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602A -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602A
KR20160042602A KR1020140136737A KR20140136737A KR20160042602A KR 20160042602 A KR20160042602 A KR 20160042602A KR 1020140136737 A KR1020140136737 A KR 1020140136737A KR 20140136737 A KR20140136737 A KR 20140136737A KR 20160042602 A KR20160042602 A KR 20160042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witch
switch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376B1 (ko
Inventor
정인화
박종흠
김희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376B1/ko
Priority to US14/658,704 priority patent/US10069342B2/en
Priority to CN201510169507.4A priority patent/CN106160137A/zh
Publication of KR20160042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또는 유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는 입력 전력을 제1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제1 전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제1 무선 전송 방식 또는 제2 무선 전송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스위칭된 제1 전력을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전송 방식 중 하나의 무선 전송 방식의 공진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로 스위칭된 제1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공급 장치{POWER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 또는 유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장치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외부의 전력 공급 설비로부터 전자장치로 전력을 전달해 주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전력 공급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등으로 전자 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전자 장치에 내장된 충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선 방식의 전력 공급 장치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유선 방식의 전력 공급 장치는 전력 공급을 위한 케이블에 의한 여러가지 제약이 뒤따른다.
이에 따라, 하기의 선행 기술 문헌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자기 유도 효과 또는 자기 공진 효과에 의해 비접촉 방식으로 전자 장치에 내장된 충전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 공급 장치는 유선 방식 또는, 자기 유도 효과 또는 자기 공진 효과 중 하나의 자기 효과에 의한 무선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더하여 복수의 디바이스에 동시에 전력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2013-005489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공진 주파수 중 하나의 주파수로 전력을 무선 전송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는 입력 전력을 제1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제1 전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제1 무선 전송 방식 또는 제2 무선 전송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스위칭된 제1 전력을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전송 방식 중 하나의 무선 전송 방식의 공진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로 스위칭된 제1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둘의 공진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공진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로 전원을 무선 전송할 수 있고, 더하여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이 집적화되어서, 다양한 디바이스 각각에 또는 동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의 활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의 활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100)는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일 수 있으며, 유선으로 랩탑 PC(B,C)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동시에 무선으로 휴대폰(A)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100)는 휴대폰(A)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 충전 패드일 수 있다.
이후, 랩탑 PC(B,C)가 본체(B)와 디스플레이(C)가 분리될 수 있는 경우, 본체(B)에는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디스플레이(C)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본체(B) 및 디스플레이(C)에 각각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A)에 유선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서, 충전 중 급속 충전 또는 충전 전력이 모자라는 경우를 보충할 수 있다.
더하여 복수의 송전 코일이 구비된 경우, 자기 공진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무선 공급할 수 있으며, 휴대폰(A) 뿐만 아니라 본체(B)와 디스플레이(C)에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10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100)는 입력 전력 또는 교류 전력을 제1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110), 전력 변환부(110)로부터의 상기 제1 전력을 스위칭하여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력 공급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하여 전력 변환부(110)로부터의 상기 제1 전력을 유선으로 전달하는 유선 전력 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선 전력 공급부(120)의 무선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유선 전력 공급부(130)로 전달되는 전력을 직류/직류 변환하는 DC/DC 전력 변환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100)는 전력 변환부(110), 무선 전력 공급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하여 유선 전력 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10)는 입력부(111), 전력 스위칭부(112), 트랜스포머(113) 및 주변 회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1)는 입력된 교류 전력(AC)을 정류하거나 전자기 간섭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정류된 전력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갖는 전력 스위칭부(112)에 의해 스위칭 될 수 있으며, 트랜스포머(113)는 서로 절연되고 자기 결합된 일차 권선 및 이차 권선을 구비하고, 상기 일차 권선은 스위칭된 전력을 입력받으며, 상기 이차 권선은 상기 일차 권선 과의 권선비에 따라 상기 일차 권선에 입력된 스위칭된 전력을 변압하여 제1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주변 회로(114)는 전력 스위칭부(112)의 전력 스위칭시 전력 안정화 및 스너버(snubb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공급부(120)는 스위칭부(121) 및 공진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121)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Q1,Q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스위치(Q1) 및 제2 스위치(Q2)를 갖는 하나의 하프 브리지(half bridge)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하프 브리지 스위치의 제1 및 제2 스위치(Q1,Q2)는 전력 변환부(110)로부터의 상기 제1 전력을 상보적인 온/오프 스위칭할 수 있으며, 공진부(122)는 상기 하프 브리지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공진할 수 있으며, 적어도 둘의 공진 주파수 중 하나의 공진 주파수로 공진할 수 있다. 여기서, 공진 주파수는 상기 하프 브리지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에 연동될 수 있다.
공진부(122)는 제1 공진 유닛(122a) 및 제2 공진 유닛(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진 유닛(122a)는 제1 캐패시터(Cr-WPC) 및 제1 송전 코일(Lr-WPC)를 가질 수 있고, 제2 공진 유닛(122b)는 제2 캐패시터(Cr-A4WP) 및 제2 송전 코일(Lr-A4WP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진 유닛(122a)의 제1 캐패시터(Cr-WPC)의 일단은 제1 스위치(Q1)와 제2 스위치(Q2) 간의 연결점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캐패시터(Cr-WPC)의 타단은 제1 송전 코일(Lr-WPC)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송전 코일(Lr-WPC)은 제1 캐패시터(Cr-WPC)의 타단과 접지간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공진 유닛(122b)의 제2 캐패시터(Cr-A4WP)의 일단은 제1 스위치(Q1)와 제2 스위치(Q2) 간의 연결점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캐패시터(Cr-A4WP)의 타단은 제2 송전 코일(Lr-A4WP)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송전 코일(Lr-A4WPC)는 제2 캐패시터(Cr-A4WPC)의 타단과 접지간에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전력 공급부(130)는 전력 변환부(110)로부터의 상기 제1 전력을 안정화시킨 후 외부에 유선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부(121)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진부(122)의 공진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무선 전력 공급부(120)의 출력 전류에 관한 정보를 피드백 받아 스위칭부(121)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과 함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00)는 복수의 공진 주파수 중 하나의 공진 주파수로 전력을 무선 전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공진부(122)는 제1 공진 주파수 대역과 제2 공진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로 전력을 무선 전송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공진 회로에서 적어도 둘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진 주파수 대역(fr1)(여기서, fr1은 주파수 대역 내의 중심 주파수)은 WPC 표준 방식에 의해서 대략 110KHz~205KHz 사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공진부(122)의 제1 공진 유닛(122a)는 제1 공진 주파수 대역(fr1) 내의 주파수로 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공진 주파수는 제1 공진 유닛(122a)의 LC 공진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스위칭부(121)의 스위칭 주파수에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주파수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공진 주파수는 제1 공진 주파수 대역(fr1) 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공진 주파수(fr1)는 다음의 수식1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수식1)
Figure pat00001
(여기서, Lr-wpc는 제1 공진 유닛(122a)의 제1 송전 코일의 인덕턴스이고, Cr-wpc는 제1 공진 유닛(122a)의 제1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이다.)
반면에, 제2 공진 주파수 대역(fr2)(여기서, fr2는 주파수 대역 내의 중심 주파수)은 A4WP 표준 방식에 의해서 6.78M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으며, 공진부(122)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원을 무선 전송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fr2)는 다음의 수식2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수식2)
Figure pat00002
(여기서, Lr-A4WP는 제2 공진 유닛(122b)의 제2 송전 코일의 인덕턴스이고, Cr-A4WP는 제2 공진 유닛(122b)의 제2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이다.)
더하여, 도 4b에서의 설명과 같이 복수의 공진 주파수 대역(fr1,fr2,frn)(여기서, fr1,fr2,frn 각각은 각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의 실시예(100)의 제어부(140)는 먼저, 동작 초기에 제1 공진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110KHz 내지 205KHz 범위 중 하나의 주파수 값을 갖는 공진 주파수로 전력의 무선 전송을 제어할 수 있으며, 즉, 자기 유도 모드로 전력을 무선 전송할 수 있다(S10).
도시되지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2 공진 주파수, 예를 들어 6.78MHz의 공진 주파수로 무선 전송을 제어할 수 있으며, 즉, 자기 공진 모드로 전력을 무선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수신 측의 충전 전류가 피드백 검출되면(S20), 수신측의 충전 전류와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가 전력 공급 장치와 디바이스 간의 거리가 멀어져서 수신측의 충전 전류가 상기 기준 값보다 낮거나, 또는 멀티 충전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S30)에는 제2 공진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6.78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공진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로 전력의 무선 전송을 제어할 수 있으며, 즉, 자기 공진 모드로 전력을 무선 전송할 수 있다(S40).
만일, 수신측의 충전 전류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이거나 멀티 충전 요청을 입력받지 않은 경우(S30)에는 제1 공진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110KHz~205KHz의 공진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로 전력의 무선 전송을 제어할 수 있으며, 즉, 자기 유도 모드로 전력을 무선 전송할 수 있다(S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둘의 공진 주파수 중 하나의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 전송할 수 있고, 더하여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이 집적화되어서, 다양한 디바이스 각각에 또는 동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충전시킬수 있으며, 하나의 디바이스에 전력을 급속 충전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전력 공급 장치
110: 전력 변환부
111: 입력부
112: 전력 스위칭부
113: 트랜스포머
114: 주변 회로부
120: 무선 전력 공급부
121: 스위칭부
122: 공진부
122a: 제1 공진 유닛
122b: 제2 공진 유닛
130: 유선 전력 공급부
140: 제어부

Claims (16)

  1. 입력 전력을 제1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제1 전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제1 무선 전송 방식 또는 제2 무선 전송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스위칭된 제1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력 공급부
    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공급부에 의해 무선 전송된 전력의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복수의 공진 주파수 중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공급부는
    상기 전력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제1 전력을 스위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갖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공진하여 스위칭된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공진부
    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를 구비한 하프 브리지 스위치를 갖는 전력 공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스위칭부의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 간의 연결점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진하는 제1 공진 유닛 및 제2 공진 유닛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 유닛은 상기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 간의 연결점에 연결된 제1 캐패시터; 및 상기 제1 캐패시터에 직렬 연결된 제1 송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상기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 간의 연결점에 연결되는 제2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캐패시터와 직렬 연결된 제2 송전 코일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제1 전력을 안정화시켜 유선으로 전송하는 유선 전력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력 공급부로부터의 전력을 직류/직류 변환하여 유선으로 전송하는 DC/DC 전력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9. 입력 전력을 제1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제1 전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전송 방식 중 하나의 무선 전송 방식의 공진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로 스위칭된 제1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력 공급부
    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공급부에 의해 무선 전송된 전력의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복수의 공진 주파수 중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공급부는
    상기 전력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제1 전력을 스위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갖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공진하여 스위칭된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공진부
    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를 구비한 하프 브리지 스위치를 갖는 전력 공급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스위칭부의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 간의 연결점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진하는 제1 공진 유닛 및 제2 공진 유닛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 유닛은 상기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 간의 연결점에 연결된 제1 캐패시터; 및 상기 제1 캐패시터에 직렬 연결된 제1 송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진 유닛은 상기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 간의 연결점에 연결되는 제2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캐패시터와 직렬 연결된 제2 송전 코일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제1 전력을 안정화시켜 유선으로 전송하는 유선 전력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력 공급부로부터의 전력을 직류/직류 변환하여 유선으로 전송하는 DC/DC 전력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1020140136737A 2014-10-10 2014-10-10 전력 공급 장치 KR10168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737A KR101681376B1 (ko) 2014-10-10 2014-10-10 전력 공급 장치
US14/658,704 US10069342B2 (en) 2014-10-10 2015-03-16 Power supply apparatus
CN201510169507.4A CN106160137A (zh) 2014-10-10 2015-04-10 供电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737A KR101681376B1 (ko) 2014-10-10 2014-10-10 전력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602A true KR20160042602A (ko) 2016-04-20
KR101681376B1 KR101681376B1 (ko) 2016-11-30

Family

ID=5565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737A KR101681376B1 (ko) 2014-10-10 2014-10-10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69342B2 (ko)
KR (1) KR101681376B1 (ko)
CN (1) CN1061601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376B1 (ko) * 2014-10-10 2016-1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공급 장치
US10218187B1 (en) * 2016-03-18 2019-02-26 Jonathan Greenlee Signal modulator and method of use
CN108695995B (zh) * 2018-06-15 2021-09-10 哈尔滨工业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高效率谐振型无线电能传输***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669B1 (ko) 2006-10-10 2013-04-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접점 충전기
JP4309445B2 (ja) * 2007-10-31 2009-08-05 株式会社東芝 遠隔電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源タップ
US8107243B2 (en) * 2008-09-12 2012-01-31 Callpod Inc. Portable multi-device power supply, battery charger, and docking system
JP2011039340A (ja) * 2009-08-13 2011-02-24 Sony Corp 撮像装置
CN101707384A (zh) * 2009-11-25 2010-05-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兼容有线充电和无线充电的***及方法
KR101119260B1 (ko) * 2010-04-30 2012-03-1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US20120068548A1 (en) * 2010-09-16 2012-03-22 Advantest Corporation Wireless power supply apparatus
KR20130024757A (ko) 2011-08-29 2013-03-08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이종 충전 방식을 가진 무선 충전 시스템
US20130127405A1 (en) 2011-11-17 2013-05-23 Helmut Scherer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10915A (ja) 2011-11-24 2013-06-06 Nec Saitama Ltd 充電器、充電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118413A (ko) 2012-04-20 201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충전 장치 및 회로
US9679696B2 (en) * 2012-11-14 2017-06-13 Lutron Electronics Co., Inc. Wireless load control device
JP6145864B2 (ja) 2013-03-05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達装置
KR102082415B1 (ko) * 2013-05-27 2020-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TWI506912B (zh) * 2013-08-02 2015-11-01 Simplo Technology Co Ltd 無線電力傳遞管理系統及其方法
KR20150107281A (ko) * 2014-03-13 2015-09-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WO2015147566A1 (ko) * 2014-03-27 2015-10-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KR101681376B1 (ko) * 2014-10-10 2016-1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공급 장치
CN107223302A (zh) * 2015-02-16 2017-09-29 Lg伊诺特有限公司 无线电力传输装置和无线电力传输方法
US9358684B1 (en) * 2015-02-18 2016-06-07 Merry Electronics Co., Ltd.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and robot arm using the same
CN105656115B (zh) * 2015-11-30 2019-05-14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双通道充电方法、***和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05033A1 (en) 2016-04-14
KR101681376B1 (ko) 2016-11-30
US10069342B2 (en) 2018-09-04
CN106160137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1562B2 (ja) 電源供給装置
US9641019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96921B1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JP6315483B2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互換性提供装置及び方法
KR101882800B1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JP6001355B2 (ja) 非接触給電装置
KR20150057783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JP5959862B2 (ja) 電力供給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28042A (ko) 멀티모드 무선전력 수신기기 및 그 무선전력 수신방법
KR20190040174A (ko) 급전장치
KR20160021613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제공 시스템
JP2012070463A (ja) 非接触給電装置
US9876363B2 (en)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contact/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contact/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JP2013198260A (ja) 電力伝送システム
KR101659183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시스템
KR101681376B1 (ko) 전력 공급 장치
KR101771793B1 (ko) 전원 공급 장치
JP2012085426A (ja) 給電装置および給電システム
WO2015083578A1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及び受電機器
WO2015064361A1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送電機器及び受電機器
KR20140138554A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
JP2019103327A (ja) 給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745043B1 (ko) 무선 전력 전송 기기 및 그 방법
KR102483566B1 (ko)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KR20150053536A (ko) 하이브리드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하이브리드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의 무선 전력 신호 제어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자기 공명식 무선 전력 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