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643A - 음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643A
KR20160026643A KR1020150058840A KR20150058840A KR20160026643A KR 20160026643 A KR20160026643 A KR 20160026643A KR 1020150058840 A KR1020150058840 A KR 1020150058840A KR 20150058840 A KR20150058840 A KR 20150058840A KR 20160026643 A KR20160026643 A KR 20160026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interval
representative
valu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8973B1 (ko
Inventor
타이이치 츠츠미
미츠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산덴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덴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덴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6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2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ai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 공급 장치의 통형상의 추출 용기의 하단부와 액받이부의 상단부와의 사이에는, 필터가 설치된다. 상기 음료 공급 장치는, 추출 용기 내부에 대한 원료 및 물의 공급에 의해 추출되어 필터(F)에 의해 여과된 음료를, 액받이부 내부로 흘러내리게 하여 음료 유통로를 통해 컵 내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음료 공급 장치는, 추출 용기와 액받이부의 사이에 차압을 발생시켜, 음료를 액받이부 내부로 흘러내리게 하는 동시에 컵 내부로 토출시키는 차압 발생부와, 액받이부 내부 또는 추출 용기 내부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와, 구간마다, 압력 센서의 검지 압력의 구간 대표값을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각 구간 대표값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차압 발생부에 의한 음료의 드립(drip)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BEVERAGE DISPENSER}
본 발명은, 원료와 물을 이용해 음료를 추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공급 장치로서는, 커피 콩을 밀(mill)로 갈아 얻은 분말이나 녹차 등의 찻잎을 원료로 하고, 이 원료와 물(온수(湯水)와 냉수)을 추출 용기(brewing chamber)에 공급하여 커피나 차 등의 음료를 추출하며, 이 추출한 음료를 컵에 담아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음료 공급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음료 추출 타입의 음료 공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추출 용기의 하단부에 필터를 통해 액(液)받이부(fluid receptacle)가 설치되어 있으며, 추출 용기 내에서 추출된 음료를,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액받이부 내부로 흘러내리게(드립(drip), 流下) 하여, 상기 액받이부에 접속된 음료 유통로를 통해 컵 내에 음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추출 용기 내의 공기압과 액받이부 내의 공기압의 사이에 차압(差壓)을 발생시켜, 음료를 액받이부 내에 흘러내리게 하고 음료 유통로를 통해 컵 내부로 토출시키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추출 용기 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차압을 발생시키는 가압식과, 액받이부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차압을 발생시키는 부압식(負壓式)의 2개의 타입으로 분류된다.
자세하게는, 가압식의 음료 공급 장치는, 에어 펌프를 구비하며, 에어 펌프에 의해 추출 용기 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추출 용기 내부를 가압함으로써, 추출 용기 내의 음료를 액받이부 내부로 흘러내리게 하는 동시에, 흘러내리게 한 음료를, 음료 유통로를 통해 컵 내부로 토출시키는 구성이다.
또, 부압식의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 유통로의 도중에 튜브 펌프를 구비하고, 튜브 펌프에 의해 액받이부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액받이부 내부를 감압(減壓)함으로써, 추출 용기 내의 음료를 액받이부 내부로 흘러내리게 하는 동시에, 흘러내리게 한 음료를, 음료 유통로를 통해 흡인하여 컵 내부로 토출시키는 구성이다.
여기서, 이러한 종류의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추출 용기 내의 음료가 필터를 통해 액받이부 내부로 흘러내리며, 추출 용기 내에 추출된 음료가 서서히 없어져, 음료의 추출이 완료된다. 추출이 완료된 후에는, 에어 펌프나 튜브 펌프를 정지시키고, 이후의 제어 동작(예컨대, 액받이부 등의 각 기기를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대기 동작 등)으로 이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음료의 추출 완료(추출 용기 내에 추출된 음료가 없어진 것)의 판정은, 예컨대, 압력 센서에 의해 검지한 추출 용기 내부나 액받이부 내부의 검지 압력에 근거하여 행해진다. 추출 완료로 판정되었을 때, 가압식의 경우에는 에어 펌프를 정지시키고, 부압식의 경우에는 튜브 펌프를 정지시키며, 이로써, 컵에 대한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는 동시에, 이후의 제어 동작으로 이행한다.
이러한 종류의 압력에 의해 추출 완료를 판정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S63-47899호에 기재된 가압식의 음료 공급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S63-47899호에 기재된 가압식의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에어 펌프에 의해 추출 용기 내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면, 액받이부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추출 용기 내의 음료가 없어지면, 추출 용기 내의 압력이 하강하는 것에 주목하여, 추출 용기 내의 압력이 하강하는 타이밍을 압력 센서에 의해 검지하고, 그 검지시에 추출 용기 내의 음료가 없어진 것으로 간주하여, 에어 펌프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검지 압력이 하나 전의 검지 압력보다 작아졌음을 검지했을 때, 에어 펌프를 정지시키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종류의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가압식에 있어서의 추출 용기 내의 압력은, 전체적으로 보면, 상승 경향으로부터 하강 경향으로 변화하며, 부압식에 있어서의 액받이부 내의 압력은, 전체적으로 보면, 하강 경향으로부터 상승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방식의 압력이든, 시간적으로 짧은 구간에서 보면, 실제로는 미세하게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며 변동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S63-47899호에 기재된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단순히, 검지 압력을 하나 전의 검지 압력과 비교한 결과에 근거하여, 에어 펌프의 정지 제어를 행할 뿐이기 때문에, 압력이 미세하게 변동하는 상황에 있어서는, 진정한 추출 완료 전에 추출 완료로 잘못 판정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S63-47899호에 기재된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에어 펌프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정지시킬 수 없어, 이용자에게 적절한 용량의 음료를 제공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 부압식의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검지 압력을 하나 전의 검지 압력과 비교한 결과에 근거하여, 튜브 펌프를 정지 제어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튜브 펌프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정지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어, 연구가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S63-47899호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을 감안하여, 추출 용기 내부 및 액받이부 내부의 압력이 미세하게 변동하는 상황에 있어서, 에어 펌프나 튜브 펌프 등의 차압 발생부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음료 공급 장치는, 통형상의 추출 용기의 하단부와 액받이부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추출 용기 내부에 대한 원료 및 물의 공급에 의해 추출된 음료를,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액받이부 내에 흘러내리게 하여 음료 유통로를 통해 컵 내에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추출 용기 내의 압력과 상기 액받이부 내의 압력의 사이에 차압(差壓)을 발생시켜, 상기 음료를 상기 액받이부 내부로 흘러내리게 하는 동시에 상기 컵 내부로 토출(吐出)시키는 차압 발생부와, 상기 액받이부 내부 또는 상기 추출 용기 내부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와, 미리 정하는 시간 길이의 구간마다,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의 복수의 검지 압력에 대한 구간 대표값을 순차적으로 검출하며, 각 구간 대표값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압 발생부에 의한 상기 음료의 드립(drip, 流下)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양상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료 공급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필터 이송 중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료 공급 장치의 표준(레귤러) 사이즈의 컵에 음료를 공급하는 경우의 음료 추출 동작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료 공급 장치의 액받이부 내의 압력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A부의 확대도로서, 튜브 펌프를 정지시키는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료 공급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필터 이송 중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내는 A부의 확대도로서, 튜브 펌프를 정지시키는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2는, 음료 공급 장치(1)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필터(F)의 이송 중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본 음료 공급 장치(1)는, 예컨대, 커피 콩을 후술하는 밀(24)로 갈아 얻은 커피 분말을 원료로 하고, 이 원료를 이용하여 레귤러 커피를 추출하며, 추출한 커피 음료(레귤러 커피)를 컵(C)에 따라서 제공하는 컵 타입의 커피 서버에 조립하여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음료 공급 장치(1)는,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2)와, 온수(湯水)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3)와, 원료 및 온수가 공급되는 통형상의 추출 용기(4)와, 추출 용기(4)의 하방에 필터(F)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액받이부(5)와, 필터(F)의 필터 이송 기구부(6)와, 차압 발생부(7)와,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8)와, 버퍼부(9)와,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음료 공급 장치(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받이부(5) 내부를 감압시키는 부압식의 장치이다.
상기 원료 공급부(2)는, 커피 콩을 수납하는 캐니스터(canister; 21)를 가지고, 상기 캐니스터(21)에는 원료 모터(22)에 의해 구동되며 소정 용량의 커피 콩을 계속해서 투입하는 조출(繰出) 기구(feeding mechanism, 23)가 설치되어 있다. 캐니스터(21)의 하측에는, 커피 콩을 분말상태로 분쇄하는 밀(24)이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원료 공급부(2)는, 원료로서 커피 분말을 추출 용기(4) 내에 공급한다.
상기 온수 공급부(3)는, 소정 온도의 온수(hot water)를 끓여 저류(貯留)하는 탱크(31)를 가지며, 상기 탱크(31)에는 온수 공급(給湯) 전자 밸브(32)를 통해 온수 공급로(L1)가 접속되어 있다. 온수 공급 전자 밸브(32)를 개방함으로써, 온수 공급로(L1)를 통해 탱크(31) 내의 온수를 추출 용기(4) 내에 공급한다.
상기 추출 용기(4)는, 커피 분말 및 온수가 공급되어 커피 음료를 추출하는 용기로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추출 용기(4)의 내용적(內容積)은, 예컨대, 표준 사이즈의 컵(C)에 대한 커피 음료의 공급 용량에 따라 정해져 있다.
추출 용기(4)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대략 원통형이며, 상반(上半) 부분에는 상방을 향해 개구되는 반구형(半球形)의 수용실(receiving chamber, 4a)이 형성되고, 하반 부분에는 하방을 향해 개구되는 반구형의 혼합실(4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수용실(4a)과 혼합실(4b)의 사이가 상하면의 개구보다 작은 지름의 연통부(連通部, 4c)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수용실(4a)의 상면은 개구되어 있으며, 이 상면 개구부(4d)로부터 수용실(4a) 내부로 커피 분말과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추출 용기(4)의 하단부와 액받이부(5)의 상단부의 사이에는, 필터(F)가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필터(F)는, 띠형상(帶狀)의 종이나 합성 섬유 등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액받이부(5)는, 추출 용기(4) 내부로의 커피 분말 및 온수의 공급에 의해, 추출 용기(4) 내에서 추출되고 필터(F)로 여과되어 흘러내린(드립) 커피 음료를 받아들이는 용기이다. 또, 액받이부(5)는, 예컨대 도시를 생략한 액받이부 이동 기구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양방향 화살표로 나타내는 상하 방향으로, 필터 이송 기구부(6)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필터(F)를 추출 용기(4)의 하단부와 액받이부(5)의 상단부의 사이에 끼워 압접(壓接)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받이부(5)는, 예컨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개구가 추출 용기(4)의 하면 개구에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작은 지름의 파이프부(5a)가 형성되어 있다. 액받이부(5)의 상면에는, 필터(F)를 지지하며 커피 음료를 통과시키는 철망 등의 필터 받이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액받이부(5)의 파이프부(5a)에는, 커피 음료를 컵(C)까지 유통시키는 음료 유통로(L2)가 접속되며, 상기 음료 유통로(L2)의 도중에, 차압 발생부(7)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음료 공급 통로(L2)는, 실리콘 등의 가요성(可撓性) 튜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음료 공급 장치(1)는, 이와 같이, 통형상의 추출 용기(4)의 하단부와 액받이부(5)의 상단부의 사이에 필터(F)가 설치되며, 추출 용기(4) 내부로의 커피 분말 및 온수의 공급에 의해 추출된 커피 음료를, 필터(F)를 통해 액받이부(5) 내에 흘러내리게 하여 음료 유통로(L2)를 통해 컵(C) 내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 이송 기구부(6)는, 각종 롤(R1~R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띠형상의 필터(F)를 길이방향으로 송출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액받이부(5)의 일측(一側)에는, 미(未)사용 필터(F)가 감기는(捲回) 롤(R1)과, 상기 롤(R1)로부터 인출된 필터(F)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R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롤(R2)에 의해 가이드된 필터(F)는, 추출 용기(4)와 액받이부(5)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액받이부(5)의 타측에는, 필터 이송 방향(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필터(F)를 보내는 이송 롤러(R3)와 상기 이송 롤러(R3)에 필터(F)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R4)가 배치되어 있다. 이송 롤러(R3)의 하방에는, 이송 롤러(R3)에 의해 송출되는 사용이 끝난 필터(F) 등을 회수하는 회수 박스(B)가 배치되어 있다. 액받이부 이동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받이부(5)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이송 롤러(R3)에 의해 필터(F)가 보내진다.
상기 차압 발생부(7)는, 추출 용기(4) 내의 압력과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의 사이에 차압을 발생시켜, 커피 음료를 액받이부(5) 내에 흘러내리게 하는 동시에 컵(C) 내부로 토출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압 발생부(7)는, 음료 유통로(L2)의 도중에 설치되며, 액받이부(5)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액받이부(5) 내부를 감압함으로써, 추출 용기(4) 내의 압력과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의 사이에 차압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차압에 의해 추출 용기(4) 내의 커피 음료를 액받이부(5) 내부로 흘러내리게 하고, 이 흘러내리게 한 커피 음료를 흡인하여 컵(C) 내부로 토출시키는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펌프의 일례로서, 예컨대, 튜브 펌프를 채용하는 경우로 설명한다.
튜브 펌프로 이루어지는 차압 발생부(7)는, 구체적으로는, 추출 용기(4) 내의 커피 음료를 액받이부(5) 내에 흘러내리게 하고, 이 흘러내리게 한 커피 음료를 흡인하여 컵(C) 내부로 토출시키는 드립 토출 운전(흡인 토출 운전)과, 액받이부(5) 내에 에어를 공급하여, 이 에어를 필터(F)를 통해 추출 용기(4) 내에 공급함으로써 커피 분말 및 온수를 교반(攪拌) 혼합시키는 교반 운전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운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튜브 펌프로 이루어지는 차압 발생부(7)는, 중심에 펌프 축(7a)이 관통 삽입된 링형상의 펌프 케이싱(7b)을 갖는다. 상기 펌프 케이싱(7b) 내에는 펌프 축(7a)에 부착된 회전반(7c)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펌프 케이싱(7b)의 내벽과 회전반(7c)의 사이에는 튜브(음료 유통로(L2)의 일부)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회전반(7c)의 외주에는, 서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적절한 위치에, 튜브를 가압하는 튜브 롤러(7d)가 적절한 개수로(예컨대, 3개) 설치되어 있다. 회전반(7c)의 회전에 따라, 각 튜브 롤러(7d)가 튜브를 눌러 찌그러뜨려 내부를 폐색하면서, 그 폐색 위치를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튜브 롤러(7d) 사이에서 튜브 내에 가두어진 커피 음료 또는 공기를 송출하는 펌프 작용을 가지고 있다.
또한, 차압 발생부(7)에 의한 상술한 교반 운전 및 드립 토출 운전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상기 압력 센서(8)는, 압력을 검지하는 일반적인 센서이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을 검지할 수 있게 접속되어 있다.
압력 센서(8)는, 예컨대, 액받이부(5)와 차압 발생부(7) 사이의 음료 유통로(L2)로부터 분기시킨 분기로(分岐路; L2a)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압력 센서(8)는, 검지한 검지 압력(P)의 값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검지 신호는, 제어부(10)에 소정의 샘플링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어,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제어에 이용된다.
여기서, 압력 변화를 양호한 정밀도로 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샘플링 시간 간격을 가능한 한 짧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모터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의 돌발적인 노이즈에 의한 이상값(異常値)이 혼입(混入)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상값이 들어올 수 있는 검지 신호의 미가공 데이터(raw data)로는, 제어부(10)에 의해 차압 발생부(7)를 적절히 정지 제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검지 신호의 미가공 데이터에 대해, 예컨대, 이동 평균 등의 필터링 처리를 실시하고, 이 필터링 처리 후의 검지 신호를, 압력 센서(8)로부터의 검지 압력의 검지 신호로서, 제어부(10)에 입력한다. 이로써, 검지 압력(P)의 증감의 경향을 보다 파악하기 쉽게 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있다.
상기 버퍼부(9)는, 음료 유통로(L2)의 하류측(컵(C)측) 단부(端部)에 접속되어, 커피 음료를 받아들이는 것으로서, 상기 버퍼부(9)에 받아들여진 커피 음료가 최종적으로 컵(C)으로 토출된다. 버퍼부(9)는, 상하로 개구되는 원통형으로서, 상측의 대지름부(9a)와 하측의 소지름부(9b)를 가지고 형성되며, 소지름부(9b)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지름부(9a)의 측면에는 접선 방향으로부터 유입구(流入口)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에 튜브(L2)의 단부(端部)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원료 모터(22), 밀(24)의 구동 모터(도시 생략), 온수 공급 전자 밸브(32), 이송 롤러(R3)의 구동 모터(도시 생략), 차압 발생부(7)의 펌프 모터(도시 생략), 액받이부 이동 기구(도시 생략)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0)에는, 압력 센서(8)로부터 필터링 처리 후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며, 이 검지 신호의 값에 근거하여, 차압 발생부(7)를 정지시켜, 컵(C)에 대한 커피 음료의 공급을 완료시킨다. 또,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이용자 등이 컵(C)의 사이즈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가, 장치 본체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10)에는, 상기 선택 스위치로부터의 컵 사이즈의 식별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10)에는, 원료 모터(22) 및 밀(24)을 구동시킨 후, 각 컵 사이즈의 용량의 커피 음료를 제공하는 경우에 필요한 소정 용량의 커피 분말(예컨대, 표준 사이즈인 경우에는 10g의 커피 분말, 대(大) 사이즈인 경우에는 20g의 커피 분말)의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 제어부(10)에는, 온수 공급 전자 밸브(32)를 개방한 후, 각 용량의 커피 음료의 제공에 필요한 용량의 온수의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이 각각 미리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 공급 장치(1)의 동작 전체에 대해, 도 1~도 3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10)에 의한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정지 제어의 동작에 대해서는, 그 개략적인 내용을 설명하고,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도록 한다.
대기시에는, 액받이부(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위치(下位置)에 있으며, 추출 용기(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이용자 등이 선택 스위치(도시 생략)에 의해 컵(C)의 사이즈를 선택하면, 선택 스위치로부터 제어부(10)로 소정 사이즈의 컵(C)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식별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10)는, 상기 식별 신호의 입력에 따라 동작 개시 신호를 발생시키며, 우선, 상기 동작 개시 신호를 액받이부 이동 기구에 출력하여 액받이부(5)를 상위치(上位置)로 이동시켜, 필터(F)를 액받이부(5)와 추출 용기(4)의 사이에 끼워 압접한 상태로 한다. 계속해서, 제어부(10)는 상기 동작 개시 신호를, 온수 공급 전자 밸브(32), 원료 모터(22) 및 밀(24)에 출력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0)로부터의 동작 개시 신호에 따라, 온수 공급 전자 밸브(32)가 개방 동작하는 동시에, 원료 모터(22), 밀(24)의 구동 모터가 기동(ON)한다. 이로써, 탱크(31) 내의 온수가 추출 용기(4) 내에 주입(注入)되는 동시에, 캐니스터(21) 내의 커피 콩이 밀(24)에 공급되어 분쇄되며, 분쇄되어 얻어진 커피 분말이 추출 용기(4) 내에 투하된다. 그리고, 커피 분말과 온수가, 추출 용기(4) 내의 필터(F) 상에서 혼합된다. 여기서, 제어부(10)는, 원료 모터(22) 및 밀(24)의 구동 모터에 동작 개시 신호를 출력한 후, 예컨대, 선택된 사이즈에 따른 용량의 커피 분말의 공급에 소요되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원료 모터(22) 및 밀(24)의 구동 모터를 정지(OFF)시킨다. 이로써, 적절한 용량의 커피 분말을 추출 용기(4) 내에 공급한다. 한편, 제어부(10)는, 온수 공급 전자 밸브(32)를 개방 동작시킨 후, 선택된 사이즈의 용량에 상당하는 온수의 공급에 소요되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온수 공급 전자 밸브(32)를 폐쇄 동작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온수 공급 전자 밸브(32)를 폐쇄 동작시킨 후,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차압 발생부(7)의 펌프 모터를 펌프 축(7a)이 도 1에 L로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켜, 교반 운전을 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차압 발생부(7)는, 펌프 축(7a)이 L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음료 유통로(L2)의 하류측 개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액받이부(5) 내부를 가압하고, 이 가압한 에어를 액받이부(5) 내부로부터 필터(F)를 통과시켜 추출 용기(4) 내에 공급함으로써, 추출 용기(4) 내의 커피 분말과 온수를 교반 혼합시킨다. 가압한 에어는, 필터(F)를 통과하여 추출 용기(4) 내의 혼합액 내부에서 기포가 되어 상승하며, 이 기포에 의해 커피 분말과 온수의 교반 혼합을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커피 음료를 단시간에 추출할 수가 있다. 제어부(10)는, 미리 정한 시간(T1) 동안, 차압 발생부(7)의 상기 교반 운전(L방향의 회전 구동)을 계속시키며, 이 시간(T1)이 경과했을 때, 차압 발생부(7)를 정지시켜 교반 운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부(10)는, 예컨대, 차압 발생부(7)에 의한 상기 교반 운전을 정지시키고 나서 미리 정한 시간(T2)이 경과한 후에, 차압 발생부(7)에 의한 커피 음료의 드립 토출 운전을 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차압 발생부(7)는, 펌프 축(7a)이 도 1에 R로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액받이부(5)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액받이부(5) 내부를 감압한다. 이로써, 액받이부(5) 내부가 대기압보다 부압(負壓)이 되어, 추출 용기(4) 내의 혼합액 중, 커피 분말은 필터(F)에 의해 포획(捕獲)되고, 커피 음료만이 필터(F)를 통해 여과되어 액받이부(5) 내에 드립된다. 액받이부(5) 내에 드립된 커피 음료는, 차압 발생부(7)에 흡입되어, 차압 발생부(7)로부터 버퍼부(9)로 가압 이송(壓送)된다. 버퍼부(9)로 가압 이송된 커피 음료는, 버퍼부(9)로부터 유출되어 컵(C)에 따라진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압 발생부(7)의 R방향의 회전 구동 개시 후, 실제로, 커피 음료가 컵(C) 내부로 토출되기까지는, 시간 차가 있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예컨대, 압력 센서(8)로부터의 검지 신호의 값에 근거하여,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켜, 표준 사이즈의 컵(C)에 대한 커피 음료의 공급을 완료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액받이부 이동 기구에 의해 액받이부(5)를 하(下)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음료 공급 장치(1)는 대기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정지 제어의 동작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4는, 드립 토출 운전의 개시 시각을 시간(T)의 기점으로 하여 압력 센서(8)에 의한 액받이부(5) 내의 검지 압력(P)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A부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검지 압력(P)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의 미가공 데이터에 대해, 예컨대, 이동 평균 등의 필터링 처리를 실시하여, 이 필터링 처리 후의 검지 신호를, 압력 센서(8)로부터의 검지 압력(P)의 검지 신호로서, 제어부(10)에 입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검지 압력(P)의 하나의 위로 볼록한 점 또는 아래로 볼록한 점을 나타내는 하나의 검지 압력(P)의 값 각각은, 그 점에 있어서의 샘플링시의 미가공 데이터와 그 전(시간적으로 전)의 적절한 개수의 미가공 데이터간의 평균값(이른바 이동 평균값)이다. 이로써, 검지 압력의 증감(增減)의 경향을 보다 파악하기 쉽게 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있다. 또한, 도 4, 도 5 및 후술하는 도 8은, 필터링 처리 후의 검지 압력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필터링 처리 전의 검지 압력의 변화는,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변화보다도 더 크게 변화하고 있다. 또, 필터링 처리 전의 검지 압력의 미가공 데이터의 데이터 수는, 도 4,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것보다 많으며, 보다 미세하게 변동하고 있다.
여기서, 부압식의 음료 공급 장치(1)에서는, 차압 발생부(7)에 의한 드립 토출 운전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이 하강 경향이 되지만, 추출 용기(4) 내에 커피 음료가 없어지면, 추출 용기(4) 내의 공기가 필터(F)를 통과하여 액받이부(5) 내에 흡입되기 때문에, 흡인 부하 저항이 감소하여,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워지는 상승 경향을 보인다. 또, 필터링 처리 후의 검지 압력이라 하더라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세하게 상하로 맥동(脈動)하고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드립 토출 운전에 의해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은 저하되지만,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립 토출 운전 개시 직후(T=0 부근)에 있어서는,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이 대기압(P0)보다 상승하는 등의 압력 불안정 기간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단순히, 압력에 문턱값을 마련하여, 검지 압력(P)과 문턱값을 비교하는 것만으로는, 차압 발생부(7)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정지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1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하는 시간 길이(Δt)의 구간(도 5에 나타내는 범위에서는, S1~S8)마다, 압력 센서(8)로부터의 복수의 검지 압력(P)에 대한 구간 대표값을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각 구간 대표값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차압 발생부(7)에 의한 커피 음료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이며, 예컨대, 서로 인접하는 구간의 구간 대표값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소정 위치의 구간(Sn)의 구간 대표값(Pn)이 이 구간에 인접하여 선행(시간적으로 선행)하는 선행 구간(Sn-1)의 구간 대표값(Pn-1)보다 큰 경우, 상기 선행 구간(Sn-1)의 구간 대표값(Pn-1)을 대표 최소값(Pmin)으로 하고, 선행 구간(Sn-1)에 후속(後續)하는 소정의 구간(Sn을 포함하는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대표 최소값(Pmin)보다 미리 정하는 문턱값(ΔPc) 분(分) 이상 커졌을 때,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구간(Sn을 포함하는 구간)의 구간 대표값으로부터 대표 최소값(Pmin)을 빼고 얻은 값이 문턱값(ΔPc) 이상이 되었을 때에,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킨다.
또, 제어부(1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압 발생부(7)에 의한 커피 음료의 드립 토출 운전을 개시시키고 나서 미리 정하는 시간(T3)이 경과된 후에, 각 구간 대표값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는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를 개시한다. 즉,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의 개시 후에 있어서, 압력 센서(8)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무시하는 무시 시간(T3)을 마련하여, 그동안은, 차압 발생부(7)를 강제적으로 구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간 대표값(Pn)은, 구간 내에서 얻어지는 복수의 필터링 처리 후의 검지 압력(P) 중의 최소값이다. 시간(T3) 경과 후의 도 5에 나타내는 범위를 일례로 하여 설명하면, 구간(S1~S8)의 구간 각각에 있어서, 필터링 처리 후의 검지 압력(P)은 소정의 샘플링 시간 간격으로 복수로 입력되어 있으며, 그 구간마다의 최소값은, 각각 P1min~P8min이다. 제어부(10)는, 예컨대, 구간(S1)에 후속하여 인접하는 구간(S2)의 최소값(P2min)이 구간(S1)의 최소값(P1min)보다 작은 것을 검지하고, 계속해서, 구간(S3)의 최소값(P3min)이 구간(S2)의 최소값(P2min)보다 작은 것 및 구간(S4)의 최소값(P4min)이 구간(S3)의 최소값(P3min)보다 작은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구간(S5)의 최소값(P5min)이 구간(S4)의 최소값(P4min)보다 큰 것을 검지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최소값(P4min)을 전체 구간에 있어서의 대표 최소값(Pmin)으로서 기억하고, 이 대표 최소값(Pmin)의 검지 타이밍에 있어서,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이 하강 경향으로부터 상승 경향으로 변화한(바뀐) 것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구간(S5)의 최소값(P5min)으로부터 대표 최소값(Pmin)(=P4min)을 빼고 얻은 값(ΔPs5)이 문턱값(ΔPc)보다 작은 것을 검지하고, 계속해서, 구간(S6)의 최소값(P6min)으로부터 대표 최소값(Pmin)을 빼고 얻은 값(ΔPs6)이 문턱값(ΔPc)보다 작은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구간(S7)의 최소값(P7min)으로부터 대표 최소값(Pmin)을 빼고 얻은 값(ΔPs7)이 문턱값(ΔPc) 이상인 것을 검지하고, 이때,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킨다.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이 하강 경향으로부터 상승 경향으로 변화하였음을 검지한 구간(S5)에 있어서, 차압 발생부(7)를 정지시키지 않는 것은, 추출 용기(4) 내부나 튜브(음료 유통로(L2)) 내부의 커피 음료가 확실하게 없어질 때까지의 여유분의 대기 시간을 갖기 위함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압 발생부(7)의 R방향의 회전 구동 정지 후, 커피 음료의 컵(C) 내부로의 토출이 실제로 정지하기까지는, 시간 차가 있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에 의하면, 통형상의 추출 용기(4)의 하단부와 액받이부(5)의 상단부의 사이에 필터(F)를 설치하고, 차압 발생부(7)에 의해, 추출 용기(4) 내의 압력과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의 사이에 차압을 발생시켜, 추출 용기(4) 내의 커피 음료를 액받이부(5) 내에 흘러내리게 하는 동시에 컵(C) 내부로 토출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며, 또한 제어부(10)에 의해, 미리 정하는 시간 길이(Δt)의 구간마다,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8)로부터의 복수의 검지 압력(P)에 대한 구간 대표값을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각 구간 대표값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차압 발생부(7)에 의한 음료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1구간 내에서 얻어지는 복수의 검지 압력(P)을 대표하는 구간 대표값을, 구간마다 각각 검출하고, 각 구간 대표값을 이용하여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이 미세하게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며 변동하여도, 그 미세한 변동에 좌우되는 일 없이, 압력의 하강 경향으로부터 상승 경향으로의 변화를 보다 적절히 파악할 수가 있다. 이로써, 차압 발생부(7)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정지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액받이부 내의 압력이 미세하게 변동하는 상황에 있어서, 차압 발생부(7)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부압식의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부(10)에 의해, 대표 최소값(Pmin)을 검출한 선행 구간(Sn-1)에 후속하는 소정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대표 최소값(Pmin)보다 미리 정하는 문턱값(ΔPc) 분(分) 이상 커졌을 때,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로써, 차압 발생부(7)로서 튜브 펌프를 채용하여,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이 미세하게 맥동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이 하강 경향으로부터 상승 경향으로 변화하였음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압력이 상승 경향으로 변화한 후, 차압 발생부(7)를 정지시킬 때까지의 대기 시간을 가질 수가 있다. 그 결과, 추출 용기(4) 내의 커피 음료를 확실히 흡인시키고 나서 차압 발생부(7)를 정지시킬 수 있어, 신속하게 이후의 제어 동작(예컨대 상술한 액받이부(5)를 하위치로 이동시키는 대기 동작 등)으로 이행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압 발생부(7)에 의한 커피 음료의 드립 토출 운전을 개시시키고 나서 미리 정하는 시간(T3)이 경과된 후에, 각 구간 대표값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는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를 개시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로써, 드립 토출 운전 개시 직후에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이 대기압(P0)보다 상승 등을 하는 불안정 기간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의 개시 후에 있어서, 압력 센서(8)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무시하는 무시 시간(T3)을 마련함으로써, 그동안은, 차압 발생부(7)를 강제적으로 구동시킬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추출 용기(4) 내부에 대한 소정 용량의 원료 및 온수의 공급 후, 튜브 펌프로 이루어지는 차압 발생부(7)에 의해 원료 및 온수를 교반 혼합시키고, 그 교반 운전을 정지시키고 나서 소정 시간(T2) 경과 후에, 차압 발생부(7)에 의한 드립 토출 운전을 개시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로써, 차압 발생부(7)에 의한 교반 운전에 의해, 추출 용기(4) 내의 혼합액 내에서 부유(浮游)하고 있는 원료가, 교반 운전 정지 후, 확실히 필터(F) 측에 침전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마련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온수가 원료와 접촉하지 않고 필터(F)를 통과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원료를 온수와 확실히 접촉시켜, 원료를 낭비하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추출에 기여시킬 수가 있다.
또한, 차압 발생부(7)로서의 펌프로서, 튜브 펌프를 채용한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펌프(차압 발생부(7))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펌프(차압 발생부(7))는, 액받이부(5)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액받이부(5) 내부를 감압함으로써, 추출 용기(4) 내의 압력과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의 사이에 차압을 발생시키고, 이 차압에 의해 추출 용기(4) 내의 커피 음료를 액받이부(5) 내에 흘러내리게 하며, 이 흘러내리게 한 커피 음료를 흡인하여 컵(C) 내부로 토출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식의 펌프여도 무방하며, 예컨대, 베인 펌프(vane pump)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부압식의 음료 공급 장치(1)에 의한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에 대한 변형예(변형예 1~변형예 5)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부(10)는, 대표 최소값(Pmin)을 검출한 후, 구간 대표값 - 대표 최소값(Pmin) ≥ 문턱값(ΔPc)이 되었을 때,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구성예 1)으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대표 최소값(Pmin)을 검출한 후, 상기 대표 최소값(Pmin)을 검출한 선행 구간에 후속하는 소정 수의 구간의 각 구간 대표값이 대표 최소값(Pmin)보다 연속해서 커졌을 때,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변형예 1)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대표 최소값(Pmin)을 검출한 검지 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하는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변형예 2)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변형예 1에 대하여, 예컨대, 선행 구간에 후속하는 후속 구간 수를 2개(즉, 구간 대표값이 대표 최소값(Pmin)보다 커지는 연속 회수를 2회)로 하고, 도 5를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대표 최소값(Pmin)을 검출한 구간은 S4이며, S4에 후속하는 2개의 구간, 즉, 구간(S5) 및 구간(S6)의 구간 대표값(P5min, P6min)이 모두 대표 최소값(Pmin)보다 큰 것을 검지하고, 구간(S6)에 있어서,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구간 대표값이 커지는 연속 회수는 2회로 한정하지 않으며,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변형예 2에 있어서, 정지용으로 미리 정하는 검지 시각으로부터 시간은, 예컨대, 적절히 변경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 본 실시 형태(구성예 1), 변형예 1 및 변형예 2에 있어서, 제어부(10)는, 대표 최소값(Pmin)을 검출하고, 이 대표 최소값(Pmin)을 기준으로 하여, 그 후의 구간 대표값과의 비교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어부(10)는, 대표 최소값(Pmin)에 관계없이, 소정 구간(Sn)의 구간 대표값(Pn)이 이 구간(Sn)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Sn-1)의 구간 대표값(Pn-1)보다 큰 것을, 소정 회수(N) 연속하여 검지했을 때,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변형예 3)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연속하는 소정 수(m)의 구간 중, 맨 뒤 구간(Sn+m-1)의 구간 대표값(Pn+m-1)이 맨 앞 구간(Sn)의 구간 대표값(Pn)보다 미리 정하는 문턱값(ΔPc) 분 이상 커졌을 때,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변형예 4)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변형예 3 및 변형예 4의 경우, 대표 최소값(Pmin)은 검지할 필요가 없다.
상기 변형예 3에 대해, 예컨대, 연속 회수(N)를 2회로 정한 경우를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연속해서 대소(大小) 비교를 하는 1 그룹(群)의 구간은 전부 3구간 「Sn, Sn+1, Sn+2」이 되며, 이 3구간에서, 「Pn<Pn+1<Pn+2」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 Sn+2의 구간에 있어서,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킨다. 한편, 「Pn<Pn+1<Pn+2」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 다음의 1 그룹의 3구간을, 이전의 1 그룹의 3구간 「Sn, Sn+1, Sn+2」과 일부 중복시켜 「Sn+1, Sn+2, Sn+3」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Sn+2, Sn+3, Sn+4」로 하여도 무방하며, 중복시키지 않고 「Sn+3, Sn+4, Sn+5」로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다음의 1 그룹의 3구간에서, 「Pn+1<Pn+2<Pn+3」, 「Pn+2<Pn+3<Pn+4」, 「Pn+3<Pn+4<Pn+5」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조건을 만족한 경우, 맨 뒤 구간에서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킨다. 한편, 조건을 만족하지 않았다면,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다음의 1 그룹의 3구간으로의 시프트(shift) 및 대소 관계의 판정을 반복한다. 또한, 연속 회수(N)는 2회로 한정하지 않으며,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구간 수는 3구간 이상이 된다.
상기 변형예 4에 대하여, 예컨대, 연속하는 구간 수(m)를 3구간으로 정한 경우를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연속해서 대소 비교를 하는 1 그룹의 구간은 전부하여 3구간 「Sn, Sn+1, Sn+2」이 되며, 「Pn+2-Pn≥ΔPc」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 Sn+2의 구간에 있어서,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킨다. 한편, 「Pn+2-Pn<ΔPc」의 경우, 다음의 3구간을, 상기 변형예 3과 마찬가지로, 앞의 3구간 「Sn, Sn+1, Sn+2」과 일부 중복시켜 시프트시켜도 무방하며, 중복시키지 않고 시프트시켜,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재판정하고,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다음의 3구간으로의 시프트 및 대소 관계의 판정을 반복한다. 또한, 구간 수(m)는 3구간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2구간이어도 무방하고, 4구간 이상이어도 무방하며,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구성예 1)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서로 인접하는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직접 비교한 결과에 근거하여,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구간(Sn)마다, 구간(Sn)의 구간 대표값(Pn)과 상기 구간(Sn)에 선행하는 소정 수(m)의 구간의 구간 대표값간의 평균값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평균값(Pnm)을 순차적으로 산출하여, 각 구간(Sn)에서 산출된 이동 평균값(Pnm)이 구간(Sn)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Sn-1)에서 산출된 이동 평균값(P(n-1)n)보다 커졌을 때, 차압 발생부(7)에 의한 커피 음료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변형예 5)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구성예 1)에 있어서, 압력 센서(8)의 검지 압력의 미가공 데이터에 대하여, 이동 평균 처리를 한 후의 검지 압력의 검지 신호를 제어부(10)에 입력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본 변형예 5에서는, 구간 대표값(Pn)에 대해서도 이동 평균 처리를 하고, 이동 평균 처리 후의 구간 대표값을 이동 평균값(Pnm)으로 하며, 상기 이동 평균값(Pnm)을 이용하여 정지 제어한다.
〔제 2 실시 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7은, 음료 공급 장치(1')에 있어서의 필터(F)의 이송 중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구성예 1)의 음료 공급 장치(1)와 같은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료 공급 장치(1')는, 추출 용기(4) 내부를 가압하여 커피 음료를 수용부(5)로 흘러내리게 하는 가압식의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압력 센서(8)는, 추출 용기(4) 내의 압력을 검지할 수 있도록, 예컨대, 추출 용기(4)의 수용실(4a)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수용실(4a)의 상면 개구부(4d)를 폐색할 수 있도록 폐색 덮개가 설치되어 있다. 폐색 덮개는, 예컨대, 대기시나 원료 및 온수의 공급시나 교반 운전시에는, 상면 개구부(4d)를 개구하고, 차압 발생부(7)에 의한 흡입 토출 운전시에는, 상면 개구부(4d)를 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제어부(10)는, 폐색 덮개를 개폐 구동하는 도시를 생략한 폐색 덮개 개폐 기구에, 폐색 덮개를 개폐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차압 발생부(7)는, 추출 용기(4) 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추출 용기(4) 내부를 가압함으로써, 추출 용기(4) 내의 압력과 액받이부(5) 내의 압력의 사이에 차압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차압에 의해 추출 용기(4) 내의 커피 음료를 액받이부(5) 내부로 흘러내리게 하는 동시에 음료 유통로(L2)를 통해 컵(C) 내부로 토출시키는 에어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컨대, 추출 용기(4)의 수용실(4a)에는 가압용의 에어 공급로(L3)가 접속되고, 추출 용기(4)의 혼합실(4b)에는 교반용의 에어 공급로(L4)가 접속되어 있다. 각 에어 공급로(L3 및 L4)에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전자 밸브가 개재(介在)되어 장착되어 있다. 예컨대, 대기시에는, 이들 전자 밸브는 모두 폐쇄 상태이며, 교반 운전시에는, 에어 공급로(L4)의 전자 밸브가 개방되어, 차압 발생부(7)로부터 에어 공급로(L4)를 통해, 추출 용기(4) 내에 에어가 공급된다. 한편, 드립 토출 운전시에는, 에어 공급로(L3)의 전자 밸브가 개방되어, 차압 발생부(7)로부터 에어 공급로(L3)를 통해, 추출 용기(4) 내에 에어가 공급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제어부(10)는,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예 1과 마찬가지로, 서로 인접하는 구간의 구간 대표값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를 행한다.
그러나, 부압식의 경우에는, 드립 토출 운전에 있어서의 압력은 하강 경향으로부터 상승 경향을 보이지만, 가압식의 경우에는, 상승 경향으로부터 하강 경향을 보여, 부압식과 반대의 경향을 나타낸다.
즉, 가압식의 음료 공급 장치(1')에서는, 차압 발생부(7)에 의한 드립 토출 운전에 의해, 추출 용기(4) 내의 압력이 상승 경향이 되지만, 추출 용기(4) 내에 커피 음료가 없어지면, 추출 용기(4) 내의 공기가 필터(F)를 통과하여 액받이부(5) 내부로 흡입되기 때문에, 부하 저항이 감소하여, 추출 용기(4) 내의 압력이 하강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제어부(10)에 있어서의 구간 대표값에 관한 대소 비교의 관계도 제 1 실시 형태(구성예 1)와 반대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소정 위치의 구간(Sn)의 구간 대표값(Pn)이 이 구간에 인접하여 선행(시간적으로 선행)하는 선행 구간(Sn-1)의 구간 대표값(Pn-1)보다 작은 경우, 이 선행 구간(Sn-1)의 구간 대표값(Pn-1)을 대표 최대값(Pmax)으로 하고, 선행 구간(Sn-1)에 후속하는 소정의 구간(Sn을 포함하는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대표 최대값(Pmax)보다 미리 정하는 문턱값(ΔPc) 분 이상 작아졌을 때, 즉, 대표 최대값(Pmax)-구간 대표값≥ΔPc가 되었을 때,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간 대표값(Pn)은, 구간 내에서 얻어지는 복수의 필터링 처리 후의 검지 압력(P) 중의 최대값이다.
다음으로,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 공급 장치(1')의 동작 전체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략화한다.
대기시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받이부(5)는 하위치에 있고, 추출 용기(4)의 상면 개구부(4d)는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이용자가 컵 사이즈 등을 선택하면, 제어부(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받이부(5)를 상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온수가 추출 용기(4) 내에 주입되는 동시에, 커피 분말이 추출 용기(4) 내에 공급된다.
제어부(10)는, 온수 및 커피 분말의 공급이 완료되면, 차압 발생부(7)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에어 공급로(L4)의 전자 밸브를 개방하여, 추출 용기(4) 내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추출 용기(4) 내의 커피 분말과 온수를 교반 혼합시킨다. 제어부(10)는, 미리 정한 시간(T1) 동안, 차압 발생부(7)의 상기 교반 운전을 계속시키며, 이 시간(T1)이 경과했을 때에, 차압 발생부(7)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에어 공급로(L4)의 전자 밸브를 폐쇄하여, 교반 운전을 정지시킨다. 제어부(10)는, 이러한 교반 운전의 정지와 동시에, 폐색 덮개 개폐 기구에 폐색 덮개를 폐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면 개구부(4d)를 폐색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10)는, 교반 운전을 정지시키고 나서 미리 정한 시간(T2) 경과 후에, 에어 공급로(L3)의 전자 밸브를 개방하는 동시에, 차압 발생부(7)에 의한 커피 음료의 드립 토출 운전을 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차압 발생부(7)는, 에어를 추출 용기(4)의 수용실(4a) 내에 에어 공급로(L3)를 통해 공급하여, 추출 용기(4) 내부를 가압한다. 이로써, 추출 용기(4) 내의 압력이 액받이부(5) 내의 압력보다 높아져, 커피 음료가 액받이부(5) 내에 드립된다. 액받이부(5) 내에 드립된 커피 음료는, 음료 유통로(L2) 및 버퍼부(9)를 통해 컵(C)에 따라진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압력 센서(8)로부터의 검지 신호의 값에 근거하여,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고, 컵(C)에 대한 커피 음료의 공급을 완료시킨다. 그 후, 제어부(10)는, 액받이부 이동 기구를 통해 액받이부(5)를 하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폐색 덮개 개폐 기구를 통해 폐색 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음료 공급 장치(1')는 대기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에 의하면, 가압식의 경우라 하더라도, 1구간 내에서 얻어지는 복수의 검지 압력(P)을 대표하는 구간 대표값을, 구간마다 각각 검출하고, 각 구간 대표값을 이용하여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출 용기(4) 내의 압력이 미세하게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며 변동하여도, 그 미세한 변동에 좌우되는 일 없이, 압력의 상승 경향으로부터 하강 경향으로의 변화를 보다 적절히 파악할 수가 있다. 이로써, 차압 발생부(7)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정지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추출 용기 내의 압력이 미세하게 변동하는 상황에 있어서, 차압 발생부(7)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가압식의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
다음으로, 제 2 실시 형태의 가압식의 음료 공급 장치(1')에 의한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에 대한 변형예(변형예 6~변형예 10)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변형예 6~변형예 10은 각각,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 1~변형예 5에 각각 대응하는 변형예이며, 구간 대표값에 관한 비교의 대소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을 뿐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부(10)는, 대표 최대값(Pmax)을 검출한 후, 대표 최대값(Pmax)-구간 대표값 ≥ 문턱값(ΔPc)이 되었을 때,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구성예 2)으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대표 최대값(Pmax)을 검출한 후, 이 대표 최대값(Pmax)을 검출한 선행 구간에 후속하는 소정 수의 구간의 각 구간 대표값이 대표 최대값(Pmax)보다 연속해서 작아졌을 때,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변형예 6)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대표 최대값(Pmax)을 검출한 검지 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하는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변형예 7)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변형예 6에 있어서, 구간 대표값이 작아지는 연속 회수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변형예 7에 있어서, 정지용으로 미리 정하는 검지 시각으로부터 시간은, 적절히 변경 설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 제 2 실시 형태(구성예 2), 변형예 6 및 변형예 7에 있어서, 제어부(10)는, 대표 최대값(Pmax)을 검출하고, 이 대표 최대값(Pmax)을 기준으로 하여, 그 후의 구간 대표값과의 비교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어부(10)는, 대표 최대값(Pmax)에 관계없이, 소정 구간(Sn)의 구간 대표값(Pn)이 이 구간(Sn)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Sn-1)의 구간 대표값(Pn-1)보다 작은 것을, 소정 회수(N) 연속해서 검지했을 때,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변형예 8)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연속하는 소정 수(m)의 구간 중, 맨 뒤 구간(Sn+m-1)의 구간 대표값(Pn+m-1)이 맨 앞 구간(Sn)의 구간 대표값(Pn)보다 미리 정하는 문턱값(ΔPc) 분 이상 작아졌을 때, 차압 발생부(7)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변형예 9)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변형예 8 및 변형예 9의 경우, 대표 최대값(Pmax)은 검지할 필요가 없다.
상기 변형예 8에 있어서, 연속 회수(N)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연속해서 대소 비교를 하는 1 그룹의 구간의 시프트는, 변형예 3과 마찬가지로 앞의 1 그룹의 구획과 뒤의 1 그룹의 구간을 일부 중복시켜도 무방하고, 중복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변형예 9에 있어서, 구간 수(m)는 2구간 이상으로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며, 맨 앞과 맨 뒤의 대소 비교를 하는 1 그룹의 구간의 시프트는, 변형예 4와 마찬가지로 앞의 1 그룹의 구획과 뒤의 1 그룹의 구간을 일부 중복시켜도 무방하고, 중복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 제 2 실시 형태(구성예 2)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서로 인접하는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직접 비교한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구간(Sn)마다, 구간(Sn)의 구간 대표값(Pn)과 이 구간(Sn)에 선행하는 소정 수(m)의 구간의 구간 대표값간의 평균값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평균값(Pnm)을 순차적으로 산출하고, 각 구간(Sn)에서 산출된 이동 평균값(Pnm)이 구간(Sn)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Sn-1)에서 산출된 이동 평균값(P(n-1)n)보다 작아졌을 때, 차압 발생부(7)에 의한 커피 음료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구성(변형예 10)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제 2 실시 형태(구성예 2)에 있어서, 압력 센서(8)의 검지 압력의 미가공 데이터에 대해, 이동 평균 처리를 한 후의 검지 압력의 검지 신호를 제어부(10)에 입력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본 변형예 10에서는, 구간 대표값(Pn)에 대해서도 이동 평균 처리를 하고, 이동 평균 처리 후의 구간 대표값을 이동 평균값(Pnm)으로 하며, 이 이동 평균값(Pnm)을 이용하여 정지 제어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및 이들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구간 대표값(Pn)은, 상기 제 1 실시 형태(구성예 1, 변형예 1~변형예 5)에 있어서는, 구간 내에서 얻어지는 복수의 검지 압력(P) 중의 최소값이고, 상기 제 2 실시 형태(구성예 2, 변형예 6~변형예 10)에 있어서는, 구간 내에서 얻어지는 복수의 검지 압력(P) 중의 최대값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구간 내에서 얻어지는 복수의 검지 압력(P)의 평균값인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예컨대, 부압식에 대하여, 도 5와 동일한 범위를 나타낸 도 8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면, 구간(S1~S8)의 구간 각각에 있어서, 그 구간마다의 평균값은, 각각 P1ave~P8ave이며, 제어부(10)는 이 평균값을 이용하여 차압 발생부(7)의 정지 제어를 행한다.
또한, 상기 모든 구성예 및 변형예에 있어서, 검지 압력(P)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의 미가공 데이터에 대해 필터링 처리를 실시하고, 이 필터링 처리 후의 검지 신호(P)를, 압력 센서(8)로부터의 검지 압력(P)의 검지 신호로서, 제어부(10)에 입력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압력 센서(8)로부터의 미가공 데이터를 제어부(10)에 직접 입력하고, 제어부(10) 내에서, 그 미가공 데이터에 대해 필터링 처리하여, 필터링 처리 후의 데이터의 구간마다의 최소값이나 최대값이나 평균값을, 구간 대표값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 노이즈 등에 의한 급격한 변화가 비교적 적은 경우 등에는, 미가공 데이터에 대해 필터링 처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검지 신호의 미가공 데이터를 제어부(10)에 입력하여, 미가공 데이터의 구간마다의, 최소값이나 최대값이나 평균값을 구간 대표값으로 한다. 또, 드립 토출 운전 개시 직후에 압력의 불안정 기간이 없는 경우 또는 그 변동 레벨을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인 경우 등에는, 무시 시간(T3)은 마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 커피 음료를 공급하는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녹차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추출 용기(4) 내에는 찻잎을 원료로서 공급한다. 또, 음료는, 커피 음료나 차로 한정되지 않으며, 추출에 의해 공급 가능한 음료이면, 어떠한 종류의 음료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추출 용기(4) 내에 온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냉수를 공급하여도 무방하다. 냉수를 공급하여도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또, 음료 공급 장치(1)는, 컵 타입의 서버에 조립하여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컵 타입의 자동 판매기에 조립하여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통형상의 추출 용기의 하단부와 액받이부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필터를 설치하고, 차압 발생부에 의해, 추출 용기 내의 압력과 액받이부 내의 압력의 사이에 차압을 발생시켜, 추출 용기 내의 음료를 액받이부 내부로 흘러내리게 하는 동시에 컵 내부로 토출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며, 또한 제어부에 의해, 미리 정하는 시간 길이의 구간마다, 액받이부 내부 또는 추출 용기 내부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로부터의 복수의 검지 압력에 대한 구간 대표값을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각 구간 대표값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차압 발생부에 의한 음료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1구간 내에서 얻어지는 복수의 검지 압력을 대표하는 구간 대표값을, 구간마다 각각 검출하고, 각 구간 대표값을 이용하여 차압 발생부의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추출 용기 내의 압력이나 액받이부 내의 압력이 미세하게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며 변동하여도, 그 미세한 변동에 좌우되는 일 없이, 압력의 상승 경향으로부터 하강 경향으로의 변화, 또는, 하강 경향으로부터 상승 경향으로의 변화를 보다 적절히 파악할 수가 있다. 이로써, 에어 펌프나 튜브 펌프 등의 차압 발생부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정지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추출 용기 내부 및 액받이부 내부의 압력이 미세하게 변동하는 상황에 있어서, 에어 펌프나 튜브 펌프 등의 차압 발생부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21)

  1. 통형상의 추출 용기의 하단부와 액(液) 받이부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추출 용기 내부에 대한 원료 및 물의 공급에 의해 추출된 음료를,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액받이부 내부로 흘러내리게 하여 음료 유통로를 통해 컵 내에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추출 용기 내의 압력과 상기 액받이부 내의 압력의 사이에 차압(差壓)을 발생시켜, 상기 음료를 상기 액받이부 내부로 흘러내리게 하는 동시에 상기 컵 내부로 토출(吐出)시키는 차압 발생부와,
    상기 액받이부 내부 또는 상기 추출 용기 내부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와,
    미리 정하는 시간 길이의 구간마다,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의 복수의 검지 압력에 대한 구간 대표값을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각 구간 대표값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압 발생부에 의한 상기 음료의 드립(drip, 流下)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음료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인접하는 구간의 상기 구간 대표값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를 행하는, 음료 공급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마다, 상기 구간의 구간 대표값과 상기 구간에 선행하는 소정 수의 구간의 구간 대표값간의 평균값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평균값을 순차적으로 산출하고, 서로 인접하는 구간의 상기 이동 평균값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를 행하는, 음료 공급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액받이부 내의 압력을 검지하고,
    상기 차압 발생부는, 상기 음료 유통로의 도중에 설치되며, 상기 액받이부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액받이부 내부를 감압(減壓)함으로써 상기 차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차압에 의해 상기 추출 용기 내의 음료를 상기 액받이부 내부로 흘러내리게 하며, 그 흘러내리게 한 음료를 흡인하여 상기 컵 내부로 토출시키는 펌프로 이루어지는, 음료 공급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상기 구간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보다 큰 경우, 상기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대표 최소값으로 하고, 상기 선행 구간에 후속하는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상기 대표 최소값보다 미리 정하는 문턱값 분(分) 이상 커졌을 때, 상기 차압 발생부의 상기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음료 공급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상기 구간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보다 큰 경우, 상기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대표 최소값으로 하고, 상기 선행 구간에 후속하는 소정 수의 구간의 각 구간 대표값이 상기 대표 최소값보다 연속해서 커졌을 때, 상기 차압 발생부의 상기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음료 공급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상기 구간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보다 큰 경우, 상기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대표 최소값으로서 검지하고, 그 검지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했을 때, 상기 차압 발생부의 상기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음료 공급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마다, 상기 구간의 구간 대표값과 상기 구간에 선행하는 소정 수의 구간의 구간 대표값간의 평균값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평균값을 순차적으로 산출하며, 상기 구간에서 산출된 이동 평균값이 상기 구간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에서 산출된 이동 평균값보다 커졌을 때, 상기 차압 발생부에 의한 상기 음료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음료 공급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상기 구간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보다 큰 것을 연속해서 검지했을 때, 상기 차압 발생부의 상기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음료 공급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속하는 소정 수의 상기 구간 중, 맨 뒤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맨 앞 구간의 구간 대표값보다 미리 정하는 문턱값 분(分) 이상 커졌을 때, 상기 차압 발생부의 상기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음료 공급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추출 용기 내의 압력을 검지하고,
    상기 차압 발생부는, 상기 추출 용기 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추출 용기 내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차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차압에 의해 상기 추출 용기 내의 음료를 상기 액받이부 내부로 흘러내리게 하는 동시에 상기 음료 유통로를 통해 상기 컵 내부로 토출시키는 에어 펌프로 이루어지는, 음료 공급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상기 구간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대표 최대값으로 하고, 상기 선행 구간에 후속하는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상기 대표 최대값보다 미리 정하는 문턱값 분 이상 작아졌을 때, 상기 차압 발생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음료 공급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상기 구간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대표 최대값으로 하고, 상기 선행 구간에 후속하는 소정 수의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상기 대표 최대값보다 연속해서 작아졌을 때, 상기 차압 발생부의 상기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음료 공급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상기 구간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대표 최대값으로서 검지하고, 그 검지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했을 때, 상기 차압 발생부의 상기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음료 공급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마다, 상기 구간의 구간 대표값과 상기 구간에 선행하는 소정 수의 구간의 구간 대표값간의 평균값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평균값을 순차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구간에서 산출된 이동 평균값이 상기 구간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에서 산출된 이동 평균값보다 작아졌을 때, 상기 차압 발생부에 의한 상기 음료의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음료 공급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상기 구간에 인접하여 선행하는 선행 구간의 구간 대표값보다 작은 것을 연속해서 검지했을 때, 상기 차압 발생부의 상기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음료 공급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속하는 소정 수의 상기 구간 중, 맨 뒤 구간의 구간 대표값이 맨 앞 구간의 구간 대표값보다 미리 정하는 문턱값 분 이상 작아졌을 때, 상기 차압 발생부의 상기 드립 토출 운전을 정지시키는, 음료 공급 장치.
  18. 제 4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대표값은, 상기 구간 내에서 얻어지는 복수의 상기 검지 압력 중의 최소값인, 음료 공급 장치.
  19. 제 1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대표값은, 상기 구간 내에서 얻어지는 복수의 상기 검지 압력 중의 최대값인, 음료 공급 장치.
  20.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대표값은, 상기 구간 내에서 얻어지는 복수의 상기 검지 압력의 평균값인, 음료 공급 장치.
  21.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압 발생부에 의한 상기 음료의 드립 토출 운전을 개시시키고 나서 미리 정하는 시간 경과 후에, 상기 각 구간 대표값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는 상기 드립 토출 운전의 정지 제어를 개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
KR1020150058840A 2014-08-29 2015-04-27 음료 공급 장치 KR101678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6096A JP6449596B2 (ja) 2014-08-29 2014-08-29 飲料供給装置
JPJP-P-2014-176096 2014-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643A true KR20160026643A (ko) 2016-03-09
KR101678973B1 KR101678973B1 (ko) 2016-11-23

Family

ID=5540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840A KR101678973B1 (ko) 2014-08-29 2015-04-27 음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05003B2 (ko)
JP (1) JP6449596B2 (ko)
KR (1) KR101678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815A (ko) * 2020-11-09 2022-05-18 엄용회 포타필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21433U (zh) * 2016-02-17 2016-05-11 Chouki Internat Company Ltd 沖泡材料磨碎機
WO2018111972A1 (en) * 2016-12-13 2018-06-21 Bunn-O-Matic Corporation Bean to cup positive pressure brewer
CN108236396B (zh) * 2016-12-23 2024-01-16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料理机的制浆方法
CN108236403B (zh) * 2016-12-23 2024-01-16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料理机的制浆方法
JP6870357B2 (ja) * 2017-02-08 2021-05-12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KR102274170B1 (ko) 2017-11-24 2021-07-08 (주)콩볶는사람들 드립커피추출장치
EP3876801B1 (en) * 2018-11-09 2023-09-20 Newco Enterprises Inc. Autonomous rapid batch beverage maker, system and method
CN213030535U (zh) 2019-03-08 2021-04-23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食品处理***及与其一起使用的附件、附接组件
JP2022515812A (ja) 2019-03-08 2022-02-22 シャークニンジャ オペレーティング エルエルシー 真空食品加工システム
CN113329672A (zh) 2019-03-08 2021-08-31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真空食物处理***
USD927256S1 (en) 2019-06-06 2021-08-1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USD940500S1 (en) 2019-06-06 2022-01-11 Sharkninja Operating Llc Lid
USD925270S1 (en) 2019-06-06 2021-07-2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USD924007S1 (en) 2019-06-06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Strainer blender accessory
NL2024645B1 (en) * 2020-01-10 2021-09-07 Bravilor Bonamat Bv Beverage extracting device
CN113340738B (zh) * 2021-05-24 2024-01-26 鲁西工业装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压力试验***及测量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7899A (ja) 1986-08-18 1988-02-29 富士電機株式会社 ブリユア機構の制御装置
JP2003061828A (ja) * 2001-06-11 2003-03-04 Sanyo Electric Co Ltd コーヒー飲料の製造装置
JP2003237897A (ja) * 2002-02-19 2003-08-27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注出装置及び液切れ検知方法
KR20090116746A (ko) * 2007-02-27 2009-11-11 사에코 아이피알 리미티드 커피의 양의 자동 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커피 자판기
JP5388517B2 (ja) * 2008-09-12 2014-01-15 サンデン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549B2 (ja) 1977-01-14 1985-04-0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雑音除去回路
JP2725455B2 (ja) * 1990-11-22 1998-03-11 富士電機株式会社 コーヒー抽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7899A (ja) 1986-08-18 1988-02-29 富士電機株式会社 ブリユア機構の制御装置
JP2003061828A (ja) * 2001-06-11 2003-03-04 Sanyo Electric Co Ltd コーヒー飲料の製造装置
JP2003237897A (ja) * 2002-02-19 2003-08-27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注出装置及び液切れ検知方法
KR20090116746A (ko) * 2007-02-27 2009-11-11 사에코 아이피알 리미티드 커피의 양의 자동 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커피 자판기
JP5388517B2 (ja) * 2008-09-12 2014-01-15 サンデン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815A (ko) * 2020-11-09 2022-05-18 엄용회 포타필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973B1 (ko) 2016-11-23
JP2016049257A (ja) 2016-04-11
JP6449596B2 (ja) 2019-01-09
US20160058241A1 (en) 2016-03-03
US10105003B2 (en)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973B1 (ko) 음료 공급 장치
KR101825066B1 (ko) 음료 공급 장치
JP5503715B2 (ja) 飲料生成機のドレン
US20140263397A1 (en) Multi-valve liquid flow control for liquid supply
KR20060129252A (ko) 계량된 체적의 가열된 물을 단일 음료 양조기의 양조챔버에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US12036483B2 (en) Extraction apparatus and extraction method
US201502017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carafe detection
EP1123676A1 (en)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open receptacle interposed between a hot water tank and a hot water pump
KR20210104671A (ko) 용기에 의해 조절되는 용기로의 식품 분배 시스템 및 공정
US20220322867A1 (en) Liquid sensing arrangement for beverage machine
JP5388517B2 (ja) 飲料抽出装置
JP2010075595A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2010082046A (ja) 飲料供給装置
KR101849078B1 (ko)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
WO2022093795A1 (en) Liquid supply tank sensing arrangement for beverage machine
CN206871621U (zh) 精准取液装置
JP2007260104A (ja) 飲料供給装置
JP2004159831A (ja) 飲料抽出装置
JP2005261835A (ja) 飲料供給装置
KR102558790B1 (ko) 온수 정량 공급장치
TW202423351A (zh) 咖啡飲料提供裝置
JP2004154407A (ja) 飲料抽出装置
JPH06348950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20060082277A (ko) 자동판매기의 제어방법
JP2007061189A (ja) 飲料抽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