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749A -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749A
KR20160136749A KR1020150070717A KR20150070717A KR20160136749A KR 20160136749 A KR20160136749 A KR 20160136749A KR 1020150070717 A KR1020150070717 A KR 1020150070717A KR 20150070717 A KR20150070717 A KR 20150070717A KR 20160136749 A KR20160136749 A KR 20160136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inclined surface
cover member
terminal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6736B1 (ko
Inventor
안근헌
Original Assignee
삼육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육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73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단자에 연결하는 접속단자를 쉽고 간단하게 연결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배터리의 단자를 전체적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접지력을 향상시켜 통전이 보다 잘 이루어지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는,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절개된 부분 반대편에 형성되는 전원인출부와, 상기 삽입부의 절개된 부분에서 평행하게 연장형성된 탄성편과, 각각의 상기 탄성편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연장부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측을 감싸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탄성편을 감싸면서 외측에 각각의 삽입홈을 형성하는 가압부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재와; 외측면에는 하부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가압부재와;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볼트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슬라딩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일측은 절개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머리부와, 상기 관통공 및 상기 볼트공에 삽입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진 체결볼트와; 상기 볼트공으로 돌출된 상기 체결볼트의 상기 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체결너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 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상기 커버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제1경사면이 상기 커버부재의 제1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부재의 폭이 조절되어 각각의 상기 탄성편 간의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 {Terminal for connecting car battery}
본 발명은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단자에 연결하는 접속단자를 쉽고 간단하게 연결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배터리의 단자를 전체적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접지력을 향상시켜 통전이 보다 잘 이루어지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자동차의 엔진이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할 시 사용되는 충전장치와 연결되어 충전되며, 엔진이 정지 또는 저속 회전시에는 전기를 자동차에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내부에 극판, 격리판, 전조 등으로 구성되어 전해액으로 채워진다.
상기 배터리는 외부 케이스 일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플러스, 마이너스 극을 띠는 단자가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단자에 각각의 접속단자를 삽입 후, 볼트로 고정하여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상적인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는, 배터리 단자(2)와 접속단자(10) 간에 이물질이나 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자 커버(4)를 더 구비한다.
한편, 배터리 단자(2)와 접속단자(10)의 고정력을 높이고, 이들의 접촉면적 및 접촉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접속단자(10)를 관통하는 볼트(11)로 강하게 조여 접속단자(10)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접속단자(10)는 판재를 판금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볼트(11)를 강하게 조이면 접속단자(10)에 변형이 일어나 볼트(11)가 조임되는 접속단자(10) 측이 휘어 서로 밀착될 뿐 단자(2)에 외삽되는 둘레는 단자(2)에 강하게 밀착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접지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서 통전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볼트(11)를 조임할 시, 측면에 위치되는 볼트(11)의 머리와 너트 중 일측을 고정하고 타측을 돌려 조임하고 있으나, 이는 작업자가 측면에 위치된 볼트(11)와 너트를 양손을 사용해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각의 구성이 따로 따로 구성되어 있어 구성품 하나하나를 맞추어 가면서 결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1308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서 체결너트의 조임에 의해 각각의 탄성편에 수직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동일한 힘을 가하여 접속단자의 변형 없이 배터리의 단자에 결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배터리의 단자와 접속단자 간의 접지력을 향상시켜 통전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호 연결 결합에 의해 하나의 모듈화를 이루게 하여 쉽고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는,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절개된 부분 반대편에 형성되는 전원인출부와, 상기 삽입부의 절개된 부분에서 평행하게 연장형성된 탄성편과, 각각의 상기 탄성편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연장부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측을 감싸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탄성편을 감싸면서 외측에 각각의 삽입홈을 형성하는 가압부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재와; 외측면에는 하부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가압부재와;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딩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은 절개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머리부와, 상기 관통공 및 상기 볼트공에 삽입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진 체결볼트와; 상기 볼트공으로 돌출된 상기 체결볼트의 상기 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체결너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 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상기 커버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제1경사면이 상기 커버부재의 제1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부재의 폭이 조절되어 각각의 상기 탄성편 간의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삽입홈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하는 제1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상기 연장부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제2고정편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머리부를 고정하면서 상기 연장부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제3고정편이 형성되어 하나의 모듈화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체결너트가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상기 커버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제1경사면이 상기 커버부재의 제1경사면을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지게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부재의 폭이 조절되고 이로 인해, 각각의 상기 탄성편 간의 폭이 조절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가압부재에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상기 탄성편도 동일한 압력을 받게 되면서 상기 삽입부가 배터리의 단자의 외주연에 균일하게 가압하여 접지가 잘 이루어져 통전이 보다 잘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가압스프링이 상기 커버부재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임의로 상기 커버부재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체결너트를 상기 체결볼트에서 풀었을 때, 상기 커버부재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배터리 단자에서 접속단자를 분리할 때 보다 쉽게 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제1고정편, 상기 제2고정편 및 상기 제2고정편에 의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호연결하여 하나의 모듈화를 이룸으로써, 모든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배터리의 단자에 상기 삽입부를 삽입하고서 상기 체결너트를 조이기만 하면 쉽고 간단하게 연결단자를 배터리의 단자에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전원인출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를 덮어줌으로써, 내부에 이물질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 및 B-B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는, 배터리의 단자에 연결하는 접속단자를 쉽고 간단하게 연결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배터리의 단자를 가압하도록 하여 접지력을 향상시켜 통전이 잘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호 연결 결합하여 하나의 모듈화로 이루어지게 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는, 몸체부(100), 슬라이딩부재(200), 가압부재(300), 커버부재(400), 체결볼트(500), 체결너트(600) 및 가압스프링(70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배터리의 단자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써, 일반적으로 단조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몸체부(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0), 전원인출부(120), 탄성편(130) 및 연장부(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단자가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삽입부(110)의 일측은 절개되며, 이렇게 절개된 부분에 의해 그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배터리의 단자에 끼워서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전원인출부(120)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10)의 절개된 부분 반대편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전원인출부(120)는 케이블의 연결형태에 따라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편(1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10)의 절개된 부분에서 평행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편(13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기 가압부재(300)에 의해 그 간격이 조절되면서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된 배터리 단자를 일정한 압력을 가압되게 한다.
상기 연장부(140)는 각각의 상기 탄성편(130)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내부에 관통공(14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장부(14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00)와 함께 상기 커버부재(400)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141)에는 후술하는 상기 체결볼트(500)의 나사부(520)와 상기 가압스프링(700)이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200)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탄성편(130)이 간격을 조절할 때, 상기 탄성편(130) 간의 간격이 보다 잘 조절되게 함과 동시에 일정한 압력으로 가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210)와 가압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부(2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4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4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된다.
상기 가압부(220)는 도 3,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편(130)을 감싸면서 외측에 각각의 삽입홈(221)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홈(221)에는 후술하는 상기 가압부재(300)가 삽입결합된다.
상기 가압부재(300)는 도 3, 도 4, 도 5(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는 하부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301)이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삽입홈(221)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재(300)는 후술하는 상기 커버부재(40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200)의 상기 가압부(220)를 전체적으로 가압하여 각각의 상기 탄성편(130) 간의 간격을 조절되게 한다.
상기 커버부재(400)는 도 5(a)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10)와 상기 전원인출부(1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를 덮어 내부에 이물질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400)는 캡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00)의 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볼트공(40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체결볼트(500)의 나사부(520)가 관통삽입되며, 내부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20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고, 일측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되어 도 5(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300)의 상기 제1경사면(301)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402)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제2경사면(402)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4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경사면(402)과 접촉하는 상기 가압부재(300)의 제1경사면(301)에 의해 각각 상기 가압부재(300) 간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경사면(402)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300)의 전체에 동일 압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탄성편(130)의 전체에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면서 상기 삽입부(110)의 내측면 전체가 상기 배터리 단자의 외주연에 전체에 접촉되어 접지력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통전이 잘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체결볼트(5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510)와 나사부(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51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52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41) 및 상기 볼트공(401)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나사부(520)는 상기 볼트공(401) 위로 돌출된, 즉, 상기 커버부재(400)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후술하는 상기 체결너트(600)가 체결되며,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스프링(700)이 삽입된다.
상기 체결너트(600)는 상기 볼트공(401)으로 돌출된 상기 체결볼트(500)의 상기 나사부(520)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4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너트(600)가 상기 체결볼트(500)에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를 따라 상기 커버부재(4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재(300)의 상기 제1경사면(301)이 상기 커버부재(400)의 제2경사면(402)에 접촉되어 상기 가압부재(300)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지게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부재(300)의 폭이 조절되고 이로 인해, 각각의 상기 탄성편(130) 간의 폭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너트(600)가 상기 체결볼트(500)에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를 따라 상기 커버부재(4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재(300)의 상기 제1경사면(301)이 상기 커버부재(400)의 제1경사면(301)을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압부재(300)의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지게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부재(300)의 폭이 조절되고 이로 인해, 각각의 상기 탄성편(130) 간의 폭이 조절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가압부재(300)에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상기 탄성편(130)도 동일한 압력을 받게 되면서 상기 삽입부(110)가 배터리의 단자의 외주연에 균일하게 가압하여 접지가 잘 이루어져 통전이 보다 잘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가압스프링(700)은 상기 체결볼트(500)의 상기 나사부(520)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400)를 상방향으로 가압한다.
즉, 상기 가압스프링(70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은 상기 체결볼트(500)의 머리부(510)에 접하고, 상단은 상기 커버부재(400)의 내부 하면에 접하도록 상기 체결볼트(500)의 상기 나사부(520)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400)를 상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스프링(700)이 상기 커버부재(400)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임으로 상기 커버부재(40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체결너트(600)를 상기 체결볼트(500)에서 풀었을 때, 상기 커버부재(4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배터리 단자에서 접속단자를 분리할 때 보다 쉽게 분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재(200)에는 제1고정편(222), 제2고정편(211) 및 제3고정편(212)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편(22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221)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기 삽입홈(221) 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3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한다.
즉, 상기 제1고정편(222)은 상기 제2경사면(402)과 상기 제2경사면(402)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3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편(211)은 상기 슬라이딩부(210)의 상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200)에 삽입된 상기 연장부(140)가 상기 슬라이딩부(210)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3고정편(212)은 상기 슬라이딩부(210)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500)의 머리부(510)를 고정하면서 상기 연장부(14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제1고정편(222), 상기 제2고정편(211) 및 상기 제2고정편(211)에 의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호연결하여 하나의 모듈화를 이루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고정편(222), 상기 제2고정편(211) 및 상기 제2고정편(211)에 의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호연결하여 하나의 모듈화를 이룸으로써, 모든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배터리의 단자에 상기 삽입부(110)를 삽입하고서 상기 체결너트(600)를 조이기만 하면 쉽고 간단하게 연결단자를 배터리의 단자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의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모듈화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110)에 배터리의 단자가 잘 삽입되도록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너트(600)를 일정량 풀어 상기 커버부재(400)를 상승시켜 각각의 상기 탄성편(130) 및 가압부재(300) 간의 간격(D1)을 넓혀준다.
이후, 배터리의 단자에 상기 삽입부(110)를 삽입한 다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너트(600)를 조이며, 상기 커버부재(400)가 하강하면서 상기 커버부재(400)의 제2경사면(402)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제1경사면(301)에 의해 각각의 상기 가압부재(300)가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편(130)을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상호 간의 간격(D2)을 밀착시킨다.
이렇게 각각의 상기 탄성편(130)의 간격(D2)이 밀착되면서 상기 삽입부(110)의 내주연 전체가 배터리의 단자의 외주연을 가압하면서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부(110)의 내주연 전체가 배터리 단자의 외주연을 가압하기 때문에 접지력이 향상되어 통전이 잘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3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압력으로 상기 탄성편(130) 전체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삽입부(110)의 내주연 전체가 상기 배터리 단자의 외주연을 동일하게 가압하여 접지력이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몸체부 110: 삽입부 120: 전원인출부
130: 탄성편 140: 연장부 141: 관통공
200: 슬라이딩부재 210: 슬라이딩부 211: 제2고정편
212: 제3고정편 220: 가압부 221: 삽입홈
222: 제1고정편 300: 가압부재 301: 제1경사면
400: 커버부재 401: 볼트공 402: 제2경사면
500: 체결볼트 510: 머리부 520: 나사부
600: 체결너트 700: 가압스프링

Claims (2)

  1.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의 절개된 부분 반대편에 형성되는 전원인출부(120)와, 상기 삽입부(110)의 절개된 부분에서 상호 대향되게 연장형성된 탄성편(130)과, 각각의 상기 탄성편(130)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내부에 관통공(141)이 형성된 연장부(140)로 이루어진 몸체부(100)와;
    상기 연장부(140)의 외측을 감싸는 슬라이딩부(210)와, 상기 탄성편(130)을 감싸면서 외측에 각각의 삽입홈(221)을 형성하는 가압부(220)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재(200)와;
    외측면에는 하부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301)이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삽입홈(221)에 삽입되는 가압부재(300)와;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볼트공(40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딩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은 절개되어 상기 가압부재(300)의 상기 제1경사면(301)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402)이 형성된 커버부재(40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머리부(510)와, 상기 관통공(141) 및 상기 볼트공(401)에 삽입되는 나사부(520)로 이루어진 체결볼트(500)와;
    상기 볼트공(401)으로 돌출된 상기 체결볼트(500)의 상기 나사부(520)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4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체결너트(600)와;
    상기 체결볼트(500)의 상기 나사부(520)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40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700); 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볼트(500)와 상기 체결너트(600)의 체결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를 따라 상기 커버부재(4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재(300)의 상기 제1경사면(301)이 상기 커버부재(400)의 제1경사면(30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부재(300)의 폭이 조절되어 각각의 상기 탄성편(130) 간의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00)에는,
    상기 삽입홈(221)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기 삽입홈(221)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3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하는 제1고정편(22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210)의 상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210)에서 상기 연장부(14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제2고정편(21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500)의 머리부(510)를 고정하면서 상기 연장부(14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제3고정편(212)이 형성되어 하나의 모듈화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
KR1020150070717A 2015-05-21 2015-05-21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 KR101716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717A KR101716736B1 (ko) 2015-05-21 2015-05-21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717A KR101716736B1 (ko) 2015-05-21 2015-05-21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749A true KR20160136749A (ko) 2016-11-30
KR101716736B1 KR101716736B1 (ko) 2017-03-27

Family

ID=5770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717A KR101716736B1 (ko) 2015-05-21 2015-05-21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7044A1 (de) * 2017-03-14 2018-09-20 Bremi Fahrzeug-Elektrik Gmbh + Co.Kg Batterieklemme
KR20240025287A (ko) * 2022-08-18 2024-02-27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 단자용 접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591B1 (ko) * 2007-05-10 2008-04-14 태성전장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KR20090063007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단자
KR20130004483U (ko) * 2012-01-11 2013-07-19 유정선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101413083B1 (ko) 2014-02-28 2014-07-01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단조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591B1 (ko) * 2007-05-10 2008-04-14 태성전장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KR20090063007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단자
KR20130004483U (ko) * 2012-01-11 2013-07-19 유정선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101413083B1 (ko) 2014-02-28 2014-07-01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단조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7044A1 (de) * 2017-03-14 2018-09-20 Bremi Fahrzeug-Elektrik Gmbh + Co.Kg Batterieklemme
KR20240025287A (ko) * 2022-08-18 2024-02-27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 단자용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736B1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92111A1 (en) Electrode structure
US11942657B2 (en) Inter-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CN103503197B (zh) 端子安装结构
KR101385613B1 (ko)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KR101716736B1 (ko)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
KR101366118B1 (ko)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CN102055080B (zh) 用于电气装置中多路连接的组件
KR101396511B1 (ko) 배터리 단자용 접속장치
CN110867670B (zh) 一种配电箱柜接线端子组件
CN203627498U (zh) 螺钉防掉落结构及装置、通过螺钉连接的防掉落结构
US6857914B1 (en) Battery post connector apparatus
KR100986424B1 (ko)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CN111312973B (zh) 压缩夹电池连接***
EP3736877B1 (en) Battery box body and battery box
KR101776328B1 (ko)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JP6146238B2 (ja) 複数の角型蓄電装置の組付構造
CN102904087A (zh) 通电用端子
KR20160000576U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CN201138767Y (zh) 起动机电刷总成
KR102681829B1 (ko) 배터리 단자용 접속장치
CN212136577U (zh) 动力电池盖板结构及电池
CN219759851U (zh) 一种新型电源壳体及应用该新型电源壳体的电源装置
KR20130065027A (ko) 차량용 배터리터미널 고정장치
KR101913433B1 (ko) 배터리 팩 단자 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CN203398396U (zh) 一种发电机防松脱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