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279A -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279A
KR20160037279A KR1020140128950A KR20140128950A KR20160037279A KR 20160037279 A KR20160037279 A KR 20160037279A KR 1020140128950 A KR1020140128950 A KR 1020140128950A KR 20140128950 A KR20140128950 A KR 20140128950A KR 20160037279 A KR20160037279 A KR 20160037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hydraulic system
chain
hydraulic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2667B1 (ko
Inventor
서장훈
김대웅
김병우
도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6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어링 시스템은, 해양 구조물의 선체 측면에 설치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갑판과 해저면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페어리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Mooring system with rail system}
본 발명은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경우 해저의 파이프에서부터 올라오는 석유, 천연가스 등을 라이저(riser)로 올려 받아 저장공간(storage)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은 일정 위치에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한 장치를 무어링 시스템(mooring device) 혹은 계류 장치라고 한다.
무어링 시스템은 라이저의 과도한 하중을 방지하기 위해 해양 구조물을 일정 위치에 유지시켜야 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스프레드 무어링 시스템과 터렛 무어링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스프레드 무어링 타입(spread mooring type)의 경우 선체에 고정된 페어리드(fairlead)에 체인 스토퍼(chain stopper)가 장착되며, 환경 하중에 작용하게 되더라도 계속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하지만, 작은 환경 하중이 작용하게 되었을 경우 해양 구조물이 일전한 반경 내에 있더라도 해양 구조물의 움직임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터렛 무어링 타입(turret mooring type)의 경우에는 터렛(turret)에 고정된 체인 스토퍼(chain stopper)가 장착되며, 환경 하중이 작용하게 되었을 경우 회전을 하게 된다. 하지만 작은 환경 하중이 작용하게 되었을 경우 해양 구조물이 일정한 반경 내에 있더라도 해양 구조물이 움직임에 따라 지속적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특히 해양 구조물에 회전 운동(Roll, Pitch)이 작용하였을 경우 상대적인 수평 회전(yaw) 운동이 아니기 때문에 그에 따른 OPB(Out of plane bending)/IPB(In-plane bending) 등의 피로하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작은 하중에 의해 피로하중이 발생하게 되고, 최근 무어링 시스템의 주요 설계 요소 중 하나로 피로하중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관련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10-2012-0091816호(부유체의 계류 안정화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서 파랑에 의한 상/하 방향 운동시에 와이어로프에 의해 윈치의 가해지는 하중을 자동 제어하는 포지셔닝윈치와, 와이어로프의 인장 방향에 따라 회전하여 마찰력이 감소한 상태로 안내하는 페어리더와, 부유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와, 부유체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바람, 파도 등의 외력조건을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져 모선의 운동에 대하여 일체화된 상태로 계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부유체의 계류 안정화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91816호
본 발명은 작은 환경 하중에서 해양 구조물이 일정 반경 내에서 움직일 경우 해양 구조물과의 상대 운동에 의한 피로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는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의 선체 측면에 설치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갑판과 해저면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페어리드 모듈을 포함하는 무어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페어리드 모듈은,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에 일정 간격으로 일렬로 결합되며, 각각 하나씩의 체인을 담당하는 복수의 페어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의 양 끝단에는 상기 페어리드 모듈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레일에 대응되는 선체 내부에 설치되며, 소정 크기 이상의 가속도에 대해서는 상기 페어리드 모듈에 대해 관성에 의한 제동을 가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은, 상기 선체의 내측에서 상기 레일의 설치위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 설치되는 기어몸체와, 상기 기어몸체의 하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기어치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기어와; 상기 페어리드 모듈에 연결되어 함께 움직이는 브레이크 몸체와; 상기 브레이크 몸체의 일면에 마련된 고정점을 중심으로 상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브레이크 바와;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하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무게추를 포함하되, 상기 무게추와 상기 브레이크 바는 일체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바는 V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평상시에는 상기 V자의 상단이 상기 기어치의 최하단보다 낮게 위치하며, 상기 페어리드 모듈이 소정 크기 이상의 가속도를 가진 경우 상기 무게추의 관성에 의해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V자의 상단이 상기 기어치의 최하단보다 높게 위치하여 상기 기어치에 걸림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의 선체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레일과 갑판에 설치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상기 갑판과 해저면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페어리드 모듈;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상기 체인의 잔여 부분을 보관하는 체인 로커; 및 상기 레일 시스템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페어리드 모듈의 이동에 상응하는 유압을 상기 체인 로커에 제공하는 유압 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유압 시스템은, 상기 제1 레일의 선미 측 및 선수 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유압 시스템 및 제2 유압 시스템과; 상기 제2 레일의 선수 측 및 선미 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3 유압 시스템 및 제4 유압 시스템과; 상기 제1 유압 시스템과 상기 제3 유압 시스템을 연결하는 제1 유압라인과; 상기 제2 유압 시스템과 상기 제4 유압 시스템을 연결하는 제2 유압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리드 모듈이 선미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유압 시스템을 가압하면 상기 제1 유압라인을 통해 유체가 이동하여 상기 제3 유압 시스템을 작동시켜 상기 체인 로크를 선미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페어리드 모듈이 선수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유압 시스템을 가압하면 상기 제2 유압라인을 통해 유체가 이동하여 상기 제4 유압 시스템을 작동시켜 상기 체인 로크를 선수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페어리드 모듈과 상기 체인 로크 간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무어링 시스템은 스프레드 무어링 시스템(spread mooring system) 혹은 터렛 무어링 시스템(turret mooring system)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은 환경 하중에서 해양 구조물이 일정 반경 내에서 움직일 경우 해양 구조물과의 상대 운동에 의한 피로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프레드 무어링 시스템과 터렛 무어링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기존 무어링 시스템에서의 하중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이 구비된 무어링 시스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기존 무어링 시스템에서의 하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에는 기존 스프레드 무어링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고, (b)에는 기존 터렛 무어링 시스템에 도시되어 있다.
기존 스프레드 무어링 시스템 및 기존 터렛 무어링 시스템의 경우 무어링 시스템의 체인(20) 장력이 해양 구조물과의 상대 운동에 의해 증가하게 되고, 이는 선체(10) 및 무어링 스토퍼(예를 들면, 체인 스토퍼)에 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도면의 화살표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페어리드(fairlead) 및 체인 로커(chain locker)에 레일 시스템을 적용하여 상대 운동을 완화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는 선체(10), 무어링 시스템(100), 페어리드 모듈(110), 페어리드(112), 주행체(114), 체인(20), 레일 시스템(120), 레일(122), 스토퍼(124)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프레드 무어링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동일한 기술적 사상이 터렛 무어링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100)은 페어리드가 일정 구간에 설치된 소정 길이의 레일 상에서 주행 가능하여 해양 구조물에 상대적으로 작은 하중이 발생하였을 경우 해양 구조물과의 상대 운동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로하중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피로하중 중에서 OPB-IPB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피로하중에 관련된 무어링 시스템의 과도한 설계 제한을 줄여 보다 높은 자유도의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100)은 기본 골격으로 페어리드 모듈(110) 및 레일 시스템(120)을 포함한다.
페어리드 모듈(110)은 갑판과 해저면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20)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페어리드(112)와, 페어리드(112)가 결합되고 후술할 레일(122)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체(114)를 포함한다.
페어리드(112)는 가이드 몸체를 통해 체인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가이드 몸체가 디스크 구조인 경우, 그 둘레에 체인을 지지하면서 체인의 풀림 혹은 당겨짐에 따라 가이드 몸체가 회전함으로써 체인의 이송 방향 안내가 가능하게 된다. 또는 가이드 몸체가 바(bar) 형상인 경우, 체인을 내부로 관통시켜 이송 방향을 안내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가이드 몸체가 바 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페어리드(112)는 각각 하나의 체인(20), 즉 하나의 라인을 담당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페어리드 모듈(110)에서는 각 라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페어리드(112)가 세트로 이동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페어리드(112)가 일정 간격으로 일렬로 주행체(114)에 결합되고, 주행체(114)가 후술할 레일(122)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복수의 페어리드(112)가 동시에 세트로 움직이게 되어 라인별 간섭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레일 시스템(120)은 선체(10)의 측면에 설치되는 레일(122)을 포함한다.
레일(122)의 설치지점은 원활한 계류를 위해 해양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지정된 설치지점에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레일(122)은 페어리드(112)가 결합된 주행체(114)가 주행하는 기본 궤도가 되며, 그 길이에 따라 페어리드(112)의 운영 반경이 결정된다. 해양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 페어리드(112)의 운영 반경에 상응하여 레일(122)의 길이가 정해질 수도 있다.
레일(122)의 양 끝단에는 스토퍼(124)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스토퍼(124)는 레일(122)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주행체(114)가 레일(12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 시스템의 경우 무어링 시스템의 장력이 해양 구조물과의 상대운동에 의해 증가하게 되고, 이는 선체 및 무어링 스토퍼에 하중으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레일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상대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간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무어링 시스템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큰 하중이 발생할 경우 미리 설정된 운용 반경을 넘어설 수 있다. 이 경우를 대비하여 스토퍼(124)가 구비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자동으로 레일 시스템(120)에서 제동이 걸리게 하여 페어리드 모듈(110)의 이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이 구비된 무어링 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는 선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자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View A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는 선체(10), 페어리드(112), 주행체(114), 레일(122), 브레이크 시스템(200), 브레이크 기어(210), 기어몸체(212), 기어치(214), 브레이크 몸체(220), 브레이크 바(240), 연결로드(235), 무게추(230), 고정점(250)이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200)은 해양 구조물에 갑작스런 움직임이 있을 시에 레일 시스템에 제동을 걸어 페어리드 모듈의 이동을 방지한다.
브레이크 시스템(200)은 레일 시스템의 후면 측, 즉 선체(10)의 내부에 장착되며, 관성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지는 원리가 적용된다.
브레이크 시스템(200)은 브레이크 기어(210), 브레이크 몸체(220), 무게추(230), 브레이크 바(240)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기어(210)는 선체(10)의 내측에서 레일(122)의 설치위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 설치되는 기어몸체(212)와, 기어몸체(212)의 하면 및 선체(10)의 측면에 대해 수직하게 기어몸체(212)의 하면에 설치되는 기어치(214)를 포함한다.
기어치(214)는 기어몸체(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어, 후술할 브레이크 바(240)가 걸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어몸체(212)는 레일(122)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짐으로써, 페어리드(112)가 레일(122) 상에서 임의의 위치에 있더라도 갑작스런 움직임에 대해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브레이크 몸체(220)는 주행체(114)에 결합되어 있어, 주행체(114)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브레이크 몸체(220)의 일면에는 고정점(250)이 마련되어 있고, 고정점(250)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연결로드(235)를 통해 무게추(23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점(250)의 상측으로는 V자 형상의 브레이크 바(240)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로드(235)와 브레이드 바(240)는 고정점(250)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브레이크 바(240)는 무게추(230)가 수직 하방으로 놓여진 경우에는 정상적인 V자 형상을 가지게 되어 그 상단의 높이가 기어치(214)의 최하단보다 낮아 걸리지 않지만, 무게추(230)가 움직인 경우에는 고정점(25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V자 형상이 기울어짐으로써 일측의 상단 높이가 기어치(214)의 최하단보다 높아지게 됨으로써 기어치(214) 사이의 공간에 걸리게 된다.
가속도가 거의 없는 일반 이동 시의 브레이크 시스템(200)의 모습(도 5의 (a))과 급 가속 이동 시의 브레이크 시스템(200)의 모습(도 5의 (b))이 예시되어 있다.
일반 이동 시에는 가속도가 없거나 그 크기가 작아 무게추(230)가 회동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바(240)의 상단이 브레이크 기어(210)의 하단보다 낮아 걸리지 않게 된다.
하지만, 갑작스런 해양 구조물의 움직임에 의해 레일(122) 상에 놓여진 주행체(114)가 갑작스럽게 상대 운동을 하여 가속도를 가지게 될 경우, 주행체(114)에 결합된 브레이크 몸체(220) 역시 가속도를 가지게 된다. 이 경우 무게추(230)는 관성에 의해 제자리를 지켜려고 하게 됨으로써 고정점(25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바(240)가 고정점(25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브레이크 기어(210)에 걸림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지고, 주행체(114)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무게추(230)의 무게는 제동하고자 하는 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는 선체(10), 갑판(12), 페어리드 모듈(110), 페어리드(112), 주행체(114), 체인(20), 체인 로커(116), 레일 시스템(320), 제1~제2 레일(322, 324), 제1~제4 유압 시스템(330-1, 330-2, 340-1, 340-2), 제1~제2 유압라인(350-1, 350-2)이 도시되어 있다.
체인 로커(chain locker)는 해양 구조물의 계류를 위해 투입된 체인의 나머지 부분을 보관하는 공간이다. 갑판에 위치하는 체인 로커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 경우 하부의 페어리드가 움직이게 되면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체인에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은 페어리드(112)의 이동 시 갑판(12)에 위치하는 체인 로커(116)도 레일 시스템(320) 및 상호 연계된 유압 시스템에 의해 페어리드(112)와 동일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페어리드(112)와 체인 로커(116)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레일 시스템(320)은 페어리드 모듈(110)의 주행을 위한 제1 레일(322)과 체인 로커(116)의 주행을 위한 제2 레일(324)을 포함한다.
제1 레일(322)은 선체(10)의 표면에 설치되고, 제2 레일(324)은 갑판(12) 상부에 설치되되, 제1 레일(322)과 제2 레일(324)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1 레일(322)과 제2 레일(324)의 양 끝단은 수평선 상에서 동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레일(322)을 따라 페어리드 모듈(110)이 주행하며, 제2 레일(324)을 따라 체인 로커(116)가 주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인 로커(116)는 제2 레일(324)을 따라 주행 가능한 몸체를 가질 수 있다.
제1 레일(322)의 양 끝단, 즉 선미 측 및 선수 측에는 제1 유압 시스템(330-1)과 제2 유압 시스템(330-2)이 설치되고, 제2 레일(324)의 양 끝단, 즉 선수 측 및 선미 측에는 제3 유압 시스템(340-1)과 제4 유압 시스템(340-2)이 설치된다.
제1 유압 시스템(330-1)과 제3 유압 시스템(340-1)은 제1 유압라인(350-1)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제2 유압 시스템(330-2)과 제4 유압 시스템(340-2)은 제2 유압라인(350-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선체(10)의 움직임에 따라 페어리드 모듈(110)이 제1 레일(322)을 따라 이동하여 선미 측으로 이동하여 제1 유압 시스템(330-1)을 가압하면, 제1 유압라인(350-1)을 따라 유체가 이동하여 제3 유압 시스템(340-1)을 작동시키게 되어 체인 로커(116)가 제2 레일(324)을 따라 선미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체인 로커(116)도 페어리드 모듈(110)과 동일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선체(10)의 움직임에 따라 페어리드 모듈(110)이 제1 레일(322)을 따라 이동하여 선수 측으로 이동하여 제2 유압 시스템(330-2)을 가압하면, 제2 유압라인(350-2)을 따라 유체가 이동하여 제4 유압 시스템(340-2)을 작동시키게 되어 체인 로커(116)가 제2 레일(324)을 따라 선수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이번에도 체인 로커(116)도 페어리드 모듈(110)과 동일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체인 로커(116)는 하부의 페어리드 모듈(110)과 같은 위치를 유지하게 되어 양자 간에 간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갑판(12)에 설치된 체인 로커(116)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갑판(12)에 체인 스토퍼(chain stopper)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체인 스토퍼에 대해서도 동일한 기술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선체 100: 무어링 시스템
110: 페어리드 모듈 112: 페어리드
114: 주행체 120: 레일 시스템
122: 레일 124: 스토퍼
200: 브레이크 시스템 210: 브레이크 기어
212: 기어몸체 214: 기어치
220: 브레이크 몸체 230: 무게추
235: 연결로드 240: 브레이크 바
250: 고정점 320: 레일 시스템
322: 제1 레일 324: 제2 레일
330-1~330-4: 제1~제4 유압 시스템
350-1, 350-2: 제1~제2 유압라인

Claims (9)

  1. 해양 구조물의 선체 측면에 설치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갑판과 해저면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페어리드 모듈을 포함하는 무어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리드 모듈은,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에 일정 간격으로 일렬로 결합되며, 각각 하나씩의 체인을 담당하는 복수의 페어리드를 포함하는 무어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양 끝단에는 상기 페어리드 모듈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무어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대응되는 선체 내부에 설치되며, 소정 크기 이상의 가속도에 대해서는 상기 페어리드 모듈에 대해 관성에 의한 제동을 가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무어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은,
    상기 선체의 내측에서 상기 레일의 설치위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 설치되는 기어몸체와, 상기 기어몸체의 하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기어치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기어와;
    상기 페어리드 모듈에 연결되어 함께 움직이는 브레이크 몸체와;
    상기 브레이크 몸체의 일면에 마련된 고정점을 중심으로 상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브레이크 바와;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하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무게추를 포함하되,
    상기 무게추와 상기 브레이크 바는 일체로 회전 이동하는 무어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바는 V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평상시에는 상기 V자의 상단이 상기 기어치의 최하단보다 낮게 위치하며, 상기 페어리드 모듈이 소정 크기 이상의 가속도를 가진 경우 상기 무게추의 관성에 의해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V자의 상단이 상기 기어치의 최하단보다 높게 위치하여 상기 기어치에 걸림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지는 무어링 시스템.
  7. 해양 구조물의 선체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레일과 갑판에 설치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상기 갑판과 해저면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페어리드 모듈;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상기 체인의 잔여 부분을 보관하는 체인 로커; 및
    상기 레일 시스템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페어리드 모듈의 이동에 상응하는 유압을 상기 체인 로커에 제공하는 유압 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시스템은,
    상기 제1 레일의 선미 측 및 선수 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유압 시스템 및 제2 유압 시스템과;
    상기 제2 레일의 선수 측 및 선미 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3 유압 시스템 및 제4 유압 시스템과;
    상기 제1 유압 시스템과 상기 제3 유압 시스템을 연결하는 제1 유압라인과;
    상기 제2 유압 시스템과 상기 제4 유압 시스템을 연결하는 제2 유압라인을 포함하는 무어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리드 모듈이 선미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유압 시스템을 가압하면 상기 제1 유압라인을 통해 유체가 이동하여 상기 제3 유압 시스템을 작동시켜 상기 체인 로크를 선미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페어리드 모듈이 선수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유압 시스템을 가압하면 상기 제2 유압라인을 통해 유체가 이동하여 상기 제4 유압 시스템을 작동시켜 상기 체인 로크를 선수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페어리드 모듈과 상기 체인 로크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무어링 시스템.
KR1020140128950A 2014-09-26 2014-09-26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 KR101662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950A KR101662667B1 (ko) 2014-09-26 2014-09-26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950A KR101662667B1 (ko) 2014-09-26 2014-09-26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279A true KR20160037279A (ko) 2016-04-06
KR101662667B1 KR101662667B1 (ko) 2016-10-06

Family

ID=5579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950A KR101662667B1 (ko) 2014-09-26 2014-09-26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6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4075A (en) * 1992-09-03 1994-11-15 Smith Berger Marine, Inc. Retractable mount for a mooring line guide and process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20357A (ko) * 2010-08-30 2012-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20120091816A (ko) 2011-02-10 2012-08-20 미래산업기계 주식회사 부유체의 계류 안정화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44153A (ko) * 2012-10-04 2014-04-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페어리이더를 갖는 선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4075A (en) * 1992-09-03 1994-11-15 Smith Berger Marine, Inc. Retractable mount for a mooring line guide and process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20357A (ko) * 2010-08-30 2012-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1205344B1 (ko) * 2010-08-30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20120091816A (ko) 2011-02-10 2012-08-20 미래산업기계 주식회사 부유체의 계류 안정화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44153A (ko) * 2012-10-04 2014-04-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페어리이더를 갖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667B1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1008A (en) Submerged swivelling mooring line fairlead device for use on a structure at sea
WO2011034422A2 (en) Hoisting device
US9315239B2 (en) Load compensating mooring hooks
KR101762832B1 (ko) 선박용 계류 장치
KR101741523B1 (ko) 해양플랫폼
KR102400054B1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KR101662667B1 (ko) 레일 시스템을 가지는 무어링 시스템
US10442505B2 (en) Offshore lifting of a load with heave compensation
US20100098498A1 (en) Anchor system for offshore dynamically positioned drilling platform
KR20120023713A (ko) 수면에 분산제 또는 다른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239734B2 (en) Method for lowering a subsea structure having a substantially flat support base into the water through the splash zone
KR101715704B1 (ko) 선박의 이동량 보상기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이동량 보상 방법
NO340970B1 (en) Mooring arrangement
US20230219662A1 (en) System for avoiding damage to power cables to and from and within a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plant
KR20160016045A (ko) 케이블 포설 기능을 지닌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
KR20120134120A (ko) 부동 유닛을 위한 능동적인 위치 유지 시스템
KR20220006969A (ko) 톱니형 부두
SE538099C2 (sv) Ett förtöjningssystem
KR101878167B1 (ko) 심해저 광물자원 양광시스템의 진수 또는 회수를 위한 수동형 짐발 크래들과 수동형 짐발 크래들을 구비하는 문풀 게이트
KR102662433B1 (ko) 웨더베이닝 다점계류 방법
KR20210034199A (ko) 일점계류 셔틀탱커
KR20150104734A (ko) 도르래를 이용한 선박 계류장치
WO2017174083A1 (en) Riser retention system and drillship with the same
KR102487582B1 (ko) 해양 구조물
KR101605336B1 (ko) 풀리 타입의 다점 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