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696A - 위상-컷 디밍을 위한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상-컷 디밍을 위한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696A
KR20160055696A KR1020150154687A KR20150154687A KR20160055696A KR 20160055696 A KR20160055696 A KR 20160055696A KR 1020150154687 A KR1020150154687 A KR 1020150154687A KR 20150154687 A KR20150154687 A KR 20150154687A KR 20160055696 A KR20160055696 A KR 20160055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back signal
signal
power transfer
contro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현철
김영종
황쿠오시엔
추앙친천
양영모
이영제
최문호
송문식
Original Assignee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55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05B33/0806
    • H05B33/084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8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flyback topolo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95Linear regulators
    • F21Y2101/0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은 대기 위상-컷 디밍에 의한 입력 전압의 위상각을 검출하는 위상각 검출부, 상기 검출된 위상에 대응하는 제1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초기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신호 생성부, 상기 초기 피드백 신호를 변조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신호 변조부,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전력 전달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전달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부하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전달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상-컷 디밍을 위한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PHASE-CUT DIMMING}
실시 예는 위상-컷 디밍(phase-cut dimming)을 위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류 입력이 디머를 통해 전력 전달 회로에 공급될 때, 교류 입력의 위상이 디밍 앵글만큼 통과될 수 있다. 이때, 전력 전달 회로에서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실시 예를 통해 위상 컷 디밍을 위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은, 위상-컷 디밍에 의한 입력 전압의 위상각을 검출하는 위상각 검출부, 상기 검출된 위상에 대응하는 제1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초기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신호 생성부, 상기 초기 피드백 신호를 변조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신호 변조부,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전력 전달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전달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부하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전달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신호 변조부는, 상기 초기 피드백 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복수의 히스테리시스 레벨 중 대응하는 히스테리시스 레벨을 상기 피드백 신호로 출력하는 히스테리시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전달 회로로 흐르는 입력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입력 전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듀티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력 전달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한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전달 회로로부터 부하로 전력이 전달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전력 동작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동작 제어부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전력이 전달되는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력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소정 레벨 이상인 기간 동안 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전력 전달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인에이블 기간 동안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한 기준 신호의 인에이블 기간 동안 상기 입력 전류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 전달 회로에서 상기 기준 신호의 디스에이블 기간 동안 입력 전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선형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를 피드백 받아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로 공급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 또는 상기 입력 전류가 흐르는 기간을 제어하는 전력 전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은 상기 피드백 신호를 변조하는 피드백 신호 변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는, 기준 신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신호 간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공급되는 입력 전압의 위상각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는, 상기 검출된 위상각이 소정의 임계 값 이상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레귤레이션 하기 위한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한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한 기준 신호의 인에이블 기간 동안 상기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의 디스에이블 기간 동안 입력 전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공급되는 입력 전압이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소정 레벨 이상인 기간을 상기 기준 신호의 인에이블 기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선형 레귤레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공급되는 입력 전압을 감지한 결과에 기초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전압 감지부,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로 공급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 또는 상기 입력 전류가 흐르는 기간을 제어하는 전력 전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선형 레귤레이터, 및 설정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로 공급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 또는 상기 입력 전류가 흐르는 기간을 제어하는 전력 전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을 통해 위상 컷 디밍을 위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위상 컷 디밍을 위한 제어 시스템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의 각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입력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위상각 신호와 기준 신호와의 관계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위상각 신호와 기준 신호와의 관계에 대한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위상각 신호와 기준 신호와의 관계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히스테리시스 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6A는 실시 예에 따른 아날로그 필터로 구현된 로패스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필터로 구현된 로패스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은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전류 제어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7B은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시간 제어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달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달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예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의 적용 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위상 컷 디밍을 위한 제어 시스템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입력(AC)이 디머(10) 및 정류 회로(20)을거쳐 전력 전달 회로(30)에 공급된다. 전력 전달 회로(30)로부터 부하(50)로 전력이 공급된다. 부하(50)에 공급되는 전력은 센서(40)를 통해 감지되어 부하 감지부(200)로 감지 결과가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머(10)는 설정된 디밍 앵글만큼 교류 입력(AC)을 통과시키고 라인 전압(VLINE)의 위상 중 디밍 앵글 이외의 위상은 차단된다. 디머(10)에 의한 위상-컷된 전압(VIN)이 정류 회로(20)를 통해 정류되어 입력 전압(VIN_R)이 생성된다. 이와 같은 위상-컷 디밍에 의한 입력 전압(VIN_R)이 전력 전달 회로(30)에 전달된다.
실시 예에 따른 정류 회로(20)는 전파 정류 회로로 전압(VIN)을 전파 정류하여 입력 전압(VIN_R)을 생성한다. 전력 전달 회로(30)는 입력 전압(VIN_R)을 이용하여 전력을 부하(50)에 공급한다.
위상각 검출부(100)는 라인 전압(VLINE)의 반 주기에 대한 위상 각(phase angle) 비율에 기초하여 위상각 신호(PA)를 생성한다. 이하, 위상 각은 디머(10)의 디밍 앵글을 의미한다. 라인 전압(VLINE)의 반 주기는 입력 전압(VIN_R)의 한 주기와 동일하므로, 위상각 검출부(100)는 입력 전압(VIN_R)의 한 주기에 대한 위상각 비율에 기초하여 위상각 신호(PA)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입력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각 검출부(100)는 입력 전압(VIN_R)의 한 주기(PT1+PT2) 동안 입력 전압(VIN_R)이 발생하는 기간(PT2)을 감지한다. 위상각 검출부(100)는 기간(PT2)를 주기(PT1+PT2)로 나눈 값(PT2/(PT1+PT2))에 기초해 위상각 신호(PA)를 생성할 수 있다.
부하 감지부(200)는 센서(40)의 출력을 이용하여 부하(50)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40)는 부하(50)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하 감지부(200)는 간접적으로 부하(50)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수단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하 감지부(200)는 부하(50)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감지 신호(SENSE)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부하 감지부(200)는 직접적으로 센서(40)에 의해 감지된 전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부하 감지부(200)가 부하(50)와 절연되어 있는 경우, 부하 감지부(200)는 간접적으로 옵토 커플러를 통해 부하(5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 생성부(300)는 위상각 신호(PA)에 기초해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부하 감지부(200)로부터의 감지 신호(SENSE)와 기준 신호간의 차를 이용해 초기 피드백 신호(FBIN)를 생성한다.
피드백 신호 변조부(400)는 초기 피드백 신호(FBIN)를 변조하여 피드백 신호(FBMOD)를 생성한다. 피드백 신호 변조부(400)는 초기 피드백 신호(FBIN)의 노이즈 성분을 필터링하여 피드백 신호(FBMOD)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전달 제어부(500)는 피드백 신호(FBMOD)에 따라 전력 전달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하여 전력 전달 회로(3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의 각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부하(50)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고, 도 2에서는 직렬 연결되어 있는 세 개의 LED로 부하(50)가 구현되어 있다. 아울러, 도 2에서 부하 감지부(200)는 센서(40)를 통해 부하(5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신호 생성부(300)는 기준 신호 생성부(310) 및 루프 제어부(320)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 생성부(310)는 위상각 신호(PA)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REF)를 생성한다.
도 4A는 위상각 신호와 기준 신호와의 관계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 생성부(310)는 위상각 신호(PA)에 비례하는 기준 신호(REF)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B는 위상각 신호와 기준 신호와의 관계에 대한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 생성부(310)는 위상각 신호(PA)의 소정의 임계 값(PTH1) 보다 작은 영역에서는 위상각 신호(PA)에 비례하는 기준 신호(REF)를 생성하고, 임계 값(PTH1) 이상 영역에 대해서는 일정한 레벨(VREF1)의 기준 신호(REF)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C는 위상각 신호와 기준 신호와의 관계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 생성부(310)는 위상각 신호(PA)의 소정의 제1 임계 값(PTH2) 보다 작은 영역 및 소정의 제2 임계 값(PTH3) 이상 영역 각각에 대해서는 일정한 레벨(VREF2 또는 VREF3)의 기준 신호(REF)를 생성하고, 제1 임계 값(PTH2)과 제2 임계 값(PTH3) 사이의 영역에서는 위상각 신호(PA)에 소정 기울기로 비례하는 기준 신호(REF)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드백 신호 생성부(300)는 도 4B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위상각이 소정 임계 값 이상일 때는 부하(50)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레귤레이션 하도록 초기 피드백 신호(FBIN)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A 및 4B에서 위상각 신호(PA)와 기준 신호(REF)의 비례 기울기와 도 4C에서의 비례 기울기는 서로 다르다.
도 4A-4C에 도시된 위상각 신호와 기준 신호 간의 관계는 실시 예의 설명을 위한 예시로서,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루프 제어부(320)는 기준 신호(REF)와 부하 감지부(200)로부터 전달 받은 감지 신호(SENSE)를 이용하여 초기 피드백 신호(FBIN)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루프 제어부(320)는 기준 신호(REF)의 전압과 감지 신호(SENSE)의 전압 간의 차를 증폭하여 초기 피드백 신호(FBIN)를 생성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 변조부(400)는 초기 피드백 신호(FBIN)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서 적어도 히스테리시스 필터(410) 및 로패스 필터(420)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히스테리시스 필터(410)는 초기 피드백 신호(FBIN)의 변화에 기초하여 복수의 히스테리시스 레벨 중 대응하는 히스테리시스 레벨을 피드백 신호(FBMOD)로 출력한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히스테리시스 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5에서, 초기 피드백 신호(FBIN)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피드백 신호(FBMOD)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초기 피드백 신호(FBIN)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증가하다가 감소하고 소정 범위내에서 변화하는 파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피드백 신호(FBIN)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히스테리시스 레벨(HYS2)에 도달하면, 피드백 신호(FBMOD)는 히스테리시스 레벨(HYS1)에서 히스테리시스 레벨(HYS2)으로 상승한다. 초기 피드백 신호(FBIN)가 히스테리시스 레벨(HYS3)에 도달하면, 피드백 신호(FBMOD)는 히스테리시스 레벨(HYS2)에서 히스테리시스 레벨(HYS3)으로 상승하고, 초기 피드백 신호(FBIN)가 히스테리시스 레벨(HYS4)에 도달하면, 피드백 신호(FBMOD)는 히스테리시스 레벨(HYS3)에서 히스테리시스 레벨(HYS4)으로 상승한다.
초기 피드백 신호(FBIN)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히스테리시스 레벨(HYS3)에 도달하면, 피드백 신호(FBMOD)는 히스테리시스 레벨(HYS4)에서 히스테리시스 레벨(HYS3)으로 하강한다. 초기 피드백 신호(FBIN)가 히스테리시스 레벨(HYS2)에 도달하면, 피드백 신호(FBMOD)는 히스테리시스 레벨(HYS3)에서 히스테리시스 레벨(HYS2)으로 하강한다.
초기 피드백 신호(FBIN)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스테리시스 레벨(HYS3)과 히스테리시스 레벨(HYS2) 사이에서 변동하더라도 피드백 신호(FBMOD)는 히스테리시스 레벨(HYS2)으로 유지된다.
로패스 필터(420)는 초기 피드백 신호(FBIN)를 로패스 필터링하여 피드백 신호(FBMOD)를 생성한다. 로패스 필터(420)는 아날로그 필터 또는 디지털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A는 실시 예에 따른 아날로그 필터로 구현된 로패스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패스 필터(420)는 저항(R1) 및 커패시터(C1)를 포함한다. 저항(R1)의 일단에 초기 피드백 신호(FBIN)가 입력되고, 저항(R1)의 타단에 커패시터(C1)가 연결되어 있다. 저항(R1)과 커패시터(C1)의 접점의 전압이 피드백 신호(FBMOD)가 된다.
도 6B는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필터로 구현된 로패스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패스 필터(420)는 제1 레지스터(421), 제2 레지스터(422), 덧셈기(423), 및 나눗셈기(424)를 포함한다. 초기 피드백 신호(FBIN)가 소정 주기로 샘플링되어, 제2 주기 전에 샘플링된 초기 피드백 신호(FNIN[n-2])가 제2 레지스터(422)에 저장되고, 제1 주기 전에 샘플링된 초기 피드백 신호(FNIN[n-1])가 제1 레지스터(421)에 저장된다.
덧셈기(423)는 현재 샘플링된 초기 피드백 신호(FNIN[n]), 제1 주기 전에 샘플링된 초기 피드백 신호(FNIN[n-1]), 및 제2 주기 전에 샘플링된 초기 피드백 신호(FNIN[n-2])를 더하고, 나눗셈기(424)는 덧셈기(423)의 출력을 3으로 나누어 평균을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결과가 피드백 신호(FBMOD)가 된다.
도 6B에서는 3 개의 샘플링된 초기 피드백 신호(FBIN)의 평균을 피드백 신호(FBMOD)로 출력하는 로패스 필터(420)가 도시되어 있으나,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샘플링되는 초기 피드백 신호(FBIN)의 개수는 적어도 2회로서,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전력 전달 제어부(500)는 피드백 신호(FBMOD)에 따라 전력 전달을 제어하기 위해 입력 전류 제어부(510) 및 전력 동작 제어부(powering operation controller)(5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전류 제어부(510)는 피드백 신호(FBMOD)에 따라 입력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한다. 입력 전류(INP)는 전력 전달 회로(30)로 흐르는 전류이다.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피드백 신호(FBMOD)에 따라 전력 전달 회로(30)로부터 부하(50)로 전력이 전달되는 시간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시간의 경과를 카운팅하여 피드백 신호(FBMOD)에 따라 결정된 전력 전달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입력 전압(VIN_R)이 피드백 신호(FBMOD)에 따라 결정된 특정 레벨 이상인 기간을 전력 전달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력 전달 시간 동안 전력 전달 회로(30)의 스위칭 소자가 스위칭 동작하거나 부하(50)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레벨로 제어될 수 있다.
도 7A은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전류 제어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7A에서는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피드백 신호(FBMOD)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피드백 신호(FBMOD)에 따른 입력 전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가정일 뿐,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전압(VIN_R)은 디머(10)를 통과한 전압(VIN)을 전파 정류한 파형이다. 시점 T1에 입력 전압(VIN_R)이 상승하고, 입력 전류(INP)가 전력 전달 회로(30)에 흐르기 시작한다. 시점 T2에 입력 전압(VIN_R)이 영전압이 되고, 기간 T2-T3 동안 입력 전압(VIN_R)이 발생하지 않고, 입력 전류(INP)는 흐르지 않는다.
기간 T1-T2 동안 입력 전류(INP)의 크기는 제어 신호(CTRL)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입력 전류 제어부(510)는 피드백 신호(FBMOD)에 따라 전력 전달 회로(30)의 듀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CTRL)을 생성하거나, 입력 전류(INP)의 크기를 제어하는 기준 신호로서 제어 신호(CTRL)을 생성할 수 있다.
시점 T2에 피드백 신호(FBMOD)가 감소하면, 입력 전류 제어부(510)는 피드백 신호(FBMOD)의 감소에 따라 입력 전류(INP)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입력 전류 제어부(510)는 기간 T1-T2에 비해 감소된 듀티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하거나, 입력 전류(INP)의 크기를 기간 T1-T2에 비해 감소시키는 기준 신호로서 제어 신호(CTRL)을 생성할 수 있다.
시점 T3에 입력 전압(VIN_R)이 상승하고, 입력 전류(INP)가 전력 전달 회로(30)에 흐르기 시작한다. 시점 T4에 입력 전압(VIN_R)이 영전압이 되고, 기간 T4-T5 동안 입력 전압(VIN_R)이 발생하지 않고, 입력 전류(INP)는 흐르지 않는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간 T3-T4 동안 입력 전류(INP)의 크기는 기간 T1-T2 동안의 입력 전류(INP)의 크기보다 작다.
시점 T4에 피드백 신호(FBMOD)가 감소하면, 입력 전류 제어부(510)는 피드백 신호(FBMOD)의 감소에 따라 입력 전류(INP)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입력 전류 제어부(510)는 기간 T3-T4에 비해 감소된 듀티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하거나, 입력 전류(INP)의 크기를 기간 T3-T4에 비해 감소시키는 기준 신호로서 제어 신호(CTRL)을 생성할 수 있다.
시점 T5에 입력 전압(VIN_R)이 상승하고, 입력 전류(INP)가 전력 전달 회로(30)에 흐르기 시작한다. 시점 T6에 입력 전압(VIN_R)이 영전압이 되고, 기간 T6 이후 입력 전압(VIN_R)이 발생하지 않고, 입력 전류(INP)는 흐르지 않는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간 T5-T6 동안 입력 전류(INP)의 크기는 기간 T3-T4 동안의 입력 전류(INP)의 크기보다 작다.
도 7A에서 시점 T6 이후에, 피드백 신호(FBMOD)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입력 전압(VIN_R)의 다음 주기(도시하지 않음)에서 입력 전류(INP)는 기간 T5-T6의 입력 전류(INP)와 동일한 크기의 전류일 수 있다.
도 7B은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시간 제어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7B에서도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피드백 신호(FBMOD)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피드백 신호(FBMOD)에 따른 전력 시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가정일 뿐,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점 T11에 입력 전압(VIN_R)이 상승하고, 입력 전류(INP)가 전력 전달 회로(30)에 흐르기 시작한다. 기간 T11-T12 동안 입력 전류(INP)가 흐르고, 시점 T13에 입력 전압(VIN_R)이 영전압이 되며, 기간 T13-T14 동안 입력 전압(VIN_R)이 발생하지 않고, 입력 전류(INP)는 흐르지 않는다.
입력 전압(VIN_R)의 한 주기 중 입력 전류(INP)가 흐르는 기간 T11-T12은 제어 신호(CTRL)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피드백 신호(FBMOD)에 따라 전력 전달 시간 즉, 입력 전류(INP)가 흐르는 기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전력 전달 회로(30)의 스위칭 동작의 인에이블 기간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기간 T11-T12 동안 전력 전달 회로(30)의 스위칭 동작을 인에이블시키는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입력 전류(INP)의 크기를 제어하는 기준 신호의 인에이블 기간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 신호는 인에이블 기간에만 소정의 레벨을 가지고 디스에이블 기간에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기간 T11-T12 동안 기준 신호로서 소정 레벨을 가지는 제어 신호(CTRL)를 전력 전달 회로(30)에 전달되고, 전력 전달 회로(30)는 기간 T11-T12 동안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입력 전류(INP)를 제어한다. 입력 전압(VIN_R)의 한 주기 중 디스에이블 기간 T12-T13 동안 제어 신호(CTRL)는 발생하지 않고, 입력 전류(INP) 역시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시점 T13에 피드백 신호(FBMOD)가 감소하면,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피드백 신호(FBMOD)의 감소에 따라 전력 전달 시간이 감소되도록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기간 T11-T12에 비해 감소된 기간 T14-T15 동안 전력 전달 회로(30)의 스위칭 동작을 인에이블 시키는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기간 T11-T12에 비해 감소된 기간 T14-T15 동안 기준 신호로서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기간 T15-T16은 기준 신호의 디스에이블 기간으로 제어 신호(CTRL)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시점 T16에 피드백 신호(FBMOD)가 감소하면,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피드백 신호(FBMOD)의 감소에 따라 전력 전달 시간이 감소되도록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기간 T14-T15에 비해 감소된 기간 T17-T18 동안 전력 전달 회로(30)의 스위칭 동작을 인에이블 시키는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전력 동작 제어부(520)는 기간 T14-T15에 비해 감소된 기간 T17-T18 동안 기준 신호로서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기간 T18-T19은 기준 신호의 디스에이블 기간으로 제어 신호(CTRL)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B에서 시점 T19 이후에, 피드백 신호(FBMOD)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입력 전압(VIN_R)의 다음 주기(도시하지 않음)의 입력 전류(INP)는 기간 T17-T18과 동일한 기간 동안 전력 전달 회로(30)로 흐를 수 있다.
전력 전달 회로(3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달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전달 회로(30)는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 mode power supply)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전달 회로(30)는 입력 전압(VIN_R)에 연결되어 있는 1차측 권선(W1), 부하(50)에 연결되어 있는 2차측 권선(W2), 전력 스위치(32), 듀티 생성기(31), 정류 다이오드(D1), 커패시터(C2), 및 저항(R2)을 포함한다.
듀티 생성기(31)는 제어 신호(CTRL)에 따르는 듀티로 전력 스위치(3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입력 전류(INP)의 크기가 제어되는 경우, 듀티 생성기(31)는 제어 신호(CTRL)에 따른 듀티로 전력 스위치(3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전력 전달 시간이 제어되는 경우, 듀티 생성기(31)는 소정 듀티로 전력 스위치(3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 시킬 수 있다.
전력 스위치(32)의 온 기간 동안 1차측 권선(W1)에 전류가 흘러, 1차측 권선(W1)에 에너지가 저장되고, 전력 스위치(32)의 오프 기간 동안 2차측 권선(W2)에 흐르는 전류가 정류 다이오드(D1)를 통해 커패시터(C2) 및 부하(50)에 공급된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달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전달 회로(30)는 트랜지스터(34), 선형 레귤레이터(33), 및 저항(R3)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34)의 드레인은 부하(50)에 연결되어 있고, 트랜지스터(34)의소스와 그라운드 사이에는 저항(R3)이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34)의 게이트에는 선형 레귤레이터(33)의 출력단이 연결되어 있다.
선형 레귤레이터(33)는 연산 증폭기로 구현될 수 있고, 선형 레귤레이터(33)의 비반전 단자(+)에 제어 신호(CTRL)가 입력되어 입력 전류(INP)의 크기를 제어하거나 전력 전달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선형 레귤레이터(33)의 반전 단자(-)에는 저항(R3)의 전압이 입력되고, 선형 레귤레이터(33)의 출력은 반전 단자(-)와 비반전 단자(+) 각각의 입력 차에 따라 결정된다. 선형 레귤레이터(33)의 출력에 따라 트랜지스터(34)에 흐르는 전류가 제어되어 반전 단자(-)와 비반전 단자(+) 각각의 입력이 동일하도록 제어된다. 즉, 제어 신호(CTRL)에 따라 부하(50)에 흐르는 전류가 제어되어 입력 전류(INP)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입력 전류(INP)의 크기가 제어되는 경우, 트랜지스터(34)에 흐르는 전류가 제어 신호(CTRL)에 따르는 크기로 제어된다.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전력 전달 시간이 제어되는 경우, 기준 신호인 제어 신호(CTRL)의 인에이블 기간 동안 트랜지스터(34)에 전류가 제어 신호(CTRL)에 따르는 크기로 흐르고, 제어 신호(CTRL)의 디스에이블 기간 동안 트랜지스터(34)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실시 예를 통해 위상-컷 디밍이 적용된 전력 시스템에서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루프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지금까지 실시 예들은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한 결과를 피드백 받지만,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개방 루프(open loop) 방식으로 전력 전달 회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부하(50)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한다.
앞서 실시 예들과 비교해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는 부하(50)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지 않고, 입력 전압(VIN_R)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에 따라 제1 제어 신호(CTRL1)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입력 전압 감지부(600)는 입력 전압(VIN_R)의 위상각(PT2/(PT1+PT2), 도 3 참조), 입력 전압(VIN_R)의 기간(PT1) 또는 기간(PT2), 입력 전압(VIN_R)의 피크 또는 평균, 및 입력 전압(VIN_R)의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제1 제어 신호(CTRL1)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 전압(VIN_R)의 피크는 한 주기 기간 중의 피크를 의미하고, 입력 전압(VIN_R)의 한 주기 평균을 의미한다. 아울러 입력 전압(VIN_R)의 레벨을 감지한다는 의미는 입력 전압(VIN_R)이 소정의 임계 전압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입력 전압 감지부(600)가 위상각 검출부(610) 및 레벨 감지부(6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상각 검출부(610)는 입력 전압(VIN_R)을 감지하여 입력 전압(VIN_R)의 위상각을 검출하고, 검출된 위상각에 따라 제1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각 검출부(610)는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위상각 검출부(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위상각을 검출하고, 검출된 위상각에 따라 제1 제어 신호(CTRL1)를 생성한다.
레벨 감지부(620)는 입력 전압(VIN_R)의 레벨을 감지하고, 감지된 레벨에 따라 제1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 감지부(620)는 입력 전압(VIN_R)과 소정의 임계 전압을 비교하고, 입력 전압(VIN_R)이 임계 전압 이상인 구간 동안 인에이블 되는 제1 제어 신호(CTRL1)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전달 제어부(700)는 앞서 실시 예와 동일하게 입력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거나 전력이 전달되는 시간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력 전달 제어부(700)는 입력 전류 제어부(710) 및 전력 동작 제어부(7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전류 제어부(710)는 제1 제어 신호(CTRL1)에 따라 입력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CTRL2)를 생성한다. 앞서 도 7A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력 전달 회로(30)는 제2 제어 신호(CTRL2)에 따라 입력 전류의 크기를 제어한다.
전력 전달 회로(30)가 도 8에 도시된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인 경우, 전력 전달 회로(30)는 제2 제어 신호(CTRL2)에 따르는 듀티로 전력 스위치(3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전력 전달 회로(30)가 도 9에 도시된 선형 레귤레이터(33)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제어 신호(CTRL2)는 선형 레귤레이터(33)의 비반전 단자(+)에 공급되는 기준 신호일 수 있다.
전력 동작 제어부(720)는 제1 제어 신호(CTRL1)에 따라 전력 전달 시간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CTRL2)를 생성한다. 앞서 도 7B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력 전달 회로(30)는 제2 제어 신호(CTRL2)에 따라 전력 전달 시간을 제어한다.
전력 전달 회로(30)가 도 8에 도시된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인 경우, 전력 전달 회로(30)는 제2 제어 신호(CTRL2)에 따라 전력 스위치(32)의 스위칭 동작을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 시킬 수 있다.
또는, 전력 전달 회로(30)가 도 9에 도시된 선형 레귤레이터(33)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제어 신호(CTRL2)는 선형 레귤레이터(33)의 비반전 단자(+)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신호(CTRL2)가 소정의 레벨을 가지는 인에이블 기간 동안 선형 레귤레이터(33)의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33)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2 제어 신호(CTRL2)가 그라운드 레벨인 디스에이블 기간 동안 선형 레귤레이터(33)의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33)가 턴 오프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 에에서는 입력 전압의 위상각 및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전력 전달을 제어하였으나, 입력 전압도 고려하지 않고,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부하에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의 적용 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부하(50)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한다.
전력 동작 제어부(800)는 일정한 레벨을 가지는 제어 신호(CTRLC)를 입력받고, 제어 신호(CTRLC)에 따르는 기간 동안 전력을 전달하도록 전력 전달 회로(30)를 제어하는 제3 제어 신호(CTRL3)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전달 회로(30)가 도 8에 도시된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인 경우, 전력 전달 회로(30)는 제3 제어 신호(CTRL2)에 따라 전력 스위치(32)의 스위칭 동작을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 시킬 수 있다.
또는, 전력 전달 회로(30)가 도 9에 도시된 선형 레귤레이터(33)를 포함하는 경우 제3 제어 신호(CTRL3)는 선형 레귤레이터(33)의 비반전 단자(+)에 공급된다. 이 때, 제3 제어 신호(CTRL3)가 소정의 레벨을 가지는 인에이블 기간 동안 선형 레귤레이터(33)의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33)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3 제어 신호(CTRL3)가 그라운드 레벨인 디스에이블 기간 동안 선형 레귤레이터(33)의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33)가 턴 오프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디머
20: 정류 회로
30: 전력 전달 회로
100, 610: 위상각 검출부
200: 부하 감지부
300: 피드백 신호 생성부
310: 기준 신호 생성부
320: 루프 제어부
400: 피드백 신호 변조부
410: 히스테리시스 필터
420: 로패스 필터
500, 700: 전력 전달 제어부
510: 입력 전류 제어부
520, 800: 전력 동작 제어부
600: 입력 전압 감지부
620: 레벨 감지부

Claims (20)

  1. 위상-컷 디밍에 의한 입력 전압의 위상각을 검출하는 위상각 검출부,
    상기 검출된 위상에 대응하는 제1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초기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신호 생성부,
    상기 초기 피드백 신호를 변조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신호 변조부,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전력 전달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전달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부하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전달 회로를 포함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 변조부는,
    상기 초기 피드백 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복수의 히스테리시스 레벨 중 대응하는 히스테리시스 레벨을 상기 피드백 신호로 출력하는 히스테리시스 필터를 포함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전달 회로로 흐르는 입력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입력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듀티를 제어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한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전달 회로로부터 부하로 전력이 전달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전력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동작 제어부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전력이 전달되는 시간을 검출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소정 레벨 이상인 기간 동안 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전력 전달 회로를 제어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인에이블 기간 동안 스위칭 동작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한 기준 신호의 인에이블 기간 동안 상기 입력 전류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 전달 회로에서 상기 기준 신호의 디스에이블 기간 동안 입력 전류가 발생하지 않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11.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선형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를 피드백 받아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로 공급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 또는 상기 입력 전류가 흐르는 기간을 제어하는 전력 전달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를 변조하는 피드백 신호 변조부를 더 포함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공급되는 입력 전압의 위상각을 검출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는,
    상기 위상각에 기초한 기준 신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신호 간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는,
    상기 검출된 위상각이 소정의 임계 값 이상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레귤레이션 하기 위한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한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한 기준 신호의 인에이블 기간 동안 상기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류를 제어하고,
    상기 기준 신호의 디스에이블 기간 동안 입력 전류가 발생하지 않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공급되는 입력 전압이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소정 레벨 이상인 기간을 상기 기준 신호의 인에이블 기간으로 결정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19.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선형 레귤레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에 공급되는 입력 전압을 감지한 결과에 기초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전압 감지부,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로 공급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 또는 상기 입력 전류가 흐르는 기간을 제어하는 전력 전달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20. 적어도 하나의 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선형 레귤레이터, 및
    설정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로 공급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 또는 상기 입력 전류가 흐르는 기간을 제어하는 전력 전달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상-컷 디밍 제어 시스템.
KR1020150154687A 2014-11-10 2015-11-04 위상-컷 디밍을 위한 제어 시스템 KR201600556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77394P 2014-11-10 2014-11-10
US62/077,394 2014-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696A true KR20160055696A (ko) 2016-05-18

Family

ID=5591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687A KR20160055696A (ko) 2014-11-10 2015-11-04 위상-컷 디밍을 위한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872349B2 (ko)
KR (1) KR201600556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9681A2 (en) 2012-12-17 2014-06-26 Ecosense Light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mming of a light source
JP6551735B2 (ja) * 2015-06-09 2019-07-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調光点灯回路及び照明器具
CN104981060B (zh) * 2015-06-18 2016-08-31 深圳市晟碟半导体有限公司 一种可降低灯芯数量的线性恒流led驱动装置
US20210289596A1 (en) * 2016-08-26 2021-09-16 Ozuno Holdings Limited Signalling Method for Dimmers Controlling a Load
WO2018132110A1 (en) 2017-01-15 2018-07-19 Ecosense Lighting Inc. Lighting system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periodic values of a phase angle of a waveform power input
US10483850B1 (en) 2017-09-18 2019-11-19 Ecosense Lighting Inc. Universal input-voltage-compatible switched-mode power supply
US11051386B2 (en) 2018-09-06 2021-06-29 Lsi Industries, Inc. Distributed intelligent network-based lighting system
US11109455B2 (en) * 2018-12-07 2021-08-31 Hubbell Incorporated Automatic trimming for a dimmer switch
US11543995B2 (en) 2021-03-22 2023-01-03 Micron Technology, Inc. Feedback for multi-level signaling in a memo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5452B1 (en) * 2006-09-07 2007-11-13 Green Mark Technology Inc. Activ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667408B2 (en) 2007-03-12 2010-02-23 Cirrus Logic, Inc. Lighting system with lighting dimmer output mapping
US8102167B2 (en) * 2008-03-25 2012-01-24 Microsemi Corporation Phase-cut dimming circuit
US7759881B1 (en) * 2008-03-31 2010-07-20 Cirrus Logic, Inc. LED lighting system with a multiple mode current control dimming strategy
US8729870B2 (en) * 2008-08-15 2014-05-20 Analog Modules, Inc. Biphase laser diode driver and method
US9155174B2 (en) * 2009-09-30 2015-10-06 Cirrus Logic, Inc. Phase control dimming compatible lighting systems
US8492987B2 (en) * 2009-10-07 2013-07-23 Lutron Electronics Co., Inc. Load control device for a light-emitting diode light source
CN102238773A (zh) * 2010-04-30 2011-11-09 奥斯兰姆有限公司 Led驱动方法和***
CN102238774B (zh) * 2010-04-30 2016-06-01 奥斯兰姆有限公司 导通角获取方法和装置,以及led驱动方法和装置
US9942954B2 (en) * 2010-05-14 2018-04-10 Lumastream Canada U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olid state lighting via dithering
US8680787B2 (en) * 2011-03-15 2014-03-25 Lutron Electronics Co., Inc. Load control device for a light-emitting diode light source
US9066381B2 (en) * 2011-03-16 2015-06-23 Integrated Illuminatio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low level dimming
US20130229215A1 (en) * 2012-03-02 2013-09-05 Laurence P. Sadwick Variable Resistance for Driver Circuit Dithering
CN102612227B (zh) * 2012-03-09 2014-02-12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混合调光电路及其混合调光方法
US9131581B1 (en) * 2014-03-14 2015-09-08 Lightel Technologies, Inc. Solid-state lighting control with dimmability and color temperature tunability
EP2953426B1 (en) * 2014-06-06 2017-08-30 Silergy Corp. Switched mode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35265A1 (en) 2016-05-12
US9872349B2 (en) 2018-01-16
US20180098398A1 (en) 2018-04-05
US10412798B2 (en) 201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5696A (ko) 위상-컷 디밍을 위한 제어 시스템
US8344707B2 (en) Current sensing in a switching power converter
TWI538374B (zh) System controll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wer conversion system
US9621053B1 (en) Peak power control technique for primary side controller operation in continuous conduction mode
US9119254B2 (en) Light emitting device power supply circuit with dimming function and control circuit thereof
US85879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rect control of a converter output
KR100418623B1 (ko) 일정전력유지제어회로를가진스위칭모드파워서플라이
EP2909924B1 (en) Driver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driving a load
US106601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light source comprising voltage feedback circuit and current feedback circuit
JP2011004595A (ja) 力率補正機能を用いて負荷を駆動するための回路および方法
JP2013223389A (ja) 電源供給システム
WO2015089242A1 (en) Primary sensing of output voltage for an ac-dc power converter
US9071147B2 (en) Average input current estimation based on primary side current sense
KR20100048769A (ko) 역률 보상 회로 및 역률 보상 회로의 구동 방법
US9071133B2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device and use of such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device
KR100636241B1 (ko) 능동적 로드 검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및 그 스위칭방법
US10148170B2 (en)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magnetizing current shaping
US10172195B2 (en) LED driver
KR101135893B1 (ko) 전원공급장치
KR20170044181A (ko) 공급 전압 검출 디바이스 및 공급 전압 검출 방법
KR101216677B1 (ko) Led조명용 ac-dc컨버터의 제어기
KR101705831B1 (ko) 발광 장치를 위한 조광 장치
KR102367335B1 (ko) 발광 다이오드들을 구동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모듈, 그것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CN111293886A (zh) 具有输出电流校准的反激转换器
KR20150037192A (ko)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