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269A - 흡입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흡입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269A
KR20160026269A KR1020140114452A KR20140114452A KR20160026269A KR 20160026269 A KR20160026269 A KR 20160026269A KR 1020140114452 A KR1020140114452 A KR 1020140114452A KR 20140114452 A KR20140114452 A KR 20140114452A KR 20160026269 A KR20160026269 A KR 20160026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leaned
lower case
suction port
su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김경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6269A/ko
Priority to EP15181265.8A priority patent/EP2989952B1/en
Priority to US14/837,055 priority patent/US9737184B2/en
Publication of KR20160026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26Rigidly anchored lips, e.g. nozzles adapted for picking up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흡입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흡입노즐은 흡입원으로부터 형성된 진공압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포함하며, 흡입력에 의해 변형되는 상기 피청소면과 밀착되는 만곡부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흡입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Suction nozzl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을 분리하여 흡입하는 흡입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내부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오물을 분리 집진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과 마주하는 흡입노즐을 가진다.
종래기술의 흡입노즐은 피청소면과 마주하는 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구는 흡입노즐의 저면을 폭방향을 따라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피청소면이 마룻바닥인 경우에 흡입노즐의 저면과 마룻바닥 사이가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게 하여 거의 흡입력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피청소면이 카펫과 같이 흡입구의 흡입력에 따라 변형이 되는 경우에는 흡입노즐의 평평한 저면과 균일하게 밀착되지 않는다. 즉, 흡입구 내에서 오물유입구가 위치하는 부분이 가장 흡입력이 강하고, 상대적으로 흡입구 내에서 오물유입구와 점차 멀어지는 부분(예를 들면, 흡입구의 좌/우측 단부)일수록 흡입력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오물유입구에 대응하는 카펫의 일부는 흡입력이 강하게 작용하므로 흡입구에 흡착되어 흡입노즐의 저면과 밀착된다. 하지만, 오물유입구와 인접하지 않은 카펫의 다른 부분들은 흡입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흡입구 방향으로 들려지더라도 흡입노즐의 저면과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이격된다. 이에 따라, 카펫과 흡입노즐의 저면 사이에 흡입력이 손실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므로 청소효율의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물이 카펫의 모에 엉켜 있어 흡입구의 흡입력만으로는 오물을 제대로 흡입할 수 없으며, 특히 오물유입구로부터 먼 부분일수록 약하게 작용하는 흡입력으로 인해 오물의 흡입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펫과 같이 흡입구의 흡입력에 의해 변형되는 피청소면의 청소 시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입노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흡입원으로부터 형성된 진공압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포함하며 흡입력에 의해 변형되는 상기 피청소면과 밀착하는 만곡부가 형성된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흡입노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만곡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폭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곡부는 중앙 부분이 상기 피청소면으로부터 상기 상부케이스 방향으로 요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는 피청소면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는 상기 흡입구의 전방 및 후방의 외곽선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구의 전방 및 후방 외곽선은 상기 만곡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만곡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는 상기 흡입구 내에서 흡입력이 가장 높은 부분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는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는 청소동작시 상기 피청소면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상기 만곡부의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부유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구 내에 배치되는 타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격부재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부재는 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타격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부에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저부는 흡입력에 의해 변형되는 상기 피청소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흡입구 내에서 흡입력이 가장 높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하부케이스의 폭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면은 곡면 또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의 전방 및 후방 외곽선은 상기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면과 동일하게 하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면은 상기 흡입구 내에서 흡입력이 가장 높은 부분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또는 비대칭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진공청소기는 흡입원을 내장하고 먼지를 수거하는 진공청소기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 연통되며, 상기 흡입원으로부터 형성된 진공압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저부에 구비한 흡입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노즐의 저부는 흡입력에 의해 변형되는 상기 피청소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흡입구 내에서 흡입력이 가장 높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흡입노즐의 폭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곡면 또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곡면 또는 평면은 상기 흡입노즐의 폭을 따라 형성되고, 중앙 부분이 상기 피청소면으로부터 상기 흡입노즐의 상측 방향으로 요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의 전방 및 후방 외곽선은 상기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곡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거나, 상기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평면과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입노즐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을 나타내는 하측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흡입노즐이 흡입동작을 하기 전 상태 및 이에 따른 피청소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은 도 2에 도시된 흡입노즐이 흡입동작을 하고 있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피청소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는 도 2에 도시된 흡입노즐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을 도 8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흡입노즐(10)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는 흡입노즐(10), 연장관(20), 손잡이부(30), 연장호스(40) 및 본체(50)를 포함한다. 다만, 도 1에서는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10)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및 스틱형 진공청소기에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흡입노즐(10)은 피청소면(300)의 오물을 흡입하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연장관(20)은 일단이 흡입노즐(10)에 연결되며, 흡입노즐(10)로부터 이송된 오물을 연장호스(40)로 전달한다.
손잡이부(30)는 사용자가 흡입노즐(10)을 제어하기 위해 연장관(20)의 타단에 구비되며, 진공청소기(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전원스위치를 구비한다.
연장호스(40)는 손잡이부(30)에 연결되며, 연장관(20)으로부터 이송된 오물을 본체(50)로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체(50)는 연장호스(40)로부터 오물을 전달받으며, 흡입원, 사이클론부 및 집진실을 구비한다.
상술한 연장관(20), 손잡이부(30), 연장호스(40) 및 본체(50)와 관련된 기술은 공지의 사항인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10)은 하부케이스(100) 및 상부케이스(200)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100)는 흡입노즐(10)의 하부를 이루며, 흡입구(111), 오물유입구(112), 만곡부(120), 슬라이딩 돌기(141) 및 타격부재(151)를 포함한다.
흡입구(111)는 하부케이스(110)의 저부에 폭방향(좌측에서부터 우측, 또는 우측에서부터 좌측)으로 형성되며, 더욱이 청소를 위한 1 회의 왕복동작시, 보다 넓은 피청소면(300)을 청소하기 위해 하부케이스(100)의 좌우측 끝단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피청소면(300)과 밀착하여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입구(111)의 좌우측면은 막혀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입구(111)는 후술할 오물유입구(112)와 연통되며, 오물유입구(112)로부터 흡입력을 전달받아 피청소면(300)의 오물을 흡입하여 오물유입구(112)로 전달해 준다.
또한, 흡입구(111)는 하부케이스(100)의 저면(131, 132)에 대해 피청소면(300)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흡입구(111)와 피청소면(300)은 더욱 밀착되어 흡입력이 손실될 공간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흡입구(111)의 흡입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청소효율이 더욱 높아진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케이스(100)의 저면(131, 132)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오물유입구(112)는 흡입구(111) 내에 형성되며, 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하부케이스(100)의 후방에 연결된 연장관(20)으로 이송하기 위해 연장관(20)과 연통된다. 이러한 오물유입구(112)는 진공청소기(1)의 본체(50)에 내장되는 흡입원으로부터 흡입력을 전달받아 흡입구(111) 전체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오물유입구(112)는 하부케이스(10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흡입력이 오물유입구(112)의 좌우로 균일하게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물유입구(112)는 연장관(20)에 연결되며, 연장관(20)에는 사용자가 흡입노즐(10)을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가 마련되는바, 흡입노즐(10)의 조작 측면에서도 오물유입구(112)는 흡입노즐(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곡부(120)는 하부케이스(100)의 저부에 형성되는 전방 및 후방 슬라이딩면(121, 122)을 포함한다.
만곡부(120)는 하부케이스(10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중앙 부분이 피청소면(300)으로부터 상부케이스(200) 방향으로 요입 형성된다. 즉, 하부케이스(100)의 좌우측이 중앙 부분에 비해 피청소면(300)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만곡 형상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만곡부(12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진다. 만곡부(120)의 이러한 형상은 흡입력에 의해 변형되는 피청소면(300)의 형상에 대응된다. 피청소면(300)은 카펫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입력에 의해 변형되는 피청소면(300)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다.(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피청소면(300)을 카펫(300)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만곡부(120)의 형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도 3 및 도 4는 만곡 형상의 정도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실제 만곡부(120) 및 카펫(300)의 변형정도에 비해 과장되게 표현되었음을 명확히 한다.
카펫(300)은 흡입구(111)의 흡입력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케이스(200)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다. 하지만, 흡입력이 흡입구(111)의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흡입력이 가장 강한 오물유입구(112)를 향해 중앙부(301)가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들어 올려진다. 이러한 카펫(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만곡부(120)도 흡입력이 가장 강한 오물유입구(112)가 형성된 부분이 가장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만곡 형성된다.
반면에, 오물유입구(112)의 좌우측에 형성된 흡입구(111)의 부분은 오물유입구(112)로부터 멀어질수록(예를 들어, 흡입구(111)의 좌우측면으로 갈수록) 흡입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대응되는 카펫(300)의 좌우측면(302)도 중앙부(301)에 비해 낮게 들려지게 되어, 좌우측면(302)이 중앙부(301)에 비해 아래로 처지게 된다. 이러한 카펫(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만곡부(120)는 좌우측이 오물유입구(112)가 형성된 중앙 부분에 비해 아래로 처지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흡입력이 약해지는 정도는 오물유입구(111)로부터 좌우측으로 멀어질수록 균일하므로, 카펫(300) 역시 들려 올려지는 중앙부(301)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만곡 형성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하부케이스(100)의 저부는 오물유입구(111)를 중심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양끝이 아래로 향하는 평면(111b)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6을 참조하면, 하부케이스(100)의 저부는 오물유입구(111)가 형성된 중앙 부분(B1)이 하부케이스(100)의 저면(131, 132)과 평행하고, 중앙 부분 이외의 좌우측 부분(B2)만 만곡 형성될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좌우측 부분(B2)이 도 5와 같이 양끝이 아래로 향하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하부케이스의 저부 형상은 흡입력에 의해 중앙부(301)가 들려지고 좌우측면(302)이 중앙부(301)에 비해 하향 되어있는 카펫(300)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카펫(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만곡부(120)는 흡입력이 가장 높은 부분인 오물유입구(112)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물유입구(112)는 흡입노즐(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만곡부(120)는 흡입노즐(10)의 중심인 기준선 A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만곡부(120)는 도 7과 같이 좌우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저부(111c) 및 좌측 저부(111d)가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고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우측 저부(111c)는 만곡 형성되고 좌측 저부(111d)는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반대로, 좌측 저부(111d)는 만곡 형성되고 우측 저부(111c)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때, 흡입노즐(10)이 청소동작시 일방향으로 기울여지게 되면 청소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하부케이스(100)의 좌우측 끝단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펴본 바와 같이 만곡부(120)는 흡입력에 따라 변형되는 카펫(3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바, 변형된 카펫(300)과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력 손실이 최소화되어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흡입구(111)는 카펫(300)과 더욱 가까워지도록 하부케이스(100)의 저면(131, 132)에 비해 카펫(300) 방향으로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카펫(300)이 밀착되는 부분인 흡입구(111)의 전방 및 후방 외곽선(111a, 111b) 역시 만곡부(120)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만곡 형성됨이 카펫(300)과의 균일한 밀착을 위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흡입구(111)의 전방 및 후방 외곽선(111a, 111b)은 좌우측 외곽선(111c, 111d)을 기준으로 상부케이스(200)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다. 즉, 오물유입구(112)가 형성된 흡입구(111)의 중앙 부분에 비해 좌우측 외곽선(111c, 111d)이 아래로 처져있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은 흡입력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카펫(300)의 형상에 대응된다. 이때, 카펫(300)은 흡입구(111)의 전방 및 후방에 대해서는 동일한 높이로 들어 올려지므로, 전방 및 후방 외곽선(111a, 111b)은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만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구(111)의 전방 및 후방 외곽선(111a, 111b)은 만곡부(120)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만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카펫(300)은 흡입노즐(10)의 만곡부(120)에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흡입력의 손실이 최소화되어 청소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전방 및 후방 슬라이딩면(121, 122)은 하부케이스(100)의 저면(131, 132)으로부터 흡입구(111)의 전방 및 후방 외곽선(111a, 111b)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전방 및 후방 슬라이딩면(121, 122)은 흡입구(111)가 카펫(300)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경우, 흡입노즐(10)이 전방 및 후방을 왕복하며 청소동작 수행시 카펫(300)에 걸리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흡입노즐(10)이 전방 및 후방으로 왕복 운동을 하며 청소를 하는 경우, 전방 및 후방 슬라이딩면(121, 122)은 흡입노즐(10)이 카펫(300)의 표면 위를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하부케이스(100)는 사용자가 흡입노즐(1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만곡부(120)의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돌기(1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슬라이딩돌기(141)는 흡입노즐(10)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돌기(141)는 흡입노즐(10)이 카펫(300)과 접촉하는 면적을 작게 하여 카펫(300)에 대한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흡입노즐(10)을 전방 및 후방으로 부드럽게 조작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부재(151)는 흡입구(111)의 내측에 배치되며, 오물유입구(112)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오물유입구(112)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2 이상 구비될 수도 있으며, 오물유입구(112)가 형성된 중앙 부분을 포함하며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1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흡입구(111)의 외측인 슬라이딩면(121, 122) 또는 하부케이스(100)의 저면(131, 132)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타격부재(151)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고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타격부재(151)는 카펫(300)에 존재하는 먼지를 부유시켜 흡입구(111) 내부로의 흡입효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타격부재(151)의 하부는 일정하지않은 카펫(300)에 대해 각각 독립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2 이상의 타격부분(151a)으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타격부재(151)는 카펫(300)과의 마찰이 더욱 감소된다. 다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2 이상의 타격부분(151a)으로 분리되지않은 타격부재(151)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100)는 이러한 타격부재(151)가 결합될 수 있는 슬롯을 포함하는 결합부(153)를 일체로 형성한다. 결합부(153)는 삽입될 타격부재(151)와 같은 개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흡입구(111)의 내측의 양쪽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오물유입구(112)가 형성된 중앙부분을 가로질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흡입구(111)의 외부인 슬라이딩면(121, 122) 또는 하부케이스(100)의 저면(131, 132)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하부케이스(100)에 결합부(153)를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사출성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부케이스(100)에 결합부(153)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타격부재(151)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격부재(151)가 손상되거나, 카펫(300)을 타격할 수 없을 정도로 마모된 경우에는 교체가 필요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부케이스(200)를 하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하여 결합부(153)에 결합되어 있는 타격부재(151)를 하부케이스(100)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분리한 타격부재(151)를 새로운 타격부재(151)로 교체하여 사용하여 청소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생산자의 입장에서도 흡입노즐(10)의 부품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타격부재는 복수의 솔(1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솔(152) 역시 탄성력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솔(152)의 경우에도 하부케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153)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153)는 복수의 솔(152)의 크기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유입구(112)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2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200)는 하부케이스(100)의 상측에 결합되며, 흡입노즐(1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하부케이스(100)의 상측을 실링하여 흡입력의 손실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10)의 흡입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흡입노즐(10)은 대기상태에 있으며, 이에 따라 카펫(300)도 흡입노즐(10)을 향해 들어 올려지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흡입노즐(10)은 청소를 위한 흡입동작을 시작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흡입력은 본체(50)의 흡입원으로부터 발생되어 연장호스(40), 연장관(20)을 통해 오물유입구(112)로 전달된다. 오물유입구(112)로 전달된 흡입력은 오물유입구(112)의 양측에 형성된 흡입구(111)로 전달되며, 흡입구(111)는 이러한 흡입력을 이용해 카펫(300)의 오물을 흡입한다.
이때, 흡입구(111)의 흡입력은 오물유입구(112)에서 가장 강력하며, 오물유입구(112)로부터 좌우측으로 멀어질수록 약해진다. 이러한 흡입력의 차이에 따라 카펫(300)도 중앙부(301)에서는 가장 많이 들어 올려지며, 좌우측면(302)은 중앙부(301)만큼 들어 올려지지 못하고, 아래로 처지게 된다.
다만, 이러한 카펫(3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본 발명은 만곡부(120)가 구비되어 있는바, 카펫(300)은 만곡부(120)의 만곡형상에 균일하게 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카펫(300)은 흡입구(111)의 외곽선들(111a 내지 111d)에 밀착되며, 흡입노즐(10)이 청소를 위해 전방 및 후방으로 움직일 경우에는 각각 전방 및 후방 슬라이딩면(121, 122)에의 일부에 밀착되어 흡입력이 손실될 수 있는 공간을 최소화한다.
또한, 타격부재(151, 152)는 흡입구(111)의 내에서 카펫(300)의 표면을 타격하도록 카펫(300)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나, 탄성력이 있는 러버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흡입노즐(10)의 전후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카펫(300)의 표면을 타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펫(300)의 표면에 엉켜있는 오물들을 타격부재(151, 152)가 물리적으로 타격하면 오물은 카펫(30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이후 오물은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111)로 흡입되어 오물유입구(112)로 전달된다.
더욱이, 타격부재(151, 152)는 흡입구(111)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카펫(300)을 타격하여 오물을 분리함과 동시에 흡입구(111)로 흡입할 수 있게 하므로, 카펫(300)으로부터 오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청소효율이 개선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진공청소기 10; 흡입노즐
100; 상부케이스 111; 흡입구
111a, 111b; 흡입구의 전방 및 후방 외곽선 112; 오물유입구
120; 만곡부 151, 152; 타격부재

Claims (22)

  1. 흡입원으로부터 형성된 진공압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포함하며 흡입력에 의해 변형되는 상기 피청소면과 밀착하는 만곡부가 형성된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흡입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폭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중앙 부분이 상기 피청소면으로부터 상기 상부케이스 방향으로 요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피청소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흡입구의 전방 및 후방의 외곽선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전방 및 후방 외곽선은 상기 만곡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흡입구 내에서 흡입력이 가장 높은 부분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좌우 비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청소동작시 상기 피청소면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상기 만곡부의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부유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구 내에 배치되는 타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는 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타격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16. 저부에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저부는 흡입력에 의해 변형되는 상기 피청소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흡입구 내에서 흡입력이 가장 높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하부케이스의 폭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면을 포함하는 흡입노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면은 곡면 또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전방 및 후방 외곽선은 상기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면과 동일하게 하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면은 상기 흡입구 내에서 흡입력이 가장 높은 부분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또는 비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20. 흡입원을 내장하고 먼지를 수거하는 진공청소기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 연통되며, 상기 흡입원으로부터 형성된 진공압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저부에 구비한 흡입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노즐의 저부는 흡입력에 의해 변형되는 상기 피청소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흡입구 내에서 흡입력이 가장 높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흡입노즐의 폭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곡면 또는 평면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곡면 또는 평면은 상기 흡입노즐의 폭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흡입노즐의 중앙 부분이 상기 피청소면으로부터 상기 흡입노즐의 상측 방향으로 요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전방 및 후방 외곽선은 상기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곡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거나, 상기 점진적으로 하향되는 평면과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140114452A 2014-08-29 2014-08-29 흡입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20160026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52A KR20160026269A (ko) 2014-08-29 2014-08-29 흡입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EP15181265.8A EP2989952B1 (en) 2014-08-29 2015-08-17 Suction nozzl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14/837,055 US9737184B2 (en) 2014-08-29 2015-08-27 Suction nozzl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52A KR20160026269A (ko) 2014-08-29 2014-08-29 흡입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269A true KR20160026269A (ko) 2016-03-09

Family

ID=5406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452A KR20160026269A (ko) 2014-08-29 2014-08-29 흡입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37184B2 (ko)
EP (1) EP2989952B1 (ko)
KR (1) KR201600262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5443S1 (en) * 2014-01-03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ush for cleaner
USD765324S1 (en) * 2014-08-05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USD770109S1 (en) * 2014-08-21 2016-10-25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foot
USD776380S1 (en) * 2014-12-05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ush for vacuum cleaner
DE102017115299A1 (de) * 2017-07-07 2019-01-10 Wessel-Werk Gmbh Glattbodenstaubsaugerdüse
USD869802S1 (en) * 2017-09-15 2019-12-10 Dyson Technology Limited Part of a vacuum cleaner
AU201812607S (en) 2017-11-03 2018-08-01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td Foot for a vacuum cleaner
AU201812604S (en) * 2017-11-03 2018-08-03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td Foot for a vacuum cleaner
EP3488752B1 (de) * 2017-11-23 2021-12-29 Wessel-Werk GmbH Staubsaugerbodendüse
WO2019243013A1 (en) 2018-06-19 2019-12-26 Arcelik Anonim Sirketi A vacuum cleaner with cleaning head
USD927112S1 (en) * 2019-05-26 2021-08-03 Sharkninja Operating Llc Hard floor cleaning tool
US11399683B2 (en) * 2020-05-01 2022-08-02 Wessel-Werk Gmbh Canister vacuum cleaner with battery-powered floor nozz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640A (en) * 1908-11-03 1911-01-24 Spencer Turbine Cleaner Company Cleaning-tool.
US1654186A (en) * 1921-06-06 1927-12-27 Hoover Co Suction sweeper
US2520942A (en) * 1944-02-23 1950-09-05 Electrolux Corp Vacuum cleaner head
DE3025977C2 (de) * 1980-07-09 1985-06-13 Allstar Verbrauchsgüter GmbH & Co KG, 6000 Frankfurt Mundstück für Staubsaugerdüsen
TW578540U (en) * 1998-07-28 2004-03-01 Sharp Kk Electric vacuum cleaner and nozzle unit therefor
TW579289B (en) * 2001-05-23 2004-03-11 Toshiba Tec Kk Vacuum cleaner
KR101211497B1 (ko) * 2006-01-13 2012-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DE102007009958B4 (de) * 2007-03-01 2013-08-01 Wessel-Werk Gmbh Blechgleitsohle sowie Verfahren zu deren Auslegung
JP5079062B2 (ja) * 2010-01-22 2012-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吸引噴射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37184B2 (en) 2017-08-22
EP2989952A2 (en) 2016-03-02
US20160058255A1 (en) 2016-03-03
EP2989952B1 (en) 2019-02-27
EP2989952A3 (en) 201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6269A (ko) 흡입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2044565B1 (ko) 진공청소기 헤드
EP2276384B1 (en) Vacuum cleaner nozzle
US10799080B2 (en) Cleaner
CN109893030B (zh) 用于抽吸细灰尘和大碎屑的真空吸尘器抽吸头部的底板
EP3181029A1 (en) Vacuum cleaner nozzle
JP2016214875A (ja) 粗塵および細塵を収容するための硬質床用ノズル
CN105361800A (zh) 抽吸件及使用该抽吸件的电动吸尘器
CN109640766A (zh) 吸嘴和硬表面抽吸设备
US11076732B2 (en) Vacuum cleaner
CN210300848U (zh) 吸尘器吸嘴以及包括其的家用吸尘器
JP5393396B2 (ja) 掃除機の吸い込みノズル
TWI657784B (zh) 吸嘴
CN210354558U (zh) 吸尘器吸嘴以及包括这种吸尘器吸嘴的家用吸尘器
KR102277145B1 (ko) 청소기
CN105361805A (zh) 抽吸件及使用该抽吸件的电动吸尘器
JP2017012688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EP4311463A1 (en) Suction nozzle and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nozzle
CN208725639U (zh) 一种吸尘器及其地刷
CN105307551B (zh) 用于真空吸尘器的吸嘴以及真空吸尘器
US11786090B2 (en) Floor nozzle for a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JP2017012689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7023349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1340270A (ja) 電気掃除機用ワイパー付き吸込口装置
KR10135467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