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696A -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696A
KR20160121696A KR1020150050697A KR20150050697A KR20160121696A KR 20160121696 A KR20160121696 A KR 20160121696A KR 1020150050697 A KR1020150050697 A KR 1020150050697A KR 20150050697 A KR20150050697 A KR 20150050697A KR 20160121696 A KR20160121696 A KR 20160121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treatment
prevention
inflam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경
김선건
박나영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5005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1696A/ko
Publication of KR20160121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 조성물의 LPS 자극 후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NO, TNF-a 및 IL-6 사이토카인 생성,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b-HEX 및 LTC4 생성을 억제하는 등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 조성물을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Inflammation and Allergic Diseases Comprising Pine Leaf and Smilax China Extracts}
본 발명은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식세포(macrophages)는 미생물 및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특이적, 비특이적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외부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NO, PGE2, 그리고 TNF-a, IL-1과 IL-6을 포함하는 전염증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과 같은 다양한 염증매개물질을 생성하여 방출한다(Ritchlin CT, et al., Mechanisms of TNF-alpha- and RANKL-mediated osteoclastogenesis and bone resorption in psoriatic arthritis. J Clin Invest, 2003, 111:821-31).
비만세포(mast cells)는 골수세포에서 유래되어 조직에서 성숙 분화된 후 항원-항체 및 각종 사이토카인 등에 의해 활성화되어 염증, 알러지 반응에 관여한다(Puxeddu I, et al., Mast cells in allergy and beyond. Int J Biochem Cell B, 2003, 35:1601-1607). 활성화된 비만세포는 이미 만들어져 과립 내에 저장되어 있던 히스타민, 지질성 매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es) 및 류코트리엔류(leukotriens)와 같은 ecosanoids를 생합성하여 알러지 반응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Prussin C, et al., IgE, mast cells, basophils, and eosinophils. J Allergy Clin Immunol, 2006, 117:S450-S456).
염증 및 알레르기 질환을 유도하는 핵심적인 매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es), 류코트리엔류(leukotriens), 혈소판활성화인자(PAF) 등은 포스포리파아제 A2(phospholipase A2),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및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에 의하여 전구체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생성된다 (Harizi H, et al., Arachidonic-acid-derived eicosanoids: roles in biology and immunopathology. Trends Mol Med , 2008, 14(10):461-469).
류코트리엔은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생체에서 생성되는 국소 작용성 호르몬 그룹을 구성하며, 중요한 류코트리엔으로는 류코트리엔 B4(LTB4), 류코트리엔 C4(LTC4), 류코트리엔 D4(LTD4) 및 류코트리엔 E4(LTE4)가 있다. 이들 류코트리엔의 생합성은 효소 5-리폭시게나아제가 아라키돈산에 대하여 작용하여 류코트리엔 A4로서 알려진 에폭사이드를 생성시킴으로써 시작되며, 이것은 연속적인 효소 반응 단계에 의해 다른 류코트리엔(LTB4, LTC4, LTD4, LTE4)으로 전환된다. 류코트리엔은 폐동맥질환, 예를 들면, 천식, 만성 기관지염 및 관련 폐쇄성 기도 질환, 알러지성 비염,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성 결막염 등의 알러지 및 알러지 반응, 관절염 또는 염증성 장 질환, 통증 등의 염증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알러지성 천식 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약물들은 히스타민 유리억제, 류코트리엔 C4 생성 억제, 혈소판 활성화인자 생성 억제 활성을 동시에 가지는 약물들이다(Dahlen SE, Treatment of asthma with antileukotrienes: first line or last resort therapy. Eur J Pharmacol , 2006, 533:40-56; Kitamura S, Leukotriene(B4, C4, D4, E4). Nippon Rinsho , 2005, Sl8:28-33).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의 다년생인 송엽(Pinus tabulaeformis CORR. = P. densiflora S. et Z.)은 만주곰솔·소나무 및 동속 근연식물의 잎으로서, 잎에는 α-pinene, β-pinene, camphene등의 정유와 flavonoid류, 수지를 함유하고 당류, carotene, vitamin C가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 105-106, 1998).
백합과에 속하는 덩굴성 관목의 다년생인 토복령(Smilax china L. = Coprosmanthus japonicus KUNTH)는 청미래덩굴 및 동속 근연식물의 근경으로서, 근경에는 diosgenin과 diosgenin으로 구성된 다종의 saponin이 함유하고 alkaloid, phenol류, amino 산, 유기산, 당류 등을 함유하고 종자에는 조지 11.2%가 함유되었고 지방에는 linoleic acid 39.1%, oleic acid 48.4%가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 185-186, 1998).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40184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40183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61626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77889
본 발명은 송엽과 토복령의 복합추출물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염증 및 알러지 질환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들은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이 LPS 자극 후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NO, TNF-a 및 IL-6 사이토카인 생성,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b-HEX 및 LTC4 및 생성을 억제하는 항염증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복합추출물은 물이나 C1~C4의 알코올, 다른 유기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추출물은 송엽과 토복령을 에탄올에 침지시킨 후 추출액을 수득하는 과정을 1~5회 반복 실시하는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에탄올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의 에탄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75% 에탄올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에탄올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복합추출물의 추출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추출용매로 알코올 사용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의 온도로 실시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할 때 50~70℃에서 에탄올에 18~30시간 침지시킨 후 상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는 과정을 반복 실시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실시예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LPS 자극 후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NO, TNF-a 및 IL-6 사이토카인 생성,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b-HEX 및 LTC4 생성을 억제하는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약제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 조성물의 Nitrite 생성 억제 실험결과이다 (IC50=16.8μM).
도 2는 본 발명 조성물의 TNF-a 생성 억제 실험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 조성물의 IL-6 생성 억제 실험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 조성물의 b-HEX 생성 억제 실험결과이다 (IC50=3.2μg/ml).
도 5는 본 발명 조성물의 LTC4 생성 억제 실험결과이다 (IC50=13.1μg/ml).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실시예 1. 복합추출물의 제조
(주)휴먼허브(http://www.humanherb.co.kr/)에서 구입한 토복령(40 g)과 송엽(60 g)을 75% 에탄올 1,500 ㎖에 60℃에서 24시간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고, 다시 75% 에탄올 1,500 ㎖를 가하여 2회 더 추출하여 추출액을 모은 후, 상기 각 추출액을 여과한 여과물을 감압 회전농축기 (Vaccum rotary evaporator; 일본 Nihon Seiko사, VR-205c)로 용매를 증발시키는 감압 농축 및 건조과정을 통하여 복합추출물 75% 에탄올 추출물 10.8 g(수율 : 10.8%)를 수득하였다.
[ 실험예 ]
실험재료
세포 배양액인 RPMI-1640, Modifed Eagle Medium(MEM) non-essential amino acids solution, fetal bovine serum(FBS), streptomycine, penicillin 등의 세포배양용 시약들은 Hyclone사(Logan, UT, USA)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약 중 SCF(Stem cell factor, STEMCELL, Vancouver, Canada), LPS(Lipopolysaccharides, Sigma, St. Louis, MO, USA), IL-10(Recombinant Mouse IL-10, BD PharmingenTM, San Jose, CA, USA)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LTC4 측정 kit은 Cayman사(Ann Arbor, MI, USA), IL 측정용 kit는 R&D System사(Minneapolis, MN, USA)에서 구입하였다.
세포배양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는 10% FBS, 100U/㎖ penicillin, 100㎍/㎖ streptomycin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37℃,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쥐 골수 유래의 비만세포 (BMMC,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는 BALB/C 마우스의 대퇴골에서 골수세포를 분리하여, 10% FBS, 100U/㎖ penicillin, 100㎍/㎖ streptomycine을 포함한 RPMI-1640 배지에 IL-3공급원으로 PWM-SCM(containing pokeweed mitogen-stimulated spleen cell-conditioned medium) 을 final 20% 되도록 넣은 배양액으로 약 3주 정도 배양하여 90% 이상의 균질한 BMMC을 얻어 사용하였다. 세포는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고, BMMC를 96-well plate에 일정한 수의 세포를 분주하여 실험하였다.
시료준비
실험에 사용하기 위한 시료로서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DMSO 용매에 녹여 농도 6.25, 12.5, 25, 50, 100μg/㎖의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Nitric oxide(NO)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량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nitric oxide (NO)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생성량에 대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Yang JH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thylacetate fraction of Cliona celata.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011, 33(2):373-379).
RAW 264.7 세포(1.5X105 cells/well)를 24 well plate에 전 배양하여,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복합생약 추출물을 농도별로 1 시간동안 전 처리한 후에 LPS 200ng/㎖을 각 well에 처리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상층액을 수거하여 100㎕에 동량의 Griess 시약(G4410, Sigma)을 섞어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Sunrise-Basic Tecan, TECAN)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sodium nitrite의 농도별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NO의 생성량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또한 수거한 상층액으로 TNF-a 및 IL-6 사이토카인을 ELISA kit (R&D System,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의 NO생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추출물을 전 처리한 결과, 12.5μg/㎖, 25μg/㎖, 50μg/㎖ 농도에서 nitrite의 생성량이 각각 15μM, 9μM, 2μM 의 농도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NO생성에 대한 IC50는 16.8μM이었다.
사이토카인을 정량한 결과, 도 2와 같이, LPS를 처리한 세포상층액에서는 TNF-a의 경우 34.43 ng/㎖로 크게 증가되었으나,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25μg/㎖, 50μg/㎖, 100μg/㎖)을 전 처리한 세포상층액에서 27.77 ng/㎖, 24.65 ng/㎖, 22.72 ng/㎖로 TNF-a 생성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인 억제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IL-6 사이토카인을 정량한 결과 LPS를 처리한 세포 상층액에서는 IL-6의 생성량이 3032 pg/㎖로 크게 증가되었으나,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12.5μg/㎖, 25μg/㎖, 50μg/㎖)을 전 처리한 세포 상층액에서 1259 pg/㎖, 721 pg/㎖, 98 pg/㎖로 IL-6 생성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인 억제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b- hexaminidase (b-Hex) 방출 억제 측정
상기 실시예의 얻은 BMMC의 탈과립 지표(marker)물질인 β-Hex 효소 활성 측정을 통해 탈과립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하였다(Son JK et al, Ginkgetin, a Biflavone from Ginko biloba leaves, inhibits cyclooxygenases-2 and 5-lipoxygenase in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Biol Pharm Bull 2005, 28(12):2181-84).
2X105 cells/well의 BMMC에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 하여 37℃, 5% CO2 조건 하에서 30분 동안 전배양한 후에 KL(100ng/㎖) (c-kit ligand, STEMCELL Technologies, Vancouver, Canada)로 자극하여 15분간 배양하고 3000rpm, 4℃ 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β-hex 기질[100mM citrate buffer (citric acid 0.955%, sodium citrate dihydrate 1.478%, pH 4.5), 1.3mg/㎖ p-nitrophenyl-N-acetyl-b-D-glucosaminide]와 1:2(w/v)의 혼합비로 혼합시키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 시킨 후에 0.2M glycine(pH 10.7) (Sigma 사)으로 반응을 정지시켜 ELISA 판독기(Tecan System, San Jose, CA, USA)를 사용하여 40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분비율(release %)로 환산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은 6.25㎍/㎖, 12.5㎍/㎖, 25 ㎍/㎖의 농도에서 각각 57%, 64%, 72% 저해를 하였으며, β-Hex에 대한 IC50는 3.2 mg/㎖이었다.
류코트리엔 ( Leukotriene , LT ) 생성량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류코트리엔(Leukotriene, LT) 생성량에 대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Hua JM et al., 14.5-Methoxy-8-(2-hydroxy-3-buthoxy-3-methylbutyloxy)-psoralen isolated from Angelica dahurica inhibits cyclooxygenase-2 and 5-lipoxygenase in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Arch Pharm Res 2008, 31:617-621).
LT 생성을 확인하기 위해 1X106 cells/㎖ BMMC에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여 37℃, 5% CO2 조건하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고 SCF를 50ng/㎖농도로 15분간 자극하여 3000 rpm, 4℃에서 5분간 원심분리기(Centrifuge 5415R, Eppendorf)로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그 상층액 중 LTC4 함량을 LTC4-EIA kit(Caym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SCF에 의해 자극된 세포에서는 LTC4의 생성량이 급격히 증가 (76.74 ng/㎖)하였다.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의 LTC4생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 처리한 결과, LTC4의 생성량은 6.25㎍/㎖, 12.5㎍/㎖, 25㎍/㎖ 세 농도에서 생성량이 각각 47.57 ng/㎖, 40.96 ng/㎖, 28.25 ng/㎖ 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LTC4의 생성에 대한 IC50는 13.1㎍/㎖이었다.

Claims (3)

  1.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송엽과 토복령을 에탄올에 침지시킨 후 추출액을 수득하는 과정을 1~5회 반복 실시하는 방법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에탄올에 50~70℃에서 18~30시간 침지시킨 후 상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는 과정을 반복 실시하는 방법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150050697A 2015-04-10 2015-04-10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KR20160121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697A KR20160121696A (ko) 2015-04-10 2015-04-10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697A KR20160121696A (ko) 2015-04-10 2015-04-10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696A true KR20160121696A (ko) 2016-10-20

Family

ID=5725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697A KR20160121696A (ko) 2015-04-10 2015-04-10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169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889A (ko) 2010-12-31 2012-07-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엽 또는 송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61626B1 (ko) 2012-09-25 2014-02-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KR20140040184A (ko) 2014-01-03 2014-04-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KR20140040183A (ko) 2014-01-03 2014-04-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889A (ko) 2010-12-31 2012-07-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엽 또는 송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61626B1 (ko) 2012-09-25 2014-02-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KR20140040184A (ko) 2014-01-03 2014-04-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KR20140040183A (ko) 2014-01-03 2014-04-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ntijo et al. Biological and chemical aspects of natural biflavonoids from plants: a brief review
Chagas et al. Syzygium cumini (L.) skeels: a prominent source of bioactive molecules against cardiometabolic diseases
Gupta et al. Pharmacological potential of Matricaria recutita-A review
Sharma et al. Antidiabetic and antihyperlipidemic activity of Cucurbita maxima Duchense (pumpkin) seeds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P2013508352A (ja) アセトゲニンを含む抽出物、フラクションおよび組成物ならびにそれらの応用
Odubanjo et al. Seed extracts from Myristica fragrans (Nutmeg) and Moringa oleifera (Drumstick tree) inhibits enzymes relevant to erectile dysfunction and metal‐induced oxidative damage in rats' penile tissues
Devi et al. Madhuca longifolia (Sapotaceae): A review of its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file
KR101756943B1 (ko)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rivastava et al. Pharmacognostic and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Hyssopus officinalis L.(Lamiaceae) collected from Kashmir Himalayas, India
Yoon et al. Evaluation of solvent extraction on the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Glycyrrhiza uralensis
KR20170054882A (ko) 엉겅퀴 잎 약학적 조성물
Abdulazeez et al. Parti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lkaloids and flavonoids from the leaves and seeds of Moringa oleifera
Putra et al. Benefits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of Portulaca oleracea as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 Review
KR20230024305A (ko) 죽엽 추출물 또는 트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변성질환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HS et al. An in vitro study of cinnamomumzeylanicum as natural inhibitor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on sheep (ovisaries) tissues
KR20160121696A (ko) 송엽과 토복령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Nwaehujor et al. The wound healing activities of Garcinia hydroxybiflavanonol (GB1) from Garcinia kol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Ismail et al. Solvent partition for terpenoid rich fraction from crude extract of Eurycoma longifolia
Bunluepuech et al. Inhibition on HIV-1 integrase activity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compounds from Ficus glomerata
KR20180064103A (ko)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용 약학적 조성물
Ngoc Water-Based Extraction of Bioactive Principles from Hawthorn, Blackcurrant Leaves and Chrysanthellum Americanum: from Experimental Laboratory Research to Homemade Preparations
Ayanniyi et al. Evaluation of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leaf extract of Turraea vogelli Hook. f. ex. Benth.
KR20170128660A (ko) 내복자, 나한과 및 등심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73173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50040423A (ko)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