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025A -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025A
KR20160118025A KR1020150046254A KR20150046254A KR20160118025A KR 20160118025 A KR20160118025 A KR 20160118025A KR 1020150046254 A KR1020150046254 A KR 1020150046254A KR 20150046254 A KR20150046254 A KR 20150046254A KR 20160118025 A KR20160118025 A KR 20160118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composite
polymer material
strain
substrat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195B1 (ko
Inventor
이내응
황병웅
쾅 트룽 트란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6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195B1/ko
Priority to US15/072,845 priority patent/US20160290780A1/en
Publication of KR2016011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01L1/2287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8Processes for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Abstract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가 개시된다.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금속 나노와이어들, 제1 폴리머 물질 및 제2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체층; 및 상기 나노 복합체층 상에 배치되고 제3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나노 복합체층 내부에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STRAIN SENSOR USING NANO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은 나노와이어 기반의 변형률 감지센서는 은 나노와이어에 신축성이 좋은 폴리우레탄이나 폴리디메틸실록사인(polydimethylsiloxane, PDMS)을 혼합하여 제작되었다. 은 나노와이어는 높은 전도도를 가지며, 기계적 변형에 의해 은 나노와이어 간의 접촉저항 변화에 기인하여 변형률을 감지하는 센서에 적용이 시도되고 있으나, 충분한 변형에 대한 민감도와 전도도를 가지려면 은나노와이어의 농도가 높아야 되고, 따라서 투과도에 악영향을 주게 되어, 민감도와 광학적 투과도를 모두 만족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변형률 감지센서는 기계적 변형에 취약하여 반복적인 변형을 가해주면 센서 표면에 금이 가거나 박리현상 등이 일어나 센서 특성이 악화되고, 결국 센서의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종래의 변형률 감지 센서는 크기가 큰 변형률은 잘 감지하나, 크기가 작은 변형률에서는 저항 변화가 거의 없어 인간의 피부 움직임과 같은 미세 변형률을 감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변형률 감지 센서는 민감도를 높이기 위한 패터닝 기술, 나노필러의 정렬 기술 등 복잡한 기술을 이용하여 변형률 감지 센서를 제작하였기에 제작이 어렵고 공정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광학적 투과도와 민감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공정으로 변형률 감지센서를 제작할 수 있는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학적 투과도와 민감도를 동시에 만족하면서도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금속 나노와이어들, 제1 폴리머 물질 및 제2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체층; 및 상기 나노 복합체층 상에 배치되고 제3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나노 복합체층 내부에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1 폴리머 물질 및 상기 제2 폴리머 물질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폴리머 물질은, 폴리(3,4-에틸렌 디옥시티오펜):폴리(4-스티렌설포네이트)(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4-styrenesulfonate), PEDOT:PSS),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 폴리피롤(polypyrole)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2 폴리머 물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기판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3 폴리머 물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금속 나노와이어들, 제1 폴리머 물질 및 제2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 복합체층 상에 제3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나노 복합체층 내부에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나노 복합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을 산소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스핀코팅하고 제1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이 랜덤하게 배치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폴리머 물질 및 상기 제2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스핀코팅하고 제2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용액의 스핀코팅은 회전속도 200 내지 400rpm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2 용액의 상기 제1 폴리머 물질의 농도는 10 내지 50%이고, 상기 제2 용액의 상기 제2 폴리머 물질의 농도는 50 내지 90%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3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제3 용액을 상기 나노 복합체층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스핀코팅하고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열처리하는 단계는, 50 내지 12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2 열처리하는 단계는, 질소(N2) 분위기에서, 50 내지 12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한 후 120 내지 200℃에서 60 내지 12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투명도 및 민감도를 모두 만족시키면서도 민감한 변형률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투명하고 변형률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인체에 부착하여 피부, 관절 등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삼성분계 나노복합체를 이용함으로써 은 나노와이어의 기계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반복적인 변형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변형률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항변화율을 통하여 변형률 감지센서의 변형형태를 예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방식과 저렴한 비용으로 변형률 감지센서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투과도를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를 40%의 변형률로 10,000번 스트레칭(stretching)하면서 저항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를 40%의 변형률로 10,000번 스트레칭(stretching)한 후의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에 가해지는 스트레인의 크기(ε)를 변화시키면서 압축하여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중앙부분이 인장되는 경우에 저항변화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에 가해지는 스트레인의 크기(ε)를 변화시키면서 압축하여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중앙부분이 압축되는 경우에 저항변화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에 가해지는 스트레인의 크기(ε) 변화시키면서 인장한 경우에 저항변화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스핀코팅하는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기판 상에 은 나노와이어들을 랜덤하게 배치한 경우에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투과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PEDOT:PSS와 폴리우레탄의 농도를 달리하여 은 나노와이어들 상에 스핀코팅한 경우에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저항변화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100)는 기판(10), 나노 복합체층(20) 및 보호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은 투명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0)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노 복합체층(20)은 기판(1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은 나노와이어(22)들, 제1 폴리머 물질 및 제2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삼성분계(ternary system) 나노 복합체층(20)일 수 있다. 제1 폴리머 물질은 투명하고 신축성을 가지며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일 수 있고, 일 예로 폴리(3,4-에틸렌 디옥시티오펜):폴리(4-스티렌설포네이트)(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4-styrenesulfonate), PEDOT:PSS),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 폴리피롤(polypyrole)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제1 폴리머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폴리머 물질은 투명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예로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제2 폴리머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금속 나노와이어(22)들은 나노 복합체층(20) 내부에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나노 복합체층(20) 내의 금속 나노와이어(22)들의 농도는 나노 복합체층(20)의 광학적 투과도와 전도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금속 나노와이어(22)들 사이의 공간을 제1 폴리머 물질 및 제2 폴리머 물질이 채워주면서 하나의 나노 복합체층(20)이 형성되기 때문에 금속 나노와이어(22)들 만을 기판(10) 상에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금속 나노와이어(22)들의 기계적 안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나노 복합체층(20)은 전도성의 특성을 가지는 제1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금속 나노와이어(22)들만 사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전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예로 금속 나노와이어(22)로는 금, 은, 구리, 니켈, 백금 나노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층(30)은 투명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제3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호층(30)은 주변 환경 예를 들면 산소, 수분, 이물질 등 외부 공기 중의 오염원이 나노 복합체층(20)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나노 복합체층(20)의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폴리머 물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호층(30)은 상기 제1 폴리머 물질 및 상기 제2 폴리머 물질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폴리머 물질 및 상기 제2 폴리머 물질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100)의 기계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은 기판(10) 상에 금속 나노와이어(22)들, 제1 폴리머 물질 및 제2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체층(20)을 형성하는 단계(S100) 및 나노 복합체층(20) 상에 제3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30)을 형성하는 단계(S200)을 포함할 수 있고, 제조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금속 나노와이어(22)들은 나노 복합체층(20) 내부에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기판(10) 상에 금속 나노와이어(22)들, 제1 폴리머 물질 및 제2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체층(20)을 형성하는 단계(S100)는 투명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기판(10)을 산소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S110),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기판(10) 상에 금속 나노와이어(22)들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스핀코팅하고 제1 열처리하는 단계(S120) 및 금속 나노와이어(22)들이 랜덤하게 배치된 기판 상에 제1 폴리머 물질 및 제2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스핀코팅하고 제2 열처리하는 단계(S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유연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기판(10)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10)을 산소 플라즈마 처리한다(S110). 일 예로 유연하고 투명한 기판(10)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통하여 기판(10)의 표면이 소수성에서 친수성으로 변경될 수 있고,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하여 기판(10) 상에 나노 복합체층(20)을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기판(10) 상에 금속 나노와이어(22)들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스핀코팅하고 제1 열처리한다(S120). 일 예로 약 30㎛의 길이를 가지는 은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은 나노와이어 용액을 기판(10) 상에 스핀코팅 한 후 50 내지 12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기판(10) 상에 은 나노와이어들을 랜덤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0) 상에 상기 제1 용액의 스핀코팅 회전속도를 약 200 내지 400rpm로 설정하여 기판(10) 상에 은 나노와이어들을 랜덤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스핀코팅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은 나노와이어들이 기판(10)상에 적층되는 두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두께의 차이에 따라 적층된 은 나노와이어들의 면저항이 변경될 수 있다. 약 67% 이상의 광학적 투과도와 적절한 면저항을 갖기 위하여 상기 제1 용액의 스핀코팅 회전속도는 약 200 내지 400rpm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금속 나노와이어(22)들이 랜덤하게 배치된 기판(10) 상에 제1 폴리머 물질 및 제2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스핀코팅하고 제2 열처리한다(S130). 일 예로 제1 폴리머 물질로는 폴리(3,4-에틸렌 디옥시티오펜):폴리(4-스티렌설포네이트)(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4-styrenesulfonate), PEDOT:PSS),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 폴리피롤(polypyrole)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제2 폴리머 물질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용액의 제1 폴리머 물질의 농도는 약 10 내지 50%이고, 제2 용액의 제2 폴리머 물질의 농도는 약 50 내지 90%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100)가 인장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저항이 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PEDOT:PSS와 폴리우레탄이 혼합되어 있는 용액을 은 나노와이어들이 배치된 기판(10) 상에 스핀코팅한 후, 질소(N2) 분위기에서 상기 기판(10)을 50 내지 12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한 후 120 내지 200℃에서 60 내지 12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은 나노와이어들이 내부에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고, 은 나노와이어, PEDOT:PSS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삼성분계 나노 복합체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나노 복합체층(20) 상에 제3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30)을 형성한다(S200). 일 예로 제3 폴리머 물질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제3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제3 용액을 나노 복합체층(20)이 형성된 기판(10) 상에 스핀코팅하고 열처리함으로써 보호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투과도를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는 약 380㎚ 이상인 가시광선 및 자외선 파장 영역에서 투과율이 약 75%로 측정되었으며 우수한 투과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를 40%의 변형률로 10,000번 스트레칭(stretching)하면서 저항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의 큰 변형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를 10,000번 반복 스트레칭한 경우 스트레칭 횟수의 증가에 따라 저장 변화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저항 변화율은 약 30 내지 80% 사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는 스트레칭 횟수가 증가하여도 기계적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를 40%의 변형률로 10,000번 스트레칭(stretching)한 후의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40%의 큰 변형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를 10,000번 반복 스트레칭한 경우에도 나노 복합체층 표면에 금이 가거나 은 나노와이어들이 부러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는 반복적인 사용에 의하여도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에 가해지는 스트레인의 크기(ε)를 변화시키면서 압축하여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중앙부분이 인장되는 경우에 저항변화율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에 가해지는 스트레인의 크기(ε)를 변화시키면서 압축하여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중앙부분이 압축되는 경우에 저항변화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가 압축되어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솟아오르는 경우에는 저항변화율이 음(-)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가 압축되어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만곡되는 경우에는 저항변화율이 양(+)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에서 나타나는 저항변화율이 음(-) 또는 양(+)의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솟아오르거나 오목하게 만곡되는지 여부를 예상할 수 있어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변형 형태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변형률 감지센서는 스트레인의 크기(ε)가 약 10% 정도 차이가 나는 경우에 저항변화율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는 스트레인의 크기(ε)가 0.5% 변경되어도 저항변화율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변형률 감지 센서에 비하여 민감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에 가해지는 스트레인의 크기(ε) 변화시키면서 인장한 경우에 저항변화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트레인의 크기(ε)를 10% 에서 60% 까지 10% 크기 차이를 두고 인장한 경우에 저항변화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변형률 감지 센서는 스트레인의 크기가 약 10% 차이가 나는 경우에 변형률을 감지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도 기존의 변형률 감지 센서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9는 스핀코팅하는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기판 상에 은 나노와이어들을 랜덤하게 배치한 경우에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투과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속도 약 200rpm으로 기판 상에 은 나노와이어들을 스핀코팅한 경우에는 파장이 약 300㎚인 경우에 투과도가 약 67.37%로 측정되었고, 회전속도 약 250rpm으로 기판 상에 은 나노와이어들을 스핀코팅한 경우에는 파장이 약 300㎚인 경우에 투과도가 약 72.7%으 측정되었다. 또한, 회전속도 약 300rpm으로 기판 상에 은 나노와이어들을 스핀코팅한 경우에는 파장이 약 300㎚인 경우에 투과도가 약 75.83%로 측정되었고, 회전속도 약 400rpm으로 기판 상에 은 나노와이어들을 스핀코팅한 경우에는 파장이 약 300㎚인 경우에 약 81.38%의 투과도가 측정되었다.
표 1은 스핀코팅 회전속도에 따라 기판 상에 적층된 은 나노와이어들의 면저항을 측정한 결과이다.
은 나노와이어 스핀코팅 회전속도 면 저항
200rpm 16.91 ~ 30Ω/sq
250rpm 66 ~ 111Ω/sq
300rpm 1.4 ~ 1.6 kΩ/sq
400rpm range over
도 9 및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은 나노와이어들을 스핀코팅하는 회전속도를 약 220 내지 280rpm에서 수행함으로써 약 70% 이상의 투과도와 적절한 면저항을 갖는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0은 PEDOT:PSS와 폴리우레탄의 농도를 달리하여 은 나노와이어들 상에 스핀코팅한 경우에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의 저항변화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PEDOT:PSS의 농도가 14%이고, 폴리우레탄의 농도가 86%인 용액을 이용하여 은 나노와이어들 상에 스핀코팅한 경우에는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가 약 100% 이상 인장(elongation)되는 경우에도 저항변화율이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PEDOT:PSS의 농도가 28%이고, 폴리우레탄의 농도가 72%인 용액을 이용하여 은 나노와이어들 상에 스핀코팅한 경우 및 PEDOT:PSS의 농도가 40%이고, 폴리우레탄의 농도가 60%인 용액을 이용하여 은 나노와이어들 상에 스핀코팅한 경우에는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가 약 100% 이상 인장(elongation)되는 경우에도 저항변화율이 급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PEDOT:PSS의 농도가 14%이고, 폴리우레탄의 농도가 86%인 용액을 이용하여 은 나노와이어들 상에 스핀코팅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변형률을 감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10: 기판
20: 나노 복합체층 30: 보호층

Claims (13)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금속 나노와이어들, 제1 폴리머 물질 및 제2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체층; 및
    상기 나노 복합체층 상에 배치되고 제3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나노 복합체층 내부에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는,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1 폴리머 물질 및 상기 제2 폴리머 물질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물질은,
    폴리(3,4-에틸렌 디옥시티오펜):폴리(4-스티렌설포네이트)(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4-styrenesulfonate), PEDOT:PSS),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 폴리피롤(polypyrole)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 물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폴리머 물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7. 기판 상에 금속 나노와이어들, 제1 폴리머 물질 및 제2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 복합체층 상에 제3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나노 복합체층 내부에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는,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복합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을 산소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스핀코팅하고 제1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이 랜덤하게 배치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폴리머 물질 및 상기 제2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스핀코팅하고 제2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액의 스핀코팅은 회전속도 200 내지 400rpm에서 이루어지는,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의 상기 제1 폴리머 물질의 농도는 10 내지 50%이고,
    상기 제2 용액의 상기 제2 폴리머 물질의 농도는 50 내지 90%인,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3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제3 용액을 상기 나노 복합체층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스핀코팅하고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처리하는 단계는,
    50 내지 12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처리하는 단계는,
    질소(N2) 분위기에서, 50 내지 12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한 후 120 내지 200℃에서 60 내지 12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KR1020150046254A 2015-04-01 2015-04-01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254A KR101881195B1 (ko) 2015-04-01 2015-04-01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US15/072,845 US20160290780A1 (en) 2015-04-01 2016-03-17 Strain sensor using nano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254A KR101881195B1 (ko) 2015-04-01 2015-04-01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559A Division KR20160118159A (ko) 2016-05-26 2016-05-26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25A true KR20160118025A (ko) 2016-10-11
KR101881195B1 KR101881195B1 (ko) 2018-07-23

Family

ID=5701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254A KR101881195B1 (ko) 2015-04-01 2015-04-01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290780A1 (ko)
KR (1) KR1018811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454A (ko) 2017-02-07 2018-08-1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파괴 및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2525A (ko) * 2018-04-20 2019-10-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력-변형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4337A (ko) * 2019-01-30 2020-08-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모방형 신축성 투명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396869A (zh) * 2022-01-18 2022-04-26 山西大学 一种极端环境耐受型高灵敏度应变传感器的制备方法
KR102562695B1 (ko) * 2022-05-09 2023-08-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4908B (zh) * 2017-05-15 2020-07-14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应力传感器及其制备的方法
FR3066814B1 (fr) * 2017-05-29 2020-12-25 Nanolike Capteur de deformation monobloc et procede de mesure de la deformation d'une surface d'un solide
WO2021075648A1 (ko) 2019-10-18 2021-04-22 한국과학기술원 코어-쉘 구조의 섬유형 변형률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412809B1 (ko) * 2020-09-25 2022-06-2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장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146798B (zh) * 2020-10-08 2021-11-12 五邑大学 一种多维度微结构的柔性应力传感器的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7128A (ko) * 2007-04-20 2010-02-16 캄브리오스 테크놀로지즈 코포레이션 복합 투명 도전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34822A (ko) * 2009-09-29 2011-04-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압 플라즈마 표면처리된 폴리머 기판을 이용한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KR20110099711A (ko) * 2008-12-03 2011-09-08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코팅된 나노구조물에 기초한 다기능성 복합체
KR20110128584A (ko) * 2010-05-24 2011-11-3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18454A (ko) * 2013-03-29 2014-10-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나노와이어 기반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2235A2 (en) * 2004-06-08 2005-12-22 Nanosy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forming nanostructure monolayers and devices including such monolayers
WO2007117698A2 (en) * 2006-04-07 2007-10-18 Qd Vision, Inc. Composition including material, methods of depositing material, articles including same and systems for depositing material
US7968433B2 (en) * 2008-04-03 2011-06-28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Fabrication of nanowires and nanodevices
US8130438B2 (en) * 2008-07-03 2012-03-06 Ajjer Llc Metal coatings, conductive nanoparticles and applications of the same
US8450012B2 (en) * 2009-05-27 2013-05-28 Amprius, Inc. Interconnected hollow nanostructures containing high capacity active materials for use in rechargeable batteries
US8866265B2 (en) * 2011-10-03 2014-10-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arbon-based semiconductors
KR101400976B1 (ko) * 2012-05-16 2014-05-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 층을 포함하는 바이오 센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7128A (ko) * 2007-04-20 2010-02-16 캄브리오스 테크놀로지즈 코포레이션 복합 투명 도전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99711A (ko) * 2008-12-03 2011-09-08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코팅된 나노구조물에 기초한 다기능성 복합체
KR20110034822A (ko) * 2009-09-29 2011-04-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압 플라즈마 표면처리된 폴리머 기판을 이용한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KR20110128584A (ko) * 2010-05-24 2011-11-3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18454A (ko) * 2013-03-29 2014-10-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나노와이어 기반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454A (ko) 2017-02-07 2018-08-1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파괴 및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2525A (ko) * 2018-04-20 2019-10-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력-변형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4337A (ko) * 2019-01-30 2020-08-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모방형 신축성 투명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396869A (zh) * 2022-01-18 2022-04-26 山西大学 一种极端环境耐受型高灵敏度应变传感器的制备方法
CN114396869B (zh) * 2022-01-18 2023-09-22 山西大学 一种极端环境耐受型高灵敏度应变传感器的制备方法
KR102562695B1 (ko) * 2022-05-09 2023-08-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90780A1 (en) 2016-10-06
KR101881195B1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195B1 (ko)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8159A (ko)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Savagatrup et al. Plasticization of PEDOT: PSS by common additives for mechanically robust organic solar cells and wearable sensors
Lipomi et al. Electronic properties of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of PEDOT: PSS on stretchable substrates
Wang et al. Mechanically flexible conductors for stretchable and wearable e‐skin and e‐textile devices
Wu et al. Strategies for designing stretchable strain sensors and conductors
White et al. Low‐Cost, facile, and scalable manufacturing of capacitive sensors for soft systems
Chatterjee et al. Electrically conductive coatings for fiber-based e-textiles
Woo et al. Ultrastretchable helical conductive fibers using percolated Ag nanoparticle networks encapsulated by elastic polymers with high durability in omnidirectional deformations for wearable electronics
He et al. Strain‐insensitive self‐powered tactile sensor arrays based on intrinsically stretchable and patternable ultrathin conformal wrinkled graphene‐elastomer composite
Amjadi et al. Highly stretchable and sensitive strain sensor based on silver nanowire–elastomer nanocomposite
Qu et al. Bioinspired Flexible Volatile Organic Compounds Sensor Based on Dynamic Surface Wrinkling with Dual‐Signal Response
Takamatsu et al. Transparent conductive-polymer strain sensors for touch input sheets of flexible displays
Uddin et al.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y the semimetallic PEDOT: PSS hole transport layer and its application in self-powered active acetylene gas sensing
Yang et al. Highly sensitive, direction-aware, and transparent strain sensor based on oriented electrospun nanofibers for wearable electronic applications
KR102045927B1 (ko) 투과도가 조절된 신축성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US9212960B2 (en) Nanostructures with strain-induced resistance
US20180372664A1 (en) Selective laser etching or ablation for fabrication of devices
Hu et al. Highly sensitive and transparent strain sensor based on thin elastomer film
WO2013176324A1 (ko) 금속 나노구조체와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혼합 도전층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Kapoor et al. Toward fully manufacturable, fiber assembly–based concurrent multimodal and multifunctional sensors for e‐textiles
KR20190032242A (ko) 스트레쳐블 다중모드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02411A (ko) 투명 도전성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im et al.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durable, stretchable electronic textiles for robust wearable electronics
Jun et al. Stretchable photodetector utiliz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formed in a composite film containing semiconductor 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08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526

Effective date: 201805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