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444A - 전기 차폐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차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444A
KR20160140444A KR1020160064073A KR20160064073A KR20160140444A KR 20160140444 A KR20160140444 A KR 20160140444A KR 1020160064073 A KR1020160064073 A KR 1020160064073A KR 20160064073 A KR20160064073 A KR 20160064073A KR 20160140444 A KR20160140444 A KR 20160140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shield
conducto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 엘. 립탁
브루스 디. 테일러
레슬리 엘. 존스
윌리암 제이. 팜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4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using a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cable-accommodating recesses or b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3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using twisted pairs of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01B11/10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 H01B11/1091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with screen grounding means, e.g. drai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4Connection of shield to additional grounding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5Twisted pair of conductors surrounded by shield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차폐 커넥터(172)는 도전성 와이어(102) 및 도전성 와이어(102)를 종방향으로 둘러싸는 차폐 도전체(124)를 갖는 차폐된 케이블(100)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차폐 커넥터(172)는 대응하는 정합 전기 차폐 커넥터(174)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 및 차폐 도전체(124)의 단부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부착부(180)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도전성 와이어(102)에 부착된 전기 단자(160)를 둘러싸는 슈라우드를 형성한다. 케이블 부착부(180) 및/또는 그로부터 돌출하는 크림프 날개부(176)는 차폐 커넥터(124)에 접촉하여 그것을 만입시키도록 구성되는 돌출부(244)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차폐 커넥터(172)를 차폐 도전체(124)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케이블 부착부(180)는 또한 다수의 장사방형 형상 오목부를 갖는 널형 패턴(246)과 같은 케이블 부착부(180)의 내면에 널형 패턴(246)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차폐 커넥터{ELECTRICAL SHIELD CONNECTOR}
본 출원은 2015년 5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2/167,372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전기 차폐 커넥터, 특히 차폐된 와이어 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차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데이터 프로세서 속도의 증가는 데이터 전송 속도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디지털 데이터 프로세서에 전자 부품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 전송 매체는 다양한 부품들 사이에서 고속 디지털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연결되는 구성요소들이 고정 위치에 있고 비교적 근접하여 있는, 예를 들어 100 미터 미만만큼 분리되어 있는 용례에는 광파이버 케이블, 동축 케이블 또는 연선 케이블(twisted pair cable)과 같은 와이어형 매체가 적합할 수도 있다. 광파이버 케이블은 거의 100 기가비트 퍼 세컨드(Gb/s)까지의 데이터율을 지원할 수 있는 전송 매체를 제공하고 전자기 간섭에 실제적으로 내성이 있다. 동축 케이블은 10 Gb/s까지 데이터 전송율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지원하고 전자기 간섭에 대해 양호한 내성을 갖는다. 연선 케이블은 5 Gb/s를 넘는 데이터율을 지원할 수 있지만, 이들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전송 라인 또는 수신 라인에 전용된 케이블 내에 다수의 연선을 필요로 한다. 연선 케이블의 도전체는 케이블 내의 연선을 위한 차폐부를 포함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는 전자기 간섭에 대한 양호한 저항을 제공한다.
범용 직렬 버스(USB) 3.0 및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1.4와 같은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은 5 Gb/s 이상의 데이터 전송율을 필요로 한다. 광파이버 및 연선 케이블의 양자 모두는 이들 전송율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광파이버 케이블은 연선보다 취약하고(필드 서비스를 필요로 함) 상당히 더 고가여서, 이들 광파이버 케이블을 높은 데이터 전송율 및 전자기 간섭 내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용 민감성 용례에 대해 덜 매력적이게 한다.
자동차 및 트럭의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 및 다른 전자 시스템은 높은 데이터 전송율 신호를 운반할 수 있는 케이블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자동차 등급 케이블은 환경 요구(예를 들어, 진동, 열적 연령, 내습성, 및 EMC)를 충족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차량 배선 하네스(wiring harness) 내에서 라우팅되도록(routed) 충분히 가요성이어야 하고 차량 연비 요건을 충족하는 것을 돕도록 낮은 질량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낮은 질량을 갖고 차량 배선 하네스 내에 패키징되도록 충분히 가요성이면서, 광파이버 케이블에 의해 현재 충족될 수 없는 비용 목표를 충족하는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갖는 와이어 케이블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 와이어 케이블에 대해 제공된 특정 용례는 자동차이지만, 이러한 와이어 케이블은 또한 항공우주, 산업 제어 또는 다른 데이터 통신과 같은 다른 용례에서도 또한 발견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배경 부분에 설명된 내용은 단지 배경 부분에 언급되었다는 결과만으로 종래기술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유사하게, 배경 부분에서 언급된 또는 배경 부분의 내용과 연관된 문제점은 종래 기술에서 이전에 인지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배경 부분의 내용은 단지 자체적으로 그리고 스스로 또한 발명일 수 있는 다른 접근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와이어 케이블과 차폐 도전체를 갖는 차폐된 와이어 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전기 차폐 커넥터는 내측 절연체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 케이블로부터 분리되는 도전성 와이어 케이블을 종방향으로 둘러싸며, 차폐 도전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절연 재킷을 더 갖는 차폐된 와이어 케이블이 제공된다. 전기 차폐 커넥터는 차폐 도전체의 단부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부착 부분 및 대응하는 정합 전기 차폐 커넥터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케이블 부착부는 차폐 도전체에 접촉하고 차폐 도전체를 만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돌출부를 형성한다.
케이블 부착부는 차폐 도전체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를 형성할 수 있고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는 차폐 도전체에 접촉하고 차폐 도전체를 만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블 부착부는 복수의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의 각각의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는 차폐 도전체에 접촉하고 차폐 도전체를 만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블 부착부는 케이블 부착부의 내면에 널(knurl) 패턴을 형성한다. 이 널 패턴은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의 오목부는 장사방형 형상을 갖고, 제1 쌍의 양 내측 코너는 그 사이에 대체적 종방향 단축 거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쌍의 양 내측 코너와 상이한 제2 쌍의 양 내측 코너는 그 사이에 장축 거리를 형성하며, 대체적 종방향 단축 거리는 장축 거리보다 작다. 케이블 부착부는 절연 재킷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절연체 크림프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 크림프 날개부는 절연 재킷에 침투하도록 구성되는 첨단부를 갖는 프롱(prong)을 형성할 수 있고, 프롱의 단부는 내측 절연체에 침투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연결부는 도전성 와이어 케이블에 부착된 전기 단자를 종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슈라우드(shroud)를 형성할 수 있다. 슈라우드는 전기 단자와 도전성 와이어 케이블과의 사이의 연결 위치에 근접한 엠보싱부(embossment)를 형성하며, 엠보싱부는 연결부와 슈라우드와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킨다. 전기 차폐 커넥터는 전기 커넥터 본체의 캐비티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전기 차폐 커넥터는 삼각형 잠금 탱부(tang)를 형성하고, 삼각형 잠금 탱부는 전기 차폐 커넥터로부터 연장되고 전기 차폐 커넥터의 종축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는 제1 자유 단부 및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전기 차폐 커넥터로부터 또한 연장되는 제2 자유 에지를 포함하고, 전기 커넥터 본체의 캐비티 내의 잠금 에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캐비티로부터의 전기 차폐 커넥터의 제거를 억제하며, 제1 자유 에지 및 제2 자유 에지는 전기 차폐 커넥터로부터 돌출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이,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랜디드(stranded) 도전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와이어 케이블의 사시 절결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와이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와이어 케이블의 비틀림 꼬임 길이를 도시하는 와이어 케이블의 부분 절결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솔리드(solid) 도전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와이어 케이블의 사시 절결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와이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솔리드 드레인 와이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와이어 케이블의 사시 절결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와이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몇몇 고속 디지털 전송 표준의 신호 상승 시간 및 원하는 케이블 임피던스를 도시하는 차트이다.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7의 와이어 케이블의 다양한 성능 특성을 도시하는 차트이다.
도 1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7의 와이어 케이블의 차동 삽입 손실(differential insertion loss) 대 신호 주파수의 그래프이다.
도 1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구성요소의 서브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스트립에 수납된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 홀더 내에 수용된 도 15의 리셉터클 단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 커버를 포함하는 도 16의 리셉터클 단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 조립도이다.
도 19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스트립에 수납된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단자 홀더 내에 수용된 도 19의 플러그 단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 차폐부 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다른 플러그 커넥터 차폐부 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커넥터 차폐부 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다른 리셉터클 커넥터 차폐부 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커넥터 차폐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 차폐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대안적인 사시도이다.
도 33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스트랜디드 도전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와이어 케이블의 사시 절결도이다.
도 35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도 34의 와이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제8 실시예에 따른 솔리드 도전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와이어 케이블의 사시 절결도이다.
도 37은 제8 실시예에 따른 도 36의 와이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제9 실시예에 따른 접촉 범프 및 널형(knurled) 접촉 패턴을 갖는 커넥터 차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제9 실시예에 따른 도 38의 접촉 범프의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커넥터 차폐부 및 제9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의 상면도이다.
도 41은 도 38의 커넥터 차폐부 및 제9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 상면도이다.
도 42는 도 38의 커넥터 차폐부 및 제9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 저면도이다.
도 43은 도 38의 커넥터 차폐부 및 제9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4는 제9 실시예에 따른 도 38의 널형 패턴 접촉 패턴의 오목부의 도면이다.
도 45는 제9 실시예에 따른 도 38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커넥터 차폐부의 상면도이다.
도 46은 제9 실시예에 다른 도 38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커넥터 차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48은 제9 실시예에 따른 도 38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49는 제9 실시예에 따른 도 38의 커넥터 차폐부에 대해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커넥터 차폐부를 위한 케이블-차폐부 저항을 비교하는 차트이다.
USB 3.0 및 HDMI 1.4 성능 사양의 양자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5 기가비트 퍼 세컨드(Gb/s)(1초당 5십억 비트)까지의 전송율로 디지털 신호를 운반할 수 있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가 제시되어 있다.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는 한 쌍의 도전체(와이어 쌍) 및 도전성 시트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 및 전자기 간섭으로부터 와이어 쌍을 격리하고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를 결정하기 위한 편조 도전체를 포함한다. 와이어 쌍은 와이어 쌍과 차폐부와의 사이에 일관된 반경방향 거리를 제공하고 전송 라인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전성 벨팅(belting) 내에 수용된다. 벨팅은 또한 와이어 쌍이 비틀리는 경우 와이어 쌍 사이에 일관된 비틀림 꼬임 길이를 유지한다. 와이어 쌍과 차폐부와의 사이의 일관된 반경방향 거리 및 일관된 비틀림 꼬임 길이는 제어된 임피던스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을 제공한다.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는 또한 와이어 쌍에 연결된 리셉터클 단자의 거울대칭형 쌍을 갖는 전기 리셉터클 커넥터 및 와이어 쌍에 연결된 플러그 단자의 거울대칭형 쌍을 갖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및 플러그 단자는 각각,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가 정합될 때 대체적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리셉터클 단자의 주 폭은 플러그 단자의 주 폭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리셉터클과 플러그 단자와의 사이의 접촉점은 리셉터클 및 플러그 단자에 대해 외부에 있다.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의 양자 모두는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 단자를 종방향으로 둘러싸고 와이어 케이블의 편조 도전체에 연결되는 차폐부를 포함한다.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는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 단자 및 차폐부를 수납하는 절연성 커넥터 본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에 사용된 와이어 케이블(100a)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와이어 케이블(100a)은 이하에서 제1 도전체(102a)라 칭하는 제1 내측 도전체 및 이하에서 제2 도전체(104a)라 칭하는 제2 내측 도전체를 포함하는 중앙 쌍의 도전체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미도금 구리 또는 은도금 구리와 같은 우수한 전도도를 갖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구리는 원소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을 칭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될 때, 은은 원소 은 또는 은계 합금을 칭한다. 구리 및 은 도금 구리 도전체의 디자인, 구성 및 소스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와이어 케이블(100a)의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각각 7개의 와이어 스트랜드(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의 와이어 스트랜드(106)의 각각은 0.12 밀리미터(mm)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일반적으로 28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merican Wire Gauge)(AWG) 스트랜디드 와이어와 동등한 약 0.321 밀리미터(mm)의 전체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스트랜디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어, 30 AWG 또는 32 AWG와 동등한 더 작은 전체 직경을 초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쌍의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꼬임 길이(L), 예를 들어 매 15.24mm마다 1회에 걸쳐 종방향으로 비틀린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를 비트는 것은 중앙 쌍에 의해 운반된 신호의 저주파수 전자기 간섭을 감소시키는 이익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만족스러운 신호 전송 성능이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가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비틀리지 않은 와이어 케이블에 의해 또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를 비틀지 않는 것은 비틀림 프로세스를 제거함으로써 와이어 케이블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한번 더 참조하면,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의 각각은 이하에서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라 칭하는 각각의 제1 유전성 절연체 및 제2 유전성 절연체 내에 포위된다.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는 함께 접합된다.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는 와이어 케이블(100a)을 종료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부에서 제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와이어 케이블(100a)의 전체 길이에 연장된다.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가요성 유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는 약 0.85 mm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제1 절연체(108)를 제2 절연체(110)에 접합하는 것은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이는 또한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가 비틀릴 때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 사이에 일관된 비틀림 꼬임 길이(도 3 참조)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접합된 절연체들을 갖는 한 쌍의 도전체를 제조하는데 요구되는 방법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 및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는 와이어 케이블(100a)을 종료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부들에서 제거되는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이하에서 벨팅(112)이라 칭하는 제3 유전성 절연체 내에 완전히 포위된다.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 및 벨팅(112)은 유전성 구조체(113)를 함께 형성한다.
벨팅(112)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가요성 유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팅은 2.22mm의 직경(D)을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의 단부가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로부터 박리되어 와이어 케이블(100a)의 종료부를 형성할 때,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로부터 벨팅(112)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탈크계 분말과 같은 이형제(114)가 접합된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의 외측면에 도포될 수도 있다.
벨팅(112)은 와이어 케이블(100a)을 종료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부들에서 제거될 수 있는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이하에서 내측 차폐부(116)라 칭하는 도전성 시트 내에 완전히 포위된다. 내측 차폐부(116)는 벨팅(112) 주위에 단일층으로 종방향으로 감싸져서, 중앙 쌍의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에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단일 이음매(118)를 형성하게 된다. 내측 차폐부(116)는 벨팅(112)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싸지거나 또는 소용돌이형으로 감싸지지 않는다. 내측 차폐부(116)의 이음매 에지는 중첩될 수 있어, 내측 차폐부(116)가 벨팅(112)의 외측면의 적어도 100 퍼센트를 덮는다. 내측 차폐부(116)는 알루미나화된 2축방향으로 배향된 PET 필름과 같은 가요성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2축방향으로 배향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상표명 MYLAR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고 알루미나화된 2축방향으로 배향된 PET 필름은 이하에서 알루미나화된 MYLAR 필름이라 칭할 것이다. 알루미나화된 MYLAR 필름은 주 표면들 중 하나에만 도포되는 도전성 알루미늄 코팅이고, 다른 주 표면은 비-알루미나화되고, 따라서 비도전성이다. 편면(single-sided) 알루미나화된 MYLAR 필름을 위한 디자인, 구성 및 소스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내측 차폐부(116)의 비-알루미나화된 표면은 벨팅(112)의 외측면과 접촉하고 있다. 내측 차폐부(116)는 0.04 mm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잇다.
벨팅(112)은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와 내측 차폐부(116)와의 사이에 일관된 반경방향 거리를 제공하고 전송 라인 특징을 유지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벨팅(112)은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 사이의 비틀림 꼬임 길이를 일관되게 유지시키는 장점을 더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서 발견되는 차폐된 연선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연선과 차폐부와의 사이에 유전체로서 단지 공기만을 갖는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와 내측 차폐부(116)와의 사이의 거리와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의 유효 비틀림 꼬임 길이의 양자 모두는 와이어 케이블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와 내측 차폐부(116)와의 사이에서 더 일관된 반경방향 거리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은 더 일관된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의 일관된 비틀림 꼬임 길이는 또한 제어된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와이어 케이블은 제1 및 제2 절연체 사이의 일관된 측방향 거리 및 제1 및 제2 절연체와 내측 차폐부와의 사이의 일관된 반경방향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절연체를 수용하는 단일 유전성 구조체를 통합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유전성 구조체는 또한 제1 및 제2 도전체의 비틀림 꼬임 길이를 일관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100a)은 이하에서 내측 차폐부(116)의 외측에 배치되는 드레인 와이어(120a)라 칭하는 접지 도전체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드레인 와이어(120a)는,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에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내측 차폐부(116)의 알루미나화된 외측면과 친밀한 접촉을 하거나 또는 적어도 전기 연통을 한다. 도 1 및 도 2의 예에서, 와이어 케이블(100a)의 드레인 와이어(120a)는 7개의 와이어 스트랜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와이어(120a)의 각각의 와이어 스트랜드(122)는 일반적으로 28 AWG 스트랜디드 와이어와 동등한 0.12mm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드레인 와이어(120a)는 30 AWG 또는 32 AWG와 같은 더 작은 게이지를 갖는 스트랜디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와이어(120a)는 미도금 구리 와이어 또는 주석 도금 구리 와이어와 같은 도전성 와이어로 형성된다. 구리 및 주석 도금 구리 도전체의 디자인, 구성 및 소스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100a)은 와이어 케이블(100a)을 종료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부들에서 제거될 수 있는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내측 차폐부(116)와 드레인 와이어(120a)를 포위하는 이하에서 외측 차폐부(124)라 칭해지는 편조 와이어 도전체를 더 포함한다. 외측 차폐부(124)는 구리 또는 주석 도금 구리와 같은 복수의 직조 도전체로 형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주석은 원소 주석 또는 주석계 합금을 칭한다. 이러한 외측 차폐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 편조 도전체의 디자인, 구성 및 소스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외측 차폐부(124)는 내측 차폐부(116)와 드레인 와이어(120a)의 양자 모두와 친밀한 접촉을 하거나 또는 적어도 전기 연통을 한다. 외측 차폐부(124)를 형성하는 와이어는 내측 차폐부(116)의 외측면의 적어도 65 퍼센트와 접촉할 수 있다. 외측 차폐부(124)는 0.30 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a)은 이하에서 재킷(126)이라 칭하는 외측 유전성 절연체를 더 포함한다. 재킷(126)은 와이어 케이블(100a)을 종료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부들에서 제거될 수 있는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외측 차폐부(124)를 포위한다. 재킷(126)은 와이어 케이블(100a)을 위한 전기 절연 및 환경적 보호의 양자 모두를 제공하는 외측 절연층을 형성한다. 재킷(126)은 폴리비닐 염화물(PVC)과 같은 가요성 유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재킷(126)은 약 0.2 mm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와이어 케이블(100a)은, 내측 차폐부(116)가 벨팅(112)에 단단히 조여지고, 외측 차폐부(124)가 드레인 와이어(120a) 및 내측 차폐부(116)에 단단히 조여지고, 재킷(126)이 외측 차폐부(124)에 단단히 조여져서 이들 요소들 사이에서의 공기 간극의 형성이 최소화되거나 치밀화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제어된 자기 투자율을 갖는 와이어 케이블(100a)을 제공한다.
와이어 케이블(100a)은 95 오옴의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전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와이어 케이블(100b)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b)은, 제1 및 제2 도전체(102b, 104b)가 일반적으로 28 AWG 솔리드 와이어와 동등한 약 0.321 밀리미터(mm)의 직경을 갖는 베어(bare)(미도금) 구리 와이어 또는 은 도금 구리 와이어와 같은 솔리드 와이어 도전체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a)과 구성이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도전체(102b, 104b)는 30 AWG 또는 32 AWG와 같은 더 작은 게이지를 갖는 솔리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케이블(100b)은 95 ± 10 오옴의 임피던스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전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와이어 케이블(100c)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c)은, 드레인 와이어(120b)가 일반적으로 28 AWG 솔리드 와이어와 동일한 약 0.321mm2 의 단면적을 갖는 미도금 구리 도전체, 주석 도금 구리 도전체, 또는 은 도금 구리 도전체와 같은 솔리드 와이어 도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b)과 구성이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드레인 와이어(120b)는 30 AWG 또는 32 AWG와 같은 더 작은 게이지를 갖는 솔리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케이블(100c)은 95 ± 10 오옴의 임피던스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도 8은 전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와이어 케이블(100d)의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d)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a, 100b, 100c)과 구성이 유사하지만, 와이어 케이블(100d)은 다수의 쌍의 제1 및 제2 도전체(102b, 104b)를 포함한다. 벨팅(112)은 또한 다수의 와이어 쌍 도전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에 대해 종래 기술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와이어 쌍의 분리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도 8에 도시된 예는 솔리드 와이어 도전체(102b, 104b, 및 120b)를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는 스트랜디드 와이어(102a, 104a, 및 120a)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는 USB 3.0 및 HDMI 1.4 성능 사양을 위한 신호 상승 시간[피코초(ps)] 및 차등 임피던스[오옴(Ω)]에 대한 요건을 도시한다. 도 9는 또한 USB 3.0 및 HDMI 1.4 표준의 양자 모두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와이어 케이블을 위한 조합된 요건을 도시한다. 와이어 케이블(100a 내지 100f)은 도 9에 도시된 조합된 USB 3.0 및 HDMI 1.4 신호 상승 시간 및 차등 임피던스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도 10은 0 내지 7500 MHz(7.5 GHz)의 신호 주파수 범위에 걸쳐 와이어 케이블(100a 내지 100f)에 대해 예상된 차등 임피던스를 도시한다.
도 11은 0 내지 7500 MHz(7.5 GHz)의 신호 주파수 범위에 걸쳐 7m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100a 내지 100f)에 대해 예상된 삽입 손실을 도시한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7 미터까지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100a 내지 100f)은 25 dB 미만의 삽입 손실을 갖는 5 Gb/s까지의 속도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도 12의 비제한적인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는 전기 커넥터를 또한 포함한다.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128)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12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130)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28)는 2개의 단자, 즉 제1 내측 도전체(102)에 연결된 제1 리셉터클 단자(132) 및 와이어 케이블(100)의 제2 내측 도전체(도면의 관점에 기인하여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연결된 제2 리셉터클 단자(134)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셉터클 단자(132)는 대체적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제1 외팔보부(136)의 자유 단부 부근에서 제1 외팔보부(136)로부터 현수하는 볼록형 제1 접촉점(138)을 형성하는 제1 외팔보부(136)를 포함한다. 제2 리셉터클 단자(134)는 대체적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제2 외팔보부(140)의 자유 단부 부근에서 제2 외팔보부(140)로부터 현수하는 볼록형 제2 접촉점(142)을 형성하는 유사한 제2 외팔보부(140)를 또한 포함한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와이어 케이블(100)의 내측 도전체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도전체 부착부(144)를 각각 포함하고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를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에 부착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한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전체 부착부(144)는 L 형상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종축(A)에 대해 좌우 대칭인 거울대칭형 단자 쌍을 형성하고, 종축(A)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는 것은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 및 종축(A)이 서로에 대해 완전히 평행한 상태의 ± 5°인 것을 의미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외팔보부(136)와 제2 외팔보부(140)와의 사이의 거리는 중심간에 2.85mm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를 형성하기 위해 시트를 절결하고 만곡시키는 스탬핑 프로세스에 의해 도전성 재료의 시트로부터 형성된다. 스탬핑 프로세스는 또한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가 부착되는 캐리어 스트립(146)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스톡 두께를 통해 적어도 80% 이상의 전단 절단을 제공하는 미세 블랭킹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는 외팔보부의 작은 에지 상의 더 평활한 표면 및 리셉터클 커넥터(128)와 플러그 커넥터(130)와의 사이의 연결부 마모를 감소시키는 접촉점을 제공한다. 도전체 부착부(144)는 이어서 후속의 성형 작업에서 L 형상으로 만곡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를 형성하는 인서트 성형 프로세스를 위해 캐리어 스트립(146)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는 이들 단자들이 캐리어 스트립(146)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 사이의 공간 관계를 유지한다.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는 또한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가 와이어 케이블(100)로부터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도전체 부착부(144)로 전이함에 따라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 사이의 일관된 분리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한 쌍의 와이어 가이드 채널(150)을 형성한다.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는 액정 폴리머와 같은 유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이 재료는 성형, 가공 및 전기 유전성 특성을 위한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다른 가공 플라스틱에 비해 성능 장점을 제공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스트립(146)의 부분은 제거되고,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가 이어서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에 부착된다.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는, 리셉터클 커넥터(128)가 취급되는 동안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130)가 리셉터클 커넥터(128)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때,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를 만곡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는 플러그 커넥터(130)가 리셉터클 커넥터(128)에 연결될 때 제1 및 제2 외팔보부(136, 140)가 굴곡되게 하는 한 쌍의 홈(154)을 형성한다.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는 또한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와 동일한 액정 폴리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다른 유전성 재료가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는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에 의해 형성된 세장형 포스트(158)에 정합되는 세장형 슬롯(156)을 형성한다.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는 슬롯(156) 내에 포스트(158)를 초음파 용접함으로써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에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에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를 결합하는 다른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캐리어 스트립(146)의 나머지는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를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에 부착하기 전에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로부터 제거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는 초음파 용접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도전체 부착부(144)에 부착된다. 도전체를 단자에 음파 용접하는 것은 납땜과 같은 다른 결합 프로세스보다 더 양호한 도전체와 단자와의 사이의 조인트의 질량의 제어를 허용하고, 따라서 도전체와 단자와의 사이의 조인트와 연계된 캐패시턴스에 대한 더 양호한 제어를 제공한다. 또한, 납땜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환경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도 13을 재차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30)는 2개의 단자, 즉 제1 내측 도전체(102)에 연결된 제1 플러그 단자(160) 및 와이어 케이블(100)의 제2 내측 도전체(도시 생략)에 연결된 제2 플러그 단자(162)를 또한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러그 단자(160)는 대체적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제1 세장형 평면형 부분(164)을 포함한다. 제2 플러그 단자(162)는 유사한 제2 세장형 평면형 부분(166)을 또한 포함한다. 플러그 단자들의 평면형 부분들은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제1 및 제2 접촉점(138, 142)을 수용하여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평면형 부분의 자유 단부는, 플러그 커넥터(130) 및 리셉터클 커넥터(128)가 정합될 때, 정합하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가 제1 및 제2 평면형 부분(164, 166)의 자유 단부 위에 그리고 그에 걸쳐 얹히도록 하는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는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의 단부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도전체 부착부(144)와 유사한 도전체 부착부(144)를 각각 포함하고,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에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를 부착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한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전체 부착부(144)는 L 형상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는 종축(A)에 대해 좌우 대칭성을 갖는 거울대칭형 단자 쌍을 형성하고, 종축(A)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는 것은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 및 종축(A)이 서로에 대해 완전히 평행한 상태의 ± 5°인 것을 의미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평면형 부분과 제2 평면형 부분과의 사이의 거리는 중심간에 2.85mm이다. 본 발명자들은 거울대칭형 평행 리셉터클 단자 및 플러그 단자가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임피던스 및 삽입 손실과 같은 고속 전기 특성에 대해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 관찰하였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는 플러그 단자들을 형성하기 위해 시트를 절결하고 만곡시키는 스탬핑 프로세스에 의해 도전성 재료의 시트로부터 형성된다. 스탬핑 프로세스는 또한 플러그 단자가 부착되는 캐리어 스트립(168)을 형성한다. 도전체 부착부(144)는 이어서 후속의 형성 작업에서 L 형상으로 만곡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는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플러그 단자 홀더(170)를 형성하는 인서트 성형 프로세스를 위해 캐리어 스트립(168)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플러그 단자 홀더(170)는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가 캐리어 스트립(168)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 사이의 공간 관계를 유지한다. 플러그 단자 홀더(170)는,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와 유사하게,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가 와이어 케이블(100)로부터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도전체 부착부(144)로 전이함에 따라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 사이의 일관된 분리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한 쌍의 와이어 가이드 채널(150)을 형성한다. 플러그 단자 홀더(170)는 액정 폴리머와 같은 유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캐리어 스트립(168)은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를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에 부착하기 전에 플러그 단자들로부터 제거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100)의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는 초음파 용접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의 도전체 부착부(144)에 부착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 및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130, 128)가 정합될 때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주 폭이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의 주 폭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도록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130, 128) 내에 배향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실질적으로 수직이다라는 것은 주 폭이 완전히 수직인 상태의 ± 5°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와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와의 사이의 이러한 배향이 삽입 손실에 대해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130, 128)가 정합될 때,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에 중첩한다.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130, 128)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단지 제1 및 제2 접촉점(138, 142)만이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의 평면형 블레이드부에 접촉하고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와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와의 사이에 형성된 접촉 면적이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와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와의 사이에 중첩된 면적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때때로 와이프 거리(wipe distance)라 칭하는 접촉 면적은 단자들 사이의 중첩부에 의해서가 아니라 제1 및 제2 접촉점(138, 142)의 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및 플러그 단자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제1 및 제2 접촉점(138, 142)이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와 완전히 결합되는 한은 일관된 접촉 면적의 이익을 제공한다. 플러그 및 리셉터클 단자의 양자 모두는 거울대칭형 쌍이기 때문에, 제1 리셉터클 단자(132)와 제1 플러그 단자(160)와의 사이의 제1 접촉 면적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4)와 제2 플러그 단자(162)와의 사이의 제2 접촉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라는 것은 제1 접촉 면적과 제2 접촉 면적과의 사이의 접촉 면적이 0.1mm2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플러그와 리셉터클 단자와의 사이의 접촉 면적과 제1 접촉 면적과 제2 접촉 면적과의 사이의 차이가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삽입 손실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 관찰하였다.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 내에 수용되지 않고, 따라서 제1 접촉 면적은 제1 플러그 단자(160)의 외부에 있고, 제2 접촉 면적은 플러그 커넥터(130)가 리셉터클 커넥터(128)에 정합될 때 제2 플러그 단자(162)의 외부에 있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 및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는 구리계 재료의 시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팔보부(136, 140) 및 제1 및 제2 평면형 부분(164, 166)은 구리/니켈/은계 도금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도금될 수 있다. 단자들은 5 스킨 두께로 도금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 및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는 리셉터클 커넥터(128) 및 플러그 커넥터(130)가 약 1 뉴턴(100 그램)의 낮은 삽입 수직력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낮은 수직력은 연결/분리 사이클 중에 도금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이익을 제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30)는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차폐부(124)에 부착되는 리셉터클 차폐부(174)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차폐부(174)는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 및 플러그 단자 홀더(170)로부터 분리되고 이들을 종방향으로 둘러싼다. 리셉터클 커넥터(128)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 및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로부터 분리되고 이들을 종방향으로 둘러싸는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차폐부(124)에 부착되는 리셉터클 차폐부(174)를 또한 포함한다. 리셉터클 차폐부(174) 및 리셉터클 차폐부(174)는, 서로 활주식으로 접촉하고, 정합될 때 부착된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차폐부 사이의 전기적 연속성 및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130, 128)에 대한 전자기 차폐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3,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차폐부(174)는 2개의 부분으로 만들어진다. 도 21에 도시된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와이어 케이블(1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부착부(180)에 인접한, 2개의 쌍의 크림핑 날개부, 즉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 및 절연체 크림프 날개부(178)를 포함한다.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가 와이어 케이블(110)에 크림프될 때 와이어 케이블(100)의 노출된 외측 차폐부(124)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오프셋되는 바이패스형 크림프 날개부이다. 드레인 와이어(120a)는, 와이어 케이블(100)의 드레인 와이어(120a)가 와이어 케이블(110)의 외측 차폐부(124)와 내측 차폐부(116)와의 사이에 개재되기 때문에,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가 외측 차폐부(124)에 크림프될 때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는 크림핑 전에 드레인 와이어(120)를 차폐부와 관련하여 배향할 필요 없이 플러그 차폐부(174)를 드레인 와이어(120)에 결합하는 이익을 제공한다.
절연 크림프 날개부는 또한 플러그 차폐부(174)가 와이어 케이블(110)에 크림프될 때 와이어 케이블(100)의 재킷(126)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오프셋되는 바이패스형 날개부이다. 각각의 절연 크림프 날개부는 적어도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절연체를 침투하도록 구성되는 첨단부를 갖는 프롱(182)을 더 포함한다. 프롱(182)은 힘이 리셉터클 차폐부(174)와 와이어 케이블(100)과의 사이에 부여될 때 리셉터클 차폐부(174)가 와이어 케이블(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한다. 프롱(182)은 또한 리셉터클 차폐부(174)가 와이어 케이블(100)의 종축(A)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한다. 프롱(182)은 또한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차폐부(124), 내측 차폐부(116) 또는 벨팅(112)을 침투할 수 있지만,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는 침투하지 않아야 한다. 도시된 예는 2개의 프롱(182)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에 의해 형성된 단일 프롱(182) 만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플러그 단자의 도전체 부착부(144)와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와의 사이의 연결부에 근접하는 엠보싱부(184)를 형성한다. 엠보싱부(184)는 도전체 부착부(144)와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와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이들 사이의 용량성 결합을 감소시킨다.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b)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188)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돌출부(218) 또는 범프(186)를 또한 형성한다. 범프(186)는 구멍(188) 내에 스냅되어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b)를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에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도 13,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차폐부(174)는 마찬가지로 2개의 부분으로 만들어진다. 도 23에 도시된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와이어 케이블(1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부착부(180)에 인접한, 2개의 쌍의 크림핑 날개부, 즉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 및 절연체 크림프 날개부(178)를 포함한다.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가 와이어 케이블(100)에 크림프될 때 와이어 케이블(100)의 노출된 외측 차폐부(124)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오프셋되는 바이패스형 크림프 날개부이다.
절연 크림프 날개부는 또한 리셉터클 차폐부(174)가 와이어 케이블(100)에 크림프될 때 와이어 케이블(100)의 재킷(126)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오프셋되는 바이패스형 날개부이다. 절연 크림프 날개부는 적어도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절연체를 침투하도록 구성되는 첨단부를 갖는 프롱(182)을 더 포함한다. 프롱(182)은 또한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차폐부(124), 내측 차폐부(116) 또는 벨팅을 침투할 수 있다. 도시된 예는 2개의 프롱(182)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단일의 프롱(182)만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를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에 고정시키는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b)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188)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돌출부(218) 또는 범프(186)를 형성한다.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연결부와 리셉터클 차폐부(174)와의 사이의 거리가 리셉터클 차폐부(174) 내의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삽입을 수용하도록 더 크기 때문에,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도전체 부착부(144)와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와의 사이의 연결부에 근접하는 엠보싱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예의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외부는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내부에 활주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지만,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외부가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내부에 활주식으로 결합되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리셉터클 차폐부(174) 및 리셉터클 차폐부(174)는 구리계 재료의 시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차폐부(174) 및 리셉터클 차폐부(174)는 구리/니켈/은 또는 주석계 도금을 사용하여 도금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a, 174b) 및 제1 및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a, 172b)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스탬핑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 예시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예는 와이어 케이블에 연결되지만, 회로 기판 상의 도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에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들이 고려될 수 잇다.
도 38 내지 도 48에 도시된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의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케이블 부착부(180)는, 케이블 부착부(180)로부터 그리고 노출된 외측 차폐부(124)를 향해 돌출하는 이하에서 접촉 범프(244)라 칭하는, 반구 형상을 갖는 돌출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범프(244)는, 외측 차폐부(124)가 접촉 범프(244)와 벨팅(112)과의 사이에 압축됨에 따라, 케이블 부착부(180)와 외측 차폐부(124)와의 사이의 클램핑력을 국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리셉터클 차폐부(174)와 와이어 케이블(100)과의 사이의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8, 도 41 및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부착부(180)의 바닥(181)이 접촉 범프(244)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접촉 범프(24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1 및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범프(244)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 상의 접촉 범프(244)가 케이블 부착부(180)의 바닥(181)의 접촉 범프(244)의 반대측에 위치결정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39에 도시된 접촉 범프(244)의 반구 형상은, 접촉 범프(244)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차폐부(124) 또는 내측 차폐부(116)를 침투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는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부분에 의한 차폐부(116, 124)의 침투가 케이블 조립체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와 리셉터클 차폐부(174)와의 사이의 캐패시턴스의 국부적인 변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38 내지 도 48의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낸 돌출부 또는 접촉 범프(244)는 반구 형상을 갖지만, 돌출부가 변형되지만 외측 차폐부(124) 또는 내측 차폐부(116)를 침투하지 않는 타원형, 달걀형, 다른 형상을 갖는 다른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접촉 범프(244)는 엠보싱 또는 펀칭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다른 특징부가 형성될 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부착부(180)의 바닥(181)의 내부 및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의 내부는,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와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차폐부(124)와의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성 및 기계적인 보유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장사방형 오목부(248)를 포함하는 널형 패턴(246)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오목부는 2 세트의 대향 코너(250, 252)를 갖는다. 제1 세트의 대향 코너(250)는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종축(A)을 따라 대체적으로 정렬되고 단축 거리를 형성하는 한편, 제2 세트의 대향 코너(252)는 종축(A)에 수직인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횡측을 따라 대체적으로 정렬된다. 제1 세트의 대향 코너(250) 사이에 형성되는 단축 선(254)은 종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제2 세트의 대향 코너(252) 사이에 형성되는 장축 선(256)은 종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라는 것은 제1 세트의 대향 코너(250) 사이의 단축 선(254)이 종축(A)과 완전히 평행한 상태의 ± 5°인 것을 의미하며, 실질적으로 수직이다라는 것은 제2 세트의 대향 코너(252) 사이의 장축 선(256)이 종축(A)과 완전히 수직인 상태의 ± 5°인 것을 의미한다. 장축 선(256)의 길이(X2)는 단축 선(254)의 길이(X1)보다 크므로, 제1 세트의 대향 코너(250)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α)는 제2 세트의 대향 코너(252)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β)보다 크다. 이러한 장사방형 오목부(248)가 전체 개시 내용이 참조로 본원에 통합되는 미국 특허 번호 8,485,853에 기재되어 있다. 널 패턴은 또한 접촉 범프(244) 안으로 엠보싱될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43에 도시된 예는 리셉터클 차폐부(174)를 나타내지만, 도시된 접촉 범프(244) 및 널형 패턴(246)은 또한 리셉터클 차폐부(174)에 통합될 수 있고 유사한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9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러한 특징부가 없는 커넥터 차폐부에 비교되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 범프(244) 및 널형 패턴(246)을 갖는 커넥터 차폐부-케이블 저항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다양한 조건 하에서 실행되는 시험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 범프(244) 및 널형 패턴(246)을 갖는 커넥터 차폐부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들 특징부가 없는 커넥터 차폐부에 비교되는 케이블 저항에 대한 차폐를 유익하게 낮추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진동 및 분리 저항과 같은 자동차 환경에서의 용례의 요건에 부합하기 위해,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본체(190) 및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 및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폴리에스터 재료와 같은 유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 12를 재차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플러그 커넥터(130)를 수용하는 캐비티(194)를 형성한다.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슈라우드(shroud)를 형성한다.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 192)가 완전히 정합될 때,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를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잠금 아암(196)을 갖는 저프로파일 래칭 기구를 또한 형성한다.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는 리셉터클 커넥터(128)를 수용하는 캐비티(198)를 유사하게 형성한다.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는,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 본체(190, 192)가 완전히 정합될 때,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를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에 고정하도록 잠금 아암(196)에 의해 결합되는 잠금탭(200)을 형성한다.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는 이들의 각각의 커넥터 본체 캐비티(194, 198) 내에 플러그 커넥터(130) 및 리셉터클 커넥터(128)를 유지하는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202)를 또한 포함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로부터 돌출하는 삼각형 잠금 탱부(204)를 형성하고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의 캐비티(198) 내에 리셉터클 커넥터(128)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잠금 탱부(204)는,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에 부착되는 고정 에지(도시되지 않음), 고정 에지로부터 연장되고 리셉터클 차폐부(174a)의 축선(A)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는 선단 에지(206), 및 고정 에지로부터 또한 연장되고 종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후단 에지(208)를 포함한다. 선단 에지(206) 및 후단 에지(208)는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로부터 돌출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의 캐비티(198)는 협폭부(210) 및 광폭부(212)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28)가 초기에 협폭부(210) 안으로 삽입될 때, 잠금 탱부(204)의 선단 에지(206)는 협폭부(210)의 상부벽(214)에 접촉하고 잠금 탱부(204)를 압축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28)가 캐비티(198)의 협폭부(210)를 통과하게 한다. 잠금 탱부(204)가 캐비티(198)의 광폭부(212)에 진입할 때, 잠금 탱부(204)는 그 비압축 형상으로 복귀한다. 잠금 탱부(204)의 후단 에지(208)는 이어서 캐비티(198)의 광폭부(212)의 후방벽(216)에 접촉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28)가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 캐비티(198)의 협폭부(210)를 통해 역으로 통과하는 것을 억제한다. 잠금 탱부(204)는 리셉터클 커넥터(128)가 캐비티(198)의 광폭부(212)의 전방에 취출 도구를 삽입함으로써 캐비티(198)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도록 압축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러그 차폐부(172a)는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의 캐비티(194) 내에 플러그 커넥터(130)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유사한 잠금 탱부(204)를 형성한다.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의 캐비티(194)는 유사한 상부벽 및 후방벽을 갖는 유사한 광폭부 및 협폭부를 포함한다. 잠금 탱부(204)는 제1 플러그 차폐부(172a) 및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를 형성하는 스탬핑 프로세스 중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b)는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의 캐비티(194) 내에 플러그 커넥터(130)를 정렬 및 배향하기 위해 캐비티(194)의 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홈(220)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돌출부(218)를 또한 포함한다. 제2 플러그 차폐부(172b)는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의 캐비티(198) 내에 리셉터클 커넥터(128)를 정렬 및 배향하기 위해 캐비티(198)의 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홈(도면의 관점에 기인하여 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돌출부(218)를 유사하게 형성한다.
도 12에 도시된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 본체(190, 192)의 예는 단지 단일의 캐비티를 포함하지만, 커넥터 본체의 다른 실시예는 커넥터 본체가 다수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128, 130)를 포함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128, 130)에 추가하여 다른 커넥터 유형을 포함하도록 복수의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는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잠금탭(200)을 형성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잠금 아암(196)을 포함한다. 잠금 아암(196)의 자유 단부(222)는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의 잠금탭(2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내향으로 연장되는 잠금 첨두(224)를 형성한다. 잠금 아암(196)의 자유 단부(222)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정지부(226)를 또한 형성한다. 잠금 아암(196)은 잠금 아암(196)이 휴지 상태로부터 피벗될 때 잠금 아암(196)의 자유 단부(222) 상에 유지력(230)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U형 스트랩(228)에 의해 소켓 커넥터 본체에 일체로 연결된다.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고정된 단부들 사이의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에 일체로 연결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와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와의 사이에 부여된 종방향 분리력(234)이 제1 임계치를 초과할 때 정지부(226)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횡방향 유지 빔(232)을 더 포함한다. 임의의 특정 작동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분리력(234)이 부여될 때, U형상 스트랩(228)의 전방부(236)는 잠금 아암(196)의 자유 단부(222) 상의 정지부(226)가 유지 빔(232)에 접촉할 때까지 분리력(234)에 의해 변위된다. 정지부(226)와 유지 빔(232)과의 사이의 이 접촉은 잠금 첨두(224) 상의 유지력(230)을 증가시켜, 잠금탭(200)과 잠금 첨두(224)의 결합을 유지시키며,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로부터의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의 분리를 억제한다.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U형상 스트랩(228)과 대체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고 U형상 스트랩(228)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숄더(238)를 더 포함한다. 임의의 특정 작동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와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와의 사이에 부여된 종방향 분리력이 제2 임계치를 초과할 때, U형상 스트랩(228)의 전방부(236)는 전방부(236)가 숄더(238)의 면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잠금 첨두(224) 상의 유지력(230)을 증가시켜 잠금탭(200)과 잠금 첨두(224)의 결합을 유지시킬 때까지 변위된다. 제2 임계치에서의 분리력(234)은 제1 임계치에서의 분리력(234)보다 크다. 정지부(226) 및 U형상 스트랩(228)은 유지력(230)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기 때문에, 자동차 표준에 부합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 재료를 사용하여 분리력에 저항하는 것이 가능한 저프로파일 잠금 기구를 갖는 커넥터 본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잠금 아암(196)은 U형상 스트랩(228)의 후방에 배치된 누를 수 있는 핸들(240)을 또한 포함한다. 잠금 첨두(224)는 잠금탭(200)과 잠금 첨두(224)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핸들을 누름으로써 잠금탭(200)으로부터 이격하여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아암(196)은 잠금 첨두(224)와 누를 수 있는 핸들(240)과의 사이에 배치된 내향으로 연장하는 지레받침(fulcrum)(242)을 더 포함한다.
발명자는 도 34 및 도 35에 설명된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e) 및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f)와 같은 드레인 와이어를 포함하지 않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성능 특성을 충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드레인 와이어 연결의 제거는 개선된 차폐 및 제어된 임피던스를 가능하게 한다. 원래의 케이블 차폐 구성의 일관성은 연결 전체에 걸쳐 유지되며, 그로 인해 시스템의 반복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드레인 와이어 연결의 제거는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차폐부의 내부에서 구현되는 현재의 드레인 와이어 연결은 데이터 쌍의 전송 라인 불균형을 유발하고 상위 데이터율을 제한할 수 있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e)는 7개의 와이어 스트랜드(106)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의 와이어 스트랜드(106)의 각각은 0.12 밀리미터(mm)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28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WG) 스트랜디드 와이어와 대체적으로 동등한 약 0.321 밀리미터(mm)의 전체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스트랜디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고, 30 AWG 또는 32 AWG와 동등한 더 작은 전체 직경을 초래할 수 있다.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e)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드레인 와이어(120)를 제외하고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a)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f)는, 일반적으로 28 AWG 솔리드 와이어와 동등한, 약 0.321 밀리미터(mm)의 직경을 갖는 베어(비도금) 구리 와이어 또는 은 도금 구리 와이어와 같은 솔리드 와이어 도전체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도전체(102b, 104b)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도전체(102b, 104b)는 30 AWG 또는 32 AWG와 같은 더 작은 게이지를 갖는 솔리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f)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드레인 와이어(120)를 제외하고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b)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전기 차폐 커넥터가 제공된다. 부착부의 접촉 범프 및/또는 전기 차폐 커넥터의 크림프 날개부는 전기 접촉을 향상시키고 외측 차폐부의 단부에서의 페룰의 사용을 제거하기 위해 구성되며, 그로 인해 요구되는 부품 및 페룰을 설치하기 위한 제조 공정 단계를 유익하게 감소시킨다. 접촉 범프는 또한 외측 또는 내측 차폐부를 침투하지 않으면서 외측 차폐부에 대한 전기 차폐 커넥터의 기계적인 보유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데이터 전송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측 도전체와 전기 차폐 커넥터와의 사이의 캐패시턴스의 변화 없이 증가된 보유력의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의 청구항에서 설명된 범위로만 제한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의 사용은 어떠한 중요도의 순서도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단수형 등의 용어의 사용은 수량의 제한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언급된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2)

  1. 도전성 와이어(102) 케이블, 및 내측 절연체(113)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102) 케이블로부터 분리되는, 도전성 와이어(102) 케이블을 종방향으로 둘러싸는 차폐 도전체(124)를 갖는 차폐된 와이어 케이블(100)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이며, 상기 차폐된 와이어 케이블(100)은 차폐 도전체(12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절연 재킷(126)을 더 갖고, 상기 전기 차폐 커넥터(172)는,
    대응하는 정합 전기 차폐 커넥터(174)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 및
    차폐 도전체(124)의 단부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부착부(180)로서, 케이블 부착부(180)는 차폐 도전체(124)에 접촉하고 차폐 도전체를 만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돌출부(244)를 형성하는, 케이블 부착부(180)를 포함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돌출부(244)는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부착부(180)는 차폐 도전체(124)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를 형성하며,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는 차폐 도전체(124)에 접촉하고 차폐 도전체를 만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돌출부(244)를 형성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
  4. 제3항에 있어서, 제2 돌출부(244)는 반구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지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
  5. 제3항에 있어서, 케이블 부착부(180)는 복수의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를 형성하고, 복수의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의 각각의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는 차폐 도전체(124)에 접촉하고 차폐 도전체를 만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돌출부(244)를 형성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
  6. 제3항에 있어서, 제2 돌출부(244)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가 차폐 도전체(124)에 크림프될 때 제1 돌출부(244)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
  7.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부착부(180)는 케이블 부착부(180)의 내면에 널형 패턴(246)을 형성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
  8. 제7항에 있어서, 널형 패턴(246)은 복수의 오목부(248)를 포함하고, 복수의 오목부(248)의 각각의 오목부는 장사방형 형상을 갖고, 제1 쌍의 대향 내측 코너(250)는 그들 사이에 대체적 종방향 단축 거리(254)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쌍의 대향 내측 코너(250)와 상이한 제2 쌍의 대향 내측 코너(252)는 그들 사이에 장축 거리(256)를 형성하며, 대체적 종방향 단축 거리(254)는 장축 거리(256)보다 작은, 전기 차폐 커넥터(172).
  9.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부착부(180)는 절연 재킷(126)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절연체 크림프 날개부(178)를 더 갖고, 절연체 크림프 날개부(178)는 절연 재킷(126)을 침투하도록 구성되는 첨단부를 갖는 프롱(182)을 형성하고, 프롱(182)의 단부는 내측 절연체(113)를 침투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
  10.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도전성 와이어(102)에 부착된 전기 단자(160)를 종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슈라우드를 형성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
  11. 제10항에 있어서, 슈라우드는 전기 단자(160)와 도전성 와이어(102)와의 사이의 연결부의 위치 근방에 엠보싱부(184)를 형성하고, 엠보싱부(184)는 연결부와 슈라우드와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
  1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차폐 커넥터(172)는 전기 커넥터 본체(192)의 캐비티(194)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전기 차폐 커넥터(172)는 삼각형 잠금 탱부(204)를 형성하고, 삼각형 잠금 탱부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로부터 연장되고 전기 차폐 커넥터(172)의 종축(A)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는 제1 자유 에지(206) 및 종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전기 차폐 커넥터(172)로부터 또한 연장되는 제2 자유 에지(208)를 포함하고, 전기 커넥터 본체(192)의 캐비티(194) 내의 잠금 에지(216)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캐비티(194)로부터의 전기 차폐 커넥터(172)의 제거를 억제하며, 제1 자유 에지(206) 및 제2 자유 에지(208)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로부터 돌출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
KR1020160064073A 2015-05-28 2016-05-25 전기 차폐 커넥터 KR201601404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7372P 2015-05-28 2015-05-28
US62/167,372 2015-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444A true KR20160140444A (ko) 2016-12-07

Family

ID=5602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073A KR20160140444A (ko) 2015-05-28 2016-05-25 전기 차폐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098905A1 (ko)
KR (1) KR20160140444A (ko)
CN (1) CN1062075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048B1 (ko) * 2020-03-03 2021-08-11 국방과학연구소 지상연소시험용 센서계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1698B4 (de) 2017-01-30 2022-09-29 Lisa Dräxlmaier GmbH Leitungsanordnung mit wenigstens einem elektrischen Kontaktelement und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US10170862B2 (en) * 2017-04-19 2019-01-0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device having a ground bus terminated to a cable drain wire
EP3783741A1 (en) * 2019-08-20 2021-02-24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nd assembly for automotive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5847A (en) * 1996-11-12 1999-10-1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Shield connector
JP3532428B2 (ja) * 1998-11-27 2004-05-3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 子
JP3365550B2 (ja) * 1999-05-07 2003-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端子
JP4834605B2 (ja) * 2007-05-15 2011-12-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外導体端子
JP5008492B2 (ja) * 2007-08-01 2012-08-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
JP5003583B2 (ja) * 2008-04-25 2012-08-15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303144Y (zh) * 2008-12-05 2009-09-02 贵州航天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屏蔽线连接结构
JPWO2013058015A1 (ja) * 2011-10-19 2015-04-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US8485853B2 (en) 2011-11-03 2013-07-16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tact having knurl pattern with recessed rhombic elements that each have an axial minor distance
US8622774B2 (en) * 2011-11-07 2014-01-07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tact having channel with angled sidewalls and romboid knurl pattern
JP5934568B2 (ja) * 2012-04-26 2016-06-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140273594A1 (en) * 2013-03-14 2014-09-18 Delphi Technologies, Inc. Shielded cable assembly
CN204257871U (zh) * 2014-12-24 2015-04-08 合兴集团汽车电子有限公司 汽车收音转接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048B1 (ko) * 2020-03-03 2021-08-11 국방과학연구소 지상연소시험용 센서계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8905A1 (en) 2016-11-30
CN106207585A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311B1 (ko) 차폐형 케이블 조립체
KR101611101B1 (ko) 전기 접속 시스템
EP2779176B1 (en) Shielded cable assembly
US11336058B2 (en) Shielded cable assembly
EP3091614A1 (en) Electrical shield connector
KR101676123B1 (ko) 전기 커넥터 단자
EP3096331B1 (en) Shielded cable assembly
JP2019106356A (ja) シールドされたワイヤケーブル用の電気接続システム
KR20160140444A (ko) 전기 차폐 커넥터
KR102265050B1 (ko) 저프로파일 접속 잠금 기구
EP3480899B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shielded wire cable
US9698501B2 (en) Electrical shield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