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457A - 슬림 사출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슬림 사출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457A
KR20160092457A KR1020150049524A KR20150049524A KR20160092457A KR 20160092457 A KR20160092457 A KR 20160092457A KR 1020150049524 A KR1020150049524 A KR 1020150049524A KR 20150049524 A KR20150049524 A KR 20150049524A KR 20160092457 A KR20160092457 A KR 20160092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take
plate
lower cor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도
박민상
이환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919,399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26886B2/en
Priority to CN201510849727.1A priority patent/CN105818333B/zh
Publication of KR20160092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기에 설치되어 사출물을 형성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출기의 일측 클램핑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내부에 핫러너 시스템이 마련되는 핫러너판; 상기 핫러너판에 설치되는 상코어; 상기 상코어와 마주하도록 상기 사출기의 반대측 클램핑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상코어와 결합하여 상기 사출물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코어; 및 상기 하코어에 설치되며, 상기 상코어가 상기 하코어에서 분리되면, 상기 사출물을 밀어 올리는 취출 코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림 사출금형장치{Slim injection mold apparatus}
본 발명은 사출기에서 사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출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물을 취출하는 상밀판 및 하밀판을 제거하여 높이를 낮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장치(2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원판(2111)의 아래에 스페이서 블록(2131)이 설치되고, 스페이서 블록(2131)의 내부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밀판(214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밀판(2141)에는 하원판(2111)에 설치된 하코어(2113)를 관통하여 사출물을 밀 수 있는 밀핀(14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캐비티(2101)에 사출물을 형성하는 사출 동작과 사출물의 냉각이 완료된 후, 사출물을 취출하는 경우에는 상원판(2121)이 하원판(2111)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코어(2123)와 하코어(2113)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2101)를 개방하게 된다. 그 후, 밀판(2141)이 이동하면, 밀판(2141)에 설치된 밀핀(2142)에 의해 사출물이 하코어(2113)에서 분리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장치(2000)는 상원판(2121), 하원판(2111), 스페이서 블록(2131) 및 밀판(2141)을 사용하기 때문에 금형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크고, 소재 비용과 가공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출성형장치에서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2개의 캐비티를 갖는 한 개의 사출금형장치로 2개의 사출물을 생산할 수 있는 탠덤 사출금형장치나 스택 사출금형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탠덤 사출금형장치는 한쪽의 캐비티에서 성형된 사출물이 냉각되는 동안 다른 쪽의 캐비티에서는 사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연속적으로 사출품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탠덤 사출금형장치(3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원판(3111)과 제2하원판(3112)의 아래에 각각 스페이서 블록(3131)이 설치되고, 각 스페이서 블록(3131)의 내부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밀판(314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밀판(3141)에는 제1하원판(3111)과 제2하원판(3112)의 하코어(3113)를 관통하여 사출물을 밀 수 있는 밀핀(314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캐비티(3101)에 사출물을 형성하는 사출 동작과 사출물의 냉각이 완료된 후, 사출물을 취출하는 경우에는 제1하원판(3111) 또는 제2하원판(3112)이 제1상원판(3121) 또는 제2상원판(3122)에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코어(3123)와 하코어(3113)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3101)를 개방하게 된다. 그 후, 밀판(3141)이 이동하면, 밀판(3141)에 설치된 밀핀(3142)에 의해 사출물이 하코어(3113)에서 분리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탠덤 사출금형장치(3000)는 사출물을 취출하기 위해 2개의 스페이서 블록(3131), 밀판(3141), 및 밀핀(3142)이 필요하므로 장치의 높이(H)가 높다. 따라서, 일반 사출금형장치를 사용하는 사출기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탠덤 사출금형장치는 형개거리가 일반 사출기보다 긴 특수한 사출기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상원판, 하원판, 스페이서 블록 및 밀판을 사용하지 않아 그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재료비 및 가공비를 줄일 수 있는 슬림 사출금형장치에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텐덤 사출금형장치나 스택 사출금형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밀판과 하밀판을 사용하지 않아 사출금형장치의 전체 높이가 낮아 일반 사출기에 사용할 수 있는 슬림 사출성형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출기에 설치되어 사출물을 형성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사출기의 일측 클램핑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내부에 핫러너 시스템이 마련되는 핫러너판; 상기 핫러너판에 설치되는 상코어; 상기 상코어와 마주하도록 상기 사출기의 반대측 클램핑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상코어와 결합하여 상기 사출물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코어; 및 상기 하코어에 설치되며, 상기 상코어가 상기 하코어에서 분리되면, 상기 사출물을 밀어 올리는 취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핫러너판, 상기 상코어, 및 상기 하코어는 길이와 폭이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하코어에 설치된 슬라이드 코어의 수평 운동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하코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취출 몸체; 및 상기 취출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하코어의 중심에서 멀어지면, 상기 하코어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사출품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 취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몸체에는 상기 하코어의 상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안내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취출 핀의 일단부에는 상기 안내레일이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취출 몸체가 상기 슬라이드 코어에 의해 이동하면, 상기 취출 핀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핀의 타단부에는 상기 사출물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상코어, 상기 하코어, 및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함께 상기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코어에는 상기 취출 핀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취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코어에는 앵귤러 핀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에는 상기 앵귤러 핀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코어가 이동하면 상기 안내구멍에 삽입된 상기 앵귤러 핀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귤러 핀은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하코어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상코어가 상기 하코어에서 분리될 때,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취출 코어의 취출 몸체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취출 핀은 상기 하코어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코어와 상기 하코어 각각을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하코어에 설치된 이젝터 블록의 상하 운동에 의해 수직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젝터 블록은 상기 하코어에 형성된 이젝터 홈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코어와 함께 상기 캐비티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이젝터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젝터 블록이 상승하면, 상기 하코어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사출품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 취출 핀; 및 상기 이젝터 블록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취출 핀이 연결된 취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코어에는 리프트 부재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 부재의 일단은 상기 이젝터 블록에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 부재의 타단은 상기 상코어에 형성된 리프트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상코어가 상승하면, 상기 이젝터 블록은 상기 리프트 부재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출기에 설치되어 사출물을 형성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는, 핫러너 시스템이 설치되는 핫러너판; 상기 핫러너판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1코어; 및 상기 핫러너판의 반대 측면에 설치되는 제2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코어 및 제2코어는 각각, 상기 핫러너판에 설치되는 상코어; 상기 상코어와 마주하도록 상기 사출기의 클램핑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상코어와 결합하여 상기 사출물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코어; 및 상기 하코어에 설치되며, 상기 상코어가 상기 하코어에서 분리되면, 상기 사출물을 밀어 올리는 취출 코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핫러너판, 상기 상코어, 및 상기 하코어는 길이와 폭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하코어에 설치된 슬라이드 코어의 수평 운동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하부 코어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취출 몸체; 및 상기 취출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하코어의 중심에서 멀어지면, 상기 하코어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사출품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 취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몸체에는 상기 하코어의 하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안내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취출 핀의 일단부에는 상기 안내레일이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취출 몸체가 상기 슬라이드 코어에 의해 이동하면, 상기 취출 핀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코어에는 앵귤러 핀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에는 상기 앵귤러 핀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코어가 이동하면 상기 안내구멍에 삽입된 상기 앵귤러 핀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이동하며, 상기 앵귤러 핀은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하코어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하코어에 설치된 이젝터 블록의 상하 운동에 의해 수직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젝터 블록은 상기 하코어에 형성된 이젝터 홈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코어와 함께 상기 캐비티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이젝터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젝터 블록이 상승하면, 상기 하코어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사출품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 취출 핀; 및 상기 이젝터 블록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취출 핀이 연결된 취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코어에는 리프트 부재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 부재의 일단은 상기 이젝터 블록에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 부재의 타단은 상기 상코어에 형성된 리프트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상코어가 상승하면, 상기 이젝터 블록은 상기 리프트 부재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림 사출금형장치는 텐덤 사출금형장치로서, 상기 제1코어의 캐비티와 상기 제2코어의 캐비티는 순차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림 사출금형장치는 스택 사출금형장치로서, 상기 제1코어의 캐비티와 상기 제2코어의 캐비티는 동시에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코어와 상기 핫러너판의 일 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상원판; 상기 제1상원판과 마주하며, 상기 제1코어와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하원판; 상기 제2코어와 상기 핫러너판의 반대 측면에 사이에 설치되는 제2상원판; 및 상기 제2상원판과 마주하며, 상기 제2코어와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2하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탠덤 사출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를 제거하였을 때, 하코어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가 이동하여 캐비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에 사용되는 취출 코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상코어, 하코어, 및 슬라이드 코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가 하코어 및 슬라이드 코어에서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를 제거하였을 때, 하코어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가 이동하여 캐비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상코어, 하코어, 및 이젝터 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가 하코어 및 이젝터 블록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가 설치된 사출기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6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제1코어의 하코어가 이동하여 제1캐비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도 16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제2코어의 하코어가 이동하여 제2캐비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도 16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제1코어의 하코어와 제2코어의 하코어가 동시에 이동하여 제1캐비티와 제2캐비티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도 22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제1하원판이 이동하여 제1캐비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도 22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제2하원판이 이동하여 제2캐비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에 사용되는 취출 코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상코어, 하코어, 및 슬라이드 코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7은 도 26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하코어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8은 도 26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하코어와 슬라이드 코어가 상코어에서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9는 도 22의 슬림 사출금형장치가 스택 사출금형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로서, 제1캐비티와 제2캐비티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를 제거하였을 때, 하코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가 이동하여 캐비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에 사용되는 취출 코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100)는 사출기(1000)(도 17 참조)에 마련된 한 쌍의 클램핑 플레이트(11)(도 17 참조)에 설치되어 사출물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핫러너판(110), 상코어(120), 하코어(130), 및 취출 코어(150)를 포함한다.
핫러너판(110)은 상고정판(171)에 의해 사출기(1000)의 일측 클램핑 플레이트(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고정판(171)은 사출기(1000)의 일측 클램핑 플레이트(11)에 고정되고, 핫러너판(110)은 상고정판(17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핫러너판(110)이 상고정판(171)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11)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핫러너판(110)은 상고정판(171) 없이 클램핑 플레이트(11)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핫러너판(110)의 내부에는 핫러너 시스템(hot runner system)(111)이 마련된다. 핫러너 시스템(111)은 사출기(1000)와 슬림 사출금형장치(100)의 캐비티(cavity)(101)를 연결하는 유로에 열을 가해 사출 원료를 액체 상태로 유지시켜 연속적인 사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종래 기술에 의한 핫러너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고정판(171)에는 핫러너판(110)의 핫러너 시스템(111)과 연통되는 핫러너부(163)가 마련된다.
상코어(120)는 상기 핫러너판(110)의 일 측면, 즉 상고정판(161)이 설치된 면의 반대면에 설치되며, 상코어(120)의 표면에는 일정한 사출물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품 홈(121)이 형성된다.
하코어(130)는 상코어(120)와 마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코어(130)의 상면은 일정한 사출물(5)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코어(120)와 하코어(130)가 결합하면 상코어(120)의 제품 홈(121)과 하코어(130)의 상면에 의해 일정한 사출물(5)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캐비티(cavity)(101)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코어(120)와 하코어(130)가 결합하면, 마주하는 상코어(120)의 제품 홈(121)과 하코어(130)의 상면에 의해 일정한 사출물(5)에 대응하는 캐비티(101)가 형성되고, 캐비티(101)의 내부 치수는 사출물(5)의 치수에 대응한다. 따라서, 캐비티(101)에 핫러너 시스템(111)을 통해 사출 원료인 용융된 플라스틱이나 수지를 주입하여 냉각시키면, 소정의 사출물(5)이 형성된다. 상술한 핫러너 시스템(111)은 캐비티(101)에 사출 원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코어(120)에 연장된다.
하코어(130)는 하고정판(172)에 의해 사출기(1000)의 반대측 클램핑 플레이트(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하고정판(172)은 사출기(1000)의 반대측 클램핑 플레이트(11)에 고정되고, 하코어(130)는 하고정판(172)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코어(130)가 하고정판(172)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11)에 고정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하코어(130)는 하고정판(172) 없이 클램핑 플레이트(11)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핫러너판(110), 상코어(120), 및 하코어(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그 길이(L)와 폭(W)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코어(120)가 종래 기술과 달리 상원판에 설치되지 않고, 직접 핫러너판(110)에 설치된다. 또한, 하코어(130)도 종래 기술과 달리 하원판에 설치되지 않고 직접 하고정판(172)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100)는 상원판과 하원판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재료비와 가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취출 코어(150)는 하코어(130)에 설치되며, 상코어(120)가 하코어(130)에서 분리되면 캐비티(101)에 형성된 사출물(5)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취출 코어(150)는 하코어(130)에 설치된 슬라이드 코어(140)의 수평 운동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하도록 설치된다.
슬라이드 코어(140)는 하코어(130)의 양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부(141)는 상코어(120)의 제품 홈(121) 및 하코어(130)의 언더컷 홈과 결합하여 캐비티(101)의 일부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코어(141)의 선단부(141)는 사출물(5)의 언더컷 부분(5-1)에 대응하는 형상의 캐비티 부분(102)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140)는 하코어(130)에 설치되는 취출 코어(150)의 일측에 하코어(1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드 코어(140)는 상코어(120)와 하코어(130)가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코어(120)와 하코어(130) 사이에 결합되어 사출물(5)의 언더컷(5-1)에 대응하는 캐비티 부분(102)을 형성하고, 상코어(120)와 하코어(130)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하코어(130)의 중심(C)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화살표 A)으로 하코어(130)에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러한 슬라이드 코어(140)의 이동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앵귤러 핀(160)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코어(140)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앵귤러 핀(160)은 상코어(120)의 제품 홈(121)의 외측으로 상코어(120)에 설치된다. 앵귤러 핀(160)은 슬라이드 코어(140)가 하코어(130)의 중심(C)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화살표 A)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슬라이드 코어(140)에는 앵귤러 핀(16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구멍(161)이 형성된다. 안내구멍(161)도 제1방향(화살표 A)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코어(120)가 상승하여 앵귤러 핀(160)이 상승하면, 안내구멍(161)에 삽입된 앵귤러 핀(160)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140)가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드 코어(140)는 하코어(130)의 중심(C)에서 멀어지는 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부(141)가 하코어(130)의 언더컷 홈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상코어(120)가 하강하면 앵귤러 핀(160)이 슬라이드 코어(140)의 안내구멍(161)에 삽입되고, 상코어(120)가 더 하강하면 안내구멍(161)에 삽입된 앵귤러 핀(160)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140)가 하코어(130)의 중심(C)을 향해 이동한다. 상코어(120)의 하강이 완료되면, 앵귤러 핀(160)에 의해 이동된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부(141)는 하코어(130)의 언더컷 홈 및 상코어(120)의 제품 홈(121)과 함께 캐비티(101)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슬라이드 코어(140)가 상코어(120)에 설치된 앵귤러 핀(160)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슬라이드 코어(140)의 이동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슬라이드 코어(140)는 그 일측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취출 코어(150)는 슬라이드 코어(140)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하코어(13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취출 코어(150)는 상코어(120)가 하코어(130)에서 분리되면 하코어(13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캐비티(101)에 형성된 사출물(5)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취출 코어(150)는 하코어(130)의 내측에 하코어(1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술한 슬라이드 코어(140)의 이동에 따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취출 코어(150)는 취출 몸체(151)와 취출 핀(155)을 포함할 수 있다.
취출 몸체(151)는 하코어(13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코어(140)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코어(1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코어(130)의 일측에는 취출 몸체(151)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취출 홈(133)이 마련된다.
취출 몸체(151)의 일측면에는 취출 핀(155)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152)이 형성된다. 안내레일(152)은 취출 몸체(151)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안내레일(152)은 하코어(130)의 상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안내레일(152)의 아래쪽에는 안내레일(152)과 평행하게 지지부(153)가 마련된다. 지지부(153)는 취출 핀(155)의 하단을 지지하여, 취출 핀(155)이 안내레일(15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취출 핀(155)은 취출 몸체(151)의 일측에 설치되며, 슬라이드 코어(140)가 하코어(130)의 중심(C)에서 멀어지면, 하코어(130)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사출품(5)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다.
취출 핀(155)이 취출 몸체(15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취출 핀(155)의 하단부의 일측면에는 취출 몸체(151)의 안내레일(152)이 삽입되는 안내홈(15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홈(156)을 안내레일(152)에 삽입하면, 취출 핀(155)은 안내레일(15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취출 핀(155)의 상단부에는 사출물(5)이 안착되는 안착부(157)가 형성된다. 안착부(157)는 하코어(130)의 상면과 함께 캐비티(101)를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취출 핀(155)의 안착부(157)는 하코어(130)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취출 핀(155)의 안착부(157)는 상코어(120)의 제품 홈(121), 하코어(130)의 상면, 및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부(141)와 함께 캐비티(101)를 형성한다.
한편, 하코어(130)에는 취출 핀(155)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취출 구멍(131)이 형성된다. 취출 구멍(131)은 취출 핀(155)이 취출 몸체(151)의 안내레일(152)에 의해 이동할 때, 하코어(13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취출 구멍(131)은 하코어(130)의 하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거나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취출 핀(155)이 안내레일(152)의 가장 높은 위치(152a)에 위치하면 하코어(142)의 취출 구멍(131)을 통해 취출 핀(155)이 하코어(130)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취출 핀(155)이 안내레일(152)의 가장 낮은 위치(152b)에 위치하면 취출 핀(155)이 취출 구멍(131)을 통해 하강하여 취출 핀(155)의 안착부(157)가 하코어(130)의 상면과 일치하여 캐비티(101)를 형성한다. 취출 핀(155)이 하코어(130)의 상면에서 돌출되면, 취출 핀(155)의 안착부(157)가 캐비티(101)에 형성된 사출물(5)을 밀어 사출물(5)이 하코어(13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취출 코어(150)가 슬라이드 코어(14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취출 몸체(151)의 상면에는 결합 돌기(154)가 마련되고, 취출 코어(150)와 접하는 슬라이드 코어(140)의 하면에는 취출 코어(150)의 결합 돌기(154)가 삽입되는 결합홈(143)이 형성된다. 취출 코어(150)는 결합 돌기(154)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14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코어(140)가 하코어(1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면, 취출 코어(150)도 하코어(1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6과 이상의 설명에서는 취출 핀(155)이 취출 몸체(151)의 일측면에 한 개가 설치된 취출 코어(150)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사출물(5)의 크기가 큰 경우 취출 핀(155)은 취출 몸체(151)의 양측면에 대칭적으로 2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상코어, 하코어, 및 슬라이드 코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가 하코어 및 슬라이드 코어에서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코어(120), 하코어(130), 슬라이드 코어(140), 및 취출 코어(150)가 제조할 사출물(5)에 대응하는 캐비티(101)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사출기(1000, 도 17 참조)는 사출 원료인 용융 플라스틱이나 수지를 핫러너 시스템(111)을 통해 캐비티(101) 내에 주입하는 사출 동작을 수행한다.
캐비티(101) 내에 용융 플라스틱이나 수지의 주입이 완료된 후, 일정한 냉각시간이 경과하면, 상코어(120)가 이동하여 사출물(5)을 캐비티(101)에서 취출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코어(120)가 하코어(130)에서 분리되기 시작하면, 상코어(120)에 설치된 앵귤러 핀(160)도 상코어(120)와 일체로 상승하기 시작한다. 앵귤러 핀(160)이 상승하면, 안내구멍(161)에 삽입된 앵귤러 핀(160)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140)가 하코어(130)의 중심(C)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 코어(140)가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슬라이드 코어(140)의 하측에 설치된 취출 코어(150)의 취출 몸체(151)도 슬라이드 코어(140)와 일체로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취출 코어(150)의 취출 몸체(151)가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취출 핀(55)은 취출 몸체(151)에 형성된 안내레일(152)에 의해 상승하기 시작한다. 취출 핀(155)이 상승을 시작하면, 취출 핀(155)의 안치부(157)가 하코어(130)의 상면으로 돌출되기 시작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코어(120)가 완전히 상승하면, 슬라이드 코어(140)는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최대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부(141)가 하코어(130)의 언더컷 홈에서 완전히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때, 슬라이드 코어(140)의 하측에 설치된 취출 몸체(151)도 최대로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므로, 취출 핀(155)은 취출 몸체(151)의 안내레일(152)의 가장 높은 위치(152a)에 위치하기 된다. 그러면, 취출 핀(155)이 하코어(130)의 취출 구멍(131)을 통해 돌출되어 사출물(5)을 하코어(130)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때, 사출물(5)은 취출 핀(155)의 안착부(157)에 안착된 상태로 하코어(130)에서 분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100)는 캐비티(101)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140)를 이용하여 사출물(5)을 취출하므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장치(2000)와 같이 하원판(2111)의 외측에 설치되는 별도의 스페이서 블럭(2131)이나 밀판(2141)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슬림 사출금형장치(1)의 높이(h)를 낮출 수 있으며, 크기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를 제거하였을 때, 하코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가 이동하여 캐비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200)는 사출기(1000)(도 17 참조)에 마련된 한 쌍의 클램핑 플레이트(11)(도 17 참조)에 설치되어 사출물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핫러너판(210), 상코어(220), 하코어(230), 및 취출 코어(250)를 포함한다.
핫러너판(210)의 내부에는 핫러너 시스템(211)이 마련된다. 핫러너판(210)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핫러너판(110)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코어(220)는 상기 핫러너판(210)의 일측에 설치되며, 표면에는 일정한 사출물(5)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품 홈(221)이 형성된다.
하코어(230)는 상코어(220)와 마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코어(230)의 상면은 일정한 사출물(5)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코어(220)와 하코어(230)가 결합하면 상코어(220)의 제품 홈(221)과 하코어(230)의 상면에 의해 일정한 사출물(5)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캐비티(cavity)(201)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코어(220)와 하코어(230)가 결합하면, 마주하는 상코어(220)의 제품 홈(221)과 하코어(230)의 상면에 의해 일정한 사출물(5)에 대응하는 캐비티(201)가 형성되고, 캐비티(201)의 내부 치수는 사출물(5)의 치수에 대응한다. 따라서, 캐비티(201)에 핫러너 시스템(211)을 통해 사출 원료인 용융된 플라스틱이나 수지를 주입하여 냉각시키면, 소정의 사출물(5)이 형성된다. 상술한 핫러너 시스템(211)은 상코어(220)의 제품 홈(221)에 사출 원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코어(220)로 연장된다.
하코어(230)는 하고정판(272)에 의해 사출기(1000)의 반대측 클램핑 플레이트(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하고정판(272)은 사출기(1000)의 반대측 클램핑 플레이트(11)에 고정되고, 하코어(230)는 하고정판(272)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코어(230)가 하고정판(272)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11)에 고정되나, 다른 예로서, 하코어(230)는 하고정판(272) 없이 클램핑 플레이트(11)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핫러너판(210), 상코어(220), 및 하코어(230)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그 길이(L)와 폭(W)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코어(220)가 종래 기술과 달리 상원판에 설치되지 않고, 직접 핫러너판(210)에 설치된다. 또한, 하코어(230)도 종래 기술과 달리 하원판에 설치되지 않고 직접 하고정판(272)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200)는 상원판과 하원판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재료비와 가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취출 코어(250)는 하코어(230)에 설치되며, 상코어(220)가 하코어(230)에서 분리되면 캐비티(201)에 형성된 사출물(5)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취출 코어(250)는 하코어(230)에 설치된 이젝터 블록(ejector block)(240)의 상하 운동에 의해 수직 이동을 하도록 설치된다.
이젝터 블록(240)은 하코어(230)의 상면에 형성된 이젝터 홈(235)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젝터 블록(240)의 상면은 하코어(230)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므로, 이젝터 블록(240)은 하코어(230)와 함께 캐비티(20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젝터 블록(240)은 리프트 부재(260)에 의해 상코어(220)에 연결된다. 리프트 부재(26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코어(220)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리프트 부재(260)는 상코어(220)에 마련된 리프트 구멍(26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리프트 구멍(261)은 안지름이 큰 대경부(261-1)와 안지름이 작은 소경부(261-2)로 구분된다. 리프트 구멍(261)의 대경부(261-1)는 리프트 부재(260)의 일단에 마련된 스토퍼(263)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리프트 구멍(261)의 소경부(261-2)는 리프트 부재(260)는 통과하고 스토퍼(263)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리프트 구멍(261)의 대경부(261-1)는 핫러너판(210)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리프트 부재(260)의 타단, 구체적으로, 스토퍼(263)가 설치된 일단의 반대쪽의 단에는 이젝터 블록(24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코어(220)의 이동이 리프트 부재(260)에 의해 이젝터 블록(240)으로 전달되므로, 상코어(220)가 상승하면, 이젝터 블록(240)은 리프트 부재(260)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260)와 리프트 구멍(261)은 적어도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취출 코어(250)는 이젝터 블록(240)에 의해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코어(23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취출 코어(250)는 상코어(220)가 하코어(230)에서 분리되면 하코어(23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캐비티(201)에 형성된 사출물(5)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취출 코어(250)는 하코어(230)의 내측에 이젝터 홈(235)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233)에 하코어(230)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술한 이젝터 블록(240)의 이동에 따라 일체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취출 코어(250)는 취출 몸체(251)와 취출 핀(255)을 포함할 수 있다.
취출 몸체(251)는 하코어(230)의 이젝터 홈(235)의 하측에 마련된 수용 공간(233)에 설치되며, 하코어(23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취출 몸체(251)의 상면에 마련된 고정부(254)는 이젝터 블록(240)과 볼트로 결합된다.
취출 몸체(251)의 고정부(254)의 일측 중앙에는 슬롯(253)이 형성된다. 이 슬롯(253)의 양쪽 내면에는 취출 몸체(251)에 대한 취출 핀(255)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252)이 형성된다. 안내레일(252)은 취출 몸체(251)의 슬롯(253)의 양쪽 내면에서 돌출되며, 하코어(230)의 하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취출 핀(255)은 이젝터 블록(24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이젝터 블록(240)이 상승하면, 하코어(230)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캐비티(201)에 형성된 사출품(5)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다.
취출 몸체(251)가 이젝터 블록(240)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취출 핀(255)이 취출 몸체(25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취출 핀(255)의 하단부의 양 측면에는 취출 몸체(251)의 한 쌍의 안내레일(252)이 삽입되는 한 쌍의 안내홈(25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안내홈(256)을 취출 몸체(251)의 슬롯(253)에 마련된 한 쌍의 안내레일(252)에 삽입하면, 취출 핀(255)은 한 쌍의 안내레일(25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취출 핀(255)의 상단부에는 사출물(5)이 안착되는 안착부(257)가 형성된다. 안착부(257)는 하코어(230)의 상면과 함께 캐비티(201)를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취출 핀(255)의 안착부(257)는 하코어(230)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취출 핀(255)의 안착부(257)는 상코어(220)의 제품 홈(221), 하코어(230)의 상면, 및 슬라이드 코어(240)의 선단부(241)와 함께 캐비티(201)를 형성한다.
한편, 하코어(230)에는 취출 핀(255)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취출 구멍(231)이 형성된다. 취출 구멍(231)은 이젝터 블록(240)에 의해 취출 몸체(251)가 상하로 이동할 때, 취출 핀(255)이 하코어(23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취출 구멍(231)은 하코어(230)의 하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거나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취출 구멍(231)은 하코어(230)의 하면에 대해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젝터 블록(240)이 상승하면, 하코어(230)의 취출 구멍(231)을 통해 취출 핀(255)이 하코어(230)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이젝터 블록(240)이 하강하여 취출 몸체(251)가 수용 공간(233)의 바닥에 위치하면 취출 핀(255)이 취출 구멍(231)을 통해 하강하여 취출 핀(255)의 안착부(257)가 하코어(230)의 상면과 일치하여 캐비티(201)를 형성한다. 취출 핀(255)이 하코어(230)의 상면에서 돌출되면, 취출 핀(255)의 안착부(257)가 캐비티(201)에 형성된 사출물(5)을 밀어 사출물(5)이 하코어(230)에서 분리된다.
또한, 취출 코어(250)의 취출 몸체(251)는 이젝터 블록(240)에 일체로 결합되고, 이젝터 블록(240)은 리프트 부재(260)에 의해 상코어(2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코어(220)가 상승하면 취출 코어(250)가 상승하고, 상코어(220)가 하강하면 취출 코어(250)가 하강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200)의 동작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상코어, 하코어, 및 이젝터 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상코어가 하코어 및 이젝터 블록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코어(220), 하코어(230), 이젝터 블록(240), 및 취출 코어(250)가 제조할 사출물(5)에 대응하는 캐비티(201)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사출기(1000, 도 17 참조)는 사출 원료인 용융 플라스틱이나 수지를 핫러너 시스템(211)을 통해 캐비티(201) 내에 주입하는 사출 동작을 수행한다.
캐비티(201) 내에 용융 플라스틱이나 수지의 주입이 완료된 후, 일정한 냉각시간이 경과하면, 상코어(220)가 이동하여 사출물(5)이 캐비티(201)에서 취출된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코어(220)가 하코어(230)에서 분리되기 시작하면, 상코어(220)에 설치된 리프트 부재(260)도 상코어(220)와 일체로 상승하기 시작한다. 리프트 부재(260)가 상승하면, 리프트 부재(260)의 일단에 연결된 이젝터 블록(240)이 상승하게 된다.
이젝터 블록(240)이 상승하면, 이젝터 블록(240)의 하측에 결합된 취출 코어(250)의 취출 몸체(251)도 이젝터 블록(240)과 함께 일체로 상승하기 시작한다. 취출 코어(250)의 취출 몸체(251)가 상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취출 핀(255)은 취출 몸체(251)에 의해 상승하기 시작한다. 취출 핀(255)이 상승을 시작하면, 취출 핀(255)의 안치부(257)가 하코어(230)의 상면으로 돌출되기 시작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코어(220)가 완전히 상승하면, 이젝터 블록(240)은 상측으로 최대로 이동한다. 이때, 이젝터 블록(240)의 하측에 설치된 취출 몸체(251)도 최대로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취출 몸체(251)에 설치된 취출 핀(255)이 하코어(230)의 취출 구멍(231)을 통해 돌출되어 사출물(5)을 하코어(230)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때, 사출물(5)은 취출 핀(255)의 안착부(257)에 안착된 상태로 하코어(230)에서 분리된다.
사출물(5)의 취출이 완료된 후, 상코어(220)가 하강하면, 리프트 부재(260)에 의해 이젝터 블록(240)이 하강한다. 이젝터 블록(240)이 하강하면, 이젝터 블록(240)에 결합된 취출 몸체(251)가 하강하므로, 취출 몸체(251)에 설치된 취출 핀(255)이 하강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코어(220) 및 하코어(230)와 함께 캐비티(201)를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200)는 캐비티(201)를 형성하는 이젝터 블록(240)을 이용하여 사출물(5)을 취출하므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사출성형장치(2000)와 같이 하원판(2111)의 외측에 설치되는 별도의 스페이서 블럭(131)이나 밀판(141)이 필요 없다. 따라서, 높이가 낮은 슬림 사출성형장치(1)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슬림 사출금형장치가 설치된 사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제1하코어가 이동하여 제1캐비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6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제2하코어가 이동하여 제2캐비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는 중간판(310)과 중간판(31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제1코어(300-1) 및 제2코어(300-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판(310)은 내부에 핫러너 시스템(311)이 설치되는 핫러너판이다. 핫러너 시스템(311)은 제1코어(300-1)의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사출 원료를 제1코어(300-1)와 제2코어(300-2)의 캐비티(301,301')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중간판(310)에는 제1코어(300-1)와 제2코어(300-2)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잠그거나 형개하는 잠금장치(미도시)가 마련된다. 중간판(310)에 마련되는 핫러너 시스템(311)과 잠금장치는 종래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코어(300-1)는 중간판(310)인 핫러너판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제2코어(300-2)는 중간판(310)의 반대 측면에 설치된다.
제1코어(300-1) 및 제2코어(300-2)는 각각 상코어(320,320')와 하코어(330,330')를 포함한다.
중간판(310)의 양 측면에는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제2코어(300-2)의 상코어(320')가 설치된다.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는 사출기(1000)의 한 쌍의 클램핑 플레이트(11) 중 한 개에 고정되고, 제2코어(300-2)의 하코어(330')는 사출기(1000)의 한 쌍의 클램핑 플레이트(11) 중 다른 한 개에 고정된다.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는 상기 중간판(310)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표면에는 일정한 사출물(5)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품 홈(321)이 형성된다.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는 상코어(320)와 마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코어(330)의 상면은 일정한 사출물(5)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코어(320)와 하코어(330)가 결합하면 상코어(320)의 제품 홈(321)과 하코어(330)의 상면에 의해 일정한 사출물(5)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캐비티(301)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하코어(330)가 결합하면, 마주하는 상코어(320)의 제품 홈(321)과 하코어(330)의 상면에 의해 일정한 사출물(5)에 대응하는 캐비티(301)가 형성된다. 캐비티(301)의 내부 치수는 사출물(5)의 치수에 대응한다. 캐비티(301)에 중간판(310)의 핫러너 시스템(311)을 통해 사출 원료인 용융된 플라스틱이나 수지를 주입하여 냉각시키면, 소정의 사출물(5)이 형성된다. 상술한 중간판(310)의 핫러너 시스템(311)은 상코어(320)의 제품 홈(321)에 사출 원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코어(320)에 연장된다.
또한,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하코어(330)의 중심에는 중간판(310)의 핫러너 시스템(311)과 연통되는 핫러너 연결부(305)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출기(1000)로부터 공급되는 사출 원료는 제1코어(300-1)의 핫러너 연결부(305)를 통해 중간판(310)의 핫러너 시스템(311)으로 공급된다.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는 고정판(371)에 의해 사출기(1000)의 한 쌍의 클램핑 플레이트(11) 중 한 곳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판(371)은 사출기(1000)의 일측 클램핑 플레이트(11)에 고정되고,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는 고정판(37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가 고정판(371)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11)에 고정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하코어(330)는 고정판(371) 없이 클램핑 플레이트(11)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제1코어(300-1)의 취출 코어(350)는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에 설치되며,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가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에서 분리되면 제1코어(300-1)의 캐비티(301)에 형성된 사출물(5)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코어(300-1)의 취출 코어(350)는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에 설치된 슬라이드 코어(340)의 수평 운동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하도록 설치된다.
슬라이드 코어(340)는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의 양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드 코어(340)의 선단부(341)는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의 제품 홈(321) 및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의 언더컷 홈과 함께 캐비티(301)의 일부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코어(340)의 선단부(341)는 사출물(5)의 언더컷 부분(5-1)에 대응하는 형상의 캐비티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40)는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에 설치되는 제1코어(300-1)의 취출 코어(350)의 일측에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드 코어(340)는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하코어(330)가 결합하는 경우에는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하코어(330) 사이에 결합되어 사출물(5)의 언더컷(5-1)에 대응하는 캐비티 부분을 형성하고,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하코어(330)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제1코어(300-1)의 중심(C)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에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슬라이드 코어(340)는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에 설치된 앵귤러 핀(36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형성된다.
앵귤러 핀(360)은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의 제품 홈(321)의 외측으로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에 설치된다. 앵귤러 핀(360)은 슬라이드 코어(340)가 하코어(33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화살표 A)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슬라이드 코어(340)에는 앵귤러 핀(36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구멍(361)이 형성된다. 안내구멍(361)도 제1방향(화살표 A)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하코어(330)가 이격되어 앵귤러 핀(360)이 일측으로 이동하면, 안내구멍(361)에 삽입된 앵귤러 핀(360)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340)가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드 코어(340)는 하코어(33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코어(340)의 선단부(341)가 하코어(330)의 언더컷 홈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하코어(330)가 접근하면 앵귤러 핀(360)이 슬라이드 코어(340)의 안내구멍(361)에 삽입되고, 상코어(320)가 하코어(330)에 더 접근하면 안내구멍(361)에 삽입된 앵귤러 핀(360)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340)가 하코어(330)의 중심을 향해 이동한다.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하코어(330)의 결합이 완료되면, 앵귤러 핀(360)에 의해 이동된 슬라이드 코어(340)의 선단부(341)는 하코어(330)의 언더컷 홈 및 상코어(320)의 제품과 결합되어 캐비티(301)를 형성하게 된다.
취출 코어(350)는 슬라이드 코어(340)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취출 코어(350)는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가 하코어(330)에서 분리되면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캐비티(301)에 형성된 사출물(5)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취출 코어(350)는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의 내측에 하코어(3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술한 슬라이드 코어(340)의 이동에 따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6,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취출 코어(350)는 취출 몸체(351)와 취출 핀(355)을 포함할 수 있다. 취출 코어(350)는 도 6에 도시된 취출 코어(15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취출 몸체(351)는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코어(340)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코어(3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의 일측에는 취출 몸체(351)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취출 홈(333)이 마련된다.
취출 몸체(351)의 일측면에는 취출 핀(355)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352)이 형성된다. 안내레일(352)은 취출 몸체(351)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안내레일(352)은 하코어(330)의 상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안내레일(352)의 아래쪽에는 안내레일(352)과 평행하게 지지부(353)가 마련된다. 지지부(353)는 취출 핀(355)의 하단을 지지하여, 취출 핀(355)이 안내레일(35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취출 핀(355)은 취출 몸체(351)의 일측에 설치되며, 슬라이드 코어(340)가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의 중심(C)에서 멀어지면, 하코어(330)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사출품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다.
취출 핀(355)이 취출 몸체(35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취출 핀(355)의 하단부의 일측면에는 취출 몸체(351)의 안내레일(352)이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홈을 안내레일(352)에 삽입하면, 취출 핀(355)은 안내레일(35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취출 핀(355)에 형성된 안내홈은 상술한 도 6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100)의 취출 핀(155)의 안내홈(156)과 유사하다.
또한, 취출 핀(355)의 상단부에는 사출물(5)이 안착되는 안착부(357)가 형성된다. 안착부(357)는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의 상면과 함께 캐비티(301)를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취출 핀(355)의 안착부(357)는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취출 핀(355)의 안착부(357)는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의 제품 홈,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의 상면, 및 슬라이드 코어(340)의 선단부(341)와 함께 캐비티(301)를 형성한다.
한편,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에는 취출 핀(355)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취출 구멍(331)이 형성된다. 취출 구멍(331)은 취출 핀(355)이 취출 몸체(351)의 안내레일(352)에 의해 이동할 때, 하코어(33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취출 구멍(331)은 하코어(330)의 하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거나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취출 핀(355)이 안내레일(352)의 높은 위치에 위치하면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의 취출 구멍(331)을 통해 취출 핀(355)이 하코어(330)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취출 핀(355)이 안내레일(352)의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면 취출 핀(355)이 취출 구멍(331)을 통해 하강하여 취출 핀(355)의 안착부(357)가 하코어(330)의 상면과 일치하여 캐비티(301)를 형성한다. 취출 핀(355)이 하코어(330)의 상면에서 돌출되면, 취출 핀(355)의 안착부(357)가 캐비티(301)에 형성된 사출물(5)을 밀어 사출물(5)이 하코어(33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취출 코어(350)가 슬라이드 코어(34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취출 몸체(351)의 상면에는 결합 돌기(354)가 마련되고, 취출 코어(355)와 접하는 슬라이드 코어(340)의 하면에는 취출 코어(350)의 결합 돌기(354)가 삽입되는 결합홈(343)이 형성된다. 취출 코어(350)는 결합 돌기(354)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34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코어(340)가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면, 취출 코어(350)도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한다.
제2코어(300-2)는 중간판(310)의 반대 측면에 설치되며, 상코어(320')와 하코어(330')를 포함한다. 제2코어(300-2)의 구조는 상술한 제1코어(300-1)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코어(300-2)의 상코어(320')와 하코어(330')에는 중간판(310)의 핫러너 시스템(311)에 연통되는 핫러너 연결부(305)가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는 상술한 중간판(310),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하코어(330) 및 제2코어(300-2)의 상코어(320')와 하코어(330')의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그 길이와 폭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코어(300-1)와 제2코어(300-2)의 상코어(320,320')가 종래 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장치와 달리 상원판을 통해 중간판(310)에 설치되지 않고, 직접 중간판(310)에 설치된다. 또한, 제1코어(300-1)와 제2코어(300-2)의 하코어(330,330')도 종래 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장치와 달리 하원판을 통해 고정판(371,372)에 설치되지 않고 직접 고정판(371,372)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는 상원판과 하원판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재료비와 가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제3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를 텐덤 사출금형장치로 구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기(1000)의 한 쌍의 클램핑 플레이트(11)에 설치된다.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와 제2코어(300-2)의 하코어(330')는 각각 사출기(1000)의 클램핑 플레이트(11)에 설치된다. 한 쌍의 클램핑 플레이트(11)는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와 제2코어(300-2)의 하코어(330)를 이동시켜 제1코어(300-1)의 제1캐비티(301)와 제2코어(300-2)의 제2캐비티(301')를 교번적으로 형성하거나 개방한다.
구체적으로,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가 이동하여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에서 분리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어(300-1)의 제1캐비티(301)가 개방되고, 제1캐비티(301)에 형성된 제1사출물이 취출된다. 이때, 제2코어(300-2)의 상코어(320')와 하코어(330')는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캐비티(301')는 개방되지 않은 상태이다.
반대로, 제2코어(300-2)의 하코어(33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결합된 상태가 되고, 제2코어(300-2)의 하코어(330')가 상코어(320')에서 분리되어 제2캐비티(301')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하코어(330)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캐비티(301)는 개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제1코어(300-1)와 제2코어(300-2)의 상코어(320,320')와 하코어(330,330')가 이격될 때, 슬라이드 코어(340,340')에 의해 취출 코어(350,350')의 취출 핀(355,355')이 사출물을 취출하는 동작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를 탠덤 사출금형장치로 구현하면, 제1캐비티(301)와 제2캐비티(301')에 형성되는 사출물을 순차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제3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를 스택 사출금형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도 17, 및 도 20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제3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를 스택 사출금형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도 16의 슬림 사출금형장치(300)에서 제1하코어(330)와 제2하코어(330')가 동시에 이동하여 제1캐비티(301)와 제2캐비티(301')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기(1000)의 한 쌍의 클램핑 플레이트(11)에 설치된다.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와 제2코어(300-2)의 하코어(330')는 각각 사출기(1000)의 클램핑 플레이트(11)에 설치된다. 한 쌍의 클램핑 플레이트(11)는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와 제2코어(300-2)의 하코어(330')를 동시에 이동시켜 제1코어(300-1)의 제1캐비티(301)와 제2코어(300-2)의 제2캐비티(301')를 동시에 형성하거나 개방한다.
구체적으로, 제1캐비티(301)와 제2캐비티(301')에 사출물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어(300-1)와 제2코어(300-2) 각각의 상코어(320,320')와 하코어(330,330')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캐비티(301)와 제2캐비티(301')에 형성된 사출물을 취출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클램핑 플레이트(11)가 이동하여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와 제2코어(300-2)의 하코어(330')를 동시에 이동시킨다.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와 제2코어(300-2)의 하코어(330')가 동시에 이동하여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제2코어(300-2)의 상코어(320)에서 이격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어(300-1)의 제1캐비티(301)와 제2코어(300-2)의 캐비티(301')가 동시에 개방되어 제1캐비티(301) 및 제2캐비티(301')에 형성된 사출물이 취출된다.
사출물의 취출이 완료되면, 한 쌍의 클램핑 플레이트(11)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코어(300-1)의 하코어(330)와 제2코어(300-2)의 하코어(330')를 제1코어(300-1)의 상코어(320)와 제2코어(300-2)의 상코어(320')에 결합시켜 제1 및 제2캐비티(301,301')를 형성한다.
제1코어(300-1)와 제2코어(300-2) 각각의 상코어(320,320')와 하코어(330,330')가 이격될 때, 슬라이드 코어(340,340')에 의해 취출 코어(350,350')의 취출 핀(355,355')이 사출물을 취출하는 동작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10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슬림 사출금형장치(300)를 구성하는 제1코어(300-1)와 제2코어(300-2)의 취출 코어(350,350')가 슬라이드 코어(340,340')에 의해 동작하여 사출물을 취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슬림 사출금형장치(300)를 구성하는 제1코어(300-1)와 제2코어(300-2)의 취출 코어(350,350')가 이젝터 블록에 의해 동작하여 사출물을 취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400)를 구성하는 제1코어(400-1)와 제2코어(400-2)의 취출 코어(450)는 이젝터 블록(440)에 의해 동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400)는 중간판(410)과 중간판(41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제1코어(400-1) 및 제2코어(400-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판(410), 제1코어(400-1) 및 제2코어(400-2)는 상술한 제3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의 중간판(310), 제1코어(310-1), 및 제2코어(300-2)와 유사하다. 다만, 제3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의 취출 코어(350)를 작동시키는 슬라이드 코어(340) 대신에 이젝터 블록(440)을 사용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이젝터 블록(440)은 상코어의 리프트 구멍(461)에 설치되는 리프트 부재(46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제1코어(400-1) 및 제2코어(400-2)의 상코어(420)와 하코어(430)의 취출 코어(450)를 이젝터 블록(440)을 사용하여 동작시키는 슬림 사출금형장치(400)의 구조는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슬림 사출금형장치(2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젝터 블록(440)을 사용하여 취출 코어(450)를 동작시키는 제1코어(420-1)와 제2코어(400-2)를 포함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400)의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400)도 상술한 제3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와 동일하게 텐덤 사출금형장치와 스택 사출금형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400)는 캐비티(301,401)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340) 또는 이젝터 블록(440)을 이용하여 사출물(5)을 취출하므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사출성형장치(3000)와 같이 하원판(3111,3112)의 외측에 설치되는 별도의 스페이서 블럭(3131)이나 밀판(3141)이 필요 없다. 따라서, 슬림 사출금형장치(300,400)의 길이 또는 높이(h)를 낮출 수 있다.
이하,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5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제1하원판이 이동하여 제1캐비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제2하원판이 이동하여 제2캐비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에 사용되는 취출 코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500)는 중간판(510), 제1상원판(521), 제1하원판(531), 제2상원판(522), 및 제2하원판(532)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판(510)은 제1상원판(521)과 제2상원판(522)을 고정하며, 제1상원판(521)과 제2상원판(522)을 각각 제1하원판(531)과 제2하원판(532)에 선택적으로 잠그거나 형개하는 잠금장치(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중간판(510)에는 용융된 플라스틱을 공급하는 핫러너 시스템(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판(510)은 내부에 핫러너 시스템이 마련되는 핫러너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간판(510)은 종래 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장치의 중간판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상원판(521)은 중간판(510)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코어(520)가 설치된다.
제1하원판(531)은 제1상원판(521)과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는 하코어(530)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하원판(531)과 제1상원판(521)이 결합하면, 제1캐비티(501)를 형성하는 제1코어(540)가 설치되는 제1설치공간이 형성된다.
제2상원판(522)은 중간판(510)의 반대 측면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코어(520)가 설치된다.
제2하원판(532)은 제2상원판(522)과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는 하코어(530)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2하원판(532)이 제2상원판(522)과 결합하면, 제2캐비티(545')를 형성하는 제2코어(540')가 설치되는 제2설치공간이 형성된다.
제1하원판(531)과 제2하원판(532)의 하면에는 각각 클램핑 플레이트(11)가 설치된다. 한 쌍의 클램핑 플레이트(11)는 사출기(1000)에 설치되며, 제1하원판(531)과 제2하원판(532)을 이동시켜 제1캐비티(545)와 제2캐비티(545')를 교번적으로 형성하거나 개방한다.
구체적으로, 제1하원판(531)이 이동하여 하코어(530)가 제1상원판(521)의 상코어(520)에서 분리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캐비티(545)가 개방된다. 이때, 제2하원판(532)의 하코어(530)는 제2상원판(522)의 상코어(52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캐비티(545')는 개방되지 않은 상태이다.
반대로, 제2하원판(532)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원판(531)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상원판(521)과 결합된 상태가 되고, 제2하원판(532)의 하코어(530)가 제2상원판(522)의 상코어(520)에서 분리되어 제2캐비티(545')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1하원판(531)의 하코어(530)는 제1상원판(521)의 상코어(52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캐비티(501)는 개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500)는 제1캐비티(545)와 제2캐비티(545')에 형성되는 사출물을 순차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이하, 제1상원판(521)과 제1하원판(531) 사이의 제1설치공간과 제2상원판(522)과 제2하원판(532) 사이의 제2설치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제1코어(540) 및 제2코어(540')에 대해 첨부된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코어(540)와 제2코어(540')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코어(54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코어(540)는 상코어(520), 하코어(530), 슬라이드 코어(543), 및 취출 코어(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코어(520)는 제1하원판(531)에 설치된 하코어(530)와 마주하도록 제1상원판(521)에 배치되며, 상코어(520)와 하코어(530)가 결합하면 일정한 사출물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캐비티(cavity)(545)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코어(520)와 하코어(530)가 결합하면, 상코어(520)와 하코어(530)가 마주하는 면에는 사출물(5)에 대응하는 캐비티(545)가 형성되고, 캐비티(545)의 내부 치수는 사출물(5)의 치수에 대응한다. 따라서, 캐비티(545)에 사출 원료인 용융된 플라스틱이나 수지를 주입하여 냉각시키면, 소정의 사출물(5)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코어(543)는 하코어(530)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코어(520)와 하코어(530)와 결합하여 캐비티(545)의 일부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사출물(5)의 언더컷 부분(5-1)에 대응하는 형상의 캐비티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543)는 하코어(530)의 일측에 제1하원판(53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드 코어(543)는 상코어(520)와 하코어(530)가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코어(520)와 하코어(530) 사이에 결합되어 사출물(5)의 언더컷(5-1)에 대응하는 캐비티 부분을 형성하고, 상코어(520)와 하코어(530)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하코어(530)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제1하원판(531)의 상면에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러한 슬라이드 코어(543)의 이동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앵귤러 핀(560)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코어(543)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앵귤러 핀(560)은 상코어(520)의 외측으로 제1상원판(541)에 설치된다. 앵귤러 핀(560)은 슬라이드 코어(543)가 하코어(530)에서 분리되는 제1방향(화살표 A)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슬라이드 코어(543)에는 앵귤러 핀(56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구멍(561)이 형성된다. 안내구멍(561)도 제1방향(화살표 A)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원판(521)이 상승하여 앵귤러 핀(560)이 상승하면, 안내구멍(561)에 삽입된 앵귤러 핀(560)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543)가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드 코어(543)는 하코어(530)에서 멀어지는 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여 하코어(530)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제1상원판(521)이 하강하여 앵귤러 핀(560)이 슬라이드 코어(543)의 안내구멍(561)에 삽입되고, 제1상원판(521)이 더 하강함에 따라 안내구멍(561)에 삽입된 앵귤러 핀(560)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543)가 하코어(530)를 향해 이동한다. 제1상원판(521)의 하강이 완료되면, 앵귤러 핀(560)에 의해 이동된 슬라이드 코어(543)는 하코어(530) 및 상코어(520)와 결합되어 캐비티(545)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슬라이드 코어(543)가 제1상원판(521) 및 제2상원판(522)에 설치된 앵귤러 핀(560)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슬라이드 코어(543)의 이동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슬라이드 코어(543)는 그 일측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취출 코어(550)는 슬라이드 코어(543)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제1하원판(531)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취출 코어(550)는 상코어(520) 및 슬라이드 코어(543)가 하코어(530)에서 분리되면 하코어(53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캐비티(545)에 형성된 사출물(5)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취출 코어(550)는 하코어(530)와 슬라이드 코어(543)의 하측에 제1하원판(53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543)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취출 코어(550)는 취출 몸체(551)와 취출 핀(555)을 포함할 수 있다.
취출 몸체(551)는 하코어(530)와 슬라이드 코어(543)의 하측에 설치되며, 제1하원판(531)에 고정된 하코어(530)와 제1하원판(53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하원판(531)에는 취출 몸체(551)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취출 홈(533)이 마련된다.
취출 몸체(551)의 일측면에는 취출 핀(555)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552)이 형성된다. 안내레일(552)은 취출 몸체(551)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안내레일(552)은 하코어(530)의 하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안내레일(552)의 아래쪽에는 안내레일(552)과 평행하게 지지부(553)가 마련된다. 지지부(553)는 취출 핀(555)의 하단을 지지하여, 취출 핀(555)이 안내레일(55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취출 핀(555)이 취출 몸체(55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취출 핀(555)의 하단부의 일측면에는 취출 몸체(551)의 안내레일(552)이 삽입되는 안내홈(55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홈(556)을 안내레일(552)에 삽입하면, 취출 핀(555)은 안내레일(55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취출 핀(555)의 상단부에는 사출물(5)이 안착되는 안착부(557)가 형성된다. 안착부(557)는 하코어(530)의 상면과 함께 캐비티(545)를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취출 핀(555)의 안착부(557)는 상코어(520), 하코어(530), 및 슬라이드 코어(543)와 함께 캐비티(545)를 형성한다.
한편, 하코어(530)에는 취출 핀(555)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취출 구멍(542-1)이 형성된다. 취출 구멍(542-1)은 취출 핀(555)이 취출 몸체(551)의 안내레일(552)에 의해 이동할 때, 하코어(53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취출 구멍(542-1)은 하코어(530)의 하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거나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취출 핀(555)이 안내레일(552)의 가장 높은 위치(552a)에 위치하면 하코어(530)의 취출 구멍(542-1)을 통해 취출 핀(555)이 하코어(530)의 상면으로 돌출되며, 취출 핀(555)이 안내레일(552)의 가장 낮은 위치(552b)에 위치하면 취출 핀(555)이 취출 구멍(542-1)을 통해 하강하여 취출 핀(555)의 안착부(557)가 하코어(530)의 상면과 일치하여 캐비티(545)를 형성한다. 취출 핀(555)이 하코어(530)의 상면에서 돌출되면, 취출 핀(555)의 안착부(557)가 캐비티(545)에 형성된 사출물(5)을 밀어 사출물(5)이 하코어(53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취출 코어(550)가 슬라이드 코어(54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취출 몸체(551)의 상면에는 결합 돌기(554)가 마련되고, 취출 코어(550)와 접하는 슬라이드 코어(543)의 하면에는 결합 돌기(554)가 삽입되는 결합홈(543-1)이 형성된다. 취출 코어(550)가 결합 돌기(554)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54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코어(543)가 제1하원판(53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면, 취출 코어(550)도 제1하원판(53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25와 이상의 설명에서는 취출 핀(555)이 취출 몸체(551)의 일측면에 한 개가 설치된 취출 코어(550)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사출물(5)의 크기가 큰 경우 취출 핀(555)은 취출 몸체(551)의 양측면에 대칭적으로 2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의 상코어, 하코어, 및 슬라이드 코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하코어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28은 도 26의 슬림 사출금형장치에서 하코어와 슬라이드 코어가 상코어에서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코어(520), 하코어(530), 슬라이드 코어(540), 및 취출 코어(550)가 제조할 사출물(5)에 대응하는 캐비티(545)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사출기(1000, 도 17 참조)는 사출 원료인 용융 플라스틱이나 수지를 캐비티(545) 내에 주입하는 사출 동작을 수행한다.
캐비티(545) 내에 용융 플라스틱이나 수지의 주입이 완료된 후, 일정한 냉각시간이 경과하면, 하원판(531)이 이동하여 사출물(5)을 캐비티(545)에서 취출한다.
구체적으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원판(521)이 하원판(531)에서 분리되기 시작하면, 상원판(521)에 설치된 앵귤러 핀(560)도 상원판(521)과 일체로 상승하기 시작한다. 앵귤러 핀(560)이 상승하면, 안내구멍(561)에 삽입된 앵귤러 핀(560)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543)가 하코어(530)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 코어(543)가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슬라이드 코어(543)의 하측에 설치된 취출 코어(550)도 슬라이드 코어(543)와 일체로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취출 코어(550)가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취출 핀(555)은 취출 코어(550)에 형성된 안내레일(552)에 의해 상승하기 시작한다. 취출 핀(555)이 상승을 시작하면, 취출 핀(555)의 안치부(557)가 하코어(530)의 상면으로 돌출되기 시작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코어(520)가 완전히 상승하면, 슬라이드 코어(543)는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최대로 이동하여 하코어(530)에서 완전히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때, 슬라이드 코어(543)의 하측에 설치된 취출 코어(550)도 최대로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므로, 취출 핀(555)은 취출 코어(550)의 안내레일(552)의 가장 높은 위치(552a)에 위치하기 된다. 그러면, 취출 핀(555)이 하코어(530)의 취출 구멍(542-1)을 통해 돌출되어 사출물(5)을 하코어(530)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때, 사출물(5)은 취출 핀(555)의 안착부(557)에 안착된 상태로 하코어(530)에서 분리된다.
도 22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500)를 텐덤 사출금형장치로 구현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500)는 스택 사출금형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500)를 스택 사출금형장치로 구현한 일 예가 도 29에 도시되어 있다.
도 29는 도 22의 슬림 사출금형장치(500)가 스택 사출금형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로서, 제1캐비티(540)와 제2캐비티(545')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 사출금형장치로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500)의 구조는 상술한 제5실시예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500)와 동일하다. 다만, 제1코어(540)와 제2코어(540')의 제1 및 제2캐비티(545,545')를 동시에 개방하거나 형성하도록 제어되는 점에만 차이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500)는 캐비티(545)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543)를 이용하여 사출물(5)을 취출하므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사출성형장치(3000)와 같이 하원판(3111,3112)의 외측에 설치되는 별도의 스페이서 블럭(3131)이나 밀판(3141)이 필요 없다. 따라서, 슬림 사출금형장치(500)의 길이 또는 높이(h)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슬림 사출금형장치(500)는 높이(h)가 낮으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사출성형장치를 사용하는 사출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00,200,300,400,500; 슬림 사출금형장치
101,201,301,301',401,401'; 캐비티
110,210,310,410,510; 핫러너판(중간판)
120,220,320,420; 상코어 130,230,330,430; 하코어
140,340; 슬라이드 코어 240,440; 이젝터 블록
150,250,350,450,550; 취출 코어 151,251,351,451,551; 취출 몸체
152,252,352,452,552; 안내레일 153,353,553; 지지부
154,354,554; 결합돌기 155,255,355,455,555; 취출 핀
156,356,556; 안내홈 157,257,357,557; 안치부
160,360,560; 앵귤러 핀 161,361,561; 안내구멍
521,522; 상원판 531,532; 하원판
540,540'; 코어 541; 상코어
542; 하코어 543; 슬라이드 코어
545,545'; 캐비티 1000; 사출기

Claims (25)

  1. 사출기에 설치되어 사출물을 형성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의 일측 클램핑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내부에 핫러너 시스템이 마련되는 핫러너판;
    상기 핫러너판에 설치되는 상코어;
    상기 상코어와 마주하도록 상기 사출기의 반대측 클램핑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상코어와 결합하여 상기 사출물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코어; 및
    상기 하코어에 설치되며, 상기 상코어가 상기 하코어에서 분리되면, 상기 사출물을 밀어 올리는 취출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핫러너판, 상기 상코어, 및 상기 하코어는 길이와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하코어에 설치된 슬라이드 코어의 수평 운동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하코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취출 몸체; 및
    상기 취출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하코어의 중심에서 멀어지면, 상기 하코어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사출품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 취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몸체에는 상기 하코어의 상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안내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취출 핀의 일단부에는 상기 안내레일이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취출 몸체가 상기 슬라이드 코어에 의해 이동하면, 상기 취출 핀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핀의 타단부에는 상기 사출물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상코어, 상기 하코어, 및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함께 상기 캐비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코어에는 상기 취출 핀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취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코어에는 앵귤러 핀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에는 상기 앵귤러 핀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코어가 이동하면 상기 안내구멍에 삽입된 상기 앵귤러 핀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앵귤러 핀은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하코어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상코어가 상기 하코어에서 분리될 때,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취출 코어의 취출 몸체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취출 핀은 상기 하코어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코어와 상기 하코어 각각을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하코어에 설치된 이젝터 블록의 상하 운동에 의해 수직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블록은 상기 하코어에 형성된 이젝터 홈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코어와 함께 상기 캐비티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이젝터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젝터 블록이 상승하면, 상기 하코어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사출품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 취출 핀; 및
    상기 이젝터 블록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취출 핀이 연결된 취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코어에는 리프트 부재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 부재의 일단은 상기 이젝터 블록에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 부재의 타단은 상기 상코어에 형성된 리프트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상코어가 상승하면, 상기 이젝터 블록은 상기 리프트 부재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14. 사출기에 설치되어 사출물을 형성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에 있어서,
    핫러너 시스템이 설치되는 핫러너판;
    상기 핫러너판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1코어; 및
    상기 핫러너판의 반대 측면에 설치되는 제2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코어 및 제2코어는 각각,
    상기 핫러너판에 설치되는 상코어;
    상기 상코어와 마주하도록 상기 사출기의 클램핑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상코어와 결합하여 상기 사출물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코어; 및
    상기 하코어에 설치되며, 상기 상코어가 상기 하코어에서 분리되면, 상기 사출물을 밀어 올리는 취출 코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핫러너판, 상기 상코어, 및 상기 하코어는 길이와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하코어에 설치된 슬라이드 코어의 수평 운동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하부 코어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취출 몸체; 및
    상기 취출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하코어의 중심에서 멀어지면, 상기 하코어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사출품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 취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몸체에는 상기 하코어의 하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안내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취출 핀의 일단부에는 상기 안내레일이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취출 몸체가 상기 슬라이드 코어에 의해 이동하면, 상기 취출 핀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코어에는 앵귤러 핀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에는 상기 앵귤러 핀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코어가 이동하면 상기 안내구멍에 삽입된 상기 앵귤러 핀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이동하며,
    상기 앵귤러 핀은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하코어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하코어에 설치된 이젝터 블록의 상하 운동에 의해 수직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블록은 상기 하코어에 형성된 이젝터 홈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코어와 함께 상기 캐비티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취출 코어는,
    상기 이젝터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젝터 블록이 상승하면, 상기 하코어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사출품을 밀어 올리도록 형성된 취출 핀; 및
    상기 이젝터 블록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취출 핀이 연결된 취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코어에는 리프트 부재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 부재의 일단은 상기 이젝터 블록에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 부재의 타단은 상기 상코어에 형성된 리프트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상코어가 상승하면, 상기 이젝터 블록은 상기 리프트 부재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 사출금형장치는 텐덤 사출금형장치로서,
    상기 제1코어의 캐비티와 상기 제2코어의 캐비티는 순차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 사출금형장치는 스택 사출금형장치로서,
    상기 제1코어의 캐비티와 상기 제2코어의 캐비티는 동시에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금형장치.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와 상기 핫러너판의 일 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상원판;
    상기 제1상원판과 마주하며, 상기 제1코어와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하원판;
    상기 제2코어와 상기 핫러너판의 반대 측면에 사이에 설치되는 제2상원판; 및
    상기 제2상원판과 마주하며, 상기 제2코어와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2하원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사출성형장치.
KR1020150049524A 2015-01-27 2015-04-08 슬림 사출금형장치 KR20160092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19,399 US10226886B2 (en) 2015-01-27 2015-10-21 Slim injection molding apparatus
CN201510849727.1A CN105818333B (zh) 2015-01-27 2015-11-27 薄型注射成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654 2015-01-27
KR20150012654 2015-0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457A true KR20160092457A (ko) 2016-08-04

Family

ID=5670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524A KR20160092457A (ko) 2015-01-27 2015-04-08 슬림 사출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24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7054A (zh) * 2018-05-02 2018-08-03 东江模具(深圳)有限公司 一种利用单向气阀固定iml薄膜注塑成型装置
CN109366884A (zh) * 2018-11-22 2019-02-22 麦格威饰件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双面iml覆膜注塑模具
CN109474142A (zh) * 2018-12-29 2019-03-15 广州市创智机电设备有限公司 新能源电机铁芯叠片旋极多叠注塑环氧树脂模具及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7054A (zh) * 2018-05-02 2018-08-03 东江模具(深圳)有限公司 一种利用单向气阀固定iml薄膜注塑成型装置
CN108357054B (zh) * 2018-05-02 2024-03-08 东江模具(深圳)有限公司 一种利用单向气阀固定iml薄膜注塑成型装置
CN109366884A (zh) * 2018-11-22 2019-02-22 麦格威饰件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双面iml覆膜注塑模具
CN109366884B (zh) * 2018-11-22 2024-03-15 麦格威饰件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双面iml覆膜注塑模具
CN109474142A (zh) * 2018-12-29 2019-03-15 广州市创智机电设备有限公司 新能源电机铁芯叠片旋极多叠注塑环氧树脂模具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14297A1 (en) Slim injection molding apparatus
KR100914655B1 (ko) 착탈이 가능한 코어를 구비한 핸드폰 케이스용 사출 금형
KR101036759B1 (ko) 사출금형
CN111347628B (zh) 一种节温器壳体注塑模具
KR20160092457A (ko) 슬림 사출금형장치
KR101526894B1 (ko) 인서트 삽입이 용이한 플러그 사출금형
KR101889364B1 (ko) 유압식 캠 슬라이드 조립체를 가진 사출금형기
CN203293487U (zh) 软管塞注塑模具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101156196B1 (ko) 사출 금형장치
KR20170017246A (ko) 박육 제품용 사출금형장치
CN215396622U (zh) 显示屏胶框注塑模具
KR100846850B1 (ko) 금형조립체의 취출장치
CN210047005U (zh) 一种斜行位转为水平行位结构
CN212045246U (zh) 一种陶瓷板模具
KR20210075785A (ko) 금형
CN214448206U (zh) 一种模具组件
KR101813677B1 (ko) 사출 성형 장치
KR20140082309A (ko) 사출 금형
KR100874974B1 (ko) 금형조립체
KR20150033861A (ko) 사출성형장치
CN209971404U (zh) 一种注射模具侧抽芯机构
CN110039727B (zh) 一种头梳注塑模具
KR101013360B1 (ko) 사출금형
CN216860487U (zh) 脱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