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856A -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856A
KR20160033856A KR1020140124418A KR20140124418A KR20160033856A KR 20160033856 A KR20160033856 A KR 20160033856A KR 1020140124418 A KR1020140124418 A KR 1020140124418A KR 20140124418 A KR20140124418 A KR 20140124418A KR 20160033856 A KR20160033856 A KR 20160033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ilm
carbon
thermoplastic resin
based material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연
김혜원
김동응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124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3856A/ko
Publication of KR20160033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10Esters of organic acids
    • C08J2301/12Cellulose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Abstract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탄소계 물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경로;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을 제공한다.
액상의 탄소계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 방식에 의해 코팅하고, 핫 프레스 공정에 의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CONDUCTING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수소 또는 탄화수소 계열 연료와 산소로 대표되는 산화제의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얻는 발전 시스템으로, 연료를 연소시키지 않고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직접 에너지를 얻으므로 발전 효율이 높고 공해가 적어 실용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에는 흑연과 고분자 수지의 복합재료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등을 사용할 수 되었으나, 전기전도도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카본섬유, 바늘상 흑연재료, 금속 섬유 등과 같은 도전성 보강재 또는 천연섬유, 고분자 섬유 등과 같은 비전도성 보강재를 첨가하여 기계적 강도를 강화시키고 있으나, 도전성 보강재는 가격이 비싸 분리판의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고, 비도전성 보강재의 경우 분리판의 전체적인 전기전도도를 떨어뜨리며, 금속 섬유의 경우는 부식으로 인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일정수준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안정하게 확보하는 전도성 필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수지 사이에서 탄소계 물질이 연결되어 형성된 특정경로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적은양의 탄소계 물질만으로도 높은 전도도를 구현하는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열가소성 수지; 및 탄소계 물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경로;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경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사이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일부가 탄소계 물질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을 약 1중량% 내지 약 2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그래파이트, 활성탄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는 폴리에틸렌 입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폴리프로필렌 입자, 불소계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입자직경이 약 100um 내지 약 200um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의 두께는 약 200um 내지 약 500um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의 전기 전도도는 약 30S/cm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액상의 탄소계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 방식에 의해 코팅하고, 핫 프레스 공정에 의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물은 액상의 탄소계 물질이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코팅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의 고형분 함량은 약 1중량% 내지 약 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은 탄소계 물질이 용매에 분산된 분산액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코팅한 후에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은 향상된 전기전도성을 구현하고, 내구성을 확보하는바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적은 양의 탄소계 물질로 우수한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전도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전도성 필름의 단면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종래의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 중 사용되는 탄소계 물질, 및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도 2(b)는 상기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 중 사용되는 탄소계 물질, 및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인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a), (b)는 상기 전도성 필름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전도성 필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열가소성 수지, 및 탄소계 물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경로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을 제공한다.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등의 고분자 수지에 전기적인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상기 수지에 전도성을 가지는 탄소계 물질을 주입하여 양자를 혼합, 및 분산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수지가 일정수준 이상의 전도성을 가지려면 탄소계 물질로 인해 서로 연결되는 접점이 많아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은 고분자 수지와 고상의 탄소계 물질을 단순히 혼합하기 때문에 탄소계 물질이 전도성 필름 내에 무분별하게 분포하게 되는바, 이로 인해 전기적 성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탄소계 물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야 하며, 다량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도 일정 수준이상의 전기적 특성을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 무분별하게 분포된 탄소계 물질이 특정경로를 형성하면서 정렬되는 경우, 적은양으로도 높은 전기적 성질을 구현할 수 있는바, 액상의 탄소계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사용하는 후술할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전도성 필름은 형성된 경로로 인해 일정수준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전도성 필름의 단면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전도성 필름은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 및 탄소계 물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사이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액상의 탄소계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혼합하고, 이때,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이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코팅함으로써, 탄소계 물질로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형성하였다. 그 후, 핫 프레스 공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둘러싼 탄소계 물질이 서로 연결되어 경로를 형성하였는바, 상기 경로로 인해 탄소계 물질이 전도성 필름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게 됨으로써 적은량의 탄소계 물질로도 높은 전기 전도도를 구현할 수 있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일부가 탄소계 물질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핫 프레스 공정을 거치기 전에는 탄소계 물질로 전체가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존재하나, 핫 프레스 공정을 거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일부가 탄소계 물질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사이로 분포되고, 연결됨으로써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입자 형상이 구형인 경우, 상기 탄소계 물질은 상기 입자의 둘레 중 일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둘레에 위치한 탄소계 물질이 연결됨으로써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을 약 1중량% 내지 약 2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약 40중량% 내지 약 70중량%의 탄소계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에만 필름의 전도도가 측정되었으나, 상기 전도성 필름은 탄소계 물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경로를 포함함으로써 적은량의 탄소계 물질로도 높은 전기전도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을 약 1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경로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열가소성 수지끼리 연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약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전도성이 크게 향상되지 아니하는바,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그래파이트, 활성탄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전기적인 전도성을 띄는 물질로, 일정수준 이상의 표면적을 가진다. 후술할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탄소계 물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됨 경로를 포함하는바, 적은양의 탄소계 물질로도 높은 전기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는 폴리에틸렌 입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폴리프로필렌 입자, 불소계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는 열가소성 수지가 입자상인 것을 의미하는바, 구형 입자 형태로 제작 가능한 점도가 낮은 열가소성 수지가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도는 ASTM D1238 방법에 의해 측정했을 때 용융흐름지수(MI) 값이 12이상인 것이 유리한바,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의 경우 230°C에서 3.8Kg의 추를 사용하여 용융흐름지수 값을 측정한 경우, 상기 값은 약 12.3g/10분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입자직경이 약 100um 내지 약 200um일 수 있다. 상기 '입자직경'은 '평균입자직경'으로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임의 영역에서 측정된 입자직경의 평균 값을 일컫는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입자직경이 약 100um 미만인 경우 탄소계 물질이 너무 조밀하게 분포되어 전도성 필름이 부서질 염려가 있고, 약 200um를 초과하는 경우 일정수준 이상의 두께를 구현하는 전도성 시트 제작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의 두께는 약 200um 내지 약 500um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의 두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입자직경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상기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탄소계 물질 외에 다른물질, 예를 들어 직조물, 탄소섬유 등을 적층함에 있어서 전도성 필름이 결함 없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의 전기 전도도는 약 30S/cm이하일 수 있다. 통상적인 전도성 필름이 약 0.5S/cm이하의 전기전도도를 구현하는 반면, 상기 전도성 필름은 탄소계 물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경로를 포함하는바, 모든 방향에서 전기전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약 1S/cm 내지 약 30S/cm의 전기전도도를 구현할 수 있다.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액상의 탄소계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 방식에 의해 코팅하고, 핫 프레스 공정에 의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고상의 탄소계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혼합하여 탄소계 물질과 고분자 입자가 물리적으로 결합된 형태인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으나, 이 경우 다량의 탄소계 물질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 다량의 탄소계 물질로 인해 기계적 물성 및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은 액상의 탄소계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혼합하는바, 탄소계 물질이 열가소성 수지입자를 코팅함으로써 적은량의 탄소계 물질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전기전도성을 극대화하고, 기계적 물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a)는 종래의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 중 사용되는 탄소계 물질, 및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도 2(b)는 상기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 중 사용되는 탄소계 물질, 및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통상적인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은 고상의 탄소계 물질, 예를 들어 카본분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이하 'PMMA 입자'로 기재한다)를 물리적으로 혼합하는 것으로, 카본분말 및 PMMA 입자가 별도로 각각 존재한다. 통상의 전도성 필름이 포함하는 카본분말이 PMMA 입자 사이 또는 입자 주위에서 연결되지 않음으로써, 경로를 형성하지 아니한다.
반면,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은 액상의 탄소계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혼합하고, 이때,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이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코팅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전도성 필름이 탄소계 물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로 인해 탄소계 물질은 전도성 필름 내에 균일하게 분산하게 되는바, 적은양의 탄소계 물질로도 높은 전기전도성을 발휘할 수 있고, 다량의 탄소계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발현되는 내구성 저하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인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은 액상의 탄소계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혼합물 형성과정, 상기 혼합물이 나이프 코팅공정, 핫프레스 공정을 거침으로써 전도성 필름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액상의 탄소계 물질이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코팅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은 탄소계 물질이 용매에 분산된 분산액일 수 있는바, 상기 용매에 분산된 탄소계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혼합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표면을 탄소계 물질이 둘러싸게 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탄소계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에틸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세톤, 및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코팅한 후에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입자의 혼합물이 나이프 코팅공정에 의해 이형지 상부에 도포되고, 약 60°C 내지 약 100°C에서 약 10분 내지 약 30분간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분산액의 용매를 증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건조하는 단계로 인해 상기 혼합물 중 분산액의 용매가 증발하게 됨으로써 건조한 다공성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공성층이 핫프레스 공정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전도성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전도성 필름에서 상기 이형지는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의 고형분 함량은 약 1중량% 내지 약 30중량% 일 수 있다.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사용한 고상의 탄소계 물질에 비해 적은량의 탄소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바, 상기 고형분 함량을 통해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 점도를 너무 높지 않게 유지할 수 있어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의 혼합에 유리하며, 제조공정상 어려움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의 고형분 함량은 제조된 전도성 필름 내 탄소계 물질 함량과 동일할 수 있고, 적은 함량으로도 높은 전도성을 확보하며 탄소계 물질을 적게 포함함으로써 일정수준 이상의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핫프레스 공정은 약 200℃ 내지 약 230℃의 온도, 및 약 2MPa 내지 약 10MPa의 압력에서 약 5분 내지 약 15분의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핫프레스 공정은 가열, 가압의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이형지 상부에 혼합물을 코팅하고, 건조단계를 거침으로써 제조된 다공성층을 가열, 가압함으로써 전도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온도, 및 압력으로 상기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전도성 필름의 경로가 깨지지 않고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핫프레스 공정은 230°C의 온도에서 10MPa의 압력으로 10분의 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이 전도성 필름의 물성확보와 공정의 용이함 면에서 유리하다.
도 4(a), (b)는 상기 전도성 필름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도성 필름을 마이크로토밍으로 절단하여 그 측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입자직경이 100um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를 탄소나노튜브(CNT)와 그래파이트 나노플레이트(GNP)가 이소프로필알콜(IPA)에 분산되어 있는 액상의 탄소계 물질과 혼합하였고,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이 상기 PMMA입자에 고르게 코팅된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의 고형분 함량은 20중량%이다.
상기 혼합물을 이형지 상부에 나이프 코팅 방식에 의해 도포하고, 6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상기 IPA용매를 증발시킨 후, 핫 프레스로 230℃에서, 4톤의 압력으로, 5분 동안 눌러주어 두께가 0.5mm인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의 고형분 함량을 10중량%, 5중량%, 2중량%, 1.5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입자직경이 100um인 PMMA 입자와 카본분말을 볼밀 방식에 의해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이때, 카본분말 함량은 20중량%임)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내지 4
카본분말의 함량을 10중량%, 5중량%, 2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압출기 내부에 40중량%의 카본분말과 펠렛 형태의 PMMA 수지를 넣어 무작위로 혼합하고, 핫 프레스 공정에 의해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카본분말의 함량을 70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 전도성 필름의 전기전도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면적, 두께를 4-point probe 장비에 입력하고 측정된 저항값을 환산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혼합방식 탄소계 물질 함량(중량%) 전기전도도(S/cm)
실시예1 액상 혼합 20 30
실시예2 액상 혼합 10 15
실시예3 액상 혼합 5 5
실시예4 액상 혼합 2 1.5
실시예5 액상 혼합 1.5 1
비교예1 고상 혼합 20 0.2
비교예2 고상 혼합 10 측정불가
비교예3 고상 혼합 5 측정불가
비교예4 고상 혼합 2 측정불가
비교예5 용융 혼합 40 0.0019
비교예6 용융 혼합 70 3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PMMA입자와 액상의 탄소계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된 실시예 1의 전기전도도가 PMMA입자와 고상의 탄소계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된 비교예 1의 전기전도도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 내지 4와 비교예 2 내지 4의 경우 포함된 탄소계 물질 함량은 동일하나, 비교예 2 내지 4의 경우 전기전도도의 측정이 불가하였는바, 제조방법에 따라 전기전도도의 구현여부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의 경우 탄소계 물질 함량이 1.5중량%로 소량임에도 불구하고 0.2S/cm의 전기전도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5, 6은 통상적인 용융 혼합방식에 의해 제조된 전도성 필름으로, 액상 혼합방식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에 비해 전기 전도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5)

  1. 열가소성 수지; 및
    탄소계 물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경로;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전도성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로부터 형성되는
    전도성 필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일부가 탄소계 물질에 의해 둘러싸인
    전도성 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물질을 1중량% 내지 20중량%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물질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그래파이트, 활성탄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전도성 필름.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는 폴리에틸렌 입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폴리프로필렌 입자, 불소계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전도성 필름.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입자직경이 100um 내지 200um인
    전도성 필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필름의 두께는 200um 내지 500um인
    전도성 필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필름의 전기 전도도는 30S/cm이하인
    전도성 필름.
  11. 액상의 탄소계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 방식에 의해 코팅하고, 핫 프레스 공정에 의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액상의 탄소계 물질이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코팅한 상태인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의 고형분 함량은 1중량% 내지 30중량%인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탄소계 물질은 탄소계 물질이 용매에 분산된 분산액인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코팅한 후에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
KR1020140124418A 2014-09-18 2014-09-18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3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418A KR20160033856A (ko) 2014-09-18 2014-09-18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418A KR20160033856A (ko) 2014-09-18 2014-09-18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856A true KR20160033856A (ko) 2016-03-29

Family

ID=5566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418A KR20160033856A (ko) 2014-09-18 2014-09-18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385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148A (ko) * 2016-09-27 2018-04-04 (주)엘지하우시스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4149A (ko) * 2016-09-27 2018-04-04 (주)엘지하우시스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50078A1 (ko) * 2017-09-06 2019-03-14 (주) 테크로스 전기분해 및 불균일 촉매 산화반응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WO2019050079A1 (ko) * 2017-09-06 2019-03-14 (주) 테크로스 과산화수소와 차아염소산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수처리 장치
KR20230004168A (ko) 2021-06-30 2023-01-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섬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148A (ko) * 2016-09-27 2018-04-04 (주)엘지하우시스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4149A (ko) * 2016-09-27 2018-04-04 (주)엘지하우시스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62637A1 (ko) * 2016-09-27 2018-04-05 (주)엘지하우시스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50078A1 (ko) * 2017-09-06 2019-03-14 (주) 테크로스 전기분해 및 불균일 촉매 산화반응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WO2019050079A1 (ko) * 2017-09-06 2019-03-14 (주) 테크로스 과산화수소와 차아염소산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수처리 장치
KR20230004168A (ko) 2021-06-30 2023-01-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섬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910B1 (ko) 전도성 플레이크-강화, 폴리머-안정화 전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hen et al. Low-temperature treated lignin as both binder and conductive additive for silicon nanoparticle composite electrodes in lithium-ion batteries
CA2413146C (en) Conductive composition for solid polymer type fuel cell separator, solid polymer type fuel cell separator, solid polymer type fuel cell and solid polymer type fuel cell system using the separator
TWI510551B (zh) 導電薄片及其製造方法
KR20160033856A (ko)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3781B1 (ko) 기능성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CN101371385B (zh) 燃料电池双极板、制备该燃料电池双极板的方法以及包含该双极板的燃料电池
Lee et al. Structural optimization of graphite for high-performance 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composites as bipolar plates
CA3029514C (en) Porous base material, porous electrode, carbon fiber paper,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 fiber pa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base material
Lee et al. Effects of hybrid carbon fillers of polymer composite bipolar plates on the performance of direct methanol fuel cells
US20090286131A1 (en) Separator Material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CN107819136B (zh) 一种层叠结构双极板及其制备方法
US20180358630A1 (en) Bipolar plate for fuel cell having controlled structure of carbon m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191017A (ja) ナノカーボンを含有する機能性多孔体の製造方法
JP2001122677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JP2016191014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含有する機能性多孔体
Hu et al. 3D‐Print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ectrodes for Customizable, Flexible Lithium‐Ion Batteries with an Ultra‐Long Lifetime
KR102003682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75413B1 (ko) 전도성 탄소 분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993883B1 (ko) 탄소나노튜브를 갖는 실리콘 복합소재, 탄소나노튜브를 활용한 무금속 실리콘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JP2008186718A (ja) 燃料電池用ガス拡散層、燃料電池、燃料電池搭載装置
WO2016159352A1 (ja) 多孔質電極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239358A (ja) 炭素質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26857B1 (ko)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극 집전체
CN113881214B (zh) 一种高导电石墨烯/聚合物复合材料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