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886A - 절삭 헤드,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 공구 - Google Patents

절삭 헤드,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886A
KR20160020886A KR1020140106208A KR20140106208A KR20160020886A KR 20160020886 A KR20160020886 A KR 20160020886A KR 1020140106208 A KR1020140106208 A KR 1020140106208A KR 20140106208 A KR20140106208 A KR 20140106208A KR 20160020886 A KR20160020886 A KR 20160020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groove
radial direction
cutting head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희
박창규
Original Assignee
대구텍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텍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대구텍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0886A/ko
Priority to PCT/KR2015/008459 priority patent/WO2016024819A1/en
Publication of KR20160020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54T slot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2Connections between the shanks and detachable cut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3Cutting heads comprised of different material than the shank irrespective of whether the head is detachable from the sh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40/00Details of connections of tools or workpieces
    • B23C2240/24Connections using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삭재의 절삭 가공 시에 절삭력으로 인한 응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회전 공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공구는 선단면에 복수의 홈부를 가지는 홀더와, 후단면에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는 절삭 헤드와, 홀더와 절삭 헤드를 체결하는 나사를 포함한다. 홀더의 홈부는 한 쌍의 홈 측벽을 가지며,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절삭 헤드의 돌기부는 한 쌍의 돌기 측면을 가지며,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홈 측벽과 돌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굴절부가 형성되며, 절삭 헤드가 홀더에 장착될 때에 굴절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홈 측벽과 돌기 측면 사이에 여유각을 가진다.

Description

절삭 헤드,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 공구{CUTTING HEAD, HOLDER AND ROTATING TOO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절삭 가공에 사용되는 부품, 특히 절삭 헤드와 홀더와 같은 절삭 가공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절삭 가공용 부품을 가지는 회전 공구에 관한 것이다.
밀링 공구와 같은 회전 공구는 회전하면서 피삭재를 절삭 가공한다. 이러한 회전 공구에 있어서, 직경이 비교적 큰 회전 공구는 공구 본체인 홀더의 외주에 피삭재를 절삭하기 위한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직경이 비교적 작은 회전 공구는 홀더의 외주가 협소하므로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없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홀더의 선단에 피삭재를 절삭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른바 절삭 헤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회전 공구가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홀더에 절삭 헤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회전 공구는, 홀더와 절삭 헤드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해서 일체로 제작해야 하는 공정 때문에 생산성이 낮고, 제품 단가도 높다. 또한, 절삭 헤드가 마모되어 공구 수명이 다한 경우에는 회전 공구 전체를 처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효율적인 사용이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홀더의 선단에 절삭 헤드가 교체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회전 공구(이하, 간단히 '절삭 헤드 교체형의 회전 공구'라고도 한다)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 일 예가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7150590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7150590호
절삭 헤드 교체형의 회전 공구에 있어서, 홀더와 절삭 헤드의 장착에 따른 접촉 부분에는 피삭재의 절삭 시에 작용하는 절삭력에 대응하여 저항력, 즉 응력이 생긴다. 이러한 응력은 구조적으로 취약한 홀더와 절삭 헤드의 접촉 부분의 변형이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절삭력에 의한 응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감소시킬 수 있는 홀더와 절삭 헤드의 접촉 구조가 회전 공구의 설계 요인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7150590호에 따른 회전 공구에 있어서, 홀더는 선단면에 방사형으로 함몰되는 복수의 그루브(groove)를 가지며, 절삭 헤드는 홀더의 선단면에 맞대어지는 후단면에 복수의 그루브에 대응하여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rib)를 가진다. 그러나, 그루브의 외측 코너부에서 리브의 외측 코너부가 접촉되도록 절삭 헤드가 홀더에 장착되기 때문에 절삭력에 의한 응력이 구조적으로 취약한 절삭 헤드와 홀더의 접촉 부분에 생기게 된다. 그루브의 외측 코너부는 홀더의 선단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더 이상 연장하지 못하고 홀더의 측면과 각지게 접하고, 리브의 외측 코너부는 절삭 헤드의 후단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더 이상 연장하지 못하고 절삭 헤드의 측면과 각지게 접하고 있어서, 절삭력에 의한 응력이 집중될 수 있으며, 그 응력을 주변으로 분산시켜 흡수하기 어렵다. 따라서, 홀더와 절삭 헤드는 접촉이 이루어지는 그루브의 외측 코너부와 리브의 외측 코너부가 피삭재의 절삭 도중에 예기치 않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어서, 회전 공구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삭재의 절삭 가공 시 절삭력에 의한 응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절삭 가공용 부품, 특히 절삭 헤드와 홀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절삭 헤드와 홀더를 구비하는 회전 공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홀더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샤프트 형상을 갖는 홀더로서, 선단면에 형성되는 나사체결구멍과, 상기 선단면에서 상기 나사체결구멍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함몰되고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복수의 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는 상기 선단면에 대해 경사진 한 쌍의 홈 측벽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홈 측벽 각각은 전장의 중간으로부터 상기 선단면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에 상기 한 쌍의 홈 측벽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 바깥쪽으로 꺾이는 굴절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절삭 헤드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절삭 헤드는 홀더의 선단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삭 헤드로서, 전단면과 후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나사수용구멍과, 상기 홀더에 맞대어지는 상기 후단면에서 상기 나사수용구멍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하고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후단면에 대해 경사진 한 쌍의 돌기 측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돌기 측면 각각은 전장의 중간으로부터 상기 후단면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에 상기 한 쌍의 돌기 측면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바깥쪽으로 꺾이는 굴절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홀더 또는 절삭 헤드를 구비하는 회전 공구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회전 공구는 선단면에 형성되는 나사체결구멍과, 상기 선단면에서 상기 나사체결구멍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함몰되고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는 홀더와, 전단면과 후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나사수용구멍과, 상기 홀더의 상기 선단면에 맞대어지는 상기 후단면에 상기 복수의 홈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나사수용구멍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하고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는 절삭 헤드와, 상기 절삭 헤드의 상기 나사수용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나사체결구멍에 결합되는 나사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는 상기 선단면에 대해 경사진 한 쌍의 홈 측벽을 갖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후단면에 대해 경사진 한 쌍의 돌기 측면을 가지며, 상기 홈 측벽과 상기 돌기 측면 중 어느 하나는 전장의 중간으로부터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에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 꺾이는 굴절부를 갖고, 상기 홀더에 상기 절삭 헤드가 장착될 때 상기 굴절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홈 측벽과 상기 돌기 측면 사이에 여유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여유각은 0.2°이상 2.0°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유각은 0.5°이상 1.5°이하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 측벽의 상기 선단면의 법선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상기 돌기 측면의 상기 후단면의 법선에 대해 경사진 각도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 측벽에 상기 굴절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홈 측벽은 상기 굴절부를 기준으로 상기 선단면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외측벽과 상기 선단면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홈 측벽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 경사진 상기 외측벽의 각도는 상기 한 쌍의 돌기 측면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 경사진 상기 돌기 측면의 각도보다 작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홈 측벽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서 상기 외측벽의 경사진 각도는 상기 내측벽의 경사진 각도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 측면에 상기 굴절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돌기 측면은 상기 굴절부를 기준으로 상기 후단면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외측면과 상기 후단면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기 측면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 경사진 상기 외측면의 각도는 상기 한 쌍의 홈 측벽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 경사진 상기 홈 측벽의 각도보다 크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기 측면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서 상기 외측면의 경사진 각도는 상기 내측면의 경사진 각도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삭 헤드는 초경 합금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의 선단에 절삭 헤드가 장착될 때 홀더와 절삭 헤드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에서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절삭 헤드는 장착 초기에는 극소부분에서 홀더에 점접촉되어 지지되고, 나사 조임 등 이어지는 장착 과정 내지 피삭재의 절삭 시에는 홀더에 면접촉되어 지지된다. 즉, 절삭력에 의한 응력이 절삭 헤드와 홀더의 구조적으로 취약한 접촉 부분에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절삭력에 의한 응력을 접촉 부분에서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삭재의 절삭 가공 도중에 홀더와 절삭 헤드가 예기치 않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 공구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회전 공구를 선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Ⅲ-Ⅲ 선에 따른 회전 공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공구에 있어서의 홀더의 선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홀더의 선단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공구에 있어서의 절삭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절삭 헤드에 있어서의 장착부의 후단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Ⅹ-Ⅹ 선에 따른 절삭 헤드에 있어서의 장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공구에 있어서, 홀더와 절삭 헤드의 굴절부에 따른 접촉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공구에 있어서 절삭 헤드의 면접촉 가능한 홀더에서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 따른 회전 공구에 있어서의 홀더와 절삭 헤드의 접촉 부분에 생기는 응력 분포를 개략적으로 보인 참고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공구에 있어서, 홀더와 절삭 헤드의 굴절부에 따른 접촉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공구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회전 공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회전 공구(1000)는 당해 분야에 있어서, '밀링 공구', 특히 '절삭 헤드 교체형의 밀링 공구' 등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서, 화살표(TD)는 회전 공구(1000)의 선단측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화살표(BD)는 회전 공구(1000)의 후단측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회전 공구(1000)는 선단부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후단부가 밀링 머신 등의 공작 기계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공구(1000)는 공작 기계에 의해 회전하면서 선단부의 아래쪽에 놓이는 피삭재를 절삭 가공, 예컨대 측면 가공, 홈 가공, 나사 가공, 언더컷 가공 등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전 공구(1000)는 홀더(100), 절삭 헤드(200) 및 나사(300)를 포함한다. 절삭 헤드(200)는 홀더(100)의 선단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때 나사(300)에 의해 홀더(100)에 고정되거나 분리된다. 실시예에서는, 절삭 헤드(200)를 홀더(100)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나사(300)를 채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L자형 레버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회전 공구(1000)는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회전축(RA)은 홀더(100)와 절삭 헤드(2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의 중심(C)을 지난다. 이러한 회전 공구(1000)에 있어서, 홀더(100)는 회전축(RA) 방향(간단히, '축방향'이라고도 한다)으로 연장하는 샤프트 형상을 가진다. 홀더(100)는 몸체부(110)와 수용부(120)로 이루어진다. 홀더(100)는 몸체부(110)의 선단측에 구비되는 수용부(120)를 통해 절삭 헤드(200)를 장착한다. 또한, 홀더(100)는 몸체부(110)를 통해 공작 기계에 부착되고, 공작 기계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몸체부(110)에 구비되는 홀더(100)의 후단면(102)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 기계에의 부착 등을 위한 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자루부(111)와 목부(112)를 포함한다. 자루부(111)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원형 단면의 직경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바 형상을 가진다. 목부(112)는 원형 단면을 갖지만, 선단측 방향(TD)으로 갈수록 원형 단면의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자루부(111)로부터 가늘어지는 목부(112)는 단면의 직경이 다른 자루부(111)와 수용부(120)를 단차없이 연결한다. 수용부(120)에 구비되는 홀더(100)의 선단면(101)에는 나사체결구멍(130)이 형성된다. 나사체결구멍(130)은 선단면(101)의 중앙에서 축방향으로 또는 대략 축방향과 평행하게, 수용부(120)의 내부에서 연장한다. 또한, 선단면(101)에는 절삭 헤드(200)의 장착을 위하여 오목하게 함몰되는 복수의 홈부(140)가 형성된다.
절삭 헤드(200)에는 전단면(201)과 후단면(202)을 관통하도록 나사수용구멍(230)이 형성된다. 또한, 홀더(100)의 선단면(101)에 맞대어지는 절삭 헤드(200)의 후단면(202)에는 복수의 홈부(140)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부(240)가 돌출된다. 이러한 절삭 헤드(200)는 선단측의 둘레에서 회전축(RA)을 중심으로 등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절삭날(221)을 가진다. 절삭날(221)의 회전 궤적의 직경(D1)은 홀더(100)의 최대 단면의 직경(D2)보다 작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삭 헤드(200)는 피삭재의 T홈 가공, 나사 가공, 엔드밀 가공 등에 맞춰 다양한 형상, 크기의 절삭날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절삭 헤드(200)는 경도가 대단히 높고,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금속 재질의 피삭재도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는 초경 합금(hard metal)으로 형성된다. 초경 합금은, 소재 특성상 인장력에는 약하지만 압축력에는 강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초경 합금으로 형성된 절삭 헤드(200)가 압축력을 가능한 많이 받는 구조, 즉 인장력을 가능한 적게 받는 구조로 홀더(100)에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삭 헤드(200)는 나사수용구멍(230) 내에 나사(300)의 헤드부(310)가 걸릴 수 있는 경사면(231)을 가진다. 또한, 홀더(100)는 나사체결구멍(130) 내에, 나사수용구멍(230)을 통해 나사체결구멍(130)으로 삽입된 나사(300)가 회전하면서 나사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나사결합면(131)을 가진다.
나사(300)가 조여짐에 따라 절삭 헤드(200)가 홀더(100)의 선단에 고정되면, 나사(300)와 접촉하는 절삭 헤드(200)의 경사면(231)에는 체결력(P)이 발생한다. 체결력(P)은 경사면(231)의 법선 방향으로 절삭 헤드(200)의 내부로 가해지며, 축방향으로의 힘(Pa)과 축방향과 교차하는 반경방향으로의 힘(Pr)으로 작용한다. 체결력(P) 중에서, 축방향으로의 힘(Pa)은 절삭 헤드(200)를 홀더(100) 쪽으로 누르는 압축력으로 작용하고, 반경방향으로의 힘(Pr)은 절삭 헤드(200)를 반경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또는 미는 인장력으로 작용한다. 홀더(100)에 절삭 헤드(200)가 장착될 때, 홀더(100)가 절삭 헤드(200)에 가해진 축방향으로의 힘(Pa)을 지지하고, 반경방향으로의 힘(Pr)은 억제할 수 있도록, 절삭 헤드(200)의 후단면(202)에는 경사 장착면(S1)이 돌출 형성되고, 홀더(100)의 선단면(101)에는 이와 접촉하는 경사 체결면(S2)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경사 장착면(S1)과 경사 체결면(S2)은 축방향뿐만 아니라 반경방향으로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절삭 헤드(200)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홀더(100)의 경사 체결면(S2)은 홀더(100)의 선단면(101)에 형성되는 홈부(140)에 구비되며, 절삭 헤드(200)의 경사 장착면(S1)은 절삭 헤드(200)의 후단면(202)에 형성되는 돌기부(240)에 구비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홀더(100)는 선단면(101)의 중앙에 나사체결구멍(130)을 가지며, 나사체결구멍(13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함몰되는 복수의 홈부(140)를 가진다. 각 홈부(140)는 나사체결구멍(130)으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고, 수용부(120)의 측면(121)에서 개방된다.
홈부(140)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홈부(140)는 홀더(100)의 선단면(101)에 대해 경사진 한 쌍의 홈 측벽(150)을 가진다. 한 쌍의 홈 측벽(150)은 이들 사이의 가운데를 지나는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SL1)(도 6 참조)에 대해 대칭적으로 마주한다. 또한, 한 쌍의 홈 측벽(150) 사이의 간격(L1)은 나사체결구멍(130)으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즉, 홈부(140)는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또한, 홈부(140)는 한 쌍의 홈 측벽(15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바닥벽(153 내지 155)를 가진다. 실시예에서는, 마주하는 한 쌍의 홈 측벽(150)이 평면 형상인 복수의 바닥벽(153 내지 155)으로 연결되지만, 곡면 형상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바닥벽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반경방향으로 테이퍼진 홈부(140)에서, 홈 측벽(150)은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연장하는 방향이 바뀌는 굴절부(RP)를 가진다. 굴절부(RP)는 홈부(140)의 양측 코너부 사이의 내측부, 구체적으로 홈 측벽(150)의 전장의 중간으로부터 선단면(101)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홈 측벽(150)은, 한 쌍의 홈 측벽(150) 사이의 가운데를 지나는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SL1)에 대해 굴절부(RP)에서 바깥쪽으로 꺾인다.
홈 측벽(150)은 굴절부(RP)를 기준으로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외측벽(151)과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내측벽(152)으로 구분된다. 홈부(140)가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므로, 한 쌍의 내측벽(152) 사이의 간격과 한 쌍의 외측벽(151) 사이의 간격은 모두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또한, 홈부(140)는 내측벽(152)이 외측벽(15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꺾이도록 형성되어 굴절부(RP)를 경계로 하여 내측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공간을 가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외측벽(151) 사이의 가운데를 지나는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SL1)은 홀더(100)의 선단면(101)의 중심(C)을 지난다. 이러한 기준선(SL1)에 대해서 경사진 외측벽(151)의 각도(α1)는, 동일한 기준선(SL1)에 대해 경사진 내측벽(152)의 각도(α2)보다 작다. 실시예에서, 기준선(SL1)에 대해 경사진 외측벽(151)의 각도(α1)는 6.5°이다. 하지만, 수용부(120)의 직경, 수용부(120)에 형성되는 홈부(140)의 개수와 크기 등에 따라서 외측벽(151)의 각도(α1)는 변경될 수 있으며, 이보다 큰 내측벽(152)의 각도(α2)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홀더(100)의 회전축(RA)과 평행한 선단면(101)의 법선(N1)에 대해 경사진 외측벽(151)의 각도(β1)는 30°이다. 하지만, 외측벽(151)의 각도(β1)는 홀더(100)에서의 수용부(120)의 직경, 수용부(120)에 구비되는 홈부(140)의 개수와 크기 등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홀더(100)에서의 선단면(101)의 법선(N1)에 대해 경사진 외측벽(151)의 각도(β1)는 후술하는 절삭 헤드(200)에서의 후단면(202)의 법선(N2)에 대해 경사진 돌기 측면(250)의 각도(δ)(도 10 참조)와 다르다. 이에 따라, 홀더(100)에 절삭 헤드(200)가 장착될 때, 홀더(100)에 형성되는 홈 측벽(150)에 절삭 헤드(200)에 형성되는 돌기 측면(250)이 바로 면접촉되지 않고, 홈 측벽(150)에 형성되는 굴절부(RP)에서 접촉(점접촉)이 개시될 수 있다. 홀더(100)에 형성된 홈부(140)의 홈 측벽(150)에서, 외측벽(151)은 전술한 경사 체결면(S2)의 역할을 하며, 내측벽(152)은 절삭 헤드(200)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리세스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홀더(100)에 있어서, 선단면(101)의 가장자리와, 선단면(101)에 연결되는 홈부(140)의 가장자리는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절삭 헤드(200)의 장착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홀더(100)는 몸체부(110)와 수용부(120)가 동일한 금속 재료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금속 재료로는 탄소강, 텅스텐과 크롬 등의 합금된 고속도강, 탄화텅스텐을 포함하는 초경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와 수용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절삭 헤드(200)는 몸체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복수의 절삭날(221)이 돌출하는 절삭 기능부(220)와, 절삭 기능부(220)의 일면에서 돌출하는 장착부(210)를 포함한다. 절삭 헤드(200)는 장착부(210)가 수용부(120)에 맞대어지도록 홀더(100)에 장착된다. 절삭 기능부(220)는 디스크 형상(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장착부(210)는 절삭 기능부(220)의 일면 중앙에서 돌출되고 원형 단면을 갖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삭 기능부(220)는 일체로 형성되는 절삭날(221)을 가질 수 있으며, 교체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삭날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절삭 기능부(220)와 장착부(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결합될 수도 있다.
절삭 헤드(200)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수용구멍(230)을 중심으로, 장착부(210)의 후단면(202)에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돌기부(240)가 돌출된다. 실시예에서, 절삭 헤드(200)는 3개의 돌기부(240)를 갖지만, 홀더(100)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140)에 맞춰 다양한 개수의 돌기부를 가질 수 있다.
돌기부(240)는, 절삭 헤드(200)의 후단면(202)으로부터 이격된 돌기면(242)과, 돌기면(242)의 양측에 구비되어 돌기면(242)과 후단면(202)을 연결하는 한 쌍의 돌기 측면(250)을 포함한다. 돌기부(240)는 홀더(100)의 홈부(140)와 같이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한 쌍의 돌기 측면(250)은 돌기면(242)의 양측에서 대칭적으로 경사진다. 돌기 측면(250)은 후단면(202)에 대해 경사지며, 한 쌍의 돌기 측면(250) 사이의 거리(L2)는 후단면(202)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또한, 돌기부(240)는, 홈부(140)의 오목한 형상에 대응하여, 후단면(202)에서 돌기면(242)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도 9를 참조하면, 한 쌍의 돌기 측면(250) 사이에서 절삭 헤드(200)의 후단면(202)의 중심(C)을 지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기준선(SL2)에 대해 경사진 돌기 측면(250)의 각도(γ)는 앞서 설명한 홀더(100)에서의 기준선(SL1)에 대해 경사진 홈부(140)의 외측벽(151)의 각도(α1)보다 크다.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선(SL2)에 대해 경사진 돌기 측면(250)의 각도(γ)는 7°이지만, 위의 조건(γ>α1)을 만족하는 것을 전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절삭 헤드(200)에 있어서의 회전축(RA)과 평행한 후단면(202)의 법선(N2)에 대해 경사진 돌기 측면(250)의 각도(δ)는 앞서 설명한 홀더(100)에서의 선단면(101)의 법선(N1)에 대해 경사진 홈부(140)의 외측벽(151)의 각도(β1)보다 크다. 실시예에서, 상기 법선(N2)에 대해 경사진 돌기 측면(250)의 각도(δ)는 30.5°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의 조건(δ>β1)을 만족하는 것을 전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240)의 절삭 헤드(200)의 후단면(202)으로부터 돌출된 높이(H)는, 홀더(100)의 홈부(140)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진다. 즉, 돌기부(240)의 양측의 돌기 측면(250)이 홈부(140)에 형성된 외측벽(151)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이때, 돌기부(240)의 돌기면(242)은 홈부(140)를 형성하는 바닥벽(153 내지 155)에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절삭 헤드(200)의 돌기부(240)가 돌기 측면(250)을 통해서만 홀더(100)의 홈부(140)에 접촉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홀더(100)와 절삭 헤드(200)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공차 관리가 용이하다. 절삭 헤드(200)에 형성된 돌기부(240)의 한 쌍의 돌기 측면(250)은 전술한 경사 장착면(S1)의 역할을 한다.
홀더(100)에 형성된 홈부(140)와 절삭 헤드(200)에 형성된 돌기부(240)는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지만, 각각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SL1, SL2)에 대해 경사진 각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돌기부(240)의 돌기 측면(250)이 홈부(140)의 홈 측벽(150)의 전장에 걸쳐 접촉되지 않고, 홈 측벽(150)에 형성된 굴절부(RP)에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홈 측벽(150)과 돌기 측면(250) 사이의 벌어진 각도, 즉 여유각이 크지 않기 때문에 장착 초기에는 극소부분 접촉에서 점접촉되었던 홈 측벽(150)과 돌기 측면(250)이 나사 조임 등 이어지는 장착 과정 내지 피삭재의 절삭 도중에는 전장 또는 그 일부에 걸쳐 면접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측벽(150)에 굴절부(RP)가 형성되지 않아 기준선(SL2)에 대해 경사진 돌기 측면(250)의 각도(γ)와 기준선(SL1)에 대해 경사진 홈 측벽(150)의 각도(α)가 동일한 경우에는, 이론적으로는 돌기 측면(250)이 홈 측벽(150)의 전장에 걸쳐 면접촉된다(여유각(θ)이 없는 경우). 이는 이상적인 접촉이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제작오차 등으로 구현이 불가능하며 일정한 품질이 확보되기 어렵다. 특히, 경우에 따라서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 위주로 접촉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측벽(150)에 굴절부(RP)가 형성되지만 기준선(SL2)에 대해 경사진 돌기 측면(250)의 각도(γ)와 기준선(SL1)에 대해 경사진 외측벽(151)의 각도(α1)가 동일한 경우에는, 돌기 측면(250)이 홈 측벽(150)의 외측벽(151)에서 면접촉된다. 또한,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측벽(150)에 굴절부(RP)가 형성되고 기준선(SL2)에 대해 경사진 돌기 측면(250)의 각도(γ)와 기준선(SL1)에 대해 경사진 외측벽(151)과 내측벽(152)의 각도(α1, α2)가 다르지만, 홈 측벽(150)이 굴절부(RP)에서 크게 꺾인 경우에는, 돌기 측면(250)이 홈 측벽(150)의 굴절부(RP)에서만 점접촉되며, 장착 과정 내지 피삭재의 절삭 도중에도 돌기 측면(250)과 홈 측벽(150)이 면접촉되지 못한다(여유각(θ)이 큰 경우). 실시예에 따른 회전 공구(1000)에서는, 도 1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선(SL2)에 대해 경사진 돌기 측면(250)의 각도(γ)와 기준선(SL1)에 대해 경사진 홈 측벽(150)의 외측벽(151)과 내측벽(152)의 각도(α1, α2)가 다르고, 홈 측벽(150)이 굴절부(RP)에서 아주 작은 여유각(θ)을 갖도록 꺾인 경우에는, 절삭 헤드(200)의 홀더(100)에의 장착 초기에는 돌기 측면(250)이 홈 측벽(150)의 굴절부(RP)에서 점접촉되지만, 장착 과정 내지 피삭재의 절삭 도중에는 체결력 내지 절삭력을 받아 돌기 측면(250)과 홈 측벽(150)이 면접촉된다. 실시예에서, 여유각(θ)은 0.2°이상 2.0°이하의 범위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0.5°이상 1.5°이하의 범위를 가진다. 여유각(θ)이 0.2°미만인 경우에는, 도 11의 (a)에서와 같이 피삭재를 절삭하기 전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외측 코너부를 포함하는 외측벽(151) 전체가 돌기 측면(250)에 면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삭 헤드(200)와 홀더(100)가 어디서부터 접촉이 시작되는지 일정하지 않아 회전 공구(1000)의 일정한 품질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여유각(θ)이 2.0°를 초과한 경우에는, 도 11의 (c)에서와 같이 장착 과정 내지 피삭재를 절삭하는 도중에 체결력 내지 절삭력을 받더라도 외측벽(151)이 돌기 측면(250)에 면접촉되지 못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한다.
이와 같이, 홀더(100)에 형성되는 홈부(140) 및 절삭 헤드(200)에 형성되는 돌기부(240)가 챔퍼링된 형상을 가지면서, 굴절부(RP)에 의한 여유각(θ)을 두고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홀더(100)와 절삭 헤드(200)의 접촉이 구조적으로 취약하지 않은 홈부(140)의 안쪽에서 개시될 수 있다. 또한, 여유각(θ)이 0.2°이상 2.0°이하인 각도 범위를 갖기 때문에 장착 과정 내지 피삭재의 절삭 도중에는 체결력 내지 절삭력에 의해 접촉이 개시된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면접촉이 이루어진다.
도 12를 참조하면, 절삭 헤드(200)의 홀더(100)에의 장착 과정 내지 피삭재의 절삭 도중에 홀더(100)의 홈부(140)에 절삭 헤드(200)의 돌기부(240)가 면접촉할 수 있는 영역(SC)은, 홈부(140)의 외측벽(151)과 내측벽(152)의 경계, 즉 홀더(100)와 절삭 헤드(200)의 접촉이 국소적으로 개시되는 굴절부(RP)로부터 홈 측벽(150)의 전장의 절반(1/2) 이내의 외측벽(151)에 형성된다(도 12에서의 빗금친 부분 참조).
이와 같이, 절삭 헤드(200)의 돌기부(240)가, 홀더(100)의 홈부(140) 중 구조적으로 취약한 내, 외측 코너부에서 접촉되지 않고,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 외측 코너부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인 내측부에서 점접촉되고, 장착 과정 내지 피삭재의 절삭 도중에서 면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절삭력으로 인한 응력을 그 주변으로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피삭재를 절삭하는 회전 공구에 있어서의 홀더(100)와 절삭 헤드(200)의 접촉 부분에 생기는 응력 분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실제 측정 결과에서의 응력 분포는, 응력의 크기에 따라서 색 및 색 농도가 서로 다른 컴퓨터 그래픽에 의한 컬러 화상으로 얻어진다.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컬러 화상 대신에 소정의 범위의 응력 분포를 나타내는 영역을 등고선으로 구획하고, 구획한 영역마다 서로 다른 모양 또는 음영으로 표시한다. 도 13a에 도시한 홀더(100)와, 도 13b에 도시한 절삭 헤드(200)에 있어서, 접촉 부분(등고선으로 구획된 영역)의 대략 중앙 영역에서 가장 큰 응력이 생기고, 그 주변 영역으로 갈수록 응력이 작아지는 분포를 보인다. 따라서, 절삭 헤드(200)와 홀더(100)의 접촉 부분에 응력이 생기더라도 그 주변으로 분산시켜 흡수 또는 감소하도록 함으로써 응력이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접촉 부분이 예기치 않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회전 공구(100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홀더(100)의 홈 측벽(150)에 굴절부(RP)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굴절부(RP)는 절삭 헤드(200)의 돌기 측면(25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 측면(250)은 굴절부(RP)를 기준으로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외측면(251)과 내측 반경으로 연장하는 내측면(252)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 측면(250)에 굴절부(RP)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준선(SL2)에 대해 경사진 돌기 측면(250)의 각도(γ)와 기준선(SL1)에 대해 경사진 홈 측벽(150)의 각도(α)가 동일하여 이론적으로는 돌기 측면(250)이 홈 측벽(15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면접촉된다(여유각(θ)이 없는 경우). 이는 이상적인 접촉이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제작오차 등으로 구현이 불가능하며 일정한 품질이 확보되기 어렵다. 특히, 경우에 따라서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 위주로 접촉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 측면(250)에 굴절부(RP)가 형성되지만 기준선(SL2)에 대해 경사진 외측면(251)의 각도(γ1)와 기준선(SL1)에 대해 경사진 홈 측벽(150)의 각도(α)가 동일한 경우에는, 돌기 측면(250)의 외측면(251)이 홈 측벽(150)에 면접촉된다. 또한,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 측면(250)에 굴절부(RP)가 형성되고 기준선(SL2)에 대해 경사진 돌기 측면(250)의 외측면(251)과 내측면(252)의 각도(γ1, γ2)와 기준선(SL1)에 대해 경사진 홈 측벽(150)의 각도(α)가 다르지만, 돌기 측면(250)이 굴절부(RP)에서 크게 꺾인 경우에는, 돌기 측면(250)이 홈 측벽(150)의 굴절부(RP)에서만 점접촉되며, 장착 과정 내지 피삭재의 절삭 도중에도 돌기 측면(250)과 홈 측벽(150)이 면접촉되지 못한다(여유각(θ)이 큰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공구에서는, 도 1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선(SL2)에 대해 경사진 돌기 측면(250)의 외측면(251)과 내측면(252)의 각도(γ1, γ2)와 기준선(SL1)에 대해 경사진 홈 측벽(150)의 각도(α)가 다르고, 돌기 측면(250)이 굴절부(RP)에서 아주 작은 여유각(θ)을 갖도록 꺾인 경우에는, 절삭 헤드(200)의 홀더(100)에의 장착 초기에는 돌기 측면(250)이 홈 측벽(150)의 굴절부(RP)에서 점접촉되어 접촉이 개시되고, 장착 과정 내지 피삭재의 절삭 도중에는 체결력 내지 절삭력을 받아 돌기 측면(250)과 홈 측벽(150)이 면접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도, 여유각(θ)은 0.2°이상 2.0°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이상 1.5°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공구는 홀더와 홀더의 선단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삭 헤드를 가진다. 홀더의 선단면에는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홈부가 방사형으로 복수개 구비되고, 절삭 헤드의 후단면에는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돌기부가 방사형으로 복수개 구비된다. 또한, 홈부와 돌기부는 각각 한 쌍의 홈 측벽과 한 쌍의 돌기 측면을 가지는데, 홈 측벽과 돌기 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굴절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 공구에 있어서, 절삭 헤드의 홀더에의 장착 시에, 절삭 헤드는 돌기부가 홈부의 내측부에서 접촉이 개시 되도록 홀더에 장착된다. 또한, 장착 과정 내지 피삭재의 절삭 도중에, 절삭 헤드와 홀더의 접촉 부분이 체결력 내지 절삭력에 의해 눌려 면접촉이 됨에 따라 체결력이나 절삭력에 의한 응력을 그 주변으로 분산시켜 흡수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삭 헤드와 홀더의 접촉 부분에 응력이 크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응력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회전 공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의 홈부와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절삭 헤드의 돌기부 중 어느 하나에 소정 각도 범위로 꺾이는 굴절부를 형성함으로써 홀더와 절삭 헤드의 제작 시에 공차(허용공차) 관리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홀더 101: 선단면
110: 몸체부 120: 수용부
130: 나사체결구멍 140: 홈부
150: 홈 측벽 151: 외측벽
152: 내측벽 200: 절삭 헤드
202: 후단면 210: 장착부
220: 절삭 기능부 221: 절삭날
230: 나사수용구멍 240: 돌기부
250: 돌기 측면 251: 외측면
252: 내측면 300: 나사
1000: 회전 공구

Claims (11)

  1. 샤프트 형상을 갖는 홀더로서,
    선단면에 형성되는 나사체결구멍과, 상기 선단면에서 상기 나사체결구멍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함몰되고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복수의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선단면에 대해 경사진 한 쌍의 홈 측벽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홈 측벽 각각은 전장의 중간으로부터 상기 선단면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에 상기 한 쌍의 홈 측벽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 바깥쪽으로 꺾이는 굴절부를 갖는,
    홀더.
  2. 홀더의 선단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삭 헤드로서,
    전단면과 후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나사수용구멍과, 상기 홀더에 맞대어지는 상기 후단면에서 상기 나사수용구멍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하고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후단면에 대해 경사진 한 쌍의 돌기 측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돌기 측면 각각은 전장의 중간으로부터 상기 후단면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에 상기 한 쌍의 돌기 측면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바깥쪽으로 꺾이는 굴절부를 갖는,
    절삭 헤드.
  3. 선단면에 형성되는 나사체결구멍과, 상기 선단면에서 상기 나사체결구멍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함몰되고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는 홀더와,
    전단면과 후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나사수용구멍과, 상기 홀더의 상기 선단면에 맞대어지는 상기 후단면에 상기 복수의 홈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나사수용구멍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하고 외측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는 절삭 헤드와,
    상기 절삭 헤드의 상기 나사수용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나사체결구멍에 결합되는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선단면에 대해 경사진 한 쌍의 홈 측벽을 갖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후단면에 대해 경사진 한 쌍의 돌기 측면을 가지며,
    상기 홈 측벽과 상기 돌기 측면 중 어느 하나는 전장의 중간으로부터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에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 꺾이는 굴절부를 갖고,
    상기 홀더에 상기 절삭 헤드가 장착될 때, 상기 굴절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홈 측벽과 상기 돌기 측면 사이에 여유각을 갖는,
    회전 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각은 0.2°이상 2.0°이하의 범위인, 회전 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각은 0.5°이상 1.5°이하의 범위인, 회전 공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 측벽의 상기 선단면의 법선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상기 돌기 측면의 상기 후단면의 법선에 대해 경사진 각도보다 작은, 회전 공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 측벽에 상기 굴절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홈 측벽은 상기 굴절부를 기준으로 상기 선단면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외측벽과 상기 선단면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홈 측벽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 경사진 상기 외측벽의 각도는 상기 한 쌍의 돌기 측면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 경사진 상기 돌기 측면의 각도보다 작은, 회전 공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홈 측벽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서 상기 외측벽의 경사진 각도는 상기 내측벽의 경사진 각도보다 작은, 회전 공구.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측면에 상기 굴절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돌기 측면은 상기 굴절부를 기준으로 상기 후단면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외측면과 상기 후단면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기 측면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 경사진 상기 외측면의 각도는 상기 한 쌍의 홈 측벽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 경사진 상기 홈 측벽의 각도보다 큰, 회전 공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기 측면 사이의 반경방향으로의 기준선에 대해서 상기 외측면의 경사진 각도는 상기 내측면의 경사진 각도보다 큰, 회전 공구.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헤드는 초경 합금으로 형성되는, 회전 공구.
KR1020140106208A 2014-08-14 2014-08-14 절삭 헤드,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 공구 KR20160020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208A KR20160020886A (ko) 2014-08-14 2014-08-14 절삭 헤드,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 공구
PCT/KR2015/008459 WO2016024819A1 (en) 2014-08-14 2015-08-12 Cutting head, holder and rotating tool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208A KR20160020886A (ko) 2014-08-14 2014-08-14 절삭 헤드,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886A true KR20160020886A (ko) 2016-02-24

Family

ID=5530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208A KR20160020886A (ko) 2014-08-14 2014-08-14 절삭 헤드,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 공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20886A (ko)
WO (1) WO20160248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579A (ko) * 2018-10-10 2021-05-25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US11583941B2 (en) * 2020-11-27 2023-02-21 Hsin-Tien Chang Assembled chamfer mi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4960A1 (de) 2016-03-17 2017-09-21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Schneidplatte, Werkzeughalter und Werkzeug
CN108788265B (zh) * 2017-05-05 2020-08-18 张新添 舍弃式倒角刀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0590B2 (en) 2002-05-22 2006-12-19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Machining tool, especially a mill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57289T1 (de) * 1993-04-14 1997-09-15 Zettl Gmbh Cnc Praezisions Und Schneidwerkzeug
SE509540C2 (sv) * 1997-06-30 1999-02-08 Seco Tools Ab Verktyg
DE102008036562A1 (de) * 2008-07-30 2010-02-04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Werkzeug für spanende Bearbeitung eines Werkstücks
EP2471618A1 (en) * 2010-12-28 2012-07-04 VARGUS Ltd. Milling cutter with a pocket at the front face and insert therefo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0590B2 (en) 2002-05-22 2006-12-19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Machining tool, especially a milling to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579A (ko) * 2018-10-10 2021-05-25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US11484949B2 (en) 2018-10-10 2022-11-01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US11583941B2 (en) * 2020-11-27 2023-02-21 Hsin-Tien Chang Assembled chamfer m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4819A1 (en)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6257B2 (en) Cutting insert and removable insert-type cutting tool
JP6627174B2 (ja) 切れ刃位置の調整機構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KR100670862B1 (ko) 밀링 커터 및 밀링 커터용 절삭 삽입체
US7094010B2 (en) Thread milling cutter, holder and a method for milling an external thread on a spigot
JP6749327B2 (ja) 回転切削工具及びその切削インサート
US20140294528A1 (en) Replaceable cutting head
US10758986B2 (en) Cutting insert and tool for machining
KR20160020886A (ko) 절삭 헤드,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 공구
JP6916745B2 (ja) 同じ円錐角を有する2つの離間した円錐当接面を有するねじ取付部分を備えた交換可能な切削ヘッド、工具ホルダ及び回転切削工具
JP6052712B2 (ja) 切削工具
JP5853830B2 (ja) 刃先交換式切削工具及びその切れ刃位置調整方法
JP6530142B1 (ja) インサート及びボディ
US10286459B2 (en) Machining tool
US10220454B2 (en) Insert attachment mechanism, rotary cutting tool, tool body, wedge member and adjustment member
JP2006192553A (ja) ガンドリル用インサート、ガンドリル用ホルダ及びインサート式ガンドリル
EP3300824B1 (en) Cutting tool replacement member and cutting tool body
JP4971649B2 (ja) 切削工具
JP6998946B2 (ja) 正面フライス工具、および正面フライス工具のための接線切削インサート
JP2006102924A (ja) フライスカッター
JP2006150491A (ja) フライスカッター
JP3232165U (ja) テーパ加工用切削工具
JP2006247776A (ja) フライスカッター
JP2006136966A (ja) フライスカッター
JP2017221982A (ja) 刃先交換式切削工具用ホルダ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2006130600A (ja) インサート及びフライスカ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