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444A - Electrical shield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al shield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444A
KR20160140444A KR1020160064073A KR20160064073A KR20160140444A KR 20160140444 A KR20160140444 A KR 20160140444A KR 1020160064073 A KR1020160064073 A KR 1020160064073A KR 20160064073 A KR20160064073 A KR 20160064073A KR 20160140444 A KR20160140444 A KR 20160140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shield
conducto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0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니콜 엘. 립탁
브루스 디. 테일러
레슬리 엘. 존스
윌리암 제이. 팜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4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4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using a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cable-accommodating recesses or b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3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using twisted pairs of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01B11/10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 H01B11/1091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with screen grounding means, e.g. drai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4Connection of shield to additional grounding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5Twisted pair of conductors surrounded by shield

Abstract

An electrical shield connector (172) is formed to be attached to an end of a shielded cable (100) including a conductive wire (102) and a shield conductor (124) vertically surrounding the conductive wire (102). The shield connector (172) includes: a connection part formed to be connected with a corresponding matching electricity shield connector (174); and a cable attachment part (180) formed to vertically receive an end of the shield conductor (124). The connection part forms a shroud surrounding an electric terminal (160) attached to the conductive wire (102). The cable attachment part (180) and/or a crimp wing part (176), protruding therefrom, form a protruding part (244), formed to dent the shield connector (124) by touching the connector, thereby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hield connector (172) with the shield conductor (124). The cable attachment part (180) forms a null type pattern (246) including a plurality of rhomboid concave parts. The null type pattern (246)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ble attachment part (180).

Description

전기 차폐 커넥터{ELECTRICAL SHIELD CONNECTOR}ELECTRICAL SHIELD CONNECTOR

본 출원은 2015년 5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2/167,372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to U.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62 / 167,372 filed on May 28, 2015.

본 발명은 전기 차폐 커넥터, 특히 차폐된 와이어 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차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shielded connector, in particular to an electrically shielded connector adapted to be attached to the end of a shielded wire cable.

디지털 데이터 프로세서 속도의 증가는 데이터 전송 속도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디지털 데이터 프로세서에 전자 부품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 전송 매체는 다양한 부품들 사이에서 고속 디지털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연결되는 구성요소들이 고정 위치에 있고 비교적 근접하여 있는, 예를 들어 100 미터 미만만큼 분리되어 있는 용례에는 광파이버 케이블, 동축 케이블 또는 연선 케이블(twisted pair cable)과 같은 와이어형 매체가 적합할 수도 있다. 광파이버 케이블은 거의 100 기가비트 퍼 세컨드(Gb/s)까지의 데이터율을 지원할 수 있는 전송 매체를 제공하고 전자기 간섭에 실제적으로 내성이 있다. 동축 케이블은 10 Gb/s까지 데이터 전송율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지원하고 전자기 간섭에 대해 양호한 내성을 갖는다. 연선 케이블은 5 Gb/s를 넘는 데이터율을 지원할 수 있지만, 이들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전송 라인 또는 수신 라인에 전용된 케이블 내에 다수의 연선을 필요로 한다. 연선 케이블의 도전체는 케이블 내의 연선을 위한 차폐부를 포함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는 전자기 간섭에 대한 양호한 저항을 제공한다.The increase in digital data processor speed is leading to an increase in data transmission speed. The transmission medium used to connect the electronic components to the digital data processor must be configured to efficiently transmit high-speed digital signals between the various components. Wire-type media such as optical fiber cables, coaxial cables or twisted pair cables may be suitable for applications in which the connected components are in a fixed position and are relatively close together, for example less than 100 meters apart. Fiber-optic cables provide a transmission medium capable of supporting data rates up to nearly 100 gigabits per second (Gb / s) and are practically resistant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oaxial cable supports data rates up to 10 Gb / s as digital data and has good immunity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wisted-pair cables can support data rates in excess of 5 Gb / s, but these cables usually require multiple twisted pairs in the cable dedicated to the transmission line or receive line. The conductors of the twisted cable provide good resistance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at may be improved by including a shield for twisted pair in the cable.

범용 직렬 버스(USB) 3.0 및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1.4와 같은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은 5 Gb/s 이상의 데이터 전송율을 필요로 한다. 광파이버 및 연선 케이블의 양자 모두는 이들 전송율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광파이버 케이블은 연선보다 취약하고(필드 서비스를 필요로 함) 상당히 더 고가여서, 이들 광파이버 케이블을 높은 데이터 전송율 및 전자기 간섭 내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용 민감성 용례에 대해 덜 매력적이게 한다.Data transmission protocols such as Universal Serial Bus (USB) 3.0 and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1.4 require data rates of over 5 Gb / s. Although both optical fiber and twisted-pair cables can transmit data at these rates, optical fiber cables are more susceptible than twisted pair (requiring field service) and considerably more expensive, so that these optical fiber cables require high data rates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mmunity Not less cost-sensitive for the application.

자동차 및 트럭의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 및 다른 전자 시스템은 높은 데이터 전송율 신호를 운반할 수 있는 케이블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자동차 등급 케이블은 환경 요구(예를 들어, 진동, 열적 연령, 내습성, 및 EMC)를 충족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차량 배선 하네스(wiring harness) 내에서 라우팅되도록(routed) 충분히 가요성이어야 하고 차량 연비 요건을 충족하는 것을 돕도록 낮은 질량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낮은 질량을 갖고 차량 배선 하네스 내에 패키징되도록 충분히 가요성이면서, 광파이버 케이블에 의해 현재 충족될 수 없는 비용 목표를 충족하는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갖는 와이어 케이블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 와이어 케이블에 대해 제공된 특정 용례는 자동차이지만, 이러한 와이어 케이블은 또한 항공우주, 산업 제어 또는 다른 데이터 통신과 같은 다른 용례에서도 또한 발견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Automotive and truck infotainment systems and other electronic systems have begun to demand cables that can carry high data rate signals. Automotive grade cables must be flexible enough to be routed within the vehicle wiring harness as well as able to meet environmental requirements (e.g., vibration, thermal aging, moisture resistance, and EMC) It must have a low mass to help meet vehicle fuel economy requirements. Thus, there is a need for a wire cable that has a low mass and is flexible enough to be packaged in a vehicle wiring harness, and that has a high data rate that meets a cost objective that can not currently be met by an optical fiber cable. While the specific application provided for this wire cable is automotive, such wire cables may also be found in other applications such as aerospace, industrial control or other data communications.

배경 부분에 설명된 내용은 단지 배경 부분에 언급되었다는 결과만으로 종래기술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유사하게, 배경 부분에서 언급된 또는 배경 부분의 내용과 연관된 문제점은 종래 기술에서 이전에 인지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배경 부분의 내용은 단지 자체적으로 그리고 스스로 또한 발명일 수 있는 다른 접근법을 나타내는 것이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e background section should not be considered to be prior art only as a result of being mentioned in the background section only. Similarly,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ontent of the background portion or associated with the background portion should not be considered as perceived in the prior art. The content of the background portion is merely indicative of a different approach that may be invented by itself and also by itsel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와이어 케이블과 차폐 도전체를 갖는 차폐된 와이어 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전기 차폐 커넥터는 내측 절연체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 케이블로부터 분리되는 도전성 와이어 케이블을 종방향으로 둘러싸며, 차폐 도전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절연 재킷을 더 갖는 차폐된 와이어 케이블이 제공된다. 전기 차폐 커넥터는 차폐 도전체의 단부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부착 부분 및 대응하는 정합 전기 차폐 커넥터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케이블 부착부는 차폐 도전체에 접촉하고 차폐 도전체를 만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돌출부를 형성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ally shielded connector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n end of a shielded wire cable having a conductive wire cable and a shielding conductor longitudinally surrounds a conductive wire cable separated from the conductive wire cable by an inner insulator A shielded wire cable is provided having an insulating jacket at least partially surrounding the shielding conductor. The electrical shielding connector includes a cable attaching portion configured to longitudinally receive an end of the shielding conductor and a connection configured to connect with the corresponding mating electrical shielding connector. The cable attachment portion forms a first projection that contacts the shield conductor and is configured to engage the shield conductor.

케이블 부착부는 차폐 도전체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를 형성할 수 있고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는 차폐 도전체에 접촉하고 차폐 도전체를 만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블 부착부는 복수의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의 각각의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는 차폐 도전체에 접촉하고 차폐 도전체를 만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cable attachment portion may form a conductive crimp wing configured to attach to the end of the shielding conductor and the conductor crimp wing may form a second protrusion configured to contact the shielding conductor and recess the shielding conductor . The cable attaching portion may form a plurality of conductor crimp vanes and each conductor crimp vane of the plurality of conductor crimp vanes forms a second protrusion contacting the shield conductor and configured to entrain the shield conductor .

케이블 부착부는 케이블 부착부의 내면에 널(knurl) 패턴을 형성한다. 이 널 패턴은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의 오목부는 장사방형 형상을 갖고, 제1 쌍의 양 내측 코너는 그 사이에 대체적 종방향 단축 거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쌍의 양 내측 코너와 상이한 제2 쌍의 양 내측 코너는 그 사이에 장축 거리를 형성하며, 대체적 종방향 단축 거리는 장축 거리보다 작다. 케이블 부착부는 절연 재킷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절연체 크림프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 크림프 날개부는 절연 재킷에 침투하도록 구성되는 첨단부를 갖는 프롱(prong)을 형성할 수 있고, 프롱의 단부는 내측 절연체에 침투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 cable attaching portion forms a knurl patter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ble attaching portion. Wherein each of the concave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has a long rectangular shape and both inner corners of the first pair form an alternate longitudinal shortening distance therebetween, A second pair of opposite inner corners, different from both inner corners, form a long axis distance therebetween, and the alternative longitudinal shortening distance is less than the long axis distance. The cable attachmen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or crimp portion configured to attach to an end portion of the insulation jacket. The insulator crimp portion may form a prong having a tip portion configured to penetrate the insulated jacket, and the end portion of the prong is configured not to penetrate the insulator.

연결부는 도전성 와이어 케이블에 부착된 전기 단자를 종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슈라우드(shroud)를 형성할 수 있다. 슈라우드는 전기 단자와 도전성 와이어 케이블과의 사이의 연결 위치에 근접한 엠보싱부(embossment)를 형성하며, 엠보싱부는 연결부와 슈라우드와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킨다. 전기 차폐 커넥터는 전기 커넥터 본체의 캐비티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전기 차폐 커넥터는 삼각형 잠금 탱부(tang)를 형성하고, 삼각형 잠금 탱부는 전기 차폐 커넥터로부터 연장되고 전기 차폐 커넥터의 종축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는 제1 자유 단부 및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전기 차폐 커넥터로부터 또한 연장되는 제2 자유 에지를 포함하고, 전기 커넥터 본체의 캐비티 내의 잠금 에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캐비티로부터의 전기 차폐 커넥터의 제거를 억제하며, 제1 자유 에지 및 제2 자유 에지는 전기 차폐 커넥터로부터 돌출한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form a shroud configured to longitudinally surround the electric terminal attached to the conductive wire cable. The shroud forms an embossment close to the connection position between the electrical terminal and the conductive wire cable, and the embossed portion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and the shroud. The shielding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within a cavit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body, the shielding connector forming a triangular locking tang, the triangular locking tang extending from the shielding connector and forming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ielding connector And a second free edge extending further from the electrically shielded connector, the first free edg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free end and the longitudinal axis,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ocking edge in the cavit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body to remove the electrical shielded connector from the cavity And the first free edge and the second free edge protrude from the shielding connector.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이,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reading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given by way of non-limitative example only an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랜디드(stranded) 도전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와이어 케이블의 사시 절결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와이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와이어 케이블의 비틀림 꼬임 길이를 도시하는 와이어 케이블의 부분 절결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솔리드(solid) 도전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와이어 케이블의 사시 절결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와이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솔리드 드레인 와이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와이어 케이블의 사시 절결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와이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몇몇 고속 디지털 전송 표준의 신호 상승 시간 및 원하는 케이블 임피던스를 도시하는 차트이다.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7의 와이어 케이블의 다양한 성능 특성을 도시하는 차트이다.
도 1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7의 와이어 케이블의 차동 삽입 손실(differential insertion loss) 대 신호 주파수의 그래프이다.
도 1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구성요소의 서브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스트립에 수납된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 홀더 내에 수용된 도 15의 리셉터클 단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 커버를 포함하는 도 16의 리셉터클 단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 조립도이다.
도 19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스트립에 수납된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단자 홀더 내에 수용된 도 19의 플러그 단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 차폐부 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다른 플러그 커넥터 차폐부 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커넥터 차폐부 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다른 리셉터클 커넥터 차폐부 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커넥터 차폐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 차폐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대안적인 사시도이다.
도 33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스트랜디드 도전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와이어 케이블의 사시 절결도이다.
도 35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도 34의 와이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제8 실시예에 따른 솔리드 도전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와이어 케이블의 사시 절결도이다.
도 37은 제8 실시예에 따른 도 36의 와이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제9 실시예에 따른 접촉 범프 및 널형(knurled) 접촉 패턴을 갖는 커넥터 차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제9 실시예에 따른 도 38의 접촉 범프의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커넥터 차폐부 및 제9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의 상면도이다.
도 41은 도 38의 커넥터 차폐부 및 제9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 상면도이다.
도 42는 도 38의 커넥터 차폐부 및 제9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 저면도이다.
도 43은 도 38의 커넥터 차폐부 및 제9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4는 제9 실시예에 따른 도 38의 널형 패턴 접촉 패턴의 오목부의 도면이다.
도 45는 제9 실시예에 따른 도 38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커넥터 차폐부의 상면도이다.
도 46은 제9 실시예에 다른 도 38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리셉터클 커넥터 차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48은 제9 실시예에 따른 도 38의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49는 제9 실시예에 따른 도 38의 커넥터 차폐부에 대해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커넥터 차폐부를 위한 케이블-차폐부 저항을 비교하는 차트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cable of a wire cable assembly having a stranded condu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cable of Fig.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3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a wire cable showing the twist twist length of the wire cable of Fig.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cable of a wire cable assembly having a solid condu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cable of Fig. 4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cable of a wire cable assembly having a solid drain wi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cable of Fig. 6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8 is a sectional view of the wire cab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igure 9 is a chart illustrating the signal rise time and desired cable impedance of some high speed digital transmission standards.
10 is a chart showing variou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wire cable of Figs. 1 to 7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FIG. 11 is a graph of differential insertion loss versus signal frequency of the wire cable of FIGS. 1-7,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 cable assembly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bset of the components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ure 1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and plug terminals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ure 1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terminal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12 housed in a carrier strip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terminal assembly of Fig. 15 housed in a receptac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terminal assembly of FIG. 16 including the receptacle terminal cov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13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terminal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12 housed in a carrier strip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terminal assembly of FIG. 19 housed in a plug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lf of the plug connector shield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ure 13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igure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half of the plug connector shield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ure 13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lf of the receptacle connector shield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13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igure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half of the receptacle connector shield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ure 13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igure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connector shield assembly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ure 1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1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igure 2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connector shield assembly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ure 1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1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2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connector body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1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3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ug connector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1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3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1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32 is an alternative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1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3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1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34 is a perspective cut-away view of a wire cable of a wire cable assembly having a stranded conducto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3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cable of Fig. 34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3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cable of a wire cable assembly having a solid conducto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37 is a sectional view of the wire cable of Fig. 36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3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shield having a contact bump and a knurled contact pattern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39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bump of Fig. 38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40 is a top view of the connector shield according to FIG. 38 and the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41 is a perspective top view of the connector shield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and the connector shield shown in Fig. 38;
42 is a perspective bottom view of the connector shield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and the connector shield shown in Fig. 38;
Figure 4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shield according to Figure 38 and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44 is a view of a concave portion of the null-patterned contact pattern of Fig. 38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45 is a top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shield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38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4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shield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38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47 is a top view of the plug connector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 1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8 is a side view of the plug connector of the wire cable assembly of Figure 38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FIG. 49 is a chart comparing the cable-shield resistance for the connector shield of FIG. 13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shield of FIG. 38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USB 3.0 및 HDMI 1.4 성능 사양의 양자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5 기가비트 퍼 세컨드(Gb/s)(1초당 5십억 비트)까지의 전송율로 디지털 신호를 운반할 수 있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가 제시되어 있다.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는 한 쌍의 도전체(와이어 쌍) 및 도전성 시트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 및 전자기 간섭으로부터 와이어 쌍을 격리하고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를 결정하기 위한 편조 도전체를 포함한다. 와이어 쌍은 와이어 쌍과 차폐부와의 사이에 일관된 반경방향 거리를 제공하고 전송 라인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전성 벨팅(belting) 내에 수용된다. 벨팅은 또한 와이어 쌍이 비틀리는 경우 와이어 쌍 사이에 일관된 비틀림 꼬임 길이를 유지한다. 와이어 쌍과 차폐부와의 사이의 일관된 반경방향 거리 및 일관된 비틀림 꼬임 길이는 제어된 임피던스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을 제공한다.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는 또한 와이어 쌍에 연결된 리셉터클 단자의 거울대칭형 쌍을 갖는 전기 리셉터클 커넥터 및 와이어 쌍에 연결된 플러그 단자의 거울대칭형 쌍을 갖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및 플러그 단자는 각각,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가 정합될 때 대체적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리셉터클 단자의 주 폭은 플러그 단자의 주 폭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리셉터클과 플러그 단자와의 사이의 접촉점은 리셉터클 및 플러그 단자에 대해 외부에 있다.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의 양자 모두는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 단자를 종방향으로 둘러싸고 와이어 케이블의 편조 도전체에 연결되는 차폐부를 포함한다.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는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 단자 및 차폐부를 수납하는 절연성 커넥터 본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Wire cable assemblies are available that can carry digital signals at rates up to 5 gigabits per second (Gb / s) (5 billion bits per second) to support the quantum modes of the USB 3.0 and HDMI 1.4 performance specifications. The wire cable assembly includes a wire cable having a pair of conductors (wire pairs) and a conductive sheet, and a braided conductor for isolating the wire pairs from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of the cable. The wire pair is housed within a dielectric belt to provide a consistent radial distance between the wire pair and the shield and to maintain transmission line characteristics. Belting also maintains a consistent torsional twist length between the wire pairs when the wire pair is twisted. A consistent radial distance between the wire pair and the shield and a consistent torsional twist length provides a wire cable with controlled impedance. The wire cable assembly may also include a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having a mirror symmetrical pair of receptacle terminals connected to the wire pair and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having a mirror symmetrical pair of plug terminals connected to the wire pair. The receptacle and plug terminals each have a gener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onnectors are mated and the main width of the receptacle terminal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in width of the plug terminal and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receptacle and the plug terminal Are external to the receptacle and plug terminals. Both the receptacle and the plug connector include a shield that longitudinally surrounds the receptacle or plug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the braided conductor of the wire cable. The wire cable assembly may include an insulative connector body housing the receptacle or plug terminal and the shield.

도 1 및 도 2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에 사용된 와이어 케이블(100a)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와이어 케이블(100a)은 이하에서 제1 도전체(102a)라 칭하는 제1 내측 도전체 및 이하에서 제2 도전체(104a)라 칭하는 제2 내측 도전체를 포함하는 중앙 쌍의 도전체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미도금 구리 또는 은도금 구리와 같은 우수한 전도도를 갖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구리는 원소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을 칭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될 때, 은은 원소 은 또는 은계 합금을 칭한다. 구리 및 은 도금 구리 도전체의 디자인, 구성 및 소스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와이어 케이블(100a)의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각각 7개의 와이어 스트랜드(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의 와이어 스트랜드(106)의 각각은 0.12 밀리미터(mm)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일반적으로 28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merican Wire Gauge)(AWG) 스트랜디드 와이어와 동등한 약 0.321 밀리미터(mm)의 전체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스트랜디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어, 30 AWG 또는 32 AWG와 동등한 더 작은 전체 직경을 초래한다.Figures 1 and 2 illustrate non-limiting examples of a wire cable 100a used in a wire cable assembly. Wire cable 100a includes a center pair of conductors including a first inner conduc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nductor 102a, and a second inner conduc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conductor 104a .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and 104a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n excellent conductivity such as unplated copper or silver-plated copper. As used herein, copper refers to elemental copper or copper-based alloys. Also, as used herein, silver refers to elemental silver or silver alloy. The design, construction and source of copper and silver plated copper conductors are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and 104a of the wire cable 100a may each include seven wire strands 106. [ Each of the wire strands 106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104a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diameter of 0.12 millimeters (mm).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and 104a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n overall diameter of about 0.321 millimeters (mm), which is generally equivalent to 28 American Wire Gauge (AWG) stranded wire .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104a can be formed of stranded wires having smaller diameters, resulting in smaller overall diameters equal to 30 AWG or 32 AW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쌍의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꼬임 길이(L), 예를 들어 매 15.24mm마다 1회에 걸쳐 종방향으로 비틀린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를 비트는 것은 중앙 쌍에 의해 운반된 신호의 저주파수 전자기 간섭을 감소시키는 이익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만족스러운 신호 전송 성능이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가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비틀리지 않은 와이어 케이블에 의해 또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를 비틀지 않는 것은 비틀림 프로세스를 제거함으로써 와이어 케이블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and 104a of the center pair are twisted longitudinally one time per twist length L, for example every 15.24 mm. Bit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and 104a provides the benefit of reducing the low frequency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f the signal carried by the center pair. However, 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satisfactory signal transmission performance can also be provided by a wire cabl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104a are twisted one against the other. The tw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104a can provide the benefi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wire cable by eliminating the twisting process.

도 1 및 도 2를 한번 더 참조하면,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의 각각은 이하에서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라 칭하는 각각의 제1 유전성 절연체 및 제2 유전성 절연체 내에 포위된다.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는 함께 접합된다.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는 와이어 케이블(100a)을 종료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부에서 제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와이어 케이블(100a)의 전체 길이에 연장된다.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가요성 유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는 약 0.85 mm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Referring once again to Figures 1 and 2,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104a includes a first dielectric insul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and second insulators 108, 110, and a second dielectric insulator, And is enclosed within the dielectric insulator. The first and second insulators 108, 110 are bonded together. The first and second insulators 108 and 110 extend the entire length of the wire cable 100a except for the portion that is removed at the end of the cable to terminate the wire cable 100a. The first and second insulators 108, 110 are formed of a flexible dielectric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The first and second insulators 108, 110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85 mm.

제1 절연체(108)를 제2 절연체(110)에 접합하는 것은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이는 또한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가 비틀릴 때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 사이에 일관된 비틀림 꼬임 길이(도 3 참조)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접합된 절연체들을 갖는 한 쌍의 도전체를 제조하는데 요구되는 방법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Bonding the first insulator 108 to the second insulator 110 helps maintain spac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104a. This can also maintain a consistent torsional twist length (see FIG. 3)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104a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104a are twisted. The methods required to fabricate a pair of conductors with bonded insulators are well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 및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는 와이어 케이블(100a)을 종료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부들에서 제거되는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이하에서 벨팅(112)이라 칭하는 제3 유전성 절연체 내에 완전히 포위된다.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 및 벨팅(112)은 유전성 구조체(113)를 함께 형성한다.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and 104a and the first and second insulators 108 and 110 are formed in the following manner except for portions removed at the ends of the cable to terminate the wire cable 100a: 112 "). ≪ / RTI > The first and second insulators 108, 110 and the bellings 112 together form a dielectric structure 113.

벨팅(112)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가요성 유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팅은 2.22mm의 직경(D)을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의 단부가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로부터 박리되어 와이어 케이블(100a)의 종료부를 형성할 때,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로부터 벨팅(112)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탈크계 분말과 같은 이형제(114)가 접합된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의 외측면에 도포될 수도 있다.The belting 112 is formed of a flexible dielectric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As shown in Fig. 2, the bellings can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diameter D of 2.22 mm. When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insulators 108 and 110 are peeled off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and 104a to form the end portion of the wire cable 100a, the first and second insulators 108 and 110, A releasing agent 114 such as a talc-based powder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bonded first and second insulators 108 and 110 to facilitate removal of the belting 112 from the first and second insulators 108 and 110.

벨팅(112)은 와이어 케이블(100a)을 종료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부들에서 제거될 수 있는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이하에서 내측 차폐부(116)라 칭하는 도전성 시트 내에 완전히 포위된다. 내측 차폐부(116)는 벨팅(112) 주위에 단일층으로 종방향으로 감싸져서, 중앙 쌍의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에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단일 이음매(118)를 형성하게 된다. 내측 차폐부(116)는 벨팅(112)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싸지거나 또는 소용돌이형으로 감싸지지 않는다. 내측 차폐부(116)의 이음매 에지는 중첩될 수 있어, 내측 차폐부(116)가 벨팅(112)의 외측면의 적어도 100 퍼센트를 덮는다. 내측 차폐부(116)는 알루미나화된 2축방향으로 배향된 PET 필름과 같은 가요성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2축방향으로 배향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상표명 MYLAR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고 알루미나화된 2축방향으로 배향된 PET 필름은 이하에서 알루미나화된 MYLAR 필름이라 칭할 것이다. 알루미나화된 MYLAR 필름은 주 표면들 중 하나에만 도포되는 도전성 알루미늄 코팅이고, 다른 주 표면은 비-알루미나화되고, 따라서 비도전성이다. 편면(single-sided) 알루미나화된 MYLAR 필름을 위한 디자인, 구성 및 소스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내측 차폐부(116)의 비-알루미나화된 표면은 벨팅(112)의 외측면과 접촉하고 있다. 내측 차폐부(116)는 0.04 mm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잇다.The belting 112 is completely surrounded by a conductive she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ner shield 116, except for those portions that can be removed at the ends of the cable to terminate the wire cable 100a. The inner shield 116 is longitudinally wrapped in a single layer around the bell 112 to form a single joint 118 extending generally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Respectively. The inner shield 116 is not helically wrapped around the belting 112 or wrapped in a spiral. The seam edge of the inner shield 116 can overlap so that the inner shield 116 covers at least 100 percen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112. The inner shield 116 is formed of a flexible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PET film oriented in an aluminated biaxial orientation. The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is commonly known under the trade name MYLAR and the aluminated biaxially oriented PET film will be referred to below as an aluminated MYLAR film. The aluminized MYLAR film is a conductive aluminum coating applied to only one of the major surfaces and the other major surface is non-aluminated and thus non-conductive. The design, construction and source for single-sided aluminated MYLAR films are well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non-aluminated surface of the inner shield 116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ing 112. The inner shield 116 can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thickness of 0.04 mm or less.

벨팅(112)은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와 내측 차폐부(116)와의 사이에 일관된 반경방향 거리를 제공하고 전송 라인 특징을 유지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벨팅(112)은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 사이의 비틀림 꼬임 길이를 일관되게 유지시키는 장점을 더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서 발견되는 차폐된 연선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연선과 차폐부와의 사이에 유전체로서 단지 공기만을 갖는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와 내측 차폐부(116)와의 사이의 거리와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의 유효 비틀림 꼬임 길이의 양자 모두는 와이어 케이블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와 내측 차폐부(116)와의 사이에서 더 일관된 반경방향 거리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은 더 일관된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의 일관된 비틀림 꼬임 길이는 또한 제어된 임피던스를 제공한다.The bellings 112 provide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consistent radi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and 104a and the inner shield 116 and maintaining transmission line characteristics. The banding 112 further provides the advantage of consistently maintaining the twist twist leng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104a. Shielded twisted-pair cables found in the prior art typically have only air as dielectric between the twisted pair and the shield. Both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and 104a and the inner shield 116 and the effective torsional twist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and 104a affect the wire cable impedance . Thus, a wire cable with a more consistent radi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104a and the inner shield 116 provides a more consistent impedance. The consistent torsional twist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104a also provides a controlled impedance.

대안적으로, 와이어 케이블은 제1 및 제2 절연체 사이의 일관된 측방향 거리 및 제1 및 제2 절연체와 내측 차폐부와의 사이의 일관된 반경방향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절연체를 수용하는 단일 유전성 구조체를 통합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유전성 구조체는 또한 제1 및 제2 도전체의 비틀림 꼬임 길이를 일관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wire cable may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insulators to maintain a consistent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sulators and a consistent radi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sulators and the inner shield. Lt; RTI ID = 0.0 > dielectric < / RTI > The dielectric structure can also maintain a twist twist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consistently.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100a)은 이하에서 내측 차폐부(116)의 외측에 배치되는 드레인 와이어(120a)라 칭하는 접지 도전체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드레인 와이어(120a)는,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에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내측 차폐부(116)의 알루미나화된 외측면과 친밀한 접촉을 하거나 또는 적어도 전기 연통을 한다. 도 1 및 도 2의 예에서, 와이어 케이블(100a)의 드레인 와이어(120a)는 7개의 와이어 스트랜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와이어(120a)의 각각의 와이어 스트랜드(122)는 일반적으로 28 AWG 스트랜디드 와이어와 동등한 0.12mm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드레인 와이어(120a)는 30 AWG 또는 32 AWG와 같은 더 작은 게이지를 갖는 스트랜디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와이어(120a)는 미도금 구리 와이어 또는 주석 도금 구리 와이어와 같은 도전성 와이어로 형성된다. 구리 및 주석 도금 구리 도전체의 디자인, 구성 및 소스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ire cable 100a additionally includes a grounding conduc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ain wire 120a, disposed outside the inner shield 116. As shown in Fig. The drain wire 120a extends generally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and 104a and is in intimate contact with or at least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aluminized outer surface of the inner shield 116 . In the example of FIGS. 1 and 2, the drain wire 120a of the wire cable 100a may include seven wire strands 122. Each wire strand 122 of the drain wire 120a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diameter of 0.12 mm, which is generally equivalent to a 28 AWG stranded wire. Alternatively, the drain wire 120a may be formed of stranded wire having a smaller gauge, such as 30 AWG or 32 AWG. The drain wire 120a is formed of a conductive wire such as an unplated copper wire or a tin-plated copper wire. The design, construction and source of copper and tin-plated copper conductors are well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100a)은 와이어 케이블(100a)을 종료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부들에서 제거될 수 있는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내측 차폐부(116)와 드레인 와이어(120a)를 포위하는 이하에서 외측 차폐부(124)라 칭해지는 편조 와이어 도전체를 더 포함한다. 외측 차폐부(124)는 구리 또는 주석 도금 구리와 같은 복수의 직조 도전체로 형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주석은 원소 주석 또는 주석계 합금을 칭한다. 이러한 외측 차폐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 편조 도전체의 디자인, 구성 및 소스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외측 차폐부(124)는 내측 차폐부(116)와 드레인 와이어(120a)의 양자 모두와 친밀한 접촉을 하거나 또는 적어도 전기 연통을 한다. 외측 차폐부(124)를 형성하는 와이어는 내측 차폐부(116)의 외측면의 적어도 65 퍼센트와 접촉할 수 있다. 외측 차폐부(124)는 0.30 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1 and 2, the wire cable 100a includes an inner shield 116 and a drain wire (not shown) except for portions that can be removed at the ends of the cable to terminate the wire 100a 120a, which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uter shield 124. The braid wire conductors 120, The outer shield 124 is formed of a plurality of woven conductors such as copper or tin plated copper. As used herein, tin refers to elemental tin or tin-based alloys. The design, construction and source of the braided conductor used to provide such an outer shield are well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outer shield 124 is in intimate contact with or at least electrically communicates with both the inner shield 116 and the drain wire 120a. The wire forming the outer shield 124 may contact at least 65 percen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hield 116. [ The outer shield 124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thickness of at least 0.30 mm.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a)은 이하에서 재킷(126)이라 칭하는 외측 유전성 절연체를 더 포함한다. 재킷(126)은 와이어 케이블(100a)을 종료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부들에서 제거될 수 있는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외측 차폐부(124)를 포위한다. 재킷(126)은 와이어 케이블(100a)을 위한 전기 절연 및 환경적 보호의 양자 모두를 제공하는 외측 절연층을 형성한다. 재킷(126)은 폴리비닐 염화물(PVC)과 같은 가요성 유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재킷(126)은 약 0.2 mm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The wire cable 100a shown in Figs. 1 and 2 further includes an outer dielectric insul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jacket 126. Fig. The jacket 126 surrounds the outer shield 124 except for portions that can be removed at the ends of the cable to terminate the wire cable 100a. The jacket 126 forms an outer insulating layer that provides both electrical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for the wire cable 100a. The jacket 126 is formed of a flexible dielectric material, such as polyvinyl chloride (PVC). The jacket 126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2 mm.

와이어 케이블(100a)은, 내측 차폐부(116)가 벨팅(112)에 단단히 조여지고, 외측 차폐부(124)가 드레인 와이어(120a) 및 내측 차폐부(116)에 단단히 조여지고, 재킷(126)이 외측 차폐부(124)에 단단히 조여져서 이들 요소들 사이에서의 공기 간극의 형성이 최소화되거나 치밀화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제어된 자기 투자율을 갖는 와이어 케이블(100a)을 제공한다.The wire cable 100a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shielding portion 116 is tightly fastened to the belling 112 and the outer shielding portion 124 is securely tightened to the drain wire 120a and the inner shielding portion 116 and the jacket 126 Are tightly tightened to the outer shield 124 to minimize or densify the formation of air gaps between these elements. This provides a wire cable 100a with a controlled magnetic permeability.

와이어 케이블(100a)은 95 오옴의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The wire cable 100a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characteristic impedance of 95 ohms.

도 4 및 도 5는 전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와이어 케이블(100b)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b)은, 제1 및 제2 도전체(102b, 104b)가 일반적으로 28 AWG 솔리드 와이어와 동등한 약 0.321 밀리미터(mm)의 직경을 갖는 베어(bare)(미도금) 구리 와이어 또는 은 도금 구리 와이어와 같은 솔리드 와이어 도전체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a)과 구성이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도전체(102b, 104b)는 30 AWG 또는 32 AWG와 같은 더 작은 게이지를 갖는 솔리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케이블(100b)은 95 ± 10 오옴의 임피던스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Figures 4 and 5 show another non-limiting example of a wire cable 100b for transferring electrical digital data signals. The wire cable 100b shown in Figs. 4 and 5 is similar to the wire cable 100b shown in Fig. 4 except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b and 104b are generally bare with diameters of about 0.321 millimeters (mm) equivalent to 28 AWG solid wires. 1 and 2, except that they each include a solid wire conductor such as copper wire (unplated) copper wire or silver plated copper wire, respectively.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b and 104b may be formed of a solid wire having a smaller gauge, such as 30 AWG or 32 AWG. Wire cable 100b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n impedance of 95 +/- 10 ohms.

도 6 및 도 7은 전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와이어 케이블(100c)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c)은, 드레인 와이어(120b)가 일반적으로 28 AWG 솔리드 와이어와 동일한 약 0.321mm2 의 단면적을 갖는 미도금 구리 도전체, 주석 도금 구리 도전체, 또는 은 도금 구리 도전체와 같은 솔리드 와이어 도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b)과 구성이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드레인 와이어(120b)는 30 AWG 또는 32 AWG와 같은 더 작은 게이지를 갖는 솔리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케이블(100c)은 95 ± 10 오옴의 임피던스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6 and 7 illustrate another non-limiting example of a wire cable 100c for transmitting electrical digital data signals. The wire cable 100c shown in Figs. 6 and 7 can be formed by the use of an unplated copper conductor, a tin-plated copper conductor, or the lik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of about 0.321 mm 2 , which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28 AWG solid wire, Except that it includes a solid wire conductor such as a plated copper conductor. The wire cable 100b shown in Figs. 4 and 5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wire cable 100b shown in Figs. Alternatively, the drain wire 120b may be formed of a solid wire having a smaller gauge, such as 30 AWG or 32 AWG. The wire cable 100c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n impedance of 95 +/- 10 ohms.

도 8은 전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와이어 케이블(100d)의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d)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100a, 100b, 100c)과 구성이 유사하지만, 와이어 케이블(100d)은 다수의 쌍의 제1 및 제2 도전체(102b, 104b)를 포함한다. 벨팅(112)은 또한 다수의 와이어 쌍 도전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에 대해 종래 기술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와이어 쌍의 분리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도 8에 도시된 예는 솔리드 와이어 도전체(102b, 104b, 및 120b)를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는 스트랜디드 와이어(102a, 104a, 및 120a)를 포함할 수도 있다.Figure 8 shows another non-limiting example of a wire cable 100d for transferring electrical digital data signals. The wire cable 100d shown in Fig. 5 is similar in construction to the wire cables 100a, 100b and 100c shown in Figs. 1 to 7, but the wire cable 100d has a plurality of pairs of first and second Body 102b, 104b. Belting 112 also eliminates the need for a spacer to maintain the separation of wire pairs as seen in the prior art for wire cables having multiple wire-pair conductors. The example shown in Figure 8 includes solid wire conductors 102b, 104b, and 120b. However, alternative embodiments may include stranded wires 102a, 104a, and 120a.

도 9는 USB 3.0 및 HDMI 1.4 성능 사양을 위한 신호 상승 시간[피코초(ps)] 및 차등 임피던스[오옴(Ω)]에 대한 요건을 도시한다. 도 9는 또한 USB 3.0 및 HDMI 1.4 표준의 양자 모두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와이어 케이블을 위한 조합된 요건을 도시한다. 와이어 케이블(100a 내지 100f)은 도 9에 도시된 조합된 USB 3.0 및 HDMI 1.4 신호 상승 시간 및 차등 임피던스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예상된다.Figure 9 shows the requirements for signal rise time [picosecond (ps)] and differential impedance [ohm ([Omega]) for USB 3.0 and HDMI 1.4 performance specifications. Figure 9 also shows the combined requirements for a wire cable capable of meeting both USB 3.0 and HDMI 1.4 standards simultaneously. The wire cables 100a through 100f are expected to meet the combined USB 3.0 and HDMI 1.4 signal rise time and differential impedance requirements shown in FIG.

도 10은 0 내지 7500 MHz(7.5 GHz)의 신호 주파수 범위에 걸쳐 와이어 케이블(100a 내지 100f)에 대해 예상된 차등 임피던스를 도시한다.Figure 10 shows the expected differential impedance for wire cables 100a through 100f over a signal frequency range of 0 to 7500 MHz (7.5 GHz).

도 11은 0 내지 7500 MHz(7.5 GHz)의 신호 주파수 범위에 걸쳐 7m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100a 내지 100f)에 대해 예상된 삽입 손실을 도시한다.Figure 11 shows the expected insertion loss for wire cables 100a-100f with a length of 7 m over a signal frequency range of 0 to 7500 MHz (7.5 GHz).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7 미터까지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100a 내지 100f)은 25 dB 미만의 삽입 손실을 갖는 5 Gb/s까지의 속도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10 and 11, wire cables 100a to 100f having a length of up to 7 meters can transmit digital data at a rate of up to 5 Gb / s with an insertion loss of less than 25 dB .

도 12의 비제한적인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는 전기 커넥터를 또한 포함한다.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128)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12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130)일 수 있다.As shown in the non-limiting example of FIG. 12, the wire cable assembly also includes an electrical connector. The connector may be a plug connector 130 configured to receive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or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28)는 2개의 단자, 즉 제1 내측 도전체(102)에 연결된 제1 리셉터클 단자(132) 및 와이어 케이블(100)의 제2 내측 도전체(도면의 관점에 기인하여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연결된 제2 리셉터클 단자(134)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셉터클 단자(132)는 대체적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제1 외팔보부(136)의 자유 단부 부근에서 제1 외팔보부(136)로부터 현수하는 볼록형 제1 접촉점(138)을 형성하는 제1 외팔보부(136)를 포함한다. 제2 리셉터클 단자(134)는 대체적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제2 외팔보부(140)의 자유 단부 부근에서 제2 외팔보부(140)로부터 현수하는 볼록형 제2 접촉점(142)을 형성하는 유사한 제2 외팔보부(140)를 또한 포함한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와이어 케이블(100)의 내측 도전체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도전체 부착부(144)를 각각 포함하고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를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에 부착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한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전체 부착부(144)는 L 형상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종축(A)에 대해 좌우 대칭인 거울대칭형 단자 쌍을 형성하고, 종축(A)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는 것은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 및 종축(A)이 서로에 대해 완전히 평행한 상태의 ± 5°인 것을 의미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외팔보부(136)와 제2 외팔보부(140)와의 사이의 거리는 중심간에 2.85mm이다.13,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includes two terminals: a first receptacle terminal 132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conductor 102 and a second inner conductor (not shown) of the wire cable 100 And a second receptacle terminal 134 connected to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34 (not shown due to the perspective of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2 has a convex first contact point 138 having a gener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suspended from the first cantilever portion 136 near the free end of the first cantilever portion 136, And a first cantilevered portion 136 that forms a first cantilevered portion 136. [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34 has a similar second cantilevered portion 142 having a gener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forming a convex second contact point 142 that is suspended from the second cantilevered portion 140 near the free end of the second cantilevered portion 140. [ Gt; 140 < / RTI >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each include a conductor attachment portion 144 configured to receive an end of the inner conductor of the wire cable 100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104 to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134,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4, the conductor attachment portion 144 forms an L shape.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134 form mirror symmetrical terminal pairs that are symmetrical about the longitudinal axis A and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A and to each other. As used herein, substantially parallel means that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and longitudinal axis A are in the fully parallel s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plus or minus 5 degree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antilever portion 136 and the second cantilever portion 140 is 2.85 mm between the centers.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를 형성하기 위해 시트를 절결하고 만곡시키는 스탬핑 프로세스에 의해 도전성 재료의 시트로부터 형성된다. 스탬핑 프로세스는 또한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가 부착되는 캐리어 스트립(146)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스톡 두께를 통해 적어도 80% 이상의 전단 절단을 제공하는 미세 블랭킹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는 외팔보부의 작은 에지 상의 더 평활한 표면 및 리셉터클 커넥터(128)와 플러그 커넥터(130)와의 사이의 연결부 마모를 감소시키는 접촉점을 제공한다. 도전체 부착부(144)는 이어서 후속의 성형 작업에서 L 형상으로 만곡된다.As shown in Fig. 15,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are formed by a stamping process of cutting and curving the sheet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Sheet. The stamping process also forms a carrier strip 146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134 are attached.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134 are formed using a fine blanking process that provides at least 80% shear cut through the stock thickness. This provides a smoother surface on the small edge of the cantilevered portion and a contact point that reduces the wear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and the plug connector 130. The conductor attachment portion 144 is then curved into an L shape in a subsequent molding opera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를 형성하는 인서트 성형 프로세스를 위해 캐리어 스트립(146)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는 이들 단자들이 캐리어 스트립(146)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 사이의 공간 관계를 유지한다.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는 또한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가 와이어 케이블(100)로부터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도전체 부착부(144)로 전이함에 따라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 사이의 일관된 분리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한 쌍의 와이어 가이드 채널(150)을 형성한다.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는 액정 폴리머와 같은 유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이 재료는 성형, 가공 및 전기 유전성 특성을 위한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다른 가공 플라스틱에 비해 성능 장점을 제공한다.16,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134 are formed by an insert molding process (not shown) that forms a receptacle terminal holder 148 that partially receives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Lt; RTI ID = 0.0 > 146 < / RTI > The receptacle terminal holder 148 maintains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134 after these terminals are separated from the carrier strip 146. [ The receptacle terminal holder 148 also allows 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and 104 to transition from the wire cable 100 to the conductor attachment portions 144 of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A pair of wire guide channels 150 are formed to help maintain a consistent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The receptacle terminal holder 148 is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such as a liquid crystal polymer. This material offers performance advantages over other processed plastics such as polyamide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for molding, processing and electrical dielectric properties.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스트립(146)의 부분은 제거되고,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가 이어서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에 부착된다.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는, 리셉터클 커넥터(128)가 취급되는 동안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130)가 리셉터클 커넥터(128)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때,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를 만곡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는 플러그 커넥터(130)가 리셉터클 커넥터(128)에 연결될 때 제1 및 제2 외팔보부(136, 140)가 굴곡되게 하는 한 쌍의 홈(154)을 형성한다.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는 또한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와 동일한 액정 폴리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다른 유전성 재료가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는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에 의해 형성된 세장형 포스트(158)에 정합되는 세장형 슬롯(156)을 형성한다.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는 슬롯(156) 내에 포스트(158)를 초음파 용접함으로써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에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에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를 결합하는 다른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17, the portion of the carrier strip 146 is removed, and the receptacle terminal cover 152 is then attach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holder 148. As shown in Fig. The receptacle terminal cover 152 is configured to flex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134 while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is being handled and when the plug connector 130 is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 Respectively. The receptacle terminal cover 152 defines a pair of grooves 154 that allow the first and second cantilevered portions 136 and 140 to flex when the plug connector 130 is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The receptacle terminal cover 152 may also be formed of the same liquid crystal polymer material as the receptacle terminal holder 148, but other dielectric materials may alternatively be used. The receptacle terminal holder 148 forms elongated slots 156 that mate with elongate posts 158 formed by the receptacle terminal holder 148. The receptacle terminal holder 148 is shown in Fig. The receptacle terminal cover 152 is coupl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holder 148 by ultrasonically welding the posts 158 within the slots 156. Alternatively, other means of engaging the receptacle terminal holder 148 with the receptacle terminal cover 152 may be employed.

캐리어 스트립(146)의 나머지는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를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에 부착하기 전에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로부터 제거된다.The remainder of the carrier strip 146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134 prior to attaching 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104 to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134, .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는 초음파 용접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도전체 부착부(144)에 부착된다. 도전체를 단자에 음파 용접하는 것은 납땜과 같은 다른 결합 프로세스보다 더 양호한 도전체와 단자와의 사이의 조인트의 질량의 제어를 허용하고, 따라서 도전체와 단자와의 사이의 조인트와 연계된 캐패시턴스에 대한 더 양호한 제어를 제공한다. 또한, 납땜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환경 문제를 피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and 104 are attached to the conductor attachment portions 144 of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using an ultrasonic welding process, do. Sonic welding of the conductor to the terminal allows control of the mass of the joint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terminal, which is better than other bonding processes such as soldering, and therefore, to the capacitance associated with the joint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terminal To provide better control over the < / RTI > In addition,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using soldering can be avoided.

도 13을 재차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30)는 2개의 단자, 즉 제1 내측 도전체(102)에 연결된 제1 플러그 단자(160) 및 와이어 케이블(100)의 제2 내측 도전체(도시 생략)에 연결된 제2 플러그 단자(162)를 또한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러그 단자(160)는 대체적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제1 세장형 평면형 부분(164)을 포함한다. 제2 플러그 단자(162)는 유사한 제2 세장형 평면형 부분(166)을 또한 포함한다. 플러그 단자들의 평면형 부분들은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제1 및 제2 접촉점(138, 142)을 수용하여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평면형 부분의 자유 단부는, 플러그 커넥터(130) 및 리셉터클 커넥터(128)가 정합될 때, 정합하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가 제1 및 제2 평면형 부분(164, 166)의 자유 단부 위에 그리고 그에 걸쳐 얹히도록 하는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는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의 단부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도전체 부착부(144)와 유사한 도전체 부착부(144)를 각각 포함하고,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에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를 부착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한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전체 부착부(144)는 L 형상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는 종축(A)에 대해 좌우 대칭성을 갖는 거울대칭형 단자 쌍을 형성하고, 종축(A)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는 것은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 및 종축(A)이 서로에 대해 완전히 평행한 상태의 ± 5°인 것을 의미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평면형 부분과 제2 평면형 부분과의 사이의 거리는 중심간에 2.85mm이다. 본 발명자들은 거울대칭형 평행 리셉터클 단자 및 플러그 단자가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임피던스 및 삽입 손실과 같은 고속 전기 특성에 대해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 관찰하였다.13, the plug connector 130 includes two terminals: a first plug terminal 160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conductor 102 and a second inner conductor (not shown) of the wire cable 100 (Not shown). As shown in Fig. 14, the first plug terminal 160 includes a first elongated planar portion 164 having a generally rectangular cross-section. The second plug terminal 162 also includes a similar second elongated planar portion 166. The planar portions of the plug terminals are configured to receive and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138, 142 of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134. The free end of the planar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plug connector 13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are mated, the mating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134 are aligned with the first and second planar portions 164,166, And has a sloped shape that allows it to rest over and over the free end of the frame.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and 16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attachmen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configured to receive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and 104 144 to provide a surface for attaching 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104 to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162, respectively . As shown in Fig. 14, the conductor attachment portion 144 forms an L shape.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and 162 form mirror symmetrical terminal pairs with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A and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A and to each other. As used herein, substantially parallel means that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and the longitudinal axis A are in the fully parallel s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plus or minus 5 degree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nar portion and the second planar portion is 2.85 mm between the centers. The inventors have observed through mirroring data obtained from computer simulations that mirror symmetrical parallel receptacle terminals and plug terminals have a strong impact on high speed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impedance and insertion loss of wire cable assemblies.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는 플러그 단자들을 형성하기 위해 시트를 절결하고 만곡시키는 스탬핑 프로세스에 의해 도전성 재료의 시트로부터 형성된다. 스탬핑 프로세스는 또한 플러그 단자가 부착되는 캐리어 스트립(168)을 형성한다. 도전체 부착부(144)는 이어서 후속의 형성 작업에서 L 형상으로 만곡된다.As shown in Fig. 19, the plug terminal is formed from a sheet of conductive material by a stamping process that cuts and curves the sheet to form plug terminals. The stamping process also forms a carrier strip 168 to which the plug terminals are attached. The conductor attachment portion 144 is then curved in an L shape in a subsequent formation operation.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는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플러그 단자 홀더(170)를 형성하는 인서트 성형 프로세스를 위해 캐리어 스트립(168)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플러그 단자 홀더(170)는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가 캐리어 스트립(168)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 사이의 공간 관계를 유지한다. 플러그 단자 홀더(170)는,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와 유사하게,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가 와이어 케이블(100)로부터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도전체 부착부(144)로 전이함에 따라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 사이의 일관된 분리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한 쌍의 와이어 가이드 채널(150)을 형성한다. 플러그 단자 홀더(170)는 액정 폴리머와 같은 유전성 재료로 형성된다.20, the plug terminals are attached to the carrier strips 168 for the insert molding process to form plug terminal holders 170 that partially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Lt; / RTI > The plug terminal holder 170 maintains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162 after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162 are separated from the carrier strip 168. The plug terminal holder 17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and 104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from the wire cable 100 similarly to the receptacle terminal holder 148. [ A pair of wire guide channels 150 are formed that help to maintain a consistent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104 as they transition to the conductor attachment portion 144 of 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The plug terminal holder 170 is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such as a liquid crystal polymer.

캐리어 스트립(168)은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를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에 부착하기 전에 플러그 단자들로부터 제거된다.The carrier strips 168 are removed from the plug terminals before attaching 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104 to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162.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100)의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는 초음파 용접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의 도전체 부착부(144)에 부착된다.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and 104 of the wire cable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s of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and 162 using an ultrasonic welding process, (144).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 및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130, 128)가 정합될 때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주 폭이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의 주 폭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도록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130, 128) 내에 배향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실질적으로 수직이다라는 것은 주 폭이 완전히 수직인 상태의 ± 5°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와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와의 사이의 이러한 배향이 삽입 손실에 대해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130, 128)가 정합될 때,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는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에 중첩한다.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130, 128)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단지 제1 및 제2 접촉점(138, 142)만이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의 평면형 블레이드부에 접촉하고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와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와의 사이에 형성된 접촉 면적이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와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와의 사이에 중첩된 면적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때때로 와이프 거리(wipe distance)라 칭하는 접촉 면적은 단자들 사이의 중첩부에 의해서가 아니라 제1 및 제2 접촉점(138, 142)의 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및 플러그 단자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제1 및 제2 접촉점(138, 142)이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와 완전히 결합되는 한은 일관된 접촉 면적의 이익을 제공한다. 플러그 및 리셉터클 단자의 양자 모두는 거울대칭형 쌍이기 때문에, 제1 리셉터클 단자(132)와 제1 플러그 단자(160)와의 사이의 제1 접촉 면적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4)와 제2 플러그 단자(162)와의 사이의 제2 접촉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라는 것은 제1 접촉 면적과 제2 접촉 면적과의 사이의 접촉 면적이 0.1mm2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플러그와 리셉터클 단자와의 사이의 접촉 면적과 제1 접촉 면적과 제2 접촉 면적과의 사이의 차이가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삽입 손실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 관찰하였다.13 and 14,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and 162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are arranged such that the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s 130 and 128 are aligned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are oriented in the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s 130 and 128 such that the major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widths of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and 162. As used herei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means that the principal width is in a fully vertical state of < RTI ID = 0.0 > 5. The present inventors have observed that this orient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and 162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insertion loss. Also, when the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s 130, 128 are mated,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134 overlap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162. The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s 130 and 128 are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138 and 142 of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and 162 The contact area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and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and 162 in contact with the planar blade section is larger tha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 And the first plug terminal 160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162, respectively. Thus, the contact area,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wipe distance, is determined by the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138, 142, not by the overlap between the terminals. Thus, the receptacle and plug terminals are consistent as long as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138,142 of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134 are fully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162 Providing a benefit of contact area. A first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2 and the first plug terminal 160 and a second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34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160 are both mirror symmetrical pairs, 162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used herein, substantially parallel means th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contact area and the second contact area is less than 0.1 mm < 2 & gt ;. The inventors have observed through the data obtained from computer simulation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lug and the receptacle terminal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ontact area and the second contact area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insertion loss of the wire cable assembly Respectively.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 내에 수용되지 않고, 따라서 제1 접촉 면적은 제1 플러그 단자(160)의 외부에 있고, 제2 접촉 면적은 플러그 커넥터(130)가 리셉터클 커넥터(128)에 정합될 때 제2 플러그 단자(162)의 외부에 있다.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and 162 are not received in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so that the first contact area is outside the first plug terminal 160, The contact area is external to the second plug terminal 162 when the plug connector 130 is aligned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 및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는 구리계 재료의 시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팔보부(136, 140) 및 제1 및 제2 평면형 부분(164, 166)은 구리/니켈/은계 도금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도금될 수 있다. 단자들은 5 스킨 두께로 도금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 및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는 리셉터클 커넥터(128) 및 플러그 커넥터(130)가 약 1 뉴턴(100 그램)의 낮은 삽입 수직력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낮은 수직력은 연결/분리 사이클 중에 도금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이익을 제공한다.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and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and 162 may be formed from a sheet of copper-based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cantilevered portions 136 and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planar portions 164 and 166 may be selectively plated using copper / nickel / silver based plating. The terminals may be plated to a 5-skinned thickness.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and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and 162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and the plug connector 130 have a low insertion vertical force of about one newton . The low vertical force provides the benefit of reducing wear of the plating during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cycl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30)는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차폐부(124)에 부착되는 리셉터클 차폐부(174)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차폐부(174)는 제1 및 제2 플러그 단자(160, 162) 및 플러그 단자 홀더(170)로부터 분리되고 이들을 종방향으로 둘러싼다. 리셉터클 커넥터(128)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 리셉터클 단자 홀더(148) 및 리셉터클 단자 커버(152)로부터 분리되고 이들을 종방향으로 둘러싸는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차폐부(124)에 부착되는 리셉터클 차폐부(174)를 또한 포함한다. 리셉터클 차폐부(174) 및 리셉터클 차폐부(174)는, 서로 활주식으로 접촉하고, 정합될 때 부착된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차폐부 사이의 전기적 연속성 및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130, 128)에 대한 전자기 차폐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13, the plug connector 130 includes a receptacle shield 174 attached to the outer shield 124 of the wire cable 100. As shown in FIG. The receptacle shield 174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plug terminals 160 and 162 and the plug terminal holder 170 and longitudinally surrounds them.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the receptacle terminal holder 148 and the receptacle terminal cover 152 a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hielding portion of the wire cable 100, Lt; RTI ID = 0.0 > 124 < / RTI > Receptacle shield 174 and receptacle shield 174 are slidab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provide electrical continuity between the outer shield of attached wire cable 100 when plugged and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s 130, Lt; RTI ID = 0.0 > shielded < / RTI >

도 13,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차폐부(174)는 2개의 부분으로 만들어진다. 도 21에 도시된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와이어 케이블(1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부착부(180)에 인접한, 2개의 쌍의 크림핑 날개부, 즉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 및 절연체 크림프 날개부(178)를 포함한다.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가 와이어 케이블(110)에 크림프될 때 와이어 케이블(100)의 노출된 외측 차폐부(124)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오프셋되는 바이패스형 크림프 날개부이다. 드레인 와이어(120a)는, 와이어 케이블(100)의 드레인 와이어(120a)가 와이어 케이블(110)의 외측 차폐부(124)와 내측 차폐부(116)와의 사이에 개재되기 때문에,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가 외측 차폐부(124)에 크림프될 때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는 크림핑 전에 드레인 와이어(120)를 차폐부와 관련하여 배향할 필요 없이 플러그 차폐부(174)를 드레인 와이어(120)에 결합하는 이익을 제공한다.13, 21, and 22, the receptacle shield 174 is made of two parts.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shown in Figure 21 includes two pairs of crimping wings, i.e., conductor crimp wings 176 (not shown), adjacent to a cable attaching portion 180 configured to receive a wire cable 100 And an insulator crimp wing 178. [ The conductor crimp wing 176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exposed outer shield 124 of the wire cable 100 when the conductor crimp wing 176 is crimped to the wire cable 110, Pass type crimp wing. Since the drain wire 120a of the wire cable 100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hielding portion 124 and the inner shielding portion 116 of the wire cable 110, And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when the first shield 174a is crimped to the outer shield 124. [ This provides the benefit of coupling the plug shield 174 to the drain wire 120 without having to align the drain wire 120 with the shield before crimping.

절연 크림프 날개부는 또한 플러그 차폐부(174)가 와이어 케이블(110)에 크림프될 때 와이어 케이블(100)의 재킷(126)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오프셋되는 바이패스형 날개부이다. 각각의 절연 크림프 날개부는 적어도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절연체를 침투하도록 구성되는 첨단부를 갖는 프롱(182)을 더 포함한다. 프롱(182)은 힘이 리셉터클 차폐부(174)와 와이어 케이블(100)과의 사이에 부여될 때 리셉터클 차폐부(174)가 와이어 케이블(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한다. 프롱(182)은 또한 리셉터클 차폐부(174)가 와이어 케이블(100)의 종축(A)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한다. 프롱(182)은 또한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차폐부(124), 내측 차폐부(116) 또는 벨팅(112)을 침투할 수 있지만, 제1 및 제2 절연체(108, 110)는 침투하지 않아야 한다. 도시된 예는 2개의 프롱(182)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에 의해 형성된 단일 프롱(182) 만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The insulating crimp wing is also a bypass wing that is configured and offset to surround the jacket 126 of the wire cable 100 when the plug shield 174 is crimped to the wire cable 110. Each insulated crimp wing further includes at least a prong (182) having a tip portion configured to penetrate an outer insulator of the wire cable (100). The prong 182 suppresses the detachment of the receptacle shield 174 from the wire cable 100 when a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receptacle shield 174 and the wire cable 100. The prongs 182 also inhibit the receptacle shield 174 from rotating about the longitudinal axis A of the wire cable 100. The prongs 182 may also penetrate the outer shield 124, the inner shield 116 or the belting 112 of the wire cable 100 while the first and second insulators 108 and 110 do not penetrate Should not. Although the illustrated example includes two prongs 182, it is contemplated that altern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only a single Prong 182 formed by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플러그 단자의 도전체 부착부(144)와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와의 사이의 연결부에 근접하는 엠보싱부(184)를 형성한다. 엠보싱부(184)는 도전체 부착부(144)와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와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이들 사이의 용량성 결합을 감소시킨다.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forms an embossed portion 184 proximate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ductor attachment portion 144 of the plug terminal and 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The embossing portion 184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or attachment portion 144 and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and thus reduces the capacitive coupling therebetween.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b)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188)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돌출부(218) 또는 범프(186)를 또한 형성한다. 범프(186)는 구멍(188) 내에 스냅되어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b)를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에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8 or bumps 188 configured to interact with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holes 188 formed in the second receptacle shield 174b as shown in FIG. ) Is also formed. The bump 186 is configured to snap into the hole 188 to mechanically secure and electrically couple the second receptacle shield 174b to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도 13,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차폐부(174)는 마찬가지로 2개의 부분으로 만들어진다. 도 23에 도시된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와이어 케이블(1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부착부(180)에 인접한, 2개의 쌍의 크림핑 날개부, 즉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 및 절연체 크림프 날개부(178)를 포함한다.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가 와이어 케이블(100)에 크림프될 때 와이어 케이블(100)의 노출된 외측 차폐부(124)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오프셋되는 바이패스형 크림프 날개부이다.13, 23 and 24, the receptacle shield 174 is likewise made up of two parts.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shown in FIG. 23 includes two pairs of crimping wings, i.e., conductor crimp wings 176 (not shown) adjacent to a cable attaching portion 180 configured to receive a wire cable 110 And an insulator crimp wing 178. [ The conductor crimp wing 176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exposed outer shield 124 of the wire cable 100 when the conductor crimp wing 176 is crimped to the wire cable 100 It is a crimp wing part.

절연 크림프 날개부는 또한 리셉터클 차폐부(174)가 와이어 케이블(100)에 크림프될 때 와이어 케이블(100)의 재킷(126)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오프셋되는 바이패스형 날개부이다. 절연 크림프 날개부는 적어도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절연체를 침투하도록 구성되는 첨단부를 갖는 프롱(182)을 더 포함한다. 프롱(182)은 또한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차폐부(124), 내측 차폐부(116) 또는 벨팅을 침투할 수 있다. 도시된 예는 2개의 프롱(182)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단일의 프롱(182)만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The insulated crimp wing is also a bypass wing that is configured and offset to surround the jacket 126 of the wire cable 100 when the receptacle shield 174 is crimped to the wire cable 100. The insulated crimp wings further include a prong (182) having a tip portion configured to infiltrate at least the outer insulator of the wire cable (100). The prongs 182 may also penetrate the outer shield 124, the inner shield 116, or the bellings of the wire cable 100. Although the illustrated example includes two prongs 182, alternat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idered to use only a single Prong 182. [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를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에 고정시키는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b)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188)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돌출부(218) 또는 범프(186)를 형성한다.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연결부와 리셉터클 차폐부(174)와의 사이의 거리가 리셉터클 차폐부(174) 내의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삽입을 수용하도록 더 크기 때문에, 제1 및 제2 리셉터클 단자(132, 134)의 도전체 부착부(144)와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와의 사이의 연결부에 근접하는 엠보싱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interacts with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holes 188 formed in a second receptacle shield 174b that secures the second receptacle shield 174 to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Or bumps 186, which are configured to form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8 or bumps 186,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and the receptacle shield 174 is greater to accommodate the insertion of the receptacle shield 174 in the receptacle shield 174, An embossed portion close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nductor attachment portion 144 of the receptacle terminals 132 and 134 and 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and 104 may not be formed.

도시된 예의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외부는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내부에 활주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지만,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외부가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내부에 활주식으로 결합되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Although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shield 174 of the illustrated example is configured to slidably engage inside the receptacle shield 174, the exterior of the receptacle shield 174 may be slid inside the receptacle shield 174 Alternative embodiments to be combined can be considered.

리셉터클 차폐부(174) 및 리셉터클 차폐부(174)는 구리계 재료의 시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차폐부(174) 및 리셉터클 차폐부(174)는 구리/니켈/은 또는 주석계 도금을 사용하여 도금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a, 174b) 및 제1 및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a, 172b)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스탬핑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Receptacle shield 174 and receptacle shield 174 may be formed from a sheet of copper-based material. Receptacle shield 174 and receptacle shield 174 may be plated using copper / nickel / silver or tin-based plating.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shields 174a and 174b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 shields 174a and 172b may be formed by a stamping process well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원에 예시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예는 와이어 케이블에 연결되지만, 회로 기판 상의 도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에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들이 고려될 수 잇다.Examples of plug connectors and receptacle connectors exemplified herein are connected to wire cables, but other embodiments of plug connectors and receptacle connectors that are connected to conductive traces on a circuit board can be considered.

도 38 내지 도 48에 도시된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의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케이블 부착부(180)는, 케이블 부착부(180)로부터 그리고 노출된 외측 차폐부(124)를 향해 돌출하는 이하에서 접촉 범프(244)라 칭하는, 반구 형상을 갖는 돌출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범프(244)는, 외측 차폐부(124)가 접촉 범프(244)와 벨팅(112)과의 사이에 압축됨에 따라, 케이블 부착부(180)와 외측 차폐부(124)와의 사이의 클램핑력을 국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리셉터클 차폐부(174)와 와이어 케이블(100)과의 사이의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8, 도 41 및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부착부(180)의 바닥(181)이 접촉 범프(244)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접촉 범프(24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1 및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범프(244)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 상의 접촉 범프(244)가 케이블 부착부(180)의 바닥(181)의 접촉 범프(244)의 반대측에 위치결정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39에 도시된 접촉 범프(244)의 반구 형상은, 접촉 범프(244)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차폐부(124) 또는 내측 차폐부(116)를 침투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는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부분에 의한 차폐부(116, 124)의 침투가 케이블 조립체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02, 104)와 리셉터클 차폐부(174)와의 사이의 캐패시턴스의 국부적인 변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38 내지 도 48의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낸 돌출부 또는 접촉 범프(244)는 반구 형상을 갖지만, 돌출부가 변형되지만 외측 차폐부(124) 또는 내측 차폐부(116)를 침투하지 않는 타원형, 달걀형, 다른 형상을 갖는 다른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According to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shown in Figures 38-48, the cable attachment 180 is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cable attachment 180 and toward the exposed outer shield 124 Protruding protrusions 244, referred to hereinafter as contact bumps 244. The contact bumps 244 are configured such that as the outer shield 124 compresses between the contact bump 244 and the bell 112 the clamping force between the cable attachment 180 and the outer shield 124 To improve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receptacle shield 174 and the wire cable 100 by locally increas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wire cable 100. [ The bottom 181 of the cable attachment portion 180 may form the contact bump 244 and / or one of the conductor crimp wings 176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ures 38, 41 and 42. [ Or both can form the contact bumps 244. [ The contact bumps 244 are formed such that the contact bumps 244 on the conductor crimp wings 176 contact the contact bumps 244 on the bottom 181 of the cable attaching portion 180, As shown in Fig. The hemispherical shape of the contact bump 244 shown in Fig. 39 is selected so that the contact bump 244 does not penetrate the outer shield 124 or the inner shield 116,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the penetration of the shields 116, 124 by the portions of the receptacle shield 174 causes the first and second inner conductors 102, 104 and the receptacle shielding RTI ID = 0.0 > 174). ≪ / RTI > The protrusions or contact bumps 244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38-48 have a hemispherical shape but may be elliptical, oval-shaped, or other shapes that do not penetrate the outer shield 124 or the inner shield 116 although the protrusions are deformed. , Other embodiments having different shapes may be considered.

접촉 범프(244)는 엠보싱 또는 펀칭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다른 특징부가 형성될 때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ct bumps 244 may be formed by an embossing or punching process and may be formed when other features of the receptacle shield 174 are formed.

또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부착부(180)의 바닥(181)의 내부 및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의 내부는,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와 와이어 케이블(100)의 외측 차폐부(124)와의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성 및 기계적인 보유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장사방형 오목부(248)를 포함하는 널형 패턴(246)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오목부는 2 세트의 대향 코너(250, 252)를 갖는다. 제1 세트의 대향 코너(250)는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종축(A)을 따라 대체적으로 정렬되고 단축 거리를 형성하는 한편, 제2 세트의 대향 코너(252)는 종축(A)에 수직인 리셉터클 차폐부(174)의 횡측을 따라 대체적으로 정렬된다. 제1 세트의 대향 코너(250) 사이에 형성되는 단축 선(254)은 종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제2 세트의 대향 코너(252) 사이에 형성되는 장축 선(256)은 종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라는 것은 제1 세트의 대향 코너(250) 사이의 단축 선(254)이 종축(A)과 완전히 평행한 상태의 ± 5°인 것을 의미하며, 실질적으로 수직이다라는 것은 제2 세트의 대향 코너(252) 사이의 장축 선(256)이 종축(A)과 완전히 수직인 상태의 ± 5°인 것을 의미한다. 장축 선(256)의 길이(X2)는 단축 선(254)의 길이(X1)보다 크므로, 제1 세트의 대향 코너(250)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α)는 제2 세트의 대향 코너(252)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β)보다 크다. 이러한 장사방형 오목부(248)가 전체 개시 내용이 참조로 본원에 통합되는 미국 특허 번호 8,485,853에 기재되어 있다. 널 패턴은 또한 접촉 범프(244) 안으로 엠보싱될 수 있다.38, the inside of the bottom 181 of the cable attachment portion 180 and the interior of the conductive crimp wing portion 176 are connected to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and the wire cable 100 A knurled pattern 246 can be formed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tubular recesses 248 configured to improve electrical connectivity and mechanical retention with the outer shield 124. Each recess has two sets of opposing corners 250 and 252. [ The first set of opposing corners 250 are generally align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 of the receptacle shield 174 and form a short axis while the second set of opposing corners 252 ar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A Receptacle shield 174. The receptacle shield 174 is generally aligned along the transverse side of the receptacle shield 174. The minor axis line 254 formed between the first set of opposing corners 250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A and the major axis line 256 formed between the opposing corners 252 of the second set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A, (A). ≪ / RTI > As used herein, substantially parallel means that the minor axis 254 between the first set of opposing corners 250 is +/- 5 degrees of full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A, Being perpendicular means that the major axis line 256 between the second set of opposing corners 252 is +/- 5 degrees of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A. [ The length X2 of the major axis 256 is greater than the length X1 of the minor axis 254 so that the angle alpha formed by the first set of opposing corners 250 is greater than the length X2 of the second set of opposing corners 252). ≪ / RTI > This trough recess 248 is described in U.S. Patent No. 8,485,853, the entire disclosur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null pattern can also be embossed into the contact bump 244.

도 38 내지 도 43에 도시된 예는 리셉터클 차폐부(174)를 나타내지만, 도시된 접촉 범프(244) 및 널형 패턴(246)은 또한 리셉터클 차폐부(174)에 통합될 수 있고 유사한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38-43 illustrate receptacle shield 174, the illustrated contact bump 244 and the null-shaped pattern 246 may also be integrated into the receptacle shield 174 and provide similar benefits can do.

도 49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러한 특징부가 없는 커넥터 차폐부에 비교되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 범프(244) 및 널형 패턴(246)을 갖는 커넥터 차폐부-케이블 저항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다양한 조건 하에서 실행되는 시험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 범프(244) 및 널형 패턴(246)을 갖는 커넥터 차폐부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들 특징부가 없는 커넥터 차폐부에 비교되는 케이블 저항에 대한 차폐를 유익하게 낮추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Figure 49 shows the results of the connector shield-cable resistance test with the contact bumps 244 and the null pattern 246 as shown in Figure 38 compared to the connector shield without this feature as shown in Figure 13 . The tests carried out by the present inventors under various conditions are based on the fact that the connector baffle with the contact bump 244 and the null pattern 246 as shown in Fig. 38 and the connector shield with no such feature as shown in Fig. Which is advantageously lowered against shielding against cable resistance compared to that of the prior art.

진동 및 분리 저항과 같은 자동차 환경에서의 용례의 요건에 부합하기 위해,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본체(190) 및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 및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폴리에스터 재료와 같은 유전성 재료로 형성된다.Wire cable assembly 100 may further include a plug connector body 190 and a receptacle connector body 192 as shown in Figure 12 to accommodate the requirements of application in automotive environments such as vibration and isolation resistors. have.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and the plug connector body 192 are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such as a polyester material.

도 12를 재차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플러그 커넥터(130)를 수용하는 캐비티(194)를 형성한다.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슈라우드(shroud)를 형성한다.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 192)가 완전히 정합될 때,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를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잠금 아암(196)을 갖는 저프로파일 래칭 기구를 또한 형성한다.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는 리셉터클 커넥터(128)를 수용하는 캐비티(198)를 유사하게 형성한다.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는,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 본체(190, 192)가 완전히 정합될 때,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를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에 고정하도록 잠금 아암(196)에 의해 결합되는 잠금탭(200)을 형성한다.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는 이들의 각각의 커넥터 본체 캐비티(194, 198) 내에 플러그 커넥터(130) 및 리셉터클 커넥터(128)를 유지하는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202)를 또한 포함한다.Referring again to Fig. 12, the plug connector body 192 defines a cavity 194 for receiving the plug connector 130. Fig. The plug connector body 192 also defines a shroud configured to receive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The plug connector body 192 has a low profile with a locking arm 196 configured to secure the plug connector body 192 to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when the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 bodies 190, A latching mechanism is also formed.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similarly defines a cavity 198 that receives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has a lock that is engaged by the lock arm 196 to fix the plug connector body 192 to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when the receptacle and plug connector bodies 190, Tabs 200 are formed. The wire cable assembly 100 also includes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202 for retaining the plug connector 13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in their respective connector body cavities 194 and 198.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는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로부터 돌출하는 삼각형 잠금 탱부(204)를 형성하고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의 캐비티(198) 내에 리셉터클 커넥터(128)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잠금 탱부(204)는,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에 부착되는 고정 에지(도시되지 않음), 고정 에지로부터 연장되고 리셉터클 차폐부(174a)의 축선(A)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는 선단 에지(206), 및 고정 에지로부터 또한 연장되고 종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후단 에지(208)를 포함한다. 선단 에지(206) 및 후단 에지(208)는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로부터 돌출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의 캐비티(198)는 협폭부(210) 및 광폭부(212)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28)가 초기에 협폭부(210) 안으로 삽입될 때, 잠금 탱부(204)의 선단 에지(206)는 협폭부(210)의 상부벽(214)에 접촉하고 잠금 탱부(204)를 압축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28)가 캐비티(198)의 협폭부(210)를 통과하게 한다. 잠금 탱부(204)가 캐비티(198)의 광폭부(212)에 진입할 때, 잠금 탱부(204)는 그 비압축 형상으로 복귀한다. 잠금 탱부(204)의 후단 에지(208)는 이어서 캐비티(198)의 광폭부(212)의 후방벽(216)에 접촉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28)가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 캐비티(198)의 협폭부(210)를 통해 역으로 통과하는 것을 억제한다. 잠금 탱부(204)는 리셉터클 커넥터(128)가 캐비티(198)의 광폭부(212)의 전방에 취출 도구를 삽입함으로써 캐비티(198)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도록 압축될 수 있다.25,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forms a triangular lock tongue 204 protruding from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has a cavity 198 in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And is configured to secure the connector 128. The locking tang section 204 includes a fixed edge (not shown) attached to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a leading edge extending from the fixed edge and forming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s A of the receptacle shield 174a, And a trailing edge 208 that extends further from the fixed edge and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A. [ The leading edge 206 and the trailing edge 208 project from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26, the cavity 198 of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includes a narrowed portion 210 and a wider portion 212. As shown in Fig.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is initially inserted into the narrowed portion 210 the leading edge 206 of the locking tang 204 contacts the upper wall 214 of the narrowed portion 210 and contacts the locking tang 204 Thereby causing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to pass through the narrowed portion 210 of the cavity 198. When the locking tang 204 enters the wider portion 212 of the cavity 198, the locking tang 204 returns to its uncompressed shape. The trailing edge 208 of the locking tang 204 then contacts the rear wall 216 of the wider portion 212 of the cavity 198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contacts the narrower portion (not show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cavity 198 Lt; RTI ID = 0.0 > 210 < / RTI > The locking tang 204 can be compressed such that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may be removed from the cavity 198 by inserting a removal tool in front of the wider portion 212 of the cavity 198. [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러그 차폐부(172a)는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의 캐비티(194) 내에 플러그 커넥터(130)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유사한 잠금 탱부(204)를 형성한다.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의 캐비티(194)는 유사한 상부벽 및 후방벽을 갖는 유사한 광폭부 및 협폭부를 포함한다. 잠금 탱부(204)는 제1 플러그 차폐부(172a) 및 제1 리셉터클 차폐부(174a)를 형성하는 스탬핑 프로세스 중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lug shield 172a forms a similar locking tang 204 configured to secure the plug connector 130 in the cavity 194 of the plug connector body 192 as shown in Fig. The cavity 194 of the plug connector body 192 includes similar wider portions and narrower portions having similar top and rear walls. The locking tangs 204 may be formed during the stamping process to form the first plug shield 172a and the first receptacle shield 174a.

도 12 및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제2 리셉터클 차폐부(174b)는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의 캐비티(194) 내에 플러그 커넥터(130)를 정렬 및 배향하기 위해 캐비티(194)의 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홈(220)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돌출부(218)를 또한 포함한다. 제2 플러그 차폐부(172b)는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의 캐비티(198) 내에 리셉터클 커넥터(128)를 정렬 및 배향하기 위해 캐비티(198)의 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홈(도면의 관점에 기인하여 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돌출부(218)를 유사하게 형성한다.12 and 13, the second receptacle shield 174b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cavity 194 to align and orient the plug connector 130 in the cavity 194 of the plug connector body 192 But also a pair of protrusions 218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pair of grooves 220. The second plug shield 172b is a pair of grooves formed in the side walls of the cavity 198 for aligning and orienting the receptacle connector 128 in the cavity 198 of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A pair of protrusions 218 configured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not shown).

도 12에 도시된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 본체(190, 192)의 예는 단지 단일의 캐비티를 포함하지만, 커넥터 본체의 다른 실시예는 커넥터 본체가 다수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128, 130)를 포함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128, 130)에 추가하여 다른 커넥터 유형을 포함하도록 복수의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Although the example of the receptacle and plug connector body 190, 192 shown in FIG. 12 includes only a single cavity,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or body may be such that the connector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receptacles and plug connectors 128, 130 Or alternatively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vities to include other connector types in addition to the receptacle and plug connectors 128, 130.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는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잠금탭(200)을 형성한다.28,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defines a locking tab 200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As shown in Fig.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잠금 아암(196)을 포함한다. 잠금 아암(196)의 자유 단부(222)는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의 잠금탭(2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내향으로 연장되는 잠금 첨두(224)를 형성한다. 잠금 아암(196)의 자유 단부(222)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정지부(226)를 또한 형성한다. 잠금 아암(196)은 잠금 아암(196)이 휴지 상태로부터 피벗될 때 잠금 아암(196)의 자유 단부(222) 상에 유지력(230)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U형 스트랩(228)에 의해 소켓 커넥터 본체에 일체로 연결된다.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고정된 단부들 사이의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에 일체로 연결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와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와의 사이에 부여된 종방향 분리력(234)이 제1 임계치를 초과할 때 정지부(226)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횡방향 유지 빔(232)을 더 포함한다. 임의의 특정 작동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분리력(234)이 부여될 때, U형상 스트랩(228)의 전방부(236)는 잠금 아암(196)의 자유 단부(222) 상의 정지부(226)가 유지 빔(232)에 접촉할 때까지 분리력(234)에 의해 변위된다. 정지부(226)와 유지 빔(232)과의 사이의 이 접촉은 잠금 첨두(224) 상의 유지력(230)을 증가시켜, 잠금탭(200)과 잠금 첨두(224)의 결합을 유지시키며,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로부터의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의 분리를 억제한다.29, the plug connector body 192 includes a locking arm 19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ee end 222 of the locking arm 196 defines an inwardly extending locking peak 224 configured to engage the locking tab 20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The free end 222 of the locking arm 196 also forms an outwardly extending stop 226. The locking arm 196 is biased by an elastic U-shaped strap 228 configured to impart a retention force 230 on the free end 222 of the locking arm 196 when the locking arm 196 is pivoted from the resting state.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body. The plug connector body 19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body 192 between the fixed ends and the longitudinal separating force 234 imparted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and the plug connector body 192, And a transverse retention beam 232 configured to engage the stop 226 when the threshold is exceeded. Without being bound by any particular theory of operation, the front portion 236 of the U-shaped strap 228 can be moved to the stop 226 on the free end 222 of the locking arm 196 when the separation force 234 is imparted And is displaced by the separating force 234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lding beam 232. This contact between the stop 226 and the retention beam 232 increases the retention force 230 on the lock peak 224 to maintain the engagement of the lock tab 200 with the lock peak 224, Thereby suppressing the detachment of the plug connector body 192 from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는 U형상 스트랩(228)과 대체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고 U형상 스트랩(228)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숄더(238)를 더 포함한다. 임의의 특정 작동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리셉터클 커넥터 본체(190)와 플러그 커넥터 본체(192)와의 사이에 부여된 종방향 분리력이 제2 임계치를 초과할 때, U형상 스트랩(228)의 전방부(236)는 전방부(236)가 숄더(238)의 면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잠금 첨두(224) 상의 유지력(230)을 증가시켜 잠금탭(200)과 잠금 첨두(224)의 결합을 유지시킬 때까지 변위된다. 제2 임계치에서의 분리력(234)은 제1 임계치에서의 분리력(234)보다 크다. 정지부(226) 및 U형상 스트랩(228)은 유지력(230)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기 때문에, 자동차 표준에 부합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 재료를 사용하여 분리력에 저항하는 것이 가능한 저프로파일 잠금 기구를 갖는 커넥터 본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lug connector body 192 further includes a shoulder 238 that is generally coplanar with the U shaped strap 228 and configured to engage the U shaped strap 228. When the longitudinal separation force applied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190 and the plug connector body 192 exceeds the second threshold without being bound by any particular theory of operation, 236 allow the front portion 236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shoulder 238 thereby increasing the retention force 230 on the locking peak 224 to maintain the engagement of the locking tab 200 and the locking peak 224 . The separation force 234 at the second threshold is greater than the separation force 234 at the first threshold. Because the stop 226 and the U-shaped strap 228 help increase the retention force 230, a connector having a low profile locking mechanism that is capable of resisting separation force using a polyester material that can meet automotive standard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dy.

잠금 아암(196)은 U형상 스트랩(228)의 후방에 배치된 누를 수 있는 핸들(240)을 또한 포함한다. 잠금 첨두(224)는 잠금탭(200)과 잠금 첨두(224)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핸들을 누름으로써 잠금탭(200)으로부터 이격하여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아암(196)은 잠금 첨두(224)와 누를 수 있는 핸들(240)과의 사이에 배치된 내향으로 연장하는 지레받침(fulcrum)(242)을 더 포함한다.The locking arm 196 also includes a pivotable handle 240 disposed behind the U-shaped strap 228. The locking peak 224 is movable outwardly away from the locking tab 200 by depressing the handle to enable separation of the locking tab 200 and the locking peak 224. 30, the locking arm 196 further includes an inwardly extending fulcrum 242 disposed between the locking peak 224 and the pivotable handle 240. As shown in FIG.

발명자는 도 34 및 도 35에 설명된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e) 및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f)와 같은 드레인 와이어를 포함하지 않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성능 특성을 충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드레인 와이어 연결의 제거는 개선된 차폐 및 제어된 임피던스를 가능하게 한다. 원래의 케이블 차폐 구성의 일관성은 연결 전체에 걸쳐 유지되며, 그로 인해 시스템의 반복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드레인 와이어 연결의 제거는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차폐부의 내부에서 구현되는 현재의 드레인 와이어 연결은 데이터 쌍의 전송 라인 불균형을 유발하고 상위 데이터율을 제한할 수 있다.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a wire cable assembly that does not include a drain wire such as the wire cable assembly 100e described in Figures 34 and 35 and the wire cable assembly 100f shown in Figures 36 and 37 is shown in Figures 9 to 11 Lt; RTI ID = 0.0 > performance characteristics. ≪ / RTI > Removal of the drain wire connection enables improved shielding and controlled impedance. The consistency of the original cable shielding configuration is maintained throughout the connection, thereby improving the repea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ystem. Removal of the drain wire connection enables higher data transfer rates. Current drain wire connections implemented in the interior of the shield can cause transmission line imbalances in the data pair and limit the upper data rate.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e)는 7개의 와이어 스트랜드(106)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의 와이어 스트랜드(106)의 각각은 0.12 밀리미터(mm)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28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WG) 스트랜디드 와이어와 대체적으로 동등한 약 0.321 밀리미터(mm)의 전체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도전체(102a, 104a)는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스트랜디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고, 30 AWG 또는 32 AWG와 동등한 더 작은 전체 직경을 초래할 수 있다.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e)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드레인 와이어(120)를 제외하고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a)의 구성과 동일하다.34 and 35, the wire cable assembly 100e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and 104a that include seven wire strands 106. As shown in FIG. Each of the wire strands 106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104a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diameter of 0.12 millimeters (mm).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and 104a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n overall diameter of about 0.321 millimeters (mm), which is generally equivalent to a 28 American Wire Gauge (AWG) stranded wire.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a, 104a may be formed of stranded wires having smaller diameters and may result in smaller overall diameters equivalent to 30 AWG or 32 AWG.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 cable assembly 100e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 cable assembly 100a except for the drain wire 120. [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f)는, 일반적으로 28 AWG 솔리드 와이어와 동등한, 약 0.321 밀리미터(mm)의 직경을 갖는 베어(비도금) 구리 와이어 또는 은 도금 구리 와이어와 같은 솔리드 와이어 도전체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도전체(102b, 104b)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도전체(102b, 104b)는 30 AWG 또는 32 AWG와 같은 더 작은 게이지를 갖는 솔리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f)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드레인 와이어(120)를 제외하고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100b)의 구성과 동일하다.As shown in Figures 36 and 37, the wire cable assembly 100f may be a bare (non-plated) copper wire or silver-plated copper wire having a diameter of about 0.321 millimeters (mm), generally equivalent to 28 AWG solid wire And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b and 104b, respectively, including a solid wire conductor such as a < RTI ID = 0.0 >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02b and 104b may be formed of a solid wire having a smaller gauge, such as 30 AWG or 32 AWG.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 cable assembly 100f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 cable assembly 100b except for the drain wire 120. [

따라서, 전기 차폐 커넥터가 제공된다. 부착부의 접촉 범프 및/또는 전기 차폐 커넥터의 크림프 날개부는 전기 접촉을 향상시키고 외측 차폐부의 단부에서의 페룰의 사용을 제거하기 위해 구성되며, 그로 인해 요구되는 부품 및 페룰을 설치하기 위한 제조 공정 단계를 유익하게 감소시킨다. 접촉 범프는 또한 외측 또는 내측 차폐부를 침투하지 않으면서 외측 차폐부에 대한 전기 차폐 커넥터의 기계적인 보유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와이어 케이블 조립체의 데이터 전송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측 도전체와 전기 차폐 커넥터와의 사이의 캐패시턴스의 변화 없이 증가된 보유력의 이점을 제공한다.Thus, an electrically shielded connector is provided. The crimping wings of the attachment bumps and / or the electrical shielding connectors are configured to improve electrical contact and to eliminate the use of ferrules at the ends of the outer shields, thereby resulting in manufacturing steps for installing the required parts and ferrules Beneficial. The contact bump is also configured to increase the mechanical retention of the shielded connector relative to the outer shield without penetrating the outer or inner shield. This provides the advantage of increased retention without changing the capacitance between the inner conductor and the electrical shielding connector which can negatively impact the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of the wire cable assembly.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의 청구항에서 설명된 범위로만 제한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의 사용은 어떠한 중요도의 순서도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단수형 등의 용어의 사용은 수량의 제한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언급된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not so limited that the invention is limited to the scope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Also, the use of the terms first, second, etc. does not denote any order of importance, and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lso, the use of the term " singular " or the like does not denote a limitation of the quantity, but denotes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of the items mentioned.

Claims (12)

도전성 와이어(102) 케이블, 및 내측 절연체(113)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102) 케이블로부터 분리되는, 도전성 와이어(102) 케이블을 종방향으로 둘러싸는 차폐 도전체(124)를 갖는 차폐된 와이어 케이블(100)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이며, 상기 차폐된 와이어 케이블(100)은 차폐 도전체(12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절연 재킷(126)을 더 갖고, 상기 전기 차폐 커넥터(172)는,
대응하는 정합 전기 차폐 커넥터(174)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 및
차폐 도전체(124)의 단부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부착부(180)로서, 케이블 부착부(180)는 차폐 도전체(124)에 접촉하고 차폐 도전체를 만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돌출부(244)를 형성하는, 케이블 부착부(180)를 포함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
A shielded wire cable (not shown) having a shielding conductor 124 longitudinally surrounding a conductive wire 102 cable, separated from the conductive wire 102 cable by a conductive wire 102 cable and an inner insulator 113 100), the shielded wire cable (100) further comprising an insulating jacket (126) at least partially surrounding the shielding conductor (124), the shielding connector (172) The connector 172,
A connection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corresponding mating electrical shield connector 174, and
A cable attachment portion (180) configured to longitudinally receive an end portion of a shielding conductor (124), wherein the cable attachment portion (180)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shielding conductor (124) 1. An electrical shield connector (172) comprising a cable attachment portion (180) forming a protrusion (244).
제1항에 있어서, 제1 돌출부(244)는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The electrical shielding connector (172)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rojection (244) has a hemispheric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부착부(180)는 차폐 도전체(124)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를 형성하며,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는 차폐 도전체(124)에 접촉하고 차폐 도전체를 만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돌출부(244)를 형성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The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cable attachment portion (180) forms a conductor crimp wing (176) configured to attach to an end of the shielding conductor (124), wherein the conductor crimp wing (176) Forms a second protrusion (244) that is configured to contact and induce a shielding conductor (124). 제3항에 있어서, 제2 돌출부(244)는 반구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특징지어지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The electrical shielding connector (172)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projection (244) is characterized as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제3항에 있어서, 케이블 부착부(180)는 복수의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를 형성하고, 복수의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의 각각의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는 차폐 도전체(124)에 접촉하고 차폐 도전체를 만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돌출부(244)를 형성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4. A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able attachment portion forms a plurality of conductor crimp wings and each conductor crimp w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nductor crimp wings has a shielding- Forming a second protrusion (244) that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conductor (124) and entrain the shielding conductor. 제3항에 있어서, 제2 돌출부(244)는, 도전체 크림프 날개부(176)가 차폐 도전체(124)에 크림프될 때 제1 돌출부(244)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protrusion (244) comprises an electrical shielding connector (172)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protrusion (244) when the conductor crimp wing (176) is crimped to the shielding conductor ).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부착부(180)는 케이블 부착부(180)의 내면에 널형 패턴(246)을 형성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The electrical shielding connector (172) of claim 1, wherein the cable attaching portion (180) forms a nulling pattern (246)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ble attaching portion (180). 제7항에 있어서, 널형 패턴(246)은 복수의 오목부(248)를 포함하고, 복수의 오목부(248)의 각각의 오목부는 장사방형 형상을 갖고, 제1 쌍의 대향 내측 코너(250)는 그들 사이에 대체적 종방향 단축 거리(254)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쌍의 대향 내측 코너(250)와 상이한 제2 쌍의 대향 내측 코너(252)는 그들 사이에 장축 거리(256)를 형성하며, 대체적 종방향 단축 거리(254)는 장축 거리(256)보다 작은, 전기 차폐 커넥터(172).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knurled pattern (246) comprises a plurality of recesses (248), each recess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248) having a chamfered shape and having a first pair of opposing inner corners A second pair of opposing inner corners 252 different from the first pair of opposing inner corners 250 define a major axis distance 256 therebetween And the alternate longitudinal shortening distance (254) is less than the major axis distance (256).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부착부(180)는 절연 재킷(126)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절연체 크림프 날개부(178)를 더 갖고, 절연체 크림프 날개부(178)는 절연 재킷(126)을 침투하도록 구성되는 첨단부를 갖는 프롱(182)을 형성하고, 프롱(182)의 단부는 내측 절연체(113)를 침투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cable attachment portion (180) further comprises an insulator crimp wing (178) configured to attach to an end of the insulated jacket (126) Wherein an end of the prong (182) is configured to not penetrate the inner insulator (113).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도전성 와이어(102)에 부착된 전기 단자(160)를 종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슈라우드를 형성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The electrical shielding connector (172)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defines a shroud configured to longitudinally surround an electrical terminal (160) attached to the conductive wire (102). 제10항에 있어서, 슈라우드는 전기 단자(160)와 도전성 와이어(102)와의 사이의 연결부의 위치 근방에 엠보싱부(184)를 형성하고, 엠보싱부(184)는 연결부와 슈라우드와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hroud forms an embossed portion (184) near the loc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al terminal (160) and the conductive wire (102), and the embossed portion (184) (172).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차폐 커넥터(172)는 전기 커넥터 본체(192)의 캐비티(194)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전기 차폐 커넥터(172)는 삼각형 잠금 탱부(204)를 형성하고, 삼각형 잠금 탱부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로부터 연장되고 전기 차폐 커넥터(172)의 종축(A)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는 제1 자유 에지(206) 및 종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전기 차폐 커넥터(172)로부터 또한 연장되는 제2 자유 에지(208)를 포함하고, 전기 커넥터 본체(192)의 캐비티(194) 내의 잠금 에지(216)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캐비티(194)로부터의 전기 차폐 커넥터(172)의 제거를 억제하며, 제1 자유 에지(206) 및 제2 자유 에지(208)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로부터 돌출하는, 전기 차폐 커넥터(172).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ically shielded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within a cavit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body, the electrically shielded connector defining a triangular lock tang, The portion includes a first free edge 206 that extends from the electrical shielding connector 172 and forms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A of the shielded connector 172 and a second free edge 206 that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A, 172 extending from the cavity 194 by being configured to engage the locking edge 216 in the cavity 194 of the electrical connector body 192 and a second free edge 208 extending further from the cavity 194 , And the first free edge (206) and the second free edge (208) protrude from the electrically shielded connector (172).
KR1020160064073A 2015-05-28 2016-05-25 Electrical shield connector KR2016014044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7372P 2015-05-28 2015-05-28
US62/167,372 2015-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444A true KR20160140444A (en) 2016-12-07

Family

ID=5602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073A KR20160140444A (en) 2015-05-28 2016-05-25 Electrical shield conn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098905A1 (en)
KR (1) KR20160140444A (en)
CN (1) CN10620758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048B1 (en) * 2020-03-03 2021-08-11 국방과학연구소 Sensor measurement device of ground fire te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1698B4 (en) 2017-01-30 2022-09-29 Lisa Dräxlmaier GmbH Line arrangement with at least one electrical contact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170862B2 (en) * 2017-04-19 2019-01-0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device having a ground bus terminated to a cable drain wire
EP3783741A1 (en) 2019-08-20 2021-02-24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nd assembly for automotive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5847A (en) * 1996-11-12 1999-10-1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Shield connector
JP3532428B2 (en) * 1998-11-27 2004-05-31 住友電装株式会社 Terminal
JP3365550B2 (en) * 1999-05-07 2003-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Shield terminal
JP4834605B2 (en) * 2007-05-15 2011-12-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Outer conductor terminal
JP5008492B2 (en) * 2007-08-01 2012-08-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Shield connector
JP5003583B2 (en) * 2008-04-25 2012-08-15 オムロン株式会社 connector
CN201303144Y (en) * 2008-12-05 2009-09-02 贵州航天电器股份有限公司 Screening cable connecting structure
CN103843206A (en) * 2011-10-19 2014-06-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Coaxial connector
US8485853B2 (en) * 2011-11-03 2013-07-16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tact having knurl pattern with recessed rhombic elements that each have an axial minor distance
US8622774B2 (en) * 2011-11-07 2014-01-07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tact having channel with angled sidewalls and romboid knurl pattern
JP5934568B2 (en) * 2012-04-26 2016-06-15 矢崎総業株式会社 Shield connector
US20140273594A1 (en) * 2013-03-14 2014-09-18 Delphi Technologies, Inc. Shielded cable assembly
CN204257871U (en) * 2014-12-24 2015-04-08 合兴集团汽车电子有限公司 Automobile radio reception patchco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048B1 (en) * 2020-03-03 2021-08-11 국방과학연구소 Sensor measurement device of ground fire t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07585A (en) 2016-12-07
EP3098905A1 (en)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311B1 (en) Shielded cable assembly
KR101611101B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EP2779176B1 (en) Shielded cable assembly
US11336058B2 (en) Shielded cable assembly
EP3091614A1 (en) Electrical shield connector
KR101676123B1 (en)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EP3096331B1 (en) Shielded cable assembly
JP2019106356A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shielded wire cable
KR20160140444A (en) Electrical shield connector
KR102265050B1 (en) Low profile connector locking mechanism
EP3480899B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shielded wire cable
US9698501B2 (en) Electrical shield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