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226A - Organic light emi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226A
KR20160070226A KR1020140175704A KR20140175704A KR20160070226A KR 20160070226 A KR20160070226 A KR 20160070226A KR 1020140175704 A KR1020140175704 A KR 1020140175704A KR 20140175704 A KR20140175704 A KR 20140175704A KR 20160070226 A KR20160070226 A KR 20160070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substrate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7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4584B1 (en
Inventor
송나영
박정범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584B1/en
Publication of KR20160070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2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5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4Parallel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multiple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a first adhesive layer having a first modulus value is bonded to a second adhesive layer having a second modulus valu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two adhesive layer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iles up or coats the two adhesive layers with different modulus values on each substrate, it can completely fill the stepped pulley formed on the substrate. In addition, even if external force is applied, stress is dispersed and relieved due to a difference between the modulus values of the adhesive layers, and the adhesive layers are not delaminated from the substrat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substances such as moisture and oxygen from penetrating into and degrading the device.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 사이의 합착 성능이 개선된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improved adhesion between substrat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가 적용된 표시 장치는 다른 표시 소자가 적용된 표시 장치에 비하여 응답 속도가 빠르고 전력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명암 대비(contrast ratio)가 크고, 시야각의 제한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저온에서도 안정적이고, 낮은 전압에서도 구동하기 때문에 구동 회로의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별도의 광원이 요구되지 않는 자체 발광 타입이므로 박형화에 유리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A display device to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applied has a higher response speed and a lower power consumption than a display device to which other display devices are applied. Furth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design a driving circuit because it has a large contrast ratio, is not limited in viewing angle, is stable even at a low temperature, and is driven at a low voltage. In addition, since it is a self-luminescent type in which a separate light source is not required,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thinner.

하지만,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표시 소자인 OLED를 구성하는 유기 소재 및 금속 전극은 수분이나 산소 등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이들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유기 소재나 금속 전극이 열화(degradation)되고 이로 인하여 화소(pixel)의 변형(shrinkage)이나 dark spot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수분이나 산소 등을 차단할 수 있는 봉지 기술이 요구된다.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합착할 때, 이들 기판 사이에 접착 필름을 적층(lamination)하는 방법이나 스크린 인쇄를 통하여 열경화 수지를 이들 기판 사이에 채우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However, the organic material and the metal electrode constituting the OLED which is a display eleme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re very vulnerable to moisture, oxygen, and the like. Therefore, the organic material or the metal electrode is degraded due to thes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as a result, defects such as shrinkage of a pixel or dark spot are likely to occur, so that a bag capable of blocking moisture and oxygen Technology is required. A method of laminating an adhesive film between these substrates when a lower substrate and an upper substrate are attached to each other or a method of filling a thermosetting resin between these substrates through screen printing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유기발광표시장치(1)에서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20)을 접착 필름(30)을 이용하여 합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1)는 OLED(12)와 같은 패턴이 형성된 하부 기판(10)과, 하부 기판(10)과 대향되어 있으며 하부 기판(10)과 마주하는 면에 컬러필터층(22)과 같은 패턴이 형성된 상부 기판(20)을 포함한다. FIG. 1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of bonding a lower substrate 10 and an upper substrate 20 together using an adhesive film 30 in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1. The OLED display 1 includes a lower substrate 10 on which a pattern such as the OLED 12 is formed and a color filter layer 22 on the surface facing the lower substrate 10, And an upper substrate 20 on which a pattern is formed.

도 1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종래 접착 필름(30)을 적층하여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20)을 합착하는 방식의 경우, 예를 들어 상부 기판(20) 중 하부 기판(10)과 마주하는 면에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Resin, PSA)와 같은 접착 필름(30)을 적층하여 상부 기판(20)에 접착 필름(30)을 부착한다. 이어서, 상부 기판(20)에 부착된 접착 필름(30)을 하부 기판(10) 중 OLED 소자(12)가 형성된 전면에 접근시켜, 접착 필름(30)을 통하여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20)을 합착한다. 상부 기판(20)에 부착된 접착 필름(30)은 하부 기판(20) 쪽을 향하는 압력을 받으면서 접촉한다. 따라서,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20)을 합착할 때, 접착 필름(30)은 하부 기판(10)을 가압하면서 하부 기판(30)의 전면으로 퍼져 나간다.
1 (a), when a conventional adhesive film 30 is laminated and the lower substrate 10 and the upper substrate 20 are attached to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upper substrate 20, An adhesive film 30 such as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20 to which the adhesive film 30 is adhered. The adhesive film 30 attached to the upper substrate 20 is moved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0 where the OLED elements 12 are formed and the lower substrate 10 and the upper substrate 20). The adhesive film 30 attached to the upper substrate 20 comes into contact while being subjected to a pressure toward the lower substrate 20. Therefore, when the lower substrate 10 and the upper substrate 20 are attached to each other, the adhesive film 30 spread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30 while pressing the lower substrate 10.

그런데, 하부 기판(10)에 형성되는 OLED 소자(12)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영역과 비교해서 상부 기판(20)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 기판(20)과 마주하는 하부 기판(10)의 전면 영역 중에서도 특히 패턴이 형성된 OLED 소자(12)에 인접한 주변 영역으로는 접착 필름(30)이 채워지지 못하게 된다(Not filling). Since the OLED elements 12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0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they protrude toward the upper substrate 20 as compared with other regions. 1 (b), among the front regions of the lower substrate 10 facing the upper substrate 20, the peripheral region adjacent to the OLED element 12 i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is the adhesive film 30 Will not be filled.

다시 말하면, 하부 기판(10)에 형성된 패턴으로 인하여, 상부 기판(20)과 마주하는 하부 기판(10)의 전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감압 접착제와 같은 접착 필름(30)을 상부 기판(20)에 적층하고, 이어서 하부 기판(10)에 부착하는 종래의 합착 방식에서는 하부 기판(10)에 형성된 단차를 완전히 메울 수 없다. 또한 박형화가 추구되고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20) 사이의 패널 갭이 점차 감소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접착 필름(30)의 두께 역시 감소한다. 접착 필름(30)을 이용한 적층 방식에서는 추가적인 경화 공정이 없기 때문에, 접착 필름(30)의 두께가 감소하게 되면, 기판(10, 20)을 합착하기 위한 접착 필름(30)의 접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In other words, a step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0 facing the upper substrate 20 due to the pattern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0.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joining method in which the adhesive film 30 such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laminated on the upper substrate 20 and then attached to the lower substrate 10, the step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0 can not be completely filled. Furthe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inning is sought, the panel gap between the lower substrate 10 and the upper substrate 20 needs to be gradually reduced, and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30 also decreases. In the lamination method using the adhesive film 30, since there is no additional curing step, i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30 is reduced,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film 30 for adhering the substrates 10 and 20 may decrease .

한편, 스크린 인쇄 방식에서는 감압 수지(Pressure Sensitive Resin, PSR)와 같은 접착 수지를 상부 기판(20)에 스크린 인쇄 등의 방법으로 코팅한 뒤, 하부 기판(10)에 부착한다. 이어서, UV나 열 경화 공정을 이용하여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20)을 견고하게 합착한다. 그런데,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20) 사이의 패널 갭을 메우기 위하여 매우 얇은 두께로 접착제를 균일하게 코팅하는 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creen printing method, an adhesive resin such as a pressure sensitive resin (PSR) is coated on the upper substrate 20 by a method such as screen printing and then attached to the lower substrate 10. Subsequently, the lower substrate 10 and the upper substrate 20 are firmly attached to each other using a UV or thermal curing process. However, it is not easy to uniformly coat the adhesive with a very thin thickness in order to fill the panel gap between the lower substrate 10 and the upper substrate 20.

또한,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20)을 합착할 때 이들 기판에서의 정렬(align)이 틀어지게 되어 합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합착에 있어서도 하부 기판(10)에 형성된 단차를 완전히 채우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접착 필름(30)을 하부 기판(10)에 형성하고 상하 기판(10, 20)을 합착하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In addition, when the lower substrate 10 and the upper substrate 20 are attached to each other, the substrates may be misaligned, resulting in poor adhes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ep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0 can not be completely filled in the adhesion by screen printing. This problem also occurs when the adhesive film 30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0 and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10 and 20 are attached together.

즉, 종래 방식에 따라 상하 기판(10, 20)을 합착하는 경우, 상하 기판(10, 20) 사이에 접착 필름(30)이 채워지지 못하는 공간이 초래되는데, 이 공간의 접착력이 취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력이 유기발광표시장치(1)에 작용하는 경우, 접착 필름(30)이 채워지지 않아 접착력이 취약한 영역, 예를 들어 하부 기판(10) 중에서 OLED 소자(12)에 인접한 영역에서 접착 필름(30)이 하부 기판(10)으로부터 박리(delamination)되고, 이 과정에서 크랙(crack)이 발생한다. 박리된 영역을 통하여 수분이나 발생한 크랙이 인접한 OLED 소자(12) 내부로 침투하여 OLED 소자(12)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특히 yellow mura와 같은 고질적인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10 and 20 are attached togeth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10 and 20 can not be filled with the adhesive film 30, . 2,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 the adhesive film 30 is not filled, and the OLED element (for example, 12, the adhesive film 30 is delaminated from the lower substrate 10, and cracks are generated in the process. Moisture or cracks generated through the peeled region may penetrate into the adjacent OLED element 12, which may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OLED element 12, and may cause a poor defect such as yellow mura.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을 합착할 때, 접착층과 유기발광소자 및/또는 컬러필터층을 갖는 기판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 or a color filter substrate, .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층으로 기판을 합착할 때, 기판과 기판 사이에 빈 공간 없이 접착층으로 채워져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ich are filled with an adhesive layer without a spa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when the substrate is adhered to the adhesive lay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층과 기판의 계면에서의 접착 성능을 향상시키고, 접착층의 유연성(flexibility)을 개선하여 외력에 의한 박리 및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adhesion performanc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and improving the flexibility of the adhesive layer to suppress peeling and cracking due to external for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 소자로의 수분 및 산소 침투를 방지하여 표시 소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ich can prevent moisture and oxygen penetration into a display device and prevent deterioration of a display device.

전술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발광소자와; 제 1 모듈러스(modulus) 값을 가지며,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덮는 제 1 접착층과; 제 2 모듈러스 값을 가지며 상기 제 2 기판을 덮는 제 2 접착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A first adhesive layer having a first modulus value and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a second adhesive layer having a second modulus value and covering the second substrate.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접착층 사이에 컬러필터층이 위치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a color filter lay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상기 제 2 접착층보다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have a lower modulus value than the second adhesive layer.

이때, 상기 제 1 접착층은 경화제와,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착층은 경화제 반응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adhesive layer includes a curing agent and a curing agent non-reactive resin,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curing agent reactive resin.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상기 제 2 접착층에 비하여 높은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have a higher modulus value than the second adhesive layer.

이때, 상기 제 1 접착층은 경화제 반응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착층은 경화제와,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curing agent-reactive resin,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curing agent and a curing agent non-reactive resin.

상기 제 1 접착층과 상기 제 2 접착층이 합착되는 계면 영역은 상기 제 1 접착층의 모듈러스 값과 상기 제 2 접착층의 모듈러스 값 사이의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The interface region where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re bonded may have a modulus value between the modulus valu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modulus valu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may be flexible substrat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다르면, 본 발명은 제 1 모듈러스(modulus) 값을 갖는 제 1 접착층을 제 1 기판의 전면에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하는 제 2 기판의 전면으로 제 2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제 2 접착층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접착층과 상기 제 2 접착층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stacking a first adhesive layer having a first modulus value on a front surface of a first substrate; Stacking a second adhesive layer having a second modulus value on a front surface of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bonding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제 1 접착층과 상기 제 2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온에서 경화될 수 있다.
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can be cured at room temperature.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에 각각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접착층을 형성한 뒤, 이들 접착층을 합착하여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합착한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안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ve layer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is formed on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respectively, and then the adhesive layers are adhered to each other to bond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gether.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을 이용하여 기판을 합착함으로써, 전체 접착층에서의 유연성(flexibility)이 향상된다. 따라서, 합착 후에 상?하 접착층의 모듈러스 차이로 인하여, 표시 장치에 외력이 작용하였을 경우, 기판 사이를 채우는 서로 다른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접착층에서 응력이 전달, 분산될 수 있다. By bonding the substrates using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the flexibility in the entire adhesive layer is improved. 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display device due to the modulus dif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adhesive layers after adhesion, the stress can be transmitted and dispersed in the adhesive layer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filling between the substrates.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기판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단차를 보상한 뒤에 기판의 합착 공정이 수행된다. 따라서, 기판에 단차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기판 사이의 전 영역으로 접착층을 도포할 수 있어서 접착층과 기판의 계면 사이의 접착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on layer is formed on each substrate to compensate the difference in level, and then a process of laminating the substrates is performed. Therefore, even when the stepped region is formed on the substrate, the adhesive layer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region between the substrates,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performan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이처럼,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접착층과 기판의 계면에서의 접착 성능을 향상시키고, 유연성(flexibility)을 개선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박리 및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dhesive performanc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and improves the flexibility, thereby preventing peeling and cracking due to external force.

결국, 접착 성능 및 유연성이 증가하여 기판과 접착층 사이에서의 박리 및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되면서, 종래 접착층을 사용한 경우에 기판과 접착층 사이에서의 박리 영역을 통한 수분 및 산소 침투로 인한 표시 소자의 열화 문제 및 yellow mura와 같은 고질적인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adhesion performance and the flexibility are increased, so that peeling and cracking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adhesive layer can be suppressed. Therefore, when a conventional adhesive layer is used, Degradation problems such as yellow mura and solid defect such as yellow mura can be solved.

도 1은 종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합착하는 공정과 그 공정에 따른 문제점을 보여주기 위하여,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접착 필름과 기판의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고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을 사용하여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합착하기 전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 부분을 확대한 모식도로서, 합착 전에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접착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을 사용하여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합착한 후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B' 부분을 확대한 모식도로서, 합착 후에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접착층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으로 합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외부 압력에 대한 응력이 접착층에서 분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을 사용하여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합착한 후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C' 부분을 확대한 모식도로서, 합착 후에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접착층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에 의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이 합착된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으로 합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단차 채움성 정도를 측정한 사진으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단차 영역이 완전히 채워졌음을 보여준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1개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의 단차 채움성 정도를 측정한 사진으로, 단차가 형성된 영역에 접착제가 채워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으로 합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대한 굽힘 테스트 결과를 촬영한 것으로, 접착층과 기판 사이에 박리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은 비교예에 따라 1개의 접착층으로 합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대한 굽힘 테스트 결과를 촬영한 것으로, 접착층과 기판 사이에 박리가 일어난 것을 보여준다.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in order to show a process of attaching an upper substrate and a lower substrate, which constitute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a problem thereof.
FIG. 2 is a view showing peeling and crack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film and the substrate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3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before bond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using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the 'A' portion of FIG. 3A,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before bonding.
FIG. 4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fter bond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using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the 'B' portion of FIG. 4A, which schematically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fter adhesion.
4C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stresses against external pressure are dispersed in an adhesive layer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re bond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fter bond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using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the 'C' portion of FIG. 5A, which schematically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fter adhes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LED display in which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are bonded together by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hotograph of the degree of level difference filling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 which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re bond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the stepped area of the patterned substrate is completely filled.
8A and 8B are photographs showing the degree of level difference filling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a single adhesive was used in accordance with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Show the sound.
9 shows a result of a bend test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 which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re cement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no peeling occurr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FIG. 10 is a photograph of the results of a bending test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one adhesive layer is laminated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showing peeling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이하,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을 사용하여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합착하기 전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 부분을 확대한 모식도로서, 합착 전에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접착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A)는 표시 영역(Display Region, DR)과 표시 영역(DR) 주변의 비표시 영역(Non-Display Region, NDR)이 정의되어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100A)는 제 1 기판(101)과, 제 1 기판(101)과 대향적으로 위치하는 제 2 기판(102)을 포함한다. 3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before bond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using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before bonding.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OLED display 10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region DR and a non-display region DR surrounding the display region DR, NDR) is defin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A includes a first substrate 101 and a second substrate 102 positioned opposite to the first substrate 101. [

제 1 기판(101)의 표시 영역(DR)에는 유기발광소자(OLED, 110)가 형성되고, 제 2 기판(102)의 표시 영역(DR)에는 컬러필터층(170)이 형성된다. 유기발광소자(110)는 마주하는 제 2 기판(102)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 1 패턴 영역을 이루면서 제 1 기판(101)에 형성된다. 컬러필터층(170)은 마주하는 제 1 기판(101)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 2 패턴 영역을 이루면서 제 2 기판(102)에 형성된다. OLEDs 110 are formed in the display region DR of the first substrate 101 and color filter layers 170 are formed in the display region DR of the second substrate 102.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10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while forming a first pattern region protruding toward the facing second substrate 102. [ The color filter layer 170 i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02 while forming a second pattern region protruding toward the facing first substrate 101. [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로 다른 모듈러스 값을 갖는 2개의 접착층(210, 220) 중 제 1 접착층(210)은 제 1 기판(101)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접착층(220)은 제 2 기판(102)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들 접착층(210, 220)은 접착 필름 형태로 각각의 기판(101, 102)에 형성된다.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을 각각 필름 형태로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에 형성하기 위하여 핫롤 라미네이트 방식, 열 압착(hot press) 방식 또는 진공 압착 방식이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of the two adhesive layers 210 and 220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2 substrate 102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se adhesive layers 210 and 220 are formed on the respective substrates 101 and 102 in the form of an adhesive film. A hot press lamination method, a hot press method, or a vacuum press method (e.g., a hot press method or a vacuum press method) may be used to form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on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second substrate 102, Can be performed.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기판(101) 쪽에 위치하는 제 1 접착층(210)의 모듈러스 값은 제 2 기판(102) 쪽에 위치하는 제 2 접착층(220)의 모듈러스 값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제 1 접착층(210)은 바인더 수지로서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와, 경화제(Hardener, 23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 1 접착층(210)은 가소제 성분을 포함하여 제 1 접착층(210)의 모듈러스 값을 낮출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 점착부여제(tackifier)를 포함하여 피착물에 대한 접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반면, 상대적으로 높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제 2 접착층(220)은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odulus valu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locat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side may be lower than the modulus valu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located on the second substrate 102 side. For example,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having a relatively low modulus value includes a hardener non-reactive resin 212 and a hardener 230 as a binder resin. Optionally,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can include a plasticizer component to lower the modulus valu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if necessary, improve adhesion to the adherend, including tackifiers .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having a relatively high modulus value may include the curing agent-reactive resin 222.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 및/또는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는 상온 경화형일 수 있다. 이처럼,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을 구성하는 수지(212, 222) 중 적어도 하나가 상온에서 경화될 수 있다면, 고온에서의 경화 과정에 의하여 유기발광소자(110)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 및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는 광학 투명 수지(Optically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접착층(210) 및 제 2 접착층(220)은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접착층(210) 및 제 2 접착층(220)은 필름 형태일 수 있다. The hardener non-reactive resin 212 and / or the hardener-reactive resin 222 may be room temperature hardening type. If at least one of the resins 212 and 222 constituting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can be cured at room temperatu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10 may deteriorate due to the curing process at a high temperatur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curing agent non-reactive resin 212 and the curing agent reactive resin 222 may be optically clear resin (OCR). In this case,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may be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For example,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may be in the form of a film.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는 후술하는 경화제(230)와 반응하지 않는 수지로서,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비닐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페녹시 수지, 이들의 조합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는 아크릴산 및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수지, 아세트산비닐,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과 같은 불포화 모노머의 공중합 수지, 및 페녹시 수지로 구성되는 군에서 적어도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The hardening agent-nonreactive resin 212 is a resin that does not react with a curing agent 230 described later, and may be a resin such as a polyacrylic resin, a poly (meth) acrylate resin, a vinyl resin, a styrene resin, a polyester resin, Polyimide resins, polyurethane resins, phenoxy resins, combinations thereof, and copolymers thereo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hardener-unreactive resin 212 may be a resin composed of a resin composed of acrylic acid and an ester, a copolymer resin of an unsaturated monomer such as vinyl acetate, but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and styrene, and a phenoxy resin At least one or more species can be selected.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의 모듈러스 값은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의 모듈러스 값보다 낮다. 예를 들어,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는 강성도(stiffness)가 낮은 soft type 수지일 수 있다.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는 50,000 이하, 예를 들어 5,000 ~ 50,000 Pa의 모듈러스 값(G')을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의 모듈러스 값이 전술한 범위로 한정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odulus value of the curing agent-unreactive resin 212 is lower than the modulus value of the curing agent-reactive resin 222. [ For example, the hardener-unreactive resin 212 may be a soft type resin having a low stiffness. The hardener non-reactive resin 212 may have a modulus value (G ') of 50,000 or less, for example, 5,000 to 50,000 Pa, but the modulus value of the hardener non-reactive resin 2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o not.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는 경화제(230)와 반응하여 더욱 경화되는 수지로서, 예를 들어 글리시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F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A 노볼락 에폭시 수지와 같은 노볼락 에폭시 수지; 도데칸올 글리시딜 에테르(dodecanol glycidyl ether), 헥사하이드로프탈산의 디글리시딜에스테르(diglycidly ester of hexahydrophthalic acid), 트리메틸로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trimethylopropane triglycidyl ether) 등과 같은 지방족 에폭시 수지; 3,4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시레이트(3,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xane carboxylate) 등과 같은 지환족(cyclo-aliphatic) 에폭시 수지; 트리글리시딜-p-아미노페놀 (triglycidyl-p-aminophenol), 테트라글리시딜 디아민디페닐메탄(tetraglycidyl diamine diphenyl methane, TGDDM), N,N,N,N-테트라글리시딜-4,4-메틸렌비스 벤질아민 (N,N,N,N-tetraglycidyl-4,4-methylenebis benzylamine) 등과 같은 아민 계열의 에폭시 수지(glycidylamine epoxy resin);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실란 변성 에폭시 수지 등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The curing agent-reactive resin 222 may be an epoxy resin having, for example, a glycidyl group, as a resin which reacts with the curing agent 230 to be further cured. The epoxy resin is bisphenol-A type epoxy resin; Bisphenol-F type epoxy resin; Novolac epoxy resins such as phenol novolac epoxy resin, cresol novolac epoxy resin, and bisphenol-A novolac epoxy resin; Aliphatic epoxy resins such as dodecanol glycidyl ether, diglycidyl ester of hexahydrophthalic acid, trimethylopropane triglycidyl ether and the like; Cyclo-aliphatic epoxy resins such as 3,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xane carboxylate and 3,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Triglycidyl-p-aminophenol, tetraglycidyl diamine diphenyl methane (TGDDM), N, N, N, N-tetraglycidyl- Glycidylamine epoxy resin such as N, N, N-tetraglycidyl-4,4-methylenebis benzylamine; Rubber-modified epoxy resins; Silane-modified epoxy resins, and the like.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는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는 강성도(stiffness)가 높은 hard type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는 100,000 이상, 예를 들어 100,000 ~ 500,000 Pa의 모듈러스 값(G')을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의 모듈러스 값이 전술한 범위로 한정되지 않는다.
The curing agent-reactive resin 222 may have a relatively high modulus value as compared with the curing agent-unreactive resin 212. The hardener-reactive resin 222 may be a hard type resin having a high stiffness. For example, the curing agent-reactive resin 222 may have a modulus value (G ') of 100,000 or more, for example, 100,000 to 500,000 Pa, but the modulus value of the curing agent- It is not limited.

에폭시 수지일 수 있는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를 경화시킬 수 있는 경화제(230)는 아민계, 산무수물과 같은 무수물계, 페놀계, 티올계, 머캅탄계, 이미다졸계, 디시안디아미드(dicyan diamide, DICY), 이소시아네이트계, 멜라민계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민계 경화제 및/또는 이미다졸계 경화제이다. 제 1 접착층(210) 중에 경화제(230)는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 2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Curing agent which may be an epoxy resin The curing agent 230 which can cure the reactive resin 222 may be an anhydride system such as an amine system or an acid anhydride, a phenolic system, a thiol system, a mercaptan system, an imidazole system, a dicyan diamide , DICY), isocyanate-based, melamine-based, and combinations thereof. Particularly preferred are amine-based curing agents and / or imidazole-based curing agents. The curing agent 230 may be contained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in an amount of 1 to 30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uring agent-unreactive resin 212.

아민계 경화제는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 triamine, DETA), 트리에틸렌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triethylene tetraamine, TETA),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traethylene pentaamine, TEPA),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diethylamino propyl amine, DEAPA)과 같은 지방족 아민; N-아미노에틸피페라진(N-aminoethyl piperazine, N-AEP), 이소포론 디아민(isophorone diamine)과 같은 지환족 아민; M-자일렌디아민(M-xylene diamine, MXDA), 디아미노디페닐메탄(diaminophenyl methane, DDM), 디아미노디페닐설폰(diaminodiphenyl sulphone, DDS), 벤질디메틸아민과 같은 방향족 아민; 단량체 지방산 또는 이량체 지방산과 다관능성 아민류의 탈수 축합(condensation) 산물인 폴리아미드 아민(polyamide amines), 만니히 타입(Mannich type) 경화제, 에폭시 애덕트 타입(epoxy adduct type) 경화제, 마이클 애덕트 타입(Michael adduct type) 경화제와 같은 변성 아민 중에서 적어도 1종 선택될 수 있다. The amine curing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ethanolamine, diethylene triamine (DETA), triethyleneamine, dimethylaminoethanol, triethylene tetraamine (TETA), tetraethylene pentaamine (TEPA) Aliphatic amines such as diethylamino propyl amine (DEAPA); Alicyclic amines such as N-aminoethyl piperazine (N-AEP) and isophorone diamine; Aromatic amines such as M-xylene diamine (MXDA), diaminophenyl methane (DDM), diaminodiphenyl sulfone (DDS), benzyldimethylamine; Polyamide amines, Mannich type curing agents, epoxy adduct type curing agents, and Michael Adduct type condensation products of monomeric or dimeric fatty acids and polyfunctional amines, (Michael adduct type) and a modified amine such as a curing agent.

산 무수물계 경화제는 프탈산무수물(phthalic anhydride, PA),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tetrahydrophthalic anhydride, THPA),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 MTHPA),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methylhexahydrophthalic anhydride, MHHPA), 말레인산무수물(maleic anhydride)과 같은 방향족산 무수물; 헥사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Hexahydrophthalic anhydride, HHPA),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tetrahydrophthalic anhydride, THPA),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methylhexahydrophthalic anhydride), 메틸-5-노르보넨-2,3-디카르복시산 무수물(Methyl-5-norbornene-2,3-dicarboxylic anhydride, MNA)과 같은 지환족 무수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The acid anhydride-based curing agent may be selected from phthalic anhydride (PA), tetrahydrophthalic anhydride (THPA), 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 (MTHPA), methylhexahydrophthalic anhydride (MHHPA), maleic anhydride Aromatic acid anhydrides such as maleic anhydride; Hexahydrophthalic anhydride (HHPA), tetrahydrophthalic anhydride (THPA), methylhexahydrophthalic anhydride, methyl-5-norbornene-2,3-dicarboxylic anhydride (Methyl-5 -norbornene-2,3-dicarboxylic anhydride, MNA), or a combination thereof.

페놀계 경화제는 비스페놀-A 또는 노볼락과 같은 폴리페놀을 사용할 수 있다. 티올계 경화제로서는 특히 머캅탄계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머캅탄계 경화제로는 펜타에리스리톨(pentaerythritol),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 트리옥산트리메틸렌메르캅탄(trioxyantrimethylenemercaptan) 등을 들 수 있다.The phenolic curing agent may be a polyphenol such as bisphenol-A or novolak. As the thiol-based curing agent, a mercaptan-based curing agent can be used. Examples of the mercaptan-based curing agent include pentaerythritol, polysulfide, and trioxyantrimethylenemercaptan.

이미다졸계 경화제로는 이미다졸, C1-C10 알킬 치환된 이미다졸, 아릴이미다졸, 알킬아릴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imidazole-based curing agent include imidazole, C 1 -C 10 alkyl-substituted imidazole, arylimidazole, and alkylarylimidazole.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4-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트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Examples of the isocyanate curing agent include 2,4-tolylenediisocyanate, 2,6-trilene diisocyanate, hydrogenated tolylene diisocyanate, 1,3-xylene diisocyanate, 1,4-xylene diisocyanate, 1,5- Isocyanate, 2,2,4-trimethyl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the like.

멜라민계 경화제는 헥사 메톡시 메틸 멜라민, 헥사 에톡시 메틸 멜라민, 헥사 프로폭시 메틸 멜라민, 헥사 부톡시 메틸 멜라민, 헥사 펜틸 옥시메틸멜라민 및 헥사헥실 옥시 메틸 멜라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melamine-based cur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hexamethoxymethylmelamine, hexaethoxymethylmelamine, hexapropoxymethylmelamine, hexabutoxymethylmelamine, hexapentyloxymethylmelamine, and hexahexyloxymethylmelamine.

선택적으로 제 1 접착층(210)에 포함될 수 있는 가소제는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에 혼합되어 제 1 접착층(210)의 모듈러스 값을 낮출 수 있는 임의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접착층(210) 중에 가소제는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3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The plasticizer that may be optionally included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may be any plasticizer that can be mixed with the curing agent-nonreactive resin 212 to lower the modulus valu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For example,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the plasticizer may be included in a proportion of 5 to 5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hardener non-reactive resin 212.

가소제는 지방족, 환형지방족 및 방향족 미네랄 오일(mineral oil), 프탈산(phthalic acid)디에스테르 또는 프탈산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프탈산계, 디옥틸아미페이트(DOA)계, 트리크레실포스테이트(TCP), 디옥틸아졸레이트(DOZ)계, 에스테르(Esther)계, 폴리이소프렌계, 트리멜리트산(trimellit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액상고무(liquid rubbers, 예. 니트릴고무 또는 폴리이소프린고무), 부틴 및/또는 이소부틴, 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에테르의 액상폴리머, 점착부여제(tackifier) 수지용 원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액상수지 및 연질수지(soft resin), 라롤린 및 그 밖의 왁스를 포함한다. 올레핀 이중결합이 없는 내노화 가소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Plasticizers include phthalic acid, aliphatic, cyclic aliphatic and aromatic mineral oils, phthalic acid diesters or phthalic acid polyesters, dioctylaminate (DOA), tricresyloate (TCP), dioctyl But are not limited to, azole, azole, esther, polyisoprene, trimellitic acid, adipic acid, liquid rubbers such as nitrile rubber or polyisoprene rubber, Butene and / or isobutene, acrylates, liquid polymers of polyvinyl ethers, liquid resins and soft resins based on raw materials for tackifier resins, lanolin and other waxes. It may be particularly preferred that the plasticizer is an internal plasticizer without an olefin double bond.

구체적으로, 프탈산계 가소제는 탄소수 1-20의 디알킬프탈레이트(예를 들어 디옥틸프탈레이트, DOP); 부틸벤질프탈레이트와 같은 아릴 또는 알킬아릴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디사이클로헥실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와 같은 지환족프탈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1종 선택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hthalic acid plasticizer is a dialkyl phthalate having 1 to 20 carbon atoms (e.g., dioctyl phthalate, DOP); Aryl or alkylaryl phthalates such as butyl benzyl phthalate; Di-2-ethylhexyl adipate; At least one of alicyclic phthalates such as dicyclohexyl phthalate and diisononyl phthalate can be selected.

한편, 모듈러스 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접착층(210)에는 피착 대상물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착부여제(tackifier)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점착부여제 성분으로는 C5 지방족 점착부여제, C9 방향족 점착부여제, 및 로진 에스테르(rosin ester) 타입의 점착부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접착층(210)에서 점착부여제는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having a relatively low modulus value may include a tackifier component to improve adhesion to the object to be adhered. As the tackifier component, a C 5 aliphatic tackifier, a C 9 aromatic tackifier, and a tackifier of the rosin ester type can be used.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the tackifi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3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uring agent non-reactive resin 212.

이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2개의 접착층을 이용하여 대향적으로 위치한 2개의 기판(101, 102)을 합착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을 사용하여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합착한 후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 부분을 확대한 모식도로서, 합착 후에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접착층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tate in which two substrates 101 and 102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by using two adhesive laye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onded together. 4A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fter bond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using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having a different modulus value after adhesion.

본 실시형태에 따라, 제 1 기판(101)에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제 1 접착층(210)을 형성하고, 제 2 기판(102)에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제 2 접착층(220)을 형성한 뒤,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을 합지하여,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을 합착한다. 합착된 유기발광표시장치(100A)의 패널 갭(기판 사이의 이격 거리)은 't1'으로 도시하였다.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이 접촉하면,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의 계면에서는 제 1 접착층(210)에 함유된 경화제(230)와 제 2 접착층(220)에 함유된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가 반응하고, 이에 따라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의 경화에 의하여,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은 그 계면에서 합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first adhesive layer 210 having a relatively low first modulus value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and a second adhesive layer 210 having a relatively high second modulus value i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02. [ After the adhesive layer 220 is formed,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are bonded together to bond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second substrate 102 together. The panel gap (distance between the substrates) of the bond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A is shown as 't1'. Whe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uring agent 230 contained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contained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Reactive resin 222 contained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20 reacts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due to the curing of the curing agent reactive resin 222, .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이 합착되면 기본적으로는 모듈러스가 상이한 2개의 접착층(210, 220)에 의하여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이 합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접착층(210)에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와 경화제(230)를 포함하고, 모듈러스 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접착층(220)에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를 포함한 경우, 최종적으로 합착된 접착층(210, 220)은 점진적으로 모듈러스 값에 차이가 생기는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are bonded together,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second substrate 102 are bonded together by two adhesive layers 210 and 220 having different moduli. However,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having a relatively low modulus value includes the curing agent-unreactive resin 212 and the curing agent 230, and the modulus value is relatively high When the hardener-reactive resin 222 is included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the finally bonded adhesive layers 210 and 220 may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in which the modulus values are gradually different.

즉,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1 접착층(210)에서 제 1 기판(101)의 계면 영역(242)은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의 계면 영역(240)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접착층(210)의 제 1 기판(101)의 계면 영역(242)으로는 제 2 접착층(220)에 포함된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가 확산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제 1 접착층(210) 중에서 제 1 기판(101)의 계면 영역(242)은 합착되기 전의 제 1 접착층(210)과 마찬가지로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와 경화제(230)가 혼합되어 있다. 이들 성분은 합착에 의해서도 서로 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제 1 접착층(210) 중에서 제 1 기판(101)의 계면 영역(242)은 합착되기 전의 제 1 접착층(210)의 모듈러스 값이 유지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모듈러스(Low modulus) 값을 갖는 접착 영역이 형성된다. 4B, the interface region 242 of the first substrate 101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is located in the interface region 240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far away. The curing agent-reactive resin 222 contained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is not diffused into the interface region 242 of the first substrate 101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s a result, the interface region 242 of the first substrate 101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is mixed with the hardening agent non-reactive resin 212 and the hardening agent 230, like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before the adhesion. Since these components do not react with each other due to adhesion, the interfacial area 242 of the first substrate 101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maintains the modulus valu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before adhesion, An adhesion region having a low modulus value is formed.

제 2 접착층(220)에서 제 2 기판(102)의 계면 영역(244)은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의 계면 영역(240)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제 2 접착층(220) 중에서 제 2 기판(102)의 계면 영역(244)으로는 제 1 접착층(210)에 포함된 경화제(230) 및/또는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가 확산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제 2 접착층(220) 중에서 제 2 기판(102)의 계면 영역(244)에는 합착되기 전의 제 2 접착층(220)과 마찬가지로 더 이상 경화되지 않은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만 존재한다. 따라서, 제 2 접착층(220)의 제 2 기판 계면 영역(244)은 합착되기 전의 제 2 접착층(220)의 모듈러스 값이 유지되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모듈러스(High modulus) 값을 갖는 접착 영역이 형성된다.
The interface region 244 of the second substrate 102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is remote from the interface region 240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The curing agent 230 and / or the curing agent non-reactive resin 212 contained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re not diffused into the interface region 244 of the second substrate 102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 As a result, in the interface region 244 of the second substrate 102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only the curing agent-reactive resin 222 which is not cured yet exists like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before being bonded. Therefore, the second substrate interface region 244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maintains the modulus valu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before the adhesion, so that an adhesive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modulus value is formed .

하지만,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이 합착되는 계면 영역(240)에서는 제 1 접착층(210)에 포함된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와, 제 2 접착층(220)에 포함된 높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가 확산되어 혼합된다. 따라서,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의 계면 영역(240)의 모듈러스 값은, 제 1 접착층(210)의 제 1 기판(101) 계면 영역(242)의 모듈러스 값(Low modulus)보다 크고, 제 2 접착층(220)의 제 2 기판(102) 계면 영역(244)의 모듈러스 값(High modulus)보다는 작은 중간 모듈러스 값(Middle modulus)을 갖게 된다. 예시적으로,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의 계면 영역(240)은 60,000 ~ 90,000 Pa, 또는 70,000 ~ 80,000 Pa의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However, in the interface region 240 where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are bonded together, the curing agent non-reactive resin 212 having a low modulus value and contained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The curing agent-reactive resin 222 having a high modulus value contained in the resin layer 220 is diffused and mixed. The modulus value of the interface region 240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is lower than the modulus value of the interface region 242 of the first substrate 101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a middle modulus less than the high modulus of the interface region 244 of the second substrate 102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 Illustratively, the interfacial zone 240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may have a modulus value of 60,000 to 90,000 Pa, or 70,000 to 80,000 Pa.

이처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유기발광소자(110)가 형성된 제 1 기판(101)으로 모듈러스 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와 경화제(230) 성분이 혼합된 제 1 접착층(210)을 형성하고, 컬러필터층(170)이 배치된 제 2 기판(102)으로 모듈러스 값이 상대적으로 큰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를 포함하는 제 2 접착층(222)을 형성한 뒤, 이 2개의 접착층을 합착한다. 합착에 의하여, 제 1 기판(101)의 계면 영역(242)의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접착층과, 제 1 접착층(210)-제 2 접착층(220)의 계면 영역(240)의 중간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접착층과, 제 2 기판(102)의 계면 영역(244)의 높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접착층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 1 기판(101)에서부터 제 2 기판(102)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모듈러스 값이 높아지는 3개의 접착 영역이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strate 101, o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10 is formed, has a first modulus value relatively low first component The adhesive layer 210 is formed and a second adhesive layer 222 including a curing agent reactive resin 222 having a relatively high modulus value i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02 on which the color filter layer 170 is disposed, Two adhesive layers are bonded together. The adhesion between the adhesive layer having the low modulus value of the interface region 242 of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adhesive layer having the intermediate modulus value of the interface region 240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An adhesiv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having a high modulus value in the interface region 244 of the second substrate 102 are formed. In other words, three adhesion regions with a modulus value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first substrate 101 toward the second substrate 102 are formed.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3개의 접착층이 형성되어,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을 충진하는 접착층에서 모듈러스 차이로 인하여 전체 접착층의 유연성(flexibility)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단일 모듈러스 값을 가지는 접착층에 비하여 외력에 대한 응력이 분산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피착 대상물에 대한 접착력을 개선할 수 있는데, 도 4c를 참조하면서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Three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re formed so that the flexibility of the entire adhesive layer is improved due to the modulus difference in the adhesive layer filling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second substrate 102. [ Accordingly, the stress on the external force is disper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adhesive layer having a single modulus value, so that the adhesive force to the object to be adhered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dhesive layer.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으로 합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외부 압력에 대한 응력이 접착층에서 분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외부적인 압력, 즉 외력이 유기발광표시장치(100A)에 작용하면, 이 외력은 제 1 기판(101) 및/또는 제 2 기판(102)을 경유하여 합지된 접착층에 인가된다. 외력으로 인하여, 전체 접착층의 두께, 즉 패널 갭 't2'는 외력이 인가되기 전의 패널 갭 't1'(도 4a 참조)에 비하여 감소한다. 4C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stresses against external pressure are dispersed in an adhesive layer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re bond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when an external pressure, that is,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A,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adhesive layer which is laminated via the first substrate 101 and / or the second substrate 102 . Due to the external force, the thickness of the entire adhesive layer, that is, the panel gap 't2', is reduced compared to the panel gap 't1' (see FIG. 4A) before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라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 사이를 충진하는 접착층은 단일한 모듈러스 값을 갖는 것이 아니고, 영역에 따라 모듈러스 값에 차이가 있다(modulus variation). 특히,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접착층은 제 1 기판(101)에서부터 제 2 기판(102)쪽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높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다. 높은 모듈러스(High modulus) 값을 갖는 제 2 기판(102) 계면 영역(244, 도 4b 참조)의 제 2 접착층(220, 도 4b 참조)은 그보다 낮은 중간 모듈러스(Middle modulus) 값을 갖는 접착층 계면 영역(240, 도 4b 참조)으로 외력을 전달한다. 접착층 계면 영역(240, 도 4b)은 낮은 모듈러스(Low modulus) 값을 갖는 제 1 기판(101)의 계면(242, 도 4b 참조)의 제 1 접착층(210, 도 4a 참조)로 외력을 전달한다.
The adhesive laye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second substrate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ingle modulus value but modulus variation depending on the region. In particular,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adhesive layer has a gradually higher modulus value from the first substrate 101 toward the second substrate 102 side.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see FIG. 4B) of the interface region 244 (see FIG. 4B) of the second substrate 102 having a high modulus value has a lower modulus value than the adhesive layer interface region (Refer to FIG. 4B). The adhesive layer interface region 240 (FIG. 4B) transfers an external force to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see FIG. 4A) of the interface 242 (see FIG. 4B) of the first substrate 101 having a low modulus value .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접착층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접착 영역이 상대적으로 적은 외력을 받게 되고,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접착 영역은 상대적으로 많은 외력을 받는 형태로 외력이 분산된다. 즉,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제 1 기판(101)에 인접한 영역(Low modulus 영역)에 외력이 많이 전달되고, 제 2 기판(102)에 인접한 영역(High modulus 영역)에 외력이 적게 전달되며, 그 사이의 영역(Middle modulus 영역)은 중간 정도의 외력이 전달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ve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modulus value among the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receives a relatively small external force, and an adhesive region having a low modulus value receives a relatively large external force, Dispersed. That i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large amount of external force is transferred to a region (Low modulus region) adjacent to the first substrate 101 and a small amount of external force is transferred to a region (High modulus region) adjacent to the second substrate 102, (Middle modulus region) is transmitted with a medium external force.

이러한 외력의 차이로 인하여, 제 1 기판(101)에 인접한 영역(242)은 응력이 많이 발생하고, 제 2 기판(102)에 인접한 영역(244)은 응력이 적게 발생하며, 그 사이의 영역(240)은 중간 정도의 응력이 발생한다. 제 1 기판(101)에 인접한 영역(242)은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가지기 때문에, 외력에 대한 응력이 많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탄성적인 변형을 통하여 이 응력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피착 대상물인 제 1 기판(101)에서부터 박리되지 않는다. Because of this difference in external force, the region 242 adjacent to the first substrate 101 generates a lot of stress, the region 244 adjacent to the second substrate 102 generates less stress, 240 generate a moderate stress. Since the region 242 adjacent to the first substrate 101 has a low modulus value, even if a large stress is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the stress can be overcome through elastic deformation, (101).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접착층 중 각각의 영역(240, 242, 244)에서의 상대적인 모듈러스 값이 다르기 때문에, 접힘(folding)이나 굽힘(bending)과 같은 외력이 적용되더라도, 모듈러스 값 차이에 따른 외력이 전달, 분산된다. 전체 접착층의 유연성(flexibility)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전체 접착층은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는 응력을 발휘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라 모듈러스 값 차이를 보이는 전체 접착층은, 강력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접착층 계면의 박리 및/또는 피착물인 기판(101, 120)로부터 접착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lative modulus values in the respective regions 240, 242, and 244 of the entire adhesive layers are different, even if an external force such as folding or bending is applied, This is propagated and distributed. Since the flexibility of the entire adhesive layer can be maintained, the entire adhesive layer can exert a stress returning to the original shape. As a result, the entire adhesive layer showing a difference in the modulus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erse the external force even when a strong external force acts, so that the peeling of the adhesive layer interface and / or the peeling of the adhesive layer from the substrates 101 and 120 .

하지만, 종래와 같이 제1, 2 기판(101, 102) 사이를 동일한 모듈러스 값을 갖는 1개의 소재로 접착층을 이용하여 합착하는 경우, 단층의 접착층은 외력을 분산시킬 수 없으므로 피착물에서 박리된다. 또한, 제 1, 2 접착층(210, 220)이 동일한 모듈러스 값을 갖는 경우, 접착층의 모듈러스 값 차이로 인한 외력의 분산이 없기 때문에, 특히 제 1,2 접착층(210, 220)의 계면으로 외력이 집중되어 제1, 2 접착층(210, 220)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01 and 102 are cemented together using an adhesive layer with a single material having the same modulus value as in the prior art, the single-layer adhesive layer is peeled off from the adherend because the external force can not be dispersed. When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210 and 220 have the same modulus value, there is no dispersion of the external force due to the difference in modulus value of the adhesive layer. Therefore,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210 and 220 And peeling may occur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210 and 220.

결국, 본 발명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다른 2개의 접착층을 합지함으로써, 합착되어야 하는 2개의 기판 사이에 아무런 빈 공간을 남기지 않고 접착층이 채울 수 있다. 아울러,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접착층이 합쳐지면, 외력에 의해서도 피착 대상물이나 접착 계면으로부터 박리(delamination)되지 않으며,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박리에 의해 형성된 접착층과 기판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수분 등이 OLED 소자(110) 내부로 침투하여 소자를 열화시키는 문제점과, 발생된 크랙으로 인한 품질 불량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As a result, by laminating the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can be filled without leaving any voids between the two substrates to be bonded. In addition, if the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re combined, it is prevented from delamination from the object to be adhered or the adhesive interface by an external force, and crack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Therefore, moisture and the like penetrate into the OLED element 11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formed by peeling, deteriorating the device, and the problem of quality defect due to the generated crack can be solved.

한편, 전술한 실시형태와 달리, 모듈러스 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접착층을 제 1 기판(101) 쪽에 위치시키고, 모듈러스 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접착층을 제 2 기판(102) 쪽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을 사용하여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합착한 후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C' 부분을 확대한 모식도로서, 합착 후에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접착층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dhesive layer having a relatively high modulus value can be position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side, and the adhesive layer having a relatively low modulus value can be positioned on the second substrate 102 side. 5A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fter bond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using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the 'C' portion of FIG. 5A, which schematically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fter adhesion.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B)는 제 2 기판(102) 쪽에 위치하는 제 1 접착층(210)의 모듈러스 값은 제 1 기판(101) 쪽에 위치하는 제 2 접착층(220)의 모듈러스 값보다 낮다. 이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제 1 접착층(210)은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와, 경화제(Hardener, 23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 1 접착층(210)에는 가소제 성분을 포함하여 제 1 접착층(210)의 모듈러스 값을 낮출 수 있다. 반면, 상대적으로 높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제 2 접착층(220)은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의 모듈러스 값은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의 모듈러스 값보다 낮다.
The modulus valu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located on the second substrate 102 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 than the modulus valu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locat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side ) ≪ / RTI > To this end,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having a relatively low modulus includes a hardener-unreactive resin 212 and a hardener 230. Optionally,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may include a plasticizer component to reduce the modulu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having a relatively high modulus value may include the curing agent-reactive resin 222. For example, the modulus value of the curing agent-unreactive resin 212 is lower than the modulus value of the curing agent-reactive resin 222. [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이 합쳐지면서, 모듈러스가 상이한 2개의 접착층(210, 220)에 의하여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이 합착된다.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second substrate 102 are bonded together by the two adhesive layers 210 and 220 having different modulus while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are combined.

제 1 접착층(210)에서 제 2 기판(102)의 계면 영역(244)은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의 계면 영역(240)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이 계면 영역(244)으로는 제 2 접착층(220)에 포함된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가 확산되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제 1 접착층(210) 중에서 제 2 기판(101)의 계면 영역(244)은 합착되기 전의 제 1 접착층(210)의 모듈러스 값이 유지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모듈러스(Low modulus) 값을 갖는 접착 영역이 형성된다. The interface region 244 of the second substrate 102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is distant from the interface region 240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The hardener-reactive resin 222 contained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hardly diffuses. As a result, since the interfacial area 244 of the second substrate 101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maintains the modulus valu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before being bonded, adhesion with a relatively low modulus value Regions are formed.

제 2 접착층(220)에서 제 1 기판(101)의 계면 영역(242)은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의 계면 영역(240)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제 2 접착층(220)의 제 1 기판(102)의 계면 영역(242)으로는 제 1 접착층(210)에 포함된 경화제(230) 및/또는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가 확산되기 어렵다. 따라서, 제 2 접착층(220) 중에서 제 1 기판(102)의 계면 영역(242)은 합착되기 전과 동일한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만 분산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모듈러스(High modulus) 값을 갖는 접착 영역이 형성된다.The interface region 242 of the first substrate 101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is distant from the interface region 240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The curing agent 230 and / or the curing agent-nonreactive resin 212 contained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re hardly diffused into the interface region 242 of the first substrate 102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 Therefore, since the interface region 242 of the first substrate 102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is dispersed only in the same hardener-reactive resin 222 as before the adhesion, the adhesive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modulus value .

반면,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이 합착되는 계면 영역(240)에서는 제 1 접착층(210)에 포함된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와, 제 2 접착층(220)에 포함된 높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가 확산되어 혼합된다. 따라서, 제 1 접착층(210)과 제 2 접착층(220)의 계면 영역(240)의 모듈러스 값은, 제 1 접착층(210)의 제 1 기판(101) 계면 영역(242)의 모듈러스 값(Low modulus)보다 크고, 제 2 접착층(220)의 제 2 기판(102) 계면 영역(244)의 모듈러스 값(High modulus)보다 작은 중간 모듈러스 값(Middle modulus)을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face region 240 where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are bonded together, the curing agent non-reactive resin 212 having a low modulus value and contained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The curing agent-reactive resin 222 having a high modulus value contained in the resin layer 220 is diffused and mixed. The modulus value of the interface region 240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is lower than the modulus value of the interface region 242 of the first substrate 101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And a middle modulus smaller than the high modulus of the interface region 244 of the second substrate 102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B)에서도 전체 접착층(210, 220)은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3개의 접착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을 충진하는 접착층(210, 220) 사이의 모듈러스 차이로 인하여 전체 접착층의 유연성(flexibility)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단일 모듈러스 값을 가지는 접착층에 비하여 외력이 전체 접착층 사이에서 분산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피착 대상물에 대한 접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10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adhesive layers 210 and 220 can be divided into three adhesive region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at is, the flexibility of the entire adhesive layer is improved due to the difference in modulus between the adhesive layers 210 and 220 filling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second substrate 102. As a result, the external force is dispersed among all the adhesive layer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dhesive layer having a single modulus value, so that the adhesive force to the object to be adhered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dhesive layer.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라 상이한 모듈러스 값을 갖는 2개의 접착층(210, 220)으로 합착되어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에 의해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이 합착된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two adhesive layers 210 and 220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re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6 is a diagram showing the OLED display 100 in which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second substrate 102 are bonded together by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표시 영역(DR)과 표시 영역(DR) 주변에 비표시 영역(NDR)이 정의되어 있으며,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하고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구성하는 제 1 기판(101) 및/또는 제 2 기판(102)는 유리 또는 플렉서블(flexible)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판(101) 및/또는 제 2 기판(102)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eleneterepthalate, PET)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소재를 채택하여 플렉서블(flexible) 기판으로 응용될 수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on-display area NDR defined around the display area DR and the display area DR, The substrate 102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substrate 101 and / or the second substrate 102 constitu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 may be formed of glass or a flexible plastic. For example, the first substrate 101 and / or the second substrate 10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imide, polyethersulfone, polyetherimide (PEI), and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And the like. By adopting such a plastic material, it can be applied as a flexible substrate.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구성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50)를 구성하는 유기물이나 금속 전극은 수분이나 산소에 특히 취약하다. 따라서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외부와 봉지(encapsulation)하기 위하여, 제 1 기판(101)과 유기발광소자(110) 사이 및/또는 제 2 기판(102)과 컬러필터층(170) 사이에는 예를 들어, 무기층-유기층-무기층의 멀티 버퍼층(multi buffer layer)층이 일종의 배리어층으로 개재될 수 있다. The organic material or the metal electrode constitu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50 constitu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100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moisture or oxygen. Accordingly,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10 and / or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102 and the color filter layer 170 to encapsulate the OLED display 100 with the outside, For example, a multi-buffer layer of inorganic layer-organic layer-inorganic layer may be interposed as a barrier layer.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는 제 1 기판(101)의 표시 영역(DR)을 구성하는 각각의 화소에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발광다이오드(150)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110)가 형성된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150)의 인캡슐레이션을 위하여 제 2 기판(102)이,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210, 220)을 통하여 합착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 1 접착층(210)은 유기발광다이오드(150)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110)가 형성된 제 1 기판(101)에 형성되고, 제 2 접착층(220)은 컬러필터층(170)이 형성된 제 2 기판(102)에 형성될 수 있다.
(Not shown),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50 to each pixel constituting the display region DR of the first substrate 101, which may be a glass or a plastic substrat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10 is formed. Meanwhile, for encapsul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50, the second substrate 102 is bonded together through two adhesive layers 210 and 220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The first adhesive layer 210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o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10 inclu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50 is formed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0 is formed on the color filter layer 170 )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02.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 기판(101)의 표시 영역(DR)에는 게이트 배선(미도시) 및 데이터 배선(미도시)과 연결되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되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의 일 전극 및 전원배선(미도시)과 연결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구동박막트랜지스터(DTr)는 게이트 전극(122)과, 게이트 절연막(114)과, 순수 비정질 실리콘의 액티브층(116a)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의 오믹콘택층(116b)으로 구성된 반도체층(116)과, 서로 이격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22, 124)으로 구성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또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반도체층(116)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일 수 있다. Specifically,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connected to a gate line (not shown) and a data line (not shown) is formed in the display region DR of the first substrate 101, and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not shown). For example,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ncludes a semiconductor layer composed of a gate electrode 122, a gate insulating film 114, an active layer 116a of pure amorphous silicon, and an ohmic contact layer 116b of impurity amorphous silicon 116, and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22, 124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Meanwhile, the semiconductor layer 116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made of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도 6에서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순수 및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층(116)을 포함하여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를 갖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폴리실리콘의 반도체층(미도시)을 구비하여 탑 게이트(top gate)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6,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have a bottom gate structure including a semiconductor layer 116 made of pure water and impurity amorphous silicon. However, The transistor (not shown)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may include a semiconductor layer (not shown) of polysilicon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op gate structure.

이 경우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는 순수 폴리실리콘의 액티브층과 이의 양측에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층과,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액티브층과 중첩하여 형성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노출시키는 반도체 콘택홀을 갖는 층간 절연막과,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각각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접촉하며 서로 이격하며 형성된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may include a semiconductor layer composed of an active layer of pure polysilicon and source and drain regions of polysilicon doped with impurities on both sides thereof, a gate insulating film, a gate formed over the active layer,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having an electrode and a semiconductor contact hole exposing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and source and drain electrodes formed in contact with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through the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 respective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한편,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상부에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124)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126)을 갖는 평탄화막(130)이 형성되어 있다. 평탄화막(130)은 산화실리콘(SiOx)이나 질화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 소재 또는 포토아크릴과 같은 유기 소재와 같은 절연 물질로 제조된다.
A planarizing film 130 having drain contact holes 126 exposing the drain electrodes 124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formed on top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have. The planarization layer 130 is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or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n organic material such as photoacrylic.

평탄화막(130)의 상부에 형성된 드레인 콘택홀(126)을 통하여 드레인 전극(124)에 연결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50)가 형성된다. 유기발광다이오드(150)는 평탄화막(130) 상부에 형성된 드레인 콘택홀(126)을 통하여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124)과 접촉하며 화소 영역별로 형성되는 제 1 전극(152)을 갖는다. 제 1 전극(152) 위로 각 화소 영역의 경계에 제 1 전극(152)의 테두리와 중첩하며 상기 제 1 전극(152)의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뱅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50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24 is formed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126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planarization layer 130.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50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24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126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130 and includes a first electrode 152 . A bank (not shown)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52 to overlap the rim of the first electrode 152 at the boundary of each pixel region and expose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52.

또한, 뱅크(미도시)로 둘러싸인 각 화소 영역별로 제 1 전극(152) 위로 유기 발광층(1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층(154)의 상부에는 표시 영역(DR) 전면으로 제 2 전극(166)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150)를 구성하는 제 1 전극(152) 및 제 2 전극(156) 중 어느 하나는 정공 주입 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전자 주입 전극이다.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4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52 and a second electrode 166 is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4 in front of the display region DR. Is formed. One of the first electrode 152 and the second electrode 156 constitu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50 is a hole injection electrode and the other is an electron injection electrode.

한편, 유기 발광층(154)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PEDOT와 같은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층은 발광층 단독의 단층 구조가 가능하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4 includes a low molecular organic material or a light emitting layer made of a polymer organic material such as PEDOT.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may have a single layer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layer alone but it may be a hole injecting layer (HIL), a hole transporting layer (HTL),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or the lik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기발광소자(110)의 전면으로 보호층(protection layer, 160)이 형성된다. 제 2 전극(156)만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150)로의 수분 침투를 완전히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유기발광소자(110)의 전면으로 보호층(160)을 형성함으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150), 특히 유기 발광층(154)으로의 수분 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 A protection layer 16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10. Since the moisture penetration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50 can not be completely suppressed by the second electrode 156 alone, the protective layer 160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10, The moisture permeation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154 can be suppressed.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보호층(160)은 산화실리콘/질화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 소재로 구성되는 단층 구조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보호층(160)은 산화실리콘/질화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 소재를 이용하여 제 2 전극(156)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 1 보호층과, 올레핀계 수지, 에폭시 수지, 플루오로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실록산과 같은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제 1 보호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유기층과, 산화실리콘/질화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 소재를 이용하여 유기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 2 보호층과 같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기판(101)의 제 2 기판(102)과 마주하는 면에는 제 1 패턴 영역을 갖는 유기발광소자(110)가 형성된다. 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protective layer 160 may be a single layer structure compris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 silicon nitride.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passivation layer 160 comprises a first passivation layer deposited on top of the second electrode 156 using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 silicon nitride, and a second passivation layer formed of an olefinic resin, An organic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by using a polymer material such as a fluorores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siloxane, and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 silicon nitride, Layer structure such as a second protective layer.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10 having the first pattern reg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01 facing the second substrate 102.

한편, 제 1 기판(101)과 대향적으로 위치하는 제 2 기판(102)의 하부에는 블랙매트릭스(미도시)의 개구부를 따라 적, 녹, 청의 컬러필터층(170)이 형성된다. 필요한 경우에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청색 컬러필터의 하부에 각각 적색, 녹색, 청색 색변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컬러필터층(170)의 하부에는 오버코트층(172)이 형성되어, 제 1 패턴 영역에 대응되는 제 2 패턴 영역이 제 2 기판(102)쪽에 형성된다.
A red, green and blue color filter layer 170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bstrate 102 facing the first substrate 101 along the opening of a black matrix (not shown). If necessary, red, green, and blue color conversion layers may be formed under the red color filter, the green color filter, and the blue color filter, respectively. An overcoat layer 172 is formed under the color filter layer 170 and a second pattern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ttern region i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02 side.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을 구성하는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은 각각 상대적으로 높은 모듈러스 값을 가지며 제 1 기판(101)쪽에 형성되는 제 1 접착층(210)과, 상대적으로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가지며 제 2 기판(102)쪽에 형성되는 제 2 접착층(220)에 의해 합착된다. 따라서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에 패턴 영역이 형성되더라도, 패턴 영역으로 인한 단차를 완전히 충진할 수 있다.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second substrate 102 constitu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have a first adhesive layer 210 having a relatively high modulus value and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side, And a second adhesive layer 220 having a relatively low modulus and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02 side. Therefore, even if a pattern region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second substrate 102, the step due to the pattern region can be completely filled.

아울러,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212, 도 4a 참조)와 경화제(230, 도 4a 참조)를 함유하는 제 1 접착층(210)과, 경화제 반응성 수지(222, 도 4a 참조)를 함유하는 제 2 접착층(220)이 합지되는 경우,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 사이에는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3개의 접착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힘이나 굽힘에 의해서도 전체 접착층은 피착 대상물로부터 박리되지 않기 때문에, 상이한 모듈러스 값을 갖는 2개의 접착층(210, 220)으로 합착된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로 응용될 수 있다.4A) containing the hardener-reactive resin 212 (see FIG. 4A) and the hardener 230 (see FIG. 4A),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second substrate 102 may be formed of three adhesive region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ccordingly, the entire adhesive layer is not peeled off from the object by folding or bending, so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which is bonded together with two adhesive layers 210 and 220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can be applied as a flexible display device .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터치 스크린 패널(미도시)이 표시 패널의 안쪽에 배치되는 In cell 구조에서, Tab 본딩을 구동 박막트랜지스(DTr) 하부 쪽에 하게 되는데, 상부의 터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 사이에 이방성도전필름(ACF,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In cell structure in which a touch screen panel (not shown) is disposed inside the display panel,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AB bonding is per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n order to process the upper touch signal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not shown)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second substrate 102.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Example : 이중 접착제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제조: Fabric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double glue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하부 기판에 핫롤 라미네이트 방식을 이용하여, 아크릴산 및 에스테르로 구성된 수지, 불포화 단량체인 아세트산비닐,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공중합 수지 및 페녹시 수지로 구성된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와, 아민계 및 이미다졸계 경화제와, 로진 에스테르 타입의 점착부여제가 혼합되어 있는 저-모듈러스 값(50000 Pa 이하)의 제 1 접착층을 5.5 ~ 6.5 ㎛의 두께로 적층하였다. 컬러필터층이 형성된 상부 기판에 핫롤 라미네이트 방식을 이용하여 비스페놀 A 노볼락 수지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가 배합된 고-모듈러스(100000 Pa 이상) 값을 갖는 에폭시 수지로 구성되는 제 2 접착층을 4 ~ 5 ㎛의 두께로 적층하였다. 이들 2개의 접착층을 합지한 뒤, 상온에서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켜 상,하 기판을 합착하여, 이중 접착제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The lower substrate o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formed is cured with a resin composed of acrylic acid and ester, a copolymer resin of unsaturated monomer such as vinyl acetate, but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and styrene, and phenoxy resin using a hot roll lamination method. A first adhesive layer having a low-modulus value (50000 Pa or less) in which a resin, an amine-based and an imidazole-based curing agent, and a rosin ester-type tackifier were mixed was laminated to a thickness of 5.5 to 6.5 μm. A second adhesive layer composed of an epoxy resin having a high-modulus (not less than 100000 Pa) value in which a bisphenol A novolak resin and a bisphenol F epoxy resin were blended was formed on an upper substrate having a color filter layer formed thereon by a hot roll lamination method in a thickness of 4 to 5 占 퐉 Lt; / RTI > The two adhesive layers were laminated together, and the epoxy resin was cured at room temperature to adhere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together to produ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a double adhesiv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1층의  1: the first floor PSAPSA 를 이용한 적층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 제조Fabrication of OLED display by stacking

상부 기판에 종래 사용되었던 감압 접착제(PSA)를 핫롤 라미네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10 ㎛의 두께로 적층하고, 이를 하부 기판에 합착하여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conventionally used for the upper substrate was laminated to a thickness of 10 탆 by a hot roll lamination method, and this was laminated on the lower substrate to produ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1층의 수지를 이용한 스크린 방식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 제조 2: Manufacture of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screen method using one layer of resin

상부 기판에 종래 사용되었던 감압 수지를 스크린 방식을 이용하여 5 ㎛의 두께로 형성하고, 하부 기판에 합착한 뒤, 100℃에서 1시간 경화시켜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The pressure-sensitive resin conventionally used for the upper substrate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5 mu m by using a screen method, attached to a lower substrate, and then cured at 100 DEG C for 1 hour to manufactur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 단차Step 채움성Fillability 평가 evaluation

실시예에서 제조된 유기발광표시장치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대하여 각각의 접착제가 채워진 정도를 사진으로 촬영하였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으로 합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단차 채움성 정도를 측정한 사진으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단차 영역이 완전히 채워졌음을 보여준다. 도 8a와 도 8b는 각각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1개의 감압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의 단차 채움성 정도를 측정한 사진으로, 단차가 형성된 영역에 접착제가 채워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The degree of filling of each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manufactured in the examples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prepared in the comparative examples was photographed.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egree of level difference filling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 which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re bon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ing that the stepped regions of the patterned substrate are completely filled. 8A and 8B are photographs showing the degree of level difference filling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used in accordance with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respectively.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굽힘( 2: Bending ( bendingbending ) 강성 평가) Stiffness evaluation

실시예에서 합착된 유기발광표시장치와, 비교예에서 합착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대한 굽힘 평가를 통하여 접착력을 테스트하였다. 시험 조건은 2.5 R(굽힘 반경)이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듈러스 값이 상이한 2개의 접착층으로 합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대한 굽힘 테스트 결과를 촬영한 것으로, 접착층과 기판 사이에 박리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도 10은 비교예에 따라 1개의 접착층으로 합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대한 bending 테스트 결과를 촬영한 것으로, 접착층과 기판 사이에 박리가 일어난 것을 보여준다.
In the examples, adhesion was tested through bending evaluation of the bond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ttached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test condition was 2.5 R (bending radius). 9 shows a result of a bend test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 which two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modulus values are cement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no peeling occurr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On the other hand, FIG. 10 shows the result of bending test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 which one adhesive layer is laminated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showing peeling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사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ide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examples.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100, 100A, 100B: 유기발광표시장치 101: 제 1 기판
102: 제 2 기판 110: OLED 소자
112: 게이트 전극 116: 반도체층
122, 124: 소스 및 드레인 전극 150: 발광 다이오드
152: 제 1 전극 154: 유기발광층
156: 제 2 전극 160: 보호층
170: 컬러필터층 172: 오버코트층
210: 제 1 접착층 212: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
220: 제 2 접착층 222: 경화제 반응성 수지
230: 경화제 240: 접착 계면
DR: 표시 영역 NDR: 비표시 영역
DTr: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t1, t2: 패널 갭
100, 100A, 100B: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1: first substrate
102: second substrate 110: OLED element
112: gate electrode 116: semiconductor layer
122, 124: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50: light emitting diode
152: first electrode 154: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6: second electrode 160: protective layer
170: Color filter layer 172: Overcoat layer
210: first adhesive layer 212: curing agent non-reactive resin
220: second adhesive layer 222: curing agent-reactive resin
230: hardener 240: adhesive interface
DR: Display area NDR: Non-display area
DTr: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1, t2: panel gap

Claims (10)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발광소자와;
제 1 모듈러스(modulus) 값을 가지며,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덮는 제 1 접착층과;
제 2 모듈러스 값을 가지며 상기 제 2 기판을 덮는 제 2 접착층
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A first adhesive layer having a first modulus value and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 second adhesive layer having a second modulus value and covering the second substrat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접착층 사이에 컬러필터층이 위치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lor filter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상기 제 2 접착층보다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dhesive layer has a lower modulus value than the second adhesive layer.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경화제와,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착층은 경화제 반응성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first adhesive layer comprises a curing agent and a curing agent non-reactive resin,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comprises a curing agent-reactive res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상기 제 2 접착층에 비하여 높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dhesive layer has a higher modulus value than the second adhesive layer.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경화제 반응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착층은 경화제와, 경화제 비반응성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first adhesive layer comprises a curing agent-reactive resin,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comprises a curing agent and a curing-resistant nonreactive res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과 상기 제 2 접착층이 합착되는 계면 영역은 상기 제 1 접착층의 모듈러스 값과 상기 제 2 접착층의 모듈러스 값 사이의 모듈러스 값을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terface region where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re adhered has a modulus value between a modulus valu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a modulus valu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인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re flexible substrates.
제 1 모듈러스(modulus) 값을 갖는 제 1 접착층을 제 1 기판의 전면에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하는 제 2 기판의 전면으로 제 2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제 2 접착층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접착층과 상기 제 2 접착층을 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Stacking a first adhesive layer having a first modulus value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ubstrate;
Stacking a second adhesive layer having a second modulus value on a front surface of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laminating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Where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es a light emitting diode.
제 9항에 있어서,
제 1 접착층과 상기 제 2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온에서 경화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can be cured at room temperature.
KR1020140175704A 2014-12-09 2014-12-09 Organic light emi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045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04A KR102404584B1 (en) 2014-12-09 2014-12-09 Organic light emi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04A KR102404584B1 (en) 2014-12-09 2014-12-09 Organic light emi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226A true KR20160070226A (en) 2016-06-20
KR102404584B1 KR102404584B1 (en) 2022-06-02

Family

ID=5635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704A KR102404584B1 (en) 2014-12-09 2014-12-09 Organic light emi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58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1090A (en) * 2016-07-06 2018-01-16 三星显示有限公司 Rollable display device and rollable device
WO2019013507A1 (en) * 2017-07-10 2019-01-17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Stretchable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device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structure
KR20190006322A (en) * 2017-07-10 2019-01-18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Stretchable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10031491A1 (en) * 2019-07-31 2021-02-0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device and optically clear adhesi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699A (en) * 2002-10-16 2005-06-01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080101690A (en) * 2007-05-17 2008-11-2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2014197522A (en) * 2012-05-09 2014-10-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699A (en) * 2002-10-16 2005-06-01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080101690A (en) * 2007-05-17 2008-11-2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2014197522A (en) * 2012-05-09 2014-10-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1090A (en) * 2016-07-06 2018-01-16 三星显示有限公司 Rollable display device and rollable device
WO2019013507A1 (en) * 2017-07-10 2019-01-17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Stretchable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device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structure
KR20190006322A (en) * 2017-07-10 2019-01-18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Stretchable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0870087A (en) * 2017-07-10 2020-03-06 高丽大学校世宗产学协力团 Stretchable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device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structure
US11076481B2 (en) 2017-07-10 2021-07-27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ejong Campus Stretchable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device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structure
US11477882B2 (en) 2017-07-10 2022-10-18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ejong Campus Stretchable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device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structure
US11683882B2 (en) 2017-07-10 2023-06-20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ejong Campus Stretchable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device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substrate structure
CN110870087B (en) * 2017-07-10 2023-11-21 高丽大学校世宗产学协力团 Stretchable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ubstrate structure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US20210031491A1 (en) * 2019-07-31 2021-02-0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device and optically clear adhesive
US11590732B2 (en) * 2019-07-31 2023-02-2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device and optically clear adhes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584B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176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07437553B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55496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91194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buffer layers
US11164933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080101690A (en)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986094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105321978A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60070226A (en) Organic light emi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90198595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25974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3157228A (en) Organic e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9360841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200069118A (en) Display apparatus
KR102583815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0925268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2471936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9713157B (en) Display pane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11227873B2 (en) Display device with passivation layer that directly contacts the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54906B1 (en) Display apparatus
KR10261894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30209935A1 (en) Display device
KR10205855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513210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60083181A (en) Moisture permeability resistant adhesive with enhanced transparency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dhes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