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640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640B1
KR102384640B1 KR1020150137120A KR20150137120A KR102384640B1 KR 102384640 B1 KR102384640 B1 KR 102384640B1 KR 1020150137120 A KR1020150137120 A KR 1020150137120A KR 20150137120 A KR20150137120 A KR 20150137120A KR 102384640 B1 KR102384640 B1 KR 102384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button
mobile terminal
c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463A (ko
Inventor
한경준
강성훈
김윤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7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640B1/ko
Priority to US15/053,897 priority patent/US10318783B2/en
Priority to EP16175690.3A priority patent/EP3147746B1/en
Priority to FR1656876A priority patent/FR3041849B1/fr
Priority to CN201610595062.0A priority patent/CN106559526B/zh
Publication of KR2017003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7Payment schemes or models characterised in that multiple accounts are available, e.g. to the p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7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using secure elements embedded in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2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in the same plane, e.g. auxiliary printed circuit insert mounted in a main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8Fingerprint track pad, i.e. fingerprint sensor used as pointing device tracking the fingertip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며, 제1 기능을 입력하는 제1 버튼부와 제2 기능을 입력하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부는 제2 버튼부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후면 입력부; 상기 후면 입력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버튼부에 외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리세스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버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버튼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버튼부에는 지문인식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지문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암호 설정 및 해제 방식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에 의해 물품 구매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신용카드 등에 의한 결제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경우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본인 인증을 위한 수단 중 하나로, 숫자 및/또는 문자를 포함하는 암호에 의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경우에는 본인 이외의 타 사용자에 의해서도 간단히 본인임을 인증받을 수 있어 결제시 본인 인증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문인식 센서를 단말기의 후면에 구비하는 경우 후면 입력부를 작동시키는 연성회로기판과 지문인식 센서를 작동시키는 연성회로기판이 중복되어 사용되므로,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지문인식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며, 제1 기능을 입력하는 제1 버튼부와 제2 기능을 입력하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부는 제2 버튼부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후면 입력부; 상기 후면 입력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버튼부에 외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리세스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버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버튼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버튼부에는 지문인식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버튼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제어하는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과 이격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를 가압시 상기 제1 및 제2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 돔 스위치가 형성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그루브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와 대응되는 지점들을 구획하도록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며,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후면 입력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데코부재; 상기 데코부재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데코부재의 내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데코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데코부재의 테두리에는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가이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시에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탄성을 갖는 러버(rubb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데코부재 및 제2 버튼부에는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이 통과하는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며, 제1 기능을 입력하는 제1 버튼부와 제2 기능을 입력하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부는 제2 버튼부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후면 입력부; 상기 후면 입력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를 가압시 상기 제1 및 제2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돔 스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돔 스위치가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 돔 스위치가 형성되는 제1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제2 돔 스위치가 형성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버튼부는 지문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내측에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은 분리 형성되고, 상기 제1 돔 스위치는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돔 스위치는 상기 제2 버튼부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돔 스위치가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에는 제1 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에는 제2 커넥터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는 메인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측에는 메인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제1 및 제2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부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지문인식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후면 입력부; 및 상기 지문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된 지문이 기설정된 지문에 해당하는 경우 지문에 의한 인증 절차 이후의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버튼부는 상부 버튼과 하부 버튼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버튼부는 상기 상부 버튼과 하부 버튼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버튼에 의한 업/다운(up/down) 패턴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 입력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대기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1 버튼부를 가압하여 지문에 의한 인증이 확인되면 콘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2 버튼부를 스크롤(scroll)하면 특정 콘텐츠가 확대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1 버튼부를 가압시에 확대된 콘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의 리스트가 결제 관련 리스트인 경우, 상기 결제 관련 리스트는 결제할 신용 카드, 적립 카드, 쿠폰을 포함하는 결제 수단 및 결제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버튼부에 의해 결제 수단이 선택되고, 제2 버튼부에 의해 결제 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제 방법은 2개월 이상의 기간을 갖는 할부 또는 일시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후면 입력부에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배치함으로써, 후면 입력부 특히, 제1 버튼부를 1회 가압함으로써 지문 인식 기능과 다른 제1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지문인식을 위한 회로기판과 후면 입력부에 의한 제어명령을 위한 회로기판을 개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후면 입력부에 의한 입력 기능과 지문인식 기능이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후면 입력부 중 제1 버튼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금속 재질의 지지부재를 적용함으로써 강성을 향상시켜 강한 힘으로 누르거나 반복적인 하중이 작용하여도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지문인식 센서에 의해 암호 설정 및 결제시에 본인 인증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후면 입력부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 및 지문인식을 위한 회로기판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를 슬림(slim)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이동 단말기의 후면에 배치하여 지문인식을 위한 별도의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지 않은 채 직접 지문인식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c의 VV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c의 VV를 따라서 취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케이스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에 의해 후면 입력부가 덮여진 상태의 리어 케이스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후면 입력부를 포함하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b는 데코부재가 추가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제1 연성회로기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잠금 해제에 의해 콘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직접 진입하도록 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암호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금융 관련 결제시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도 1c의 VV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c의 VV를 따라서 취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즉, 도 2 및 도 3은 지문인식 센서(131)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단면도 및 사시도로, 특히, 후면 입력부(130)를 중심으로 절단한 도면이고, 도 4는 지문인식 센서(131)를 중심으로 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것이나, 후술하는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도 특별히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후면 입력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입력부(130)는,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21b)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음향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후면 입력부(130)의 일 영역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 입력부(130)에는 지문인식 센서(131,finger scan sensor)가 구비되어, 상기 일 영역을 터치 또는 푸시하는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문인식 센서(131)는 디스플레이부(151)나 후면 입력부(130)에 내장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지문인식 센서(131)가 후면 입력부(130) 특히, 제1 버튼부(13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내부에 제1 관통홀(102a)이 형성되고, 단말기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케이스(102)와, 상기 케이스(102)의 내측에 구비되는 후면 입력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130)에는 지문인식 센서(131)가 포함된다. 상기 후면 입력부(130)는 제1 버튼부(131)와 제2 버튼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버튼부(131)는 제2 버튼부(132)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케이스(102)는 리어 케이스(102) 또는 후면 커버(103)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케이스는 리어 케이스(102)인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케이스(102)는 최외곽에 노출되는 후면 커버(103)일 수도 있다.
도 4에는 카메라 모듈(121b)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특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와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102)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관통홀(102a)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내부에 제2 관통홀(133a)이 형성되는 데코부재(133,decoration member)가 구비되는데, 상기 데코부재(133)에 다른 부품들이 수용된다. 상기 데코부재(133)는 카메라 모듈(121b) 및 후면 입력부(130)가 구비되는 제1 관통홀(102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홀(102a)을 통하여 상기 데코부재(133)의 일부가 노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케이스(102)에 걸림되어 상기 데코부재(133)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데코부재(133)의 테두리에는 베이스부(133d)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과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2 버튼부(132)에서도 동일하다. 즉, 상기 제2 버튼부(132)의 테두리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과 다른 부분에 베이스부(132d)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32d)가 상기 데코부재(133)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133a)에 걸림되도록 한다.
상기 후면 입력부(130)는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2 버튼부(132)는 상기 데코부재(133)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데코부재(133)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133a)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며, 제2 기능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한다. 이때, 상기 제2 버튼부(132)에는 내부에 제3 관통홀(132a)이 형성되어 제1 버튼부(132)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버튼부(131)는 상기 제2 버튼부(132)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3 관통홀(132a)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며 제1 기능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예로, 상기 제1 기능은 전원의 온오프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와 관련된 기능이 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파워키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정보에 대한 스크롤이나 상기 단말기 본체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크기 조절과 관련된 기능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코부재(133)를 포함하였으나, 상기 데코부재(133)는 후면 입력부(130)가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버튼부(131)가 제2 버튼부(132)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134)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134)는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버튼부(132)에 외측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부(132b)에 수용되며, 러버(rubber)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34)는 러버 이외에 폴리우레탄과 같은 완충 작용이 가능한 부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리세스부(132b)는 일종의 수용홈이다.
상기 고정부재(134)는 상기 제1 버튼부(131)가 상기 리세스부(132b)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를 가압시에 외력을 돔 스위치(135a,135b)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34)의 내측에는 상기 제1 버튼부(131)와 제2 버튼부(132)를 가압시에 제1 기능과 제2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돔 스위치(135a,135b,dome switch)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버튼부(131)의 배면에는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제어하는 제1 연성회로기판(13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를 가압시 상기 제1 및 제2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 돔 스위치(135a,135b)는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131a)과 이격되고 상기 고정부재(134)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135)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131a,135)이 분리 형성되며, 제1 및 제2 돔 스위치(135a,135b)는 동일한 연성회로기판(135)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돔 스위치(135a,135b)는 돔 형상의 스위치로,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135)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버튼부(131)는 지문인식 센서(131)일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 센서(131)는 지문을 스캔(scan)하여 저장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하는 방식과, 초소형 카메라에 의해 지문을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하는 방식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지문인식의 방식 및 센서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인데,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문인식 센서(131)는 제1 연성회로기판(131a)에 의해 메인 회로기판(18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131a)은 상기 고정부재(134)의 일측에 형성된 그루브(134b)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131a)의 단부에는 제1 커넥터(131b)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넥터(131b)에 인접한 영역에는 상기 제1 커넥터(131b)와 지문인식 센서(131)를 연결하는 연결부(131c)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31c)는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131a)의 일부 영역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34)는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와 대응되는 지점들을 구획하도록 관통되는 한 쌍의 슬릿(134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버튼부(132)는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데, 이를 위하여 내측에는 외부를 향하여 리세스(recessed)되는 리세스부(132b)가 형성된다. 상기 슬릿(134a)은 상기 고정부재(134)에 형성되는 관통홀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의 영역을 구획할 수 있으면 형상은 문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슬릿(134a)을 직선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정부재(134) 중 제2 버튼부(132)와 접촉되는 영역을 향하여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버튼부(131) 또는 제2 버튼부(132)를 가압시에 항상 상기 고정부재(134)가 눌려지게 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에 대응되는 영역이 하나의 고정부재(134)에 동시에 형성되므로, 제1 버튼부(131) 또는 제2 버튼부(132)만을 가압시에도 누르지 않은 버튼부가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릿(134a)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돔 스위치(135a,135b)와 고정부재(134) 사이에는 절연부재(139)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돔 스위치(135a,135b)는 상기 고정부재(134)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부(132b)에는 상기 제1 버튼부(131),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131a)의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131a)은 제1 커넥터(131b)에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131a)은 지문인식 센서(131)와 접촉된 부분에서부터 상기 연결부(131c)에 의해 일측을 향하여 연장되므로, 상기 제1 버튼부(131) 또는 제2 버튼부(132)를 가압하는 경우, 불균일하게 가압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튼부(131)를 가압시에 연결부(131c)는 우측을 향하여 형성되므로, 제1 연성회로기판(131a)의 좌측 영역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반면, 제1 연성회로기판(131a)의 우측 영역은 좌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1 버튼부(131)를 가압시에 제1 버튼부(131)가 한쪽으로 치우칠 수 있게 된다. 지문인식 센서(131)를 가압시에 좌우 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131a)의 연결부(131c) 중 지문인식 센서(131)에 근접한 일부 영역에 도피 영역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도피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 버튼부(132) 가압시에 좌우측으로 균일하게 눌려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도피 영역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2 버튼부(132), 고정부재(134), 데코부재(133)에는 그루브(134b,133c,13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131c)가 상기 데코부재(133) 및 고정부재(134)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134) 및 데코부재(133)의 일측에는 그루브(134b,133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135)의 단부에는 제2 커넥터(135c)가 구비되어 메인 회로기판(181)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커넥터(131b)와 제2 커넥터(135c)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넥터(131b) 또는 제2 커넥터(135c) 중 어느 하나만 메인 회로기판(181)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131a)과 제2 연성회로기판(135)이 분리 형성됨으로써 지문인식 센서(131)에 의한 지문인식과 제1 버튼부(131)를 가압함에 따른 제1 기능의 수행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문인식 센서(131)가 최외곽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어서 사용자의 지문이 접촉되는데, 항시 지문인식이 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문인식 센서(131)는 일반 모드에서는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며, 지문인식 모드에서만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게 된다. 이동 단말기(100)의 내에서 지문인식 모드로 설정하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때 자동으로 지문인식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을 위한 제1 연성회로기판(131a)과 제1 기능을 위한 제2 연성회로기판(135)이 분리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때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연성회로기판(131a)과 제2 연성회로기판(135)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문인식을 위한 연성회로기판(131a)과 제1 및 제2 기능을 위한 연성회로기판(135)은 분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데코부재(133)의 내측에는 상기 케이스(102)에 의해 상기 데코부재(133)의 내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137)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지지부재(137)는 상기 케이스(10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보강판의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137)에 의해 후면 입력부(130)가 덮여진 상태의 리어 케이스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과 함께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데코부재(133)에는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 고정부재(134) 및 제1 연성회로기판(131a)이 수용되고, 상기 지지부재(137)가 이들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37)는 접착테이프(138,138a,138b,도 4 참조)에 의해 상기 데코부재(133)에 부착되고, 상기 데코부재(133)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조립용 가이드(133b)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37)에는 상기 가이드(133b)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시에 상기 가이드(133b)가 삽입되는 가이드홀(137a)이 형성된다. 다만, 상기 가이드(133b)는 반드시 데코부재(133)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고정부재(134) 또는 제1 버튼부(131)의 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133b)와 가이드홀(137a)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37)의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접착테이프(138a,138b)는 상기 가이드(133b)의 위치를 고려하여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가이드(133b)에 의해 걸림되는 부분에는 보다 짧은 접착테이프(138a)가 형성되고, 가이드(133b)의 형성 간격이 보다 큰 경우에는 보다 긴 접착테이프(138b)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135)은 상기 고정부재(134)를 덮도록 형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134) 또는 제2 버튼부(132)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136)가 구비된다. 상기 접착부재(136)가 부착된 이후에 상기 지지부재(137)가 상기 데코부재(133)에 결합된다. 상기 접착테이프(138) 및 접착부재(136)는 양면테이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37)는 케이스(10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된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B 및 C 의 확대도인데,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2)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후크(102c)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102c)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37)가 상기 데코부재(133)를 지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후크(102c)에 걸림되어 상기 지지부재(137)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를 가압시에도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137)를 금속(SUS) 재질로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를 보다 견고히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137)의 내측에 금속 재질의 실드캔(162)(shield can)이 구비되며, 상기 실드캔(162)은 전자파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줄이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후크(102c)는 상기 지지부재(137)가 이루는 평면 보다 내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137)는 상기 후크(102c) 보다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도 상기 지지부재(137)에는 상기 연결부(131c)가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압하지 않도록 그루브(137b)가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137b)는 지지부재(137)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홈 형상이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돔 스위치(135a,135b)가 형성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135)이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하에서는 이와는 달리, 상기 제1 및 제2 돔 스위치(135a,135b)가 각각 다른 연성회로기판에 형성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를 제2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후면 입력부를 포함하는 절개사시도이고, 도 11a는 도 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b는 데코부재가 추가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앞선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내부에 제1 관통홀(102a)이 형성되고, 단말기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케이스(102)와, 상기 케이스(102)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관통홀(102a)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내부에 제2 관통홀(233a)이 형성되는 데코부재(233)와, 상기 제2 관통홀(233a)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내부에 제3 관통홀(232a)을 구비하며 제2 기능을 입력하는 제2 버튼부(232)와, 상기 제2 버튼부(232)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3 관통홀(232a)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며, 제1 기능을 입력하는 제1 버튼부(23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231,232)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231,232)를 가압시에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231,232)를 작동시키는 제1 및 제2 돔 스위치(235a,245a)와, 상기 제1 및 제2 돔 스위치(235a,245a)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235,24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도 상기 데코부재(233)는 제1 및 제2 버튼부(231,232)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적인 기능을 할 뿐이어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도 상기 데코부재(233)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즉, 도 11a에서와 같이 데코부재(233)가 생략될 수도 있고, 도 11b에서와 같이 데코부재(233)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돔 스위치(235a,245a)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235,235)은 상기 지문인식 센서(231)에 연결되는 제1 돔 스위치(235a)가 형성되는 제1 연성회로기판(235)과, 상기 제2 버튼부(232)에 연결되는 제2 돔 스위치(245a)가 형성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245)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235)은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245)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245)와 동일 평면 또는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235)은 대략 'T' 형상이고,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235)은 대략 'C'형상을 갖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제1 연성회로기판(235)의 배면 사시도인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235)는 대략 'T'형상인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쌍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 돔 스위치(245a)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사이를 상기 제1 돔 스위치(235a)가 배치된다. 제1 커넥터(235b)는 제1 돔 스위치(235a)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제1 돔 스위치(235a)가 형성된 부분만 상기 제2 돔 스위치(245a)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제2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버튼부(231)는 지문인식 센서(23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235,245)의 내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235,245)을 지지하는 고정부재(237)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235,245)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1 및 도 12에서는 분리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고, 도 13에서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235,245)이 분리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235)에는 제1 커넥터(235b)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245)에는 제2 커넥터(245b)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245a,245b)는 메인 회로기판(18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돔 스위치(235a,245a)는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으며, 일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돔 스위치(235a)는 상기 고정부재(237)를 향하여 돌출되고, 제2 돔 스위치(245a)는 제2 버튼부(232)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도 상기 지문인식 센서(231)가 구비되는 제1 연성회로기판(235)과 제2 돔 스위치(245a)가 형성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245)은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버튼부(231)를 가압하여 상기 지문인식 센서(231)가 함께 가압되더라도 항상 지문인식 센서(231)가 작동되는 것은 아니고, 지문인식 모드에서 제1 버튼부(231)를 가압하는 경우에만 지문이 인식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돔 스위치(235a,245a)의 형성 방향을 서로 동일 또는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는데 만약, 제1 및 제2 돔 스위치(235a,245a)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235)과 제2 연성회로기판(245)이 분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235,245)이 분리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돔 스위치(235a)는 상기 지문인식 센서(231)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245)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245)은 대략 'C' 형상이고, 양 단에 제2 돔 스위치(245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235,245)는 연성회로기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돔 스위치(235a,245a)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고, 일예로 상기 고정부재(237)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른 예로서 도 11 및 도 12에서 분리 형성되었던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235,245)을 하나의 연성회로기판(255)로 형성한 점에서 다를 뿐 다른 구성은 도 11 및 도 12에서와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서는 제1 돔 스위치(235a)가 제1 연성회로기판(235)에 형성되고, 제2 돔 스위치(245a)가 제2 연성회로기판(245)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235,245)은 서로 분리 형성된다. 도 13에서는 제1 돔 스위치(255a) 및 제2 돔 스위치(255b)가 단일의 연성회로기판(255)상에 형성되며, 형성 방향 또한 제1 및 제2 돔 스위치(255a,255b)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나의 연성회로기판(255)에 제1 및 제2 돔 스위치(255a,255b)를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재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도 13에서는 고정부재(133)이 생략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하나의 커넥터(255c)가 메인 회로기판(181)과 연결되어 연결 부품의 개수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이때도 상기 제1 돔 스위치(255a)의 배면에는 지문인식 센서(231)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문인식 센서(231)에 의해 지문인식이 가능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해제 또는 카드 결제 등과 같이 본인임을 인증해야 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를 제3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지문인식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모두 적용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231,2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부(131,231)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지문인식 센서(131,231)를 구비하는 후면 입력부(130,230)와, 상기 지문인식 센서(131,231)에서 감지된 지문이 기설정된 지문에 해당하는 경우 지문에 의한 인증 절차 이후의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180,도 1a 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 실시예에서의 이동 단말기(10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후면 입력부(130,230)를 통하여 화면이 대기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해제되는 경우에도 잠금 상태 해제를 위한 별도의 입력이 요구됨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여전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후면 입력부(130) 및 지문인식 센서(131)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화면의 잠금 상태 해제 및 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화면의 잠금 상태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의해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입력이 없는 경우에 제1화면에서 제2화면으로 전환된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잠금 상태 해제는 사용자가 기설정한 해제 입력에 의해서 상기 제2화면이 상기 제1화면으로 다시 전환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해제 입력은 기저장된 패턴과의 일치 여부에 따른 패턴 해제 입력,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구획된 영역의 터치 일치 여부에 따른 노크 해제 입력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인식 일치 여부에 따른 얼굴 인식 해제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화면의 비활성화 상태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의해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입력이 없는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화면 활성화를 위한 복귀 입력 이전까지는 상기 화면이 꺼짐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복귀 입력은 이동 단말기(100)의 홈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터치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상기 복귀 입력에 의해서 상기 화면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만, 상기 해제 입력 이전까지는 여전히 상기 제2화면을 유지한다.
상기 지문인식 센서(131)에 의해 잠금 해제를 하는 경우에는 기설정된 다양한 잠금 설정 방식, 예를 들면, 패턴 입력에 의한 해제, 노크에 의한 해제 및 사용자의 얼굴 인식에 의한 해제 입력 중 하나 이상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문인식에 의한 암호 해제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제2 버튼부(132)를 이용하여 업/다운(up/down) 패턴을 추가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지문 입력에 의해 암호가 해제되도록 설정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지문인식에 의해 일단 본인임이 인증되었어도, 2차적으로 업/다운 패턴을 입력해야 암호가 해제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암호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데, 도 15의 (a)에서와 같이 지문인식 센서(131)에 의해 지문을 입력하면, 기설정된 지문과 동일한 경우 지문인식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이후에 도 15의 (b)에서와 같이, 업/다운/다운(up/down/down)과 같이 3회의 입력으로 설정하거나, 다운/업/다운/다운(down/up/down/down)과 같이 4회의 입력으로 패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업/다운 패턴은 제2 버튼부(132)의 상부 버튼(1321) 및/또는 하부 버튼(1322)을 가압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5의 (c)에서와 같이, 기설정된 업/다운 패턴이 입력되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의 개수는 사용자가 임의의 개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대기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1 버튼부(131)를 가압하여 지문에 의한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단말기 내의 콘텐츠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하고, 제2 버튼부(132)를 가압하여 스크롤(scroll)함으로써 표시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이후 제1 버튼부(131)를 가압함으로써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스크롤에 의해 순차적으로 콘텐츠들이 확대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잠금 해제에 의해 콘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직접 진입하도록 하는 경우의 예시도인데,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지문인식 센서(131)를 가압하면, 지문인식에 의한 인증 절차를 완료하게 되어, 도 14의 (b)에서와 같이 다양한 콘텐츠(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가 표시되고, 도 14의 (c)에서와 같이, 제2 버튼부(132)의 상부 버튼(1321) 또는 하부 버튼(1322)을 가압함으로써 작동시키고자 하는 콘텐츠를 검색한 다음, 다시 제1 버튼부(131)를 가압함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14의 (d)에서 상부 도면은 기본 화면 상태로 진입한 것을 예시한 것이고, 하부 도면은 카메라 모드로 진입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즐겨찾는 모드로 직접 진입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부(180)에 의해 미리 원하는 화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잠금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버튼부(131)를 터치한 경우에는 지문인식 기능이 작동하지 않고, 일정 이상의 힘으로 제1 버튼부(131)를 가압한 경우에 지문인식 기능이 작동되도록 한다. 다만, 활성화 상태, 잠금 해제를 위한 지문 입력 요청 상태 또는 본인 인증을 위해 지문 입력을 요청하는 상태에서는 제어부(180)에 의해 자동으로 지문인식 모드로 작동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시에 자동으로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금융 관련 결제시의 예시도로,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금융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에 결제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문인식 센서(131)에 지문을 입력(도 16의 (a)참조)하면, 사용 가능한 결제 관련 리스트가 표시(도 16의 (b)참조)된다. 이때, 상기 결제 관련 리스트는 결제할 신용 카드, 적립 카드, 쿠폰을 포함하는 결제 수단 및 결제 방법일 수 있다.
이후, 제2 버튼부(132)의 상부 버튼(1321) 및 하부 버튼(1322)을 이용하여 상하로 카드 리스트를 이동시켜 특정 카드가 표시(도 16의 (c)참조)되면, 제1 버튼부(131)를 가압하여 특정 카드가 선택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16의 (a)의 N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2 버튼부(132)에 의해 N카드를 찾아 이를 선택한다. 카드가 선택되면 결제 내용과 관련된 사항이 표시(도 16의 (e) 참조)된다.
이후에, 결제 방식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제2 버튼부(132)를 가압하여 일시불 또는 할부 개월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콘텐츠(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가 결제 카드 리스트인 경우, 상기 제2 버튼부(132)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카드의 결제 방식을 다시 제1 및 제2 버튼부(131,132)를 이용하여 스크롤 및 선택하여 특정 카드에 의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방식은 2개월 이상의 기간을 갖는 할부 또는 일시불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2)

  1. 단말기 본체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며, 제1 기능을 입력하는 제1 버튼부와 제2 기능을 입력하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부는 제2 버튼부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후면 입력부;
    상기 후면 입력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버튼부에 외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리세스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버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버튼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버튼부에는 지문인식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버튼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제어하는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과 이격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를 가압시 상기 제1 및 제2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 돔 스위치가 형성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그루브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와 대응되는 지점들을 구획하도록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며,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후면 입력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데코부재;
    상기 데코부재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데코부재의 내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데코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의 테두리에는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가이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시에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탄성을 갖는 러버(rub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 및 제2 버튼부에는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이 통과하는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단말기 본체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며, 제1 기능을 입력하는 제1 버튼부와 제2 기능을 입력하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부는 제2 버튼부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후면 입력부;
    상기 후면 입력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를 가압시 상기 제1 및 제2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돔 스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돔 스위치가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 돔 스위치가 형성되는 제1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제2 돔 스위치가 형성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내측에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지지할 수 있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과 제2 연성회로기판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돔 스위치는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돔 스위치는 상기 제2 버튼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부는 지문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50137120A 2015-09-25 2015-09-25 이동 단말기 KR102384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120A KR102384640B1 (ko) 2015-09-25 2015-09-25 이동 단말기
US15/053,897 US10318783B2 (en) 2015-09-25 2016-02-25 Mobile terminal
EP16175690.3A EP3147746B1 (en) 2015-09-25 2016-06-22 Mobile terminal
FR1656876A FR3041849B1 (fr) 2015-09-25 2016-07-19 Terminal mobile
CN201610595062.0A CN106559526B (zh) 2015-09-25 2016-07-26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120A KR102384640B1 (ko) 2015-09-25 2015-09-25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463A KR20170037463A (ko) 2017-04-04
KR102384640B1 true KR102384640B1 (ko) 2022-04-08

Family

ID=5629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120A KR102384640B1 (ko) 2015-09-25 2015-09-25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18783B2 (ko)
EP (1) EP3147746B1 (ko)
KR (1) KR102384640B1 (ko)
CN (1) CN106559526B (ko)
FR (1) FR3041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1759A (zh) * 2016-07-26 2018-02-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壳体组件、显示组件及其装配方法
EP3285463B1 (en) * 2016-08-16 2018-11-1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nput assembly and terminal
US11419231B1 (en) * 2016-09-22 2022-08-16 Apple Inc. Forming glass covers for electronic devices
US11535551B2 (en) 2016-09-23 2022-12-27 Apple Inc. Thermoformed cover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800141B2 (en) 2016-09-23 2020-10-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glass component with crack hindering internal stress regions
US11565506B2 (en) 2016-09-23 2023-01-31 Apple Inc. Thermoformed cover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US9853675B1 (en) * 2016-11-14 2017-12-26 Ying Hai Chen Multisensory phone case
CN109587293A (zh) * 2017-09-28 2019-04-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066322B2 (en) 2017-12-01 2021-07-20 Apple Inc. Selectively heat-treated glass-ceramic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420900B2 (en) 2018-09-26 2022-08-23 Apple Inc. Localized control of bulk material properties
WO2020105767A1 (ko) * 2018-11-23 2020-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US11680010B2 (en) 2019-07-09 2023-06-20 Apple Inc. Evaluation of transparent components for electronic devices
CN112771837B (zh) * 2019-09-03 2023-09-15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
US11460892B2 (en) 2020-03-28 2022-10-04 Apple Inc. Glass cover member for a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CN113453458B (zh) 2020-03-28 2023-01-31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壳体的玻璃覆盖构件
US11666273B2 (en) 2020-05-20 2023-06-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nclosure including a glass ceramic region
WO2022140541A1 (en) 2020-12-23 2022-06-30 Apple Inc. Laser-based cutting of transparent components for an electronic device
CN115397167B (zh) * 2022-10-25 2023-03-10 荣耀终端有限公司 后盖组件和移动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9789A1 (en) * 2012-09-10 2014-03-13 Apple Inc. Cylindrical activation of menu buttons
KR101398141B1 (ko) * 2013-02-08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204425433U (zh) * 2014-10-11 2015-06-24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6462B2 (en) 2008-09-30 2015-05-05 Apple Inc. Portable point of purchase user interfaces
TWM370214U (en) * 2009-07-27 2009-12-01 Quanta Comp Inc Push-push type latch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13070271A (ja) * 2011-09-22 2013-04-18 Fujitsu Ltd 電子機器
US11284251B2 (en) 2012-06-11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70659B2 (en) 2013-05-23 2015-10-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1368804B1 (ko) 2013-06-26 2014-03-03 (주)드림텍 데코 부품의 단차 구조가 적용된 지문인식 홈키 제조방법 및 그 지문인식 홈키 구조
EP3026820B1 (en) 2013-07-22 2019-04-2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EP4243428A3 (en) 2014-03-21 2023-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9789A1 (en) * 2012-09-10 2014-03-13 Apple Inc. Cylindrical activation of menu buttons
KR101398141B1 (ko) * 2013-02-08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204425433U (zh) * 2014-10-11 2015-06-24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91514A1 (en) 2017-03-30
EP3147746A1 (en) 2017-03-29
CN106559526B (zh) 2021-02-26
FR3041849A1 (ko) 2017-03-31
CN106559526A (zh) 2017-04-05
US10318783B2 (en) 2019-06-11
EP3147746B1 (en) 2018-05-09
FR3041849B1 (fr) 2022-09-16
KR20170037463A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640B1 (ko) 이동 단말기
US9729688B2 (en) Mobile terminal
KR10169809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45191B1 (ko) 이동 단말기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KR102205281B1 (ko) 이동 단말기
KR102379913B1 (ko) 전자장치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4235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9916A (ko) 이동 단말기
KR102406843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16412A (ko) 폴리오 케이스,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151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70083907A (ko) 이동 단말기
KR101808626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222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907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30661B1 (ko) 이동 단말기
KR102192820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34484A (ko) 이동단말기 및 전자디바이스
KR2016000454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3406A (ko) 이동 단말기
KR102159593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6182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용 윈도우 제조 방법
KR10158547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