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201A -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 Google Patents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201A
KR20160081201A KR1020140194655A KR20140194655A KR20160081201A KR 20160081201 A KR20160081201 A KR 20160081201A KR 1020140194655 A KR1020140194655 A KR 1020140194655A KR 20140194655 A KR20140194655 A KR 20140194655A KR 20160081201 A KR20160081201 A KR 20160081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hard
weight
coating resin
hard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민
문정열
김대식
김석근
김민혁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4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1201A/ko
Publication of KR2016008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20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08J24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경화성 물질, 광중합 개시제 및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으로, 레벨링성, 물리적 특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A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and hard coating fil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경화성 물질, 광중합 개시제 및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제품의 윈도우, 컴퓨터용 터치 스크린, 렌즈, 자동차 선루프, 광학 스크린, 도광판 및 LED 전면판 등과 같은 광학적 기능성 제품을 비롯한 중요한 상업적 제품들은 그 동안 유리로 많이 사용되어왔지만, 무겁고, 깨지기 쉬우며 제품 가공시 불량률이 상당히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높은 광투과율, 내파열성, 고굴절률 등의 특성을 갖는 PC(polycarbonate) 또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와 같은 투명 플라스틱을 유리 대신 사용하였으나, 유리에 비해 낮은 표면 경도를 갖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보였다.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중합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은 고경도 및 높은 광 투과도를 가지므로 다양한 구조물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많은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중합체들은 강성, 치수 안정성, 투명성 및 내충격성 등이 탁월하지만 내마모성, 내열성, 내용제성 및 내약품성이 약하기 때문에 상기 중합체로부터 만들어진 구조물들은 유리에 비해 긁힘, 마모, 경도 등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 제품들을 물리적 또는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강화 유리를 사용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표면에 내마모성 하드코팅 층을 코팅시켜 사용하고 있다.
하드코팅 기술에 사용되는 재료는 크게 유기물, 무기물 그리고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로 나뉜다. 아크릴, 우레탄, 멜라민 등과 같은 유기물은 표면 경도는 낮지만 유기물의 특성으로 유연성, 성형성 등의 장점을 갖는다. 이에 비해 실리콘 계열의 무기물은 유연성 및 성형성이 낮지만 높은 표면 경도와 투명성의 특성을 갖는다. 하드코팅 기술에는 이러한 두 재료의 장점을 모두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가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하드코팅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기물과 무기물의 장점을 모두 구현하기에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5151 호는 3 내지 6 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바인더용 단량체; 무기 미립자; 광 개시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용 단량체, 상기 무기 미립자 및 상기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고형분에 대하여, 상기 고형분:상기 유기 용매의 중량비가 70:30 내지 99:1 인 하드코팅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드코팅층 조성물을 플라스틱 표면에 적용할 경우, 내후성이 떨어져 황변이 심하고, 경도는 우수하나 내찰성, 변색, 갈라짐 등의 기계적 물성(충격 강도, 인장 강도 및 연신율)이 낮으며, 코팅 후 깨지기 쉬운 단점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하므로, 제품 가공시 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5151호
종래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레벨링성이 부족하여,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 하드코팅 필름 제조시, 코팅 얼룩, 핀홀, 미코팅 및 코팅면의 벗겨짐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하드코팅 필름의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외관 품질 부분에서도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벨링성이 우수하며, 경도, 밀착성, 내굴곡성 및 내마모성 등의 물리적 특성, 내화학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고, 휨 발생이 없으며, 고굴절율을 갖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레벨링성과 경도, 밀착성, 내굴곡성 및 내마모성 등의 물리적 특성 및 내화학성이 향상된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경화성 물질, 광중합 개시제 및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
상기 표면 첨가제는 실리콘계, 불소계, 비이온계, 양이온계, 음이온계 및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이 도포된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레벨링성이 우수하며, 경도, 밀착성, 내굴곡성 및 내마모성 등의 물리적 특성 및 내화학성이 향상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은 외관 품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환경 친화적이며, 투명성이 우수하며, 휨 발생이 생기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하드코팅 필름은 강화 유리의 단점인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강화 유리를 사용하는 제품을 대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경화성 물질, 광중합 개시제 및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
상기 표면 첨가제는 실리콘계, 불소계, 비이온계, 양이온계, 음이온계 및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표면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레벨링성 부족으로 발생하는 코팅 얼룩, 핀홀, 미코팅 및 코팅면의 벗겨짐과 같은 현상들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아 필름의 외관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경도, 밀착성, 내굴곡성, 내마모성 등의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내화학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올 화합물 및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화합물로부터 제조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내약품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40 중량%를 초과하면 고분자 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당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2,6-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2,6-Toluene diisocyante, TDI) 및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2,4-Toluene diisocyante, TDI) 및 테트라메틸-1,3-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Tetra메틸-1,3-xylene diisocyanate, TMXDI)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이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고분자 가교도 증가가 낮아 경도, 내열성 및 유연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70 중량%를 초과하면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의 겔화가 진행되어 점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여 하드코팅 필름 제조가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고굴절 및 내화학성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방향족 폴리올 화합물을 반드시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올 화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방향족 폴리머 화합물이 3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및 고굴절율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방향족 폴리올 화합물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당 분야에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및 메틸렌 비스(4-하이드록시페닐) 등의 비스페놀계열, 레조르시놀, 디히드록시 나프탈렌, 디히드록시 바이페닐, 디히드록시 페닐 에탄올, 디히드록시 피리딘, 디히드록시퀴노살린, 디히드록시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및 디히드록시피리미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폴리올 화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지방족 폴리올 화합물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당 분야에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3-프로페인 다이올, 1,4-부테인 다이올, 1,5-펜테인 다이올, 1,6-헥세인 다이올, 3-메틸-1,5-펜테인 다이올, 1,8-옥테인 다이올, 2-메틸-1,8-옥테인 다이올, 1,9-노네인 다이올, 1,10-데케인 다이올, 1,4-사이클로헥세인 다이메탄올, 1,3-사이클로헥세인 다이메탄올, 1,4-사이클로헥세인 다이올, 1,3-사이클로헥세인 다이올, 트라이사이클로헥세인 다이메탄올, 펜타사이클로펜타데케인 다이메탄올, 1,4-부테인 다이올, 1,6-헥세인 다이올 및 1,12-도데케인 다이올 등의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렌 다이올류;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 폴리부틸렌 글라이콜, 폴리헥사메틸렌 글라이콜, 폴리헵타메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데카메틸렌 글라이콜 등의 폴리에터 다이올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경도 향상 및 기재 밀착력의 상승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80 중량%를 초과하면 컬링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고굴절 및 내화학성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방향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반드시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3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및 고굴절율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방향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지방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방향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만 사용하여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향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특별한 제한없이, 당 분야에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나프탈렌-1,5-다이아크릴레이트, 1-나프틸아크릴레이트, 나프틸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아크릴레이트 등의 나프탈렌계 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계 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계 아크릴레이트 및 아마만틸계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특별한 제한없이, 당 분야에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올 화합물 및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하드코팅 필름의 경도를 고려하여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 내지 1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 미만이면,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의 하드코팅 층이 부드러워져 내찰상성 및 막 강도 등의 하드코팅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면, 내찰상성은 우수해지나, 경화 수축이 증가하여 하드코팅 층의 컬 현상을 억제할 수 없으며, 점도가 높아져 가공이 어려운 단점이 발생한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폴리올 화합물 및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와 같은 반응 촉매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하여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로 되어 있는 우레탄 프레폴리머를 제조한 후,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첨가하여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가 완전히 소모될 때까지 반응을 진행하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물질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광경화성 물질이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하드코팅 조성물에 적합한 경도를 얻을 수 없으며,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도는 높아지지만 원료물질간의 혼합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광경화성 물질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트리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가 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광경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블로킹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에는 이상이 없으나, 장시간 방치 시 잔존하는 개시제에 의하여 하드코팅 필름 표면에 개시제가 석출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라디칼 중합형의 광중합성 프레폴리머, 광중합성 모노머 및 양이온 중합형의 광중합성 프레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에 대한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디칼 중합형의 광중합성 프레폴리머 또는 광중합성 모노머에 대한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터셔리-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크산톤, 2-에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및 p-디메틸아민안식향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 중합형의 광중합성 프레폴리머에 대한 광중합 개시제는 방향족 옥소설포늄이온 및 방향족요도늄이온 등의 오늄, 테트라플루오로볼레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및 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 등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첨가제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8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표면 첨가제가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레벨링성의 개선 효과를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표면 첨가제가 1 중량%를 초과하면 그 이상의 함량부터는 뚜렷한 효과 차이를 보이지 못하므로 최대 1 중량%를 초과하지 않도록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첨가제는 실리콘계, 반응성 실리콘계, 불소계, 비이온계, 양이온계, 음이온계 및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실리콘계 표면 첨가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알킬실록산 및 실리콘계면활성제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품명으로는 다음과 같은 제품들을 사용할 수 있다.
TORAY SILICONE DC3PA, TORAY SILICONE SH7PA, TORAY SILICONE DC11PA, TORAY SILICONE SH21PA, TORAY SILICONE SH28PA, TORAY SILICONE SH29PA, TORAY SILICONE SH30PA 및 TORAY SILICONE SH8400(상품명, Toray Silicone Company, Ltd. 제품);
TSF-4440, TSF-4300, TSF-4445, TSF-444(4)(5)(6)(7)6, TSF-4460 및 TSF-4452(상품명,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제품);
KP341(상품명, Shin-Etsu Chemicals Co., Ltd. 제품); 및
BYK307, BYK323 및 BYK330(상품명, BKY-Chemie 제품)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실리콘계 표면 첨가제는 DMS-S12, DMS-S14, 및 DMS-S15(Gelest, Inc.)와 같은 실란올 종결 폴리다이메틸실록산; PDS-9931(Gelest, Inc.)과 같은 실란올 종결폴리(다이페닐실록산); PDS-1615(Gelest, Inc.)와 같은 다이메틸실록산과 다이페닐실록산의 실란올 종결 공중합체; FMS-9921 및 9922(Gelest, Inc.)와 같은 다이메틸실록산과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의 실란올 종결 공중합체; DMS-XM11(Gelest, Inc.)과 같은 메톡시 종결 폴리다이메틸실록산; DMS-EX21(Gelest, Inc.)과 같은 다이메톡시(에폭시프로폭시프로필) 종결 폴리다이메틸실록산; DMS-XE11(Gelest, Inc.)과 같은 에톡시 종결 다이메틸실록산; 및 DMS XT11(Gelest, Inc.)과 같은 트라이에톡시실릴 에틸 종결 폴리다이메틸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표면 첨가제는 제품으로,
MAGAFACE F171, MAGAFACE F172, MAGAFACE F173, MAGAFACE F176, MAGAFACE F177,MAGAFACE F141, MAGAFACE F142, MAGAFACE F143, MAGAFACE F144, MAGAFACE R30, MAGAFACE F437, MAGAFACE F479, MAGAFACE F482, MAGAFACE F780 및 MAGAFACE F781(상품명, DIC Corporation 제품);
FLUORAD FC430, FLUORAD FC431 및 FLUORAD FC171(상품명, Sumitomo 3M Limited 제품); 및
SURFLON S-382, SURFLON SC-101, SURFLON SC-103, SURFLON SC-104, SURFLON SC-105, SURFLON SC1068, SURFLON SC-381, SURFLON SC-383, SURFLON S393 및 SURFLON KH-40(상품명, Asahi Glass Co., Ltd. 제품);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이온계 표면 첨가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으며,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PLURONIC L10, L31, L61, L62, 10R5, 17R2, 25R2 및 TETRONIC 304, 701, 704, 901, 904 및 150R1(상품명, BASF Japan Ltd. 제품); 및 SOLSPERSE 20000(상품명, Lubrizol Japan Ltd. 제품)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계 표면 첨가제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상기 시판품의 예로서는 Morishita Sangyo Kabushiki Gaisha 제품의 EFKA-745); 오가노실록산 폴리머 KP341(상품명, 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메타)아크릴 (코)폴리머 POLYFLOW 75호, 90호 및 95호(상품명, Kyoeisha Chemical Co., Ltd. 제품); 및 W001(상품명, Yusho Co., Ltd. 제품)을 들 수 있다.
상기 음이온계 표면 첨가제는 W004, W005 및 W017(상품명, Yusho Co., Ltd. 제품)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표면 첨가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첨가제 중, 실리콘계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였을 경우가 레벨링성에 대한 효과가 가장 월등하게 나타나므로, 실리콘계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리콘계 표면 첨가제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면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레벨링성 부족으로 발생하는 코팅 얼룩, 핀홀, 미코팅 및 코팅면의 벗겨짐과 같은 현상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도, 밀착성, 내굴곡성 및 내마모성 등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고,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고굴절율을 갖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굴절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추가로 무기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내지 1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 입자는 당 분야에서 공지된 무기 입자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금속, 금속염 등의 입자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실리카 입자(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또는 구형의 실리카 입자), 폴리헤드랄 올리고머릭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 탈크(talc), 유리 분말, 알루미나, 알루미나 수화물,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실리케이트 광물, 규조토, 실리카 모래, 실리카 분말, 산화티탄, 알루미늄 분말, 청동 분말, 아연 분말, 구리 분말, 납 분말, 금 분말, 은 분진, 유리 섬유, 티탄산 칼륨 휘스커(whisker), 탄소 휘스커, 사파이어 휘스커, 베릴리아(beryllia) 휘스커, 탄화붕소 휘스커, 탄화규소 휘스커, 질화규소 휘스커, 유리 비드, 중공 유리 비드, 산화금속 및 티탄칼륨 휘스커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특별한 기능발현이나 필요에 따라 추가로 용매, 계면 활성제 및 산화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본 발명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혼합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충분히 용해시킬 수 있는 양이면 특별한 함량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크실렌 등의 방향족 화합물류; 및 에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무기 입자를 포함하지 않거나, 무기 입자를 최소한의 양으로 포함하더라도 고굴절율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굴절율은 1.35 내지 1.70이며, 바람직하게는 1.58 내지 1.70이다.
기존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굴절율을 얻기 힘들었지만, 본 발명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범위의 굴절율을 얻을 수 있어,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이 도포된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 코팅, 딥코팅, 스핀 코팅, 스크린코팅, 잉크젯 프린팅, 패드 프린팅, 나이프 코팅, 키스 코팅, 바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및 슬롯 다이 코팅 등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서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고, 기재 종류나 용도 등에 따라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코팅 층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2 내지 10㎛ 두께에서 하드코팅 필름의 경도와 굴곡성 그리고 내화학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는 유리, 수정, 글래스 웨이퍼, 실리콘 웨이퍼 등과 같은 무기 기재,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PES)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패널, 설린(Surlyn, 미국의 BFGoodrich사 제조), 폴리이미드 및 무색 폴리이미드 필름 등과 같은 유기 합성 수지 필름이 사용되며, 상기 기재 위에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코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플라스틱 액정 디스플레이 재질 표면과 평판 디스플레이 액정 화면 표면, 컴퓨터 모니터 화면 및 보안경 표면, 기타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판,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필름, 무색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투명 기재 표면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은 경도, 밀착성, 내굴곡성, 내마모성 등의 물리적 특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굴절율도 기존의 하드코팅 조성물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져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강화 유리의 단점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어 기존 강화유리를 사용하던 제품 대신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하기의 방법으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합성하였다.
오일배스에 온도계, 환류냉각기 및 적가 판넬이 설치된 5,000㎖ 4구 플라스크에 방향족 폴리올 화합물인 디히드록시나프탈렌을 700 중량부, 지방족 폴리올 화합물인 펜타에리스리톨을 58.86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를 338 중량부, 반응 촉매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0.03 중량부를 투입하여 70℃에서 30분 교반하여 혼합시킨 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1시간 간격으로 3단계로 나누어 첨가한 다음, 3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여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인 우레탄 프레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로 되어 있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R(N=C=O/OH,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히드록시기와의 비율)값은 1.91 이었다.
그 후, 비닐 그룹의 열중합을 막기 위해 반응기의 온도를 50℃로 떨어뜨린 후, 방향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인 나프탈렌계 아크릴레이트를 200 중량부 첨가하여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반응하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경화성 물질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동아합성, M-402) 40 중량부, 광중합 개시제로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케톤 5 중량부 및 무기 입자로 산화지르코늄(ZrO2)를 100 중량부 첨가하였다.
상기 물질을 용매인 메틸에틸케톤에 용해하여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에 비교예 1을 제외하고는 표면 첨가제를 첨가하였으며, 함량 및 종류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표면 첨가제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중량% 값이다.
구분 표면 첨가제
종류 함량
실시예 1 실리콘계 A 0.01
실시예 2 실리콘계 A 0.1
실시예 3 실리콘계 A 0.2
실시예 4 실리콘계 A 0.3
실시예 5 실리콘계 A 0.5
실시예 6 실리콘계 A 1
실시예 7 실리콘계 B 0.3
실시예 8 실리콘계 C 0.3
실시예 9 실리콘계 D 0.3
실시예 10 (반응성)실리콘계 0.3
실시예 11 불소계 0.3
실시예 12 비이온계 0.3
실시예 13 양이온계 0.3
실시예 14 음이온계 0.3
실시예 15 아크릴레이트계 0.3
비교예 1 - -
실리콘계열 A : 폴리디메틸실록산류
실리콘계열 B :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류
실리콘계열 C : 폴리메틸알킬실록산류
실리콘계열 D : 실리콘계면활성제류
(반응성)실리콘 : 디메틸실록산과 디페닐실록산의 실란올 종결 공중합체
불소계 : MAGAFACE F781(상품명, DIC Corporation 제품)
비이온계 :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류
양이온계 :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음이온계 : W017(상품명, Yusho Co., Ltd. 제품)
아크릴레이트계 : 폴리아크릴레이트류
실험예 1. 하드코팅 필름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각각 기재인 125μm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제조사: 코오롱, 제품명: CU43R)의 일면에 도포한 후, 80℃ 오븐에서 5분 동안 건조하고, 자외선 조사장치로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방향에서 1,000mJ/㎠의 조사하여 5μm 두께의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1. 연필경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하드코팅 필름을 일본 IMOTO사의 연필경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30mm/min의 속도로 하중을 500 내지 750gf로 가하여 연필경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2. 밀착성( Cross cut )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하드코팅 필름에 칼을 사용하여 1mm의 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로 11개의 직선을 각각 그려 100개의 정사각형을 만들었다. 테이프(3M 스카치 매직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에 붙인 뒤 떼어내어 박리 테스트, 즉 밀착성을 측정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으며,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 : 남아있는 도막이 100개인 경우
○ : 90개 이상 99개 미만
△ : 80개 이상 89개 미만
× : 80개 미만
3. 표면 장력
상기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의 표면 장력을 측정하였다.
표면장력 측정은 DuNouy 원리에 기초한 Kibron AquaPi 장력계에서 수행되었다. 기기는 20℃의 온도에서 사전-검정되었으며, 보정 인자는 어떤 편차에도 적용되었다. 표면장력 측정이 수행되기 전 티타늄 막대를 불태워 불순물을 기화시켰으며, 샘플 컵은 에탄올과 정제수로 세정하였다.
프로브가 교화될 때마다 또는 적어도 매일 재검정이 수행되었으며,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기 위해서 측정은 중복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표면 장력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4. 외관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한 후 외관평가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 필름의 표면에 외관 이상 없음.
○: 필름의 표면에 외관 양호함.
×: 필름의 표면에 외관 이상 있음
연필경도 밀착력 표면장력 외관 평가
실시예 1 2H 35.0 ×
실시예 2 2H 33.0 ×
실시예 3 2H 31.0 ×
실시예 4 2H 25.8
실시예 5 2H 25.4
실시예 6 2H 25.0
실시예 7 2H 27.3
실시예 8 2H 27.4
실시예 9 2H 27.5
실시예 10 2H 27.8
실시예 11 2H 27.5
실시예 12 2H 27.5
실시예 13 2H 28.0
실시예 14 2H 28.5
실시예 15 2H 28.3
비교예 1 2H 35.8 ×
상기 표 2의 결과를 통하여, 표면 첨가제의 함량이 0.3 중량% 이상으로 첨가된 실시예 4 내지 15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은 표면 장력 및 외관평가에서 표면 첨가제가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표면 첨가제가 0.3 중량% 미만으로 첨가된 실시예 1 내지 3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은 외관평가가 우수하지 못하였으나, 비교예 1보다는 표면 장력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0.3 중량%로 표면 첨가제의 함량이 동일하게 사용되었을 때, 실리콘계 표면 첨가제의 표면 장력 및 외관 평가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실시예 4), 표면 첨가제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표면장력이 증가하였으며, 외관 평가 역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실시예 4 내지 6).
따라서, 본 발명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표면 첨가제, 즉 실리콘계, 불소계, 비이온계, 양이온계, 음이온계 및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였을 때, 레벨링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 표면 첨가제 중에서도 실리콘계 표면 첨가제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며, 상기 실리콘계 표면 첨가제를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1 중량%로 사용하였을 때, 레벨링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경화성 물질, 광중합 개시제 및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
    상기 표면 첨가제는 실리콘계, 불소계, 비이온계, 양이온계, 음이온계 및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올 화합물 및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화합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 내지 40 중량%, 폴리올 화합물 10 내지 70 중량% 및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올 화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방향족 폴리머 화합물을 30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총 중량에 대하여 방향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30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 내지 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경화성 물질 20 내지 60 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 3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첨가제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라디칼 중합형의 광중합성 프레폴리머, 광중합성 모노머 및 양이온 중합형의 광중합성 프레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에 대한 광중합 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입자 60 내지 14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굴절율이 1.35 내지 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용매, 계면 활성제 및 산화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13. 청구항 1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이 도포된 하드코팅 필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필름.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이 도포된 두께는 2 내지 1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필름.
KR1020140194655A 2014-12-31 2014-12-31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KR20160081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655A KR20160081201A (ko) 2014-12-31 2014-12-31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655A KR20160081201A (ko) 2014-12-31 2014-12-31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201A true KR20160081201A (ko) 2016-07-08

Family

ID=56503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655A KR20160081201A (ko) 2014-12-31 2014-12-31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12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800A1 (ko) * 2016-07-11 2018-01-18 (주)엘지하우시스 경화 후의 내마모성이 향상된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필름
KR20180023612A (ko) * 2016-08-26 2018-03-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다층 필름
KR20180054241A (ko) * 2016-11-15 2018-05-24 엔아이씨(주)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5151A (ko)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5151A (ko)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800A1 (ko) * 2016-07-11 2018-01-18 (주)엘지하우시스 경화 후의 내마모성이 향상된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필름
KR20180023612A (ko) * 2016-08-26 2018-03-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다층 필름
KR20180054241A (ko) * 2016-11-15 2018-05-24 엔아이씨(주)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524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KR101345170B1 (ko) 필름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US10684395B2 (en) Refractive-index-matching thin film
TW201545867A (zh) 塑膠膜疊層板
KR20100055160A (ko) 하드코팅액, 이를 사용한 하드코팅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JP7193050B2 (ja) 光学積層体
US10928557B2 (en) Optical film having high slip property,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JP7305306B2 (ja) 円偏光板
US10189999B2 (en) Resin composition for coating agent, molded article, and image display device
US11040480B2 (en) Optical film with high slip property and excellent property of blocking UV light,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KR20140050296A (ko) 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하드 코팅막과 그 제조 방법
KR101784002B1 (ko)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60081201A (ko)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KR20140024562A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102109345B1 (ko) 하드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코팅층으로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KR101614076B1 (ko) 재박리용 아크릴계 점착제 겸 이형제 조성물
JP6364719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積層体、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
KR101493517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50000745A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190035642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110111768A (ko) 하드 코팅용 조성물, 이로 제조된 하드 코팅 필름,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101567223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80087956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JP6651821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偏光板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透過型液晶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102205246B1 (ko) 내스크래치성 및 굴곡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하드 코팅액 및 이를 이용한 하드 코팅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