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262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262A
KR20160071262A KR1020140178772A KR20140178772A KR20160071262A KR 20160071262 A KR20160071262 A KR 20160071262A KR 1020140178772 A KR1020140178772 A KR 1020140178772A KR 20140178772 A KR20140178772 A KR 20140178772A KR 20160071262 A KR20160071262 A KR 20160071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witch
forming portion
butt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열
송수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262A/ko
Priority to CN201520147030.5U priority patent/CN204425433U/zh
Priority to EP15167088.2A priority patent/EP2947858B1/en
Priority to US14/712,639 priority patent/US9629268B2/en
Priority to CN201510255863.8A priority patent/CN105094225B/zh
Publication of KR20160071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53Switc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1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제1 기능의 푸시입력을 받는 제1 버튼부와, 상기 제1 버튼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키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의 푸시입력을 받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제1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부는 상기 키들의 사이에 상기 제1 버튼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버튼부를 수용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관통홀의 내부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버튼부를 작동시키는 제1 스위치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후면에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의 후면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는데, 단말기의 후면에는 한정된 공간으로 인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후면 카메라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센서가 필요하며, 이의 배치 구조가 문제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후면 입력부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센서를 배치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카메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RGB 센서를 후면 입력부 또는 플래시와 모듈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제1 기능의 푸시입력을 받는 제1 버튼부와, 상기 제1 버튼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키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의 푸시입력을 받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제1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부는 상기 키들의 사이에 상기 제1 버튼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버튼부를 수용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관통홀의 내부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버튼부를 작동시키는 제1 스위치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 센서가 형성되는 센서 형성부, 및 상기 센서 형성부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센서 형성부와 상하로 중첩되도록 이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를 작동시키는 제1 및 제2 스위치가 형성되는 각각 형성되는 스위치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 형성부는 상기 제1 스위치가 형성되는 제1 스위치 형성부와, 상기 제2 스위치가 형성되는 제2 스위치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는 동일 또는 다른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버튼부 또는 제2 버튼부 가압시에 상기 제1 스위치 또는 제2 스위치와 연성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스위치를 가압하는 제1 돌기와, 상기 제2 스위치를 가압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센서 형성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1 스위치에 접촉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센서 형성부와 스위치 형성부의 사이에는 상기 센서 형성부 및 스위치 형성부의 강성을 보완하는 제1 보강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와 제2 스위치 형성부의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센서 형성부는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로부터 연장되어 벤딩(bend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가 동일 평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가 다른 평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는 상기 센서 형성부와 이격되고, 탄성의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 형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는 RGB 센서, 심박 센서 및 지문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버튼부는 투광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센서가 RGB 센서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버튼부의 내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제1 기능의 푸시입력을 받는 제1 버튼부와, 상기 제1 버튼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키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의 푸시입력을 받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플래시, 및 상기 플래시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3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는 상기 플래시와 함께 단일 브라켓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를 작동시키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플래시 및 제3 센서가 배치되는 제3 센서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플래시와 제3 센서를 격리시키도록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센서는 RGB 센서, 심박 센서 및 지문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센서가 RGB 센서인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의 내면 중 상기 제3 센서가 배치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톱니구조(serration)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RGB 센서를 LDAF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카메라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RGB 센서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을 갖는 센서들을 사용자 입력부의 내부에 형성하거나, 플래시와 함께 모듈화 함으로써 보다 많은 센서를 실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a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a의 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센서 형성부가 벤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센서 형성부가 벤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a의 CC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플래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EE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프론트 케이스의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리어 케이스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5a의 FF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양면 클립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2의 DD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도 및 저면도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상측에는 사용자 입력부(32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325)의 일측에는 자동초점장치(330,laser detection auto focusing,LDAF)가 배치되며, 사용자 입력부(325)의 타측에는 플래시부(320)가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325)는 단말기 본체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제1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버튼부(325a)와, 상기 제1 버튼부(325a)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버튼부(325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하부에는 음향 출력부(15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기능은 전원의 온오프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와 관련된 기능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능은 단말기의 본체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크기조절과 관련된 기능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정보에 대한 스크롤 기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버튼부(325b)는 상하 또는 좌우로 구분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버튼부(325a)는 제2 버튼부(325b)의 사이 또는 내부에 배치된다.
즉,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부 분해사도인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제1 기능의 푸시입력을 받는 제1 버튼부(325a)와, 상기 제1 버튼부(325a)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키들(3254,3255)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의 푸시입력을 받는 제2 버튼부(325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버튼부(233)는 상기 키들(3254,3255)의 사이에서 상기 제2 버튼부(325b)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2 버튼부(325b)에는 관통홀(3251)이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키들(3254,3255)은 외부로 노출되는 면으로서 돌출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면의 반대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촉감으로 어느 키에 접촉하는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들(3254,3255)과 상기 제1 버튼부(233)가 높이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키들(3254,3255)은 각각 상기 관통홀(3251)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3252)을 구비한다. 상기 경사면(3252)은 상기 돌출면 중 상기 제1 버튼부(325a)에 인접한 면이며,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버튼부(325a)는 상기 경사면(3252)의 끝부분보다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키들(3254,3255)에는 상기 경사면(3252)과 경사가 반대이거나 평면인 보조면(325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버튼부(325a)와 제2 버튼부(325b)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및 재질을 통하여, 사용자는 제1 및 제2 버튼부(325a,325b)의 구별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325)가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325)는 단일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도 사용자 입력부(325)가 복수의 버튼인 경우를 예시하나,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에 의하여 정의되는 기능은 상기 단일의 버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후면 카메라(121b)와 사용자 입력부(325)가 지지부재(304)에 의해 모듈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325)와 후면 카메라(121b)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4)에 상기 사용자 입력부(325)와 카메라 덮개(312)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카메라 덮개(312)는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카메라 덮개(312)는 지지부재(304)의 리세스된 부분에 안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부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a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a의 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연성회로기판의 평면도 및 사시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이동 단말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버튼부(325a) 및 제2 버튼부(325b)의 하부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344)에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340)과, 상기 제1 버튼부(325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센서(3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센서(310)는 RGB 센서, 심박 센서 및 지문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3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튼부(325a)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제1 버튼부(325a)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버튼부(325a)는 돔(dome)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310)는 상기 관통홀(3251,도 8 참조)의 내부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버튼부(325a)를 작동시키는 제1 스위치(350a)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센서(310) 및 제1 스위치(350a)는 연성회로기판(340)에 형성되며, 제1 센서(310) 및 제1 스위치(350a)는 상하 방향(이동 단말기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센서(310)와 상기 제1 버튼부(325a)가 중첩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센서(310)와 상기 제1 버튼부(325a)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의 배치가 문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버튼부(325a)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1 센서(310)가 눌려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성회로기판(340)이 상기 제1 센서(310)가 형성되는 센서 형성부(340a)와, 상기 센서 형성부(340a)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센서 형성부(340a)와 중첩되도록 이격되며 일면에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325a,325b)를 작동시키는 스위치(350a,350b)가 형성되는 스위치 형성부(340b,340c)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상기 센서 형성부(340a)의 상면에는 제1 센서(310)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 형성부(340a)와 이격되는 스위치 형성부(340b,340c) 중 특히,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에는 상기 제1 버튼부(325a)를 작동시키는 제1 스위치(350a)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센서(310)를 작동시키는 연성회로기판(340a)의 부위와 상기 제1 버튼부(325a)를 작동시키는 연성회로기판(340c)의 형성 위치를 달리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버튼부(325a) 또는 제2 버튼부(325b) 가압시에 상기 스위치(350a,350b)와 연성회로기판(3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 돌기(360a,360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들(350a,350b)은 돔 스위치, 압전 스위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2 버튼부(325b), 제2 스위치(350b), 제2 스위치 형성부(340b), 제2 돌기(360b)는 쌍으로 형성되므로 도면에서는 어느 하나에만 도면부호를 표기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스위치(350a,350b)는 상기 제1 버튼부(325a)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버튼부(325a)를 작동시키는 제1 스위치(350a)와, 상기 제2 버튼부(325b)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버튼부(325b)를 작동시키는 제2 스위치(35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돌기(360a,360b)는 상기 제1 스위치(350a) 및 제2 스위치(350b)를 가압하여 제1 및 제2 버튼부(325a,325b)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상기 제1 스위치(350a)를 가압하여 제1 버튼부(325a)를 작동시키는 제1 돌기(360a)와, 상기 제2 스위치(350b)를 가압하여 제2 버튼부(325b)를 작동시키는 제2 돌기(36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치(350a)는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350a)가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돌기(360a)는 상기 센서 형성부(340a)의 하면에 형성된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부 단면도인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350a)가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의 하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돌기(360a)가 상기 제1 스위치(350a)에 접촉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에서는 상기 연성회로기판(340) 중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와 제2 스위치 형성부(340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340c)는 동일 또는 다른 평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도 4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340c)가 서로 다른 평면에 형성된 것을 예시한 것이고, 도 9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340c)가 동일 평면에 형성된 것을 예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340c)가 동일 평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340c)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제2 스위치(350b)의 형성 방향이 동일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350a)의 형성 방향을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를 향하여 볼록(도 4의 경우)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를 향하여 볼록(도 9의 경우)하도록 형성한 것처럼, 상기 제2 스위치(350b)를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돌기(360a,360b)도 반드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350a,350b)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필요는 없고,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스위치(350a,350b)가 제1 및 제2 돌기(360a,360b)와 동일한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위치와 돌기의 형상 및 배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형성부(340b,340c)는 상기 제1 스위치(350a)가 형성되는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와, 상기 제2 스위치(350b)가 형성되는 제2 스위치 형성부(340b)를 포함하는데, 상기 센서 형성부(340a)와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의 사이에는 상기 센서 형성부(340a)와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의 기구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제1 보강부재(343)가 배치된다. 상기 제1 보강부재(343)는 상기 제1 버튼부(325a)가 가압될 때 상기 연성회로기판(340)이 휘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성회로기판(340)의 강성을 보완한다. 상기 제1 보강부재(343)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360a,360b)는 화이트 시트(white sheet,미도시)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성회로기판(340)은 플렉시블(flexible)하므로 강성이 약하여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성회로기판(340)의 일면에 보강부재(stiffener)를 배치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1 보강부재(343)는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일 수 있으며, 접착 테이프에 의해 상기 연성회로기판(340)에 부착된다. 이는 후술하는 제2 보강부재(345,도 12 참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5에서는 상기 제1 보강부재(343)가 상기 센서 형성부(340a)와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의 사이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연성회로기판(34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구분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부(320)가 형성되는 플래시 형성부(340e)의 하부에도 상기 플래시 형성부(340e)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2 보강부재(34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a는 센서 형성부(340a)가 벤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센서 형성부(340a)가 벤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의 양측에는 슬릿(381,382)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340c)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슬릿(381,382)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340c)가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성회로기판(340)은 상기 제1 버튼부(325a) 및 제2 버튼부(325b)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스위치 형성부(340c)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를 갖는데,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는 사용자에 의해 제1 버튼부(325a) 또는 제2 버튼부(325b)가 가압될 때 동시에 눌려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분 슬릿(381,382)을 상기 연성회로기판(340)에 형성하였다. 즉,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분 슬릿(381,382)은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의 양측에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형성부(340a)와 제1 스위치 형성부(340c)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형성부(340a)가 상기 스위치 형성부(340b,340c) 중 제1 스위치 형성부(340c)로부터 연장되어 벤딩(bending)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센서 형성부(340a) 및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의 외부면에 제1 센서(310) 및 제1 스위치(350a)를 형성하여 접을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센서 형성부(340a)를 벤딩함으로써, 상기 제1 보강부재(343)이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제1 센서(310)가 상기 제1 버튼부(325a)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제1 버튼부(325a)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는 상기 센서 형성부(340a)와 이격되어 있으며, 탄성의 연결부재(341,342)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 형성부(34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a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연성회로기판(340)은 센서 형성부(340a)와, 상기 센서 형성부(340a)와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와,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스위치 형성부(340b)와, 상기 제2 스위치 형성부(340b)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플래시 형성부(340e) 및 자동초점장치 형성부(340d)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6b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센서 형성부(340a)에는 제1 센서(310)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스위치 형성부(340b)에는 제2 스위치(350b)가 형성되고, 상기 플래시 형성부(340e)에는 플래시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자동초점장치 형성부(340d)에는 자동초점장치(330)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가 상기 제2 스위치 형성부(340b) 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리어 케이스(102)가 리세스(recess)되도록 한다. 도 4에서의 연결부재(341,342)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도 4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가 분리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상기 연결부재(341,342)가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340c)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센서 형성부(340a)와 제1 스위치 형성부(340c)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버튼부(325a)는 투광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1 버튼부(325a)의 하부에는 RGB 센서와 같은 광이 투과되는 성질을 이용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버튼부(325a)가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광을 투과시키기만 하면 충분하므로, 반드시 글래스와 같이 완전 투광성 재질일 필요는 없고, 반투광성의 재질이어도 된다. 일 예로, 상기 제1 버튼부(325a)는 유리, 투명한 수지(예를 들면, PC(polycarbonate))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RGB 센서는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카메라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센서이다. 즉, RGB 센서로 수광되는 광원의 RGB 대역을 분석하여, 화이트 밸러스를 보정해주는 것으로, 색온도를 분석하여 그에 맞는 화이트 밸런스를 보정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 센서(310)가 RGB 센서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버튼부(325a)의 내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부 분해사시도인데,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으로 노출되는 사용자 입력부(325)가 지지부재(304)에 형성되는 관통홀(30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340) 중 일부는 리어 케이스(102)에 형성되는 관통홀(1022)을 통해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에 배치된다.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으로 배치되는 연성회로기판(340) 상에 플래시부(320) 및 자동초점장치(33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플래시부(320) 및 자동초점장치(330)는 리어 케이스에 형성되는 관통홀(1023,1024)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으로 노출된다.
이때, 도 8에서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 중 연성회로기판(340)이 수용되는 수용부(1025)는 내측으로 리세스(recess)되어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350a,350b)가 각각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340c)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340b,340c)의 하부에는 각각 제1 리세스부(102a) 및 제2 리세스부(102b)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돌기(360a,360b)가 상기 제1 리세스부(102a) 및 제2 리세스부(102b)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쇄회로기판(344)의 양면에 전자소자들이 실장되고, 이들을 감싸는 상부 실드캔(333a) 및 하부 실드캔(333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실드캔(333a,333b)에 의해 전자기파를 차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모듈을 연결함으로써 슬롯을 확장하여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공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프론트 케이스의 프레임(1011)을 도시한 것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리어 케이스(102) 일부의 양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도 15a의 FF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양면 클립부재(371)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 본체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하여 공간을 한정하는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는 제1 안테나 모듈(351)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제2 안테나 모듈(352,352a,352b)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351) 및 제2 안테나 모듈(352,352a,352b)은 양면 클립부재(371,371a,371b)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안테나 모듈(351)은 제1 금속 패턴(3511)을 갖는 캐리어(carrier)일 수 있고, 상기 제2 안테나 모듈(352)은 제2 금속 패턴(3521)을 갖는 캐리어 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351)은 메인 안테나 모듈일 수 있고, 상기 제2 안테나 모듈(352)은 슬롯(slot) 안테나 모듈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안테나 모듈(352)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안테나 모듈(352a,352b)로 구분되어 있다면, 각각의 제2 안테나 모듈(352a,352b)과 제1 안테나 모듈(351)이 연결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양면 클립부재(371a,371b)를 사용한다.
상기 양면 클립부재(371)에 의해, 제1 및 제2 금속 패턴(3511,3521)간 오버랩(overlap)에 대하여 정량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무선 편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안테나간 접점에 대한 무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면 클립부재(371,371a,371b)는 상기 제1 안테나 모듈(351) 또는 제2 안테나 모듈(352)의 내부에 형성되는 홈(1021)에 배치된다. 도 16에서는 상기 제1 안테나 모듈(351)의 내부에 홈(1021)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안테나 모듈(352)의 내부에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양면 클립부재(371)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안테나 모듈(351,352)을 동시에 연결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양면 클립부재(371,371a,371b)는 몸체(3714)와, 상기 몸체(3714)에 형성되는 고정부(3713)와, 상기 고정부(3713)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3713)를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탄성체(3711) 및 제2 탄성체(37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3714)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3713), 제1 탄성체(3711) 및 제2 탄성체(3712)가 배치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탄성체(3711) 및 제2 탄성체(3712)는 상기 고정부(3713)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상기 제1 금속 패턴(3511) 또는 제2 금속 패턴(3521)에 접촉시에 상기 고정부(371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탄성 변형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11)은 프론트 케이스(101)일 수 있고,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리어 케이스(102)의 일 부분일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011)은 인쇄회로기판(344)에 연결되어 있어, 제1 및 제2 안테나 모듈(351,352)이 서로 연결되며, 이에 의해 안테나 길이가 길어져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면 클립부재(371)를 활용함으로써 안테나 실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8은 도 2의 DD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하단에 제1 관통홀(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31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감지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344)에 형성되는 제2 센서(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관통홀(311)은 인터페이스부(160)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311)을 통하여 공기가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 센서(313)의 하단에 배치되는 패드(314,pad)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제1 안테나 모듈(351)로부터 상기 패드(314)로 형성되는 리브(351a,rib)에 의해 더욱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안테나 모듈(351) 및 패드(314)에 의해 공간이 밀폐되며,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밀폐된 공간(S) 내부에 머무르게 된다.
상기 제2 센서(313)는 유입된 공기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가스 센서(gas sensor) 또는 온습도 센서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센서(313)가 가스 센서라면, 유입된 공기에 의해 유해물질이 있는지 검사하여 사용자에게 알람 등을 이용하여 알려줄 수 있으며, 음주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센서(313)가 온습도 센서라면, 이동 단말기(100) 주변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음향 출력부(352b)를 통하여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센서(313)가 온습도 센서인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가장 적은 부분에 상기 제2 센서(313)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344)이 도 11의 리어 케이스(102)와 같이 상부에 많은 전자소자들이 실장되는 경우라면, 이동 단말기(100)의 하부에 제2 센서(313)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인체의 영향을 최소화해야 하므로 통화시에 인체의 접촉이 적으면서 발열량이 적은 부분인 이동 단말기의 하단에 제2 센서(313)를 형성하였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인체 또는 단말기 자체의 발열에 영향을 덜 받는 부위면 어디든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관통홀(311)이 먼지 등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관통홀(311)에 망사 구조를 갖는 부재(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관통홀(311) 및 밀폐 공간(S)에 채워져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안테나 모듈(351)에 제2 관통홀(315)을 형성한다. 상기 제2 관통홀(315)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평상시에는 제1 관통홀(311)만 노출되나, 후면 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제2 관통홀(315)이 노출된다. 상기 제2 관통홀(315)을 통해 고압의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밀폐 공간(S) 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강하게 불어 상기 밀폐 공간(S) 내에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관통홀(315)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102)를 덮는 후면 커버(103)의 일측에 상기 제2 관통홀(315)을 덮도록 돌출부(10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개력적인 측면도인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후면 카메라(121b)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325)가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로 리세스되거나 후면 카메라(121b)보다 덜 돌출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325),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버튼부(325a)가 직접적으로 지면(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입력부(325)의 제1 버튼부(325a)의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되지 않아 내부에 배치되는 RGB와 같은 센서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1 센서(310) 또는 후술하는 제3 센서(320b)가 지문인식 센서인 경우에도 스크래치의 형성을 방지함으로써 지문인식이 정상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플래시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EE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사시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입력부(325)의 일측에는 플래시부(320)가 배치되는데, 플래시(320a)와 함께 단일 브라켓(323)에 형성되는 제3 센서(320b)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 다양한 센서를 배치할 필요가 있는데, 이들 센서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미 사용되고 있는 플래시(320a)를 활용한 것이다. 즉, 상기 플래시(320a)와 제3 센서(320b)를 하나의 브라켓(323)에 형성함으로써 모듈화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성회로기판(340)은 상기 스위치 형성부(340b)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래시(320a) 및 제3 센서(320b)가 배치되는 플래시 형성부(340e)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 형성부(340e)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형성부의(340b) 위쪽으로 형성된다.
도 11에서는 리어 케이스(102)에 사용자 입력부(325) 및 후면 카메라(121b)가 장착된 상태로, 플래시부(320)가 결합되기 전 상태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앞서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래시부(320)는 관통홀(10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브라켓(323)이 플래시(320a) 및 제3 센서(320b)를 덮도록 형성된다.
도 12 및 도 13은 플래시부(320)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323)에는 상기 플래시(320a)와 제3 센서(320b)를 격리시키는 격벽(326)이 형성되어, 상기 플래시(320a)에 의한 빛이 상기 제3 센서(320b)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3 센서(320b)는 RGB 센서, 심박 센서 및 지문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만약, 상기 제3 센서(320b)가 RGB 센서와 같이 광이 출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래시(320a)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격벽(326)에 의해 플래시(320a)와 제3 센서(320b)를 분리하여 플래시(320a)로부터 나오는 직접적인 광(direct light)을 차단한다.
나아가, 상기 제3 센서(320b)가 RGB 센서인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323)의 내면 중 상기 제3 센서(320b)가 배치되는 영역 중 일부(323b)는 상기 RGB 센서의 화각을 고려하여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고, 다른 영역 중 적어도 일부(323c)에 는 톱니(323c,serration)구조를 형성한다. 즉, 상기 RGB 센서의 화각 이외의 주변 영역에 부식을 적용하여 노이즈(산란되거나 반사되는 빛)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부식 영역을 상기 브라켓(323)의 내면 중 단차가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파를 차폐하기 위한 실드캔(33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성회로기판(340) 중 플래시 형성부(340e)의 하부에는 제2 보강부재(345)가 구비되어 연성회로기판(340)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래시(340a)가 배치되는 영역(323a)의 브라켓 내면은 톱니(serration)구조를 형성하여 빛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3에서는 플래시(320a)와 제3 센서(320b)가 두 개의 격벽(326)에 의해 구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단일 격벽(326)만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도 2a의 CC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 상기 자동초점장치(3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자동초점장치(330)는 연성회로기판(340) 중 자동초점장치 형성부(340d)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초점장치 형성부(340d)는 인쇄회로기판(3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344)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전자소자(332)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실드캔(333,shield can)에 의해 전자기파가 차폐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자동초점장치(330)는 LDAF 윈도우(331)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상기 자동초점장치(330)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때문에 상기 LDAF 윈도우(331)는 광투과성이어야 한다. 즉, 상기 자동초점장치(330)는 레이저를 송신하는 발광부(330a)와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광부(3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송신하는 출력 신호와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함과 동시에 이를 이용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때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종래의 자동초점장치(Auto Focusing,AF)는 레이저 없이 이미지 처리로 포커스하여 화면 전체를 커버하는데 시간이 걸렸으나, 상기 자동초점장치(220)는 레이저를 통해 위상차로 거리를 측정하여 0~50cm까지는 레이저로 빠르게 처리하고, 그 이외에서는 기존의 AF방식으로 처리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전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상기 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제1 기능의 푸시입력을 받는 제1 버튼부와, 상기 제1 버튼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키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의 푸시입력을 받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제1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부는 상기 키들의 사이에 상기 제1 버튼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버튼부를 수용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관통홀의 내부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버튼부를 작동시키는 제1 스위치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 센서가 형성되는 센서 형성부; 및
    상기 센서 형성부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센서 형성부와 상하로 중첩되도록 이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를 작동시키는 제1 및 제2 스위치가 형성되는 각각 형성되는 스위치 형성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형성부는 상기 제1 스위치가 형성되는 제1 스위치 형성부와, 상기 제2 스위치가 형성되는 제2 스위치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는 동일 또는 다른 평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부 또는 제2 버튼부 가압시에 상기 제1 스위치 또는 제2 스위치와 연성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스위치를 가압하는 제1 돌기와, 상기 제2 스위치를 가압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센서 형성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1 스위치에 접촉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형성부와 스위치 형성부의 사이에는 상기 센서 형성부 및 스위치 형성부의 강성을 보완하는 제1 보강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와 제2 스위치 형성부의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형성부는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로부터 연장되어 벤딩(bend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가 동일 평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형성부가 다른 평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형성부는,
    상기 센서 형성부와 이격되고, 탄성의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 형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RGB 센서, 심박 센서 및 지문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부는 투광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센서가 RGB 센서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버튼부의 내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전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상기 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제1 기능의 푸시입력을 받는 제1 버튼부와, 상기 제1 버튼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키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의 푸시입력을 받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플래시; 및
    상기 플래시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3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는 상기 플래시와 함께 단일 브라켓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를 작동시키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플래시 및 제3 센서가 배치되는 제3 센서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플래시와 제3 센서를 격리시키도록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서는 RGB 센서, 심박 센서 및 지문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서가 RGB 센서인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의 내면 중 상기 제3 센서가 배치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톱니구조(serration)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178772A 2014-05-19 2014-12-11 이동 단말기 KR20160071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772A KR20160071262A (ko) 2014-12-11 2014-12-11 이동 단말기
CN201520147030.5U CN204425433U (zh) 2014-10-11 2015-03-16 移动终端
EP15167088.2A EP2947858B1 (en) 2014-05-19 2015-05-11 Mobile terminal with rear-surface sensor
US14/712,639 US9629268B2 (en) 2014-05-19 2015-05-14 Mobile terminal
CN201510255863.8A CN105094225B (zh) 2014-05-19 2015-05-19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772A KR20160071262A (ko) 2014-12-11 2014-12-11 이동 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640A Division KR101570436B1 (ko) 2014-10-11 2015-02-09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262A true KR20160071262A (ko) 2016-06-21

Family

ID=5343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772A KR20160071262A (ko) 2014-05-19 2014-12-11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29268B2 (ko)
EP (1) EP2947858B1 (ko)
KR (1) KR20160071262A (ko)
CN (2) CN20442543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104A (ko) * 2017-02-02 2018-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7020A (ja) * 2012-07-24 2014-02-06 Toshiba Corp 回路基板、電子機器、および回路基板の製造方法
US9972459B1 (en) * 2013-09-09 2018-05-15 Apple Inc. Tactile switch assembly in an electronic device
KR102107114B1 (ko) * 2013-10-30 2020-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NL2014444B1 (en) * 2015-03-12 2017-01-06 Pan Changbang Finger scanner, and method of scanning a finger using the finger scanner.
KR102348486B1 (ko) * 2015-04-29 2022-0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5120017B (zh) * 2015-07-16 2017-03-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
US10148000B2 (en) 2015-09-04 2018-12-04 Apple Inc. Coupl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 housings
KR102384640B1 (ko) * 2015-09-25 2022-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7059116A1 (en) * 2015-09-30 2017-04-06 Apple Inc. Multi-part electronic device housing having contiguous filled surface
CN105446057A (zh) * 2015-12-02 2016-03-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补光灯及rgb传感器模块和移动终端
CN105391825B (zh) * 2015-12-02 2018-09-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镜片组件和移动终端
US9983455B2 (en) 2015-12-22 2018-05-29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evice stack assembly
WO2017126736A1 (ko) * 2016-01-22 2017-07-27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EP3742417A1 (en) * 2016-04-15 2020-11-25 SZ DJI Technology Co., Ltd. Remote controll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remote controller
JP6719801B2 (ja) * 2016-05-06 2020-07-08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着用式装置
CN105828591B (zh) * 2016-05-10 2019-08-20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US9990002B2 (en) 2016-05-25 2018-06-05 Lg Electronics Inc. Sound output apparatus and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US10110974B2 (en) 2016-05-25 2018-10-23 Lg Electronics Inc. Accessory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internet of things
US10204513B2 (en) 2016-05-25 2019-02-12 Lg Electronics Inc. Accessory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Internet of Things
US10149080B2 (en) 2016-05-25 2018-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sound 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rille for the apparatus
US10440456B2 (en) 2016-05-25 2019-10-08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output apparatus,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pparatus and grille for the apparatus
US10356499B2 (en) 2016-05-25 2019-07-16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output apparatus,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pparatus, and grille for the apparatus
US10111345B2 (en) 2016-05-25 2018-10-23 Lg Electronics Inc. Sound output apparatus and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US10139857B2 (en) 2016-05-25 2018-11-27 Lg Electronics Inc. Accessory
US9992036B2 (en) 2016-05-25 2018-06-05 Lg Electronics Inc. Sound output apparatus and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US10097640B2 (en) 2016-05-25 2018-10-09 Lg Electronics Inc. Accessory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internet of things
US10139856B2 (en) * 2016-05-25 2018-11-27 Lg Electronics Inc. Accessory assembly
US10146255B2 (en) 2016-05-25 2018-12-04 Lg Electronics Inc. Accessory communication device
CN107741759A (zh) * 2016-07-26 2018-02-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壳体组件、显示组件及其装配方法
TWI582704B (zh) * 2016-08-05 2017-05-11 Primax Electronics Ltd 組裝指紋辨識模組之方法
CN107734953B (zh) * 2016-08-10 2020-01-10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组装指纹辨识模块的方法
US10248158B2 (en) * 2016-10-21 2019-04-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closure assembly and monitor device including same
CN106375598B (zh) * 2016-10-31 2019-08-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提醒方法及移动终端
CN106488132A (zh) * 2016-11-21 2017-03-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拍照方法和装置
TWI609338B (zh) * 2016-12-14 2017-12-2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指紋辨識模組
CN106815572A (zh) * 2017-01-03 2017-06-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指纹识别组件的支架、盖板组件及终端
TWI644601B (zh) * 2017-03-03 2018-12-1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指紋辨識模組的治具及指紋辨識模組的製造方法
CN106941541B (zh) * 2017-03-07 2018-07-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功能组件、显示装置及终端
CN108664174A (zh) * 2017-03-31 2018-10-16 丽宝大数据股份有限公司 触控式组件
KR102318556B1 (ko) * 2017-04-12 2021-10-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426369A (zh) * 2017-09-06 2017-12-01 金雅豪精密金属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具有分段式外框的手机中板
CN107484405B (zh) * 2017-09-27 2020-01-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电路板组件
KR102407592B1 (ko) * 2017-10-25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교체 가능한 센서를 장착하는 전자 장치
CN108304065B (zh) * 2018-01-19 2020-07-2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具有红外识别手势功能的智能腕带和红外检测传感器组件
KR102426510B1 (ko) * 2018-02-14 2022-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091611B1 (ko) * 2018-06-11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US11064098B2 (en) * 2018-06-15 2021-07-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module,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09068484B (zh) * 2018-10-25 2019-08-27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二研究所) 一种复杂界面湍流边界层脉动压力测试的传感器阵列
CN111133443B (zh) * 2018-12-13 2021-02-05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CN113065472B (zh) * 2018-12-13 2024-04-3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EP3699809A4 (en) 2018-12-29 2020-11-04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1464670B (zh) * 2019-01-21 2022-02-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696809B (zh) * 2019-03-14 2024-04-30 鸿富锦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侧键结构
US11522983B2 (en) 2019-12-03 2022-12-06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1784673B2 (en) 2020-09-16 2023-10-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having a radio-frequency transmissive component
US11769940B2 (en) 2021-09-09 2023-09-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integrated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921B1 (ko) * 2006-04-25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US20080088600A1 (en) * 2006-10-11 2008-04-17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ple push buttons in a user input device
KR101209073B1 (ko) * 2006-11-30 201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JP4694517B2 (ja) * 2007-02-26 2011-06-0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KR101549005B1 (ko) 2009-01-05 2015-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04761B1 (ko) 2010-01-22 2012-01-12 자화전자(주)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10113243A (ko) * 2010-04-09 2011-10-17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15959B1 (ko) 2010-12-14 2018-01-08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휴대용 단말기
KR101336709B1 (ko) 2011-10-25 2013-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후면 커버 터치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KR20130055322A (ko) 2011-11-18 201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케이스 제조 방법
KR101288871B1 (ko) * 2011-12-09 2013-07-23 이정환 전방위 카메라 렌즈
US9030440B2 (en) * 2012-05-18 2015-05-12 Apple Inc. Capacitive sensor packaging
KR102003283B1 (ko) 2012-06-29 2019-10-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40073245A (ko) *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후면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104A (ko) * 2017-02-02 2018-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7858A1 (en) 2015-11-25
US20150334859A1 (en) 2015-11-19
EP2947858B1 (en) 2018-02-07
US9629268B2 (en) 2017-04-18
CN105094225A (zh) 2015-11-25
CN105094225B (zh) 2019-10-01
CN204425433U (zh)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1262A (ko) 이동 단말기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2862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88658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60016153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50698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37463A (ko) 이동 단말기
KR102152168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133977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16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251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16559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1147A (ko) 이동 단말기
KR101570436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1355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48076A (ko) 이동 단말기
KR101592942B1 (ko) 이동단말기
KR20170078431A (ko) 이동 단말기
KR101562592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09280A (ko) 방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70111806A (ko) 이동 단말기
KR101635033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22972A (ko) 이동 단말기
KR101607974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