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764A - Apparatus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Shielding Magnetic Field for Small-sized and Light-weight Mobi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Shielding Magnetic Field for Small-sized and Light-weight Mobi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764A
KR20160036764A KR1020140128632A KR20140128632A KR20160036764A KR 20160036764 A KR20160036764 A KR 20160036764A KR 1020140128632 A KR1020140128632 A KR 1020140128632A KR 20140128632 A KR20140128632 A KR 20140128632A KR 20160036764 A KR20160036764 A KR 20160036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receiving
core
loop circu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1441B1 (en
Inventor
임춘택
이은수
정석용
손영훈
최보환
김지훈
원유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2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441B1/en
Priority to PCT/KR2015/009951 priority patent/WO2016048008A1/en
Publication of KR2016003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7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4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7/00Screening
    • G12B17/02Screening from electric or magnetic fields, e.g. radio 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3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made of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36Coupling devices having distributed capacitance and inductanc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for introducing or removing wave energy
    • H01J23/40Coupling devices having distributed capacitance and inductanc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for introducing or removing wave energy to or from the interaction circuit
    • H01J23/46Loop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27Electromagnetic interstage coupling
    • H01P1/20336Comb or interdigital filters
    • H01P1/20345Multilayer fil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1Active shi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receiving power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The apparatus includes a metal shielding plate; a receiving core which has a body part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metal shielding plate on one side of the metal shielding plate; and a receiving cable wound around the receiving core. So, the shielding effect of a magnetic field can be maximized.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충전용 소형 경량화 무선전력 수신 및 자기장 차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Apparatus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Shielding Magnetic Field for Small-sized and Light-weight Mobi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ct and lightweight wireless power receiving and magnetic shielding device for charging a mobile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기기 충전용 소형 경량화 무선전력 수신 및 자기장 차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ct and lightweight wireless power reception and magnetic-field shielding apparatus for charging mobile equipment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들이 광역 유비쿼터스 와이파워존(Ubiquitous Wi-Power Zone) 내에 언제 어디서든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방식이 향후 미래형 차세대 무선 충전방식으로서 사용될 전망이다.The way that users of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that can charge wirelessly, can charge wirelessly anywhere in the ubiquitous Wi-Power Zone will be used as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charging method in the future.

유비쿼터스 와이파워존은 국제 자기장 규격인 ICNIRP(International Commission on Non-Ionizing Radiation Protection) 가이드라인을 만족하는 자기장을 발생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무선 충전 구역을 제공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컴퓨터 등이 언제 어디서든 자유로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Ubiquitous WiFi Zone provides a wireless charging zon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by generating a magnetic field that meets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Non-Ionizing Radiation Protection (ICNIRP) guideline, and mobile devices and wearable computers can freely power Is an environment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와이파워존 내에서 모바일 기기에 부착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설계 시 관건은 다음과 같다.The key issues when designing wireless power receivers attached to mobile devices in Wi-Fi War Zone are as follows.

첫째, 무선전력 송수신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의 합이 전자기기의 EMI 규제 혹은 ICNIRP 가이드 라인을 만족하여 수신장치가 적용되는 모바일 기기 혹은 사용자에 무해하여야 한다. 둘째, 작고 가벼운 종래의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신장치는 소형경량 설계됨과 동시에 전력을 수신하기에 최적화된 구조설계가 되어야 한다.와이파워존 내에서 모바일 기기가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환경하에, 전력수신장치 주위에 있는 사용자에게 자기장이 ICNIRP 가이드라인을 만족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최적화된 구조설계를 하는 것이 관건이다.First, the sum of the magnetic fields genera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should be harmless to the mobile device or the user to which the receiving device is applied because it meets the EMI regul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ICNIRP guideline. Seco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mall and lightweight conventional mobile device, the receiving device must be designed to be compact and lightweight, and at the same time to be designed to be optimized for receiving power.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mobile device receives wireless power within Wi- It is the key to the user around the reception device to design the structure so that the magnetic field meets the ICNIRP guideline and does not inconvenience the user.

즉, 전력수신 장치를 소형 경량화함과 동시에, 전력송신 장치에서 제공하는 자기장과 모바일 기기에 장착된 전력수신 장치의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합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자기장을 차폐할 필요가 있다.That is, it is necessary to shield the magnetic field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sum of the magnetic field provided by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electric current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on the human body is minimized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 내에 전력수신을 위한 자기코어 및 케이블을 구비하고 자기코어의 단말기 측면에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는 자기장 차폐 부재를 추가함으로써 자기코어 주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인체로 향하는 정도를 최소화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gnetic core and a cable for power reception in a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and a magnetic shielding member capable of shielding the magnetic fiel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of the magnetic core, To minimize the degree to which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body is directed toward the human body.

또한, 자기장 차폐 부재로서 금속판과 차폐 루프회로를 부가함으로써 자기장 차폐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to maximize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effect by adding a metal plate and a shielding loop circuit as the magnetic-field shielding member.

전력수신 장치에서 동일한 크기의 전력을 수신하면서도 수신 케이블의 내부 저항이 최소가 되어 전력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수신 코어의 형태를 결정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shape of a receiving core so that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receiving cable is minimized while receiving power of the same size in the power receiving device so that power can be most effectively transmitt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력수신 장치에 있어서, 금속 차폐판; 상기 금속 차폐판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몸통부를 구비하는 수신 코어; 상기 수신 코어에 권취되는 수신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a metal shield plate; A receiving core having a bod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etal shield plate; And a receiving cable wound around the receiving core.

상기 금속 차폐판을 기준으로 상기 수신 코어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보조 차폐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차폐판 및 상기 보조 차폐판 사이에 보조 코어가 추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코어의 두께는 상기 수신 코어의 두께보다 얇게 구현될 수 있다.And an auxiliary shielding plat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ceiving core with respect to the metal shielding plate, wherein an auxiliary core can be further inserted between the metal shielding plate and the auxiliary shielding plate, May be implement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ceiving core.

상기 전력수신 장치는 제1 차폐 루프회로 및 제2 차폐 루프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차폐 루프회로의 중앙부에 상기 수신 코어의 일단이 위치하고, 상기 제2 차폐 루프회로의 중앙부에 상기 수신 코어의 타단이 위치하며, 상기 제1 차폐 루프회로 및 상기 제2 차폐 루프회로는 상기 몸통부와 교차되고, 상기 교차된 부분은 상기 금속 차폐판과 상기 몸통부의 사이에 위치하게 구현될 수 있다.Wherein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and a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wherein one end of the receiving core is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And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and the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intersect with the body portion, and the intersecting portion may be located between the metal shielding plate and the body portion.

상기 수신 코어는, 양단에 각각 상기 몸통부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을 이루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차폐 루프회로 및 상기 제2 차폐 루프회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는, 그 일부분이 상기 몸통부 및 상기 돌출부와 교차하면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돌출부의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제3 차폐 루프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교차하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를 둘러싸는 제4 차폐 루프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receiving cor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ed at both ends of the receiving core so as to have an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s Further comprising a third shielding loop circuit partially surrounding the body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and surrounding a connecting portion of the body and the protruding portion, the fourth shielding loop circuit intersecting the protruding portion and surrounding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As shown in FIG.

상기 수신 코어는 I자 형상을 하며, 상기 몸통부는 원통형 형상, 직사각기둥 또는 정사각기둥 형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receiving core may have an I-shape, and the body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 rectangular column, or a square column shape.

또한, 수신 케이블은 수신 코어의 기둥 부분에 균등하게 감길 수도 있으며, 수신 코어의 중앙부에 모아진 형태로 집중하여 감길 수도 있고, 또는 수신 코어 기둥의 양 단부에 각각 인접한 두 부분에 감길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cable may be evenly wrapped around the column portion of the receiving core, focused concentrically arou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ceiving core, or wound around two portions adjacent to the opposite ends of the receiving core colum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력수신 장치에 있어서, 면 형태 부재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몸통부를 구비하는 수신 코어; 상기 수신 코어에 권취되는 수신 케이블; 상기 몸통부의 일단부를 감싸며 상기 면 형태 부재와 상기 몸통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차폐 루프회로; 및 상기 몸통부의 타단부를 감싸며 상기 면 형태 부재와 상기 몸통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차폐 루프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a receiving core having a body disposed on one side of a planar member; A receiving cable wound around the receiving core; A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that surrounds one end of the body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body and the body; And a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which surrounds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face-shaped member and the bod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제1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력수신 장치가 상기 이동단말기의 몸통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력수신 장치에서 상기 금속 차폐판이 상기 이동단말기의 몸통부를 향하고 상기 수신 코어가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is disposed at one side of a body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metal shield plate faces the body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eceiver core faces the out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 내에 전력수신을 위한 자기코어 및 케이블을 구비하고 자기코어의 단말기 측면에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는 자기장 차폐 부재를 추가함으로써 자기코어 주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인체로 향하는 정도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ic core and a cable for power reception are provided in a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and a magnetic shielding member capable of shielding a magnetic field is provided on the terminal side of the magnetic core, Thereby minimizing the degree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human body toward the human body.

또한, 자기장 차폐 부재로서 금속판 외에 차폐 루프회로를 부가함으로써 자기장 차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전력수신 장치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유지하면서 자기장 차폐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자기장 차폐 부재로서 금속판 이외에 자기코어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차폐 루프회로를 금속판과 병용하거나 또는 차폐 루프회로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adding a shielding loop circuit in addition to the metal plate as the magnetic shield member, the effect of shielding the magnetic field can be maximized, and the effect of shielding the magnetic field can be maximized while the thickness of the power receiver is kept as thin as possible. As the magnetic-field shielding member, a shielding loop circuit which is disposed in the form of wrapping the end portion of the magnetic core other than the metal plate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metal plate, or the shielding loop circuit may be used alone.

수신 코어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함으로써 전력수신 장치에서 동일한 크기의 전력을 수신하면서도 수신 케이블의 내부 저항이 최소가 되어 전력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By making the shape of the receiving core cylindrical,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receiving cable is minimized while receiving power of the same magnitude in the power receiving device, so that the power can be most effectively transmitted.

도 1은 이동 단말기의 본체(10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가 장착된 경우를 간략화하여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에 보조 차폐판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복수개의 코어 및 복수개의 차폐판을 두어 자기장이 차폐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에 차폐회로(320, 330, 340)를 부가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에서 돌출부(122)의 단부를 둘러싸는 제4 차폐 루프회로(360)를 부가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수신 코어(120)에서 몸통부(121)의 단면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몸통부(121)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직사각형의 형상에 따른 턴당 길이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c는 몸통부(121)의 단면형상이 직사각형과 원형을 조합한 형상인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에 인체가 접근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전력수신 장치에서 전체 수신 회로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c는 수신 회로의 공진점의 변화에 의한 수신 전력의 감소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simplified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ain body 100 of a mobile terminal.
FIG. 2 (a)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a supplementary shielding plate is additionally included in a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b) And the magnetic field is shielded.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shielding circuits 320, 330, and 340 are added to a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fourth shield loop circuit 360 surrounding an end of the protrusion 122 is added to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121 in the receiving core 120. FIG. 5B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length per tur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ctangle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121 is rectangular. And Fig.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runk portion 121 is a combination of a rectangle and a circle.
FIG.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human body approaches a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quivalent circuit for an entire receiving circuit in a power receiving apparatus, FIG.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duction in received power due to a change in resonance point of a circui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이동 단말기의 본체(10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가 장착된 경우를 간략화하여 예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simplified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ain body 100 of a mobile terminal.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는 금속 차폐판(110), 수신 코어(120) 및 수신 케이블(130)을 포함한다.1, a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al shield plate 110, a receiving core 120, and a receiving cable 130. As shown in FIG.

금속 차폐판(110)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금속 재질로서 철판, 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metal shielding plate 1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hrough which an electric current can flow, such as an iron plate or aluminu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수신 코어(120)는 금속 차폐판(110)의 일측면에 금속 차폐판(110)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길쭉한 막대 형태의 몸통부(121), 및 몸통부(121)의 양단에 각각 금속 차폐판(110)과 나란하면서 몸통부(121)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을 이루어 좌우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2)를 더 포함한다.The receiving core 120 includes an elongated bar-shaped body 12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etal shield plate 110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metal shield plate 110, And at least one protrusion 122 protru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t an angl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21 in parallel with the plate 110.

여기서 돌출부(122)는 몸통부(12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각 돌출부(122)는 몸통부(121)의 길이 방향에 대칭한 형태로 두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체 수신 코어(120)의 형태는 'I' 자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돌출된 돌출부(122)를 구비함으로써 수신 코어(120)의 가로 방향의 유효 단면적을 넓혀서 자속을 수신하는 영역을 넓히는 효과가 있다.Here, the projecting portions 122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121, respectively. Each of the protrusions 122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wo direction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21.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entire receiving core 120 is an 'I' shape. By providing the protruding portion 122, the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ceiving core 1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widened, thereby widening the area for receiving the magnetic flux.

몸통부(121)의 단면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원형 형상으로 구현 가능하며, 몸통부(121)는 동일 단면적일 경우 단면의 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하여 몸통부(121)가 원통형이 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동일 단면적 대비 케이블의 내부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력수신 효율이 가장 좋다. 이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body 12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quare, or circular shape, and when the body 121 has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the body 12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body 121 is cylindrical It can minimize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cable compared to the cross-sectional area, and the power receiving efficiency is the bes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S. 5A and 5B.

수신 케이블(130)은 수신 코어(120)에 권취된다. 또한, 수신 케이블(130)은 몸통부(121)의 기둥 부분에 균등하게 감길 수도 있으며, 몸통부(121)의 중앙부에 모아진 형태로 집중하여 감길 수도 있고, 또는 몸통부(121) 기둥의 양 단부에 각각 인접한 부분에 감길 수도 있다.Receiving cable 130 is wound on receiving core 120. The receiving cable 130 may be uniformly wrapped around the pill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21 or may be wound concentrically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21 or may be wound around the both ends of the pillar 121 Respectively.

도 1에서는 수신 케이블(130)이 몸통부(121)에 권취된 형태만 도시하였으며, 수신 케이블(130)에서 발생한 유도 기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거나 전원으로 사용하는 수신 회로에 관한 사항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도 1에서는 그에 대한 도면 표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 shows only the form in which the receiving cable 130 is wound around the body 121 and the matters related to the receiving circuit for storing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receiving cable 130 in the battery or using it as a power supply are well known In FIG. 1,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are omitted.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차폐판(110)이 이동 단말기의 본체(100) 내측 방향으로 향하고, 수신 코어(120)는 이동 단말기의 본체(100) 외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metal shield plate 110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eceiving core 120 is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terminal.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본체(100) 후면에 얇은 수신 코어(120)와 금속 차폐판(110)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장이 ICNIRP 가이드라인(270 mG 이하)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금속 차폐판(110)은 수신 케이블(130)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 중에서 일부를 흡수하여 수신 코어(120)의 반대편으로 자기장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즉, 금속 차폐판(110)은 수신 케이블(130)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이 금속 차폐판(110)에 입사되는 경우에 입사되는 자기장이 감쇄되는 방향으로 자기장이 발생하도록 와전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와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수신 케이블(13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차폐되는 역할을 한다.1, a thin receiving core 120 and a metal shielding plate 110 are u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terminal, so that a magnetic field affecting the user's body is guided by the ICNIRP guideline (270 mG or less) . ≪ / RTI > Here, the metal shield plate 110 absorbs a part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induction current generated in the receiving cable 130 to prevent the magnetic field from pass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receiving core 120. That is, when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induction current generated in the receiving cable 130 is incident on the metal shield plate 110, the eddy current is generated in the metal shield plate 110 such that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cident magnetic field is attenuated Occurs. Accordingl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receiving cable 130 is shield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eddy current.

수신 코어(120)를 코어의 몸통부(121)가 기둥이 원통형이 아니더라도 I 자형으로 구현함으로써 일반적인 원통형을 사용한 경우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수신장치의 부피와 무게를 대폭 줄임과 동시에 전력송신 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발생하여 수신 코어(120)의 몸통부(121)에 권취된 수신 케이블(130)에 쇄교되는 자속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다.The receiving core 120 can be received in a substantially same level as that in the case where the body 121 of the core is formed in an I-shape even if the column is not cylindrical. That is,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receiving apparatus are greatly reduced, and the magnetic flux, which is generated at the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not shown) and is linked to the receiving cable 130 wound around the body portion 121 of the receiving core 120, .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에 보조 차폐판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a)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ncludes an auxiliary shielding plate.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차폐판(110)을 기준으로 수신 코어(120)의 반대방향에 금속 차폐판(110)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보조 차폐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차폐판(110) 및 보조 차폐판(140) 사이에 보조 코어(150)가 추가로 삽입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코어(150)의 두께는 수신 코어(120)의 두께보다 얇도록 구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의 두께가 최소화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A,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hielding plate 140 positioned in parallel to the metal shielding plate 1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ceiving core 120 with respect to the metal shielding plate 110 . In addition, the auxiliary shield 150 may be further inserted between the metal shield plate 110 and the auxiliary shield plate 140. Here,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core 150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ceiving core 120, thereby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b)는 자기장이 차폐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b)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gnetic field is shielded.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I형의 수신 코어(120)의 외측 방향으로는 강한 자기장이 유도되나, 수신 코어(120)에서 금속 차폐판(110) 방향의 자기장이 차폐된다. 금속 차폐판(110)으로 입사된 자기장 중에서 차폐되지 않고 통과된 일부의 자기장은 보조 코어(150)에 의해 흡수되며, 보조 코어(150)에서도 흡수되지 않은 자기장은 보조 차폐판(140)에 의해 차폐되므로 인체로 향하는 자기장은 최소화된다. 이와 같이, 얇은 보조 코어(150) 및 차폐판(110, 140) 쪽인 I 형 코어 반대 방향(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액정이 있는 방향)으로는 자기장이 유도되지 않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체에 유해하지 않게 된다.A strong magnetic field is induc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I-type receiving core 120, but the magnetic field in the direction of the metal shielding plate 110 in the receiving core 120 is shielded as shown in FIG. 2 b). A part of the magnetic field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metal shielding plate 110 without being shielded is absorbed by the auxiliary core 150 and the magnetic field not absorbed by the auxiliary core 150 is shielded by the auxiliary shielding plate 140 The magnetic field directed to the human body is minimiz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gnetic field is not induc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type core (in the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in the case of the smartphone), which is the thin auxiliary core 150 and the shielding plates 110 and 140, It is not harmful.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코어(150) 및 보조 차폐판(140)이 각각 하나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보조 코어(150) 및 보조 차폐판(140) 쌍이 복수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보조 차폐판(140)에 인접하여 제2 보조 차폐판(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고 보조 차폐판(140)과 제2 보조 차폐판(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제2 보조 코어(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auxiliary core 150 and the auxiliary shielding plate 140 are one, but a plurality of pairs of the auxiliary core 150 and the auxiliary shielding plate 140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For example, a second auxiliary shielding plate (not shown) is located adjacent to the auxiliary shielding plate 140 and a second auxiliary core (not shown) is disposed between the auxiliary shielding plate 140 and the second auxiliary shielding plate May be disposed.

수신 케이블(130) 측에 유기되는 전압 V2는 수학식 1과 같이 수신 케이블(130)의 턴수(N2), 각 동작주파수(ωs), 전력송신 장치로부터 쇄교하는 자속(Φ1)에 비례한다.Voltage V 2 is induced in the receiving cable 130 side is number of turns (N 2), each operating frequency (ω s), from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chain Gyoha of receiving cable 130 as shown in Equation 1 is the magnetic flux (Φ 1) .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에 차폐회로(320, 330, 340)를 부가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shielding circuits 320, 330, and 340 are added to a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에서 금속 차폐판(110)과 나란하게 제1 차폐 루프회로(320) 및 제2 차폐 루프회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폐 루프회로(320)의 중앙부에 수신 코어(120)의 몸통부(121)의 일단이 위치하고, 제2 차폐 루프회로(330)의 중앙부에 수신 코어(120)의 몸통부(121)의 타단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몸통부(121)의 양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차폐 루프회로는 몸통부(121)의 양단부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이 이동 단말기의 본체(100) 방향으로 향하는 정도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차폐 루프회로(320) 및 제2 차폐 루프회로(330)는 금속 차폐판(110)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 차폐판(110) 없이 제1 차폐 루프회로(320) 및 제2 차폐 루프회로(330)만 자기장 차폐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3,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hield loop circuit 320 and a second shield loop circuit 330 in parallel with the metal shield plate 110 have. One end of the body 121 of the receiving core 12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320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121 of the receiving core 12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330. [ The other end is located. The shielding loop circuit arranged to surround both ends of the body 121 plays the role of minimizing the degree of the magnetic fluxes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body 121 toward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terminal.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320 and the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330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metal shielding plate 110 but in some cases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320 and / Only the second shield loop circuit 330 may be used for magnetic shielding purposes.

제1 차폐 루프회로(320) 및 제2 차폐 루프회로(330)는 각각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차폐 루프회로(320) 내에 서로 교차하지 않는 형태로 배치되는 또다른 하나 이상의 보조 차폐 루프회로가 존재할 수 있다.There may be a plurality of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320 and the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33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re may be another one or more auxiliary shield loop circuits disposed in the first shield loop circuit 320 so as not to cross each other.

제1 차폐 루프회로(320) 및 제2 차폐 루프회로(330)는 수신 코어(120)의 몸통부(121)와 교차되고, 도 3에 도시하듯이 그 교차된 부분은 금속 차폐판(110)과 수신 코어(120)의 몸통부(121) 사이에 위치한다.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320 and the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330 intersect the body 121 of the receiving core 120 and the intersecting portion of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320 and the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330 is connected to the metal shielding plate 110, And the body portion 121 of the receiving core 120. [

제1 차폐 루프회로(320) 및 제2 차폐 루프회로(33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는, 그 일부분이 몸통부(121) 및 돌출부(122)와 교차하면서 몸통부(121)와 돌출부(122)의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제3 차폐 루프회로(340, 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320 and the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330 has a body portion 121 and a protrusion 122 intersecting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protrusion portion 122, The third shielding loop circuit 340, 350 surround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제1 차폐 루프회로(320) 및 제2 차폐 루프회로(330) 내측에 각각 제3 차폐 루프회로(340, 35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몸통부(121)의 양 단부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휴대폰의 본체(100)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감쇄해주는 양이 더 커지도록 한다. 따라서, 휴대폰의 본체(100) 방향의 자기장 감쇄효과는 더 커지게 된다.The third shielding loop circuits 340 and 350 are additionally provided inside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320 and the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330 so that the magnetic fluxes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body section 121 So that the amount of attenuation toward the main body 100 direction is made larger. Therefore, the magnetic field attenuation effect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of the cellular phone becomes larger.

한편, 제1 차폐 루프회로(320) 및 제2 차폐 루프회로(330)는 금속 차폐판(110) 상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금속 차폐판(110)이 없는 경우에는 면 형태 부재(31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몸통부(12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몸통부(121)의 일단부를 감싸며 면 형태 부재(310)와 몸통부(121)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차폐 루프회로(320), 몸통부(12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몸통부(121)의 타단부를 감싸며 면 형태 부재(310)와 몸통부(121)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차폐 루프회로(330)을 구비한다.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320 and the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330 may be disposed on the metal shielding plate 110. In the absence of the metal shielding plate 110, Or may be disposed on one side. In this case,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320, which surrounds one end of the body 121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face-shaped member 310 and the body 121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21, And a second shield loop circuit 330 which surrounds the other end of the body 121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21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body 310 and the body 12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에서 돌출부(122)의 단부를 둘러싸는 제4 차폐 루프회로(360)를 부가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fourth shield loop circuit 360 surrounding an end of the protrusion 122 is added to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부(121)의 어느 하나의 단부를 감싸는 차폐 루프회로는 복수개 존재하며, 복수개의 차폐 루프회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폐회로는 돌출부(122) 및 몸통부(121)와 교차하면서 몸통부(121)와 돌출부(122)의 연결부를 둘러싸고, 복수개의 차폐 루프회로 중에서 다른 하나의 차폐회로는 돌출부(122)와 교차하면서 돌출부(122)를 둘러싸는 위치에 존재한다. 예컨대, 몸통부(121)의 일단부에서 사용되는 차폐회로는 복수개로서 제1 차폐 루프회로(320), 제3 차폐 루프회로(340) 및 제4 차폐 루프회로(36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차폐 루프회로(320)는 돌출부(122) 전체와 몸통부(121)의 일단부를 둘러싼 형태가 된다. 제1 차폐 루프회로(320)의 내측에 제3 차폐 루프회로(340) 및 제4 차폐 루프회로(360)가 중첩되지 않으면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존재한다. 제3 차폐 루프회로(340)는 몸통부(121)와 돌출부(122)의 연결부를 둘러싸는 형태가 되고, 제4 차폐 루프회로(360)는 돌출부(122)를 둘러싸는 형태가 된다.4, there are a plurality of shielding loop circuits for enclosing any one end of the body 121,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hielding loop circuits includes a protrusion 122 and a body 121 And the other shielding circuit among the plurality of shielding loop circuits is located at a position surrounding the protrusion 122 while intersecting the protrusion 122.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shielding circuit us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21 includes a plurality of shielding loop circuits 320, a third shielding loop circuit 340 and a fourth shielding loop circuit 360 as a plurality of shielding circuits. In this case,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32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ntirety of the protruding portion 122 and one end of the trunk portion 121. The third shielding loop circuit 340 and the fourth shielding loop circuit 360 are not overlapp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320 but exist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third shielding loop circuit 34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protrusion portion 122 and the fourth shield loop circuit 36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protrusion portion 122.

제3 차폐 루프회로(340)는 몸통부(121) 및 돌출부(122)와 각각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4 차폐 루프회로(360)는 몸통부(121)와는 교차하지 않으면서 돌출부(122)와는 교차하도록 배치된다.The third shielding loop circuit 340 is arranged at a position intersecting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protrusion 122 respectively and the fourth shielding loop circuit 36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 122 As shown in Fig.

도 4와 같이, 몸통부(121)의 단부를 둘러싸는 형태의 보조회로를 부가함으로써 자기장 감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4,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magnetic field damping by adding an auxiliary circuit which surrounds the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21. [

도 5a는 수신 코어(120)에서 몸통부(121)의 단면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FIG. 5A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121 in the receiving core 120. FIG.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부(121)의 단면 형상은 육면체(a) 또는 원형(b)으로 구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ody portion 121 can be realized by a hexahedron a or a circular b.

금속 차폐판(110), 수신 코어(120), 보조 차폐판(140) 및 보조 코어(150) 등은 자기장에 의해 포화가 되지 않도록 적절한 두께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자기장이 크게 발생하는 수신 코어(120)의 두께는 보조 코어(150)의 두께보다는 두껍게 구현된다. 또한, 차폐판의 경우도 보조 차폐판(140)의 경우는 자기장이 입사되는 양이 적으므로 금속 차폐판(110)의 두께보다 작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구성요소의 두께를 결정함으로써 전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단면 형상이 직육면체인 경우의 단면적과 둘레의 길이를 A1 및 R1, 정육면체인 경우의 단면적과 둘레의 길이를 A2 및 R2, 원형인 경우의 단면적과 둘레의 길이를 A3 및 R3이라 할 때, A1 = A2 = A3 이면, R1 > R2 > R3 가 성립한다.It is important that the metal shielding plate 110, the receiving core 120, the auxiliary shielding plate 140, and the auxiliary core 150 are selected to have a proper thickness so as not to be saturated by the magnetic field.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receiving core 120 in which the magnetic field is largely generated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core 150. Also, in the case of the shielding plate, the auxiliary shielding plate 140 can be realized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etal shielding plate 110 because the incident amount of the magnetic field is small. By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each component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ntir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nimized.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and the circumferential length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re A1 and R1, the cross-sectional area and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ube are A2 and R2, If A1 = A2 = A3, then R1> R2> R3 is established.

도 5a의 경우 자기장이 포화되지 않는 최소한의 코어 양을 갖도록 수신 코어(120)의 단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수신 코어(120)의 둘레에 감기는 수신 케이블(130)의 길이는 가능한 한 최소한으로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정 면적의 수신 코어(120)의 단면에 감기는 길이를 최소화하면 수신 코어(120)에 감기는 수신 케이블(130)의 길이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수신 케이블(130)의 길이가 최소화되므로 전력수신 장치에서 동일한 크기의 전력을 수신하면서도 수신 케이블(130)의 내부 저항이 최소가 되어 전력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5A, the length of the receiving cable 130 wound around the receiving core 120 is kept to be as small as possible while keep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ceiving core 120 constant so that the magnetic core has a minimum amount of core that is not saturated There is a need. Therefore, if the winding length of the receiving core 120 of a certain area is minimized, the length of the receiving cable 130 wound on the receiving core 120 is minimized. Therefore, since the length of the receiving cable 130 is minimized,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receiving cable 130 is minimized while receiving power of the same size in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so that power can be most effectively transmitted.

도 5a에서 동일 단면적(A)의 몸통부(121) 코어(자속 Φtotal = Bmax*A 가 일정, Bmax는 자속밀도)에서 어떤 형상일 경우 코어에 감기는 권선의 1턴(Turn) 당 길이가 최소화되는지 설명한다. 여기서 일정한 출력을 내기 위하여 코어에 감기는 권선의 저항 R은 코어에 감기는 권선의 1턴 당 길이에 비례하므로 권선의 1턴(Turn) 당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은 고효율의 권선 설계에 중요하다.In FIG. 5A, when the core 121 of the body 121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 (the magnetic flux? Total = Bmax * A is constant and Bmax is the magnetic flux density) Explain whether the length is minimized. Here, since the resistance R l of the winding wound around the core to produce a constant output is proportional to the length per turn of the winding wound on the core, minimizing the length per turn of the winding is important for high efficiency winding design.

도 5a의 (a)와 같이 몸통부(121)의 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 포함) 형상일 경우, 몸통부(121)에서 한 턴당 길이 ℓc에 대하여 다음 수학식 2가 성립한다.When the trunk section 121 has a rectangular (including square)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5A, the following equation (2) holds for the length l c per turn in the trunk section 12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단, 수학식 2에서 k는 비례상수이다.In Equation (2), k is a proportional constant.

수학식 2에서 턴당 길이 ℓc의 길이는 도 5b와 같은 그래프를 갖는다.In Equation (2), the length of the length? C per turn has a graph as shown in FIG. 5B.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k=1일 경우에 ℓc의 길이가 최소가 되며, 이때의 ℓc의 길이인 ℓco는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when k = 1, the length of? C is minimized, and? Co, which is the length of? C ,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도 5a의 (b)와 같이 몸통부(121)의 단면이 원형 형상일 경우, 몸통부(121)에서 한 턴당 길이 ℓ'c에 대하여 다음 수학식 4가 성립한다.When the body 121 has a circular shape in section as shown in FIG. 5 (b), the following equation (4) holds for the length l ' c per turn in the body 121.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따라서, 수학식 4로부터 수학식 5가 성립한다.Therefore, Equation (5) is established from Equation (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수학식 5로부터, 몸통부(121)의 단면형상이 원형인 경우가 정사각형의 경우보다 약 11% 더 손실이 작음을 알 수 있다.From Equation (5), it can be seen that the case whe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ody portion 121 is circular is about 11% smaller in loss than the case of the square.

한편, 몸통부(121)의 단면형상은 육각형, 8각형 등 n 각형의 경우도 적용 가능하며, 도 5c와 같이 직사각형과 원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121)의 단면형상을 사각형으로 하되,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작아지는 사각형의 장점과 턴당 길이가 작은 원형의 특징을 모두 절충하여 취하는 형상을 할 수도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ody 121 may be a hexagonal or octagonal cross-section, or may be a combination of a rectangle and a circle as shown in FIG. 5C.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C, the trunk section 121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corner portion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so as to compose both of the advantage of a reduced thickness and circular features of a small turn length It is possible.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에 인체의 일부분이 접근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전력수신 장치에서 전체 수신 회로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c는 수신 회로의 공진점의 변화에 의한 수신 전력의 감소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part of a human body approaches a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diagram showing an equivalent circuit for an entire receiving circuit in a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FIG.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duction in received power due to a change in the resonance point of the receiving circuit.

도 6의 a)에 도시하듯이 전력수신 장치 근처에 인체의 일부분(610, 예컨대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는 경우, 수신 케이블(130)의 인덕턴스(L2)의 변화됨에 따라 수신 케이블(130)을 포함하는 회로에서 L2 및 C2에 의한 공진점이 변하게 되고, 따라서 자동적으로 수신 전류 I2의 양이 감소된다. 예컨대, 전력송신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동작주파수가 ωr1인 경우, 수신 회로의 공진점이 ωr1이 되도록 L2 및 C2의 용량을 설정하여 전력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인체가 가까이 접근할 경우에(예컨대, 통화를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을 스마트폰 뒷면에 댄 경우) 인체의 간섭에 의해 수신 회로의 인덕턴스는 감소하며, 이에 따라서 수신 회로의 공진점은 ωr2로서 커지게 된다. 따라서, I2가 감소하고 입력 전압 대비 유도기전력 비율인 Vo/Vi가 A1에서 A2로 변함에 따라서 전력수신 장치 부근의 자속이 감소하고 ICNIRP 가이드라인을 만족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손이나 다른 인체가 스마트폰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 전력수신 장치에서는 충전을 하지 않으며, 전력수신 장치가 인체로부터 멀어진 경우에 전력수신 장치에서 자동으로 충전을 시작하게 된다.When the of the body portion (610, for example the hands of a user) access to the near power receiving apparatus as shown in a in FIG. 6), receiving the cable (130, depending on byeonhwadoem of the inductance (L 2) for receiving the cable 130) , The resonance point by L 2 and C 2 is changed, and therefore the amount of received current I 2 is automatically reduced. For example, whe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not shown) is? R1 , the capacity of L 2 and C 2 is set so that the resonance point of the receiving circuit is? R1 , and the power receiving operation is performed. However, (in the case Dan smartphone back the user's hands to the example, the call) when the human body is in close to decrease the inductance of the receiving circuit by the body's interference and accordingly the resonance point of the receiving circuit is an ω r2 . Therefore, as I 2 decreases and V o / V i, which is the ratio of induced electromotive force to input voltage, changes from A 1 to A 2 , the magnetic flux near the power receiving device decreases and meets the ICNIRP guideline. That is, when the user's hand or other human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martphone,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does not charge the battery. When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is away from the human body,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automatically starts charging.

한편, 도 6b에서 전체 수신 회로의 경우 LC 병렬공진 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LC 직렬 공진하는 형태의 수신회로 구성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FIG. 6B, the case of performing the LC parallel resonance in the case of the entire receiving circuit is taken as an example,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circuit of the LC serial resonance type is also possible.

한편, 도 6b에서 발생하는 전압 Vo은 이동단말기에서의 사용 응용에 적합하도록 전압 Vo를 수신하여 전압 레벨을 높이거나 낮춰서 출력하는 컨버터(도시하지 않음)를 추가하여 이동 단말기의 본체(100)에 구비된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oltage Vo is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terminal by adding a converter (not shown) for outputting lowering receives the voltage V o to be suitable for using applications in a mobile terminal increase the voltage level or generated in Figure 6b Thereby charging the battery (not shown).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신 장치가 이동 단말기의 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전력수신 장치에서 금속 차폐판(110)이 이동 단말기의 본체(100)를 향하고 수신 코어(120)가 이동 단말기의 본체(100)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sposed at one side of a main body 100 of a mobile terminal, The metal shielding plate 110 is directed toward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eceiving core 120 is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termina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들은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 단말기의 본체
110: 금속 차폐판
120: 수신 코어
121: 몸통부
122: 돌출부
130: 수신 케이블
140: 보조 차폐판
150: 보조 코어
310: 면 형태 부재
320: 제1 차폐 루프회로
330: 제2 차폐 루프회로
340, 350: 제3 차폐 루프회로
360: 제4 차폐 루프회로
610: 인체
100: the body of the mobile terminal
110: metal shield plate
120: receive core
121:
122:
130: Receiving cable
140: auxiliary shield plate
150: Auxiliary core
310: face shape member
320: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330: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340, 350: Third shielding loop circuit
360: fourth shielding loop circuit
610: Human body

Claims (16)

전력수신 장치에 있어서,
금속 차폐판;
상기 금속 차폐판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몸통부를 구비하는 수신 코어;
상기 수신 코어에 권취되는 수신 케이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In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Metal shielding plate;
A receiving core having a bod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etal shield plate;
The receiving cable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ampl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차폐판을 기준으로 상기 수신 코어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보조 차폐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차폐판 및 상기 보조 차폐판 사이에 보조 코어가 추가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hielding plate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ceiving core with respect to the metallic shielding plate, wherein an auxiliary core is further inserted between the metallic shielding plate and the auxiliary shielding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코어의 두께는 상기 수신 코어의 두께보다 얇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core is thinn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receiving c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신 장치는 제1 차폐 루프회로 및 제2 차폐 루프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차폐 루프회로의 중앙부에 상기 수신 코어의 일단이 위치하고, 상기 제2 차폐 루프회로의 중앙부에 상기 수신 코어의 타단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and a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wherein one end of the receiving core is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And the other end of the power supply line is loca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 루프회로 및 상기 제2 차폐 루프회로는 상기 몸통부와 교차되고, 상기 교차된 부분은 상기 금속 차폐판과 상기 몸통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and the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intersect the body portion, and the intersecting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metal shielding plate and the body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어는, 양단에 각각 상기 몸통부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을 이루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ceiving cor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ed at both ends of the receiving core at an angl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 루프회로 및 상기 제2 차폐 루프회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는, 그 일부분이 상기 몸통부 및 상기 돌출부와 교차하면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돌출부의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제3 차폐 루프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and the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includes a third shielding loop circuit which surrounds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protrusion, wherein a part of the third shielding loop circuit intersects the body and the protrusion,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receiv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교차하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를 둘러싸는 제4 차폐 루프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fourth shielding loop circuit which intersects the protrusion and surrounds the end of the protrus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어는 I자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receiving core has an I-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원통형, 직사각기둥, 정사각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has a shape of a cylinder, a rectangular column, and a square column.
전력수신 장치에 있어서,
면 형태 부재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몸통부를 구비하는 수신 코어;
상기 수신 코어에 권취되는 수신 케이블;
상기 몸통부의 일단부를 감싸며 상기 면 형태 부재와 상기 몸통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차폐 루프회로; 및
상기 몸통부의 타단부를 감싸며 상기 면 형태 부재와 상기 몸통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차폐 루프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In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A receiving core having a bod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ace shape member;
A receiving cable wound around the receiving core;
A first shielding loop circuit that surrounds one end of the body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body and the body; And
A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 which surrounds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body and the body,
And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어는, 양단에 각각 상기 수신 코어의 몸통부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을 이루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receiving cor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receiving core at an angl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of the receiving cor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 루프회로 및 상기 제2 차폐 루프회로 중에서 상기 몸통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를 감싸는 차폐 루프회로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 plurality of shield loop circuits for enclosing at least any one end of the body among the first and second shield loop circuits are provid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 루프회로 및 상기 제2 차폐 루프회로 중에서 상기 몸통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를 감싸는 차폐 루프회로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몸통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를 감싸는 복수개의 차폐 루프회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폐회로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몸통부와 교차하면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돌출부의 연결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plurality of shielding loop circuits for enclosing at leas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s are provided, and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hielding loop circuits surrounding at least one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Wherein one of the shielding circuits intersects with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and surrounds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 루프회로 및 상기 제2 차폐 루프회로 중에서 상기 몸통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를 감싸는 차폐 루프회로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몸통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를 감싸는 복수개의 차폐 루프회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차폐회로는 상기 돌출부를 감싸고, 상기 복수개의 차폐 루프회로 중에서 다른 하나의 차폐회로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돌출부의 연결부를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신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plurality of shielding loop circuits for enclosing at least one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loop circuits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shielding loop circuits for enclosing at least one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Wherein one shielding circuit surrounds the protrusion and the other shielding circuit among the plurality of shielding loop circuits is disposed at a position surrounding the connection of the body and the protrusion.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제1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력수신 장치가 상기 이동단말기의 몸통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력수신 장치에서 상기 금속 차폐판이 상기 이동단말기의 몸통부를 향하고 상기 수신 코어가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In the mobile terminal,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being disposed at one side of a body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power receiving device is disposed such that the metal shield plate faces the body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eceiving core faces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KR1020140128632A 2014-09-25 2014-09-25 Apparatus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Shielding Magnetic Field for Small-sized and Light-weight Mobi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KR1016714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32A KR101671441B1 (en) 2014-09-25 2014-09-25 Apparatus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Shielding Magnetic Field for Small-sized and Light-weight Mobi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PCT/KR2015/009951 WO2016048008A1 (en) 2014-09-25 2015-09-22 Wide area omni-directio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32A KR101671441B1 (en) 2014-09-25 2014-09-25 Apparatus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Shielding Magnetic Field for Small-sized and Light-weight Mobi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764A true KR20160036764A (en) 2016-04-05
KR101671441B1 KR101671441B1 (en) 2016-11-02

Family

ID=5580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632A KR101671441B1 (en) 2014-09-25 2014-09-25 Apparatus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Shielding Magnetic Field for Small-sized and Light-weight Mobi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44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5961A (en) * 2018-09-04 2019-01-15 北京有感科技有限责任公司 A kind of core structure of wireless charg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972A (en) * 2011-07-14 2013-01-23 유한회사 한림포스텍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for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system
JP2014166070A (en) * 2013-02-26 2014-09-08 Toyota Motor Corp Power transmission device, power recep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972A (en) * 2011-07-14 2013-01-23 유한회사 한림포스텍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for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system
JP2014166070A (en) * 2013-02-26 2014-09-08 Toyota Motor Corp Power transmission device, power recep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5961A (en) * 2018-09-04 2019-01-15 北京有感科技有限责任公司 A kind of core structure of wireless char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441B1 (en)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2976B2 (en) Multi-mode wireless charging
JP6427228B2 (e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power feeding device, and power receiving device
JP5531500B2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9973023B2 (en) Inductive energy transfer coil structure
US7917086B2 (en) Charger, electronic instrument, and charging system
US20140008974A1 (en) Electric power feed apparatus, electric power feed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552493B1 (en) Wireless charger hav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KR101701045B1 (en) Coil structur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comprising thereof
KR20160090420A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JP2013240260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JP6144176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forming magnetic field spa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WO2017119215A1 (en) Composite antenna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30000926A (en) Design the compact wireless charging coil and nfc antenna
KR101671441B1 (en) Apparatus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Shielding Magnetic Field for Small-sized and Light-weight Mobi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KR101765482B1 (en) Installation method for attenna apparatus with ntc attenna annd wireless charging coil
KR101765487B1 (en) Installation method for attenna apparatus with ntc attenna annd wireless charging coil
KR20140071183A (en)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5359378B (en) Wireless power receiver
US20110199276A1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Guard
US10141772B2 (en) Communication device
JP5824631B2 (en) Non-contact charging module and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6565379B2 (en) Antenna device
KR20150120216A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JP2020096414A (en) Case
US20240136863A1 (en) Magnet assembly for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combined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