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444A - 세탁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444A
KR20160126444A KR1020150057454A KR20150057454A KR20160126444A KR 20160126444 A KR20160126444 A KR 20160126444A KR 1020150057454 A KR1020150057454 A KR 1020150057454A KR 20150057454 A KR20150057454 A KR 20150057454A KR 20160126444 A KR20160126444 A KR 20160126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ator
outlet
laundry
inlet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967B1 (ko
Inventor
박영배
안강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96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세이터에 구비된 필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내조, 상기 내조의 바닥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면에 유입구 및 제 1유출구가 형성되며 회전시 세탁수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제 1유출구로 유출되도록 하는 펄세이터,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제 1유출구까지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조는,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서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세탁수가 서로 교류되지 않도록 상기 바닥면이 차폐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 {Device for treating laundry}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펄세이터에 구비된 필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장치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묻은 이물질을 분리해내는 세탁장치와, 젖은 세탁물을 탈수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세탁물에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고 간편하게 세탁하는 리프레셔 등, 세탁물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세탁물을 처리하는 각종 장치를 통칭한다.
한편, 세탁물 처리장치는, 그 구조와 세탁방식에 따라 교반식(agitator type)과 드럼식(drum type) 및 와권식(pulsator type)으로 구분된다.
이 중 교반식 세탁물 처리장치에는 내조 내부의 바닥면에 회전에 의해 세탁물을 교반하는 펄세이터가 설치된다.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외조 및 내조 내부의 세탁수는 수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 중, 상기 펄세이터 상측면 중앙부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하측면으로 관통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내조의 바닥면은 내조 개구부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시 세탁수의 수류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내조 내에 채워진 세탁수는 펄세이터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를 통해 펄세이터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면에 형성된 유출구를 통과한 후, 상기 내조 바닥부에 형성된 상기 내조 개구부를 통해 외조로 배수된다.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면 세탁수는 원심력에 의해서 바깥으로 쏠리고, 외조의 내면을 따라 상부로 올라갔다가 중앙으로 모이면서 바닥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중앙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세탁수는 펄세이터의 중앙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순환을 반복한다.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세탁수가 수류를 형성하는 유로 상에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펄세이터의 상기 유입구에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시,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내조 개구부를 통해 내조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수류는 상기 펄세이터의 상기 유입구에 구비된 필터를 통과하지 않게 되므로, 필터 기능의 효율성이 극대화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0953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세탁기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수류형성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내조, 상기 내조의 바닥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면에 유입구 및 제 1유출구가 형성되며 회전시 세탁수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제 1유출구로 유출되도록 하는 펄세이터,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제 1유출구까지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조는,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서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세탁수가 서로 교류되지 않도록 상기 바닥면이 차폐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입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망, 내부에 상기 필터망이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을 저장하는 필터본체, 및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에 씌워지고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필터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펄세이터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유출구는 상기 펄세이터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측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중앙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세탁날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유출구는 상기 복수의 세탁날개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유출구는, 복수개로 구성된 통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펄세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하측면 상에 위치하는 제 2유출구를 형성할 수 있고, 회전시 세탁수가 제 2유출구로부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면과 상기 내조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제 1유출구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유출구는, 상기 제 1유출구 보다 상기 회전의 축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세탁날개 사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펄세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하측면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중앙부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 1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내조의 바닥면과 상기 펄세이터의 가장자리 사이에 간격을 형성할 수 있고, 회전시 세탁수가 상기 간격으로 유출되는 양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양보다 작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리브는,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면의 가장자리에 하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어, 본 장치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펄세이터가 보다 효율적으로 수류를 순환시켜 세탁물 처리장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내조 내부에 하강 및 상승하는 수류가 각각 강하게 형성되어 세탁물 처리장치의 세탁 및 헹굼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펄세이터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펄세이터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도 및 유로 설명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펄세이터의 A-A'단면도 및 유로 설명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펄세이터의 배면방향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탈수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로서 세탁기로 한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의 의미는 탑로딩 형식 세탁기를 기준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프론트로딩 형식 세탁기에서는, '상부'는 '프론트 방향'의 의미로, '하부'는 '프론트 반대방향'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즉, 본 설명 전체에 걸쳐서 '하부'의 의미는, 내조의 바닥 부분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지면방향 부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구된 케이싱(1), 케이싱(1)의 개구된 상부에 배치되고 세탁물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커버, 상기 세탁물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지지부재에 의해 케이싱(1)의 내부에 매달리고 댐퍼에 의해 완충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3), 및 외조(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내조(10)를 포함한다. 내조(10)의 측면에는 세탁수가 외조(3)와 내조(10)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과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외조(3)의 상부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외조 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세탁기는, 내조(10)의 바닥면(11)의 상측에 수류를 형성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펄세이터(100)를 포함한다. 펄세이터(100)의 상측면(100a)에는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유입구(111) 및 제 1유출구(113)가 형성된다. 펄세이터(100)는, 회전시 세탁수가 유입구(111)로 유입되어 제 1유출구(113)로 유출되도록 한다.
상기 세탁기는, 유입구(111)로부터 제 1유출구(113)까지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부(50)를 포함한다.
외조(3)의 하측에는 내조(10) 및/또는 펄세이터(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8)가 배치된다. 내조(10)와 펄세이터(100)는 구동부(8)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9)에 체결되며, 클러치(미도시) 등의 동력절환수단에 의해 구동부(8)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이 내조(10) 및/또는 펄세이터(100)로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상기 케이싱 커버에는 세탁기의 작동 전반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컨트롤 패널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싱 커버의 내측에는 세제가 수용될 수 있는 세제박스가 인출 가능하게 수납된다. 급수관(4)으로부터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세제박스를 경유하여 내조(10) 내로 공급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세제박스 하우징이 배치된다.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에는 급수관(4)으로부터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세제박스로 분배되도록 분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외조(3)로부터 세탁수를 배수시키도록 배수관(5) 및 배수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내조(10)는, 펄세이터(100)의 하측에서 내조(10)와 외조(3) 사이의 세탁수가 서로 교류되지 않도록 바닥면(11)이 차폐된다. 내조의 바닥면(11)에는, 펄세이터(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축(9)이 관통하는 개구부는 형성되어있으나, 그 밖에 세탁수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는 없다.
상기 필터부(50)는 유입구(11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펄세이터(100)의 회전시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세탁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할 수 있게 하고, 채집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필터부(50)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메쉬구조의 필터망(51), 내부의 하측에 필터망(51)이 배치되어 걸러진 상기 이물질을 저장하는 필터본체(53), 및 필터본체(53)의 상부에 씌워지고 복수개의 유입공(56)이 형성된 필터캡(55)을 포함한다.
필터본체(53)는, 유입구(111)에 결합되고,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관통할 수 있는 관형상이다. 상기 관형상의 단면방향으로 필터망(51)이 배치되면, 상기 유입되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본체(53)의 내부에 저장된다.
필터캡(55)은 필터본체(53)와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후크결합 방식이나 볼팅방식이 가능하다. 일정량 이물질이 채집된 뒤에는, 필터캡(55)을 필터본체(53)로부터 분리하여 채집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본체(53)의 이물질 저장 가능량은 내부의 공간을 크게 할수록 커진다. 일실시예로서, 필터본체(53)의 높이를 크게하면 이물질 저장 가능량이 커지므로, 필터 세척을 위한 이물질의 제거 횟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100)의 사시도, 도 3은 펄세이터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도 및 유로 설명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펄세이터의 A-A'단면도 및 유로 설명도이다.
상기 펄세이터(100)는, 내조(10)의 바닥면(11)에 배치되어 모터축(9)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수류를 형성하며, 내조(10) 내의 세탁수가 유입구(111)로 유입되어 제 1유출구(113)로 유출되도록 안내한다.
제 1실시예에서, 펄세이터(100)는 일체형으로서 별도의 커버구조가 없다. 도 3에 따른 제 2실시예에서, 펄세이터(100)는, 필터부(50)가 장착되고 유입구(111) 및 제 1유출구(113)가 형성되는 아우터 펄세이터(110)와, 아우터 펄세이터(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인너 펄세이터(120)를 포함한다. 이하는 제 2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아우터 펄세이터(110)와 인너 펄세이터(120)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겹쳐진 상태로 모터축(9)에 체결된다. 아우터 펄세이터(110)는 회전수류를 형성하도록 상측면(100a)에서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중앙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세탁날개(150)룰 포함하고, 인너 펄세이터(120)는 아우터 펄세이터(110)와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세탁날개(150)를 포함한다.
인너 펄세이터(120)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아우터 펄세이터(1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접 세탁물과 접촉하는 아우터 펄세이터(120)의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입구(111)는 펄세이터(10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유출구(113)는 펄세이터(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펄세이터(100)의 회전의 축이 있는 위치에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의 축에서 먼 위치에 제 1유출구(113)가 형성된다. 펄세이터(10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이 세탁수에 작용하고, 이에 따라 제 1유출구(113)로 세탁수를 유출시키기 위해서이다.
제 1유출구(113)는 상기 복수의 세탁날개(15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세탁날개(150)가 형성된 부분은 펄세이터(100)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제 1유출구(113)의 적절한 위치는 복수의 세탁날개(150) 사이가 된다.
제 1유출구(113)는 복수개로 구성된 통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의 크기를 작게하고 그 수를 늘리면, 제 1유출구(113)를 통해 내조(10)의 내부로 펌핑되는 세탁수의 수류를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유출구(113)는 펄세이터(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 1유출구(113)를 통해 내조(10)의 내부로 펌핑되는 세탁수의 수류를 펄세이터(100)의 둘레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제 3실시예에서, 펄세이터(100)는 유입구(111)로부터 제 1유출구(113)까지의 통로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아우터 펄세이터(110)와 인너 펄세이터(12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4실시예에서, 펄세이터(100)는, 유입구(111)와 연통되고 하측면(100b) 상에 위치하는 제 2유출구(123)를 형성할 수 있다. 펄세이터(100)의 회전시 세탁수가 제 2유출구(123)로부터 펄세이터(100)의 하측면(100b)과 내조(10)의 바닥면(11) 사이의 공간(160)을 통해 제 1유출구(113)로 유출된다. 내조(10)의 바닥면(11)이 차폐되어 제 2유출구(123)로부터 제 1유출구(113)로 유동되도록 세탁수가 안내된다. 이하 제 4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 2유출구(123)는, 제 1유출구(113) 보다 상기 회전의 축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펄세이터(100)의 회전시 세탁수에 원심력이 작용하므로, 제 2유출구(123)로부터 유출된 세탁수는 상기 회전의 축에서 먼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고 그 위치에 형성된 제 1유출구(113)를 통해 내조(10)의 내부로 펌핑될 수 있다.
제 2유출구(123)는, 복수의 세탁날개(150) 사이와 대응되는 펄세이터(100)의 하측면(100b)에 형성될 수 있다. 세탁날개(150)가 형성된 부분은 펄세이터(100)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제 2유출구(123)의 적절한 위치는 복수의 세탁날개(150) 사이가 된다.
펄세이터(100)의 하측면(100b)에는 중앙부에 모터축(9)이 끼워지고, 제 2유출구(123)는 모터축(9)을 피한 위치 중 상기 중앙부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유출구(123)는, 펄세이터(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100)의 가장자리에 고르게 형성된 제 1유출구(113)로 안내하도록, 제 2유출구(123)도 펄세이터(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포하고 있는 것이 좋다.
제 2유출구(123)의 크기가 클수록, 유입구(111)로 유입되어 펄세이터(100)의 하측면의 공간(160)으로 유출되는 세탁수의 흐름이 원활해진다.
도 5는 펄세이터(100)의 배면방향 평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펄세이터(100)는, 하측면(100b)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중앙부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 1리브(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리브(131)는, 펄세이터(100)의 하측면(100b)과 내조(10)의 바닥면(11) 사이의 공간(160)을 펄세이터(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획한다. 제 1리브(131)의 최저면과 내조의 바닥면(11) 사이는 떨어져 있으므로, 상기 '구획한다'는 의미는 공간적으로 차폐되도록 분리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제 1리브(131)는, 펄세이터(100)의 회전시 반경방향으로 수류를 형성시키고, 제 2유출구(123)로부터 유출된 세탁수를 제 1유출구(113)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고하여, 펄세이터(100)는, 내조의 바닥면(11)과 펄세이터(100)의 가장자리 사이에 간격(135)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간격(135)이 없다면, 펄세이터(100)의 회전시 펄세이터(100)와 내조의 바닥면(11)간에 지나친 마찰이 생기기 때문이다.
펄세이터(100)의 회전시 세탁수가 상기 간격(160)으로 유출되는 양은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양보다 작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간격(160)을 통해 유출되는 세탁수의 양이 작을수록, 그 만큼 제 1유출구(113)를 통해 유출되는 세탁수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펄세이터(100)는, 상기 간격(135)을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리브(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리브(132)는 펄세이터(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2리브(132)는, 상기 간격(135)을 좁혀서, 제 1유출구(113)로 보다 많은 세탁수가 유출되도록 유도한다.
제 5실시예에서, 제 2리브(132)는 펄세이터(100)의 가장자리에서 내조(10)의 측면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 6실시예에서, 제 2리브(132)는 펄세이터(100)의 하측면(100b)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순환수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조(3)내에 세탁수가 채워지고, 상기 세탁수는 내조(1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을 통해 내조(10)의 내부로 유입된다. 펄세이터(100)가 회전하면, 세탁날개(150)와 세탁수 사이의 충돌에 의해서 수류가 발생한다.
상기 회전에 의해, 펄세이터의 하측면(100b)과 내조의 바닥면(11) 사이의 공간(160)에 있는 세탁수는 원심력을 받아 회전축에서 먼 방향으로 유동한다. 이 경우, 중앙부의 유입구(111)에는 부압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 내조의 회전축이 포함된 공간의 세탁수는, 펄세이터(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유입구(111)로 유입되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하부로 유동하여 제 2유출구(123)로 유출되며, 펄세이터의 하측면(100b)과 내조의 바닥면(11) 사이의 공간(160)을 따라 회전축에서 먼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회전축에서 먼방향으로 유동한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간격(135)을 통해 유출되나 대부분은 제 1유출구(113)를 통해 상부로 강하게 펌핑된다. 이러한 펌핑된 세탁수는, 내조(10) 또는 외조(3)의 측면을 따라 상부로 유동하여 내조(10)의 회전축을 차지하는 공간으로 밀려들어가고, 유입구(111)로 유입되어 상기 순환을 반복한다.
이 때, 제 1리브(131)는 상기 공간(160)을 따라 유동하는 세탁수에 원심력을 가하고 유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제 2리브(132)는 상기 공간내의 세탁수가 보다 많이 제 1유출구(113)를 통해 펌핑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간(160)의 하측면을 구성하는 내조의 바닥면(11)이 개구되지 않아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제 1유출구(113)로 펌핑되도록 하는 수압이 형성된다. 상기 수압에 의해 강하게 내조의 상부로 펌핑되는 세탁수는 전체적인 순환수류가 보다 강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하여, 세탁 및 헹굼 행정간에 이물질이 세탁물로부터 보다 잘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분리된 이물질은 상기 순환 수류에 따라 부유하다가 펄세이터(100)에 구비된 필터부(50)에 의해 채집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케이싱 3 : 외조
4 : 급수관 5 : 배수관
8 : 구동부 9 : 모터축
10 : 내조 11 : 내조의 바닥면
50 : 필터부 51 : 필터망
53 : 필터본체 55 : 필터캡
56 : 유입공
100 : 펄세이터
100a : 펄세이터의 상측면 100b : 펄세이터의 하측면
110 : 아우터 펄세이터 120 : 인너 펄세이터
111 : 유입구
113 : 제 1유출구 123 : 제 2유출구
131 : 제 1리브 132 : 제 2리브
135 : 펄세이터 가장자리와 내조 사이의 간격
150 : 세탁날개
160 : 펄세이터의 하측면과 내조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

Claims (15)

  1.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내조;
    상기 내조의 바닥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면에 유입구 및 제 1유출구가 형성되고, 회전시 세탁수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제 1유출구로 유출되도록 하는 펄세이터;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제 1유출구까지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조는,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서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세탁수가 서로 교류되지 않도록 상기 바닥면이 차폐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입구에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망;
    내부에 상기 필터망이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을 저장하는 필터본체; 및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에 씌워지고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필터캡;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펄세이터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출구는 상기 펄세이터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측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중앙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세탁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유출구는, 상기 복수의 세탁날개의 사이에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출구는,
    복수개로 구성된 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출구는,
    상기 펄세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하측면 상에 위치하는 제 2유출구를 형성하고, 회전시 세탁수가 제 2유출구로부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면과 상기 내조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제 1유출구로 유출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출구는, 상기 제 1유출구 보다 상기 회전의 축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측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중앙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세탁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유출구는, 상기 복수의 세탁날개 사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출구는,
    상기 펄세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하측면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중앙부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 1리브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내조의 바닥면과 상기 펄세이터의 가장자리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고,
    회전시 세탁수가 상기 간격으로 유출되는 양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양보다 작도록 설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리브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리브는,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면의 가장자리에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KR1020150057454A 2015-04-23 2015-04-23 세탁물 처리장치 KR102442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454A KR102442967B1 (ko) 2015-04-23 2015-04-23 세탁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454A KR102442967B1 (ko) 2015-04-23 2015-04-23 세탁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444A true KR20160126444A (ko) 2016-11-02
KR102442967B1 KR102442967B1 (ko) 2022-09-13

Family

ID=5751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454A KR102442967B1 (ko) 2015-04-23 2015-04-23 세탁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9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280A (ko) * 2002-08-05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110009536A (ko) 2009-07-22 201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280A (ko) * 2002-08-05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110009536A (ko) 2009-07-22 201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967B1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334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EP2589697B1 (en)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171619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9885140B2 (en) Foreign object trap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101332286B1 (ko) 세탁기
KR101481516B1 (ko) 세탁기 필터장치
TWI633225B (zh) washing machine
US1044317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785555B1 (ko) 드럼식 세탁기
CN110387717B (zh) 家用电器装置
KR20160126444A (ko) 세탁물 처리장치
CN107700149B (zh)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CN107700142B (zh)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KR102428213B1 (ko) 세탁물 처리장치
US11598043B2 (en) Vertical axis washer standalone filter
KR100352474B1 (ko) 세탁기의 이물질 배출장치
KR200153697Y1 (ko) 세탁기의 이물질 거름장치
US3448596A (en) Tumble type washer with filter
KR20100095932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89595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0565537B1 (ko) 순환분사식 세탁기
KR10159188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KR19990016474A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200358901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프론트
KR101090477B1 (ko)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