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630A -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630A
KR20160107630A KR1020150030613A KR20150030613A KR20160107630A KR 20160107630 A KR20160107630 A KR 20160107630A KR 1020150030613 A KR1020150030613 A KR 1020150030613A KR 20150030613 A KR20150030613 A KR 20150030613A KR 20160107630 A KR20160107630 A KR 20160107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jack
bridge
pushing
lifting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이수
Original Assignee
임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이수 filed Critical 임이수
Priority to KR1020150030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7630A/ko
Publication of KR2016010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01D21/065Incremental lau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 상판 제작장(100)과 함께 교대(200) 또는 교각 상단부에서 각각 전후방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되도록 하면서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되는 반력대(10)와 브레이킹 새들(20)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반력대(10)와 브레이킹 새들(20) 사이에서 상기 브레이킹 새들(20)에 안치되는 교량 상판(70)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켜 일정 거리씩 이동시키도록 하는 푸싱 잭(30)과 리프팅 잭(40)으로 이루어지는 압출부; 상기 리프팅 잭(40)의 구동에 의해 교량 상판(70)을 설정된 높이로 상승되도록 하고, 상승된 상태의 리프팅 잭(40)은 상기 푸싱 잭(30)의 구동에 의해 설정 길이만큼 전진되도록 하며, 상기 리프팅 잭(40)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거하여 교량 상판(70)이 브레이킹 새들(20)에 안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푸싱 잭(30)의 구동에 의해 설정한 전진 길이만큼 후진하도록 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반복 수행되도록 하여 교량 상판을 연속적으로 압출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Incremental Launching system of bridge deck}
본 발명은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 제작장과 함께 교대 또는 교각 상단부에서 각 양측으로 구비되는 푸싱 잭과 리프팅 잭에 구비되는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리프팅 잭을 승강 및 전후진되게 함으로써 교량 상판을 일정 길이씩 자동으로 연속 압출되도록 하면서 교량 상판을 안전한 높이까지 상승시켜 안전한 교량 시공이 수행되도록 하는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가설하는 공법에는 MSS공법, ILM공법(Incremental Launching Method), FCM공법, PSM공법(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FSM공법(Full Staging Method;동바리 공법)등과 같은 다양한 공법이 있다.
이중에서 연속압출공법(ILM)은 교대 배후에 위치한 거더 제작장(조립장)에서 교량 상부 구조물(콘크리트 또는 강재 등으로 제작된 각종 형상의 교량 바닥판 등)을 세그먼트(segment) 단위로 연속 제작(조립)하고, 선단에는 압출추진코(launching nose)를 연결하여 수직, 수평잭을 이용해서 압출하여 시공하는 가설 공법이다.
특허공고 제1991-0007422호(1991.09.26.명칭:교량 상판 이동 압출 시공 장치 및 그 방법)에서 개시되는 교량 상판은 교대에 설치된 압출장치인 수평 및 수직잭에 의해서 세그먼트를 전진시키도록 한다.
종래 기술의 압출장치에서 압출장치로 사용되는 잭은 주로 유압 실린더로서 적용하고 있으며, 이들 유압 실린더는 현재 수동 조작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압출장치에는 다양한 센서가 부착되도록 하고, 이들 압출장치의 작동상황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교량 상판이 승강 및 전진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압출 시공 장치를 통해 교량 상판을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압출장치의 인근에서 유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작업 인력들이 반드시 필요로 되어 인건비 상승의 주된 원인이 되기도 하고, 유압 실린더의 작동 시점을 육안으로만 확인해야 하므로 불안정한 제어가 수행될 수 밖에 없는 폐단이 있다.
특히, 교량 상판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교량 상판이 안치되는 브레이킹 새들로부터 일정 높이를 상승시켜야만 하는데 이러한 교량 상판의 상승 높이는 일정한 높이로서 설정되도록 하고, 이 높이를 와이어 엔코더에 의해 감지하면서 작업자에 의해 구동되도록 한 유압 실린더가 자동으로 구동 중단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교량 상판 중 콘크리트 상판의 경우는 저면이 매우 불균일한 굴곡을 갖게 되므로 승강용 잭의 승강에 의해 교량 상판과 접촉하게 되는 높이가 균일치 않이 중단되게 함으로써 더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이렇게 일정 높이로 상승 높이를 설정하게 되면 굴곡이 매우 불균일한 교량 상판의 저면에 최초 승강용 잭이 접촉하는 높이가 일정치 않게 되므로 자칫 승강용 잭이 설정 높이가 상승된 상태에서도 교량 상판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할 수가 있어 수평 이동용 잭에 의해 교량 상판이 얹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승강용 잭만 이동하게 되는 작동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공고 제1991-0007422호(1991.09.26.)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의 승강과 전후진 이동이 연속적으로 자동 수행되게 함으로써 대폭적인 인건비 절감과 작업 인력 감축의 경제적 효과가 탁월한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의 상승 시 복수의 리프팅 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이 설정압에 가장 마지막으로 도달하는 리프팅 잭의 상승시점을 기준으로 모든 리프팅 잭들이 설정 높이만큼 상승되면서 교량 상판이 상승되게 함으로써 항상 안정되게 교량 상판을 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교량 상판 제작장과 함께 교대 또는 교각 상단부에서 각각 전후방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되도록 하면서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되는 반력대와 브레이킹 새들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반력대와 브레이킹 새들 사이에서 상기 브레이킹 새들에 안치되는 교량 상판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켜 일정 거리씩 이동시키도록 하는 푸싱 잭과 리프팅 잭으로 이루어지는 압출부; 상기 리프팅 잭의 구동에 의해 교량 상판을 설정된 높이로 상승되도록 하고, 상승된 상태의 리프팅 잭은 상기 푸싱 잭의 구동에 의해 설정 길이만큼 전진되도록 하며, 상기 리프팅 잭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거하여 교량 상판이 브레이킹 새들에 안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푸싱 잭의 구동에 의해 설정한 이동 길이만큼 후진하도록 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반복 수행되도록 하여 교량 상판을 연속적으로 압출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에 의해 제작장에서 제작되는 교량을 연속해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과 함께 인건비의 대폭적인 절감 효과가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된 교량 상판의 바닥면이 불규칙한 곡면으로 이루어지게 되더라도 리프팅 실린더에 공급되는 교량을 상승시키기 위한 유압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는 시점으로부터 설정 높이가 상승되게 함으로써 항상 안정된 교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의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의 리프팅 잭을 예시한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에서 제1 엔코더와 제2 엔코더의 형성 구조를 예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에서 브레이킹 새들에 교량 상판이 안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에서 리프팅 잭에 의해 교량 상판을 상승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에서 푸싱 잭의 구동에 의해 교량 상판을 전진 이동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에서 리프팅 잭에 의해 교량 상판을 하강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에서 푸싱 잭의 구동에 의해 리프팅 잭을 후진 이동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의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을 현지 제작하는 제작장(100)과 함께 이 제작장(100)에서 가장 가까운 교대(200) 또는 교각 상단부에 동일하게 지지부와 압출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제어부에 의해서 자동으로 교량 상판이 일정 길이씩 강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작장(100)과 이 제작장(100)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교대(200) 또는 교각 상단부에 일정 거리를 이격시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반력대(10)와 브레이킹 새들(20, braking saddle)로 이루어지는 지지부가 구비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지지부에서 반력대(10)는 각 제작장(100)과 교대(200) 또는 교각 상단부에서 후방측으로 구비되는 일정 높이의 구조물이며, 브레이킹 새들(20)은 반력대(10)로부터 일정 거리 전방에서 반력대(10)보다는 상단부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때 브레이킹 새들(20)의 상단면으로는 안착되는 교량 상판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사각뿔 형상의 돌기를 형성한 미끄럼방지 패드(21)가 부착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작장(100)과 이 제작장(100)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교대(200) 또는 교각 상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반력대(10)와 브레이킹 새들(20)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교량 상판을 들어올려 압출시키도록 하는 압출부가 구비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압출부는 다시 푸싱 잭(30)과 리프팅 잭(4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푸싱 잭(30)은 리프팅 잭(40)을 일정 거리 전후진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리프팅 잭(40)은 브레이킹 새들(20)에 안치된 교량 상판이 일정 높이 상승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압출부는 각 지지대의 반력대(10)와 브레이킹 새들(20) 사이에서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도록 한다.
압출부에서 푸싱 잭(30)은 한 쌍의 푸싱 실린더(31)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한 쌍의 푸싱 실린더(31)가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구비되도록 하되 각 푸싱 실린더(31)는 일단이 반력대(10)를 관통하여 매설되는 샤프트(11)의 일단과 너클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반력대(10)에 매설되는 샤프트(11)는 반력대(10)를 관통하여 구비되도록 하면서 양단부는 샤프트(11)가 이탈 방지되도록 반력대(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반력대(10)를 관통하여 매설되는 푸싱 실린더(31)측의 단부는 샤프트(11)와 너클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작장(100)과 교대(200) 또는 교각 상단부에서 푸싱 실린더(61)는 각각에서 일측에 2개씩 구비되므로 결국 2개씩 양측으로 4개가 형성된다.
일단이 반력대(10)측의 샤프트(11)와 너클 조인트로 연결되는 각 푸싱 실린더(31)의 타단은 리프팅 잭(40)의 일측면과 너클 조인트에 의해 연결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의 리프팅 잭을 예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프팅 잭(40)은 다시 제작장(100)과 교대(200) 또는 교각 상단에서 반력대(10)와 브레이킹 새들(20) 사이의 바닥면에 고정시킨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상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5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 플레이트(41)와 이 메인 플레이트(41)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볼 플레이트(42)와 상기 볼 플레이트(42)의 상부면에 면밀착되는 리프팅 실린더(43)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때의 베이스 플레이트(50)는 길이가 메인 플레이트(41)의 면적을 포함하면서 리프팅 잭(40)이 이동하는 길이보다는 짧지 않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베이스 플레이트(50)와 메인 플레이트(41)의 사이에는 메인 플레이트(41)가 베이스 플레이트(50)를 따라 일정 길이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패드(44)가 메인 플레이트(41)의 저면에서 이탈 방지되게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메인 플레이트(41)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볼 플레이트(42)는 판면이 호형상으로 상향 만곡지도록 하며, 이 볼 플레이트(42)의 상부에 안착되는 리프팅 실린더(43)에는 피스톤(430)이 하향 인출되도록 하면서 피스톤(430)의 하단면은 볼 플레이트(42)의 원호형상인 상부면과 대응되는 원호형상으로 상향 요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슬라이딩 패드(44)와 함께 볼 플레이트(42)와 피스톤(430)간 상호 마주하는 원호형면간으로는 윤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접촉면간 미끄럼 작용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볼 플레이트(42)와 리프팅 실린더(43)의 피스톤(430)간 원호형상의 연결은 리프팅 실린더(43)의 상단면이 접촉하는 교량 상판의 저면 상태에 따라 최상의 접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리프팅 실린더(43)의 상부면에는 브레이킹 새들(20)에 부착되는 미끄럼방지 패드(21)와 동일한 미끄럼방지 패드(431)가 부착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어부는 예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러(61)와 제1 엔코더(62)와 제2 엔코더(63)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제어부에서는 콘트롤러(6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리프팅 잭(40)이 구동되도록 하면 교량 상판은 제1 엔코더(62)에 의해 설정된 높이로 상승되고,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되면 콘트롤러(61)에서는 푸싱 실린더(31)를 제2 엔코더(6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설정된 길이까지 전진되도록 한다.
설정된 길이만큼 푸싱 잭(30)을 구동시켜 리프팅 잭(40)이 전진 이동되도록 하면 콘트롤러(61)에 의해서는 다시 리프팅 잭(40)을 구동시켜 유압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교량 상판이 브레이킹 새들(20)에 안치되도록 한다.
제1 엔코더(62)로부터 리프팅 잭(40)이 최대한 하강하게 되면 리프팅 잭(40)은 브레이킹 새들(20)에 안치된 교량 상판의 저면과는 일정 높이가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리프팅 잭(40)이 최대한 하강하게 되면 다시 콘트롤러(61)에 의해서는 푸싱 잭(30)을 구동시켜 리프팅 잭(40)이 전진 이동한 길이만큼 설정한 길이로 후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는 푸싱 잭(30)과 리프팅 잭(40)을 제1 엔코더(62)와 제2 엔코더(6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구동 제어되게 함으로써 자동으로 교량 상판을 연속 반복적으로 압출되도록 한다.
한편, 콘트롤러(61)는 리프팅 실린더(43)에 공급되는 유로의 유압을 체크하는 유압 감지 센서(64)를 통해 체크되는 압력에 의해서 리프팅 잭(40)에 의한 교량 상판의 상승 시점을 제어하도록 한다.
즉, 리프팅 잭(40)을 구동시키게 되면 리프팅 잭(40)에는 유압이 서서히 상승하면서 피스톤(430)을 인출시키게 되어 리프팅 실린더(43)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상승되는 복수의 리프팅 실린더(43)가 교량 상판의 저면에 접촉되면서 서서히 압력이 상승되어 콘트롤러(61)에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게 되는데 일단 먼저 설정된 압력에 도달한 리프팅 실린더(43)들은 구동이 중단되도록 한 상태에서 마지막에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는 리프팅 실린더(43)의 상승시점을 기준으로 콘트롤러(61)에 설정한 높이만큼 모든 리프팅 실린더(43)가 동시에 상승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제1 엔코더(62)는 와이어 엔코더로서 사용하고 있고, 제2 엔코더(63)로는 롤러 엔코더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에서 제1 엔코더와 제2 엔코더의 형성 구조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엔코더(62)로서 적용한 와이어 엔코더는 리프팅 실린더(43)의 일측면 특히 한 쌍의 리프팅 실린더(43)의 외측면으로 각각 부착되도록 하고, 이 와이어 엔코더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의 단부는 메인 플레이트(41)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리프팅 실린더(43)의 승강에 따라 와이어 엔코더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의 인출 길이를 체크하여 높이가 측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엔코더(63)는 푸싱 실린더(31)에 의해 리프팅 실린더(43)의 이동 거리를 측정도록 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서 푸싱 실린더(31)에는 외주면의 일정 높이에 로터리형 또는 롤러형 엔코더로서 제2 엔코더(63)가 축고정되도록 하고, 제2 엔코더(63)의 하부측 외주면과 접촉되는 높이에는 제2 엔코더(63)가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 가이드 플레이트(630)가 구비되도록 하되 롤러 가이드 플레이트(630)는 일단이 푸싱 실린더(31)의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는 리프팅 실린더(43)의 축결합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제2 엔코더(63)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 가이드 플레이트(630)는 리프팅 실린더(43)의 이동 길이 보다는 긴 길이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리프팅 실린더(43)에 의해서 교량 상판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시점을 설정하기 위하여 각 리프팅 실린더(43)에 공급되는 유로에는 유압 감지 센서(64)가 구비되도록 하고, 콘트롤러(61)에는 이 유압 감지 센서(64)로부터 체크되는 유압의 일정값을 교량 상판을 상승시키는 시점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압출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에서 브레이킹 새들에 교량 상판이 안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부와 압출부가 교량 상판(70)을 현지 제작하는 제작장(100)과 함께 이 제작장(100)에서 가장 가까운 교대(20) 또는 교각 상단부에 각각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고, 이들 위치에서 동시에 자동으로 작동되면서 교량 상판(7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중 상호 일정 거리가 이격되도록 하면서 높이 차를 갖도록 하는 지지부에서 후방측의 반력대(10)와 전방측의 브레이킹 새들(20) 사이에는 푸싱 잭(30)과 리프팅 잭(40)으로 이루어지는 압출부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제작장(100)에서 조립 또는 제작되는 추진코 또는 교량 상판(70)이 이송되어 브레이킹 새들(20)의 상부에 안착된다.
브레이킹 새들(20)에 안치된 추진코 또는 교량 상판(70)은 도 8에서와 같이 리프팅 잭(40)에 의해서 일정 높이를 상승하게 된다.
즉 콘트롤러(61)에서 메인 스위치(미도시)를 작동 온시키게 되면 유압 펌프의 구동에 의해서 가장 먼저 리프팅 잭(40)이 구동한다.
따라서 리프팅 잭(40)의 리프팅 실린더(43)에 유압이 공급되면 리프팅 실린더(43)는 점차 상승하게 된다.
이때 리프팅 실린더(43)는 하향 인출되도록 한 피스톤(430)이 하부의 볼 플레이트(42)와 원호형면간 상호 밀착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피스톤(430)은 항상 볼 프레이트(42)와는 원호형면간 밀착되는 상태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리프팅 실린더(43)의 본체가 상승하게 된다.
리프팅 실린더(43)의 상승은 리프팅 실린더(43)의 상단면이 추진코 또는 교량 상판(70)에 밀착되어 컨트롤러(61)에 설정된 압력이 될 때까지 대기하였다가 설정 압력 이상이 되면 압력이 급상승하면서 이때의 높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높이만큼을 상승시키도록 한다.
다만, 추진코 또는 철제 교량 상판(70)의 경우는 리프팅 실린더(43)의 상단면에 접촉하는 저면이 균일한 면상태를 보이게 되지만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교량 상판(70)은 저면이 불규칙한 곡면을 이루게 되므로 각 압출부의 리프팅 잭(40)과 접촉되는 시점이 불규칙할 수 밖에 없다.
즉, 본 발명에서 제작장(100)과 교대(200) 또는 교각에서 각 리프팅 실린더(43)의 구동에 의해 리프팅 실린더(43)의 상단면과 최초로 접하는 교량 상판(70)의 높이가 각기 다를 수가 있으므로 리프팅 실린더(43)를 일정한 높이로만 상승되도록 하면 교량 상판(70)과 접하는 시점의 편차에 의해서 설정한 높이로 리프팅 실린더(43)가 상승되더라도 자칫 교량 상판(70)과 접하지 않는 리프팅 실린더(43)가 발생될 수가 있다.
이렇게 제작장(100)과 교대(200) 또는 교각에서 교량 상판(70)에 접촉하는 각 리프팅 잭(40)의 접촉 시점이 각기 다르게 되면 교량 상판(70)을 제대로 이동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작장(100)과 교대(200) 또는 교각에 구비되는 각 리프팅 잭(40)의 상승 카운트 시점을 리프팅 잭(40)이 교량 상판(70)에 접촉된 상태에서 공급되는 일정 유압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즉, 리프팅 잭(40)의 구동에 의해 리프팅 실린더(43)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교량 상판(70)에 접촉되기 전까지는 리프팅 실린더(43)에 공급되는 유압은 낮은 압력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리프팅 실린더(43)의 계속되는 상승에 의해 리프팅 실린더(43)의 상단부가 교량 상판(70)에 접촉되면 리프팅 실린더(43)에 공급되는 유압은 교량 상판(70)을 들어올릴 수 있는 압력까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교량 상판(7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승하는 유압의 일정값을 교량 상판(70)과 안전하게 접촉된 높이로서 설정되도록 한다.
각 리프팅 실린더(43)에 공급되는 유압은 유압 감지 센서(64)를 통해 체크되도록 하며, 유압 감지 센서(64)를 통해 콘트롤러(61)에 이미 설정한 유압에 도달하였음이 체크되는 순간 이때의 높이로부터 제1 엔코더(63)를 통해 교량 상판(70)의 상승 높이를 체크하면서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되도록 한다.
이때 각 리프팅 실린더(43)들은 상승 중 교량 상판(70)에 접촉되는 시점에 차이가 발생될 수가 있다.
즉, 교량 상판(71)의 각 리프팅 실린더(43)와 접촉되는 면이 동일 수평면이면 접촉되는 시점은 동일하겠지만 리프팅 실린더(43)가 접촉되는 면은 불균일하게 제작되므로 접촉되는 시점에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각 리프팅 잭(40)에서 유압 펌프에 의한 공급 유압이 설정압에 도달하는 시점에 차이가 생기게 되나 이들 중 가장 늦게 설정압에 도달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모든 리프팅 실린더(43)들이 콘트롤러(61)에 설정된 높이까지 교량 상판(70)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리프팅 실린더(43)들에 유압이 동시에 공급되어 상승되면서 교량 상판(70)에 접촉되는 시점이 달라지고, 교량 상판(70)에 접촉된 상태에서 설정압에 도달하는 순간까지의 시점도 비록 다를 수 있으나, 일단 콘트롤러(61)에 설정된 압력까지는 모든 리프팅 실린더(43)들이 상승되도록 한다.
다만 이미 먼저 설정압까지 도달한 리프팅 실린더(43)들은 그 상태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다 가장 마지막의 리프팅 실린더(43)가 설정압에 도달하는 순간부터 모든 리프팅 실린더(43)들은 콘트롤러(61)에 설정된 높이까지 동시에 상승하면서 교량 상판(70)을 상승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교량 상판(70)을 상승시키게 되면 교량 상판(70)은 항상 브레이킹 새들(20)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가 이격되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각 리프팅 실린더(43)들에 의해 교량 상판(70)이 상승되면 도 9에서와 같이 상승시킨 상태에서 푸싱 잭(30)이 구동되도록 하여 리프팅 잭(40)을 설정 길이만큼 리프팅 잭(40)을 전진 이동시키도록 하며, 따라서 리프팅 잭(40)의 상단부에 안착된 교량 상판(70)이 설정 길이만큼 이동되도록 한다.
교량 상판(70)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리프팅 잭(40)에 공급했던 유압을 제거시키게 되면 도 10에서와 같이 교량 상판(70)은 서서히 하강하면서 브레이킹 새들(20)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비록 교량 상판(7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리프팅 실린더(43)의 상단면은 계속해서 하강하면서 리프팅 잭(40)은 최대한 하강하게 된다.
리프팅 잭(40)이 구동 오프 상태가 되면 도 11에서와 같이 푸싱 잭(30)을 설정 길이만큼 리프팅 잭(40)을 후진 이동시켜 리프팅 잭(40)이 원위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리프팅 잭(40)이 원위치하면 계속해서 상기한 작동을 반복해서 푸싱 잭(30)과 리프팅 잭(40)을 승강 및 전후진시켜 지속적으로 설정 길이만큼씩 전진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으로 일정 길이씩 교량 상판(70)을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좀더 빠르고 간편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무엇보다 작업 인력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대폭적인 인건비 절감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이동되는 교량 상판(70)은 일정 길이를 일정 주기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예측 가능한 교량 가설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정된 교량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가 있다.
10 : 반력대 20 : 브레이킹 새들
30 : 푸싱 잭 31 : 푸싱 실린더
40 : 리프팅 잭 41 : 메인 플레이트
42 : 볼 플레이트 43 : 리프팅 실린더
44 : 슬라이딩 패드 50 : 베이스 플레이트
61 : 콘트롤러 62 : 제1 엔코더
63 : 제2 엔코더 64 : 유압 감지 센서
70 교량 상판
100 : 제작장 200 : 교대

Claims (7)

  1. 교량 상판 제작장과 함께 교대 또는 교각 상단부에서 각각 전후방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되도록 하면서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되는 반력대와 브레이킹 새들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반력대와 브레이킹 새들 사이에서 상기 브레이킹 새들에 안치되는 교량 상판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켜 일정 거리씩 이동시키도록 하는 푸싱 잭과 리프팅 잭으로 이루어지는 압출부;
    상기 리프팅 잭의 구동에 의해 교량 상판을 설정된 높이로 상승되도록 하고, 상승된 상태의 리프팅 잭은 상기 푸싱 잭의 구동에 의해 설정 길이만큼 전진되도록 하며, 상기 리프팅 잭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거하여 교량 상판이 브레이킹 새들에 안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푸싱 잭의 구동에 의해 설정한 전진 길이만큼 후진하도록 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반복 수행되도록 하여 교량을 연속적으로 압출시키도록 하는 제어부;
    로서 이루어지는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는 교량 상판 제작장과 함께 교대 또는 교각 상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지지부의 반력대와 브레이킹 새들 사이에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는,
    한 쌍의 푸싱 실린더로서 이루어지고, 각 푸싱 실린더의 일단은 반력대를 관통하여 매설되는 샤프트의 일단과 너클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푸싱 잭과,
    반력대와 브레이킹 새들 사이의 바닥면에 고정시킨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측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저면으로 슬라이딩 패드를 삽입시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볼 플레이트와 상기 볼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면밀착되는 리프팅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면서 상기 리프팅 실린더의 일측면은 상기 푸싱 잭의 반력대측 일단과는 반대측에 구비되는 타단과 너클 조인트로서 연결되는 리프팅 잭으로 이루어지는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볼 플레이트는 상부면이 일정 반경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하여 원호형상을 이루고, 상기 리프팅 실린더에는 상기 볼 플레이트의 원호형상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단면을 형성하는 피스톤이 하향 인출되는 형상으로 연결되는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팅 잭의 승강 높이를 체크하는 제1 엔코더와 상기 푸싱 잭에 의한 상기 리프팅 잭의 이동 길이를 체크하는 제2 엔코더 및 상기 제1 엔코더와 제2 엔코더로부터 체크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푸싱 잭과 리프팅 잭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각 리프팅 잭에 공급되는 유압 라인에 유압 감지 센서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리프팅 잭의 상승 시 유압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유압이 콘트롤러에 설정한 압력에 도달하는 시점부터 설정 높이만큼을 상승되도록 하는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든 리프팅 잭들이 콘트롤러에 설정한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되도록 하면서 설정한 압력에 가장 마지막으로 도달하는 리프팅 잭의 상승시점으로부터 모든 리프팅 잭들이 동시에 설정 높이만큼을 상승하도록 하는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KR1020150030613A 2015-03-04 2015-03-04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KR20160107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613A KR20160107630A (ko) 2015-03-04 2015-03-04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613A KR20160107630A (ko) 2015-03-04 2015-03-04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630A true KR20160107630A (ko) 2016-09-19

Family

ID=57102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613A KR20160107630A (ko) 2015-03-04 2015-03-04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7630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8472A (zh) * 2019-04-28 2019-08-23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模块化多功能步履式顶推设备
CN110274818A (zh) * 2019-06-12 2019-09-24 东南大学 一种缆索支承桥梁火致断索的组合试验装置
CN110541363A (zh) * 2019-08-22 2019-12-06 中国船舶重工集团应急预警与救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导梁平推架设桥梁的落桥装置
CN111119077A (zh) * 2020-02-11 2020-05-08 上海先为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多维度纠偏装置
CN111119078A (zh) * 2020-02-11 2020-05-08 上海先为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多维度纠偏装置
CN111910532A (zh) * 2020-08-19 2020-11-10 山东鼎鲁建筑有限公司 一种桥梁架设顶推施工用顶推设备及方法
CN112176887A (zh) * 2020-08-24 2021-01-05 甘肃恒通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连续刚构桥合龙段纵向顶推结构
CN113062228A (zh) * 2021-04-20 2021-07-02 中铁大桥局第九工程有限公司 一种无起落跳跃步履式顶推设备及其顶推方法
CN113774812A (zh) * 2021-08-21 2021-12-10 华东交通大学 一种桥梁连续顶推作业的分级顶推台车***及施工方法
CN114751335A (zh) * 2022-04-12 2022-07-15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钢梁安装精准定位装置
KR20230030327A (ko) * 2021-08-25 2023-03-06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교량의 거더 거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422A (ko) 1988-05-10 1991-05-30 고다이라 다스쿠 안정한 수중 현탁상 농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422A (ko) 1988-05-10 1991-05-30 고다이라 다스쿠 안정한 수중 현탁상 농약 조성물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8472A (zh) * 2019-04-28 2019-08-23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模块化多功能步履式顶推设备
CN110274818A (zh) * 2019-06-12 2019-09-24 东南大学 一种缆索支承桥梁火致断索的组合试验装置
CN110541363B (zh) * 2019-08-22 2024-05-31 中国船舶重工集团应急预警与救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导梁平推架设桥梁的落桥装置
CN110541363A (zh) * 2019-08-22 2019-12-06 中国船舶重工集团应急预警与救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导梁平推架设桥梁的落桥装置
CN111119077A (zh) * 2020-02-11 2020-05-08 上海先为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多维度纠偏装置
CN111119078A (zh) * 2020-02-11 2020-05-08 上海先为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多维度纠偏装置
CN111910532A (zh) * 2020-08-19 2020-11-10 山东鼎鲁建筑有限公司 一种桥梁架设顶推施工用顶推设备及方法
CN112176887A (zh) * 2020-08-24 2021-01-05 甘肃恒通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连续刚构桥合龙段纵向顶推结构
CN112176887B (zh) * 2020-08-24 2022-03-11 甘肃恒通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连续刚构桥合龙段纵向顶推结构
CN113062228A (zh) * 2021-04-20 2021-07-02 中铁大桥局第九工程有限公司 一种无起落跳跃步履式顶推设备及其顶推方法
CN113774812A (zh) * 2021-08-21 2021-12-10 华东交通大学 一种桥梁连续顶推作业的分级顶推台车***及施工方法
KR20230030327A (ko) * 2021-08-25 2023-03-06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교량의 거더 거치 장치
CN114751335A (zh) * 2022-04-12 2022-07-15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钢梁安装精准定位装置
CN114751335B (zh) * 2022-04-12 2023-06-09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钢梁安装精准定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7630A (ko) 교량의 연속 압출 시스템
CN102587291B (zh) 一种钢箱梁步履式多点顶推施工方法及施工***
US10662043B2 (en) Lifting device and system with integrated drive unit for lifting a vehicle, and method there for
CN102127899B (zh) 大吨位钢箱梁在陆域及浅滩区的提升滑移***及施工方法
KR101914261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하이브리드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구조물 승강방법
KR20200116937A (ko) 상승 시스템 및 상승 시스템 작동 방법
JP2017218865A (ja) プレキャスト床版架設機、およびプレキャスト床版取替位置におけるプレキャスト床版架設機の移動方法
KR102019014B1 (ko) 구조물 이송장치
JP2004308415A (ja) 重荷重の移動装置
JP2009114751A (ja) 送出し装置及び送出しシステム
CN212989064U (zh) 一种预制构件试验装置
CN113382949B (zh) 外伸支腿控制装置
JP7082370B2 (ja) セントルおよびセントル移動方法
JP4474445B2 (ja) 送出し工法
JP2011001721A (ja) 送出し管理システム
CN202559681U (zh) 新型自动抹灰机
CN215150312U (zh) 一种管桩模具泵送用自动调整高度计量平车
JP7208789B2 (ja) 杭圧入機
KR20050009891A (ko) 연속압출공법으로 가설되는 교량에서 상부거더를 밀어내는압출시스템
KR20160112502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CN210766423U (zh) 一种可调节倾角的斜腹杆托架台车
CN212582445U (zh) 一种新型三维步履式顶推设备
CN106988233A (zh) 一种桥梁支座的自动抽取装置
JP2008143665A (ja) コイルカーのコイル転倒防止装置
CN102398854A (zh) 电梯卷扬机的安装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