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909A - Limk2 억제제,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Limk2 억제제,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909A
KR20160129909A KR1020167030113A KR20167030113A KR20160129909A KR 20160129909 A KR20160129909 A KR 20160129909A KR 1020167030113 A KR1020167030113 A KR 1020167030113A KR 20167030113 A KR20167030113 A KR 20167030113A KR 20160129909 A KR20160129909 A KR 20160129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methyl
piperidine
tert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휴 알프레드 버군
니콜 캐슬린 굿윈
브라이스 알든 해리슨
제이슨 패트릭 힐리
잉 리우
로스 메이본
브렛 마리넬리
데이비드 브렌트 롤린스
데니스 스튜어트 라이스
노리스 앤드류 위트록
Original Assignee
렉시컨 파마슈티컬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시컨 파마슈티컬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렉시컨 파마슈티컬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29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0Ophthalmic agents for accommodation disorders, e.g. myop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Immu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LIM 키나제 2의 억제제, 그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이 개시된다. 특정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I을 갖는다.
<화학식 I>

Description

LIMK2 억제제,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LIMK2 INHIBITORS,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AND METHODS OF THEIR USE}
본원은 2008년 4월 2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046,602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도입된다.
1.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키나제 억제제,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다양한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그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배경기술
단백질 키나제는 ATP에서부터 수용 단백질까지 γ-포스페이트 기의 전달을 촉매화하는 효소의 한 부류이다. 인간 게놈은 500종 초과의 별개의 단백질 키나제를 코딩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 중 다수가 암 및 염증을 비롯한 광범위한 질환 및 장애와 관련되어 있다.
LIM 키나제 (LIMK)는 p53 경로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국제 출원 번호 WO 02/099048을 참조한다. LIMK는 2개의 N-말단 LIM 모티프 및 C-말단 단백질 키나제 도메인의 독특한 조합을 가진 키나제의 작은 하위 패밀리에 속한다. 이러한 LIM 모티프 및 키나제 도메인은 여러개의 추정되는 카세인 키나제 및 map 키나제 인식 부위를 함유하는 프롤린- 및 세린-풍부 영역에 의해 연결된다. LIM 키나제 및 그들의 경로 단백질은 액틴 세포 골격의 Rho-유도성 재배열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와 동일한 문헌. LIM 키나제 패밀리의 구성원은 LIM 키나제 1 (LIMK1) 및 LIM 키나제 2 (LIMK2)를 포함한다. 상기 두가지 모두는 코필린을 인산화시키고, Rho 패밀리-의존성 액틴 세포골격 재배열을 조절한다. 상기와 동일한 문헌.
LIM 키나제 억제제는 암의 치료를 위해 제안되어 왔다. 상기와 동일한 문헌. LIMK 억제제가 섬유주 세포에서 액틴 해중합을 촉진하고 안압을 낮춤으로써 녹내장 치료에서 유용할 수 있는 것이 또한 제안된 바 있다. 국제 출원 번호 WO 04/047868을 참조한다. 현행의 녹내장 치료법은 다양한 메카니즘에 의해 작동한다. 프로스타글란딘 F2a 유사체 (예를 들어, 라타노프로스트)는 눈으로부터의 유체 유출의 안압 (IOP) 비의존성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 탄산 무수 억제제 (예를 들어, 아세타졸아미드), 베타-차단제 (예를 들어, 티몰롤), 교감신경흥분제 (예를 들어, 필로카르핀) 및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 효능제 (예를 들어, 브리모니딘)는 수성 체액 생산을 감소시킨다.
매우 다양한 화학형을 갖는 다수의 화합물이 키나제 억제제로서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페닐-치환된 피리미딘 화합물은 LIMK 억제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보고된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국제 출원 WO 2006/084017을 참조한다. 피롤[2,3-d]피리미딘-기재의 화합물은 다양한 상이한 키나제의 억제제로서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공보 2004/0058922; 국제 출원 WO 2007/125325; 국제 출원 WO 2007/125321; 국제 출원 WO 2006/046024; 미국 특허 공보 2005/0130954; 및 미국 특허 공보 2006/0189638을 참조한다.
3.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화합물의 치환기는 본원에 정의되어 있다. 특정 화합물은 LIMK2의 강력한 억제제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형성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는 LIMK2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양한 질환 및 장애, 예컨대 암, 염증 질환 및 장애, 및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및 장애 (예를 들어, 안질환 및 안장애), 예컨대 녹내장, 신경변성 및 감염의 치료, 관리 및 예방을 위해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4.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하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고안압증 검정에서 2종의 화합물의 효과를 보여준다. 화합물 A는 3 μg/눈으로 투약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다. 다른 화합물, 티몰롤은 15 μg/눈으로 투약되었다. 비히클 대조군에 대한 데이터는 상이한 비히클을 이용하는 8개 실험의 평균이다. 화합물 A에 대한 데이터는 다양한 비히클을 이용하는 8개 실험의 평균이다. 티몰롤에 대한 데이터는 시판 제제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2개 실험의 평균이다.
5.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LIM 키나제 2 (LIMK2)의 억제제인 신규 화합물의 발견을 기초로 한다. LIMK2 억제제는 다양한 안질환 및 안장애, 예컨대 녹내장을 치료, 관리 및/또는 예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8년 8월 8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12/188,515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용액 중에서 안정적이고, 따라서 액상 투여형, 예컨대 점안제에 혼입될 수 있다. 게다가 특정 화합물은 수용성이다.
5.1. 정의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알케닐"은 2 내지 20개 (예를 들어, 2 내지 10개 또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직쇄형, 분지형 및/또는 시클릭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알케닐 잔기에는 비닐, 알릴, 1-부테닐, 2-부테닐, 이소부틸레닐, 1-펜테닐, 2-펜테닐, 3-메틸-1-부테닐, 2-메틸-2-부테닐, 2,3-디메틸-2-부테닐, 1-헥세닐, 2-헥세닐, 3-헥세닐, 1-헵테닐, 2-헵테닐, 3-헵테닐, 1-옥테닐, 2-옥테닐, 3-옥테닐, 1-노네닐, 2-노네닐, 3-노네닐, 1-데세닐, 2-데세닐 및 3-데세닐이 포함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알콕시"는 -O-알킬 기를 의미한다. 알콕시 기의 예에는 -OCH3, -OCH2CH3, -O(CH2)2CH3, -O(CH2)3CH3, -O(CH2)4CH3 및 -O(CH2)5CH3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알킬"은 1 내지 20개 (예들 들어, 1 내지 10개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분지형 및/또는 시클릭 ("시클로알킬")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1 내지 4개의 탄소를 갖는 알킬 잔기는 "저급 알킬"로 지칭된다. 알킬 기의 예에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부틸, 이소부틸, 펜틸, 헥실, 이소헥실, 헵틸, 4,4-디메틸펜틸, 옥틸, 2,2,4-트리메틸펜틸, 노닐, 데실, 운데실 및 도데실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시클로알킬 잔기는 모노시클릭 또는 멀티시클릭일 수 있고, 그 예에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및 아다만틸이 포함된다. 알킬 잔기의 추가 예에는 직쇄형, 분지형 및/또는 시클릭 부분 (예를 들어, 1-에틸-4-메틸-시클로헥실)이 있다. 용어 "알킬"은 포화 탄화수소 뿐만 아니라, 알케닐 및 알키닐 잔기를 포함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알킬아릴" 또는 "알킬-아릴"은 아릴 잔기에 결합된 알킬 잔기를 의미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알킬헤테로아릴" 또는 "알킬-헤테로아릴"은 헤테로아릴 잔기에 결합된 알킬 잔기를 의미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알킬헤테로사이클" 또는 "알킬-헤테로사이클"은 헤테로사이클 잔기에 결합된 알킬 잔기를 의미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알키닐"은 2 내지 20개 (예를 들어, 2 내지 20개 또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포함하는 직쇄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알키닐 잔기에는 아세틸레닐, 프로피닐, 1-부티닐, 2-부티닐, 1-펜티닐, 2-펜티닐, 3-메틸-1-부티닐, 4-펜티닐, 1-헥시닐, 2-헥시닐, 5-헥시닐, 1-헵티닐, 2-헵티닐, 6-헵티닐, 1-옥티닐, 2-옥티닐, 7-옥티닐, 1-노니닐, 2-노니닐, 8-노니닐, 1-데시닐, 2-데시닐 및 9-데시닐이 포함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아릴"은 탄소 및 수소 원자로 구성된 방향족 고리, 또는 방향족 또는 부분 방향족 고리계를 의미한다. 아릴 잔기는 함께 결합되거나 융합된 다중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아릴 잔기의 예에는 안트라세닐, 아줄레닐, 바이페닐, 플루오레닐, 인단, 인데닐, 나프틸, 페난트레닐, 페닐,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및 톨릴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아릴알킬" 또는 "아릴-알킬"은 알킬 잔기에 결합된 아릴 잔기를 의미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할로겐" 및 "할로"는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를 포함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헤테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그의 탄소 원자가 헤테로원자 (예를 들어, N, O 또는 S)로 대체된 알킬 잔기 (예를 들어, 직쇄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를 지칭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헤테로알킬아릴" 또는 "헤테로알킬-아릴"은 알킬 잔기에 결합된 헤테로알킬 잔기를 지칭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헤테로알킬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알킬-헤테로사이클"은 헤테로사이클 잔기에 결합된 헤테로알킬 잔기를 의미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헤테로아릴"은 하나 이상의 그의 탄소 원자가 헤테로원자 (예컨대, N, O 또는 S)로 대체된 아릴 잔기를 의미한다. 그 예에는 아크리디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푸라닐, 벤조이소티아졸릴, 벤조이속사졸릴, 벤조퀴나졸리닐, 벤조티아졸릴, 벤즈옥사졸릴, 푸릴, 이미다졸릴, 인돌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프탈라지닐, 피라지닐, 피라졸릴, 피리다지닐, 피리딜, 피리미디닐, 피리미딜, 피롤릴, 퀴나졸리닐, 퀴놀리닐, 테트라졸릴, 티아졸릴 및 트리아지닐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알킬"은 알킬 잔기에 결합된 헤테로아릴 잔기를 의미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헤테로사이클"은 탄소, 수소 및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예를 들어, N, O 또는 S)로 구성된 방향족, 부분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고리 또는 고리계를 지칭한다. 헤테로사이클은 함께 융합되거나 결합된 다중 (즉, 둘 이상의)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은 헤테로아릴을 포함한다. 그 예에는 벤조[1,3]디옥솔릴, 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시닐, 신놀리닐, 푸라닐, 히단토이닐, 모르폴리닐, 옥세타닐, 옥시라닐,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노닐, 피롤리디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테트라히드로피리디닐,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닐, 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 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 및 발레로락타밀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헤테로사이클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알킬"은 알킬 잔기에 결합된 헤테로사이클 잔기를 지칭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헤테로시클로알킬"은 비-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지칭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헤테로시클로알킬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알킬"은 알킬 잔기에 결합된 헤테로시클로알킬 잔기를 지칭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LIMK2 IC50"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시험관내 인간 LIM 키나제 2 억제 검정을 이용하여 측정된 화합물의 IC50이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관리하다", "관리하는" 및 "관리"는 질환 또는 장애를 이미 앓고 있는 환자에서 특정 질환 또는 장애의 재발을 예방하고/거나, 질환 또는 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가 완화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늘리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질환 또는 장애의 역치, 발병 및/또는 지속 시간을 조절하거나, 또는 환자가 질환 또는 장애에 반응하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무기 산 및 무기 염기, 및 유기 산 및 유기 염기를 비롯한 제약상 허용되는 비-독성 산 또는 염기로부터 제조된 염을 지칭한다. 적합한 제약상 허용되는 염기 부가염에는 알루미늄, 칼슘, 리튬,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및 아연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염, 또는 리신,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메글루민 (N-메틸글루카민) 및 프로카인으로부터 제조된 유기 염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적합한 비-독성 산에는 무기산 및 유기산, 예컨대 아세트산, 알긴산, 안트라닐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캄포르술폰산, 시트르산, 에텐술폰산, 포름산, 푸마르산, 푸로산, 갈락투론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글루탐산, 글리콜산, 브롬화수소산, 염산, 이세티온산, 락트산, 말레산, 말산, 만델산, 메탄술폰산, 점액산, 질산, 파모산, 판토텐산, 페닐아세트산, 인산, 프로피온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숙신산, 술파닐산, 황산, 타르타르산 및 p-톨루엔술폰산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정 비-독성 산에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황산 및 메탄술폰산이 포함된다. 따라서, 특정 염의 예에는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메실레이트 염이 포함된다. 여타 것들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Easton PA: 1990)] 및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19th ed. (Mack Publishing, Easton PA: 1995)]을 참조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강력한 LIMK2 억제제"는 약 250 nM 미만의 LIMK2 IC50을 갖는 화합물이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예방하다", "예방하는" 및 "예방"은 환자가 특정 질환 또는 장애를 앓기 시작하기 전에 발생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중증도를 억제하거나 감소시키는 작용으로 고려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용어는 방지를 포함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화합물의 "예방 유효량"은 질환 또는 상태,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상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예방하거나, 또는 그의 재발을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화합물의 "예방 유효량"은 질환의 예방에 있어서 예방적 이점을 제공하는, 치료제 단독의 양 또는 기타 작용제와의 조합으로의 양을 의미한다. 용어 "예방 유효량"은 전체적인 예방을 개선하거나, 또는 또다른 예방 제제의 예방 효능을 증진시키는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은 라세미 혼합물 및 또한 입체이성질체적으로 풍부한 혼합물 (예를 들어, R/S = 30/70, 35/65, 40/60, 45/55, 55/45, 60/40, 65/35 및 70/30)을 포함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입체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은, 화합물의 한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하며, 그 화합물의 다른 입체이성질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개의 입체중심을 갖는 화합물의 입체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의 반대 입체이성질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2개의 입체중심을 갖는 화합물의 입체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의 다른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통상적인 입체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화합물은 약 80 중량% 초과의 화합물의 한 입체이성질체 및 약 20 중량% 미만의 화합물의 다른 입체이성질체, 약 90 중량% 초과의 화합물의 한 입체이성질체 및 약 10 중량% 미만의 화합물의 다른 입체이성질체, 약 95 중량% 초과의 화합물의 한 입체이성질체 및 약 5 중량% 미만의 화합물의 다른 입체이성질체, 약 97 중량% 초과의 화합물의 한 입체이성질체 및 약 3 중량% 미만의 화합물의 다른 입체이성질체, 또는 약 99 중량% 초과의 화합물의 한 입체이성질체 및 약 1 중량% 미만의 화합물의 다른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치환된"이, 화학 구조 또는 잔기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그 구조 또는 잔기의 유도체의 수소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화학적 잔기 또는 관능기,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알콜, 알데히드, 알콕시, 알카노일옥시, 알콕시카르보닐, 알케닐, 알킬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t-부틸), 알키닐, 알킬카르보닐옥시 (-OC(O)알킬), 아미드 (예를 들어, -C(O)NH-알킬-, -알킬NHC(O)알킬), 아미디닐 (예를 들어, -C(NH)NH-알킬-, -C(NR)NH2), 아민 (1급, 2급 및 3급, 예컨대 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아릴알킬아미노), 아로일, 아릴, 아릴옥시, 아조, 카르바모일 (예를 들어, -NHC(O)O-알킬-, -OC(O)NH-알킬), 카르바밀 (예를 들어, CONH2, CONH-알킬, CONH-아릴, CONH-아릴알킬), 카르보닐, 카르복실,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무수물,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 시아노, 에스테르, 에폭시드, 에테르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구아니디노, 할로, 할로알킬 (예를 들어, -CCl3, -CF3, -C(CF3)3), 헤테로알킬, 헤미아세탈, 이민 (1급 및 2급),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케톤, 니트릴, 니트로, 옥소, 포스포디에스테르, 술피드, 술폰아미도 (예를 들어, SO2NH2), 술폰, 술포닐 (알킬술포닐, 아릴술포닐 및 아릴알킬술포닐 포함), 술폭시드, 티올 (예를 들어, 술프히드릴, 티오에테르) 및 우레아 (예를 들어, -NHCONH-알킬-)로 치환시킨, 구조 또는 잔기의 유도체를 지칭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은, 질환 또는 상태의 치료 또는 관리에서 치료학적 이점을 제공하거나, 또는 질환 또는 상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지연 또는 최소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이다.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은 질환 또는 상태의 치료 또는 관리에 있어서 치료학적 이점을 제공하는, 치료제 단독의 양 또는 다른 요법과의 조합으로의 양을 의미한다. 용어 "치료 유효량"은 전체적인 요법을 개선하거나, 질환 또는 상태의 증상 또는 원인을 감소 또는 피하거나, 또는 또다른 치료제의 치료 효능을 증진시키는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질환 또는 장애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질환 또는 장애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늦추는, 환자가 특정 질환 또는 장애를 앓고 있는 동안 발생하는 작용으로 고려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포함하다"는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다"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용어 "포함한다"는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유사하게, 용어 "예컨대"는 용어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일련의 명사 바로 앞에 있는 하나 이상의 형용사는 각각의 명사에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구문 "임의로 치환된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보다 큰 화합물의 일부를 형성하는 화학적 잔기는 그것이 단일 분자로 존재하는 경우에 그와 통상적으로 일치되는 명칭, 또는 그의 라디칼과 통상적으로 일치되는 명칭을 사용하여 본원에 기재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용어 "피리딘" 및 "피리딜"은 다른 화학적 잔기에 부착되는 잔기를 기재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에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두 구문 "XOH (여기서, X는 피리딜임)" 및 "XOH (여기서, X는 피리딘임)"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화합물 피리딘-2-올, 피리딘-3-올 및 피리딘-4-올을 포함한다.
또한, 구조 또는 구조 일부의 입체화학을, 예를 들어 굵은 선 또는 점선으로 나타내지 않은 경우, 구조 또는 구조 일부는 그의 모든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불충분한 원자가를 갖는 것으로 도면에 나타낸 임의의 원자는 원자가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수소 원자가 부착된 것으로 가정된다. 또한, 하나의 실선이 하나의 점선과 평행하게 도시된 화학적 결합은 원자가가 허용하는 경우 단일 결합 및 이중 결합 (예컨대, 방향족) 모두를 포함한다.
5.2. 화합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02
상기 식 중, A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이고; R1은 수소, 할로겐, 시아노,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헤테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이고; R2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헤테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이고; R3은 R3A, OR3B, N(R3B)2, NC(O)R3B, NC(O)OR3B, NC(O)N(R3B)2, SR3B, SOR3B 또는 SO2R3B이고; 각각의 R3A는 시아노, C(O)R3C, CO2R3C, CON(R3C)2,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알킬아릴, 알킬헤테로사이클, 아릴, 헤테로알킬, 헤테로알킬아릴, 헤테로알킬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사이클이고; 각각의 R3B는 독립적으로 수소, C(O)R3C, CO2R3C, CON(R3C)2,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헤테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이고; 각각의 R3C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이고;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OR4B, OC(O)R4B, OC(O)N(R4B)2, N(R4B)2, NC(O)R4A, NC(O)OR4A, NC(O)N(R4A), SR4B, SOR4B 또는 SO2R4B,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헤테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이고; 각각의 R4B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헤테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이고; n은 0 내지 3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1) 각각의 R4A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이고; 2) R1 및 R2가 둘다 수소이고, A가 페닐인 경우, R4가 할로겐이 아닌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A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A는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R1은 수소, 할로겐, 시아노 또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1은 수소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R1은 할로겐 (예를 들어, 클로로)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예를 들어, 메틸)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R2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또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2는 수소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R2는 할로겐 (예를 들어, 클로로)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예를 들어, 메틸)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R3은 R3A, OR3B 또는 N(R3B)2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3은 R3A이고, R3A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알킬헤테로사이클, 헤테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3A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에서, R3A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헤테로사이클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R3A는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알킬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R3A는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3은 OR3B 또는 N(R3B)2이고, R3B는 수소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3B는 수소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R3B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R3B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R4는 할로겐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R4는 OC(O)N(R4A)2이고, 하나 이상의 R4A는 예를 들어 저급 알킬 (예를 들어, 메틸)이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강력한 LIMK2 억제제이다. 특정 화합물은 약 100, 75, 50, 25 또는 10 nM 미만의 LIMK2 IC50을 갖는다.
5.3. 합성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공보 2004/0058922 및 2005/0130954를 참조한다.
피롤로피리미딘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West, J. Org. Chem. 26:4959 (1961)]; 아오노 등(Aono et al.)의 EP 0733633-B1을 참조한다. 한 가지 접근법은 2007년 10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공보 11/876,051에서 기술되고, 하기의 반응식 1에 나타낸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3
생성된 4-히드록시 피롤로[2,3-d]피리미딘 화합물은 이후에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4-클로로 화합물 (하기 반응식 2에서의 화합물 f)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문헌 [West, J. Org. Chem. 26:4959 (1961)]을 참조한다. 하기의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합물은 이후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반응식 2>
Figure pat00004
반응식 2에 나타낸 방법에서, 시판되는 1-tert-부틸 4-에틸 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a)를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리튬 디이소프로필 아미드) 및 알킬화제 (예를 들어, 알킬 브로마이드 또는 클로라이드)로 알킬화시켜 화합물 b를 얻는다. 화학식 b의 다른 화합물은 시판되는 것이다. 수용액 중 염기, 예컨대 LiOH 또는 NaOH를 사용하여 화합물 b를 비누화시켜 카르복실산 c를 얻고, 이것을 적절한 시약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중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함유한 HATU)를 사용하여 화학식 NH2A의 아민과 커플링시켜 아미드 d를 얻을 수 있다. 적합한 산 (예를 들어, MeOH 중의 HCl, 또는 CH2Cl2 중의 TFA)으로 화합물 d를 처리함으로써 BOC 기를 제거하여 아민 e를 얻는다. 적절한 용매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탄올) 중에서 아민 e 및 클로라이드 f를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와 함께 가열하여 화합물 h를 수득한다. 바람직한 경우, 공지된 방법은 화합물을 본 발명에 포함되는 다양한 다른 화합물로 변형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5.4. 사용 방법
본 발명은 LIMK2를 강력한 LIMK2 억제제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LIMK2를 억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강력한 LIMK2 억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즉,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이다.
특정 실시양태는 치료 또는 예방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염증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관리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염증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관리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는 치료 또는 예방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암의 치료, 관리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암을 치료, 관리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는 안압 저하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LIMK2 활성 또는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안압을 저하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한가지 방법에서, LIMK2 활성은 환자의 눈을 강력한 LIMK2 억제제와 접촉시킴으로써 억제된다. 특정한 강력한 LIMK2 억제제는 본원에 기술되어 있다. 또다른 방법에서, LIMK2 발현은 LIMK2 발현을 억제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siRNA)를 환자의 눈에 투여함으로써 억제된다.
또다른 실시양태는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관리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LIMK2 활성 또는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관리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한가지 방법에서, LIMK2 활성은 환자의 눈을 강력한 LIMK2 억제제와 접촉시킴으로써 억제된다. 특정한 강력한 LIMK2 억제제는 본원에 기술되어 있다.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및 장애에는 녹내장, 신경변성 질환 및 감염성 질환이 포함된다.
5.5. 제약 제제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특정 제약 조성물은 환자에게 경구, 점막 (예를 들어, 비강, 설하, 질, 협측 또는 직장), 비경구 (예를 들어, 피하, 정맥내, 볼루스 주사, 근육내 또는 동맥내), 경피, 국소 및 안과적 (예를 들어, 국소, 유리체내) 투여에 적합한 단일 단위 투여형이다.
투여형의 예에는 정제; 캐플릿; 캡슐, 예컨대 연질 탄성 젤라틴 캡슐; 사셰; 트로키; 로젠지; 분산액제; 좌제; 연고; 습포제 (파프제); 페이스트; 산제; 드레싱; 크림; 플라스터; 용액제; 패치; 에어로졸 (예를 들어, 비강 스프레이 또는 흡입기); 겔; 환자로의 경구 또는 점막 투여에 적합한 액상 투여형, 예컨대 현탁액제 (예를 들어,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 현탁액제, 수중유 에멀젼 또는 유중수 액체 에멀젼), 용액제 및 엘릭시르; 환자로의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액상 투여형; 및 환자로의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액상 투여형을 제공하기 위해 재구성될 수 있는 멸균 고체 (예를 들어, 결정질 또는 무정형 고체)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제는 투여 방식에 적합해야 한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는 위장관 내에서의 분해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을 보호하기 위한 장용 코팅을 필요로 한다. 유사하게, 제제는 작용 부위로의 활성 성분(들)의 전달을 촉진하는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분해 효소로부터 그들을 보호하고, 순환계에서 수송을 촉진하고, 세포막을 통한 세포내 부위로의 전달을 수행하기 위해 리포좀 제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형의 조성, 외형 및 유형은 그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질환의 급성기 치료에 사용되는 투여형은 이것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동일한 질환의 만성기 치료에 사용되는 투여형보다 더 많은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유사하게, 비경구 투여형은 이것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동일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구 투여형보다 더 적은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여러가지 방법에서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특정 투여형이 서로 다를 것이고, 이것은 당업자에게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Easton PA: 1990)]을 참조한다.
5.5.1. 경구 투여형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분리된 투여형,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정제 (예를 들어, 씹을 수 있는 정제), 캐플릿, 캡슐 및 액상 (예를 들어, 향미 시럽)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투여형은 예정된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약제학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Easton PA: 1990)]을 참조한다.
통상적인 경구 투여형은 활성 성분(들)을 통상적인 제약적 조제 기술에 따라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의 치밀한 혼합물로 배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부형제는 투여에 바람직한 제제의 형태에 따라 광범위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투여 용이성 때문에, 정제 및 캡슐은 가장 유리한 경구 단위 투여형이다. 바람직한 경우, 정제는 표준 수성 또는 비수성 기법으로 코팅시킬 수 있다. 상기 투여형은 통상적인 제약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약 조성물 및 투여형은 활성 성분을 액체 담체, 미분된 고체 담체, 또는 둘다와 균일하고 치밀하게 혼합한 후, 필요한 경우에 생성물을 원하는 외양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붕해제는 신속한 용해를 촉진하기 위해 고체 투여형에 혼입될 수 있다. 또한, 윤활제도 투여형 (예컨대, 정제)의 제조를 촉진하기 위해 혼입될 수 있다.
5.5.2. 비경구 투여형
비경구 투여형은 피하, 정맥내 (볼루스 주사 포함), 근육내 및 동맥내를 비롯한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다양한 경로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그의 투여가 통상적으로 오염물질에 대한 환자의 선천적 방어를 우회하기 때문에, 비경구 투여형은 특히 멸균되거나, 또는 환자에게 투여되기 전에 멸균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형의 예에는 즉석 주사용 용액, 제약상 허용되는 비히클 중에 용해되거나 현탁되는, 즉석 주사용 건조 제품, 즉석 주사용 현탁액, 및 에멀젼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비경구 투여형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비히클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 예에는 주사용수 USP; 수성 비히클,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염화나트륨 주사액, 링거 주사액, 덱스트로스 주사액, 덱스트로스 및 염화나트륨 주사액, 및 락테이트화 링거 주사액; 수혼화성 비히클,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에틸 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비-수성 비히클,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옥수수유, 면실유, 땅콩유, 참깨유, 에틸 올레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및 벤질 벤조에이트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5.5.3. 경피, 국소 및 점막 투여형
경피, 국소 및 점막 투여형에는 안과용 용액제, 스프레이, 에어로졸, 크림, 로션, 연고, 겔, 용액제, 에멀젼, 현탁액제,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형태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Easton PA: 1990)]; 및 [Introduction to Pharmaceutical Dosage Forms, 4th ed. (Lea & Febiger, Philadelphia: 1985)]를 참조한다. 경피 투여형에는 "저장고 유형" 또는 "매트릭스 유형"의 패치가 포함되며, 이는 피부에 적용되어 특정 기간 동안 착용됨으로써 원하는 양의 활성 성분이 투과되도록 할 수 있다.
경피, 국소 및 점막 투여형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부형제 (예컨대, 담체 및 희석제) 및 다른 물질들은 제약 업계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주어진 제약 조성물 또는 투여형이 적용될 특정 조직에 따라 달라진다.
치료될 특정 조직에 따라,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을 사용한 치료 전에, 그와 함께 또는 그후에 추가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을 조직에 전달하는 것을 돕기 위해 투과 증진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약 조성물 또는 투여형의 pH, 또는 제약 조성물 또는 투여형이 적용되는 조직의 pH가, 1종 이상 활성 성분의 전달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용매 담체의 극성, 그의 이온 세기, 또는 장성(tonicity)이 전달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화합물, 예컨대 스테아레이트는 또한 제약 조성물 또는 투여형에 첨가되어,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의 친수성 또는 친지성을 변경하여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테아레이트는 제제화를 위한 지질 비히클로서, 유화제 또는 계면활성제로서, 및 전달-증진 또는 투과-증진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생성되는 조성물의 특성을 추가로 조정하기 위해, 활성 성분의 다른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5.5.4. 안과적 투여형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용액제, 수현탁액제 및 연고를 사용하여 눈 (예를 들어, 국소적으로)에 전달될 수 있다. 당업자가 인지하는 바와 같이, 안과용 제품은 눈의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그의 최종 용기에서 멸균되어야 한다. 보존제는 용기가 개방된 경우 멸균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안과용 제제의 pH, 완충 용량, 점도 및 장성이 제어된 안과용 제제가 필요하다. 바람직한 제제는 약 6.5 내지 8.5의 pH 및 약 0.01 내지 0.1의 완충 용량을 갖는다. 특정 형성물은 등장성이다. 특정 형성물은 약 25 내지 50 cps의 점도를 갖는다.
활성 약제 성분 (API)을 그의 작용 부위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안전한 비히클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성분은 잘 알려지지만, API의 물성 및 화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적절하게 완충된 수용액은 수용성 화합물의 전달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용액 조성물에서, 중합 성분은 전형적으로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된다. 적합한 중합체의 예에는 셀룰로스 중합체 (예를 들어,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에틸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합성 중합체 (예를 들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비닐 알콜), 다당류 (예를 들어, 크산탄 검, 구아 검 및 덱스트란), 및 그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4,136,173 및 7,244,440을 참조한다. 현탁액제는 또한 화합물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중합 성분은 전형적으로 불용성 성분을 현탁시키거나 용이하게 재분산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현탁액 조성물 중에서 물리적 안정성 조제로서 사용된다. 상기와 동일한 문헌.
보존제는 형성물의 멸균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보존제에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클로로부탄올, 페닐수은 아세테이트, 페닐수은 니트레이트, 티메로살, 메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이 포함된다. 그리고, 항산화제는 산화에 영향받기 쉬운 형성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항산화제에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중아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및 티오우레아가 포함된다.
6. 실시예
본 발명의 측면은 그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 하기 실시예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6.1. 실시예 1: 1-(5-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N-(3-(4-플루오로페녹시)페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Figure pat00005
A. tert-부틸 4-(3-(4-플루오로페녹시)페닐카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 (243 mg, 1.0 mmol), 3-(4-플루오로페녹시)아닐린 (203 mg, 1.0 mmol), DCC (206 mg, 1.0 mmol) 및 HOAt (138 mg, 1.01 mmol)를 EtOAc (50 mL) 및 DMF (5 mL) 중에서 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대부분의 EtOAc를 증발시키고, 고체 침전물이 생성되었고, 이것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EtOAc로 희석하고, 1 N 수성 HCl,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06
B. N-(3-(4-플루오로페녹시)페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단계 A로부터의 tert-부틸 4-(3-(4-플루오로페녹시)페닐카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를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디옥산 중 4 N HCl로 처리하였다. 생성물을 여과로 단리하고, 에테르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 (206 mg, 2 단계 동안 56%)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07
C. 4,5-디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의 제조. CH2Cl2 (6 mL) 중 4-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 (154 mg, 1.0 mmol)의 용액에 NCS (134 mg, 1.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 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고, 이것을 조질로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8
D. 1-(5-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N-(3-(4-플루오로페녹시)페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단계 B로부터의 N-(3-(4-플루오로페녹시)페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 (50 mg, 0.13 mmol), 단계 C로부터의 4,5-디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 (19 mg, 0.1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04 mL, 0.3 mmol)을 이소프로판올 (1 mL) 중에서 합하고, 마이크로파 조건 하에 30 분 동안 130℃에서 가열하였다. 생성물을 정제용 HPLC로 단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09
6.2 실시예 2: 1-(5-브로모-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N-(3-(4-플루오로페녹시)페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Figure pat00010
A. 5-브로모-4-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의 제조. CH2Cl2 (25 mL) 중 4-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 (1.2 g, 7.8 mmol)의 용액에 CH2Cl2 (25 mL) 중 N-브로모아세트아미드 (1.2 g, 8.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 분 동안 환류시키고, 이후에 농축시키고, 냉수로 세척하였다. 조 물질을 최소량의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시키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82%)을 밝은-회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at00011
B. 1-(5-브로모-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N-(3-(4-플루오로페녹시)페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이소프로판올 (1 mL) 중 실시예 1, 단계 B로부터의 N-(3-(4-플루오로페녹시)페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 (36 mg, 0.1 mmol)의 용액에 단계 A로부터의 5-브로모-4-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 (24 mg, 0.1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04 mL, 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조건 하에 10 분 동안 100℃에서 가열하고, 이후에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정제용 HPLC로 단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12
6.3 실시예 3: N-(3-(4-플루오로페녹시)페닐)-4-메틸-1-(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Figure pat00013
이소프로판올 (1 mL) 중 실시예 1, 단계 B로부터의 N-(3-(4-플루오로페녹시)페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 (20 mg, 0.05 mmol)의 용액에 4-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 (15 mg, 0.1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04 mL, 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조건 하에 30 분 동안 180℃에서 가열하고, 이후에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정제용 HPLC로 단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14
6.4 실시예 4: N-(3-tert-부틸페닐)-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4-페닐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Figure pat00015
A. 4-페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의 제조. 1-(tert-부톡시카르보닐)-4-페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 (1.0 g, 3.3 mmol)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디옥산 중 4 N HCl (20 mL)로 처리하였다. 생성물을 여과로 단리하여 표제 화합물 (0.74 g, 93%)을 백색 고체로 제공하였다.
Figure pat00016
B. 1-(5-메틸-4,7-디히드로-3H-피롤로[2,3-d]피리미딘-4-일)-4-페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의 제조. 이소프로판올 (10 mL) 중 단계 A로부터의 4-페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 (0.74 g, 3.1 mmol)의 용액에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0.52 g, 3.1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0 mL, 9.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조건 하에 180 분 동안 180℃에서 가열하고, 이후에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빙수 중에 용해시키고, 1 N 수성 HCl의 첨가에 의해 pH 4로 중화시켰다. 생성물을 여과로 단리하였고, 65℃에서 3시간 동안 진공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62%)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Figure pat00017
C. N-(3-tert-부틸페닐)-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4-페닐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DMF (2 mL) 중 단계 B로부터의 1-(5-메틸-4,7-디히드로-3H-피롤로[2,3-d]피리미딘-4-일)-4-페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 (33 mg, 0.1 mmol)의 용액에 3-tert-부틸아닐린 (15 mg, 1.0 mmol), BOP (50 mg, 0.11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04 mL, 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아미드 생성물을 정제용 HPLC로 단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18
6.5 실시예 5: 4-알릴-N-(3-클로로페닐)-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Figure pat00019
A. tert-부틸 4-알릴-4-(3-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N2의 대기 하에, 4-알릴-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 (0.158 g, 0.586 mmol), 피리딘 (0.189 mL, 2.34 mmol) 및 DMF (3 방울)를 CH2Cl2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빙조에서 냉각시켰다. 냉각된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 (0.056 mL, 0.645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40 분 동안 교반하고, 그 시간 후에 3-클로로아닐린 (0.061 mL, 0.58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빙조로부터 수거하고, 실온에 밤새 교반하였다. 조 반응물을 1 N 수성 HCl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51%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20
B. 4-알릴-N-(3-클로로페닐)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MeOH (10 mL) 중 단계 A으로부터의 tert-부틸 4-알릴-4-(3-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172 g, 0.453 mmol)의 용액에 디옥산 중 4 M HCl (0.340 mL, 1.3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0 분 동안 50℃에서 가열하고, 이후에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MeOH 중에 재용해시키고, 2회 재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 얻었다.
Figure pat00021
C. 4-알릴-N-(3-클로로페닐)-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단계 B로부터의 4-알릴-N-(3-클로로페닐)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 (0.142 g, 0.453 mmol),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0.075 g, 0.453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36 mL, 1.35 mmol) 및 이소프로판올 (5 mL)을 합하고, 120℃에서 밤새 압력 용기에서 가열하였다. 조 반응물을 CH2Cl2 중에 용해시키고,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MeOH:CH2Cl2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61%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22
6.6 실시예 6: N-(3-메톡시페닐)-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Figure pat00023
A. 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의 제조. 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 (0.500 g, 2.06 mmol)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디옥산 중 4 M HCl (10 mL)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0.294 g, 100%)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24
B. 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실산의 제조. 이소프로판올 (10 mL) 중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0.274 g, 1.64 mmol)의 용액에 단계 A로부터의 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 염산 (0.294 g, 1.64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654 mL, 4.9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마이크로파 조건 하에 1 시간 동안 180℃로 가열하고, 농축시키고, 빙수 중에 녹이고, 6 N 수성 HCl을 사용하여 pH 3으로 중성화시켜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밤새 진공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0.42 g, 75%)을 회색 고체로서 얻었다.
Figure pat00025
C. N-(3-메톡시페닐)-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DMF (1 mL) 중 단계 B로부터의 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실산 (0.020 g, 0.073 mmol)의 용액에 BOP 시약 (0.065 g, 0.15 mmol), 트리에틸아민 (0.019 mL, 0.15 mmol) 및 3-메톡시아닐린 (0.012 mL, 0.1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91 g, 33%)을 얻었다.
Figure pat00026
6.7. 실시예 7: 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N-p-톨릴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Figure pat00027
DMF (1 mL) 중 실시예 6, 단계 B로부터의 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실산 (0.020 g, 0.073 mmol)의 용액에 BOP 시약 (0.065 g, 0.15 mmol), 트리에틸아민 (0.019 mL, 0.15 mmol) 및 4-메틸아닐린 (0.012 mL, 0.1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133 g, 50%)을 얻었다.
Figure pat00028
6.8. 실시예 8: N-(3-(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페닐)-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Figure pat00029
DMF (1 mL) 중 실시예 6, 단계 B로부터의 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실산 (0.030 g, 0.11 mmol)의 용액에 HATU (0.042 g, 0.11 mmol), 트리에틸아민 (0.028 mL, 0.22 mmol) 및 3-아미노-N-이소프로필-벤즈아미드 (0.029 mg, 0.1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48 시간 동안 50℃에서 교반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23 g, 48%)을 얻었다.
Figure pat00030
6.9. 실시예 9: N-(3-tert-부틸페닐)-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Figure pat00031
A. tert-부틸 4-(3-tert-부틸페닐카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클로로에탄 (10 mL) 중 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 (0.30 g, 1.2 mmol), DMF (20 방울) 및 피리딘 (0.38 g, 4.8 mmol)의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 (0.15 g, 1.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 분 동안 교반하고, 3-tert-부틸아닐린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 및 1.0 N 수성 HCl로 각각 2회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2% MeOH:CH2Cl2)하여 표제 화합물을 61%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32
B. N-(3-tert-부틸페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단계 A로부터의 tert-부틸 4-(3-tert-부틸페닐카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4 g, 1.07 mmol)를 30 분 동안 50℃에서 메탄올 (5.0 mL) 중 HCl (디옥산 중 4.0 N, 1.3 mL, 5.34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정량적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33
C. N-(3-tert-부틸페닐)-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B로부터의 N-(3-tert-부틸페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 (0.33 g, 1.07 mmol),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0.18 g, 1.07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69 g. 5.34 mmol) 및 이소프로판올 (7 mL)을 정격 압력 밀폐 튜브에서 합하고, 18 시간 동안 10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은 농축시키고, 디클로로메탄 중에 녹이고, 이로부터의 침전물 (0.18 g)을 수집하였다. 용액을 크로마토그래피 (SiO2, 0-2% MeOH:CH2Cl2)하고, 컬럼시킨 물질 (0.15 g)을 침전물과 함께 합하고, 60℃에서 메탄올 (15 mL) 중에 용해시켰다. 물 (5.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50%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34
6.10. 실시예 10: 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N-(3-(옥사졸-5-일)페닐)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Figure pat00035
A. tert-부틸 4-메틸-4-(3-(옥사졸-5-일)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0℃에서 1,2-디클로로에탄 (2 mL) 중 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 (61.3 mg, 0.252 mmol) 및 피리딘 (79.7 mg, 0.08 mL, 1.01 mmol)의 용액에 DMF (1-2 방울)에 이어 옥살릴 클로라이드 (31.9 mg, 0.022 mL, 0.25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5 시간 동안 교반하고, 3-(옥사졸-5-일)아닐린 (40.4 mg, 0.25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추가 1.5 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허용되었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희석하고, 유기물을 0.1 N HCl (2×10 mL), 염수 (4 mL)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고,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36
B. 4-메틸-N-(3-(옥사졸-5-일)페닐)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메탄올 (3 mL) 중 단계 A로부터의 tert-부틸 4-메틸-4-(3-(옥사졸-5-일)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77.7 mg, 0.202 mmol)의 용액에 HCl (디옥산 중 4.0 N, 0.4 mL, 1.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5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농축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얻었다.
Figure pat00037
C. 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N-(3-(옥사졸-5-일)페닐)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압력 용기를 단계 B로부터의 4-메틸-N-(3-(옥사졸-5-일)페닐)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51.9 mg, 0.17 mmol) 및 이소프로판올 (3 mL)의 용액으로 충전시키고, 이 용액에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55.0 mg, 0.329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97.9 mg, 0.40 mL, 2.31 mmol)을 첨가하였다. 용기를 밀폐시키고, 반응물을 15 시간 동안 105℃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통상의 수단으로 후처리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38
6.11. 실시예 11: 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N-(3-술파모일페닐)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Figure pat00039
A. tert-부틸 4-메틸-4-(3-술파모일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클로로에탄 (2.0 mL) 중 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 (60 mg, 0.25 mmol)의 용액에 DMF (2 방울) 및 피리딘 (78 mg, 0.99 mmol)에 이어 옥살릴 클로라이드 (31 mg, 0.25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 분 동안 교반하고, 3-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하고,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및 1.0 N 수성 HCl로 각각 2회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2-5% MeOH:CH2Cl2)하여 표제 화합물을 40%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40
B. 4-메틸-N-(3-술파모일페닐)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단계 A로부터의 tert-부틸 4-메틸-4-(3-술파모일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39 mg, 0.098 mmol)를 메탄올 (1.0 mL) 중 HCl (디옥산 중 4.0 N, 98 μL, 0.39 mmol)로 50℃에서 45 분 동안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정량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41
C. 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N-(3-술파모일페닐)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단계 B로부터의 4-메틸-N-(3-술파모일페닐)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 (33 mg, 0.098 mmol),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16 mg, 0.098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51 mg, 0.39 mmol) 및 이소프로판올 (1.0 mL)을 정격 압력 밀폐 튜브에서 합하고, 105℃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21%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42
6.12. 실시예 12: N-(3-(1H-테트라졸-5-일)페닐)-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Figure pat00043
A. tert-부틸 4-(3-(1H-테트라졸-5-일)페닐카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클로로에탄 (2.0 mL) 중 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 (100 mg, 0.41 mmol)의 용액에 DMF (2 방울) 및 피리딘 (0.13 g, 1.6 mmol)에 이어 옥살릴 클로라이드 (57 mg, 0.45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 분 동안 교반하고, 3-(1H-테트라졸-5-일)-페닐아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핑크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1.0 N 수성 HCl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70%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44
B. N-(3-(1H-테트라졸-5-일)페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단계 A로부터의 tert-부틸 4-(3-(1H-테트라졸-5-일)페닐카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11 g, 0.29 mmol)를 메탄올 (2.0 mL) 중 HCl (디옥산 중 4.0 N, 0.36 mL, 1.45 mmol)로 처리하고, 50℃에서 30 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정량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45
C. N-(3-(1H-테트라졸-5-일)페닐)-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단계 B로부터의 N-(3-(1H-테트라졸-5-일)페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드 (93 mg, 0.29 mmol),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49 mg, 0.29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9 g. 1.45 mmol), 이소프로판올 (4.0 mL) 및 DMSO (0.5 mL)를 정격 압력 밀폐 튜브에서 합하고, 105℃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4.3%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46
6.13. 실시예 13: 3-(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47
A. tert-부틸 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 (67 mg, 0.28 mmol), EDC (64 mg, 0.33 mmol), HOBT (45 mg, 0.33 mmol) 및 디클로로에탄 (2.0 mL)을 정격 압력 밀폐 튜브에서 합하고, 45 분 동안 교반하였다. 3-아미노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50 mg, 0.28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85℃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피 (SiO2, 0-2% MeOH:CH2Cl2)하여 표제 화합물을 50% 수율로 제공하였다.
Figure pat00048
B. 3-(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단계 A로부터의 tert-부틸 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4-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56 mg, 0.138 mmol)를 메탄올 (2.0 mL) 중 HCl (디옥산 중 4.0 N, 0.17 mL, 0.69 mmol)로 40℃에서 3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정량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49
C. 3-(4-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단계 B로부터의 3-(4-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47 mg, 0.14 mmol),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23 mg, 0.138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54 mg, 0.41 mmol) 및 이소프로판올 (1.0 mL)을 정격 압력 밀폐 튜브에서 합하고, 100℃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53%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50
6.14. 실시예 14: 3-(4-벤질-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51
A. tert-부틸 4-벤질-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N2 분위기 하에, 4-벤질-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 (0.2 g, 0.626 mmol), 피리딘 (0.202 mL, 2.5 mmol) 및 DMF (3 방울)를 CH2Cl2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빙조에서 냉각시켰다. 냉각된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 (0.06 mL, 0.688 mmol)를 적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빙조로부터 수거하고,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빙조에서 재냉각시키고, 3-아미노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0.112 g, 0.626 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한 다음, 1 N 수성 HCl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54%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52
B. 3-(4-벤질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MeOH (5 mL) 중 단계 A로부터의 tert-부틸 4-벤질-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162 g, 0.336 mmol)의 용액에 디옥산 중 4 M HCl (0.250 mL, 1.0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0℃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MeOH 중에 재용해시키고, 2회 재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얻었다.
Figure pat00053
C. 3-(4-벤질-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단계 B로부터의 3-(4-벤질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0.140 g, 0.336 mmol),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0.056 g, 0.336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75 mL, 1.00 mmol) 및 이소프로판올 (5 mL)을 합하고, 120℃에서 밤새 압력 용기에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CH2Cl2로 희석시키고,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고온 에탄올/H2O 중에 녹였다. 냉각시킴에 따라, 생성물이 용액으로부터 침전되어 표제 화합물을 81%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54
6.15. 실시예 15: 3-(4-(벤질옥시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55
A. 1-tert-부틸 4-에틸 4-(벤질옥시메틸)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LDA (2.64 mL, 5.82 mmol)를 THF (35 mL) 중 1-tert-부틸 4-에틸 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1 g, 3.88 mmol)의 용액에 -78℃에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BOMCl (0.6 g, 3.8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킨 다음, 수성 NH4Cl로 켄칭하였다. 수성층을 EtOAc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80 g SiO2, 0-1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5 g, 3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56
B. 4-(벤질옥시메틸)-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의 제조. 단계 A로부터의 1-tert-부틸 4-에틸 4-(벤질옥시메틸)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0.500 g, 1.3 mmol)를 1 N 수성 LiOH (15 mL) 및 THF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50℃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 N HCl로 산성화시키고, Et2O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0.3 g, 65%)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57
C. tert-부틸 4-(벤질옥시메틸)-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10 mL) 중 단계 B로부터의 4-(벤질옥시메틸)-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 (0.3 g, 0.85 mmol)의 용액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65 mL, 0.94 mmol) 및 HATU (0.9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85℃에서 30 분 동안 가열하고, 3-아미노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85℃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표준 절차로 후처리하였다.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40 g SiO2, 0-30% 에틸아세테이트:헥산)로 단리하여 표제 화합물 (0.25 g, 57%)을 얻었다.
Figure pat00058
D. 3-(4-(벤질옥시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단계 C로부터의 tert-부틸 4-(벤질옥시메틸)-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25 g, 0.49 mmol)를 이소프로판올 중에 용해시키고, 4 N HCl로 처리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aHCO3으로 pH 7-8로 조정하고, 이후에 Et2O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진공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0.2 g, 100%)을 얻었다.
Figure pat00059
E. 3-(4-(벤질옥시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이소프로판올 (5 mL) 중 단계 D로부터의 3-(4-(벤질옥시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0.2 g, 0.49 mmol)의 용액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67 mL, 0.98 mmol) 및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0.08 g, 0.4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85℃에서 밤새 가열하고, EtOAc로 희석시키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40 g SiO2, 0-80% 에틸아세테이트:헥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1 g, 38%)을 얻었다.
Figure pat00060
6.16. 실시예 16: 3-(4-(히드록시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61
THF (2 mL) 중 실시예 15, 단계 E로부터의 3-(4-(벤질옥시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30 mg, 0.055 mmol)의 용액에 Pd/C (10%)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 하에 60 psi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30×250 mm C18 컬럼, 10-100% MeCN:H2O (10 mM NH4OAc), 18 분, 45 mL/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 mg)을 얻었다.
Figure pat00062
6.17. 실시예 17: 3-(4-(메톡시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63
A. 1-tert-부틸 4-에틸 4-(메톡시메틸)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THF (20 mL) 중 1-tert-부틸 4-에틸 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1.0 g, 4.07 mmol)의 용액에 -78℃에서 질소 하에 LDA (THF 중 1.5 M, 4.0 mL, 6.10 mmol)를 적가하였다. 이 용액을 1 시간 동안 -78℃에서 교반하고, 그 후에 메톡시메틸 클로라이드 (0.8 mL, 10.5 mmol)를 첨가하였다. 시스템을 2 시간에 걸쳐 서서히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허용하였다. 반응물을 수성 NH4Cl로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실리카 겔 패드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5-1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로 투명한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830 mg, 69% 수율).
Figure pat00064
B. 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의 제조. 1:2 에탄올/물 (9 mL) 중 단계 A로부터의 1-tert-부틸 4-에틸 4-(메톡시메틸)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732 mg, 2.63 mmol)의 용액에 수산화리튬 일수화물 (700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75℃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SO4 50 mL에 부었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점성 황색 오일로서 얻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65
C. tert-부틸 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4-(메톡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CH2Cl2 (13 mL) 중 단계 B로부터의 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 (718 mg, 2.63 mmol), 피리딘 (0.84 mL, 10.52 mmol) 및 DMF (촉매, 3 방울)의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 (0.25 mL, 2.89 mmol, 주의: 발열)를 적가하였다. 기체 발생이 그친 후에, 반응물을 주위 온도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3-아미노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475 mg, 2.63 mmol)를 상기 용액에 한번에 첨가하고, 추가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수성 NH4Cl로 켄칭하고,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하여 표제 화합물 (1.03 g, 2 단계 동안 90%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66
D. 3-(4-(메톡시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메탄올 (10 mL) 중 단계 C로부터의 tert-부틸 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4-(메톡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03 g, 2.37 mmol)의 용액에 HCl (디옥산 중 4 M 용액, 2 m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0℃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at00067
E. 3-(4-(메톡시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이소프로판올 (5 mL) 중 단계 D로부터의 3-(4-(메톡시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 mL, 11.9 mmol)의 용액에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397 mg, 2.3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밀폐된 고압 바이알에서 17 시간 동안 110℃로 가열하였고, 그 시간 동안 혼합물이 균질해졌다. 반응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3-5% 메탄올:CH2Cl2)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저온 메탄올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462 mg, 42% 수율).
Figure pat00068
6.18. 실시예 18: 3-(4-((2-메톡시에톡시)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69
A. 1-tert-부틸 4-에틸 4-((2-메톡시에톡시)메틸)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THF (70 mL) 중 1-tert-부틸 4-에틸 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2.0 g, 7.8 mmol)의 용액에 -78℃에서 LDA를 8 분에 걸쳐 적가하면서, 온도를 -75℃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클로로메톡시-2-메톡시-에탄 (0.97 g. 7.8 mmol)을 적가하면서, 온도를 -75℃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밤새 서서히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허용하였다. 혼합물을 포화 수성 NH4Cl로 켄칭하고,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물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10-2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로 표제 화합물을 67%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70
B. 1-(tert-부톡시카르보닐)-4-(2-메톡시에톡시)피페리딘-4-카르복실산의 제조. 단계 A로부터의 1-tert-부틸 4-에틸 4-((2-메톡시에톡시)메틸)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1.78 g, 5.15 mmol)를 에탄올 (12 mL) 및 물 (24 mL) 중 LiOH (0.62 g. 26 mmol)로 80℃에서 18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포화 수성 NaHSO4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 (3×)으로 역추출하고, 유기물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정량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71
C. tert-부틸 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4-(2-메톡시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클로로에탄 중 단계 B로부터의 1-(tert-부톡시카르보닐)-4-(2-메톡시에톡시)피페리딘-4-카르복실산 (1.6 g, 5.1 mmol)의 용액에 피리딘 (1.6 g, 20 mmol) 및 DMF (0.05 mL)에 이어 옥살릴 클로라이드 (0.65 g, 5.1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3-아미노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0.91 g, 5.0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8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1 N 수성 HCl로 2회 및 염수로 1회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5% MeOH:CH2Cl2)로 표제 화합물을 88%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72
D. 3-(4-(2-메톡시에톡시)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단계 C로부터의 tert-부틸 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4-(2-메톡시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2.1 g, 4.4 mmol)를 메탄올 (20 mL) 중 HCl (디옥산 중 4.0 N, 5.5 mL, 22 mmol)로 50℃에서 30 분 동안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정량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73
E. 3-(4-((2-메톡시에톡시)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단계 D로부터의 3-(4-(2-메톡시에톡시)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1.82 g, 4.38 mmol),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0.73 g, 4.4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8 g. 22 mmol) 및 이소프로판올 (50 mL)을 정격 압력 밀폐 튜브에서 합하고, 115℃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피 (SiO2, 0-5% MeOH:CH2Cl2)하여 표제 화합물을 61%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74
6.19. 실시예 19: 3-(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75
A. 1-tert-부틸 4-메틸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CH2Cl2 (5 mL) 중 1-tert-부틸 4-메틸 4-(아미노메틸)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0.300 g, 1.1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29 mL, 1.32 mmol)의 용액에 0℃에서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한 다음, CH2Cl2로 희석시키고,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EtOAc:헥산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8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76
B.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의 제조. 메탄올 (5 mL) 중 단계 A로부터의 1-tert-부틸 4-메틸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액에 1 N 수성 NaOH (0.615 mL, 0.61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0℃에서 밤새 가열하고, 1 N 수성 HCl을 사용하여 pH 5로 산성화시키고, CH2Cl2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고, 이것을 조질로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77
C. tert-부틸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N2 분위기 하에, 단계 B로부터의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 (0.240 g, 0.611 mmol), 피리딘 (0.197 mL, 2.44 mmol) 및 DMF (3 방울)를 CH2Cl2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빙조에서 냉각시켰다. 옥살릴 클로라이드 (0.064 mL, 0.733 mmol)를 상기 용액에 적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빙조로부터 수거하고,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빙조에서 재냉각시키고, 3-아미노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0.110 g, 0.611 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한 다음, 1 N 수성 HCl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72%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78
D. 3-(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MeOH (2 mL) 중 단계 C로부터의 tert-부틸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245 g, 0.441 mmol)의 용액에 디옥산 중 4 M HCl (0.331 mL, 1.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0℃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MeOH 중에 재용해시키고, 2회 재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얻었다.
Figure pat00079
E. 3-(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단계 D로부터의 3-(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0.216 g, 0.441 mmol),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0.073 g, 0.441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30 mL, 1.32 mmol) 및 이소프로판올 (5 mL)을 합하고, 120℃에서 밤새 압력 용기에서 가열하였다. 조 반응물을 CH2Cl2로 희석시키고,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MeOH:CH2Cl2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54%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80
6.20. 실시예 20: 3-(4-(아미노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81
실시예 19, 단계 E로부터의 3-(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0.140 g, 0.239 mmol), Pd/C (10% Pd/C, 펄만(Pearlman)) 및 메탄올 (5 mL)을 합하고, 밤새 1 기압에서 수소화시켰다. 반응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중성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아세테이트 염으로서 52%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82
6.21. 실시예 21: 3-(4-((디메틸아미노)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83
실시예 20으로부터의 3-(4-(아미노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아세테이트 염 (14 mg, 0.027 mmol), 아세트산 (6.2 μl, 0.11 mmol) 및 NaBH3CN (2.1 mg, 0.034 mmol)의 용액에 포름알데히드 (H2O 중 37%, 48 μl, 0.06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한 다음,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 (30×100 mm C18 컬럼, 5-70% MeCN:H2O (10 mM NH4OAc), 12 분, 45 mL/분)로 정제하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8 mg, 0.014 mmol, 57%)을 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얻었다.
Figure pat00084
6.22. 실시예 22: 3-(4-(2-(디메틸아미노)에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85
A. 1-tert-부틸 4-에틸 4-(2-(디메틸아미노)에틸)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THF (10 mL) 중 1-tert-부틸 4-에틸 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514 mg, 2 mmol)의 용액에 -78℃에서 LDA (시클로헥산 중 1.5 M, 2 mL, 3 mmol)를 적가하였다. 30 분 동안 교반한 후에, THF (3 mL) 중 2-브로모-N,N-디메틸에탄아민 (370 mg, 2.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0 분 동안 -78℃에서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허용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수성 NaHCO3으로 켄칭하고,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 및 염수 (역 추출 포함)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40 g SiO2, 0-15% MeOH:CH2Cl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28 mg, 1.0 mmol, 50%)을 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Figure pat00086
B. 1-(tert-부톡시카르보닐)-4-(2-(디메틸아미노)에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의 제조. 단계 A로부터의 1-tert-부틸 4-에틸 4-(2-(디메틸아미노)에틸)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328 mg, 1.0 mmol)를 1:1 EtOH:H2O (5 mL) 중 60℃에서 수산화리튬 일수화물 (210 mg, 5 mmol)로 밤새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 N 수성 HCl을 사용하여 pH 6로 중성화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고, 2회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191 mg, 64%)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Figure pat00087
C. tert-부틸 4-(2-(디메틸아미노)에틸)-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단계 B로부터의 1-(tert-부톡시카르보닐)-4-(2-(디메틸아미노)에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 (100 mg, 0.33 mmol), HATU (175 mg, 0.46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16 mL, 0.67 mmol)을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중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3-아미노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90 mg, 0.5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8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밤새 교반한 다음, EtOAc로 희석시키고, 포화 수성 Na2CO3 및 염수 (역추출 포함)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점성 오일로서 얻었다.
Figure pat00088
D. 3-(4-(2-(디메틸아미노)에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단계 C로부터의 조 tert-부틸 4-(2-(디메틸아미노)에틸)-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를 1:1 TFA:CH2Cl2 (1.5 mL)로 45 분 동안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 (30×100 mm C18 컬럼, 0-50% MeOH:H2O (0.1% TFA), 12 분, 45 mL/분)로 정제하고 동결건조시켜 불순물이 있는 표제 화합물 (173 mg)을 TFA 염으로서 얻었다.
Figure pat00089
E. 3-(4-(2-(디메틸아미노)에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불순물이 있는, 단계 D로부터의 3-(4-(2-(디메틸아미노)에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173 mg)를 이소부탄올 (0.4 mL) 중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50 mg, 0.30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74 mL, 5 mmol)과 합하고, 110℃에서 7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30×100 mm C18 컬럼, 10-70% MeCN:H2O (10 mM NH4OAc), 12 분, 45 mL/분)로 정제하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60 mg)을 디-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얻었다.
Figure pat00090
6.23. 실시예 23: 3-(4-((1H-이미다졸-4-일)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91
A. 1-tert-부틸 4-에틸 4-((1-트리틸-1H-이미다졸-4-일)메틸)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무수 THF (10 mL) 중 1-tert-부틸 4-에틸 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360 mg, 1.39 mmol)의 용액에 -78℃에서 LDA (THF 중 1.7 M, 1.07 mL, 1.8 mmol)를 10 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THF (5 mL) 중 4-(클로로메틸)-1-트리틸-1H-이미다졸 (500 mg, 13.9 mmo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 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허용하고, 포화 수성 NH4Cl (10 mL)로 켄칭하고, EtOAc (3×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10-50% EtOAc:헥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03 mg, 51%)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92
B. 1-(tert-부톡시카르보닐)-4-((1-트리틸-1H-이미다졸-4-일)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의 제조. 1:1:2 THF:MeOH:H2O (10 mL) 중 단계 A로부터의 1-tert-부틸 4-에틸 4-((1-트리틸-1H-이미다졸-4-일)메틸)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330 mg, 0.57 mmol)의 용액에 LiOH (136 mg, 5.7 mmol)를 첨가하였다. LCMS가 생성물로의 완전한 전환을 나타낼 때까지 혼합물을 환류시킨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물 (3 mL) 중에 용해시키고, 수성 NaHSO4를 사용하여 pH 5-6으로 중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273 mg, 86%)을 얻었다.
Figure pat00093
C. tert-부틸 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4-((1-트리틸-1H-이미다졸-4-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5 mL) 중 단계 B로부터의 1-(tert-부톡시카르보닐)-4-((1-트리틸-1H-이미다졸-4-일)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실산 (270 mg, 0.6 mmol)의 용액에 HATU (273 mg, 0.73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05 μL, 1.2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 분 동안 교반하고, 3-아미노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108 mg, 0.6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90℃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 (10 mL)로 희석시키고, 수성 NaHCO3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10-70% EtOAc:헥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85 mg, 43%)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94
D. 3-(4-((1H-이미다졸-4-일)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MeOH (5 mL) 중 단계 C로부터의 tert-부틸 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4-((1-트리틸-1H-이미다졸-4-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80 mg)의 용액에 HCl (디옥산 중 1 N, 1 m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60℃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5 mL) 중에 용해시키고, 수성 NaHCO3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84 mg, 93%)을 생성하였다.
Figure pat00095
E. 3-(4-((1H-이미다졸-4-일)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단계 D로부터의 3-(4-((1H-이미다졸-4-일)메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10 mg, 0.027 mmol),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5 mg, 0.03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3 μL, 0.135 mmol)을 이소프로판올 (0.5 mL) 중에 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밀폐된 압력 튜브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10-95% MeOH:H2O + 0.1% HCOOH)로 정제한 다음, H2O 중 AcOH로 처리하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5.7 mg, 42%)을 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얻었다.
Figure pat00096
6.24. 실시예 24: 3-(4-(벤질옥시)-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97
A. 1-tert-부틸 4-메틸 4-히드록시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메틸 4-히드록시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 (2005년 4월 14일자로 출원된 젱(Zheng) 등의 미국 특허 출원 2005/008009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됨) (792 mg, 4.9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04 mL, 7.47 mmol)의 용액에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1.26 mL, 5.4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진행을 TLC 분석/ELSD로 모니터링하였다. 완료시에, 휘발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CH2Cl2)로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25 g, 99% 수율).
Figure pat00098
B. 1-tert-부틸 4-메틸 4-(벤질옥시)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DMF (8.2 mL) 중 단계 A로부터의 1-tert-부틸 4-메틸 4-히드록시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535 mg, 2.06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60% 분산액, 124 mg, 3.09 mmol)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 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벤질 브로마이드 (0.29 mL, 2.47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추가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에 의한 모니터링에 따라 완료되면, 반응물을 1:1 포화 수성 NH4Cl:물 50 mL로 켄칭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5-1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하여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359 mg, 54% 수율).
Figure pat00099
C. 1-(tert-부톡시카르보닐)-4-(벤질옥시)-피페리딘-4-카르복실산의 제조. 1:2 메탄올/물 (6 mL) 중 단계 B로부터의 1-tert-부틸 4-메틸 4-(벤질옥시)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350 mg, 1.00 mmol)의 용액에 수산화리튬 일수화물 (200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 분 동안 60℃로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SO4 (25 mL)에 부었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점성 오일로서 얻고, 이것을 다음 단계로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D. tert-부틸 4-(벤질옥시)-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CH2Cl2 (6.8 mL) 중 단계 C로부터의 1-(tert-부톡시카르보닐)-4-(벤질옥시)-피페리딘-4-카르복실산 (335 mg, 1.00 mmol), 피리딘 (0.43 mL, 5.40 mmol) 및 DMF (촉매량, 3 방울)의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 (0.13 mL, 1.49 mmol, 주의: 발열)를 적가하였다. 기체 발생이 그친 후에, 반응물을 주위 온도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3-아미노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244 mg, 1.35 mmol)를 상기 용액에 한번에 첨가하고, 이것을 추가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수성 NH4Cl로 켄칭하고,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4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406 mg, 82% 수율).
Figure pat00100
E. 3-(4-(벤질옥시)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메탄올 (4 mL) 중 단계 D로부터의 tert-부틸 4-(벤질옥시)-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400 mg, 0.804 mmol)의 용액에 HCl (디옥산 중 4 M 용액, 0.8 m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0℃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at00101
F. 3-(4-(벤질옥시)-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이소프로판올 (1.6 mL) 중 단계 E로부터의 3-(4-(벤질옥시)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7 mL, 4.02 mmol)의 용액에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135 mg, 0.80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밀폐된 고압 바이알에서 17 시간 동안 110℃로 가열하였고, 그 시간 동안 혼합물이 균질해졌다. 반응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물질의 절반을 정제용 HPLC (30×100 mm C18 컬럼, 20-100% 아세토니트릴:물 (10 mM 암모늄 아세테이트), 15 분, 45 mL/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3.4 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02
6.25. 실시예 25: 3-(4-히드록시-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103
실시예 24, 단계 F로부터의 조 3-(4-(벤질옥시)-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85% 순도, 대략 80 mg)를 메탄올 (2 mL) 중에 녹이고, 촉매량의 펄만 촉매를 첨가하였다. 시스템을 60 psi에서 24 시간 동안 수소화시키고, 그 후에 소량의 생성물이 관찰되었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1 mL)을 첨가하고, 60 psi H2에서 3 일 동안 계속 수소화하고, 그 후에 반응은 과정의 대략 1/3을 완결하였다. 반응물을 여과하고, 생성물을 정제용 HPLC (30×100 mm C18 컬럼, 10-100% 아세토니트릴:물 (10 mM 암모늄 아세테이트), 15 분, 45 mL/분)로 단리하여 표제 화합물 (9.6 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04
6.26. 실시예 26: 3-(4-(2-메톡시에톡시)-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105
A. 1-tert-부틸 4-메틸 4-(2-메톡시에톡시)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DMF (5.6 mL) 중 1-tert-부틸 4-메틸 4-히드록시피페리딘-1,4-디카르복실레이트 (360 mg, 1.39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60% 분산액, 84 mg, 2.08 mmol)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 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클로로-2-메톡시에탄 (0.38 mL, 4.17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60℃에서 7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25 mL로 켄칭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20-3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하여 표제 화합물 및 출발 물질을 혼합물로서 제공하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150 mg, 1:2 생성물:출발 물질).
B. 1-(tert-부톡시카르보닐)-4-(2-메톡시에톡시)피페리딘-4-카르복실산의 제조. 단계 A로부터의 생성물 혼합물 (150 mg)을 1:2 메탄올:물 (3 mL) 중에 녹였다. 수산화리튬 일수화물 (150 m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SO4 (25 mL)에 부었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1-(tert-부톡시카르보닐)-4-히드록시피페리딘-4-카르복실산 및 1-(tert-부톡시카르보닐)-4-(2-메톡시에톡시)피페리딘-4-카르복실산 각각의 2:1 혼합물을 점성 오일로서 얻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pat00106
C. tert-부틸 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4-(2-메톡시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CH2Cl2 (3.1 mL) 중 단계 B로부터의 카르복실산, 피리딘 (0.2 mL, 2.48 mmol) 및 DMF (촉매량, 2 방울)의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 (60 μL, 0.68 mmol, 주의: 발열)를 적가하였다. 기체 발생이 그친 후에, 반응물을 주위 온도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3-아미노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112 mg, 0.62 mmol)를 이 용액에 한번에 첨가하고, 이것을 추가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수성 NH4Cl로 켄칭하고,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8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50 mg).
Figure pat00107
D. 3-(4-(2-메톡시에톡시)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메탄올 (2 mL) 중 단계 C로부터의 tert-부틸 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4-(2-메톡시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50 mg, 0.322 mmol)의 용액에 HCl (디옥산 중 4 M 용액, 0.3 m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0℃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at00108
E. 3-(4-(2-메톡시에톡시)-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이소프로판올 (1.0 mL) 중 단계 D로부터의 3-(4-(2-메톡시에톡시)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8 mL, 1.6 mmol)의 용액에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55 mg, 0.32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밀폐된 고압 바이알에서 17 시간 동안 110℃로 가열하고, 그 시간 동안 혼합물이 균질해졌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정제용 HPLC (30×100 mm C18 컬럼, 5-100% 아세토니트릴:물 (10 mM NH4OAc), 15 분, 45 mL/분)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7.4 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09
6.27. 실시예 27: 3-(4-아미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110
A. tert-부틸 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N-Boc-아미노-(4-N-Boc-피페리디닐)카르복실산 (0.114 g, 0.33 mmol), HATU (0.151 g, 0.40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28 mg, 1.0 mmol)을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2.3 mL) 중에 합치고, 실온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3-아미노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0.072 g, 0.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80℃에서 1.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허용하고, EtOAc로 희석시키고, 2 N Na2CO3, 1 N HCl 및 염수로 세척한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60% EtOAc/헥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75 g, 45%)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Figure pat00111
B. 3-(4-아미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MeOH (2 mL) 중 단계 A로부터의 tert-부틸 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3-(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141 g, 0.28 mmol)의 용액에 HCl (디옥산 중 4 N, 0.21 mL, 0.84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당량의 HCl/디옥산을 이 때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 24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 (0.084 g, 98%)을 수득하고, 이것으로 조질로 사용하였다.
Figure pat00112
C. 3-(4-아미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단계 B로부터의 3-(4-아미노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0.109 g, 0.36 mmol), 4-클로로-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0.060 g, 0.36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77 g, 2.14 mmol)을 이소프로판올 (5 mL) 중에 합치고, 밀폐된 튜브에서 120℃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CH2Cl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85 g, 55%)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13
6.28. 실시예 28: 3-(4-(디메틸아미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114
실시예 27, 단계 C로부터의 3-(4-아미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 (0.028 g, 0.064 mmol)를 MeOH (1 mL) 중에 용해시켰다. 포름알데히드 (H2O 중 37 wt% 용액, 0.15 mmol, 12 μl)를 첨가한 다음, AcOH (0.26 mmol, 15 μl) 및 NaBH3CN (0.008 g, 0.1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진공 하에 농축하였다.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17 g, 57%)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15
6.29. 실시예 29: 3-(4-((2-(1H-이미다졸-5-일)아세트아미도)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116
CH2Cl2 (5 mL) 중 2-(1H-이미다졸-5-일)아세트산 (0.238 g, 1.47 mmol) 및 HATU (0.372 g, 0.978 mmol)의 현탁액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51 mL, 2.93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0 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되도록 허용하였다. 이 용액에 CH2Cl2 (5 mL) 중 3-(4-(아미노메틸)-1-(5-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도)페닐 디메틸카르바메이트의 아세테이트 염 (실시예 20으로부터, 0.500 g, 0.978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7 m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6 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허용한 다음, H2O (10 mL) 및 CH2Cl2 (20 mL)로 희석시켰다. 혼합물을 CH2Cl2 (2×10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물을 NaHCO3 (10 mL) 및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3-10% MeOH:CH2Cl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393 g, 72%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 고체를 물 중에 현탁시키고, 용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아세트산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동결시키고, 표제 화합물의 디-아세테이트 염 (0.477 g)으로 동결건조시켰다.
Figure pat00117
6.30. 실시예 30: 추가의 화합물
본원에 기술된 절차 및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목록화된 추가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일부 화합물에 대해 하기에 제공된 LIMK2 IC50 데이터는 실시예 32에서 기술된 검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pat00118
Figure pat00119
Figure pat00120
Figure pat00121
Figure pat00122
Figure pat00123
Figure pat00124
Figure pat00125
6.31. LIMK2의 발현 및 정제
LIMK2는 BAC-to-BAC® 바큘로바이러스 발현 시스템 (인비트로겐(Invitrogen)을 이용하여 발현시켰다. 재조합 바큘로바이러스는 지시 매뉴얼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자 지침에 따라 제조하였다. 간략하게, LIMK2 인서트를 수반하는 플라스미드 (pFactBac1 또는 pFastBacHT)를 최대 효율 DH10Bac 컴페턴트 이. 콜라이 내로 형질전환시켜 재조합 바크미드를 생성하였다. DH10Bac 이. 콜라이 숙주 균주는 미니-attTn7 표적 부위 및 헬퍼 플라스미드를 함유한 바큘로바이러스 셔틀 벡터 (바크미드)를 함유하고, pFastBac 벡터 상의 미니-Tn7 요소 및 바크미드 상의 미니-attTn7 표적 부위 사이의 전위 후에 재조합 바크미드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전위 반응은 헬퍼 플라스미드에 의해 공급되는 전위 단백질의 존재 하에 발생한다. 세포를 플레이팅하였고, 지시 매뉴얼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바크미드 단리를 위해 백색 콜로니를 선별하였다.
단리된 바크미드 DNA를 Sf9 세포에 형질감염시켜 재조합 바큘로바이러스를 생성하고, 형질감염 5 일 후에 바이러스를 수집하였다. 바이러스를 감염 다중도 (MOI) 0.2로 T75 플라스크 내에서 증폭시켰다. 증폭된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위해 MOI 5로 Sf9 세포를 감염시켰다.
LIMK2 구조물의 소규모 정제를 위해, 재조합 바큘로바이러스로 감염된 Sf9 세포의 50 ml 배양물을 사용하였다. 500×g에서 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확하였다. 이어서, 용해 완충액 (세포 1 그램 당 5 부피) 중에 상기 세포를 재현탁시켰다. 전형적인 용해 완충액은 다음을 함유한다: 50 mM HEPES (pH 8.0), 300 mM KCl, 10% 글리세롤, 1% NP-40, 15 mM 이미다졸, 1 mM 벤즈아미딘 및 로슈 완전 프로테아제 억제제 (세포 용해물 50 ml 당 1개의 정제). 세포 현탁액을 14,000 내지 20,000 psi의 액체 유압으로 마이크로유체공학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 M-110Y를 통해 1회 계대배양한 후에 4℃에서 15 분 동안 60,000×g로 용해물을 원심분리하여 용해시켰다.
이어서, 상청액을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NTA에 공유적으로 부착된 코발트 이온을 함유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매트릭스 상에 직접 로딩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매트릭스를 단백질 로딩 용액과 동일한 완충액 중에서 평형화시켰다. 이온 충전된 수지는 전형적으로 패킹된 수지 1 ml 당 5 내지 10 mg 히스티딘-태깅된 단백질에 해당되는 결합능을 갖는다. 칼럼 상에 로딩할 수 있는 추출물의 양은 추출물 중의 가용성 히스티딘-태깅된 단백질의 양에 따라 좌우된다. 이어서, 칼럼은 첫째로 50 mM HEPES (pH 8.0), 300 mM KCl, 10% 글리세롤, 1% NP-40, 15 mM 이미다졸, 1 mM 벤즈아미딘으로; 두번째로, 20 mM HEPES (pH 8.0), 500 mM KCl, 10% 글리세롤 및 20 mM 이미다졸로; 세번째로, 20 mM HEPES (pH 8.0), 100 mM KCl, 10% 글리세롤 및 20 mM 이미다졸로; 이후에 동일한 완충액 중 250 mM 이미다졸로의 용리로 단계식 방식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LIMK2 단백질 용액은 단백질의 카르복실 말단 및 내부 촉매 도메인 둘다에 대한 시판 항체를 사용하는 SDS-페이지 및 웨스턴 블롯에 의해 분석하였다. 저장 목적을 위해, 단백질을 50 mM 트리스 (pH 7.5), 150 mM NaCl, 0.1% BME, 0.03% Brij-35 및 50% 글리세롤 내로 투석하였다.
대규모 LIMK2 정제는 10 L 배양 부피로 웨이브 바이오리액터 (웨이브 바이오텍(Wave Biotech))에서 행해졌다. 2-3×106 생균수/ml의 10 L의 세포 배양물을 MOI=5 pfu/세포로 감염시켰고, 감염 48 시간 후에 수확하였다.
6.32 시험관내 LIMK2 억제 검정
LIMK2 억제제의 확인에 사용되는 시험관내 검정이 개발되었다. 고정된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 코팅된 플래쉬 플레이트 (퍼킨 엘머 바이오사이언시스(Perkin Elmer Biosciences)) 내로 ATP 기질로부터의 33P의 혼입을 분석적으로 판독하며, 이것을 플레이트 판독기 (탑카운트, 패커드 바이오사이언스(Packard Bioscience), 코네티컷주 메리덴 소재)가 장착된 섬광 계수기에서 카운팅하였다. 평평한 384웰 MBP 플래시플레이트를 이용하는, 전체 검정 부피는 50 μl이었다. HTS 프로그램은 희석을 위해 바이오멕 FX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검정을 위해, 성분 및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효소 200 ng을 검정 완충액 (1X 검정 완충액은 30 mM HEPES (pH 8.0), 5 mM DTT 및 10 mM MgCl2를 포함함), 10 μM ATP, 0.2 μCi [감마-33P]-ATP 및 10 μM의 잠재적 억제 화합물 중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반응물은 60 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고, 정지/세척 완충액 (1X 정지/세척 완충액은 50 mM EDTA 및 20 mM 트리스 (pH 7.4)를 함유함) 75 μl로 3회 세척하고, 이어서 플레이트를 섬광 계수기 상에서 판독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스타우로스포린 (400 nM, 200 nM, 100 nM 및 50 nM; 바이오몰(BIOMOL) (펜실베니아주 플리머스 미팅 소재)로부터 구입)을 각각의 플레이트에서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6.33. 덱사메타손-유도성 고안압증 모델
28일령 마우스 알젯(Alzet) 소형-삼투 펌프 (듀렉트 코포레이션(DURECT Corp.),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소재)을 PBS (시그마(Sigma),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 중 수용성 덱사메타손 (덱스)의 용액으로 충전시키고, 이로써 이들은 하루에 대략 0.1 mg의 덱스를 방출할 것이다. 일단 펌프가 덱스로 충전되면면, 펌프를 60 시간 동안 37℃에서 PBS 중에서 평형화시켰다. 평형화된 펌프는 체중이 25 내지 35 그램인 야생형 C57:129 F2 혼성 마우스의 등에 외과적으로 피하로 위치시켰다. 수술 절개를 5-0 편조 실크 (로보즈(ROBOZ), 메릴랜드주 개이터스버그 소재)로 봉합하고, 연구의 전체 지속시간에 걸쳐 항생제 연고로 처치하였다. 수술 절개는 티슈멘드(TissueMend) II (웹스터 버터리너리(Webster Veterinary),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로 접착시켰다. 수술 당일 및 수술 24 시간 후에 IP 주사를 통하여 진통제 (부프레노르핀)를 투여하였다. 토노랩(TonoLab) (콜로니알 메디컬 서플라이 컴퍼니(Colonial Medical Supply Co.), 뉴햄프셔주 프란코니아 소재) 혈압계를 이용하여 이러한 마우스에 대해 안압 (IOP)을 측정하였다. 마우스를 이소플루란으로 부드럽게 진정시키고, 0.5% 프로파라카인 (아콘(Akorn), 일리노이드주 버팔로 그로브 소재)으로 국소 마취시킨 후에, IOP를 측정하였다. 기준 IOP는 소형-펌프 이식 1일 전에 측정하였다. 소형-펌프 이식 후에, IOP는 4주 동안 매주 2-3회 측정하였다. 잠재적 안구 저혈압 화합물을 사용한 약리학 연구는 이식 후 21 내지 28일에 수행하였다.
6.34. 생체내 효과
이어서,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기술된 마우스 안구 고혈압 모델에서 실험하였다. 마우스의 눈에 국소 투여된 본 발명의 4종의 화합물의 효과는 하기 표 2에 기술된다:
Figure pat00126
고혈압 모델에서 화합물 A의 효과를 티몰롤의 효과와 비교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A 3 ㎍/눈의 국소 투여는 티몰롤 15 ㎍/눈의 국소 투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산출하였다.
상기에 인용된 모든 공개 (예를 들어, 특허 및 특허 출원)는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at00127

    상기 식 중,
    R3A는 시아노, C(O)R3C, CO2R3C, CON(R3C)2, 또는 알킬, 알킬아릴, 알킬헤테로사이클, 아릴, 헤테로알킬, 헤테로알킬아릴, 헤테로알킬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사이클이고;
    각각의 R3C는 독립적으로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이고;
    각각의 R4A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3A가 헤테로알킬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R3A가 아미노메틸, (디메틸아미노)메틸 또는 (디메틸아미노)에틸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R4A가 메틸인 화합물.
KR1020167030113A 2008-04-21 2009-04-20 Limk2 억제제,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KR20160129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660208P 2008-04-21 2008-04-21
US61/046,602 2008-04-21
PCT/US2009/041126 WO2009131940A1 (en) 2008-04-21 2009-04-20 Limk2 inhibitors,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and methods of their us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420A Division KR101706391B1 (ko) 2008-04-21 2009-04-20 Limk2 억제제,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909A true KR20160129909A (ko) 2016-11-09

Family

ID=407855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420A KR101706391B1 (ko) 2008-04-21 2009-04-20 Limk2 억제제,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KR1020167030113A KR20160129909A (ko) 2008-04-21 2009-04-20 Limk2 억제제,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420A KR101706391B1 (ko) 2008-04-21 2009-04-20 Limk2 억제제,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8193202B2 (ko)
EP (2) EP2674433A1 (ko)
JP (1) JP5575110B2 (ko)
KR (2) KR101706391B1 (ko)
CN (1) CN101565420B (ko)
AR (1) AR071833A1 (ko)
AU (1) AU2009239500B2 (ko)
CA (1) CA2721919C (ko)
CL (1) CL2009000957A1 (ko)
CO (1) CO6321266A2 (ko)
EA (1) EA019488B1 (ko)
IL (1) IL208483A (ko)
MX (1) MX2010011450A (ko)
NZ (1) NZ588353A (ko)
TW (1) TW200948814A (ko)
WO (1) WO2009131940A1 (ko)
ZA (1) ZA2010071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91B1 (ko) 2008-04-21 2017-02-13 렉시컨 파마슈티컬스 인코퍼레이티드 Limk2 억제제,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CN102711758A (zh) 2010-01-22 2012-10-03 莱西肯医药有限公司 用于治疗眼睛的疾病和病症的基于5-(1h-吡唑-5-基)噻唑的化合物
TW201302754A (zh) 2010-11-05 2013-01-16 Lexicon Pharmaceuticals Inc 3-(4-(胺甲基)-1-(5-甲基-7h-吡咯[2,3-d]嘧啶-4-基)哌啶-4-甲醯胺基)苯基二甲基胺基甲酸酯之固態形式
US20130253037A1 (en) * 2010-11-16 2013-09-26 Purdue Research Foundation Aurora a kinase effectors
US9045485B2 (en) 2010-12-16 2015-06-02 Convergence Pharmaceuticals Limited ASK 1 inhibiting pyrrolopyrimidine derivatives
WO2012131297A1 (en) 2011-03-28 2012-10-04 Jonathan Bayldon Baell Pyrido [3',2' :4,5] thieno [3, 2-d] pyrimidin- 4 - ylamine derivatives and their therapeutical use
EP2825210B1 (en) 2012-03-14 2019-06-26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Lim kinasemodulating agents for neurofibromatoses therapy and methods for screening for same
EP2867201A1 (en) * 2012-06-28 2015-05-06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Lim kinase inhibitors
AU2013312477B2 (en) 2012-09-06 2018-05-31 Plexxikon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kinase modulation, and indications therefor
WO2015025172A1 (en) * 2013-08-22 2015-02-26 Mark David Charles 5-aryl-thiazol-2-yl-amine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
WO2015150337A1 (en) 2014-04-01 2015-10-08 Amakem Nv Lim kinase inhibitors
WO2021056071A1 (en) * 2019-09-25 2021-04-01 Macquarie University Treatment of dementia
KR102337947B1 (ko) * 2020-02-25 2021-12-10 지니너스 주식회사 신장암 환자의 예후 예측을 위한 limk2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6173A (en) 1977-01-31 1979-01-23 American Home Products Corp. Mixed xanthan gum and locust beam gum therapeutic compositions
US4936825A (en) * 1988-04-11 1990-06-26 Ungerleider Bruce A Method for reducing intraocular pressure caused by glaucoma
US5753664A (en) 1995-03-16 1998-05-19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Heterocyclic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use
US6686366B1 (en) * 1998-06-02 2004-02-03 Osi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3 receptor and uses thereof
PA8474101A1 (es) * 1998-06-19 2000-09-29 Pfizer Prod Inc Compuestos de pirrolo [2,3-d] pirimidina
KR100589032B1 (ko) * 2000-10-20 2006-06-14 에자이 가부시키가이샤 질소 함유 방향환 유도체
JP2005501528A (ja) 2001-06-05 2005-01-20 エクセリク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53経路のモディファイヤーとしてのGFATsおよび使用方法
AU2002336462A1 (en) * 2001-09-06 2003-03-24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Piperazine and homopiperazine compounds
SE0201980D0 (sv) * 2002-06-24 2002-06-24 Astrazeneca Ab Novel compounds
AU2003302377A1 (en) 2002-11-27 2004-06-18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Remedy for glaucoma containing lim kinase inhibitory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WO2004093812A2 (en) * 2003-04-22 2004-11-04 Irm Llc Compounds that induce neuronal differentiation in embryonic stem cells
TWI336257B (en) 2003-06-13 2011-01-21 Alcon Inc Ophthalmic compositions containing a synergistic combination of three polymers
CA2536954C (en) 2003-08-29 2012-11-27 Exelixis, Inc. C-kit modulators and methods of use
CA2542076C (en) * 2003-10-14 2013-02-26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Substituted tricyclic compound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EP1684694A2 (en) * 2003-11-21 2006-08-02 Array Biopharma, Inc. Akt protein kinase inhibitors
US8076338B2 (en) * 2004-04-23 2011-12-13 Exelixis, Inc. Kinase modulators and methods of use
MY179032A (en) 2004-10-25 2020-10-26 Cancer Research Tech Ltd Ortho-condensed pyridine and pyrimidine derivatives (e.g.purine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EP1810396A1 (en) 2004-11-05 2007-07-25 Labofa Munch A/S A drive mechanism for elevating and lowering a tabletop
DK176311B1 (da) 2004-11-08 2007-07-23 Ecco Sko As Sko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sko
DE102004058683A1 (de) 2004-12-06 2006-06-14 Robert Bosch Gmbh Streulichtblende zur Reduzierung des in eine Kamera fallenden Streulichts
US20060178388A1 (en) 2005-02-04 2006-08-10 Wrobleski Stephen T Phenyl-substituted pyrimidin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US7423043B2 (en) * 2005-02-18 2008-09-09 Lexicon Pharmaceuticals, Inc. 4-Piperidin-1-yl-7H-pyrrolo[2,3-d]pyrimidine compounds
JP2009536620A (ja) 2006-04-25 2009-10-15 アステックス、セラピューティックス、リミテッド 医薬組み合わせ物
US20090253718A1 (en) 2006-04-25 2009-10-08 Astex Therapeutics Limited Pharmaceutical Compounds
US20100016340A1 (en) * 2006-04-25 2010-01-21 Astex Therapeutics Limited Pharmaceutical compounds
EP3719018A1 (en) 2006-04-25 2020-10-07 Astex Therapeutics Ltd Purine and deazapurine derivatives as pharmaceutical compounds
US7918831B2 (en) 2006-10-12 2011-04-05 Colorado Catheter Company, Inc. Catheter assembly having protective sheath
WO2008048024A1 (en) 2006-10-20 2008-04-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nsor signal processor apparatus
JP5253403B2 (ja) * 2006-10-23 2013-07-31 レクシコ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5−アルキル−7H−ピロロ[2,3−d]ピリミジン−4−オールの製造方法
AR064416A1 (es) * 2006-12-21 2009-04-01 Cancer Rec Tech Ltd Derivados de purina, piridina y pirimidina condensadas con heterociclos, moduladores de pka y/o pkb,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os contienen, y uso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hiperproliferativas.
AR064415A1 (es) 2006-12-21 2009-04-01 Cancer Rec Tech Ltd Derivados de pirrolo-piperidinas y purinas,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os contienen y usos en trastornos y/o enfermedades mediadas por pka y pkb.
CN101772502A (zh) * 2007-08-08 2010-07-07 莱西肯医药有限公司 作为激酶抑制剂用于治疗癌和炎症的(7H-吡咯并[2,3-d]嘧啶-4-基)哌嗪类化合物
KR101706391B1 (ko) 2008-04-21 2017-02-13 렉시컨 파마슈티컬스 인코퍼레이티드 Limk2 억제제,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19488B1 (ru) 2014-04-30
CO6321266A2 (es) 2011-09-20
KR20110008047A (ko) 2011-01-25
EP2674433A1 (en) 2013-12-18
CA2721919C (en) 2016-08-16
IL208483A0 (en) 2010-12-30
KR101706391B1 (ko) 2017-02-13
JP2011518189A (ja) 2011-06-23
CN101565420B (zh) 2015-05-20
CA2721919A1 (en) 2009-10-29
JP5575110B2 (ja) 2014-08-20
US8450332B2 (en) 2013-05-28
EP2297153B1 (en) 2015-05-27
US8193202B2 (en) 2012-06-05
IL208483A (en) 2014-02-27
AU2009239500A1 (en) 2009-10-29
AR071833A1 (es) 2010-07-21
CN101565420A (zh) 2009-10-28
CL2009000957A1 (es) 2009-09-25
ZA201007129B (en) 2011-12-28
US20120329818A1 (en) 2012-12-27
WO2009131940A1 (en) 2009-10-29
TW200948814A (en) 2009-12-01
EP2297153A1 (en) 2011-03-23
EA201071224A1 (ru) 2011-06-30
NZ588353A (en) 2011-10-28
MX2010011450A (es) 2010-11-10
US20090264450A1 (en) 2009-10-22
AU2009239500B2 (en) 201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391B1 (ko) Limk2 억제제,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AU2008285388B2 (en) (7h-pyrrolo [2, 3-d] pyrimidin-4-yl) -piperazines as kin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nflammation
EP2621916A1 (en) Benzazole derivatives as histamine h4 receptor ligands
IL301568A (en) Protein alpha kinase 1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WO2011091204A1 (en) 5-(1h-pyrazol-5-yl)thiazole-based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and disorders of the eye
US8859590B2 (en) Inhibitors of BACE1 and methods for treating Alzheimer&#39;s disease
AU2013213761A1 (en) (7h-pyrrolo [2, 3-d] pyrimidin-4-yl) - piperazines as kin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nflammation
JPWO2002048096A1 (ja) ヒドラゾン誘導体およびその医薬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