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986A -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986A
KR20160050986A KR1020140150271A KR20140150271A KR20160050986A KR 20160050986 A KR20160050986 A KR 20160050986A KR 1020140150271 A KR1020140150271 A KR 1020140150271A KR 20140150271 A KR20140150271 A KR 20140150271A KR 20160050986 A KR20160050986 A KR 20160050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bound
plates
bar
plat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293B1 (ko
Inventor
최원용
김배홍
임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5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2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hinged to the rotor; Hammer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를 파쇄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상기 원료가 파쇄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해머,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해머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발판, 각각의 상기 반발판 상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반발판의 위치변화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위치감지기를 포함하여, 해머와 반발판 사이의 간격을 모니터링하고 원료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쇄장치{Crusher}
본 발명은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사하게는 해머와 반발판 사이의 간격을 모니터링하여 원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탄파쇄장치(Coal Crusher)는 야드(Yard)에 적치된 석탄(Coal)을 공급받아 소정의 입도로 균일하게 파쇄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석탄파쇄장치는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반발판 및 반발판 사이에서 로터에 의해 회전하는 해버를 구비하고, 해머의 회전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는 석탄을 반발판과 충돌시켜 파쇄한다. 또한, 반발판에 유압실린더가 장착되며,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해머와 반발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석탄을 원하는 입자크기로 파쇄할 수 있다.
한편, 석탄파쇄장치가 석탄을 적정입자, 즉 3mm 정도로 연속해서 파쇄하면 해머와 반발판이 마모되고, 이로 인해 해머와 반발판 사이의 간격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고른 입자크기의 코크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해머와 반발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석탄의 적정입도를 유지시켜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하우징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유압실린더로 반발판을 이동시키면서 작업자가 청음봉을 이용하여 반발판과 해머의 충돌음을 청취하고 육감으로 해머와 반발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였다. 따라서, 조정작업의 정확도가 낮아 해머와 반발판 사이의 간격이 올바로 조정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해머와 반발판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을 경우 설비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석탄의 입도관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코크스의 품질도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33100호
본 발명은 해머와 반발판 사이의 간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파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파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료를 파쇄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상기 원료가 파쇄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해머;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해머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발판; 각각의 상기 반발판 상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반발판의 위치변화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위치감지기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감지기는, 상기 반발판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된 상기 반발판의 위치변화를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시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일단이 상기 반발판 외부벽에 연결되고 상기 반발판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바의 이동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바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회전바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반발판의 위치를 표시하는 알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알림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반발판이 배치되는 모양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전달유닛; 및 상기 회전바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달유닛을 권취하는 감속유닛를 포함한다.
상기 감속유닛은 상기 회전바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전달유닛을 권취한다.
상기 알림부재는, 내부에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일단이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벽에 지지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알림부재는, 상기 회전바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반발판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바는,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반발판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바디의 타측 일면에 요철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반발판의 상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반발판을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감지기는 일측이 상기 반발판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기는 일단이 상기 위치감지기의 일측과 근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위치감지기 또는 상기 구동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위치감지기가 표시하는 상기 반발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파쇄장치는 위치감지기를 구비하여 반발판의 위치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발판과 해머 사이의 간격, 반발판의 위치, 또는 반발판이 틀어져서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형상을 그대로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반발판이 정위치에 있는지 불량인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해머와 반발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때, 반발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작업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해머와 반발판 사이의 정확한 간격설정에 따른 석탄입자의 고른 분포를 얻음으로 생산되는 코크스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해머와 반발판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 해머 또는 반발판이 조기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정확한 간격조정에 의한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 피더, 및 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 피더, 및 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100)는, 원료를 파쇄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상기 원료가 파쇄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해머(12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상기 해머(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발판(131,132), 각각의 상기 반발판(131,132) 상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반발판(131,132)의 위치변화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위치감지기(140)를 포함한다. 또한, 파쇄장치(100)는 회전축(160), 샤프트(170), 구동기(150) 및 제어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원료는 석탄일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파쇄장치(100)의 상측에는 원료를 일정하게 공급 가능하도록 피더(300) 및 슈트(2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피더(300) 및 슈트(200)를 통해 파쇄장치(100)로 공급되는 원료는 하우징(11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과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해머(120)와 반발판(131,132) 사이를 통과하면서 소정 입도로 파쇄될 수 있다. 소정 입도로 파쇄된 원료는 하우징(11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과하여 파쇄장치(100) 하측에 배치되는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되고 후속 공정 예를 들어 코크스 제조 공정을 위해 운반될 수 있다.
그러나, 파쇄장치(100)가 원료를 연속해서 파쇄하면 해머(120) 또는 반발판(131,132)이 마모되고, 이로 인해 해머(120)와 반발판(131,132) 사이의 간격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해머(120)와 반발판(131,132)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원료의 적정입도를 유지시켜주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100)는 위치감지기(140)를 구비하여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면서 해머(120)와 반발판(131,132)의 위치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해머(120)와 반발판(131,132)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부에 해머(120) 및 반발판(131,132)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원료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원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110) 내부에 높이방향으로 원료가 통과하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해머(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방사상 배치되고, 하우징(110) 내부로 공급되는 원료를 타격하여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회전가능하게 회전축(160)이 설치되고, 회전축(16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샤프트(170)가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170)의 단부에는 해머(120)가 장착되며, 해머(120)는 회전축(16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6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110) 내부로 공급되는 원료를 타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해머(120)를 원료와 충돌시켜 원료를 파쇄할 수 있다.
반발판(131,132)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판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의 곡률을 가져 해머(120)를 감싸는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반발판(131,132)은 해머(120)를 마주보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내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제1 반발판(131)과 제2 반발판(13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해머(120)와 반발판(131,132)의 사이를 통과하는 원료의 파쇄가 용이하도록 해머(120)를 마주보는 반발판(131,132)의 일측에 단차면(또는 요철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발판(131,13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기(150)는 각각의 상기 반발판(131,132)의 상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반발판(131,132)을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으로 전후진시킨다. 구동기(150)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고,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폭방향으로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하우징(110) 내부의 반발판(131,13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150)는 각각의 반발판(131,132)의 외측벽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 구동기(151)와 반발판(131,132) 외측벽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 구동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기(150)의 일단은 후술될 위치감지기(140)의 일측과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감지기(140)가 구동기(150)의 의한 반발판(131,132)의 위치변화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위치감지기(140)는, 상기 반발판(131,132)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된 상기 반발판(131,132)의 위치변화를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시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이때, 위치감지기는 일측이 상기 반발판(131,132)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위치감지기(140)의 일단이 반발판(131,132)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반발판(131,132)의 위치변화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지부는, 일단이 상기 반발판(131,132) 외부벽에 연결되고 상기 반발판(131,13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바(141), 및 상기 이동바(141)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바(141)의 이동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바(142)를 포함한다.
이동바(141)는,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바디(141c), 상기 바디(141c)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반발판(131,132)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141a), 및 상기 바디(141c)의 타측 일면에 요철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142)를 회전시키는 접촉부(141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반발판(131)에 상하부에 한 쌍의 지지대(131a)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연결부(141a)는 'T'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지지대(131a)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2 반발판에도 지지대가 구비되어 이동바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반발판(131,132)의 위치상태가 기울어지더라도 연결부(141a)가 회전하여 반발판(131,132)의 위치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41b)는 요철모양으로 형성되어 후술될 회전바(142)와 접촉한다. 이에, 이동바(141)가 반발판(131,132)에 의해 폭방향으로 전후진하면 접촉부(141b)가 전후진하면서 회전바(1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바디(141c)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디(141c)는 두 개로 분할되어 중심부가 굴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되는 일측에는 구 모양의 부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반원모양의 부재가 형성되어 구 모양의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해줄 수 있다. 이에, 바디(141c)의 중심부가 굴절될 수 있어 반발판(131,132)의 위치상태가 기울어지더라도 바디(141c)가 굴절하여 반발판(131.132)의 위치변화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바(141)는 반발판(131,132)의 복수 위치에 연결되어 반발판(131,132)의 위치변화를 복수 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바(141)는 반발판(131,132) 사방의 가장자리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이동바(141)는 반발판(131,132)의 폭방향 위치변화 및 반발판(131,132)의 길이방향 틀어짐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구비되는 이동바(141)의 개수나 반발판(131,132)에 연결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회전바(142)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회전바(142)의 일단은 톱니바퀴 모양(142a)으로 형성되어 이동바(141)의 접촉부(141a)와 접촉한다. 이에, 이동바(141)가 반발판(131,132)에 의해 전후진하면 이동부(141) 접촉바(141a)와 맞물린 회전바(142)의 톱니바퀴(142a)가 회전하여 회전바(142)가 회전할 수 있다. 즉, 이동바(141)는 반발판(131,132)의 이동을 감지하고, 회전바(142)는 이동바(141)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알림부는, 상기 회전바(142)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142)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표시하는 알림부재(143)를 포함한다.
알림부재(143)는 상기 하우징(441)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반발판(131,132)이 배치되는 모양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143a,143b),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143a,143b)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전달유닛(143e), 및 상기 회전바(142)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1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달유닛(143e)을 권취하는 감속유닛(143c)을 포함한다.
또한, 알림부재(140)는, 내부에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143a,143b)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43i), 및 일단이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143a,143b)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143i)의 내부벽에 지지되어 상기 플레이트(143a,143b)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4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43i)는 하우징(110)의 외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플레이트(143a,143b)가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외부에서 작업자가 케이스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케이스(143i)의 일측이 개방되거나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유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케이스(143i)는 하우징(11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143i)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플레이트(143a,143b)는 반발판(131,132)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43a,143b)는 케이스(143i) 내에서 반발판(131,132)이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되어 반발판(131,132)이 배치되는 모양대로 또는 배치되는 모양과 동일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143i)의 내부 양측에 반발판(131,132)이 배치되는 모양대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제1 플레이트(143a)와 제2 플레이트(143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143a,143b)가 후술될 전달유닛(143e)에 의해 이동하면서 하우징() 내부의 반발판()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는 반발판()의 위치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전달유닛(143e)은 와이어일 수 있다. 전달유닛(143e)은 감속유닛(143c)이 구비되는 개수만큼 복수개가 구비되고 일단이 플레이트(143a,143b)의 상단 또는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될 감속유닛(143c)에 연결된다. 즉, 반발판(131,132)이 이동하면 이동바(141)가 이동하여 회전바(142)를 회전시키고, 회전바(141)가 회전하면 감속유닛(143c)이 전달유닛(143e)을 권취하여 플레이트(143a,143b)를 반발판(131,132)의 위치변화에 대응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플레이트(143a,143b)의 위치를 보고 하우징(110) 내부의 반발팔(131,132)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전달유닛(143e)은 플레이트(143a,143b)의 복수 위치에 연결되어 플레이트(143a,143b)의 위치변화를 복수 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유닛(143e)은 플레이트(143a,143b) 사방의 가장자리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플레이트(143a,143b)는 반발판(131,132)의 폭방향 위치변화 및 반발판(131,132)의 길이방향 틀어짐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구비되는 전달유닛(143e)의 개수나 플레이트(143a,143b)에 연결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감속유닛(143c)은 회전바(142)와 연결되어 회전바(142)가 전달하는 회전력을 감속한다. 예를 들어, 케이스(143i) 또는 플레이트(143a,143b)는 하우징(110) 또는 반발판(131,132)의 1/30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반발판(131,132)의 이동으로 회전바(142)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유닛(143e)에 바로 전달하면 플레이트(143a,143b)가 반발판(131,132)에 대응했을 때 30배 많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43a,143b)를 반발판(131,132)이 이동한 거리만큼만 반발판(131,132)에 대응하여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회전바(142)가 전달하는 회전력을 감속하여 플레이트(143a,143b)에 전달해야 한다.
즉, 감속유닛(143c)은 플레이트(143a,143b)의 반발판(131,132) 대비 감소한 크기만큼 회전바(142)의 회전을 감속하여 플레이트(143a,143b)의 위치를 반발판(131,132)의 위치와 대응하는 모양으로 배치시킬 수 있고, 작업자는 플레이트(143a,143b)의 위치를 보고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감속유닛(143c)은 회전바(14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전달유닛(143e)을 권취할 수 있다. 즉, 감속유닛(143c)이 회전바(142)의 회전방향으로 전달유닛(143e)을 권취하면 플레이트(143a,143b)가 반발판(131,132)이 이동한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감속유닛(143c)이 회전바(14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전달유닛(143e)을 권취하여 플레이트(143a,143b)가 반발판(131,132)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반발판(131,132)과 해머(12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때 플레이트(143a,143b)의 배치되는 모양을 보고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작업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탄성부재(143d)는 스프링일 수 있고 복수개가 구비되어 일단이 플레이트(143a,143b)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케이스(143i)의 내부벽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유닛(143e)은 케이스(143f)와 탄성부재(143d)의 중심을 관통하여 플레이트(143a,143b)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43d)는 플레이트(143a,143b)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감속기(143c)가 전달부재(143e)를 풀어주는 경우 전달부재(143e)가 플레이트(143a,143b) 측으로 길이가 길어져 쳐질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43d)가 탄성력으로 전달유닛(143e)이 쳐진 만큼 플레이트(143a,143b)를 밀어주기 때문에, 전달유닛(143e)이 플레이트(143a,143b)를 따라 이동하여 팽팽해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유닛(143d)은 전달유닛(143e)의 텐션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기(160)는 상기 위치감지기(140) 또는 상기 구동기(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위치감지기(140)가 표시하는 상기 반발판(131,132)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기(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위치감지기(140)에 표시되는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면서 제어기(160)를 통해 구동기(150)를 작동을 제어하여 반발판(131,132)과 해머(120)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알림부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알림부재(143)는, 상기 회전바(142)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143)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센서(143f), 및 상기 센서(143f)와 연결되어 상기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143g)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43f)는 회전바(142)와 연결되어 회전바(142)의 회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43f)는 엔코더(encorder)일 수 있고, 회전바(142)의 회전각 변위를 측정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바(142)의 회전량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유닛(143g)은 센서(143f)와 연결되고 센서(143f)에서 전달된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유닛(143g)에는 반발판(131,132)과 대응하는 형상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시될 수 있고, 반발판(131,132)이 이동하면 센서(143f)가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유닛(143g)에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며, 디스플레이유닛(143g)은 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유닛(143g)을 모니터링하면서 반발판(131,132)과 해머(120)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유닛(143g)은 제어기(160)와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유닛(143g)에 표시되는 반발판(131,132)에 대응하는 그림의 위치를 조정하면, 제어기(160)가 작동하여 디스플레이유닛(143g)에 표시되는 그림대로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은, 반발판의 직선운동을 감지하는 과정(S100), 상기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과정(S200), 상기 회전운동으로 인한 회전량을 측정하는 과정(S300), 및 상기 측정된 값을 통해 상기 반발판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과정(S400)을 포함한다.
파쇄장치(100)가 원료를 연속해서 파쇄하면 해머(120) 또는 반발판(131,132)이 마모되고, 이로 인해 해머(120)와 반발판(131,132) 사이의 간격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해머(120)와 반발판(131,132)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원료의 적정입도를 유지시켜주어야 한다. 이에,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면서 해머(120)와 반발판(131,132)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구동기(150)는 각각의 반발판(131,132)의 외측벽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 구동기(151)와 반발판(131,132) 외측벽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 구동기(152)를 포함하여, 반발판(131,132)을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발판(131,132)의 위치 조정시 구동기(150)의 작동을 제어하면 반발판(131,132)이 직선운동을 한다. 이에, 반발판(131,132)에 연결된 이동바(141)가 반발판(131,132)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고, 이동바(141)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회전바(142)를 회전시킨다. 즉, 회전바(142)는 이동바(141)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그러면, 알림부재(143)가 회전바(142)의 회전량을 측정하여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속기(143c)가 회전바(14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전달유닛(143e)을 권취하여 플레이트(143a,143b)를 이동시킨다. 이때, 감속기(143c)는 회전바(142)의 회전량을 반발판(131,132) 대비 플레이트(143a,143b)의 크기에 맞게 감속하여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플레이트(143a,143b)가 동일하게 나타내게 할 수 있다.
또는, 센서(143f)가 회전바(142)의 회전량을 측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유닛(143g)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유닛(143g)이 화면으로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유닛(143g)에 표시된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보고 하우징(110) 내부의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제1 반발판(131)의 상측은 너무 전진한 상태이고 하측은 너무 후진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제1 반발판(131)의 상측에 연결된 이동바는 전진하고, 하측에 연결된 이동바는 후진한 상태일 수 있다. 그러면, 제1 반발판(131)의 상측과 연결된 이동바가 회전바를 회전시키고 감속기는 회전바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전달유닛을 풀어준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143a)의 상측에 연결된 전달유닛이 느슨해지고 탄성유닛이 제1 플레이트(143a)의 상측을 전진시켜 제1 반발판(131)의 상측과 같은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반발판(131)의 하측에 연결된 이동바도 회전바를 회전시키고 감속기는 회전바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전달유닛을 감아준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143a)의 하측에 연결된 전달유닛이 제1 플레이트(143a)의 하측을 후진시켜 제1 반발판(131)의 하측과 같은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반발판(132)도 제2 플레이트(143b)를 통해 위치가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작업자는 플레이트(143a,143b)의 위치를 보고 하우징(110) 내부의 반발판(131,132)의 위치가 잘못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60)를 통해 구동기(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반발판(131)의 상부가 너무 전진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부 구동기(151)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1 반발판(131)의 상측을 후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1 반발판(131)의 상측이 후진하면서 제1 플레이트(143a)의 상측도 이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제1 플레이트(143a)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면서 하우징(110) 내부의 제1 반발판(131)을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반발판(131)의 하측은 너무 후진한 상태이기 때문에, 하부 구동기(152)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1 반발판(131)의 하측을 전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1 플레이트(143a)의 하측도 이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반발판(132)도 제2 플레이트(143b)를 통해 위치를 모니터링하면서 위치조정을 할 수 있다. 이에, 반발판(131,132)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해머(120)와 반발판(131,132) 사이의 정확한 간격설정에 의해 생산되는 원료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해머(120)와 반발판(131,132)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 해머(120) 또는 반발판(131,132)이 조기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정확한 간격조정에 의한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파쇄장치 110: 하우징
120: 해머 131,132: 반발판
140: 위치감지기 141: 이동바
142: 회전바 143: 알림부재
150: 구동기

Claims (11)

  1. 원료를 파쇄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상기 원료가 파쇄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해머;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해머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발판;
    각각의 상기 반발판 상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반발판의 위치변화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위치감지기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기는, 상기 반발판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된 상기 반발판의 위치변화를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시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일단이 상기 반발판 외부벽에 연결되고 상기 반발판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바의 이동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바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회전바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반발판의 위치를 표시하는 알림부재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반발판이 배치되는 모양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전달유닛; 및 상기 회전바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달유닛을 권취하는 감속유닛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속유닛은 상기 회전바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전달유닛을 권취하는 파쇄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재는, 내부에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일단이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벽에 지지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재는, 상기 회전바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반발판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하는 파쇄장치.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는,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반발판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바디의 타측 일면에 요철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반발판의 상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반발판을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기는 일측이 상기 반발판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구동기는 일단이 상기 위치감지기의 일측과 근접하게 배치되는 파쇄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기 또는 상기 구동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위치감지기가 표시하는 상기 반발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KR1020140150271A 2014-10-31 2014-10-31 파쇄장치 KR10166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271A KR101667293B1 (ko) 2014-10-31 2014-10-31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271A KR101667293B1 (ko) 2014-10-31 2014-10-31 파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986A true KR20160050986A (ko) 2016-05-11
KR101667293B1 KR101667293B1 (ko) 2016-10-18

Family

ID=5602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271A KR101667293B1 (ko) 2014-10-31 2014-10-31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6905A (zh) * 2017-05-17 2019-12-31 凯斯特工程设备有限公司 冲击式破碎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985B1 (ko) * 1996-09-17 2000-09-01 이구택 석탄파쇄장치의 반발판 간격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00066197A (ko) * 1999-04-14 2000-11-15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반도체패키지
KR200438303Y1 (ko) * 2006-12-29 2008-0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형강부재 고정 및 측정 장치
KR20120033100A (ko)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석탄 파쇄 장치 및 석탄 파쇄입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985B1 (ko) * 1996-09-17 2000-09-01 이구택 석탄파쇄장치의 반발판 간격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00066197A (ko) * 1999-04-14 2000-11-15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반도체패키지
KR200438303Y1 (ko) * 2006-12-29 2008-0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형강부재 고정 및 측정 장치
KR20120033100A (ko)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석탄 파쇄 장치 및 석탄 파쇄입도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6905A (zh) * 2017-05-17 2019-12-31 凯斯特工程设备有限公司 冲击式破碎机
US11691153B2 (en) 2017-05-17 2023-07-04 Keestrack N.V. Impact cru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293B1 (ko) 201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108B1 (ko) 파이프 직진도 교정기
CN100533098C (zh) 用于监视链条中异常现象的装置
US10279354B2 (en) Impact crusher and curtain adjustment system
US10632474B2 (en) Disintegrating device comprising a comb system
US20130284839A1 (en) Impact mill having a rotor-positioning device
EP2866939B1 (en) Impact crusher rotor position detection and control
KR101667293B1 (ko) 파쇄장치
CN102788570B (zh) 矿井罐道变形在线监测仪
US201500762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crusher, a crusher and a method for adjusting a crusher
KR101669137B1 (ko) 컨베이어 벨트 손상 감지장치
JP2011088115A (ja) 竪型ローラミル及び竪型ローラミルに於ける加圧ローラ摩耗検出方法
CN203863329U (zh) 转盘式送螺钉机
JP2015145020A (ja) 回転式粉末圧縮成型装置の成型品排出装置
JP2003093903A (ja) 衝撃式粉砕機
AU2015238518A1 (en) Roller press
CN2762887Y (zh) 冲击式粉碎机自吸式进料装置
JP6867225B2 (ja) 衝撃式破砕機
KR101800640B1 (ko) 능동형 출구 간극 세팅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죠 크러셔
JP2009083088A (ja) ブリケットシートの分断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7306256B2 (ja) 竪型粉砕機用ローラタイヤの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CN106938771A (zh) 一种运输皮带溜槽堵料保护装置
JP6884976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及びその制御方法
CN205056192U (zh) 具齿板磨损限位器的颚式破碎机及齿板磨损限位器
CN107321436A (zh) 一种用于磨面机对辊间距自动调节的传动装置
KR200458470Y1 (ko) 파손 로드의 배출이 감지되는 로드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