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112A - 흡착판 - Google Patents

흡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112A
KR20160108112A KR1020150145865A KR20150145865A KR20160108112A KR 20160108112 A KR20160108112 A KR 20160108112A KR 1020150145865 A KR1020150145865 A KR 1020150145865A KR 20150145865 A KR20150145865 A KR 20150145865A KR 20160108112 A KR20160108112 A KR 20160108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attached
band
central portion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피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피씨
Priority to JP2016010099A priority Critical patent/JP6327422B2/ja
Priority to EP16152607.4A priority patent/EP3064788A1/en
Priority to CN201610048415.5A priority patent/CN105937541A/zh
Publication of KR20160108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3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면 외곽을 따라 흡착밴드가 부착되는 패드가 부착 대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을 받은 후, 이 외력이 풀어지면,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패드를 부착 대상면에 가압한 후 놓으면, 상기 패드의 외곽 부분은 흡착밴드에 의하여 부착 대상면에 부착 고정되고, 흡착 밴드가 부착되지 않는 중앙 부분은 복원력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솟아오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드의 중앙 부분과 부착 대상면 사이에 진공 상태가 발생하여 패드가 부착 대상면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흡착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흡착판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측단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패드와, 상기 중앙부의 상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패드의 연장부 하부면에 부착되는 점착성의 흡착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패드는 부착 대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을 받은 후, 이 외력이 풀어지면,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착판{suction plate}
본 발명은 거치대용 흡착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면 외곽을 따라 흡착밴드가 부착되는 패드가 부착 대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을 받은 후, 이 외력이 풀어지면,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패드를 부착 대상면에 가압한 후 놓으면, 상기 패드의 외곽 부분은 흡착밴드에 의하여 부착 대상면에 부착 고정되고, 흡착 밴드가 부착되지 않는 중앙 부분은 복원력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솟아오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드의 중앙 부분과 부착 대상면 사이에 진공 상태가 발생하여 패드가 부착 대상면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용 흡착판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에는 네비게이터, 소형 컴퓨터, 컵 받침대, 휴대폰 거치대, 및 편의품을 장착하기 위한 다양한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가정에서 사용되는 수건 등 다양한 필수품을 걸어놓기 위하여 다양한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거치대는 차량의 외관 또는 건물의 실내 벽 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물품을 결합하기 위해 빨판의 원리를 이용한 흡착판을 이용하고 있으며, 흡착판이 유리나 몸체에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작동레버를 이용하여 흡착판의 중심부를 당겨주는 방식을 이용한다.
차량에 사용되는 거치대를 예를 들면, 통상의 거치대용 흡착판은 작동 레버를 이용하여 흡착판의 중심부를 당겨주지 않을 때는 차량에 부착되지 않으며, 작동 레버를 당겨주지 않으면 네비게이터, LCD, 및 기타 편의품을 차량에 거치할 수 없다. 이는 흡착판이 투명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작동레버에 의해 발생하는 압착력에 의해서만 유리나 차량 몸체에 부착되도록 만들어지는데 기인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거치대는 작동 레버를 이용하여 흡착판이 유리 등에 부착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전체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를 위한 비용, 시간 및 노력이 필요 이상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거치대를 유리 등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작동 레버를 동작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하부면 외곽을 따라 흡착밴드가 부착되는 패드가 부착 대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을 받은 후, 이 외력이 풀어지면,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패드를 부착 대상면에 가압한 후 놓으면, 상기 패드의 외곽 부분은 흡착밴드에 의하여 부착 대상면에 부착 고정되고, 흡착 밴드가 부착되지 않는 중앙 부분은 복원력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솟아오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드의 중앙 부분과 부착 대상면 사이에 진공 상태가 발생하여 패드가 부착 대상면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흡착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의 하부면 외곽 부분에 부착되는 흡착 밴드의 하부면이 수평 또는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형성시키고, 흡착 밴드의 하부면은 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패드가 부착 대상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흡착 밴드가 부착 대상면에 부착되는 부착면이 최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드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순간 상기 패드와 상기 부착 대상면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패드의 중앙 부분과 부착 대상면 사이에 진공 상태가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흡착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착 대상면에 대고 가압한 후, 가압력을 풀어주면, 스스로 상방향으로 복원되어 패드와 부착 대상면 사이에 진공 상태가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흡착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흡착판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측단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패드와, 상기 중앙부의 상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패드의 연장부 하부면에 부착되는 점착성의 흡착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패드는 부착 대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을 받은 후, 이 외력이 풀어지면,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패드의 연장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상기 패드의 복원력을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 밴드는 상부면이 상기 패드의 연장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그 하부면이 수평 또는 경사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흡착판에 의하면, 하부면 외곽을 따라 흡착밴드가 부착되는 패드가 부착 대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을 받은 후, 이 외력이 풀어지면,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패드를 부착 대상면에 가압한 후 놓으면, 상기 패드의 외곽 부분은 흡착밴드에 의하여 부착 대상면에 부착 고정되고, 흡착 밴드가 부착되지 않는 중앙 부분은 복원력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솟아오르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패드의 중앙 부분과 부착 대상면 사이에 진공 상태가 발생하여 패드가 부착 대상면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의 하부면 외곽 부분에 부착되는 흡착 밴드의 하부면이 수평 또는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형성시키고, 흡착 밴드의 하부면은 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패드가 부착 대상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흡착 밴드가 부착 대상면에 부착되는 부착면이 최소가 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패드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순간 상기 패드와 상기 부착 대상면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패드의 중앙 부분과 부착 대상면 사이에 진공 상태가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착 대상면에 대고 가압한 후, 가압력을 풀어주면, 스스로 상방향으로 복원되어 패드와 부착 대상면 사이에 진공 상태가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의 절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흡착판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흡착판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의 절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은 패드(10), 상기 패드(10)의 외곽 하부면에 부착되는 흡착 밴드(30) 및 상기 패드의 상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드(10)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지되, 가운데 부분(중앙부(11))이 수평(도 1 참조) 또는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솟아오른 형상(도 2 내지 4 참조)을 가지고, 가운데 부분 이외의 부분 즉, 가운데 부분(중앙부(11))을 제외한 외곽 부분(연장부(13))은 경사진 형상(도 1 참조) 또는 수평한 형상(도 2 내지 도 4 참조)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드(10)는 중앙 부분에 해당하는 중앙부(11)와 상기 중앙부(11)의 측단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3)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부(11)는 상기 패드(1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11)가 수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지고,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중앙부(11)의 끝단(원호부), 즉 측단에는 상기 연장부(13)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중앙부(11)의 측단에는 상기 연장부(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부(13)는 상기 중앙부(11)의 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바깥쪽 방향으로 수평 또는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11)의 측단에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11)의 측단에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앙부(11)와 연장부(13)로 구성되는 상기 패드(10)는 상기 몰드 등을 통하여 한번에 동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중앙부(11)와 상기 연장부(13)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패드(11)는 기본적으로 딱딱한 성질을 가지지만,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드(10)는 부착 대상면(도 1 및 도 5에서 "s"로 표기됨)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을 받은 후, 이 외력이 풀어지면,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패드(10)는 사용자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눌러진 후, 놓게 되면, 가운데 부분이 상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는 구조, 즉 가운데 부분이 상방향으로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패드(10)가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흡착판을 부착 대상면(s)에 가압한 후 놓게 되면, 상기 가운데 부분이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착판의 가운데 부분 즉, 중앙부(11)와 부착 대상면(s) 사이에 진공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겠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패드의 상단, 구체적으로 상기 패드(10)의 중앙부(11)의 상단에는 연결부(5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50)는 상기 중앙부(11)의 상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드(10)의 중앙부(11) 상부 중앙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50)는 다양한 거치대의 몸체 부분이 결합될 수 있는 부분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50)는 상기 다양한 거치대의 몸체 부분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치대가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인 경우, 상기 연결부(50)는 상기 차량용 거치대의 크래들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드(10)의 하부면에는 상기 흡착판이 상기 부착 대상면(s)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흡착 밴드(30)가 부착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착 밴드(30)는 상기 패드(10)의 연장부(13) 하부면에 부착되는 점착성의 흡착 밴드에 해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드(10)의 중앙 부분, 즉 중앙부(11)가 상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패드(10)와 유리 등의 부착 대상면(s) 사이에서 진공 상태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패드(10)와 부착 대상면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패드(10)의 하부면에는 본드 겔(gel) 재질로 형성되어 부착면에 강하게 흡착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흡착 밴드(30)가 부착된다.
상기 흡착 밴드(30)는 점착성 연질 물질을 상기 패드의 중앙 부분, 즉 중앙부(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연장부(13)의 하부면에만 직접 도포하여 형성하거나, 성형된 점착성 연질 제품을 상기 패드의 중앙 부분(중앙부)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연장부의 하부면)에만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착 밴드(30)는 상기 패드(10) 하부면에 부착되되, 상기 패드(10)의 중앙부(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연장부(13)의 하부면에 원형 띠 형태로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착판은 중앙부(11)와 연장부(13)로 구성되는 패드(10)와, 상기 중앙부 상단에 형성되는 연결부(50)와, 상기 연장부(13)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흡착 밴드(30)로 구성되되, 상기 패드(10)는 상기 부착 대상면(s)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을 받은 후, 이 외력이 풀어지면,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패드(10)는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중앙 부분에 중앙부(11)를 형성하고, 연장부(13)의 하부면에만 흡착밴드(30)를 부착 형성시킨다. 그리고, 외력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가라앉고, 외력을 풀면 상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패드는 외력에 의하여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밴드(30)가 상기 연장부(13)의 하부면에만 부착 형성되고, 상기 패드(10)가 외력에 의하여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흡착판을 부착 대상면(s)에 접촉시키고 외력을 가하면, 상기 패드의 중앙부(11)가 외력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가라앉고, 외력을 풀면 상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패드(10)가 너무 딱딱한 성질을 가진다면, 외력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가라앉게 하는 것이 어렵고, 더 나아가 하방향으로 가라앉더라도, 탄성력이 없어서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드(10)는 하방향으로 가라앉을 수 있고, 동시에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절개홈들을 상기 패드(10)의 연장부(13)의 상부면만 또는 하부면만 또는 상부면 및 하부면 모두에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패드의 연장부(13)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상기 패드(10)의 복원력을 위한 절개홈(13a, 13b)이 형성된다.
상기 패드의 연장부(13) 하부면에는 상기 흡착 밴드(30)가 부착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절개홈은 상기 패드의 연장부(13)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절개홈이 상기 흡착밴드(30)의 형성에 장애로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미관상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패드(10)의 연장부(13) 하부면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연장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 모두에 상기 절개홈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절개홈은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절개홈은 상기 중앙부(11)의 측단(원호단)을 따라 상기 연장부(13)에 형성되는 원형 절개홈(13a)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앙부(11)의 측단에 인접한 상기 연장부(13)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또는 상하부면에 원형 형상의 원형 절개홈(13a)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 절개홈(13a)이 상기 흡착밴드가 부착 형성되지 않는 중앙부(11)와 상기 흡착밴드가 부착 형성되는 연장부(13)의 경계 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패드(10)가 다소 하드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외력에 의하여 아랫 방향으로 가라앉을 수 있고, 외력을 제거하면 다시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개홈은 상기 원형 절개홈(13a)뿐만 아니라, 다양한 곳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선형 절개홈(1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 절개홈(13b)은 상기 딱딱한 성질을 가질 수 있는 상기 패드(10)의 상하 방향의 탄성력뿐만 아니라, 하방향으로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패드의 중앙 부분이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다면 다양한 부분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서는 상기 선형 절개홈(13b)이 상기 원형 절개홈(13a)에 직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선형 절개홈은 상기 패드의 연장부(13)가 쉽게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원형 절개홈에 나란한 방향이 아닌,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선형 절개홈이 상기 원형 절개홈의 원호에 접하는 방향, 즉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면, 상기 패드의 연장부(13)가 쉽게 상하 변형이 이루어지고 복원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선형 절개홈은 상기 원형 절개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패드(10)는 하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풀어지면,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패드의 중앙부(11)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에 진공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패드의 중앙부(11)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의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패드(10)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상기 패드(10)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야 되고, 상기 패드(10)가 상방향으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패드(10)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올 수 없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흡착 밴드(30)는 그 상부면이 상기 패드(10)의 연장부(13)에 부착된 상태에서, 그 하부면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상태(가압되기 전의 부착 대상면(s)에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느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상태(가압되기 전의 부착 대상면(s)에 경사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흡착 밴드(30)는 부착 대상면(s)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면, 그 하부면에 수평 또는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 밴드(30)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면이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상기 연장부(13)의 하부면에 부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판을 상기 부착 대상면(s)에 접촉되도록 놓게되면, 일단 상기 흡착 밴드(30)의 최외곽 부분만 상기 부착 대상면(s)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흡착판을 상기 부착 대상면(s)을 향하여 가압한다. 그러면, 이 가압 과정에서 상기 패드(10)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흡착 밴드(10)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후, 사용자가 흡착 밴드(30)가 부착된 상기 연장부(13)를 더 눌러서 상기 흡착 밴드(30)가 상기 부착 대상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 다음,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패드(10)는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중앙부(11)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의 공간에 진공 공간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흡착판은 상기 부착 대상면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착판을 상기 부착 대상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부착 대상면(s)에 접촉되는 흡착 밴드(30)의 접촉부분이 많아지면, 외력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패드와 부착 대상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의 외부 유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정리하면, 상기 흡착판이 상기 부착 대상면에 올려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흡착 밴드(30)는 상기 부착 대상면(s)에 최소의 부분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착 밴드(30)는 그 하부면에 원형링 형태의 돌출부(3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b)와 같이 상기 흡착밴드의 하부면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면, 부착 대상면에 가장 먼저 접촉되는 외주연 하측에 상기 원형링의 돌출부(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착 밴드(30)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면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상기 연장부(13)의 하부면에 부착된 경우에는, 상기 흡착판을 상기 부착 대상면(s)에 접촉되도록 놓게되면, 상기 흡착 밴드(30)의 모든 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부착 대상면(s)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흡착판을 상기 부착 대상면(s)을 향하여 가압하면, 이 가압 과정에서 상기 패드(10)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흡착 밴드(10)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후, 사용자가 흡착 밴드(30)가 부착된 상기 연장부(13)를 더 눌러서 상기 흡착 밴드(30)가 상기 부착 대상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 다음,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패드(10)는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중앙부(11)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의 공간에 진공 공간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흡착판은 상기 부착 대상면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착밴드의 하부면이 수평한 상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흡착판을 상기 부착 대상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부착 대상면(s)에 접촉되는 흡착 밴드(30)의 접촉부분이 많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패드와 부착 대상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의 외부 유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흡착밴드의 하부면에 원형링 형상의 돌출부가 더 요청된다. 상기 원형링 형상의 돌출부는 상기 수평한 상태의 흡착밴드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가압에 의하여 상기 흡착밴드가 상기 부착 대상면에 부착된 후, 상기 흡착밴드의 들림 현상(부착 대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밴드의 외주연 하부면을 따라 원형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 밴드(30)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 경사도가 작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흡착판이 상기 부착 대상면에 올려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부착 대상면에 접촉되는 상기 흡착 밴드의 접촉 부분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수평한 상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접촉 부분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 밴드(30)의 외곽을 따라 돌출부(31)를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흡착판이 상기 부착 대상면에 놓여지면, 상기 부착 대상면에 접촉되는 접촉 부분은 상기 흡착 밴드(30)의 돌출부(31)만 해당된다. 즉, 상기 부착 대상면에 접촉되는 상기 흡착 밴드의 접촉 부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돌출부(31)를 구비한 흡착 밴드(30)가 부착 대상면(s)에 올려 놓여진 상태를 보여준다. 이 상태는 흡착판이 부착 대상면에 접촉된 상태이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부착 대상면(s)에 접촉되고 있는 부분은 상기 돌출부(31)의 하단부만이고, 상기 패드(10)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패드(10)의 중앙부(11)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의 공간에 해당하는 "중앙부와 부착 대상면 사이의 밀폐 공간(a)"과, 상기 패드(10)의 연장부(1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흡착 밴드(30)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의 공간에 해당하는 "연장부와 부착 대상면 사이의 밀폐 공간(b)"에 존재하는 공기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패드를 가압하면, 상기 중앙부와 부착 대상면 사이의 밀폐 공간(a)에 존재하는 공기와 상기 연장부와 부착 대상면 사이의 밀폐 공간(b)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돌출부(31)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흡착판이 상기 부착 대상면에 올려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31)의 하단과 부착 대상면(s) 사이에는 미세한 간극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이, 상기 패드(10)가 가압되면, 상기 패드와 상기 부착 대상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대부분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의 가압 과정에서 상기 흡착 밴드(30)는 상기 부착 대상면(s)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 흡착 밴드와 부착 대상면의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흡착 밴드가 부착된 상기 연장부를 부가적으로 누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패드(10)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의 공기를 대부분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흡착 밴드(30)가 상기 부착 대상면(s)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외력을 풀면, 즉 패드에 대한 가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패드(10)는 복원력에 의하여 가운데 부분이 상방향으로 솟아오른다.
상기 연장부(13)에는 중앙부(11)의 하단에 인접하여 원형 절개홈(13a)이 형성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상기 중앙부(11)가 하방향으로 가라앉을 수 있고, 외력을 제거하면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패드(10)의 중앙 부분이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발휘하면, 이 과정에서 상기 패드의 중앙부(11)와 상기 부착 대상면(s) 사이의 공간에 해당되는 중앙부와 부착 대상면 사이의 밀폐 공간(a)에는 진공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착판에 의하면, 상기 흡착 밴드에 의한 부착 대상면과의 부착력뿐만 아니라, 상기 패드와 부착 대상면 사이의 공간에 진공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흡착판과 상기 부착 대상면 사이의 결합력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흡착판이 적용되는 거치대는 안정적으로 유리 등에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패드(10)와 연결부(50)는 별도로 제작되어 서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몰드 등에 의하여 동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패드(10)와 연결부(50)는 몰드 등을 통하여 동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흡착판은 별도의 조립 과정 없이, 한 번의 공정을 통하여 패드(10)와 연결부(50)를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드(10)와 연결부(5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패드와 연결부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C(폴리카보네이트),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VC(폴리염화비닐), 우레탄 등의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 : 중앙부와 부착 대상면 사이의 밀폐 공간
b : 연장부와 부착 대상면 사이의 밀폐 공간
s : 부착 대상면
10 : 패드 11 : 중앙부
13 : 연장부 13a : 원형 절개홈
13b: 선형 절개홈 30 : 흡착 밴드
31 : 돌출부 50 : 연결부

Claims (3)

  1.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측단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패드와;
    상기 중앙부의 상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패드의 연장부 하부면에 부착되는 점착성의 흡착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패드는 부착 대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외력을 받은 후, 이 외력이 풀어지면,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연장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상기 패드의 복원력을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 밴드는 상부면이 상기 패드의 연장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그 하부면이 수평 또는 경사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KR1020150145865A 2015-03-05 2015-10-20 흡착판 KR20160108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10099A JP6327422B2 (ja) 2015-03-05 2016-01-21 吸着板
EP16152607.4A EP3064788A1 (en) 2015-03-05 2016-01-25 Suction plate
CN201610048415.5A CN105937541A (zh) 2015-03-05 2016-01-25 吸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928 2015-03-05
KR20150030928 2015-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112A true KR20160108112A (ko) 2016-09-19

Family

ID=5684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865A KR20160108112A (ko) 2015-03-05 2015-10-20 흡착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37017B2 (ko)
KR (1) KR20160108112A (ko)
CN (1) CN105937541A (ko)
CA (1) CA29228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034B1 (ko) * 2019-01-11 2019-04-30 주식회사 그레이프이펙트 탈부착력을 강화한 스마트폰용 핸드그립
KR102035807B1 (ko) * 2018-12-07 2019-11-28 무한창업 선일이비즈니스고등학교 사회적협동조합 샤워기 헤드용 보호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1100A1 (de) * 2013-02-04 2014-08-21 Gert Pötters Lösbare Unterdruckhaltevorrichtung
KR20160108112A (ko) * 2015-03-05 2016-09-19 주식회사 씨피씨 흡착판
USD800059S1 (en) * 2015-09-23 2017-10-17 Ka Yin Tsui Charger
USD791071S1 (en) * 2015-11-13 2017-07-04 Ka Yin Tsui Charger
US11272627B2 (en) * 2016-11-28 2022-03-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tand
CN107270079A (zh) * 2017-07-31 2017-10-20 重庆万建电子工程有限责任公司重庆第分公司 带吸盘底座的摄像头
US11865722B2 (en) 2018-01-17 2024-01-09 Berkshire Grey Operating Compan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moving a variety of objects
CA3150291A1 (en) 2019-08-08 2021-02-11 Berkshire Gre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 programmable motion devices, compliant end effectors with noise mitigation
CN111043143A (zh) * 2019-12-02 2020-04-21 徐州华扬矿山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可伸缩吸盘
US11945103B2 (en) 2020-07-22 2024-04-02 Berkshire Grey Operating Compan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processing using a passively collapsing vacuum gripper
WO2022020176A1 (en) 2020-07-22 2022-01-27 Berkshire Gre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processing using a vacuum gripper that provides object retention by evacuation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8649A (en) * 1916-11-11 1917-06-05 Elmer Ellsworth Supporting device.
US2815919A (en) * 1954-10-20 1957-12-10 Pribil Victor Suction cups
US3154306A (en) * 1962-10-29 1964-10-27 Harris Intertype Corp Sheet-gripping sucker
US4356989A (en) * 1980-06-30 1982-11-02 Ireland Jack W Resilient suction cup with soft pliable sealing gasket
US4852926A (en) * 1988-01-11 1989-08-01 Littell Edmund R Vacuum cup construction
US5011316A (en) * 1990-05-18 1991-04-30 Damon Victor A Hand-held soap-holder
US5039045A (en) * 1990-05-29 1991-08-13 Adams Mfg. Suction cup for use in windows
US5595364A (en) 1995-02-09 1997-01-21 Santa's Best Suction cup and hanger
US5624091A (en) 1995-02-09 1997-04-29 Santa's Best Suction cup and hanger
USD421213S (en) 1998-12-17 2000-02-29 Linda Addi Suction cup hanger
US6308923B1 (en) 1999-12-10 2001-10-30 Herman S. Howard Suction support assembly
HK1053581A2 (en) * 2002-08-01 2003-10-10 Golden Peak Plastic Works Ltd Suction-adhesive device
US7246781B2 (en) * 2003-08-29 2007-07-24 Nanma Manufacturing Co., Ltd. Swivel stand with side slot and suction cup base
JP4862289B2 (ja) * 2005-06-20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吸盤及び車載機器
KR100852164B1 (ko) * 2007-03-13 2008-08-13 송순영 흡착 기구
JP4941032B2 (ja) 2007-03-19 2012-05-30 ソニー株式会社 吸盤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347408B (en) 2008-07-16 2011-08-21 Wistron Neweb Corp Suction cup structure
TWI401383B (zh) 2009-05-05 2013-07-11 Htc Corp 支架及其吸盤
US8141829B2 (en) * 2009-06-12 2012-03-27 Physical Systems, Inc. Low profile adhesive mounted fixture button
DE112010003906B4 (de) * 2009-10-02 2016-07-07 Hosokawa Yoko Co., Ltd. Lagerbehälter
JP2011094715A (ja) * 2009-10-30 2011-05-12 Panasonic Corp 吸盤装置
TWM387925U (en) 2010-02-26 2010-09-01 Wistron Neweb Corp Suction device
US8348216B2 (en) 2010-10-21 2013-01-08 Zoya, Inc. Suction cup apparatus for attachment to porous and nonporous surfaces
US8251323B2 (en) * 2010-10-29 2012-08-28 Free-Fire Industrial Corp. Suction cup
US8783634B2 (en) * 2011-09-30 2014-07-22 Adam P. Summers Suction device
JP2017518464A (ja) * 2014-01-08 2017-07-06 シク ク,ホン 真空吸着装置
KR20160108112A (ko) * 2015-03-05 2016-09-19 주식회사 씨피씨 흡착판
JP6327422B2 (ja) * 2015-03-05 2018-05-23 シーピーシ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吸着板
US9488214B2 (en) * 2015-03-06 2016-11-08 John Orban Armature-based suction device
KR101637855B1 (ko) * 2015-11-09 2016-07-07 김희정 흡착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807B1 (ko) * 2018-12-07 2019-11-28 무한창업 선일이비즈니스고등학교 사회적협동조합 샤워기 헤드용 보호케이스
KR101974034B1 (ko) * 2019-01-11 2019-04-30 주식회사 그레이프이펙트 탈부착력을 강화한 스마트폰용 핸드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37541A (zh) 2016-09-14
CA2922857A1 (en) 2016-09-05
US20160258473A1 (en) 2016-09-08
US11137017B2 (en)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8112A (ko) 흡착판
US11186032B2 (en) Mobile phone screen protector device
JP2010276182A (ja) 吸盤装置
TW201416230A (zh) 用於製造可撓性顯示裝置之設備及使用其製造可撓性顯示裝置之方法
KR100801761B1 (ko) 진공 흡착구
WO2015043516A1 (zh) 一种吸附盘及设有此吸附盘的吸盘装置
KR101828833B1 (ko)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KR20080021583A (ko) 다용도 흡착판
JP2004082255A (ja) 吸着盤
US8251323B2 (en) Suction cup
KR20070102293A (ko) 진공 흡착기
JP4966152B2 (ja) 吸着具
JP2011094715A (ja) 吸盤装置
JP2017518464A (ja) 真空吸着装置
JP6327422B2 (ja) 吸着板
WO2008123692A1 (en) Vacuum suction apparatus
WO2016101483A1 (zh) 点胶治具
JPWO2015111238A1 (ja) 貼付シート、ヘルメット、及び製造方法
WO2011011936A1 (zh) 真空密闭吸盘
JP3145363U (ja) マルチホルダー
JP3143592U (ja) ドームプレートホルダー
KR101345851B1 (ko) 위치고정부를 갖는 시트형 부착패드
KR101637855B1 (ko) 흡착패드
CN101776118A (zh) 一种吸盘
CN219095897U (zh) 一种手机贴膜器和手机贴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05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107

Effective date: 20200526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