 있어, 종래의 나사방식의 체결보다 수월하게 필터 지지용 모듈(121)과 모듈 하우징(123)을 체결할 수 있으며, 필터부재(122) 또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정수장치부(120)는, 거치부재(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재(124)는, 필터 지지용 모듈(121) 사이에 장착 설치하여, 싱크대 벽에 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재(124)는, 다수 개의 체결수단(1241)과 다수 개의 압착수단(12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수단(1241)은, 예를 들어 갈고리를 사용하여, 필터 지지용 모듈(121) 사이(즉, 유입부재(1211)와 배출부재(1212)가 체결된 부분)를 체결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착수단(1242)은, 예를 들어 압착고무를 사용하여, 체결수단(1241)과 연결 설치하며, 필터 지지용 모듈(121)을 싱크대 벽에 부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100)는, 정수 장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싱크대 벽에 거치수단(124)을 설치하여 별도의 감압밸브가 없어도 감압의 효과가 있으며, 싱크대 벽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필터부재(122)를 교체할 수 있어, 비용 증가와 자원 낭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110: 연결장치부
120: 정수장치부
121: 필터 지지용 모듈
1211: 유입부재
1212: 배출부재
1213: 필터지지부재
1214: 조립홀
1215: 조립돌기
122: 필터부재
123: 모듈 하우징
124: 거치부재
1241: 체결수단
1242: 압착수단
130: 밸브장치부
131: 몸체부재
1311: 관통홀
132: 볼부재
1321: 원수관통홀
1322: 정수관통홀
1323: 정수홈
133: 레버부재
134: 원수배출구부재
135: 정수유입구부재
136: 유출구부재
1361: 체결수단
1362: 오링
1363: 와류형성수단
13631: 제1돌기
13632: 홀
13633: 커버
13634: 제2돌기
1364: 거름망

Claims (10)

  1. 수도꼭지로부터 원수를 유입 받도록 하기 위해서 수도꼭지에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장치부(110);
    상기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정수시켜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장치부(120); 및
    상기 연결장치부(11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정수장치부(12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차단 또는 유출시켜 주거나, 상기 정수장치부(120)로 배출시키고, 상기 정수장치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유출시켜 주기 위한 밸브장치부(130)를 포함하는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부(130)는,
    상기 연결장치부(11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정수장치부(120)가 측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1311)을 형성시킨 몸체부재(131);
    상기 몸체부재(131)의 관통홀(1311)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차단 또는 유출시켜 주거나, 상기 정수장치부(120)로 전달시켜 주기 위한 볼부재(132); 및
    상기 몸체부재(131)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볼부재(132)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볼부재(132)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레버부재(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부(130)는,
    상기 몸체부재(131)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볼부재(132)로부터 전달되는 원수를 상기 정수장치부(120)로 배출하기 위한 원수배출구부재(134);
    상기 몸체부재(131)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정수장치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유입하기 위한 정수유입구부재(135); 및
    상기 몸체부재(131)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볼부재(132)로부터 전달되는 원수 또는 상기 정수유입구부재(135)로부터 유입되는 정수를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부재(1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부재(136)는,
    상기 몸체부재(131)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1361);
    상기 몸체부재(131)와의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몸체부재(131)와 결합 시에 충격을 막아주기 위한 오링(1362);
    상기 오링(1362)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몸체부재(131)로부터 유출되는 원수 또는 정수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와류형성수단(1363); 및
    상기 와류형성수단(1363)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와류형성수단(1363)으로부터 와류 형성된 원수 또는 정수를 걸러주기 위한 다수 개의 거름망(13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재(132)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유출시켜 주기 위한 원수관통홀(1321); 및
    일 측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상기 정수장치부(120)로 전달시켜 주기 위한 정수관통홀(13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31)의 관통홀(1311)은,
    상부의 크기가 상기 원수관통홀(1321)과 상기 정수관통홀(1322)의 사이 간격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관통홀(1322)은,
    상부가 상기 몸체부재(131)의 관통홀(1311)에 위치하고, 하부가 상기 원수배출구부재(134)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상기 원수배출구로 전달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재(132)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유출시켜 주기 위한 원수관통홀(1321); 및
    일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장치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상기 정수장치부로 전달시켜 주기 위한 정수홈(13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치부(120)는,
    상기 원수배출구부재(134)로부터 배출된 원수를 전달받기 위한 다수 개의 필터 지지용 모듈(121);
    상기 필터 지지용 모듈(121)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필터 지지용 모듈(121)에 전달받은 원수를 정수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필터부재(122); 및
    상기 필터 지지용 모듈(121)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재(122)를 보호하는 다수 개의 모듈 하우징(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치부(120)는,
    상기 필터 지지용 모듈(121) 사이에 장착 설치하여, 싱크대 벽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1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장치.
KR2020150005213U 2015-08-04 2015-08-04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KR201700005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213U KR20170000573U (ko) 2015-08-04 2015-08-04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213U KR20170000573U (ko) 2015-08-04 2015-08-04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73U true KR20170000573U (ko) 2017-02-14

Family

ID=5840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213U KR20170000573U (ko) 2015-08-04 2015-08-04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57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61858B (zh) * 2018-05-31 2019-06-11 保佳利實業有限公司 功能水製造機構
CN110548332A (zh) * 2018-05-31 2019-12-10 保佳利实业有限公司 功能水制造结构的前置过滤龙头
KR102135849B1 (ko) * 2019-09-03 2020-07-21 주식회사 위가메이드 싱크대 수전용 언더싱크 정수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359Y1 (ko) 2006-01-05 2006-05-26 정상학 주방용 알카 환원 정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359Y1 (ko) 2006-01-05 2006-05-26 정상학 주방용 알카 환원 정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61858B (zh) * 2018-05-31 2019-06-11 保佳利實業有限公司 功能水製造機構
CN110548332A (zh) * 2018-05-31 2019-12-10 保佳利实业有限公司 功能水制造结构的前置过滤龙头
KR102135849B1 (ko) * 2019-09-03 2020-07-21 주식회사 위가메이드 싱크대 수전용 언더싱크 정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7063A1 (en) Fluid Flow Interruption Means for Filter of Water Purifier
KR101325448B1 (ko) 개량된 필터조립체
KR20170000573U (ko)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CN201593626U (zh) 滤网清洗阀
SG162758A1 (en) Strainer assembly
CN204573184U (zh) 多功能淋浴龙头
KR101776256B1 (ko) 관로일체형 덮개가 구비되는 정수기
RU2009102514A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и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такой системы
WO2012140526A2 (en) A tap group for dispensing a filtered liquid and a non- filtered liquid
CN205616612U (zh) 一种具有自洁式净水功能的管线饮水机
KR20180111169A (ko) 수전 및 조리수밸브에 동시에 사용가능한 직수형 정수기
JP4420524B2 (ja) 水質改善装置
CN208990376U (zh) 一种龙头净水机
CN110433547B (zh) 一种可反向冲洗过滤器及其控制方法
CN210218800U (zh) 便于拆装滤芯的混水阀
JP4113503B2 (ja) バイパス機能付き浄水器
CN108328792B (zh) 智能过滤净化水机及其使用方法
KR20090053968A (ko) 정수기 연결장치와 정수선택 제어장치를 가진 수도꼭지
JP3137167U (ja) 浄水器
JP3951227B2 (ja) 浄水システム
KR20160112902A (ko) 사이드 어댑터의 벌어짐 방지장치가 구비되는 정수기
CN210065228U (zh) 一种用于热饮机和***的一体化龙头装置
CN210302641U (zh) 一种水龙头式***
CN216822850U (zh) 一种净水机
JP4833756B2 (ja) 混合水栓と浄水器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