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486A - 터치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486A
KR20160086486A KR1020150003501A KR20150003501A KR20160086486A KR 20160086486 A KR20160086486 A KR 20160086486A KR 1020150003501 A KR1020150003501 A KR 1020150003501A KR 20150003501 A KR20150003501 A KR 20150003501A KR 20160086486 A KR20160086486 A KR 20160086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id
touch
touch pad
grid polarizer
phase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111B1 (ko
Inventor
배주한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111B1/ko
Priority to US14/800,819 priority patent/US9880683B2/en
Publication of KR2016008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터치 패널은 위상 지연판, 상기 위상 지연판 상에 형성된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ire grid polarizer), 및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와 이웃하여 상기 위상 지연판에 형성된 터치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TOUCH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터치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터치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은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인식하는 장치로서, 최근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등의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었다.
최근, 유기 발광 소자에 의한 외광 반사를 억제하기 위해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에 위상 지연판 및 편광판이 위치하고, 이러한 위상 지연판 및 편광판 상부 또는 하부에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패널이 부착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동시에 전체적으로 슬림(slim)하여 유연성(flexibility)이 향상된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위상 지연판, 상기 위상 지연판 상에 형성된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ire grid polarizer), 및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와 이웃하여 상기 위상 지연판에 형성된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는, 상기 위상 지연판의 판면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는 상기 와이어의 표면에 형성된 흑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를 덮으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의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노출하는 복수의 컨택홀들을 포함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위치하며,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들, 및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들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위치하며,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의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패드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패드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드부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패드부 및 상기 제2 터치 패드부 각각은 광 투과성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패드부 및 상기 제2 터치 패드부 각각은 광 반투과성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패드부 및 상기 제2 터치 패드부를 덮는 제2 절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연층의 두께 및 상기 제2 절연층의 두께 각각은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에 의해 반사된 제1 빛 및 상기 제1 터치 패드부와 상기 제2 터치 패드부에 의해 반사된 제2 빛이 상쇄간섭을 발생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를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는 상기 위상 지연판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위상 지연판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상 지연판은 λ/4 위상 지연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위상 지연판, 상기 위상 지연판 상에 형성된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ire grid polarizer), 및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와 이웃하여 상기 위상 지연판에 형성된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동시에 전체적으로 슬림(slim)하여 유연성(flexibility)이 향상된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터치 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으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DP) 및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패널(TSP)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유기 발광 소자(OLED), 밀봉부(EN)를 포함한다.
기판(SUB)은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이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렛쳐블(stret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함으로써, 표시 패널(DP) 전체가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일례로, 기판(SUB)은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필름(film)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판(SUB)은 플렉서블한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은 유기, 사파이어, 석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OLED)가 위치하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두 개의 전극 및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전극 중 하나 이상은 광 투과성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빛을 발광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와 기판(SUB) 사이에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등의 신호 배선과 이 신호 배선에 연결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 배선,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밀봉부(EN)는 유기 발광 소자(OLED)를 사이에 두고 기판(SUB)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판(SUB)과 함께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밀봉하고 있다. 밀봉부(EN)는 기판의 형태 또는 박막 밀봉부(thin film encapsulation)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s, LCD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s, PDs), 필드에미션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s, FEDs),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s, EPDs), 전기습윤 디스플레이(electrowetting displays, EWDs) 등의 다양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며, 이 표시 패널(DP) 상에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패널(TSP)이 위치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터치 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TSP)은 터치(touch)를 인식하며, 위상 지연판(PR),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ire grid polarizer)(WGP), 터치 센서부(TS)를 포함한다.
위상 지연판(PR)은 표시 패널(DP)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위상 지연판(PR)에 입사하는 광의 위상을 지연할 수 있다. 위상 지연판(PR)은 입사하는 광의 위상을 1/4 지연시키는 λ/4 위상 지연판일 수 있다. 위상 지연판(PR)은 1축 연신 필름, 2축 연신 필름 또는 역분산(inverse dispersion) 위상차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지연판(PR)은 입사하는 광의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 바꾸거나, 입사하는 광의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위상 지연판(PR)은 폴리스틸렌(polystyrene),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올레핀(polyolefin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아미드(polyamide),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ycloolefin polymer),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ycloolefin copolymer),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ose) 등과 같은 폴리머를 포함하는 복굴절성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을 포함하는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는 위상 지연판(PR)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위상 지연판(PR)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는 복수의 와이어(WI)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와이어(WI)들 각각은 위상 지연판(PR)의 판면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각각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는 복수의 와이어(WI)들은 이용하여 편광을 만들어내는 편광자로서, 복수의 와이어(WI)들이 나노 사이즈로 주기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와이어 그리드 패턴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는, 복수의 와이어(WI)들 중 이웃하는 와이어(WI) 사이의 거리가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로 입사하는 광인 입사광의 파장보다 작으면 회절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입사광 중 복수의 와이어(WI)와 직교하는 진동 방향을 가지는 성분인 TM(Transverse Magnetic) 편광은 투과하고, 복수의 와이어(WI)와 평행한 진동 방향을 가지는 성분인 TE(Transverse Electric) 편광은 반사할 수 있다. 일례로,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는 선택적으로 입사광 중 선편광은 투과사키고, 나머지 편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부(TS)는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와 이웃하여 위상 지연판(PR)에 형성되어 있다. 터치 센서부(TS)는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 상에 위치하고 있다. 터치 센서부(TS)는 제1 절연층(IL1), 제1 터치 패드부(TP1), 연결부(CP), 제2 터치 패드부(TP2), 배선부(WP)를 포함한다.
제1 절연층(IL1)은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를 덮고 있다. 제1 절연층(IL1)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WI)의 일부를 노출하는 컨택홀(CNT)을 포함한다. 컨택홀(CNT)은 복수이며, 복수의 컨택홀(CNT)들은 제1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절연층(IL1)은 유기 재료 또는 무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패드부(TP1)는 제1 절연층(IL1) 상에 위치하며, 이웃하는 제2 터치 패드부(TP2)와 함께 정전 용량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터치 패드부(TP1)는 복수이며,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TP1)들 각각은 제2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TP1)들 각각의 사이는 연결부(CP)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TP1)들과 연결부(CP)는 일체로 형성된 터치 라인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터치 라인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웃하는 터치 라인은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CP)는 제1 절연층(IL1)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TP1)들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제1 터치 패드부(TP1) 및 연결부(CP)는 일체로 형성되며, 제1 터치 패드부(TP1) 및 연결부(CP)는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 또는 도전성 폴리머 등을 포함하는 광 투과성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치 패드부(TP2)는 제1 절연층(IL1) 상에 위치하며, 이웃하는 제1 터치 패드부(TP1)와 함께 정전 용량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터치 패드부(TP2)는 복수이며,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TP2)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TP2)들 각각은 컨택홀(CNT)을 통해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의 와이어(WI)와 연결되어 있으며, 와이어(WI)에 의해 이웃하는 제2 터치 패드부(TP2) 사이가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TP2)들과 와이어(WI)는 터치 라인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터치 라인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웃하는 터치 라인은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치 패드부(TP2)는 제1 터치 패드부(TP1) 및 연결부(CP)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1 터치 패드부(TP1) 및 연결부(CP)와 동시에 제1 절연층(IL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터치 패드부(TP2)는 제1 터치 패드부(TP1) 및 연결부(CP)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치 패드부(TP2)는 제1 터치 패드부(TP1) 및 연결부(CP)와 동일한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 또는 도전성 폴리머 등을 포함하는 광 투과성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웃하는 제2 터치 패드부(TP2) 사이가 컨택홀(CNT)을 통해 와이어(WI)에 의해 연결되며, 와이어(WI)는 브릿지(bridge) 형태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2 터치 패드부(TP2) 사이를 연결한다.
배선부(WP)는 위상 지연판(PR)의 외곽 영역에 대응하여 제1 절연층(IL1) 상에 위치하고 있다. 배선부(WP)는 제1 터치 패드부(TP1) 및 제2 터치 패드부(TP2) 각각과 연결되어 있다. 배선부(WP)는 제1 터치 패드부(TP1) 및 제2 터치 패드부(TP2) 각각과 도시하지 않은 터치 제어부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금속 등의 불투명 도전성 재료 또는 투명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DP) 상에 위상 지연판(PR) 및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TSP)을 포함함으로써, 터치를 센싱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입사광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반사되어 외부로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 즉, 터치를 센싱하는 동시에 외광 반사가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TSP)이 위상 지연판(PR),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 및 위상 지연판(PR)에 형성된 터치 센서부(TS)를 포함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터치 패널(TSP)이 슬림(slim)하게 형성되어 터치 패널(TSP)의 유연성(flexibility)이 향상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슬림하게 형성되어 유연성이 향상된다.
즉, 위상 지연판(PR),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 및 터치 센서부(TS)를 포함함으로써,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동시에 전체적으로 슬림하여 유연성이 향상된 터치 패널(TSP)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설명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터치 패널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TSP)은 터치(touch)를 인식하며, 위상 지연판(PR),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ire grid polarizer)(WGP), 터치 센서부(TS)를 포함한다.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는 복수의 와이어(WI)들 각각의 표면에 형성된 흑화층(BL)을 더 포함한다.
흑화층(BL)은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와이어(WI)들 각각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흑화층(BL)은 광을 흡수하며, 외부로부터 와이어(WI)로 입사하는 광이 와이어(WI)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TSP)은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가 와이어(WI)의 표면에 형성된 흑화층(BL)을 포함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와이어(WI)로 입사하는 광이 와이어(WI)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외광에 의해 와이어(WI)가 반사되어 와이어(WI)가 외부로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 터치 패널(TSP)이 제공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설명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터치 패널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TSP)은 위상 지연판(PR),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ire grid polarizer)(WGP), 터치 센서부(TS)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부(TS)는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와 이웃하여 위상 지연판(PR)에 형성되어 있다. 터치 센서부(TS)는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 상에 위치하고 있다. 터치 센서부(TS)는 제1 절연층(IL1), 제1 터치 패드부(TP1), 연결부(CP), 제2 터치 패드부(TP2), 제2 절연층(IL2), 배선부(WP)를 포함한다.
제1 터치 패드부(TP1), 연결부(CP), 제2 터치 패드부는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 또는 도전성 폴리머 등을 포함하는 제1 광 투과성 도전층, 은(Ag), 금(Au) 등을 포함하는 금속 박막층, 제2 광 투과성 도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광 반투과성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L2)은 제1 터치 패드부(TP1), 연결부(CP), 제2 터치 패드부를 덮고 있으며, 유기 재료 또는 무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L1)의 두께 및 제2 절연층(IL2)의 두께 각각은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의 와이어(WI)에 의해 반사된 제1 빛과 제1 터치 패드부(TP1), 연결부(CP), 제2 터치 패드부에 의해 반사된 제2 빛이 상쇄간섭을 발생하여 소멸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로 입사되어 와이어(WI)에 의해 반사된 제1 빛이 제1 터치 패드부(TP1), 연결부(CP), 제2 터치 패드부(TP2)에 의해 반사된 제2 빛에 의해 상쇄간섭되어 소멸됨으로써,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에 의해 반사된 제1 빛이 외부로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TSP)은 터치 센서부(TS)가 두께가 조절된 제1 절연층(IL1) 및 제2 절연층(IL2)을 포함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와이어(WI)로 입사한 입사광이 와이어(WI)에 의해 반사되어 외부로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외광에 의해 와이어(WI)가 반사되어 와이어(WI)가 외부로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 터치 패널(TSP)이 제공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설명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터치 패널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TSP)은 터치를 인식하며, 위상 지연판(PR),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ire grid polarizer)(WGP), 보호층(PL), 터치 센서부(TS)를 포함한다.
보호층(PL)은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를 덮고 있으며, 보호층(PL)에 의해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에 터치 센서부(TS) 사이가 단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터치 센서부(TS)는 보호층(PL)을 사이에 두고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 상에 위치하고 있다. 터치 센서부(TS)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의 셀프정전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의 터치 센서(touch sensor)로서 형성되거나, 공지된 다양한 구조의 상호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의 터치 센서(touch sensor)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부(TS)는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TSP)은 위상 지연판(PR) 및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을 포함함으로써, 터치를 센싱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터치 패널(TSP)을 통해 터치 패널(TSP)의 배면 측에 위치할 수 있는 표시 패널로 입사되는 입사광에 의해 표시 패널이 반사되어 외부로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 즉, 터치를 센싱하는 동시에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터치 패널(TSP)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TSP)은 위상 지연판(PR),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 및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 상에 위치하여 위상 지연판(PR)에 형성된 터치 센서부(TS)를 포함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터치 패널(TSP)이 슬림(slim)하게 형성되어 터치 패널(TSP)의 유연성(flexibility)이 향상된다.
즉, 위상 지연판(PR),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 및 터치 센서부(TS)를 포함함으로써,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동시에 전체적으로 슬림하여 유연성이 향상된 터치 패널(TSP)이 제공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설명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터치 패널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TSP)은 터치를 인식하며, 위상 지연판(PR),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ire grid polarizer)(WGP), 터치 센서부(TS)를 포함한다.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는 위상 지연판(PR)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터치 센서부(TS)는 위상 지연판(PR)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터치 센서부(TS)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의 셀프정전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의 터치 센서(touch sensor)로서 형성되거나, 공지된 다양한 구조의 상호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의 터치 센서(touch sensor)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부(TS)는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TSP)은 위상 지연판(PR) 및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을 포함함으로써, 터치를 센싱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터치 패널(TSP)을 통해 터치 패널(TSP)의 배면 측에 위치할 수 있는 표시 패널로 입사되는 입사광에 의해 표시 패널이 반사되어 외부로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 즉, 터치를 센싱하는 동시에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터치 패널(TSP)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TSP)은 위상 지연판(PR),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 및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 상에 위치하여 위상 지연판(PR)에 형성된 터치 센서부(TS)를 포함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터치 패널(TSP)이 슬림(slim)하게 형성되어 터치 패널(TSP)의 유연성(flexibility)이 향상된다.
즉, 위상 지연판(PR),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 및 터치 센서부(TS)를 포함함으로써,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동시에 전체적으로 슬림하여 유연성이 향상된 터치 패널(TSP)이 제공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위상 지연판(PR),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GP), 터치 센서부(TS)

Claims (14)

  1. 위상 지연판;
    상기 위상 지연판 상에 형성된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ire grid polarizer); 및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와 이웃하여 상기 위상 지연판에 형성된 터치 센서부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2. 제1항에서,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는, 상기 위상 지연판의 판면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3. 제2항에서,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는 상기 와이어의 표면에 형성된 흑화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패널.
  4. 제2항에서,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 상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
  5. 제4항에서,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를 덮으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의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노출하는 복수의 컨택홀들을 포함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위치하며,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들; 및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들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위치하며,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의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들
    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6. 제5항에서,
    상기 제1 터치 패드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된 터치 패널.
  7. 제5항에서,
    상기 제2 터치 패드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드부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
  8. 제5항에서,
    상기 제1 터치 패드부 및 상기 제2 터치 패드부 각각은 광 투과성 도전층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9. 제5항에서,
    상기 제1 터치 패드부 및 상기 제2 터치 패드부 각각은 광 반투과성 도전층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터치 패드부 및 상기 제2 터치 패드부를 덮는 제2 절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연층의 두께 및 상기 제2 절연층의 두께 각각은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에 의해 반사된 제1 빛 및 상기 제1 터치 패드부와 상기 제2 터치 패드부에 의해 반사된 제2 빛이 상쇄간섭을 발생하도록 조절되는 터치 패널.
  11. 제4항에서,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를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
  12. 제1항에서,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는 상기 위상 지연판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위상 지연판의 배면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
  13. 제1항에서,
    상기 위상 지연판은 λ/4 위상 지연판인 터치 패널.
  14.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위상 지연판, 상기 위상 지연판 상에 형성된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ire grid polarizer), 및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와 이웃하여 상기 위상 지연판에 형성된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50003501A 2015-01-09 2015-01-09 터치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9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501A KR102299111B1 (ko) 2015-01-09 2015-01-09 터치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800,819 US9880683B2 (en) 2015-01-09 2015-07-16 Touch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501A KR102299111B1 (ko) 2015-01-09 2015-01-09 터치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486A true KR20160086486A (ko) 2016-07-20
KR102299111B1 KR102299111B1 (ko) 2021-09-07

Family

ID=5636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501A KR102299111B1 (ko) 2015-01-09 2015-01-09 터치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80683B2 (ko)
KR (1) KR102299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5842B2 (en) 2017-05-18 2022-09-06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3158B (zh) 2017-06-15 2020-04-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显示装置及背光模组的制备方法
CN111200001A (zh) * 2020-01-10 2020-05-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453A (ko) * 2009-07-20 2011-01-27 (주) 월드비젼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2768A (ko) * 2010-02-10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10104349A (ko) * 2010-03-16 2011-09-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20047640A (ko) * 2010-11-04 2012-05-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와이어그리드편광자 일체형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444132B1 (ko) * 2013-11-20 2014-11-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56335T1 (de) * 2001-03-14 2012-05-15 Fujifilm Corp Phasendifferenzplatte mit polymerfilm mit einer zusammensetzung mit einer stabförmigen molekularen struktur
KR100714016B1 (ko) 2005-12-13 2007-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JP4732376B2 (ja) 2007-02-09 2011-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TWI402728B (zh) * 2009-02-24 2013-07-21 Wintek Corp 觸控面板及觸控式顯示面板
KR101076262B1 (ko) 2009-11-05 2011-10-27 한국과학기술원 무반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
US20110227835A1 (en) * 2010-03-16 2011-09-22 Teh-Zheng Lin Transparent tough panel assembly
JP2012000907A (ja) * 2010-06-18 2012-01-05 Fujifilm Corp 立体画像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40413A (ko) 2010-10-19 2012-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KR101684488B1 (ko) * 2010-11-30 2016-12-0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
KR101381817B1 (ko) 2011-06-30 2014-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JP5400904B2 (ja) * 2011-07-15 2014-01-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9825104B2 (en) * 2011-11-22 2017-11-21 Atmel Corporation Low-birefringence substrate for touch sensor
KR101552994B1 (ko) * 2012-08-31 2015-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547395B2 (en) * 2013-10-16 2017-01-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and hover sensing with conductive polariz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453A (ko) * 2009-07-20 2011-01-27 (주) 월드비젼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2768A (ko) * 2010-02-10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10104349A (ko) * 2010-03-16 2011-09-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20047640A (ko) * 2010-11-04 2012-05-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와이어그리드편광자 일체형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444132B1 (ko) * 2013-11-20 2014-11-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5842B2 (en) 2017-05-18 2022-09-06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111B1 (ko) 2021-09-07
US20160202791A1 (en) 2016-07-14
US9880683B2 (en)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689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82410B1 (ko)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73330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806956B (zh) 觸控感測器及包含其的顯示裝置
KR102351618B1 (ko) 표시장치
JP741658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CN207764775U (zh) 触摸感测电极结构及包含其的触摸传感器与图像显示装置
KR102161743B1 (ko) 터치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EP3644170A1 (en) Display device
US11112898B2 (en) Force touch structure, forc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80059035A (ko) Oled 일체형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화상 표시 장치
KR20170040400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표시 장치
KR20200012058A (ko) 터치 부재 및 터치 부재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20140101200A (ko)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US11880221B2 (en) Input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609309B (zh) 觸控偏光單元、可撓性觸控顯示裝置以及可撓性觸控顯示裝置之製造方法
KR102299111B1 (ko) 터치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10027568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M532656U (zh) 觸控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以及觸控裝置
KR20200060603A (ko) 표시 장치
US11943990B2 (en) Display device
US12001624B2 (en)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30014112A (ko) 전자 장치
CN114078906A (zh) 显示装置以及该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18131942A (zh) 具有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