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391A -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 Google Patents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391A
KR20160116391A KR1020150043942A KR20150043942A KR20160116391A KR 20160116391 A KR20160116391 A KR 20160116391A KR 1020150043942 A KR1020150043942 A KR 1020150043942A KR 20150043942 A KR20150043942 A KR 20150043942A KR 20160116391 A KR20160116391 A KR 20160116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chicory
minutes
mugwor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825B1 (ko
Inventor
박우진
Original Assignee
박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진 filed Critical 박우진
Priority to KR1020150043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82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커리와 부자성분이 함유된 금연 보조제에 관한 것으로 금단증상을 극복하면서 금연할 수 있는 금연보조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치커리를 정제 처리하여 약35~40℃의 온도에서 48시간 자연발효 한 다음 100℃~110℃의 온도에서 4~10분간 볶음 처리된 커피향이 나는 치커리40~50중량부를 주제로 하고 여기에 무독성 가공부자 10g을 1ℓ의 물에 넣어 100℃-110℃ 온도로 30분간 끓인 용액 0.1중량부와, 박하엽15~25중량부와, 쑥을 세정하여 100℃의 증기에 10~15분간 증숙(蒸熟)하여 자극성을 경감한 쑥20~30 중량부와, 보습제로 50~60% 농도의 에틸렌 글리콜 5~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금연보조제를 권연, 또는 파이프로 끽연(喫煙)하면 치커리(chicory)에서 발생되는 커피(coffee) 향과 박하에서 발생되는 맨톨(menthole)성분의 청량감과, 쑥의 연기에서 나오는 고미(苦味)가 구강에서 복합적으로 조화되어 담배 보다 좋은 향과 맛을 내면서 니코틴(nicotine) 성분이 전혀 없고 또한 극미량의 무독성 가공부자의 성분이 훈증(薰蒸)상태로 흡입되어 심신이 불안한 금단증상(withdraw syndrome)을 진정시키어 편안한 생태에서 금연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HELPFUL AGENT CONTAIEND CHICORY AND ACONITIE TUBER FOR PROHIBIT SMOKING}
본 발명은 치커리와 부자가 함유된 금연 보조제에 관한 것으로 금단증상을 극복하면서 금연할 수 있는 금연보조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치커리를 세정하여 약35~40℃의 온도에서 48시간 자연발효 한 다음 100℃~110℃의 온도에서 4~10분간 볶음 처리된 커피향이 나는 치커리40~50중량부를 주제로 하고 여기에 무독성 가공부자 10g를 1ℓ의 물에 넣어 100℃-110℃ 온도로 30분간 끓인 용액 0.1중량부와, 박하엽15~25중량부와, 쑥을 세정하여 100℃의 증기에 10~15분간 증숙(蒸熟)하여 자극성을 경감한 쑥20~30 중량부와, 보습제로 50~60% 농도의 에틸렌 글리콜 5~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금연보조제를 권연, 또는 파이프로 끽연(喫煙)하면 치커리(chicory)에서 발생되는 커피(coffee) 향과 박하에서 발생되는 맨톨(menthole)성분의 청량감과, 쑥의 연기에서 나오는 고미(苦味)가 구강에서 복합적으로 조화되어 담배 보다 좋은 향과 맛을 내면서 니코틴(nicotine) 성분이 전혀 없고 또한 극미량의 무독성 가공부자의 성분이 훈증(薰蒸)상태로 흡입되어 심신이 불안한 금단증상(withdraw syndrome)을 진정시키어 편안한 생태에서 금연할 수 있다.
담배의 흡연에 관한 의학적 연구의 발전에 따라 인체의 각종 장기의 훼손과 정신적 피해가 더욱 면밀하게 밝혀지면서 국민적 건강을 위해서 다양한 정책을 동원하여 금연운동을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담배의 해독은 주로 흡연 시에 나오는 니코틴(nicotine)과 타알(tar)이며, 이들 성분이 인체의 세포조직에 침적되어 일종의 마약과 같은 작용을 하기 때문에 심신이 피곤할 때는 쾌감과 진정감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흡연이 인체에 매우 유해한 사실을 알면서도 금단증상으로 인하여 금연이 어렵다. 물론 개인적인 강한 금연의 의지만 있으면 마약의 중독과 달리, 금연증상을 극복하고 흡연습관을 해소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담배의 제시, 습관성 흡연행동, 담배의 후각적 기호성, 등 환경적 영향에 따라 흡연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금연을 다짐하고도 얼마 후에 다시 흡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금연을 위한 다양한 금연보조수단으로 니코틴이 함유되지 않은 가짜 담배, 전기담배, 저함량 니코틴 껌이나, 니코틴 패치 등이 금연을 위한 정신적 행동습관에 대한 보상이 될 수 있다는 긍정적으로 보는 사회적 견해가 높아지면서 다양한 금연보조제가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금연보조제에 관한 선행기술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① 등록특허공보 10-0332840 (2002.04.18공고의 쑥을 함유한 금연보조제는 담배잎 대신에 한방에서 약제로 사용되는 쑥을 담배형태로 말아서 흡연하거나 패치로 부착하게 된 것이다.
② 등록특허공보 10-0542056 (2006.01.11공고)의 권련형 맨솔 담배 대용품은 담배 대신에 쑥과 박하를 혼합하여 권련으로 피우게 된 것이다.
③ 등록특허공보 10-0851254 (2008.08.08 공고)의 뽕잎을 주성분으로 한 담배 및 그 제조방법은 뽕잎을 1mm폭으로 절삭하여 담배향료를 첨가하고 음지에서 건조한 헛개비 열매와 솔잎을 혼합하여 분쇄하여 제조된 것이다.
또한 상추를 주제로 하는 금연보조제와, 한방의 금은화(인동초)를 주제로 하는 금연보조제, 기타 다양한 금연보조제에 관한 기술이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금연보조제는 주로 담배와 같은 니코틴이 없으면서 어느 정도 자극성을 가진 담배연기의 주재에 담배 향을 배합하여 된 가짜 담배(placebo tabacco)의 일종이나, 사람마다 담배의 기호성과 니코틴 중독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금연보조제도 담배 이상으로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의 금연보조제는 흡연자의 기호성에 대한 고려가 결여되어 있고 금연에 따른 니코틴의 차단으로 인한 금단증상의 대증(對症)에 관한 내용도 분명하지 않다.
또한 금연보조제의 주재료는 연소가 매우 잘되는 식물의 가연성 물질로서 권연으로 하여 한 번만 흡입해도 공기의 유입량에 따라 보조제가 낙엽처럼 단번에 연소되어 버리기 때문에 담배와 유사하게 흡연하기 어려운 등의 과제가 남아 있다.
본 발명의 금연보조제는 커피향이 나는 치커리와, 금연의 금단증상에 대한 진정작용이 있는 미량의 무독성 가공 부자와, 구강에 청량감을 주는 박하와, 순한 담배연기가 나도록 증숙 처리된 쑥과, 불꽃이 없이 지연 연소되게 하는 에틸렌 글리콜의 습윤제로 조성하여, 누구나 선호하는 커피향과 박하향 및 순한 연기의 쑥 냄새가 조화되어 누구나 기호성을 가지고 금연보조제를 담배처럼 흡연할 수 있고 보조제의 일부 부자(附子) 성분이 심신의 불안한 금단증상에 진정작용을 하여 편안한 상태로 금연할 수 있는 새로운 "치커리와 가공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연보조제의 주재인 치커리(chicory)의 성분에 의해 누구나 선호하는 커피향이 나는 "치커리와 가공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연보조제의 미량의 조성물인 무독성 가공 부자(附子) 성분에 의해 니코틴의 차단에 따른 금단증상을 어느 정도 진정시키어 편안한 상태로 금연할 수 있는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 보조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연보조제의 보습제인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에 의해 보조제가 지연 연소되어 담배처럼 흡연할 수 있는 "치커리와 가공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연 보조제의 매연재인 쑥을 증숙(蒸熟)하여 쑥 연기의 자극성이 낮고 순하게 된, "치커리와 가공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제의 미향제인 박하(薄荷)의 멘톨(menthol) 성분에 의해 흡연 시 구강에 상쾌한 청량감을 갖는, "치커리와 가공부자 함유된 금연보조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마지막 목적은 상기한 금연보조제의 커피향과 박하향과 쑥 냄새를 조화시키어 누구나 기호성을 가지고 금연할 수 있는 "치커리와 가공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금연 보조제는, 발효 및 볶음 처리된 치커리40~50중량부를 주제로 하고 여기에 심신이 불안한 금단증상을 진정시키는 한방용 무독성 가공부자 용액 0.1중량부와, 구강에 청량감을 주는 미향재로 박하엽15~25중량부와, 담배연기의 자극성을 보다 낮게 하기 위해 매연재인 쑥을 수증기로 증숙 하여 순한 연기가 나오도록 처리된 쑥 20~30중량부와, 금연제재의 건조방지 및 지연연소를 위한 보습제로 50~60% 농도의 에틸렌 글리콜 5~1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이다
상기 금연조성제의 혼합에 있어서는 교반기가 설치된 혼합조에 1~2mm정로 각각 세절된 상기 주제인 치커리와, 보조제인 박하 및 증숙한 쑥을 투입하여 120/min의 교반속도로 4~5분간 교반하였을 때 미리 혼합한 상기 보습제인 에틸렌 글리콜과 가공부자 용액을 상기 혼합조의 제재에 분무하면서 교반을 지속하여 20~30분 경과하였을 때 교반을 중지하고 혼합제재를 용기에 퍼 담아 24간 방치하여 숙성한다,
수성된 상기 금연보조제는 권연으로 하거나, 또는 파이프용으로 포장하여 출하(出荷)한다.
본 발명의 상기 금연보조제의 주제인 치커리(chicory)는 정선(精選)하고 세정(洗淨)하여 수분함량 5~10% 정도가 되게 자연건조 한 다음 치커리를 용기에 넣고 35~40℃의 온도에서 48시간 보온상태로 유지하여 자연 발효한다.
식물에는 대부분 다당류를 분해시키는 탄소화물의 분해 효소(polysaccharase)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발효균을 첨가하지 안 해도 적정한 습도와 온도조건에서 발효작용이 일어난다.
발효된 치커리는 1~2mm폭으로 세절(細切)하여 가열용기에 넣어 100~110℃의 온도로 4~10분간 교반하면서 볶는다. 볶은 치커리는 갈색으로 변하면서 고소한 커피향이 난다.
치커리(chcory)는 녹색엽 채소로서 소련이 원산지며, 현재는 한국에 널리 재배하여 여름철에 상추와 함께 식용되고 있다.
치커리의 주성분은 철분을 비롯하여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식물성 다당류인 이눌린(inulin)과 쓴 맛이 나는 인티빈(intybin) 성분이 가열에 의해 당화(糖化)되면서 고소한 맛과 특히 커피향이 난다. 본 발명에서는 볶음처리 된 치커리를 금연보조제의 주제로 사용한다.
상기 금연보조제의 가공부자(附子)는 무독성의 가공부자 10g를 1ℓ의 물에 100℃의 온도로 약 30 분간 가열한 용액을 0.1중량부의 미량으로 금연 보조제에 사용한다.
부자(aconitie tuber)는 미나리 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뿌리이며, alkalode aconite이나. mesaconitie, pyraconitne, benzaconitine, 기타 여러 가지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이러한 강한 알카로이드 독성으로 인하여 그대로는 약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 동의보감에 의한 한방에서는 무독성의 가공부자가 몸을 덥게 하고 혈액순환을 도와주며 심장을 강화하고 심신을 진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독성 가공부자는 추출 가마에 부자를 넣고 농도 60%의 에틸알코올 용액을 부자가 잠길 정도로 주입하여 덮개를 덮고 110~120℃의 온도로 약 40분 가열처리하여 부자에 함유된 아코니틴계의 알카로이드를 추출시키어 무독성 가공부자로 만든 것이다.
부자의 독성인 알카로이드군은 어느 것이나 2개의 유기산이 주체인 알카민(alcamine)과 에스텔 상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초산(醋酸)과 결합된 에스텔은 열이나 알카리에 의해 모노 에스텔 형태로 되면 에스텔 형태의 알카로이드는 본래의 독성의 1/200 정도로 저하되고 또한 에스텔 부분이 가열에 의해 알카민과 단절되면 독성은 다시 1/2000 정도로 낮게 되므로 거의 독성이 없다고 본다. 따라서 이를 한방에서는 "무독성 가공부자"라고 한다.
상기 금연보조제의 미향제인 박하(薄荷)는 건조된 박하잎을 1~2mm폭으로 세절하여 금연보조제의 미향재로 사용한다.
박하(mint)는 꿀벌과(Labiatae)에 속하는 숙근성(宿根性)의 다년초로 신맛(辛味)과 쓴 맛이 있으며 독(毒)이 없고 식은 땀, 소화불량, 발진(發疹) 등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하는 멘톨(menthole)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박하유는 제과(製菓)분야와 제약(製藥)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박하의 멘톨성분은 구연산(枸
Figure pat00001
酸) 보다 강한 청량감을 준다.
상기 금연보조제의 매연재인 쑥은 연기의 자극성을 저감하기 위하여 정제된 쑥을 100℃~110℃의 증기로 5~15분 간 증숙하고 이를 자연풍에서 수분함량이 5%미만이 되게 건조한 것을 1~2mm 정도로 세절하여 사용한다. 증숙 처리된 쑥의 연기는 냄새와 자극이 현저하게 낮고 순하여, 순한 담배연기를 낸다.
쑥(mugurt)은 국화과(菊花科)(compositae)의 쑥속(屬)의 다년생 식물로서 매우 넓은 분포로 자생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주로 쑥뜸에 사용되고 있으며 혈액의 순환을 도우며 어느 정도 해독(解毒)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쑥의 연기는 자극성이 강하고 매워서 어린이들은 눈을 뜰 수 없을 정도이며 모기를 쫓는 모기향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금연보조제의 보습제인 에틸렌 글리콜은 금연보조제에 적정한 수분을 유지케 하여 건조에 따른 조성제재의 분말화(粉末化)를 방지하고 흡연시에 보조제재의 급격한 연소를 지연시키어 담배와 같이 흡연할 수 있도록 50~ 60%의 농도로 조절하여 사용된다.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은 2가 알코올의 투명한 액상으로 단맛이 나고 보습성이 있으며 물과 알코올에 용해되는 특성이 있어, 화장품분야 및 의약분야에서 보습제, 또는 연화제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금연조조제에 박하, 또는 쑥 등이 사용하고 있으나, 본래 쑥은 연기의 재료로 이용되고 박하는 향료로 이용되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미향제로서 박하를, 매연재로서 쑥을 선택하였으며, 쑥 연기의 자극성을 저감시키기 위해 증숙 처리된 쑥을 보조제로 하여 주재인 치커리와 무독성 가공부자 및 에틸렌 글리콜 등의 다른 제재와 소정의 용량으로 혼합하여 금연에 유용한 새로운 금연 보조제를 조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연보조제는 권연, 또는 파이프로 흡연하면 치커리(chicory)에서 발생되는 구수한 커피 향과 박하향의 맨톨(menthole)성분에 의한 시원한 청량감과, 쑥에서 나오는 쑥 냄새와 순한 연기의 부드러운 쓴맛이 구강(口腔)에서 복합적으로 조화되어 담배보다 좋은 향과 맛을 내면서 니코틴(nicotine) 성분이 전혀 없기 때문에 니코틴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다.
또한 극미량의 무독성 가공부자의 성분이 훈증(薰蒸)상태로 흡입되어 금연에 의한 니코틴의 차단으로 생기는 심신이 불안한 금단증상을 진정시키어 금연보조제의 흡연을 통하여 순조롭게 금단증상을 극복할 수 있고 금연보조제를 흡연하는 동안 몸에 밴 니코틴이 배출되어 감소되면 금연보조제의 사용을 중지해도 금단증상이 없기 때문에 담배의 흡인 유혹이 해소되어 온전하게 금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연보조제는 커피향이 나는 치커리(chicory)의 주재에 금단증상을 진정시키는 미량의 무독성 가공 부자(附子)와, 흡연 시 구강에 청량감을 주는 박하와. 연기의 자극성을 낮은 순한 연기가 나도록 증숙 처리된 쑥과, 보습제에 의해 보조제의 건조방지 및 지연연소를 위한 에틸렌 글리콜을 소정의 량으로 혼합하여 조성하였기 때문에 조성된 조성물의 특성이 결합되어 커피향에 의해 누구나 선호하면서 순한 담배연기와 구강의 박하에 의한 상쾌한 청량감으로 담배처럼 흡연하는 중에 금단증상을 편안한 상태로 극복하여 유효하게 금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금연보조제의 전처리
(1) 주재인 치커리 1kg를 정선하고 수세한 다음 그늘에서 수분 함량 7% 정도가 되도록 건조 한다, 건조된 치커리를 1~2mm정도로 세절하고 용기에 담아 38℃의 보온상태에서 48시간 발효한다. 발효된 치커리를 가열용기에 넣어 100℃의 열로 4분간 볶는다. 녹색의 치커리는 발효와 볶음을 통하여 갈색으로 변하면서 구수한 커피향이 난다.
(2) 매연재인 정선된 쑥 500g을 세정하고 수분함량이 5%정도 되도록 자연풍에서 건조한다. 건조된 쑥을 1~2mm정도로 세절하고 스팀용기에 넣고 100℃의 수증기에 의해 10분간 찐다. 증숙한 쑥은 냄새가 부드럽고 순하다. 그늘에 펴 두면 몇 시간 내에 자연 건조된다.
(3) 한방에서 사용하는 무독성 가공부자 10g을 1000cc의 정수에 넣어 1000℃의 온도로 30분간 가열하고 부자는 꺼내고 용액을 사용한다.
(4) 500g의 건조 박하엽을 1~2mm정도로 세절하여 사용한다.
(5) 보습제인 농도 99%의 에틸렌 글리콜 100g에 증류수를 가하여 50%의 농도로 조절하여 사용한다.
2. 금연보조제의 조성
교반기가 구비된 교반용기에 주재인 상기 준비된 치커리 500g과, 쑥 300g과, 박하 250g를 넣고 120/min의 교반속도로 4분간 교반하였을 때 에틸렌 글리콜 90g에 가공 부자액 1g을 혼합한 것을 분무기로 상기 혼합재제에 분무하면서 30분간 교반하고 금연보조제를 용기에 담아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숙성시키어 본 발명의 금연보조제를 얻는다.
숙성된 본 발명의 금연 보조제는 권연하거나 파이프용으로 포장하여 출하한다.
본 발명의 금연 보조제는 외관적으로 담배와 유사하고 금연 보조제에서 풍기는 치커리의 커피향과 박하향과 자극성이 낮은 쑥 냄새가 복합적으로 조화되어 흡연자 누구에게도 선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금연보조제를 흡연하면 치커리(chicory)의 가열된 이누린(inulin)성분과 인티빈(intybin) 성분에 의해 발생되는 구수한 커피 향과 박하의 맨톨(menthole)성분에 의한 시원한 청량감과, 부드러운 쑥향과 순한 연기의 쓴맛이 구강(口腔)에서 복합적으로 조화되어 담배보다 좋은 향과 맛을 내면서 니코틴(nicotine) 성분이 전혀 없기 때문에 니코틴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극미량의 무독성 가공부자의 성분이 훈증(薰蒸)상태로 흡입되어 금연에 의한 니코틴의 차단으로 생기는 심신이 불안한 금단증상을 진정시키어 편안한 상태에서 금연할 수 있다.

Claims (5)

  1. 발효 및 볶음 처리된 치커리40~50중량부의 주제와, 무독성 가공부자0.1중량부와, 박하엽15~25중량부의 미향제와, 증숙(蒸熟)하여 자극성을 경감한 쑥20~30 중량부의 매연재와, 50~60% 농도의 에틸렌 글리콜 5~10 중량부의 보습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커리와 가공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2. 제1항에 있어서,
    발효 및 볶음처리 된 치커리 500g의 주재와, 박하 250g의 미향재와, 증숙 된 쑥 300g의 매연재를 교반용기에 넣고 120/min의 교반속도로 4분간 교반하고 에틸렌 글리콜 90g의 보습제와, 가공 부자액 1g를 혼합하여 상기 혼합제재에 분무하면서 30분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상기 혼합보조제를 용기에 담아 24시간 숙성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3. 제1항에 있어서,
    치커리는 세정하여 수분이 5~10% 되게 건조하고 35~40℃의 온도에서 48시간 자연발효 한 다음 1~2mm의 폭으로 세절하여 100℃~110℃의 온도에서 4~10분간 볶음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커리와 가공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4. 제1항에 있어서,
    가공부자 액은 무독성 가공부자 10g을 1ℓ의 물에 넣고 100℃-110℃ 온도로 30분간 끓인 다음 부자를 건저 낸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5. 제1항에 있어서,
    쑥을 자극성을 경감하기 위하여 세정하고 수분이 5%가 되도록 건조하여 1~2mm폭으로 세절한 다음 100℃의 수증기로 10분간 증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커리와 가공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KR1020150043942A 2015-03-30 2015-03-30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KR101724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42A KR101724825B1 (ko) 2015-03-30 2015-03-30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42A KR101724825B1 (ko) 2015-03-30 2015-03-30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391A true KR20160116391A (ko) 2016-10-10
KR101724825B1 KR101724825B1 (ko) 2017-04-07

Family

ID=5714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942A KR101724825B1 (ko) 2015-03-30 2015-03-30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96A1 (ko) * 2018-05-24 2019-11-28 Kim Ji Do 담배 대용품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454B1 (ko) * 1999-07-09 2001-11-07 이재형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
US20050000531A1 (en) * 2001-11-09 2005-01-06 Xuling Shi Method and composition for mentholation of charcoal filtered cigarettes
US20090050165A1 (en) * 2005-12-19 2009-02-26 Dalmia Centre For Research & Development Herbal and tobacco filler composition for biri, cigarette and the lik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454B1 (ko) * 1999-07-09 2001-11-07 이재형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
US20050000531A1 (en) * 2001-11-09 2005-01-06 Xuling Shi Method and composition for mentholation of charcoal filtered cigarettes
US20090050165A1 (en) * 2005-12-19 2009-02-26 Dalmia Centre For Research & Development Herbal and tobacco filler composition for biri, cigarette and the lik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96A1 (ko) * 2018-05-24 2019-11-28 Kim Ji Do 담배 대용품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825B1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7632B2 (ja) 緑茶を主成分とする煙草代替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022041B2 (en) Tea based smoking product
CN106820251B (zh) 一种草本茶烟的制作方法
KR100296868B1 (ko) 니코틴이없는담배
CN104983066B (zh) 一种烟草替代品及其制备方法
CN104068468B (zh) 应用于电子烟具及传统水烟烟具的水烟果燃及其制备方法
CN102793264B (zh) 玉兰花果实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在卷烟中的应用
CN102265957B (zh) 降香茶及其制备方法
CN105326089A (zh) 一种混合香烟
CN109007967B (zh) 一种含中草药的香烟及其制作方法
CN101473997B (zh) 一种绿色烟草替代品
CN108949347A (zh) 增加加热不燃烧新型卷烟烟气湿润感的香精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105315B (zh) 一种清咽利嗓型烟草粉末喷剂及其制备方法
KR101079172B1 (ko)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성 대추정과
CN106723307A (zh) 蒲公英叶非烟草香烟及其制备方法
KR101724825B1 (ko)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CN111642786B (zh) 一种具有防疫和保健功效的中草药茶烟及其应用
KR100339828B1 (ko) 차조기를 주재로한 끽연물의 제조방법
CN1985686A (zh) 点燃式药草香烟型戒烟制品
KR20220121937A (ko) 케나프 잎을 이용한 담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09978A (zh) 一种卷烟用崖柏配方
CN103272196B (zh) 解毒的药物组合物和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852214A (zh) 具有安神/改善睡眠的添味填充物及制备方法
KR101193900B1 (ko) 전자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602841A (zh) 一种清口茶烟的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