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037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037A
KR20160047037A KR1020140142555A KR20140142555A KR20160047037A KR 20160047037 A KR20160047037 A KR 20160047037A KR 1020140142555 A KR1020140142555 A KR 1020140142555A KR 20140142555 A KR20140142555 A KR 20140142555A KR 20160047037 A KR20160047037 A KR 20160047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ne
signal
signal transmission
sour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원
강원형
이대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7037A/ko
Priority to US14/880,960 priority patent/US9898975B2/en
Publication of KR20160047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037A/ko
Priority to US15/870,047 priority patent/US1043116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 모듈들과 이들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간의 배선 작업이 용이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만곡된 표시패널;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모듈; 광원 모듈을 수납하는 바텀 케이스; 및 광원 모듈의 일단에 연결되어, 광원 모듈로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라인 및 기저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저 라인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원 모듈들과 이들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간의 배선 작업이 용이한 표시장치에 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field generating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켜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 에지형(edge type) 및 코너형(corner type)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 저전력 고효율 특성을 갖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주로 사용된다.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이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구성된 광원 모듈이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된다.
광원 모듈은 외부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 광을 방출한다. 이를 위해, 광원 모듈과 전원 공급부 간에 전선들이 연결된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많은 수의 광원 모듈들을 포함하는 바, 이로 인해 광원 모듈들과 전원 공급부 간에 더 많은 수의 전선들이 배치된다.
특히, 위와 같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곡면형 표시장치는 일반적인 표시자이에 비하여 더 많은 수의 광원 모듈들을 구비한다. 이는, 곡면형 표시장치가 대부분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곡면형 표시장치가 직사각형의 장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만곡되어 있는 것이 그 주된 원인인 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곡면형 표시장치의 단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광원 모듈들이 배열될 때 더 적은 수의 광원 모듈들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광원 모듈들이 만곡될 수밖에 없어 이들 광원 모듈들의 동작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종래의 곡면형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광원 모듈들은 표시장치의 장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이와 같은 경우 각 광원 모듈의 길이 방향이 만곡되지 않은 단변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므로, 광원 모듈들이 만곡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러한 구조로 인해, 종래의 곡면형 표시장치는 더 많은 수의 광원 모듈들을 필요로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곡면형 표시장치에서, 광원 모듈들과 전원 공급부 간의 배선이 더욱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원 모듈들과 전원 공급부 간의 배선 작업이 용이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만곡된 표시패널;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모듈; 광원 모듈을 수납하는 바텀 케이스; 및 광원 모듈의 일단에 연결되어, 광원 모듈로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라인 및 기저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저 라인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송부를 포함한다.
신호전송부는 가요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이다.
신호전송부는, 구동 라인의 일측 단부와 기저 라인의 일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된 구동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패드부; 및 구동 라인의 타측 단부, 기저 라인에서 분기된 분기 라인의 단부 및 광원 모듈에 각각 연결된 출력 패드부를 포함한다.
신호전송부는, 구동 라인과 분기 라인 사이에 위치한 절연층을 더 포함한다.
출력 패드부와 광원 모듈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구동 라인은 입력 패드에서 더 멀리 위치한 광원 모듈에 연결될수록 더 큰 선폭을 갖는다.
복수의 광원 모듈들은 각각, 광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을 포함하는 광원 어레이; 출력 패드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가된 구동 신호를 광원 어레이의 일측으로 공급하는 제 1 전송 라인; 출력 패드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가된 기저 신호를 광원 어레이의 타측으로 공급하는 제 2 전송 라인; 제 1 전송 라인의 일측 단부 및 제 2 전송 라인의 일측 단부가 위치한 패드부; 및 제 1 전송 라인의 일측 단부 및 제 2 전송 라인의 일측 단부를 제외한 제 1 전송 라인 및 제 2 전송 라인의 나머지 부분, 그리고 광원 어레이가 위치한 몸체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광원 모듈들은 입력 패드부에서 멀어질수록 더 큰 폭의 제 1 전송 라인을 갖는다.
신호전송부는 광원 모듈들과 바텀 케이스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측부 사이에 구비된다.
신호전송부는 바텀 케이스의 기저부에 부착된다.
신호전송부와 바텀 케이스의 기저부 사이에 구비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텀 케이스는, 신호전송부의 입력 패드부가 노출되는 접속홀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라인들이 구비된 신호전송부가 광원 모듈들과 전원 공급부 간의 배선을 담당한다. 따라서, 광원 모듈들과 전원 공급부 간의 배선이 용이해진다. 이에 따라, 배선 작업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패드부에서 더 멀리 위치한 광원 모듈일 수록 더 큰 선폭을 갖는 구동 라인에 접속된다. 따라서, 광원 모듈들로 입력되는 구동 신호들 간의 편차가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 1 신호전송부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 1 신호전송부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어느 하나의 광원 모듈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광원 어레이에 대한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제 1 신호전송부와 제 1 광원 모듈 간의 접속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바텀 케이스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그 표시 영역의 중앙부를 기점으로 양측이 둥글게 만곡된, 곡면형 표시장치이다. 이하,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모든 구성요소들은 구부러질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을 밝힌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케이스(100), 광원 모듈(163), 반사판(200), 확산판(400), 광학 시트(500), 몰드 프레임(600), 표시패널(700) 및 탑 케이스(800)를 포함한다. 위 열거된 구성요소들 중 확산판(400), 광학 시트(500), 몰드 프레임(600), 표시패널(700) 및 탑 케이스(800)는 둥글게 만곡된 형태를 이룬다.
바텀 케이스(100)는 그 내부에 수납공간을 포함한다. 수납공간에 복수의 광원 모듈(163)들, 복수의 지지대들(161, 168) 및 반사판(200)이 배치된다. 수납공간의 확보를 위해, 바텀 케이스(100)는 기저(基底; base)부(111) 및 복수의 측부(111b)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111)는 중심부를 기점으로 양측이 둥굴게 만곡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제 1 내지 제 4 측부들(111a, 111b, 111c, 111d) 각각은 이 기저부(111)의 각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다. 서로 인접한 측부(111b)들의 가장자리는 서로 연결된다. 제 1 내지 제 4 측부들(111a, 111b, 111c, 111d) 및 기저부(111)에 의해 둘러싸여 정의된 공간이 위에서 설명된 수납공간이 된다.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3 측부(111a, 111c)에 각각 걸림턱(635)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635)들에 의해 몰드 프레임(600)이 바텀 케이스(100)에 고정된다. 걸림턱(635)들은, 제 1 및 제 3 측부(111a, 111c)의 일부가 몰드 프레임(600)의 내측면들을 향해 돌출된 후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및 제 4 측부(111b, 111d)는 각각 중심부를 기점으로 양측이 둥글게 만곡된 형태를 갖는다.
광원 모듈(148)들은 광을 생성한다. 광원 모듈(148)들은 바텀 케이스(100)의 기저부(111)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광원 모듈(148)들은 2개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부(111)의 중심부와 제 2 측부(111b)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 모듈(148)들이 제 1 그룹의 광원 모듈들로 정의되고, 기저부(111)의 중심부와 제 4 측부(111d)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 모듈(148)들이 제 2 그룹의 광원 모듈들로 정의될 수 있다.
제 1 그룹의 광원 모듈들은 제 1 신호전송부(1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면, 제 2 그룹의 광원 모듈들은 제 2 신호전송부(1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광원 모듈(148)들에 구비된 광원(134)들은 반사판(200)을 관통하는 관통홀(201)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반사판(200) 위로 노출된다.
제 1 신호전송부(171)는 기저부(111) 상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신호전송부(171)는 제 1 그룹의 광원 모듈들과 제 2 측부(111b)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신호전송부(171)는 중심부를 기점으로 양측이 둥글게 만곡된 형태를 갖는다. 제 1 신호전송부(171)와 기저부(111) 사이에 접착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접착 부재에 의해 제 1 신호전송부(171)가 기저부(111)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신호전송부(171)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구동 신호들 및 적어도 하나의 기저 신호를 제 1 그룹의 광원 모듈들로 전송한다. 제 1 신호전송부(171)는, 예를 들어, 가요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일 수 있다.
제 2 신호전송부(172)는 기저부(111) 상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 2 신호전송부(172)는 제 2 그룹의 광원 모듈들과 제 4 측부(111d)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신호전송부(172)는 중심부를 기점으로 양측이 둥글게 만곡된 형태를 갖는다. 제 2 신호전송부(172)와 기저부(111) 사이에 접착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접착 부재에 의해 제 2 신호전송부(172)가 기저부(111)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신호전송부(172)는 전술된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구동 신호들 및 적어도 하나의 기저 신호를 제 2 그룹의 광원 모듈들로 전송한다. 제 2 신호전송부(172)는, 예를 들어, 가요성 인쇄회로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에서 제 1 신호전송부(171)로 출력되는 복수의 구동 신호들 및 적어도 하나의 기저 신호는, 전원 공급부에서 제 2 신호전송부(172)로 출력되는 복수의 구동 신호들 및 적어도 하나의 기저 신호와 각각 다를 수 있다.
구동 신호들과 기저 신호는 모두 전압일 수 있다. 이때, 구동 신호들은 기저 신호보다 더 큰 값을 갖는 전압일 수 있다. 구동 신호들 각각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기저 신호는 0의 전압일 수 있다.
반사판(200)은 광원 모듈(148)들로부터 방출된 광을 표시패널(700) 측으로 반사시킨다. 반사판(200)은 바텀 케이스(100)와 확산판(400) 사이에 위치한다.
확산판(400)은 반사판(200) 위에 위치한다. 확산판(400)은 광원 모듈(148)들로부터 방출된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만들어 광학 시트(500)로 전달한다.
확산판(400)의 아래에는 이 확산판(400)을 떠받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168)이 위치한다. 지지 수단(168)은 기저부(111) 상에 위치한다. 지지 수단(168)은 그 위에 위치한 반사판(200)의 관통홀(203)을 통해 반사판(200) 위로 노출된다.
광학 시트(500)는 확산판(400)으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확산판(400)과 표시패널(700) 사이에 위치한다. 광학 시트(500)는 확산 시트(501a), 프리즘 시트(501b) 및 보호 시트(501c)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201a), 프리즘 시트(501b) 및 보호 시트(501c)는 그 열거된 순서대로 확산판(400)의 위에 차례로 적층된다.
확산 시트(501a)는 확산판(400)으로부터 전달된 광을 분산시켜서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한다.
프리즘 시트(501b)는 확산 시트(501a) 상에 위치하여 그 확산 시트(501a)로부터 확산된 광을 표시패널(7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프리즘 시트(501b)의 일면에 삼각기둥 모양의 프리즘들이 일정한 배열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시트(501c)는 프리즘 시트(501b) 상에 위치하여 그 프리즘 시트(501b)의 표면을 보호하고, 광을 확산시켜 광의 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보호 시트(501c)를 통과한 광은 표시패널(700)로 제공된다.
몰드 프레임(600)은 바텀 케이스(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표시패널(700)과 탑 케이스(800)를 지지함과 아울러, 표시패널(700)과 광학 시트(5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몰드 프레임(600)은 제 1 지지부(311a) 및 제 2 지지부(311b)를 포함하는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지지부(311a)는 제 1 내지 제 4 측부들(111a, 111b, 111c, 111d) 상에 얹힌 상태에서 자신의 위에 덮이는 탑 케이스(800) 부분을 지지한다. 제 1 지지부(311a)에는 제 1 및 제 3 측부(111a, 111c)에 구비된 걸림턱(635)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640)이 구비된다.
제 2 지지부(311b)는 제 1 지지부(311a)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광학 시트(500)와 표시패널(700) 사이의 공간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 2 지지부(311b)는 제 1 지지부(311a)에 비하여 그 높이가 낮다. 이러한 제 2 지지부(311b)와 제 1 지지부(311a) 간의 높이 차에 의해 탑 케이스(800)와 제 2 지지부(311b)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바, 그 공간에 표시패널(700)의 가장자리가 위치한다.
표시패널(700)은 영상을 표시한다. 이 표시패널(700)은 크게 표시부와 비표시부로 구분된다. 표시부에 영상이 표시되고, 비표시부에 그 영상의 표시에 필요한 영상 데이터, 각종 제어신호들 및 각종 전원신호들을 전송하는 신호배선들이 설치된다. 또한, 위의 영상 데이터, 각종 제어신호들 및 각종 전원신호들을 제공하는 구동 회로부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그 비표시부 또는 전술된 구동 회로 보드에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시된 표시패널(700)은 액정패널이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정패널 이외에도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패널 형태의 구조는 어떠한 구조든지 가능하다.
탑 케이스(800)는 표시패널(700)의 앞면 중 이의 가장자리를 포함한 비표시부를 가리는 사각틀 형태를 이룬다. 이 탑 케이스(800)는 몰드 프레임(600)의 제 1 지지부(311a)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싼다. 이를 위해, 탑 케이스(800)는 제 1 지지부(311a)의 상면을 덮는 상부 덮개(933a)와, 그리고 제 1 지지부(311a)의 측면을 덮는 측면 덮개(933b)를 포함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측면 덮개(933b)의 내측에 후크가 구비될 수 있는 바, 이 후크는 몰드 프레임(600)에 구비된 고정 부재의 하면과 접촉한다. 이 후크에 의해서 탑 케이스(800)가 몰드 프레임(6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로 하여 제 1 신호전송부(171)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의 제 1 신호전송부(171)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제 1 신호전송부(17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패드부(180), 복수의 출력 패드부(190)들, 복수의 구동 라인(175)들 및 하나의 기저 라인(177)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신호전송부(171)는 기저 라인(177)에서 분기된 복수의 분기 라인(178)들을 더 포함한다. 분기 라인(178)들은 기저 라인(177)에 연결된다. 여기서, 기저 신호가 0의 전압일 때, 기저 라인(177)은 접지(ground)일 수 있다.
복수의 구동 라인(175)들의 일측 단부들 및 기저 라인(177)의 일측 단부는 입력 패드부(180)에 위치한다.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구동 신호들 및 기저 신호는 입력 패드부(180)에 공급된다. 즉, 입력 패드부(180)에 공급된 구동 신호들은 구동 라인(175)들의 일측 단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입력 패드부(180)에 공급된 기저 신호는 기저 라인(177)의 일측 단부에 인가된다.
복수의 구동 라인(175)들의 타측 단부들 및 분기 라인(178)들의 단부들은 출력 패드부(190)에 위치한다.
제 1 신호전송부(171)는, 구동 라인(175)들과 분기 라인(178)들 사이에 위치한 절연막(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라인(175)들은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분기 라인(178)들 및 기저 라인(177)은 그 절연막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입력 패드부(180)에 위치한 기저 라인(177)의 일측 단부와 출력 패드부(190)들에 위치한 분기 라인(178)들의 단부들은 절연막을 관통하는 접촉홀들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 1 신호전송부(171)는 각 출력 패드부(190)의 양측에 위치한 삽입홈(185)들을 더 포함한다. 이 삽입홈(185)들을 통해 제 1 그룹의 광원 모듈들이 제 1 신호전송부(171)에 삽입된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라인(175)들이 구비된 제 1 신호전송부(171)가 제 1 그룹의 광원 모듈들과 전원 공급부 간의 배선을 담당한다. 따라서, 제 1 그룹의 광원 모듈들과 전원 공급부 간의 배선이 용이해진다.
한편, 복수의 구동 라인(175)들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다른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 라인(175)들은 입력 패드부(180)에서 더 멀리 위치한 광원 모듈에 연결될수록 더 큰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광원 모듈들로 입력되는 구동 신호들 간의 편차가 줄어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도 4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제 1 신호전송부(171)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먼저, 출력 패드부(190)들을 입력 패드부(180)에 가까운 것부터 차례로 제 1 출력 패드부(190a), 제 2 출력 패드부(190b), 제 3 출력 패드부(190c), 제 4 출력 패드부(190d) 및 제 5 출력 패드부(190e)로 정의한다. 그리고, 제 1 출력 패드부(190a)에 타측 단부가 위치한 구동 라인(175)을 제 1 구동 라인(175a)으로, 제 2 출력 패드부(190b)에 타측 단부가 위치한 구동 라인(175)을 제 2 구동 라인(175b)으로, 제 3 출력 패드부(190c)에 타측 단부가 위치한 구동 라인(175)을 제 3 구동 라인(175c)으로, 제 4 출력 패드부(190d)에 타측 단부가 위치한 구동 라인(175)을 제 4 구동 라인(175d)으로, 그리고 제 5 출력 패드부(190e)에 타측 단부가 위치한 구동 라인(175)을 제 5 구동 라인(175e)으로 각각 정의한다.
또한, 제 1 그룹의 광원 모듈들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즉, 제 1 출력 패드부(190a)에 접속되는 광원 모듈(148)을 제 1 광원 모듈(148a)로, 제 2 출력 패드부(190b)에 접속되는 광원 모듈(148)을 제 2 광원 모듈(148b)로, 제 3 출력 패드부(190c)에 접속되는 광원 모듈(148)을 제 3 광원 모듈(148c)로, 제 4 출력 패드부(190d)에 접속되는 광원 모듈(148)을 제 4 광원 모듈(148d)로, 그리고 제 5 출력 패드부(190e)에 접속되는 광원 모듈(148)을 제 5 광원 모듈(148e)로 각각 정의한다.
이때, 입력 패드부(180)에 가장 근접한 제 1 광원 모듈(148a)에 연결된 제 1 구동 라인(175a)은 가장 작은 선폭을 갖는다. 반면, 입력 패드부(180)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제 5 광원 모듈(148d)에 연결된 제 5 구동 라인(175e)은 가장 큰 선폭을 갖는다. 그리고, 제 2 구동 라인(175b)은 제 1 구동 라인(175a)보다 더 큰 선폭을 가지며, 제 3 구동 라인(175c)은 제 2 구동 라인(175b)보다 더 큰 선폭을 가지며, 제 4 구동 라인(175d)은 제 3 구동 라인(175c)보다 더 큰 선폭을 갖는다.
한편, 복수의 분기 라인(178)들도 서로 다른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출력 패드부(190a)에 단부가 위치한 분기 라인(178)을 제 1 분기 라인(178a)으로, 제 2 출력 패드부(190b)에 단부가 위치한 분기 라인(178)을 제 2 분기 라인(178b)으로, 제 3 출력 패드부(190c)에 단부가 위치한 분기 라인(178)을 제 3 분기 라인(178c)으로, 제 4 출력 패드부(190d)에 단부가 위치한 분기 라인(178)을 제 4 분기 라인(178d)으로, 그리고 제 5 출력 패드부(190e)에 단부가 위치한 분기 라인(178)을 제 5 분기 라인(178e)으로 각각 정의한다.
이때, 입력 패드부(180)에 가장 근접한 제 1 광원 모듈(148a)에 연결된 제 1 분기 라인(178a)은 가장 작은 선폭을 갖는다. 반면, 입력 패드부(180)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제 5 광원 모듈(148e)에 연결된 제 5 분기 라인(178e)은 가장 큰 선폭을 갖는다. 그리고, 제 2 분기 라인(178b)은 제 1 분기 라인(178a)보다 더 큰 선폭을 가지며, 제 3 분기 라인(178c)은 제 2 분기 라인(178b)보다 더 큰 선폭을 가지며, 제 4 분기 라인(178d)은 제 3 분기 라인(178c)보다 더 큰 선폭을 갖는다.
한편, 제 2 신호전송부(172) 역시 제 1 신호전송부(17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 2 신호전송부(172)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된 도 1, 도 3 및 도 4와 이들 도면들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어느 하나의 광원 모듈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광원 어레이에 대한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광원 모듈(14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어레이(144), 제 1 전송 라인(161), 제 2 전송 라인(162), 패드부(154) 및 몸체부(153)를 포함한다.
광원 어레이(144)는 광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34)을 포함한다. 광원(134)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발광 패키지(packag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발광 패키지는 그 내부에 적색 광을 출사하는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광을 출사하는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패키지는 세 종류의 색상을 조합하여 백색광을 생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이 발광 패키지는 그 내부에 전술된 세 가지 색상의 발광다이오드들 중 청색 발광다이오드만을 포함할 수도 있는 바, 이와 같은 경우 청색광을 백색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형광체가 그 청색 발광다이오드의 발광부에 형성된다.
광원 어레이(144)는,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 1 전송 라인(161)과 제 2 전송 라인(162)사이에 서로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3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송 라인(161)은 출력 패드부(19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가된 구동 신호를 광원 어레이(144)의 일측으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제 1 광원 모듈(148a)에 구비된 제 1 전송 라인(161)은 제 1 출력 패드부(190a)에 인가된 구동 신호를 광원 어레이(144)의 일측으로 공급한다.
제 2 전송 라인(162)은 출력 패드부(19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가된 기저 신호를 광원 어레이(144)의 타측으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제 1 광원 모듈(148a)에 구비된 제 2 전송 라인(162)은 제 1 출력 패드부(190a)에 인가된 기저 신호를 광원 어레이(144)의 타측으로 공급한다.
제 1 전송 라인(161)의 일측 단부 및 제 2 전송 라인(162)의 일측 단부는 패드부(154)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 1 전송 라인(161)의 일측 단부 및 제 2 전송 라인(162)의 일측 단부를 제외한 제 1 및 제 2 전송 라인(161, 162)의 나머지 부분, 그리고 광원 어레이(144)는 몸체부(153)에 배치된다.
패드부(154)와 몸체부(153)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패드부(154)와 몸체부(153)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제 1 신호전송부(171)와 제 1 광원 모듈(148a) 간의 접속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신호전송부(171)와 제 1 광원 모듈(148a)은 커넥터(90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900)는 양방향 커넥터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신호전송부(171)의 제 1 출력 패드부(190a)가 삽입되는 제 1 접속홈(900a)과, 제 1 광원 모듈(148a)의 패드부(154)가 삽입되는 제 2 접속홈(900b)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접속홈(900a) 및 제 2 접속홈(900b)의 내부에 제 1 구동 라인(175a)과 제 1 전송 라인(161)을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 단자와, 그리고 제 1 분기 라인(178a)과 제 2 전송 라인(162)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 단자가 구비된다.
제 1 신호전송부(171)의 제 1 출력 패드부(190a)와 커넥터(900)가 연결될 때, 커넥터(900)의 양측 가장자리가 제 1 출력 패드부(190a)의 양측에 위치한 삽입홀(185)들에 삽입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신호전송부(171)에 구비된 나머지 출력 패드부들과 나머지 광원 모듈들 역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다른 커넥터들에 의해 접속된다.
한편, 제 2 신호전송부(172)와 제 2 그룹의 광원 모듈들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또 다른 커넥터들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바텀 케이스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케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홀(123a, 12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제 1 측부(111a)의 양측에 접속홀(123a, 123b)들이 위치한다.
제 1 접속홀(123a)을 통해 제 1 신호전송부(171)의 입력 패드부(180)가 외부로 노출된다. 제 1 신호전송부(171)의 입력 패드부(180)는 제 1 가요성 평판 케이블(Flexible Flat Cable)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가요성 평판 케이블은 제 1 신호전송부(171)의 입력 패드부(180)와 전원 공급부 사이에 접속되어,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구동 신호들을 제 1 신호전송부(171)의 입력 패드부(180)로 전달한다. 제 1 신호전송부(171)의 입력 패드부(180)에 입력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는 바, 이 입력 커넥터는 제 1 가요성 평판 케이블의 출력 커넥터에 연결된다.
제 2 접속홀(123b)을 통해 제 2 신호전송부(172)의 입력 패드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제 2 신호전송부(172)의 입력 패드부는 제 2 가요성 평판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가요성 평판 케이블은 제 2 신호전송부(172)의 입력 패드부와 전원 공급부 사이에 접속되어,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구동 신호들을 제 2 신호전송부(172)의 입력 패드부(180)로 전달한다. 제 2 신호전송부(172)의 입력 패드부(180)에 입력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는 바, 이 입력 커넥터는 제 2 가요성 평판 케이블의 출력 커넥터에 연결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접속홀(123a, 123b)의 위치는 제 1 및 제 2 신호전송부(171, 172)에 구비된 입력 패드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신호전송부(171)의 입력 패드부(180)가 그 제 1 신호전송부(171)의 중심부에 위치할 경우, 제 1 접속홀(123a)은 제 2 측부(111b)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71: 제 1 신호전송부 180: 입력 패드부
175: 구동 라인 190: 출력 패드부
178: 분기 라인 177: 기저 라인
185: 삽입홈

Claims (12)

  1. 만곡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을 수납하는 바텀 케이스; 및
    상기 광원 모듈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 모듈로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라인 및 기저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저 라인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송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부는 가요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인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부는,
    상기 구동 라인의 일측 단부와 상기 기저 라인의 일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된 구동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패드부; 및
    상기 구동 라인의 타측 단부, 상기 기저 라인에서 분기된 분기 라인의 단부 및 상기 광원 모듈에 각각 연결된 출력 패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부는, 상기 구동 라인과 상기 분기 라인 사이에 위치한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드부와 상기 광원 모듈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라인은 입력 패드에서 더 멀리 위치한 광원 모듈에 연결될수록 더 큰 선폭을 갖는 표시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들은 각각,
    광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을 포함하는 광원 어레이;
    출력 패드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가된 구동 신호를 상기 광원 어레이의 일측으로 공급하는 제 1 전송 라인;
    출력 패드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가된 기저 신호를 상기 광원 어레이의 타측으로 공급하는 제 2 전송 라인;
    상기 제 1 전송 라인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제 2 전송 라인의 일측 단부가 위치한 패드부; 및
    상기 제 1 전송 라인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제 2 전송 라인의 일측 단부를 제외한 제 1 전송 라인 및 제 2 전송 라인의 나머지 부분, 그리고 상기 광원 어레이가 위치한 몸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들은 상기 입력 패드부에서 멀어질수록 더 큰 폭의 제 1 전송 라인을 갖는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부는 상기 광원 모듈들과 바텀 케이스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측부 사이에 구비된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부는 상기 바텀 케이스의 기저부에 부착된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부와 상기 바텀 케이스의 기저부 사이에 구비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케이스는, 상기 신호전송부의 입력 패드부가 노출되는 접속홀을 갖는 표시장치.
KR1020140142555A 2014-10-21 2014-10-21 표시장치 KR20160047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555A KR20160047037A (ko) 2014-10-21 2014-10-21 표시장치
US14/880,960 US9898975B2 (en) 2014-10-21 2015-10-12 Display device
US15/870,047 US10431169B2 (en) 2014-10-21 2018-01-1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555A KR20160047037A (ko) 2014-10-21 2014-10-21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037A true KR20160047037A (ko) 2016-05-02

Family

ID=5574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555A KR20160047037A (ko) 2014-10-21 2014-10-21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898975B2 (ko)
KR (1) KR201600470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10841B (zh) * 2013-07-23 2015-12-0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
KR20160047037A (ko) * 2014-10-21 2016-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7329301B (zh) * 2016-04-29 2020-10-1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JP7128411B2 (ja) * 2018-08-03 2022-08-3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発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308585B (zh) * 2019-06-27 2023-04-07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曲面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12684631A (zh) * 2019-10-18 2021-04-20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185B1 (ko) 2005-10-12 2007-04-06 유승명 전원공급용 기판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CA2632056C (en) * 2005-12-06 2014-01-14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odular electronic displays
JP2007171681A (ja) * 2005-12-22 2007-07-05 Infovision Optoelectronics Holdings Ltd 湾曲液晶表示装置に用いるバックライト及び湾曲液晶表示装置
JP4481245B2 (ja) * 2005-12-22 2010-06-16 インフォビジョン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 ホールデングズ リミティッド 湾曲液晶表示装置及び湾曲液晶表示装置用反射板または反射シートの形成設置方法
JP5059525B2 (ja) * 2007-09-05 2012-10-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JP5273379B2 (ja) * 2009-03-27 2013-08-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WO2010123284A2 (en) * 2009-04-21 2010-10-28 Lg Electronics Inc. Light emitting device
KR20120047390A (ko) 2010-11-03 2012-05-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03534527A (zh) * 2011-05-17 2014-01-22 毕克斯照明有限责任公司 平坦面板照明设备及改装套件
KR101330774B1 (ko) 2011-12-15 2013-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용 인쇄회로기판
KR101966739B1 (ko) 2012-11-09 2019-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7128B1 (ko) * 2014-02-05 2020-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47037A (ko) * 2014-10-21 2016-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37826A1 (en) 2018-05-17
US20160109755A1 (en) 2016-04-21
US10431169B2 (en) 2019-10-01
US9898975B2 (en)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7037A (ko) 표시장치
US7581869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388212B2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19244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49431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EP2891919A1 (en) Bendable display apparatus
US9823508B2 (en) Display device
KR2008008795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8931944B2 (en) Display apparatus and light source packages employed therein
KR20080035355A (ko) 반사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US20110075443A1 (en) Light emitting unit,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CN108153015A (zh) 具有保护构件的显示装置
KR2012007607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CN108398827A (zh) 液晶显示器
JP6131068B2 (ja) 表示装置
US9939695B2 (en) Display device
KR20130126407A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100750A (ko) 인쇄회로기판 연결구조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6932938B (zh) 液晶显示装置
WO2011067986A1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120049733A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785340B1 (ko) 커버버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20760B1 (ko)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00033864A (ko) 액정표시장치
KR20160010773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