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595B1 - 세탁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595B1
KR102389595B1 KR1020150048492A KR20150048492A KR102389595B1 KR 102389595 B1 KR102389595 B1 KR 102389595B1 KR 1020150048492 A KR1020150048492 A KR 1020150048492A KR 20150048492 A KR20150048492 A KR 20150048492A KR 102389595 B1 KR102389595 B1 KR 102389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
opening
filter
laundry treatment
filte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601A (ko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59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필터 배면에 축적된 이물질을 배수 시 내조의 회전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개시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배수행정 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조 개구부가 형성된 내조; 및 상기 내조 개구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내조와 일체로 회전하고, 배면이 상기 내조의 회전방향으로 구배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필터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 {Device for treating laundry}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장치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 및 탈수에 이용되는 내조로 구성된다. 이하는 탑로딩 형식의 세탁기를 기준으로 배경기술을 설명한다.
상기 내조의 내부에는 상기 내조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펄세이터(pulsator)가 설치된다. 세탁축 및 탈수축이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클러치가 세탁축 및 탈수축을 각각 또는 함께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내조의 상부에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조의 하부 일 측에는 배수관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내조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세탁수가 상기 내조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 또는 헹굼행정이 실행되면 상기 내조 또는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조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세탁수의 유동이 발생한다. 이 때, 상기 내조의 내부의 세탁수는, 상기 다수의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고, 이어서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공간을 따라 하부로 유동한다. 상기 세탁수는, 상기 내조 바닥과 상기 외조 바닥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조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다시 상기 내조 내부로 유입된다.
그런데, 상기 세탁수의 순환시스템에서, 세탁수의 유동에 따라 상기 내조의 외부로 배출된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세탁수의 순환과 함께 다시 상기 내조 내부로 유입되어 다시 세탁물에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내조의 소정 위치에 필터망을 구비하는 세탁기가 고안되었다. 상기 필터망은 상기 세탁수의 순환 경로 상에 어디에도 배치 가능하다. 상기 필터망에 의해서, 상기 내조의 내부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이물질이 같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여과하게 되면, 상기 필터망의 배면에는 이물질이 축적된다. 상기 축적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망을 막아 상기 세탁수의 순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상기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상기 세탁기를 분해하지 않고, 세탁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세탁수의 배수 행정 단계에서, 상기 내조의 내부의 세탁수는 상기 필터망을 여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망의 배면에 상기 축적된 이물질은, 상기 배수 시 세탁수의 수류에 의해 상기 필터망에서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필터망의 배면에 축적된 이물질이 세탁수의 배수 시에도 쉽게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제거되지 않고 축적되는 이물질이 많아지면, 세탁과정에서의 수류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0518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하여 세탁기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배수행정 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조 개구부가 형성된 내조, 및 상기 내조 개구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내조와 일체로 회전하는 필터망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망은 상면이 상기 내조를 바라보고, 배면이 상기 내조의 회전방향으로 구배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내조 개구부는 상기 내조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필터망은 상기 내조 개구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조는 배수행정 시 특정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망은, 상기 배면이 상기 특정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구배를 가지거나 상기 특정 회전방향으로 구배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내조와 일체로 회전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망이 씌워지는 필터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개구부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필터망을 상기 구배로 지지한다.
상기 필터 개구부는 상기 내조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특정 회전방향의 반대 측 부분을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특정 회전방향 측 부분을 상부 방향으로 돌출시켜, 상기 필터망을 상기 돌출된 부분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이물질이 통과하는 배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필터망을 지지하는 부분에서 상기 필터망의 면상으로 돌출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어, 본 장치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세탁수의 여과과정에서 필터에 축적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본 장치의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를 정상적이고 효율적으로 작동케 하여, 본 장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수 유동방향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조의 하부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과 허브 및 내조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테두리부의 실시예1이 도시된 A-A'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테두리부의 실시예2가 도시된 A-A'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탈수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로서 세탁기로 한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탁기는, 케이싱(미도시),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1), 외조(1) 내에 배수행정 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조 개구부(4)가 형성된 내조(3), 및 외조(1)로부터 내조 개구부(4)로 유입되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내조(3)와 일체로 회전하는 필터망(9)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망(9)은, 상면이 내조(3)를 바라보고, 상기 상면의 반대면인 배면이 내조(3)의 회전방향으로 구배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내조 개구부(4)는 내조(3)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필터망(9)은 내조 개구부(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내조(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7)를 포함할 수 있고, 내조(3)의 하부에 결합되고 세탁수를 통과시키는 허브 개구부(6)가 형성된 허브(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탑로딩 형식 세탁기의 내조(3)의 바닥 부분에 내조 개구부(4)를 형성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프론트로딩 형식 세탁기의 내조에서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부분의 반대쪽 면에 내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설명 전체에 걸쳐서 내조 '하부'의 의미는, 내조의 바닥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지면방향 부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내조 개구부(4)는 내조(3)의 하부에 형성되고, 필터망(9)은 내조 개구부(4)의 하측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조 개구부(4)는 내조(3)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필터망(9)은 상기 측면의 내조 개구부와 대응하는 부분 또는 세탁수의 순환 수류(B) 경로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조(3) 및 펄세이터(7)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에 의해, 내조 개구부(4)를 통해 외조(1)로부터 내조(3)로 세탁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
펄세이터(7)는, 원판형상으로서, 그 중심부에서 내조(3)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원판형상의 지름방향을 따라 수 갈래로 뻗은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7)의 돌출부는 펄세이터(7)의 회전 시 세탁수에 수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수류에 의해 내조(3)의 내부의 세탁수는 회전축에 대한 바깥방향으로 쏠린다.
펄세이터(7)는 모터(미도시)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기 위해서, 펄세이터(7)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 사이에 클러치가 설치될 수 있다.
내조(3)의 내측면에는 내부방향으로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조(3)의 돌출부는 내조(3)의 회전 시 세탁수에 수류를 발생시킨다. 내조(3)의 회전에 의한 상기 수류에 의해 내조(3)의 내부의 세탁수는 회전축에 대한 바깥방향으로 쏠린다.
즉, 세탁 또는 헹굼 행정 시에 내조(3) 및 펄세이터(7)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내조(3)의 내부의 세탁수는 회전축에 대한 바깥방향으로 쏠린다.
도 1의 B화살표 방향을 참고하여, 상기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세탁수의 순환수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조(3)는 다수의 내조 관통홀을 측면에 형성할 수 있고, 내조 관통홀을 통하여 세탁수가 내조(3)의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다. 상기 회전에 의해서, 내조 관통홀을 통하여 내조(3)의 외부로 세탁수가 유출된다. 이어서, 상기 유출된 세탁수는 내조(3)와 외조(1) 사이의 공간을 따라 하부로 유동한다. 상기 세탁수는, 내조(3)의 하부와 외조(1)의 하부 사이의 공간에서 내조 개구부(4)를 통하여 내조(3)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세탁수는 다시 상기 회전에 의해서 상기 순환을 반복한다.
상기 세탁수가 내조 개구부(4)를 통하여 유입되는 경로 상에 필터망(9)이 배치되어 상기 세탁수를 여과한다.
상기 세탁수의 유입을 위해서, 펄세이터(7)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조 개구부(4) 상에 펄세이터(7)가 배치되면 내조 개구부(4)를 막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펄세이터(7)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세탁수가 내조(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C화살표 방향을 참고하여, 세탁수의 배수 시 발생하는 세탁수의 수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수 시, 최소한 펄세이터(7)의 회전은 멈추고, 배수관(2)을 개방한다. 이 경우, 내조(3)의 내부의 세탁수 중 일부는 내조 개구부(4)를 통해서 내조(3)의 외부로 유출되면서 필터망(9)을 통과한다.
펄세이터(7)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7)의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세탁수가 내조(3)의 외부로 유출된다.
내조(3)는 배수행정 시 회전할 수 있다. 내조가 회전하면 동시에 필터망(9)이 회전한다. 필터망(9)이 정지해 있는 경우보다 회전하는 경우에, 필터망(9)은 세탁수와 더 많이 충돌한다. 특히, 필터망(9)이 상기 구배를 가지면, 상기 충돌은 더 많아진다. 따라서, 필터망(9)이 세탁수로부터 더 많은 충격을 받아, 필터망(9)에 축적된 이물질이 더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특히, 내조(3)는 배수행정 시 특정 회전방향(D)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특정 회전방향(D)이란 회전축을 기준으로 양방향의 회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말한다. 이는 어느 한 시점을 기준으로 내조(3)가 특정 회전방향(D)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배수행정 전 과정에서 반드시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브(5)는 내조 개구부(4)보다 지름이 더 큰 원반 형상으로서, 내조 개구부(4)를 가리면서 내조(3)와 결합될 수 있다. 내조(3)와의 결합방식은 볼팅 형식일 수 있다.
허브(5)는 모터(미도시)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내조(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허브(5)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 사이에 클러치가 설치될 수 있다.
허브(5)는, 회전축에서 지름방향으로 복수의 리브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복수개의 리브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구조는 허브(5)의 강성을 보완한다.
허브(5)가 포함되는 실시예에서, 허브(5)에는 세탁수를 통과시키는 허브 개구부6)가 형성된다. 허브(5)가 내조 개구부(4)를 가리더라도, 세탁수가 허브 개구부(6) 및 내조 개구부(4)를 통해 내조(3)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내조(3)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망(9)은 외조(1)로부터 내조 개구부(4)로 유입되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내조(3)와 일체로 회전한다. 필터망(9)의 상면은 내조(3)를 바라보고, 상기 상면의 반대면인 배면이 내조(3)의 회전방향으로 구배를 가진다.
상기 상면은 필터망의 양면 중 배수행정 시 세탁수가 유입되는 면을 의미한다. 즉, 상기 상면이 내조(3)를 바라본다는 것은, 내조(3)의 내부로부터 도 1의 C화살표 방향으로 유출되는 세탁수를 받아들이는 면이 상기 상면이라는 의미이다.
상기 배면은 필터망의 양면 중 세탁 또는 헹굼 행정 시 세탁수가 유입되는 면을 의미한다. 즉, 도1의 B화살표 방향의 세탁수를 받아들이는 면이 상기 배면이다.
내조(3)의 회전방향은 일반적으로 양방향(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이므로, 상기 구배는 상기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구배를 가지게 됨을 의미한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 궤도의 접선벡터들 중에 그 접점이 필터망(9)의 배면상에 있고 방향이 특정 회전방향(D)인 접선벡터를 제1벡터(E)라 정의한다. 필터망(9)의 면에 대해 배면방향의 법선 벡터를 제2벡터(F)라 정의한다. 제1벡터(E)와 제2벡터(F) 사이의 각을 소정 각(g)이라 정의한다.
소정 각(g)이 직각인 경우, 필터망(9)의 상기 구배는 없다. 소정 각(g)이 0도 초과 90도 미만인 경우, 필터망(9)은 특정 회전방향(D)으로 구배를 가진다. 소정 각(g)이 90도 초과 180도 미만인 경우, 필터망(9)은 특정 회전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구배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망(9)의 상기 배면이 특정 회전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구배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소정 각(g)이 90도 초과 180도 미만인 경우이다. 내조(3)가 회전하면, 상기 구배가 없는 경우보다 필터망(9)의 상기 상면에 가해지는 세탁수의 압력이 더 커지고, 이러한 압력은 필터망(9)의 상기 배면상에 축적된 이물질을 상기 배면 밖으로 밀어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망(9)은 상기 배면이 특정 회전방향(D)으로 구배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소정 각(g)이 0도 초과 90도 미만인 경우이다. 내조(3)가 회전하면 상기 구배가 없는 경우 보다 필터망(9)의 상기 배면으로 세탁수가 더 강하게 충돌한다. 상기 충돌에 의해 상기 배면에 축적된 이물질에도 더 강한 충격이 가해지고, 상기 충격은 상기 이물질이 상기 배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이 경우, 소정 각(g)이 0도로부터 90도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구배가 작아진다. 상기 구배가 작아질수록, 상기 충돌에 의한 충격력의 제2벡터(F) 성분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충격력인 힘을 제1벡터(E)와 제2벡터(F) 성분으로 분해할 경우, 제2벡터(F) 성분의 힘은 필터망(9)의 상기 배면으로 가해지는 힘이 되는데, 소정 각(g)이 0도로부터 90도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배면으로 가해지는 힘이 작아진다. 제2벡터(F)의 반대방향으로 가해지는 상기 힘이 크면, 상기 배면에 축적된 이물질이 오히려 필터망(9)의 체눈 사이에 끼어들어갈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내조와 일체로 회전하는 프레임(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필터망(9)이 씌워지는 필터 개구부(11)가 형성되고, 필터 개구부(11)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테두리부(15)를 포함한다. 테두리부(15)는 필터망(9)을 상기 구배로 지지한다. 테두리부(15)는 일부 부분을 돌출 시켜 필터망(9)을 지지할 수 있다. 테두리부(15)는 이물질이 통과하는 배수 개구부(18)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된 부분에서 필터망(9)의 면상으로 돌출된 리브(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소정 각(g)이 0도 초과 90도 미만인 실시예로, 프레임(10), 필터 개구부(11), 테두리부(15), 리브(17) 및 배수 개구부(18)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내용은 소정 각(g)이 90도 초과 180도 미만인 실시예에도 그에 맞추어 변경 실시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내조(3)와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내조 개구부(4)의 하부에 필터 개구부(11)가 배치되도록 프레임(10)을 내조(3)의 하부에 구비시킬 수 있다. 프레임(10)은 내조(3)의 바닥면과 평행면에 배치될 수 있다.
허브(5)가 포함된 실시예에서는, 허브 개구부(6)의 하부에 필터 개구부(11)가 배치되도록 프레임(10)을 내조의 하부에 구비시킬 수 있다. 프레임(10)은 허브(5)의 바닥면과 평행면에 배치될 수 있다.
허브 개구부(6) (허브가 미포함된 실시예에서는, 내조 개구부)를 통과하는 세탁수 중 적어도 일부는 필터 개구부(11)를 통과하게 된다. 허브 개구부(6) (허브가 미포함된 실시예에서는, 내조 개구부)와 필터 개구부(11) 사이에 갭(gap)이 있는 실시예에서는, 허브 개구부(6)를 통과하여 내조(3)의 외부로 유출되는 세탁수 중 일부가 상기 갭으로 빠져나갈 수 있어, 허브 개구부(6)를 통과하는 세탁수 중 상기 일부를 제외한 수량이 필터 개구부(11)를 통과한다. 상기 갭이 없는 실시예에서는, 허브 개구부(6)를 통과하는 세탁수 전량이 필터 개구부(11)를 통과한다.
프레임(10)에 돌출된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조가 내조(3) 또는 허브(5)의 하부에 닿도록 하여, 상기 갭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구조는 내조(3) 또는 허브(5)의 하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필터 개구부(11)는 내조(3)의 회전방향을 따라 프레임(10)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허브(5)가 포함된 실시예에서, 허브 개구부(6)는 상기 회전방향을 따라 허브(5)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필터 개구부(11)는 복수의 허브 개구부(6)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될 수 있다. 상기된 특징과 하기될 특징을 가진 테두리부(15)는, 상기 복수의 필터 개구부(11)와 대응하는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된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내조(3)의 하부에 1개의 내조 개구부(4)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조 개구부(4)를 덮어주는 원판형의 허브(5)에는 회전 방향을 따라 6개의 허브 개구부(6)가 형성되며, 프레임(10)에는 허브 개구부(6)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필터 개구부(11) 및 테두리부(15)가 형성되고, 필터망(9)은 6개의 테두리부(15)에 의해 지지되어 필터 개구부(11)에 씌워진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 필터망(9)을 일부 생략하여 도시한다.
상기 테두리부(15)는, 필터 개구부(11)의 테두리에 위치하고 필터망(9)이 상기 구배를 가지도록 지지한다. 이하, 상기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는 필터망(9)이 특정 회전방향(D)으로 구배를 가지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이고, 상기 제 3실시예와 제 4 실시예는 필터망(9)이 특정 회전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구배를 가지는 예로서 도면은 생략한다.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는 필터망(9)이 내조(3)의 하측에 배치되는 실시예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15)는, 특정 회전방향(D)의 반대 측 부분(16a) (이하 '제1부분')을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킨다. 또는, 제1부분(16a)과 내조(3)의 회전축과 멀어지는 방향 측 부분(16b) (이하 '제2부분')을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또는, 제1부분(16a)과 내조(3)의 회전축과 가까워지는 방향 측 부분을 하부방향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15)는, 특정 회전방향(D) 측 부분(16c) (이하 '제3부분')을 상부 방향으로 돌출시킨다.
제 3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15)는, 제3부분(16c)을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킨다. 또는, 제3부분(16c)과 제2부분(16b)을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또는, 제3부분(16c)과 내조(3)의 회전축과 가까워지는 방향 측 부분을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제 4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15)는, 제1부분(16a)을 상부 방향으로 돌출시킨다.
상기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에서, 필터망(9)은 상기 돌출된 부분으로 지지한다. 상기 돌출된 부분과 필터망(9)의 접점을 연결한 선이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돌출된 부분의 돌출 정도가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 1실시예의 제1부분(16a)과 제2부분(16b)을 연결하는 부분이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돌출 정도가 연속적으로 변한다.
상기 제2부분(16b)이 돌출된 실시예에서, 필터망(9)은 내조(3)의 회전축 방향으로도 구배를 가진다. 상기 내조의 회전축과 가까워지는 방향 측 부분이 돌출된 실시예에서, 필터망(9)은 내조(3)의 회전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도 구배를 가진다. 이는 필터망(9)과 세탁수의 더 많은 충돌을 유도하여, 필터망(9)의 상기 배면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테두리부(15)는, 프레임(10)과 일체형일 수도 있고, 프레임(10)에 조립된 별도의 부품일 수도 있다.
상기 배수 개구부(18)는 테두리부(15)에 형성될 수 있다. 배수 개구부(18)로 이물질이 통과한다. 배수 시 내조(3)의 내부에 있는 이물질이 필터망(9)의 상면에 걸리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는데, 배수 개구부(18)를 통해 상기 이물질이 내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테두리부(15)는 상기 돌출된 부분에서 필터망(9)의 면상으로 돌출된 리브(17)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17)의 돌출부에 의해 필터망(9)이 지지될 수 있다. 리브(17)는 테두리부(15)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배수 개구부(18a)는 리브(17)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배수 시 세탁수의 수류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이므로, 내조(3)의 내부의 이물질이 배수 개구부(18a)를 통과하기 쉬워진다.
배수 개구부(18a)는 제1부분(16a)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제 1실시예에서, 배수 개구부(18a)는 돌출된 부분(16a)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제 2실시예에서, 배수 개구부(18a)는 돌출되지 않은 부분(16a)에 형성될 수 있다. 특정 회전방향(D)으로 내조가 회전 시, 필터망(9)의 상기 상면의 이물질은 회전방향(D)의 반대방향인 제1부분(16a)으로 쏠리게 되므로, 그 부분에 배수 개구부(18a)를 형성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배수 개구부(18b)는 테두리부(15)의 상기 돌출된 부분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배수 개구부(18b)는 제2부분(16b)의 측면을 측방향(내조의 지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배수 시 내조(3)가 회전하면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서 바깥방향인 제2부분(16b)으로 쏠리게 되므로, 그 부분에 배수 개구부(18b)를 형성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배수 개구부(18)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그 형상은 격자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할 수 있다. 복수의 배수 개구부(18)는 크기 또는 형상이 서로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외조 2 : 배수관
3 : 내조 4 : 내조 개구부
5 : 허브 6 : 허브 개구부
7 : 펄세이터
9 : 필터망
10 : 프레임 11 : 필터 개구부
15 : 테두리부
16a : 테두리부의 제1부분 16b : 테두리부의 제2부분
16c : 테두리부의 제3부분
17 : 테두리부의 리브
18 : 배수 개구부
18a : 상하로 관통하는 배수 개구부
18b : 측면을 관통하는 배수 개구부
B : 세탁 또는 헹굼 행정시 세탁수 순환 수류
C : 배수 행정 시 세탁수 수류
D : 내조 및 프레임의 특정 회전방향
E : 제1벡터 F : 제2벡터
g : 제1벡터와 제2벡터 사이의 소정 각

Claims (15)

  1.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배수행정 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조 개구부가 형성된 내조; 및
    상기 외조로부터 상기 내조 개구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내조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면이 상기 내조를 바라보고, 배면이 상기 내조의 회전방향으로 구배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필터망을 포함하고,
    상기 내조는 배수행정 시 특정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필터망은 상기 배면이 상기 특정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구배를 갖는 세탁물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 개구부는 상기 내조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망은 상기 내조 개구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3. 삭제
  4.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배수행정 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조 개구부가 형성된 내조; 및
    상기 외조로부터 상기 내조 개구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내조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면이 상기 내조를 바라보고, 배면이 상기 내조의 회전방향으로 구배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필터망을 포함하고,
    상기 내조는,
    배수행정 시 특정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필터망은,
    상기 배면이 상기 특정 회전방향으로 구배를 갖는 세탁물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와 일체로 회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망이 씌워지는 필터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개구부의 테두리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망을 지지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개구부는 상기 내조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 개구부는 상기 내조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망은 상기 내조 개구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특정 회전방향의 반대 측 부분을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켜, 상기 필터망을 상기 돌출된 부분으로 지지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 개구부는 상기 내조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망은 상기 내조 개구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특정 회전방향의 반대 측 부분 및 상기 내조의 회전축과 멀어지는 방향 측 부분을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켜, 상기 필터망을 상기 돌출된 부분으로 지지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 개구부는 상기 내조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망은 상기 내조 개구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특정 회전방향 측 부분을 상부 방향으로 돌출시켜, 상기 필터망을 상기 돌출된 부분으로 지지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이물질이 통과하는 배수 개구부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11.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필터망의 면상으로 돌출된 리브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리브를 상하로 관통하여 이물질이 통과하는 배수 개구부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13.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특정 회전방향의 반대 측 부분을 상하로 관통하여 이물질이 통과하는 배수 개구부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14.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돌출된 부분의 측면을 관통하여 이물질이 통과하는 배수 개구부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내조의 회전축과 멀어지는 방향 측의 돌출된 부분의 측면을 상기 내조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이물질이 통과하는 배수 개구부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KR1020150048492A 2015-04-06 2015-04-06 세탁물 처리장치 KR102389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492A KR102389595B1 (ko) 2015-04-06 2015-04-06 세탁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492A KR102389595B1 (ko) 2015-04-06 2015-04-06 세탁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601A KR20160119601A (ko) 2016-10-14
KR102389595B1 true KR102389595B1 (ko) 2022-04-21

Family

ID=5715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492A KR102389595B1 (ko) 2015-04-06 2015-04-06 세탁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59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11B1 (ko) * 2001-03-29 2007-11-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KR101835334B1 (ko) 2011-04-1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601A (ko)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397B1 (ko) 세탁장치
KR10171619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EP2719808B1 (en) Washing machine
KR101481516B1 (ko) 세탁기 필터장치
EP312132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127394B2 (en) Foreign object trap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1044317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5625466B2 (ja) 洗濯機
US10364522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548872B2 (ja) 洗濯機
KR102389595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428213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39992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442966B1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KR102389598B1 (ko) 세탁물 처리장치
JP6140022B2 (ja) 洗濯機
EP2832916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including a rotatable drum
KR102442971B1 (ko) 세탁기
KR102442967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560454B1 (ko) 세탁기
JP6311125B2 (ja) 洗濯機
KR10245741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4297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3448596A (en) Tumble type washer with filter
KR10159188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