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136A -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136A
KR20160057136A KR1020140157971A KR20140157971A KR20160057136A KR 20160057136 A KR20160057136 A KR 20160057136A KR 1020140157971 A KR1020140157971 A KR 1020140157971A KR 20140157971 A KR20140157971 A KR 20140157971A KR 20160057136 A KR20160057136 A KR 20160057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neutralization
specimen
depth
c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균
김경진
남지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40157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7136A/ko
Publication of KR2016005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크리트 시험체에 균열이 발생하도록 유도한 후 중성화 촉진을 진행하여 중성화 깊이 및 속도 변화 등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균열이 존재하는 콘크리트의 중성화를 평가하고 대상 콘크리트의 잔존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는 시험체 제작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에 균열이 발생하도록 하중을 재하하는 하중 재하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에 발생한 상기 균열의 깊이 및 폭을 측정하는 균열 측정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의 상기 균열이 발생한 단면 중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밀봉한 후 상기 균열의 중성화를 촉진시키는 중성화 촉진 단계,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를 횡방향으로 절단하는 시험체 절단 단계 및 절단된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의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는 중성화 깊이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PREDICTION METHOD FOR REMAINING LIFE OF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크리트의 중성화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중성화의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으며 최종적으로 시간에 따른 중성화 깊이를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중성화 속도는 콘크리트 배합조건, 콘크리트 외부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각각의 변수들과 중성화 속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때 콘크리트 균열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이유는 주로 경험식인 중성화 깊이 예측 식에 균열을 변수로 포함시키기 위한 실험설계가 쉽지 않고 균열이 중성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후 여러 연구에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면 중성화 속도가 가속되고, 이에 따라 철근의 부식이 촉진된다는 가정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균열이 발생할 경우 중성화 속도가 가속되는 이유는 균열부위를 통한 콘크리트 내부로의 이산화탄소 이동속도가 균열이 없는 콘크리트의 공극을 통한 이동속도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 이 때 중성화는 균열을 따라 V자 형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중성화 깊이가 철근 위치에 도달하면 철근에 부식이 발생하여 균열 폭은 더욱 커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여기서, 콘크리트의 균열은 초기 균열을 비롯하여 시공상의 문제에 의한 균열, 사용환경에 의한 균열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균열은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이것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며, 이러한 이유로「콘크리트 구조기준」에서는 경험적인 관측 값을 바탕으로 한 허용 균열폭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균열의 발생은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신뢰도 높은 수명평가를 위해서는 반드시 균열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크리트 시험체에 균열이 발생하도록 유도한 후 중성화 촉진을 진행하여 중성화 깊이 및 속도 변화 등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균열이 존재하는 콘크리트의 중성화를 평가하고 대상 콘크리트의 잔존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은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는 시험체 제작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에 균열이 발생하도록 하중을 재하하는 하중 재하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에 발생한 상기 균열의 깊이 및 폭을 측정하는 균열 측정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의 상기 균열이 발생한 단면 중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밀봉한 후 상기 균열의 중성화를 촉진시키는 중성화 촉진 단계,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를 횡방향으로 절단하는 시험체 절단 단계 및 절단된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의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는 중성화 깊이 측정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험체 제작 단계에서,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시험체 제작 단계에서,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는 콘크리트의 배합비가 서로 다른 다수의 콘크리트 시험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재하 단계에서, 하중이 상기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Figure pat00001
)를 초과하면 균열이 발생하고, 상기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Figure pat00002
)는 다음의 수식으로 연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Figure pat00004
는 설계기준강도,
Figure pat00005
는 경량콘크리트계수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06
는 다음과 같다.
-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
Figure pat00007
) 값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Figure pat00008
= 0.75[전경량콘크리트],
Figure pat00009
= 0.85[모래경량콘크리트]
- 쪼갬인장강도(
Figure pat00010
) 값이 주어진 경우,
Figure pat00011
상기 중성화 촉진 단계에서, 중성화 촉진을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에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중성화 깊이 측정 단계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 절단면에 지시약을 분사한 후, 중성화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지시약은 페놀프탈레인 용액일 수 있다.
상기 중성화 깊이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 중성화 깊이(
Figure pat00012
)를 통해, 중성화 속도(
Figure pat00013
)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성화 속도(
Figure pat00014
)는 다음 수식으로 연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15
여기서,
Figure pat00016
는 피복두께를 나타낸다.
상기 하중 재하 단계에는 만능재료시험기(UTM)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은 콘크리트 시험체에 균열이 발생하도록 유도한 후 중성화 촉진을 진행하여 중성화 깊이 및 속도 변화 등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균열이 존재하는 콘크리트의 중성화를 평가하고 대상 콘크리트의 잔존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a는 압축 강도와 중성화 깊이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b는 중성화 촉진 기간과 중성화 깊이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중성화에 의한 철근 부식발생률의 경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은 시험체 제작 단계(S10), 하중 재하 단계(S20), 균열 측정 단계(S30), 중성화 촉진 단계(S40), 시험체 절단 단계(S50) 및 중성화 깊이 측정 단계(S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험체 제작 단계(S10)에서는 100×100×400mm 크기의 시험체를 제작한다. 여기서, 균열을 생성하는 방법에 따라 상기 시험체의 형태를 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휨균열을 생성하기 위해 직육면체 형태의 시험체를 제작한다. 또한, 향후 시험체 절단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철근 배근은 생략한다.
물론, 상기 시험체는 다수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의 배합비가 서로 다른 시험체를 다수 제작하여 배합비에 따른 중성화 깊이 및 속도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하중 재하 단계(S20)는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만능시험기(UTM)(20)를 이용하여 직육면체 형태의 시험체(10)에 휨균열(11)을 생성한다.
여기서, 하중 재하 단계(S20)에서 의도하는 균열을 시험체에 생성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적용 하중범위에 대한 계산이 필요하다. 인장측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기 전에는 콘크리트 응력(
Figure pat00017
)는 다음의 [수학식 1]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18
여기서,
Figure pat00019
은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이고,
Figure pat00020
는 중립축에서 인장측 연단까지의 거리이며,
Figure pat00021
는 총단면에 대한 2차 모멘트이다.
여기서, 콘크리트 응력(
Figure pat00022
)이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Figure pat00023
)을 초과하면 균열이 발생한다.
이 때의 휨모멘트를 균열 모멘트라고 하며,
Figure pat00024
로 나타낸다. 상기균열 모멘트(
Figure pat00025
)은 다시 다음의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기준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여기서,
Figure pat00028
는 설계기준강도,
Figure pat00029
는 경량콘크리트계수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30
는 다음과 같다.
-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
Figure pat00031
) 값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Figure pat00032
= 0.75[전경량콘크리트],
Figure pat00033
= 0.85[모래경량콘크리트]
- 쪼갬인장강도(
Figure pat00034
) 값이 주어진 경우,
Figure pat00035

즉, 균열 모멘트(
Figure pat00036
)이후부터 시험체(10)에는 균열(11)이 발생하며, 항복 모멘트(
Figure pat00037
)에서 콘크리트가 최초로 항복응력에 도달한다.
따라서, 균열(11)의 크기에 따른 중성화 진행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세 종류(대,중,소)의 균열폭(또는 깊이)이 시험체(10)에 발생하도록 유도하는데, 균열(11)의 유도에 가장 중요한 것은 균열 모멘트(
Figure pat00038
)와 항복 모멘트(
Figure pat00039
) 사이의 모멘트 값을 가해야 한다.
여기서, 하중재하(S20)단계에서는 일반적인 압축강도 시험과 같은 하중제어를 통한 방법보다는 미세한 기계조작이 가능한 변위제어 방법을 적용한다.
도 3a는 하중재하 전의 시험체(10) 및 만능시험기(20)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3b는 하중재하 후의 시험체(10) 및 만능시험기(20)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하중재하 후에 시험체(10)에 균열(11)이 발생한다.
이후, 균열 측정 단계(S30)에서는 상기 균열(11)을 균열폭 측정기용 자 또는 자동 균열폭 측정기를 등을 이용하여 양 측면 및 바닥면의 균열폭을 측정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균열(11)의 폭은 실제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의 크기를 고려하여, 약 0.1mm 이하, 0.1∼0.3 mm, 0.3 mm 이상의 세 종류(대,중,소)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4를 참조하면, 중성화 촉진 단계(S40)에서는 시험체(10)의 단면 중 중성화 침투 방향인 1면을 제외한 5면을 밀봉한 후, 균열(11)부에 이산화탄소를 가압 주입하여 중성화(12)를 촉진시킨다. 여기서, 시험체(10)의 밀봉은 작업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에폭시 페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적인 중성화 촉진을 위하여 시험체(10)를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분사되는 중성화촉진 시험 장치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중성화 촉진 조건은 온도(20±5)℃, 상대습도(60±5)%, 이산화탄소 농도(5~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5를 참조하면, 시험체 절단 단계(S50)에서는 상기 중성화 촉진 단계(S40)로부터 소정기간이 경과한 후, 중성화 깊이를 직접 측정할 수 있도록 시험체를 횡방향(C-C')으로 절단한다.
이후, 도 6을 참조하면, 중성화 깊이 측정 단계(S60)에서는 시험체(10) 절단면에 지시약을 분사한 후, 중성화 깊이를 측정한다. 여기서, 지시약은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사용하여 변색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성화 깊이 측정 측정은 지시약을 분사한 뒤 적자색으로 변색된 구간까지의 깊이를 표면으로부터 측정한다.
콘크리트 중성화의 경과 시간에 따른 중성화 깊이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의 간격을 두고 각각 다수의 시험체(10)를 절단하여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중성화 촉진단계로부터 약 35~45일이 경과한 후, 일부의 시험체에 대하여 시험체 절단단계(S50) 및 중성화 깊이 측정 단계(S60)를 진행하고, 나머지 시험체(10)는 약 75~85일이 경과한 후, 시험체 절단단계(S50) 및 중성화 깊이 측정 단계(S60)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콘크리트의 중성화 경과 시간에 따른 중성화 깊이 및 속도의 변화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균열에 따른 중성화 촉진 결과는 도 7a 및 도 7b과 같다.
도 7a에서는 중성화 촉진 기간(8주차와 16주차)에 대해서 시험체(10) 압축강도가 중성화 깊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40MPa과 21MPa은 시험체의 압축강도를 의미하며 압축강도가 작을수록 중성화에 취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b에서는 시험체(10)의 압축강도가 일정할 때 중성화 촉진기간, 즉 콘크리트 재령에 따른 중성화 깊이의 관계를 알 수 있으며, 중성화 촉진기간이 길수록 중성화 깊이가 깊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측정한 중성화 깊이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피복두께를 이용하면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중성화 속도(
Figure pat00040
)를 추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41
여기서,
Figure pat00042
는 피복두께이고,
Figure pat00043
는 중성화 깊이이다.
또한, 위의 평가방법을 통하여 도출된 중성화 속도를 다음의 [수학식 5]에 도입할 수 있다.
Figure pat00044
여기서, A는 중성화 속도계수이고,
Figure pat00045
는 콘크리트의 중성화 경과시간,
Figure pat00046
는 경과한 시간에서의 중성화 깊이,
Figure pat00047
는 CO2의 확산계수,
Figure pat00048
는 대기중의 CO2 농도,
Figure pat00049
는 CO2 흡착량이다.
즉, 상술한 [수학식 4]는 구조물의 잔존수명을 도출하기 위한 예측식으로, 균열을 고려한 콘크리트의 중성화 속도를 [수학식 5]에 도입하면 실제 전력구, 상하수도, 공동구 등의 시설물 수명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에 따른 철근 부식확률과 잔존수명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물의 경제수명을 예측 및 분석할 수 있다. 즉 구조물의 면적을 1,000㎡로 가정할 때, 보수면적은 각각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① 5년차 보수면적 산정 : 1,000×0.04 = 40㎡
② 10년차 보수면적 산정 : 1,000×(0.23-0.04) = 190㎡
③ 15년차 보수면적 산정 : 1,000×(0.42-0.23) = 190㎡
여기서, 구조물의 경제수명은 생애주기비용(LCC ; Life Cycle Coste)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구조물의 잔존가치보다 유지보수를 위한 누적 투입비용이 큰 시점이 경제 수명 종료시점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의 보수면적 산정방법을 활용하여 여기에 보수단가 (원/㎡)를 취하여 LCC의 유지보수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시험체 11; 균열
20; 만능시험기

Claims (9)

  1.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는 시험체 제작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에 균열이 발생하도록 하중을 재하하는 하중 재하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에 발생한 상기 균열의 깊이 및 폭을 측정하는 균열 측정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의 상기 균열이 발생한 단면 중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밀봉한 후 상기 균열의 중성화를 촉진시키는 중성화 촉진 단계;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를 횡방향으로 절단하는 시험체 절단 단계; 및
    절단된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의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는 중성화 깊이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체 제작 단계에서,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체 제작 단계에서,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는 콘크리트의 배합비가 서로 다른 다수의 콘크리트 시험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재하 단계에서,
    하중이 상기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Figure pat00050
    )를 초과하면 균열이 발생하고,
    상기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Figure pat00051
    )는 다음의 수식으로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Figure pat00052


    여기서,
    Figure pat00053
    는 설계기준강도,
    Figure pat00054
    는 경량콘크리트계수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55
    는 다음과 같다.
    -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
    Figure pat00056
    ) 값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Figure pat00057
    = 0.75[전경량콘크리트],
    Figure pat00058
    = 0.85[모래경량콘크리트]
    - 쪼갬인장강도(
    Figure pat00059
    ) 값이 주어진 경우,
    Figure pat00060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화 촉진 단계에서,
    중성화 촉진을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에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화 깊이 측정 단계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 절단면에 지시약을 분사한 후,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약은 페놀프탈레인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화 깊이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 중성화 깊이(
    Figure pat00061
    )를 통해, 중성화 속도(
    Figure pat00062
    )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성화 속도(
    Figure pat00063
    )는 다음 수식으로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Figure pat00064


    여기서,
    Figure pat00065
    는 피복두께를 나타낸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재하 단계에는 만능재료시험기(UTM)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KR1020140157971A 2014-11-13 2014-11-13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KR20160057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971A KR20160057136A (ko) 2014-11-13 2014-11-13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971A KR20160057136A (ko) 2014-11-13 2014-11-13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136A true KR20160057136A (ko) 2016-05-23

Family

ID=5610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971A KR20160057136A (ko) 2014-11-13 2014-11-13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71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0241A (zh) * 2018-08-02 2018-12-18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3d打印混凝土构件的层间剪切强度测试装置及方法
KR20200116709A (ko) 2019-04-02 2020-10-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뉴로퍼지 이론을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깊이 추정 방법
KR102210418B1 (ko) 2020-12-18 2021-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손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응력분포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4286B1 (ko) * 2021-08-20 2023-01-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열 콘크리트 시험체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0241A (zh) * 2018-08-02 2018-12-18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3d打印混凝土构件的层间剪切强度测试装置及方法
CN109030241B (zh) * 2018-08-02 2021-01-01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3d打印混凝土构件的层间剪切强度测试装置及方法
KR20200116709A (ko) 2019-04-02 2020-10-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뉴로퍼지 이론을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깊이 추정 방법
KR102210418B1 (ko) 2020-12-18 2021-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손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응력분포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4286B1 (ko) * 2021-08-20 2023-01-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열 콘크리트 시험체 및 이를 이용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sangouri et al. Detecting the Activation of a Self‐Healing Mechanism in Concrete by Acoustic Emission and Digital Image Correlation
JP6626285B2 (ja) 腐食状態予測方法
Nasser et al. An experimental assessment of corrosion damage and bending capacity reduction of singly reinforced concrete beams subjected to accelerated corrosion
KR20160057136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 예측 방법
KR20180097599A (ko) 접촉 역학을 통한 국부 인장 스트레스 하에서의 재료 특성 측정
Yoon et al. Experimental examination on chloride penetration through micro-crack in concrete
Sharma et al. Ultrasonic guided waves for monitoring corrosion of FRP wrapped concrete structures
Li et al. Measurement methods of geometrical parameters and amount of corrosion of steel bar
RU2604820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огнестойкости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фермы здания
Wawrzeńczyk et al. Evaluation of concrete resistance to freeze-thaw based on probabilistic analysis of damage
JP2011133448A (ja) アコースティックエミッション(ae)によ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鉄筋腐食量の定量評価方法
JP200827551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劣化検査方法
Gehlot et al. Study of concrete quality assessment of structural elements using rebound hammer test
Park Long-term performance of GFRP reinforced concrete beams and bars subjected to aggressive environments
JP201907854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寿命評価方法
JP200827552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劣化検査方法
Pinto et al. Use of ultrasound to estimate depth of surface opening cracks in concrete structures
Bhowmik et al. Investigation on fracture processes of concrete
Kang et al. Full-scale stress corrosion crack growth testing of an X70 spiral-welded pipe in near-neutral pH soil environment
RU2315971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врежденности объекта
Yamamoto et al. Evalu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ing small diameter core
Shahidan et al. Analysis of the AE signals parameter at the critical area on the concrete beam
RU2570237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язкост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Stitmannaithum et al. Chloride penetration into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Sanchez et al. Reasons for crack arrest in stress corrosion cracking tests—crack propagation rate in high-strength ste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