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606A -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606A
KR20160120606A KR1020150049896A KR20150049896A KR20160120606A KR 20160120606 A KR20160120606 A KR 20160120606A KR 1020150049896 A KR1020150049896 A KR 1020150049896A KR 20150049896 A KR20150049896 A KR 20150049896A KR 20160120606 A KR20160120606 A KR 20160120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ynamic image
image data
vo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운
박윤선
Original Assignee
김성운
박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운, 박윤선 filed Critical 김성운
Priority to KR102015004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606A/ko
Publication of KR20160120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stimating an emotional 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에 부착된 음성 및 영상 장치를 통해 상담 대상자와 상담 전문가 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상 유닛; 상기 대상 유닛에 탈부착하여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모바일 단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METHOD PROVIDING OF TWO-WAY COMMUNICATION FOR REMOTE CONSULTING,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구에 부착된 음성 및 영상 장치를 통해 외부에 있는 단말과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담은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상에서 상담 전문가와 상담 대상자 사이에서 진행된다. 상담 전문가는 고객의 문제를 듣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궁금증을 풀어주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이고, 상담 대상자는 아동, 청소년, 성인 등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상담은 상담 전문가와 상담 대상자가 각각 서로의 얼굴을 촬영하는 영상을 보고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대화를 주고받으며 진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담 방법은 아동 또는 마음에 상처가 있는 상담 대상자가 상담 전문가를 기피하여 다가가기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에서 성폭력이나 폭행 등은 피해자의 진술을 받기 어렵고 아동의 심리 상태가 순간 순간마다 변하기 때문에 불안한 심리상태에서 동일한 진술 및 정확한 사실을 알아내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상담 전문가는 상담 시 아동에게 친숙한 말하는 인형 등을 활용하여 질문을 할 수 있으나, 기존 말하는 인형의 경우 음성을 텍스트 형태로 변경 및 어휘를 분석하여 기계적으로 대화를 하는 정보의 기술적 한계가 있어 상담을 목적으로 하는 대화에는 역시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4850호(2005.11.03)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8444호(2013.11.06)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완구에 부착된 음성 및 영상 장치를 통해 상담 대상자와 상담 전문가 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담 대상자의 성향에 따라 상담 전문가의 음성을 변조하여 상담 대상자의 심리적 친근감 및 안정감을 유발하고 내면의 속마음을 말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담 대상자를 촬영한 상담 영상을 저장하여 상담 대상자의 심리를 파악하고, 필요 시 증거 자료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대상 유닛; 상기 대상 유닛에 탈부착하여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모바일 단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특정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제어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 유닛은 일정 크기 이상의 면적을 가지는 완구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을 내부에 수용하거나 또는 외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모바일 단말 각각은 영상 입력부, 영상 출력부, 음성 입력부, 음성 출력부 및 음성 변조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변조부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연관된 제1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음성 입력 속성을 기초로 상기 제2 음성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를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측정부는 상기 대상 유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심장박동 측정 센서 및 스트레스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센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전원, 볼륨, 카메라, 디스플레이 화면 및 상기 센서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모바일 단말은 무선통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2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파형을 분석하여 기 저장된 음성 패턴 항목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음성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패턴에 대응하는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는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제1 모바일 단말과 제2 모바일 단말 간의 연결 여부를 체크하는 단말 연결 단계; 상기 단말 연결 단계에 의해 연결이 되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특정 음성으로 변조하고, 상기 제2 음성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제1 모바일 전송 단계; 및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모바일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계 의해 연결이 되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센서 측정부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 간의 페어링을 허용하는 센서 페어링 단계; 및 상기 센서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센싱 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제어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 또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를 상기 커뮤니케이션 제어 서버에 전송하는 서버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제1 모바일 단말과 제2 모바일 단말 간의 연결 여부를 체크하는 기능; 상기 연결이 되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특정 음성으로 변조하고, 상기 제2 음성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완구에 부착된 음성 및 영상 장치를 통해 상담 대상자와 상담 전문가 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상담 대상자의 성향에 따라 상담 전문가의 음성을 변조하여 상담 대상자의 심리적 친근감 및 안정감을 유발하고 내면의 속마음을 말할 수 있도록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상담 대상자를 촬영한 상담 영상을 저장하여 상담 대상자의 심리를 파악하고, 필요 시 증거 자료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통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에서 제1 모바일 단말과 제2 모바일 단말 간의 연결을 통한 상담 진행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은 대상 유닛(100); 상기 대상 유닛(100)에 탈부착하여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모바일 단말(200);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하는 제2 모바일 단말(300)을 포함한다.
또한,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 또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특정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제어 서버(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대상 유닛(100)은 일정 크기 이상의 면적을 가지는 완구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을 내부에 수용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 유닛(100)은 인형으로 구현되어 인형의 입 부분에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을 포켓 형식으로 수용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을 탈부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은 상기 대상 유닛(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 배터리 부족 시 상기 대상 유닛(100)으로부터 추출되어 충전되거나 또는 상기 대상 유닛(100)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 연결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 유닛(100)에 수용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유닛(100)은 특정 위치에 IoT(Internet of Things)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IoT 센서는 상기 대상 유닛(100)에 부착되어 센서 측정부(250)에 의한 제어에 따라 제1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를 측정한다. IoT 센서는 심장박동 측정 센서 및 스트레스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심장박동 측정 센서 또는 스트레스 측정 센서는 상기 대상 유닛(100)의 몸통부에 부착되어 상기 센서 측정부(250)에 의해 전원이 켜지면 제1 사용자(즉, 상담 대상자)와의 접촉을 통해 제1 사용자의 심장박동 또는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장박동 측정 센서는 제1 사용자의 심장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유닛(100)의 몸통부에 위치되어 제1 사용자가 상기 대상 유닛(100)을 껴안음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심장박동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 측정 센서는 상기 대상 유닛(100)의 팔(구체적으로, 손)에 위치되어 제1 사용자가 상기 대상 유닛(100)과 악수함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유닛(100)은 상담이 필요한 제1 사용자에게 친근감을 유발할 수 있는 대상이라면 특별히 완구로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구성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은 상담을 원하는 제1 사용자에 의해 소지될 수 있고, 상기 대상 유닛(100)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외부에서 탈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은 원격 상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통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과 연결되어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은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장치 및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은 제1 영상 입력부(210), 제1 영상 출력부(220), 제1 음성 입력부(230), 제1 음성 출력부(240) 및 센서 측정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210)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에 구비된 촬영 수단(예를 들어, 카메라)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제1 사용자(즉, 상담 대상자에 해당함)를 촬영하여 제1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출력부(220)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성 입력부(230)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에 구비된 음성 입력 수단(예를 들어, 마이크)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제1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제1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성 출력부(240)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에 구비된 음성 출력 수단(예를 들어, 스피커)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음성을 기초로 변경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측정부(250)는 심장박동 측정 센서 및 스트레스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IoT 센서에 의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센서 측정부(250)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의 제어에 따라 제1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된 정보를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측정부(250)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에 포함되어 상기 대상 유닛(100)에 구비된 IoT 센서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IoT 센서에서 측정된 센싱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과 연결되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제2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은 무선통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통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는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의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는 상기 대상 유닛(100)이 인형에 해당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이 인형의 입 부분에 탈부착 가능한 경우, 인형의 입 형상을 가지고 동적으로 움직이는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음성 데이터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의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기초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의 음성 변조부(350)에서 변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는 상기 대상 유닛(100)이 인형에 해당하는 경우, 인형의 캐릭터에 어울리는 음성으로 변조될 수 있다.
한편, 제2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2 음성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의 제2 사용자의 음성에 따라 입 형상의 디스플레이 영상이 동시에 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상담을 진행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또는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2 사용자에 의해 소지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모바일 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원격 상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통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과 연결되어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장치 및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제2 영상 입력부(310), 제2 영상 출력부(320), 제2 음성 입력부(330), 제2 음성 출력부(340) 및 음성 변조부(3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식별 번호(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과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 간의 전체 대화 내용 및 촬영 영상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제어 서버(400)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310)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에 구비된 촬영 수단(예를 들어, 카메라)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의 제2 사용자(즉, 상담 전문가에 해당함)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영상 입력부(310)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에서 필요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출력부(320)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제1 영상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제1 동적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출력부(320)는 제1 동적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성 입력부(330)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에 구비된 음성 입력 수단(예를 들어, 마이크)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의 제2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제2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음성 입력부(330)는 생성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음성 변조부(35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제2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파형을 분석하여 기 저장된 음성 패턴 항목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음성 패턴을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음성 패턴에 대응하는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제1 영상 출력부(220)가 입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 저장된 음성 패턴 항목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 형상 패턴을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입 형상 패턴을 기초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제2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한다.
상기 제2 음성 출력부(340)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에 구비된 음성 출력 수단(예를 들어, 스피커)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제1 음성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제1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성 출력부(340)는 제1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변조부(350)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에 대한 사용자 음성 입력 속성(여기에서, 사용자 음성 입력 속성은 다양한 음성 항목을 가지며,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 또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에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됨)을 기초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제2 음성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를 변형하여 변조된 음성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 변조부(350)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 또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음성(예를 들어, 만화 캐릭터 음성)으로 제2 음성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에서 제2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입 형상의 영상)를 생성하고 음성을 변조(예를 들어, 만화 캐릭터 음성)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 또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에 대한 원격으로 전원, 볼륨, 카메라, 디스플레이 화면 및 상기 센서 측정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과 연결되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상기 센서 측정부(250)에서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영상 출력부(320)를 통해 측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따라 제1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제어 서버(400)는 외부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서버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 또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특정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 특정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또는 제3의 사용자(예를 들어, 병원 또는 경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은 제1 모바일 단말(200)과 제2 모바일 단말(300) 간의 연결 여부를 체크하는 단말 연결 단계(S110); 상기 연결이 되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센서 측정부(250)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 간의 페어링을 허용하는 센서 페어링 단계(S120, S130);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특정 음성으로 변조하고, 상기 제2 음성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하는 제1 모바일 전송 단계(S140); 상기 센서 측정부(250)에서 측정된 정보를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에 제공하는 센싱 정보 제공 단계(S150);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하는 제2 모바일 전송 단계(S160); 및 커뮤니케이션 제어 서버(400)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 또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을 통해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를 상기 커뮤니케이션 제어 서버(400)에 전송하는 서버 전송 단계(S17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단계 S130 내지 S17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은, 상담 대상자와 친숙한 음성으로 상담 전문가의 음성을 변조하여 상담 대상자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내면의 속마음과 진실을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은 상담 대상자 소유의 모바일 단말(즉, 제1 모바일 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상담 대상자의 현재 상황이나 표정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 적절한 상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담 대상자와 상담 전문가 간의 상담 영상을 저장하여 재 상담시 참고하거나 또는 법정과 같은 자리에서 증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통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은 상기 대상 유닛(100)이 인형에 해당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과 연관된 상담 대상자가 아동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상담 전문가는 상담 대상자의 상담을 위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전원을 키고 원격으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의 전원을 켜서 상담을 준비한다. 제1 및 제2 모바일 단말(200, 300)은 각각 페어링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담 전문가는 제2 모바일 단말(300)에서 상담과 연관된 원격 상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동시에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과 대화를 위한 이벤트를 호출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을 원격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상담 전문가로부터 입력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한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센서 측정부(250)를 제어하여 센서 측정부(250)에서 상기 대상 유닛(100)에 부착된 IoT 센서를 제어하도록 하고 IoT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에 대한 현재 심리 상태를 상기 센서 측정부(250)를 통해 수신한다.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에서 특정 음성으로 변환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담 대상자인 아동에게 전달한다.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은 상담 대상자의 상담 영상을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상담 영상을 저장하여 상담 전문가가 상담 결과를 정리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과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 간의 대화 내용 및 상담 영상은 커뮤니케이션 제어 서버(400)에 전송 및 저장되어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에서 제1 모바일 단말과 제2 모바일 단말 간의 연결을 통한 상담 진행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로 페어링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과 연결된다.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은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에 전송한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제1 또는 제2 사용자 설정에 따른 음성으로 제2 음성 데이터의 음성을 변조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에 전송한다.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은 제2 동적 영상 데이터 및 변조된 음성을 출력한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센서 측정부(250)를 제어하여 IoT 센서를 통해 제1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를 측정하도록 하고 IoT 센서에서 측정된 센싱 결과를 상기 센서 측정부(250)로부터 수신 및 출력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대상 유닛 200: 제1 모바일 단말
210: 제1 영상 입력부 220: 제1 영상 출력부
230: 제1 음성 입력부 240: 제1 음성 출력부
250: 센서 측정부 300: 제2 모바일 단말
310: 제2 영상 입력부 320: 제2 영상 출력부
330: 제2 음성 입력부 340: 제2 음성 출력부
350: 음성 변조부 400: 커뮤니케이션 제어 서버

Claims (16)

  1. 대상 유닛;
    상기 대상 유닛에 탈부착하여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모바일 단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특정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제어 서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유닛은 일정 크기 이상의 면적을 가지는 완구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을 내부에 수용하거나 또는 외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모바일 단말 각각은 영상 입력부, 영상 출력부, 음성 입력부 및 음성 출력부, 음성 변조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변조부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연관된 제1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음성 입력 속성을 기초로 상기 제2 음성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를 변형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측정부는
    상기 대상 유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심장박동 측정 센서 및 스트레스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센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를 측정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전원, 볼륨, 카메라, 디스플레이 화면 및 상기 센서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모바일 단말은
    무선통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2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파형을 분석하여 기 저장된 음성 패턴 항목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음성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패턴에 대응하는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는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시스템.
  13. 제1 모바일 단말과 제2 모바일 단말 간의 연결 여부를 체크하는 단말 연결 단계;
    상기 단말 연결 단계에 의해 연결이 되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특정 음성으로 변조하고, 상기 제2 음성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제1 모바일 전송 단계; 및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모바일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계 의해 연결이 되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센서 측정부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 간의 페어링을 허용하는 센서 페어링 단계; 및
    상기 센서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센싱 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제어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 또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를 상기 커뮤니케이션 제어 서버에 전송하는 서버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16. 제1 모바일 단말과 제2 모바일 단말 간의 연결 여부를 체크하는 기능;
    상기 연결이 되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특정 음성으로 변조하고, 상기 제2 음성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동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1 동적 영상 데이터 및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049896A 2015-04-08 2015-04-08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60120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896A KR20160120606A (ko) 2015-04-08 2015-04-08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896A KR20160120606A (ko) 2015-04-08 2015-04-08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606A true KR20160120606A (ko) 2016-10-18

Family

ID=5724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896A KR20160120606A (ko) 2015-04-08 2015-04-08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60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262A (ko) *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더에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2071948B1 (ko) * 2018-10-12 2020-01-31 이상재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KR102216905B1 (ko) * 2020-01-31 2021-02-17 임시원 개인화된 영상 및 음성 제공을 통해 심리 변화 추적이 가능한 심리 상담 방법
KR102216892B1 (ko) * 2020-01-31 2021-02-17 임시원 실시간 영상 맵핑을 통해 개인화된 영상 상담이 가능한 심리 상담 방법
KR102216899B1 (ko) * 2020-01-31 2021-02-17 임시원 실시간 영상 및 음성 맵핑을 통해 개인화된 상담이 가능한 심리 상담 방법
KR102216904B1 (ko) * 2020-01-31 2021-02-17 임시원 개인화된 영상 제공을 통해 심리 변화 추적이 가능한 심리 상담 방법
WO2021033811A1 (ko) * 2019-08-22 2021-02-25 이상재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850A (ko) 2004-04-29 2005-11-03 (주)미디엠비 자동빌링 VoIP 화상상담 시스템
KR101328444B1 (ko) 2011-04-19 2013-11-14 (주)언이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양방향 고객 상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850A (ko) 2004-04-29 2005-11-03 (주)미디엠비 자동빌링 VoIP 화상상담 시스템
KR101328444B1 (ko) 2011-04-19 2013-11-14 (주)언이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양방향 고객 상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262A (ko) *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더에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2071948B1 (ko) * 2018-10-12 2020-01-31 이상재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WO2021033811A1 (ko) * 2019-08-22 2021-02-25 이상재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KR102216905B1 (ko) * 2020-01-31 2021-02-17 임시원 개인화된 영상 및 음성 제공을 통해 심리 변화 추적이 가능한 심리 상담 방법
KR102216892B1 (ko) * 2020-01-31 2021-02-17 임시원 실시간 영상 맵핑을 통해 개인화된 영상 상담이 가능한 심리 상담 방법
KR102216899B1 (ko) * 2020-01-31 2021-02-17 임시원 실시간 영상 및 음성 맵핑을 통해 개인화된 상담이 가능한 심리 상담 방법
KR102216904B1 (ko) * 2020-01-31 2021-02-17 임시원 개인화된 영상 제공을 통해 심리 변화 추적이 가능한 심리 상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0606A (ko)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US11241789B2 (en) Data processing method for care-giving robot and apparatus
US20220337693A1 (en) Audio/Video Wearable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Projector
US20180124497A1 (en) Augmented Reality Sharing for Wearable Devices
US20180123813A1 (en) Augmented Reality Conferencing System and Method
CN110136499A (zh) 机器人辅助互动***及其方法
US11848016B2 (en) Voice control command generation method and terminal
WO2022193989A1 (zh) 电子设备的操作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WO2016178329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WO201713048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521415A (ja) 心肺蘇生連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及びシステム
JP6882797B2 (ja) 会議システム
KR20170085732A (ko) 감정교류형 스마트 요람 시스템 및 그의 제공방법
WO2022068650A1 (zh) 指示听诊位置的方法及设备
CN110178159A (zh) 具有集成式投影仪的音频/视频可穿戴式计算机***
JP2021108046A (ja) 学習支援システム
KR20130122300A (ko) 통화 중 감정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637007A (zh) 一种应用认知度***的统计分析***
US201801975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30402150A1 (en) Adaptive Action Evalu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685990B1 (ko)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200028521A (ko) 아기 주변 영역을 이용한 아기의 감정 상태 증강 방법
WO20221698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dynamic augmented reality based instructions from a remote location on the basis of sensory feedback acquired from the target environment
JP2003162188A5 (ko)
CN103559813B (zh) 一种应用认知度方法的统计分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